KR20120005428U - Mobile terminal supporter of automotive steering wheel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supporter of automotive steering whee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5428U
KR20120005428U KR2020110009463U KR20110009463U KR20120005428U KR 20120005428 U KR20120005428 U KR 20120005428U KR 2020110009463 U KR2020110009463 U KR 2020110009463U KR 20110009463 U KR20110009463 U KR 20110009463U KR 20120005428 U KR20120005428 U KR 2012000542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mobile terminal
unit
hook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946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우균
Original Assignee
신우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우균 filed Critical 신우균
Priority to KR20201100094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5428U/en
Publication of KR201200054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5428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Vehicle control means, e.g. steering-wheel or colu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9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clips, clamps, strap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64Connection with the article
    • B60R2011/0071Connection with the article using latches, clips, clamps, strap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휴대 단말기용 자동차 핸들 거치대가 개시된다. 개시된 휴대 단말기용 자동차 핸들 거치대는, ⅰ)전면에 디스플레이부를 지닌 휴대 단말기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홀더유닛과, ⅱ)홀더유닛을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에 고정하기 위해 그 홀더유닛에 연결되게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유닛을 포함하며, 홀더유닛은 휴대 단말기의 상하면 혹은 양 사이드면을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후크 돌기가 구비된 홀더 몸체를 포함하되, 홀더 몸체는 휴대 단말기의 크기에 따라 후크 돌기간의 거리가 가변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Disclosed is a car handle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The disclosed vehicle handle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includes at least one configured to iii) a holder unit elastically supporting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display unit on its front surface, and ii) a holder unit to fix the holder unit to a steering wheel of a vehicle. It includes a clamping unit, the holder unit includes a holder body having a pair of hook projections for detachably supporti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r both side surfaces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holder body is hook ston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mobile terminal The distance of the period is variable.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용 자동차 핸들 거치대 {MOBILE TERMINAL SUPPORTER OF AUTOMOTIVE STEERING WHEEL}Car Handlebar for Mobile Device {MOBILE TERMINAL SUPPORTER OF AUTOMOTIVE STEERING WHEEL}

본 고안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휴대 단말기의 차량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 등과 같은 휴대 단말기를 자동차의 핸들에 용이하게 거치시킬 수 있도록 한 휴대 단말기용 자동차 핸들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cradle for a mobi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r handle cradle for a mobile terminal to easily mount a mobile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to the handle of the vehicle.

일반적으로, 고정된 위치가 아닌 장소에서 이동 중에 통신 및 멀티 미디어 서비스 등을 무선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휴대폰과 같은 휴대 단말기가 많이 사용된다.In general, a mobile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is widely used to wirelessly use communication and multimedia services while moving in a place other than a fixed location.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정보화 시대에 따른 생활의 편의성을 누리기 위해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필수품 중의 한가지로 자리 잡고 있으며, 수요량과 사용자층이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이를 이용하는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계속해서 새로운 디자인이나 기능이 부여된 제품을 기대하기에 이르렀다.These portable terminals are one of the indispensable necessities in order to enjoy the convenience of life in accordance with the information age, and as the demand and user base rapidly increase, consumers who use them continue to be given new designs or functions. Expected to come.

한편, 최근에는 멀티 미디어 기능이 대폭 향상된 스마트폰의 사용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그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로서의 여러 가지 응용 프로그램이 등장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recent years, the use of smart phones, which have greatly improved multimedia functions, has been rapidly increasing, and various application programs as application software have emerged.

이 중에서 주목할 만한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는 3G 통신 서비스와 접목하여 실시간 교통 정보 등의 다양한 교통 운전 지원 서비스를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차량용 GPS 네비게이션 소프트웨어를 예로 들 수 있으며, 이러한 네비게이션 소프트웨어는 차량에서 용이하게 사용되고 있다.Notable application software is GPS navigation software for vehicles that can provide drivers with various traffic driving assistance services such as real-time traffic information in combination with 3G communication services. Such navigation software is easily used in vehicles. .

상기에서와 같은 휴대 단말기를 차량에 장착하는 방법으로는 일 예로서, 기존의 네비게이션 단말기와 같이 차량의 전면 유리창에 흡착 설치되는 거치대에 휴대 단말기를 장착하고 있다.As a method of mounting the portable terminal on the vehicle as an example,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on a cradle which is installed on the front glass window of the vehicle like the conventional navigation terminal.

그런데, 종래 기술에서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 단말기의 경우,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창의 크기가 작고,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의 글자 크기가 작아 운전자로 하여금 디스플레이 정보를 쉽게 확인하지 못하게 되며, 디스플레이 창의 터치 조작이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However, in the related art, in the case of a mobi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the size of the display window for displaying information is small, the text size of the displayed information is small so that the driver cannot easily check the display information, and touch operation of the display window is very difficult. It is difficult.

또한, 종래에서는 차량의 전면 유리창에 휴대 단말기를 거치하는 경우, 운전자가 휴대 단말기를 보기 위해 고개를 돌리는 등 운전 부주의로 인해 교통 사고 등의 안전 사고가 발생하게 된다는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다. In addition, in the related art,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on the windshield of the vehicle, the driver may turn a head to view the portable terminal, thereby causing a safety accident such as a traffic accident due to careless driving.

본 고안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자동차 운전 중 스마트폰 등과 같은 휴대 단말기를 더욱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운전자의 안전 운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휴대 단말기를 자동차의 핸들에 용이하게 거치시킬 수 있도록 한 휴대 단말기용 자동차 핸들 거치대를 제공하고자 한다.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creat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and can be more usefully used in a mobi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while driving a car, and the mobile terminal can be used to drive a driver safe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r handle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that can be easily mounted on a handle of a car.

이를 위한 본 고안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자동차 핸들 거치대는, ⅰ)전면에 디스플레이부를 지닌 휴대 단말기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홀더유닛과, ⅱ)상기 홀더유닛을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에 고정하기 위해 그 홀더유닛에 연결되게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홀더유닛은 휴대 단말기의 상하면 혹은 양 사이드면을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후크 돌기가 구비된 홀더 몸체를 포함하되, 상기 홀더 몸체는 휴대 단말기의 크기에 따라 후크 돌기간의 거리가 가변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Car handle holder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is purpose, iii) a holder unit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mobile terminal having a display unit on the front, and ii) fixing the holder unit to the steering wheel of the vehicle And at least one clamping unit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holder unit, wherein the holder unit includes a holder body having a pair of hook protrusions detachably supporti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r both side surfaces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holder body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distance of the hook protrusion is variabl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ortable terminal.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용 자동차 핸들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홀더 몸체는 상기 후크 돌기를 일체로 연결하며 탄성 변형이 이루어지는 활 형태의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vehicle handle holder for the mobile terminal, the holder body may include a bow-shaped connection portion which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hook protrusion and the elastic deformation.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용 자동차 핸들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홀더 몸체는 상기 연결부의 상하 측에 상기 후크 돌기를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vehicle handle holder for the portable terminal, the holder body may form the hook protrusion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connection portion.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용 자동차 핸들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홀더 몸체는 어느 하나의 상기 후크 돌기가 일체로 형성되는 제1 몸체부와, 다른 하나의 상기 후크 돌기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몸체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몸체부와, 상기 제1 몸체부와 제2 몸체부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vehicle handle holder for a mobile terminal, the holder body may include a first body portion in which one of the hook protrusions is integrally formed, and the other hook protrusion is integrally formed and in the first body portion. It may include a second body portion which is slidably coupled, and an elastic member for elastically connecting the first body portion and the second body portion.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용 자동차 핸들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유닛은 상기 홀더 몸체에 연결되고, 상기 스티어링 휠에 탄성 변형하며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걸이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vehicle handle holder for the portable terminal, the clamping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hook member connected to the holder body, and elastically deformed and coupled to the steering wheel.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용 자동차 핸들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재는 상기 홀더 몸체의 상측에 위치하는 후크 돌기에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vehicle handle holder for the portable terminal, the hook member may be integrally connected to the hook protrusion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holder body.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용 자동차 핸들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재는 한 쌍으로서 구비되며, 상기 상측 후크 돌기에 브이(V)자 형태로서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vehicle handle holder for a mobile terminal, the hook member is provided as a pair, it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hook projection in the form of a V (V).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용 자동차 핸들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재는 상기 홀더 몸체의 상,하측 후크 돌기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vehicle handle holder for the mobile terminal, the hook member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hook protrusions of the holder body.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용 자동차 핸들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재의 내측면에는 고무 패드가 부착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vehicle handle holder for the portable terminal, a rubber pad may be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hook member.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용 자동차 핸들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유닛은 상기 홀더 몸체와 연결되는 제1 연결 고리와, 상기 제1 연결 고리에 힌지 결합되며 볼트를 통해 상기 제1 연결 고리에 체결되는 제2 연결 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vehicle handle holder for a mobile terminal, the clamping unit is a first connecting ring which is connected to the holder body, a second hinged to the first connecting ring and fastened to the first connecting ring through a bolt It may include a link ring.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용 자동차 핸들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홀더 몸체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패드가 부착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vehicle handle holder for the portable terminal, the holder body may be attached to a protective pad for protecting the portable terminal.

그리고, 본 고안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자동차 핸들 거치대는, ⅰ)전면에 디스플레이부를 지닌 휴대 단말기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홀더유닛과, ⅱ)상기 홀더유닛을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홀더유닛에 연결되게 구성되는 클램핑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홀더유닛은 상기 클램핑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And, the vehicle handle holder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ii) a holder unit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mobile terminal having a display unit on the front surface, and ii) fixing the holder unit to the steering wheel of the vehicle In order to include a clamping unit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holder unit, the holder unit may be rotatably mounted to the clamping unit.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용 자동차 핸들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유닛은 상기 스티어링 휠에 탄성 변형되며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걸이부재를 지닌 클램프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Further, in the vehicle handle holder for the portable terminal, the clamping unit may include a clamp body having at least one hook member elastically deformed and coupled to the steering wheel.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용 자동차 핸들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홀더유닛은 상기 휴대 단말기의 배면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1 지지부재에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상하면 혹은 양 사이드면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2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vehicle handle holder for the portable terminal, the holder unit is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first support member integrally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or both side surfaces of the portable terminal. It may include a second support member for elastically supporting.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용 자동차 핸들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홀더유닛은 상기 제2 지지부재에 나사식으로 체결되며 상기 클램프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회전 중심축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vehicle handle holder for the mobile terminal, the holder unit may be provided with a rotation center axis which is screwed to the second support member and can be rotatably coupled to the clamp body.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용 자동차 핸들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본체에는 상기 회전 중심축이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실린더 형태의 삽입부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vehicle handle holder for a mobile terminal, the clamp main body may be provided with a cylindrical insert that the rotation center axis is rotatably fitted.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용 자동차 핸들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내측에는 상기 회전 중심축으로 탄발력을 발휘하는 제1 스프링이 장착될 수 있다.In the vehicle handle holder for a mobile terminal, a first spring exerting a resilience force to the rotational central axis may be mounted inside the insertion unit.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용 자동차 핸들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회전 중심축의 축 방향으로 제1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다.In the vehicle handle holder for a mobile terminal, a first guide groove may be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part in an axial direction of the rotation center axis.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용 자동차 핸들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회전 중심축에는 상기 제1 가이드 홈에 결합될 수 있는 가이드 돌기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In the vehicle handle holder for a mobile terminal, a guide protrusion that can be coupled to the first guide groove may be integrally formed on the rotation center axis.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용 자동차 핸들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홈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를 상기 삽입부 내주면의 원주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는 제2 가이드 홈이 연결될 수 있다.In the vehicle handle holder for a mobile terminal, a second guide groove for guiding the guide protrus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part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guide groove.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용 자동차 핸들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드 홈은 상기 회전 중심축의 설정된 회전 각도에 상응하는 궤적으로 상기 삽입부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vehicle handle holder for the portable terminal, the second guide groove may b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part as a trajectory corresponding to the set rotation angle of the rotation center axis.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용 자동차 핸들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내주면에는 제2 스프링에 의해 일부 돌출된 볼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In the vehicle handle holder for a mobile terminal, a ball member partially protruded by a second spring may be install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용 자동차 핸들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회전 중심축의 외주면에는 상기 볼부재를 안내하는 제3 가이드 홈이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In the vehicle handle holder for a mobile terminal, a third guide groove for guiding the ball member may b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on center axis.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용 자동차 핸들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제3 가이드 홈은 상기 회전 중심축의 설정된 회전 각도에 상응하는 궤적으로 상기 회전 중심축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The third guide groove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on center axis as a trajectory corresponding to the set rotation angle of the rotation center axis.

본 고안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 단말기를 스티어링 휠에 거치함으로써 운전자의 시야 바로 아래에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위치시킬 수 있다.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lace a display unit of a portable terminal directly under the driver's field of view by mounting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to a steering wheel.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비교적 작은 크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되는 네비게이션 등과 같은 각종 정보를 운전자로 하여금 쉽게 인식할 수 있게 하고, 디스플레이부의 표시 정보를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가 운전자의 시야를 벗어나지 않으므로 고개를 돌리거나 하는 등의 운전 방해 요인을 제거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river can easily recognize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such as navigation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having a relatively small size, and can use the display information of the display unit more safely. Because it does not deviate, it can eliminate driving obstacles such as turning your head.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운전 중에 휴대 단말기로 문자나 이메일이 수신되었을 경우, 주머니 등에서 휴대 단말기를 꺼내지 않고 바로 확인이 가능하므로, 운전 부주의에 따른 위험한 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a text message or an e-mail is received by the portable terminal while driving,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immediately checked without removing the portable terminal from the pocket.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휴대 단말기의 크기에 따라 홀더 몸체의 후크 돌기 간의 거리가 가변될 수 있으므로, 휴대 단말기의 크기에 관계없이 홀더 몸체에 휴대 단말기를 견고하게 장착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hook protrusions of the holder body may vary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portable terminal may be firmly mounted on the holder body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portable terminal.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홀더유닛을 클램핑유닛에 대해 일정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홀더유닛에 거치된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사용자 기준으로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가변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holder unit can be rotated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clamping unit, the posi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mounted on the holder unit can be ch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r the vertical direction based on the user.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휴대 단말기를 사용자 기준으로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자동차의 운전 중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되는 정보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rotated in a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a user, information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conveniently used while driving a vehicle.

이 도면들은 본 고안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예시적인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자동차 핸들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예시적인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자동차 핸들 거치대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예시적인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자동차 핸들 거치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예시적인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자동차 핸들 거치대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예시적인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자동차 핸들 거치대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예시적인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자동차 핸들 거치대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평면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예시적인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자동차 핸들 거치대를 도시한 평면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예시적인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자동차 핸들 거치대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자동차 핸들 거치대에 적용되는 클램핑유닛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자동차 핸들 거치대에 적용되는 클램핑유닛의 제2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예시적인 제5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자동차 핸들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예시적인 제5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자동차 핸들 거치대를 도시한 정면 구성도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예시적인 제5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자동차 핸들 거치대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 14는 본 고안의 예시적인 제6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자동차 핸들 거치대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 15는 본 고안의 예시적인 제7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자동차 핸들 거치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고안의 예시적인 제7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자동차 핸들 거치대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Since these drawings are for reference in describing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vehicle handle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first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vehicle handle holder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first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steering wheel holder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use of a vehicle handle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first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vehicle handle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use of a vehicle steering wheel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vehicle handle holder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thir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vehicle handle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fourth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first modified example of the clamping unit applied to a vehicle handle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econd modified example of the clamping unit applied to a vehicle handle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vehicle handle holder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fifth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front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vehicle handle holder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fifth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vehicle handle holder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fifth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vehicle handle holder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sixth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vehicle handle holder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seventh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vehicle handle holder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seventh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의 명칭이 동일한 관계로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의 설명에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he names of the components are divided into first, second, and the like in order to distinguish the names of the components in the same relationship, and the descriptions of the components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order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고안의 예시적인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자동차 핸들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vehicle handle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first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핸들 거치대(100)는 휴대 단말기(1)를 자동차의 핸들(5)(이하에서는 편의 상 "스티어링 휠" 이라고 한다)에 안정적으로 장착(거치)하기 위한 것이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vehicle handle holder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ably mounts the mobile terminal 1 to the handle 5 of the vehic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steering wheel" for convenience) ( To).

상기 휴대 단말기(1)는 본 실시예에서 음성/화상 통화, 메시지 전송 등의 통신 기능을 기본적으로 수행하면서, 문자 입력이나 DMB, 동영상, 게임, 인터넷 등과 같은 멀티 미디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로서 이루어진다.The mobile terminal 1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use multimedia services such as text input, DMB, video, game, Internet, etc. while basically performing communication functions such as voice / video call and message transmission in this embodiment. As is done.

이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1)는 가로 방향(길이 방향)이 길고 세로 방향(폭 방향)이 상대적으로 짧은 장방형의 바아(bar)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의 전면에는 터치 스크린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부(3)를 구성하고 있다.In this case, the portable terminal 1 is formed in a rectangular bar shape having a long horizontal direction (length direction) and a relatively short vertical direction (width direction), and a display unit 3 such as a touch screen on the front thereof. ).

예를 들면, 상기 휴대 단말기(1)는 최근 들어 멀티 미디어 기능이 대폭 향상되고,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로서의 여러 가지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는 스마트폰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ortable terminal 1 may include a smart phone capable of significantly improving multimedia functions in recent years and executing various application programs as application software.

여기서, 상기 휴대 단말기(1)는 3G 통신 서비스와 접목하여 실시간 교통 정보 등의 다양한 교통 운전 지원 서비스를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차량용 GPS 네비게이션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다.Here, the portable terminal 1 may execute a GPS navigation software for a vehicle that may provide a driver with various traffic driving assistance services such as real-time traffic information in conjunction with a 3G communication service.

본 실시예에서는 휴대 단말기(1)를 도면에서와 같이 세워서 놓고 보았을 때를 기준으로 하여 하기의 각종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위를 향하는 면을 상면 아래를 향하는 면을 하면, 양측면을 양 사이드면으로 정의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ollowing various components are described on the basis of the mobile terminal 1 standing up as shown in the drawing. When the upper face is faced up and down, both sides are turned to both side faces. Can be defined

이와 같은 방향의 정의는 상대적인 의미로서, 사용자를 기준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1)의 위치에 따라서 그 방향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상기한 기준 방향이 본 실시예의 기준 방향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definition of such a direction is a relative meaning. Since the direc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1 with respect to the user, the above-described reference direc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reference direc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본 고안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휴대 단말기(1)로서 상기에서와 같이 스마트폰에 적용되는 것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GPS 네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일반적인 휴대폰, PDA, PMP 등과 같은 휴대용 전기전자장치에 적용될 수도 있다.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to those applied to a smart phone as described above as the mobile terminal 1, but to a portable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 such as a general mobile phone, PDA, PMP, etc. capable of performing a GPS navigation function. May be applied.

이러한 휴대용 전기전자장치는 CDMA 모듈,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IrDA), 유무선 랜카드 등과 같은 소정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멀티 미디어의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구비할 수도 있다.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may include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a CDMA module, a Bluetooth module, an infrared communication module (IrDA), a wired / wireless LAN card, or the like, and may include a microprocessor for performing a multimedia playback function.

이하, 상기 휴대 단말기(1)에 적용될 수 있는 본 고안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핸들 거치대(100)의 구성을 앞서 개시한 도면들 및 하기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steering wheel holder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can be applied to the portable terminal 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nd the following drawings.

도 2는 본 고안의 예시적인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자동차 핸들 거치대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vehicle handle holder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first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상기 휴대 단말기용 자동차 핸들 거치대(100)는 휴대 단말기(1)의 디스플레이부(3)를 통해 표시되는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5)에 휴대 단말기(1)를 간편하게 거치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steering wheel 100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low the steering wheel of a vehicle to easily check information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3 of the mobile terminal 1. (5) is made of a structure that can easily mount the portable terminal (1).

이를 위해 본 고안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자동차 핸들 거치대(100)는 기본적으로, 홀더유닛(10) 및 클램핑유닛(5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를 구성 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o this end, the vehicle handle holder 100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includes a holder unit 10 and a clamping unit 50, which will be described by configuration.

본 실시예에서, 상기 홀더유닛(10)은 휴대 단말기(1)를 탄성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휴대 단말기(1)를 착탈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는 홀더 몸체(11)를 포함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older unit 10 is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portable terminal 1 and includes a holder body 11 that can detachably support the portable terminal 1.

상기 홀더 몸체(11)는 탄성을 지닌 플라스틱 소재로서 이루어지며, 휴대 단말기(1)의 상하면 혹은 양 사이드면 바람직하게는 상하면을 지지하는 한 쌍의 후크 돌기(21a, 21b)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The holder body 11 is made of an elastic plastic material and integrally forms a pair of hook protrusions 21a and 21b for supporti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r both side surfaces of the portable terminal 1, preferably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

여기서, 상기 홀더 몸체(11)는 후크 돌기(21a, 21b)를 일체로 형성하며 탄성 변형이 이루어지는 활 형태의 연결부(31)를 포함하는 바, 그 연결부(31)의 상측 및 하측에 후크 돌기(21a, 21b)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Here, the holder body 11 includes a bow-shaped connection part 31 which integrally forms the hook protrusions 21a and 21b and is elastically deformed. The hook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connection part 31. 21a and 21b) are integrally formed.

상기 후크 돌기(21a, 21b)의 휴대 단말기(1)의 상하면을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으로서, 그 상하면 부위를 탄성적으로 감쌀 수 있는 후크 걸이 형태로 이루어진다.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portable terminal 1 of the hook protrusions 21a and 21b are detachably supported, and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hook protrusions 21a and 21b are formed in the form of a hook hook that can elastically wrap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thereof.

이 경우, 상기 후크 돌기(21a, 21b)의 지지면에는 휴대 단말기(1)의 상하면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 패드(41)가 부착 설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a protective pad 41 for protecti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portable terminal 1 may be attached to the support surfaces of the hook protrusions 21a and 21b.

상기 보호 패드(41)는 후크 돌기(21a, 21b)로 인해 휴대 단말기(1) 상하면에 스크래치 등의 흠집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The protective pad 41 serves to prevent scratches, such as scratches,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portable terminal 1 due to the hook protrusions 21a and 21b.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홀더유닛(10)으로서 상기와 같이 활 형태의 연결부(31) 상하 측에 후크 돌기(21a, 21b)가 구비된 홀더 몸체(11)를 구비하므로, 휴대 단말기(1)를 홀더 몸체(11)에 장착하는 경우 그 후크 돌기(21a, 21b)가 휴대 단말기(1)의 상하면을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holder unit 10 includes the holder body 11 provided with the hook protrusions 21a and 21b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bow-shaped connecting portion 31 as described above, the portable terminal 1 is provided. When mounted on the holder body 11, the hook protrusions 21a and 21b can elastically support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portable terminal 1.

이 때, 상기 홀더 몸체(11)는 활 형태로 이루어진 연결부(31)를 포함하므로, 휴대 단말기(1)의 크기에 따라 탄성 변형되면서 도 3에서와 같이 후크 돌기(21a, 21b) 간의 거리가 가변될 수 있다.In this case, since the holder body 11 includes a connection portion 31 formed in a bow shape, the distance between the hook protrusions 21a and 21b is variable as shown in FIG. 3 while being elastically deform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ortable terminal 1. Can be.

이로써, 본 실시예에서는 휴대 단말기(1)의 크기에 관계없이 홀더 몸체(11)에 휴대 단말기(1)를 견고하게 장착(거치)할 수 있게 된다.Thus, in this embodiment, the portable terminal 1 can be firmly mounted (mounted) on the holder body 11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portable terminal 1.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클램핑유닛(50)은 홀더유닛(10)의 홀더 몸체(11)를 스티어링 휠(5)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홀더 몸체(11)에 연결되게 구성된다.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lamping unit 50 is for fixing the holder body 11 of the holder unit 10 to the steering wheel 5 and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holder body 11.

이러한 클램핑유닛(50)은 홀더 몸체(11)에 연결되고 스티어링 휠(5)에 탄성 변형하며 결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걸이부재(51)를 포함한다.The clamping unit 50 includes at least one hook member 51 connected to the holder body 11 and elastically deformable and coupled to the steering wheel 5.

상기 걸이부재(51)는 홀더 몸체(11)와 같이 플라스틱 소재로서 이루어지며, 그 홀더 몸체(11)의 상측 후크 돌기(21a)에 일체로서 연결되게 형성될 수 있다.The hook member 51 may be made of a plastic material such as the holder body 11 and may be integrally connected to the upper hook protrusion 21a of the holder body 11.

여기서, 상기 걸이부재(51)는 최초 원형의 단면에서 일부 구간이 개방된 고리 형태로 이루어지는 바, 개방 단부에 스티어링 휠(5)이 끼워지며 탄성 변형됨으로써 그 스티어링 휠(5)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Here, the hook member 51 is formed in a ring shape in which some sections are opened in the first circular cross section, and the steering wheel 5 is fitted to the open end and elastically deformed to be firmly fixed to the steering wheel 5. Can be.

도면에서 미설명된 참조 부호 61은 홀더 몸체(11)와 걸이부재(51)를 일체로 연결하는 부분을 나타낸다.Reference numeral 61, which is not described in the drawing, indicates a part for integrally connecting the holder body 11 and the hook member 51.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자동차 핸들 거치대(100)에 의하면, 우선 홀더 몸체(11)와 일체로 연결된 걸이부재(51)를 스티어링 휠(5)에 결합한다.Accordingly, according to the vehicle handle holder 100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first, the hook member 51 integrally connected to the holder body 11 is connected to the steering wheel 5. To combine.

즉, 상기 걸이부재(51)는 원형의 단면에서 일부 구간이 개방된 고리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개방 단부에 스티어링 휠(5)이 끼워지며 탄성 변형됨으로써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That is, since the hook member 51 is formed in a ring shape in which some sections are opened in a circular cross section, the steering wheel 5 is fitted to the open end and can be firmly fixed by elastic deformation.

이와 같은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1)를 홀더 몸체(11)에 장착하는데, 홀더 몸체(11)의 후크 돌기(21a, 21b)는 휴대 단말기(1)의 상하면을 탄성적으로 지지하게 된다.In this state, the portable terminal 1 is mounted on the holder body 11, and the hook protrusions 21a and 21b of the holder body 11 elastically support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portable terminal 1.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홀더 몸체(11)에 활 형태의 연결부(31)를 구성함으로 휴대 단말기(1)의 크기에 따라 탄성 변형되면서 후크 돌기(21a, 21b) 간의 거리가 가변되고, 이로 인해 휴대 단말기(1)의 크기에 관계없이 홀더 몸체(11)에 휴대 단말기(1)를 견고하게 장착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by forming a bow-shaped connecting portion 31 in the holder body 11, the distance between the hook projections (21a, 21b) is variable while being elastically deform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ortable terminal (1), thereby carrying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terminal 1, the portable terminal 1 can be firmly mounted on the holder body 11.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에서와 같이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 단말기(1)를 스티어링 휠(5)에 거치함으로써 운전자의 시야 바로 아래에 휴대 단말기(1)의 디스플레이부(3)가 위치하게 된다.As described so far,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4, the display unit 3 of the portable terminal 1 is placed directly under the driver's field of vision by mounting the portable terminal 1 such as a smartphone to the steering wheel 5. Will be located.

이로 인해 본 실시예에서는 비교적 작은 크기의 디스플레이부(3)를 통해 표시되는 정보 예컨대, 3G 통신 서비스와 접목하여 실시간 교통 정보 등의 다양한 교통 운전 지원 서비스를 운전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GPS 네비게이션 정보를 운전자로 하여금 쉽게 인식할 수 있게 한다.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GPS navigation information for providing the driver with various traffic driving assistance services such as real-time traffic information by integrating information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3 having a relatively small size, for example, 3G communication service, may be used as the driver. Make it easy to recognize.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휴대 단말기(1)의 디스플레이부(3)가 운전자의 시야를 벗어나지 않으므로, 고개를 돌리거나 하는 등의 운전 방해 요인을 제거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1)의 네비게이션 기능 등을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display unit 3 of the portable terminal 1 does not deviate from the driver's view, driving disturbances such as turning the head can be eliminated, and the navigation fun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 can be eliminated. Can be used more safely.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운전 중에 휴대 단말기(1)로 문자나 이메일이 수신되었을 경우, 주머니 등에서 휴대 단말기(1)를 꺼내지 않고 바로 확인이 가능하므로, 운전 부주의에 따른 위험한 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a text message or an e-mail is received by the mobile terminal 1 while driving, the mobile terminal 1 can be immediately checked without removing the portable terminal 1 from the pocket, thereby preventing a dangerous situation due to inadvertent operation. have.

도 5는 본 고안의 예시적인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자동차 핸들 거치대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vehicle handle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예시적인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자동차 핸들 거치대(200)는 전기 실시예의 구조를 기본으로 하면서, 걸이부재(151)가 홀더 몸체(111)의 상하측 후크 돌기(121a, 121b) 사이에 연결되는 클램핑유닛(150)을 구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vehicle handle holder 200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structure of the electrical embodiment, the hook member 151 is the upper and lower hooks of the holder body 111 The clamping unit 150 may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between the protrusions 121a and 121b.

본 실시예에서, 상기 걸이부재(151)는 상하측 후크 돌기(121a, 121b)를 연결하는 연결부(131)에 일체로 형성되며, 그 연결부(131)의 중심을 기준으로 그 중심부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ook member 151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connecting portion 131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hook protrusions 121a and 121b, and is formed above the center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131. Can be.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스티어링 휠(5)과 결합하는 걸이부재(151)가 연결부(131)에 구성되므로, 도 6에서와 같이 휴대 단말기(1)를 스티어링 휠(5)에 최대한 근접하게 장착할 수 있다.Therefore,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hook member 151 coupled to the steering wheel 5 is configured at the connecting portion 131, the portable terminal 1 may be mounted as close as possible to the steering wheel 5 as shown in FIG. 6. Can be.

이로써, 본 실시예에서는 스티어링 휠(5) 사이로 보이는 클러스터(계기판) 정보를 가리지 않고 휴대 단말기(1)를 홀더 몸체(111)에 장착할 수 있다.Thu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ortable terminal 1 can be mounted on the holder body 111 without any cluster (substrate) information seen between the steering wheels 5.

본 고안의 예시적인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자동차 핸들 거치대(200)의 나머지 구성 및 작용은 전기 제1 실시예에서와 같으므로, 더욱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vehicle steering wheel holder 200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in the first embodiment, a mor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7은 본 고안의 예시적인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자동차 핸들 거치대를 도시한 평면 구성도이다.7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vehicle handle holder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thir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예시적인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자동차 핸들 거치대(300)는 전기 실시예들의 구조를 기본으로 하면서, 걸이부재(251)가 한 쌍으로 구비되며 홀더 몸체(211)의 상측 후크 돌기(221a)에 일체로 연결되는 클램핑유닛(250)을 구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vehicle handle holder 300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thir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structure of the electrical embodiments, the hook member 251 is provided in pairs and the holder body ( The clamping unit 250 may be integrally connected to the upper hook protrusion 221a of the 211.

본 실시예에서, 상기 걸이부재(251)는 브이(V)자 형태로서 홀더 몸체(211)의 상측 후크 돌기(221a)에 일체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embodiment, the hook member 251 is preferably V-shaped integrally connected to the upper hook protrusion 221a of the holder body 211.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걸이부재(251)가 홀더 몸체(211)의 상측 후크 돌기(221a)에 브이(V)자 형태로서 연결되므로, 휴대 단말기(1)가 거치된 홀더 몸체(211)를 스티어링 휠(5)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pair of hook members 251 is connected to the upper hook protrusion 221a of the holder body 211 in the form of a V shape, the holder body 211 o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1 is mounted is mounted. ) Can be more firmly fixed to the steering wheel (5).

이로 인해 본 실시예에서는 홀더 몸체(211)에 거치된 휴대 단말기(1)가 스티어링 휠(5)의 전후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게 된다.For this reas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ortable terminal 1 mounted on the holder body 211 does not move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steering wheel 5.

본 고안의 예시적인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자동차 핸들 거치대(300)의 나머지 구성 및 작용은 전기 제1 실시예에서와 같으므로, 더욱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vehicle handle holder 300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thir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in the first embodiment, a mor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8은 본 고안의 예시적인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자동차 핸들 거치대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vehicle handle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fourth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예시적인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자동차 핸들 거치대(400)는 전기 실시예들의 구조를 기본으로 하면서, 휴대 단말기(1)를 지지하는 홀더 몸체(311)가 탄성적으로 연결된 두 개의 몸체로서 이루어진 홀더유닛(310)을 구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vehicle handle holder 400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fourth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structure of the electrical embodiments, the holder body 311 for supporting the portable terminal 1 is The holder unit 310 may be configured as two bodies elastically connected.

본 실시예에서, 상기 홀더 몸체(311)는 제1 몸체부(331)와, 제1 몸체부(331)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몸체부(341)와, 제1 및 제2 몸체부(331, 341)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탄성부재(39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older body 311 is the first body portion 331, the second body portion 341 is slidably coupled to the first body portion 331, and the first and second body It includes an elastic member 391 for elastically connecting the parts (331, 341).

상기 제1 몸체부(331)는 휴대 단말기(1)의 상측 부위를 지지하는 몸체로서 그 상단부에는 상측 후크 돌기(321a)가 일체로 형성된다.The first body 331 is a body that supports the upper portion of the mobile terminal 1, the upper hook protrusion 321a is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end thereof.

그리고, 상기 제2 몸체부(341)는 휴대 단말기(1)의 하측 부위를 지지하는 몸체로서 그 하단부에 하측 후크 돌기(321b)가 일체로 형성된다.The second body portion 341 is a body supporting a lower por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 and a lower hook protrusion 321b is integrally formed at a lower end thereof.

여기서, 상기 제1 몸체부(331)에는 스티어링 휠(5)에 결합되는 걸이부재(351)가 상측 후크 돌기(321a)에 일체로 형성된다.Here, the hook member 351 coupled to the steering wheel 5 is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hook protrusion 321a in the first body 331.

이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331, 341)는 제1 및 제2 가이더(361, 371)를 통하여 서로 반대 방향(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331 and 341 may be coupled to be slidably moved in opposite directions (up and down directions)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guiders 361 and 371.

즉, 상기 제1 몸체부(331)에는 상하 방향을 따라 제1 가이더(361)가 형성되며, 제2 몸체부(341)에는 제1 가이더(361)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가이더(371)가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That is, a first guider 361 is formed in the first body portion 331 along a vertical direction, and a second guider 371 in which the first guider 361 is slidably coupled to the second body portion 341. ) Is form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탄성부재(391)는 제1 몸체부(331)와 제2 몸체부(341)를 연결하는 코일 스프링으로서 이루어지며, 일측 단부가 제1 몸체부(331)에 연결되고, 다른 일측 단부가 제2 몸체부(341)에 연결된다.The elastic member 391 is formed as a coil spring connecting the first body portion 331 and the second body portion 341, one end is connected to the first body portion 331, the other one end is made of 2 is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341.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예시적인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자동차 핸들 거치대(400)는 클램핑유닛(350)의 걸이부재(351)를 스티어링 휠(5)에 결합한 상태에서, 홀더 몸체(311)의 제1 및 제2 몸체부(331, 341)에 휴대 단말기(1)를 거치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vehicle handle holder 400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fourth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 a state in which the hook member 351 of the clamping unit 350 is coupled to the steering wheel 5, The portable terminal 1 may be mounted on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331 and 341 of the holder body 311.

즉,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몸체부(331)의 상측 후크 돌기(321a)가 휴대 단말기(1)의 상측면을 지지하며, 제2 몸체부(341)의 하측 후크 돌기(321b)가 휴대 단말기(1)의 하측면을 지지하고, 제1 및 제2 몸체부(331, 341)에 탄성부재(391)의 탄성력이 작용하면서 휴대 단말기(1)를 홀더 몸체(311)에 거치시킬 수 있다.That is, in this embodiment, the upper hook protrusion 321a of the first body portion 331 supports the upper 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1, and the lower hook protrusion 321b of the second body portion 341 is the portable terminal. The lower side of (1) is supported, and the portable terminal 1 can be mounted on the holder body 311 while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391 acts on the first and second body portions 331 and 341.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331, 341)는 제1 및 제2 가이더(361, 371)를 통해 상하 방향으로 상호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탄성부재(391)를 통해 탄성적으로 연결되므로, 휴대 단말기(1)의 크기에 따라 제1 및 제2 몸체부(331, 341)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탄성부재(391)의 탄성력이 제1 및 제2 몸체부(331, 341)에 작용하게 된다.Here,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331 and 341 are slidably coupled to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guiders 361 and 371 and elastically connected through the elastic member 391. Therefore,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331 and 341 are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mobile terminal 1, so that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391 is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331 and 341. To act.

이로써, 본 실시예에서는 휴대 단말기(1)의 크기에 따라 제1 및 제2 몸체부(331, 341)가 탄성부재(391)의 탄성력을 극복하며 상하측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제1 및 제2 몸체부(331, 341)의 상하측 후크 돌기(321a, 321b) 간 거리가 가변되므로, 휴대 단말기(1)의 크기에 관계없이 홀더 몸체(311)에 휴대 단말기(1)를 견고하게 장착(거치)할 수 있게 된다.Thus,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331 and 341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le overcoming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391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mobile terminal 1.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hook protrusions 321a and 321b of the sections 331 and 341 is variable, the portable terminal 1 is firmly mounted to the holder body 311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portable terminal 1 You can do it.

도 9는 본 고안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자동차 핸들 거치대에 적용되는 클램핑유닛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first modified example of the clamping unit applied to a vehicle handle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적용되는 클램핑유닛(450)은 제1 변형예로서 걸이부재(451)의 내측면에 고무 패드(457)가 부착 설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clamping unit 450, which is applied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may be installed with a rubber pad 457 attached to the inner side of the hook member 451 as a first modification. have.

본 변형예에서, 상기 고무 패드(457)는 걸이부재(451)의 내주면에 부착되는 소정 두께의 고무판으로서, 걸이부재(451)와 스티어링 휠(5)의 마찰력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것이다.In the present modification, the rubber pad 457 is a rubber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ttach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ok member 451 to maximize the friction between the hook member 451 and the steering wheel 5.

따라서, 본 변형예에서는 걸이부재(451)의 내측면에 고무 패드(457)가 부착 설치되므로, 걸이부재(451)와 스티어링 휠(5)의 마찰력을 극대화함으로써 스티어링 휠(5)에 대하여 걸이부재(451)가 움직이지 않게 되는 등 홀더 몸체(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스티어링 휠(5)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Therefore, in the present modified example, since the rubber pad 457 is attached to the inner side of the hook member 451, the hook member with respect to the steering wheel 5 by maximizing the friction between the hook member 451 and the steering wheel (5). The holder body (not shown) can be more firmly fixed to the steering wheel 5 such that the 451 is not moved.

도 10은 본 고안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자동차 핸들 거치대에 적용되는 클램핑유닛의 제2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10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econd modified example of the clamping unit applied to a vehicle handle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적용되는 클램핑유닛(550)은 제2 변형예로서 단일의 걸이부재를 구비하지 않고, 제1 연결 고리(551)와 제2 연결 고리(55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clamping unit 550 applied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does not have a single hook member as a second modification, and the first connecting ring 551 and the second It can be made by including the connecting ring 552.

상기 제1 연결 고리(551)는 홀더 몸체(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와 일체로 연결되는 것으로서, 스티어링 휠(5)의 단면을 기준할 때 그 스티어링 휠(5)의 일 부분을 감싸는 고리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ng ring 551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holder body (not shown), and has a ring shape surrounding a portion of the steering wheel 5 when referring to a cross section of the steering wheel 5. Can be configured.

그리고, 상기 제2 연결 고리(552)는 힌지핀(HP)을 통해 제1 연결 고리(551)에 힌지 결합되고, 스티어링 휠(5)의 나머지 부분을 감싸는 고리 형태로 구성되며, 볼트(B)를 통하여 제1 연결 고리(551)에 체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connection ring 552 is hinged to the first connection ring 551 through a hinge pin (HP), is configured in a ring shape surrounding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steering wheel (5), bolt (B) It may be fastened to the first connecting ring 551 through.

따라서, 이 경우는 제1 연결 고리(551)가 스티어링 휠(5)의 일 부분을 감싸고 제2 연결 고리(552)가 스티어링 휠(5)의 나머지 부분을 감싸며 이들 연결 고리(551, 552)가 볼트(B)를 통해 체결되므로, 스티어링 휠(5)에 대하여 홀더 몸체(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Thus, in this case, the first link ring 551 surrounds a part of the steering wheel 5, and the second link ring 552 surrounds the rest of the steering wheel 5, and these link rings 551 and 552 Since the bolt B is fastened, the holder body (not shown) can be more firmly fixed to the steering wheel 5.

도 11은 본 고안의 예시적인 제5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자동차 핸들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정면 구성도이며, 도 13은 도 11의 단면 구성도이다.FIG. 1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vehicle handle holder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fifth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front configuration diagram of FIG. 11, and FIG. 13 i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of FIG. 11.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예시적인 제5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자동차 핸들 거치대(500)는 클램핑유닛(650)에 대해 홀더유닛(610)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11 to 13, the vehicle handle holder 500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fifth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holder unit 610 is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clamping unit 650. .

본 실시예에서, 상기 홀더유닛(610)은 휴대 단말기(1: 이하 도 1 참조)의 배면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재(611)와, 제1 지지부재(611)에 일체로 연결되고 휴대 단말기(1)의 상하면 혹은 양 사이드면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2 지지부재(612)를 포함하고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older unit 610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member 611 and the first support member 611 that supports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1 (see FIG. 1 below). The second support member 612 which elastically supports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r both side surfaces of (1) is included.

상기 제1 지지부재(611)는 휴대 단말기(1)의 배면을 받치는 플레이트 형상의 베이스부재로 이루어지며, 제2 지지부재(612)는 라운드 형태로 탄성 변형되며 휴대 단말기(1)의 길이 방향에 따른 양측 가장자리 면을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The first support member 611 is formed of a plate-shaped base member that supports the rear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1, the second support member 612 is elastically deformed in a round sha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bile terminal (1) It is possible to elastically support both side edges accordingly.

그리고, 상기 홀더유닛(610)은 제2 지지부재(612)의 저면에 나사식으로 체결되는 회전 중심축(613)을 더 포함하고 있다.In addition, the holder unit 610 further includes a rotation center axis 613 that is screwed to the bottom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612.

상기 회전 중심축(613)은 뒤에서 더욱 설명될 클램핑유닛(650)의 클램프 본체(65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단부에는 제2 지지부재(612)에 체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부에는 플랜지부(614a)가 형성되어 있다.The rotation center axis 613 is rotatably coupled to the clamp body 653 of the clamping unit 6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an upper end portion is formed with a screw thread coupled to the second support member 612. The flange portion 614a is formed.

본 실시예에서, 상기 클램핑유닛(650)은 홀더유닛(610)을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홀더유닛(61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clamping unit 650 is for fixing the holder unit 610 to the steering wheel (not shown in the figure) of the vehicle, the holder unit 610 may be rotatably coupled.

상기에서와 같은 클램핑유닛(650)에 대한 홀더유닛(610)의 회전 구조는 뒤에서 더욱 자세하게 설명될 것이다.The rotating structure of the holder unit 610 relative to the clamping unit 650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상기 클램핑유닛(650)은 스티어링 휠에 탄성 변형되며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걸이부재(651)를 지닌 클램프 본체(653)를 포함하고 있다.The clamping unit 650 includes a clamp body 653 having at least one hook member 651 that is elastically deformed and coupled to the steering wheel.

이러한 걸이부재(651)의 구성은 전기 제1 실시예에와 같은 걸이부재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본 명세서에서 그 구성의 더욱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structure of the hook member 651 is the same as that of the hook member as in the first embodiment, a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herein.

여기서, 상기 클램프 본체(653)에는 위에서 언급한 바 있는 홀더유닛(610)의 회전 중심축(613)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삽입부(655)가 형성되어 있다.Here, the clamp main body 653 is formed with an insertion portion 655 to which the rotation center axis 613 of the holder unit 610 as mentioned above can be rotatably coupled.

상기 삽입부(655)는 클램프 본체(653)의 저면에서 내측을 공간을 지니며 상측 방향(도면 기준)으로 돌출된 실린더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단에는 홀더유닛(610)의 회전 중심축(613)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는 삽입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The insertion part 655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protruding in the upper direction (reference to the drawing) with a space on the inner side from the bottom of the clamp body 653, the upper end of the rotation center axis 613 of the holder unit 610 An insertion hole that can be slidably fitted is formed.

즉, 상기 회전 중심축(613)은 클램프 본체(653)의 저면에서 삽입부(655)의 내측 공간으로 삽입되며 삽입 구멍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진 상태로, 제2 지지부재(612)의 저면에 나사식으로 체결 및 고정될 수 있다.That is, the rotation center shaft 613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insertion portion 655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lamp body 653 and slidab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and screw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612. In this way it can be fastened and fixed.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삽입부(655)의 내측에는 회전 중심축(613)으로 탄발력을 발휘하는 제1 스프링(671)이 장착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a first spring 671 that exerts a resilient force to the rotation center axis 613 may be mounted inside the insertion part 655.

상기 제1 스프링(671)은 삽입부(655)의 내측 공간에서 회전 중심축(613)을 나선형으로 감싼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일측 단부가 회전 중심축(613)의 플랜지부(614a)에 지지되고, 다른 일측 단부가 삽입부(655)의 상단면에 지지되게 설치된다.The first spring 671 is made of a coil spring spirally wrapped around the rotation center axis 613 in the inner space of the insertion portion 655, one end is supported by the flange portion 614a of the rotation center axis 613. The other end portion is installed to be supported by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ion 655.

즉, 상기 제1 스프링(671)은 도면을 기준으로 회전 중심축(613)에 대하여 탄발력을 하측 방향으로 발휘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제2 지지부재(612)의 저면이 삽입부(655)와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That is, the first spring 671 is exerted in the down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center axis 613 with respect to the drawing, so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612 and the insertion portion 655 Keep in close contact.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홀더유닛(610)의 회전 중심축(613)이 클램프 본체(653)의 삽입부(655)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며 그 회전 중심축(613)에 대하여 제1 스프링(671)의 탄발력이 하측 방향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제1 스프링(671)의 탄성력을 극복하며 홀더유닛(610)을 상측 방향(도면 기준)으로 잡아당길 수 있다.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the rotation center axis 613 of the holder unit 610 is rotatably fitted to the insertion portion 655 of the clamp main body 653 and the first spring 671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center axis 613. Since the elastic force acting in the downward direction overcomes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spring 671, the holder unit 610 may be pulled upward (based on the drawing).

다른 한편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홀더유닛(610)을 상측 방향으로 잡아당긴 상태에서, 홀더유닛(610)을 일정 각도로 회전시키며 기설정된 위치에서 홀더유닛(610)을 고정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in a state in which the holder unit 610 is pulled upward, the holder unit 610 may be rotated at an angle and the holder unit 610 may be fix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이를 위해 상기 삽입부(655)의 내주면에는 회전 중심축(613)의 축 방향을 따라 제1 가이드 홈(673)이 형성되어 있으며, 회전 중심축(613)의 플랜지부(614a)에는 제1 가이드 홈(67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가이드 돌기(614b)가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To this end, a first guide groove 673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part 655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rotation center axis 613, and a first guide is formed on the flange part 614a of the rotation center axis 613. The guide protrusion 614b which can be slidably coupled to the groove 673 is formed to protrude integrally.

그리고, 상기 삽입부(655)의 내주면에는 제1 가이드 홈(673)과 연결되는 제2 가이드 홈(675)이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바, 이러한 제2 가이드 홈(675)은 홀더유닛(610)을 잡아당긴 상태로 회전시킬 때 회전 중심축(613)의 가이드 돌기(614b)를 원주 방향으로 안내하며 그 회전 중심축(613)을 기설정된 위치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In addition, a second guide groove 675 connected to the first guide groove 673 is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part 655, and the second guide groove 675 may be a holder unit 610. When rotating in a pulled state) guides the guide projection (614b) of the rotation center axis 613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has a function of fixing the rotation center axis 613 to a predetermined position.

여기서, 상기 제2 가이드 홈(675)은 홀더유닛(610)의 회전에 따른 회전 중심축(613)의 설정된 회전 각도, 예컨대 90도 회전 범위에 상응하는 궤적으로 삽입부(655)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second guide groove 675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ion 655 as a trajectory corresponding to a set rotation angle of the rotation center axis 613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holder unit 610, for example, a 90 degree rotation range. Can be.

따라서, 상기 회전 중심축(613)의 가이드 돌기(614b)가 제1 가이드 홈(673)에 결합된 상태로, 제1 스프링(671)의 탄성력을 극복하며 홀더유닛(610)을 상측 방향(도면 기준)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회전 중심축(613)은 가이드 돌기(614b)가 제1 가이드 홈(673)을 따라 가이드되면서 상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Accordingly, the guide protrusion 614b of the rotation center axis 613 is coupled to the first guide groove 673, thereby overcoming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spring 671 and moving the holder unit 610 in the upward direction (Fig. Reference), the rotation center axis 613 slides upward in the upward direction while the guide protrusion 614b is guided along the first guide groove 673.

이 상태에서, 상기 홀더유닛(610)에 한 쪽 방향으로 작용하는 회전력을 인가하게 되면, 회전 중심축(613)의 가이드 돌기(614b)가 제1 및 제2 가이드 홈(673, 675)의 연결 부분에 위치하는 순간, 그 회전 중심축(613)은 가이드 돌기(614b)가 제2 가이드 홈(675)을 따라 가이드되면서 설정된 각도(90도) 만큼 한 쪽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In this state, when a rotational force acting in one direction is applied to the holder unit 610, the guide protrusion 614b of the rotation center axis 613 connects the first and second guide grooves 673 and 675. At the moment, the rotation center axis 613 is rotated in one direction by the set angle (90 degrees) while the guide protrusion 614b is guided along the second guide groove 675.

그리고, 상기 회전 중심축(613)은 일정 각도로 회전된 상태에서, 가이드 돌기(614b)가 제2 가이드 홈(675)에 스토핑되면서 설정 각도로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게 된다.In addition, while the rotation center axis 613 is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guide protrusion 614b stops at the second guide groove 675 to maintain the rotated state at a predetermined angle.

한편,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홀더유닛(610)을 다른 한 쪽 방향(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회전 중심축(613)은 가이드 돌기(614b)가 제2 가이드 홈(675)을 따라 가이드되면서 설정된 각도(90도) 만큼 다른 한 쪽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Meanwhile, when the holder unit 610 is rotated in the other direction (counter direction) in the above state, the rotation center axis 613 is guided along the second guide groove 675 with the guide protrusion 614b. It rotates in the other direction by the set angle (90 degrees).

그리고, 상기 회전 중심축(613)은 가이드 돌기(614b)가 제1 및 제2 가이드 홈(673, 675)의 연결 부분에 위치하는 순간 제1 스프링(671)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제1 가이드 홈(673)을 따라 하측 방향으로 가이드되면서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오게 된다.In addition, the rotation center axis 613 is the first guide groove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first spring 671 at the moment when the guide protrusion 614b is located at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guide grooves 673 and 675. Guided downward along 673, it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홀더유닛(610)을 클램프 본체(653)에 대해 일정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홀더유닛(610)에 거치된 휴대 단말기(1)의 위치를 사용자 기준으로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가변시킬 수 있게 된다.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holder unit 610 can be rotated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clamp main body 653, the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1 mounted on the holder unit 61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r vertical with respect to the user. Direction can be changed.

이로써, 본 실시예에서는 휴대 단말기(1)를 사용자 기준으로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자동차의 운전 중 휴대 단말기(1)의 디스플레이부(3: 이하 도 1 참조)를 통해 표시되는 정보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Thus,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portable terminal 1 can be rotated in the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user, the information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3 (see FIG. 1 below) of the portable terminal 1 while driving a vehicle. Can be used conveniently.

도 14는 본 고안의 예시적인 제6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자동차 핸들 거치대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1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vehicle handle holder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sixth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예시적인 제6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자동차 핸들 거치대(600)는 전기 제5 실시예의 구조를 기본으로 하면서, 제1 스프링(771)이 삽입부(755)의 내부에서 회전 중심축(713)의 하측에 배치되며, 홀더유닛(710)이 클램프 본체(753)에 대해 일정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4, the vehicle handle holder 600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sixth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structure of the fifth embodiment, and the first spring 771 has an insertion portion 755. Is disposed below the rotation center axis 713 in the interior, the holder unit 710 may be configured to be rotatable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clamp body (753).

즉, 상기 회전 중심축(713)은 클램프 본체(753)의 저면에서 삽입부(755)의 내측 공간으로 삽입되며 그 삽입부(755)의 삽입 구멍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진 상태에서, 제2 지지부재(712)의 저면에 나사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That is, the second support member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insertion portion 755 at the bottom of the clamp body 753 and slidab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of the insertion portion 755. It may be screwed to the bottom of the (712).

그리고, 상기 제1 스프링(771)은 삽입부(755)의 내부에서 회전 중심축(713)의 하측에 배치된 상태로, 그 삽입부(755)의 하단에서 내측 공간으로 체결되는 제1 마감부재(785)에 의해 회전 중심축(713)의 하측에서 플랜지부(714a)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spring 771 is disposed below the rotational central axis 713 inside the insertion portion 755, and the first closing member is fastened to the inner space at the lower end of the insertion portion 755. The flange portion 714a can be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lower side of the rotation center axis 713 by 785.

이 경우, 상기 제1 스프링(771)은 삽입부(755)의 내측에서 일단부가 회전 중심축(713)의 플랜지부(714a)에 지지되며, 다른 일단부가 제1 마감부재(785)의 상면(도면 기준)에 지지된다.In this case, one end of the first spring 771 is supported by the flange portion 714a of the rotation center shaft 713 inside the insertion portion 755,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losing member 785. Based on the drawings).

따라서, 상기 홀더유닛(710)은 삽입부(755)의 내측에서 제1 스프링(771)이 회전 중심축(713)의 하측에 위치하며 그 회전 중심축(713)의 플랜지부(714a)를 지지하므로, 회전 중심축(713)이 삽입부(755)의 삽입 구멍을 통해 일부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며, 플랜지부(714a)가 제1 스프링(771)에 탄성 지지된 상태에서 삽입부(755)의 내측 상부면으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Therefore, the holder unit 710 has a first spring 771 is located below the rotation center axis 713 inside the insertion portion 755 and supports the flange portion 714a of the rotation center axis 713. Therefore, the rotation center axis 713 is partially protruded through the insertion hole of the insertion portion 755, and the insertion portion 755 in a state in which the flange portion 714a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first spring 771. Keep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이로써, 본 실시예에서는 홀더유닛(710)의 회전 중심축(713)이 클램프 본체(753)의 삽입부(755)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며 그 회전 중심축(713)의 하측에서 제1 스프링(771)의 탄발력이 상측 방향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제1 스프링(771)의 탄성력을 극복하며 홀더유닛(710)을 하측 방향(도면 기준)으로 누를 수 있다.Thu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otation center axis 713 of the holder unit 710 is rotatably fitted to the insertion portion 755 of the clamp body 753, and the first spring () is disposed below the rotation center axis 713. Since the elastic force of the 771 acts upward,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spring 771 can be overcome and the holder unit 710 can be pressed downward (based on the drawing).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홀더유닛(710)을 하측 방향으로 누른 상태에서, 홀더유닛(710)을 일정 각도로 회전시키며, 그 설정된 위치에서 홀더유닛(710)을 고정시킬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while holding the holder unit 710 in the downward direction, the holder unit 710 may be rotated at an angle, and the holder unit 710 may be fixed at the set position.

이를 위해 상기 삽입부(755)의 내주면에는 회전 중심축(713)의 축 방향으로 제1 가이드 홈(773)이 형성되어 있으며, 회전 중심축(713)의 플랜지부(714a)에는 제1 가이드 홈(773)에 결합될 수 있는 가이드 돌기(714b)가 일체로 형성된다.To this end, a first guide groove 773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part 755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rotation center axis 713, and a first guide groove is formed on the flange portion 714a of the rotation center axis 713. Guide protrusions 714b that can be coupled to 773 are integrally formed.

그리고, 상기 삽입부(755)의 내주면에는 제1 가이드 홈(773)과 연결되는 제2 가이드 홈(775)이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바, 제2 가이드 홈(775)은 회전 중심축(713)의 가이드 돌기(714b)를 삽입부(755) 내주면의 원주 방향으로 안내하며 그 회전 중심축(713)을 기설정된 위치에서 고정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In addition, a second guide groove 775 connected to the first guide groove 773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part 755, and the second guide groove 775 is a rotation center axis 713. Guide protrusion 714b of the guid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ion 755 to fix the rotation center axis 713 at a predetermined position.

여기서, 상기 제2 가이드 홈(775)은 홀더유닛(710)의 회전에 따른 회전 중심축(713)의 설정된 회전 각도, 예컨대 90도 회전 범위에 상응하는 궤적으로 삽입부(755)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second guide groove 775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ion 755 as a trajectory corresponding to a set rotation angle of the rotation center axis 713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holder unit 710, for example, a 90 degree rotation range. Can be.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 중심축(713)의 가이드 돌기(714b)가 제1 가이드 홈(773)에 결합된 상태로, 제1 스프링(771)의 탄성력을 극복하며 홀더유닛(710)을 하측 방향(도면 기준)으로 누르게 되면, 회전 중심축(713)은 가이드 돌기(714b)가 제1 가이드 홈(773)을 따라 가이드 되면서 하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guide protrusion 714b of the rotation center axis 713 is coupled to the first guide groove 773, thereby overcoming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spring 771 and the holder unit 710. When pressed in the downward direction (reference to the drawing), the rotation center axis 713 slides downward while the guide protrusion 714b is guided along the first guide groove 773.

이 상태에서, 상기 홀더유닛(710)에 한 쪽 방향으로 작용하는 회전력을 인가하게 되면, 회전 중심축(713)의 가이드 돌기(714b)가 제1 및 제2 가이드 홈(773, 775)의 연결 부분에 위치하는 순간, 그 회전 중심축(713)은 제2 가이드 홈(775)을 따라 설정된 각도(90도) 만큼 한 쪽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In this state, when a rotational force acting in one direction is applied to the holder unit 710, the guide protrusion 714b of the rotation center axis 713 connects the first and second guide grooves 773 and 775. At the moment, the rotation center axis 713 is rotated in one direction by an angle (90 degrees) set along the second guide groove 775.

그리고, 상기 회전 중심축(713)은 일정 각도로 회전된 상태에서 가이드 돌기(714b)가 제2 가이드 홈(775)에 스토핑되면서 설정된 각도로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게 된다.In addition, the rotation center axis 713 is mainta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hile the guide protrusion 714b stops at the second guide groove 775 while being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한편,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홀더유닛(710)을 다른 한 쪽 방향(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회전 중심축(713)은 가이드 돌기(714b)가 제2 가이드 홈(775)을 따라 가이드되면서 설정된 각도(90도) 만큼 다른 한 쪽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Meanwhile, when the holder unit 710 is rotated in the other direction (the opposite direction) in the above state, the rotation center axis 713 is guided along the second guide groove 775 while the guide protrusion 714b is guided. It rotates in the other direction by the set angle (90 degrees).

그리고, 상기 회전 중심축(713)은 가이드 돌기(714b)가 제1 및 제2 가이드 홈(773, 775)의 연결 부분에 위치하는 순간 제1 스프링(771)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제1 가이드 홈(773)을 따라 상측 방향으로 가이드되면서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오게 된다.In addition, the rotation center axis 713 is the first guide groove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first spring 771 at the moment when the guide protrusion 714b is located in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guide grooves 773, 775. Guided upwards along 773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본 고안의 예시적인 제6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자동차 핸들 거치대(600)의 나머지 구성 및 작용 효과는 전기 제5 실시예와 같으므로, 이하에서 더욱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effects of the vehicle handle holder 600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sixth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e fifth embodiment, a mor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below.

도 15는 본 고안의 예시적인 제7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자동차 핸들 거치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결합 단면 구성도이다.FIG. 1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vehicle handle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seventh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figuration of FIG. 15.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예시적인 제7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자동차 핸들 거치대(700)는 전기 제5 및 제6 실시예에서와 같이 홀더유닛(810)의 회전 중심축(813)이 클램핑유닛(850)에 있어 클램프 본체(853)의 삽입부(855)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조를 기본으로 한다.15 and 16, the vehicle handle holder 700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seventh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entral axis of rotation of the holder unit 810 as in the fifth and six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813 is based on a structure in which the clamping unit 850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insertion portion 855 of the clamp body 853.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클램프 본체(853)에서 삽입부(855)의 내주면에는 코일 스프링과 같은 제2 스프링(911)에 의해 일부 돌출된 볼부재(921)를 포함하고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ion 855 in the clamp body 853 includes a ball member 921 partially protruded by the second spring 911 such as a coil spring.

상기 클램프 본체(853)의 삽입부(855)에는 외주면에서 내주면으로 관통하는 장착홀(93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착홀(931)에는 볼부재(921)와 제2 스프링(911)이 장착되고, 제2 마감부재(941)에 의해 마감될 수 있다.The insertion part 855 of the clamp main body 853 is formed with a mounting hole 931 penetrat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mounting member 931 may be equipped with a ball member 921 and a second spring 911, and may be closed by a second closing member 941.

여기서, 상기 제2 마감부재(941)는, 장착홀(931)에 볼부재(921)와 제2 스프링(911)이 순차적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그 장착홀(931)의 단부에 나사식으로 체결되며 장착홀(931)을 마감할 수 있다.Here, the second closing member 941 is screwed to the end of the mounting hole 931 in a state that the ball member 921 and the second spring 911 are sequentially inserted into the mounting hole 931. It is fastened and can close the mounting hole 931.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볼부재(921)가 설치된 삽입부(855)에 홀더유닛(810)의 회전 중심축(813)을 결합한 상태에서, 홀더유닛(810)을 일정 각도로 회전시키며, 그 설정된 위치에서 홀더유닛(810)을 고정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state in which the rotation center axis 813 of the holder unit 810 is coupled to the insertion portion 855 in which the ball member 921 is installed, the holder unit 810 is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set The holder unit 810 can be fixed in position.

이를 위해 상기 회전 중심축(813)의 외주면에는 홀더유닛(810)이 회전함에 따라 볼부재(921)를 안내하는 제3 가이드 홈(951)이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To this end, a third guide groove 951 for guiding the ball member 921 is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on center axis 813 as the holder unit 810 rotates.

즉, 상기 제3 가이드 홈(951)은 삽입부(855)에 대한 회전 중심축(813)의 회전 시, 볼부재(921)를 안내하며 그 회전 중심축(813)을 기설정된 위치에서 고정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That is, the third guide groove 951 guides the ball member 921 and rotates the rotation center axis 813 at a predetermined position when the rotation center axis 813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insertion part 855. It will function.

여기서, 상기 제3 가이드 홈(951)은 홀더유닛(810)의 회전에 따른 회전 중심축(813)의 설정된 회전 각도, 예컨대 90도 회전 범위에 상응하는 궤적으로 회전 중심축(813)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third guide groove 951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on center axis 813 as a trajectory corresponding to a set rotation angle of the rotation center axis 813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holder unit 810, for example, a 90 degree rotation range. Can be formed.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홀더유닛(810)의 회전 중심축(813)이 클램프 본체(853)의 삽입부(855)에 삽입되고, 볼부재(921)가 회전 중심축(813)의 제3 가이드 홈(951)에 결합된 상태에서, 홀더유닛(810)을 한 쪽 방향으로 회전시킨다.Therefore, in this embodiment, the rotation center axis 813 of the holder unit 81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855 of the clamp body 853, the ball member 921 is the third guide of the rotation center axis 813 In the state coupled to the groove 951, the holder unit 810 is rotated in one direction.

그러면, 상기 회전 중심축(813)은 볼부재(921)가 제3 가이드 홈(951)에 가이드되면서 설정된 각도(90도) 만큼 한 쪽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Then, the rotation center axis 813 is rotated in one direction by the set angle (90 degrees) while the ball member 921 is guided to the third guide groove (951).

그리고, 상기 회전 중심축(813)은 일정 각도로 회전된 상태에서 볼부재(921)가 제3 가이드 홈(951)에 스토핑되면서 설정된 각도로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게 된다.In addition, the rotation center axis 813 is maintained in a state in which the ball member 921 is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while the ball member 921 is stopped in the third guide groove 951 while being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한편, 상기 홀더유닛(810)을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그 홀더유닛(810)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holder unit 810 is to be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the holder unit 810 may be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이로써, 본 실시예에서는 홀더유닛(810)을 클램프 본체(853)에 대해 일정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홀더유닛(810)에 거치된 휴대 단말기(1)의 위치를 사용자 기준으로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가변시킬 수 있다.Thus,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holder unit 810 can be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clamp main body 853, the holder unit 810 can be rota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or vertically based on the user's position. Direction can be varied.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휴대 단말기(1)를 사용자 기준으로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자동차의 운전 중 휴대 단말기(1)의 디스플레이부(3)를 통해 표시되는 정보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portable terminal 1 can be rotated in the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user, the information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3 of the portable terminal 1 can be conveniently used while driving the vehicle. have.

이상을 통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possible to carry out various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also natural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휴대 단말기 3... 디스플레이부
5... 스티어링 휠 10... 홀더유닛
11... 홀더 몸체 21a, 21b... 후크 돌기
31... 연결부 41... 보호 패드
50... 클램핑유닛 51... 걸이부재
331... 제1 몸체부 341... 제2 몸체부
361... 제1 가이더 371... 제2 가이더
391... 탄성부재 457... 고무 패드
551... 제1 연결 고리 552... 제2 연결 고리
611... 제1 지지부재 612... 제2 지지부재
613, 713, 813... 회전 중심축 614a, 714a... 플랜지부
614b, 714b... 가이드 돌기 653, 753, 853... 클램프 본체
655, 755, 855... 삽입부 671, 771... 제1 스프링
673, 773... 제1 가이드 홈 675, 775... 제2 가이드 홈
785... 제1 마감부재 911... 제2 스프링
921... 볼부재 931... 장착홀
941... 제2 마감부재 951... 제3 가이드 홈
HP... 힌지핀 B... 볼트
1. Mobile terminal 3. Display unit
5 ... steering wheel 10 ... holder unit
11 ... holder body 21a, 21b ... hook projection
31 ... Connection 41 ... Protective pad
50 ... clamping unit 51 ... hanging member
331 The first body part 341 The second body part
361 ... The First Guider 371 ... The Second Guider
391 ... elastic member 457 ... rubber pad
551 ... first link 552 ... second link
611 ... First support member 612 ... Second support member
613, 713, 813 ... Central axis of rotation 614a, 714a ... Flange
614b, 714b ... Guide protrusions 653, 753, 853 ... Clamp body
655, 755, 855 ... Inserts 671, 771 ... First spring
673, 773 ... First guide groove 675, 775 ... Second guide groove
785 ... First closure member 911 ... Second spring
921 Ball member 931 Mounting hole
941 ... 2nd finishing member 951 ... 3rd guide groove
HP ... hinge pin B ... bolt

Claims (18)

전면에 디스플레이부를 지닌 휴대 단말기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홀더유닛; 및
상기 홀더유닛을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홀더유닛에 연결되게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홀더유닛은 상기 휴대 단말기의 상하면 혹은 양 사이드면을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후크 돌기가 구비된 홀더 몸체를 포함하되,
상기 홀더 몸체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크기에 따라 상기 후크 돌기간의 거리가 가변하는 휴대 단말기용 자동차 핸들 거치대.
A holder unit for elastically supporting a mobile terminal having a display unit at a front surface thereof; And
At least one clamping unit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holder unit to fix the holder unit to a steering wheel of a vehicle
/ RTI >
The holder unit includes a holder body having a pair of hook protrusions for detachably supporti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r both side surfaces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holder body is a vehicle handle holder for a mobile terminal, the distance of the hook projection period is variabl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mobile terminal.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몸체는,
상기 후크 돌기를 일체로 연결하며 탄성 변형이 이루어지는 활 형태의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의 상하 측에 상기 후크 돌기를 형성하는 휴대 단말기용 자동차 핸들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older body,
And a bow-shaped connection part which integrally connects the hook protrusion and is elastically deformed, and forms a hook protrusion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connection par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몸체는,
어느 하나의 상기 후크 돌기가 일체로 형성되는 제1 몸체부와,
다른 하나의 상기 후크 돌기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몸체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몸체부와,
상기 제1 몸체부와 제2 몸체부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용 자동차 핸들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older body,
Any one of the first and the hook protrusion is formed integrally,
A second body part which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other one hook projection and is slidably coupled to the first body part;
Car handle holder for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an elastic member for elastically connecting the first body portion and the second body portion.
제1 항 내지 제3 항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유닛은,
상기 홀더 몸체에 연결되고, 상기 스티어링 휠에 탄성 변형하며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걸이부재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용 자동차 핸들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clamping unit,
Car handle holder for a mobil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holder body, including at least one hook member elastically deformed and coupled to the steering wheel.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재는,
상기 홀더 몸체의 상측에 위치하는 후크 돌기에 일체로 연결되는 휴대 단말기용 자동차 핸들 거치대.
5. The method of claim 4,
The hook member,
Car handle holder for a mobile terminal integrally connected to the hook projection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holder body.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재는 한 쌍으로서 구비되며, 상기 상측 후크 돌기에 브이(V)자 형태로서 연결되는 휴대 단말기용 자동차 핸들 거치대.
6. The method of claim 5,
The hook member is provided as a pair, the vehicle handle holder for a mobile terminal connected to the upper hook projection in the form of a V (V) shape.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재는,
상기 홀더 몸체의 상,하측 후크 돌기 사이에 연결되는 휴대 단말기용 자동차 핸들 거치대.
5. The method of claim 4,
The hook member,
Car handle holder for a mobile terminal is connected between the upper, lower hook projection of the holder body.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재의 내측면에는 고무 패드가 부착 설치되는 휴대 단말기용 자동차 핸들 거치대.
5. The method of claim 4,
An automobile handle holder for a mobile terminal, wherein a rubber pad is attached to an inner side of the hook member.
제1 항 내지 제3 항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유닛은,
상기 홀더 몸체와 연결되는 제1 연결 고리와,
상기 제1 연결 고리에 힌지 결합되며, 볼트를 통해 상기 제1 연결 고리에 체결되는 제2 연결 고리
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용 자동차 핸들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clamping unit,
A first connection ring connected to the holder body,
A second connecting ring hinged to the first connecting ring and fastened to the first connecting ring through a bolt;
Car handle holder for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제1 항 내지 제3 항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몸체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패드가 부착 설치되는 휴대 단말기용 자동차 핸들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Car holder holder for a mobile terminal is attached to the holder body is a protective pad for protecting the mobile terminal.
전면에 디스플레이부를 지닌 휴대 단말기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홀더유닛; 및
상기 홀더유닛을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홀더유닛에 연결되게 구성되는 클램핑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홀더유닛은 상기 클램핑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휴대 단말기용 자동차 핸들 거치대.
A holder unit for elastically supporting a mobile terminal having a display unit at a front surface thereof; And
Clamping unit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holder unit for fixing the holder unit to the steering wheel of the vehicle
/ RTI >
The holder unit is a vehicle handle holder for a mobile terminal rotatably mounted to the clamping unit.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유닛은 상기 스티어링 휠에 탄성 변형되며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걸이부재를 지닌 클램프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유닛은 상기 휴대 단말기의 배면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1 지지부재에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상하면 혹은 양 사이드면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2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용 자동차 핸들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clamping unit includes a clamp body having at least one hook member elastically deformed and coupled to the steering wheel,
The holder unit includes a first support member supporting a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a second support member integrally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elastically supporting upper and lower sides or both side surfaces of the portable terminal. Car handle holder for mobile terminals.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유닛은 상기 제2 지지부재에 나사식으로 체결되며 상기 클램프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회전 중심축이 구비되고,
상기 클램프 본체에는 상기 회전 중심축이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실린더 형태의 삽입부가 구비되는 휴대 단말기용 자동차 핸들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12,
The holder unit is screwed to the second support member is provided with a rotation center axis that can be rotatably coupled to the clamp body,
The clamp body is a vehicle handle holder for a mobile terminal is provided with an insertion portion of the cylinder shape rotatably fitted to the rotation center axis.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내측에는 상기 회전 중심축으로 탄발력을 발휘하는 제1 스프링이 장착되는 휴대 단말기용 자동차 핸들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13,
The inside of the insertion unit is a vehicle handle holder for a mobile terminal is equipped with a first spring that exerts a resilient force to the rotation center axis.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회전 중심축의 축 방향으로 제1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 중심축에는 상기 제1 가이드 홈에 결합될 수 있는 가이드 돌기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 가이드 홈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를 상기 삽입부 내주면의 원주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는 제2 가이드 홈이 연결되는 휴대 단말기용 자동차 핸들 거치대.
15. The method of claim 14,
A first guide groove is formed i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part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rotation center axis.
The rotation central axis is formed integrally with a guide protrusion that can be coupled to the first guide groove,
The first guide groove is a vehicle handle holder for a mobile terminal that is connected to the second guide groove for guiding the guide projec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ion.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드 홈은 상기 회전 중심축의 설정된 회전 각도에 상응하는 궤적으로 상기 삽입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휴대 단말기용 자동차 핸들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15,
And the second guide groove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part as a trajectory corresponding to the set rotation angle of the rotation center axis.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내주면에는 제2 스프링에 의해 일부 돌출된 볼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회전 중심축의 외주면에는 상기 볼부재를 안내하는 제3 가이드 홈이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휴대 단말기용 자동차 핸들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13,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ion is provided with a ball member protruding part by the second spring,
The vehicle handle holder for a mobile terminal, wherein a third guide groove for guiding the ball member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onal central axis.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가이드 홈은 상기 회전 중심축의 설정된 회전 각도에 상응하는 궤적으로 상기 회전 중심축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휴대 단말기용 자동차 핸들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17,
And the third guide groove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on center axis as a trajectory corresponding to the set rotation angle of the rotation center axis.

KR2020110009463U 2011-01-18 2011-10-25 Mobile terminal supporter of automotive steering wheel KR20120005428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9463U KR20120005428U (en) 2011-01-18 2011-10-25 Mobile terminal supporter of automotive steering whe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0482 2011-01-18
KR2020110009463U KR20120005428U (en) 2011-01-18 2011-10-25 Mobile terminal supporter of automotive steering whee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428U true KR20120005428U (en) 2012-07-26

Family

ID=46874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9463U KR20120005428U (en) 2011-01-18 2011-10-25 Mobile terminal supporter of automotive steering whee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5428U (en)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572Y1 (en) * 2013-08-14 2014-03-04 우양섭 holder for portable terminal
KR101483900B1 (en) * 2014-01-04 2015-01-26 박신제 Hanger for supporting mobile phone
KR101536053B1 (en) * 2013-09-11 2015-07-13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Supporter for both mobile phone and camera
KR20170005740A (en) * 2015-07-06 2017-01-16 홍태원 Mobile terminal supporter of automotive steering wheel
KR20170123011A (en) * 2016-04-28 2017-11-07 주식회사 디앤뉴 Supporting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KR200485871Y1 (en) * 2017-07-28 2018-03-08 허경욱 Remote Controller For Steering Wheel
CN108082347A (en) * 2018-01-24 2018-05-29 成都璞浩商贸有限公司 A kind of portable support frame
KR20230087068A (en) * 2021-12-09 2023-06-16 신준혁 Handlebar device for a car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572Y1 (en) * 2013-08-14 2014-03-04 우양섭 holder for portable terminal
KR101536053B1 (en) * 2013-09-11 2015-07-13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Supporter for both mobile phone and camera
KR101483900B1 (en) * 2014-01-04 2015-01-26 박신제 Hanger for supporting mobile phone
KR20170005740A (en) * 2015-07-06 2017-01-16 홍태원 Mobile terminal supporter of automotive steering wheel
KR20170123011A (en) * 2016-04-28 2017-11-07 주식회사 디앤뉴 Supporting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KR200485871Y1 (en) * 2017-07-28 2018-03-08 허경욱 Remote Controller For Steering Wheel
CN108082347A (en) * 2018-01-24 2018-05-29 成都璞浩商贸有限公司 A kind of portable support frame
KR20230087068A (en) * 2021-12-09 2023-06-16 신준혁 Handlebar device for a ca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05428U (en) Mobile terminal supporter of automotive steering wheel
KR101219760B1 (en) Fixing device for portable instrument
KR101591831B1 (en) Smart phone holder for car
KR20140069684A (en) A mobile phone mount for vehicles
KR20130051194A (en) Multimedia device holder
KR200468284Y1 (en) Fixture for a cellphone case by using a clip
KR101279160B1 (en) Stand for mobile
CN205202883U (en) Multi -purpose vehicle(MPV) perfume cell phone stand
KR20160000276U (en) Stand structures for vehicle of electronic machinesincluding smartphone
CN205292457U (en) Steering wheel cell phone stand
KR200462859Y1 (en) Nonslip pad with supporting part
US9315158B2 (en) Sun visor housing for sunglasses
CN202911657U (en) Vehicular instrument clamp
KR20190056224A (en) Vehicle Only Smartphone Charging cradle and Smart phone case
KR200454155Y1 (en) Mobile phone mounting mechanism
KR100922169B1 (en) Machine support for car the inside portable
KR200477035Y1 (en) Car-cradle of smart device
CN205336359U (en) Multi -function vehicle carries cell phone stand
KR101946823B1 (en) Cell phone holder for a two-wheeled vehicle
KR20190066383A (en) A vehicle instrument panel Dashboard removal Mobile phone holder
KR20130001512U (en) Smart phone Mounts
CN204906478U (en) Mobile phone support
KR20130071039A (en) Supporter for electronic equipment in vehicle
KR200484140Y1 (en) Portable device holder
CN201134799Y (en) Mobile phone stan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