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3343U - 잔량 제거용 액체 용기 - Google Patents

잔량 제거용 액체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3343U
KR20120003343U KR2020100011408U KR20100011408U KR20120003343U KR 20120003343 U KR20120003343 U KR 20120003343U KR 2020100011408 U KR2020100011408 U KR 2020100011408U KR 20100011408 U KR20100011408 U KR 20100011408U KR 20120003343 U KR20120003343 U KR 2012000334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iquid
tube
residual
upp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14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은영
Original Assignee
강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은영 filed Critical 강은영
Priority to KR20201000114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3343U/ko
Publication of KR201200033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334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94Containers having an external wall formed as, or with, a diaphragm or the like which is deformed to expel th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6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with closable apertures at bott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6Collapsible or telescopic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6Liquids or semi-liquids or other materials or articles enclosed in 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rigi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 B65D2501/0009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2501/0063Additional discharg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용기(100)와, 상기 용기(100) 내부에 설치되며 액체가 수용되도록 상부 중앙에 삽입홀(210)이 형성된 튜브(200)와, 상기 용기(100)의 상부에 체결되고 상기 튜브(200) 내측에 액체를 흡입하여 분사하는 분사펌프(300)로 구성되되, 상기 용기(100)는 바디(110)와, 상기 바디(110)의 상부에 연장되며 상면이 개구된 목부(120)로 구성되고, 상기 바디(110)는 상기 바디(110)의 하부 중앙에 형성된 관통홀(112)과, 상기 바디(110)의 저면에 형성된 수납부(114)와, 상기 바디(110)의 저면에 설치되되, 상기 수납부(114)를 개폐하는 캡(116)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화장품, 목욕용품, 주방세제 등의 액체가 충진된 해당 용기 내부에 액체가 소량 잔류하지 않도록 외부로 원활히 토출시킬 수 있는 잔량 제거용 액체 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잔량 제거용 액체 용기{Remaining amount removal fluidal courage}
본 고안은 잔량 제거용 액체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장품, 세제, 목욕용품 등 해당 용기 내부의 액체가 소량 남았을때 이를 원활히 토출시킬 수 있는 잔량 제거용 액체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 샴푸, 린스, 주방용세제 및 세탁세제 등의 액체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한 용기는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방식에 있어 약간의 차이가 있으나 대체적으로 유사하다.
액체용기의 경우 내용물을 저장하기 위한 용기 몸체와 상기 용기 몸체의 상부에 결합되고 펌핑 작동에 의하여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시키는 펌핑부 등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액체용기를 구성하는 용기 몸체 내부의 하부면은 통상적으로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내용물이 가득 채워져 있을 때에는 아무런 문제점이 없지만 내용물이 용기 바닥에 깔릴 정도로 남았을 경우에는 펌핑이 제대로 되지 않아 불편한 점이 있고, 비록 내용물이 남아 있더라도 펌핑이 되지 않아 그대로 버리는 경우가 발생하여 자원의 손실을 초래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량 고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용기 내측에 구비된 튜브내에 액체를 수용하고 액체가 소량 남았을 때 튜브의 하단을 용기의 하측으로 배출하여 튜브가 한곳을 중심으로 경사지게 만들어 용기 내부 바닥에 깔린 액체의 소량까지 원활하게 토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잔량 제거용 액체 용기는 용기내의 액체가 소진됨에 따라 용기 자체의 부피를 줄일 수 있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잔량 제거용 액체 용기는 용기(100)와, 상기 용기(100) 내부에 설치되며 액체가 수용되도록 상부 중앙에 삽입홀(210)이 형성된 튜브(200)와, 상기 용기(100)의 상부에 체결되고 상기 튜브(200) 내측에 액체를 흡입하여 분사하는 분사펌프(300)로 구성되되,
상기 용기(100)는 바디(110)와, 상기 바디(110)의 상부에 연장되며 상면이 개구된 목부(120)로 구성되고, 상기 바디(110)는 상기 바디(110)의 하부 중앙에 형성된 관통홀(112)과, 상기 바디(110)의 저면에 형성된 수납부(114)와, 상기 바디(110)의 저면에 설치되되, 상기 수납부(114)를 개폐하는 캡(116)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잔량 제거용 액체 용기는 용기내의 액체가 소량 남았을때도 한곳을 중심으로 경사지게 하여 마지막 남은 소량까지 원활하게 토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용기를 주름지게 형성하여 용기내의 액체가 토출됨에 따라 용기 외형의 부피가 줄어들어 보관하기 용이한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에너지 낭비를 줄일 수 있음과 더불어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본 고안에 따른 잔량 제거용 액체 용기를 나타낸 도면,
도 1b는 도 1a에 따른 용기 저면에 형성된 요부를 나타낸 도면,
도 1c는 본 고안에 따른 잔량 제거용 액체 용기의 결합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잔량 제거용 액체 용기의 펌핑수단의 푸쉬부를 가압했을때 일어나는 용기의 상태변화를 단면으로 나타낸 도면,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잔량 제거용 액체 용기의 펌핑수단의 푸쉬부를 가압한 후 가압을 중단했을때 일어나는 용기의 상태변화를 단면으로 나타낸 도면,
도 2c는 본 고안에 따른 잔량 제거용 액체 용기 내부의 액체에 따른 튜브의 상태변화를 단면으로 나타낸 도면,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잔량 제거용 액체 용기를 주름지게 형성하여 단면으로 나타낸 도면,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잔량 제고용 액체 용기를 주름지게 형성하여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잔량 제거용 액체 용기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1a는 본 고안에 따른 잔량 제거용 액체 용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b는 도 1a에 따른 용기 저면에 형성된 요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c는 본 고안에 따른 잔량 제거용 액체 용기의 결합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잔량 제거용 액체 용기의 펌핑수단의 푸쉬부를 가압했을때 일어나는 용기의 상태변화를 단면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잔량 제거용 액체 용기의 펌핑수단의 푸쉬부를 가압한 후 가압을 중단했을때 일어나는 용기의 상태변화를 단면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2c는 본 고안에 따른 잔량 제거용 액체 용기 내부의 액체에 따른 튜브의 상태변화를 단면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잔량 제거용 액체 용기를 주름지게 형성하여 단면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잔량 제고용 액체 용기를 주름지게 형성하여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일 실시 예로 도시한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잔량 제거용 액체 용기는 용기(100)와, 상기 용기(100) 내부에 설치되며 액체가 수용되도록 상부 중앙에 삽입홀(210)이 형성된 튜브(200)와, 상기 용기(100)의 상부에 체결되고 상기 튜브(200) 내측에 액체를 흡입하여 분사하는 분사펌프(300)로 구성된다.
이러한 용기(100)는 바디(110)와, 상기 바디(110)의 상부에 연장되며 상면이 개구된 목부(120)와, 상기 바디(110)의 하부 중앙에 형성된 관통홀(112)과, 상기 바디(110)의 저면에 형성된 수납부(120)와, 상기 바디(110)의 저면에 설치되되, 상기 수납부(120)를 개폐하는 캡(1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용기(100)는 외주연 일측을 주름지게 형성하여 상기 용기(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액체를 수용하는 튜브(200) 내의 세안액(샴프, 폼클렌징, 면도크림 등) 또는 세제 및 화장품 등의 액체가 토출됨에 따라, 상기 용기(100)의 부피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110)의 관통홀(112)은 열십(十)자로 형성하며 관통홀(112)의 외벽은 탄성의 합성수지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튜브(200)를 상기 바디(110)의 관통홀(112)로 당기게되면 한곳을 중심으로 상기 튜브(200) 내의 액체가 모이게 되어 분사펌프(300)를 이용한 외부토출이 용이할뿐만 아니라, 상기 튜브(200)가 당겨짐에 의해 상기 관통홀(112)의 외벽을 이루는 탄성벽(112-2)이 하방으로 휘어지되, 원래의 자리로 돌아오려는 탄성 때문에 상기 튜브(200)를 압박하여 튜브(200)내의 액체가 외부로 배출된 튜브(200)가 아닌 용기(100)내부의 튜브(200) 부분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튜브(200)를 당기던 물리적인 힘이 차단되면 상기 관통홀(112)이 정위치하려는 탄성에 의해 튜브(200)가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튜브(200)의 상부에 형성된 삽입홀(210)에 결합되는 패킹(212)의 재질은 마찰력이 높은 고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튜브(200)내의 액체가 소량 잔류하게 되면 상기 튜브(200)를 상기 용기(100)의 캡(116)을 개방한 후 관통홀(112)을 통해 잡아 당기게 된다.
이때, 상기 분사펌프(300)의 일측과 상기 튜브(200)의 삽입홀(210)에 결합된 패킹(212)이 억지끼움되어 상기 튜브(200)내의 액체가 흘러 넘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패킹(212)은 중공된 제1플레이트(212-2)와, 상기 제1플레이트(212-2)의 저면에 연장된 연결대(212-4)와, 상기 연결대(212-4)의 저면에 연장 확장된 제2플레이트(212-6)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튜브(200)는 저면에 일정길이 연장되는 연장부(220)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220)의 하부에 고리(230)가 결합되어 상기 튜브(200)를 용이하게 잡아 당길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상기 용기(100)의 바디(110) 저면에 설치된 캡(116)을 개방한 후 상기 고리(230)를 이용하여 상기 튜브(200)를 용기(100)의 하측으로 배출하고 배출된 튜브(200)의 일부는 미관상 미려함을 유지하도록 상기 용기(100)의 바디(110) 하부에 형성된 수납부(114)에 위치시키고 상기 캡(116)을 닫아 사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분사펌프(300)는,
상기 용기(100)와 체결되는 체결구(310)와, 상기 체결구(310)의 하부에 수직하방으로 체결되되, 상기 튜브(200)의 삽입홀(210)에 삽입되어 액체를 흡입하는 흡입관(320)과, 상기 체결구(310)의 상부에 수직상방으로 체결되되, 상기 흡입관(320)으로 흡입된 액체를 토출하도록 분사노즐(332)이 형성된 푸쉬부(330)로 구성된다.
상기 푸쉬부(330)의 저부는 공기압을 일으키도록 상하로 일정거리 슬라이딩하는 공압부(334)로 형성되며, 상기 흡입관(320)은 상부 내측에 형성된 스프링요홈(h)에 설치되는 스프링(s)과, 상기 스프링요홈(h)의 하측에 형성된 테이퍼부(t)에 안착되는 볼(b)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잔량 제거용 액체 용기의 조립과정을 도2a 내지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조립과정은 당업자에 따라 변형 및 다양한 타 실시 예가 시행될 수 있다.
먼저, 용기(100)는 종래의 사용되던 용기와 동일한 것으로서, 바디(110)와, 나사산이 외주연에 형성된 목부(220)로 형성된다.
이러한 용기는 금속 또는 유리 또는 합성수지로 형성되며 바디(110)와, 목부(120)로 구성된 용기(100)를 적당한 곳에 위치한 후 상기 용기(100) 내부의 상부 중앙에 삽입홀(210)이 형성된 튜브(200)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바디(110)의 하부 중앙에 관통홀(112)을 형성하고, 저면에는 소정의 공간으로 수납부(114)를 형성하며, 상기 수납부(114)를 개폐 가능하도록 캡(116)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튜브(200)는 연성의 합성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튜브(200)의 상부에 형성된 삽입홀(210)에 고무재질의 패킹(212)을 결합하되, 상기 패킹(212)의 제1,2플레이트(212-2)(212-6) 사이에 상기 튜브(200)의 삽입홀(210) 외벽을 개재한 후 본딩하고 상기 튜브(200)의 내측에 액체를 수용시킨다.
상기의 용기(100)는 외주연에 일정간격 주름지게 형성한다. 이에, 상기 튜브(200)내의 액체의 수용량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용기(100)의 부피를 임의에 따라 축소 또는 확대하여 사용 가능한 것이다.
또한, 상기 튜브(200)는 저면에 고리(230)를 결합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상기 튜브(200)를 파지하고 잡아 당길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튜브(200) 내측의 액체를 흡입하여 분사하는 분사펌프(300)를 설치한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튜브(200) 내의 액체가 흘러나오지 않도록 상기 용기(100) 내부에 설치된 튜브(200)의 삽입홀(210)에 본딩되는 패킹(212)에 상기 분사펌프(300)의 흡입관(320)을 삽입 체결하되, 상기 패킹(212)이 마찰력이 높은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억지끼움되며 상기 튜브(200)를 하측으로 잡아 당김에 따라 상기 패킹(212)이 상하로 슬라이딩 되도록 설치한다.
더불어, 상기 분사펌프(300)의 체결구(310) 내주연에 형성된 수나사산(도시생략)과 상기 용기(100)의 바디(110)에 목부(120) 외주연에 형성된 암나나산(도시생략)을 착탈 가능하게 설치한다.
이때, 상기 분사펌프(300)의 흡입관(320)이 상기 튜브(200)내의 액체를 흡입하게 되면 상기 용기(100)의 외부로 토출시킬 수 있도록 분사노즐(332)이 형성된 푸쉬부(330)가 상기 체결구(310)의 상부에 형성됨에 따라 상기 체결구(310)가 설치될 때 같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분사펌프(300)의 흡입관(320)은 상부 내측에 형성된 스프링요홈(h)에 스프링(s)을 설치하고 상기 스프링요홈(h)의 하측에 설치된 테이퍼부(t)에 볼(b)을 안착한 후 상기 푸쉬부(330)의 하부에 연장되어 상기 볼(b)의 상면까지 슬라이딩하되, 슬라이딩함에 따라 공기압을 발생시키는 공압부(334)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본 고안에 따른 잔량 제거용 액체 용기의 사용상태를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용기(100)를 적당한 곳에 위치한 후 사용자가 상기 푸쉬부(330)를 가압하게 되면 상기 푸쉬부(330)와 일체로 연결되되, 분사펌프(300)의 하부를 이루는 흡입관(310)으로 용기(100) 내측의 튜브(200)내 액체가 흡입되어 상기 분사펌프(300)의 상부를 이루는 푸쉬부(330)의 분사노즐(310)을 향해 토출되게 된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푸쉬부(330)가 가압됨에 따라 푸쉬부(330)가 하측으로 슬라이딩되고 상기 푸쉬부(330)가 슬라이딩됨에 따라 상기 푸쉬부(330)의 저면을 이루는 공압부(334)에 면접된 있는 스프링(s)이 수축된다.
여기서 상기 푸쉬부(330)의 공압부(334)는 스프링(s)이 설치된 스프링요홈(h)의 하측에 테이퍼부(t)에 안착된 볼(b)까지 슬라이딩된다.
그리고 상기 푸쉬부(330)가 하측으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상기 푸쉬부(330)의 공압부(334) 저면에 일정공간 형성된 공간부내의 공기가 분사노즐(310)을 통해 배출되고 상기 푸쉬부(330)에 가압을 중단하면 상기 스프링(s)이 정위치 하려는 탄성에 의해 푸쉬부(330)가 상측으로 슬라이딩하게 되고 상기 푸쉬부(330)가 슬라이딩됨에 따라 상기 테이퍼부(t)에 안착된 볼(b)이 공기압에 의해 상측으로 떠오르게 된다.
이때, 상기 용기(100)의 내측에 설치된 튜브(200) 내의 액체가 일정량 상기 테이퍼부(t)로 차오르게 되고 일정량의 액체가 차오르게되면 상기 볼(b)은 중력에 의해 다시 테이퍼부(t)에 안착되며 상기 튜브(200)와 상기 흡입관(320)을 밀폐하게 되는것이다.
그리고 상기 튜브(200) 내의 액체가 소량 잔류하게 되면 흡입관(320)의 사선으로 형성된 저부에 의해 상기 튜브(200)가 수용한 액체가 원활하게 흡입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상기 용기(100) 바디(110)의 저면에 형성된 캡(116)을 개방하고 상기 바디(110)의 관통홀(112)에 일정부분 돌출된 상기 튜브(200)의 저면에 연장된 연장부(220)를 하측으로 잡아 당기게 된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튜브(200)의 저면에 연장된 연장부(220)를 잡아당기게 되면 평평하게 고여있던 액체가 한곳을 중심으로 모여 상기 흡입관(320)을 통한 흡입이 용이해짐과 더불어 상기 관통홀(112)의 탄성벽(112-2)이 상기 관통홀(112)을 통해 배출되는 튜브(200)의 일부분을 강하게 압박하여 상기 튜브(200)가 배출될때 내측에 액체는 탄성벽(112-2)을 지날수 없게 하여 불필요한 낭비를 막는 것이다.
또한, 상기 튜브(200)가 하측으로 배출되기 위해 상기 튜브(200)의 삽입홀(210)에 결합된 패킹(212)이 슬라이딩되며 튜브(200)가 하측으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게 함은 물론 상기 용기(100)의 외주연에 형성된 주름으로 인하여 액체의 잔량에 따른 용기의 부피축소가 가능하다.
그리고 관통홀(112)을 통해 배출된 튜브(200)의 일부는 상기 바디(110)의 저면에 형성된 수납부(114)에 수납한 후 상기 캡(116)을 닫아 외관상 미려하게 보관이 가능 한것은 물론 상기 튜브(200)의 저면을 이루는 연장부(220)를 더욱 용이하게 당기기 위해 연장부(220)에 고리(230)를 결합하여 사용한다.
즉, 해당 용기 내부의 액체를 남기지 않고 모두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에너지 낭비를 최소화함과 더불어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상기 고안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로써, 이는 단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일 뿐, 의미 한정이나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용기 110 : 바디
112 : 관통홀 112-2 : 탄성벽
114 : 수납부 116 : 캡
200 : 튜브 210 : 삽입홀
212 : 패킹 212-2 : 제1플레이트
212-4 : 연결대 212-6 : 제2플레이트
220 : 연장부 230 : 고리
300 : 분사펌프 310 : 체결구
320 : 흡입관 330 : 푸쉬부
332 : 분사노즐 334 : 공압부
h : 스프링요홈 s : 스프링
b : 볼 t : 테이퍼부

Claims (6)

  1. 용기(100)와, 상기 용기(100) 내부에 설치되며 액체가 수용되도록 상부 중앙에 삽입홀(210)이 형성된 튜브(200)와;
    상기 용기(100)의 상부에 체결되고 상기 튜브(200) 내측에 액체를 흡입하여 분사하는 분사펌프(300)로 구성되되,
    상기 용기(100)는,
    바디(110)와, 상기 바디(110)의 상부에 연장되며 상면이 개구된 목부(120)로 구성되고,
    상기 바디(110)는,
    상기 바디(110)의 하부 중앙에 형성된 관통홀(112)과;
    상기 바디(110)의 저면에 형성된 수납부(114)와;
    상기 바디(110)의 저면에 설치되되, 상기 수납부(114)를 개폐하는 캡(11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량 제거용 액체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100)는 외주연 일측이 주름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량 제거용 액체 용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110)의 관통홀(112)은 열십(十)자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량 제거용 액체 용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200)의 삽입홀(210)에 결합되는 패킹(21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량 제거용 액체 용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200)의 저면에 결합되는 고리(2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량 제거용 액체 용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펌프(300)는,
    상기 용기(100)와 체결되는 체결구(310)와;
    상기 체결구(310)의 하부에 수직하방으로 체결되되, 상기 튜브(200)의 삽입홀(210)에 삽입되어 액체를 흡입하는 흡입관(320)과;
    상기 체결구(310)의 상부에 수직상방으로 체결되되, 상기 흡입관(320)으로 흡입된 액체를 토출하도록 분사노즐(332)이 형성된 푸쉬부(3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량 제거용 액체 용기.
KR2020100011408U 2010-11-05 2010-11-05 잔량 제거용 액체 용기 KR2012000334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1408U KR20120003343U (ko) 2010-11-05 2010-11-05 잔량 제거용 액체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1408U KR20120003343U (ko) 2010-11-05 2010-11-05 잔량 제거용 액체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343U true KR20120003343U (ko) 2012-05-15

Family

ID=46612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1408U KR20120003343U (ko) 2010-11-05 2010-11-05 잔량 제거용 액체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3343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04822A1 (ko) * 2018-06-26 2020-01-02 이영주 펌프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04822A1 (ko) * 2018-06-26 2020-01-02 이영주 펌프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26398A1 (en) Tubular cosmetic container
US10328451B2 (en) Gel-state content discharging applicator
KR101584514B1 (ko) 내용물의 잔량압출이 가능한 자바라식 샴푸 용기
KR200471808Y1 (ko) 탄력적인 직립형 노즐이 형성된 누름버튼을 갖는 화장품 용기
TWI500566B (zh) Squeeze the cover of the container
KR101379846B1 (ko) 디스펜서 용기
KR100811777B1 (ko) 접이식 노즐이 구비된 펌핑 장치
KR101038011B1 (ko) 액체 저장용기의 펌프
US11014106B2 (en) Dispenser device for liquids
KR20120003343U (ko) 잔량 제거용 액체 용기
KR20110116294A (ko) 빨대가 구비된 액체용기 구조
KR20200001908A (ko) 잔량 토출용 액체 용기 제작방법
JP5253267B2 (ja) ポンプ付き薄肉容器
KR200426428Y1 (ko) 내용물의 혼합사용이 가능한 혼합용기
KR101539632B1 (ko) 펌프용기 및 이에 사용되는 펌프장치
KR101399816B1 (ko) 휴대용 비데
JP4268398B2 (ja) 薄肉容器に適した液体注出装置と薄肉容器からなる注出容器
AU2019330440B2 (en) Environment-friendly sucking device applying vacuum principle
KR20140131887A (ko) 펌프용기 및 이에 사용되는 펌프장치
JP5308890B2 (ja) ポンプ付き薄肉容器
CN211632986U (zh) 一种可装入洗手液的水龙头
JP2006341861A (ja) 容器
CN219216022U (zh) 一种有利于环保的乳液泵
KR101101288B1 (ko) 유체 흡입수단을 구비하는 유체 저장용기
KR102527875B1 (ko) 화장품용 디스펜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