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9916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9916A
KR20110099916A KR1020100018933A KR20100018933A KR20110099916A KR 20110099916 A KR20110099916 A KR 20110099916A KR 1020100018933 A KR1020100018933 A KR 1020100018933A KR 20100018933 A KR20100018933 A KR 20100018933A KR 20110099916 A KR20110099916 A KR 201100999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thes
hot air
receiving space
steam
accommodation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8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2281B1 (ko
Inventor
송승현
지은영
김기혁
유민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18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2281B1/ko
Publication of KR20110099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99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2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22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2Lint collec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9/00Supports adapted to retain the shape of particular articles being dried, e.g. incorporating he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05Treatment of dryer exhaust gases
    • F26B25/007Dust filtering; Exhaust dust fil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6Flow or veloc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6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ir ducts, e.g. position of flow diver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16Air properties
    • D06F2105/20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0Blow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4Filtering, e.g. control of lint remov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수용공간으로 공급되는 열풍을 생성하는 열풍발생장치, 상기 열풍발생장치에서 생성된 열풍을 소정 압력 이상으로 상기 의류를 향해 공급하는 노즐장치 및 상기 의류에서 낙하하는 이물질을 수집하는 집진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의류처리장치에 의하면, 보다 효과적을 의류를 리프레쉬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Clothes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의류를 세탁하는 세탁기와 함께 다양한 종류의 의류처리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세탁을 마친 의류를 건조시키는 드럼타입의 건조기, 의류를 걸어두고 건조시키는 캐비닛 타입의 건조기 및 의류에 열풍을 공급하여 의류를 리프레쉬하는 캐비닛 타입의 리프레셔 등이 개발되었다.
그런데, 상기 캐비닛 타입의 의류처리장치는 다양한 문제점을 수반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보다 효과적으로 의류를 클리닝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수용공간으로 공급되는 열풍을 생성하는 열풍발생장치, 상기 열풍발생장치에서 생성된 열풍을 소정 압력 이상으로 상기 의류를 향해 공급하는 노즐장치 및 상기 의류에서 낙하하는 이물질을 수집하는 집진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에서 제거된 이물질을 수집하는 집진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의류를 클리닝하여 발생한 이물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이동분사유닛의 사시도,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및
도 4는 집진장치의 확대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의류처리장치로써 의류를 리프레쉬(refresh)하는 리프레셔(refresher)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후술하는 히트펌프를 구비할 수 있는 기타 장치에도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리프레쉬라 함은 의류를 향해 공기(air), 열풍(heated air)(이하 편의상 총칭하여 '열풍'이라 함)등을 공급하거나, 또는 수분(water), 미스트(mist), 스팀(steam)(이하 편의상 총칭하여 '스팀'이라 함) 등을 제공하여 의류의 구김제거(removing wrinkles), 냄새제거(deodorizing), 살균(sanitizing), 정전기 제거(preventing static electricity) 또는 가열(warming) 등을 수행하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는 의류에는 옷(clothes), 의복(apparel)뿐만 아니라, 신발, 양말, 장갑, 모자, 목도리 등과 같이 사람이 착용할 수 있는 대상과 함께 인형, 수건, 이불과 같이 사람이 사용을 하는 대상을 포함하며, 세탁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대상물을 포함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의류가 수용되는 캐비닛(10)을 구비한다.
캐비닛(10)은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형성한다. 캐비닛(10)의 내부에는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12)을 구비할 수 있다. 수용공간(12)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스팀 및 열풍 등을 공급하는 경우에 리프레쉬 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하여 의류를 거치할 수 있도록 옷걸이(18)를 구비할 수 있다. 의류를 접어서 포개어 수납하지 않고 옷걸이(18)에 걸어 거치함으로써 구김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스팀 또는 열풍 등을 공급하는 경우에 리프레쉬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캐비닛(10)의 소정 위치에는 수용공간(12)의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발생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스팀발생장치는 비록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물을 저장하거나 물이 지나가는 소정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의 물을 가열하는 히터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히터에 의해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스팀발생장치에 의해 공급되는 스팀은 고온이므로 상승하려는 성질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스팀발생장치에 의해 수용공간(12)으로 스팀을 공급하는 경우에 스팀발생장치는 수용공간(12)의 아래쪽에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수용공간(12)의 바닥과 캐비닛(10) 사이의 공간이 기계실(16)을 형성하게 되어 기계실(16)의 내부에 스팀발생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결국, 스팀발생장치는 수용공간(12)의 하부에서 의류를 향하여 스팀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캐비닛(10)의 소정위치에는 수용공간(12)으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발생장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열풍발생장치는 수용공간(12)으로 열풍을 공급할 수 있다. 열풍발생장치에서 공급되는 열풍도 비교적 고온이므로, 수용공간(12)의 아래쪽에 위치한 기계실(16)에 열풍발생장치가 구비되면 공급되는 열풍은 상부의 수용공간(12)으로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다. 열풍발생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은 다양하게 실현 가능한데, 예를 들어 팬을 구비하여 공기를 공급하거나, 히터 등에 의해 공기를 가열하고 제습부에 의해 공기 중의 수분을 제거하여 건조가열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열풍발생장치는 수용공간(12)과 순환덕트(미도시)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수용공간(12)에서 배출된 공기를 가열 및/또는 제습하여 다시 공급하거나, 또는 외부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건조가열공기를 생성하여 수용공간으로 공급하고 수용공간(12)의 공기는 다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한편, 의류처리장치(100)에는 스팀발생장치 및 열풍발생장치에서 공급되는 스팀 및 열풍 중에 적어도 하나를 수용공간(12)으로 공급하는 분사유닛을 구비할 수 있다. 분사유닛은 수용공간(12)의 내측에 고정되어 구비되거나, 또는 의류에 스팀 및 열풍 중에 적어도 하나를 골고루 공급하기 위하여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사유닛은 의류를 따라 상하로 직선 왕복 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분사유닛이 의류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스팀 및 열풍 중에 적어도 하나를 공급하는 경우에 의류의 소정 부위에만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고 의류의 전 부위에 고루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의류를 착용하는 경우에 의류의 전부위가 고르게 더럽혀지기보다는 일부분만 더럽혀지는 경우가 많으며, 예를 들어 의류에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부착되는 경우에도 특정부위에만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와이셔츠와 같은 의류를 착용한 경우에 주름이 많이 발생하게 되는데 특히 팔꿈치, 팔목, 허리 부위 등에 주름이 많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의류의 먼지와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열풍을 공급하거나, 또는 주름을 제거하기 위하여 스팀 및 열풍 중에 적어도 하나를 공급하기에 앞서서 의류의 이물질이 많이 부착된 부위 또는 주름이 많이 발생한 부위(이하 '오염 부위'라 한다)를 감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에 스팀 및 열풍 중에 적어도 하나를 공급하기에 앞서서 의류의 오염 부위를 먼저 감지하는 구성을 구비할 수 있는 바,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처리장치는 수용공간(12)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감지분사유닛(20)을 구비할 수 있다. 이동감지분사유닛(20)은 수용공간(12)의 내부에서 의류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동감지분사유닛(20)은 의류의 오염 부위를 감지하여 스팀 및 열풍 중에 적어도 하나를 공급할 수 있다. 즉, 이동감지분사유닛은 의류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면서 의류의 오염 부위를 감지할 수 있으며, 의류의 오염 부위에 집중적으로 스팀 및 열풍 중에 적어도 하나를 공급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2는 이동감지분사유닛(20)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동감지분사유닛(20)은 수용공간(12)의 내부에서 상하로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몸체부(22)를 구비할 수 있다. 몸체부(22)는 수용공간(12)의 내부에서 상하로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몸체부(22)는 수용공간(12)에 의류가 수용되는 경우에 의류를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몸체부(22)를 수용공간(12)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하는 구성은 다양하게 실현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공간(12)의 내벽과 캐비닛(10) 사이의 공간에 몸체부(22)와 연결되는 이동부재(11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동부재(110)는 둘 이상의 돌출부(112)를 구비할 수 있으며, 돌출부(112)는 수용공간(도 1 참조, 12)의 개구부(13)를 따라 수용공간(12)의 내측으로 소정길이 만큼 돌출되어 몸체부(22)의 홈(23)에 결합될 수 있다. 개구부(13)는 수용공간(12)의 내측을 따라 상하로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캐비닛(10)에는 이동부재(110)와 연결되는 라인(114)과, 라인(114)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구동풀리(120) 및 종동풀리(130), 구동풀리(120)를 회전시키는 모터(140)를 구비할 수 있다. 즉, 모터(140)의 구동에 의해 구동풀리(120)가 회전하게 되며, 구동풀리(120)의 회전에 의해 라인(114)이 상하로 이동하게 되며, 라인(114)과 연결된 이동부재(110) 및 몸체부(22)가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이동부재(110)의 이동을 보다 용이하게 하도록 가이드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이동부재(110)의 일측이 라인(114)에 연결되므로 라인(114)이 연결되지 않은 타측을 가이드하도록 가이드부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몸체부(22)에는 의류를 향해 스팀 및 열풍 중에 적어도 하나를 공급하는 제1 노즐장치(26)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노즐장치(26)는 의류를 감싸도록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절곡된 형상에 의해 몸체부(22)가 의류를 따라 상하로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소정 높이에서 의류의 전방향에서 스팀 및 열풍 중에 적어도 하나를 공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몸체부(22)는 의류를 감싸도록 절곡된 'ㄷ'자 형태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의류를 감싸는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또한, 몸체부(22)에는 의류의 오염 부위를 감지하는 감지부(24)가 구비될 수 있다. 감지부(24)는 몸체부(22)의 안쪽, 즉 의류를 향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의류의 오염 부위를 감지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부(24)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감지부(24)는 의류의 표면을 광학적으로 인식하는 광학센서(242), 광학센서(242)에서 인식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244) 및 저장부(244)에 저장된 정보를 해석하여 의류의 표면에 생긴 오염 부위를 파악하여 제어부(1100)로 오염 부위 정보를 전송하는 연산부(246)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광학센서(242)는 몸체부(22)의 이동에 따라 의류의 표면을 광학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광학센서(242)는 의류의 전 표면을 감지할 수 있도록 몸체부(22)의 절곡된 내주면을 따라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광학센서(242)는 의류의 표면을 광학적으로 인식한 정보를 저장부(244)에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44)는 몸체부(22)에 구비되거나, 또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부에 함께 구비될 수 있다. 저장부(244)에 저장된 정보는 연산부(246)에 의해 판독될 수 있다.
연산부(246)는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를 판독하여 의류의 표면 중에 오염 부위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244)에는 오염되지 않은 의류의 표면을 광학적으로 인식하여 저장된 정보(이하, '클린정보'라 한다)가 미리 저장될 수 있다. 클린정보는 사용자가 오염되지 않은 의류를 수용공간(12)에 저장하고 감지부(24)에 의해 의류의 표면을 인식하여 저장시킬 수 있다. 따라서, 연산부(246)는 오염된 의류의 표면을 인식하여 저장부(244)에 저장된 정보(이하, '착용정보'라 한다)를 미리 저장된 클린정보와 비교하여 의류 표면의 오염 부위를 감지할 수 있다. 의류의 오염 부위가 감지되는 경우에 연산부(246)는 오염 부위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는 연산부(246)에서 전송된 오염 부위 정보에 따라 의류를 향해 스팀 및 열풍 중에 적어도 하나를 공급할 수 있다. 즉, 이동감지분사유닛(20)이 의류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경우에 제1 노즐장치(26)에 의해 의류의 전 방향에서 스팀 및 열풍 중에 적어도 하나를 공급하거나, 또는 의류의 오염 부위를 향해서 집중적으로 스팀 및 열풍 중에 적어도 하나를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노즐장치(26)는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노즐(260) 및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노즐(262)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열풍노즐(262)에 의해 열풍을 공급하는 경우에 소정 압력 이상의 열풍을 공급할 수 있다. 이는 열풍에 의해 의류에 부착된 먼지와 같은 이물질을 떨어뜨려 제거하기 위함이다.
제1 노즐장치(26)는 몸체부(22)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는 몸체부(22)가 상하로 이동하는 경우에 의류의 오염 부위가 발생한 높이에 몸체부(22)를 정지시키고 제1 노즐장치(26)를 통하여 스팀 및 열풍 중에 적어도 하나를 공급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는 오염 부위에만 스팀 및 열풍 중에 적어도 하나를 공급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의류의 오염 부위가 발생한 높이에서 몸체부(22)가 정지된 경우에 제1 노즐장치(26)의 전부에서 스팀 및 열풍을 공급하는 것이 아니라, 오염 부위에 대응하는 제1 노즐장치(26)에서만 스팀 및 열풍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스팀 공급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는 다수개의 스팀노즐(260)을 구비할 수 있으며, 또한 열풍 공급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는 다수개의 열풍노즐(262)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셔츠를 수용공간에 수납한 경우에 감지부(24)에 의해 와이셔츠의 중간 높이의 오른쪽 부위에 오염 부위가 발생하였다고 감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는 이동감지분사유닛(20)을 와이셔츠의 중간 높이로 이동하여 고정시키고 와이셔츠의 오른쪽에 대응하는 스팀노즐(260) 및 열풍노즐(262)에서 각각 스팀 및 열풍을 공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오염이 발생하지 않은 다른 부위로 스팀 및 열풍을 공급하지 않게 되어 에너지를 절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의류처리장치는 수용공간(12)의 소정부위에 고정되어 구비되는 제2 노즐장치(3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제1 노즐장치(26) 및 제2 노즐장치(300)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노즐장치(300)는 수용공간(12)의 소정부위에 움직임이 없도록 고정되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노즐장치(300)는 수용공간(12)의 양 내측벽에 구비될 수 있다. 의류를 향하여 스팀 및 열풍 중에 적어도 하나를 공급하게 되므로 제2 노즐장치(300)는 수용공간(12)의 내측벽에 구비될 수 있다.
제2 노즐장치(300)는 수용공간(12)의 내측벽에 구비되어 스팀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제2 스팀노즐(320) 및 수용공간(12)의 내측벽에 구비되어 열풍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제2 열풍노즐(340)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팀노즐(320) 및/또는 제2 열풍노즐(340)는 의류를 향하여 스팀 및/또는 열풍을 골고루 공급하기 위하여 내측벽을 따라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의류에 부착된 먼지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열풍을 공급하는 경우 의류에서 제거된 먼지 등은 낙하하여 수용공간(12)의 베이스에 쌓일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 의해 의류를 계속해서 리프레쉬 하는 경우에 수용공간(12)의 베이스(14)에 계속해서 먼지 등이 쌓일 수 있다. 이는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청소해야 하는 불편함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에서 낙하하는 먼지와 같은 이물질을 수납하는 집진장치(5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4는 집진장치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집진장치(50)는 수용공간(12)의 베이스(14)에 구비될 수 있다. 집진장치(50)는 베이스(14)의 일측에 치우쳐 구비되기보다는 베이스(14)의 대략 중앙에 구비될 수 있다. 집진장치(50)가 중앙에 구비되어 이물질을 보다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다.
베이스(14)에는 집진장치(50)가 안착되는 안착부(15)를 구비할 수 있다. 집진장치(50)는 안착부(15)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집진장치(50)를 용이하게 제거하고, 장착하기 위하여 손잡이(52)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집진장치(50)에 이물질이 가득 차서 사용자가 집진장치(50)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용이하도록 집진장치(50)는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안착부(15)는 대략 집진장치(50)에 대응하는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오목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걸림턱을 구비할 수 있으며, 집진장치(50)의 둘레를 따라 걸림턱에 대응하는 홈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집진장치(50)를 안착부(15)에 연결하는 경우에 집진장치(50)의 하부가 안착부(15)에 삽입되면서 걸림턱이 홈에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다. 물론, 걸림턱이 집진장치(50)에 구비되고, 홈이 안착부(15)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안착부(15)의 둘레에는 안착부(15)를 향하여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경사부(18)를 구비할 수 있다. 이는 안착부(15)에 집진장치(50)를 연결하는 경우에 경사부(18)에 의해 집진장치(50)를 보다 용이하게 안착부(15)에 삽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안착부(15)의 둘레를 따라 경사부(18)를 구비함으로써 이물질 등이 안착부(15)를 향하여 슬라이딩 또는 구르도록 하여 이물질을 보다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집진장치(5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 살펴본다.
집진장치(50)는 이물질이 흡입되는 흡입구(53)를 구비하는 몸체부(22)를 구비할 수 있다. 흡입구(53)를 통하여 흡입된 이물질은 몸체부(54)의 내부에 수용된다. 사용자가 몸체부(54)의 내부에 수용된 이물질 등을 버릴 수 있도록 몸체부(54)에는 선택적으로 개방 가능한 커버(56)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커버(56)를 개방하여 집진장치(50)의 몸체부(54)의 내부에 수용된 이물질을 버릴 수 있다. 또한, 집진장치(50)는 팬(미도시)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팬은 몸체부(54)의 내부를 향하여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팬에 의해 몸체부(54)의 내부를 향하여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게 되면, 집진장치(50)를 향하여 공기의 유동이 발생하여 이물질 등이 몸체부(54)의 내부를 향하여 빨려들게 된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열풍발생장치는 수용공간(12)으로 공급되는 공기 중의 수분을 응축시켜 제거할 수 있다. 이때, 공기에서 응축되어 제거된 응축수를 집수할 구성을 필요로 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는 집진장치(50)에 응축수를 집수하는 드레인부(58)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열풍발생장치에 연결되는 호스(미도시)를 구비하고, 호스의 소정위치에 펌프 등을 구비하여 열풍발생장치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상기 호스를 통하여 집진장치(50)로 공급할 수 있다. 공급된 응축수는 집진장치(50)의 드레인부(58)에 집수될 수 있다. 드레인부(58)는 몸체부(54)와 일체로 구비되어 단지 응축수를 집수하는 공간을 별도로 가질 수 있다. 또한, 드레인부(58)는 집진장치(50)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응축수를 버리는 경우에 드레인부(58)만 분리하여 용이하게 응축수를 버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Claims (10)

  1.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수용공간으로 공급되는 열풍을 생성하는 열풍발생장치;
    상기 열풍발생장치에서 생성된 열풍을 소정 압력 이상으로 상기 의류를 향해 공급하는 노즐장치; 및
    상기 의류에서 낙하하는 이물질을 수집하는 집진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장치는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에서 상기 의류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노즐장치 및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에 고정되는 제2 노즐장치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노즐장치는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에서 상하로 직선 왕복 운동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장치는 상기 수용공간의 베이스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의 베이스에 상기 집진장치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안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의 둘레에 상기 안착부를 향하여 소정각도로 기울어진 경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장치는
    상기 이물질이 흡입되는 흡입구가 구비되며 내부에 이물질을 수용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내부를 향하여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팬;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장치는 상기 몸체부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커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발생장치는 상기 수용공간으로 공급되는 공기 중의 수분을 응축시켜 제거하며, 상기 집진장치는 상기 열풍발생장치에서 응축된 수분을 집수하는 드레인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부는 상기 집진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100018933A 2010-03-03 2010-03-03 의류처리장치 KR1016722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8933A KR101672281B1 (ko) 2010-03-03 2010-03-03 의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8933A KR101672281B1 (ko) 2010-03-03 2010-03-03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9916A true KR20110099916A (ko) 2011-09-09
KR101672281B1 KR101672281B1 (ko) 2016-11-03

Family

ID=44952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8933A KR101672281B1 (ko) 2010-03-03 2010-03-03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2281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1039A (ko) 2016-11-08 2018-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N109440414A (zh) * 2018-12-28 2019-03-08 杭州武龙体育发展有限公司 一种电动晾衣架
KR20190106448A (ko) * 2018-03-09 2019-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KR102132401B1 (ko) * 2019-04-22 2020-07-09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의류관리기
WO2021112408A1 (ko) * 2019-12-03 2021-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RU2770378C1 (ru) * 2018-09-12 2022-04-15 ЭлДжи ЭЛЕКТРОНИКС ИНК.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одежды и онлайновая система, содержащая так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2534395B1 (ko) * 2022-02-15 2023-05-19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의류 관리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6936Y1 (ko) * 2002-05-30 2002-08-24 전영관 에어샤워식 세탁물 건조기계
JP2003240265A (ja) * 2002-02-18 2003-08-27 Corona Corp 除湿機
KR20070109319A (ko) * 2006-05-10 2007-1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합 세탁장치
KR100839519B1 (ko) * 2007-07-12 2008-06-19 이종범 의류용 먼지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40265A (ja) * 2002-02-18 2003-08-27 Corona Corp 除湿機
KR200286936Y1 (ko) * 2002-05-30 2002-08-24 전영관 에어샤워식 세탁물 건조기계
KR20070109319A (ko) * 2006-05-10 2007-1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합 세탁장치
KR100839519B1 (ko) * 2007-07-12 2008-06-19 이종범 의류용 먼지제거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1039A (ko) 2016-11-08 2018-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190106448A (ko) * 2018-03-09 2019-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RU2770378C1 (ru) * 2018-09-12 2022-04-15 ЭлДжи ЭЛЕКТРОНИКС ИНК.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одежды и онлайновая система, содержащая такое устройство
US11910920B2 (en) 2018-09-12 2024-02-27 Lg Electronics Inc.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and online system
CN109440414A (zh) * 2018-12-28 2019-03-08 杭州武龙体育发展有限公司 一种电动晾衣架
CN109440414B (zh) * 2018-12-28 2021-08-06 江城 一种电动晾衣架
KR102132401B1 (ko) * 2019-04-22 2020-07-09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의류관리기
WO2021112408A1 (ko) * 2019-12-03 2021-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534395B1 (ko) * 2022-02-15 2023-05-19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의류 관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2281B1 (ko) 2016-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38414B2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10099916A (ko) 의류처리장치
US9506185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7707858B2 (en) Washing machine and lint removing apparatus thereof
KR102150442B1 (ko) 의류 처리장치
KR101295383B1 (ko) 의류처리장치
KR20090069755A (ko) 의류처리장치
KR101859958B1 (ko) 의류 처리 장치
KR101155003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191205B1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1710392B1 (ko) 의류처리장치
KR20200028182A (ko) 의류처리장치
KR101832784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80052956A (ko) 의류처리장치
KR20110099913A (ko) 의류처리장치
KR20110099915A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86382B1 (ko) 의류처리장치
KR20200028184A (ko) 의류처리장치
KR101128813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081940B1 (ko) 세탁장치
KR20110137467A (ko) 의류처리장치
AU2014208203B2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00028183A (ko) 의류처리장치
KR20110137466A (ko) 의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