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0998A - 정수기 및 정수기의 순환 살균 방법 - Google Patents

정수기 및 정수기의 순환 살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0998A
KR20110060998A KR1020090117499A KR20090117499A KR20110060998A KR 20110060998 A KR20110060998 A KR 20110060998A KR 1020090117499 A KR1020090117499 A KR 1020090117499A KR 20090117499 A KR20090117499 A KR 20090117499A KR 20110060998 A KR20110060998 A KR 201100609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water
sterilization
unit
water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7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설희
강병일
주일
최유승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7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60998A/ko
Publication of KR20110060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09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입된 물을 여과하는 여과부, 여과부에서 여과된 물이 저장되도록 여과부에 연결되는 제1 탱크와 제1 탱크에 연결되는 제2 탱크를 포함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제2 탱크에 연결되어 제2 탱크의 물을 순환 살균하기 위한 살균부를 포함하는 순환 살균 가능한 정수기 및 이를 이용한 순환 살균 방법을 제공한다.
여과부, 제1 탱크, 제2 탱크, 살균부, 보조살균부

Description

정수기 및 정수기의 순환 살균 방법 {WATER PURIFIER AND METHOD FOR STERILIZING AND CIRCULATING WATER THEREOF}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순환 살균 가능한 정수기 및 이를 이용한 순환 살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물을 복수개의 정수 필터가 구비된 여과부에 의해서 여과시킨 후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정수기에는 여과된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탱크로 되어 있는 저장부가 구비될 수 있다. 저장부에 저장된 여과된 물은 코크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여과부에서 여과된 물에는 미생물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미생물이 포함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여과된 물을 살균할 수 있는 살균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여과부에서 여과된 물은 살균부에서 살균된 후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살균부는 UV(Ultra Violet), 즉 자외선을 이용하여 물을 살균할 수 있도록 구성되거나, 은첨가 활성탄 등에 의해서 물을 살균할 수 있도록 구성되거나, 기능성 소재를 사용하여 물을 살균할 수 있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전기분해를 통해 물을 살균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여과된 물을 살균하기 위한 살균부는 예를 들어 여과부에 저장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살균부를 통과하는 물의 유속이 비교적 빠르기 때문에 물 전체를 살균하는 것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정수된 물을 외부의 살균부로 순환시키며 살균하는 구조의 경우 순환효율의 한계로 인하여 살균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유체는 특성상 어느 수준 이상은 효율이 올라갈 수 없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정수된 물이 저장되는 탱크의 용량을 최소로 줄이면 순환을 빠르게 할 수 있으나 탱크에 저장되는 정수의 양이 줄어 소비자가 물 부족을 느낄 수 있다.
본 발명은 여과된 물을 저장하는 탱크의 용량을 최소화하여 살균부와의 물 순환 속도를 극대화하면서도 소비자가 물 부족을 느끼지 않도록 하며, 살균 효율을 높여 세균의 증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정수기 및 이 정수기의 순환 살균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환 살균 가능한 정수기는, 유입된 물을 여과하는 여과부; 여과부에서 여과된 물을 저장하도록 여과부에 연결되는 제1 탱크와, 제1 탱크에 연결되고 물 배출용 코크와 연결되는 제2 탱크를 포함하는 저장부; 및 제2 탱크에 연결되어 제2 탱크의 물을 순환 살균하는 살균부를 포함한다.
정수기는 제1 탱크에 연결되어 제1 탱크의 물을 순환 살균하는 보조 살균부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제2 탱크는 제1 탱크보다 작은 용량을 가질 수 있다. 제1 탱크는 제2 탱크의 상부에 위치하여 제1 탱크 내의 물이 제2 탱크로 흘러 내려가도록 할 수 있다.
정수기는 제1 탱크와 제2 탱크를 연결하는 연결 라인 상에 설치되어 역류를 차단하는 체크 밸브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살균부 또는 보조 살균부는 UV(Ultra Violet) 필터 또는 UF(Ultra Filtration)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정수기는, 제1 탱크의 만수위를 감지하여 물 유입 차단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수위 센서와, 제1 탱크의 저위수를 감지하여 물 유입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수위 센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정수기는, 제2 탱크의 최저 수위를 감지하여 살균부로의 물 순환을 차단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3 수위 센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정수기는, 제1 탱크의 최저 수위를 감지하여 보조 살균부로의 물 순환을 차단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4 수위 센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순환 살균 방법은, 물을 여과부를 통해 여과하는 여과 단계; 여과부에서 여과된 물을 저장부의 제1 탱크를 지나 제2 탱크 및 제1 탱크에 차례로 저장하는 저장 단계; 제2 탱크 내의 물을 살균부로 순환하며 살균하는 살균 단계; 및 제2 탱크 내의 물이 코크를 통해 배출되면 제1 탱크 내의 물을 제2 탱크로 보충하는 보충 단계를 포함한다.
정수기의 순환 살균 방법은, 제1 탱크로 유입된 물을 순환하며 살균하는 보조 살균 단계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단계에서, 제2 탱크는 제1 탱크보다 작은 용량을 가질 수 있다. 제1 탱크는 제2 탱크의 상부에 위치하여 제1 탱크 내의 물이 제2 탱크로 흘러 내려가도록 할 수 있다. 제1 탱크와 제2 탱크를 연결하는 연결 라인 상에 체크 밸브가 설치되어 역류를 차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탱크의 용량을 최소로 줄여 순환 효율을 극대화함으로써 빠른 시간에 최대한 많은 양의 물을 살균 처리할 수 있다. 또한, 탱크를 두 개로 분리하여 수처리가 이루어져 탱크의 용량을 최소로 줄이면서도 물을 충분히 공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물을 충분히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정수기와 관련된 실시예들은 정수기의 여과부에서 여과된 물을 저장하는 정수 탱크를 복수개로 분리하여 최소량의 물이 살균부와 순환되면서 살균되도록 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본 정수기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여과부(200)와 저장부(300) 및 살 균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보조 살균부(4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과 도 2를 참고하면, 여과부(200)는 복수개의 정수 필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정수기(100)에 유입된 물은 여과부(200)에 구비된 복수개의 정수 필터를 지나면서 여과된다. 정수 필터는 침전 필터, 프리카본 필터, 멤브레인 필터, 또는 포스트카본 필터 등이 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정수기(100)에 유입된 물을 여과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저장부(300)는 정수가 저장되는 제1 탱크(310)와 제1 탱크(310)에 연통되는 제2 탱크(320)를 포함한다. 제1 탱크(310)와 제2 탱크(320)는 각각 별개의 구조물로 분리된 구조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탱크(320)는 제1 탱크(310)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용량으로 이루어진다.
제1 탱크(310)는 제2 탱크(320) 상부에 위치하며, 제1 탱크(310)의 하단과 제2 탱크(320)의 상단이 연결 라인(340)으로 연결된다. 이로써 제1 탱크(310) 내로 유입된 물은 별도의 동력 없이 바로 연결 라인(340)을 통해 제2 탱크(320)로 흘러 내려갈 수 있다.
따라서 제1 탱크(310) 내로 유입된 물은 연결 라인(340)을 통해 바로 제2 탱크(320)로 유입되어 제2 탱크(320)에 먼저 채워진다. 그리고 물이 제2 탱크(320)로 유입되어 제2 탱크(320)가 다 채워지면 다음으로 제1 탱크(310)가 채워진다.
제1 탱크(310)와 제2 탱크(320)를 연결하는 연결 라인(340) 상에는 물을 일 방향으로만 이동시키기 위한 체크 밸브(330)가 설치된다. 체크 밸브(330)는 물을 제1 탱크(310)에서 제2 탱크(320)로만 이동시키며 역방향으로 역류하는 것을 차단한다.
그리고 제2 탱크(320)에는 살균 처리된 물을 배출하기 위한 코크(600)가 연결된다. 이에 사용자는 코크(600)를 개방하여 바로 제2 탱크(320) 내의 살균 처리된 물을 사용할 수 있다. 제2 탱크(320)로부터 물이 배출되면 제2 탱크(320)보다 위쪽에 위치한 제1 탱크(310) 내의 물이 연결 라인(340)을 통해 흘러 내려가 제2 탱크(320)에 보충된다.
한편, 제1 탱크(310)에는 제1 수위 센서(311)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수위 센서(311)는 제1 탱크(310)의 만수위를 감지할 수 있도록 제1 탱크(310)의 일측에 설치된다. 제1 수위 센서(311)는 제어부(5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제1 수위 센서(311)에 의해서 제1 탱크(310)의 만수위가 감지되면, 제어부(500)는 여과부(200)와 제1 탱크(310) 사이에 설치된 밸브(510)를 닫게 된다. 이에 의해서, 제1 탱크(310)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제1 탱크(310)에는 제2 수위 센서(312)도 구비될 수 있다. 제2 수위 센서(312)는 제1 탱크(310)의 저수위를 감지할 수 있도록 제1 탱크(310)에 하부쪽에 설치된다. 제2 수위 센서(312)도 제어부(500)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2 수위 센서(312)에 의해서 제1 탱크(310)의 저수위가 감지되면, 제어부(500)는 밸브(510)를 열어서 저장부(300)에 물이 유입되어 저장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탱크(320)에는 제3 수위 센서(313)가 구비될 수 있다. 제3 수위 센서(313)는 제2 탱크(320) 내의 최저 수위, 즉 물이 제2 탱크(320) 내에 잔존하는 지의 유무를 감지할 수 있도록 제2 탱크(320)의 하단쪽에 구비될 수 있다. 제3 수위 센서(312)도 제어부(500)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3 수위 센서(313)에 의해서 제2 탱크(320)의 최저 수위가 감지되면, 제어부(500)는 살균부(400)와 제2 탱크(320) 사이에 설치된 펌프(520)의 구동을 중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제2 탱크(320)에 저장된 물의 양이 거의 없는 상태에서 펌프(520)가 구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 탱크(310)에 제4 수위 센서(31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제4 수위 센서(314)는 제1 탱크(310)의 최저 수위, 즉 물이 제1 탱크(310) 내에 잔존하는 지의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제1 탱크(310)의 하단쪽에 구비될 수 있다. 제4 수위 센서(314)도 제어부(500)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4 수위 센서(314)에 의해서 제1 탱크(310)의 최저 수위가 감지되면, 제어부(500)는 보조 살균부(410)와 제1 탱크(310) 사이에 설치된 펌프(530)의 구동을 중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제1 탱크(310)에 저장된 물의 양이 거의 없는 상태에서 펌프(530)가 구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살균부(400)는 제2 탱크(320)에 저장된 물이 유입되어 살균될 수 있도록 제2 탱크(320)에 유동관 등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살균부(400)는 살균부(400)에서 살균된 물이 다시 제2 탱크(320)로 유입될 수 있도록 유동관 등에 의해서 제2 탱크(320)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살균부(400)는 유동관을 통해 제2 탱크(320)와 물이 순환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유동관 상에는 물을 순환시키기 위한 펌프(520)가 설치된다.
이러한 살균부(400)는 자외선을 방사하여 물을 살균하는 UV(Ultra Violet) 필터가 되거나 또는 중공사막(中空絲膜)에 의해서 미생물을 걸러내는 UF(Ultra Filtration) 필터가 될 수도 있다. 그러나, 살균부(400)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이에 유입된 물을 살균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제2 탱크(320)는 그 용량이 최소화된 구조로 살균부(400)와의 순환 효율이 높아 보다 빠르게 물이 순환되며 살균 처리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본 정수기는 제1 탱크(310)에 연결되어 제1 탱크(310)의 물을 순환 살균하기 위한 보조 살균부(4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살균부(410)는 제1 탱크(310)에 저장된 물이 유입되어 살균될 수 있도록 제1 탱크(310)에 유동관 등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보조 살균부(410)는 보조 살균부(410)에서 살균된 물이 다시 제1 탱크(310)로 유입될 수 있도록 유동관 등에 의해서 제1 탱크(310)에 연결될 수 있다. 즉, 보조 살균부(410)는 유동관을 통해 제1 탱크(310)와 물이 순환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유동관 상에는 물을 순환시키기 위한 펌프(530)가 설치된다.
이러한 보조 살균부(400)는 자외선을 방사하여 물을 살균하는 UV 필터가 되거나 중공사막(中空絲膜)에 의해서 미생물을 걸러내는 UF 필터가 될 수도 있다. 그러나, 보조 살균부(400)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이에 유입된 물을 살균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보조 살균부(410)를 통해 제1 탱크(310) 내의 물을 살균 처리함으로써 물은 제2 탱크(320)에 연결된 살균부(400)와 제1 탱크(310)에 연결된 보조 살균부(410)에 의해 이중으로 살균 처리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순환 살균 방법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순환 살균 방법은 여과 단계(S100), 저장 단계(S200), 살균 단계(S300), 및 보충 단계(S500)를 포함한다. 또한, 본 순환 살균 방법은 보조 살균 단계(S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과 단계(S100)에서는 정수기(100)에 유입된 물을 정수기(100)에 포함되는 여과부(200)를 통해서 여과할 수 있다. 또한 저장 단계(S200)에서는 여과부(200)에서 여과된 물을 정수기(100)에 포함되는 제1 탱크(310)와 제2 탱크(320)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살균 단계(S300)에서는 제2 탱크(320)에 저장된 물을 살균부(400)로 순환시키면서 살균할 수 있다.
또한, 제1 탱크(310)에 연결되는 보조 살균부(410)를 구비한 정수기의 경우에는 보조 살균부(410)로 제1 탱크(310)에 저장된 물을 순환시키면서 살균 처리하는 보조 살균 단계(S400)를 더 거칠 수 있다. 보충 단계(S500)에서는 제2 탱크(320)에 저장된 물을 코크(600)를 통해 사용자가 사용한 경우 사용량만큼 제1 탱크(310)로부터 제2 탱크(320)로 물을 보충할 수 있다.
따라서 정수기(100)에 유입된 물은 여과부(200)에서 여과된 후 제1 탱크(310)를 거쳐 제2 탱크(320)에 저장된 후 살균부(400)를 순환하면서 살균 처리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코크(600)를 통해서 제2 탱크(320)에 저장된 살균된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한편, 저장부(300)는 상대적으로 큰 용량의 제1 탱크(310)와 순환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최소한의 용량으로 설계된 제2 탱크(320)로 구분되어 있어서 사용량을 확보하면서도 살균부(400)와의 순환 살균시 순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저장 단계(S200)는 제1 탱크(310)에 구비된 제2 수위 센서(312)에서 저수위가 감지되면 수행될 수 있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2 수위 센서(312)에서 제1 탱크(310)의 저수위가 감지되면 제어부(500)가 이를 전달받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500)는 밸브(510)를 열어서 여과부(200)에서 여과된 물이 제1 탱크(310)로 유입되도록 한다. 제1 탱크(310)로 유입된 물은 제2 탱크(320)와 제1 탱크(310)로 순차적으로 채워진다. 즉, 저장부로 유입된 물은 먼저 제2 탱크(320)로 유입되어 채워지고 제2 탱크(320)가 다 채워지면 제1 탱크(310)가 채워진다. 제2 탱크(320)로 유입된 물은 제1 탱크(310)로 역류되지 않는다.
이는 제1 탱크(310)와 제2 탱크(320) 사이의 연결 라인에 설치된 체크 밸브(330) 때문이다. 그리고 제2 탱크(320) 내의 물이 사용되면 제1 탱크(310) 내의 물이 아래로 흘러 제2 탱크(320)를 다시 채우게 된다.
이러한 저장 단계(S200)의 수행은 예컨대, 정수 초기에 물이 정수기(100)에 공급되지 않아서 제1 탱크(310)에 물이 없는 경우에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2 탱크(320) 내의 물이 배출되어 제1 탱크(310)의 물이 제2 탱크(320)로 보충되는 보충 단계(S500)가 진행되는 중에 제1 탱크(310)의 수위가 낮아져 저수위가 되는 경우에도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저장 단계(S200)는 제1 탱크(310)에 구비된 제1 수위 센서(311)에서 만수위가 감지되면 중지될 수 있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실시에에서는 제1 수위 센서(311)에서 제1 탱크(310)의 만수위가 감지되면 제어부(500)가 이를 전달받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500)는 밸브(510)를 닫아서 여과부(200)에서 여과된 물이 제1 탱크(310)에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살균 단계(S300)는 제2 탱크(320) 내에 물이 존재하는 경우 계속 수행될 수 있다. 제2 탱크(320) 내의 물의 존재는 제2 탱크(320)에 설치된 제3 수위 센서(313)의 최저 수위 감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제3 수위 센서(313)에 의해 최저 수위가 감지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제어부(500)는 펌프(520)를 구동하여 제2 탱크(320)에 저장된 물이 살균부(400)에 유입되어 살균된 후 제2 탱크(320)로 다시 순환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살균 단계(S300)는 제2 탱크(320)에 구비된 제3 수위 센서(313)에 최저 수위가 감지되면 중지될 수 있다. 제3 수위 센서(313)를 통해 제2 탱크(320) 내에 물이 최저 수위임이 감지되면 제어부(500)가 이를 전달받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500)는 펌프(520)의 구동을 중지한다. 이에 제2 탱크(320) 내에 물이 없는 상태에서 펌프(520)가 구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2의 실시예와 같이 제1 탱크(310)에도 보조 살균부(410)가 구비된 경우 제1 탱크(310) 내의 물을 순환 살균하는 보조 살균 단계(S400)를 거친다.
보조 살균 단계(S400)는 제1 탱크(310) 내에 물이 존재하는 경우 계속 수행될 수 있다. 제1 탱크(310) 내의 물의 존재는 제1 탱크(310)에 설치된 제4 수위 센 서(314)의 최저 수위 감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제4 수위 센서(314)에 의해 최저 수위가 감지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제어부(500)는 펌프(530)를 구동하여 제1 탱크(310)에 저장된 물이 보조 살균부(410)에 유입되어 살균된 후 제1 탱크(310)로 다시 순환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보조 살균 단계(4300)는 제1 탱크(310)에 구비된 제4 수위 센서(314)에 최저 수위가 감지되면 중지될 수 있다. 제4 수위 센서(314)를 통해 제1 탱크(310) 내에 물이 최저 수위임이 감지되면 제어부(500)가 이를 전달받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500)는 펌프(530)의 구동을 중지한다. 이에 제1 탱크(310) 내에 물이 없는 상태에서 펌프(530)가 구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살균 단계(S400)를 통해 살균 효과를 높이며 제1 탱크(310) 내에서도 일반 세균의 증식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보충 단계(S500)는 제2 탱크(320) 내의 물을 사용자가 코크(600)를 통해 배출하였을 경우 실시된다.
사용자가 제2 탱크(320) 내의 살균된 물을 사용하면 제2 탱크(320)가 사용량만큼 비게 된다. 이에 제2 탱크(320)의 상부에 위치한 제1 탱크(310) 내의 물이 연결 라인(340)을 통해 제2 탱크(320)로 흘러내려간다. 따라서 제2 탱크(320)에서 빠져나간 양만큼의 물이 제1 탱크(310)로부터 제2 탱크(320)에 다시 채워진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 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순환 살균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정수기 200 : 여과부
300 : 저장부 310 : 제1 탱크
311 : 제1 수위 센서 312 : 제2 수위 센서
313 : 제3 수위 센서 314 : 제4 수위 센서
320 : 제2 탱크 330 : 체크밸브
340 : 연결라인 400 : 살균부
410 : 보조살균부 500 : 제어부
510 : 밸브 520,530 : 펌프
600 : 코크

Claims (14)

  1. 유입된 물을 여과하는 여과부;
    상기 여과부에서 여과된 물을 저장하도록 상기 여과부에 연결되는 제1 탱크와, 상기 제1 탱크에 연결되고 물 배출용 코크와 연결되는 제2 탱크를 포함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제2 탱크에 연결되어 상기 제2 탱크의 물을 순환 살균하는 살균부
    를 포함하는 정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탱크에 연결되어 상기 제1 탱크의 물을 순환 살균하는 보조 살균부를 더욱 포함하는 정수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탱크는 상기 제1 탱크보다 작은 용량을 가지는 정수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탱크는 상기 제2 탱크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 탱크 내의 물이 상기 제2 탱크로 흘러 내려가도록 하는 정수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탱크와 상기 제2 탱크를 연결하는 연결 라인 상에 설치되어 역류를 차단하는 체크 밸브를 더욱 포함하는 정수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부 또는 상기 보조 살균부는 UV(Ultra Violet) 필터 또는 UF(Ultra Filtration) 필터를 포함하는 정수기.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탱크의 만수위를 감지하여 물 유입 차단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수위 센서와, 상기 제1 탱크의 저위수를 감지하여 물 유입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수위 센서를 더욱 포함하는 정수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탱크의 최저 수위를 감지하여 상기 살균부로의 물 순환을 차단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3 수위 센서를 더욱 포함하는 정수기.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탱크의 최저 수위를 감지하여 상기 보조 살균부로의 물 순환을 차단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4 수위 센서를 더욱 포함하는 정수기.
  10. 물을 여과부를 통해 여과하는 여과 단계;
    상기 여과부에서 여과된 물을 저장부의 제1 탱크를 지나 제2 탱크 및 제1 탱크에 차례로 저장하는 저장 단계;
    상기 제2 탱크 내의 물을 살균부로 순환하며 살균하는 살균 단계; 및
    상기 제2 탱크 내의 물이 코크를 통해 배출되면 상기 제1 탱크 내의 물을 상기 제2 탱크로 보충하는 보충 단계
    를 포함하는 정수기의 순환 살균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탱크로 유입된 물을 순환하며 살균하는 보조 살균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정수기의 순환 살균 방법.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단계에서, 상기 제2 탱크는 상기 제1 탱크보다 작은 용량을 가지는 정수기의 순환 살균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단계에서, 상기 제1 탱크는 상기 제2 탱크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 탱크 내의 물이 상기 제2 탱크로 흘러 내려가도록 하는 정수기의 순환 살균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단계에서, 상기 제1 탱크와 상기 제2 탱크를 연결하는 연결 라인 상에 체크 밸브가 설치되어 역류를 차단하는 정수기의 순환 살균 방법.
KR1020090117499A 2009-12-01 2009-12-01 정수기 및 정수기의 순환 살균 방법 KR201100609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7499A KR20110060998A (ko) 2009-12-01 2009-12-01 정수기 및 정수기의 순환 살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7499A KR20110060998A (ko) 2009-12-01 2009-12-01 정수기 및 정수기의 순환 살균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5835A Division KR20160147686A (ko) 2016-12-07 2016-12-07 정수기 및 정수기의 순환 살균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0998A true KR20110060998A (ko) 2011-06-09

Family

ID=44395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7499A KR20110060998A (ko) 2009-12-01 2009-12-01 정수기 및 정수기의 순환 살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60998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1834A (ko) * 2012-12-04 2014-06-12 쿠쿠전자주식회사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KR101446127B1 (ko) * 2014-01-28 2014-10-07 쿠쿠전자주식회사 수처리장치
KR101446128B1 (ko) * 2014-01-28 2014-10-07 쿠쿠전자주식회사 수처리방법
KR101447519B1 (ko) * 2014-01-28 2014-10-13 쿠쿠전자주식회사 수처리방법
KR101447963B1 (ko) * 2014-01-28 2014-10-14 쿠쿠전자주식회사 수처리방법
KR101459001B1 (ko) * 2014-01-28 2014-11-10 쿠쿠전자주식회사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KR101476323B1 (ko) * 2012-05-21 2014-12-26 쿠쿠전자주식회사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KR101492879B1 (ko) * 2012-12-04 2015-02-12 쿠쿠전자주식회사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KR101916597B1 (ko) * 2017-07-05 2019-01-30 박용호 살균램프를 이용한 살균수 공급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6323B1 (ko) * 2012-05-21 2014-12-26 쿠쿠전자주식회사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KR20140071834A (ko) * 2012-12-04 2014-06-12 쿠쿠전자주식회사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KR101492879B1 (ko) * 2012-12-04 2015-02-12 쿠쿠전자주식회사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KR101446127B1 (ko) * 2014-01-28 2014-10-07 쿠쿠전자주식회사 수처리장치
KR101446128B1 (ko) * 2014-01-28 2014-10-07 쿠쿠전자주식회사 수처리방법
KR101447519B1 (ko) * 2014-01-28 2014-10-13 쿠쿠전자주식회사 수처리방법
KR101447963B1 (ko) * 2014-01-28 2014-10-14 쿠쿠전자주식회사 수처리방법
KR101459001B1 (ko) * 2014-01-28 2014-11-10 쿠쿠전자주식회사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KR101916597B1 (ko) * 2017-07-05 2019-01-30 박용호 살균램프를 이용한 살균수 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60998A (ko) 정수기 및 정수기의 순환 살균 방법
KR101734194B1 (ko) 수처리 기기의 살균세정방법
JP2009095822A (ja) 水質浄化システム
US10071402B2 (en) Method for sterilizing water treatment apparatus having plurality of tanks
KR101444786B1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KR101439948B1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KR101446127B1 (ko) 수처리장치
KR100540762B1 (ko) 치과용 물탱크 자동 급수장치
KR101967799B1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TW201219318A (en) Water purification device and disinfection/sterilization method for water purification device
KR101459001B1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KR20160147686A (ko) 정수기 및 정수기의 순환 살균 방법
CN213345292U (zh) 一种双水源饮水机
KR20100067529A (ko) 순환살균가능한 정수기 및 이를 이용한 순환살균방법
KR100499785B1 (ko) 치과용 물탱크 자동 급수장치
KR101664854B1 (ko) 순환살균가능한 정수기 및 이를 이용한 순환살균방법
JP4094757B2 (ja) 植物栽培用給液装置及び給液方法
KR101447963B1 (ko) 수처리방법
KR101423385B1 (ko) 정수기
KR101476323B1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CN220537644U (zh) 一种低压大容量净水***
KR101142658B1 (ko) 정수기의 살균장치 및 방법
KR101447519B1 (ko) 수처리방법
JP5811551B2 (ja) 純水製造装置
KR101446128B1 (ko) 수처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