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6702A - 송풍장치 및 이 송풍장치를 구비한 공기조화장치 - Google Patents

송풍장치 및 이 송풍장치를 구비한 공기조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6702A
KR20110116702A KR1020100036279A KR20100036279A KR20110116702A KR 20110116702 A KR20110116702 A KR 20110116702A KR 1020100036279 A KR1020100036279 A KR 1020100036279A KR 20100036279 A KR20100036279 A KR 20100036279A KR 20110116702 A KR20110116702 A KR 201101167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eller
blade
air
blower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6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0741B1 (ko
Inventor
김영훈
김정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36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0741B1/ko
Publication of KR20110116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67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0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07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7/00Radial-flow pumps, e.g. centrifugal pumps;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17/08Centrifugal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8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281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fans or blo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8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281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fans or blowers
    • F04D29/282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fans or blowers the leading edge of each vane being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 F04D29/283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fans or blowers the leading edge of each vane being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rotors of the squirrel-cage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22Centrifugal or radial f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전제품이나 기타 제조설비 등에 사용될 수 있는 송풍장치 및 이 송풍장치를 구비한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송풍장치에서 발생되는 와류로 인한 손실을 최소화함으로써 풍압을 향상시키고 정압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송풍장치 및 이 송풍장치를 구비한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송풍장치 및 이 송풍장치를 구비한 공기조화장치{BLOWER AND AIR CONDITIONER WITH THE BLOWER}
본 발명은 가전제품이나 기타 제조설비 등에 사용될 수 있는 송풍장치 및 이 송풍장치를 구비한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송풍장치에서 발생되는 와류로 인한 손실을 최소화함으로써 풍압을 향상시키고 정압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송풍장치 및 이 송풍장치를 구비한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송풍장치(blower 또는 fan)는 공기의 유동을 일으키는 장치로서, 일반적으로 공기의 유동을 일으키는 임펠러(impeller, 날개차)와 임펠러로 유입되고 유출되는 유동을 안내하는 하우징(housing)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송풍장치는 임펠러를 구동시키는 모터와 연결되어, 모터의 구동으로 인해 임펠러가 회전됨으로써 일측의 공기를 타측으로 송풍시킨다.
송풍장치는 공기의 송풍이 필요한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며, 예를 들어 각종 흡·배기시스템이나, 실내의 공기를 냉난방하는 공기조화시스템 등에 주로 사용된다. 또는 컴퓨터용 냉각팬 등 소형시스템에 사용되기도 한다.
송풍장치의 분류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임펠러를 통과하는 유동의 특성에 의한 분류이다. 임펠러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 특성에 따라 송풍장치는 축류형 송풍장치(axial-flow blower)와 반경류형 송풍장치(radial-flow blower)로 구분된다.
축류형 송풍장치는 공기의 유동이 임펠러의 회전축과 평행 방향으로 발생하는 송풍장치로서, 이 경우에는 임펠러 입구와 출구의 유동 방향이 모두 회전축과 일치한다. 프로펠러형 송풍장치, 즉 보통의 가정용 선풍기가 여기에 속한다. 축류형 송풍장치는 가해준 에너지가 주로 유체의 속도를 증가시키는 데 사용되며, 따라서 유량은 많이 필요하나 압력은 그리 필요하지 않은 곳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환기 시스템에서는 단시간에 많은 공기를 배출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주로 고풍량을 구현할 수 있는 축류형 송풍팬이 사용된다.
반경류형 송풍장치는 임펠러를 고속으로 회전시킬 때 생기는 원심력으로 공기를 외부로 밀어낸다. 따라서 원심형 송풍장치라고도 한다. 이러한 원심형 송풍장치는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측 유동은 회전축 방향으로 생성시키지만, 공기가 유출되는 출구측 유동은 회전축에 직각인 반경방향으로 생성시킨다. 이러한 원심형 송풍장치는 원심력에 의한 압력 증가를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송풍하는 공기의 양은 적지만 압력은 높게 생성시키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원심형 송풍장치는 유량보다는 압력이 필요한 곳에 많이 사용된다.
이와 같이 원심형 송풍장치는 고풍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은데, 종래의 원심형 송풍장치는 그 내부에서 발생하는 에너지 손실로 인해 만족스러울 만한 풍압을 얻을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하에서는 종래의 송풍장치의 구조 및 그에 따른 문제점을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종래의 송풍장치에 구비되는 임펠러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7(a)는 종래의 임펠러를 도시하는 평면도 및 측면도이며, 도 7(b)는 종래의 임펠러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임펠러(30)는 허브(31) 및 허브(31)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열되는 여러 개의 블레이드(3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임펠러(30)는 상부에서 바라볼 때 원판 형상을 가지며, 임펠러의 블레이드(31)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므로, 상기 임펠러(30)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임펠러(30)의 상부는 개방되어 있다.
상기 허브(31)에는 모터의 회전축(미도시)이 연결되므로 상기 모터가 구동하면 임펠러(30)가 회전하여 공기를 유동시킨다. 즉, 임펠러(30)가 회전하면 임펠러(30)의 상부측으로부터 공기가 유입되고, 임펠러(30)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으로 인해 공기의 압력이 증가되어 임펠러(30)의 측면으로, 즉 블레이드(33)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토출된다.
한편, 도 7(b)는 상기 임펠러를 이루는 여러 개의 블레이드 중 하나(박스로 표시한 부분)를 확대한 측면도이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임펠러(30)를 구성하는 블레이드(33)의 너비는 임펠러(30)의 상부측(33a), 즉 공기의 유입구측으로부터 임펠러(30)의 하부측(33b)을 향함에 따라 점차 증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형성된 블레이드(33)를 갖는 임펠러(30)는 정압 효율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임펠러(30)의 구체적인 문제점에 대해서는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종래의 임펠러를 구비한 송풍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송풍장치(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임펠러(30)와 상기 임펠러(30)를 내부에 수용하는 팬 하우징(10)으로 구성된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임펠러(30)가 회전하면 공기가 임펠러(30)의 상부측으로 유입되고 임펠러(30)의 측면방향으로 토출되는데, 임펠러(30)에서 토출된 공기는 팬 하우징(10)의 배기구(13) 측으로 유동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작동하는 종래의 송풍장치(20)에 있어서는, 임펠러(30)의 상부측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임펠러(30)의 측면으로 꺾여서 토출되는 과정에서 와류 유동(vortex flow)이 발생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펠러(30)로 유입된 공기는 여러 개의 블레이드(33) 사이를 통과하기 위해 대략 90°정도 만곡되어 흐르게 되는데, 공기의 흐름이 이와 같이 휘어지는 과정에서 블레이드(33)의 상부측 근방에 와류 유동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임펠러(30)에서 발생되는 와류 유동은 공기의 에너지 손실을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에너지 손실로 인해 종래의 송풍장치(20)로는 만족스러운 고풍압을 발생시키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나아가 종래의 송풍장치(20)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이 와류 유동 발생에 의한 에너지 손실이 필연적이므로, 에너지 손실을 감수하더라도 높은 풍압을 얻고자 할 경우 모터의 회전속도를 높여야 하므로, 모터에 과부하가 걸릴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임펠러의 작동시 발생하는 와류 유동을 제거시킴으로써 고풍압을 얻을 수 있으며 정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송풍장치 및 이 송풍장치가 구비한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흡기구와 외부로 공기가 유출되는 배기구가 형성된 팬 하우징, 및, 구동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되는 허브와 상기 허브를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 및 상기 복수 개의 블레이드의 일단과 상기 허브가 고정되는 지지판으로 구성되는 임펠러를 포함하고, 상기 임펠러는 상기 팬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복수 개의 블레이드가 회전됨으로써 상기 흡기구를 통해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함과 아울러 흡입된 공기의 압력을 증가시켜 배출하고,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지지판에 고정되는 일단의 너비가 상기 블레이드의 타단의 너비보다 좁은 송풍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블레이드는 그 너비가 상기 블레이드의 일단부터 타단까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의 너비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구간에서의 블레이드 너비 증가율은 일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의 너비는 상기 블레이드의 일단부터 타단을 따라 상기 블레이드의 내측단이 상기 허브와 점점 가까워지도록 증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블레이드의 외측단은 상기 블레이드의 길이방향에 걸쳐 상기 허브와 동일한 거리를 유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의 타단의 너비와 일단의 너비의 비는 1 초과 1.8 이하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는 그 외측단으로부터 내측단으로 소정의 곡률을 가지고 만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팬 하우징 내부에는 상기 임펠러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분리하여 안내하는 격벽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격벽은 상기 임펠러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상부와 하부로 분리하여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벽은 상기 임펠러의 외측면에서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팬 하우징의 배기구측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흡입구와 토출구를 구비한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는 열교환기, 및,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임펠러 및 상기 임펠러가 실장되고 흡기구와 배기구가 구비된 팬 하우징으로 이루어진 송풍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임펠러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팬 하우징의 흡기구와 근접한 일단의 너비가 타단의 너비보다 넓은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팬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임펠러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분리하여 상기 팬 하우징의 배기구 측으로 안내하는 격벽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송풍장치는 임펠러의 작동시 발생하는 와류 유동이 제거되거나 최소화되므로 와류 발생으로 인한 공기의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송풍장치에 의할 경우 고풍압을 얻을 수 있으며 정압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와류 유동이 거의 제거되어 공기의 에너지 손실이 최소화되므로 적은 구동모터의 동력으로도 높은 풍압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는 와류 유동을 최소화할 수 있는 송풍장치를 구비하므로 고풍압에 의한 강한 공기를 분사할 수 있어 짧은 시간 안에 실내자가 쾌적감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적은 전력의 투입으로 높은 풍압을 발생시킬 수 있어 고효율의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를 우측에서 바라본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장치가 투시되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임펠러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임펠러의 일 실시예 및 블레이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풍장치를 투과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종래의 송풍장치에 구비되는 임펠러를 도시한다.
도 8은 종래의 임펠러를 구비한 송풍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송풍장치를 구비한 공기조화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100)는 그 외형을 형성하는 본체(110)를 구비한다. 본체(110)는 전면이 개방된 후방 캐비닛(120)과, 후방 캐비닛(120)의 전방에 배치되는 전방 캐비닛(1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후방 캐비닛(120)과 전방 캐비닛(130)의 조립되어 형성하는 내부에는 후술할 열교환기, 송풍장치 등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체(110)는 상기 후방 캐비닛(120) 및 전방 캐비닛(130)이 설치되는 베이스(1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후방 캐비닛(120)과 전방 캐비닛(130)은 하단이 상기 베이스(140)의 상면에 올려진 후 나사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후방 캐비닛(120) 및 전방 캐비닛(130)은 베이스(140)에 수직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체(110)는 후방 캐비닛(120)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후방 캐비닛(120)이 개방된 상면을 막는 상면 패널(1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장치 본체(110)의 하부,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전방 캐비닛(130)의 하부에는 실내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구(161, 16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구(161, 162)는 전방 캐비닛(130)의 하부 좌측면에 형성되는 좌측면 흡입구(161)와, 전방 캐비닛(130)의 하부 우측면에 형성되는 우측면 흡입구(16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구(161, 162)는 각각 전방 캐비닛(130)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10)의 하부 전면, 보다 구체적으로 베이스(140)의 전면에는 전면 흡입구(163)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흡입구(16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40)의 전면에서 상면까지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체(110)의 상부, 보다 구체적으로 전방 캐비닛(130)의 상부에는 전면 양측에 공기 토출구(171, 17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구(171, 172)는 전방 캐비닛(130)의 상부 전면 좌측에 형성된 전면 좌측 토출구(171)와, 전방 캐비닛(130)의 상부 전면 우측에 형성된 전면 우측 토출구(17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 좌측 토출구(171) 및 전면 우측 토출구(172)는 각각 전방 캐비닛(130)의 전면 좌측 및 우측에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전방 캐비닛(130)의 상면에는 상면 토출구(173)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면 토출구(173)는 전방 캐비닛(130)의 상면에 좌우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흡입구(161, 162, 163)는 대략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고 토출구(171, 172, 173)는 대략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흡입구 및 토출구의 형성 위치는 상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흡입구(161, 162, 163) 및 토출구(171, 172, 173)의 전부 또는 일부에는 흡입구 내지 토출구의 개도를 조절함과 아울러 공기 흐름의 방향을 안내하는 베인(미도시)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인은 본체(110)에 대해 힌지결합되어 회동하거나,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베인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공기조화장치(100) 내부의 구성을 도 2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를 우측에서 바라본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100)는 흡입구(160; 161, 162, 163) 및 토출구(170; 171, 172, 173)를 구비한 본체(110), 상기 본체(110) 내부에 구비되는 열교환기(180), 및,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임펠러(230) 및 상기 임펠러(230)가 실장되고 흡기구(211)와 배기구(213)가 구비된 팬 하우징(210)으로 이루어진 송풍장치(200)를 포함하고, 상기 임펠러(230)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233)를 포함하며, 상기 블레이드(233)는 상기 팬 하우징의 흡기구(211)와 근접한 일단의 너비가 타단의 너비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팬 하우징(210)의 내부에는 상기 임펠러(23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분리하여 상기 팬 하우징의 배기구(213) 측으로 안내하는 격벽(25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장치의 본체(110)는 외부로부터 본체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흡입구(160)와 본체 내부로부터 외부로 공기를 토출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토출구(170)를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공기조화장치의 본체(110)는 3개의 흡입구(161, 162, 163)와 3개의 토출구(171, 172, 173)를 구비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흡입구(160)와 토출구(170)의 개수를 적절히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본체 및 본체에 구비되는 흡입구와 토출구의 위치 등에 관한 설명은 도 1과 중복되므로 생략한다. 도 2에는 상기 흡입구와 토출구들 중 전면 흡입구(163)와 상면 토출구(173)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기(180)는 전방 캐비닛(130)의 배면과 후방 캐비닛(120)의 전면 사이에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송풍장치(200)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는 열교환기(180)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되어 상기 토출구(170)를 통해 외부로 토출됨으로써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하게 된다. 예를 들어 열교환기(180)에 저온의 냉매가 공급될 경우 열교환기(180)를 통과하는 공기는 열을 빼앗겨서 차가운 공기가 되므로 냉방기류로 사용될 수 있고, 반대로 열교환기(180)에 고온의 냉매가 공급될 경우 공기가 열교환기(180)를 통과하면 난방기류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장치(100)는 공기의 열교환 과정에서 열교환기(180)에 발생하는 응축수를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팬(185)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열교환기(180) 및 드레인팬(185)은 공지의 것이 사용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송풍장치(200)는 공기조화장치 본체(11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송풍장치(200)는 본체(110)의 흡입구(16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을 증가시켜 열교환기(180) 측으로 토출시킬 수 있도록 열교환기(180)보다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송풍장치(200)는 허브(231) 및 복수 개의 블레이드(233)를 구비하여 회전함으로써 원심력에 의해 공기의 압력을 증가시켜 배출하는 임펠러(230)와 이 임펠러(230)를 내부에 수용함과 아울러 흡기구(211) 및 배기구(213)를 구비한 팬 하우징(2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후방 캐비닛(120)의 전면 하부에는 임펠러(200)에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모터(300)가 설치될 수 있다. 구동모터(300)는 허브(231)의 저면과 팬 하우징(210)의 저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팬 하우징(210) 내부에 삽입된 구동모터(300)는 그 회전축(310)이 허브(231)에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 고정됨으로써 임펠러(23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송풍장치(200)의 팬 하우징(210) 내부에는 임페러(23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분리하여 상기 배기구(213)로 안내하기 위한 격벽(25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송풍장치(200)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장치에는 열교환기(180), 송풍장치(200) 이외에 각종 공기 정화 장치(190)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정화 장치(190)는 상기 베이스(140)의 전면 흡입구(163) 상측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필터(191, 192, 193)와, 상기 팬 하우징(210)의 흡기구(211) 측에 설치된 전기 집진기(194)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필터(191, 192, 193)는 공기 중의 먼지를 거르는 하측 프리 필터(191)와, 상기 하측 프리 필터(191) 상측에 설치되어 공기 중의 미세 먼지를 거르는 헤파 필터(192)와, 상기 헤파 필터(192) 상측에 설치되어 공기 중의 냄새 입자나 세균을 제거하는 나노 필터(19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도 1에 도시된 좌측면 흡입구(161)와 우측면 흡입구(162)에도 먼지를 거르기 위한 필터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전기 집진기(194)는 공기 중의 먼지 등을 이온화시키는 전리부(195)와, 상기 전리부(195)에서 이온화된 먼지 등이 포집되는 포집부(196)와, 상기 전리부(195) 및 포집부(196)로 고전압을 인가하는 고전압 발생기(19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장치(100)가 냉난방 운전하는 과정을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공기조화장치(100)에 전원이 인가되어 냉방 또는 난방 운전을 시작하게 되면 상기 구동모터(300)가 구동된다. 구동모터(300)가 구동되면 임펠러(23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송풍장치(200)는 공기 흡입력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실내의 공기는 좌측면 흡입구(161)와 우측면 흡입구(162)와 전면 흡입구(163)를 통해 본체(110)의 내부로 흡입된다.
전면 흡입구(163)를 통해 흡입되는 실내 공기는 하측 프리 필터(191)를 통과하면서 먼지가 걸러지고, 헤파 필터(192)를 통과하면서 미세 먼지가 걸러지게 되며, 나노 필터(193)를 통과하면서 공기 중의 냄세 입자나 세균이 제거된다.
만약 좌측면 흡입구(161) 및 우측면 흡입구(162) 근방에도 필터가 구비될 경우, 상기 좌측면 흡입구(161) 및 우측면 흡입구(162)를 통해 흡입되는 실내 공기에 포함된 부피가 큰 먼지 등이 걸러지게 된다.
이와 같이 정화된 실내 공기는 전기 집진기(194)의 전리부(195)와 포집부(196)를 통과하고, 팬 하우징(210)의 흡입구(211)와 임펠러(230)를 차례로 통과하여 팬 하우징(210)의 배기구(213) 측으로 송풍된다.
팬 하우징의 배기구(213)에서 토출된 공기는 열교환기(180)을 통과하면서 냉매와의 열교환으로 냉각 혹은 가열된다.
상기와 같이 냉각 혹은 가열된 실내 공기의 일부는 상면 토출구(173)를 통해 상기 본체(110)의 상부 전방측으로 송풍되고, 대부분은 전면 좌측 토출구(171)와 전면 우측 토출구(172)를 통해 상기 본체(110)의 전방측으로 송풍된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장치(2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장치가 투시되어 도시된 사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3은 송풍장치를 투시하여 그 구조를 나타내고, 송풍장치의 작동시의 공기의 흐름을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송풍장치(200)는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흡기구(211)와 외부로 공기가 유출되는 배기구(213)가 형성된 팬 하우징(210), 및, 구동모터(미도시)의 회전축(미도시)과 연결되는 허브(231)와 상기 허브(231)를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233) 및 상기 복수 개의 블레이드(233)의 일단과 상기 허브(231)가 고정되는 지지판(235)으로 구성되는 임펠러(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임펠러(230)는 상기 팬 하우징(21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 개의 블레이드(233)가 회전됨으로써 상기 흡기구(211)를 통해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함과 아울러 흡입된 공기의 압력을 증가시켜 배출한다.
상기 팬 하우징(210)은 송풍장치(200)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임펠러(230)를 그 내부에 수용하기 위해 일정한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임펠러(230)를 수용하기 위해 팬 하우징(210)의 높이는 임펠러(230)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팬 하우징(2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임펠러(23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300)를 수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모터(300)는 임펠러의 허브(231) 저면과 팬 하우징(210)의 저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수용된다. 이와 같이 구동모터(300)를 그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팬 하우징(210)은 그 저면 중 일부분이 절개되어 개방되는 수용공을 구비할 수 있다(미도시).
그러나 팬 하우징(210)의 수용공은 임펠러(23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임펠러(230)의 회전시 블레이드(233)를 통하여 토출되는 공기가 팬 하우징(210)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팬 하우징(210)에 있어서 공기가 외부와 소통하는 부분은 흡기구(211) 및 배기구(213)만으로 제한된다.
한편, 팬 하우징(210)의 상면에는 외부로부터 공기가 흡입되는 흡기구(2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기구(211)는 팬 하우징(210) 상면 중 일부분이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는데, 그 직경은 대략 임펠러(230)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흡기구(211) 둘레에는 외부로부터 공기를 원활하게 유입시킬 수 있도록 오리피스(21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리피스(215)는 팬 하우징(210)의 상면보다 약간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펠러(230)를 수용한 부분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팬 하우징(210)의 일측에는 외부로 공기를 토출하는 배기구(213)가 형성될 수 있다. 배기구(213)는 송풍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팬 하우징(210)의 높이와 대략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임펠러(230)는 그 상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임펠러(230)의 상부에는 개방구(239)가 형성될 수 있는데, 임펠러(230)는 개방구(239)가 팬 하우징(210)의 흡기구(211)에 대응되도록 팬 하우징(210)의 내부에 수용된다.
따라서 도 3에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임펠러(230)가 회전하면 팬 하우징(210)의 외부의 공기가 흡기구(211)를 통하여 유입되기 시작하고, 흡기구(211)를 통과한 공기는 임펠러의 개방구(239)를 지나면서 임펠러(230)의 회전으로 인한 원심력에 의해 임펠러(230)의 측면으로 토출된다. 즉, 임펠러(230)의 상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대략 90°정도 휘어져 임펠러(230)의 측면으로 흐르게 되고, 이 공기는 임펠러(230)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233) 사이로 통과하면서 방사상으로 토출된다.
이와 같이 임펠러(230)로부터 토출된 공기는 팬 하우징(210)의 내부면에 의해 가이드되어 팬 하우징의 배기구(21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임펠러(230)의 구체적인 형상 및 구조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임펠러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임펠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임펠러를 상측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임펠러(230)는 구동모터의 회전축(미도시)과 연결되는 허브(231), 상기 허브(231)를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233), 및, 상기 복수 개의 블레이드(233)의 일단과 상기 허브(231)가 고정되는 지지판(235)을 포함할 수 있다.
허브(231)는 구동모터의 회전축(미도시)과 연결되기 위한 것으로서, 임펠러(230)의 회전중심이 된다. 상기 허브(231)는 대략 원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허브(231)는 그 내부에 구동모터(미도시)를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면이 개방된 원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임펠러(230)는 상기 허브(231)를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서로 소정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23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블레이드(233)는 허브(231)의 회전중심에 대해 방사상으로 배열되어 있으므로, 즉 블레이드(233)의 너비 방향이 회전중심으로부터 연장되는 가상의 직선과 직각을 이루지 않도록 배열되므로, 임펠러(230)로 유입된 공기가 복수 개의 블레이들(233) 간에 형성된 틈을 통하여 토출될 수 있다.
블레이드(233)의 구체적인 형상에 대해서는 도 5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 개의 블레이드(233)의 일단은 지지판(235)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235)은 허브(231)의 외주의 외부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블레이드(233)가 안정적으로 위치하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아울러, 지지판(235)은 허브(231)의 외주에 연이어 형성되는 것이므로, 임펠러(230)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임펠러(230)의 하부를 통하여 누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판(235)은 허브(231)의 외주로부터 연장형성된다. 즉 지지판(235)은 허브(23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와 달리 지지판(235)은 허브(231)와 별도로 형성되어 허브(231)의 외주에 부착되는 방식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허브(231)와 지지판(235)에 의하여 임펠러(230)의 하면은 폐쇄되고 임펠러(230)의 상면은 개방되는 형태가 된다. 이러한 임펠러(230)의 구조로 인해 개방되는 임펠러(230)의 상면을 이하에서는 개방구(239)라 칭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임펠러의 개방구(239)는 팬 하우징의 흡기구(211)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므로 팬 하우징의 흡기구(211)로부터 유입된 공기는 임펠러의 개방구(239)를 통과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임펠러(230)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233)의 개방구(239) 측 일단의 외측 테두리를 서로 연결하고 고정할 수 있도록 연결부(237)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237)는 일종의 림(rim) 형태로 형성되어 복수 개의 블레이드(233)의 개방구(239) 측 일단의 외측 테두리를 서로 연결하고 지지한다. 이와 같이 연결부(237)가 상기 지지판(235)과는 별도로 복수 개의 블레이드(233)를 고정시키므로, 임펠러(230)가 고속으로 회전할 경우라 하더라도 복수 개의 블레이드(233)는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임펠러에 구비된 블레이드의 형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임펠러의 일 실시예 및 블레이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5(a)는 임펠러의 측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5(b)는 임펠러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 중 하나의 블레이드를 측면에서 바라본 확대도이며, 도 5(c)는 상기 블레이드를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임펠러에 구비된 복수 개의 블레이드(233)는 상기 지지판(235)에 고정되는 일단(233b)의 너비가 상기 블레이드의 타단(233a)의 너비보다 좁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임펠러(230)가 허브(231)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펠러의 개방구(239)로부터 공기가 유입되어 원심력에 의해 상기 임펠러(230)의 측면, 즉 복수 개의 블레이드(233)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공기의 압력이 증가되어 토출된다.
그런데, 종래의 임펠러의 경우, 임펠러의 상부측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임펠러의 측면으로 꺾여서 토출되는 과정에서 와류 유동(vortex flow)이 발생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임펠러로 유입된 공기는 여러 개의 블레이드 사이를 통과하기 위해 대략 90°정도 만곡되어 흐르게 되는데, 공기의 흐름이 이와 같이 휘어지는 과정에서 블레이드의 상부측 근방에 와류 유동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임펠러에서 발생되는 와류 유동은 공기의 에너지 손실을 유발하게 되므로 만족스러운 고풍압을 발생시키기 어렵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송풍장치(200)는 지지판(235)에 고정되는 일단(233b)의 너비가 타단(233a)의 너비보다 좁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233)를 구비함으로써 임펠러(230)에서 발생하는 상기와 같은 와류 유동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즉,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펠러의 개방구(239) 측의 블레이드의 너비(w1)가 지지판 측의 블레이드의 너비(w2)보다 넓도록 형성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펠러의 개방구(239)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블레이드(233) 측으로 휘어져서 흐르게 되는데, 블레이드(233)에서 상기 개방구(239) 측 근방일수록 유입된 공기의 흐름이 휘어지는 각도가 크다. 반면, 블레이드(233)에서 지지판(235) 측 근방일수록 개방구(239)를 통해 유입된 공기의 흐름이 휘어지는 각도가 완만하게 된다. 즉, 블레이드(233)에서 개방구(239) 측에 가까운 부분 근방일수록 공기의 유동 방향이 급격하게 변하게 되므로, 와류 유동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블레이드(233)는 임펠러의 개방구(239) 측의 블레이드의 너비(w1)가 지지판 측의 블레이드(w2)의 너비보다 넓도록 형성되므로, 개방구(239) 측의 유동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게 된다. 즉, 공기의 유동 방향이 급격하게 변화하기 쉬운 부분 근방의 블레이드(233) 너비를 넓게 함으로써, 유동 방향의 급변으로 인하여 와류가 발생되기 전에 공기의 흐름을 가이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송풍장치(200)는 임펠러(230)를 구성하는 블레이드(233)의 너비를 지지판(235)에 고정되는 일단(233b)보다 타단(233a)이 넓도록 형성함으로써 개방구(239) 측 근방에서 블레이드(233) 상부로 급격하게 꺾이는 공기의 흐름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블레이드(233) 상부 근방에서 와류가 형성되기 전에 공기의 유동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고, 나아가 정압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233)는 그 너비가 상기 블레이드의 일단(233b)부터 타단(233a)까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임펠러의 개방구(239)를 통과하여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은 블레이드(233)의 길이방향을 따라 그 꺾이는 정도가 연속적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블레이드(233)의 너비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구간을 포함하도록 형성함으로써 공기 유동의 방향이 변화하는 비율의 차이에 대해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233)의 너비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구간에서의 블레이드 너비 증가율이 일정하도록 블레이드의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임펠러의 개방구(239)를 통과하여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은 블레이드(233)의 길이방향을 따라 그 꺾이는 정도가 연속적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상기 블레이드(233)의 너비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구간의 너비 증가율을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공기 유동을 가이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의 일단(233b)부터 타단(233b)을 따라 상기 블레이드(233)의 내측단(233i)이 상기 허브(231)와 점점 가까워지도록 블레이드(233)의 너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블레이드(233)의 너비를 증가시킴에 있어서 블레이드의 내측단(233i)이 지지판(235) 측으로부터 개방구(239) 측을 따라 임펠러(230)의 회전중심과 점점 가까워지도록 형성하면, 공기의 유동 방향이 급격하게 꺾이는 부분일수록 블레이드의 내측단(233i)을 공기와 먼저 접촉시키게 할 수 있어, 안정적으로 공기 유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블레이드의 외측단(233o)은 상기 블레이드(233)의 길이방향에 걸쳐 상기 허브(231)와 동일한 거리를 유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블레이드의 내측단(233i)은 블레이드의 일단(233b)으로부터 타단(233a)을 따라 허브(231)와 점점 가까워지도록 하는 반면, 블레이드의 외측단(233o)은 허브(231)와 동일한 거리를 유지하도록 블레이드(233)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블레이드(233)의 너비 증가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음과 아울러, 블레이드(233)의 제조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233)의 부피, 무게 등을 크게 증가시키지 않고도 제조가 가능하다.
한편, 도 5(c)에 도시된 된 바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233)는 그 외측단(233o)으로부터 내측단(233i)으로 소정의 곡률을 가지고 만곡되어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블레이드(233)가 너비 방향을 따라 만곡된 형상을 가지면, 그 형상의 특징으로 인하여 블레이드(233)를 통과하는 공기를 만곡되는 방향으로 밀어내게 된다. 즉, 블레이드(233)가 만곡되는 방향이 임펠러(230)의 회전방향과 일치하면, 임펠러(230)로 유입된 공기가 블레이드(233)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하여 토출될 때 임펠러(230)의 회전방향을 따라 강하게 토출될 수 있다. 따라서 고풍압 및 고풍량을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임펠러(230)는 지지판(235)에 고정되는 일단(233b)의 너비가 타단(233a)의 너비보다 좁은 복수 개의 블레이드(233)를 구비하므로, 임펠러(230)의 작동시 개방구(239)를 통과한 공기의 유동 방향이 급격히 변화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임펠러(230)에서 발생되는 와류 유동이 제거되며, 고풍압을 얻을 수 있고, 정압 효율이 향상된다.
실제로, 본 실시예에 따른 송풍장치(200)와 종래의 송풍장치를 비교하기 위해 시뮬레이션을 실시해본 결과, 임펠러의 회전수 600RPM, 풍량 16CMM(Cubic Meter per Minute, ㎥/m)의 조건 하에서 팬 하우징의 배기구 측 정압과 흡기구 측 정압의 차는 종래의 송풍장치의 경우 88㎩, 본 실시예에 따른 송풍장치(200)의 경우 103㎩로서 본 실시예에 따른 송풍장치(200)가 종래의 경우보다 대략 15㎩ 정도 정압 특성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종래의 송풍장치의 경우 정압효율은 47.50%이었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송풍장치(200)의 경우 54.34%로서 약 12% 정도의 정압효율 향상이 이루어졌다. 여기서 정압효율이라 함은 공기의 동력을 소비전력으로 나눈 값이다.
또한, 지지판에 고정되는 블레이드의 일단(233b)의 너비와 블레이드의 타단(233a)의 너비와의 비를 다양하게 변경하여 시뮬레이션한 결과, 블레이드의 타단(233a)의 너비와 일단(233b)의 너비의 비가 1.0을 초과할 때부터 대략 1.46이 될 때까지 정압 특성 및 정압효율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만, 블레이드의 타단(233a)의 너비와 일단(233b)의 너비의 비가 1.82 이상으로 되면 오히려 블레이드의 지지판 측 일단의 너비가 타단의 너비보다 넓은 경우보다 정압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블레이드의 타단(233a)의 너비와 일단(233b)의 너비의 비가 두 배 이상으로 되면 임펠러(230)의 고속 회전시 블레이드(233)의 강도에 문제가 생길 수 있고, 블레이드(233)의 제조가 어려워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블레이드의 타단(233a)의 너비와 일단(233b)의 너비의 비는 1 초과 1.8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하에서는 고풍압을 얻을 수 있으며 정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풍장치(200)를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풍장치를 투과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 하우징(210) 내부에는 임펠러(23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분리하여 안내하는 격벽(25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팬 하우징(210) 내부에 격벽(250)을 형성하면, 팬 하우징의 흡기구(211)로 유입되어 임펠러(230)의 외주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를 그 유동 방향이 변화하는 정도의 차이에 대응하여 안내할 수 있으므로 임펠러(230)의 외주 근방에서 발생되는 와류 유동을 제거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격벽(250)은 임펠러(23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상부와 하부로 분리하여 안내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임펠러(230)의 외주, 즉 복수 개의 블레이드(233)가 배치되는 부근에서는 팬 하우징의 개방구(239) 측에 가까울수록 개방구(239)로 유입된 공기의 흐름이 꺾이는 정도가 점점 커지게 되며, 이러한 급격한 공기 유동 방향의 변화에 의해 와류 유동이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와 같이 격벽(250)이 임펠러(230) 상부 근방에서 급격하게 꺾이는 공기 유동과 그보다 다소 완만하게 꺾이는 임펠러(230) 하부 근방의 공기 유동으로 분리하여 안내함으로써, 공기 유동 방향의 급격한 변화를 완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격벽(250)은 임펠러(230)의 외측면에서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팬 하우징의 배기구(213) 측으로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임펠러(230)의 회전을 간섭하지 않는 범위에서 임펠러(230)의 외주 부근에 격벽(250)이 형성되어 팬 하우징의 배기구(213)까지 공기의 유동을 안내함으로써 팬 하우징의 배기구(213) 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보다 안정적인 공기 흐름의 분포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송풍장치(200)와 같이 팬 하우징(210) 내부에 격벽(250)을 형성하게 되면, 공기 유동 방향의 급격한 변화를 완화시켜 안내할 수 있게 되어 와류 유동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높은 풍압으로 공기를 송풍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정압효율도 향상될 수 있다.
100 : 공기조화장치 110 : 본체
180 : 열교환기 200 : 송풍장치
210 : 팬 하우징 211 : 흡기구
213 : 배기구 230 : 임펠러
231 : 허브 233 : 블레이드
235 : 지지판 250 : 격벽

Claims (12)

  1.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흡기구 및 외부로 공기가 유출되는 배기구가 형성된 팬 하우징; 및,
    구동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되는 허브, 상기 허브를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 및, 상기 복수 개의 블레이드의 일단과 상기 허브가 고정되는 지지판으로 구성되는 임펠러;를 포함하고,
    상기 임펠러는 상기 팬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복수 개의 블레이드가 회전됨으로써 상기 흡기구를 통해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함과 아울러 흡입된 공기의 압력을 증가시켜 배출하고,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지지판에 고정되는 일단의 너비가 상기 블레이드의 타단의 너비보다 좁은 송풍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그 너비가 상기 블레이드의 일단부터 타단까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구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의 너비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구간에서의 블레이드 너비 증가율은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의 너비는 상기 블레이드의 일단부터 타단을 따라 상기 블레이드의 내측단이 상기 허브와 점점 가까워지도록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의 외측단은 상기 블레이드의 길이방향에 걸쳐 상기 허브와 동일한 거리를 유지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의 타단의 너비와 일단의 너비의 비는 1 초과 1.8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그 외측단으로부터 내측단으로 소정의 곡률을 가지고 만곡되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팬 하우징 내부에는 상기 임펠러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분리하여 안내하는 격벽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임펠러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상부와 하부로 분리하여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임펠러의 외측면에서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팬 하우징의 배기구측으로 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장치.
  11. 흡입구 및 토출구를 구비한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는 열교환기; 및,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임펠러 및 상기 임펠러가 실장되고 흡기구와 배기구가 구비된 팬 하우징으로 이루어진 송풍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임펠러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팬 하우징의 흡기구와 근접한 일단의 너비가 타단의 너비보다 넓은 공기조화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팬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임펠러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분리하여 상기 팬 하우징의 배기구 측으로 안내하는 격벽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KR1020100036279A 2010-04-20 2010-04-20 송풍장치 및 이 송풍장치를 구비한 공기조화장치 KR1016607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6279A KR101660741B1 (ko) 2010-04-20 2010-04-20 송풍장치 및 이 송풍장치를 구비한 공기조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6279A KR101660741B1 (ko) 2010-04-20 2010-04-20 송풍장치 및 이 송풍장치를 구비한 공기조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6702A true KR20110116702A (ko) 2011-10-26
KR101660741B1 KR101660741B1 (ko) 2016-10-10

Family

ID=45030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6279A KR101660741B1 (ko) 2010-04-20 2010-04-20 송풍장치 및 이 송풍장치를 구비한 공기조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074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6890A (ja) * 2002-01-17 2003-07-25 Nippon Densan Corp ファンモータ
KR100590333B1 (ko) * 2004-03-05 2006-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어컨 실내기의 송풍팬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6890A (ja) * 2002-01-17 2003-07-25 Nippon Densan Corp ファンモータ
KR100590333B1 (ko) * 2004-03-05 2006-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어컨 실내기의 송풍팬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0741B1 (ko) 2016-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81844B1 (en) Turbo fan and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using the same
US10330104B2 (en) Air conditioner
KR20180004084A (ko) 공기조화기
KR101931707B1 (ko) 공기조화기
KR20040104772A (ko) 터보팬 및 이를 갖춘 공기조화기
US9335059B2 (en)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EP3372839A1 (en) Blower, outdoor unit, and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KR20100041278A (ko) 원심팬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CN105987022A (zh) 离心风扇及具有该离心风扇的空调机
KR20080054153A (ko) 터보팬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US20140315479A1 (en) Turbo fan and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using thereof
CN107529606B (zh) 空气处理装置、空调室内机、空调室外机及空调器
CN111442368A (zh) 吊顶式空调室内机
JP2004353510A (ja) 遠心送風機及び遠心送風機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
KR20110116702A (ko) 송풍장치 및 이 송풍장치를 구비한 공기조화장치
CN109099006A (zh) 叶轮、风机及轨道车辆
CN109099478B (zh) 油烟分离装置、抽油烟机及油烟净化设备
KR20020047700A (ko) 공기조화기
CN210014447U (zh) 吊顶式空调室内机
CN220377189U (zh) 吹风机
CN210014448U (zh) 吊顶式空调室内机
KR20060135250A (ko) 공기 조화기의 터보팬
KR20070090396A (ko)
CN117536897A (zh) 轴流风机组件、空调室内机及空调器
KR20150077779A (ko) 공기조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