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0093A -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0093A
KR20110090093A KR1020100009677A KR20100009677A KR20110090093A KR 20110090093 A KR20110090093 A KR 20110090093A KR 1020100009677 A KR1020100009677 A KR 1020100009677A KR 20100009677 A KR20100009677 A KR 20100009677A KR 20110090093 A KR20110090093 A KR 201100900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ntensity
contour
digital signal
digi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9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0303B1 (ko
Inventor
고성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9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0303B1/ko
Priority to US12/952,469 priority patent/US8537266B2/en
Publication of KR20110090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00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0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03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5Mix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40Circuit details for pick-up tub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Indication In Cameras, And Counting Of Exposures (AREA)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으로부터 포커싱된 부분을 판단해서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영상으로부터 윤곽의 강도를 추출한 부분을 상기 영상과 합성하여 표시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 촬영 결과를 확인하는 일련의 조작에 대한 번거로운 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원하는 관심영역에 대한 포커싱 성공 여부를 알려주어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줄 수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thereof method}
본 발명은 영상으로부터 포커싱된 부분을 판단해서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는 영상 촬영 후 단순히 노출 과다, 노출 부족 영역을 표시해 주는 하이라이트(highlight) 기능 또는 AF 영역을 단순히 확대하여 표시해 주는 기능이 있으나, 실제 포커싱된 부분을 표시해주는 기능은 없다. 따라서 사용자가 포커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 해상도가 낮은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사용자가 직접 포커싱한 부분을 확대하면서 직접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한 번거로움 때문에 촬영직후 결과를 확인하지 않을 경우, 이미 시간이 경과한 소중한 순간의 영상을 간직할 수 없는 아쉬움을 남길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영상으로부터 포커싱된 부분을 판단해서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영상으로부터 윤곽의 강도를 추출한 부분을 상기 영상과 합성하여 표시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영상은 AF가 시도된 라이브뷰 영상이거나, 촬영 직후 재생되는 영상이거나, 촬영 후 저장되어 재생되는 영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수단은 AF 영역 및 상기 윤곽 강도 추출 부분을 동시 또는 분리해서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수단은 상기 영상으로부터 상기 윤곽 강도 추출 부분을 점멸하여 표시하거나, 특정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 수단은 상기 영상으로부터 윤곽의 강도를 추출하는 연산부; 임계값 이상인 상기 추출된 윤곽 강도를 획득하는 획득부; 및 상기 획득된 윤곽 강도를 상기 영상에 합성하여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영상을 2차 미분 연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2차 미분 연산은 라플라시안 연산자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은 (a) 영상으로부터 윤곽의 강도를 추출하는 단계; 및 (b) 상기 추출된 윤곽의 강도를 상기 영상과 합성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영상은 AF가 시도된 라이브뷰 영상이거나, 촬영 직후 재생되는 영상이거나, 촬영 후 저장되어 재생되는 영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상기 영상을 2차 미분 연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2차 미분 연산은 라플라시안 연산자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후에, 상기 추출된 윤곽의 강도를 임계값 처리하여, 상기 임계값 이상인 상기 추출된 윤곽 강도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AF 영역 및 상기 윤곽 강도 추출 부분을 동시 또는 분리해서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상기 영상으로부터 상기 윤곽 강도 추출 부분을 점멸하여 표시하거나, 특정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 촬영 결과를 확인하는 일련의 조작에 대한 번거로운 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원하는 관심영역에 대한 포커싱 성공 여부를 알려주어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줄 수 있다.
즉, 해상도가 낮은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사용자가 직접 포커싱한 부분을 확대하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원하는 피사체에 포커싱이 되고 있는지 그 결과를 바로 쉽게 확일 할 수 있다. 원하는 피사체에 포커싱이 되고 있지 않은 경우 바로 재 촬영을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예시적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 중 디지털 신호 처리부의 상세 블록도 이다.
도 3은 도 2에서 디지털 신호 처리부가 영상으로부터 포커싱된 부분을 판단해서 알려주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서 포커싱된 부분을 추출하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서 포커싱된 부분에 대해 사용자에게 알리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제어 방법의 동작을 보이는 흐름도 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제어 방법의 동작을 보이는 흐름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100)는 광학부(110), 광학 구동부(111), 촬상소자(115), 촬상소자 제어부(116), 조작부(120), 프로그램 저장부(130), 버퍼 저장부(140), 데이터 저장부(150), 디스플레이부(160), 및 디지털 신호 처리부(DSP, 170)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부(110)는 피사체로부터의 입력된 광학 신호를 촬상 소자(115)로 제공한다. 광학부(110)는 초점 거리(focal length)에 따라 화각이 좁아지거나 또는 넓어지도록 제어하는 줌 렌즈 및 피사체의 초점을 맞추는 포커스 렌즈 등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학부(110)는 광량을 조절하는 조리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광학 구동부(111)는 렌즈의 위치, 조리개의 개폐 등을 조절한다. 렌즈의 위치를 이동시켜 초점을 맞출 수 있다. 또한, 조리개의 개폐를 조절하여 광량을 조절할 수 있다.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되는 제어 신호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광학 구동부(111)가 광학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광학부(110)를 투과한 광학 신호는 촬상 소자(115)의 수광면에 이르러 피사체의 상을 결상한다. 상기 촬상 소자(115)는 광학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I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image sensor)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촬상소자(115)는 촬상소자 제어부(116)에 의해 감도 등이 조절될 수 있다. 촬상소자 제어부(116)는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되는 제어 신호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촬상 소자(115)를 제어할 수 있다.
조작부(120)는 사용자 등의 외부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곳이다. 상기 조작부(120)는 정해진 시간 동안 촬상 소자(115)를 빛에 노출하여 사진을 촬영하는 셔터-릴리즈 신호를 입력하는 셔터-릴리즈 버튼,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입력하는 전원 버튼, 입력에 따라 화각을 넓어지게 하거나 화각을 좁아지게 하는 광각-줌 버튼 및 망원-줌 버튼과, 문자 입력 또는 촬영 모드, 재생 모드 등의 모드 선택, 화이트 밸런스 설정 기능 선택, 노출 설정 기능 선택 등의 다양한 기능 버튼들이 있다. 조작부(120)는 상기와 같이 다양한 버튼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키보드, 터치 패드, 터치스크린, 원격 제어기 등과 같이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100)는 상기 디지털 카메라를 구동하는 운영 시스템, 응용 시스템 등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저장부(130), 연산 수행 중에 필요한 데이터 또는 결과 데이터들을 임시로 저장하는 버퍼 저장부(140), 영상 신호를 포함하는 이미지 파일을 비롯하여 상기 프로그램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150)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100)는 이의 동작 상태 또는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100)에서 촬영한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60)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60)는 시각적인 정보 및/또는 청각적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시각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부(160)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LCD),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OLED),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패널(EDD)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100)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처리하고, 이에 따라 또는 외부 입력 신호에 따라 각 구성부들을 제어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170)를 포함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170)는 입력된 영상 데이터에 대해 노이즈를 저감하고, 감마 보정(Gamma Correction), 색필터 배열보간(color filter array interpolation), 색 매트릭스(color matrix), 색보정(color correction), 색 향상(color enhancement) 등의 화질 개선을 위한 영상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화질 개선을 위한 영상 신호 처리를 하여 생성한 영상 데이터를 압축 처리하여 영상 파일을 생성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영상 파일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영상의 압축형식은 가역 형식 또는 비가역 형식이어도 된다. 적절한 형식의 예로서,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형식이나 JPEG 2000 형식 등으로 변환도 가능하다. 압축한 상기 데이터 저장부(15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신호 처리부(170)에서는 기능적으로 불선명 처리, 색체 처리, 블러 처리, 엣지 강조 처리, 영상 해석 처리, 영상 인식 처리, 영상 이펙트 처리 등도 행할 수 있다. 영상 인식 처리로 얼굴 인식, 장면 인식 처리 등을 행할 수 있다. 아울러, 디지털 신호 처리부(170)에서는 제1 표시부(164) 및 제2 표시부(168)에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표시 영상 신호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휘도 레벨 조정, 색 보정, 콘트라스트 조정, 윤곽 강조 조정, 화면 분할 처리, 캐릭터 영상 등 생성 및 영상의 합성 처리 등을 행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170)는 외부 모니터와 연결되어, 외부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소정의 영상 신호 처리를 행할 수 있으며, 이렇게 처리된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여 상기 외부 모니터에서 해당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디지털 신호 처리부(170)는 영상으로부터 윤곽의 강도를 추출한 부분을 상기 영상과 합성하여 표시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디지털 신호 처리부(170)는 2차 미분 연산부(171), 임계값 처리부(172), 표시부(173) 및 제어부(174) 등과 같은 구성요소들을 구비할 수도 있다. 2차 미분 연산부(171), 임계값 처리부(172), 표시부(173) 및 제어부(174) 등은 디지털 신호 처리부(170) 내의 구성요소가 아닌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며, 이들의 작동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디지털 신호 처리부(170)의 기능을 설명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170)가 처리하는 영상은 AF가 시도된 라이브뷰 영상이거나, 촬영 직후 재생(quick-view)되는 영상이거나, 촬영 후 저장되어 재생(playback)되는 영상일 수 있다.
반셔터 신호로써의 제1 셔터-릴리즈 버튼(S1)이 입력되면,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100)는 AF를 수행하면서 빛의 양을 조절하며, 이때 AF 수행으로 초점이 맞은 경우 디스플레이부(160)의 AF 영역에는 녹색 불이 켜지게 된다. 제1 셔터-릴리즈 버튼(S1)의 입력으로 초점이 잡히고 빛의 양이 조절되면, 비로소 완전셔터 신호로써의 제2 셔터-릴리즈 버튼(S2)을 입력하여 영상을 촬영한다.
2차 미분 연산부(171)는 제어부(174)의 제어 하에 영상으로부터 윤곽의 강도를 추출한다. 2차 미분(laplacian)은 1차 미분(gradient)을 다시 한 번 미분하는 방법으로 윤곽의 강도만을 검출하는데 사용된다. 1차 미분 연산자는 에지가 존재하는 영역을 지날 때 반응하는 부분에 사용될 수 있고, 이것은 특히 완만한 경사를 이루는 에지일 경우 더욱 반응이 두드러진다. 그러나 2차 미분 연산자는 밝기값이 점차적으로 변화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반응을 보이지 않고, 밝기값이 뚜렷이 변화되는 부분에 대해서만 반응한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면, 포커싱된 부분을 분리해 낼 수 있다. 포커싱이 안된 부분의 경우에는 에지가 선명하지 않기 때문에 2차 미분 결과값이 작지만, 포커싱이 잘된 부분의 경우에는 에지가 선명하기 때문에 2차 미분 결과 값이 커진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면 2차 미분값이 분포하는 부분이 관심 영역에 어느 정도 분포하는지에 따라 포커싱 성공 여부를 직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게 된다. 2차 미분 연산자의 좋은 예로는 라플라시안 연산자를 들 수 있다. 라플라시안 연산자는 다른 연산자들 보다 더욱 뚜렷한 에지를 검출하기 때문이다.
도 3a에는 AF가 시도된 라이브뷰 영상, 촬영 직후 재생되는 영상, 또는 촬영 후 저장되어 재생되는 영상이 도시되어 있고, 도 3b에는 도 3a의 영상을 라플라시안 연산자로 2차 미분을 수행한 결과가 도시되어 있다.
임계값 처리부(172)는 제어부(174)의 제어 하에 2차 미분 연산된 에지에 임계값 처리하여, 임계값 이상이 되는 에지를 추출한다. 2차 미분 연산자인 라플라시안 연산자는 잡음에 민감하기 때문에, 단순한 2차 미분 결과는 실제 존재하는 것보다 더 많은 에지가 검출된다. 따라서 실제 존재하는 에지 성분 위주로 검출하기 위해서는 에지 크기를 비교하여 임계값 이상일 경우에 에지로 정의할 수 있도록 임의의 임계값(예를 들어 40)을 사용해야 한다. 도 3c에는 도 3b의 2차 미분된 영상에 임계값을 적용하여 임계값 이상이 되는 에지만이 표시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임계값 처리가 완료되면, 표시부(173)는 제어부(174)의 제어 하에 최초의 영상(도 3a) 및 임계값 처리된 윤곽의 강도(도 3c)를 합성하여 디스플레이부(160)에 표시한다. 이때 표시부(173)는 최초의 영상으로부터 윤곽의 강도가 추출된 부분을 점멸하여 표시하거나, 특정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3d에는 특정색으로 표시된 윤곽의 강도 부분이 도시되어 있다. 도 4a에는 표시부(173)가 최초의 영상으로부터 윤곽의 강도가 추출된 부분을 점멸 표시한 예가 도시되어 있고, 도 4b에는 AF 영역이 표시된 최초의 영상으로부터 윤곽의 강도가 추출된 부분을 점멸 표시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는 영상을 이용해 포커싱된 부분을 추출하는 세부적인 내용이 도시되어 있다. 도 5a에는 영상이 도시되어 있고, 도 5b에는 도 5a 중 일 라인(500)에 대한 영상 정보가 도시되어 있다. 도 5c는 도 5b를 라플라시안 연산자를 이용하여 2차 미분한 영상 정보가 도시되어 있고, 도 5d에는 도 5c의 영상을 임계값 처리하여 포커싱된 포인트가 추출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5e에는 도 5b의 영상정보에 포커싱 포인트를 표시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별다른 조작 없이 원하는 관심영역에 대한 포커싱 성공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내부에서 수행될 수 있는데, 실시 예에 따라 동작 방법의 주 알고리즘은 기기 내의 주변 구성 요소들의 도움을 받아 디지털 신호 처리부(170) 내부에서 수행될 수 있다.
먼저, 도 6을 참조하여 제1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사용자의 조작 신호를 수신한 디지털 신호 처리부(170)는 디스플레이부(160)에 라이브뷰 영상을 디스플레이 한다(601단계).
영상 촬영 구도를 잡은 사용자가 제1 셔터-릴리즈 버튼(S1)을 입력하면, 디지털 신호 처리부(170)는 이를 수신한다(603단계).
제1 셔터-릴리즈 버튼(S1) 입력을 수신한 디지털 신호 처리부(170)는 라이브뷰 영상에 대한 AF 조정을 수행한다(605단계).
디지털 신호 처리부(170)는 AF 조정된 영상에 대해 2차 미분 연산을 수행한다(607단계). 2차 미분 연산을 위해 일 예로 라플라시안 연산자를 사용한다. 2차 미분 연산자는 밝기값이 점차적으로 변화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반응을 보이지 않고, 밝기값이 뚜렷이 변화되는 부분에 대해서만 반응한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면, 포커싱된 부분을 분리해 낼 수 있다. 포커싱이 안된 부분의 경우에는 에지가 선명하지 않기 때문에 2차 미분 결과값이 작지만, 포커싱이 잘된 부분의 경우에는 에지가 선명하기 때문에 2차 미분 결과 값이 커진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면 2차 미분값이 분포하는 부분이 관심 영역에 어느 정도 분포하는지에 따라 포커싱 성공 여부를 직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이후 디지털 신호 처리부(170)는 2차 미분 연산이 완료된 영상에 임계값 처리를 수행한다(609단계). 2차 미분 연산자인 라플라시안 연산자는 잡음에 민감하기 때문에, 단순한 2차 미분 결과는 실제 존재하는 것보다 더 많은 에지가 검출된다. 따라서 디지털 신호 처리부(170)는 실제 존재하는 에지 성분 위주로 검출하기 위해서, 에지 크기를 비교하여 임계값(예를 들어 40) 이상일 경우에 에지로 정의한다.
임계값 처리가 완료되면 디지털 신호 처리부(170)는 최초 라이브뷰 영상에 임계값 처리된 윤곽의 강도 부분을 표시한다(611단계). 디지털 신호 처리부(170)는 최초의 영상으로부터 윤곽의 강도가 추출된 부분을 점멸하여 표시하거나, 특정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AF 영역이 표시된 최초의 영상으로부터 윤곽의 강도가 추출된 부분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이후 디지털 신호 처리부(170)는 관심 영역에 포커싱이 성공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613 단계). 디지털 신호 처리부(170)는 제1 셔터-릴리즈 버튼(S1) 입력이 수신되었는지 제2 셔터-릴리즈 버튼(S2) 입력이 수신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관심 영역의 포커싱 성공을 판단할 수 잇다.
관심 영역에 포커싱이 성공한 경우, 디지털 신호 처리부(17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제2 셔터-릴리즈 버튼(S2)을 수신하여 영상을 촬영한다(615단계).
그러나, 관심 영역에 포커싱이 실패한 경우, 디지털 신호 처리부(170)는 사용자의 제1 셔터-릴리즈 버튼(S1) 해제 신호를 수신하여 라이브뷰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다른 구도를 잡을 수 있도록 유도한다(617단계).
이로써 사용자는 앞으로 촬영될 영상의 관심 영역에 포커싱이 성공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
다음에, 도 7을 참조하여 제2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사용자의 조작 신호를 수신한 디지털 신호 처리부(170)는 디스플레이부(160)에 영상을 디스플레이 한다(701단계). 여기서 영상은 촬영 직후 재생되는 영상이거나, 촬영 후 저장되어 재생되는 영상일 수 있다.
영상이 재생되면, 디지털 신호 처리부(170)는 신호 처리를 위해 영상을 리사이즈 한다(703단계). 예를 들어 960×240 크기의 영상을 320×240 크기의 영상으로 리사이즈 할 수 있다.
재생 영상의 리사이즈가 완료되면, 디지털 신호 처리부(170)는 리사이즈된 영상에 대해 2차 미분 연산을 수행한다(705단계). 2차 미분 연산의 내용은 상기에 개시되어 있으므로 생략한다.
이후 디지털 신호 처리부(170)는 2차 미분 연산이 완료된 영상에 임계값 처리를 수행하여 임계값 이상인 2차 미분 연산 결과 즉, 윤곽의 강도를 획득한다(707단계).
임계값 처리가 완료되면 디지털 신호 처리부(170)는 최초 라이브뷰 영상에 임계값 처리된 윤곽의 강도 부분을 표시한다(709단계). 디지털 신호 처리부(170)는 최초의 재생 영상으로부터 윤곽의 강도가 추출된 부분을 점멸하여 표시하거나, 특정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AF 영역이 표시된 최초의 재생 영상으로부터 윤곽의 강도가 추출된 부분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촬영된 영상의 관심 영역에 포커싱이 성공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영상으로부터 윤곽의 강도를 추출한 부분을 상기 영상과 합성하여 표시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 수단을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은 AF가 시도된 라이브뷰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은 촬영 직후 재생되는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은 촬영 후 저장되어 재생되는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수단은
    AF 영역 및 상기 윤곽 강도 추출 부분을 동시 또는 분리해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수단은
    상기 영상으로부터 상기 윤곽 강도 추출 부분을 점멸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수단은
    상기 영상으로부터 상기 윤곽 강도 추출 부분을 특정색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 수단은
    상기 영상으로부터 윤곽의 강도를 추출하는 연산부;
    임계값 이상인 상기 추출된 윤곽 강도를 획득하는 획득부; 및
    상기 획득된 윤곽 강도를 상기 영상에 합성하여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9.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영상을 2차 미분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2차 미분 연산은
    라플라시안 연산자를 이용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11. (a) 영상으로부터 윤곽의 강도를 추출하는 단계; 및
    (b) 상기 추출된 윤곽의 강도를 상기 영상과 합성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은 AF가 시도된 라이브뷰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은 촬영 직후 재생되는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은 촬영 후 저장되어 재생되는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상기 영상을 2차 미분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2차 미분 연산은
    라플라시안 연산자를 이용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17.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후에,
    상기 추출된 윤곽의 강도를 임계값 처리하여, 상기 임계값 이상인 상기 추출된 윤곽 강도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18.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AF 영역 및 상기 윤곽 강도 추출 부분을 동시 또는 분리해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19.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상기 영상으로부터 상기 윤곽 강도 추출 부분을 점멸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20.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상기 영상으로부터 상기 윤곽 강도 추출 부분을 특정색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00009677A 2010-02-02 2010-02-02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6303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9677A KR101630303B1 (ko) 2010-02-02 2010-02-02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2/952,469 US8537266B2 (en) 2010-02-02 2010-11-23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9677A KR101630303B1 (ko) 2010-02-02 2010-02-02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0093A true KR20110090093A (ko) 2011-08-10
KR101630303B1 KR101630303B1 (ko) 2016-06-14

Family

ID=44341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9677A KR101630303B1 (ko) 2010-02-02 2010-02-02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537266B2 (ko)
KR (1) KR1016303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69207A (zh) * 2013-06-30 2013-10-23 浙江元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多核dsp视频增强器
WO2015104969A1 (ja) 2014-01-09 2015-07-16 ソニー株式会社 映像信号処理装置、映像信号処理方法およびカメラ装置
JP6403490B2 (ja) * 2014-08-20 2018-10-1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5357523B (zh) * 2015-10-20 2019-02-19 苏州科技学院 一种基于hosvd算法视频压缩***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48445A (ja) * 2002-07-12 2004-02-12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合成方法及び装置
JP2004215134A (ja) * 2003-01-08 2004-07-29 Fuji Photo Film Co Ltd 撮像装置及び輪郭補正方法
US20060033831A1 (en) * 1999-09-14 2006-02-16 Nikon Corporation Electronic still camera
US20080259201A1 (en) * 2004-09-27 2008-10-2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Apparatus Provided with it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34506B2 (ja) * 2002-08-06 2007-06-20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撮像システム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4468734B2 (ja) * 2004-04-27 2010-05-26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映像信号処理装置と映像信号処理プログラム
JP2008306651A (ja) * 2007-06-11 2008-12-18 Olympus Corp 撮像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US20090079862A1 (en) * 2007-09-25 2009-03-26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providing imaging auto-focus utilizing absolute blur value
JP5173453B2 (ja) * 2008-01-22 2013-04-03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該撮像装置の表示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33831A1 (en) * 1999-09-14 2006-02-16 Nikon Corporation Electronic still camera
JP2004048445A (ja) * 2002-07-12 2004-02-12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合成方法及び装置
JP2004215134A (ja) * 2003-01-08 2004-07-29 Fuji Photo Film Co Ltd 撮像装置及び輪郭補正方法
US20080259201A1 (en) * 2004-09-27 2008-10-2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Apparatus Provided with 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537266B2 (en) 2013-09-17
US20110187916A1 (en) 2011-08-04
KR101630303B1 (ko) 2016-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7657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510098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영상의 배경흐림 효과 처리장치 및 방법
TWI413022B (zh) 影像評估方法、影像擷取方法及其數位相機
US8937677B2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JP6325841B2 (ja) 撮像装置、撮像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509081B2 (ja) デジタルカメラ及びデジタルカメラのプログラム
WO2015107927A1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0199694A (ja) 撮像装置、画角調節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23780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shaken image by using auto focusing
KR20150124426A (ko) 촬상 장치, 촬상 방법 및 기억 매체
JP5959217B2 (ja) 撮像装置及び画質調整方法、画質調整プログラム
JP6389342B2 (ja) 撮影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630303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090098A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11239267A (ja) 撮像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
JP2008054031A (ja) デジタルカメラ及び表示制御方法
KR101812656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4887840B2 (ja) 撮影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11336802B2 (en) Imaging apparatus
JP2016219920A (ja)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JP4073765B2 (ja) ディジタル・カメラ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1817658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30092213A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4968389B2 (ja) 撮影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9047436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プログラム及び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