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8243A - 인장 장치 및 날실층의 날실 재인장 방법 - Google Patents

인장 장치 및 날실층의 날실 재인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8243A
KR20110128243A KR1020110047204A KR20110047204A KR20110128243A KR 20110128243 A KR20110128243 A KR 20110128243A KR 1020110047204 A KR1020110047204 A KR 1020110047204A KR 20110047204 A KR20110047204 A KR 20110047204A KR 20110128243 A KR20110128243 A KR 201101282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rp
unit
tensioning
tension
kf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7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스페터 로마냐
Original Assignee
스타우블리 아게 패피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타우블리 아게 패피콘 filed Critical 스타우블리 아게 패피콘
Publication of KR20110128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82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1/00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 D03J1/14Apparatus for threading warp stop-motion droppers, healds, or reed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3/00Weavers' tools, e.g. knot-tying tools
    • D03J3/02Reed and heald hoo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uxiliary Weaving Apparatuses, Weavers' Tools, And Shuttles (AREA)
  • Loo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개의 지지 부재(S-10, S-20)의 서로에 대한 거리가 이들을 연결하는 위치결정 기구(S-30)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며, 이들 지지 부재는 가이드 요소(S-11, S-11', S-21)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그 가이드 요소에 의해 상기 지지 부재(S-10, S-20)가 공통의 가이드 레일(FS)에 해제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그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날실층(warp thread layer)(KFS)의 날실(KF)용 인장 장치(S)에 관한 것으로서, 하나의 상기 지지 부재(S-20)는 적어도 하나의 날실(KF)을 재인장할 목적으로 인장 유닛(S-40)을 지지하고, 상기 지지 부재(S-10, S-20)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FS) 상의 제위치에 상기 지지 부재(S-10, S-20)의 교번적인 고정을 목적으로 록킹 요소(S-12, S-22)가 설치되며, 상기 인장 유닛(S-40)은 위치결정 기구(S-30)의 도움으로 상기 가이드 레일(FS)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장 장치(S)와 인장 프레임(R)의 조합, 인장 장치(S)를 포함하는 통경 장치 및 날실층의 날실의 재인장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인장 장치 및 날실층의 날실 재인장 방법{A TENSIONING DEVICE AND A METHOD FOR THE RETENSIONING OF WARP THREADS OF A WARP THREAD LAYER}
본 발명은 직조 기술(weaving technology)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청구항 1에 따른 인장 장치 및 날실층(warp thread layer)의 날실 재인장 방법과, 청구항 9에 따른 상기 인장 장치와 인장 프레임의 조합과, 청구항 12에 따른 상기 인장 장치를 포함하는 통경기(drawing-in machine)와, 청구항 13에 따른 날실층의 날실 재인장 방법에 관한 것이다.
날실(warp threads)과 씨실(weft threads)의 연결에 의해 직물 등의 옷감이 직조기(weaving machine)에서 만들어지기 전에, 날실은 하기의 특정한 순서로 직기 하니스(loom harness)에 통경되어야 한다. 직기 하니스의 요소는 일반적으로 직조 리드(weaving reed)뿐만 아니라 헤들 프레임(heddle frame), 헤들, 및 날실 정지동작 베인을 포함한다. 날실 정지동작 베인의, 헤들의, 그리고 직조 리드의 2개의 이빨 사이 간극의 날실용 아이(eye)를 통과하는 각각의 경우에, 일반적으로 도투마리(warp beam)에 필요한 길이로 감긴 개별 날실을 통경 수단이 각각 통과시키므로, 통경된 날실의 단부는 그 후에 직조 리드로부터 돌출한다. 그리고 헤들이 특정 헤들 프레임에 할당됨으로써, 즉 하나의 상기 프레임 내로 도입됨으로써, 직물 패턴이 규정된다.
도투마리에는 통상적으로 수백 내지 수천 개의 날실이 특정 폭에 걸쳐 평행하게 감기기 때문에, 상기한 절차는 날실이 직기 하니스에 완전히 통경될 때까지 필요한 횟수만큼 반복되어야 한다. 이러한 절차는 수작업으로 수행되어 왔고, 종전과 마찬가지로 지금도 여전히 수작업으로 수행되고 있지만, 공정의 일부를 자동으로 수행(반자동 통경기)하거나 또는 모든 수순을 자동으로 수행(자동 통경기)하는 다양한 기계 설계도 가능하다.
반자동 통경기는 자동 통경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용 효율이 높지만, 한명의 작업자가 통경기를 100% 전담해서 통경 공정을 부분적으로 수작업으로 수행해야 하는 큰 단점이 있다. 이러한 방식에서 달성되는 생산성 증가는 수작업 통경에 비해 크지 않으며, 결함률도 상대적으로 높다.
자동 통경기는 공지 기술이며 다양한 실시 형태로 시판되고 있다. 이들은 직기 하니스 내로의 날실의 통경에 필요한 모든 공정에 대하여 독립적인 제어기를 이용한다. 작업 인원의 직무는 원료의 공급 및 제거뿐만 아니라 작업 수순 및 기능의 준비 및 감시로 제한된다. 이러한 방식에서는, 수작업 통경에 비해, 생산성이 몇배 향상될 수 있으며, 결함률은 현저하게 감소될 수 있다.
자동 통경기는 대체로 서로에 대하여 이동될 수 있는 2개의 메인 유닛으로 구성된다. 하나의 유닛은 날실의 준비를 위한 장치(날실층의 인장 유닛)를 포함하고, 다른 유닛은 통경 공정 및 직기 하니스의 조정을 위한 장치(통경 유닛)를 포함한다. 통경 유닛 및 인장 유닛은 통경 공정의 진행에 따라 날실층의 시작부터 끝까지 통경 공정 중에는 서로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이동한다.
상술한 실시 형태의 자동 통경기는 항상 인장 장치(실 프레임 또는 인장 프레임)를 포함하고, 그 인장 장치에는 처리될 날실층이 적용되게 된다. 이 날실층으로부터 날실이 연속적인 순서로 개별적으로 픽업(분리)되어, 통경 유닛에 의해 직기 하니스 요소에 통경된다. 개개의 날실의 무결함 분리를 위해서는, 날실이 실 프레임상에서 특정한 초기 장력으로 인장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장력은 원료 및 얀(yarn) 품질에 따라 다양하다. 날실의 전체 폭에 걸쳐 상당한 힘이 성장하고, 이는 통경 공정 도중에 변화된다. 일부 환경에서는, 초기 장력을 재조정하기 위해 작업 인원의 개입이 필요해진다. 이러한 문제점을 회피하기 위해, WO 02/101132에서와 같이, 소량의 날실, 즉 분리 지점의 바로 앞에 위치된 부분만을 인장(부분 인장)하는 해법이 존재한다. 이러한 수단에 의해 실 프레임상의 전체적인 힘이 감소되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이러한 해법은, 통경 유닛에 대한 실 프레임의 각각의 이동에 의해 부분 인장이 해제되고, 이동이 발생한 후에 실이 다시 한번 재인장되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절차를 위한 개별 구성요소들 사이에 필요한 상호작용은, 통상적으로 복잡하고 비용 집약적인 방식으로만 실행될 수 있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밀하고 결함 없이 작업되어야만 하는 이동 수순 및 구동을 필요로 한다.
서로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는 2개의 메인 유닛이 상응하게 높은 관성을 가지는 중량체 형태를 취하고, 또한 이들의 무게는 특정한 분야에 의존한다는 사실로부터 다른 종류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러나, 분리될 날실의 위치에 대한 통경 위치는 통경 공정 도중에 연속해서 변하기 때문에, 2개의 메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주기적인 이동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완화하기 위해, 예컨대 WO 92/07127호에는, 이동될 유닛이 경량부와 중량부로 분할되고, 경량부는 중량부와는 독립적으로 보다 높은 정밀도로 이동된다는 해법이 제안되어 있다.
인장 유닛에 대한 통경 유닛의 이동을 위한 다른 해법은, 예컨대 CH 479735호에 기술되어 있다. 이 해법은 통경 유닛 및 인장 유닛의 위치결정에 있어서 높은 정밀도를 필요로 하고, 예컨대 통경 유닛 및 인장 유닛은 레일 또는 편평한 강판 위에 위치되고, 그에 상응하게 비용이 많이 들며, 재료 흐름에 대한 변경시에 있어서의 유연한 대처의 수준이 낮다.
본 발명의 과제는, 전술한 단점들을 극복하고, 날실층의 날실의 향상된 재인장을 가능하게 하는 것, 즉 기계식으로 간단하게 수행하고, 신뢰도 있고, 정확하며,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고, 비용 효율이 높게 작업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는 청구항 1에 따른 인장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장 장치의 중요한 양태는, 인장 장치가 위치결정 기구 및 록킹(locking) 요소의 조정 작용에 의해 독립적으로 스스로 이동할 수 있다는 점에서의 제 1 예에 있다. 이를 위해, 위치결정 기구는 단일의 구동부만을 포함할 필요가 있고, 그에 따라 현저한 경량화에 기여한다. 이러한 자주적인 이동과 감소된 무게로 인해 인장 장치가 특유의 유연함으로 배치될 수 있게 된다. 인장 장치의 신뢰도 및 정확도 역시 가이드 레일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그 장치가 배치되는 부위의 바닥 품질이 최소한의 요건이 된다. 특히, 레일 시스템 또는 강판이 더이상 필요하지 않다는 점에서 비용이 감소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장 장치의 유리한 실시형태는 종속청구항 2 내지 8에서 특정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인장 유닛은 서로 대략 평행하게 정렬된 3개의 바아(bar) 부재를 갖고, 그 중 제 1 및 제 2 바아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날실에 대하여 각각의 정지부를 형성하며, 제 3 바아 부재는 제 1 및 제 2 바아 부재 사이로 이동되어 날실을 붙잡아서 재인장시킬 수 있다. 이러한 인장 유닛으로 인해, 대체로 임의의 원하는 재인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인장 유닛을 가로지르도록, 제 3 바아 부재는 나머지 2개의 바아 부재 사이에 놓이는 공간에 날실층의 추가 부분을 수용하기 위해, 나머지 2개의 바아 부재로부터 벗어나는 위치로 물러나게 된다. 이 추가 부분을 이 공간에 안내하고, 인장 유닛과 날실층 사이에서의 임의의 잼(jam)을 회피하기 위해, 각각의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바아 부재의 1개의 자유단은 점이 되도록 점점 가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제 3 바아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최대한 단순하고 동시에 공간 절약적인 넓은 조정 범위에 걸친 구동을 보증하기 위해, 편심 기구를 통해 이동될 수 있다.
바람직한 다른 실시형태에서, 록킹 요소는 가이드 레일 상의 제 위치에 지지 부재를 특히, 간단하고, 신속하며,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게 하는 클램핑 또는 래칭 기구를 갖는다. 이러한 기구는, 예컨대 전기 모터에 의해 또는 전자기식으로 작동될 수 있는 액추에이터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반면에, 지지 부재들간의 거리에 대한 위치결정 기구는 바람직하게는, 특히 간단하고 공간 절약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또한 인장 유닛의 매우 정확한 위치결정을 허용하는 스핀들 구동부를 포함한다.
특히, 가동 섀시에 지지 부재가 탑재되는 경우라면, 인장 장치의 다양한 배치가 보장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장비된 장치는 특히 복수의 인장 프레임 상에서 작동되고, 국부적으로 설치된 인장 장치가 각각의 인장 프레임 상에 존재하지는 않는다. 그에 따라, 2개의 지지 부재 중 하나는 가동 섀시가 지지 부재와 함께 이동하도록 가동 섀시에 고정식으로 연결되고, 지지 부재의 탑재를 위해서는 그에 상응하게 짧은 섀시이면 충분하다.
상술한 목적은 청구항 9에 따른 상술한 인장 장치와 인장 프레임의 조합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합의 중요한 특징은 날실을 재인장하는데 필요한 방식으로 가이드 레일이 항상 정확하게 인장 프레임에 정렬된다는 점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합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종속 청구항 10 및 11에서 특정된다.
따라서, 날실의 일부분만이 인장되고, 인장 프레임의 힘 조절만이 최소한의 필요조건으로 되기 때문에, 가이드 레일은 인장 프레임의 일부로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장 프레임은 전체적으로 경량화되기 때문에, 인장 장치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탑재될 수도 있다. 이러한 수단에 의해, 인장 프레임은 인장 유닛 자체가 고정되어 있으면 인장 유닛에 대하여 이동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프레임을 따르는 인장 유닛의 전체적인 연속 이동이 가능해져서, 날실층에 필요한 처리 시간이 단축된다.
상술한 목적은 상술한 인장 장치를 포함하는, 청구항 12에 따른 날실층의 날실을 통경하기 위한 통경 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통경 장치의 중요한 특징은 날실의 분리 및 통경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인장 유닛의 모든 이점을 동시에 이용한다는 점에 있다. 따라서, 통경 장치는 특히 인장 장치의 횡단 가능한 섀시 상에 탑재될 수도 있고, 가장 간단한 경우에는 인장 유닛 상에는 분리 유닛 및 통경 유닛이 유지되어 상기 섀시와 함께 이동된다.
본 발명에 따른 통경 장치의 유리한 다른 실시예는 종속 청구항 13에서 특정된다.
분리 유닛 및/또는 통경 유닛은 인장 유닛을 지지하지 않는 지지 부재 상에 탑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단에 의해, 특히 인장 유닛이 이동되지 않을 경우에 날실의 연속적인 추가의 처리가 보장될 수 있다. 이는 그 지지 부재가 록크되고 다른 지지 부재―분리 유닛 및 그 위에 탑재된 통경 유닛과 함께―가 인장 유닛의 이동을 위해 다시 한번 유극을 생성하도록 횡단되는 경우이다.
상술한 목적은 상술한 인장 장치를 이용하는, 청구항 14에 따른 날실층의 날실의 재인장 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중요한 특징은 지지 부재의 선택적인 록킹 및 인장 유닛의 위치결정 기구의 후속 작동에 의해, 복잡한 구동부 또는 복잡한 운동부를 더이상 필요로 하지 않는, 날실층을 따르는 위치결정 기구의 특히 간단한 이동이 가능하다는 점에 있다. 이로 인해, 특히 상기 방법의 신뢰도 및 정확도가 증대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방법의 유리한 다른 개선점은 종속 청구항 15 및 16에서 특정된다.
상기 방법의 바람직한 다른 개선점에 있어서, 인장 유닛의 지지 부재가 제 위치에 고정되면 날실층이 인장 유닛에 대하여 이동되므로, 날실층을 따르는 인장 유닛의 전체적인 연속 이동이 계속된다. 이러한 수단에 의해, 록킹된 인장 유닛으로도 추가의 날실의 재인장이 가능하므로, 결과적으로 날실층의 전체적인 처리 시간이 단축된다.
상기 방법의 바람직한 또다른 개선점에 있어서, 분리 유닛 및 통경 유닛은 인장 유닛의 이동에 이어 날실층을 따라 이동되고,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 분리된 날실은 직기 하니스의 요소에 통경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재인장 처리의 이점은 동 방법에서 날실의 분리 및 통경에 이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인장 프레임 상의 본 발명에 따른 인장 유닛의 개략적인 개념도.
도 2는 통경 유닛과 도 1에 따른 인장 프레임의 조합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따른 인장 프레임의 가이드 레일 상의 인장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 따른 인장 프레임의 가이드 레일 상의 인장 장치의 정면도.
도 5는 도 3에 따른 가이드 레일 상의 인장 장치의 측면도.
하기에서는, 본 발명은 첨부 도면을 참조로 개략적인 묘사 및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해 명료해진다.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동일한 기능의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번호가 부여된다.
도 1은 인장 프레임(R) 상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인장 장치(S)의 개략적인 개념도를 도시한다. 인장 장치는 2개의 가이드 요소(S-11 및 S-11')에 의해 가이드 레일(FS)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제 1 지지 부재(S-10)를 포함한다. 이 제 1 지지 부재(S-10)는 본원에서 인장 유닛(S-40)을 이동할 목적으로 위치결정 기구(S-30)가 유지되는 평면에 캐리어 프레임의 형태로 설계된다. 위치결정 기구(S-30)는, 본원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예컨대 인장 유닛(S-40)을 캐리어 프레임의 평면에서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는 스핀들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성능 및 가격에 따라, 예컨대 랙(rack) 구동부 또는 벨트 구동부와 같은 다른 적절한 구동부, 또는 본 기술분야의 숙련된 기술자에게 공지된 다른 구동부의 선택을 생각할 수도 있다. 본원에서, 인장 장치(S-40)는 유사하게 가이드 요소(S-21)에 의해 가이드 레일(FS)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제 2 지지 부재(S-20)에 고정식으로 연결된다. 보다 명확한 이해를 위해, 캐리어 프레임 형상의 제 1 지지 부재(S-10)는 바아(bar) 형상의 제 2 지지 부재(S-20)에 의해 교차되는 지점에서 가로막히는 것으로 도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형태에서는, 캐리어 프레임은 폐쇄형 디자인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방식에서, 전체 인장 장치(S)는 프레임상에서 인장되는 날실층(KFS)의 날실(KF)을 재인장하기 위해 인장 프레임(R)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제 1 또는 제 2 지지 부재(S-10 또는 S-20)의 가이드 레일(FS) 상에서의 개별적인 록킹을 위해, 각각의 록킹 요소(S-12 및 S-22)가 설치된다. 본원에서, 록킹 요소(S-12)는 선택적으로 제 1 지지 부재(S-10)의 가이드 요소 중 하나(S-11 또는 S-11')에 합체되거나, 또는 제 2 지지 부재(S-20)의 록킹 요소(S-22) 및 가이드 요소(S-21)의 경우와 같이, 도시 방향의 전방 또는 후방에 놓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록킹 요소(S-12, S-22)는 본원에서는 전기기계식으로 작동될 수 있는 클램프로서 설계된다.
또한, 인장 프레임(R) 자체는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지만, 인장 장치(S)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게 탑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인장 프레임은 가이드 레일(FS)을 따른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가이드 요소(R-10, R-10')를 가질 수 있다. 인장 장치(S), 인장 유닛(S-40) 및 인장 프레임(R)의 이동 옵션은 각각 양방향 화살표에 의해 표시된다.
인장될 날실층이 프레임(R) 상에서 인장되고 인장 장치(S)가 가이드 레일(FS)에 연결되면, 인장 수순이 개시될 수 있다. 본원에서, 클램프(S-22)는 초기에는 폐쇄되고, 클램프(S-12)는 개방된다. 인장 유닛(S-40)이 작동되고, 날실층(KFS)의 부분이 재인장된다. 이후, 재인장된 날실(KF)은, 예컨대 적정한 처리 유닛에 의해 분리되어 직기 하니스의 요소에 통경될 수 있다. 추가적인 날실의 처리를 위해서, 지지 부재(S-10)는 날실층(KFS)의 재인장된 부분이 처리될 때까지 날실층(KFS)을 따라 위치결정 기구(S-30)에 의해 이동된다. 이후, 클램프(S-22)가 개방되고, 클램프(S-12)가 폐쇄된다. 거기서 위치결정 기구(S-30)는 인장 유닛(S-40)이 날실층(KFS)의 추가의 부분을 커버할 때까지 날실층(KFS)을 따라 지지 부재(S-20)를 더 이동시킨다. 이 이후에, 클램프(S-22)는 폐쇄되고, 클램프(S-12)는 개방되며, 인장 유닛(S-40)이 작동되고, 날실층(KFS)의 추가의 부분이 재인장되어, 지지 부재(S-10)는 이동될 수 있다. 이 기간 중에 지지 부재(S-10)는 인장 프레임(R)에 대하여 정지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인장 프레임은 지지 부재(S-10)의 "재인장" 단계에서조차 재인장되지 않은 날실의 연속적인 처리를 보증하도록 인장 장치(S)에 대하여 이동될 수 있다. 지지 부재(S-10 및 S-20)의 교번적인 횡단 이동은 날실층(KFS)의 모든 날실(KF)이 재인장되고 및/또는 분리 및 통경될 때까지 계속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장 장치(S)가 가이드 레일(FS) 상에서 횡단될 수 있다는 사실에 의해, 장치(S)가 배치될 부위에서의 바닥 품질만이 최소한의 필요조건이 된다. 특히 개별적인 구성요소의 지지를 위해 더 이상 레일 시스템 및 강판이 필요 없다. 또한, 인장 장치(S)는 구성요소의 이동의 정밀도만을 고려할 필요가 있는 단일의 구동 시스템만을 필요로 한다. 이 모든 것은, 인장 장치 및 그것에 탑재된 통경 장치에 대해서 비교적 낮은 비용이 발생되어, 설치 부위 상에서의 장치의 설치 준비에 있어서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에는, 날실의 분리 중에도 지지 부재(S-10)의 이송이 일어날 수 있다는 점에서, 실질적으로 중단 없는 인장 및 통경 처리가 가능하다는 사실이 추가될 수 있다. 동시에, 본 발명에 따른 인장 장치는 매우 경량이며, 그에 따라 매우 유연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인장 처리에 의해, 날실의 일부분만이 항상 인장되기 때문에, 인장 프레임(R)의 힘 조절만이 최소한의 필요조건으로 된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인장 프레임(R)과 통경 장치(E)의 조합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본원에서의 통경 장치(E)는 본 발명에 따른 인장 장치(S)에 기초하고, 횡단 가능한 섀시(S-50)를 갖고, 직기 하니스의 요소에서의 날실에 대한 분리 유닛(E-10) 및 통경 유닛(E-20)을 더 포함한다. 날실층(KFS) 상에 인장 유닛(S-40)을 위치결정할 목적으로, 제 1 및 제 2 지지 부재(S-10 및 S-20)는 가이드 레일(FS) 상에 걸린다. 가이드 요소(S-11 및 S-11')는 통경 장치(E)에 지지 및 방향적인 안정성을 제공한다.
이로써, 인장 프레임(R)은 고정된 위치에 배치되지만, 통경 장치(E)는 프레임에 대하여 이동될 수 있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정반대의 배치도 가능하고, 그러한 배치에서는 인장 프레임(R)은 고정된 위치의 통경 유닛(E)을 따라 이동한다. 본원에서는, 프레임(R)의 폭은 적어도 폭이 가장 넓은 처리될 날실층(KFS)에 대응한다. 프레임(R)은 상기 처리에 필요한 장력을 가진 날실층을 제공하기 위한 수단을 갖는다. 바닥에서 프레임(R)은 가이드 레일(FS)에 견고하게 연결된다.
통경 처리의 개시시에, 통경될 날실은 인장 프레임(R)으로 옮겨지고 날실층(KFS)은 프레임 상에서 인장된다. 직조 리드를 사용할 경우에, 상기 프레임은 그것에 제공되는 탑재부에 클램핑된다. 이후, 통경 장치(E)는 날실층(KFS)의 개시부에 위치되어 통경 처리의 준비가 되고, 여기서 통경 패턴에 따라 필요한 개수의 헤들 프레임 및/또는 헤들 캐리어 레일 및 베인 캐리어 레일이 헤들 적층부 및 베인 적층부의 스토어를 채우고 통경 패턴을 입력 또는 프로그래밍할 목적으로 설치된 탑재부에 삽입된다. 이후, 통경 처리를 개시하는 동작이 시작됨에 따라, 통경 패턴에 따라 프로그래밍된 마지막 날실(KF)까지, 헤들, 베인 및 직조 리드에서 공지된 방식으로 날실의 통경이 발생한다. 내부에 날실이 통경되어 있는 헤들 및 베인은 이러한 목적으로 설치된 캐리어 레일 상에 통경 패턴에 따라 분포된다. 직조 리드의 간극에 통경될 마지막 날실(KF)은 직조 리드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한다.
통경 장치(E)를 가이드 레일(FS)을 따라 이동시킬 목적으로, 지지 부재(S-10 및 S-20)는 각각 클램프(S-12 및 S-22)(상세하게는 도 3에 도시됨)를 갖는다. 하나의 클램프(S-12)는 고정식으로 통경 장치(E)에 연결되지만, 클램프(S-22)는 스핀들 구동부(S-31)(마찬가지로 상세하게는 도 3에 도시됨)를 포함하는 위치결정 기구(S-30)의 도움으로 통경 장치(E)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클램프(S-22)가 고정식으로 연결되면, 날실층(KFS)을 재인장할 목적으로, 인장 유닛(S-40)은 날실층의 일부분 상에 위치된다(부분적인 인장).
초기 상태에서, 통경 장치(E)가 프레임(R) 상에 위치결정되고 분리 유닛(E-10)이 날실을 붙잡을 준비가 되면, 클램프(S-22)는 폐쇄되는 반면, 클램프(S-12)는 개방된다. 날실층(KFS)의 일부분에 걸쳐, 날실(KF)에 무결함 분리에 필요한 장력이 제공되도록, 인장 유닛(S-40)이 작동된다. 각각의 경우에 분리 유닛(E-10)이 가장 가까운 날실(KF)을 붙잡고 통경 유닛(E-20)이 직기 하니스(도시되지 않음)의 요소에 그 날실을 통경하는, 날실(KF)의 통경이 개시된다. 이러한 처리 도중에, 각각의 경우에 통경 유닛(E-20)은 분리 유닛(E-10)이 분리될 다음 날실(KF)을 붙잡을 수 있도록 날실층(KFS) 방향으로 일정 거리를 이동한다. 이러한 전방 이동은 스핀들 구동부(S-31)에 의해 개시된다.
인장 유닛(S-40)에 의해 인장되는 날실층의 일부분에서의 모든 날실이 통경되면, 클램프(S-12)는 폐쇄되고 클램프(S-22)는 개방된다. 거기서, 날실층(KFS)의 일부분을 인장 유닛(S-40)으로 다시 한번 붙잡을 수 있게, 스핀들 구동부(S-31)는 날실층(KFS)의 방향으로 일정 거리 클램프(S-22)를 이동한다. 이후, 클램프(S-22)는 폐쇄되고, 클램프(S-12)는 개방되며, 인장 유닛(S-40)은 작동된다. 이러한 처리는 처리될 날실의 마지막 날실(KF)이 통경될 때가지 필요한 빈도로 반복된다.
요약하면, 통경 유닛(E) 및 인장 프레임(R)은 통경 처리 도중에 통경 처리의 진행에 따라 날실층(KFS)의 시작부터 끝까지 서로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이동한다. 날실층(KFS)의 끝에 도달하여 마지막 날실(KF)이 통경되면, 직기 하니스의 요소는 통경 장치(E) 및 인장 프레임(R)으로부터 해제되므로, 통경 장치 및 인장 프레임(R)은 서로 무관해진다. 직조 리드를 분리할 목적으로, 헤들을 가진 헤들 프레임 및/또는 헤들 캐리어 레일, 또한 날실과 함께 베인을 가진 베인 캐리어 레일은 통경 유닛 및 인장 유닛으로부터 제거된다. 따라서, 인장 프레임(R) 및 통경 장치(E)는 다음 통경 처리 및/또는 그 준비를 위해 다시 한번 자유 상태로 되어, 서로 공간적으로 이격될 수도 있다.
원칙적으로, 통경 장치(E)의 기능 유닛은 인장 유닛, 분리 유닛 및 통경 유닛으로의 분할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분리 유닛, 절단 유닛, 및 통경 유닛으로의 가능한 분할이 헤들, 날실 정지동작 베인 및 직조 리드의 간극의 날실용 아이로의 날실(KF)의 통경을 위해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추가의 유닛은, 헤들 캐리어 레일 또는 헤들 프레임의 수용과, 헤들 케리어 레일 상의 헤들의 보관, 분리 및 분포와, 직조 리드 내로의 날실(KF)의 통경과, 베인 캐리어 레일 상의 날실 정지동작 베인의 보관, 분리 및 분포와, 설비의 프로그래밍, 연산 및 제어에 착수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따른 인장 프레임(R)의 가이드 레일(FS) 상의 인장 장치(S)를 도시한다. 여기에서, 지지 부재(S-10 및 S-20)가 명확하게 식별될 수 있도록 명료화를 위해 섀시(S-50)는 생략되었고, 지지 부재들은 스핀들 구동부(S-31)를 포함하는 위치결정 기구(S-30)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이러한 위치결정 기구(S-30)에 의해, 2개의 지지 부재(S-10 및 S-20) 사이의 거리가 변경될 수 있다. 지지 부재(S-10 및 S-20)는 인장 장치가 레일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 레일(FS) 상에 걸릴 수 있는 가이드 요소(S-11 및 S-21)를 갖는다. 그에 따라, 지지 부재(S-10 및 S-20)에는, 예컨대 전기기계식으로 작동될 수 있는 각각의 클램프(S-12 및 S-22)가 끼워지고, 클램프(S-12, S-22)의 교번적인 록킹 및 그에 상응하는 위치결정 기구(S-30)의 작동에 의해, 레일(FS) 상에서의 인장 장치(S)의 단계적인 이동이 가능하다. 스핀들 구동부(S-31)는 제 1 지지 부재(S-10) 상에 유지되고, 인장 유닛(S-40)은 제 2 지지 부재(S-20) 상에 유지된다. 여기에서, 인장 유닛(S-40)은 초기에는 위치결정 기구(S-30)에 의해 규정되는 경로에 걸쳐 횡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클램프(S-12)는 폐쇄되고, 클램프(S-22)는 개방된다. 이러한 횡단 경로를 넘어선 인장 유닛(S-40)의 추가적인 이동은 클램프(S-22)의 폐쇄 및 클램프(S-12)의 개방에 의해 가능해지고, 그 결과로서 지지 부재(S-10 및 S-20)간의 거리는 위치결정 기구(S-30)의 작동에 의해 다시한번 증가되고, 말하자면, 제 1 지지 부재(S-10)는 제 2 지지 부재(S-20)로부터 멀리 이간된다. 이러한 일이 벌어지면, 이번에는 클램프(S-12)는 폐쇄되고, 클램프(S-22)는 개방되므로, 록킹된 지지 부재(S-10)는 인장 유닛(S-40)의 반복된 전방 이동을 위한 스러스트 접촉부(thrust abutment)로서 기능할 수 있다. 날실(KF)을 재인장하기 위해, 날실은 한편으로는 인장 유닛의 2개의 바아 부재(S-41 및 S-41')와 제 3 바아 부재(S-42) 사이에 수용되고, 제 3 바아 부재는 2개의 바아 부재(S-41 및 S-41') 사이의 개재 공간을 통해 피벗될 수 있다. 이로써, 제 1 및 제 2 바아 부재는 제 3 바아 부재(S-42)로 붙잡은 적어도 하나의 날실(KF)을 위한 정지부를 형성한다. 이후, 이러한 방식으로 재인장된 날실(KF)은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고, 이어서 직기 하니스의 요소에 통경된다.
도 4는 도 3에 따른 가이드 레일(FS) 상의 인장 장치(S)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이 도면에서, 특히 위치결정 기구(S-30)는 명확하게 식별될 수 있고, 클램프(S-12)가 폐쇄되면, 양방향 화살표에 의해 지시된 방향으로 인장 유닛(S-40)을 횡단할 수 있다. 반대로, 클램프(S-22)가 폐쇄되고 클램프(S-12)가 개방된 상태에서 위치결정 기구(S-30)가 작동되면, 스핀들 구동부(S-31)가 더 밀린다. 따라서, 날실층(KFS) 상에서의 인장 유닛(S-40)의 단계적인 전진 이동이 가능하다. 인장 유닛(S-40)이 추적되는 시기에 분리 유닛(E-10)이 비간섭식으로 날실(KF)을 분리할 수 있도록 인장 프레임(R)이 지지 부재(S-10)에 대하여 횡단되면, 계속적인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날실(KF)의 확실한 포착을 위해, 인장 유닛의 두 개의 바아 부재(S-41 및 S-41')가 점점 가늘어지는 자유단을 갖지만, 제 3 바아 부재(S-42)는 날실(KF)의 손상을 피하도록 롤러 형태로 설계된다. 측면도에서 특히 명확하게 식별될 수 있는 인장 장치(S)의 작고 가벼운 구조로 인해, 인장 장치는 특유의 유연함으로 배치되어 통경 장치의 탑재시에 추가적인 기능 유닛의 설치를 위한 공간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인장 장치(S)에 설치되는 통경 장치(E)는 특히 신뢰도 있는 분리 및 그와 동시에 날실(KF)의 통경을 허용한다.
마지막으로 도 5는 도 3에 따른 가이드 레일(FS) 상의 인장 장치(S)의 가능한 실시형태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이미 설명한 구성요소에 더하여, 여기에서는 제 3 바아 부재(S-42)가 날실(KF)에 대하여 어떻게 피벗되는지가 명확하게 식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적은 공간을 취하는 동시에 그 공간에 걸쳐 긴 경로의 간단한 위치결정을 가능하게 하는 편심 기구(S-43)가 제공된다. 인장 장치(S)의 측면도에서, 록킹 요소(S-12)는 더욱 잘 식별될 수 있고(뒤에 놓여서 보이지는 않지만, 록킹 요소(S-22)도 마찬가지임), 각각 지지 부재(S-10 또는 S-20)에 리세스를 제공하고, 클램프(S-12 및 S-22)에 의해 리세스 내에서 연장되는 가이드 레일(FS)에 대하여 폐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인장 장치(S)는 독립적인 유닛으로서 배치될 수 있지만, 게다가 추가적인 기능 요소를 가진 통경 장치의 구조를 위한 고기능 기반을 제공한다. 그 간단한 구조로 인해, 특히 배치에 있어서의 신뢰도 있고 유연한 대처 및 제조 및 유지의 관점에서의 비용 효율이 높아진다. 이러한 이점은 상기 인장 장치를 포함하는 통경기에 있어서도 고유한 것이며, 통경 처리의 품질 및 속도를 현저하게 향상시킨다.
S : 인장 장치 R : 인장 프레임
FS : 가이드 레일 KFS : 날실층
KF : 날실 S-10, S-20 : 지지 부재
S-30 : 위치결정 유닛 S-40 : 인장 유닛
R-10, R-10', S-11, S-11', S-21 : 가이드 요소
S-12, S-22 : 록킹 요소

Claims (16)

  1. 2개의 지지 부재(S-10, S-20)의 서로에 대한 거리가 이들을 연결하는 위치결정 기구(S-30)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며, 이들 지지 부재는 가이드 요소(S-11, S-11', S-21)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그 가이드 요소에 의해 상기 지지 부재(S-10, S-20)가 공통의 가이드 레일(FS)에 해제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그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날실층(warp thread layer)(KFS)의 날실(KF)용 인장 장치(S)로서,
    하나의 상기 지지 부재(S-20)는 적어도 하나의 날실(KF)을 재인장할 목적으로 인장 유닛(S-40)을 지지하고, 상기 지지 부재(S-10, S-20)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FS) 상의 제위치에 상기 지지 부재(S-10, S-20)의 교번적인 고정을 목적으로 록킹 요소(S-12, S-22)가 설치되며, 상기 인장 유닛(S-40)은 위치결정 기구(S-30)의 도움으로 상기 가이드 레일(FS)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인장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유닛(S-40)은 서로 대략 평행하게 정렬된 3개의 바아 부재(S-41, S-41', S-42)를 갖고, 그 중 제 1 및 제 2 바아 부재(S-41, S-41')는 적어도 하나의 날실(KF)에 대한 각각의 정지부를 형성하고, 제 3 바아 부재(S-42)는 상기 날실(KF)을 붙잡아서 재인장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바아 부재(S-41, S-41') 사이를 통해 이동될 수 있는 인장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바아 부재(S-41, S-41', S-42)의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의 하나의 자유단은 점이 되도록 점점 가늘어지는 인장 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바아 부재(S-42)는 편심 기구(S-43)에 의해 이동될 수 있는 인장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요소(S-12, S-22)는 클램핑 또는 래칭 기구를 갖는 인장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 기구(S-30)는 스핀들 구동부(S-31)를 포함하는 인장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S-10, S-20)는 가동 섀시(S-50)에 탑재되는 인장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지지 부재(S-10, S-20) 중 하나는 상기 가동 섀시(S-50)에 고정식으로 연결되는 인장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인장 장치(S)와, 날실층(KFS)을 인장할 목적으로 상기 인장 장치(S)의 상기 가이드 레일(FS)이 연결되어 있는 인장 프레임(R)의 조합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FS)은 상기 인장 프레임(R)의 일부로서 설계되는 조합체.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프레임(R)은 상기 인장 장치(S)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게 탑재되는 조합체.
  12. 직기 하니스(loom harness)의 요소에 날실층(KFS)의 날실(KF)을 통경하는 통경 장치(drawing-in device)(E)로서,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인장 장치(S)와, 재인장된 날실(KF)을 붙잡아서 분리하기 위한 분리 유닛(E-10) 및 분리된 날실(KF)을 직기 하니스의 요소에 통경하기 위한 통경 유닛(E-20)을 포함하고, 상기 분리 유닛(E-10) 및 상기 통경 유닛(E-20)은 상기 인장 유닛(S-40)의 이동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설계되는 통경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유닛(E-10) 및/또는 상기 통경 유닛(E-20)은 상기 인장 유닛(S-40)을 지지하지 않는 지지 부재(S-10) 상에 탑재되는 통경 장치.
  14. 인장 유닛(S-40)이 날실층(KFS) 상에 위치되고, 지지 부재(S-10, S-20)가 가이드 레일(FS) 상의 제위치에 교대로 고정되는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인장 장치(S)로 날실층(KFS)의 날실(KF)을 재인장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지지 부재(S-10, S-20) 사이의 거리를 상기 날실층(KFS)을 따라 상기 인장 유닛(S-40)이 이동하도록 각각 변경한 후에, 계속적인 날실(KF)의 재인장을 수행할 수 있는 날실층의 날실 재인장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날실층(KFS)은, 그 지지 부재(S-10, S-10')가 제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날실층(KFS)을 따르는 상기 인장 장치(S)의 전체적인 연속 이동이 발생하도록, 상기 인장 장치(S)에 대하여 이동되는 날실층의 날실 재인장 방법.
  16.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유닛(S-40)의 이동에 이어 상기 날실층(KFS)을 따라 분리 유닛(E-10) 및 통경 유닛(E-20)이 이동되고, 각각의 경우에 분리된 날실이 직기 하니스의 요소에 통경되는 날실층의 날실 재인장 방법.
KR1020110047204A 2010-05-21 2011-05-19 인장 장치 및 날실층의 날실 재인장 방법 KR2011012824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0405105A EP2388362B1 (de) 2010-05-21 2010-05-21 Spann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Nachspannen von Kettfäden einer Kettfadenschicht
EP10405105.7 2010-05-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8243A true KR20110128243A (ko) 2011-11-29

Family

ID=42732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7204A KR20110128243A (ko) 2010-05-21 2011-05-19 인장 장치 및 날실층의 날실 재인장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2388362B1 (ko)
JP (1) JP5719688B2 (ko)
KR (1) KR20110128243A (ko)
CN (1) CN102575390B (ko)
TW (1) TWI535906B (ko)
WO (1) WO20111437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87988B (zh) * 2017-05-10 2018-07-20 深圳市海弘装备技术有限公司 一种在地面上移动作业的自动穿经装置
CN109778397B (zh) * 2019-02-27 2020-05-19 深圳市海弘装备技术有限公司 穿经机纱线转移装置
JP7255245B2 (ja) 2019-03-08 2023-04-1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子時計、ムーブメントおよびモーター制御回路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479735A (de) * 1968-12-20 1969-10-15 Zellweger Uster Ag Webketteneinziehmaschine
JPH03146742A (ja) * 1989-10-25 1991-06-21 Ckd Corp 糸張り装置
CH681901A5 (ko) 1990-10-23 1993-06-15 Zellweger Uster Ag
DE4214322A1 (de) * 1992-05-04 1993-11-11 Guido Herrmann Gmbh Maschf Vorrichtung zum Einziehen von Kettfäden in die Litzen einer Vielzahl von Schäften
JPH0657595A (ja) * 1992-05-15 1994-03-01 Daiichi Denryoku Kensetsushiya:Kk ドローイング装置
JPH08109552A (ja) * 1994-10-06 1996-04-30 Toudou Seisakusho:Kk 自動筬通し機
CN1083025C (zh) * 1997-09-15 2002-04-17 普费菲孔施陶卜里股份公司 把经纱加到穿经机上的装置
WO2002101132A1 (de) 2001-06-12 2002-12-19 Stäubli Ag Pfäffiko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pannen eines kettfadens
CN101029426B (zh) * 2007-03-22 2010-08-25 王洪 经纱自动化穿综穿筘一体机及其工作方法
CN201172722Y (zh) * 2008-01-17 2008-12-31 宋培彦 一种用于穿经机的自动供片装置
EP2147992B1 (de) * 2008-07-25 2012-11-07 Stäubli AG Pfäffikon Einziehmaschine und Verfahren zum Einziehen von Kettfäden einer Webkette in Elemente eines Webgeschir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575390A (zh) 2012-07-11
JP2011246867A (ja) 2011-12-08
TWI535906B (zh) 2016-06-01
JP5719688B2 (ja) 2015-05-20
EP2388362A1 (de) 2011-11-23
TW201200656A (en) 2012-01-01
EP2388362B1 (de) 2012-12-26
CN102575390B (zh) 2014-08-27
WO2011143787A1 (de) 2011-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91774B (zh) 移動式穿經單元、由移動式穿經單元組成之配置、穿經機、用於將經紗穿經到織造裝具的元件中之方法、以及上述配置之用途
US10472745B2 (en) Weaving machine with an apparatus as well as method for holding, feeding and inserting weft threads in a loom shed
JP4900306B2 (ja) ドローイングマシン
KR20110128243A (ko) 인장 장치 및 날실층의 날실 재인장 방법
US5022128A (en) Method and device for yarn division on a warping machine
AU2016280859A1 (en) Two-dimensional fabric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CN109208158B (zh) 在片梭织机中不使用假边的纬纱操作装置
CZ20024056A3 (cs) Zařízení k výrobě perlinkové tkaniny
JP3221882U (ja) 偽耳を形成しないグリッパ織機の緯糸用切断装置
NL9300748A (nl) Schietspoelloos weefgetouw.
EP3121316B1 (en) Yarn arranging machine
RU2083740C1 (ru) Машина для автоматической проборки основных нитей
US6997215B2 (en) Method for weaving low flaw cloths by means of the elimination of weft thread sections which have irregularities
JP2011246867A5 (ko)
EP1273687A2 (en) Warp rearrangement method and device
JP2001355148A (ja) テリー織機
JP2884438B2 (ja) 自動経糸引き通し機械
EP3507404B1 (en) Device and method for catching and stretching weft threads
JP2008138351A (ja) レピア織機用の捕捉装置及び方法
JPH0480133B2 (ko)
CN115323605A (zh) 一种弹性双层经编面料生产***及其生产工艺
JP2796875B2 (ja) たて糸の筬通し方法
CN118292158A (zh) 一种整经用辅助设备及其使用方法
KR20130126177A (ko) 제직용 종광의 듀플렉스 자동화 장치
SI9200197A (sl) Valovni tkalni stroj s tkalnimi agregat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