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3714A - 유기전계발광소자를 이용한 조명장치 및 디스플레이 - Google Patents

유기전계발광소자를 이용한 조명장치 및 디스플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3714A
KR20120003714A KR1020100064463A KR20100064463A KR20120003714A KR 20120003714 A KR20120003714 A KR 20120003714A KR 1020100064463 A KR1020100064463 A KR 1020100064463A KR 20100064463 A KR20100064463 A KR 20100064463A KR 20120003714 A KR20120003714 A KR 201200037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organic light
substrate
emitting diode
attachmen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4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현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4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3714A/ko
Publication of KR20120003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37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Landscapes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전계발광소자를 이용한 조명장치 및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유기전계발광소자를 이용한 조명장치 및 디스플레이의 배면에 점착제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공간적 제약을 받지 없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손쉽게 유기전계발광소자를 이용한 조명장치 및 디스플레이를 탈부착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기전계발광소자를 이용한 조명장치 및 디스플레이{Lighthing device and display using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본 발명은 유기전계발광소자를 이용한 조명장치 및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유기전계발광소자는 기판 상에 위치하는 두 개의 전극 사이에 발광층이 형성되고, 두 개의 전극 사이에 서로 전기적인 신호 등을 공급하여 원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자발광 표시장치이다.
이러한 유기전계발광소자는 자발광소자로서, 시야각 및 대비비가 우수하며, 응답속도가 빠른 특성을 갖는다. 그리고, 소비전력 측면에서도 유리한 특성을 가지며, 그리고, 내부 구성요소가 고체이기 때문에 외부충격에 강하고, 사용 온도범위도 넓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제조공정이 단순한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유기전계발광소자는 우수한 특성에 의해, 최근에는 유기전계발광소자를 광원으로서 사용하여 액정표시장치 등의 비발광소자의 백라이트로 사용하거나, 조명장치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본 발명은 유기전계발광소자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조명장치 및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공간적 제약을 받지 않는 조명장치 및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 1 및 제 2 전극과 제 1 및 제 2 전극 사이에 구비된 유기발광층으로 이루어지는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가 형성된 제 1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과 이격되어 합착된 제 2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의 외측에 형성되는 부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부착부는 피사체에 탈부착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조명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부착부는 점착제, 자성체, 흡착기구 중 선택된 하나이며, 상기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통해 발광하거나, 베터리를 통해 발광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기판과 상기 부착부 사이에 솔라셀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기판의 외측에 빛의 형상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판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판에는 별, 태양, 달, 꽃 모양 중 선택된 하나가 패턴화된다.
또한 본 발명은 화소 별로 구동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된 제 1 기판과; 상기 각 구동 박막트랜지스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 1 및 제 2 전극과 제 1 및 제 2 전극 사이에 구비된 유기발광층으로 이루어지는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와; 상기 제 1 기판과 이격되어 합착된 제 2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의 외측에 형성되는 부착부 를 포함하며, 상기 부착부는 피사체에 탈부착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디스플레이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부착부는 점착제, 자성체, 흡착기구 중 선택된 하나이며, 상기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통해 발광하거나, 베터리를 통해 발광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기판과 상기 부착부 사이에 솔라셀층을 포함한다.
위에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유기전계발광소자를 이용한 조명장치 및 디스플레이의 배면에 점착제를 형성함으로써, 공간적 제약을 받지 없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손쉽게 유기전계발광소자를 이용한 조명장치 및 디스플레이를 탈부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소자 조명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유기전계발광현상에 의한 발광원리를 갖는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의 밴드다이어그램.
도 3은 본 발명의 유기전계발광소자 조명장치가 설치위치에 불편함 없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부착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가이드판을 더욱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조명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소자 디스플레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소자 조명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유기전계발광현상에 의한 발광원리를 갖는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의 밴드다이어그램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기전계발광소자 조명장치(100)는 제 1 기판(101)과, 제 1 기판(101) 상에 형성된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110) 그리고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110)를 보호하기 위한 제 2 기판(102)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 1 및 제 2 기판(101, 102)은 절연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110)로부터 발광된 빛이 제 1 기판(101)을 향해 방출되는 배면 발광인 경우, 제 1 기판(101)은 유리, 플라스틱 재질 등 투명한 재료로 형성하며, 이때 제 2 기판(102)은 제 1 기판(101)과 동일한 재료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또는 금속재질로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110)로부터 발광된 빛이 제 2 기판(102)을 향해 방출되는 전면 발광인 경우, 제 2 기판(102)은 투명한 재료로 형성되며, 이때 제 1 기판(101)은 제 2 기판(102)과 동일한 재료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또는 금속재질로 형성할 수도 있다.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110)는 제 1 및 제 2 전극(111, 115)과 유기발광층(113)으로 이루어지는데, 제 1 전극(111)은 애노드(anode)전극 역할을 하며 제 2 전극(115)은 캐소드전극 역할을 한다.
유기발광층(113)으로부터 발광된 빛이 제 1 기판(101)을 향해 방출되는 배면 발광인 경우, 제 1 전극(111)은 투명하고 전도성이 우수하며, 일함수 값이 비교적 높은 물질인 인듐-틴-옥사이드(ITO), 인듐-징크-옥사이드(IZO)로 형성할 수 있으며, 전면 발광인 경우, 제 1 전극(111)은 반사율이 높고 전도성이 우수하며, 높은 일함수 값을 갖는 알루미늄(Al) 또는 알루미늄합금(AlNd), 마그네슘(Mg), 금(Au), 은(Ag) 등의 금속물질로 형성할 수 있다.
제 2 전극(115)은 캐소드전극 역할을 하기 위하여, 일함수가 비교적 낮은 금속 물질을 얇게 증착한 반투명 금속막 상에 투명한 도전성 물질을 두껍게 증착하여 사용한다.
즉, 제 2 전극(115)은 알루미늄(Al), 마그네슘(Mg),리튬(Li), 칼슘(Ca), 알루미늄-리튬(Al-Li), 마그네슘-인듐(Mg-In), 마그네슘-은(Mg-Ag), 알루미늄-은(Al-Ag)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유기발광층(113)은 발광물질로 이루어진 단일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발광 효율을 높이기 위해 정공주입막(hole injection layer : 113d), 정공수송막(hole transporting layer : 113b), 발광물질막(emitting material layer : 113a), 전자수송막(electron transporting layer : 113c) 및 전자주입막(electron injection layer : 113e)의 다중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유기전계발광소자 조명장치(100)는 신호에 따라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110)의 제 1 전극(111)과 제 2 전극(115)으로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면, 제 1 전극(111)으로부터 제공된 정공과 제 2 전극(115)으로부터 주입된 전자가 유기발광층(113)으로 수송되어 엑시톤(exciton)을 이루고, 이러한 엑시톤이 여기상태에서 기저상태로 천이 될 때 빛이 발생되어 가시광선의 형태로 방출된다.
특히, 본 발명의 유기전계발광소자 조명장치(100)는 발광방향에 따라 제 1 및 제 2 기판(101, 102) 중 선택된 하나의 기판의 외면에 점착제(120)가 더욱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유기전계발광소자 조명장치(100)가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110)로부터 발광된 빛이 제 1 기판(101)을 향해 방출되는 배면 발광인 경우, 점착제(120)는 제 2 기판(102)의 외면에 형성되며,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110)로부터 발광된 빛이 제 2 기판(102)을 향해 방출되는 전면 발광인 경우, 점착제(120)는 제 1 기판(101)의 외면에 형성된다.
본 발명은 제 2 기판(102)을 향해 빛이 방출되는 전면 발광을 일예로 하였으며, 이에 점착제(120)는 제 1 기판(101)의 외면에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소자 조명장치(100)는 설치 위치에 불편함이 없이, 유기전계발광소자 조명장치(100)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점착제(120)를 통해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점착제(120)는 제 1 기판(101)의 외면에 부착되어 점착제(120)와 유기전계발광소자 조명장치(100)를 일체화시키는 접착제층(120a)과 유기전계발광소자 조명장치(100)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부착 및 탈착 할 수 있는 점착제층(120c) 그리고 접착제층(120a)과 점착제층(120c) 사이의 기재필름(120b)으로 이루어진다.
즉, 점착제(120)는 유기전계발광소자 조명장치(100)에 접착제층(120a)을 통해 견고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이러한 유기전계발광소자 조명장치(100)는 점착제층(120c)을 통해 원하는 위치에 탈착 및 부착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유기전계발광소자 조명장치가 설치위치에 불편함 없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부착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유기전계발광소자 조명장치(100)는 사무실 내의 파티션 또는 벽면 등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탈부착 할 수 있다.
따라서, 스탠드로 사용하는 등의 원하는 위치로의 조명이 가능하여, 어느 곳에서든지 편안하게 독서를 비롯한 여러 활동을 밝은 조명 아래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기전계발광소자 조명장치(100)는 점착제(120)를 통해 사용자가 손쉽게 원하는 위치에 탈부착 할 수 있으므로, 유기전계발광소자 조명장치(100)를 어느 한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부를 필요로 하지 않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유기전계발광소자 조명장치(100)는 점착제(120) 외에도, 자성체(미도시)를 이용하거나 표면과 진공흡착되는 흡착기구(미도시)를 통해 원하는 위치에 탈부착 할 수 있다.
이때, 자성체(미도시)를 이용할 경우 유기전계발광소자 조명장치(100)의 제 1 기판(101)의 외면에 자석(미도시)을 부착시킨 후, 장착된 자석(미도시)의 자기력을 통해 철물에 부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철물로 이루어지는 진열장 내의 프레임이나 벽면, 천정 등에 손쉽게 부착이 되며, 벽면이나 천정이 나무, 벽돌 등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도 못이나 나사못을 박아서 이에 부착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흡착기구(미도시)를 이용한 경우, 유기전계발광소자 조명장치(100)를 유리면, 타일벽면, 냉장고 등의 가전품, 가구 외벽면 등의 표면이 매끄러운 곳에 진공흡착되어 부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기전계발광소자 조명장치(100)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아 작동하거나, 건전지와 같은 베터리(미도시)를 사용하여 작동할 수 있다.
또한, 유기전계발광소자 조명장치(100)의 배면 즉, 제 1 기판(101)과 점착제(120) 사이에 솔라셀층(미도시)을 더욱 구비하여, 태양전지(Solar Cell)를 이용하여 작동시킬 수도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유기전계발광소자 조명장치(100)는 원하는 위치에 손쉽게 탈부착이 가능하므로, 사용하지 않는 시간 동안에는 창문 등에 부착하여 태양에너지를 충전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유기전계발광소자 조명장치(10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빛이 발광하는 일면에 빛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판(130)을 더욱 구비할 수 있는데, 가이드판(130)에는 특정 모양이 패턴화되어, 유기전계발광소자 조명장치(100)로부터 발광된 빛은 가이드판(130)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가이드판(130)에 형성된 특정 모양의 패턴으로 발광하게 된다.
즉, 도면상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판(130)에 별 모양이 패턴화될 경우, 유기전계발광소자 조명장치(100)로부터 발광된 빛은 별 모양으로 발광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가이드판(130)을 투과한 빛이 주변의 벽과 천장에 비추어짐으로써 보다 다양한 분위기 연출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장식 및 인테리어 효과를 발휘하고 심미감을 창출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판(130)에 형성된 특정 모양의 패턴은 다양한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자연현상으로 나타나는 별이나 태양이나 달 모양 또는 꽃의 모양을 가질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소자 조명장치는 빛이 방출되는 일면의 반대측에 점착제를 형성함으로써, 설치 위치에 불편함이 없이, 유기전계발광소자 조명장치(100)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점착제(120)를 통해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 제 2 실시예 -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소자 디스플레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유기전계발광소자 디스플레이(200)는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와 유기전계 발광다이오드(210)가 형성된 제 1 기판(201)과, 인캡슐레이션을 위한 제 2 기판(202)으로 구성된다.
이를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제 1 기판(201)의 상부에는 각 화소영역(P) 별로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가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와 연결되는 제 1 전극(211)과 제 1 전극(211)의 상부에 특정한 색의 빛을 발광하는 유기발광층(213)과, 유기발광층(213)의 상부에는 제 2 전극(215)이 구성된다.
이들 제 1 및 제 2 전극(211, 215)과 그 사이에 형성된 유기발광층(213)은 유기전계 발광다이오드(210)를 이루게 된다.
여기서, 유기발광층(213)으로부터 발광된 빛이 제 1 기판(201)을 투과하여 화상을 구현하는 하부 발광방식(bottom emission type)인 경우, 제 1 전극(211)은 투명하고 전도성이 우수하며, 일함수 값이 비교적 높은 물질인 인듐-틴-옥사이드(ITO), 인듐-징크-옥사이드(IZO)로 형성할 수 있으며, 제 2 기판(202)을 투과하여 화상을 구현하는 상부 발광방식(top emission type)인 경우, 제 1 전극(211)은 반사율이 높고 전도성이 우수하며, 높은 일함수 값을 갖는 알루미늄(Al) 또는 알루미늄합금(AlNd), 마그네슘(Mg), 금(Au), 은(Ag) 등의 금속물질로 형성할 수 있다.
제 2 전극(215)은 캐소드전극 역할을 하기 위하여, 일함수가 비교적 낮은 금속 물질을 얇게 증착한 반투명 금속막 상에 투명한 도전성 물질을 두껍게 증착하여 사용한다.
즉, 제 2 전극(215)은 알루미늄(Al), 마그네슘(Mg),리튬(Li), 칼슘(Ca), 알루미늄-리튬(Al-Li), 마그네슘-인듐(Mg-In), 마그네슘-은(Mg-Ag), 알루미늄-은(Al-Ag)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유기발광층(213)은 발광물질로 이루어진 단일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발광 효율을 높이기 위해 정공주입막(도 2의 113d), 정공수송막(도 2의 113b), 발광물질막(도 2의 113a), 전자수송막(도 2의 113c) 및 전자주입막(도 2의 113e)의 다중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유기전계발광소자 디스플레이(200)는 선택된 색 신호에 따라 제 1 전극(211)과 제 2 전극(215)으로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면, 제 1 전극(211)으로부터 제공된 정공과 제 2 전극(215)으로부터 주입된 전자가 유기발광층(213)으로 수송되어 엑시톤(exciton)을 이루고, 이러한 엑시톤이 여기상태에서 기저상태로 천이 될 때 빛이 발생되어 가시광선의 형태로 방출된다.
이때, 발광된 빛은 외부로 나가게 되므로, 유기전계발광소자 디스플레이(200)는 임의의 화상을 구현하게 된다.
여기서, 제 1 및 제 2 기판(201, 202)은 절연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하부 발광방식(bottom emission type)인 경우, 제 1 기판(201)은 유리, 플라스틱 재질 등 투명한 재료로 형성하며, 이때 제 2 기판(202)은 제 1 기판(201)과 동일한 재료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또는 금속재질로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부 발광방식(top emission type)인 경우, 제 2 기판(202)은 투명한 재료로 형성되며, 이때 제 1 기판(201)은 제 2 기판(202)과 동일한 재료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또는 금속재질로 형성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소자 디스플레이(200)는 발광방향에 따라 제 1 및 제 2 기판(201, 202) 중 선택된 하나의 기판의 외면에 점착제(120)가 더욱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유기전계발광소자 디스플레이(200)가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210)로부터 발광된 빛이 제 1 기판(201)을 투과하여 화상을 구현하는 하부 발광방식(bottom emission type)인 경우, 점착제(120)는 제 2 기판(202)의 외면에 형성되며,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210)로부터 발광된 빛이 제 2 기판(202)을 투과하여 화상을 구현하는 상부 발광방식(top emission type)인 경우, 점착제(120)는 제 1 기판(201)의 외면에 형성된다.
본 발명은 제 2 기판(202)을 향해 빛이 방출되는 상부 발광방식을 일예로 하였으며, 이에 점착제(120)는 제 1 기판(201)의 외면에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소자 디스플레이(200)는 설치 위치에 불편함이 없이, 유기전계발광소자 디스플레이(200)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점착제(120)를 통해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점착제(120)는 제 1 기판(201)의 외면에 부착되어 점착제(120)와 유기전계발광소자 디스플레이(200)를 일체화시키는 접착제층(120a)과 유기전계발광소자 디스플레이(200)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부착 및 탈착 할 수 있는 점착제층(120c) 그리고 접착제층(120a)과 점착제층(120c) 사이의 기재필름(120b)으로 이루어진다.
즉, 점착제(120)는 유기전계발광소자 디스플레이(200)에 접착제층(120a)을 통해 견고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이러한 유기전계발광소자 디스플레이(200)는 점착제층(120c)을 통해 원하는 위치에 탈착 및 부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유기전계발광소자 디스플레이(200)는 점착제(120) 외에도, 자성체(미도시)를 이용하거나 표면과 진공흡착되는 흡착기구(미도시)를 통해 원하는 위치에 탈부착 할 수 있다.
이때, 자성체(미도시)를 이용할 경우 유기전계발광소자 디스플레이(200)는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210)로부터 발광된 빛이 제 1 기판(201)을 투과하여 화상을 구현하는 하부 발광방식(bottom emission type)으로 형성하고, 인캡슐레이션을 위한 제 2 기판(202)을 금속재질로 형성하여, 제 2 기판(202)을 통해 철물에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흡착기구(미도시)를 이용한 경우, 유기전계발광소자 디스플레이(200)를 유리면, 타일벽면, 냉장고 등의 가전품, 가구 외벽면 등의 표면이 매끄러운 곳에 진공흡착되어 부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기전계발광소자 디스플레이(200)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아 작동하거나, 건전지와 같은 베터리(미도시)를 사용하여 작동할 수 있다.
또한, 유기전계발광소자 디스플레이(200)의 배면 즉, 제 1 기판(201)과 점착제(120) 사이에 솔라셀층(미도시)을 더욱 구비하여, 태양전지(Solar Cell)를 이용하여 작동시킬 수도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유기전계발광소자 디스플레이(200)는 원하는 위치에 손쉽게 탈부착이 가능하므로, 사용하지 않는 시간 동안에는 창문 등에 부착하여 태양에너지를 충전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소자 디스플레이(200)는 화상이 구현되는 일면의 반대측에 점착제(120)를 형성함으로써, 설치 위치에 불편함이 없이, 유기전계발광소자 디스플레이(200)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점착제(120)를 통해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기전계발광소자 디스플레이(200)는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손쉽게 탈부착함으로써, 별도의 특별한 기술이나 추가적인 자재 없이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원하는 위치에 부착된 유기전계발광소자 디스플레이(200)를 이용하여 뉴스, 드라마 또는 영화를 즐길 수 있어, 보다 품격 높은 생활을 영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시간활용적인 측면에서 바쁜 현대인에게 시간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는 부가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이렇게 유기전계발광소자 디스플레이(200)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탈부착할 수 있음으로써, 유기전계발광소자 디스플레이(200)를 통해 구현되는 화상을 통해 사무실 내의 알림내용을 개시한다거나, 광고 및 홍보 등의 서비스를 구현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무실 내에서는 전광판과 같은 별도의 알림판 및 광고판 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이를 설치할 공간 역시 불필요함으로써, 사무실 내의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 유기전계발광소자 조명장치, 101 : 제 1 기판, 102 : 제 2 기판
110 :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
120 : 점착제(120a : 접착제, 120b : 기재필름, 120c : 점착제)

Claims (10)

  1. 제 1 및 제 2 전극과 제 1 및 제 2 전극 사이에 구비된 유기발광층으로 이루어지는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가 형성된 제 1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과 이격되어 합착된 제 2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의 외측에 형성되는 부착부
    를 포함하며, 상기 부착부는 피사체에 탈부착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조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점착제, 자성체, 흡착기구 중 선택된 하나인 유기전계발광소자 조명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통해 발광하거나, 베터리를 통해 발광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조명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판과 상기 부착부 사이에 솔라셀층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조명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판의 외측에 빛의 형상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판이 구비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조명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판에는 별, 태양, 달, 꽃 모양 중 선택된 하나가 패턴화된 유기전계발광소자 조명장치.
  7. 화소 별로 구동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된 제 1 기판과;
    상기 각 구동 박막트랜지스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 1 및 제 2 전극과 제 1 및 제 2 전극 사이에 구비된 유기발광층으로 이루어지는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와;
    상기 제 1 기판과 이격되어 합착된 제 2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의 외측에 형성되는 부착부
    를 포함하며, 상기 부착부는 피사체에 탈부착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디스플레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점착제, 자성체, 흡착기구 중 선택된 하나인 유기전계발광소자 디스플레이.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통해 발광하거나, 베터리를 통해 발광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디스플레이.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판과 상기 부착부 사이에 솔라셀층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디스플레이.
KR1020100064463A 2010-07-05 2010-07-05 유기전계발광소자를 이용한 조명장치 및 디스플레이 KR201200037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4463A KR20120003714A (ko) 2010-07-05 2010-07-05 유기전계발광소자를 이용한 조명장치 및 디스플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4463A KR20120003714A (ko) 2010-07-05 2010-07-05 유기전계발광소자를 이용한 조명장치 및 디스플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714A true KR20120003714A (ko) 2012-01-11

Family

ID=45610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4463A KR20120003714A (ko) 2010-07-05 2010-07-05 유기전계발광소자를 이용한 조명장치 및 디스플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371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29260B2 (ja) 発光構成体
JP2011512638A (ja) 両面有機発光ダイオード(oled)
TW200603670A (en) OLED display having thermally conductive backplate
TW200605708A (en) Fluorene derivative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using same
TW200519413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with polarizer
EP1480281A3 (e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CA2398345A1 (en) Oleds having light absorbing electrode
US8994011B2 (e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US8643028B2 (en) Lighting device
GB2440481A (en) Electroluminescent device
TW200505070A (en) Structure of active-driving type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WO2007097545A1 (en) Flat light emitting oleds device from combined multiple dual emission transparent oleds
KR20120003714A (ko) 유기전계발광소자를 이용한 조명장치 및 디스플레이
CN103943783B (zh) 一种有机发光器件及显示装置
TWI285856B (en) Reflective organic electroluminescence panel and display
TW200726316A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JP2012015078A (ja) 照明器具
KR20100030980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10391280A (zh) 一种电致发光的显示和照明装置及其制备方法
CN1979914A (zh) 高对比有机发光显示器
TWI267320B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evice
JP5575564B2 (ja) 室内照明システム
KR20130072288A (ko) Oled 조명기구
JP5988070B2 (ja) 発光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カウンター又は什器
KR20130008100A (ko) 유기 발광 조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