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4786B1 -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 Google Patents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4786B1
KR101444786B1 KR1020120051378A KR20120051378A KR101444786B1 KR 101444786 B1 KR101444786 B1 KR 101444786B1 KR 1020120051378 A KR1020120051378 A KR 1020120051378A KR 20120051378 A KR20120051378 A KR 20120051378A KR 101444786 B1 KR101444786 B1 KR 1014447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torage tank
line
sterilizing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1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7680A (ko
Inventor
신유진
김성진
Original Assignee
쿠쿠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쿠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쿠쿠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51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4786B1/ko
Publication of KR20130127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76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4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47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2Controlling or monito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살균수를 이용하여 물탱크 내부 뿐만 아니라 필터막도 살균함으로써 보다 깨끗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처리장치는, 원수를 여과하기 위해 복수의 필터를 포함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에서 여과된 물을 서로 다른 온도로 저장하는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를 포함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살균수를 공급하기 위한 살균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저장부에 살균수를 공급하는 경우 상기 제1저장탱크에 구비된 수위센서에서 만수위를 감지한 경우 상기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에 채워지는 살균수가 만수위인 것으로 판단한다.

Description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WATER TREATMENT METHOD}
본 발명은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살균수를 이용하여 물탱크 및 배관 내부를 살균할 수 있는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업발달로 인한 수질오염이 심각해짐에 따라 수돗물에 대한 불신이 높아지면서, 최근에는 정수기로 정화된 물을 식수로 사용하거나, 시중에서 판매되는 생수를 식수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
상기 정수기는 수돗물과 같은 원수를 침전, 여과, 살균, 흡착 등의 과정을 거쳐 원수에 포함된 중금속 및 기타 유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이러한 정수기는 일반가정용 및 업소용뿐만 아니라 최첨단 과학산업이나 초정밀전자부품의 세척용 또는 의료용으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정수기는, 수돗물이나 자연수와 같은 원수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원수밸브와, 상기 원수밸브를 통과한 원수 중의 찌꺼기를 여과하게 되는 전처리 침전 필터와, 원수 중의 염소성분이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프리 카본 필터와, 상기 프리 카본 필터를 통과한 정수에 포함된 염소 성분이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포스트 카본 필터와, 상기 포스트 카본 필터를 통과한 정수에 포함된 세균 및 기타 미립자를 제거하기 위한 중공사막 필터와, 상기 중공사막 필터를 통과한 정수를 저장하기 위한 물탱크로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정수처리장에서는 물속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기 위해 염소계 살균소독제를 투여하는데, 상기 살균소독제가 투여된 수돗물이 정수기를 통과하는 동안 프리 카본 필터와 포스트 카본 필터에서 염소성분이 제거된 후 물탱크에 저장된다.
이와 같이 물탱크에 저장된 정수는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는 염소성분이 필터에 의해 제거된 상태이므로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정수를 소비자가 즉시 이용하지 않고 장시간 경과하게 되면 물탱크 내부에 세균이 증식하게 되므로, 이러한 물탱크의 살균을 위하여 다양한 방법들이 제안되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등록특허 10-621937에는 필터부와 정수탱크의 사이에 전기분해에 의해 정수수의 살균 및 산화성 혼합물질을 생성하는 전해살균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정수탱크 내부를 살균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정수의 장시간 미사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세균은 물탱크 내부 뿐만 아니라 필터부의 필터막에도 증식하게 되는데, 상기한 종래기술에서는 물탱크 내부만 살균하게 되므로 필터막에 잔존하는 세균은 살균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살균수를 이용하여 물탱크 내부 뿐만 아니라 필터막도 살균함으로써 보다 깨끗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처리장치는, 원수를 여과하기 위해 복수의 필터를 포함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에서 여과된 물을 서로 다른 온도로 저장하는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를 포함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살균수를 공급하기 위한 살균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저장부에 살균수를 공급하는 경우 상기 제1저장탱크에 구비된 수위센서에서 만수위를 감지한 경우 상기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에 채워지는 살균수가 만수위인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필터부의 각 필터들 사이를 연결하는 정수이동라인과, 상기 정수이동라인과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살균모듈이 설치되는 살균수라인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필터부는 전처리 침전 필터와 카본 필터 및 중공사막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살균모듈은 상기 전처리 침전 필터의 배출구와 상기 중공사막 필터의 유입구 사이를 연결하는 살균수라인상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살균수라인상에는 그 내부를 통과하는 살균수의 공급 여부를 제어하는 살균수공급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의 각 필터를 연결하는 정수이동라인이 구비되고, 상기 중공사막 필터의 유입구에 연결된 정수이동라인 상에 상기 살균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에는 그 내부에 채워진 살균수를 배수하기 위한 제1배수라인과 제2배수라인이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 내부에 채워진 살균수는 제1배수라인을 통해 배수되는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배수라인은 상기 제1저장탱크와 취수밸브 사이를 연결하는 취수라인 상에서 분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에 저장된 물은 복수의 취수라인을 거쳐 하나의 취수구를 통해 배출되고; 상기 제1배수라인과 상기 취수라인이 교차하는 지점에는 상기 제1,2저장탱크로부터 공급되어 오는 물의 배출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유로전환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라인에는 살균수의 배수를 제어하는 배수밸브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라인을 통한 살균수의 배수를 원활히 하기 위해 배수펌프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처리방법은, a) 필터부를 통해 여과된 물이 저장되는 저장부 내부의 물을 배수하는 단계; b) 상기 필터부의 중공사막 필터 전단에 설치된 살균모듈에서 생성된 살균수가 상기 중공사막 필터를 통과한 후 상기 저장부에 공급되는 단계; c) 상기 저장부 내부의 살균수를 외부로 배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저장부는 서로 다른 온도의 물을 저장하는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저장부에 살균수를 공급하는 경우 상기 제1저장탱크에 구비된 수위센서에서 만수위를 감지한 경우 상기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에 채워지는 살균수가 만수위인 것으로 판단한다.
삭제
상기 살균수가 배수되는 배수라인에는 배수펌프가 구비되고, 상기 배수펌프에서의 부하변동을 감지하여 배수의 완료 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에서 배수되는 살균수는 상기 저장부와 취수밸브 사이를 연결하는 취수라인을 거쳐 외부로 배출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는 서로 다른 온도의 물을 저장하고 연결라인을 통해 상호 연결된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에 저장된 물은 복수의 취수라인을 통하여 취수구로 배출되고, 상기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의 살균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라인이 구비되며, 상기 저장부 내부의 살균수를 상기 배수라인을 통해 외부로 배수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취수라인 중 높이가 더 낮은 위치에 설치된 저장탱크에 연결된 취수라인을 통해 살균수가 먼저 배수된 후 더 높은 위치에 설치된 저장탱크에 연결된 취수라인을 통해 살균수가 배수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저장탱크는 상기 여과된 물을 상온 상태로 저장하는 상부공간과, 상기 상부공간과의 사이에 분리판이 설치되어 냉수를 저장하는 하부공간으로 이루어지고; 살균수의 배수시 상기 제2저장탱크에는 연결된 제2취수라인 상에 설치된 제2취수밸브와 상기 상부공간에 연결된 제3취수라인 상에 설치된 제3취수밸브 및 상기 하부공간에 연결된 제1취수라인 상에 설치된 제1취수밸브의 순서로 개방되어 배수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의 각 필터들 사이를 연결하는 정수이동라인과 상기 정수이동라인과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살균모듈이 설치되는 살균수라인이 구비되고, 상기 저장부 내부의 살균수를 외부로 배수한 후 상기 정수이동라인과 상기 살균수라인을 통해 헹굼수가 함께 공급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중공사막 필터의 전단에 살균모듈을 구비함으로써 살균모듈에서 생성된 살균물질이 중공사막 필터의 필터막에 증식된 세균을 살균함과 아울러 저장탱크 내부를 살균함으로써 청결한 물을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살균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라인이 사용자에게 정수를 공급하는 취수라인 상에 설치된 취수밸브 직전에서 분기되어 외부로 배수되도록 되어 있어 살균수가 배수되는 과정에서 취수라인 내부까지 살균할 수 있어 수처리장치 내부에 살균이 되지 않는 데드존의 영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정수이동라인과 병렬로 연결된 살균수라인 상에 살균모듈을 설치하고 카본 필터를 거치지 않은 물을 살균모듈에 공급함으로써 살균모듈에 의해 생성된 살균물질과 원수 속에 포함된 살균물질이 더해져 살균수의 살균물질 농도를 높여 저장탱크 및 취수라인의 살균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2개의 저장탱크에 하나의 배수라인을 연결하여 배수가 되도록 함으로써 배관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수처리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에서 배수 시 동작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에서 살균수 유입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에서 살균수 배수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에서 헹굼 시 동작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에서 헹굼수 배수 시의 동작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에서 정수 유입 시 동작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수처리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수처리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수처리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전해 살균수가 카본 필터를 통과하는지 여부에 따른 차아염소산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의 수처리장치에서 살균모듈의 설치 위치에 따른 잔류 염소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구성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수처리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수처리장치는, 원수를 여과하기 위해 다수의 필터(110,120,130,140)로 이루어진 필터부(100), 상기 필터부(100)에서 여과된 물을 저장하는 저장부(200), 상기 저장부(200)에 살균수를 공급하기 위한 살균모듈(300), 상기 저장부(200)에 저장된 물을 사용자에게 출수하기 위한 취수부(400), 상기 저장부(200)에 공급된 살균수를 외부로 배수하기 위한 배수부(500)로 이루어진다.
상기 필터부(100)는, 원수 중의 찌꺼기를 여과하게 되는 전처리 침전 필터(110)와, 원수 중의 염소성분이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프리 카본 필터(120)와, 상기 프리 카본 필터(120)를 통과한 원수 중에 포함된 염소 성분이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포스트 카본 필터(130)와, 상기 포스트 카본 필터(130)를 통과한 정수 중에 포함된 세균 및 기타 미립자를 제거하기 위한 중공사막 필터(140)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포스트 카본 필터(130)와 중공사막 필터(140)의 전후 배치 순서는 서로 바뀔 수 있다.
상기 각 필터들(110,120,130,140) 사이는 다수의 배관(601,602,603)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정수된 물이 이동하는 정수이동라인을 형성하고, 전처리 침전 필터(110)와 프리 카본 필터(120) 사이를 연결하는 배관(601) 상에는 원수의 유입을 단속하기 위한 원수밸브(1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원수밸브(150)는 전처리 침전 필터(110)의 입구 측에 설치할 수도 있으나, 상기 원수에는 이물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원수가 직접 원수밸브(150)로 유입되면 원수밸브(150)의 내구성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전처리 침전 필터(110)에서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1차 여과한 후 상기 원수밸브(150)를 통과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장부(200)는, 상기 필터부(100)에서 여과된 물을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정수공급라인(604)에 의해 상기 중공사막 필터(140)와 연결되어 냉수와 정수를 저장하는 제1저장탱크(210)와, 연결라인(621)에 의해 상기 제1저장탱크(210)와 연결되어 온수를 저장하는 제2저장탱크(2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저장탱크(210)에는 탱크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여 탱크 내부로 유입되는 물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수위센서(211), 상기 수위센서(211)의 오작동시 탱크 내부로 유입되는 물을 기계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볼탑(212), 탱크 내부 공간을 상온의 정수가 저장되는 상부공간(210a)과 냉수가 저장되는 하부공간(210b)으로 분리하기 위한 분리판(213), 상기 분리판(213)의 중앙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부공간(210b)을 관통하여 상기 제2저장탱크(220)로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정수를 냉수와 혼합되지 않은 채 상기 제2저장탱크(220)로 공급하기 위한 연결유로(214)가 구비된다.
상기 제1저장탱크(210) 내부의 수위가 만수위임을 상기 수위센서(211)가 감지하면 상기 원수밸브(150)를 오프(Off)시켜 원수의 공급을 차단시키고, 상기 볼탑(212)은 상기 수위센서(211)가 고장난 경우 상기 수위센서(211)보다 높은 수위에서 상기 제1저장탱크(210)로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를 기계적으로 차단시키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위센서(211)와 볼탑(212)이 모두 구비된 것으로 하였으나, 상기 수위센서(211)만 구비하거나 볼탑(212)만을 구비하여 제1저장탱크(210) 내부의 수위를 제어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연결라인(621)의 일측단은 상기 연결유로(214)와 연결되도록 제1저장탱크(210)에 연결되고, 타측단은 제2저장탱크(220)에 연결되어, 상기 필터부(100)를 거쳐 공급된 정수가 제1저장탱크(210) 뿐만 아니라 연결라인(621)을 통해 제2저장탱크(220)에도 공급된다.
상기 하부공간(210b)의 외측 둘레에는 저장된 정수의 냉각을 위한 냉각코일(도면에 미도시)이 구비되고, 상기 제2저장탱크(220)의 외측 둘레에는 저장된 정수의 가열을 위한 히터(도면에 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냉각코일과 상기 히터가 상기 제1저장탱크(210)의 하부공간(210b)과 상기 제2저장탱크(220)의 내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살균모듈(300)은 살균수라인(612) 상에 설치되는데, 일례로 물을 전기분해하여 원수 속에 포함된 염소이온과 수소, 산소등이 반응하여 HOCl, ClO- 이온 등의 살균물질을 생성하는 것으로, 양전극(도면에 미도시)과 음전극(도면에 미도시)을 가지며 상기 양전극과 음전극에는 전원공급부(도면에 미도시)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전극에는 백금 또는 이리듐 등이 코팅될 수 있다.
상기 살균모듈(300)의 전단에는 살균수공급밸브(310)가 설치되어 상기 살균모듈(300) 측으로 물의 공급 여부를 제어한다. 상기 살균수라인(612)은 상기 전처리 침전 필터(110)의 배출구와 상기 중공사막 필터(140)의 유입구 사이를 연결하되, 상기 정수이동라인(601,602,603)과는 병렬로 연결된다.
상기 전처리 침전 필터(110)를 통과한 원수가 상기 프리 카본 필터(120)와 포스트 카본 필터(130)를 거치게 되면 살균물질로 기능하는 염소 성분이 제거되므로, 정수이동라인(601,602,603)과 살균수라인(612)을 병렬로 설치함으로써 살균모드시 전처리 침전 필터(110)를 통과한 원수가 프리 카본 필터(120)와 포스트 카본 필터(130)를 거치지 않고 살균모듈(300)에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살균모듈(300)에 의해 생성된 살균물질과 원수 속에 포함된 살균물질이 더해져 상기 제1저장탱크(210)에 채워지는 살균수의 살균물질 농도를 높여 살균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저장탱크(210)와 제2저장탱크(220)에 저장된 물은 취수부(400)를 통해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상기 취수부(400)는, 제1저장탱크(210)의 하부공간(210b)에 연결된 제1취수라인(631) 상에 설치되어 냉수의 공급을 규제하는 제1취수밸브(410)와, 제2저장탱크(220)에 연결된 제2취수라인(632) 상에 설치되어 온수의 공급을 규제하는 제2취수밸브(420)와, 상기 냉수와 온수를 사용자에게 각각 공급하는 취수구(450a, 450b)로 이루어진다.
상기 배수부(500)는 상기 제1저장탱크(210)와 제2저장탱크(220) 내부에 채워진 살균수를 외부로 배수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1저장탱크(210) 내부의 살균수를 외부로 배수시키기 위해 제1취수라인(631)에서 분기된 제1배수라인(641)과, 제2저장탱크(220) 내부의 살균수를 외부로 배수시키기 위한 제2배수라인(642)과, 상기 제1배수라인(641)과 제2배수라인(642)을 통해 배수되는 살균수를 제어하기 위한 2개의 배수밸브(510,520)와, 살균수의 원활한 배수를 위한 배수펌프(530)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는 살균수를 배수하기 위한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정수와 헹굼수의 배수도 동일한 구성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제1취수밸브(410) 전단에 위치한 상기 제1취수라인(631) 내부에는 정수가 고여 있어 세균에 의해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배수라인(641)을 제1취수밸브(410)의 직전인 제1취수라인(631) 상에서 분기되도록 하여 배수되는 살균수를 이용하여 제1취수라인(631) 내부까지도 살균함으로써 살균이 되지 않는 데드존(Dead Zone)의 영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배수라인(641,642)을 통한 살균수의 배수는 수두 차이를 이용한 자연 배수가 되도록 할 수도 있고, 본 실시예와 같이 배수펌프(530)를 설치하면 살균수를 보다 원활히 배수함으로써 배수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상기 배수펌프(530)는 그 내부를 통과하는 물의 양의 변화 즉, 부하의 변화에 따라 전압/전류가 변동하게 되는데, 상기 전압/전류의 변동을 감지하는 부하변동감지부(도면에 미도시)를 구비하여 정수 또는 살균수의 배수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살균모드는, 배수 → 살균수 유입 → 살균수 배수 → 헹굼수 유입 → 헹굼수 배수 → 정수 유입 순서로 이루어지므로, 이하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제1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살균 작용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에서 배수 시 동작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에서 살균수 유입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에서 살균수 배수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에서 헹굼 시 동작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에서 헹굼수 배수 시의 동작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에서 정수 유입 시 동작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살균모드가 작동하면, 먼저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원수밸브(150)와 살균모듈(300) 및 살균수공급밸브(310)는 오프(Off) 상태, 제1배수밸브(510)와 제2배수밸브(520)는 온(On) 상태에서 배수펌프(530)를 작동시켜 제1저장탱크(210)와 제2저장탱크(220)의 물을 모두 배수시키고, 배수가 완료되면 제1배수밸브(510)와 제2배수밸브(520) 및 배수펌프(530)는 모두 오프(Off) 상태가 된다.
여기서 오프(Off)란 밸브(150,310,510,520)가 닫힌 상태 또는 살균모듈(300) 및 배수펌프(530)가 작동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하고, 온(On)이란 밸브(150,310,510,520)가 개방된 상태 또는 살균모듈(300) 및 배수펌프(530)가 작동되는 상태를 의미하며, 후술하는 다른 실시예의 경우도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이 경우 제1저장탱크(210)와 제2저장탱크(220)의 물이 모두 배수되었는지 여부는 상기 부하변동감지부에서 전압/전류의 변동을 감지하고 이 감지된 신호를 받아 다음 단계로 전환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수가 완료되면 살균수 유입 과정이 진행되는데,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원수밸브(150)와 제1배수밸브(510)와 제2배수밸브(520) 및 배수펌프(530)는 오프(Off) 상태, 살균수공급밸브(310) 및 살균모듈(300)이 온(On) 상태가 되면 전처리 침전 필터(110)를 통과한 원수는 살균수공급밸브(310)를 거쳐 살균모듈(300)로 공급되고, 상기 살균모듈(300)을 통과하는 물을 전기 분해하면 차아염소산(hypochlorous acid; HClO), 차아염소산이온(OCl-), 염소(Cl2) 등의 살균물질이 생성되어 중공사막 필터(140)로 유입된다.
이 경우 전처리 침전 필터(110)를 통과한 원수는 프리 카본 필터(120)와 포스트 카본 필터(130)를 거치지 않아 원수 속에 포함된 염소 성분이 제거되지 않은 상태로 살균모듈(300)로 공급되므로 상기 살균모듈(300)에서 생성된 살균물질에 상기 원수 속에 포함된 염소 성분이 더해져 상기 제1저장탱크(210)에 채워지는 살균수의 살균물질 농도를 더욱 높일 수 있고, 상기 중공사막 필터(140)으로 유입된 살균수는 필터막을 통과하면서 필터막에 잔존하는 세균을 살균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중공사막 필터(140)를 통과한 살균수는 제1저장탱크(210)에 유입되어 상부공간(210a) 및 하부공간(210b)에 채워지고, 상기 제1저장탱크(210)로 유입된 살균수는 연결라인(621)을 통해 제2저장탱크(220) 내부에도 채워지며, 제1저장탱크(210)와 제2저장탱크(220)의 수위가 만수위가 되었음을 수위센서(211)에서 감지하게 되면 원수밸브(150)와 살균모듈(300) 및 살균수공급밸브(310)는 오프(Off) 상태로 전환된 후 일정 시간 동안 살균수에 의한 살균작용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살균이 이루어진 후에는 제1저장탱크(210)와 제2저장탱크(220) 내부의 살균수를 배수하게 되는데,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원수밸브(150)와 살균모듈(300) 및 살균수공급밸브(310)는 오프(Off) 상태를 유지하고, 제1배수밸브(510)와 제2배수밸브(520)를 온(On)시킨 상태에서 배수펌프(530)를 작동시켜 제1저장탱크(210)와 제2저장탱크(220) 내부의 살균수를 제1배수라인(641)과 제2배수라인(642)을 통해 외부로 배수시킨다.
이와 같이 살균수의 배수가 완료되면 제1저장탱크(210)와 제2저장탱크(220) 내부에 잔존하는 살균수를 세척하기 위한 헹굼과정이 이루어지는데,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살균모듈(300)과 살균수공급밸브(310)와 제1배수밸브(510)와 제2배수밸브(520) 및 배수펌프(530)를 모두 오프(Off)시킨 상태에서 원수밸브(150)를 온(On)시키면 원수가 필터부(100)를 거쳐 여과되고, 이렇게 여과된 물(이하 '헹굼수'라 한다)이 정수공급라인(604)를 통해 제1저장탱크(210) 및 제2저장탱크(220)에 유입된다.
상기에서는 헹굼수가 정수이동라인(601,602,603)을 통해서만 공급되는 것으로 구성하였으나, 헹굼수의 공급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하기 위해 상기 살균모듈(300)을 오프(Off)시킨 상태에서 살균수공급밸브(310)를 온(On)시키게 되면 살균수라인(612)을 통해서도 헹굼수가 공급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저장탱크(210) 및 제2저장탱크(220)의 만수위까지 헹굼수가 채워지면 헹굼수의 배수가 이루어지는데,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원수밸브(150)와 살균수공급밸브(310) 및 살균모듈(300)이 오프(Off) 상태가 되고, 제1배수밸브(510)와 제2배수밸브(520) 및 배수펌프(530)는 온(On) 상태가 되어 헹굼수를 제1배수라인(641)과 제2배수라인(642)을 통해 외부로 배수시킨다. 이 경우 상기 헹굼수가 만수위까지 채워지고 일정시간 경과한 후 헹굼수의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헹굼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헹굼수의 배수가 완료되면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살균수공급밸브(310)와 살균모듈(300)과 제1배수밸브(510)와 제2배수밸브(520) 및 배수펌프(530)를 오프(Off)시킨 상태에서 원수밸브(150)를 온(On)시키게 되면 원수가 필터부(100)를 거쳐 여과된 후 제1저장탱크(210)와 제2저장탱크(220)에 채워짐으로써 살균모드가 종료된다.
한편 배수의 완료 시점은 상기한 바와 같이 배수펌프(530)에서 전압/전류의 차이를 감지하여 배수가 완료되었음을 감지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일정 시간 동안 배수되도록 시간을 설정할 수도 있으며, 유량센서나 적외선센서와 같은 별도의 센서를 설치하여 배수의 완료시점을 판단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은 살균모드는 일정한 주기로 자동적으로 반복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수행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제2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수처리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모든 구성은 제1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와 동일하고, 3개의 취수라인(631,632,633)을 통해 공급되는 냉수와 온수 및 정수가 하나의 취수구(440)를 통해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점과 하나의 배수라인(641)을 통해 제1저장탱크(210)와 제2저장탱크(220)의 살균수를 배수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즉, 제1취수라인(631)과 제2취수라인(632) 및 제3취수라인(633)에는 제1취수밸브(410)와 제2취수밸브(420) 및 제3취수밸브(430)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상기 3개의 취수라인(631,632,633)이 하나의 취수구(440)로 합쳐져 냉수와 온수 및 정수의 공급은 하나의 취수구(440)를 통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3개의 취수라인(631,632,633)이 만나는 지점에는 제1취수밸브(410)와 제2취수밸브(420) 및 제3취수밸브(430)를 통해 공급되는 물의 유로방향을 취수구(440)와 제1배수라인(641) 중 어느 하나로 전환하기 위한 유로전환밸브(550)가 설치된다.
상기 유로전환밸브(550)는 정수모드에서는 취수구(440)측의 유로가 개방되도록 밸브의 개방 방향이 설정되나, 살균모드가 작동되어 제1저장탱크(210)와 제2저장탱크(220)에 채워진 살균수를 배수하는 경우 제1취수라인(631)과 제2취수라인(632) 및 제3취수라인(633)을 통해 배수되는 살균수의 배수 방향을 제1배수라인(641) 측으로 유도하도록 취수구(440) 측을 차단하고 제1배수라인(641)의 유로를 개방하도록 전환된다.
한편 살균모드시 제1저장탱크(210)와 제2저장탱크(220)의 살균수 배수는 하나의 배수라인(641)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즉, 제1저장탱크(210)와 제2저장탱크(220) 내부의 살균수를 외부로 배수하기 위해 배수펌프(530)와 유로전환밸브(550)가 온(On) 상태가 되면 제1저장탱크(210)와 제2저장탱크(220) 내부의 물이 제1배수라인(641)을 통해 외부로 배수된다.
이 경우 배수펌프(530)의 용량이 커지게 되면 소음이 발생하고 부피 증가로 인해 구조가 복잡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상기 배수펌프(530)는 제1배수라인(641) 내부의 물을 원활히 외부로 배수할 수 있을 정도의 적절한 용량으로 하고, 제1저장탱크(210)와 제2저장탱크(220) 내부의 물은 압력 차에 의해 제1배수라인(641)으로 배수되도록 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제1저장탱크(210)와 제2저장탱크(220)의 물을 제1배수라인(641)을 통해 배수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유로전환밸브(550)가 온(On)된 상태에서 제2취수밸브(420)를 개방한다. 이 경우 상기 제2저장탱크(220) 내부의 물은 상부에 연결된 제2취수라인(632)을 통해 제1배수라인(641)으로 배수되는데, 상기 제2취수라인(632)이 상기 제2저장탱크(220)보다 더 높은 곳에 위치되어 있어 제2저장탱크(220) 내부의 물을 제2취수라인(632)을 통해 배수시키기 위해서는 제1저장탱크(210) 상부공간(210a)의 물을 제2저장탱크(220)로 유입시켜 제2저장탱크(220) 내부의 물이 상기 상부공간(210a)으로부터 유입된 물과 함께 제2취수라인(632)을 통해 배수가 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제2취수밸브(420)를 개방한 후 소정의 시간 동안 제3취수밸브(430)를 개방하게 되는데, 이 경우 상부공간(210a)의 살균수가 제3취수라인(633)을 통해 배수되어 제3취수라인(633) 내부를 살균할 수 있다.
상기 제3취수밸브(430)를 개방한 후 제1취수밸브(410)를 개방하여 제1저장탱크(210) 하부공간(210a)의 물이 제1취수라인(631)을 통해 배수되도록 한다. 상기 제1저장탱크(210)의 분리판(213) 가장자리와 제1저장탱크(210) 내측면 사이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어 상부공간(210a)과 하부공간(210b)은 상호 연통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취수밸브(410)만을 개방하더라도 상부공간(210a)의 물이 하부공간(210b)으로 유입된 후 제1취수라인(631)을 통해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제1저장탱크(210)와 제2저장탱크(220)의 물을 하나의 배수라인(641)을 통해 배수가 가능하여 배관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각의 취수라인(631,632,633) 내부까지도 살균할 수 있어 살균이 되지 않는 데드존의 영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3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수처리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모든 구성은 제2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와 동일하고, 살균모듈(300)이 중공사막 필터(140)의 직전에 연결된 정수이동라인(603)상에 설치된 점에 특징이 있다.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에서는 정수이동라인(601,602,603)과 병렬로 연결된 살균수라인(612)상에 살균모듈(300)이 설치되도록 구성하였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살균수라인(612)이 구비되지 않고 중공사막 필터(140)의 유입구에 연결된 정수이동라인(603) 상에 살균모듈(300)이 구비되어 있어 살균모드가 작동하면 상기 살균모듈(300)에서 생성된 살균수가 중공사막 필터(140)의 필터막을 살균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보다 깨끗한 물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제4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수처리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모든 구성은 제3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와 동일하고, 제2저장탱크(220)의 하부에 제2배수라인(642)이 구비되어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2배수라인(642)이 제2저장탱크(220)의 하부에 연결되어 있어, 제1저장탱크(210)와 제2저장탱크(220) 내부의 물은 제1배수라인(641)과 제2배수라인(642)을 통해 외부로 배수되도록 되어 있다.
<실험결과>
도 11은 살균수의 카본 필터 통과 여부에 따른 차아염소산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구성도로서, 도 11을 참조하여 실험결과를 설명한다.
본 실험은 살균모듈에 의해 생성된 살균수가 프리 카본 필터와 포스트 카본 필터를 통과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살균수에 의해 중공사막 필터의 필터막에 잔류하는 세균을 살균할 수 있는지 여부를 살펴보기 위함이다.

측정위치
측정 ① 측정 ② 측정 ③
차아염소산
(ppm)
32 3 29
33 3 30
33 4 31
평균 33 3 30
위 표에 나타난 실험 결과는,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3개의 측정 지점에서 차아염소산의 농도를 측정한 결과이다. 먼저, 측정 ①로 표시된 첫 번째 지점은 살균물질을 생성하기 위한 염소이온이 용존하는 소금물을 살균모듈에 통과시킨 직후 살균수를 채수한 지점으로서, 측정 ① 지점에서의 살균수에는 차아염소산이 평균 33ppm의 농도로 포함되어 있다.
다음으로, 측정 ②로 표시된 두 번째 지점은 살균모듈에서 생성된 살균수를 전처리 침전 필터와 프리 카본 필터와 포스트 카본 필터 및 중공사막 필터를 순차 통과한 후 채수한 지점으로서, 위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측정 ②에서의 살균수에는 차아염소산이 평균 3ppm의 농도로 포함되어 있어, 프리 카본 필터와 포스트 카본 필터를 거치면서 차아염소산 등의 살균물질이 제거되어 살균수의 살균농도가 낮아짐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측정 ③으로 표시된 세 번째 지점은 살균모듈에서 생성된 살균수를 전처리 침전 필터와 중공사막 필터를 순차 통과한 후 채수한 지점으로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살균모듈(300)이 구비된 구성과 동일하다. 이 경우 위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측정 ③에서의 살균수에는 차아염소산이 평균 30ppm의 농도로 포함되어 있어, 전처리 침전 필터만 통과한 살균수를 이용하여 중공사막 필터의 필터막과 제1,제2저장탱크(210,220) 및 제1 내지 제3취수라인(631,632,633) 내부를 충분히 살균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수처리장치에서 살균모듈의 설치 위치에 따른 잔류 염소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구성도로서, 도 12를 참조하여 실험결과를 설명한다.
본 실험은 살균모듈이 전처리 침전 필터의 후단 또는 포스터 카본 필터의 후단에 위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살균모듈에서 생성된 살균수의 잔류 염소 농도를 측정하여 살균수로서 기능하기에 적절한지 여부를 살펴보기 위함이다.

원수 살균모듈 위치
전처리 침전 필터 후단 포스트 카본 필터 후단
잔류염소(ppm)

0.12 1.16 0.95 0.87
0.18 1.12 0.98 0.92
0.14 1.14 1.02 0.85
평균 0.15 1.14 0.98 0.88
먼저, 도 12(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살균모듈이 전처리 침전 필터 후단에 위치한 경우, 잔류염소농도가 0.1~0.2ppm 정도인 원수를 전처리 침전 필터 후단에 위치한 살균모듈에서 전기분해하게 되면 살균수에 포함된 잔류염소농도가 평균 1.14ppm으로 측정되었다.
또한 도 12(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살균모듈이 포스트 카본 필터의 후단에 위치한 경우, 원수를 포스트 카본 필터 후단에 위치한 살균모듈에서 전기분해하게 되면 살균수에 포함된 잔류염소농도가 평균 0.98 또는 0.88ppm으로 측정되었다.
통상적으로 상하수도 처리장에서 투여하는 유효염소 농도는 0.2~0.8ppm 사이이며, 가정집으로 유입되어 출수되는 수돗물의 유효염소 농도는 0.2~0.4ppm 정도인데, 이 정도 수준의 염소 농도에서는 일반적으로 미생물이 번식하지 못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 위 실험결과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와 같이 전처리 침전 필터의 후단에 살균모듈이 위치한 경우 잔류염소 농도가 1.14ppm인 살균수를 생성할 수 있고, 제3실시예와 제4실시예와 같이 포스트 카본 필터의 후단에 살균모듈이 위치한 경우에도 잔류염소 농도가 0.98 또는 0.88ppm인 살균수를 생성할 수 있어 살균수로서 기능하는데 충분하다.
상기 결과값은 수돗물의 염소이온농도 및 살균모듈의 구조 그리고 전극들의 조합에 따라 다를 수 있고, 전극에 인가되는 전류값에 따라 농도가 차이날 수 있으며, 살균모듈의 구조 및 전극들의 조합 그리고 전류값 조절 등을 통해 더욱 높은 효율을 가지는 살균모듈을 적용하여 살균물질의 농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중공사막 필터의 전단에 살균모듈을 구비함으로써 살균모듈에서 생성된 살균물질이 중공사막 필터의 필터막에 증식된 세균을 살균함과 아울러 저장탱크 내부를 살균함으로써 청결한 물을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고, 살균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라인이 사용자에게 정수를 공급하는 취수라인 상에 설치된 취수밸브 직전에서 분기되어 외부로 배수되도록 되어 있어 살균수가 배수되는 과정에서 취수라인 내부까지 살균할 수 있어 수처리장치 내부에 살균이 되지 않는 데드존의 영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카본 필터를 거치지 않은 물을 살균모듈에 공급함으로써 살균모듈에 의해 생성된 살균물질과 원수 속에 포함된 살균물질이 더해져 살균수의 살균물질 농도를 높여 저장탱크 및 취수라인의 살균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2개의 저장탱크에 하나의 배수라인을 연결하여 배수가 되도록 함으로써 배관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 : 필터부 110 : 전처리 침전 필터
120 : 프리 카본 필터 130 : 포스트 카본 필터
140 : 중공사막 필터 150 : 원수밸브
200 : 저장부 210 : 제1저장탱크
210a : 상부공간 210b : 하부공간
211 : 수위센서 212 : 볼탑
213 : 분리판 214 : 연결유로
220 : 제2저장탱크 300 : 살균모듈
310 : 살균수공급밸브 400 : 취수부
410 : 제1취수밸브 420 : 제2취수밸브
430 : 제3취수밸브 440 : 취수구
500 : 배수부 510 : 제1배수밸브
520 : 제2배수밸브 530 : 배수펌프
550 : 유로전환밸브 601,602,603 : 정수이동라인
604 : 정수공급라인 612 : 살균수공급라인
621 : 연결라인 631 : 제1취수라인
632 : 제2취수라인 633 : 제3취수라인
641 : 제1배수라인 642 : 제2배수라인

Claims (26)

  1. 원수를 여과하기 위해 복수의 필터를 포함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에서 여과된 물을 서로 다른 온도로 저장하는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를 포함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살균수를 공급하기 위한 살균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저장부에 살균수를 공급하는 경우 상기 제1저장탱크에 구비된 수위센서에서 만수위를 감지한 경우 상기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에 채워지는 살균수가 만수위인 것으로 판단하는 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의 각 필터들 사이를 연결하는 정수이동라인과, 상기 정수이동라인과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살균모듈이 설치되는 살균수라인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전처리 침전 필터와 카본 필터 및 중공사막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살균모듈은 상기 전처리 침전 필터의 배출구와 상기 중공사막 필터의 유입구 사이를 연결하는 살균수라인상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수라인상에는 그 내부를 통과하는 살균수의 공급 여부를 제어하는 살균수공급밸브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전처리 침전 필터와 카본 필터 및 중공사막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의 각 필터를 연결하는 정수이동라인이 구비되고, 상기 중공사막 필터의 유입구에 연결된 정수이동라인상에 상기 살균모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에는 그 내부에 채워진 살균수를 배수하기 위한 제1배수라인과 제2배수라인이 각각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 내부에 채워진 살균수는 제1배수라인을 통해 배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수처리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수라인은 상기 제1저장탱크와 취수밸브 사이를 연결하는 취수라인 상에서 분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에 저장된 물은 복수의 취수라인을 거쳐 하나의 취수구를 통해 배출되고;, 상기 제1배수라인과 상기 취수라인이 교차하는 지점에는 상기 제1,2저장탱크로부터 공급되어 오는 물의 배출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유로전환밸브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수라인과 제2배수라인에는 살균수의 배수를 제어하는 배수밸브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11.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수라인을 통한 살균수의 배수를 원활히 하기 위해 배수펌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수라인에는 살균수의 배수를 제어하는 배수밸브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13. a) 필터부를 통해 여과된 물이 저장되는 저장부 내부의 물을 배수하는 단계;
    b) 살균모듈에서 생성된 살균수가 상기 저장부에 공급되는 단계;
    c) 상기 저장부 내부의 살균수를 외부로 배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저장부는 서로 다른 온도의 물을 저장하는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저장부에 살균수를 공급하는 경우 상기 제1저장탱크에 구비된 수위센서에서 만수위를 감지한 경우 상기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에 채워지는 살균수가 만수위인 것으로 판단하는 수처리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수가 배수되는 배수라인에는 배수펌프가 구비되고, 상기 배수펌프에서의 부하변동을 감지하여 배수의 완료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서 배수되는 살균수는 상기 저장부와 취수밸브 사이를 연결하는 취수라인을 거쳐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에 저장된 물은 복수의 취수라인을 통하여 취수구로 배출되고, 상기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의 살균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라인이 구비되며, 상기 저장부 내부의 살균수를 상기 배수라인을 통해 외부로 배수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취수라인 중 높이가 더 낮은 위치에 설치된 저장탱크에 연결된 취수라인을 통해 살균수가 먼저 배수된 후 더 높은 위치에 설치된 저장탱크에 연결된 취수라인을 통해 살균수가 배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저장탱크는 상기 여과된 물을 상온 상태로 저장하는 상부공간과, 상기 상부공간과의 사이에 분리판이 설치되어 냉수를 저장하는 하부공간으로 이루어지고, 살균수의 배수시 상기 제2저장탱크에 연결된 제2취수라인 상에 설치된 제2취수밸브와 상기 상부공간에 연결된 제3취수라인 상에 설치된 제3취수밸브 및 상기 하부공간에 연결된 제1취수라인 상에 설치된 제1취수밸브의 순서로 개방되어 배수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의 각 필터들 사이를 연결하는 정수이동라인과 상기 정수이동라인과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살균모듈이 설치되는 살균수라인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방법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 내부의 살균수를 외부로 배수한 후 상기 정수이동라인과 상기 살균수라인을 통해 헹굼수가 함께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방법
  20.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수라인상에 구비된 살균수공급밸브에 의해 상기 살균수의 공급 여부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방법
  21.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의 각 필터들 사이를 연결하는 정수이동라인이 구비되고, 상기 정수이동라인상에 상기 살균모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방법
  22. 제13 항에 있어서,
    d) 상기 c)단계 후 상기 필터부에 의해 여과된 헹굼수가 상기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에 유입되어 헹굼이 이루어지는 단계;
    e) 상기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의 헹굼수를 외부로 배수하는 단계;
    f) 상기 필터부에 의해 여과된 정수가 상기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에 채워지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 상기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의 만수위까지 헹굼수가 채워져 일정시간 헹굼이 이루어진 후 상기 e)단계의 헹굼수 배수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는 연결라인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살균수 및 헹굼수는 상기 제1저장탱크에 먼저 유입된 후 상기 연결라인을 경유하여 상기 제2저장탱크에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방법
  2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 내부의 살균수는 제1배수라인과 제2배수라인을 통해 각각 배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방법
  2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 내부의 살균수는 제1배수라인을 통해 배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방법
KR1020120051378A 2012-05-15 2012-05-15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KR1014447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1378A KR101444786B1 (ko) 2012-05-15 2012-05-15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1378A KR101444786B1 (ko) 2012-05-15 2012-05-15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6786A Division KR20140016858A (ko) 2013-12-30 2013-12-30 수처리방법
KR1020130166784A Division KR20140016857A (ko) 2013-12-30 2013-12-30 수처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7680A KR20130127680A (ko) 2013-11-25
KR101444786B1 true KR101444786B1 (ko) 2014-09-30

Family

ID=49855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1378A KR101444786B1 (ko) 2012-05-15 2012-05-15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47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40297A (zh) * 2019-05-07 2019-09-17 重庆市璧山区富源塑料有限公司 一种环保用工业废水排放池
KR20240039328A (ko) * 2022-09-19 2024-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워터 디스펜싱 장치
KR20240039327A (ko) * 2022-09-19 2024-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워터 디스펜싱 장치
KR20240041107A (ko) * 2022-09-22 2024-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워터 디스펜싱 장치
KR20240084895A (ko) * 2022-12-07 2024-06-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7789Y1 (ko) * 2002-12-23 2003-03-19 주식회사 대양시스템 살균장치를 구비한 정수기
KR20110127595A (ko) * 2010-05-19 2011-11-25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수처리 장치
KR20120047141A (ko) * 2010-11-03 2012-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동세정수단을 갖는 정수기 및 그를 이용한 정수기의 자동세정방법
KR20120047139A (ko) * 2010-11-03 2012-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동세정수단을 갖는 정수기 및 그를 이용한 정수기의 자동세정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7789Y1 (ko) * 2002-12-23 2003-03-19 주식회사 대양시스템 살균장치를 구비한 정수기
KR20110127595A (ko) * 2010-05-19 2011-11-25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수처리 장치
KR20120047141A (ko) * 2010-11-03 2012-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동세정수단을 갖는 정수기 및 그를 이용한 정수기의 자동세정방법
KR20120047139A (ko) * 2010-11-03 2012-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동세정수단을 갖는 정수기 및 그를 이용한 정수기의 자동세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7680A (ko) 2013-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6882B1 (ko) 수처리 장치의 살균세척방법
KR101734194B1 (ko) 수처리 기기의 살균세정방법
US20180370831A1 (en) Water treatment device
KR101492879B1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KR101444786B1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US10071402B2 (en) Method for sterilizing water treatment apparatus having plurality of tanks
KR101439948B1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KR101446127B1 (ko) 수처리장치
KR101967799B1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KR101459001B1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KR101296549B1 (ko) 정수기용 위생키트
KR101521937B1 (ko) 정수기용 위생키트
KR101447963B1 (ko) 수처리방법
KR101476323B1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KR102079173B1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KR101198652B1 (ko) 자가 살균 시스템을 구비한 정수기 및 이를 이용한 정수기 살균 방법
KR101447519B1 (ko) 수처리방법
KR101446128B1 (ko) 수처리방법
KR101773389B1 (ko) 수처리장치
KR101496307B1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장치의 살균방법
KR20140016858A (ko) 수처리방법
KR20140071834A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KR20140016857A (ko) 수처리방법
KR101897573B1 (ko) 정수기 및 그 세정방법
KR20130016551A (ko) 수처리기의 얼음 탱크의 살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