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4668A - 촬상 장치 및 촬상 방법 - Google Patents

촬상 장치 및 촬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4668A
KR20110074668A KR1020100127872A KR20100127872A KR20110074668A KR 20110074668 A KR20110074668 A KR 20110074668A KR 1020100127872 A KR1020100127872 A KR 1020100127872A KR 20100127872 A KR20100127872 A KR 20100127872A KR 20110074668 A KR20110074668 A KR 201100746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screen
target
straight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7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0775B1 (ko
Inventor
요이치로 타우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2/978,228 priority Critical patent/US8675089B2/en
Publication of KR20110074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46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0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07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18Signals indicating condition of a camera member or suitability of light
    • G03B17/20Signals indicating condition of a camera member or suitability of light visible in viewfind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Indication In Cameras, And Counting Of Expos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촬상 장치 및 촬상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촬상 장치는 화면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적어도 1개의 수직선 및 화면 내에서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적어도 1개의 수평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보조선을 표시하는 보조선 표시부, 피사체의 촬영에 의해 취득된 화상 데이터로부터 피사체상의 윤곽을 추출하는 윤곽 추출부; 추출된 윤곽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직선 부분을 검출하는 직선 검출부,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직선 부분의 화면 내에서의 각도 및 상기 화면 내에서의 길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직선 부분으로부터 목표 직선 부분을 추출하는 목표 추출부, 및 추출된 목표 직선 부분과 상기 수직선 및 수평선 중 적어도 하나의 거리를 산출하는 거리 산출부를 포함하고, 보조선 표시부는 목표 직선 부분과 수직선 및 수평선 중 산출한 적어도 하나의 거리에 기초하여, 수직선 및 수평선 중 적어도 하나를 목표 직선 부분으로 향하여 이동시킴으로써, 번거로운 보조선의 표시를 회피하고, 촬영자가 피사체상에 맞추기 쉬운 보조선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촬상 장치 및 촬상 방법{Photoghraphing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촬상 장치 및 촬상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스틸 카메라나 비디오 카메라 등의 촬상 장치를 이용하여 정지화상이나 동화상을 촬영할 때,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니터나 EVF(Electronic View Finder) 등의 화면에 보조선을 표시함으로써, 촬영자는 피사체상의 구도를 결정하기 쉬워지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번거로운 보조선의 표시를 회피하고, 촬영자가 피사체상에 맞추기 쉬운 보조선을 화면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한 촬상 장치 및 촬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촬상 장치는 화면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적어도 1개의 수직선 및 상기 화면 내에서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적어도 1개의 수평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보조선을 표시하는 보조선 표시부; 피사체의 촬영에 의해 취득된 화상 데이터로부터 피사체상의 윤곽을 추출하는 윤곽 추출부; 상기 추출된 윤곽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직선 부분을 검출하는 직선 검출부; 상기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직선 부분의 상기 화면 내에서의 각도 및 상기 화면 내에서의 길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직선 부분으로부터 목표 직선 부분을 추출하는 목표 추출부; 및 상기 추출된 목표 직선 부분과 상기 수직선 및 수평선 중 적어도 하나의 거리를 산출하는 거리 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선 표시부는 상기 목표 직선 부분과 상기 수직선 및 수평선 중 산출한 적어도 하나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수직선 및 상기 수평선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목표 직선 부분으로 향하여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선 표시부는 상기 목표 직선 부분과 상기 수직선 및 수평선 중 산출한 적어도 하나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수직선 및 상기 수평선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목표 직선 부분으로 향하여 이동시키면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촬상 장치는 상기 수직선 및 상기 수평선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보조선 표시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모드 판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선 표시부는 상기 보조선 표시 모드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수직선 및 상기 수평선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보조선 표시 모드가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수직선 및 상기 수평선을 상기 화면에 표시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표 추출부는 상기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직선 부분 중에서 길이가 가장 긴 직선 부분을 상기 목표 직선 부분으로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표 추출부는 상기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직선 부분 중에서 수평 또는 수직과의 기울기의 차가 가장 작은 직선 부분을 상기 목표 직선 부분으로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표 추출부는 상기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직선 부분 중에서 화면 중앙으로부터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직선 부분을 상기 목표 직선 부분으로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표 추출부가 상기 목표 직선 부분을 추출할 수 없는 경우, 상기 거리 산출부는 상기 화면의 중앙과 상기 수직선 또는 상기 수평선의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보조선 표시부는 상기 화면의 중앙과 상기 수직선 또는 상기 수평선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수직선 또는 상기 수평선을 상기 화면 중앙으로 향하여 이동시키면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촬상 장치는 화면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적어도 1개의 수직선 및 상기 화면 내에서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적어도 1개의 수평선을 표시하는 보조선 표시부; 피사체의 촬영에 의해 취득된 화상 데이터로부터 피사체상의 윤곽을 추출하는 윤곽 추출부; 추출된 상기 윤곽으로부터 복수의 직선 부분을 검출하는 직선 검출부; 검출된 상기 직선 부분의 상기 화면 내에서의 각도 및 상기 화면 내에서의 길이에 따라, 검출된 상기 복수의 직선 부분으로부터 목표 직선 부분을 추출하는 목표 추출부; 및 추출된 상기 목표 직선 부분과 상기 수직선 또는 상기 수평선의 거리를 산출하는 거리 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선 표시부는 상기 목표 직선 부분과 상기 수직선 또는 상기 수평선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수직선 또는 상기 수평선을 상기 목표 직선 부분으로 향하여 이동시키면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촬상 방법은 화면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적어도 1개의 수직선 및 상기 화면 내에서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적어도 1개의 수평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보조선을 표시하는 단계; 피사체의 촬영에 의해 취득된 화상 데이터로부터 피사체상의 윤곽을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상기 윤곽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직선 부분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직선 부분의 상기 화면 내에서의 각도 및 상기 화면 내에서의 길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직선 부분으로부터 목표 직선 부분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목표 직선 부분과 상기 수직선 및 수평선 중 적어도 하나의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목표 직선 부분과 상기 수직선 및 수평선 중 산출한 적어도 하나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수직선 및 상기 수평선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목표 직선 부분으로 향하여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수직선 및 상기 수평선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목표 직선 부분으로 향하여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목표 직선 부분과 상기 수직선 및 수평선 중 산출한 적어도 하나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수직선 및 상기 수평선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목표 직선 부분으로 향하여 이동시키면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촬상 방법은 상기 수직선 및 상기 수평선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보조선 표시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선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보조선 표시 모드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수직선 및 상기 수평선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보조선 표시 모드가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수직선 및 상기 수평선을 상기 화면에 표시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표 직선 부분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직선 부분 중에서 길이가 가장 긴 직선 부분을 상기 목표 직선 부분으로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표 직선 부분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직선 부분 중에서 수평 또는 수직과의 기울기의 차가 가장 작은 직선 부분을 상기 목표 직선 부분으로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표 직선 부분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직선 부분 중에서 화면 중앙으로부터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직선 부분을 상기 목표 직선 부분으로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촬상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촬상 장치는 번거로운 보조선의 표시를 회피하고, 촬영자가 피사체상에 맞추기 쉬운 보조선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한 촬상 장치(100)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촬상 장치(100)의 가이드 라인의 표시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촬상 장치(100)의 가이드 라인의 이동량 산출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가이드 라인이 표시된 화면(170)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5는 피사체상에 대해 윤곽 추출하여 2치화 처리한 결과를 표시한 화상(180)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6은 피사체상을 직선 근사한 결과를 표시한 화상(190)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7은 가이드 라인과 목표 직선 부분의 관계를 표시한 화상(190)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8은 가이드 라인이 표시된 화면(170)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9는 피사체상이 표시된 화면(70)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0 및 11은 종래기술에 따른 피사체상이 표시된 화면(70) 및 보조선이 표시된 화면(70)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우선,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한 촬상 장치(10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촬상 장치(100)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촬상 장치(100)는, 예를 들면 정지화상을 촬영할 수 있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 또는 동화상을 촬영할 수 있는 비디오 카메라이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화면 내의 가이드 라인의 표시는, 정지화상 촬영 시에 표시하는 라이브 뷰 표시, 동화상 촬영에서의 촬영 화상의 표시 중 어느 것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 디지털 스틸 카메라로 동화상을 촬영하는 경우 또는 비디오 카메라로 정지화상을 촬영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촬상 장치(100)는, 예를 들면 렌즈(102), 촬상 소자(104), 콘트롤러부(108), 전체 신호 처리부(110), EVF 구동부(122), EVF(124), 모니터 구동부(132), LCD 모니터(134), 정지화상/동화상 압축 처리부(140), 메모리 카드(150), 조작부(160) 등으로 이루어진다.
렌즈(102)는, 외부의 광 정보를 촬상 소자(104)에 결상시키는 광학계 시스템으로, 피사체로부터의 광을 촬상 소자(104)까지 투과시킨다. 렌즈(102)는, 도시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줌 렌즈, 조리개, 포커스 렌즈 등으로 이루어진다. 줌 렌즈는, 초점 거리를 변화시켜 화각을 바꾸는 렌즈이다. 조리개는, 투과하는 광량을 조절하는 기구이다. 포커스 렌즈는, 광축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촬상 소자(104)의 촬상면에 피사체상을 합초시킨다. 포커스 렌즈는, 콘트롤러부(108)에 의해 구동된다.
촬상 소자(104)는, 광전 변환 소자의 일례로서, 렌즈(102)를 투과하여 입사한 광 정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광전 변환이 가능한 복수의 소자로 구성된다. 각 소자는 수광한 광량에 따른 전기 신호를 생성한다. 촬상 소자(104)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이미지 센서,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이미지 센서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또, 촬상 소자(104)의 노광 시간을 제어하기 위해, 비촬영시에 광을 가로막고 촬영시만 광이 닿도록 메카니컬 셔터(미도시)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자 셔터를 적용할 수도 있다. 또, 기계식 셔터 또는 전자 셔터의 동작은, 셔터 버튼(조작부(160))의 스위치에 의해 동작된다.
촬상 소자(104)는, CDS/AMP부, A/D변환부를 더 가진다. CDS/AMP부(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Correlated Double Sampling)/증폭기(Amplifier))는, 촬상 소자(104)로부터 출력된 전기 신호에 포함되는 리셋 노이즈와 앰프 노이즈를 제거함과 동시에, 전기 신호를 임의의 레벨까지 증폭한다. A/D 변환부는, CDS/AMP부로부터 출력된 전기 신호를 디지털 변환하여 디지털 신호를 생성한다. A/D 변환부는, 생성한 디지털 신호를 화상 신호 처리부(106)에 출력한다.
화상 신호 처리부(106)는, 전처리부와 화상 처리부 등으로 이루어진다. 전처리부는, A/D 변환부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신호에 대해 처리를 하고, 화상 처리가 가능하게 되는 화상 신호를 생성한다. 전처리부는, 예를 들면 촬상 소자(104)의 화소 결함 보정, 흑레벨 보정, 셰이딩 보정 등의 처리를 한다. 전처리부는, 생성한 화상 신호를 화상 처리부에 출력한다.
화상 처리부는, 전처리부로부터 화상 신호를 받아 휘도 신호와 색 신호로 변환 처리한다. 화상 처리부는, WB 제어값, γ값, 엣지(윤곽) 강조 제어값 등에 기초하여 화상 처리된 화상 신호를 생성한다. 화상 처리부는, 생성한 화상 신호를 정지화상/동화상 압축 처리부(140)로 보낸다.
콘트롤러부(108)는, 예를 들면 CPU(Central Processor Unit)로서, 조작부(160)나 전체 신호 처리부(110)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렌즈(102), 영상 신호 처리부(106) 등의 구성요소를 제어한다.
전체 신호 처리부(110)는, 예를 들면 CPU로서, 프로그램에 의해 연산 처리 장치 및 제어 장치로서 기능하고, 촬상 장치(100) 내에 설치된 각 구성요소의 처리를 제어한다. 전체 신호 처리부(110)는, 예를 들면 콘트롤러부(108)에 신호를 출력하여 렌즈(102)의 포커스 렌즈를 구동시킨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콘트롤러부(108)에 의한 조작계의 명령과 전체 신호 처리부(110)에 의한 신호계의 명령을 각각의 CPU에서 행하는 구성이지만, CPU가 하나만으로 이루어진 구성일 수도 있다.
전체 신호 처리부(110)는, 이동량 산출부(112)와 가이드 표시부(114)를 구비한다.
이동량 산출부(112)는, 예를 들면 모드 판단부, 윤곽 추출부, 직선 검출부, 목표 추출부, 거리 산출부 등으로 이루어진다.
모드 판단부는, 촬상 장치(100)가 수직선 및 수평선으로 이루어진 가이드 라인을 화면에 표시하는 가이드 표시 모드(보조선 표시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윤곽 추출부는, 피사체의 촬영에 의해 취득된 화상 데이터로부터 피사체상의 윤곽을 추출한다. 직선 검출부는, 추출된 윤곽으로부터 복수의 직선 부분을 검출한다. 목표 추출부는, 검출된 직선 부분의 화면 내에서의 각도 및 화면 내에서의 길이에 따라, 검출된 복수의 직선 부분으로부터 목표 직선 부분을 추출한다. 거리 산출부는, 추출된 목표 직선 부분과 수직선 또는 수평선의 거리를 산출한다.
가이드 표시부(114)는, 가이드 표시 모드라고 판단되었을 때, 화면 내에서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1개의 수평선 및 화면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1개의 수직선을 표시한다. 여기서, 수평선 및 수직선을 모두 표시할 수도 있고, 어느 하나의 보조선만을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각각의 보조선은 하나 또는 복수일 수 있다. 가이드 표시부(114)는, 보조선 표시부의 일례이다. 가이드 표시부(114)는, 목표 직선 부분과 수직선 또는 수평선의 거리에 기초하여, 수직선 또는 수평선을 목표 직선 부분으로 향하여 이동시키면서 표시한다. 가이드 표시부(114)는, 가이드 표시 모드가 아니라고 판단되었을 때, 수직선 및 수평선을 화면에 표시하지 않는다.
EVF 구동부(122) 또는 모니터 구동부(132)는, VRAM으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받아 EVF(124) 또는 LCD 모니터(134)의 화면에 화상을 표시한다. EVF(124) 및 LCD 모니터(134)는, 촬상 장치(100)의 본체에 설치된다. EVF(124) 및 LCD 모니터(134)가 표시하는 화상은, 예를 들면 VRAM으로부터 독출된 촬영 전의 화상(라이브 뷰 표시), 촬상 장치(100)의 각종 설정 화면이나 촬상하여 기록된 화상 등이다. EVF(124) 및 LCD 모니터(134)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 유기EL 디스플레이 등이다. EVF(124) 및 LCD 모니터(134)는, 본 실시형태와 같이 양쪽이 촬상 장치(100)에 설치되어도 되고, 어느 하나만이 촬상 장치(100)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EVF(124) 및 LCD 모니터(134)에는, 촬영자가 구도를 결정하기 쉽게 하기 위한 가이드 라인(보조선)이 표시된다. 가이드 라인은, EVF(124) 또는 LCD 모니터(134)가 전체 신호 처리부(110)로부터 신호를 받아 OSD(On Screen Display)에 의해 표시된다.
정지화상/동화상 압축 처리부(140)는, 영상 신호 처리부(106)로부터의 화상 데이터에 대해, 예를 들면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규격 등의 정지화상의 부호화 방식으로 압축 부호화 처리를 한다. 생성된 압축 부호화된 데이터는, 메모리 카드(150) 등에 기록된다.
또한, 정지화상/동화상 압축 처리부(140)는, 영상 신호 처리부(106)로부터 정지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받아 코딩(부호화) 처리에 의해 동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정지화상/동화상 압축 처리부(140)는, 예를 들면 MPEG 형식 등으로 부호화 처리를 하여, 복수의 화상 프레임이 하나의 파일로서 정리된 스트림 데이터를 생성한다. 생성된 동화상 데이터는, 메모리 카드(150) 등에 기록된다. 또한, 정지화상/동화상 압축 처리부(140)는, 메모리 카드(150)로부터 공급된 정지화상 또는 동화상의 부호화 데이터에 대해 신장 복호화 처리를 한다.
메모리 카드(150)는, 화상 데이터의 기입 또는 기록된 화상 데이터나 설정 정보 등의 독출이 된다. 메모리 카드(150)는, 예를 들면 자기 디스크, 반도체 기억 매체 등의 기록매체로서, 촬영된 화상 데이터를 기록한다. 기록매체라면, 메모리 카드(150)에 한정되지 않고, 광 디스크(CD, DVD, 블루레이 디스크 등), 광 자기 디스크 등이어도 된다. 메모리 카드(150)는, 촬상 장치(100)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조작부(160)는, 예를 들면 촬상 장치(100)에 설치된 상하좌우 키, 전원 스위치, 모드 다이얼, 셔터 버튼 등이다. 조작부(160)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에 기초하여 조작 신호를 콘트롤러부(108) 등으로 보낸다. 예를 들면, 정지화상의 촬영에 사용되는 셔터 버튼은, 사용자에 의한 반누름(S1조작), 전체누름(S2조작), 해제가 가능하다. 셔터 버튼은, 반누름되었을 때에 포커스 제어 개시의 조작 신호를 출력하고, 반누름 해제로 포커스 제어가 종료된다. 또한, 셔터 버튼은, 전체누름되었을 때에 촬영 개시의 조작 신호를 출력한다.
또, 촬상 장치(100)에서의 일련의 처리는, 하드웨어로 처리할 수도 있고, 컴퓨터 상의 프로그램에 의한 소프트웨어 처리로 실현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촬상 장치(100)의 가이드 라인의 표시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촬상 장치(100)의 가이드 라인의 표시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가이드 라인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선(172) 및 수평선(174)으로 이루어지고, 피사체상으로부터 검출된 목표 직선 부분으로 향하여 화면 내에서 서서히 이동한다. 가이드 라인이 이동하여 촬영자가 가이드 라인에 피사체상을 맞춤으로써, 가이드 라인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표 직선 부분을 따라 표시된다. 도 4 및 도 8은, 가이드 라인이 표시된 화면(170)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이하, 상세하게 가이드 라인의 표시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촬상 장치(100)는, 가이드 라인을 EVF(124)나 LCD 모니터(134)의 화면에 표시 가능하게 하는 가이드 표시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01). 가이드 표시 모드의 개시 또는 종료는, 예를 들면 촬영자에 의해 메뉴 화면을 통해 선택되어 결정되어 있다.
단계 S101에서, 가이드 표시 모드라고 판단되었을 때는, 화면에 가이드 라인을 표시한다(단계 S102). 가이드 라인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1개의 수직선(172)과 1개의 수평선(174)의 2개의 직선으로 이루어지고, 화면(170)을 4개로 분할한다. 수직선(172), 수평선(174) 모두 화면(170)의 일측의 단부 또는 단부 근방에서 타측의 단부 또는 단부 근방에 걸쳐 연장되는 직선이다. 이와 같이 화면에 긴 직선을 표시함으로써, 촬영자는 가이드 라인의 위치를 인식하기 쉬워진다. 또한, 화면 내의 직선 부분의 근방에만 가이드 라인이 표시되는 경우에 비해, 촬영자는 피사체상을 화면 내에서 수직선(172) 또는 수평선(174)에 맞추기 쉽다.
또, 촬영자에 의한 메뉴 선택 등에 의해 가이드 라인 표시 모드가 아닌 상태에서 가이드 라인 표시 모드로 이행했을 때는,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의 중앙을 통과하도록 가이드 라인의 수직선(172)과 수평선(174)을 표시한다.
다음에, 피사체상으로부터 이동 목표로 하는 목표 직선 부분(목표 수직 직선 부분과 목표 수평 직선 부분)을 검출하여, 가이드 라인을 그 목표 직선 부분으로 이동한다. 목표 직선 부분이란, 촬영자가 화상의 구도를 정하기 위해 기준이 되는 피사체상에 포함되는 직선이다. 여기서, 목표 수직 직선 부분 및 목표 수평 직선 부분을 모두 검출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어느 하나의 목표 직선 부분만을 검출할 수도 있다.
가이드 라인의 목표 직선 부분으로의 이동을 위해, 우선, 가이드 라인의 화면 내에서의 이동량을 산출한다(단계 S103). 이동량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선(172)에 대해 Δx, 수평선(174)에 대해 Δy로서 산출된다. 도 7은, 가이드 라인과 목표 직선 부분의 관계를 표시한 화상(190)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Δx는 수직선(172)의 현재 위치부터 목표 수직 직선 부분(192)까지의 거리이고, Δy는 수평선(174)의 현재 위치부터 목표 수평 직선 부분까지의 거리이다. 이동량 산출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동량이 산출되면, 화면 내에 수직선을 Δx/n만큼 목표 수직 직선 부분으로 이동하여 표시하고, 수평선을 Δy/n만큼 목표 수평 직선 부분으로 이동하여 표시한다(단계 S104). 또, n은 n회의 처리로 이동이 완료된다고 했을 때의 자연수이다. 이 때, 가이드 라인의 현재 위치부터 목표 직선 부분까지 단시간에 가이드 라인을 이동시키는 것이 아니라, 촬영자가 이동하고 있는 것을 인식할 수 있는 비교적 긴 시간에 서서히 가이드 라인을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촬영자는 가이드 라인을 화면 내에서 찾아내기 쉬워져, 가이드 라인에 맞추어 피사체상을 화면 내에서 움직이기 쉬워진다.
또한, 이동량의 산출은, 촬상 장치(100)가 화면 전체의 피사체상의 절환 또는 장면의 바뀜을 인식한 후나, 아니면 비교적 긴 간격으로 수행한다. 본 실시형태와 달리, 반대로 가이드 라인을 목표 직선 부분으로 단시간에 이동시키거나, 이동량의 산출을 짧은 간격으로 행하거나 하면, 촬영자가 화상의 구도를 정하고 있는 중에 가이드 라인이 화면 내의 여러 가지 위치에 표시되거나 비표시되거나 한다. 그 결과, 촬영자는 가이드 라인의 표시가 오히려 번거로워진다. 본 실시형태와 같이, 가이드 라인을 목표 직선 부분까지 서서히 이동시켜 비교적 긴 간격으로 이동량을 산출함으로써, 촬영자가 화면을 조금 어긋나게 했을 때, 가이드 라인은 목표 직선 부분을 뒤쫓아가도록 뒤늦게 표시한다. 따라서, 촬영자는 화상의 구도를 정하기 쉬워진다.
그리고, 가이드 라인을 n회 이동 처리했는지, 또는 가이드 라인의 현재 위치와 목표 직선 부분까지의 거리가 0(제로)이 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이동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05). 이동이 완료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위치에 가이드 라인을 계속 표시한다. 한편, 이동이 완료되지 않았다고 판단되었을 때는, 가이드 라인의 이동 처리를 계속한다.
이상, 단계 S101에서, 가이드 표시 모드라고 판단되었을 때에 대해 설명하였다. 한편, 단계 S101에서 가이드 표시 모드가 아니라고 판단되었을 때는, 가이드 라인을 화면에 표시하지 않는다(단계 S106). 촬영자에 의한 메뉴 선택에 의해 가이드 표시 모드인 상태에서 가이드 표시 모드가 아닌 상태로 전환했을 때는, 화면으로부터 가이드 라인을 소거한다. 이에 의해, 촬영자가 가이드 라인을 표시시키고자 하지 않는다고 판단했을 때는, 가이드 라인을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다음에,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한 촬상 장치(100)의 가이드 라인의 이동량 산출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촬상 장치(100)의 가이드 라인의 이동량 산출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가이드 표시 모드에서 화면에 가이드 라인이 표시되면, 가이드 라인의 목표 직선 부분으로의 이동을 위해, 가이드 라인의 화면 내에서의 이동량을 산출한다. 이하, 상세하게 가이드 라인의 이동량 산출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촬영 중의 화상으로부터 가이드 라인의 이동 목표로 하는 목표 수직 직선 부분과 목표 수평 직선 부분을 검출한다. 예를 들면, 피사체의 촬영에 의해 얻어진 화상 데이터 전체로부터 피사체상의 윤곽부를 추출한다(단계 S111). 윤곽 추출 처리는, 예를 들면 화상 처리에 있어서 통상 이용되는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추출된 윤곽부에 대해 2치화 처리를 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상을 취득한다. 도 5는, 피사체상에 대해 윤곽 추출하여 2치화 처리한 결과를 표시한 화상(180)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다음에, 피사체상에 대해 윤곽 추출하여 2치화 처리한 결과로부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 전체를 직선으로 근사한다. 도 6은, 피사체상을 직선 근사한 결과를 표시한 화상(190)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그리고, 직선 근사하여 얻어진 화상에서의 복수의 직선 부분으로부터 수직선, 수평선 각각에 대해 일정 각도 이하에 있고, 그 직선 부분의 길이가 일정 길이 이상인 직선 부분을 추출한다(단계 S112). 추출하는 직선 부분을 일정 각도 이하이고 일정 길이 이하로 제한함으로써, 화상의 구도 결정에 관계없는 직선 부분을 배제할 수 있고, 구도의 결정에 관계도가 높은 직선 부분을 목표로 가이드 라인을 이동시킬 수 있다.
다음에, 단계 S112의 추출 결과, 추출된 직선 부분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13). 추출된 직선 부분이 존재하는 경우는, 수직선에 대한 목표 수직 직선 부분과 수평선에 대한 목표 수평 직선 부분을 추출한다(단계 S114). 도 6의 예에서는, 예를 들면 직선 A가 목표 수평 직선 부분으로서, 직선 B가 목표 수직 직선 부분으로서 추출된다.
예를 들면, (1)추출된 복수의 직선 부분 중에서 수직, 수평 각각에 있어서 길이가 가장 긴 직선 부분을 선택함으로써, 목표 수직 직선 부분과 목표 수평 직선 부분을 추출한다. 또한, 선택적으로 (2)추출된 복수의 직선 부분 중에서 수직, 수평 각각에 있어서 수직 또는 수평과의 기울기의 차가 가장 작은 직선 부분을 선택함으로써, 목표 수직 직선 부분과 목표 수평 직선 부분을 추출한다. 또한 선택적으로 (3)추출된 복수의 직선 부분 중에서 수직, 수평 각각에 있어서 화면 중앙으로부터의 거리가 가장 작은 직선 부분을 선택함으로써, 목표 수직 직선 부분과 목표 수평 직선 부분을 추출한다.
상기 (1)의 조건은, 직선 부분의 위치나 각도보다 직선 부분의 길이를 고려한 것이다. 상기 (2)의 조건은, 직선 부분의 위치나 길이보다 직선 부분의 각도를 고려한 것이다. 상기 (3)의 조건은, 직선 부분의 길이나 각도보다 직선 부분의 위치(화면 중앙)를 중시한 것이다. 상기 (1)~(3) 중 어느 하나를 미리 결정하여 직선 부분 검출에 사용한다. 촬영된 피사체상의 상황에 따라 결정할 수도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상기 (1) 내지 (3)을 조합하여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결정해 둔 조건에 기초하여, 단계 S114에서 수직선에 대한 목표 수직 직선 부분과 수평선에 대한 목표 수평 직선 부분을 추출한다. 여기서, 상기 (1) 내지 (3)의 조건만을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조건을 설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선(172)의 현재 위치부터 목표 수직 직선 부분(192)의 중심까지의 거리(Δx)와, 수평선(174)의 현재 위치부터 목표 수평 직선 부분(194)의 중심까지의 거리(Δy)를 산출한다(단계 S116). 또, 거리의 산출은, 목표 직선 부분의 중심이 아니라, 목표 직선 부분의 다른 부분, 예를 들면 가장자리 지점 또는 끝점을 사용하여 목표 직선 부분의 끝점과 수직선(172)의 현재 위치 또는 수평선(174)의 현재 위치의 거리를 산출할 수도 있다.
단계 S112에서 일정 각도 이하이고 일정 길이 이하인 직선 부분이 없고, 단계 S113에서 직선 부분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 가이드 라인을 이동시키기 위한 목표 좌표를 화면 중앙에 설정한다(단계 S115). 그리고, 수직선(172)의 현재 위치부터 화면 중앙까지의 거리(Δx)와, 수평선(174)의 현재 위치부터 화면 중앙까지의 거리(Δy)를 산출한다(단계 S116).
이상에 의해, 이동량의 산출 동작이 종료된다. 그 후, 산출된 이동량에 기초하여 가이드 라인이 화면 내에서 이동한다.
종래기술에 따른 파인더에 표시되는 보조선은, 예를 들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70) 내에 세로선(72, 74)이 2개와 가로선(76, 78)이 2개 균등한 간격으로 표시되어, 화면(70)을 9분할하는 표시 패턴이 일반적이다. 도 11은, 보조선이 표시된 화면(70)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또한, 보조선의 표시는, 촬영자에 의한 메뉴 조작에 따라, 화면 내에 보조선이 항상 같은 위치에서 고정되어 표시되는지, 화면 내에 보조선이 전혀 표시되지 않는지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다.
촬상 장치를 이용하여 화상을 촬영할 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물에 따른 수직선이 화면(70) 내에서 수직이 되고, 바다의 수평선이 화면(70) 내에서 수평이 되어 피사체상의 수직과 수평이 화면 테두리에 대해 평행하게 피사체가 촬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피사체상이 표시된 화면(70)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그러나, 보조선을 사용하지 않고 촬영하면, 촬상 장치 본체가 롤 방향으로 회전하여 기울어져, 도 10과 같이 구도로서는 바람직하지 않은 화상을 촬영하는 경우가 있다. 도 10에서는, 바다의 수평선이 우측 아래 경사 방향이 되어 촬영되어 있다. 도 10은, 피사체상이 표시된 화면(70)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도가 좋지 않은 화상의 촬영을 방지하기 위해, 촬상 장치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70) 내에 보조선을 표시하고, 피사체상의 수직 또는 수평의 기울기를 촬영자에게 나타내는 기능을 가진다. 보조선은, LCD 모니터나 EVF의 화면 상에 OSD(On Screen Display)를 사용하여 표시된다.
그러나, 종래의 보조선은, 화면(70) 내에 고정되어 표시되어 있다. 따라서, 피사체상이 화면(70) 내에서 4개의 보조선 중 어느 하나게 가까우면, 촬영자는 피사체상의 직선에 수직 또는 수평을 맞추기 쉽지만, 보조선으로부터 피사체상의 직선이 떨어져 있는 경우는, 바람직한 구도로 하기 어렵다. 예를 들면, 도 11에서는, 화면(70) 내의 바다의 수평선을 보조선의 가로선(78)과 평행하게 맞추면, 바람직한 구도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화면(70) 내의 바다의 수평선과 가로선(78)이 떨어져 있기 때문에, 촬영자는 화면을 수평으로 하기 어렵다. 또한, 화면(70) 내의 바다의 수평선과 가로선(78)을 무리하게 가깝게 하려고 하여 구도를 이동시켜 버리면, 피사체상의 다른 부분, 도 11의 예에서는 현수교의 정점 부근이 화면에 들어가지 않게 되는 등, 본래 촬영하고자 하는 구도를 얻을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또한, 수직 또는 수평에 맞출 필요가 없는 피사체의 경우에, 4개의 보조선이 표시되어 화면이 9분할되어 있으면, 촬영자에게 있어서 오히려 눈에 거슬려 화면을 보기 어렵게 한다.
하지만,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촬상 장치(100)에 수평 또는 수직을 검지하는 센서를 내장시켜, 센서에 의해 본래의 수직선이나 수평선을 화면에 표시시키지 않고 적정한 구도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직선 및 수평선으로 이루어진 가이드 라인이 적절한 위치로 이동하기 때문에, 촬영자는 피사체상을 가이드 라인에 맞추기 쉽다. 예를 들면, 종래, 가이드 라인이 고정되어 있을 때, 피사체상을 무리하게 가이드 라인에 맞춤으로써 본래 촬영하고자 하는 구도를 얻을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화면 내에서 이동 가능한 가이드 라인이 화면의 일측의 끝 지점 또는 끝 지점 근방에서 타단의 끝 지점 또는 끝 지점 근방까지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짧은 보조선이 표시되는 경우에 비해 촬영자는 수직 또는 수평을 맞추기 쉽다. 또한, 목표 직선 부분을 추출하여 목표 직선 부분으로 향하여 가이드 라인을 이동시키기 때문에, 피사체상을 가이드 라인에 맞추기 쉽다. 또, 본 실시형태는, 가이드 라인을 이동시키면서 표시하기 때문에, 화면 내에서 가이드 라인의 절환이 적어 촬영자는 번거로움을 느끼지 않고 구도를 결정할 수 있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각종 변경 예 또는 수정 예에 생각해 낼 수 있는 것은 명백하고, 이들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가이드 라인이 수직선 1개와 수평선 1개로 이루어진다고 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가이드 라인은 3개 이상이어도 되고, 예를 들면 수직선 2개와 수평선 2개로 이루어진 가이드 라인을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가이드 라인이 양쪽 모두 화면 내에서 이동한다고 하였지만, 반드시 모든 가이드 라인을 화면 내에서 이동시키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면, 수직선 2개와 수평선 2개로 이루어진 가이드 라인을 표시하는 경우, 수직선 1개와 수평선 1개를 화면 내에서 고정시키고, 나머지 수직선 1개와 수평선 1개를 화면 내에서 이동시켜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프로세서,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고 실행하는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영구 저장부(permanent storage),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포트, 터치 패널, 키(key), 버튼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되는 방법들은 상기 프로세서상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들 또는 프로그램 명령들로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컨대, ROM(read-only memory), RAM(random-access memory),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 등이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하며,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인용하는 공개 문헌, 특허 출원, 특허 등을 포함하는 모든 문헌들은 각 인용 문헌이 개별적으로 및 구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내는 것 또는 본 발명에서 전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낸 것과 동일하게 본 발명에 병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서 참조 부호를 기재하였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였으나, 특정 용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업자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모든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 업 테이블(look-up table) 등과 같은 직접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의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는 것과 유사하게, 본 발명은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0 촬상 장치
102 렌즈
104 촬상 소자
106 영상 신호 처리부
108 콘트롤러부
110 전체 신호 처리부
112 이동량 산출부
114 가이드 표시부
122 EVF 구동부
124 EVF
132 모니터 구동부
134 LCD 모니터
140 정지화상/동화상 압축 처리부
150 메모리 카드
160 조작부

Claims (15)

  1. 화면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적어도 1개의 수직선 및 상기 화면 내에서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적어도 1개의 수평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보조선을 표시하는 보조선 표시부;
    피사체의 촬영에 의해 취득된 화상 데이터로부터 피사체상의 윤곽을 추출하는 윤곽 추출부;
    추출된 상기 윤곽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직선 부분을 검출하는 직선 검출부;
    상기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직선 부분의 상기 화면 내에서의 각도 및 상기 화면 내에서의 길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직선 부분으로부터 목표 직선 부분을 추출하는 목표 추출부; 및
    상기 추출된 목표 직선 부분과 상기 수직선 및 수평선 중 적어도 하나의 거리를 산출하는 거리 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선 표시부는,
    상기 목표 직선 부분과 상기 수직선 및 수평선 중 산출한 적어도 하나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수직선 및 상기 수평선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목표 직선 부분으로 향하여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선 표시부는,
    상기 목표 직선 부분과 상기 수직선 및 수평선 중 산출한 적어도 하나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수직선 및 상기 수평선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목표 직선 부분으로 향하여 이동시키면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선 및 상기 수평선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보조선 표시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모드 판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선 표시부는,
    상기 보조선 표시 모드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수직선 및 상기 수평선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보조선 표시 모드가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수직선 및 상기 수평선을 상기 화면에 표시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추출부는,
    상기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직선 부분 중에서 길이가 가장 긴 직선 부분을 상기 목표 직선 부분으로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추출부는,
    상기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직선 부분 중에서 수평 또는 수직과의 기울기의 차가 가장 작은 직선 부분을 상기 목표 직선 부분으로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추출부는,
    상기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직선 부분 중에서 화면 중앙으로부터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직선 부분을 상기 목표 직선 부분으로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추출부가 상기 목표 직선 부분을 추출할 수 없는 경우,
    상기 거리 산출부는,
    상기 화면의 중앙과 상기 수직선 또는 상기 수평선의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보조선 표시부는,
    상기 화면의 중앙과 상기 수직선 또는 상기 수평선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수직선 또는 상기 수평선을 상기 화면 중앙으로 향하여 이동시키면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8. 화면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적어도 1개의 수직선 및 상기 화면 내에서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적어도 1개의 수평선을 표시하는 보조선 표시부;
    피사체의 촬영에 의해 취득된 화상 데이터로부터 피사체상의 윤곽을 추출하는 윤곽 추출부;
    추출된 상기 윤곽으로부터 복수의 직선 부분을 검출하는 직선 검출부;
    검출된 상기 직선 부분의 상기 화면 내에서의 각도 및 상기 화면 내에서의 길이에 따라, 검출된 상기 복수의 직선 부분으로부터 목표 직선 부분을 추출하는 목표 추출부;
    추출된 상기 목표 직선 부분과 상기 수직선 또는 상기 수평선의 거리를 산출하는 거리 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선 표시부는,
    상기 목표 직선 부분과 상기 수직선 또는 상기 수평선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수직선 또는 상기 수평선을 상기 목표 직선 부분으로 향하여 이동시키면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9. 화면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적어도 1개의 수직선 및 상기 화면 내에서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적어도 1개의 수평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보조선을 표시하는 단계;
    피사체의 촬영에 의해 취득된 화상 데이터로부터 피사체상의 윤곽을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상기 윤곽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직선 부분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직선 부분의 상기 화면 내에서의 각도 및 상기 화면 내에서의 길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직선 부분으로부터 목표 직선 부분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목표 직선 부분과 상기 수직선 및 수평선 중 적어도 하나의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목표 직선 부분과 상기 수직선 및 수평선 중 산출한 적어도 하나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수직선 및 상기 수평선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목표 직선 부분으로 향하여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촬상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선 및 상기 수평선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목표 직선 부분으로 향하여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목표 직선 부분과 상기 수직선 및 수평선 중 산출한 적어도 하나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수직선 및 상기 수평선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목표 직선 부분으로 향하여 이동시키면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선 및 상기 수평선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보조선 표시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선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보조선 표시 모드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수직선 및 상기 수평선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보조선 표시 모드가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수직선 및 상기 수평선을 상기 화면에 표시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방법.
  12.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직선 부분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직선 부분 중에서 길이가 가장 긴 직선 부분을 상기 목표 직선 부분으로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방법.
  13.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직선 부분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직선 부분 중에서 수평 또는 수직과의 기울기의 차가 가장 작은 직선 부분을 상기 목표 직선 부분으로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방법.
  14.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직선 부분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직선 부분 중에서 화면 중앙으로부터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직선 부분을 상기 목표 직선 부분으로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방법.
  15. 제 9 항에 따른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20100127872A 2009-12-25 2010-12-14 촬상 장치 및 촬상 방법 KR1017207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978,228 US8675089B2 (en) 2009-12-25 2010-12-23 Apparatus and method for assisting composition of photographic im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95947 2009-12-25
JP2009295947A JP5479883B2 (ja) 2009-12-25 2009-12-25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4668A true KR20110074668A (ko) 2011-07-01
KR101720775B1 KR101720775B1 (ko) 2017-03-28

Family

ID=44350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7872A KR101720775B1 (ko) 2009-12-25 2010-12-14 촬상 장치 및 촬상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479883B2 (ko)
KR (1) KR10172077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1423A (ko) * 2012-10-12 2018-06-27 이베이 인크. 모바일 디바이스 상에서 안내되는 사진 및 비디오
KR102254773B1 (ko) * 2020-09-14 2021-05-2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영상정보를 이용한 건물 부위별 하자의 자동 판정과 분류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4463A (ja) * 2002-09-10 2004-04-02 Sony Corp 撮像装置
JP2005198035A (ja) * 2004-01-07 2005-07-21 Fuji Photo Film Co Ltd デジタルカメラ
JP2006020166A (ja) * 2004-07-02 2006-01-19 Fuji Photo Film Co Ltd 地図表示システム及びデジタルカメラ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63327B2 (ja) * 1999-03-15 2006-12-27 富士フイルム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構図アドバイス機能付きディジタル・スチル・カメラおよびその動作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4463A (ja) * 2002-09-10 2004-04-02 Sony Corp 撮像装置
JP2005198035A (ja) * 2004-01-07 2005-07-21 Fuji Photo Film Co Ltd デジタルカメラ
JP2006020166A (ja) * 2004-07-02 2006-01-19 Fuji Photo Film Co Ltd 地図表示システム及びデジタルカメラ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1423A (ko) * 2012-10-12 2018-06-27 이베이 인크. 모바일 디바이스 상에서 안내되는 사진 및 비디오
US10341548B2 (en) 2012-10-12 2019-07-02 Ebay Inc. Guided photography and video on a mobile device
US10750075B2 (en) 2012-10-12 2020-08-18 Ebay Inc. Guided photography and video on a mobile device
US11430053B2 (en) 2012-10-12 2022-08-30 Ebay Inc. Guided photography and video on a mobile device
US11763377B2 (en) 2012-10-12 2023-09-19 Ebay Inc. Guided photography and video on a mobile device
KR102254773B1 (ko) * 2020-09-14 2021-05-2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영상정보를 이용한 건물 부위별 하자의 자동 판정과 분류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139129A (ja) 2011-07-14
KR101720775B1 (ko) 2017-03-28
JP5479883B2 (ja) 2014-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7508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ssisting composition of photographic image
KR100906522B1 (ko) 촬상 장치, 데이터 추출 방법 및 데이터 추출 프로그램 기록매체
KR101579736B1 (ko) 노이즈 저감 장치, 노이즈 저감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KR101822661B1 (ko) 비전 인식 장치 및 방법
JP2010136223A (ja)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US8451366B2 (en) Image capturing device with automatic focus function
JP2010171964A (ja) 撮像装置
KR20170006201A (ko) 촬영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70067634A (ko) 촬영 장치 및 촬영 장치를 이용한 초점 검출 방법
JP6786311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JP6491581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US20130076940A1 (en)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of detecting distortion thereof
US8711271B2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evaluating validity of an auto-focus operation
KR101720775B1 (ko) 촬상 장치 및 촬상 방법
JP5195663B2 (ja) 撮像装置、合焦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8172395A (ja) 撮像装置、画像処理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888829B2 (ja) 動画処理装置、動画撮影装置および動画撮影プログラム
JP4985716B2 (ja) 撮像装置、合焦評価領域の設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7195099A (ja) 撮影装置
JP5477345B2 (ja) 撮像装置、合焦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024033B2 (ja) 被写対象追跡装置、被写対象追跡プログラム及び被写対象追跡方法
JP5561392B2 (ja) 撮像装置、合焦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0081100A (ja)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撮像プログラム
KR101445610B1 (ko)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JP2009130840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