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6352A - 편광판의 제조방법 및 편광판 - Google Patents

편광판의 제조방법 및 편광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6352A
KR20110126352A KR1020100045992A KR20100045992A KR20110126352A KR 20110126352 A KR20110126352 A KR 20110126352A KR 1020100045992 A KR1020100045992 A KR 1020100045992A KR 20100045992 A KR20100045992 A KR 20100045992A KR 20110126352 A KR20110126352 A KR 201101263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arizing plate
protective film
film
polarizer
moisture permeab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5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태창
김성민
최주희
Original Assignee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45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26352A/ko
Publication of KR20110126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635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634Production of filters
    • B29D11/00644Production of filters polariz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007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involving treatment or provisions in order to avoid deformation or air inclusion, e.g. to improve surface quality
    • B32B37/0015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involving treatment or provisions in order to avoid deformation or air inclusion, e.g. to improve surface quality to avoid warp or cur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2Polarizing, birefringent, filter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광판의 제조방법 및 편광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편광자의 양면에 투습도가 상이한 보호필름이 접착된 적층체를 폭방향(TD)에 대하여 5 내지 55N/m의 장력을 인가하면서 건조함으로써 상기 편광자 및 보호필름의 수분율에 상관없이 컬, 특히 역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편광판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 편광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편광판의 제조방법 및 편광판{METHOD FOR PREPARING POLARIZING PLATE AND POLARIZING PLATE}
본 발명은 편광자의 양면에 각각 투습도가 상이한 보호필름을 효과적으로 접합함으로써 컬, 특히 역컬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편광판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 편광판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는 액정셀과 상기 액정셀의 양면에 적층된 편광판을 포함하는 액정패널이 구비된다.
일반적으로 편광판은 요오드계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 PVA) 편광자와 상기 편광자의 양면을 보호하기 위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riacetyl cellulose, TAC)로 대표되는 셀룰로오스계 보호필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편광판은 셀룰로오스계 보호필름의 내습열성이 충분하지 못하여 고온·다습한 환경 하에서 편광도, 색상 등과 같은 편광 성능이 저하되기 쉽고, 보호필름과 편광자 간의 계면에서의 내구성이 좋지 못하고 경사방향의 입사광에 대하여 위상차를 만들기 때문에 시야각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단점이 있어, 내열성과 광학적 투명성이 우수한 저투습도의 보호필름으로서 시클로올레핀계 필름, 노르보르넨계 필름,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또는 아크릴계 필름 등의 사용이 제안되었다.
또한, 최근에는 광학특성의 발현과 박막화 등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편광자의 양면에 물성이 서로 상이한 보호필름이 적층된 편광판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의 편광판은 편광자를 기준으로 하여 그 양면이 비대칭이 되므로 제조공정 상에서 편광판에 컬(curl)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편광자의 양면에 투습도가 상이한 필름이 적층되는 경우 더욱 악화된 컬이 발생하고, 그 중에서도 액정셀 쪽으로 오목하게 되는 역컬이 발생하기 쉽다.
이와 같이 역컬이 발생한 편광판은 액정셀과의 접합 시 기포의 발생 또는 들뜸(박리) 현상과 같은 내구성 저하와 외관 불량의 문제를 유발한다. 또한, 편광판은 액정표시장치의 기능 향상, 휘도 향상 및 대형화에 수반하여 핸들링이 요구되므로 컬의 발생은 최대한 억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컬 발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본공개특허 제2005-309394호에는 편광자의 일면에 저투습도 필름을 먼저 접합한 후 다른 일면에 고투습도 필름을 접합하는 편광판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 기술은 접합 공정이 동시에 이루어지지 않아 공정이 복잡하고 생산성도 좋지 못하다.
또한, 일본공개특허 제2009-069624호에는 편광자의 양면에 각각 아세트산셀룰로오스계 보호필름과 시클로올레핀계 필름을 적층하되, 적층 직전의 편광자의 수분율을 8중량% 이상으로 유지하고 적층한 후 장력을 600N/m 이하로 인가하는 편광판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방법은 컬 발생은 억제할 수 있으나 편광자의 수분율을 유지해야 하는 공정 상의 제약이 있다.
본 발명은 편광자의 양면에 각각 투습도가 상이한 보호필름을 접합함에도 상기 편광자 및 보호필름의 수분율과 상관없이 컬, 특히 역컬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편광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추가적인 공정이 없이도 현 공정에서 편광자의 양면에 투습도가 상이한 보호필름을 동시 접합할 수 있는 편광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편광판을 제공하고자 한다.
1. 편광자의 양면에 투습도가 상이한 보호필름이 접착된 적층체를 폭방향(TD)에 대하여 5 내지 55N/m의 장력을 인가하면서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편광판의 제조방법.
2. 위 1에 있어서, 폭방향(TD)에 대하여 5 내지 50N/m의 장력을 인가하면서 수행되는 편광판의 제조방법.
3. 위 2에 있어서, 길이방향(MD)에 대하여 100 내지 1000N/m의 장력을 인가하면서 수행되는 편광판의 제조방법.
4. 위 2에 있어서, 건조는 30 내지 120℃에서 20 내지 1,200초 동안 수행되는 편광판의 제조방법.
5. 위 2에 있어서, 투습도가 상이한 보호필름은 40℃ 및 90%RH에서의 투습도가 200g/㎡·일 초과인 고투습도 보호필름과 40℃ 및 90%RH에서의 투습도가 200g/㎡·일 이하인 저투습도 보호필름인 편광판의 제조방법.
6. 위 5에 있어서, 고투습도 보호필름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인 편광판의 제조방법.
7. 위 5에 있어서, 저투습도 보호필름은 시클로올레핀계 필름, 폴리노르보르넨계 필름, 폴리올레핀계 필름, 아크릴계 필름,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및 폴리이미드계 필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필름인 편광판의 제조방법.
8. 위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편광판.
본 발명에 따르면 편광판의 길이방향(MD)뿐만 아니라 폭방향(TD)에 대하여 인가되는 장력을 최적화함으로써 편광자의 양면에 투습도가 상이한 보호필름이 접합됨에도 상기 편광자와 보호필름의 수분율에 상관없이 편광판의 컬, 특히 역컬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컬 발생을 억제함으로써 편광판과 액정셀과의 접합 시 내구성 저하 또는 외관 불량이 없어, 액정표시장치 및 각종 화상표시장치의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편광자의 양면에 투습도가 상이한 보호필름을 현 공정에서 동시에 접합할 수 있어 생산 면에서도 유리하다.
본 발명은 편광자의 양면에 각각 투습도가 상이한 보호필름을 효과적으로 접합함으로써 컬, 특히 역컬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편광판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 편광판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편광판의 제조방법은 편광자의 양면에 투습도가 상이한 보호필름이 접착된 적층체를 폭방향(TD)에 대하여 5 내지 55N/m의 장력을 인가하면서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편광판은 편광자의 양면에 투습도가 상이한 보호필름이 적층된 구조이다.
편광자는 특정의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나, 통상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에 이색성 물질이 흡착 배향된 것일 수 있다.
편광자를 구성하는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는 폴리아세트산 비닐계 수지를 비누화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폴리아세트산 비닐계 수지로는 아세트산 비닐의 단독 중합체인 폴리아세트산 비닐 이외에, 아세트산 비닐과 이와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와의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아세트산 비닐과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로는 불포화 카르복시산계, 불포화 술폰산계, 올레핀계, 비닐에테르계, 암모늄기를 갖는 아크릴아미드계 단량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는 변성된 것일 수도 있으며, 예를 들면 알데히드류로 변성된 폴리비닐포르말이나 폴리비닐아세탈 등도 사용할 수 있다. 폴리비닐알콜계 수지의 비누화도는 통상 85 내지 100몰%이며, 바람직하게는 98몰% 이상인 것이 좋고, 중합도는 통상 1,000 내지 10,000이며, 바람직하게는 1,500 내지 5,000인 것이 좋다.
편광자는 통상 상기와 같은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이색성 물질로 염색, 붕산 수용액으로 가교, 일축연신, 수세 및 건조하는 공정을 경유하여 제조된다.
편광자의 두께는 통상 5 내지 40㎛일 수 있다.
보호필름은 기계적으로 약한 편광자를 보호하기 위한 필름으로서, 투명성, 기계적 강도, 열안정성, 수분차폐성, 등방성 등이 우수한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편광자의 양면에 접합되는 보호필름으로서 투습도가 서로 상이한 보호필름, 즉 고투습도 보호필름과 저투습도 보호필름이 각각 적용된다.
고투습도 보호필름은 40℃ 및 90%RH에서의 투습도가 200g/㎡·일 초과인 필름으로서, 예를 들면 디아세틸셀룰로오스,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로 이루어진 필름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셀룰로오스계 수지로 이루어진 필름은 통상의 방법으로 비누화(검화) 처리된 필름일 수도 있다. 또한, 시판되고 있는 제품으로서 후지태크 TD80, 후지태크 TD80UF, 후지태크 TD80UZ(후지필름㈜), KC8UX2MW, KC8UY, KC4KR(㈜코니카미놀토옵트)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저투습도 보호필름은 액정셀측에 위치되는 필름으로서, 40℃ 및 90%RH에서의 투습도가 200g/㎡·일 이하인 필름이다. 예를 들면, 시클로올레핀의 개환 중합체, 2종 이상의 시클로올레핀을 이용한 개환 중합체의 수소 첨가물, 시클로올레핀과 쇄상 올레핀 또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핵알킬 치환 스티렌 등과 같은 비닐기를 갖는 방향족 화합물과의 부가 공중합체 등의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이소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피로멜리트산 2무수물과 디아미노디페닐에테르와 같은 방향족 디아민 및 방향족 카르복시산 무수물의 축합반응에 의해 제조된 수지, 이미드 고리 폐쇄 반응에 의해 제조된 수지, 말레산 무수물과 디아미노디페닐메탄과 같은 방향족 디아민으로부터 제조된 수지 등의 폴리이미드계 수지; 고리 개방형 노르보르넨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에 말레산, 시클로펜타디엔 등의 극성기를 도입하여 변성시킨 후 수소화 반응으로 제조된 수지, 노르보르넨의 부가 중합체, 노르보르넨과 에틸렌, α-올레핀 등과 같은 올레핀계 화합물의 부가 공중합체, 노르보르넨과 시클로펜텐, 시클로옥텐, 5,6-디히드로디시클로펜타디엔 등과 같은 환형 올레핀의 부가 중합체 등의 노르보르넨계 수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탄소수 1 내지 6의 폴리-4-메틸펜텐-1과 같은 α-올레핀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진 필름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시클로올레핀계 또는 노로보르넨계 필름이 바람직하며, 시판되고 있는 제품으로서 제오노아(㈜옵테스), 아톤(JSR㈜), 에스시나, SCA40(세키스이 화학㈜)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보호필름은 미연신, 1축 또는 2축 연신된 필름일 수 있으며, 광학 보상 기능을 갖는 필름일 수도 있다. 또한, 이들의 두께는 통상 1 내지 50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0㎛인 것이 좋다.
보호필름은 편광자와의 접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비누화(검화) 처리, 코로나 방전 처리, 플라즈마 처리 또는 접착 용이층 처리 등과 같은 공지의 방법으로 표면 처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편광판은 편광자의 양면에 투습도가 상이한 고투습도 보호필름 및 저투습도 보호필름을 동시에 접착하여 제조된다.
편광자와 보호필름의 접착은 수계 접착제를 매개로 하여 수행된다.
수계 접착제는 편광자와 보호필름을 충분히 접착할 수 있고 광학 투명성이 우수하며 경시적인 변화가 없는 것이면 그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콜계 수지와 가교제를 함유한 접착제 조성물을 들 수 있다.
접착제 조성물에 함유되는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로는 폴리아세트산비닐을 비누화하여 얻어진 폴리비닐알콜과 이의 유도체; 아세트산비닐과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와의 공중합체의 비누화물; 변성 폴리비닐알콜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세트산비닐과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로는 (무수)말레산, 푸말산, 크로톤산, 이타콘산, (메타)아크릴산 등의 불포화 카르복시산 및 이의 에스테르류; 에틸렌, 프로필렌 등의 α-올레핀; (메타)알릴술폰산(소다), 술폰산소다(모노알킬말레이트), 디술폰산소다알킬말레이트, N-메틸올아크릴아미드, 아크릴아미드알킬술폰산알칼리염, N-비닐피롤리돈 및 이의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아세토아세틸기로 변성된 폴리비닐알콜 수지가 반응성이 높은 관능기를 가져 편광판의 내구성을 향상시킨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아세토아세틸기 변성 폴리비닐알콜 수지는 폴리비닐알콜계 수지와 디케텐(diketene)을 공지된 방법으로 반응시켜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를 아세트산 등의 용매 중에 분산시킨 후 여기에 디케텐을 첨가하는 방법,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를 디메틸포름아미드 또는 디옥산 등의 용매에 미리 용해시킨 후 여기에 디케텐을 첨가하는 방법, 또는 폴리비닐알콜에 디케텐 가스 또는 액상 디케텐을 직접 접촉시키는 방법 등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아세토아세틸기를 함유하는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는 아세토아세틸기 변성도가 0.1몰% 이상인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40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몰%, 가장 바람직하게는 2 내지 7몰%인 것이 좋다. 아세토아세틸기의 변성도가 0.1몰% 미만인 경우에는 접착제층의 내수성이 불충분하여 부적합하며, 40몰%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내수성 향상 효과가 미미할 수도 있다.
폴리비닐알콜계 수지의 평균 중합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접착성을 고려하여 평균 중합도가 100 내지 5,000,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4,000인 것이 좋고, 비누화도는 85 내지 100몰%,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00몰%인 것이 좋다.
가교제로는 알데히드 화합물, 수용성 에폭시 화합물, 멜라민계 화합물, 산화 지르코늄 화합물, 아연 화합물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편광자와 보호필름의 접착은 편광자 또는 고투습도 보호필름의 접착면 중 일면 이상, 편광자 또는 저투습도 보호필름의 접착면 중 일면 이상에 각각 수계 접착제를 도포한 후 이들을 접착하는 방법으로 수행된다. 접착제의 도포는 당 분야에서 공지된 방법, 예를 들면 유연법, 마이어 바, 에어 나이프, 그라비아, 리버스 롤, 키스 롤, 스프레이, 블레이드, 다이 코터, 캐스팅, 스핀 코팅 등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수계 접착제는 건조 후 두께가 1㎛ 이하가 되도록 도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편광자의 양면에 각각 고투습도 보호필름과 저투습도 보호필름이 접착된 적층체는 건조 처리를 거치면서 고투습도 보호필름이 편광자에 먼저 접착되고, 동일한 속도로 건조되던 저투습도 보호필름은 완전히 접착되지 않으므로 고투습도 보호필름 측으로 유발되는 기계적인 수축응력에 의해 컬이 발생한다. 발생된 컬은 편광판이 접합되는 액정셀의 반대방향으로 오목해지는 정컬과 편광판이 접합되는 액정셀 쪽으로 오목해지는 역컬로 구분될 수 있는데, 이 중에서 역컬은 편광판과 액정셀 간의 접합 시 내구성 저하를 유발한다. 또한, 편광자는 건조 처리를 거치면서 폭방향(Transverse Direction, TD)으로 수축하게 되는데, 이러한 편광자의 양면에 투습도가 상이한 보호필름이 접착된 경우 수축 시 역컬이 더욱 심각하게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편광자와 보호필름의 적층체를 종래와 같이 적층체의 길이방향(Machine Direction, MD)에 대하여 장력을 가하는 동시에 폭방향(TD) 방향에 대하여 적정 범위의 장력을 인가하면서 건조함으로써 역컬의 발생을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편광자의 양면에 투습도가 상이한 보호필름이 각각 적층된 비대칭 편광판에서 발생하기 쉬운 역컬을 상기 편광판의 폭방향(TD)으로 장력을 인가하여 폭방향(TD)에 대한 편광자수축을 억제함으로써, 고투습도 및 저투습도 보호필름의 수분율, 즉 수분 투습량 차이에 따라 발생되는 역컬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적정량의 정컬을 유도함으로써 역컬 발생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편광판의 폭방향(TD)에 인가되는 장력은 5 내지 55N/m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N/m인 것이 좋다. 장력이 5N/m 미만인 경우 역컬을 억제하는 효과가 미미하여 컬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고, 55N/m 초과인 경우 역컬을 억제할 수는 있으나 일그러짐 현상과 같은 웨이브 컬이 발생하고 접착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동시에, 편광판의 길이방향(MD)에 인가되는 장력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통상 100 내지 1000N/m인 것이 바람직하다. 장력이 100N/m 미만인 경우 공정 상에서 롤과 롤 사이에서 편광판이 중력방향으로 쳐져 미끄러짐으로 인해 공정화가 어렵고, 최종 편광판을 코어에 권취 시에도 스크래치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장력이 1000N/m 초과인 경우 편광판의 찢어짐, 절단, 일그러짐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장력을 인가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텐타 연신기 또는 텐더 롤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라인 상에서 건조 장치 앞구간에 텐타 연신기를 설치하여 연속적으로 입사되는 적층체를 파지(把持)수단으로 고정하여 길이방향(MD)뿐만 아니라 폭방향(TD)에 대하여 장력을 동시에 인가할 수 있다.
건조처리는 당 분야에서 공지된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열풍을 사용하여 건조온도 30 내지 120℃,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00℃에서 건조할 수 있다. 온도가 30℃ 미만인 경우 충분히 건조되지 않아 추후 팽윤으로 인한 편광판의 변형 가능성이 있고 충분한 접착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120℃ 초과인 경우 변색이 일어날 수 있고 편광판의 파단 또는 웨이브 컬이 발생할 수 있다.
건조시간은 20 내지 1,200초일 수 있으며, 생산성 향상을 위해 가능한 시간이 짧은 것이 좋다.
건조 후에는 상온 또는 그 보다 약간 높은 온도, 예를 들면 20 내지 50℃에서 12 내지 600시간 동안 양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편광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편광자의 일면에 40℃ 및 90%RH에서의 투습도가 200g/㎡·일 초과인 고투습도 보호필름이 적층되고, 다른 일면에 40℃ 및 90%RH에서의 투습도가 200g/㎡·일 이하인 저투습도 보호필름이 적층된 구조이다. 특히, 폭방향(TD)으로 적정 범위의 장력이 인가된 상태로 제조되어 역컬의 발생이 억제된 동시에 적정 범위의 정컬이 발생되어, 컬 발생이 최소화된 편광판이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역컬이 발생되지 않는 편광판이다. 또한, 웨이브컬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정컬은 30㎜ 이하, 바람직하게 3 내지 20㎜인 것이 좋다. 이와 같이, 역컬과 정컬이 각각 상기 범위에 해당되는 경우 기포의 혼입과 같은 공정 상의 문제점이 없이 편광판을 액정셀에 보다 용이하게 접합할 수 있다.
또한, 편광판은 저투습도의 보호필름 상에 액정셀과의 접합을 위한 점착제층 및 이형필름이 순서대로 적층된 구조의 점착제 부착 편광판일 수도 있다.
또한, 편광판은 고투습도의 보호필름 상에 하드코팅층, 반사방지층, 방현층, 점착방지층, 확산방지층, 대전방지층 및 눈부심방지층 등의 기능성 처리층이 더 형성된 것일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제조예 1: 편광자 제조
평균 중합도가 2,400이고 비누화도가 99.9몰% 이상인 75㎛ 두께의 폴리비닐알콜 필름(VF-PS, ㈜쿠라레)을 건식으로 약 5배 일축 연신하고, 연신 상태를 유지한 채로 60℃의 물(탈이온수)에 1분 동안 침지한 후, 요오드/요오드화칼륨/물의 중량비가 0.05/5/100인 28℃의 수용액에 60초 동안 침지하였다. 그 후, 요오드화칼륨/붕산/물의 중량비가 8.5/8.5/100인 72℃의 수용액에 300초 동안 침지하고, 26℃의 물로 20초 동안 세정한 후 65℃에서 건조하여 폴리비닐알콜 필름에 요오드가 흡착 배향된 편광자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수계 접착제 제조
물 100중량부에 아세토아세틸기 변성 폴리비닐알콜(Z-200, 일본합성화학공업㈜) 3중량부와 고형분 함량이 30중량%인 수용성 폴리아미드에폭시 수지(SR-650, 스미또모화학㈜) 1.5중량부를 첨가하여 폴리비닐알콜계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제조예 1의 편광자의 양면에 각각 비누화(검화) 처리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필름(KC8UX2MW, ㈜코니카)과 코로나 방전 처리된 시클로올레핀계(COP) 필름(ZB12, 제온사)을 제조예 1의 수계 접착제로 접착하여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적층체에 길이방향(MD)에 대하여 300N/m, 폭방향(TD)에 대하여 10N/m의 장력을 인가하면서 80℃에서 60초 동안 건조하여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폭방향(TD)에 대하여 20N/m의 장력을 인가하여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폭방향(TD)에 대하여 40N/m의 장력을 인가하여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폭방향(TD)에 대하여 장력을 인가하지 않고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폭방향(TD)에 대하여 4N/m의 장력을 인가하여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폭방향(TD)에 대하여 60N/m의 장력을 인가하여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편광판의 물성을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1) 컬량 (㎜)
제조된 편광판을 편광자의 흡수축에 대하여 45°의 방향으로 100㎜×100㎜의 크기로 펀칭하여 시편을 제조하고, 제조된 시편을 평탄면에 놓았을 때 당해 평탄면에서 들려 올려진 공간 거리를 측정하고, 하기 기준에 의거하여 평가하였다. 이때, 정컬은 (+)로, 역컬은 (-)로 표시하였다.
<평가기준>
○: 역컬은 발생하지 않고, 정컬량은 (+)10㎜ 이하임(양호).
×: 역컬이 발생, 정컬량이 (+)30㎜ 초과 또는 웨이브 컬과 접착 불량이 발생함(불량).
구분 보호필름 장력(N/m) 기타
고투습도 저투습도 MD TD 컬량 평가
실시예1 TAC COP 300 10 +0.5 -
실시예2 TAC COP 300 20 +3 -
실시예3 TAC COP 300 40 +4 -
비교예1 TAC COP 300 0 -5 × -
비교예2 TAC COP 300 4 -2 × -
비교예3 TAC COP 300 60 +10 × 웨이브 컬, 접착 불량
위 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폭방향(TD)에 대하여 5 내지 55N/m의 장력을 인가하면서 건조하여 제조한 실시예 1 내지 3의 편광판은 역컬이 발생하지 않고 소량의 정컬이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폭방향(TD)으로 장력을 인가하지 않은 비교예 1 및 소량의 장력을 인가하여 제조한 비교예 2의 편광판은 역컬이 발생하였으며, 과도한 장력을 인가하여 제조한 비교예 3의 편광판은 역컬은 발생하지 않았으나, 웨이브 정컬이 발생하고 접착 불량인 것을 알 수 있었다.

Claims (8)

  1. 편광자의 양면에 투습도가 상이한 보호필름이 접착된 적층체를 폭방향(TD)에 대하여 5 내지 55N/m의 장력을 인가하면서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편광판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폭방향(TD)에 대하여 5 내지 50N/m의 장력을 인가하면서 수행되는 편광판의 제조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길이방향(MD)에 대하여 100 내지 1000N/m의 장력을 인가하면서 수행되는 편광판의 제조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건조는 30 내지 120℃에서 20 내지 1,200초 동안 수행되는 편광판의 제조방법.
  5. 청구항 2에 있어서, 투습도가 상이한 보호필름은 40℃ 및 90%RH에서의 투습도가 200g/㎡·일 초과인 고투습도 보호필름과 40℃ 및 90%RH에서의 투습도가 200g/㎡·일 이하인 저투습도 보호필름인 편광판의 제조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고투습도 보호필름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인 편광판의 제조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저투습도 보호필름은 시클로올레핀계 필름, 폴리노르보르넨계 필름, 폴리올레핀계 필름, 아크릴계 필름,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및 폴리이미드계 필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필름인 편광판의 제조방법.
  8.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편광판.
KR1020100045992A 2010-05-17 2010-05-17 편광판의 제조방법 및 편광판 KR201101263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5992A KR20110126352A (ko) 2010-05-17 2010-05-17 편광판의 제조방법 및 편광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5992A KR20110126352A (ko) 2010-05-17 2010-05-17 편광판의 제조방법 및 편광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6352A true KR20110126352A (ko) 2011-11-23

Family

ID=45395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5992A KR20110126352A (ko) 2010-05-17 2010-05-17 편광판의 제조방법 및 편광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2635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33983B2 (en) 2014-02-05 2017-12-05 Samsung Display Co. Ltd. Polarizing plate comprising an external surface bonded to a glass substrate of a liquid crystal cell without aid of an additional memb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33983B2 (en) 2014-02-05 2017-12-05 Samsung Display Co. Ltd. Polarizing plate comprising an external surface bonded to a glass substrate of a liquid crystal cell without aid of an additional memb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42576B2 (ja) 偏光板の製造方法
JP4975186B1 (ja) 偏光膜の製造方法
TWI477828B (zh) 偏光板及其製造方法
US9400406B2 (en) Liquid crystal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KR102092974B1 (ko) 편광판의 제조 방법
KR101696521B1 (ko) 편광막 및 편광막의 제조 방법
JP5416545B2 (ja) 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13238640A (ja) 偏光子の製造方法、偏光子、偏光板、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WO2013021818A1 (ja) 光学積層体、光学積層体のセットおよびそれらを用いた液晶パネル
KR102556376B1 (ko) 편광판, 화상 표시 장치 및 해당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JP6296107B2 (ja) 積層フィルム、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偏光性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偏光板の製造方法
KR20140029247A (ko) 편광판의 제조 방법
KR20090037825A (ko) 편광판 및 이를 사용한 액정 표시장치
JP2019191551A (ja) 積層体
KR101790108B1 (ko) 편광판
KR101942166B1 (ko) 편광판의 제조 방법
KR20090028445A (ko) 편광판의 제조방법
TWI792083B (zh) 偏光板疊層以及其製造方法
KR20190138786A (ko)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및 화상 표시 장치
JP2006195320A (ja) 偏光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10126352A (ko) 편광판의 제조방법 및 편광판
KR20110119325A (ko) 편광판 및 그 제조방법
JP7161004B1 (ja) 光学積層体
JP2008026516A (ja) 偏光板とその製造方法及び液晶表示装置
KR20120032195A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