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0756B1 - 건조기 - Google Patents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0756B1
KR102360756B1 KR1020210100063A KR20210100063A KR102360756B1 KR 102360756 B1 KR102360756 B1 KR 102360756B1 KR 1020210100063 A KR1020210100063 A KR 1020210100063A KR 20210100063 A KR20210100063 A KR 20210100063A KR 102360756 B1 KR102360756 B1 KR 1023607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lexible cover
dryer
cov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0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흥수
Original Assignee
안흥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흥수 filed Critical 안흥수
Priority to KR1020210100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07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0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07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3Supply-air or gas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08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10Temperatur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0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evaporation or sublimation of moisture under reduced pressure, e.g. in a vacu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1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s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6Grains, e.g. cereals, wheat, rice, cor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출방식으로 공기를 유동시켜 대상체를 건조할 수 있는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상기 건조기는 대상체가 내부에 수용되고 양측이 개방된 플렉시블 커버와, 상기 플렉시블 커버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플렉시블 커버의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흡입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플렉시블 커버는 상기 흡입수단이 동작하여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면, 상기 대상체에 밀착되게 변형되어 내부의 압력이 낮아지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으로, 대상체가 배치되는 공간에 흡출방식으로 외부 공기를 유동시켜 간단한 구조로 신속하게 대상체를 건조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건조기{DRIER}
본 발명은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흡출방식으로 공기를 유동시켜 대상체를 건조할 수 있는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산물은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여 유통 중에 부패되기 쉽기 때문에 보존기간을 연장하거나 상품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건조 처리하는 경우가 많다. 
농산물의 상품성을 고려하면 일광 및 자연풍에 의해 건조시키는 자연 건조방식이 매우 바람직하나, 이러한 자연 건조방식은 기상조건이나 시간적 제약 등의 문제점이 있어 대량 생산에 한계가 있다.
건조 유통되는 대표적 농산품인 고추의 경우를 예로 들면, 태양초의 가격이 화건 고추보다 훨씬 비싸지만 기상조건의 제약이나 수작업의 어려움 등으로 품질이 균일하지 못하고 건조기간이 길며 대량생산이 어려운 문제 등이 있어 수확한 고추의 10%정도만 자연건조가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기후조건에 관계없이 단시간내에 농산물을 건조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건조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최근에는 화석연료를 이용한 버너 대신 전기히터를 장착함으로써 화석연료의 연소에 따른 냄새나 그을음, 아황산가스 등의 발생에 의한 피건조물의 상품성 저하를 방지하고, 소용량으로 제작가능하여 개인이 소량의 농산물을 건조시키기에 적합한 전열식 농산물 건조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전열식 농산물 건조기는 공간을 적게 차지하기 위해 건조기 내부에 피건조물을 수직으로 적층하고, 하부에서 열을 가하는 방식이 주로 사용되기 때문에 건조실 내부의 공기를 상승시키기 위해 메인팬 외에 순환로 상에 별도의 보조팬이 다수 구비되고, 습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해 별도의 제습장치가 구비되는 등 구조적으로 복잡하여 고장이 잦고 유지 및 보수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납된 농수산물 전체를 골고루 건조되는 데에는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흡입한 공기를 내부에서 순환시켜 건조하므로 건조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232295호(2021.03.1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대상체가 배치되는 공간에 흡출방식으로 외부 공기를 유동시켜 간단한 구조로 신속하게 대상체를 건조할 수 있는 건조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흡출시에 대상체가 배치되는 내부 공간의 압력이 낮아지게 되어 복수로 적층되어 있는 대상체들을 전체적으로 신속하고, 보다 고르게 건조할 수 있는 건조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대상체가 배치되는 내부 공간의 압력과 습도를 측정하고, 이에 대응하여 흡출되는 공기량을 자동으로 조절하여 보다 신속하게 건조할 수 있는 건조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는, 대상체가 내부에 수용되고, 양측이 개방된 플렉시블 커버; 및 상기 플렉시블 커버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플렉시블 커버의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흡입수단;을 포함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플렉시블 커버는, 상기 흡입수단이 동작하여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면, 상기 대상체에 밀착되게 변형되어 내부의 압력이 낮아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수단은,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홀이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공기 배출홀에 배치되게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체결되고, 상기 플렉시블 커버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는 팬; 및 공기가 유입되게 복수의 유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팬을 감싸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체결되며, 상기 플렉시블 커버가 상기 팬에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건조기는, 상기 플렉시블 커버의 내부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대상체들의 사이에 배치되고, 대상체들 사이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하는 공간 형성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공간 형성부는,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대상체를 지지하고,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된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의 사이에서 오목하게 형성되어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오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간 형성부는, 공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중심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와 상기 오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복수로 형성되고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게 관통 형성된 흡입홀; 및 상기 돌출부의 단부의 둘레를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고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게 관통 형성된 관통홀;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건조기는, 상기 플렉시블 커버의 내측에서 폭 방향으로 양측에 배치된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플렉시블 커버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어 양측단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체결되고, 상기 공간 형성부가 안착되며, 상기 공간 형성부와의 사이로 공기가 유동하도록 요철 형태로 형성된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수단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배출홀 또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유입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개구의 면적을 가변하여 배출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댐퍼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플렉시블 커버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 상기 플렉시블 커버 내부의 습도를 측정하는 커버 습도센서; 및 상기 압력센서와 상기 커버 습도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기 설정된 압력과 습도를 만족하도록 상기 댐퍼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건조기는, 양측이 개방되고, 상기 흡입수단과 상기 플렉시블 커버가 내부에 수용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양측을 개폐하는 도어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상기 하우징 내부의 습도를 측정하는 하우징 습도센서; 상기 하우징 내부의 상황을 촬영하는 카메라; 및 외부의 스마트기기와 무선통신하고, 상기 온도센서와 상기 하우징 습도센서와 상기 카메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스마트기기에 데이터를 발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건조기에 따르면, 대상체가 배치되는 공간에 흡출방식으로 외부 공기를 유동시켜 간단한 구조로 신속하게 대상체를 건조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흡출시에 대상체가 배치되는 내부 공간의 압력을 낮추어 복수로 적층되어 있는 대상체들을 전체적으로 신속하고, 보다 고르게 건조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대상체가 배치되는 내부 공간의 압력과 습도를 측정하고, 이에 대응하여 흡출되는 공기량을 자동으로 조절하여 보다 신속하게 건조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건조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건조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건조기에서 흡입수단과 플렉시블 커버를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건조기에서 공기 배출에 의해 플렉시블 커버가 대상체에 흡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건조기에서 공간 형성부가 배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건조기에서 공간 형성부를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건조기에서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공간 형성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8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건조기에서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공간 형성부에 대상체가 적층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부분 측면도,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건조기에서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공간 형성부에 대상체가 적층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정면도,
도 10는 도 5의 A부분을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건조기에서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건조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및 정면도이며, 도 3은 상기 건조기에서 흡입수단과 플렉시블 커버를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측면도이고, 도 4는 공기 배출에 의해 플렉시블 커버가 대상체에 흡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상기 건조기에서 공간 형성부가 배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측면도이고, 도 6은 상기 공간 형성부를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공간 형성부를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고, 도 8 및 도 9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공간 형성부에 대상체가 적층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부분 측면도 및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10는 도 5의 A부분을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정면도이고, 도 11은 상기 건조기에서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건조기(100)는 대상체(P)가 내부에 수용되고 양측이 개방된 플렉시블 커버(300)와, 상기 플렉시블 커버(300)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플렉시블 커버(300)의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흡입수단(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대상체(P)는 농산물일 수 있다. 물론, 상기 대상체(P)가 농산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건조 작업이 필요하다면 어떠한 것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플렉시블 커버(300)는 상기 대상체(P)를 감싸도록 배치되되, 상기 흡입수단(200)이 동작하여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면, 상기 대상체(P)에 밀착되게 변형된다.
즉, 상기 플렉시블 커버(300)는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면 상기 대상체(P)에 밀착되고, 이때 상기 플렉시블 커버(300)의 내부 공기는 지속적으로 외부로 배출되므로, 상기 플렉시블 커버(300)의 내부의 압력이 낮아지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플렉시블 커버(300)의 내부의 압력이 낮아짐에 따라 상기 대상체(P)가 머금고 있는 수분을 상기 플렉시블 커버(300)의 내부의 공간으로 보다 잘 빠져나오게 되므로, 보다 신속하게 건조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렉시블 커버(300)의 내부의 압력이 낮아지게 되면 외부의 공기가 상기 플렉시블 커버(300)의 내부로 잘 유입되므로 보다 신속하게 공기를 순환시켜 건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플렉시블 커버(300)는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면서 수축하여 상기 대상체(P)에 밀착되도록 비닐(vinyl)로 제작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플렉시블 커버(300)의 소재가 비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비닐과 같이 내수성, 기밀성, 가소성 등을 가지고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면서 수축하여 상기 대상체(P)에 밀착될 수 있다면 어떠한 소재로도 제작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플렉시블 커버(300)는 2장의 비닐인 제1 커버와 제2 커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 커버를 바닥에 위치시킨 후 대상체를 상기 제1 커버 상에 배치하고, 상기 제1 커버로 상기 대상체를 감싼다. 그리고, 상기 제2 커버를 상기 대상체 위에 배치하여 상기 대상체를 2중으로 감싼다. 그리고, 상기 대상체를 감싼 상태에서 상기 제1 커버와 상기 제2 커버의 일측단을 상기 흡입수단에 부착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흡입수단(200)은 상기 플렉시블 커버(300)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플렉시블 커버(300)의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흡입수단(200)은 베이스 플레이트(21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0)에 구비되는 팬(220), 그리고 상기 팬(220)을 감싸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0)에 체결되는 커버 플레이트(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0)는 상기 플렉시블 커버(300)의 개방된 일측을 폐쇄하도록 배치되고,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홀(211)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배출홀(211)은 복수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팬(220)은 상기 공기 배출홀(211)에 배치되게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0)에 체결되고, 상기 플렉시블 커버(30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0)에 복수의 배출홀(211)이 형성되면, 상기 배출홀(211) 각각에 상기 팬(220)이 구비되어 각각의 상기 배출홀(211)을 통하여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로 마련되는 상기 팬(220)은 모두 동시에 동작하거나, 개별적으로 동작이 제어되어 배출되는 공기량을 조절할 수도 있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230)는 공기가 유입되게 복수의 유입홀(231)이 형성되고, 상기 팬(220)을 감싸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0)에 체결된다.
즉, 상기 커버 플레이트(230)는 상기 팬(220)을 감싸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0)에 구비되어 있어, 상기 팬(220)의 구동에 의해 상기 플렉시블 커버(300) 내부의 공기가 유입되게 복수의 유입홀(23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팬(220)이 구동하게 되면 상기 플렉시블 커버(300)가 상기 팬(220)으로 흡착되면서 상기 팬(220)에 의해 상기 플렉시블 커버(300)가 파손될 수 있고, 또는 상기 플렉시블 커버(300)가 상기 팬(220)에 감기어 상기 팬(220)이 파손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팬(220)을 감싸도록 상기 커버 플레이트(230)를 구비하여, 상기 팬(220)이 회전하는 동안에 상기 플렉시블 커버(300)가 상기 팬(220)에 흡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건조기(100)는 상기 대상체(P)들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대상체(P)들의 사이로 공기가 원활히 유동할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하는 공간 형성부(4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렉시블 커버(300)의 내부에 상기 대상체(P)들이 밀집하여 배치된 경우, 상기 대상체(P)들이 밀집되어 있는 중심 영역에서는 공기의 유동이 잘 발생하지 않게 되어, 중심 영역에 배치된 대상체(P)들이 잘 건조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공간 형성부(400)를 상기 플렉시블 커버(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대상체(P)들의 사이에 배치하여 모든 영역에서 공기 유동이 원활히 발생할 수 있어 전체적으로 대상체(P)들을 균일하게 건조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공간 형성부(400)는,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플렉시블 커버(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몸체(401)와, 상기 몸체(401)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돌출부(40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402)는 대상체(P)를 지지하게 되어 대상체와 대상체 사이로 공간을 형성하여 공기가 원활히 유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다른 예로, 상기 공간 형성부(400)는, 도 7을 참조하면,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대상체(P)를 지지하고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된 돌출부(410)와, 상기 돌출부(410)의 사이에서 오목하게 형성되어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오목부(4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간 형성부(400)는 공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중심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간 형성부(400)는 상기 돌출부와 상기 오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고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복수의 흡입홀(430)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간 형성부(400)는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대상체(P)들의 사이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공간 형성부(400)가 상기 대상체(P)들의 사이에 배치되면, 상기 대상체(P)들은 상기 돌출부(410)의 단부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상기 오목부(420)로 공기가 유동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오목부(420)는 나선 형태로 일측단에서 타측단으로 연속되게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플렉시블 커버(300)의 개방된 타측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오목부(420)를 따라서 상기 플렉시블 커버(300)의 길이 방향 전 영역에서 공기 유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410)와 상기 오목부(420)에 복수의 상기 흡입홀(430)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오목부(420)를 따라서 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흡입홀(430)을 통하여 상기 공간 형성부(400)의 내부로 유입되어 보다 원활히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다.
상기 공간 형성부(400)는,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돌출부(410)의 단부의 둘레를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고,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게 관통 형성된 관통홀(44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공간 형성부(400)의 돌출부(410)에 상기 대상체(P)들이 안착되어 있어, 상기 돌출부(410)와 상기 대상체(P)가 접촉하는 부분에서 공기 유동이 발생하지 못하여 건조가 취약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돌출부(410)의 단부의 둘레를 따라 상기 관통홀(440)을 형성하여 상기 돌출부(410)와 상기 대상체(P)가 접촉하는 부분에서도 공기가 원활히 유동할 수 있도록 마련하였다.
또한, 상기 관통홀(440)은 상기 공간 형성부(400)의 내부와 연통되게 관통 형성되므로, 상기 관통홀(440)을 통과하는 공기가 상기 공간 형성부(400)의 내부로 유입되어 보다 원활히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건조기(100)는 상기 공간 형성부(400)를 상기 플렉시블 커버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지지하는 구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건조기(100)는 상기 플렉시블 커버의 내측에서 폭 방향으로 양측에 배치된 베이스 프레임(510)과, 양측단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510)에 체결된 지지 프레임(5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 프레임(520)은 양측단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510)에 체결된 상태로, 상기 플렉시블 커버(300)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공간 형성부(400)가 안착된다. 이를 통하여, 상기 공간 형성부(400)가 상기 플렉시블 커버(300)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간 형성부(400)는 상기 플렉시블 커버(300)의 길이에 대응하여 길이가 길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이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 프레임(510)과 상기 지지 프레임(520)은 상기 플렉시블 커버(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 프레임(520)은 상기 공간 형성부(400)와의 사이로 공기가 유동하도록 요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지지 프레임(520)에도 공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공간 형성부(400)와 상기 지지 프레임(520)이 접촉하는 부분, 또는 상기 지지 프레임(520)에 대상체(P)가 안착되는 경우 상기 대상체(P)와 상기 지지 프레임(520)이 접촉하는 부분에서 공기 유동이 발생하지 못하여 건조가 취약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지지 프레임(520)을 요철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하여 상기 공간 형성부(400)와 상기 지지 프레임(520)이 접촉하는 부분, 그리고 상기 대상체(P)와 상기 지지 프레임(520)이 접촉하는 부분에서도 공기가 원활히 유동할 수 있도록 마련하였다.
상기 흡입수단(200)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0)의 배출홀(211) 또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230)의 유입홀(23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개구의 면적을 가변하여 배출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댐퍼부(24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댐퍼부(240)는,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0)의 배출홀(211)에 회전되게 구비되어, 상기 배출홀(211)을 개폐하거나 회전 각도를 달리하여 상기 배출홀(211)을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댐퍼부(240)는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커버 플레이트(230)에 셔터 타입으로 구비되어 상기 유입홀(231)을 개폐하거나, 부분적으로 상기 유입홀(231)을 개방하여 상기 유입홀(231)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댐퍼부(240)는 상기 배출홀(211)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건조기(100)는 상기 플렉시블 커버(300)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720)와, 상기 플렉시블 커버(300) 내부의 습도를 측정하는 커버 습도센서(730), 그리고 상기 압력센서(720)와 상기 커버 습도센서(73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기 설정된 압력과 습도를 만족하도록 상기 댐퍼부(24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7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제어부(710)는 상기 압력센서(720)와 상기 커버 습도센서(730)로부터 실시간으로 상기 플렉시블 커버(300) 내부의 압력과 습도를 감지하면서, 기 설정된 압력과 습도를 만족하도록 상기 댐퍼부(240)를 제어하여 배출되는 공기량을 조절한다.
일 예로, 상기 플렉시블 커버(300) 내부의 압력이 기 설정된 압력보다 높아지거나, 습도가 기 설정된 습도보다 높은 경우에는 상기 댐퍼부(240)가 상기 배출홀(211) 또는 상기 유입홀(231)을 완전히 개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건조기(100)는 양측이 개방되고 상기 흡입수단(200)과 상기 플렉시블 커버(300)가 내부에 수용되는 하우징(610)과, 상기 하우징(610)의 개방된 양측을 개폐하는 도어부(62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610)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740)와, 상기 하우징(610) 내부의 습도를 측정하는 하우징 습도센서(750)와, 상기 하우징(610) 내부의 상황을 촬영하는 카메라(76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하우징(610) 내부의 온도와 습도를 확인하고 이를 조절하여 상기 플렉시블 커버(300)에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 및 습도를 1차적으로 조절하여 최적의 건조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어부(710)는 상기 온도센서(740)와 상기 하우징 습도센서(750)로부터 상기 하우징(610) 내부의 온도와 습도를 감지한 후 상기 도어부(620)의 개폐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610) 내부의 상황을 측정하는 상기 카메라(760)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외부에서 상기 하우징(610)의 실내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어 특이 상황 발생시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건조기(100)는 외부의 스마트기기(780)와 무선통신하는 통신부(77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통신부(770)는 상기 온도센서(740)와 상기 하우징 습도센서(750)와 상기 카메라(76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는 외부의 스마트기기(780)에 데이터를 발신하여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상기 하우징(610) 내부의 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스마트기기(780)로부터 상기 하우징(610) 내부의 상황을 파악한 수 상기 스마트기기(780)를 통하여 상기 제어부(710)에 명령을 전달하여 상기 도어부(620)의 개폐를 조절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도어부(620)는 상기 하우징(610)을 완전히 개폐하거나, 상기 도어부(620)가 개방되는 양을 조절하여 상기 하우징(610)의 내부로 유동하는 공기량을 조절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건조기(100)는 농산물 등으로 마련되는 대상체가 배치되는 공간에 흡출방식으로 외부 공기를 유동시켜 간단한 구조로 신속하게 대상체를 건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건조기(100)는 흡출시에 대상체가 배치되는 내부 공간의 압력을 낮추어 복수로 적층되어 있는 대상체들을 전체적으로 신속하고, 보다 고르게 건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기(100)는 대상체가 배치되는 내부 공간의 압력과 습도를 측정하고, 이에 대응하여 흡출되는 공기량을 자동으로 조절하여 보다 신속하게 건조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 건조기 200 : 흡입수단
210 : 베이스 플레이트 211 : 배출홀
220 : 팬 230 : 커버 플레이트
231 : 유입홀 240 : 댐퍼부
300 : 플렉시블 커버 400 : 공간 형성부
410 : 돌출부 420 : 오목부
430 : 흡입홀 440 : 관통홀
510 : 베이스 프레임 520 : 지지 프레임
610 : 하우징 620 : 도어부
710 : 제어부 720 : 압력센서
730 : 커버 습도센서 740 : 온도센서
750 : 하우징 습도센서 760 : 카메라
770 : 통신부 780 : 스마트기기

Claims (10)

  1. 대상체가 내부에 수용되고, 양측이 개방된 플렉시블 커버;
    상기 플렉시블 커버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플렉시블 커버의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흡입수단; 및
    상기 플렉시블 커버의 내부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대상체들의 사이에 배치되고, 대상체들 사이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하는 공간 형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렉시블 커버는,
    상기 흡입수단이 동작하여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면, 상기 대상체에 밀착되게 변형되어 내부의 압력이 낮아지고,
    상기 공간 형성부는,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대상체를 지지하고,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된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의 사이에서 오목하게 형성되어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오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수단은,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홀이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공기 배출홀에 배치되게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체결되고, 상기 플렉시블 커버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는 팬; 및
    공기가 유입되게 복수의 유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팬을 감싸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체결되며, 상기 플렉시블 커버가 상기 팬에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 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커버는,
    바닥에 위치된 상태에서 내측에 배치되는 상기 대상체를 감싸는 제1 커버; 및
    상기 제1 커버로 감싸진 상기 대상체의 위에 배치하여 상기 대상체를 2중으로 감싸는 제2 커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형성부는,
    상기 돌출부의 단부의 둘레를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고,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게 관통 형성된 관통홀; 및
    상기 돌출부와 상기 오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로 공기가 유입되게 관통 형성된 흡입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커버의 내측에서 폭 방향으로 양측에 배치된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플렉시블 커버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어 양측단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체결되고, 상기 공간 형성부가 안착되며, 상기 공간 형성부와의 사이로 공기가 유동하도록 요철 형태로 형성된 지지 프레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수단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배출홀 또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유입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개구의 면적을 가변하여 배출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댐퍼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커버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
    상기 플렉시블 커버 내부의 습도를 측정하는 커버 습도센서; 및
    상기 압력센서와 상기 커버 습도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기 설정된 압력과 습도를 만족하도록 상기 댐퍼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9. 제1항에 있어서,
    양측이 개방되고, 상기 흡입수단과 상기 플렉시블 커버가 내부에 수용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양측을 개폐하는 도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상기 하우징 내부의 습도를 측정하는 하우징 습도센서;
    상기 하우징 내부의 상황을 촬영하는 카메라; 및
    외부의 스마트기기와 무선통신하고, 상기 온도센서와 상기 하우징 습도센서와 상기 카메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스마트기기에 데이터를 발신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KR1020210100063A 2021-07-29 2021-07-29 건조기 KR1023607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0063A KR102360756B1 (ko) 2021-07-29 2021-07-29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0063A KR102360756B1 (ko) 2021-07-29 2021-07-29 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0756B1 true KR102360756B1 (ko) 2022-02-14

Family

ID=80254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0063A KR102360756B1 (ko) 2021-07-29 2021-07-29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075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52834A (ja) * 2000-06-09 2001-12-25 Kaneko Agricult Mach Co Ltd 根菜類の通風乾燥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07271169A (ja) * 2006-03-31 2007-10-18 Kaneko Agricult Mach Co Ltd 穀粒乾燥装置
KR20110093342A (ko) * 2010-02-12 2011-08-18 심기섭 저장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저장 방법
KR20160057863A (ko) * 2014-11-14 2016-05-24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농산물 건조기용 제어장치
KR102232295B1 (ko) 2018-10-24 2021-03-25 주식회사 한진보일러 농산물 건조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52834A (ja) * 2000-06-09 2001-12-25 Kaneko Agricult Mach Co Ltd 根菜類の通風乾燥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07271169A (ja) * 2006-03-31 2007-10-18 Kaneko Agricult Mach Co Ltd 穀粒乾燥装置
KR20110093342A (ko) * 2010-02-12 2011-08-18 심기섭 저장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저장 방법
KR20160057863A (ko) * 2014-11-14 2016-05-24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농산물 건조기용 제어장치
KR102232295B1 (ko) 2018-10-24 2021-03-25 주식회사 한진보일러 농산물 건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78763B1 (ja) ペット用ボックスドライヤー
CN107637975A (zh) 一种智能衣柜
CN207662164U (zh) 一种茶叶烘焙机
KR100762370B1 (ko) 건조기
US5167081A (en) Grain dryer
KR101246341B1 (ko) 건조기
KR102360756B1 (ko) 건조기
JP2005287502A (ja) 海苔乾燥室の補助装置
KR101541963B1 (ko) 에너지 절감형 고추 건조기
KR101827896B1 (ko) 컨테이너형 곶감 건조기
US6988325B2 (en) Bidirectional forage bale dryer and method of operation
CN111365976A (zh) 一种基于电加热的节能循环粮仓烘干机
CN212720745U (zh) 一种基于电加热的节能循环粮仓烘干机
KR200414627Y1 (ko) 건조공간의 조절이 가능한 건조기
JPH06304393A (ja) 浴室衣類乾燥装置
CN208094028U (zh) 一种10kV环网柜
CN105707967B (zh) 多功能烘烤房
JP4391880B2 (ja) 茶葉加熱処理装置
CN114293350B (zh) 具有烘干功能的晾衣机
JP3619184B2 (ja) あんぽ柿製造装置
CN216274875U (zh) 风干或烘干装置及晾衣机
CN209165950U (zh) 载玻片的烘干装置
CN208242730U (zh) 一种茶叶吹风烘干装置
CN211425003U (zh) 一种均匀平流风向的烘干房
US1513474A (en) Dr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