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1869U - 팽창/진공 겸용 부목 - Google Patents

팽창/진공 겸용 부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1869U
KR20120001869U KR2020100009283U KR20100009283U KR20120001869U KR 20120001869 U KR20120001869 U KR 20120001869U KR 2020100009283 U KR2020100009283 U KR 2020100009283U KR 20100009283 U KR20100009283 U KR 20100009283U KR 20120001869 U KR20120001869 U KR 2012000186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lint
expansion
shell member
opening
vacu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92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은
이승훈
Original Assignee
정재은
이승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재은, 이승훈 filed Critical 정재은
Priority to KR20201000092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1869U/ko
Publication of KR201200018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86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61F5/05816Inflatable spl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61F5/05833Splints rigidified by vacuum evacu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친 관절과 근육조직의 지지 및 고정을 위해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단단히 감아 움직이지 않도록 보호하는 부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친 부위의 상황에 따라 단일 부목대로 경성 지지와 연성 지지를 선택적으로 할 수 있어 사용성을 향상시키고 소비자의 구입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팽창/진공 겸용 부목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부에 공간을 갖도록 형성된 외피 부재; 상기 외피 부재 내에 구비되는 강성 부재; 및 상기 외피 부재와 연통하고 일단이 외부로 노출되는 공기 유입/유출관; 및 상기 공기 유입/유출관에 구비되어 공기의 유입 및 유출을 개폐하는 개폐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강성 부재는 상기 외피 부재 내를 상하 구획하는 수지계의 플레이트의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플레이트에는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팽창/진공 겸용 부목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팽창/진공 겸용 부목{SPLINT FOR BOTH EXPANDABLE/VACCUM}
본 고안은 다친 관절과 근육조직의 지지 및 고정을 위해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단단히 감아 움직이지 않도록 보호하는 부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친 부위의 상황에 따라 단일 부목대로 경성 지지와 연성 지지를 선택적으로 할 수 있어 사용성을 향상시키고 소비자의 구입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팽창/진공 겸용 부목에 관한 것이다.
사지의 외상, 골절, 탈구, 염좌 등의 응급 수단으로서 환부의 기동성을 제한하고 안정을 위하여 신체에 붙여 고정하는 교정 장치로서 부목이 이용된다.
이러한 부목을 통한 응급 처치가 적절히 이루어지면, 합병증을 예방하거나 최소화함으로써 입원 기간을 줄이고 회복을 빠르게 할 수 있는 중요한 응급 처치용 교정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부목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서, 다친 부위나 상황에 따라 단단한 부목으로 안정성을 유지하여 경성 보호하는 경우가 있고, 비교적 부드러운 재질의 부목을 이용하여 손상된 사지에 흔히 사용되도록 하는 연성 보호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와 같이 경성 보호의 상황이나 연성 보호의 상황에 맞게 별개의 부목을 사용해야하기 때문에, 각 상황별로 맞는 별개의 부목을 구비해야 하고, 구입 비용도 많이 소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부목이 주로 사용되는 산악 지역 등에서는 최적의 지지 보호를 위하여 각기 상황에 맞는 별개의 부목을 구비해야 하는데, 신속한 이동과 휴대에 지장을 주어 최적의 응급 처치를 하는데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단일 부목으로 연성 지지 보호와 강성 지지 보호를 선택적으로 실현할 수 있도록 하는 팽창/진공 겸용 부목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팽창을 통한 연성 지지 보호와 진공을 통한 강성 지지 보호를 각기 개별적으로 구현하는 부목에 비하여도 그 기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신뢰성 있는 팽창/진공 겸용 부목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각기 별개의 부목 기능을 단일 부목에서 실현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 적응성을 향상시키고, 소비자의 구매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팽창/진공 겸용 부목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관점에 따르면, 내부에 공간을 갖도록 형성된 외피 부재; 상기 외피 부재 내에 구비되는 강성 부재; 및 상기 외피 부재와 연통하고 일단이 외부로 노출되는 공기 유입/유출관; 및 상기 공기 유입/유출관에 구비되어 공기의 유입 및 유출을 개폐하는 개폐 수단을 포함하는 팽창/진공 겸용 부목을 제공한다.
상기 외피 부재는 투명한 수지계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강성 부재는 상기 외피 부재 내를 상하 구획하는 수지계의 플레이트의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플레이트에는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강성 부재는 상기 외피 부재 내를 상하 챔버로 구획하는 수지계의 플레이트의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공기 유입/유출관의 일단으로부터 외피 부재의 내부로 연장되는 타단부는 상기 플레이트에 의해 구획된 외피 부재의 내부의 상하 챔버에 각각 위치되도록 분지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개폐 수단은 게이트 밸브 또는 상기 유입/유출관의 개구를 개방 및 폐쇄하는 탈착가능한 개폐 캡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부목을 고정하기 상기 외피 부재에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강성 부재는 다수의 구형 알갱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형 알갱이를 수용하는 수용 부재를 더 포함하며, 실시 형태로서 상기 수용 부재는 망 형태의 주머니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용 부재의 대향하는 가장자리는 상기 외피 부재의 가장자리에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 부재는 상기 구형 알갱이를 다수로 구획하여 수용하는 구획 수용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팽창/진공 겸용 부목에 의하면, 단일 부목으로 연성 지지 보호와 강성 지지 보호의 두 기능을 선택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팽창을 통한 연성 지지 보호와 진공을 통한 강성 지지 보호를 단일 부목에서도 신뢰성 있게 실현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각 기능별 부목을 구비하는 구입 비용에 비하여 소비자의 구매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부목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팽창/진공 겸용 부목을 구성하는 공기 유입/유출관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부목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팽창/진공 겸용 부목을 구성하는 구체형 강성 부재를 수용하는 수용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수용 부재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본 고안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고안의 팽창/진공 겸용 부목은 기본적으로 내부에 공간을 갖도록 형성된 외피 부재; 상기 외피 부재 내에 구비되는 강성 부재; 및 상기 외피 부재와 연통하고 일단이 외부로 노출되는 공기 유입/유출관; 및 상기 공기 유입/유출관에 구비되어 공기의 유입 및 유출을 개폐하는 개폐 수단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팽창/진공 겸용 부목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팽창/진공 겸용 부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팽창/진공 겸용 부목은, 내부에 공간을 갖도록 형성된 외피 부재(100); 상기 외피 부재(100) 내에 구비되는 강성 부재(200); 및 상기 외피 부재(100)와 연통하고 일단이 외부로 노출되는 공기 유입/유출관(300); 및 상기 공기 유입/유출관(300)에 구비되어 공기의 유입 및 유출이 가능하도록 개폐하는 개폐 수단(400)을 포함한다.
상기 외피 부재(100)는 수지계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상기 외피 부재(100)는 PVC 비닐 재질, NON-PVC 재질 또는 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PVC 비닐 재질의 경우 내분비 교란물질인 프탈레이트를 사용하기 때문에 NON-PVC 재질 또는 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피 부재(100)는 수지계의 재질로 이루어지되, 지지 보호된 상태에서도 지지 보호하고 있는 손상 부위를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강성 부재(200)는 외피 부재(100) 내의 공기를 빼내어 진공화시켰을 때, 단단하게 지지하기 위한 딱딱하고 강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강성 부재(200)는 외피 부재(100)와의 부착을 고려하여 소정 두께를 갖는 수지계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강성 부재(200)는 외피 부재(100) 내에 위치될 때, 그 외피 부재(100)를 상하 챔버로 구획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외피 부재(100)를 팽창시켜 연성 보호 기능을 갖도록 공기 유입/유출관(300)을 통해 공기를 불어 넣을 때, 외피 부재(100)의 내부 공간(상하 챔버) 전체에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강성 부재(200)에는 다수의 관통공(21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강성 부재(200)는 지지 보호된 상태에서도 지지 보호하고 있는 손상 부위를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피 부재(100)와 강성 부재(200)의 결합은 부착 또는 접합 등 다양한 방식을 통해 결합될 수 있는데, 그 재질의 고려할 때, 외피 부재(100)와 가장자리와 강성 부재(200)의 가장자리가 열 융점 또는 초음파 융접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유입/유출관(300)은 외피 부재(10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어 외피 부재(100)를 팽창시키도록 하거나, 그 외피 부재(100)의 내부 공기가 유출되어 외피 부재(100)의 내부를 진공화시켜 외피 부재(100)가 강성 부재(200)에 밀착되도록 하는, 공기의 유입 및 유출을 안내하는 도관 형태로 형성된다.
한편,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팽창/진공 겸용 부목을 구성하는 공기 유입/유출관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강성 부재(200)가 외피 부재(200) 내의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 위치에 위치되고, 그 강성 부재(200)에 관통공(210)이 형성되지 않게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외피 부재(200) 내(즉, 상하 챔버)로 공기를 불어 넣거나 그로부터 빼내어 진공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공기 유입/유출관(300)의 타단부, 즉 외피 부재(100) 내에 위치되는 공기 유입/유출관(300)의 단부는 2-way 방식, 즉 외피 부재(100)의 외측에 노출된 일단부로부터 외피 부재(100)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타단부가 분지되어 형성될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공기 유입/유출관(300)으로 흐르는 공기의 흐름을 개방 및 차단하는 개폐 수단(400)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개폐 수단(400)는 게이트 밸브 등의 개폐 밸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개폐 수단(400)은 공기 유입/유출관(300)의 개구를 개방 및 폐쇄하도록 착탈가능하게 구성되는 개폐 캡(미도시)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개폐 캡으로 구성되는 경우, 개폐 밸브로 구성되는 경우에 비하여 제작이 간단하고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외피 부재(100)에는 환자의 다친 부위에 대고 팽창된 또는 진공화되어 딱딱하게 된 부목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미도시)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 수단(미도시)은 탄성 밴드로 이루어지며, 상기 탄성 밴드의 고정 방식은 벨크로 부착 방식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제1 실시 예에 따른 본 고안의 팽창/진공 겸용 부목의 동작을 설명한다.
본 고안의 팽창/진공 겸용 부목은 다친 부위나 상황에 따라 연성 지지 보호하기 위하여 외피 부재를 팽창시켜 다친 부위를 보호하는 기능과 강성 지지 보호하기 위하여 외피 부재의 내부 공간을 진공화시켜 다친 부위를 보호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먼저 연성 지지 보호를 위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개폐 수단(개폐 밸브 또는 개폐 캡)(400)을 개방으로 조작하여 공기주입 펌프를 이용하거나 입으로 공기 유입/유출관(300)을 통해 외피 부재(100) 내로 공기를 불어 넣는다. 이와 같이 외피공기(100) 내로 공기가 불어 넣어짐에 따라 외피 부재(100)는 팽창하게 되고, 소정의 팽창 정도에 이르면, 개폐 수단(400)을 폐쇄로 조작하고, 팽창된 상태의 외피 부재(100)는 환자의 다친 부위를 소프트하게 지지 보호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강성 부재(200)가 다수의 관통공(210)을 구비하기 때문에, 강성 부재(200)가 외피 부재(100)를 구획하게 위치되게 구성되더라도 상기 관통공(210)을 통해 공기가 전반적으로 확산되어 외피 부재(100)를 팽창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강성 부재(200)가 관통공(210)을 구비하지 않게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공기 유입/유출관(300)의 타단부가 분지되게 형성됨으로써 외피 부재(100)의 전체 내부 공간으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여 외피 부재(100)를 팽창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강성 지지 보호를 위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개폐 수단(개폐 밸브 또는 개폐 캡)(400)을 개방으로 조작하여 입이나 바람직하게는 진공 펌프를 이용하여 공기 유입/유출관(200)을 통해 외피 부재(100) 내의 공기를 빼낸다. 상기 외피 부재(100)의 내부 공기를 완전히 빼내어 진공화시키면, 외피 부재(100)는 강성 부재(200)에 밀착하게 되고, 견고한 부목으로서의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강성 부재(200)가 다수의 관통공(210)을 구비하기 때문에, 강성 부재(200)가 외피 부재(100)를 구획하게 위치되게 구성되더라도 상기 관통공(210)을 통해 공기가 전반적으로 빠질 수 있어 외피 부재(100)는 강성 부재(200)의 양면에 기밀하게 밀착된다.
또한, 상기 강성 부재(200)가 관통공(210)을 구비하지 않게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공기 유입/유출관(300)의 타단부가 분지되게 형성됨으로써 외피 부재(100)의 전체 내부 공간으로부터 공기를 빼내어 외피 부재(100)는 강성 부재(200)의 양면에 기밀하게 밀착된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팽창/진공 겸용 부목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팽창/진공 겸용 부목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팽창/진공 겸용 부목은 강성 부재의 구성에 있어서 제1 실시 예와 다르다. 제2 실시 예의 팽창/진공 겸용 부목의 설명에서 제1 실시 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한다.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팽창/진공 겸용 부목은 내부에 공간을 갖도록 형성된 외피 부재(100); 상기 외피 부재(100) 내에 구비되는 구체형 강성 부재(500); 및 상기 외피 부재(100)와 연통하고 일단이 외부로 노출되는 공기 유입/유출관(300); 및 상기 공기 유입/유출관(300)에 구비되어 공기의 유입 및 유출이 가능하도록 개폐하는 개폐 수단(400)을 포함한다.
상기 외피 부재(100)는 수지계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상기 외피 부재(100)는 PVC 비닐 재질, NON-PVC 재질 또는 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PVC 비닐 재질의 경우 내분비 교란물질인 프탈레이트를 사용하기 때문에 NON-PVC 재질 또는 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피 부재(100)는 수지계의 재질로 이루어지되, 지지 보호된 상태에서도 지지 보호하고 있는 손상 부위를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체형 강성 부재(500)는 외피 부재(100) 내의 공기를 빼내어 진공화시켰을 때, 구체형 강성 부재(500)들이 서로 밀착되어 엉켜 단단한 상태로 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구체형 강성 부재(500)는 열가소성 플라스틱 폴리머(e.g. 폴리카보네이트) 알갱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체형 강성 부재(500)는 앞서 제1 실시 예에서 설명한 플레이트형 강성 부재를 구비하는 경우에 비하여 구성이 간단하고 제작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상기 공기 유입/유출관(300)은 외피 부재(10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어 외피 부재(100)를 팽창시키도록 하거나, 그 외피 부재(100)의 내부 공기가 유출되어 외피 부재(100)의 내부를 진공화시켜 외피 부재(100)가 강성 부재(200)에 밀착되도록 하는, 공기의 유입 및 유출을 안내하는 도관 형태로 형성된다.
계속해서, 상기 공기 유입/유출관(300)으로 흐르는 공기의 흐름을 개방 및 차단하는 개폐 수단(400)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개폐 수단(400)는 게이트 밸브 등의 개폐 밸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개폐 수단(400)은 공기 유입/유출관(300)의 개구를 폐쇄하는 개폐 캡(미도시)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개폐 캡으로 구성되는 경우, 개폐 밸브로 구성되는 경우에 비하여 제작이 간단하고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외피 부재(100)에는 환자의 다친 부위에 대고 팽창된 또는 진공화되어 딱딱하게 된 부목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미도시)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 수단(미도시)은 탄성 밴드로 이루어지며, 상기 탄성 밴드의 고정 방식은 벨크로 부착 방식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팽창/진공 겸용 부목을 구성하는 구체형 강성 부재를 수용하는 수용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2 실시 예에 따른 본 고안에 있어서, 팽창/진공 겸용 부목이 연성 지지 보호를 위하여 팽창된 상태에서 사용되는 경우, 외피 부재(100)의 내부에 위치된 구체형 강성 부재(500)가 랜덤하게 움직인다. 이에 따라 환자의 다친 부위를 자극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낸 수용 부재(600)는 상기한 관점을 고려하여 구비되는 것으로, 망 형태의 주머니로 구성되고, 그 내부에 구체형 강성 부재(500)가 수용되는 것이다.
상기 수용 부재(600)는 양측 가장자리(예를 들면, 대향하는 길이 방향 가장자리)는 외피 부재(100)의 형성 시 그 외피 부재(100)의 가장자리에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수용 부재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의 팽창/진공 겸용 부목이 강성 지지 보호를 위하여 딱딱하게 된 상태로 될 때, 구체형 강성 부재(500)가 한쪽으로 쏠린 상태에서 강성화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진공화된 부목이 직선성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수용 부재(650)는 구체형 강성 부재(500)를 다수로 구획하여 수용하도록 하는 구획 수용부(6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수용 부재(600, 650)가 망 형태의 주머니로 구성됨으로써 부목의 지지 보호 동작에서 외피 부재(100) 내의 팽창화 또는 진공화를 위한 통기성을 유지하면서도 진공화시에 부목의 직선성도 도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2 실시 예에 따른 본 고안의 팽창/진공 겸용 부목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연성 지지 보호를 위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개폐 수단(개폐 밸브 또는 개폐 캡)(400)을 개방으로 조작하여 공기주입 펌프를 이용하거나 입으로 공기 유입/유출관(300)을 통해 외피 부재(100) 내로 공기를 불어 넣는다. 이와 같이 외피 부재(100) 내로 공기가 불어 넣어짐에 따라 외피 부재(100)는 팽창하게 되고, 소정의 팽창 정도에 이르면, 개폐 수단(400)을 폐쇄로 조작하고, 팽창된 상태의 외피 부재(100)는 환자의 다친 부위를 소프트하게 지지 보호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구체형 강성 부재(500)가 수용 부재(600)에 의해 수용되어 있는 경우, 수용 부재(600)는 망 형태의 주머니로 형성되기 때문에 그 망의 메쉬를 통해 공기가 외피 부재(100) 내에 전반적으로 흘러 팽창시키고, 또한 구체형 강성 부재(500)는 수용 부재(600)에 수용되어 외피 부재(100)의 내면과 부딪치지 않아 환자의 다친 부위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다음으로, 강성 지지 보호를 위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개폐 수단(개폐 밸브 또는 개폐 캡)(400)을 개방으로 조작하여 입이나 바람직하게는 진공 펌프를 이용하여 공기 유입/유출관(200)을 통해 외피 부재(100) 내의 공기를 빼낸다. 수용 부재(600)가 구비된 경우라도, 수용 부재(600)는 망 형태로 형성되어 통기성을 갖기 때문에 진공화가 가능하며, 외피 부재(100)와 구체형 강성 부재(500) 사이에서 매개 역할을 함으로써 진공화에 의한 견고성을 더욱 증진시킬 수 있다.
상기 외피 부재(100)의 내부 공기를 완전히 빼내어 진공화시키면, 외피 부재(100)는 구체형 강성 부재(300)는 서로 엉켜 밀착하게 되고, 견고한 부목으로서의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구체형 강성 부재(500)가 직선성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용 부재(600)에서 편평한 상태로 배열된 이후에 진공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체형 강성 부재(200)가 수용 부재(600)에 구획되게 수용되는 경우에는, 이러한 직선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팽창/진공 겸용 부목은 단일 부목으로 연성 지지 보호와 강성 지지 보호의 두 기능을 선택적으로 실현할 수 있고, 단일 부목이더라도 개별적인 연성 지지 보호 및 강성 지지 보호의 기능을 신뢰성 있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각 기능별 부목을 구비하는 구입 비용에 비하여 소비자의 구매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의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외피 부재
200: 강성 부재
210: 관통공
300: 공기 유입/유출관
400: 개폐 수단
500: 구체형 강성 부재
600, 650: 수용 부재
660: 구획 수용부

Claims (10)

  1. 내부에 공간을 갖도록 형성된 외피 부재;
    상기 외피 부재 내에 구비되는 강성 부재; 및
    상기 외피 부재와 연통하고 일단이 외부로 노출되는 공기 유입/유출관; 및
    상기 공기 유입/유출관에 구비되어 공기의 유입 및 유출을 개폐하는 개폐 수단
    을 포함하는 팽창/진공 겸용 부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 부재는 투명한 수지계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팽창/진공 겸용 부목.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 부재는 상기 외피 부재 내를 상하 구획하는 수지계의 플레이트의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플레이트에는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팽창/진공 겸용 부목.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 부재는 상기 외피 부재 내를 상하 챔버로 구획하는 수지계의 플레이트의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공기 유입/유출관의 일단으로부터 외피 부재의 내부로 연장되는 타단부는 상기 플레이트에 의해 구획된 외피 부재의 내부의 상하 챔버에 각각 위치되도록 분지되게 구성되는
    팽창/진공 겸용 부목.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수단은 게이트 밸브 또는 상기 유입/유출관의 개구를 개방 및 폐쇄하는 탈착가능한 개폐 캡으로 구성되는
    팽창/진공 겸용 부목.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목을 고정하기 상기 외피 부재에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 수단을 더 포함하는
    팽창/진공 겸용 부목.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 부재는 다수의 구형 알갱이로 이루어지는
    팽창/진공 겸용 부목.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형 알갱이를 수용하는 수용 부재를 더 포함하는
    팽창/진공 겸용 부목.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부재는 망 형태의 주머니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용 부재의 대향하는 가장자리는 상기 외피 부재의 가장자리에 결합되어 구성되는
    팽창/진공 겸용 부목.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부재는 상기 구형 알갱이를 다수로 구획하여 수용하는 구획 수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팽창/진공 겸용 부목.
KR2020100009283U 2010-09-03 2010-09-03 팽창/진공 겸용 부목 KR2012000186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9283U KR20120001869U (ko) 2010-09-03 2010-09-03 팽창/진공 겸용 부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9283U KR20120001869U (ko) 2010-09-03 2010-09-03 팽창/진공 겸용 부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869U true KR20120001869U (ko) 2012-03-13

Family

ID=58043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9283U KR20120001869U (ko) 2010-09-03 2010-09-03 팽창/진공 겸용 부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1869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6102B1 (ko) * 2013-03-07 2014-11-03 한국과학기술원 입자상 물질의 재밍 현상을 이용하는 신체 요소 고정 장치
KR20160005691A (ko) * 2013-03-15 2016-01-15 텍스티아 이노베이티브 솔루션스, 에스.엘. 음압에 의해 조절되는 가변 강성 부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6102B1 (ko) * 2013-03-07 2014-11-03 한국과학기술원 입자상 물질의 재밍 현상을 이용하는 신체 요소 고정 장치
KR20160005691A (ko) * 2013-03-15 2016-01-15 텍스티아 이노베이티브 솔루션스, 에스.엘. 음압에 의해 조절되는 가변 강성 부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83891B2 (ja) 外科位置決め装置
EP1539082B1 (en) An inflatable device for use in impulse therapy
ES2390647T3 (es) Dispositivo de protección personal y prenda de vestir que incluye un dispositivo de este tipo
US9283466B2 (en) Lacrosse head pocket retainer
JP2007519497A (ja) 歩行用装具
PT1806115E (pt) Vedação para dispositivo de ostomia com evacuação controlada
ES2306979T3 (es) Inserto para ortosis.
TWI501755B (zh) 具有通風冷卻特徵之壓縮系統
JP2002177006A (ja) 靴用の通気性・防水性底革
US8801644B2 (en) Pneumatic compression garment with noise attenuation
WO2014140389A1 (es) Elemento con rigidez variable controlada por presión negativa
US20090101156A1 (en) Support Element for Stabilizing a Patient's Head
US20140142481A1 (en) Pneumatic compression garment with noise attenuating means
US20050004423A1 (en) Collapsible, protective containment device
ES2681847T3 (es) Dispositivo de soporte
KR20120001869U (ko) 팽창/진공 겸용 부목
US9572720B2 (en) Reduced noise pneumatic compression garment
EP3045207B1 (en) Avalanche air bag system having multiple air bags
US9301559B2 (en) Breast protection device
KR101471810B1 (ko) 팽창 가능한 모듈을 구비한 구강용 기도유지장치
JP2017125290A (ja) 帽子
US7900282B2 (en) Inflatable protection valve
JP3126862U (ja) 連結クッション
US20180014963A1 (en) Limb support and limb support fastening arrangement
ES2335072B1 (es) Casco de proteccion crane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