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2956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2956A
KR20180052956A KR1020160150164A KR20160150164A KR20180052956A KR 20180052956 A KR20180052956 A KR 20180052956A KR 1020160150164 A KR1020160150164 A KR 1020160150164A KR 20160150164 A KR20160150164 A KR 20160150164A KR 20180052956 A KR20180052956 A KR 201800529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groove
garment
clothes
pressing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0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9105B1 (ko
Inventor
최준영
최정렬
이민형
남준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0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9105B1/ko
Priority to CN201780068133.4A priority patent/CN109891017A/zh
Priority to US15/809,106 priority patent/US11111624B2/en
Priority to PCT/KR2017/012716 priority patent/WO2018088834A1/en
Priority to JP2019524452A priority patent/JP7123922B2/ja
Priority to EP19200161.8A priority patent/EP3611300B1/en
Priority to EP17201242.9A priority patent/EP3321413B1/en
Priority to EP21195037.3A priority patent/EP3940137A1/en
Publication of KR20180052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2956A/ko
Priority to JP2021083630A priority patent/JP7378441B2/ja
Priority to US17/402,499 priority patent/US11680363B2/en
Priority to US17/402,495 priority patent/US11680362B2/en
Priority to US18/143,930 priority patent/US20230272576A1/en
Priority to JP2023123209A priority patent/JP2023134839A/ja
Priority to KR1020230149205A priority patent/KR202301554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9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91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6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heatable surfaces for contacting the laundr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8Detachable or door-mounted drying arrangements for wash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3Laundry condition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9/00Supports adapted to retain the shape of particular articles being dried, e.g. incorporating heating means
    • D06F59/02Supports adapted to retain the shape of particular articles being dried, e.g. incorporating heating means for gar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1/00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 D06F71/18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specially adapted for pressing particular garments or part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1/00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 D06F71/18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specially adapted for pressing particular garments or parts thereof
    • D06F71/28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specially adapted for pressing particular garments or parts thereof for pressing sleeves, trousers, or other tubular garments or tubular parts of garments
    • D06F71/29Trou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포함된 캐비닛; 상기 수용공간 내부로 공기 또는 수분 중 적어도 하나를 공급하는 공급부; 의류의 구김을 제거하기 위하여 의류를 가압하는 프레셔; 상기 프레셔로 의류를 가압하기 전에 의류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의류를 압박하는 압박부; 상기 압박부에 연결되고,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회전부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세탁, 헹굼, 건조하는 세탁장치, 젖은 의류를 건조하는 건조장치, 의류에 배인 냄새를 제거 또는 구김(wrinkle)을 제거하는 리프레셔(refresher)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종래의 의류처리장치는 회전하는 드럼 내부에 의류를 투입하여 세탁, 건조, 리프레셔를 수행하였다. 그러나, 드럼에서 꺼낸 의류는 구김이 많아서 바로 입을 수 없는 문제, 세탁수를 이용한 잦은 세탁은 의류의 손상을 가져오는 문제,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모터를 구동해야 하므로 에너지 소모가 큰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세탁수를 저장하는 터브 또는 회전하는 드럼을 제거하고, 의류를 거치한 상태에서 스팀 또는 열풍을 공급하여 세탁, 건조, 리프레셔를 수행하는 의류처리장치가 출시되었다.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에 미리 형성된 주름(crease)을 다시 눌러주고, 의류를 사용하여 발생하는 구김을 제거하기 위한 프레셔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프레셔는 의류에 생성된 구김을 제거하기 위하여 의류를 가압함으로써 미리 형성된 주름(crease) 이외에 다른 주름이 생성되어, 의류에 이중으로 주름이 생성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의류의 세탁, 건조, 탈취, 살균, 및 구김제거가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의류에 발생한 구김을 제거하고, 의류의 주름이 선명하도록 의류를 압착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의류에 미리 형성된 주름 외에 다른 주름이 생성되지 않도록 의류를 압착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포함된 캐비닛; 상기 수용공간 내부로 공기 또는 수분 중 적어도 하나를 공급하는 공급부; 의류의 구김을 제거하기 위하여 의류를 가압하는 프레셔; 상기 프레셔로 의류를 가압하기 전에 의류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의류를 압박하는 압박부; 상기 압박부에 연결되고,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회전부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압박부는 바 형상으로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회전부는 회전의 중심이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링크에서 돌출된 닫힘돌기; 상기 링크의 끝단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닫힘돌기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링크에서 돌출된 열림돌기; 상기 닫힘돌기와 상기 열림돌기가 가이드되는 가이드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가이드홈은, 상측으로 갈수록 의류로부터 멀어지는 제1가이드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가이드홈의 하측 끝단에 상기 닫힘돌기가 도달한 경우에, 상기 압박부는 의류를 압박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제1가이드홈의 하측 끝단에서 연결되고, 하측으로 갈수록 의류에서 멀어지는 제2가이드홈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가이드홈은 상기 제1가이드홈의 길이보다 짧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제1가이드홈의 상측 끝단에서 연결되고, 의류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형성된 제3가이드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3가이드홈의 끝단은 상기 제1가이드홈의 상단과 하단의 가상 수평선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압박부가 압박하는 의류를 지지하도록 상기 수용공간에 구비된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하측으로 갈수록 의류에서 가까워지는 돌출부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의류의 세탁, 건조, 탈취, 살균, 및 구김제거가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의류에 발생한 구김을 제거하고, 의류의 주름이 선명하도록 의류를 압착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의류에 미리 형성된 주름 외에 다른 주름이 생성되지 않도록 의류를 압착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고정부(85)를 확대한 도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고정부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회전부의 단면도로, 압박부에 의해서 의류가 가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회전부의 단면도로, 압박부에 의해서 의류에 대한 가압이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4의 A-A를 확대한 단면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돌출부와 압박부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100)는 캐비닛(1)과,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의류수용부(3)와, 수용공간(31)을 개폐하기 위하여 캐비닛(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도어(11)와, 수용공간(31)에 의류를 지지하기 위하여 의류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은 의류처리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으며,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이뤄질 수 있다.
의류수용부(3)는 캐비닛(1) 내부에 위치하여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용공간(31)를 포함할 수 있다.
의류지지부는 수용공간(31) 내부에 구비되는 제1의류지지부(310)와, 도어(11)에 구비되는 제2의류지지부(31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의류지지부(310)는 수용공간(31)의 너비 방향(도어의 너비방향, Y축 방향) 따라 구비되는 바(bar)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제2의류지지부(312)는 의류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한 채 수용공간(31) 내부에 위치되도록 도어(11)의 내측면(11a)에 구비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제2의류지지부(312)는 도어(11)에 고정되는 베이스(54), 베이스(54)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며 도어(11)의 높이 방향(Z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적어도 1개의 지지부(51, 52, 53)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00)는 캐비닛(1) 내부에 수용공간(31)과 분리된 기계실(7)과, 기계실(7)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수용부에 공기 또는 수분 중 적어도 하나를 공급하는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기계실(7)은 수용공간(31)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공급부에 의해 수용공간(31)으로 공급되는 공기는 가열된 공기(heated air, 열풍)이고, 공급부에 의해 수용공간으로 공급되는 수분은 스팀(steam)일 수 있다.
공급부는 수용공간(31)으로 공기(가열된 공기 또는 미가열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71)와 수용공간(31)으로 수분(steam 또는 mist)을 공급하는 수분공급부(7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공급부가 공기공급부(71) 및 수분공급부(72)를 모두 포함하고, 공기공급부(71)는 열풍을 수용공간(31)에 공급하며 수분공급부(72)는 스팀을 수용공간(31)에 공급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공기공급부(71)는 수용공간(31)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덕트(711), 순환덕트(711)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부(713), 수용공간(31) 내부의 공기가 순환덕트(711)를 따라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블로워(715)를 포함할 수 있다.
순환덕트(711)는 수용공간(31)에 구비된 공기배출부(35) 및 공기흡입부(36)를 통해 수용공간(31) 내부와 연통하며, 수용공간 내부의 공기는 공기흡입부, 순환덕트, 공기배출부, 수용공간 순으로 순환된다.
공기배출부(35)와 공기흡입부(36)는 수용공간(31)의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다. 기계실(7) 내부에 구비된 순환덕트(711)의 일단은 공기흡입부(36)에 연결되고, 순환덕트(711)의 타단은 공기배출부(35)에 연결된다.
열교환부(713)는 순환덕트(711)로 유입된 공기의 제습 및 가열을 위하여 히트펌프(heat pump)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열교환부가 히트펌프에 한정될 것은 아니다.
열교환부(713)는 순환덕트(711) 내부에 구비되는 증발기(E), 순환덕트(711) 내부에 위치하는 응축기(C), 순환덕트 외부에 위치하는 압축기(P) 및 팽창기(Ex)로 구비될 수 있다. 증발기(E), 압축기(P), 응축기(C) 및 팽창기(Ex)는 냉매관(714)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압축기(P)는 냉매가 냉매관(714)을 따라 순환될 수 있도록 냉매를 고압으로 압축시키는 수단이고, 증발기(E)는 순환덕트(711) 내부의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냉매를 증발시키는 수단이며, 응축기(C)는 순환덕트(711) 내부의 공기로 열을 방출함으로써 냉매를 응축시키는 수단이다.
블로워(715)는 순환덕트(711) 내부에 위치하여 수용공간(31) 내부의 공기가 순환덕트(711)를 통해 순환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으로 응축기(C)와 공기배출부(35) 사이에 위치하게 될 수 있다.
블로워(715)가 작동하면 순환덕트(711) 내부의 공기는 공기배출부(35)를 통해 수용공간(31)으로 이동하고, 수용공간(31) 내부의 공기는 공기흡입부(36)를 통해 순환덕트(711)로 이동하게 된다.
공기흡입부(36)를 통해 순환덕트(711)로 유입되는 공기는 증발기(E)를 통과하면서 냉각되고, 증발기(E)를 통과한 공기는 응축기(C)를 통과하면서 가열된다.
증발기(E)를 통과하면서 공기가 냉각되면 공기에 함유된 수분은 제거되며(제습), 공기에서 제거된 수분(응축수)는 증발기의 표면이나 순환덕트 내부에 잔류하게 된다.
의류처리장치(100)는 증발기(E)에 의해 발생되는 응축수를 제거하기 위한 배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배수부는 순환덕트(711) 내부에 응축수가 잔류하여 열교환부(713)의 열교환 효율을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한다.
배수부는 기계실 도어(74)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배수탱크(745), 순환덕트(711) 내부의 응축수를 배수탱크(745)에 공급하는 배수관(747) 및 배수펌프(749)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분공급부(72)는 기계실(7) 내부에 구비되는 저장부(721), 저장부(721) 내부에 구비되는 히터(725), 저장부(721)를 수분배출부(37)에 연결하는 수분공급관(727)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저장부(721)는 물이 저장되는 수단이고, 히터(725)는 저장부(721) 내부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여 물을 스팀으로 변환시키는 수단이며, 수분공급관(727)은 저장부(721) 내부의 스팀을 수용공간(31)으로 안내하는 수단이다.
저장부(721)는 급수부를 통해 물을 공급받는데, 급수부는 기계실 도어(74)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 급수탱크(743)로 구비될 수 있다.
저장부(721)에는 기계실 도어(74)가 기계실(7)을 폐쇄하면 급수탱크(743)에 연결되고, 기계실 도어(74)가 기계실(7)을 개방하면 급수탱크(743)에서 분리되는 연결관(723)을 더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급수탱크(743)를 기계실 도어(74)에 착탈 가능한 형태로 구비시킨 것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가 급수원(미도시)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는 경우를 고려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의류가 수용공간(31) 내부에서 곧게 펴진 상태를 유지시키면서 열풍과 스팀을 공급하므로 스팀이나 열풍의 공급이 완료된 뒤 의류에 구김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에 발생된 구김을 제거하거나 의류에 미리 설정된 주름을 뚜렷하게 하는 프레셔(9)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서(9, presser)는 수용공간(31)으로 공급되는 스팀과 열풍을 이용하여 의류에 발생된 구김을 제거하거나 의류에 미리 설정된 주름을 고정시킬 수 있다.
프레셔(9)는 수용공간(31) 내 어느 위치에나 구비될 수 있는데, 도 1은 도어(11)의 내측면(11a)에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프레셔(9)는 도어(11)의 내주면에 구비되어 의류가 지지되는 공간(지지공간)을 제공하는 지지부(91)와, 지지부(91) 또는 도어(1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지지부(91)에 위치된 의류를 가압하는 압축부(93)로 구비될 수 있다.
지지부(91)는 수용공간(31)을 향하는 도어(11)의 표면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도어(11)의 표면에 고정되는 별도의 부재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은 지지부(91)가 도어(11)의 표면에 고정되는 별도의 지지바디(911)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압축부(93)는 도어(11)의 내주면 또는 상기 지지바디(91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압축바디(931), 압축바디(931)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수용공간(31)으로 유입된 스팀이나 열풍을 지지바디(911)에 거치된 의류에 공급하는 바디관통홀(933)로 구비될 수 있다.
압축바디(931)의 일단은 도어(11)나 지지바디(9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압축바디(931)의 타단(자유단)은 도어(11)나 지지바디(91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압축바디(931)는 체결부(971, 973)에 의해 도어(11)의 내주면에 착탈 가능하다. 체결부는 도어(11)와 압축바디(931)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착탈홈(971)과, 도어(11)와 압축바디(931)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며 상기 착탈홈(971)에 결합되는 체결돌기(973)로 구비될 수 있다.
옷걸이(200)의 고리(H)를 제2의류지지부(5)에 거치시킴으로써 바지와 같은 의류가 펼쳐진 상태로 지지바디(911)의 표면에 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지지바디(911)의 표면에 의류가 거치되면, 사용자는 압축바디(931)를 지지바디(911) 방향으로 회전시켜 체결부(971, 973)를 통해 압축바디(931)와 지지바디(911)를 결합시킨다. 의류가 지지바디(911)와 압축바디(931) 사이에서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공기공급부(71)나 수분공급부(72)가 수용공간(31) 내부로 열풍이나 스팀을 공급하면, 수용공간(31) 내부의 열풍이나 스팀은 바디관통홀(933)을 통해 의류에 공급된다.의류에 발생된 구김의 제거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의류에 미리 설정된 주름은 뚜렷해지게 만드는 효과가 있다.
한편, 바지와 같은 의류의 경우 봉제선(Sewing Line)이 존재하는데 프레셔(9)가 상술한 구조만으로 구비되면 봉제선에 의해 의류에 불필요한 주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프레셔(9)에는 지지바디(911)와 압축바디(93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봉제선과 같은 의류의 일부영역이 압축되지 않도록 하는 홈(913, 935 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1은 상기 홈이 지지바디(911)에 구비되는 지지바디 홈(913), 압축바디(931)에 구비되는 압축바디 홈(937)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지지바디 홈(913)은 도어의 높이 방향(Z축 방향)을 따라 구비되되 지지바디(911)의 표면이 오목하게 절곡되어 구비될 수 있다. 지지바디 홈(913)은 지지바디(911)의 표면이 수용공간(3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절곡되어 구비될 수 있다.
압축바디 홈(937) 역시 도어(11)의 높이 방향(Z축 방향)을 따라 압축바디(931)의 표면이 지지바디(911)에서 멀어지는 방향(수용공간(31)을 향하는 방향)을 향해 오목하게 절곡되어 구비될 수 있다.
지지바디 홈(913)은 지지바디(911)의 중앙에 위치되고, 압축바디 홈(937)은 압축바디(931)의 중앙에 위치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고정부(85)를 확대한 도면을 도시한 것이다.
사용자는 의류에 구비된 봉제선을 지지바디 홈(913)이나 압축바디 홈(937)에 위치시킨 뒤 압축바디(931)를 지지바디(911) 방향으로 회전시켜, 압축바디(931)를 지지바디(911)에 결합시켜서 의류를 가압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의류의 위치가 변경되어 의류에 불필요한 주름이 생성되는 문제가 있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 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지지바디(911)에 위치한 의류를 압축바디(931)로 가압하기 전에 의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85)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의류의 봉제선을 지지바디 홈(913)에 위치시키고, 의류에 기설정된 주름을 맞춘 후 고정부(85)를 통해 의류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압축바디(931)를 지지바디(911)에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의류의 봉제선이 지지바디 홈(913)에서 이탈되거나, 의류에 이중주름이 발생되는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고정부(85)는 프레셔(9)의 하부에서 설치될 수 있다. 프레셔(9)가 도어(11)의 내측면(11a)설치된 경우에는 고정부(85)도 도어(11)의 내측면(11a)에서 프레셔(9)의 하측에 설치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고정부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고정부(85)는, 의류를 압박하는 압박부(851)와, 압박부(851)에 연결되고, 수용공간(31) 내부에 회전부(855)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링크(853)로 구성될 수 있다.
압박부(851)는, 지지바디(911)에 위치한 의류를 압축바디(931)로 가압하기 전에, 의류의 위치 및 형상이 변형되지 않도록 의류의 일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압박부(851)는, 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바 형상의 압박부(851)이 의류의 일면을 가압하여 의류가 원래의 위치를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의류는 도어(11)의 내측면(11a)과 압박부(851)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된다.
링크(853)는, 일단이 압박부(851)에 연결되어 있으며, 타단은 수용공간(31)의 내주면 또는 도어(11)의 내측면(11a)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링크(853)는 수용공간(31)의 내주면 또는 도어(11)의 내측면(11a)에 회전부(855)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링크(853)은 의류처리장치의 높이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 경우, 링크(853)의 회전축은 지면에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다.
링크(853)의 타단을 회전중심으로 링크(853)의 일단에 연결된 압박부(851)는 의류처리장치의 높이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링크(853)의 회전에 따라서 압박부(851)는 수용공간(31)의 내주면 또는 도어(11)의 내측면(11a)과 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사용자는 압박부(851)에 외력을 가해 압박부와 링크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압박부(851)과 도어의 내측면(11a) 사이는 간격이 발생하며, 이 간격 사이에 의류를 인입하고, 압박부(851)에 작용하는 외력을 제거하면, 압박부(851)는 도어의 내주면과 사이에 의류를 가압하여 의류의 위치 또는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링크(853)는 직선 형상의 막대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의류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한 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링크(853)는 의류의 좌측/우측에 각각 좌측 링크 및 우측 링크로 2개로 이뤄질 수 있으며, 압박부의 양단은 좌측 링크과 우측 링크에 각각 연결될 수 있고, 좌측 링크와 우측 링크는 각각 도어에 회전부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한편, 회전부(855)는, 링크(853)을 수용공간(31) 또는 도어(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 5는 도어(11)의 내주면에 회전부(855)가 구비된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어(11)에 회전부(855)가 구비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일 예에서, 회전부(855)는 링크를 도어(11)에 회전축이 움직이지 않는 고정 회전축으로 연결하고, 링크 또는 압박부를 도어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재(미도시)가 구비되어, 의류를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일 예에서, 회전부(855)는 링크를 도어(11)에 회전축이 움직일 수 있는 유동 회전축으로 연결하고, 별도의 체결부재가 없이 의류를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유동 회전축을 가지는 회전부(855)에 대하여 설명한다.
일 예에서, 회전부(855)는 링크에서 돌출된 닫힘돌기(8551)와, 닫힘돌기(8551)에서 이격되고 링크에서 돌출된 열림돌기(8553)와, 닫힘돌기(8551)와 열림돌기(8553)가 가이드되는 가이드홈(8572)으로 이뤄질 수 있다.
닫힘돌기(8551)는 링크의 측면 끝단에 구비될 수 있으며, 링크의 측면이란 의류를 바라보는 면의 반대쪽 면을 의미할 수 있다.
열림돌기(8553)는 링크의 측면 끝단에서, 닫힘돌기에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열림돌기(8553)은 닫힘돌기 보다 상대적으로 링크의 끝단에서 멀게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홈(8572)는 닫힘돌기(8551)과 열림돌기(8553)가 삽입되어 내부를 이동 가능하게 소정의 공간을 제공하며, 닫힘돌기(8551)과 열림돌기(8553)의 이동을 가이드하며,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회전부의 단면도로, 압박부에 의해서 의류가 가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가이드홈(8572)는 도어(11)의 내측면에 직접 구비될 수도 있고, 또는 도어(11)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별도의 가이드(857)에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가이드홈이 가이드(857)에 구비된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가이드(857)는 도어의 내측면(11a)에 구비된 가이드 체결부(11b)에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 체결부(11b)는 프레셔의 하측에 도어의 양단 내주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가이드(857)가 인입될 수 있도록 오목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홈(8572)는 가이드(857)에서 의류를 바라보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홈(8672)에 닫힘돌기 및 열림돌기가 삽입되어 가이드되면, 링크는 가이드보다 도어의 중심부에 가깝게 구비된다.
닫힘돌기(8551)와 열림돌기(8553)가 가이드홈(8572)에 삽입된 경우에, 닫힘돌기(8551)는 열림돌기(8553)보다 하측에 놓이도록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홈(8572)은, 의류처리장치의 높이방향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의류로부터 멀어지는 제1가이드홈(857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가이드홈(8573)은 도어에 상대적으로 경사지게 구비되며, 닫힘돌기와 열림돌기가 직선 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제1가이드홈(8573)은 닫힘돌기(8551)와 열림돌기(8553)를 의류처리장치의 높이 방향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닫힘돌기와 열림돌기가 하측으로 제1가이드홈에 의해서 가이드될수록, 링크(853) 및 압박부(851)는 하측으로 이동하고 의류와 간격이 좁아질 수 있으며, 압박부(851)은 의류를 가압할 수 있다.
제1가이드홈(8573)의 하측 끝단에 닫힘돌기(8551)가 도달한 경웨 압박부(851)는 의류를 압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반대로, 닫힘돌기와 열림돌기가 상측으로 제1가이드홈에 의해서 가이드될수록, 링크 및 압박부는 상으로 이동하고 의류와 간격이 넓어질 수 있으며, 의류에 대한 압박부의 가압이 해제되어 의류의 위치 및 형태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닫힘돌기(8551)와 열림돌기(8553) 사이의 거리는 제1가이드홈(8573)의 길이보다 짧게 구비되어, 제1가이드홈(8573)에 의해서 닫힘돌기(8551)와 열림돌기(8553)가 함께 직선 운동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제공한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가이드홈(8572)은, 제1가이드홈(8573)의 하측 끝단에서 연결되고, 하측으로 갈수록 의류에서 멀어지는 제2가이드홈(857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가이드홈(8575)은 도어에 상대적으로 경사지게 구비되며, 닫힘돌기(8551)이 직선 운동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제2가이드홈(8575)와 제1가이드홈(8573)은 서로 연통하도록 구비되며, 제1가이드홈 내부에서 가이드되는 닫힘돌기(8551)은 제2가이드홈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제1가이드홈과 제2가이드홈이 만나는 부분에서부터 각각의 가이드홈은 멀어질수록 도어에 상대적으로 멀어지게 구비될 수 있다.
제2가이드홈(8575)의 길이는 제1가이드홈(8573)의 길이보다 짤게 구비된다. 또한, 제2가이드홈(8575)의 길이는 닫힘돌기(8551)과 열림돌기(8553)의 사이 길이보다 짧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가이드홈(8573) 내부에서 가이드되는 닫힘돌기와 열림돌기에서, 닫힘돌기(8551)만 제2가이드홈 내부에 의해서 가이드되며, 열림돌기(8553)는 제2가이드홈 내부에 인입하지 못하고 제1가이드홈 내부에만 가이드된다.
닫힘돌기(8551)가 제1가이드홈(8573)의 내부에서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다가, 제1가이드홈의 끝단에 연결된 제2가이드홈의 내부로 인입되는 순간에, 압박부(851)가 도어에 가까워지도록 링크(853)는 의류측으로 회전한다. 압박부는 의류의 위치나 형태가 변하지 않도록 의류를 가압하게 된다.
제2가이드홈(8575)으로부터 닫힘돌기(8551)가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 역할을 하여 링크가 회전하지 않도록 해주며, 압박부(851)에 의한 의류의 가압력을 높여줄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회전부의 단면도로, 압박부에 의해서 의류에 대한 가압이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가이드홈(8572)은 제1가이드홈(8573)의 상측 끝단에 연결되고, 의류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형성된 제3가이드홈(8577)을 포함할 수 있다.
제3가이드홈(8577)는 고정부로 의류를 가압하는 것을 해제하여, 의류를 압박부와 도어 사이에 인입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제3가이드홈(8577)의 내부는 제1가이드홈(8573)의 내부와 연통하며, 열림돌기(8553)는 제1가이드홈(8573)의 내부를 이동하여 제3가이드홈(8577)의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제3가이드홈(8577)은 열림돌기(8553)이 의류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선 또는 곡선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도 7은 제3가이드홈은 열림돌기가 곡선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 공간을 제공한다.
일 예에서, 제3가이드홈(8577)은 'U' 형상을 상하로 반전시킨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제3가이드홈(8577)의 끝단은 제1가이드홈(8573)에 의해서 수직한 방향으로 투사된 높이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제3가이드홈(8577)의 끝단이 제1가이드홈의 상단과 하단에서 각각 연장된 가상의 수평선들 사이에 높이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제3가이드홈(8577)의 끝단은 제1가이드홈(8573) 내부를 이루는 일부 공간과 동일한 높이에 놓이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제3가이드홈(8577)은 제1가이드홈의 끝단에서 의류에서 멀어지고 하측방향으로 호를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제3가이드홈(8577)은 고정부(85)가 의류를 가압하지 않는 경우에 열림돌기(8553)이 거치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고정부에 외력을 작용하여 고정부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면, 닫힘돌기(8551)와 열림돌기(8553)는 제1가이드홈에 의해서 상측방향으로 가이드되며, 열림돌기(8553)만 제3가이드홈(8577)으로 인입하여 가이드되며, 닫힘돌기(8551)는 제3가이드홈으로 인입하지 못하고 제1가이드홈에 머무른다.
열림돌기(8553)가 제3가이드홈(8577)에 인입되면서, 링크는 함께 의류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의류를 가압하던 압박부도 의류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한다.
도 8은 도 4의 A-A를 확대한 단면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돌출부와 압박부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수공공간 또는 도어에 구비되는 돌출부(859)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859)와 압박부(851)의 사이에 의류가 놓이도록 구비되며, 압박부(851)에 의해 의류가 가압되는 경우 의류를 지지하는 구성이다.
돌출부(859)는 수용공간(31)의 내측면 또는 도어(11)의 내측면(11a)에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 몸체(8591)와, 돌출부 몸체(8591)에서 의류에 접촉하는 면에 구비된 돌출부 경사부(8593)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돌출부 몸체(8591)는 수용공간의 내측면 또는 도어의 내측면(11a)에 일체로 또는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도어의 내측면에 일체로 형성된 돌출부 몸체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돌출부 경사부(8593)가 의류의 일면을 지지하면, 압박부(851)가 의류의 타면을 가압하여, 의류의 위치 및 의류의 형태를 일정하게 고정할 수 있다.
돌출부 경사부(8593)는 하측으로 갈수록 의류에서 가까워지게 구비된다. 다시 말해, 돌출부 몸체(8591)는 하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커져서 구비되도록 돌출부 경사부(8593)는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돌출부 경사부(8593)은 하측으로 갈수록 경사의 기울기가 낮아지게 구비될 수 있다. 압박부(851)는 돌출부 경사부(8593)의 하부 부분을 압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 캐비닛 3: 의류수용부
7: 기계실 9: 프레셔
11b: 가이드 체결부 11a: 내측면
11: 도어 31: 수용공간
35: 공기배출부 36: 공기흡입부
37: 수분배출부 54: 베이스
71: 공기공급부 72: 수분공급부
74: 기계실 도어 85: 고정부
91: 지지부 93: 압축부
200: 옷걸이 310: 제1의류지지부
312: 제2의류지지부 711: 순환덕트
713: 열교환부 714: 냉매관
715: 블로워 721: 저장부
723: 연결관 725: 히터
727: 수분공급관 743: 급수탱크
745: 배수탱크 747: 배수관
749: 배수펌프 851: 압박부
853: 링크 855: 회전부
857: 가이드 859: 돌출부
911: 지지바디 913: 지지바디 홈
931: 압축바디 933: 바디관통홀
937: 압축바디 홈 971: 착탈홈
973: 체결돌기 8551: 닫힘돌기
8553: 열림돌기 8572: 가이드홈
8573: 제1가이드홈 8575: 제2가이드홈
8577: 제3가이드홈 8591: 돌출부 몸체
8593: 돌출부 경사부

Claims (11)

  1.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포함된 캐비닛;
    상기 수용공간 내부로 공기 또는 수분 중 적어도 하나를 공급하는 공급부;
    의류의 구김을 제거하기 위하여 의류를 가압하는 프레셔;
    상기 프레셔로 의류를 가압하기 전에 의류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의류를 압박하는 압박부;
    상기 압박부에 연결되고,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회전부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부는 바 형상으로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회전의 중심이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링크에서 돌출된 닫힘돌기;
    상기 링크의 끝단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닫힘돌기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링크에서 돌출된 열림돌기;
    상기 닫힘돌기와 상기 열림돌기가 가이드되는 가이드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 상측으로 갈수록 의류로부터 멀어지는 제1가이드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홈의 하측 끝단에 상기 닫힘돌기가 도달한 경우에, 상기 압박부는 의류를 압박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제1가이드홈의 하측 끝단에서 연결되고, 하측으로 갈수록 의류에서 멀어지는 제2가이드홈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이드홈은 상기 제1가이드홈의 길이보다 짧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제1가이드홈의 상측 끝단에서 연결되고, 의류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형성된 제3가이드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가이드홈의 끝단은 상기 제1가이드홈의 상단과 하단의 가상 수평선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부가 압박하는 의류를 지지하도록 상기 수용공간에 구비된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하측으로 갈수록 의류에서 가까워지는 돌출부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160150164A 2016-11-11 2016-11-11 의류처리장치 KR1025991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0164A KR102599105B1 (ko) 2016-11-11 2016-11-11 의류처리장치
US15/809,106 US11111624B2 (en) 2016-11-11 2017-11-10 Laundry treating apparatus
PCT/KR2017/012716 WO2018088834A1 (en) 2016-11-11 2017-11-10 Laundry treating apparatus
JP2019524452A JP7123922B2 (ja) 2016-11-11 2017-11-10 衣類処理装置
CN201780068133.4A CN109891017A (zh) 2016-11-11 2017-11-10 衣物处理装置
EP17201242.9A EP3321413B1 (en) 2016-11-11 2017-11-13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19200161.8A EP3611300B1 (en) 2016-11-11 2017-11-13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21195037.3A EP3940137A1 (en) 2016-11-11 2017-11-13 Laundry treating apparatus
JP2021083630A JP7378441B2 (ja) 2016-11-11 2021-05-18 衣類処理装置
US17/402,499 US11680363B2 (en) 2016-11-11 2021-08-13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7/402,495 US11680362B2 (en) 2016-11-11 2021-08-13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8/143,930 US20230272576A1 (en) 2016-11-11 2023-05-05 Laundry treating apparatus
JP2023123209A JP2023134839A (ja) 2016-11-11 2023-07-28 衣類処理装置
KR1020230149205A KR20230155401A (ko) 2016-11-11 2023-11-01 의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0164A KR102599105B1 (ko) 2016-11-11 2016-11-11 의류처리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49205A Division KR20230155401A (ko) 2016-11-11 2023-11-01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2956A true KR20180052956A (ko) 2018-05-21
KR102599105B1 KR102599105B1 (ko) 2023-11-06

Family

ID=6245322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0164A KR102599105B1 (ko) 2016-11-11 2016-11-11 의류처리장치
KR1020230149205A KR20230155401A (ko) 2016-11-11 2023-11-01 의류처리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49205A KR20230155401A (ko) 2016-11-11 2023-11-01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9910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01386A1 (en) * 2018-11-16 2020-05-22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WO2020175964A1 (ko) * 2019-02-28 2020-09-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장치
CN114127358A (zh) * 2019-07-12 2022-03-01 三星电子株式会社 衣物护理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57089A1 (en) * 2002-12-23 2004-07-08 Veit Gmbh & Co. Apparatus for ironing or pressing shirts
KR101312979B1 (ko) * 2009-05-01 2013-10-01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직물 처리 시스템 및 부속물
KR20150009718A (ko) * 2013-07-17 2015-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57089A1 (en) * 2002-12-23 2004-07-08 Veit Gmbh & Co. Apparatus for ironing or pressing shirts
KR101312979B1 (ko) * 2009-05-01 2013-10-01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직물 처리 시스템 및 부속물
KR20150009718A (ko) * 2013-07-17 2015-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01386A1 (en) * 2018-11-16 2020-05-22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1613841B2 (en) 2018-11-16 2023-03-28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WO2020175964A1 (ko) * 2019-02-28 2020-09-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장치
CN114127358A (zh) * 2019-07-12 2022-03-01 三星电子株式会社 衣物护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9105B1 (ko) 2023-11-06
KR20230155401A (ko) 2023-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9179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599108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099175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599103B1 (ko) 의류처리장치
JP7378441B2 (ja) 衣類処理装置
KR20230155401A (ko) 의류처리장치
KR101988323B1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155402A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078985A (ko) 의류처리장치
KR102052976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434106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378137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047712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318552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158701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384526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096406B1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072818A (ko) 의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