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1446A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유기 발광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1446A
KR20110071446A KR20090128021A KR20090128021A KR20110071446A KR 20110071446 A KR20110071446 A KR 20110071446A KR 20090128021 A KR20090128021 A KR 20090128021A KR 20090128021 A KR20090128021 A KR 20090128021A KR 20110071446 A KR20110071446 A KR 201100714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pixel
pixel area
area
transparent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128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4240B1 (ko
Inventor
황규환
윤석규
하재흥
송영우
이종혁
최천기
최상무
김금남
김건식
Original Assignee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90128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4240B1/ko
Priority to JP2010197780A priority patent/JP5474711B2/ja
Priority to US12/962,894 priority patent/US8558222B2/en
Priority to TW99144508A priority patent/TWI440173B/zh
Priority to EP20100196154 priority patent/EP2337078B1/en
Priority to CN2010106118668A priority patent/CN102130148B/zh
Publication of KR20110071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14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4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42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02Details of OLEDs of OLED structures
    • H10K2102/3023Direction of light emission
    • H10K2102/3031Two-side emission, e.g. transparent OLEDs [TOL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불투명 영역과 투명 영역을 포함하는 화소 영역이 복수개 형성된 기판 본체와 상기 기판 본체의 상기 불투명 영역에 형성된 유기 발광 소자, 박막 트랜지스터, 및 도전 라인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투명 영역은 임의의 정사각형 투명 공간을 가지며, 상기 임의의 정사각형 투명 공간은 상기 화소 영역의 전체 면적 대비 15% 보다 크거나 같은 면적을 갖는다.
화소 영역, 투명 영역, 불투명 영역, 서브 화소 영역, 유기 발광 표시 장치

Description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투명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는 빛을 방출하는 유기 발광 소자를 가지고 화상을 표시하는 자발광형 표시 장치이다.
유기 발광층의 내부에서 전자와 정공이 결합하여 생성된 여기자(exciton)가 여기 상태로부터 기저 상태로 떨어질 때 발생하는 에너지에 의해 빛이 발생되며, 이를 이용하여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화상을 표시한다.
또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특성상 사용자가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투과해 반대편에 위치한 사물 또는 이미지를 볼 수 있는 투명 표시 장치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투명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스위치 오프 상태일 때 반대편에 위치한 사물 또는 이미지를 투과하고 스위치 온 상태일 때 유기 발광 소자에서 방출된 빛으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투명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유기 발광 소자 및 박막 트랜지스터 등을 포함하는 화소가 형성된 불투명 영역과 빛을 투과하는 투명 영역으로 구분된 다. 여기서, 투명 영역은 스위치 오프 상태일 때 빛이 통과하여 반대편에 위치한 사물 또는 이미지가 보일 수 있도록 통상 수 내지 수십 마이크로미터 수준의 폭을 가지고 화소와 화소 사이에 규칙적으로 배열된다.
하지만, 투명 영역이 수 내지 수십 마이크로미터 수준의 폭을 가지고 길게 형성될 경우, 빛이 투명 영역을 통과하면서 회절된다. 그리고 회절된 빛은 유기 발광 소자에서 방출된 빛과 간섭되어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표시하는 화상을 왜곡시킬 수 있다.
또한, 투명 영역을 통과한 빛이 회절되면서 회절 무늬가 나타나 투명한 유기발광 표시 장치를 통해 보여지는 반대편에 위치한 사물 또는 이미지가 왜곡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통과하는 빛이 회절되는 것을 억제하여 이미지의 왜곡을 최소화한 투명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불투명 영역과 투명 영역을 포함하는 화소 영역이 복수개 형성된 기판 본체와 상기 기판 본체의 상기 불투명 영역에 형성된 유기 발광 소자, 박막 트랜지스터, 및 도전 라인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투명 영역은 임의의 정사각형 투명 공간을 가지며, 상기 임의의 정사각형 투명 공간은 상기 화소 영역의 전체 면적 대비 15% 보다 크거나 같은 면적을 갖는다.
상기 투명 영역은 상기 임의의 정사각형 투명 공간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보조 투명 공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소 영역은 상기 불투명 영역이 갖는 폭 대비 상기 투명 영역이 갖는 폭의 길이가 긴 구간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화소 영역의 전체 면적 대비 상기 투명 영역이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은 25% 내지 80% 범위 내에 속할 수 있다.
상기 투명 영역은 전체적으로 평균 15% 내지 90% 범위 내의 빛의 투과율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투명 영역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투명한 절연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명 영역의 일부에 형성된 불투명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소 영역은 정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서, 상기 불투명 영역은 복수의 서브 화소 영역들과 라인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 발광 소자 및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는 상기 복수의 서브 화소 영역들마다 각각 형성되고, 상기 도전 라인은 상기 라인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전 라인은 게이트 라인, 데이터 라인, 및 공통 전원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서브 화소 영역들 중 적어도 일부는 서로 다른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서브 화소 영역들은 제1 서브 화소 영역, 제2 서브 화소 영역, 및 제3 서브 화소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서브 화소 영역에 형성된 상기 유기 발광 소자는 적색 계열의 빛을 방출할 수 있다. 상기 제2 서브 화소 영역에 형성된 상기 유기 발광 소자는 녹색 계열의 빛을 방출할 수 있다. 상기 제3 서브 화소 영역에 형성된 상기 유기 발광 소자는 청색 계열의 빛을 방출할 수 있다.
상기 투명 영역은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서브 화소 영역들은 상기 투명 영역의 장변(長邊)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제2 서브 화소 영역은 상기 제1 서브 화소 영역의 일측변과 이웃하게 배열되고, 상기 제3 서브 화소 영역은 상기 제1 서브 화소 영역의 상기 일측변과 교차하는 타측변과 이웃하게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서브 화소 영역들은 정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서브 화소 영역과 상기 제3 서브 화소 영역은 각각 상기 투명 영역과 마주하며 서로 교차하는 한 쌍의 측변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서브 화소 영역들은 직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서브 화소 영역의 일측 장변은 상기 제1 서브 화소 영역의 일측 장변과 마주하고, 상기 제3 서브 화소 영역의 일측 단변은 상기 제1 서브 화소 영역의 타측 단변과 마주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서브 화소 영역과 상기 제3 서브 화소 영역은 각각 상기 투명 영역과 마주하며 서로 교차하는 한 쌍의 측변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서브 화소 영역의 일측 단변(短邊)은 상기 제1 서브 화소 영역의 일측 단변과 마주하고, 상기 제3 서브 화소 영역의 일측 단변은 상기 제1 서브 화소 영역의 타측 장변과 마주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서브 화소 영역의 타측 장변 및 상기 제3 서브 화소 영역의 타측 장변은 그리고, 상기 제1 서브 화소 영역의 상기 타측 장변의 일부는 각각 상기 투명 영역과 마주할 수 있다.
상기 투명 영역은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서브 화소 영역은 정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서브 화소 영역 및 상기 제3 서브 화소 영역은 직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서브 화소 영역의 일측 단변(短邊) 및 상기 제3 서브 화소 영역의 일측 단변이 각각 상기 제1 서브 화소 영역과 마주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서브 화소 영역의 타측 장변 및 상기 제3 서브 화소 영역의 타측 장변은 각각 상기 투명 영역과 마주할 수 있다.
상기 제2 서브 화소 영역의 일측 단변 및 상기 제3 서브 화소 영역의 일측 단변은 상기 제1 서브 화소 영역의 일변보다 작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통과하는 빛이 회절되는 것을 억제하여 이미지의 왜곡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그리고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실시예 이외의 실시예들에서는 제1 실시예와 다른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1)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1)는 복수의 화소 영역들(PE)을 갖는 기판 본체(111)와, 기판 본체(111)의 화소 영역들(PE)마다 각각 형성된 유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70) 및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10, 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1)는 박막 트랜지스터(10, 20) 또는 유기 발광 소자(70)와 연결되는 여러 도전 라인들(151, 171, 172)을 더 포함한 다.
기판 본체(111)는 유리, 석영, 및 세라믹 등으로 만들어진 투명한 절연성 기판으로 형성되거나, 플라스틱 등으로 만들어진 투명한 플렉서블(flexible) 기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화소 영역(PE)은 정사각형으로 형성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직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화소 영역(PE)과 후술할 투명 영역(TW) 및 복수의 서브 화소 영역들(SP1, SP2, SP3)이 갖는 형상이 사각형이라 함은 반드시 모서리가 직각을 이루는 완전한 사각형을 말하는 것은 아니며, 전체적인 형상이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임을 말한다.
또한, 화소 영역(PE)은 불투명 영역(SP1, SP2, SP3, LP)과 투명 영역(TW)을 포함한다. 그리고 불투명 영역은 복수의 서브 화소 영역들(SP1, SP2, SP3) 및 라인 영역(LP)을 포함한다. 복수의 서브 화소 영역들(SP1, SP2, SP3) 마다 각각,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기 발광 소자(70), 박막 트랜지스터(10, 20), 및 축전 소자(80) 등이 형성된다. 라인 영역(LP)에는 게이트 라인(151), 데이터 라인(171), 및 공통 전원 라인(172) 등과 같은 도전 라인이 형성된다. 투명 영역(TW)에는 빛을 투과시킬 수 있는 투명한 절연막(120, 160, 190)(도 3에 도시) 등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복수의 서브 화소 영역들은 제1 서브 화소 영역(SP1), 제2 서브 화소 영역(SP2), 및 제3 서브 화소 영역(SP3)을 포함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하나의 화 소 영역(PE)이 2개 또는 4개 이상의 서브 화소 영역들(SP1, SP2, SP3)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서브 화소 영역(SP1)에 형성된 유기 발광 소자(70)는 적색 계열의 빛을 방출하고, 제2 서브 화소 영역(SP2)에 형성된 유기 발광 소자(70)는 녹색 계열의 빛을 방출하며, 제3 서브 화소 영역(SP3)에 형성된 유기 발광 소자(70)는 청색 계열의 빛을 방출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서브 화소 영역(SP1)의 유기 발광 소자(70)가 녹색 또는 청색 계열의 빛을 방출할 수도 있으며, 제2 서브 화소 영역(SP2) 및 제3 서브 화소 영역(SP3)에 각각 형성된 유기 발광 소자(70)도 전술한 바와 다른 계열의 빛을 방출할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서브 화소 영역들(SP1, SP2, SP3) 중 적어도 일부는 서로 다른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즉, 모든 서브 화소 영역들(SP1, SP2, SP3)이 동일한 면적을 가질 수도 있으며, 모든 서브 화소 영역들(SP1, SP2, SP3)이 각각 서로 다른 면적을 가질 수도 있고, 서브 화소 영역들(SP1, SP2, SP3) 중 일부만 동일한 면적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투명 영역(TW)은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복수의 서브 영역들(SP1, SP2, SP3)은 투명 영역(TW)의 장변(長邊) 길이 방향(x축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열된다. 이때, 복수의 서브 영역들(SP1, SP2, SP3)은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투명 영역(TW)은 임의의 정사각형 투명 공간(RS)을 갖는다. 그리고 임의의 정사각형 투명 공간(RS)은 화소 영역(PE)의 전체 면적 대비 15% 보다 크거나 같은 면적을 갖는다. 즉,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화소 영역(PE)은 최소한 화소 영역(PE) 전체 면적의 15% 이상의 크기를 갖는 정사각형의 투명한 영역을 갖게 된다. 투명 영역(TW)이 포함하는, 전술한 바와 같은, 임의의 정사각형 투명 공간(RS)은 화소 영역(PE)의 투명 영역(TW)을 통과하는 빛이 회절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한다.
또한, 빛의 회절은 투명 영역(TW)이 갖는 형상에 따라 여러 방향에서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명 영역(TW)이 갖는 형상에 따라, x축 방향으로는 빛의 회절이 거의 일어나지 않는 반면 y축 방향으로는 빛의 회절이 일어날 수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도 발생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같이, 투명 영역(TW)이 화소 영역(PE)의 전체 면적 대비 15% 이상의 면적을 갖는 임의의 정사각형 투명 공간(RS)을 가질 경우, 축 방향에 따른 회절 현상의 편차를 감소시킬 수 있다. 즉, 빛이 통과하는 투명 영역(TW)이 최소한의 정사각형 투명 공간(RS)을 확보하면, 축 방향에 따른 회절 현상의 편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투명 영역(TW)은 임의의 정사격형 투명 공간(RS)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보조 투명 공간(ST)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보조 투명 공간(ST)이 임의의 정사각형 투명 공간(RS)에서 x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또한, 화소 영역(PE)은 불투명 영역(SP1, SP2, SP3, LP)이 갖는 폭(ds) 대비 투명 영역(TW)이 갖는 폭(dt)의 길이가 긴 구간을 포함한다. 그리고 화소 영 역(PE)의 전체 면적 대비 투명 영역(TW)이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은 25% 내지 80% 범위 내에 속한다.
또한, 투명 영역(TW)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투명한 절연막(120, 160, 190)(도 3에 도시)이 100%의 투과율을 갖는 것은 아니다. 투명 영역(TW)에 배치된 투명 절연막(120, 160, 190)은 대략 30% 내지 95%의 투과율을 갖는다. 또한, 투명 영역(TW)의 일부에는 불투명 물질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불투명 물질은 도전 라인들(151, 171, 172)의 일부일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배치된 다양한 불투명 물질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투명 영역(TW)에는 완전히 투명한 물질들만 배치된 것 아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에에서 투명 영역(TW)은 전체적으로 평균 15% 내지 90% 범위 내의 빛의 투과율을 갖는다. 투명 영역(TW)이 전체적으로 평균 15% 미만의 투과율을 가지면,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1)가 투명한 표시 장치로 기능하기 어렵다. 반면, 투명 영역(TW)이 전체적으로 평균 90% 초과의 투과율을 가지기 위해서는 제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1)는 통과하는 빛이 회절되는 것을 억제하여 이미지의 왜곡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유기 발광 소자(70)에서 방출되어 표시되는 화상과, 빛이 통과하여 보여지는 반대편에 위치한 사물 또는 이미지가 왜곡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투명 영역(TW)이 화소 영역(PE)의 전체 면적 대비 15% 보다 크거나 같은 면적을 갖는 임의의 정사각형 투명 공간(RS)을 확보하지 못하면, 빛이 화소 영역(PE)의 투명 영역(TW)을 통과하면서 회절되기 쉽다. 또한, 더욱 효과적으로 빛의 회절 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화소 영역(PE)이 불투명 영역(SP1, SP2, SP3, LP)이 갖는 폭(ds) 대비 투명 영역(TW)이 갖는 폭(dt)의 길이가 긴 구간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투명 영역(TW)의 면적이 지나치게 작으면, 즉 화소 영역(PE)의 전체 면적 대비 투명 영역(TW)이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이 25% 미만이면,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1)를 통과할 수 있는 빛이 적어져 효과적으로 반대편에 위치한 사물 또는 이미지를 볼 수 없게 된다. 반면, 투명 영역(TW)의 면적이 지나치게 크면, 즉 화소 영역(PE)의 전체 면적 대비 투명 영역(TW)이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이 80% 초과이면, 서브 화소 영역들(SP1, SP2, SP3) 및 라인 영역(LP)을 포함하는 불투명 영역의 면적이 협소해져 유기 발광 소자(70)를 적절한 크기로 형성할 수 없다. 따라서,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1)가 표시하는 화상의 품질이 지나치게 저하될 수 있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1)의 내부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서는, 하나의 화소에 두개의 박막 트랜지스터(10, 20)와 하나의 축전 소자(capacitor)(80)를 구비하는 2Tr-1Cap 구조의 능동 구동(active matrix, AM)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1)를 도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1)는 하나의 화소에 셋 이상의 박막 트랜지스터와 둘 이상의 축전 소자를 구비할 수 있으며, 별도의 배선이 더 형성되어 다양한 구조를 갖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화소는 화상을 표시하는 최소 단위를 말하며, 각 화소 영역들 마다 배치된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1)는 복수의 화소들을 통해 화상을 표시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 본체(111) 상에는 하나의 화소마다 각각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10),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20), 축전 소자(80), 그리고 유기 발광 소자(70) 등이 형성된다. 여기서,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10),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20), 및 축전 소자(80)를 포함하는 구성을 구동 회로부(DC)라 한다. 그리고 기판 본체(111)와 구동 회로부(DC) 및 유기 발광 소자(70) 사이에는 버퍼층(12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버퍼층(120)은 질화 규소(SiNx)의 단일막 또는 질화 규소(SiNx)와 산화 규소(SiO2)가 적층된 이중막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버퍼층(120)은 불순 원소 또는 수분과 같이 불필요한 성분의 침투를 방지하면서 동시에 표면을 평탄화하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버퍼층(120)은 반드시 필요한 구성은 아니며, 기판 본체(111)의 종류 및 공정 조건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또한, 기판 본체(111) 상에는 일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게이트 라인(151)과, 게이트 라인(151)과 절연 교차되는 데이터 라인(171), 및 공통 전원 라인(172)을 더 형성된다.
하나의 화소는 게이트 라인(151), 데이터 라인(171) 및 공통 전원 라인(172)을 경계로 정의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기 발광 소자(70)는 제1 전극(710)과, 제1 전극(710) 상에 형성된 유기 발광층(720)과, 유기 발광층(720) 상에 형성된 제2 전극(730)을 포함한다. 제1 전극(710) 및 제2 전극(730)으로부터 각각 정공과 전자가 유기 발광층(720) 내부로 주입된다. 주입된 정공과 전자가 결합한 엑시톤(exiton)이 여기상태로부터 기저상태로 떨어질 때 발광이 이루어진다.
축전 소자(80)는 층간 절연막(160)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한 쌍의 축전판(158, 178)을 포함한다. 여기서, 층간 절연막(160)은 유전체가 된다. 축전 소자(80)에서 축전된 전하와 양 축전판(158, 178) 사이의 전압에 의해 축전용량이 결정된다.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10)는 스위칭 반도체층(131), 스위칭 게이트 전극(152), 스위칭 소스 전극(173), 및 스위칭 드레인 전극(174)을 포함한다.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20)는 구동 반도체층(132), 구동 게이트 전극(155), 구동 소스 전극(176), 및 구동 드레인 전극(177)을 포함한다.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10)는 발광시키고자 하는 화소를 선택하는 스위칭 소자로 사용된다. 스위칭 게이트 전극(152)은 게이트 라인(151)에 연결된다. 스위칭 소스 전극(173)은 데이터 라인(171)에 연결된다. 스위칭 드레인 전극(174)은 스위칭 소스 전극(173)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며 어느 한 축전판(158)과 연결된다.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20)는 선택된 화소 내의 유기 발광 소자(70)의 유기 발광층(720)을 발광시키기 위한 구동 전원을 화소 전극(710)에 인가한다. 구동 게이트 전극(155)은 스위칭 드레인 전극(174)과 연결된 축전판(158)과 연결된다. 구동 소스 전극(176) 및 다른 한 축전판(178)은 각각 공통 전원 라인(172)과 연결된다. 구동 드레인 전극(177)은 컨택홀(contact hole)을 통해 유기 발광 소자(70)의 화소 전극(710)과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10)는 게이트 라인(151)에 인가되는 게이트 전압에 의해 작동하여 데이터 라인(171)에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을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2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공통 전원 라인(172)으로부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20)에 인가되는 공통 전압과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10)로부터 전달된 데이터 전압의 차에 해당하는 전압이 축전 소자(80)에 저장되고, 축전 소자(80)에 저장된 전압에 대응하는 전류가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20)를 통해 유기 발광 소자(70)로 흘러 유기 발광 소자(70)가 발광하게 된다.
유기 발광 소자(70) 위에는 투명한 봉지 부재(210)가 배치된다. 봉지 부재(210)는 기판 본체(111)와 실런트(미도시)를 통해 합착되어 내부 공간을 밀봉시키고, 유기 발광 소자(70) 및 박막 트랜지스터(10, 20)를 보호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봉지 부재(210)는 글라스(glass) 기판 또는 플라스틱 기판과 같은 투명한 절연성 기판이다. 하지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봉지 부재(210)로 차례로 적층된 복수의 보호막들을 포함하는 투명한 봉지 박막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박막 트랜지스터들(10, 20) 및 유기 발광 소자(70)의 구조는 도 2 및 도 3에서 나타낸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박막 트랜지스터들(10, 20) 및 유기 발광 소자(70)의 구조는 해당 기술 분야의 종사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2)를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2)는, 제1 서브 화소 영역(SP1)을 중심으로, 제1 서브 화소 영역(SP1)의 일측변과 이웃하게 배열된 제2 서브 화소 영역(SP2)과, 제1 서브 화소 영역(SP1)의 타측변과 이웃하게 배열된 제3 서브 화소 영역(SP3)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서브 화소 영역(SP1)의 일측변과 타측변 서로 교차한다. 그리고 복수의 서브 화소 영역들(SP1, SP2, SP3)은 모두 직사각형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2 서브 화소 영역(SP2)의 일측 장변은 제1 서브 화소 영역(SP1)의 일측 장변과 마주하고, 제3 서브 화소 영역(SP3)의 일측 단변(短邊)은 제1 서브 화소 영역(SP1)의 타측 단변과 마주한다. 또한, 제2 서브 화소 영역(SP2)과 제3 서브 화소 영역(SP3)은 각각 투명 영역(TW)과 마주하며 서로 교차하는 한 쌍의 측변을 갖는다. 따라서, 투명 영역(TW)은 계단 형상을 포함한다.
또한, 투명 영역(TW)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임의의 정사각형 투명 공간(RS)을 갖는다. 그리고 임의의 정사각형 투명 공간(RS)은 화소 영역(PE)의 전체 면적 대비 15% 보다 크거나 같은 면적을 갖는다.
하지만, 제1 실시예의 경우 투명 영역(TW)이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투명 영역(TW)이 임의의 정사각형 투명 공간(RS)을 확보하더라도 축방향의 따른 빛의 회절 현상의 편차가 어느 정도는 발생될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경우 투명 영역(TW)이 임의의 정사각형 투명 공간(RS) 이외에 임의의 정사각형 투명 공간(RS)으로부터 각각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보조 투명 공간들(ST1, ST2)을 갖는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 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전체적으로 빛의 회절을 억제하면서 동시에 투명 영역(TW)을 통과하는 빛이 미약하게 나마 일부 회절되더라도 이러한 회절 현상이 x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 유사하게 발생되어 양 방향 간의 회절 현상의 편차를 더욱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화소 영역(PE)은 불투명 영역(SP1, SP2, SP3, LP)이 갖는 폭(ds) 대비 투명 영역(TW)이 갖는 폭(dt)의 길이가 긴 구간을 포함한다. 그리고 화소 영역(PE)의 전체 면적 대비 투명 영역(TW)이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은 25% 내지 80% 범위 내에 속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2)는 효과적으로 통과하는 빛의 회절을 억제하면서 동시에 회절 현상의 편차를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3)를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3)는, 제1 서브 화소 영역(SP1)을 중심으로, 제1 서브 화소 영역(SP1)의 일측변과 이웃하게 배열된 제2 서브 화소 영역(SP2)과, 제1 서브 화소 영역(SP1)의 타측변과 이웃하게 배열된 제3 서브 화소 영역(SP3)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서브 화소 영역(SP1)의 일측변과 타측변은 서로 교차한다. 그리고 복수의 서브 화소 영역들(SP1, SP2, SP3)은 모두 정사각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2 서브 화소 영역(SP2)과 제3 서브 화소 영역(SP3)은 각각 투명 영역(TW)과 마주하며 서로 교차하 는 한 쌍의 측변을 갖는다. 따라서, 투명 영역(TW)은 계단 형상을 포함한다.
또한, 투명 영역(TW)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임의의 정사각형 투명 공간(RS)을 갖는다. 그리고 임의의 정사각형 투명 공간(RS)은 화소 영역(PE)의 전체 면적 대비 15% 보다 크거나 같은 면적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서브 화소 영역들(SP1, SP2, SP3)이 정사각형으로 형성되므로, 투명 영역(TW)이 임의의 정사각형 투명 공간(RS) 이외에 임의의 정사각형 투명 공간(RS)으로부터 각각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보조 투명 공간들(ST1, ST2)이 서로 유사한 면적을 갖는다. 따라서, x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 일어나는 회절 현상이 더욱 유사하게 발생되어 양 방향 간의 회절 현상의 편차를 거의 없앨 수 있다.
또한, 화소 영역(PE)은 불투명 영역(SP1, SP2, SP3,LP)이 갖는 폭(ds) 대비 투명 영역(TW)이 갖는 폭(dt)의 길이가 긴 구간을 포함한다. 그리고 화소 영역(PE)의 전체 면적 대비 투명 영역(TW)이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은 25% 내지 80% 범위 내에 속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3)는 효과적으로 통과하는 빛의 회절을 억제하면서 동시에 회절 현상의 편차를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4)를 설명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 치(104)는, 제1 서브 화소 영역(SP1)을 중심으로, 제1 서브 화소 영역(SP1)의 일측변과 이웃하게 배열된 제2 서브 화소 영역(SP2)과, 제1 서브 화소 영역(SP1)의 타측변과 이웃하게 배열된 제3 서브 화소 영역(SP3)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서브 화소 영역(SP1)의 일측변과 타측변은 서로 교차한다. 그리고 제1 서브 화소 영역(SP1)은 정사각형으로 형성되며, 제2 서브 화소 영역(SP2) 및 제3 서브 화소 영역(SP3)은 직사각형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2 서브 화소 영역(SP2)의 일측 단변 및 제3 서브 화소 영역(SP3)의 일측 단변은 각각 제1 서브 화소 영역(SP1)과 마주한다. 이때, 제2 서브 화소 영역(SP2)의 일측 단변 및 제3 서브 화소 영역(SP3)의 일측 단변은 모도 제1 서브 화소 영역(SP1)의 일변보다 작은 길이를 갖는다. 그리고 제2 서브 화소 영역(SP2)의 타측 장변 및 제3 서브 화소 영역(SP3)의 타측 장변은 각각 투명 영역(TW)과 마주한다.
또한, 투명 영역(TW)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임의의 정사각형 투명 공간(RS)을 갖는다. 그리고 임의의 정사각형 투명 공간(RS)은 화소 영역(PE)의 전체 면적 대비 15% 보다 크거나 같은 면적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도, 투명 영역(TW)이 임의의 정사각형 투명 공간(RS) 이외에 임의의 정사각형 투명 공간(RS)으로부터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보조 투명 공간들(ST1, ST2)이 서로 유사한 면적을 갖는다. 그리고 임의의 정사각형 투명 공간(RS)은 투명 영역(TW)의 거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따라서, 회절 현상이 x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 거의 동일하게 발생되어 양 방향 간의 회절 현상의 편차를 거의 없앨 수 있다.
또한, 화소 영역(PE)은 불투명 영역(SP1, SP2, SP3, LP)이 갖는 폭(ds) 대비 투명 영역(TW)이 갖는 폭(dt)의 길이가 긴 구간을 포함한다. 그리고 화소 영역(PE)의 전체 면적 대비 투명 영역(TW)이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은 25% 내지 80% 범위 내에 속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4)도 효과적으로 통과하는 빛의 회절을 억제하면서 동시에 회절 현상의 편차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투명 영역(TW)이 갖는 임의의 정사각형 투명 공간(RS)을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할 수 있어 빛의 회절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5)를 설명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5)는, 제1 서브 화소 영역(SP1)을 중심으로, 제1 서브 화소 영역(SP1)의 일측변과 이웃하게 배열된 제2 서브 화소 영역(SP2)과, 제1 서브 화소 영역(SP1)의 타측변과 이웃하게 배열된 제3 서브 화소 영역(SP3)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서브 화소 영역(SP1)의 타측변은 일측변과 교차하는 방향의 측변이다. 그리고 복수의 서브 화소 영역들(SP1, SP2, SP3)은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나, 제2 서브 화소 영역(SP2)은 제1 서브 화소 영역(SP1)과 동일한 길이 방향을 가지며 제3 서브 화소 영역(SP3)은 제1 서브 화소 영역(SP1)과 교차하는 길이 방향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제2 서브 화소 영역(SP2)의 일측 단변은 제1 서브 화소 영역(SP1)의 일측 단변 과 마주하고, 제3 서브 화소 영역(SP3)의 일측 단변은 제1 서브 화소 영역(SP1)의 타측 장변과 마주한다. 제2 서브 화소 영역(SP2)의 타측 장변 및 제3 서브 화소 영역(SP3)의 타측 장변, 그리고 제1 서브 화소 영역(SP1)의 타측 장변 일부는 각각 투명 영역(TW)과 마주한다. 따라서, 투명 영역(TW)은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투명 영역(TW)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투명 영역(TW)이 갖는 직사각형보다 정사각형에 가깝게 형성된다.
또한, 투명 영역(TW)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임의의 정사각형 투명 공간(RS)을 갖는다. 그리고 임의의 정사각형 투명 공간(RS)은 화소 영역(PE)의 전체 면적 대비 15% 보다 크거나 같은 면적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서, 투명 영역(TW)이 갖는 임의의 정사각형 투명 공간(RS)은 투명 영역(TW) 전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즉,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의 경우, 앞선 실시예들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임의의 정사각형 투명 공간(RS)을 가장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화소 영역(PE)은 불투명 영역(SP1, SP2, SP3, LP)이 갖는 폭(ds) 대비 투명 영역(TW)이 갖는 폭(dt)의 길이가 긴 구간을 포함한다. 그리고 화소 영역(PE)의 전체 면적 대비 투명 영역(TW)이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은 25% 내지 80% 범위 내에 속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5)는 통과하는 빛의 회절을 가장 효과적으로 억제하면서 동시에 축방향에 따 른 회절 현상의 편차도 없앨 수 있다.
이하, 도 8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실험 결과를 살펴본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실험예1에서 빛의 회절에 따른 문늬의 발생 위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x축 방향의 회절 현상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9는 y축 방향의 회절 현상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실험예1은, 앞서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투명 영역(TW)이 x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었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험예1의 경우 x축 방향으로는 빛의 회절이 거의 일어나지 않으며, y축 방향으로만 다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전체적으로는 빛의 회절이 상대적으로 매우 적게 발생됨을 알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실험예2에서 빛의 회절 현상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x축 방향의 회절 현상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11는 y축 방향의 회절 현상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실험예2은, 앞서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투명 영역(TW)이 계단 형상으로 형성되었다. 즉, 임의의 정사각형 투명 공간(RS)을 중심으로,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각각 길게 형성된 부분을 가지고 있다. 다만, 양 부분이 서로 다른 면적을 갖는다.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험예2의 경우 x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 빛이 서로 유사하게 다소 회절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축 방향에 따른 회절 분 포는 다소 상이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전체적으로는 빛의 회절이 상대적으로 매우 적게 일어남을 알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실험예3에서 빛의 회절 현상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은 x축 방향의 회절 현상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13는 y축 방향의 회절 현상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실험예3도, 앞서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투명 영역(TW)이 계단 형상으로 형성되었다. 즉, 임의의 정사각형 투명 공간(RS)을 중심으로,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각각 길게 형성된 부분을 가지고 있다. 이때, 양 부분이 거의 동일한 면적을 갖는다.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험예3의 경우 x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 빛이 거의 동일하게 다소 회절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축 방향에 따른 회절 분포 역시 거의 동일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전체적으로는 빛의 회절이 상대적으로 매우 적게 일어남을 알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실험예4에서 빛의 회절 현상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4은 x축 방향의 회절 현상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15는 y축 방향의 회절 현상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실험예4는, 앞서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투명 영역(TW)이 갖는 임의의 정사각형 투명 공간(RS)이 투명 영역(TW)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험예4의 경우 x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 빛이 거의 동일하게 다소 회절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축 방향에 따른 회절 분 포 역시 거의 동일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전체적으로는 빛의 회절이 거의 일어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실험예5에서 빛의 회절 현상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6은 x축 방향의 회절 현상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17는 y축 방향의 회절 현상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실험예5는, 앞서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투명 영역(TW)과 임의의 정사각형 투명 공간(RS)은 서로 거의 동일하게 형성된다.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험예5의 경우 x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 빛이 거의 동일하게 다소 회절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축 방향에 따른 회절 분포 역시 거의 동일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전체적으로는 빛의 회절이 상대적으로 가장 작게 일어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실험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1, 102, 103, 104, 105)는 통과하는 빛이 회절되는 것을 억제하여 이미지의 왜곡을 최소화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배치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서브 화소 영역을 확대 도시한 배치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배치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배치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배치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배치도이다.
도 8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들이다.

Claims (25)

  1. 불투명 영역과 투명 영역을 포함하는 화소 영역이 복수개 형성된 기판 본체; 그리고
    상기 기판 본체의 상기 불투명 영역에 형성된 유기 발광 소자, 박막 트랜지스터, 및 도전 라인
    을 포함하고,
    상기 투명 영역은 임의의 정사각형 투명 공간을 가지며, 상기 임의의 정사각형 투명 공간은 상기 화소 영역의 전체 면적 대비 15% 보다 크거나 같은 면적을 갖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투명 영역은 상기 임의의 정사각형 투명 공간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보조 투명 공간을 더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화소 영역은 상기 불투명 영역이 갖는 폭 대비 상기 투명 영역이 갖는 폭의 길이가 긴 구간을 갖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화소 영역의 전체 면적 대비 상기 투명 영역이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은 25% 내지 80% 범위 내에 속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5. 제1항에서,
    상기 투명 영역은 전체적으로 평균 15% 내지 90% 범위 내의 빛의 투과율을 갖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투명 영역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투명한 절연막을 더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7. 제6항에서,
    상기 투명 영역의 일부에 형성된 불투명 물질을 더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8. 제1항에서,
    상기 화소 영역은 정사각형으로 형성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불투명 영역은 복수의 서브 화소 영역들과 라인 영역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0. 제9항에서,
    상기 유기 발광 소자 및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는 상기 복수의 서브 화소 영역들마다 각각 형성되고,
    상기 도전 라인은 상기 라인 영역에 형성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1. 제10항에서,
    상기 도전 라인은 게이트 라인, 데이터 라인, 및 공통 전원 라인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2. 제9항에서,
    상기 복수의 서브 화소 영역들 중 적어도 일부는 서로 다른 면적을 갖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3. 제9항에서,
    상기 복수의 서브 화소 영역들은 제1 서브 화소 영역, 제2 서브 화소 영역, 및 제3 서브 화소 영역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4. 제13항에서,
    상기 제1 서브 화소 영역에 형성된 상기 유기 발광 소자는 적색 계열의 빛을 방출하고,
    상기 제2 서브 화소 영역에 형성된 상기 유기 발광 소자는 녹색 계열의 빛을 방출하며,
    상기 제3 서브 화소 영역에 형성된 상기 유기 발광 소자는 청색 계열의 빛을 방출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5. 제13항에서,
    상기 투명 영역은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서브 화소 영역들은 상기 투명 영역의 장변(長邊)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열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6. 제13항에서,
    상기 제2 서브 화소 영역은 상기 제1 서브 화소 영역의 일측변과 이웃하게 배열되고,
    상기 제3 서브 화소 영역은 상기 제1 서브 화소 영역의 상기 일측변과 교차하는 타측변과 이웃하게 배열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7. 제16항에서,
    상기 복수의 서브 화소 영역들은 정사각형으로 형성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8. 제17항에서,
    상기 제2 서브 화소 영역과 상기 제3 서브 화소 영역은 각각 상기 투명 영역과 마주하며 서로 교차하는 한 쌍의 측변을 갖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9. 제16항에서,
    상기 복수의 서브 화소 영역들은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20. 제19항에서,
    상기 제2 서브 화소 영역의 일측 장변은 상기 제1 서브 화소 영역의 일측 장변과 마주하고, 상기 제3 서브 화소 영역의 일측 단변은 상기 제1 서브 화소 영역의 타측 단변과 마주하며,
    상기 제2 서브 화소 영역과 상기 제3 서브 화소 영역은 각각 상기 투명 영역과 마주하며 서로 교차하는 한 쌍의 측변을 갖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21. 제19항에서,
    상기 제2 서브 화소 영역의 일측 단변(短邊)은 상기 제1 서브 화소 영역의 일측 단변과 마주하고, 상기 제3 서브 화소 영역의 일측 단변은 상기 제1 서브 화소 영역의 타측 장변과 마주하며,
    상기 제2 서브 화소 영역의 타측 장변 및 상기 제3 서브 화소 영역의 타측 장변은 그리고, 상기 제1 서브 화소 영역의 상기 타측 장변의 일부는 각각 상기 투명 영역과 마주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22. 제21항에서,
    상기 투명 영역은 사각형으로 형성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23. 제16항에서,
    상기 제1 서브 화소 영역은 정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서브 화소 영역 및 상기 제3 서브 화소 영역은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24. 제23항에서,
    상기 제2 서브 화소 영역의 일측 단변(短邊) 및 상기 제3 서브 화소 영역의 일측 단변이 각각 상기 제1 서브 화소 영역과 마주하며,
    상기 제2 서브 화소 영역의 타측 장변 및 상기 제3 서브 화소 영역의 타측 장변은 각각 상기 투명 영역과 마주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25. 제24항에서,
    상기 제2 서브 화소 영역의 일측 단변 및 상기 제3 서브 화소 영역의 일측 단변은 상기 제1 서브 화소 영역의 일변보다 작은 길이를 갖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090128021A 2009-12-21 2009-12-21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0842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128021A KR101084240B1 (ko) 2009-12-21 2009-12-21 유기 발광 표시 장치
JP2010197780A JP5474711B2 (ja) 2009-12-21 2010-09-03 有機発光表示装置
US12/962,894 US8558222B2 (en) 2009-12-21 2010-12-08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TW99144508A TWI440173B (zh) 2009-12-21 2010-12-17 有機發光二極體顯示器
EP20100196154 EP2337078B1 (en) 2009-12-21 2010-12-21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CN2010106118668A CN102130148B (zh) 2009-12-21 2010-12-21 有机发光二极管显示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128021A KR101084240B1 (ko) 2009-12-21 2009-12-21 유기 발광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1446A true KR20110071446A (ko) 2011-06-29
KR101084240B1 KR101084240B1 (ko) 2011-11-16

Family

ID=43759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128021A KR101084240B1 (ko) 2009-12-21 2009-12-21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558222B2 (ko)
EP (1) EP2337078B1 (ko)
JP (1) JP5474711B2 (ko)
KR (1) KR101084240B1 (ko)
CN (1) CN102130148B (ko)
TW (1) TWI440173B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19251B2 (en) 2014-01-07 2015-12-22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KR20160128490A (ko) * 2015-04-28 2016-11-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투명표시장치 및 투명표시패널
US9583547B2 (en) 2014-01-13 2017-02-28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660001B2 (en) 2015-01-06 2017-05-23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US9679949B2 (en) 2013-10-18 2017-06-13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20170086153A (ko) * 2016-01-15 2017-07-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90067955A (ko) * 2017-12-07 2019-06-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1599283A (zh) * 2019-02-20 2020-08-28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透明显示装置
CN112863367A (zh) * 2019-11-28 2021-05-28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透明显示装置
US11594581B2 (en) 2016-01-26 2023-02-28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WO2023063510A1 (ko) * 2021-10-15 2023-04-2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하이브리드 유기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6440B1 (ko) * 2010-03-09 2012-06-18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845332B1 (ko) 2011-06-13 2018-05-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885698B1 (ko) 2011-06-27 2018-08-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투과율 제어가 가능한 표시장치
US9721998B2 (en) * 2011-11-04 2017-08-0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9356179B2 (en) 2012-06-22 2016-05-31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Display panel integrated with photoelectric device
US8981391B2 (en) * 2012-06-22 2015-03-17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Display panel with high transparency
TWI482310B (zh) * 2012-06-22 2015-04-21 Ind Tech Res Inst 發光二極體結構、發光二極體封裝與發光二極體結構之溫度的量測方法
JP6074938B2 (ja) 2012-07-27 2017-02-0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発光装置、及び電子機器
KR102022394B1 (ko) * 2013-02-12 2019-09-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TWI567971B (zh) 2014-04-22 2017-01-2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發光裝置
KR102215092B1 (ko) * 2014-06-05 2021-02-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237135B1 (ko) * 2014-07-14 2021-04-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236381B1 (ko) * 2014-07-18 2021-04-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245771B1 (ko) 2014-07-29 2021-04-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348682B1 (ko) * 2014-12-05 2022-01-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투명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투명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TWI576626B (zh) * 2014-12-19 2017-04-0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顯示裝置
US9547202B2 (en) 2014-12-19 2017-01-17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Transparent display panel
US9547213B2 (en) 2014-12-19 2017-01-17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Display device
US9312312B1 (en) 2014-12-30 2016-04-12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Display
CN104900682A (zh) * 2015-06-10 2015-09-09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透明显示器及其显示结构和像素单元结构
JP2017003849A (ja) * 2015-06-12 2017-01-05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TWI665800B (zh) * 2015-06-16 2019-07-1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發光二極體顯示器及其製造方法
JP6535545B2 (ja) 2015-08-21 2019-06-2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WO2017043529A1 (ja) * 2015-09-08 2017-03-16 シャープ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の製造方法、照明装置および表示装置
US10826021B2 (en) 2015-09-10 2020-11-03 Sharp Kabushiki Kaisha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including a plurality of unit regions each including a light emitting area and a transmissive area
KR102500273B1 (ko) * 2015-10-19 2023-02-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6653791B (zh) * 2015-11-03 2020-02-21 上海和辉光电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
CN107544177B (zh) * 2016-06-28 2021-01-26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KR102561709B1 (ko) * 2016-07-25 2023-07-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6373488A (zh) * 2016-11-21 2017-02-01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一种透明显示面板
KR102060471B1 (ko) * 2017-02-01 2019-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664157B1 (ko) 2018-12-03 2024-05-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투명표시장치
JP6837045B2 (ja) * 2018-12-19 2021-03-03 パイオニア株式会社 発光装置
US11228005B2 (en) * 2019-01-11 2022-01-18 Joled Inc. Organic el display panel having dummy light emitting layer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rganic el display panel having dummy light emitting layers
CN110492018B (zh) * 2019-08-09 2024-06-18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
WO2021070236A1 (ja) * 2019-10-08 2021-04-15 シャープ株式会社 発光デバイス
WO2021111501A1 (ja) * 2019-12-02 2021-06-10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デバイス
CN111029391B (zh) * 2019-12-24 2022-09-13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透光显示面板、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4864651A (zh) * 2019-12-31 2022-08-05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1162105B (zh) * 2019-12-31 2023-06-30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1341825B (zh) * 2020-03-18 2023-04-14 合肥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透明显示面板和透明显示装置
CN112116874B (zh) * 2020-10-09 2022-07-1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2234082B (zh) * 2020-10-10 2022-11-1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屏和电子装置
KR20220099198A (ko) * 2021-01-05 2022-07-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TWI798866B (zh) 2021-10-13 2023-04-1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透明顯示面板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39545A (en) 1997-02-04 1998-04-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having transparent cathode structures
AU6614701A (en) 2000-06-23 2002-01-02 Cambridge Display Technology Limited Light-emitting devices
KR100628257B1 (ko) * 2000-10-20 2006-09-27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반사형 및 반투과형 lcd의 구조
KR20030024076A (ko) 2001-09-15 2003-03-26 씨엘디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JP4207441B2 (ja) 2002-03-18 2009-01-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有機el素子の製造方法
US6861669B2 (en) * 2003-03-31 2005-03-01 Agilent Technologies, Inc. Compound display
JP2005129505A (ja) * 2003-09-30 2005-05-19 Sanyo Electric Co Ltd 発光表示装置及びその画素レイアウト形成方法
US20070024822A1 (en) * 2003-11-06 2007-02-01 Cortenraad Hubertus M R Switchable transparent display
KR101064185B1 (ko) * 2004-02-05 2011-09-14 삼성전자주식회사 어레이 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과, 이를 갖는 액정 표시장치
JP2005285395A (ja) * 2004-03-29 2005-10-13 Fujitsu Display Technologies Corp 配線構造並びにそれを備えた表示装置用基板及び表示装置
KR20060012761A (ko) 2004-08-04 2006-02-09 삼성전자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JP4752240B2 (ja) * 2004-10-27 2011-08-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US7382384B2 (en) * 2004-12-07 2008-06-03 Eastman Kodak Company OLED displays with varying sized pixels
JP4573672B2 (ja) 2005-02-28 2010-11-04 三洋電機株式会社 有機elパネル
DE502005009415D1 (de) 2005-05-27 2010-05-27 Novaled Ag Transparente organische Leuchtdiode
DE102005057699B4 (de) 2005-11-29 2012-08-16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Selbstleuchtende Vorrichtung
KR100779980B1 (ko) 2005-12-06 2007-11-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유기 발광 소자 및 그 제조방법
TWI283939B (en) * 2006-01-20 2007-07-11 Au Optronics Corp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using the same
US8207924B2 (en) * 2006-02-02 2012-06-26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JP2007265973A (ja) * 2006-03-03 2007-10-11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半導体装置
JP5106823B2 (ja) * 2006-10-31 2012-12-26 京セラ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発光装置
KR20080056944A (ko) 2006-12-19 2008-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KR20100059448A (ko) * 2008-11-26 2010-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그 제조 방법
JP5672695B2 (ja) * 2009-12-18 2015-02-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装置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79949B2 (en) 2013-10-18 2017-06-13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10418428B2 (en) 2013-10-18 2019-09-17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9219251B2 (en) 2014-01-07 2015-12-22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US9583547B2 (en) 2014-01-13 2017-02-28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660001B2 (en) 2015-01-06 2017-05-23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KR20220065736A (ko) * 2015-04-28 2022-05-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투명표시패널
KR20160128490A (ko) * 2015-04-28 2016-11-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투명표시장치 및 투명표시패널
KR20170086153A (ko) * 2016-01-15 2017-07-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1594581B2 (en) 2016-01-26 2023-02-28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20190067955A (ko) * 2017-12-07 2019-06-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1599283B (zh) * 2019-02-20 2022-03-15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透明显示装置
CN111599283A (zh) * 2019-02-20 2020-08-28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透明显示装置
CN112863367A (zh) * 2019-11-28 2021-05-28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透明显示装置
CN112863367B (zh) * 2019-11-28 2022-12-23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透明显示装置
WO2023063510A1 (ko) * 2021-10-15 2023-04-2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하이브리드 유기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37078A1 (en) 2011-06-22
KR101084240B1 (ko) 2011-11-16
US20110147770A1 (en) 2011-06-23
EP2337078B1 (en) 2015-04-08
US8558222B2 (en) 2013-10-15
TW201128771A (en) 2011-08-16
JP5474711B2 (ja) 2014-04-16
CN102130148B (zh) 2013-07-17
TWI440173B (zh) 2014-06-01
CN102130148A (zh) 2011-07-20
JP2011129510A (ja) 2011-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4240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508251B1 (ko) 폴더블 표시장치
KR101391244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329978B1 (ko)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KR102022394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065410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20170148374A1 (en) Display apparatus and tiled display apparatus
JP2016085913A (ja) 表示装置
KR20150024575A (ko) 고 개구율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20160211309A1 (e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30071543A (ko) 유기발광소자
US20150014639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having reduced power consumption
KR20230153321A (ko)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20220095171A (ko) 폴더블 표시장치
US9660001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KR100965250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1145697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2047731B1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KR20140083143A (ko) 유기발광소자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39092A (ko) 평판 표시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2269099B1 (ko) 평판 표시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US9257360B2 (en) Backplane for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593450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20110105354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