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3342A - 저장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저장 방법 - Google Patents

저장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저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3342A
KR20110093342A KR1020100013327A KR20100013327A KR20110093342A KR 20110093342 A KR20110093342 A KR 20110093342A KR 1020100013327 A KR1020100013327 A KR 1020100013327A KR 20100013327 A KR20100013327 A KR 20100013327A KR 20110093342 A KR20110093342 A KR 201100933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eservoir
air
storage
cool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3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0727B1 (ko
Inventor
심기섭
Original Assignee
심기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기섭 filed Critical 심기섭
Priority to KR1020100013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0727B1/ko
Priority to PCT/KR2010/000929 priority patent/WO2010093213A2/ko
Publication of KR20110093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33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0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07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4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 A23B7/0425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the material not being transported through or in the apparatus, with or without shaping, e.g. in the form of powder, granules or flakes
    • A23B7/0433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the material not being transported through or in the apparatus, with or without shaping, e.g. in the form of powder, granules or flakes with packages or with shaping in the form of blocks or por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2007/0025Ventilation using vent ports in a wal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Engine Equipment That Uses Special Cycles (AREA)

Abstract

저장 시스템은 저장고, 상기 저장고 내부의 온도를 하강시켜 저장물을 저온 저장시키기 위한 냉각 유닛, 상기 냉각 유닛에 구비되어 상기 냉각 유닛 내부에 형성된 성에를 제거하기 위한 제상 히터, 상기 냉각 유닛의 증발기와 쿨러 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증발기로부터의 제습 냉각된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재열 히터, 상기 저장고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켜 상기 저장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건조 유닛, 상기 저장고의 벽체를 관통하며 상기 냉각 유닛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쿨러 배기 유닛, 상기 냉각 유닛 및 상기 쿨러 배기 유닛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냉각 유닛의 내부로부터의 제1 공기 및 상기 저장고 내부로부터의 제2 공기 중에서 어느 하나의 공기를 선택적으로 수집하여 상기 쿨러 배기 유닛으로 공급하기 위한 집기 유닛, 상기 저장고의 벽체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상기 저장고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급기 유닛, 상기 저장고의 벽체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상기 저장고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배기 유닛, 및 상기 유닛들, 상기 제상 히터 및 상기 재열 히터에 각각 연결되어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저장고 내부의 온도, 습도 및 가스 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저장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저장 방법{Storage system and storage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저장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저장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농산물과 같은 저장물을 장기적으로 저온 저장하기 위한 저온 저장고에서의 전자동 큐어링 및 저온 저장 시스템, 및 이용한 저장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서, 수확한 농산물과 같은 저장물을 큐어링(curing)을 하기 위해 별도의 건조실을 이용하여 건조시킨 후, 저온 저장고로 옮겨 저온 저장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또한, 상기 저온 저장고 내에서 건조와 저온 저장을 함께 하는 경우에도 건조와 저온 저장이 각각 별개의 시스템으로 운영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큐어링 이후에, 관리자가 상기 저장고 출입구를 개방하여 상기 저장고 내부의 열기와 큐어링 과정에서 발생한 농산물로부터 발생한 각종 가스 등을 일정 시간 배기시키게 된다. 관리자는 다시 상기 저장고 출입구를 닫은 후, 냉동기를 가동하여 상기 저장고의 온도를 낮춰 저온 저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저온 저장고에서 농산물로부터 발생한 에틸렌 가스 등과 같은 기체를 제거하기 위하여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법은, 상기 저장고의 상부 벽체를 천공하여 형성한 배기구에 배기 팬을 설치하여 배기 시마다 관리자가 상기 배기구를 열어 팬을 작동시키고 있다. 이러한 방법은 제상과는 관계없이 단지 에틸렌 가스를 배기시키기 위한 것으로, 높은 곳에 위치한 배기구를 열었다가 일정 시간 후에 닫는 것으로 매우 번거롭고 위험하였다.
다른 방법의 예로서 공압을 이용하여 배기 창을 열어 배기하는 방법이 한국특허출원번호 제2001-0044217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공기 압축기, 에어 실린더, 공기압 도관, 창문, 경첩, 캐치 등의 설치를 위한 값비싼 시설비와 공기 압축기 작동시의 소음 발생, 전력 소비 및 지속적 관리의 어려움이 있으며, 이러한 방법 역시 제상 시 발생하는 제상 열기나 수증기를 배출하기 위함이 아니라, 단순히 농산물에서 발생하는 에틸렌 가스를 배기시키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저장고 내부의 환경을 자동화하여 저장물의 저장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큐어링 및 저장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술한 저장 시스템을 이용한 큐어링 및 저온 저장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저장 시스템은 저장물을 저장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저장고, 상기 저장고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고 내부의 온도를 하강시켜 저장물을 저온 저장시키기 위한 냉각 유닛, 상기 냉각 유닛에 구비되어 상기 냉각 유닛 내부에 형성된 성에를 제거하기 위한 제상 히터, 상기 냉각 유닛의 증발기와 쿨러 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증발기로부터의 제습 냉각된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재열 히터, 상기 저장고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고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켜 상기 저장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건조 유닛, 상기 저장고의 벽체를 관통하며 상기 냉각 유닛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쿨러 배기 유닛, 상기 냉각 유닛 및 상기 쿨러 배기 유닛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냉각 유닛의 내부로부터의 제1 공기 및 상기 저장고 내부로부터의 제2 공기 중에서 어느 하나의 공기를 선택적으로 수집하여 상기 쿨러 배기 유닛으로 공급하기 위한 집기 유닛, 상기 저장고의 벽체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상기 저장고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급기 유닛, 상기 저장고의 벽체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상기 저장고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배기 유닛, 및 상기 냉각 유닛, 상기 제상 히터, 상기 재열 히터, 상기 쿨러 배기 유닛, 상기 건조 유닛, 상기 급기 유닛 및 상기 배기 유닛에 각각 연결되어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저장고 내부의 온도, 습도 및 가스 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건조 유닛은, 다수개의 슬릿들이 형성된 분배 덕트, 상기 분배 덕트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급기 팬 및 상기 분배 덕트 내에 구비되며 상기 급기 팬으로부터 공급된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건조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조 유닛은 상기 분배 덕트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상기 저장고 내부에서 순환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순환 팬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순환 팬들은 상기 분배 덕트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상기 저장고의 상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 순환 팬 및 상기 제1 순환 팬으로부터의 공기를 상기 급기 팬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 순환 팬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분배 덕트는 상기 저장고의 일측벽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슬릿들이 형성된 격벽 및 상기 슬릿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기 위한 개폐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분배 덕트는 상기 슬릿을 부분적으로 차단하여 상기 슬릿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급기 댐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릿들은 상기 격벽의 수직 방향으로 이격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저장 시스템은 상기 저장고 내부에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가습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저장고 내부의 저온 설정 온도보다 외부의 온도가 더 낮은 경우, 상기 급기 유닛 및 상기 배기 유닛이 작동하여 외부의 공기를 이용하여 저장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저장 시스템은 상기 저장고 내부의 온도, 습도 및 가스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저장 방법에 있어서, 저장고 내부의 저장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 모드 및 저온 저장시키기 위한 저온 저장 모드를 선택한다. 상기 건조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저장고 내부에 설치된 건조 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저장물을 건조시킨다. 상기 건조 모드 중에 검출된 습도에 따라 상기 저장고 내부에 설치된 냉각 유닛 또는 가습 유닛을 이용하여 습도를 조절한다. 상기 건조 모드 중에 검출된 가스 농도에 따라 상기 저장고 내부로부터 외부로 가스를 배출한다. 상기 저온 저장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냉각 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저장고 내부를 냉각시킨다. 상기 저온 저장 모드 중에 상기 냉각 유닛 내부에 형성된 성에를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냉각 유닛에 설치된 제상 히터를 이용하여 상기 냉각 유닛을 제상시킨다. 상기 저온 저장 모드 중에 검출된 습도에 따라 상기 냉각 유닛 또는 상기 가습 유닛을 이용하여 습도를 조절한다. 상기 저온 저장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저장고 내부의 저온 설정 온도보다 외부의 온도가 더 낮을 때에는 외부의 공기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물을 저온 저장시킨다. 상기 저장고 내부의 가스와 온도 또는 상기 냉각 유닛의 온도에 따라 기 설정된 배기 시간동안 상기 냉각 유닛의 내부로부터 상기 냉각 유닛에 연결된 집기 유닛으로 유입된 제1 공기 및 상기 저장고 내부로부터 상기 집기 유닛으로 직접 유입된 제2 공기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공기를 수집하여 상기 저장고 외부로 배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건조 모드 또는 상기 저온 저장 모드 중에 습도를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냉각 유닛을 이용하여 제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 유닛을 이용하여 제습하는 단계는 상기 냉각 유닛의 증발기로부터의 냉각된 공기를 가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의 공기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물을 저온 저장시키는 단계는 상기 저장고의 벽체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급기 유닛 및 배기 유닛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건조 모드 중에 검출된 가스 농도에 따라 상기 저장고 내부로부터 외부로 가스를 배출하는 단계는, 상기 가스의 종류에 따라 가스가 배출되는 상기 저장고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저장 방법은 상기 건조 모드 종료 후 상기 저장고 내부의 공기를 상기 저장고의 벽체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배기 유닛 및 급기 유닛을 이용하여 배출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건조 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저장물을 건조시킬 때, 상기 냉각 유닛에 구비된 재열 히터가 함께 작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농산물의 큐어링 및 건조, 저온 저장 또는 냉각 유닛의 제상 중에 발생하는 가스와 열기, 습기들을 저장고 외부로 자동적으로 배출하여 저장고 내부에 최적의 상태를 제공하여 농산물의 저장성 및 품질 유지를 개선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냉각 유닛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저장 시스템의 쿨러 배기 유닛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쿨러 배기 유닛의 쿨러 배기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쿨러 배기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교차형 프레임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축봉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a는 도 4의 제1 개폐부의 제1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b는 도 4의 제2 개폐부의 제2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도 1의 쿨러 배기 어셈블리의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10은 도 1의 냉각 유닛 및 집기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냉각 유닛, 집기 유닛 및 쿨러 배기 유닛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의 건조 유닛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의 건조 유닛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도 12의 분배 덕트의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15는 도 1의 저장 시스템을 이용한 저장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6은 건조 모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7은 저온 저장 모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저장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저장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촉되어" 있다고 기재된 경우,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촉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촉되어" 있다고 기재된 경우에는,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예를 들면, "~사이에" 와 "직접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 과 "~에 직접 인접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저장 시스템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저장 시스템(10)은 저장물을 저장하기 위한 공간(102)을 제공하는 저장고(100), 저장고(100) 내부에 설치되는 냉각 유닛(200), 저장고(100)의 벽체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쿨러 배기 유닛(300), 냉각 유닛(200)과 쿨러 배기 유닛(300) 사이에 설치되는 집기 유닛(400), 저장고(100) 내부에 설치되는 건조 유닛(550), 저장고(100)의 벽체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급기/배기 유닛들(600, 650), 저장고(100) 내부에 설치되는 가습 유닛(700), 그리고 상기 유닛들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유닛들의 동작들을 제어하는 제어부(9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저장고(100)는 농산물과 같은 저온 저장이 필요한 저장물을 저장하기 위한 공간(102)을 제공할 수 있다. 저장고(100)의 공간(102)은 네 개의 측벽들, 상부벽 및 하부벽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저장고(100)는 제1, 제2, 제3 및 제4 측벽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저장고(100)에는 마늘, 양파, 고구마, 생강 등과 같은 근채류, 원예 작물이나 사과, 배 등과 같은 과채류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냉각 유닛(200)은 저장고(100) 내부에 설치되어 저장고(100) 내부의 온도를 하강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냉각 유닛(200)은 저장고(100)의 일측부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900)와 연결된 냉각 유닛(200)의 쿨러 팬(220)은 작동하여 증발기(210)에서 냉각된 저온의 공기를 저장고(100) 내에서 순환시키게 된다.
쿨러 배기 유닛(300)은 저장고(100)의 벽체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저장고(10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거나 저장고(100) 내부 및 외부의 압력 차이를 조정할 수 있다. 쿨러 배기 유닛(300)은 쿨러 배기 어셈블리(310) 및 쿨러 배기 팬 유닛(360)을 포함할 수 있다.
쿨러 배기 어셈블리(310) 및 쿨러 배기 팬 유닛(360)은 제어부(900)와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900)는 쿨러 배기 어셈블리(310) 및 쿨러 배기 팬 유닛(360)을 제어하여 저장고(10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쿨러 배기 어셈블리(310)는 저장고(100) 내부와 외부의 압력 차이를 자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쿨러 배기 어셈블리(310)는 저장고(100)의 벽체에 관통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쿨러 배기 팬 유닛(360)은 쿨러 배기 어셈블리(310)의 일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쿨러 배기 팬 유닛(360)은 저장고(100) 내부의 공기를 쿨러 배기 어셈블리(310)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 팬(362, 도 3 참조) 및 저장고(100) 내측 또는 외측에 착탈 가능한 공기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집기 유닛(400)은 냉각 유닛(200) 및 쿨러 배기 유닛(30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집기 유닛(400)은, 냉각 유닛(200)으로부터 쿨러 배기 유닛(300)으로의 공기의 흐름 또는 저장고(100) 내부로부터 쿨러 배기 유닛(300)으로의 공기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집기 유닛(400)은 냉각 유닛(200)의 내부에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냉각 유닛(200)의 내부로부터의 제1 공기를 수집하여 쿨러 배기 유닛(300)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집기 유닛(400)은 저장고(100) 내부와 선택적으로 직접 연결되어 저장고(100) 내부로부터의 제2 공기를 수집하여 쿨러 배기 유닛(300)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집기 유닛(400)은 댐퍼(410)를 포함할 수 있다. 댐퍼(410)는 제어부(900)와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900)는 댐퍼(410)를 제어하여 집기 유닛(400)의 댐퍼(410)가 상기 제1 공기 또는 상기 제2 공기를 선택적으로 수집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저장 시스템(10)은 저장고(10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건조 유닛(5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건조 유닛들(550)은 저장고(100)의 서로 마주보는 양측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냉각 유닛(200)이 저장고(100)의 상기 제1 측벽에 인접하게 배치될 때, 두 개의 건조 유닛들(550)은 상기 제1 측벽과 인접하며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2 및 제4 측벽들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세 개의 건조 유닛들이 상기 제2, 제3 및 제4 측벽들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건조 유닛(550)은 저장고(100) 내부의 온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건조 히터(560) 및 건조 히터(560)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저장고(100) 내에서 순환시키기 위한 급기 팬(570)을 포함할 수 있다. 건조 히터(560) 및 급기 팬(570)은 제어부(900)와 연결되고, 제어부(900)는 건조 히터(560) 및 급기 팬(570)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예를 들면, 건조 유닛(550)은 근채류의 수확 중에 발생하는 상처의 치유와 표면 수분을 건조시켜 저장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큐어링(curing)을 위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저장 시스템(10)은 저장고(100)의 벽체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급/배기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배기 유닛은 저장고(100)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급기 유닛(600) 및 저장고(10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배기 유닛(650)을 포함할 수 있다.
급기 유닛(600)은 급기 어셈블리(610) 및 급기 팬 유닛(620)을 포함할 수 있다. 배기 유닛(650)은 배기 어셈블리(660) 및 배기 팬 유닛(670)을 포함할 수 있다. 급기 유닛(600)과 배기 유닛(650)은 쿨러 배기 유닛(3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급기 유닛(600)은 배기 유닛(650)과 함께 저장고(100) 외부의 차가운 공기를 이용하여 저장고(100) 내부의 온도를 하강시킬 수 있다. 또한, 급기 유닛(600)과 배기 유닛(650)은 저장고(100) 내부와 외부의 압력 차이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배기 유닛(650)은 쿨러 배기 유닛(300)과 함께 또는 단독으로 저장고(100)의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다수개의 급기 유닛들(600)과 다수개의 배기 유닛들(650)이 저장고(100)의 벽체(104)를 관통하여 구비될 수 있다. 급기 유닛들(600)은 저장고(100)의 상부 벽체에 서로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급기 유닛들(600)은 저장고(100)의 상부 또는 하부 벽체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배기 유닛들(650)은 저장고(100) 내부의 가스들의 종류, 비중 등에 고려하여 저장고(100)의 상부 벽체와 하부 벽체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부(800)의 가스 센서(830)는 저온 저장 중이나 큐어링 중에 발생되는 에틸렌 가스, 이산화탄소, 메탄가스 등과 같은 가스를 감지하고, 제어부(900)에 연결된 배기 유닛(600)은 쿨러 배기 유닛(300)과 함께 감지된 가스를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저장고(100)의 상부 벽체 또는 하부 벽체에 배치되는 배기 유닛들(600)은 저장고 내의 가스의 비중이나 종류에 따라 선택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저장 시스템(10)은 저장고(100) 내부의 습도를 조절하기 위한 가습 유닛(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큐어링의 건조 모드 중에 저장고(100)의 내부 공기의 습도가 기 설정값 이하일 때, 가습 유닛(700)은 저장고(100) 내부에 수분을 분무할 수 있다.
또한, 저장 시스템(10)은 재열 히터(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재열 히터(260)는 냉각 유닛(200)의 증발기(210)와 쿨러 팬(22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재열 히터(260)는 냉각 유닛(200)을 이용한 제습 시에 저장고(100) 내부의 온도가 기 설정값 이하로 내려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저장 시스템(10)은 센서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800)는 저장고(100) 내부와 외부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센서(810), 저장고(100) 내부의 습도를 검출하기 위한 습도 센서(820) 및 저장고(100) 내부의 기체를 검출하기 위한 가스 센서(83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800)에 의해 검출된 기체는 저장고(100) 내부의 상기 저장물의 저장 상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가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검출된 가스는 에틸렌 가스, 수증기, 메탄가스, 이산화탄소, 염소가스 및 상기 저장물이나 인체에 유해한 다른 가스일 수 있다.
센서부(800)는 제어부(900)와 연결되고, 제어부(900)는 센서부(800)에 의해 검출된 저장고(100) 내부와 외부의 온도, 가스의 농도 및 습도에 따라 저장 시스템(10)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1의 저장 시스템의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의 냉각 유닛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냉각 유닛(200)은 저장고(100) 내부에 설치되어 저장고(100) 내부의 온도를 하강시킬 수 있다. 냉각 유닛(200)은 증발기(210), 쿨러 팬(220), 제상 히터(250) 및 재열 히터(26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냉각 유닛(200)은 냉매 배관을 통해 저장고(100) 외부에 설치된 콘덴싱 유닛(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어 냉동 사이클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콘덴싱 유닛에서 생성된 액체 냉매는 팽창 밸브(270)를 거쳐 증발기(210)로 들어가 증발한다. 쿨러 팬(220)은 작동하여 증발기(210)로부터 증발한 냉매에 의해 냉각된 공기를 저장고(100) 내에서 순환시키게 된다. 냉각 유닛(200)의 쿨러 팬(220)은 제어부(900)와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900)는 쿨러 팬(220)을 제어하여 저장고(100)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게 된다.
제상 히터(250)는 냉각 유닛(200) 내부의 증발기(210)에 설치되어 증발기(210) 상에 형성된 성에를 제거할 수 있다. 제상 히터(250)는 제어부(900)에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900)는 제상 히터(250)를 제어하여 냉각 유닛(200)의 증발기(210)에 적상되는 성에를 전열을 통해 제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증발기(210)의 작동 중에,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은 응축되어 성에로 변한 후 증발기(210)에 붙게 된다. 냉각 유닛(200)의 작동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성에의 두께가 두꺼워져 냉각 유닛(200)의 열교환을 방해하게 된다. 따라서, 제상 히터(250)는 증발기(210)에 적상된 성에를 제거하여 냉각 유닛(200)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증발기(210) 내의 냉매는 증발기 출구 전자 밸브(280)를 통해 상기 콘덴싱 유닛으로 다시 되돌아간다. 또한, 증발기(210)의 출구에는 증발압력 조정 밸브(290)가 구비될 수 있다. 증발압력 조정 밸브(290)는 증발기 출구 전자 밸브(280)와 병렬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저습도를 요구하는 고온의 건조 모드에서 저장고(100) 내부 공기를 제습하기 위하여 냉각 유닛(200)이 작동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증발기 출구 전자 밸브(280)는 닫히고, 증발압력 조정 밸브(290)가 냉매의 증발압력을 제어하여 성에의 생성을 최소화하면서 저장고(100) 내부 공기를 제습하기 위한 최적으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고습도를 요구하는 저온 저장 모드에서는, 증발기 출구 전자 밸브(280)는 개방되어 증발압력을 낮춤으로써, 효과적으로 저장고(100)의 내부의 온도와 습도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재열 히터(260)는 냉각 유닛(200)의 증발기(210)와 쿨러 팬(22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재열 히터(260)는 냉각 유닛(200)을 이용한 제습 시에 증발기(210)로부터의 차가운 공기를 가열함으로써, 저장고(100) 내부의 온도가 기 설정값 이하로 내려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저장 시스템의 쿨러 배기 유닛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쿨러 배기 팬 유닛(360)은 쿨러 배기 어셈블리(310)의 일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쿨러 배기 팬 유닛(360)은 쿨러 배기 어셈블리(310)의 내부 측면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쿨러 배기 팬 유닛(360)은 저장고(100) 내부의 공기를 쿨러 배기 어셈블리(310)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 팬(36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쿨러 배기 유닛의 쿨러 배기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쿨러 배기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교차형 프레임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축봉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a는 도 4의 제1 개폐부의 제1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8b는 도 4의 제2 개폐부의 제2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쿨러 배기 어셈블리(310)는 케이스(312), 교차형 프레임(314), 축봉(320), 제1 개폐부(330), 제2 개폐부(340) 및 배기 구동부(350)를 포함한다.
쿨러 배기 어셈블리(310)의 케이스(312)는 저장고(100)의 벽체(104)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케이스(312)는 벽체(104)의 내부(저장고(100)의 내부)를 향해 개방된 제1 영역(106) 및 벽체(104)의 외부(저장고(100)의 외부)를 향해 개방된 제2 영역(108)을 갖는다. 예를 들면, 케이스(312)는 사각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케이스(312)는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교차형 프레임(314)은 케이스(312)의 제1 및 제2 영역들(106, 108) 사이의 내주면에 형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차형 프레임(314)은 다수개의 제1 통기구들(316) 및 다수개의 제2 통기구들(318)을 정의한다. 교차형 프레임(314)은 제1 영역(106)과 접하는 제1 면(F1) 및 제2 영역(108)과 접하고 제1 면(F1)에 반대하는 제2 면(F2)을 갖는다.
따라서, 저장고(100) 내부의 공기는 제1 및 제2 통기구들(316, 318)을 통해 제1 영역(106)에서 제2 영역(108)으로 흐를 수 있고, 저장고(100) 외부의 공기는 제1 및 제2 통기구들(316, 318)을 통해 제2 영역(108)에서 제1 영역(106)으로 흐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및 제2 통기구들(316, 318)은 교차형 프레임(314)의 교차부(315)를 중심으로 서로 교호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교차형 프레임(314)은 4개의 통기구들을 정의할 수 있다. 두개의 제1 통기구들(316)과 두개의 제2 통기구들(318)은 서로 교대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통기구(316)는 제2 통기구들(318) 사이에 배치되고, 제2 통기구(318)는 제1 통기구들(316)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통기구(316)는 제2 통기구(318)와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및 제2 통기구들(316, 318)은 부채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제1 및 제2 통기구들(316, 318)은 삼각 형상 또는 사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축봉(320)은 프레임(312)의 교차부(315)에 형성된 제1 삽입홀(317)에 삽입된다. 따라서, 축봉(320)은 프레임(312)에 고정 및 지지될 수 있다.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봉(320)은 제1 측부(322), 제2 측부(324) 및 중앙부(326)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축봉(320)의 제1 측부(322)는 케이스(312)의 제1 영역(106)에 위치하고, 축봉(320)의 제2 측부(324)는 케이스(312)의 제2 영역(108)에 위치한다. 축봉(320)의 중앙부(326)는 제1 측부(322)와 제2 측부(324) 사이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축봉(320)의 중앙부(326)에는 제1 나사부(327)가 형성되고, 프레임(314)의 교차부(315)의 제1 삽입홀(317)의 내주면 상에는 제1 나사부(327)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축봉(320)의 제1 나사부(327)는 프레임(324)의 제1 삽입홀(317)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축봉(320)은 프레임(320)에 고정 및 지지될 수 있다.
제1 개폐부(330)는 제1 측부(322)가 삽입된 축봉(320)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프레임(314)의 제1 면(F1)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도록 구성되어 제1 통기구들(316)을 개폐할 수 있다.
제2 개폐부(340)는 제2 측부(324)가 삽입된 축봉(320)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프레임(314)의 제2 면(F2)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도록 구성되어 제2 통기구들(318)을 개폐할 수 있다.
배기 구동부(350)는 제1 영역(106)에 배치되며 제1 통기구들(316)을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제1 개폐부(33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개폐부(330)는 제1 플레이트(332) 및 제1 탄성 부재(334)를 포함하고, 제2 개폐부(340)는 제2 플레이트(342) 및 제2 탄성 부재(34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배기 구동부(350)는 플런저(352) 및 솔레노이드(35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봉(320)의 제1 측부(322)는 제1 개폐부(330)의 제1 플레이트(332)의 제2 삽입홀(333)에 삽입된다. 따라서, 제1 플레이트(332)는 축봉(320)의 제1 측부(322)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된다.
제1 플레이트(332)는 프레임(314)의 제1 통기구들(316)을 차단하기 위한 제1 차단편들(336)을 구비한다. 제1 차단편(336)은 제1 통기구(316)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차단편(336)은 제1 통기구(316)의 부채꼴 형상과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플레이트(332)는 두개의 제1 차단편들(336)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탄성 부재(334)는 축봉(320)의 제1 측부(322) 상에 구비되어 제1 플레이트(332)를 프레임(314)을 향하여 탄성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쿨러 배기 어셈블리(310)는 제1 고정 프레임(3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 프레임(370)은 케이스(312)의 일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고정 프레임(370)은 저장고(100)의 내부 및 케이스(312)의 제1 영역(106)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고정 프레임(370)은 저장고(100)의 내부 및 케이스(312)의 제1 영역(106) 사이의 공기의 흐름을 위한 다수개의 제3 통기구들(372)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쿨러 배기 어셈블리(310)는 제2 고정 프레임(3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고정 프레임(380)은 케이스(312)의 타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고정 프레임(380)은 저장고(100)의 외부 및 케이스(312)의 제2 영역(108)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고정 프레임(380)은 저장고(100)의 외부 및 케이스(312)의 제2 영역(108) 사이의 공기의 흐름을 위한 다수개의 제4 통기구들(382)을 가질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제2 고정 프레임(380)은 조립의 편의 및 구조의 단순화를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축봉(320)의 제1 측부(322)의 일단에는 제2 나사부(323)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측부(322)의 제2 나사부(323)는 제1 고정 프레임(370)의 제1 고정홀(373)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배기 구동부(350)는 솔레노이드(354)를 지지하는 지지부(356)를 포함할 수 있다. 배기 구동부(350)의 지지부(356)는 고정 나사 및 고정 볼트들에 의해 제1 고정 프레임(370)의 고정 나사홀(375)에 고정될 수 있다.
배기 구동부(350)의 지지부(356)는 축봉(320)의 제1 측부(322)의 일단이 관통하는 관통홀(357)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축봉(320)의 제1 측부(322)는 배기 구동부(350)의 지지부(356)를 관통하고, 제1 측부(322)의 제2 나사부(323)는 제1 고정 프레임(370) 중앙의 제1 고정홀(373)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332)는 제1 플레이트(332)의 고정홀(335) 및 플런저(352)의 고정홀(351)에 삽입된 플런저 고정 나사(351a)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배기 구동부(356)의 플런저(352)는 축봉(320)의 제1 측부(322)가 삽입되는 가이드 홀(353)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플런저(352)는 가이드 홀(353)에 삽입된 축봉(320)의 제1 측부(322)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제1 플레이트(332)와 결합된 플런저(352)는 축봉(320)의 제1 측부(322)를 따라 이동하여 플런저(352)의 일부는 솔레노이드(354)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제1 탄성 부재(334)는 축봉(320)의 제1 측부(322) 및 플런저(352) 상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탄성 부재(334)는 탄성 스프링일 수 있다.
제1 탄성부재(334)의 일단부는 배기 구동부(350)의 지지부(356)와 접촉하고, 제1 탄성 부재(334)의 타단부는 플런저(352) 또는 제1 플레이트(332)와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탄성 부재(334)는 제1 플레이트(332)를 프레임(314)의 제1 면(F1)에 탄성적으로 밀착시키게 된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봉(320)의 제2 측부(324)는 제2 개폐부(340)의 제2 플레이트(342)의 제3 삽입홀(343)에 삽입된다. 따라서, 제2 플레이트(342)는 축봉(320)의 제2 측부(324)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된다.
제2 플레이트(342)는 프레임(314)의 제2 통기구들(318)을 차단하기 위한 제2 차단편들(346)을 구비한다. 제2 차단편(346)은 제2 통기구(318)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차단편(346)은 제2 통기구(318)의 부채꼴 형상과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 플레이트(342)는 두개의 제2 차단편들(346)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탄성 부재(344)는 축봉(320)의 제2 측부(324) 상에 구비되어 제2 플레이트(342)를 프레임(314)을 향하여 탄성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탄성 부재(344)는 원추형의 탄성 스프링일 수 있다. 축봉(320)의 제2 측부(324)의 일단에는 제3 나사부(325)가 형성될 수 있다. 축봉(320)의 제2 측부(324)의 일단에는 와셔(365)가 구비될 수 있다. 와셔(365)는 고정 너트(366)에 의해 제2 측부(324)의 일단의 제3 나사부(325)에 고정되어 제2 탄성 부재(344)를 제2 측부(324) 상에 지지시킬 수 있다.
제2 탄성 부재(344)의 일단부는 제2 플레이트(342)와 접촉하고, 제2 탄성 부재(344)의 타단부는 와셔(365)와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플레이트(342)는 축봉(320)의 제2 측부(324)를 따라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2 플레이트(342)는 제2 탄성 부재(344)에 의해 프레임(314)의 제2 면(F2)에 탄성적으로 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플레이트(342)의 제3 삽입홀(343)의 둘레를 따라 수용홈(345)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342)와 접촉하는 제2 탄성 부재(344)의 일단부는 제2 플레이트(342)의 수용홈(345)에 수용될 수 있다. 와셔(365)는 제2 탄성 부재(344)의 타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절곡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절곡부는 와셔(365)의 외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제2 탄성 부재(344)의 타단부를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탄성 부재(344)의 일단부는 제2 플레이트(342)의 수용홈(345)에 수용되고 제2 탄성 부재(344)의 타단부는 와셔(365)의 상기 절곡부에 수용된다. 이에 따라, 제2 탄성 부재(344)가 축봉(320) 및 제2 플레이트(342)의 중심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축봉(320)의 제1 측부(322)는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며, 제2 측부(324)는 다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축봉(320)의 제2 측부(324)는 육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플레이트(332)의 제2 삽입홀(333)은 축봉(320)의 제1 측부(322)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며, 제2 플레이트(342)의 제3 삽입홀(343)은 축봉(320)의 제2 측부(324)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다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플레이트(342)의 제3 삽입홀(343)은 육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2 플레이트(342)는 축봉(320)의 축 방향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으면서 축봉(320)의 제2 측부(324)를 따라 직선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플레이트(332)의 제1 차단편(336)은 리세스된 형상의 제1 수압부(336a)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342)의 제2 차단편(346)은 리세스된 형상의 제2 수압부(346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압부(336a)는 프레임(314)의 제1 면(F1)에 밀착하는 제1 플레이트(332)의 일면으로부터 내부로 리세스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수압부(346a)는 프레임(314)의 제2 면(F2)에 밀착하는 제2 플레이트(342)의 일면으로부터 내부로 리세스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수압부(336a)는 제1 통기구(316)로부터의 공기압을 용이하게 수용하고 제2 수압부(346a)는 제2 통기구(318)로부터의 공기압을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쿨러 배기 어셈블리(310)는 케이스(312)의 외주면 상에 교차형 프레임(314)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히터(3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고(100)의 내부는 냉각 유닛(200)에 의해 저온으로 유지되므로, 교차형 프레임(314)과 제1 및 제2 플레이트들(332, 342)이 결빙되어 쿨러 배기 어셈블리(310)가 작동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쿨러 배기 어셈블리(310)의 히터(370)는 교차형 프레임(314)의 온도를 증가시켜 교차형 프레임(314)과 제1 및 제2 플레이트들(332, 342)의 결빙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쿨러 배기 유닛(300)은 쿨러 배기 팬 유닛(360)의 내부 측면을 커버하는 제1 커버(364) 및 쿨러 배기 어셈블리(310)의 외부 측면을 커버하는 제2 커버(36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쿨러 배기 유닛(300)은 제1 커버(364) 및 배기 팬(362) 사이에 배치되는 착탈 가능한 필터(36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쿨러 배기 어셈블리의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쿨러 배기 어셈블리(310)의 제1 및 제2 플레이트들(332, 342)은 케이스(312)의 제1 및 제2 영역들(106, 108) 사이의 압력 차이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동하여 제1 및 제2 영역들(106, 108) 사이의 압력 평형을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다.
먼저, 도 9a를 참조하면, 제1 플레이트(332)는 케이스(312)의 제1 및 제2 영역들(106, 108)의 압력 차이에 의해 이동하여 프레임(314)의 제1 통기구들(316)을 개방시킬 수 있다.
제1 영역(106)의 제1 압력이 제2 영역(108)의 제2 압력 보다 낮은 경우, 상기 제2 영역(108)에서의 상대적으로 높은 압력은 제1 통기구들(316)을 차단하고 있는 제1 플레이트(332)의 제1 차단편들(336), 구체적으로 제1 차단편(336)의 리세스된 제1 수압부들(336a)을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제1 플레이트(332)는 축봉(320)의 제1 측부(322)를 따라 이동하게 되어 제1 통기구들(316)을 개방시키게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제1 영역(106)의 제1 압력이 제2 영역(108)의 제2 압력과 같아지게 되면, 제1 플레이트(332)의 제1 차단편들(336)의 리세스된 제1 수압부들(336a)에 가해지는 압력은 사라지고, 제1 플레이트(332)는 제1 탄성 부재(334)에 의해 다시 프레임(314)의 제1 면(F1)에 밀착하여 제1 통기구들(316)을 차단하게 된다.
도 9b를 참조하면, 제2 플레이트(342)는 케이스(312)의 제1 및 제2 영역들(106, 108)의 압력 차이에 의해 이동하여 프레임(314)의 제2 통기구들(318)을 개방시킬 수 있다.
제1 영역(106)의 제1 압력이 제2 영역(108)의 제2 압력보다 높은 경우, 상기 제1 영역(106)에서의 상대적으로 높은 압력은 제2 통기구들(318)을 차단하고 있는 제2 플레이트(342)의 제2 차단편들(346), 구체적으로 제2 차단편(346)의 리세스된 제2 수압부들(346a) 을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제2 플레이트(342)는 축봉(320)의 제2 측부(324)를 따라 이동하게 되어 제2 통기구들(318)을 개방시키게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제2 영역(108)의 제2 압력이 제1 영역(106)의 제1 압력과 같아지게 되면, 제2 플레이트(342)의 제2 차단편들(346)에 가해지는 압력은 사라지고, 제2 플레이트(342)는 제2 탄성 부재(344)에 의해 다시 프레임(314)의 제2 면(F2)에 밀착하여 제2 통기구들(318)을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쿨러 배기 어셈블리(310)의 제1 및 제2 플레이트들(332, 342)은 저장고(100) 내부와 외부의 압력 차이에 의해 선택적으로 이동하여 제1 및 제2 통기구들(316, 318)들을 선택적으로 개방시켜 저장고(100) 내부와 외부의 압력 평형을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9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배기 구동부(350)는 제1 플레이트(332)가 제1 통기구들(316)을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제1 개폐부(330)를 구동시킬 수 있다.
배기 구동부(350)의 솔레노이드(354)에 전원이 인가되면, 솔레노이드(354)는 자성체를 포함하는 플런저(352)를 축봉(320)의 제1 측부(322)를 따라 이동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플런저(352)와 결합된 제1 플레이트(332)도 제1 통기구들(316)을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배기 구동부(350)에 의해 제1 플레이트(332)가 제1 측부(322)를 따라 이동하여 제1 통기구들(316)을 개방시키고 있을 때, 배기 어셈블리(310)의 일측면에 배치된 쿨러 배기 팬 유닛(360)은 작동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쿨러 배기 팬 유닛(360)에 의해 배출된 공기는 제2 플레이트(342)를 제2 측부(324)를 따라 이동시켜, 제2 통기구들(318)이 개방되게 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통기구들(316, 318) 모두가 개방되고 저장고(10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후에, 배기 구동부(350)의 솔레노이드(354)에 인가된 전원이 끊어지고 쿨러 배기 팬 유닛(360)의 동작이 정지되면, 제1 플레이트(332)는 제1 탄성 부재(334)에 의해 다시 프레임(314)의 제1 면(F1)으로 이동하여 제1 통기구들(316)을 차단하고 제2 플레이트(342)는 제2 탄성 부재(344)에 의해 다시 프레임(314)의 제2 면(F2)으로 이동하여 제2 통기구들(318)을 차단하게 된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저장 시스템(10)은 저장고(100)의 벽체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급/배기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급/배기 유닛은 저장고(100)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급기 유닛(600) 및 저장고(10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배기 유닛(65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급기 유닛(600) 및 배기 유닛(650)은 배치 및 유닛들의 개수를 제외하고는 도 3의 쿨러 배기 유닛(3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수개의 급기 유닛들(600)은 저장고(100)의 상부 벽체에 서로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다수개의 배기 유닛들(650)은 저장고(100) 내부의 가스들의 종류, 비중 등을 고려하여 저장고(100)의 상부 벽체와 하부 벽체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급기 유닛(600)의 급기 팬 유닛(620)은 급기 어셈블리(610)의 내부 측면 상에 설치되고, 배기 유닛(650)의 배기 팬 유닛(670)은 배기 어셈블리(660)의 내부 측면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급기 유닛(600)의 급기 팬 유닛(620)은 급기 어셈블리(610)의 외부 측면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0은 도 1의 냉각 유닛 및 집기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냉각 유닛, 집기 유닛 및 쿨러 배기 유닛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냉각 유닛의 내부 구조를 생략하고 외형 형상만을 나타낸다.
도 1,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냉각 유닛(200) 및 집기 유닛(400)은 저장고(100) 내부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냉각 유닛(200)은 제1 개방부(202) 및 제1 개방부(202)와 마주하는 제2 개방부(204)를 포함할 수 있다.
냉각 유닛(200)의 쿨러 팬(220)은 제2 개방부(204)를 통해 저장고(100) 내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고, 제1 개방부(202)를 통해 증발기(210)로부터의 냉각된 공기를 배출하여 저장고(100) 내에서 순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집기 유닛(400)은 냉각 유닛(200) 및 쿨러 배기 유닛(30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집기 유닛(400)은 냉각 유닛(200)의 내부로부터의 제1 공기 및 냉각 유닛(200)을 거치지 않은 저장고(100) 내부로부터의 제2 공기 중에서 어느 하나의 공기를 선택적으로 수집하여 쿨러 배기 유닛(300)으로 공급할 수 있다.
집기 유닛(400)은 댐퍼(410), 집기부(420) 및 연결 덕트(430)를 포함할 수 있다. 집기부(420)는 냉각 유닛(200)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공기를 수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집기부(420)는 냉각 유닛(200)의 상부에 연결되는 챔버(42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냉각 유닛(200)의 내부로터의 상기 제1 공기는 챔버(422) 내로 수집될 수 있다.
챔버(422)는 사다리꼴 형상의 연결부(424)에 의해 연결 덕트(430)에 연결되고, 연결 덕트(430)는 가변형 덕트(432)에 의해 쿨러 배기 유닛(300)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 덕트(430)는 집기부(420)와 쿨러 배기 유닛(300)을 연결하여 냉각 유닛(200)의 내부로부터 쿨러 배기 유닛(300)으로의 상기 제1 공기의 흐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 덕트(430)에는 댐퍼(410)가 구비될 수 있다. 연결 덕트(430)의 일측면에는 개구부(402)가 형성된다. 저장고(100) 내부로부터의 상기 제2 공기는 개구부(402)를 통해 연결 덕트(430)로 유입될 수 있다.
댐퍼(410)는 개구부(402)를 선택적으로 개폐시켜 상기 제1 및 제2 공기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공기를 쿨러 배기 유닛(300)으로 공급할 수 있다.
댐퍼(410)는 연결 덕트(430)의 일측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댐퍼(410)는 연결 덕트(430)의 일측면에 형성된 개구부(402) 또는 연결 덕트(430)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차단 시트(412) 및 차단 시트(412)를 구동하기 위한 댐퍼 구동부(414)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댐퍼 구동부(414)는 솔레노이드 또는 구동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댐퍼(410)의 차단 시트(412)는 상기 제2 공기의 흐름을 위해 연결 덕트(430)를 차단하거나 상기 제1 공기의 흐름을 위해 개구부(402)를 차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댐퍼 구동부(414)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으면, 차단 시트(412)는 자체 중력에 의해 연결 덕트(430)를 차단하고 개구부(402)를 개방시킨다. 댐퍼 구동부(414)에 전원이 인가되면, 차단 시트(412)는 회전하여 개구부(402)를 차단하고 연결 덕트(430)를 개방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댐퍼(410)는 차단 시트(412)의 일면에 설치되는 가열 시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고(100)의 내부는 냉각 유닛(200)에 의해 저온으로 유지되므로, 댐퍼(410)의 차단 시트(412)와 연결 덕트(430)는 결빙되어 댐퍼(410)가 작동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열 시트는 차단 시트(412)의 온도를 증가시켜 차단 시트(412)와 연결 덕트(430)의 결빙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냉각 유닛 및 상기 집기 유닛의 동작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댐퍼 구동부(414)에 전원이 인가되면, 차단 시트(412)는 회전하여 개구부(402)를 차단하고 연결 덕트(430)를 개방시킨다. 이 때, 냉각 유닛(200)의 쿨러 팬(220) 및 증발기(210)는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1 공기는 저장고(100) 내부로부터 냉각 유닛(200)의 제1 및 제2 개방부들(202, 204)을 통해 유입되고 집기부(420)의 챔버(422)에 수집된다. 쿨러 배기 유닛(300)의 쿨러 배기 팬 유닛(360) 및 쿨러 배기 어셈블리(310)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제1 공기는 연결 덕트(430) 및 쿨러 배기 유닛(30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냉각 유닛(200)의 쿨러 팬(220)이 작동할 때 쿨러 팬(220)의 흡인력에 의해 냉각 유닛(200)에 연결된 집기부(420)의 압력이 하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강된 집기구(420)의 압력은 저장고(100) 내부 및 외부의 압력보다 더 낮을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댐퍼(410)의 차단 시트(412)는 연결 덕트(430)를 차폐하여 저장고(100) 내부로부터의 상기 제2 공기 및 저장고(100) 외부로부터의 외부 공기가 냉각 유닛(200)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장고(100) 내부의 공기는 냉각 유닛(200)의 제2 개방부(204)를 통해 유입되고 냉각 유닛(200) 내부의 냉각 코일을 거쳐 제1 개방부(202)를 통해 배출되어 저장고(100) 내에서 순환될 수 있다.
도 12는 도 1의 건조 유닛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의 건조 유닛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두 개의 건조 유닛들(550)은 저장고(100)의 서로 마주보는 양측부에 각각 배치되어 저장고(100) 내부의 온도를 증가시켜 상기 저장물을 건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건조 유닛(550)은, 내부의 공기를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분배 덕트(552), 분배 덕트(552)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급기 팬(570), 급기 팬(570)으로부터 공급된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건조 히터(560), 및 건조 히터(560)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저장고(100) 내부에서 순환시키기 위한 제1 및 제2 순환팬들(572, 574)을 포함할 수 있다.
분배 덕트(552)의 유입구는 저장고(10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급기 팬(570)은 회류 덕트(571)에 의해 분배 덕트(552)의 유입구에 연결될 수 있다. 급기 팬(570)은 제2 순환팬(574)으로부터의 공기를 흡입하여 분배 덕트(552) 내부로 강한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급기 팬(570)은 저장고(100) 상층부의 공기를 회류 덕트(571)를 통해 분배 덕트(552)의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
분배 덕트(552)의 상부에는 건조 히터(560)가 배치될 수 있다. 건조 히터(560)는 제어부(900)에 연결되어 급기 팬(570)에 의해 분배 덕트(552) 내로 들어온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건조 히터(560)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분배 덕트(552)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흐르고, 분배 덕트(552)에 의해 저장고(100)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저장고(100) 전체에 균일하게 배출된다.
분배 덕트(552)에 의해 배출된 공기는 제1 순환팬(572)에 의해 저장고(100)의 상부로 이동하고, 제2 순환팬(574)에 의해 분배 덕트(552)의 상부를 향하여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저장고(100) 내부의 공기는 제1 및 제2 순환 팬들(572, 574), 급기 팬(570) 및 분배 덕트(552)를 통해 순환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분배 덕트(552)는, 저장고(100)의 일측벽으로부터 이격되어 분배 통로(551)를 제공하며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다수개의 슬릿들(556)이 형성된 격벽(554), 및 슬릿들(556)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기 위한 개폐 부재들(558)을 포함할 수 있다. 격벽(554)에는 다수개의 슬릿들(556)이 구비될 수 있다. 슬릿(556)은 격벽(554)의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슬릿들(556)은 격벽(554)의 수직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14a 및 도 14b는 도 12의 분배 덕트의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14a 및 도 1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분배 덕트(552)의 격벽(554)에는 급기 댐퍼(5562)가 구비될 수 있다. 급기 댐퍼(5562)는 격벽(554)의 슬릿(556)을 부분적으로 차단하여 배출되는 공기의 양의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급기 댐퍼(5562)는 모터와 같은 급기 댐퍼 구동부(5564)에 의해 격벽(554)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슬릿(556)을 부분적으로 차단하여 슬릿(556)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개폐 부재(558)는 링크 구조물에 의해 격벽(554)에 대하여 회전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개폐 부재(558)는 모터와 같은 개폐 부재 구동부(5582)에 의해 회전 이동하여 슬릿(556)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다.
한편, 냉각 유닛(200)이 작동하는 저온 저장 모드에서, 건조 히터(560)를 제외한 건조 유닛(550)의 급기 팬(570)과 순환 팬들(572, 574)이 작동하여 냉각 유닛(200)에 의해 냉각된 공기의 순환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건조 유닛(550)이 작동할 때, 냉각 유닛(200)의 쿨러 팬(220)이 함께 작동하여 건조 유닛(550)에 의해 가열된 공기의 순환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저장 시스템을 이용한 저장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표들에 설정된 수치들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적이며, 본 발명의 적용에 있어서 저장물의 종류, 저장 용량, 저장 상태, 저장 조건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5는 도 1의 저장 시스템을 이용한 저장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6은 건조 모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7은 저온 저장 모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표 1은 도 1의 저장 시스템의 제어부에 설정되는 기능들을 나타내는 표이고, 표 2는 도 1의 저장 시스템의 제어부에 설정되는 저온저장 모드에 관한 데이터들을 나타내는 표이며, 표 3은 도 1의 저장 시스템의 제어부에 설정되는 히터 과열 방지 설정 온도를 나타내는 표이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도 1, 도 15 내지 도 17 표 1 내지 표 3을 참조하면, 저장 시스템(10)의 제어부(900)에 설정 데이터를 입력한다(S100).
제어부(900)는 프로그램 제어 모드(typ)에서 건조 모드(H) 및 저온 저장 모드(C) 중에서 우선 적용할 모드를 선택한다(S102).
저장고(100) 내의 저장물을 저온 저장하기 위하여 저장고(100) 내부를 냉각시키는 저온 저장 모드(C)를 수행하기 이전에, 건조 모드(H)가 수행되어 상기 저장물을 건조시킬 수 있다(S110).
건조 모드(H)가 시작되면, 건조 유닛(550)이 작동한다(S1102). 건조 모드(H)에서는 건조 설정 온도(H.1), 건조 편차 온도(H.2), 설정 습도(H.3), 설정 습도 편차(H.4) 및 건조 시간(H.5)이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저장고(100) 내부의 온도가, 건조 온도 설정값(H.1)에서 건조 모드에서의 편차 온도(H.2)를 뺀 값보다 작은 경우, 건조 모드(H)가 수행될 수 있다. 저장고(100) 내부의 온도가, 건조 온도 설정값(H.1)보다 높으면, 건조 모드(H)가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건조 히터(560)의 온도가 건조 히터 과열 방지 설정 온도(OH 1-a), 예를 들면, 110℃가 되면, 건조 히터(560)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될 수 있다. 또한, 건조 히터(560)의 온도가 건조 히터 과열 방지 설정 편차 온도(OH 1-b), 예를 들면, 20℃만큼 감소하여 90℃ 이하가 되면, 다시 건조 히터(560)에 전원이 인가될 수 있다.
저장고(100) 내부의 온도가 건조 모드(H) 시 저장고 설정 온도(H.1), 예를 들면, 35℃에 도달하면, 건조 히터(560)의 작동이 정지하는 한편, 급기 팬(570)과 순환 팬들(572, 574)은 계속 작동된다.
따라서, 급기 팬(570) 및 순환 팬들(572, 574)이 작동하여 저장고(100) 내의 공기를 순환시키게 된다. 이 때, 건조 히터(510)가 작동될 때에는 급기 팬(570) 및 순환 팬들(572, 574)이 작동되어야 하고, 건조 히터(510)가 중지되어도 상기 팬들은 약 3분 정도 작동 후 정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건조 모드(H)는 근채류의 수확 중에 발생하는 상처의 치유와 표면 수분을 건조시켜 저장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큐어링(curing)일 수 있다. 따라서, 건조 히터(560)는 건조 모드(H) 시 건조 설정 시간(H.5) 동안 작동되어 큐어링 및 건조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건조 모드(H)는 건조 설정 시간(H.5), 예를 들면, 72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건조 설정 시간(H.5), 건조 모드시 저장고 설정 온도(H.1) 등은 저장물의 종류와 큐어링 조건들에 따라 조정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건조 모드(H) 중에 저장고(100) 내부의 온도, 습도 및 가스 농도가 센서부(800)의 온도 센서(810), 습도 센서(820) 및 가스 센서(830)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S1101, S1104, S1106).
건조 모드(H)에서의 건조 히팅, 제습/가습 및 급/배기 동작들은 제어부(900)에 설정된 우선 또는 동시 적용 순서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온도, 농도 및 습도의 적용 순서로 설정된 경우, 최우선적으로 설정 온도에 도달된 후에 가스 농도를 측정한다. 측정된 농도가 기 설정값 이상인 경우 급/배기 유닛들을 작동시킨다. 이어서, 배기 설정값의 하한에 도달될 때, 습도를 측정한다. 측정된 습도가 기 설정값 범위를 초과하면 제습을 수행하고 미달하면 가습을 수행한다.
우선 또는 동시 적용 순서가 온도 = 농도 > 습도로 설정된 경우에는, 온도와 농도를 동시에 측정한다. 측정된 온도가 기 설정값에 미달하면 건조 히터(560)가 작동되고, 측정된 농도가 기 설정값을 초과하면 급기 및 배기 유닛들(600, 650)이 작동하여 저장고(100) 내부의 가스 농도를 기 설정값 이하로 감소시키게 된다. 온도와 농도가 모두 설정 범위를 충족하면, 습도를 측정하여 제습 또는 가습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배타적인 우선 적용 모드와 병행하는 동시 적용 모드를 온도, 농도, 습도에 각각 적용하면 아래와 같은 13가지의 세부 모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적용은 큐어링 조건과 저장물의 종류에 따라 선택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온도 > 농도 > 습도 2) 온도 > 농도 = 습도
3) 온도 = 농도 > 습도 4) 온도 > 습도 > 농도
5) 온도 = 습도 > 농도 6) 농도 > 온도 > 습도
7) 농도 > 온도 = 습도 8) 농도 > 습도 > 온도
9) 농도 = 습도 > 온도 10) 습도 > 온도 > 농도
11) 습도 > 온도 = 농도 12) 습도 > 농도 > 온도
13) 온도 = 농도 = 습도
상술한 건조 모드(H)에 있어서, 저장고(100) 내부의 온도를 온도 센서(810)에 의해 측정하여 설정 온도에 미달하게 되면 건조 히터(560)에 의해 저장고(100) 내부 온도를 상승시키고, 설정 온도에 도달하면 건조 히터(560)는 작동을 중지한다.
제어부(900)는 가스 센서(830)에 의해 측정된 저장고 내부 가스 농도를 기 설정된 값과 비교한다(S1104). 저장고(100) 내부의 유해가스 농도가 기 설정값에 도달한 경우, 유해가스 농도가 최우선으로 적용되는 경우에는 건조 유닛(550)의 작동이 중지되고 배기 모드(V)가 수행되고(S1116), 온도와 유해가스 농도가 동시 적용되는 경우에는 건조 유닛(550)의 작동과 함께 배기 모드가 수행될 수 있다.
제어부(900)는 습도 센서(820)에 의해 측정된 저장고 내부 습도가 기 설정된 값 이내에 있는지를 판단한다(S1108). 저장고 내부 습도가 기 설정값 이내의 범위에 있는 경우, 습도 조절 모드를 수행한다(S1110).
상술한 건조 모드(H)에 있어서, 센서부(800)에 의해 측정된 습도가 기 설정된 값보다 높지 않으면 냉각 유닛(200)이 작동되지 않도록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센서부(800)에 의해 측정된 저장고(100) 내부의 유해가스 농도가 기 설정값에 도달되지 않는 한, 급기 팬(570) 및 순환 팬들(572, 574)이 계속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습도 조절 모드에 있어서, 저장고 내부 습도가 상한 설정값보다 높은 경우, 제어부(900)는 냉각 유닛(200)을 작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냉각 유닛(200)에 의한 제습 모드가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냉각 유닛(200)에 의한 제습이 진행될 때, 재열 히터(260)가 작동되어 냉각 유닛(200)에 의한 온도 저하와 제습 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제습에 따라 저장고 내부 습도가 하한 설정값에 도달하면 냉각 유닛(200)의 작동이 중지되고 건조 모드가 다시 수행된다(S1112).
상기 습도 조절 모드에서, 고습도의 큐어링을 하기 위해서, 저장고 내부 습도가 기 설정값보다 낮은 경우, 제어부(900)는 가습 유닛(700)을 작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가습 유닛(700)의 급수 전자 밸브(도시되지 않음)와 급기 전자 밸브(도시되지 않음)가 개방됨에 따라, 가습 유닛(700)은 저장고(100) 내부에 수분을 분무하여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수분은 상기 순환 팬들에 의해 저장고(100) 내부에서 확산 증발될 수 있다. 한편, 습도 센서(820)에 의해 측정된 습도가 기 설정값에 도달하면 제어부(900)는 상기 급수 전자 밸브와 상기 급기 전자 밸브를 차단하여 저장고(100) 내부의 습도를 제어하게 된다.
배기 모드(V)에 있어서, 배기 유닛(650)이 작동하여 저장고(100) 내부의 유해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신속한 환기를 위해 배기 유닛(650)과 함께 쿨러 배기 팬 유닛(360)이 작동될 수 있다.
건조 모드(H)가 종료된 이후에, 저장고(10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 모드(V)가 수행될 수 있다(S112).
큐어링 및 건조 후 배기 모드(V)는 배기 팬 작동 설정시간(V.1), 예를 들면, 60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배기 모드(V)가 완료되면, 제어부(900)는 저온 저장 모드(C)로의 자동 전환(Aut) 여부를 확인하여(S114), 저온 저장 모드(C)로의 자동 전환이 설정된 경우(V.3vc) 저온 저장 모드(C)로 자동으로 전환 및 수행된다(S12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배기 팬 작동 설정시간(V.1)이 경과되면, 압축기 동작 지연 시간(C.dt), 예를 들면, 60초가 경과한 후에 저온 저장 모드(C)가 수행될 수 있다.
저온 저장 모드(C)에서는, 압축기 및 응축기 팬, 즉 콘덴싱 유닛(도시되지 않음)이 작동하고 냉각 유닛(200)의 쿨러 팬(220)이 작동한다(S1206). 또한, 순환 팬들(572, 574)이 냉각 유닛(200)과 함께 작동될 수 있다.
저온 저장 모드(C) 중에, 냉각 유닛(200) 내부에 형성된 성에를 제거하기 위하여 제상 히터(250)를 이용하여 냉각 유닛(200)의 성에를 제거한다(S1208).
구체적으로, 저온 저장 모드(C)의 수행 중에 제상 주기(dec), 예를 들면, 300분이 경과하면, 쿨러 팬(220) 및 순환 팬들(572, 574)이 정지하고 제상 히터(250)가 작동한다. 한편, 상기 압축기 및 상기 응축기 팬은 전원이 차단되어 작동이 정지된다.
냉각 유닛(200)에 설치된 제상 히터(250)에 전원이 인가되면, 제상 히터(250)는 제상 시간(det), 예를 들면, 20분 동안 작동하여 냉각 유닛(200)의 내부 온도를 상승시키게 된다. 따라서, 제상 히터(250)는 냉각 유닛(200) 내부에 형성된 성에를 제거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저온 저장 모드(C)에서의 우선 선택 적용 순서에 따라, 저장고(100) 내부의 습도를 습도 센서(820)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S1210).
제어부(900)는 습도 센서(820)에 의해 측정된 저장고 내부 습도가 기 설정된 값 이내에 있는지를 판단한다(S1108). 저장고 내부 습도가 기 설정값 범위 밖에 있는 경우, 습도 조절 모드를 수행한다(S1110).
습도 조절 모드에 있어서, 저장고 내부 습도가 상한 설정값보다 높은 경우, 제어부(900)는 냉각 유닛(200)을 작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냉각 유닛(200)에 의한 제습 모드가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냉각 유닛(200)에 의한 제습이 진행될 때, 재열 히터(260)가 작동되어 냉각 유닛(200)에 의한 온도 저하와 제습 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제습에 따라 저장고 내부 습도가 제습 설정값에 도달하면 냉각 유닛(200)의 작동이 중지된다.
상기 습도 조절 모드에서, 저장고 내부 습도가 기 설정값보다 낮은 경우, 제어부(900)는 가습 유닛(700)을 작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가습 유닛(700)의 급수 전자 밸브(도시되지 않음)와 급기 전자 밸브(도시되지 않음)가 개방됨에 따라, 가습 유닛(700)은 저장고(100) 내부에 수분을 분무하여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수분은 상기 순환 팬들에 의해 저장고(100) 내부에서 확산 증발될 수 있다. 한편, 습도 센서(820)에 의해 측정된 습도가 가습 설정값에 도달하면 제어부(900)는 상기 급수 전자 밸브와 상기 급기 전자 밸브를 차단하여 저장고(100) 내부의 습도를 제어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저온 저장 모드(C)에서의 우선 적용 순서에 따라, 저장고(100) 내부와 외부의 온도를 온도 센서(810)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S1202).
제어부(900)는 온도 센서(810)에 의해 측정된 저장고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가 기 설정된 값 이내에 있는지를 판단한다(S1204). 동절기의 저온 저장 모드(C)에 있어서, 저장고 내부의 설정온도가 외기의 온도보다 기 설정값(예를 들면, 15℃ 이상)보다 높을 경우, 냉각 유닛(200)을 가동하지 않고, 급기 유닛(600) 및 배기 유닛(650)을 작동한다(S1216).
급기 유닛(600)은 저장고(100) 외부의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공기를 내부로 공급하고, 배기 유닛(650)은 저장고(100) 내부의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의 공기를 배출시켜, 저장고(100) 내부의 온도를 하강시킬 수 있다. 따라서, 급기 유닛(600)은 배기 유닛(650)과 함께 저장고(100) 외부의 차가운 공기를 이용하여 저온 저장 모드(C)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쿨러 팬(220)은 배기 유닛(650)과 함께 작동될 수 있다.
급기 유닛(600) 및 배기 유닛(650)의 작동에 의해, 저장고(100)의 내부의 온도가 설정 온도에 도달하면, 저장고 내부의 온도가 설정 값 이하로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쿨러 팬(220)만 작동되고 급기 및 배기 유닛들(600, 650)들은 정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저장물의 열용량이 큰 경우에는 차가운 외부 공기만으로 냉각 능력이 부족하여 냉각 효율이 떨어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온도 센서(810)는 저장고(100) 내부의 온도 변화를 검출하고, 제어부(900)는 내부의 온도 변화가 기 설정값의 범위 이내에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S1218).
저장고(100) 내부의 온도 변화가 일정시간 동안 기 설정된 온도 범위에 미치지 못할 경우, 즉, 냉각 효율이 떨어지는 경우에는, 냉각 유닛(200)에 의한 저온 저장 모드(C)로 전환된다.
저온 저장 모드(C)의 수행 중에, 증발기에 착상된 성에를 제거하기 위한 제상이 실시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냉각 유닛(200)의 온도가 기 설정값 이상일 경우, 상기 냉각 유닛 내부의 제상 열기와 수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 모드(V)가 수행될 수 있다.(S126)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냉각 유닛(200)의 온도는 냉각 유닛(200) 또는 냉각 유닛(200)의 상부에 연결된 집기 유닛(400)에 설치된 온도 센서(230)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제상 히터(250)에 의해 상승된 냉각 유닛(200)의 내부 온도가 쿨러 배기 팬 작동 온도(V.4t1), 예를 들면, 20℃에 도달하게 되면, 배기 모드(V)가 수행된다.
제상 과정 중에 제상 히터(250)에 의해 냉각 유닛(200) 뿐만 아니라 저장고(100) 내부의 온도가 급격히 상승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쿨러 배기 유닛(300)은 제상 히터(240)에 의해 냉각 유닛(200) 내부의 뜨거워진 공기를 센서(230)로 감지하여 집기 유닛(400)의 집기부(420)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 모드(V)를 수행하여, 제상 히터(250)에 의해 저장고(100) 내부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저장물로부터 발생된 에틸렌, 이산화탄소, 메탄, 황화수소 등과 같은 가스를 동시에 자동 배기할 수 있어 농산물의 저장기간을 극대화할 수 있다.
배기 모드(V)에 있어서, 댐퍼 구동부(432)에 전기가 인가되면, 댐퍼(410)의 차단 시트(412)는 회전하여 개구부(402)를 차단하고 연결 덕트(430)를 개방시킨다. 배기 구동부(350) 및 쿨러 배기 팬(362)에 전기가 인가되면 쿨러 배기 어셈블리(310)가 개방되고, 냉각 유닛(200) 내부의 제1 공기가 쿨러 배기 유닛(300)을 통해 외부로 배기되며, 이로 인해 발생되는 저장고 내외의 압력 차이는 급기 유닛(600)을 통해 저장고(100) 외부의 공기가 저장고 내부로 유입되어 압력의 균형을 이루게 된다.
배기 모드(V)가 수행된 후, 배기되는 공기의 온도가 쿨러 배기유닛 작동 편차 온도(V.4t2), 예를 들면, 5℃만큼 감소하여 15℃가 되면, 배기 모드(V)가 중지되고, 제상 히터(250)에만 전원이 공급된다.
이후, 제상 히터(250)에 의해 냉각 유닛(200)의 온도가 상승하여 다시 쿨러 배기 유닛 작동 온도(V.4t1), 예를 들면, 20℃에 도달하게 되면, 다시 배기 모드(V)가 수행된다.
한편, 제상 히터(250)의 온도가 제상 히터 과열 방지 설정 온도(OH 2-a), 예를 들면, 30℃가 되면, 제상 히터(250)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된다. 이후, 제상 히터(250)의 온도가 제상 히터 과열 방지 설정 편차 온도(OH 2-b), 예를 들면, 5℃만큼 감소하여 25℃가 되면, 다시 제상 히터(250)에 전원이 인가되어 제상 히터(250)가 작동하게 된다.
제상 히터(250)는 제상 시간(det)이 경과하면, 압축기 동작 지연 시간(C.dt), 예를 들면, 60초가 경과한 후에 저온 저장 모드(C)가 다시 수행될 수 있다.
저온 저장 모드(C)의 수행 중에, 저장고(100) 내부의 온도가 저온 저장 모드에서의 저장고 설정 온도(C.st), 예를 들면, 0℃ 이하가 되면, 상기 콘덴싱 유닛의 작동 정지된다.
한편, 저장고(100) 내부의 온도가 저온 저장 모드에서의 편차 온도(C.dF), 예를 들면, 2℃로 상승하면, 압축기 동작 지연 시간(C.dt) 경과한 후에 저온 저장 모드(C)가 다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건조 모드(H) 또는 저온 저장 모드(C) 수행 중에, 저장고(100) 내부의 가스의 농도 또는 습도를 측정할 수 있다(S130). 이어서, 센서부(800)에 의해 측정된 가스의 농도 또는 습도가 기 설정값에 도달하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32). 측정된 가스의 농도 또는 습도가 기 설정값 이상이면, 건조 모드(H) 중에 배기 모드(V) 또는 제습/가습의 습도 조절 모드가 수행될 수 있다(S134). 이와 같은 건조 모드(H) 및 저온저장 모드(C)에 있어서 우선 적용 및 동시 적용 순서에 따라 세부 작동모드가 결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큐어링 및 저온 저장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큐어링 및 저온 저장 방법에 따르면,
저온 저장고에서 농산물의 큐어링 및 건조 그리고 저온 저장이 가능하게 된다. 큐어링 및 건조 시에 디지털 컨트롤러와 각종 센서에 의해 기 설정된 작동 조건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저장고 내부의 열기와 습기, 가스 등이 자동으로 배기되며, 배기 후에는 자동으로 저온 저장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신설뿐만 아니라 기존의 저온 저장고, 냉동고, 건조실 등에 저렴한 비용으로 설치할 수 있어, 막대한 시설비를 들여 별도의 건조장을 축조하지 않고도 큐어링 및 건조, 자동 배기를 할 수 있으며, 건조 후에도 다른 곳으로 옮기지 않고 바로 저온 저장을 할 수 있고, 저온 저장에서는 제상 시 급격한 온도 상승을 방지하여 저장고의 저장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어 저장물의 저장 기간과 신선도를 증가시키고, 에틸렌 가스와 이산화탄소 등의 신속한 제거로 농산물의 신선함과 농산물 저장 기간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동절기의 상당기간 동안 상대적으로 저온의 외부 공기를 이용하여 저장고 내부의 온도를 낮출 수 있어, 냉동기 가동 시간의 감소로 냉동기 내구 수명의 연장과 전력소비를 절약할 수 있고, 큐어링 및 건조에 있어서는 무인 자동화로, 에너지와 인력, 비용의 절감을 통해 관리 유지의 부담을 크게 경감할 수 있다.
더욱이, 저온 저장 및 제상 또는 큐어링 및 건조 중에 발생하는 가스들을 상기 저장고 외부로 자동적으로 배출하여 저장물의 저장성 및 품질 유지를 개선시킬 수 있으며, 관리 유지의 자동화로 유지비와 인건비의 절약을 통한 경쟁력을 제고 하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저장 시스템 100 : 저장고
104 : 벽체 105 : 출입문
200 : 냉각 유닛 210 : 증발기
220 : 쿨러 팬 230 : 냉각 유닛 온도 센서
250 : 제상 히터 260 : 재열 히터
300 : 쿨러 배기 유닛 310 : 쿨러 배기 어셈블리
312 : 케이스 314 : 교차형 프레임
320 : 축봉 330 : 제1 개폐부
332 : 제1 플레이트 334 : 제1 탄성 부재
336 : 제1 차단편 340 : 제2 개폐부
342 : 제2 플레이트 344 : 제2 탄성 부재
346 : 제2 차단편 348 : 슬리브
348a : 돌기부 350 : 배기 구동부
352 : 플런저 354 : 솔레노이드
360 : 쿨러 배기 팬 유닛 362 : 배기 팬
365 : 와셔 370 : 제1 고정 프레임
380 : 제2 고정 프레임 400 : 집기 유닛
410 : 댐퍼 412 : 차단 시트
414 : 댐퍼 구동부 420 : 집기부
422 : 챔버 430 : 연결 덕트
550 : 건조 유닛 552 : 분배 덕트
556 : 슬릿 5562 : 급기 댐퍼
558 : 개폐 부재 560 : 건조 히터
570 : 급기 팬 572 : 제1 순환 팬
574 : 제2 순환 팬 600 : 급기 유닛
650 : 배기 유닛 700 : 가습 유닛
800 : 센서부 900 : 제어부

Claims (18)

  1. 저장물을 저장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저장고;
    상기 저장고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고 내부의 온도를 하강시켜 저장물을 저온 저장시키기 위한 냉각 유닛;
    상기 냉각 유닛에 구비되어 상기 냉각 유닛 내부에 형성된 성에를 제거하기 위한 제상 히터;
    상기 냉각 유닛의 증발기와 쿨러 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증발기로부터의 제습 냉각된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재열 히터;
    상기 저장고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고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켜 상기 저장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건조 유닛;
    상기 저장고의 벽체를 관통하며 상기 냉각 유닛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쿨러 배기 유닛;
    상기 냉각 유닛 및 상기 쿨러 배기 유닛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냉각 유닛의 내부로부터의 제1 공기 및 상기 저장고 내부로부터의 제2 공기 중에서 어느 하나의 공기를 선택적으로 수집하여 상기 쿨러 배기 유닛으로 공급하기 위한 집기 유닛;
    상기 저장고의 벽체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상기 저장고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공급하며 상기 저장고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를 해소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급기 유닛;
    상기 저장고의 벽체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상기 저장고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며 상기 저장고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를 해소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배기 유닛; 및
    상기 냉각 유닛, 상기 제상 히터, 상기 재열 히터, 상기 쿨러 배기 유닛, 상기 건조 유닛, 상기 급기 유닛 및 상기 배기 유닛에 각각 연결되어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저장고 내부의 온도, 습도 및 가스 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저장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유닛은
    다수개의 슬릿들이 형성된 분배 덕트;
    상기 분배 덕트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급기 팬; 및
    상기 분배 덕트 내에 구비되며 상기 급기 팬으로부터 공급된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건조 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유닛은 상기 분배 덕트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상기 저장고 내부에서 순환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순환 팬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 팬들은
    상기 분배 덕트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상기 저장고의 상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 순환 팬; 및
    상기 제1 순환 팬으로부터의 공기를 상기 급기 팬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 순환 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덕트는
    상기 저장고의 일측벽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슬릿들이 형성된 격벽; 및
    상기 슬릿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기 위한 개폐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덕트는 상기 슬릿을 부분적으로 차단하여 상기 슬릿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급기 댐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들은 상기 격벽의 수직 방향으로 이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고 내부에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가습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고 내부의 저온 설정 온도보다 외부의 온도가 더 낮은 경우, 상기 급기 유닛 및 상기 배기 유닛이 작동하여 외부의 공기를 이용하여 저장물을 저온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고 내부의 온도, 습도 및 가스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시스템.
  11. 저장고 내부의 저장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 모드 및 저온 저장시키기 위한 저온 저장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건조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저장고 내부에 설치된 건조 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저장물을 건조시키는 단계;
    상기 건조 모드 중에 검출된 가스 농도에 따라 상기 저장고 내부로부터 외부로 가스를 배출하는 단계;
    상기 건조 모드 중에 검출된 습도에 따라 상기 저장고 내부에 설치된 냉각 유닛 또는 가습 유닛을 이용하여 습도를 조절하는 단계;
    상기 저온 저장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냉각 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저장고 내부를 냉각시키는 단계;
    상기 저온 저장 모드 중에 상기 냉각 유닛 내부에 형성된 성에를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냉각 유닛에 설치된 제상 히터를 이용하여 상기 냉각 유닛을 제상시키는 단계;
    상기 저온 저장 모드 중에 검출된 습도에 따라 상기 냉각 유닛 또는 상기 가습 유닛을 이용하여 습도를 조절하는 단계;
    상기 저온 저장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저장고 내부의 저온 설정 온도보다 외부의 온도가 더 낮을 때에는 외부의 공기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물을 저온 저장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저장고 내부의 가스와 온도 또는 상기 냉각 유닛의 온도에 따라 기 설정된 배기 시간동안 상기 냉각 유닛의 내부로부터 상기 냉각 유닛에 연결된 집기 유닛으로 유입된 제1 공기 및 상기 저장고 내부로부터 상기 집기 유닛으로 직접 유입된 제2 공기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공기를 수집하여 상기 저장고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장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모드 또는 상기 저온 저장 모드 중에 습도를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냉각 유닛을 이용하여 제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유닛을 이용하여 제습하는 단계는 상기 냉각 유닛의 증발기로부터의 냉각된 공기를 가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유닛을 이용하여 제습하는 단계는 상기 냉각 유닛의 증발압력 조정 밸브를 통해 증발온도를 상승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저온 저장 모드에서 제습을 수행할 때 상기 냉각 유닛의 증발기 출구 밸브를 개방하여 증발온도를 하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외부의 공기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물을 저온 저장시키는 단계는 상기 저장고의 벽체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급기 유닛 및 배기 유닛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방법.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모드 중에 검출된 가스 농도에 따라 상기 저장고 내부로부터 외부로 가스를 배출하는 단계는, 상기 가스의 종류에 따라 가스가 배출되는 상기 저장고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방법.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모드 종료 후 상기 저장고 내부의 공기를 상기 저장고의 벽체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배기 유닛 및 급기 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저장고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고 외부의 공기를 급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방법.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저장물을 건조시킬 때, 상기 냉각 유닛에 구비된 재열 히터가 함께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방법.
KR1020100013327A 2009-02-12 2010-02-12 저장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저장 방법 KR1011407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3327A KR101140727B1 (ko) 2010-02-12 2010-02-12 저장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저장 방법
PCT/KR2010/000929 WO2010093213A2 (ko) 2009-02-12 2010-02-12 배기 어셈블리, 이를 갖는 큐어링 및 저온 저장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큐어링 및 저온 저장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3327A KR101140727B1 (ko) 2010-02-12 2010-02-12 저장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저장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3342A true KR20110093342A (ko) 2011-08-18
KR101140727B1 KR101140727B1 (ko) 2012-05-21

Family

ID=42562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3327A KR101140727B1 (ko) 2009-02-12 2010-02-12 저장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저장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40727B1 (ko)
WO (1) WO2010093213A2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6382B1 (ko) * 2012-01-10 2013-11-11 유태이 저온저장고의 구조 시스템
KR20160079464A (ko) * 2014-12-26 2016-07-06 이병록 유리온실 건조장치
KR20190009500A (ko) * 2017-07-19 2019-01-29 이광익 건조 시스템
KR102360756B1 (ko) * 2021-07-29 2022-02-14 안흥수 건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9805B1 (ko) * 2014-02-20 2016-02-12 강철호 저온저장고 및 그 제어방법
CN108716750A (zh) * 2018-04-30 2018-10-30 中山市宝军电子有限公司 一种具有防风沙功能的排风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02230A (ja) * 1987-10-14 1989-04-19 Matsushita Seiko Co Ltd 換気装置
JPH09137981A (ja) * 1995-11-17 1997-05-27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倉庫内ガスの排気方法
KR0164656B1 (ko) * 1995-12-07 1999-01-15 진금수 건조기겸 냉장창고
JPH1163821A (ja) 1997-08-12 1999-03-05 Airwick Kogyo:Yugen 物品の乾燥装置
JP4389293B2 (ja) * 1999-06-18 2009-12-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排気浄化装置
KR200193192Y1 (ko) 2000-03-17 2000-08-16 백남춘 농수산물 건조장치
KR100381145B1 (ko) * 2000-07-13 2003-04-21 대한민국 인터넷을 이용한 저온저장고의 환경감시 시스템
KR100933006B1 (ko) * 2008-02-18 2009-12-22 심기섭 배기 유닛
KR100944654B1 (ko) * 2009-10-13 2010-03-04 심기섭 큐어링 및 저온 저장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6382B1 (ko) * 2012-01-10 2013-11-11 유태이 저온저장고의 구조 시스템
KR20160079464A (ko) * 2014-12-26 2016-07-06 이병록 유리온실 건조장치
KR20190009500A (ko) * 2017-07-19 2019-01-29 이광익 건조 시스템
KR102360756B1 (ko) * 2021-07-29 2022-02-14 안흥수 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93213A2 (ko) 2010-08-19
KR101140727B1 (ko) 2012-05-21
WO2010093213A3 (ko) 2010-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0727B1 (ko) 저장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저장 방법
CN108826793B (zh) 冰箱、其控制***及控制方法
KR101095897B1 (ko) 저온 저장 가능한 농수산물 제습 건조기
CN107439661A (zh) 一种基于热泵的鱼片类海鲜隧道烘干***的除湿控制方法
CN106091535A (zh) 冷藏室加湿控制方法和风冷冰箱
KR101874163B1 (ko) 상온 건조 시스템
KR100944654B1 (ko) 큐어링 및 저온 저장 시스템
KR101317086B1 (ko) 건조장치 및 그 건조방법
KR101613852B1 (ko) 식품 건조기
KR100951628B1 (ko) 농산물 저장창고
KR101302249B1 (ko) 저온 저장장치
KR102030096B1 (ko) 식품 건조시스템
KR100408812B1 (ko) 신선 농산물의 이동식 예냉예건겸용장치
KR20160098755A (ko) 송풍기 모듈을 이용한 제습시스템 및 그 제습시스템의 작동방법
KR100933006B1 (ko) 배기 유닛
KR101226451B1 (ko) 대형창고의 양방향 제습건조시스템
KR102095000B1 (ko) 제습기
CN2630760Y (zh) 家用控温控湿电冰箱
RU2410610C2 (ru) Бытовой электроприбор,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с одним охлаждающим отсеком и модулем обработки воздуха
KR100849549B1 (ko) 공기 조화 장치
KR101701383B1 (ko) 공간활용이 가능한 일체형 냉각시스템
KR200251651Y1 (ko) 신선 농산물의 이동식 예냉예건겸용장치
CN110006224B (zh) 一种低温干燥装置及干燥方法
JP5158283B1 (ja) 食品乾燥庫
CN219515261U (zh) 一种热泵烘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