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1167A - 정수장 여과지용 스트레이너 블럭의 제작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작된 스트레이너 블럭 - Google Patents

정수장 여과지용 스트레이너 블럭의 제작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작된 스트레이너 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1167A
KR20110111167A KR1020100030590A KR20100030590A KR20110111167A KR 20110111167 A KR20110111167 A KR 20110111167A KR 1020100030590 A KR1020100030590 A KR 1020100030590A KR 20100030590 A KR20100030590 A KR 20100030590A KR 20110111167 A KR20110111167 A KR 201101111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ner
bottom plate
strainer block
concrete
form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0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4856B1 (ko
Inventor
안창기
안수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거성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거성개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거성개발
Priority to KR1020100030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4856B1/ko
Publication of KR20110111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11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4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48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1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held in a closed container
    • B01D24/14Downward filtration, the container having distribution or collection headers or pervious cond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2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provided in an open container
    • B01D24/24Downward filtration, the container having distribution or collection headers or pervious condui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05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15Combinations of activated sludge treatment with precipitation, flocculation, coagulation and separation of phosph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장 여과지용 스트레이너 블럭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스트레이너 블럭의 상면을 형성할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둘레 방향을 따라 측면판을 조립하여 거푸집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바닥판에 스트레이너 설치용 대롱을 고정하되, 상기 바닥판을 하부로부터 상부로 통과하는 볼트에 스트레이너 설치용 대롱을 체결시키는 단계; 상기 대롱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에 캡을 씌우는 단계; 상기 대롱의 높이까지 상기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진동을 가하여 상기 콘크리트 내의 공기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콘트리트의 상면에 흙손질을 함으로써 표면을 매끄럽게 마감하는 단계; 및 상기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상기 캡을 제거하고 상기 거푸집을 뒤집어 상기 볼트를 제거한 후 상기 거푸집을 스트레이너 블럭으로부터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정수장 여과지용 스트레이너 블럭의 제작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작된 스트레이너 블럭{METHOD FOR PRODUCING A STRAINER BLOCK FOR WATER PURIFICATION PLANT AND STRAINER BLOCK PRODUCED THEREBY}
본 발명은 정수장 여과지에서 여과재를 받치며 여과된 정수를 집수실로 모일 수 있도록 하는 스트레이너 블럭의 제작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작된 스트레이너 블럭에 관한 것이다.
여과지(濾過池)는 정수장(water purification plant)에서 원수(原水)를 처리하는 마지막 단계로서, 문제의 발생 즉시 정수(淨水) 생산을 중단해야 하는 중요한 시설이므로 양질의 정수를 지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꾸준한 개선방안이 강구된다.
여과지의 하부집수장치는 여과지의 기초 시설물의 바닥에 받침보를 설치하고 받침보의 위에 수평으로 스트레이너 블럭을 설치한 후 스트레이너(strainer)를 삽입하는 과정을 거쳐 설치된다.
스트레이너 블럭 위에는 여재(여과자갈, 여과사, 안트라사이트, 활성탄 등)가 설치된다. 여재 위에 원수를 공급하면, 원수가 여재를 통과하는 동안 원수에 포함된 고체 입자 또는 부유물 등이 걸러지게 된다. 정수된 물은 스트레이너를 통과한 후 하부 집수실로 모이게 되며, 소독 처리를 한 후 가정 등으로 용수로서 공급된다.
이러한 스트레이너 블럭의 기존 제작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도 1과 같이 스트레이너 블럭의 형태를 만들 수 있게 거푸집이 마련된다. 거푸집의 바닥면은 스트레이너 블럭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으며, 도 2와 같이 스트레이너를 설치하기 위한 스트레이너 설치용 대롱이 바닥면에 고정된다. 고정용 대롱의 상부 개구는 마개 와셔와 같은 수단에 의하여 콘크리트가 침투하지 않게 형성되어 있다. 마개 와셔 및 고정용 대롱은 스트레이너 설치용 대롱을 관통하는 볼트에 의하여 바닥판에 고정된다.
스트레이너 설치용 대롱이 거푸집의 바닥판에 고정되면,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일정 조건으로 양생을 하게 된다. 도 3은 양생이 완료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 그리고, 도 4와 같이, 각 스트레이너 설치용 대롱에 설치되었던 볼트 및 마개 와셔를 제거한 후 거푸집을 제거하면 스트레이너 블럭이 완성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하면, 스트레이너 설치용 대롱의 상단부 및 볼트머리가 도 3과 같이 콘크리트의 표면에 대하여 돌출되어 있으므로 표면에 대하여 평탄작업을 할 수가 없게 된다. 그 결과, 도 3 및 도 4와 같이 스트레이너 블럭의 표면은 울퉁불퉁한 면을 포함하고 있으며, 기포 자국이 그대로 남아 있게 되어 미관을 현저히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거친 표면에 미생물이 부착 또는 서식하게 될 수 있어 위생을 해칠 위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매끄러운 표면을 갖는 스트레이너 블럭의 제작방법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과 관련된 정수장 여과지용 스트레이너 블럭의 제작방법은, 스트레이너 블럭의 상면을 형성할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둘레 방향을 따라 측면판을 조립하여 거푸집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바닥판에 스트레이너 설치용 대롱을 고정하되, 상기 바닥판을 하부로부터 상부로 통과하는 볼트에 스트레이너 설치용 대롱을 체결시키는 단계; 상기 대롱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에 캡을 씌우는 단계; 상기 대롱의 높이까지 상기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진동을 가하여 상기 콘크리트 내의 공기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콘트리트의 상면에 흙손질을 함으로써 표면을 매끄럽게 마감하는 단계; 및 상기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상기 캡을 제거하고 상기 거푸집을 뒤집어 상기 볼트를 제거한 후 상기 거푸집을 스트레이너 블럭으로부터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바닥판에는 상기 볼트의 나사몸체부가 삽입될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는 그 헤드부가 상기 바닥판의 하면에 걸림된 상태에서 상기 나사몸체부가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대롱의 내주면에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대롱을 바닥판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흙손질은 상기 측면판의 상단에 원봉형의 흙손을 대고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흙손질은 상기 거푸집에 진동을 가한 후 공기가 빠질 수 있는 일정 시간 이상을 경과한 후 시행할 수 있다.
상기 캡은 상기 대롱의 개구에 삽입될 수 있게 형성되는 캡몸체와, 상기 캡몸체의 상단에 플랜지 형태로 연장된 플랜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방법에 의하여 제작된 스트레이너 블럭을 개시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스트레이너 블럭의 제작방법에 의하면, 스트레이너 블럭의 콘크리트의 표면에 흙손질에 의한 마감을 할 수 있게 되므로 스트레이너 블럭의 하면이 울퉁불퉁한 면이 생성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스트레이너 블럭이 매끈하게 되므로 스트레이너 블럭의 표면에 미생물 등이 부착 또는 서식할 수 없게 되므로 여과지 하부집수시설의 청결도를 개선하고, 나아가 정수장의 수질개선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종래의 기술에 의하여 스트레이너 블럭을 제작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사진들이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스트레이너 블럭을 제작하기 위해 거푸집의 바닥판에 고정될 스트레이너 설치용 대롱과, 대롱 마개, 및 대롱의 고정을 위한 볼트를 각각 분리하여 보인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5와 같이 고정된 스트레이너 설치용 대롱을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을 보인 작업 상태도이다.
도 7은 콘크리트의 타설을 완료한 모습을 보인 작업 상태도이다.
도 8은 잠재우기를 시행한 후 흙손질을 하는 모습을 보인 작업 상태도이다.
도 9는 양생이 완료된 후 스트레이너 설치용 대롱으로부터 캡을 제거하는 과정을 보인 작업 상태도이다.
도 10은 거푸집을 뒤집은 상태에서 스트레이너 설치용 대롱을 고정하고 있던 볼트를 제거하는 과정을 보인 작업 상태도이다.
도 11은 완성된 스트레이너 블럭을 보인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스트레이너 블럭의 제작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스트레이너 블럭을 제작하기 위해 거푸집의 바닥판에 고정될 스트레이너 설치용 대롱과, 대롱 마개, 및 대롱의 고정을 위한 볼트를 각각 분리하여 보인 구성도이다. 거푸집(10)은 스트레이너 블럭의 상면을 형성하기 위한 바닥판(11)과 바닥판(11)의 둘레방향을 따라 바닥판(11)에 결합되는 측면판(12)을 포함하고 있다. 스트레이너 블럭은 복수의 스트레이너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들 스트레이너가 설치되기 위한 대롱(20)을 거푸집의 바닥판(11)에 고정한다. 이를 위하여 바닥판(11)에는 각 스트레이너마다 관통홀(11a)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대롱(20)은 관통홀(11a)을 통과하는 각각의 볼트(30)에 의하여 고정된다. 즉, 볼트(30)의 헤드부(31)가 바닥판(11)의 하면에 걸린 상태에서 볼트(30)의 나사몸체부(32)가 관통홀(11a)을 통과한 후 탭이 형성된 대롱(20)의 내주면에 체결된다. 볼트(30)를 단단히 조이면 대롱(20)의 하단이 바닥판(11)에 완전히 밀착되므로 자연적으로 콘크리트의 타설시 대롱(20)의 하단 구멍을 통하여 새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대롱(20)의 고정방식은, 볼트의 헤드부가 대롱의 상단에 걸림된 상태에서 나사몸체부가 대롱을 관통한 후 바닥판에 체결되는 종래의 예(도 2, 3 참조)와 대비된다.
콘크리트 타설시 대롱의 내부로 콘크리트가 들어가지 않도록 대롱(20)의 상단의 개구는 캡(40)에 의하여 밀폐시킨다. 도 5에 의하면, 캡(40)은 대롱(20)의 개구에 삽입될 있게 형성되는 캡몸체(41)와, 캡몸체(41)의 상단에 플랜지 형태로 연장된 플랜지부(42)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캡(40)의 형상은 대롱(20)으로부터의 상단 돌출량을 최소화하여 콘크리트의 상면과의 대롱(20)의 상면을 같은 높이로 맞추기 용이하며, 후에 이어질 흙손질 마감 작업시 평탄한 표면을 얻는데 유용하다. 캡(40)은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될 수 있고 콘크리트의 양생 후에 제거되기 쉽도록 변형성 또는 탄성이 있는 플라스틱류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스트레이너 설치용 대롱(20)이 거푸집(10)의 바닥판(11)에 고정되면 스트레이너 블럭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대롱(20) 사이에 철근(50)을 배근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와 같이 고정된 스트레이너 설치용 대롱을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을 보인 작업 상태도이고, 도 7은 콘크리트의 타설을 완료한 모습을 보인 작업 상태도이며, 도 8은 잠재우기를 시행한 후 흙손질을 하는 모습을 보인 작업 상태도이다.
도 6과 같이 콘크리트는 대롱(20) 및 측면판(12)의 높이까지 타설하며, 콘크리트를 거푸집에 채운 후에는 진동장치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내의 공기(70)를 제거한다. 이 경우, 공기는 상부 방향으로 서서히 진행되어 빠지는 것이므로 일정 시간(예: 30분 정도) 동안 잠재우기를 시행한다. 만약, 공기가 충분히 제거되지 않은 상태에서 흙손질을 하면 추가적으로 빠지는 공기의 구멍이 발생될 수 있다.
잠재우기가 완료되면 콘트리트의 상면에 흙손질을 함으로써 표면을 매끄럽게 마감한다. 이 경우, 도 8과 같이, 흙손질은 측면판(12)의 상단에 흙손(60)을 대고 수평으로 밀어 이동시키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흙손(60)은 캡(40)의 저항을 받지 않고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원봉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흙손질을 하면 공기가 빠지면서 발생한 구멍을 메우는 것과 함께 울퉁불퉁한 표면을 평평하고 매끈하게 만들 수 있다. 특히, 캡(40)의 상단면은 콘크리트(C)의 표면과 거의 동일한 높이로 되어 있으므로 캡(40)에 의하여 흙손질이 방해받지 않는다.
흙손질을 마친 거푸집(10)은 양생실로 옮긴 후 일정 시간 동안 양생과정을 거치도록 한다. 양생시 콘크리트 표면의 균열을 막기 위해 양생실에서는 스팀이 공급될 수 있다.
도 9는 양생이 완료된 후 스트레이너 설치용 대롱으로부터 캡을 제거하는 과정을 보인 작업 상태도이고, 도 10은 거푸집을 뒤집은 상태에서 스트레이너 설치용 대롱을 고정하고 있던 볼트를 제거하는 과정을 보인 작업 상태도이며, 도 11은 완성된 스트레이너 블럭을 보인 부분 단면도이다.
콘크리트의 양생이 종료되면 도 9 및 도 10과 같이 대롱(20)을 막고 있던 캡(40)과 볼트(30)를 제거한다. 도 9와 같이, 캡(40)은 대롱(20)의 구멍을 막는 정도의 힘으로 대롱(20)에 부착된 것으로서, 콘크리트(C)와는 접촉 면적이 상대적으로 작으므로 대롱(20) 및 콘크리트(C)로부터의 분리가 용이하다. 캡(40)의 제거는 볼트(30)가 먼저 제거된 후에 실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볼트(30)는 거푸집(10)을 뒤집은 상태에서 적절한 공구를 이용하여 제거한다. 캡(40)과 볼트(30)가 제거되면 거푸집(10)의 바닥판(11)과 측면판(12)을 해체하여 스트레이너 블럭(1)으로부터 제거한다.
이와 같이 제작된 스트레이너 블럭(1)에는 대롱(20)이 그대로 포함되어 있으므로 여과지에 설치시 각 대롱(20)에 스트레이너를 장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스트레이너 블럭의 제작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작된 스트레이너 블럭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6)

  1. 스트레이너 블럭의 상면을 형성할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둘레 방향을 따라 측면판을 조립하여 거푸집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바닥판에 스트레이너 설치용 대롱을 고정하되, 상기 바닥판을 하부로부터 상부로 통과하는 볼트에 상기 대롱을 체결시키는 단계;
    상기 대롱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에 캡을 씌우는 단계;
    상기 대롱의 높이까지 상기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진동을 가하여 상기 콘크리트 내의 공기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콘트리트의 상면에 흙손질을 함으로써 표면을 매끄럽게 마감하는 단계;
    상기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상기 캡을 제거하고 상기 거푸집을 뒤집어 상기 볼트를 제거한 후 상기 거푸집을 스트레이너 블럭으로부터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수장 여과지용 스트레이너 블럭의 제작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에는 상기 볼트의 나사몸체부가 삽입될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는 그 헤드부가 상기 바닥판의 하면에 걸림된 상태에서 상기 나사몸체부가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대롱의 내주면에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대롱을 바닥판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 여과지용 스트레이너 블럭의 제작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흙손질은 상기 측면판의 상단에 원봉형의 흙손을 대고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 여과지용 스트레이너 블럭의 제작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흙손질은 상기 거푸집에 진동을 가한 후 공기가 빠질 수 있는 일정 시간 이상을 경과한 후 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 여과지용 스트레이너 블럭의 제작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대롱의 개구에 삽입될 수 있게 형성되는 캡몸체와, 상기 캡몸체의 상단에 플랜지 형태로 연장된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 여과지용 스트레이너 블럭의 제작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의하여 제조된 스트레이너 블럭.
KR1020100030590A 2010-04-02 2010-04-02 정수장 여과지용 스트레이너 블럭의 제작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작된 스트레이너 블럭 KR1011148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0590A KR101114856B1 (ko) 2010-04-02 2010-04-02 정수장 여과지용 스트레이너 블럭의 제작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작된 스트레이너 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0590A KR101114856B1 (ko) 2010-04-02 2010-04-02 정수장 여과지용 스트레이너 블럭의 제작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작된 스트레이너 블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1167A true KR20110111167A (ko) 2011-10-10
KR101114856B1 KR101114856B1 (ko) 2012-02-14

Family

ID=45027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0590A KR101114856B1 (ko) 2010-04-02 2010-04-02 정수장 여과지용 스트레이너 블럭의 제작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작된 스트레이너 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485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16797A (zh) * 2018-12-03 2019-02-12 浙江联池水务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可拆钢模整体浇筑滤板
CN112044174A (zh) * 2020-09-15 2020-12-08 孙涛 一种混凝土减水剂制备工艺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59720B1 (fr) 1997-02-19 1999-04-30 Degremont Procede de realisation d'un plancher de filtre pour le traitement des eaux
KR100244628B1 (ko) * 1998-02-24 2000-02-15 유영덕 유공수로관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25613A (ko) * 2000-09-29 2002-04-04 이승형 가정간호 서비스의 제공방법
KR200225613Y1 (ko) * 2000-12-16 2001-06-01 주식회사삼안건설기술공사 급속여과지용 스트레이너블럭
KR100454276B1 (ko) * 2002-04-02 2004-10-28 주식회사 거성개발 여과지의 일체형 하부집수장치 시공방법 및 그 하부집수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16797A (zh) * 2018-12-03 2019-02-12 浙江联池水务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可拆钢模整体浇筑滤板
CN112044174A (zh) * 2020-09-15 2020-12-08 孙涛 一种混凝土减水剂制备工艺
CN112044174B (zh) * 2020-09-15 2021-06-08 荆州市锐利商品混凝土有限公司 一种混凝土减水剂制备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4856B1 (ko) 2012-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127098B (zh) 一种井盖压铸模具
KR101114856B1 (ko) 정수장 여과지용 스트레이너 블럭의 제작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작된 스트레이너 블럭
KR20160093956A (ko) 거푸집의 천공없이 초기가설이 용이한 집수구
CN107100308B (zh) 一种运用可重复使用的马镫筋的混凝土楼板施工方法
CN208853352U (zh) 一种环保型汽车配件清洗装置
EP1878854A3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ttaching a lifting lug to a concrete product
CN201891260U (zh) 吊模板
CN205224585U (zh) 高低差混凝土施工吊模结构
US7553425B2 (en) Screen for swimming pool skimmer and method of using same
CN209443783U (zh) 一种模板清理装置
US7473383B2 (en) Apparatus for forming concrete foundations
CN207930833U (zh) 一种井盖制作台
CN110593170A (zh) 一种钢筋混凝土护栏的模板支护装置及其施工工艺
CN215038687U (zh) 振动式脱模设备
DE69014651T2 (de) In form hergestellter gegenstand mit eingebetteter stütze sowie eine form und ein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olchen gegenstandes.
KR102322913B1 (ko) 우수 처리시스템
CN211362780U (zh) 一种绿色建材用混凝土模具清洗设备
CN210369259U (zh) 承插式排水沟盖板
JP3015825B2 (ja) コンクリート製品用型枠
CN207521289U (zh) 一种建筑工程砂砾多级筛分机
CN209504418U (zh) 模台振捣装置
CN205649918U (zh) 网式斜筛过滤机
GB2455253A (en) Shaker wedge
KR101229008B1 (ko) 상부 가압 구조의 뚜껑을 구비한 초고성능 콘크리트 제작용 거푸집 장치
KR101072391B1 (ko) 정수장 여과지의 하부집수시설 시공방법 및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