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7808A - 복합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과 치료용 조성 물질의 개발 및 체질별 간 기능 개선, 중성지방 저하를 동시에 치료하는 조성물 개발 - Google Patents

복합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과 치료용 조성 물질의 개발 및 체질별 간 기능 개선, 중성지방 저하를 동시에 치료하는 조성물 개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7808A
KR20110087808A KR1020100007413A KR20100007413A KR20110087808A KR 20110087808 A KR20110087808 A KR 20110087808A KR 1020100007413 A KR1020100007413 A KR 1020100007413A KR 20100007413 A KR20100007413 A KR 20100007413A KR 20110087808 A KR20110087808 A KR 201100878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besity
mdt
gypsum
talc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7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준
Original Assignee
이경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준 filed Critical 이경준
Priority to KR1020100007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87808A/ko
Publication of KR20110087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78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3Bupleuru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2Angeli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9Scutellaria (skullca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5Paeoniaceae (Peony family), e.g. Chinese peon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Cyperaceae (Sedge family)
    • A61K36/8905Cyperus (flatsedg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lood cholestero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eurosurge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담탕 (Midamtang, MDT) 복합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미담탕 (Midamtang, MDT) 복합생약추출물은 복강내 지방중량 감소 및 각종 성인병 수치의 개선 및 장기간 투여 시에도 간독성이 수치 항목이 오히려 개선되어 많은 현대인들이 가지고 있는 비만, 각종 성인병의 개선이 가능하며, 더불어 간 기능 개선, 중성지방개선을 위한 조성물 개발을 목적으로 발명되었다.

Description

복합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과 치료용 조성 물질의 개발 및 체질별 간 기능 개선, 중성지방 저하를 동시에 치료하는 조성물 개발 {Prevention of the obesity which contains the complex herb medicine extract (MDT), development of the therapeutic material and the composition development which treats constitutional by liver functional improvements and triglyceride decreases simultaneously}
복합 생약 추출물(MDT)을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과 치료용 조성물질의 개발 및 체질별 간기능 개선, 중성지방 저하를 동시에 치료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21세기 산업사회에서 비만은 가장 흔한 영양학적 문제인데, 즉 식습관의 변화에 따른 비만 유병율이 증가되고 있다. 통계적으로, 대한민국 보건복지가족부에서 국민건강영양조사(2007년)를 분석한 결과 성인비만 유병율은 1998년 26.0%에서 2001년 29.2%, 2005년 31.3%, 2007년 31.7%로 계속 증가했으며, 소아청소년 비만 유병률도 1997년 5.8%에서 2005년 9.7%, 2007년 10.9%로 10년 만에 비만 유병률이 2배로 증가되었으며, 미국(FDA) 통계에 의하면 미국 국민의 1/3, 어린이의 20%가 비만 환자로 보고되고 있다.
비만에 관련되어, 제2형 당뇨병 환자의 70% 이상이 비만하고, 이들에서 고혈압, 고지혈증 및 일부 암 발병 위험이 증가한다. 또한 대부분 지방간으로 인한 간 기능의 저하도 유발한다. 한편, 단순한 비만 정도뿐 아니라 지방 분포가 비만과 관련된 질병위험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는 것으로 최근 알려지고 있는데, 복부 지방이 특히 문제시되고 있다.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 환자는 흔히 비만하거나 비만의 기왕력을 갖고 있다. 서구인의 경우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 환자의 60∼90%가 비만하며, 우리나라에서도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 환자의 약 70%가 비만의 기왕력을 갖는 것으로 보고되었다(박중열 외 8명, 한국인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 환자의 체중변화 양상, 당뇨병, 17, pp. 51-57, 1993).
많은 전향적 연구를 통해서도 비만이 내당 능력 장애 및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에 선행한다는 사실이 관찰되었다(Carey VJ. et al., Body fat distribution and risk of non-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in women, The nurses' health study, Am J Epidemiol, 145, pp.614-619, 1997). 프라밍함(Framingham) 연구에서는 비만한 사람에서 내당 능력 장애가 빈발함이 관찰되었고, 대부분의 연구들에서 내당 능력 장애를 갖는 비만한 사람들은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 발생의 고 위험군임이 관찰되었다.
비만으로부터 당뇨병으로의 진행에 관한 정확한 기전은 알려져 있지 않으나 인슐린 저항성의 증가가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펠버(Felber) 등은 역학적 관찰들에 근거하여 비만한 사람을 경구 당 부하 검사 시 혈당과 인슐린 반응에 따라 정상 내당능군, 내당능 장애군, 고인슐린혈증을 보이는 당뇨군 및 저인슐린혈증을 보이는 당뇨군의 네 군으로 분류하였고, 비만에서 당뇨병으로의 진행도 이러한 과정을 거친다고 하였다(Golay A. et al., Obesity and NIDDMP, the retrograde regulation concept, Diabetes Rev, 5, pp.69-82, 1997).
비만증에 있어서 탄수화물 대사는 경부 당 부하에 대한 혈당 반응은 정상이나 인슐린 분비 반응이 정상보다 높게 나타나는 인슐린 저항성의 양상을 보이며, 인슐린 저항성은 비만과 비만한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 환자의 주된 병태생리 이상의 하나로 비만 초기부터 관찰된다. 비만증에서 어떤 기전에 의해 인슐린의 작용이 감소되는지에 관해서는 다양한 가설이 제시되고 있으나 아직 확실히 밝혀진 바는 없다. 즉, 인슐린 작용에 관련된 인슐린 수용체, 포도당 수송체, 당원 합성과 당 산화에 관련된 효소들 등의 기능 감소가 비만시 관찰되나 비만에 의한 이차적인 현상으로 이해되고 있다(Golay A. et al., Obesity and NIDDMP, the retrograde regulation concept, Diabetes Rev, 5, pp.69-82, 1997).
여러 정황적 증거들을 고려할 때 지방세포가 인슐린 저항성의 발생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되는데, 즉 지방세포에서 분비되는 인자들 혹은 대사 전달자(metabolic messenger) 들이 근육 및 간에서 인슐린의 작용을 억제할 것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인자로써 가장 먼저, 그리고 널리 인정받고 있는 것이 지방 조직에 저장된 중성지방으로부터 가수 분해되어 나오는 유리 지방산이다. 그 외에 최근 지방세포에서 분비되는 TNF-α 및 렙틴(leptin)등도 비만에서 인슐린 저항성의 원인으로 제시된바 있다(Hotamisligil GS. et al., Tumor necrosis factor a, a key component of the obesity-diabetes link, Diabetes, 43, pp.1271-1278, 1994; Cohen B.,Novick D., Rubinstein M., Modulation of insulin activities by leptin, Science, 274, pp.1185-1188,1996).
비만증에서 에너지 대사는 지질이 주가 되며 지질 분해와 지질 합성이 모두 증가된다. 지질 분해의 증가와 그에 따른 유리 지방산의 이용 증가는 비만, 특히 복부 비만의 특징이며, 지방 용적과 지질 산화 간에 높은 상관관계가 관찰되어 지방 용적의 증가가 혈중 유리 지방산치 및 지질 산화 증가의 원인으로 생각된다. 지질산화는 비만의 초기에도 증가되어 관찰되며, 공복 시나 당 부하 후에도 증가되어 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식습관이 서구화되고, 문화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단순 비만자가 현저히 증가하고 있다. 비만은 고혈압, 동맥경화, 지방간 및 당뇨 등 각종 질병의 발생에 관여하거나 악화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비만은 미리 예방하는 것이 좋으며, 비만증이 된 경우에는 체지방의 감소와 지질대사의 개선을 통하여 신체대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조절하는 것이 각종 질병의 예방과 건강을 위하여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비만의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한의학적 접근법이 필요성이 대두되어지고 있다.
시호(柴胡, Radix bpleuri)은 주요성분은 Saikosaponin-a∼f, acetyl, 6-C-Galactosyl- tetrahy droxyflavone, Adonitol, Phytosterols, 지방유, Co umarin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약용부위는 뿌리이고 주요 약리작용은 해열, 진통, 진정, 항균, 항바이러스작용이 있다.(정보섭 및 신민교, 도해 향약(생약)대사전, 영림사, p1045, 1998).
향부자(Cyperus rotundus)는 글루코스 8.3~9.1%, 과당 1.0~1.7%, 전분 40~41.1%, 정유 0.65~1.4%를 함유하고 정유중에는 베타-피넨(β-pinene), 캄펜(camphene), 1.8-시네올(1.8-cineol), 리모넨(limonene), p-시멘(p-cymene), 시페렌(cyperene), 세리나트리엔(selinatriene), β-세리넨(β-selinene), 알파 시페론(α-cyperone), 베타 시페론(β-cyperone), 파트코우레논(patchoulenone), 알파 및 베타 로투놀(α 및 β-rotunol), 시페롤(cyperol), 이소시페롤(isocyperol), 코파디엔(copadiene), 에폭시구아인(epoxyguaine), 로툰돈(rotundone), 코부소네(kobusone) 및 이소코부소네(isokobusone)이 함유되어 있다. 뿌리에는 진균의 발생을 억제하는 혹종의 물질이 함유되어 있다. 향부자의 5% 유동엑스는 기니아피그, 토끼, 고양이, 개 등의 적출자관(임신 및 미임신)의 수축을 억제하고 자관벽의 긴장력에 대한 이완작용은 당귀의 유동엑스와 비슷하지만 효력은 약하다. 향부를 함유한 유분에는 미약하지만 자성호르몬의 작용이 있다(정보섭 및 신민교, 도해 향약(생약)대사전, 영림사, p241, 1998).
활석(滑石)에는 이뇨작용(利尿作用)이 있어 방광의 습열(濕熱)을 제거 하는 것이 주된 효능이 있는 것으로서 습열이 방광에 모이면 뇨의(尿意)를 참을 수 없고, 뇨도(尿道)에 열통(熱痛)이 있으며, 뇨량(尿量)은 줄어들면서도 잘 나오지 않고 황색뇨(黃色尿)로 변하며 때로는 소변이 방울 방울떨어지고 하복창통(下腹脹痛)이 일어나는데 이와 같은 증상에 그 효능이 있다 (김호철, 한약약리학, p116, 2001; 한국생약교수협의회, 한방약리학, p22, 1998; 강서한의원, 중약대사전, pp2897-2905, 1998).
택란(Eupatorium lindleyanum)의 쉽사리의 전초는 정유, 글루코시드, 탄닌, 수지를 함유하며 또 플라보노이드 배당체, 페놀류, 아미노산, 유기산, 사포닌, 글루코즈, 갈락토즈, 리코포즈, 자당, 라피노즈, 스타키오스, 프록토즈를 함유한다. 과실은 글루코즈, 갈락토즈, 리코포즈, 자당, 라피노즈, 스타키오스를 함유한다. 모엽지과아묘(毛葉地瓜兒苗)로 정유와 탄닌을 함유한다. 쉽사리 전초의 제제에는 강심작용이 있다(정보섭 및 신민교, 도해 향약(생약)대사전, 영림사, p850, 1998).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는 산야, 계곡의 습지에 나며 전국에 분포한다. 거풍, 화혈, 보혈, 구어혈, 조경, 진정의 효능이 있으며, 신체허약, 두통, 현운, 월경불순, 복통, 질타손상, 장조변비를 치료하며, 뿌리에는 데쿠신, 데쿠시놀, 노다케네틴, 움벨리페론, 노다케닌, 베타-시토세롤 등의 성분이 알려져 있다.(정보섭외, 도해향약대사전, 영림당, pp411, 1989; 류경수 외, 참당귀근의 쿠마린 성분에 관한 연구, 11, p33-35,1967).
천궁(川芎, Cnidium officinale MAKINO)은 산형과(umbelliferae)에 속한 다년생 초본으로, 한방에서는 그 뿌리줄기를 건조하여 두통이나 불임, 월경불순, 빈혈, 강장, 냉증과 같은 부인과 질환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천궁의 화학 성분으로는 프탈라이드계(phthalide) 성분인 크니딜라이드(cnidilide), 네오크니딜라이드(deocnidilide), 리구스틸라이드(ligustilide), 부틸프탈라이드(butylphthalide), 센큐놀라이드(senkyunolide)등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Fuzita M. 및 Kobayashi M.; Chem. Pharm. Bull., 35(4), pp1427-1433, 1987).
백작약(Paeoniae Radix)의 성분은 뿌리에는 패오니플로린(paeoniflorin)이 함유되어 있고 정유, 지방유, 수지, 탄닌(tannin), 당, 전분, 점액질, 단백질이 들어있고, 그 외에 안식향산이 0.92% 포함되어 있다. 백작약의 약리로는 복부경련을 진정시키는 진경작용, 순환계에 대해서는 강압작용, 또한 진통, 진정, 항경련 작용이 있으며, 항염, 항궤양 작용과 항균작용이 있는데, 이들은 백작약의 성분중에서 패오니플로린에 기인한 것이다(정 보섭 및 신 민교, 향약대사전, 영림사, pp534-525, 1998).
마황(Ephedra sinica)에서 초마황의 줄기는 알칼로이드 1~2%를 함유하며, 그 속의 40~90%는 l-에페드린이고 그다음은 d-슈도에페드린과 미량의 l-n-메틸에페드린, d-n-메틸슈도에페드린, l-노에페드린, d-디메틸 슈도에페드린, 에페드린이다. 또 아선약 탄닌과 정유를 함유하며 정유 중에는 l-α-테르피네올을 함유하고 목적마황은 알칼로이드 1.15~1.75%를 함유하며 그 중 주요한 것은 에페드린과 d-슈도에페드린이다. 본품은 또한 탄닌, 플라보노이드 배당체, 덱스트린, 이눌린, 전분, 펙틴, 셀룰로스, 글루코스 등의 당류화합물과 수산, 가연산, 사과산, 푸마린산 등의 유기산류를 함유한다. 중마황은 다량의 에페드린을 함유하고 탄닌, 플라보노이드 배당체, 덱스트린, 이눌린, 전분, 펙틴, 셀루로스, 글루코스 등을 함유한다. 또 동속 진록 사물인 왜마황은 총 알칼로이드 1.15%를 함유하고 그 신선한 잎은 납 0.15%를 함유하며 그 주요 성분은 노나코사놀, 노나코산, 미리실 알콜이다(정보섭 및 신민교, 도해 향약(생약)대사전, 영림사, pp117-118, 1998).
대황(Rhei Rhizoma)은 여뀌과(polygonaceae)의 여러해살이풀로 뿌리줄기는 특이한 냄새가 있으며 떫고 쓴맛이 나는데 한방에서 사하약, 고혈압용약, 해열소염진통제, 피부질환용으로 보이는 처방에 배합된다. 대황의 주요성분으로는 디안트론 글리코시드(dianthrone glycoside) 인 세노시드A-F(sennoside A-F) 및 안트라퀴논(anthraquinone) 유도체인 크리소파놀(chrysophanol), 에모딘(emodin), 알로에-에모딘(aloe-emodin), 레인(rhein), 피시온(physcion), 시트레오로세인(citreorosein)등이 보고되어 있다.(장일무 외, 동양의약과학대전, 서울대학교 천연물과학연구소 문헌정보학연구실 편, 학술편수관, vol.I, p.115, 2003).
망초(Erigeron canadensis)는 전초는 정유를 선품으로 0.29%, 건조품으로 1.14%를 함유한다. 정유속에는 리모넨(limonene), 리날로올(linalool), 리노레일 아세테이트(linoleyl acetate) 및 6%의 알데하이드류가 함유되어 있다. 그 밖에도 마트리카리아 에스터(matricaria ester), 디하이드로마트리카리아 에스터(dehydromatricaria ester), 센토 X(centaur X)를 함유한다. 지상부분은 쿠무렌(cumulene) 및 o-벤질벤조인산(o-benzylbenzoic acid)을 포함한다. 개초계절의 잎에 함유된 정유는 소아의 우유에 대한 과민성 설사를 방치한다. 또 세사나 내출혈에도 사용된다(정보섭 및 신민교, 도해 향약(생약)대사전, 영림사, p1045, 1998).
석고(石膏)는 단사정계(單斜晶系)에 속하는 광물로서 무색 또는 백색, 회백색, 때로는 황색, 적색, 드물게는 암회색을 띈다. 시멘트의 혼재(混材), 비료, 백색 안료로 쓰이며 구워서 소석고로 하여 소재(塑材), 주물의 모형 제작 재료, 의료용 깁스 등에 사용된다. 또 무색투명한 것은 투석고(透石膏)라 하여 질이 좋은 것은 광학(光學)기재에 쓰인다(김호철, 한약약리학, p116, 2001; 한국생약교수협의회, 한방약리학, p22, 1998; 강서한의원, 중약대사전, pp2897-2905, 1998).
계지(Cinnamomi Ramulus)는 육계나무(Cinnamomun loureirii NEES)의 햇가지를 15㎝ 정도의 길이로 잘라서 햇볕에 말린 것을 의미하며, 한약재로 사용된다. 맛은 신(辛)하고 성질은 온(溫)한 약으로 기표(肌表)의풍한(風寒)을 발산하며, 사지에 도달하여 경락(經絡)을 선통(宣統)게 하고 관절(關節)을 이(利)하게 한다. 온통(溫痛)의 작용은 활혈통경(活血通經)하고 산한지통(散寒之痛)하는 효능이 있어 외감풍한(外感風寒)과 풍한습비(風寒濕痺) 및 경폐(經閉), 통경(通經) 등의 증상을 치료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계지에는 알칼로이드(alkaloid)0.07%, 사포닌(saponin) 2.06%, 탄닌(tannin) 2.51% 및 정유가 함유되어 있다(정 보섭 및 신 민교,향약대사전, 영림사, p455 ,1998).
길경(桔梗, Platycodon grandiflorum A. DC.)은 도라지의 뿌리로서 사포닌을 함유하며 그 기지성분은 폴리갈락산(polygalacic acid), 플래티코다이제닌(platicodigenin) 과 글루코스이다. 또 α-스피나스테롤(α-spinasterol), α-스피나스테릴-β-d-글루코시드(α-spinasteryl-β-d-glucoside), 5α-스티그마스타-7-엔-3β-올(5α-stigmasta-7-en-3β-ol), 베툴린(betulin), 이누린(inulin), 플래티코도닌(platycodonin)을 함유한다. 이것의 약리작용으로는 폐기선개(肺氣宣開), 거담(祛痰), 배농(排膿)의 효능이 있다(정보섭 및 신민교 도해 향약(생약)대사전, 영림사, pp1089-1090, 1998).
방풍(Ledebouriella seseloides, 防風)은 미나리과(Umbellifer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한국, 중국(동북부·華北),·몽골, 시베리아 등지의 초원 또는 돌이 많은 산지에 분포하고, 처방에 자주 사용되는 한약재로서 그 약리작용은 해열, 진통, 소염, 혈압강하작용, 관절염 유발억제의 기능을 가진다. 국내에서는 Saposhnikovia divaricata (TURCZ.) SCHISKIN을 방풍으로 정하고 있으며(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2002a), 중국과 일본에서도 S.divaricata을 방풍으로 정하고 있다.(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Japan, 1996; Pharmacopoeia commission of the ministry of public health, P. R. China, 1996).
연교(Forsythia viridissima)는 물푸레나무과(木犀科, Oleaceae)에 속하는 개나리의 과실로써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 기재되어 있으며 한방과 민간에서 종창, 임질, 통경, 이뇨, 치질, 결핵, 나력, 옴, 해옥 및 월경불순 등의 치료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Kim TJ. Korea resources plants, pp261, 1991). 연교의 종류는 중국연교(Forsythia viridissma Lindle)와 일본연교(Forsythia korea)로 대별된다. 일본연교(F. koreana)는 F. viridissima Lindle var.koreana Nakai란 학명괼(F. 하기도 하며 한연교라고도 불리우고 있다. 중국연교(F. viridissima)는 의성개나리 또는 금종화라고도 하는데 우리나라 일부와 중국의 절강(折江), 복건성(福建省)등지에서 자생한다(Lee EB. and Keum HJ., Kor. J. Pharmacol. 19(4), pp262-269, 1988). 연교 에 함유되어 있는 성분에는 리그난류, 리그난 글리코사이드류, 플라보노이드 및 카페올 글리코사이드(caffeoyl glycoside)류 등이 있으며, 그 활성성분이 혈압강화작용 및 항염효과를 가지고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Takeshi H, Yuka K, et al., Yakugaku Zasshi, 39(1), pp235-241, 1995).
박하(Mentha arvensis var. piperascens)는 신선한 잎은 정유를 0.8~1%를 함유하며, 건조한 경엽은 1.3~2%를 함유한다. 유중의 주성분은 멘톨로 약 77~78%를 함유하며, 다음이 멘톤으로 8~12%를 함유하고 다시 초산 멘톨, 캄펜(camphene), 리모넨(limonene), 피넨(pinene), 수지 및 소량의 탄닌, 로즈마리산(rosmarinicacid)을 함유한다. 멘톨을 국소적으로 사용하면 두통, 신경통, 소양증 등이 치료되고 피부에 사용하면 우선 청양감을 느끼고 나중에 가벼운 작열감을 느끼게 된다. 이 청양감은 피부온도의 고저에 따른 것은 아니고, 말초신경의 냉각감수용기를 자극하는 것에 따라 일어나게 된다. 멘톨과 멘톤은 토끼의 적출장에 대하여 억제작용이 있으며, 멘톤의 작용은 비교적 강하다. 마우스의 적출소장에 의한 실험에서는 박하정유에 해경(항 아세틸콜린)작용이 있다. 그러나 마우스의 생체내 소장 내용물의 추진속도에는 뚜렷한 영향은 없고, 격심한 것에서는 억제경향 조차 있었던 점에서 그 건귀작용은 후각, 미각에 의해서 속발적으로 일어나는 것으로 추정된다. 멘톨의 알콜 용액에는 방부작용이 있다. 또 기관지염 등에도 어느 정도의 치료 작용이 있는데 이것은 분비를 촉진하고 점막에 부착된 점액을 제거하는 것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멘톤의 자극성은 멘톨보다도 강하다. 양박하 중에 함유된 플라보노이드에는 이담작용이 있다(정보섭 및 신민교, 도해 향약(생약)대사전, 영림사, pp851~852, 1998).
황금(黃芩, Scutellaria baicalensis Geogri.)은 꿀풀과의 여러해살이 풀인 황금의 뿌리로 맛은 쓰고 성질은 차갑다. 폐와 담, 위, 대장에 작용한다. 황금은 쓰고 찬 성질로 습기를 없애고 열을 제거한다. 주로 폐에 작용하여 폐의 열로 인한 기침, 가래 등에 사용한다. 해열작용, 소염작용, 이뇨작용, 위액분비억제작용, 항균작용을 한다. 황금에 함유된 바이카린(Baicalin)은 진정작용을 하며 모세혈관의 투과성을 저하시켜 지혈작용을 한다. 바이칼린은 가수분해하여 해독작용을 하는 글루쿠론산(Glucuronic acid)과 이뇨작용을 하는 바이칼레인(Baicalein)이 된다. 또 이 바이카레인은 항균작용이 뛰어나 디프테리아균, 백일해균,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도 억제작용이 있다(정보섭 및 신민교, 도해 향약(생약)대사전, 영림사, pp855-856, 1998).
백출(白朮, Atractylodis Rhizoma Alba)은 국화과 식물로서 건비(健脾), 난위(暖胃), 조습(燥濕), 화탁(化濁), 화중(和中), 지사(止瀉), 안태(安胎), 생진(生津), 소곡(消穀), 보요슬(補腰膝), 장기육(長肌肉), 축담수(逐痰水), 이소변(利小便), 제지만(除支滿), 구복(久服), 경신(輕身), 연년(延年), 불기(不飢) 등의 효능을 지닌 생약재로 비위기약(脾胃氣弱), 권태소기(倦怠少氣), 하리(下痢), 담음(痰飮), 수종(水腫), 황달(黃疸), 각기(脚氣), 소변난(小便難), 현훈(眩暈), 도한(盜汗), 태기불안(胎氣不安) 등에 사용된 약재이다(신동의학보감). 민간요법에서는 건위재, 위궤양예방, 담즙분비 촉진등에 이용되어왔고 특히 중국의 경우 강장재로 사용해왔다(Chen, Z.L., et al.Planta. med. 53, p493, 1987; Chen, Z.L., Phytochemistry, 45(4), p765, 1997).
치자(Gardenia jasminoides)는 플라보노이드(Flavonoid)의 가데닌(gardenin), 펙틴(pectin), 탄닌(tannin), 크로신(crocin), 크로세틴(crocetin), d-만니톨(d-mannitol), 노나코산(nonacosane), 베타-시토스테롤(β-sitosterol) 이외에 여러 종류의 이리도이드(iridoide) 골결의 배당체 즉 가데노사이드(gardenoside), 제니포사이드(geniposide(genipin-1-glucoside)), 제니핀-1-β-d-제니티오바이오사이드(genipin-1-β-dgentiobioside)및 소량의 산즈히사이드(shanzhiside)를 함유하고 또 가데노사이드(gardoside), 스캔도사이드 메틸 에스터(scandoside methyl ester), 콜린(choline) 및 우르소린산(ursolic acid)이 들어 있다. 또한 진정, 혈압강하작용이 있고 담낭을 수축시켜 담즙분비를 증가시키며 이담작용이 있다. 지혈작용도 가지며 생치자의 지혈작용은 초치자보다 강하다(정보섭 및 신민교, 도해 향약(생약)대사전, 영림사, p925, 1998).
형개 (荊芥, Schizonepeta tenuifolia var. japonica KITAGAWA)는 꿀풀과(Labiatae)에 속하는 일년생 초본의 전초를 햇볕에 말려서 사용한다. 그 성분으로는 정유 1.8%를 함유되어 있으며, 정유 중에는 d-멘톤(d-menthone), dl-멘톤(dl-menthone)과 소량의 d-리모넨(d-limonene)을 포함하고 있다. 해표(解表), 거풍(祛風), 이혈(理血)의 효능이 있다(정보섭, 신민료, 도해 향약대사전, 영림사, pp863-4, 1998).
생강(Zingiber officinale Rosc.)은 정유 약 0.25~3.0%가 함유되어 있으며 주성분은 징기베르올(zingiberol), 징기베렌(zingiberene), 펠란드렌(phellandrene), 캄펜(camphene), 시트랄(citral), 리날로올(linalool), 메틸헵테논(methylheptenone), 노닐 알데히드(nonyl aldehyde), d-보르네올(d-borneol), 또 신미성분인 진저롤(gingerol)이 있고 이것은 분해되어 유상의 신미성분인 쇼가올(shogaol)과 결정성의 신미성분인 징게론(zingerone), 징기베론(zingiberone)의 혼합물로 변한다. 또 아스파라긴, 피페콜린산(pipecolic acid), 글루타민산, 아스파라긴산, 세린, 글라이신을 함유하며 그 밖에 수지상물질 및 녹말이 들어있다. 소화기계에의 작용으로 생강에 들어있는 진저롤(gingerol)은 구강과 위점막에 자극작용을 가지므로 소화액 분비촉진, 식욕증진 작용을 한다. 장내의 이상발효 억제, 장도를 흥분시켜 체기배출작용을 촉진한다. 항균과 항원충 작용에서 수침출제는 시험관에서 색백선균에 대해서 억제작용을 가지며 질 트리코마노스에 대해서도 살균작용을 나타낸다(정보섭 및 신민교, 도해 향약(생약)대사전, 영림사, p261, 1998).
감초(Glycyrrhizae radix)는 콩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서 중국 북부, 시베리아, 이태리 남부, 만주, 몽고 등지에 자생 또는 재배되며 모든 한약처방에서 독성을 줄이는 성분으로 들어가고 진해제로써 쓰이는 약초 중 하나이다.(Rauchensteiner F. et al., J Pharm Biomed Anal., 38(4), pp.594-600, 2005). 일부 유럽에서는 담배나 껌 그리고 사탕 등에 단맛을 내기 위해 사용하기도 한다. 최근 여러 연구 결과 감초가 신장의 산화적 손상을 완화시키며 (Yokozawa T. et al., Free Radic Res., 39(2), pp.203-211, 2005) 카드뮴에 의해 손상되는 간세포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는 것 (Kim SC. et al., Toxicology., 197(3), pp.239-251, 2004)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지금까지 상기한 문헌들 및 연구 보고들에서, 상기 생약복합제 추출물의 비만에 대한 개선효과에 대해서는 교시되거나 개시된 바 없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미담탕 생약복합제 추출물에서 비만에 대한 개선효과 및 간수치 개선, 중성지방 수치의 개선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복합 생약 추출물(MDT)을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과 치료용 조성물질의 개발 및 체질별 간기능개선, 중성지방 저하를 동시에 치료하는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시호(柴胡, Radix bpleuri), 향부자(Cyperus rotundus), 활석(talc, Mg3(OH)2Si4O10), 택란(Eupatorium lindleyanum), 당귀(Angelica sinensis), 천궁(Cnidium officinale), 백작약(Paeonia japonica), 마황(Ephedra sinica), 대황(Rheum palmatum), 망초(Erigeron canadensis), 석고(Gypsum, CaSO4 ·2H2O), 계지(Cinnamomum cassia), 길경(Platycodon grandiflorum), 방풍(Ledebouriella seseloides), 연교(Forsythia koreana), 박하(Mentha arvensis var. piperascens),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백출(Atractylodes macrocephala), 치자(Gardenia jasminoides), 형개 (Schizonepeta tenuifolia), 생강(Zingiber officinale) 및 감초(Glycyrrhiza uralensis)를 포함하는 복합 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미담탕(Midamtang, MDT)이라 명명함).
본 발명의 미담탕(MDT) 복합 생약추출물은 혈액 내의 콜레스테롤이 대조군에 대비 감소되었고, 미담탕 투여군 혈액 내의 간수치가 대조군에 대비 유의적이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장기간 투여 시에도 안전성과 낮은 독성을 나타냈으며, 실험의 특성상 고지방식이를 투여하였음에도 증체율이 대조군 대비 유의성 있게 낮게 증가하여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로 안전하면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미담탕 복합생약추출물(MDT) 제조의 구성비이다. 도 2는 미담탕 복합생약추출물(MDT)을 실험동물에 4주간 농도별 경구 투여 전과 후의 체중에 대한 증체율(%)를 산출한 결과이다. 도 3은 미담탕 복합생약추출물(MDT)을 실험동물에 4주간 농도별 경구 투여한 후, 혈액생화학 분석결과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시호(柴胡, Radix bpleuri), 향부자(Cyperus rotundus), 활석(talc, Mg3(OH)2Si4O10), 택란(Eupatorium lindleyanum), 당귀(Angelica sinensis), 천궁(Cnidium officinale), 백작약(Paeonia japonica), 마황(Ephedra sinica), 대황(Rheum palmatum), 망초(Erigeron canadensis), 석고(Gypsum, CaSO4 ·2H2O), 계지(Cinnamomum cassia), 길경(Platycodon grandiflorum), 방풍(Ledebouriella seseloides), 연교(Forsythia koreana), 박하(Mentha arvensis var. piperascens),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백출(Atractylodes macrocephala), 치자(Gardenia jasminoides), 형개 (Schizonepeta tenuifolia), 생강(Zingiber officinale) 및 감초(Glycyrrhiza uralensis)를 포함하는 복합 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각 생약 조성물들의 조성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시호, 향부자, 활석, 택란, 연교, 박하, 마황, 대황, 망초, 당귀, 천궁, 백작약, 방풍, 석고, 계지, 길경, 황금, 백출, 치자, 형개, 생강 및 감초의 개개 중량 조성비가 약 1~10 : 1~10 : 1~10 : 1~10 : 1~10 : 1~10 : 1~10 : 1~10 : 1~10 : 1~10 : 1~10: 1~10 : 1~10 : 1~10 : 1~10 : 1~10 : 1~10 : 1~10 : 1~10 : 1~10 : 1~10 : 1,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7 : 1~7 :1~7 : 1~7 : 1~7 : 1~7 : 1~7 : 1~7 : 1~7 : 1~7 : 1~7 : 1~7 : 1~7 : 1~7 : 1~7 : 1~7 : 1~7 : 1~7 : 1~7 :1~7 : 1~7 : 1, 가장 바람직하게는 1~4 : 1~4 : 1~4 : 1~4 : 1~4 : 1~4 : 1~4 : 1~4 : 1~4 : 1~4 : 1~4 : 1~4 : 1~4: 1~4 : 1~4 : 1~4 : 1~4 : 1~4 : 1~4 : 1~4 : 1~4 : 1 이다.
본 발명의 미담탕 복합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약학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추출물을 0.1 내지 50 중량 %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미담탕 복합생약추출물을 수득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시호, 향부자, 활석, 택란, 당귀 ,천궁, 백작약, 방풍, 연교, 박하, 마황, 대황, 망초, 석고, 계지, 길경, 황금, 백출, 치자 ,형개 ,생강 및 감초를 모두 건조시킨 후, 종자인 경우는 파쇄하고 뿌리나 근경인 경우는 세절하여 냉수에 충분히 세척하여 생약 부피의 약 1~20배, 바람직하게는 약 5~15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의 물, 저급알콜 또는 이들의 약 1:0.1~1:10, 바람직하게는 1:1~1:3의 혼합비를 갖는 혼합용매로 (주) 대웅약탕기 (DW-3000, 대웅전자, 한국)에서 약 70 내지 150℃,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2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추출 온도에서 약 1시간 내지 24시간, 바람직하게는 2시간 내지 12시간, 더욱 바람직하게는 4시간 정도 교반 추출, 열수 추출, 냉침 추출, 상온 추출, 가온 추출, 환류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방법, 바람직하게는 환류추출 방법으로 추출하여 본 발명의 미담탕 복합생약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사용량은 환자의 나이, 성별, 체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0.1 내지 100 mg/㎏의 양을 일일 1회 내지 수회 투여할 수 있다. 또한 그 추출물의 투여량은 투여경로, 질병의 정도, 성별, 체중, 나이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제형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제형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제형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미담탕 복합생약추출물의 제조
현대 약업사에서 구입한 하기 도 1의 생약들을 도 1의 구성비로 추출하여 수득한 미담탕(Midamtang, MDT)을 미담한의원으로부터 공급받아 동신대학교 생물자원산업지원센터(BIC)에서 동결건조기(Freeze Dryer, SFDTS 10K)를 이용하여 동결 건조(원액처리량 : 10 ㎏, 트랩 온도 : -70 ℃, 제품회수량 : 1.5 ㎏, 수득율 : 약 15 %)하여 미담탕 복합생약추출물 건조 분말 1.5 ㎏을 수득하였다.
참고예 1. 실험동물의 준비
8주령의 수컷 SD(Sprague-Dawley) 랫드 40마리를 (주)샘타코 (경기 오산)로부터 공급받아 1주일간의 실험실 순화과정을 거친 후, 9주령 (수컷 250 - 300 g)을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랫드용 케이지 (260 x 420 x 180 mm)에 1마리씩 수용하였다. 실험동물의 사육환경은 온도 23 ± 2℃, 상대습도 55 ± 10%, 환기횟수 12 회/hr, 조명주기 12시간 (07:00 - 19:00) 및 조도 150 - 300 lux로 조절되었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미담탕 복합생약추출물 건조분말은 냉장에서 밀폐용기에 보관하였으며, 투여 기간 동안, 시험군에는 증류수에 MDT 농도별(0.1, 0.25, 0.5ml/체중100g/일)로 4주간 경구 투여하였다.
실험예 1. 시료를 투여한 시험군의 분리 및 부검
상기 참고예 1의 실험동물을 각 군당 8마리씩 총 4군으로 분리하였다. 즉, 양성대조군으로 사료에 라드(lard)만을 혼합한 고지방식이 (라드 30%, high-fat diet, HFD) 단독 급여군을 두고, HFD 식이에 시험물질인 MDT를 농도별 (0.1, 0.25, 0.5ml/체중100g/일) 경구 투여하여 투여한 3개의 시험 군으로 구성하였다.
상기 시험군에 미담탕 복합생약추출물을 경구 투여한 후, 1일 절식하여 다음날 부검을 실시하였다. 부검 시, 에테르(ether) 흡입마취를 실시하여, 배 대동맥에서 채혈한 후, 각 장기 및 지방조직을 적출하였으며, 부검 시 적출한 모든 장기는 10% 중성 완충 포르말린에 고정하였다.
실험예 2. MDT 농도별 경구 투여 후 증체율 측정
상기 실험예 1의 부검 전, 개체별로 중량을 측정하고, 문헌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MDT를 투여하기 전과 후의 체중에 대한 증체율(%)를 산출하였다.
상기 실험 결과, 대조군에 비해 MDT 투여군의 고용량 (0.5ml/BW100g/day)에서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도 2 참고).
실험예 3. 혈액생화학적 검사
상기 실험예 1에서 부검 시 채취한 혈액을 원심분리하여 얻은 혈청에 대하여 생화학자동분석기(Hitachi, medical, Co, Ltd., Japan)를 이용하여 ALT(alanine transaminase), AST(aspartate transaminase), 중성지방 및 콜레스테롤을 측정하였다.
혈액생화학 분석결과 고지방식인 대조군에 비해 미담탕(MDT)은 간 손상의 지표인 AST와 ALT를 감소시켰으며, 지질대사의 지표인 혈액내의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의 수치를 감소시켰다(도 3 참조).
실험예 4. 독성 실험
4-1. 실험동물의 준비
5주령의 암수 SD 랫드(Sprague-Dawley Rabbit)를 (주)샘타코 (경기 오산)로부터 공급받아 1주일간의 실험실 순화과정을 거친 후, 6주령 (수컷 185 - 210 g, 암컷 162 - 175 g)을 시험에 사용하였다. 동물은 랫드용 케이지 (260 x 420 x 180 mm)에 4마리씩 수용하였다. 실험동물의 사육환경은 온도 23 ± 2℃, 상대습도 55 ± 10%, 환기횟수 12 회/hr, 조명주기 12시간(07:00 - 19:00) 및 조도 150 - 300 lux로 조절되었다. 또한, 실험동물용 고형사료(샘타코, 경기 오산)와 멸균정제수를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다.
4-2. 단회투여독성 평가
상기 실험예 4-1에서 준비한 암컷과 수컷 랫드를 24시간 절식시킨 후, MDT를 멸균정제수에 적정 투여액량으로 녹여 1,000 ㎎/㎏ (10 ㎖/kg), 2,000 ㎎/㎏ (10 ㎖/kg) 또는 5,000 ㎎/㎏ (15 ㎖/kg)의 용량으로 단회 경구투여 하였다. 그 후, 동물을 14일간 매일 관찰하여 일반증상을 기록하고, 투여 당일의 절식체중 및 익일을 포함하여 3일 간격으로 체중을 측정하였다. 또한, 시험물질투여 후 14일이 되는 시점에 절식시킨 후, 15일째에 부검하여 주요 장기의 중량을 측정하였으며, 육안적 해부소견 및 병변이 관찰된 조직에 대한 병리조직소견을 분석하였다 (식품의약안전청, 서울, 식품의약안전청 (2009) 의약품 등의 독성시험기준, 고시 제2009-116호, 2009).
상기 실험 결과, MDT (1,000, 2,000 또는 5,000 ㎎/㎏)를 단회 경구투여한 후 14일간의 관찰기간 동안 모든 암수 랫드에서 시험물질 투여로 인한 일반증상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사망동물 또한 발생하지 않았다. 또한, 체중변화에 있어서 암-수 모든 동물에서 군간 유의적인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투여전날 절식으로 인한 체중감소를 제외하면 시험물질 투여에 의한 특이적인 체중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부검 시에 해독, 배설, 면역, 내분비, 순환, 호흡 및 생식 관련 주요 장기를 적출하여 중량을 측정한 결과,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차이나 용량의존성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부검결과 대조군 및 시험군의 모든 동물에서 신체 전 장기의 이상소견이 관찰되지 않았다.
4-3. 반복투여독성
MDT를 멸균정제수에 적정 투여액량 (10 ㎖/㎏)으로 녹여 암컷과 수컷 랫드에 500, 1,000 또는 2,000 ㎎/㎏으로 28일간 9:00 - 12:00에 경구 투여하고, 마지막 투여 후 절식시킨 다음 29일째에 부검하였다 (식품의약안전청, 서울, 식품의약안전청 (2009) 의약품 등의 독성시험기준, 고시 제2009-116호, 2009).
상기 실험 결과, MDT (500, 1,000 또는 2,000 ㎎/㎏)를 28일간 경구투여 하는 동안, 모든 암수 랫드에서 MDT 투여로 인한 일반증상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사망동물 또한 발생하지 않았다. 부검 시에 주요 장기를 적출하여 중량을 측정한 결과, 암수 모든 군에서 해독 및 배설장기(간 및 콩팥), 면역계(비장 및 가슴샘), 순환기계(심장), 호흡기계(허파), 내분비계(부신 및 갑상샘), 신경계(뇌), 생식기계(고환, 부고환, 자궁, 난소)의 절대 및 상대 장기중량 모두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부검결과, 대조군 및 시험군의 모든 동물에서 신체 전 장기의 이상소견이 관찰되지 않았다. 부검 시 채취한 혈액에 대하여 혈액학적 지표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 정상적인 범위 내에 있었으며, 혈액생화학적 지표 분석 결과, 암수 모두에서 간세포손상의 지표인 ALT 및 AST 모두 MDT 투여 농도에 용량 의존적이며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고용량 (2,000 ㎎/㎏) MDT 투여군에서는 암수 모두에서 AST는 약 13%와 ALT는 16% 정도 감소하였다. 단백질 합성의 지표인 T-단백질(T-proteins)과 알부민(albumin)의 측정에서도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하기에 상기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미담탕 복합생약추출물 (MDT) 20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미담탕 복합생약추출물 (MDT) 1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미담탕 복합생약추출물 (MDT) 1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락토오스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미담탕 복합생약추출물 (MDT) 20 m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Claims (5)

  1. 시호(柴胡, Radix bpleuri), 향부자(Cyperus rotundus), 활석(talc, Mg3(OH)2Si4O10), 택란(Eupatorium lindleyanum), 당귀(Angelica sinensis), 천궁(Cnidium officinale), 백작약(Paeonia japonica), 마황(Ephedra sinica), 대황(Rheum palmatum), 망초(Erigeron canadensis), 석고(Gypsum, CaSO4 ·2H2O), 계지(Cinnamomum cassia), 길경(Platycodon grandiflorum), 방풍(Ledebouriella seseloides), 연교(Forsythia koreana), 박하(Mentha arvensis var. piperascens),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백출(Atractylodes macrocephala), 치자(Gardenia jasminoides), 형개 (Schizonepeta tenuifolia), 생강(Zingiber officinale) 및 감초(Glycyrrhiza uralensis)를 포함하는 복합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시호, 향부자, 활석, 택란, 연교, 박하, 마황, 대황, 망초, 당귀, 천궁, 백작약, 방풍, 석고, 계지, 길경, 황금, 백출, 치자, 형개, 생강 및 감초의 개개 중량 조성비가 1~10 : 1~10 : 1~10 : 1~10 : 1~10: 1~10 : 1~10 : 1~10 : 1~10 : 1~10 : 1~10 : 1~10 : 1~10 : 1~10 : 1~10 : 1~10 : 1~10 : 1~10 : 1~10 :1~10 : 1~10 : 1인 약학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추출물을 0.1 내지 50 중량 %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약학 조성물

  4. 시호(柴胡, Radix bpleuri), 향부자(Cyperus rotundus), 활석(talc, Mg3(OH)2Si4O10), 택란(Eupatorium lindleyanum), 당귀(Angelica sinensis), 천궁(Cnidium officinale), 백작약(Paeonia japonica), 마황(Ephedra sinica), 대황(Rheum palmatum), 망초(Erigeron canadensis), 석고(Gypsum, CaSO4 ·2H2O), 계지(Cinnamomum cassia), 길경(Platycodon grandiflorum), 방풍(Ledebouriella seseloides), 연교(Forsythia koreana), 박하(Mentha arvensis var. piperascens),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백출(Atractylodes macrocephala), 치자(Gardenia jasminoides), 형개 (Schizonepeta tenuifolia), 생강(Zingiber officinale) 및 감초(Glycyrrhiza uralensis)를 포함하는 복합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5. 제 4항에 있어서, 시호, 향부자, 활석, 택란, 연교, 박하, 마황, 대황, 망초, 당귀, 천궁, 백작약, 방풍, 석고, 계지, 길경, 황금, 백출, 치자, 형개, 생강 및 감초의 개개 중량 조성비가 1~10 :1~10 : 1~10 : 1~10 : 1~10: 1~10 : 1~10 : 1~10 : 1~10 : 1~10 : 1~10 : 1~10 : 1~10 : 1~10 : 1~10 : 1~10 : 1~10 : 1~10 : 1~10 :1~10 : 1~10 : 1인 건강기능식품.

KR1020100007413A 2010-01-27 2010-01-27 복합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과 치료용 조성 물질의 개발 및 체질별 간 기능 개선, 중성지방 저하를 동시에 치료하는 조성물 개발 KR201100878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7413A KR20110087808A (ko) 2010-01-27 2010-01-27 복합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과 치료용 조성 물질의 개발 및 체질별 간 기능 개선, 중성지방 저하를 동시에 치료하는 조성물 개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7413A KR20110087808A (ko) 2010-01-27 2010-01-27 복합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과 치료용 조성 물질의 개발 및 체질별 간 기능 개선, 중성지방 저하를 동시에 치료하는 조성물 개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7808A true KR20110087808A (ko) 2011-08-03

Family

ID=44926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7413A KR20110087808A (ko) 2010-01-27 2010-01-27 복합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과 치료용 조성 물질의 개발 및 체질별 간 기능 개선, 중성지방 저하를 동시에 치료하는 조성물 개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87808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99249A (zh) * 2013-11-29 2014-02-26 李克豪 一种治疗咽喉炎的中药组合物
KR20140065438A (ko) * 2012-07-18 2014-05-29 무하메드 마제에드 스키르푸신 a 및 스키르푸신 b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항비만 가능성
KR20180073095A (ko) * 2016-12-22 2018-07-02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육계, 백출, 갈근, 백작약 및 마황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WO2019151767A1 (ko) * 2018-01-31 2019-08-0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택란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90100879A (ko) * 2018-02-21 2019-08-29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박하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 관련 합병증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517948B1 (ko) * 2022-04-06 2023-04-06 한경수 복방 한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5438A (ko) * 2012-07-18 2014-05-29 무하메드 마제에드 스키르푸신 a 및 스키르푸신 b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항비만 가능성
CN103599249A (zh) * 2013-11-29 2014-02-26 李克豪 一种治疗咽喉炎的中药组合物
KR20180073095A (ko) * 2016-12-22 2018-07-02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육계, 백출, 갈근, 백작약 및 마황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WO2019151767A1 (ko) * 2018-01-31 2019-08-0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택란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90100879A (ko) * 2018-02-21 2019-08-29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박하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 관련 합병증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517948B1 (ko) * 2022-04-06 2023-04-06 한경수 복방 한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50794A (ko) 복합 생약 추출물(mst)을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CN112274620B (zh) 治疗新型冠状病毒肺炎的中药组合物、制备方法、检测方法及其用途
Singhuber et al. Aconitum i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a valuable drug or an unpredictable risk?
US8597695B1 (en) Herbal combinations for treatment of a skin condition
KR100980819B1 (ko) 복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및 이의제조방법
KR20030081181A (ko) 생약 복합물을 포함하는 위장관 운동장애 질환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20110087808A (ko) 복합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과 치료용 조성 물질의 개발 및 체질별 간 기능 개선, 중성지방 저하를 동시에 치료하는 조성물 개발
Tian et al. Vaccaria segetalis: a review of ethnomedicinal, phytochemical, pharmacological, and toxicological findings
Sahoo et al. Experimental and clinical trial investigations of phyto-extracts, phyto-chemicals and phyto-formulations against oral lichen planus: A systematic review
Li Chinese herbal medicine
CN113876688A (zh) 抑菌养护洗液及其制备方法
CN101584759B (zh) 一种纯植物来源的药物组合物及其应用
KR101456937B1 (ko) 천연물 추출물로 구성된 비만의 억제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027555B1 (ko)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보호 및간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864719B1 (ko) 혼합 한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N101773490A (zh) 具有降低绝经期妇女骨相关疾病发病风险的接骨木活性部位及其应用
CN103860977B (zh) 一种治疗皮炎的药物组合物
KR100522176B1 (ko) 남성 성기능 개선 조성물
CN104352705A (zh) 治疗乳腺小叶增生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8904649B (zh) 一种治疗***的中药及其制备方法
Rajput Ethnobotanical, phytochemical, and pharmacological aspects of Hemidesmus indicus: a herbal bliss for mankind
CN114533835B (zh) 一种具有芳香、祛风利湿功效的药物及其制备方法
CN115444898B (zh) 一种改善蛋禽输卵管炎症的精油植物素自微乳及其制备方法
KR102217732B1 (ko) 조기성숙 가성 유방 발달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CN109157635B (zh) 一种具有抗抑郁作用的忍冬藤复方及其制备方法和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