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0798A - 스케이터 - Google Patents

스케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0798A
KR20110060798A KR1020100109282A KR20100109282A KR20110060798A KR 20110060798 A KR20110060798 A KR 20110060798A KR 1020100109282 A KR1020100109282 A KR 1020100109282A KR 20100109282 A KR20100109282 A KR 20100109282A KR 20110060798 A KR20110060798 A KR 201100607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ater
main body
board
footrest
ca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9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데야스 야마베
Original Assignee
제이.디. 쟈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디. 쟈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제이.디. 쟈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60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07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02Bicycles without a seat, i.e. the rider operating the vehicle in a standing position, e.g. non-motorized scooters; non-motorized scooters with skis or run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스케이터로서 탑승부가 전후 방향의 축심 주위에서 비틀어질 수 있다. 탑승부가 비틀어졌을 때에 탑승부의 후부의 저면에 부착되어 수진을 위한 중심축이 진행 방향으로 경사진 수진식 캐스터가 전후 방향의 축심 주위로 선회된다. 이 선회에 의해 탑승부를 좌우로 선회시킬 수 있거나 또는 스케이터를 위한 소망의 추진력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스케이터{SKATER}
본 발명은 스케이터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탑승부에 탑승한 상태로 체중 이동을 행함으로써 탑승부를 좌우로 선회시킬 수 있거나 또는 소망의 추진력을 얻을 수 있는 스케이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JP-A-2003-047683에 기재되어 있는 핸들이 부착된 2륜의 스케이터가 있었다. 이 스케이터는 보드 본체, 이 보드 본체의 전방에 설치되는 핸들, 이 핸들에 의해 조타되는 전방부 휠, 및 보드 본체의 후방부에 설치되는 후방부 휠을 구비하고 있다. 사용자는 한쪽의 발을 보드 본체에 올려놓은 상태로 다른쪽의 발로 지면을 차는 것에 의해 스케이터를 전진시키기 위한 추진력을 스케이터에 부여한다. 이 스케이터에 부여되는 추진력의 크기는 사용자가 발로 지면을 차는 힘의 크기에 의해 조정된다. 스케이터의 주행시에 사용자가 양발을 보드 본체에 올려놓으면 스케이터는 타행(惰行)한다.
스케이터의 진행 방향을 변경하고 싶은 경우에는 사용자가 진행하고 싶은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핸들을 꺽는다. 그렇게 하면, 스케이터는 핸들을 꺽은 방향으로 진행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스케이터에서 사용자는 스케이터를 주행시키기 위한 추진력을 얻기 위하여 계속해서 발로 지면을 계속 찰 필요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종래의 스케이터에서는 핸들을 꺽은 방향으로만 스케이터를 진행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탑승부에 탑승한 상태로 체중 이동을 행하여 탑승부를 좌우로 선회시키거나 또는 소망의 추진력을 얻을 수 있는 스케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1에 의한 본 발명은 핸들이 부착된 2륜의 스케이터로서, 전후 방향의 축심 주위에서 탄성적으로 비틀어질 수 있는 탑승부, 수진(首振)을 위한 중심축이 스케이터의 진행 방향을 향해서 경사져서 상기 탑승부의 후방부의 저면에 부착된 수진식 캐스터로 이루어지는 후륜, 핸들, 및 상기 핸들에 의해 조타되는 전륜을 구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스케이터에 의하면, 사용자가 탑승부에 탑승한 상태로 체중 이동을 행하면 탑승부에 대하여 전후 방향의 축심 주위의 비틀리는 힘이 작용해서 탑승부가 비틀림 변위되고, 이 비틀림 변위에 대응하여 탑승부의 후방부의 저면에 부착된 수진식 캐스터가 수진을 위한 중심축 주위로 선회한다. 이것에 의해, 수진식 캐스터의 구름 방향이 전후 방향과 소정 각도를 이룬 방향이 되어 수진식 캐스터가 전후 방향과 소정 각도를 이룬 방향으로 지면을 구르며, 탑승부의 후방부가 핸들로 지지된 전륜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로 선회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탑승부에 탑승한 상태로 체중 이동을 행하는 것만으로 핸들을 꺽지 않고 탑승부를 좌우로 선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케이터에 의하면 탑승부를 비틀림 변위시킨 상태로부터 사용자가 체중 이동을 행하여 탑승부에 작용되는 비틀리는 힘을 해소하려고 할 때 탑승부가 초기 상태로 복원되는 복원력이 수진식 캐스터에 작용된다. 이 복원력에 기인하여 수진식 캐스터가 경사진 후방 하향으로 지면을 누르는 힘이 작용된다. 이 누르는 힘의 반작용으로서 수진식 캐스터를 통하여 경사진 전방으로 상향하는 힘이 지면으로부터 탑승부에 작용된다. 그것에 의하여, 스케이터를 전방으로 진행시키기 위한 추진력이 발생된다. 사용자는 탑승부에 탑승한 상태로 체중 이동을 행하여 소망의 추진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2에 의한 본 발명은 청구항 1에 의한 스케이터로서 탑승부를 전후 방향의 축심 주위에서 탄성적으로 비틀어질 수 있는 1장의 발판으로 구성하는 것이다.
이 스케이터에 의하면, 사용자가 1장의 발판에 탑승한 상태로 체중 이동을 행하면 발판에 대하여 전후 방향의 축심 주위의 비틀리는 힘이 작용해서 발판이 비틀림 변위된다. 그것에 의하여, 발판의 후방부의 저면에 부착된 수진식 캐스터가 수진을 위한 중심축 주위로 선회한다. 이것에 의해, 수진식 캐스터의 구름 방향이 전후 방향과 소정 각도를 이룬 방향으로 되어 수진식 캐스터가 전후 방향과 소정 각도를 이룬 방향으로 지면을 구르고 발판의 후방부가 전륜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로 선회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발판을 탑승한 상태로 체중 이동을 행하는 것만으로 핸들을 꺽지 않고 발판을 좌우로 선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케이터에 의하면 1장의 발판을 비틀림 변위시킨 상태로부터 사용자가 체중 이동을 행하여 발판에 작용하는 비틀리는 힘을 해소하려고 할 때 발판이 초기 상태로 복원되는 복원력이 수진식 캐스터에 작용된다. 이 복원력에 기인하여 수진식 캐스터가 경사진 후방 하향으로 지면을 누르는 힘이 작용된다. 이 누르는 힘의 반작용으로서 수진식 캐스터를 통하여 경사진 전방으로 상향하는 힘이 지면으로부터 탑승부에 작용된다. 그것에 의하여, 스케이터를 전방으로 진행시키기 위한 추진력이 발생된다. 사용자는 탑승부에 탑승한 상태로 체중 이동을 행하여 소망의 추진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9에 의한 본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스케이터로서 상기 탑승부는 전방의 발판 및 후방의 발판을 갖고, 상기 스케이터는 상기 전방의 발판 및 상기 후방의 발판을 서로 전후 방향의 축심 주위에서 상대적으로 비틀림 변위될 수 있도록 연결하는 연결 부재, 및 상기 비틀림 변위에 대하여 복원력을 작용시키는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스케이터에 의하면, 사용자가 전방의 발판 및 후방의 발판을 탄 상태로 체중 이동을 행하면 전방의 발판 및 후방의 발판으로부터 연결 부재 및 비틀림 변위에 대한 복원력을 작용시키는 부재에 대하여 전후 방향의 축심 주위의 비틀리는 힘이 작용된다. 이것에 의해, 연결 부재가 비틀어져 후방의 발판이 전방의 발판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비틀림 변위되고 후방의 발판의 저면에 부착된 수진식 캐스터가 수진을 위한 중심축 주위로 선회한다. 이것에 의해, 수진식 캐스터의 구름 방향이 전후 방향과 소정 각도를 이룬 방향으로 되어 수진식 캐스터가 전후 방향과 소정 각도를 이룬 방향으로 지면을 구르면 전방의 발판 및 후방의 발판이 전륜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로 선회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방의 발판 및 후방의 발판에 탑승한 상태로 체중 이동을 행하는 것만으로 핸들을 꺽지 않고 전방의 발판 및 후방의 발판을 좌우로 선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케이터에 의하면 후방의 발판을 전방의 발판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비틀림 변위시킨 상태로부터 사용자가 체중 이동을 행하여 연결 부재 및 비틀림 변위에 대한 복원력을 작용시키는 부재에 작용한 비틀리는 힘을 해소할 수 있다. 그때, 비틀림 변위에 대한 복원력을 작용시키는 부재에 의해 전방의 발판과 후방의 발판의 비틀림 위치의 관계를 초기 상태로 복원하는 복원력이 수진식 캐스터에 작용된다. 이 복원력에 기인하여 수진식 캐스터가 경사진 후방 하향으로 지면을 누르는 힘이 작용된다. 이 누르는 힘의 반작용으로서 수진식 캐스터를 통하여 경사진 전방으로 상향하는 힘이 지면으로부터 전방의 발판 및 후방의 발판에 작용됨으로써 스케이터를 전방으로 진행시키기 위한 추진력이 발생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방의 발판 및 후방의 발판을 탑승한 상태로 체중 이동을 행하여 소망의 추진력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스케이터(11)를 경사진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동 스케이터(11)를 경사진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동 스케이터(11)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동 스케이터(11)의 수진식 캐스터(21) 및 그 주변 부분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동 스케이터(11)의 조작 방법을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동 스케이터(11)의 조작 방법을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동 스케이터(11)의 조작 방법을 설명하는 배면도이다.
도 8은 동 스케이터(11)의 조작 방법을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동 스케이터(11)의 조작 방법을 설명하는 배면도이다.
도 10은 동 스케이터(11)의 조작 방법을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동 스케이터(11)의 주행 궤적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동 스케이터(11)의 주행 궤적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동 스케이터(11)의 보드 본체(12)의 선회 궤적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는 동 스케이터(11)의 보드 본체(12)의 선회 궤적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스케이터(51)를 경사진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있어서의 스케이터(61)를 경사진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있어서의 스케이터(71)를 경사진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있어서의 스케이터(81)를 경사진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6에 있어서의 스케이터(91)를 경사진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0은 동 스케이터(91)의 측면도이다.
도 21은 동 스케이터(91)의 비틀림 파이프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7에 있어서의 스케이터(111)를 경사진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3은 동 스케이터(111)의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을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스케이터(11)를 경사진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동 스케이터(11)를 경사진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며, 도 3은 동 스케이터(11)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동 스케이터(11)의 수진식 캐스터(21) 및 그 주변 부분의 측면도이다.
11은 본 실시형태 1의 스케이터이다. 이 스케이터(11)는 핸들이 부착된 2륜의 스케이터로서, 전후 방향의 축심(30) 주위에서 탄성적으로 비틀어질 수 있는 탑승부인 보드 본체(12), 수진을 위한 중심축(28)이 스케이터의 진행 방향을 향하여 경사져서 상기 보드 본체(12)의 후방부(37)의 저면에 부착된 수진식 캐스터(21)로 이루어지는 후륜(도 4), 보드 본체(12)의 전방부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핸들(16), 및 상기 핸들(16)에 의해 조타되는 전륜으로서의 고정식 캐스터(17)를 구비하는 것이다.
보드 본체(12)는 전후 방향에서 세로로 긴 형상으로 형성되어 탄성적으로 비틀어질 수 있는 1장의 발판으로 구성되어 있고, 예를 들면 합성 수지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도 1 ~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보드 본체(12)의 전방부(35)에는 핸들 축(15)을 회동 가능하게 부착하는 핸들 지지부(14)가 설치되어 있다. 이 핸들 지지부(14)를 상하로 관통하는 핸들 축(15)의 상단에는 핸들(16)이 부착되어 있다. 핸들 축(15)의 하단에는 고정식 캐스터(17)가 부착되어 있다. 보드 본체(12)의 후방부(37)의 저면에는 수진을 위한 중심축(28)이 스케이터(11)의 진행 방향을 향하여 경사져서 보드 본체(12)의 후방부(37)의 저면에 부착된 수진식 캐스터(21)로 이루어지는 후륜이 구비되어 있다(도 4).
고정식 캐스터(17)는 프론트 포크(18), 프론트 샤프트(19), 및 전방부 휠(20)로 구성된다. 프론트 포크(18)는 핸들 축(15)의 하단에 부착된다. 프론트 샤프트(19)는 프론트 포크(18)에 부착된다. 전방부 휠(20)은 프론트 포크(18)에 대하여 수평 축심의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되도록 프론트 샤프트(19)에 지지되어 있다.
핸들 축(15)은 핸들 지지부(14)의 내부를 관통하여 약간의 각도로 후방측에 경사진 상태로 프론트 포크(18)를 지지하고 있다. 핸들 지지부(14)로부터 상방으로 신장된 핸들 축(15)의 상단에는 직각으로 핸들(16)이 부착되어 있다.
핸들(16)은 핸들 지지부(14), 핸들 축(15), 및 고정식 캐스터(17)와 일체적으로 되어 상기 보드 본체(12) 상에 절첩(折疊) 가능하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보드 본체(12)의 전방부(35)에 대하여 절첩 기구(13)가 부착되고 절첩 기구(13)에 핸들 지지부(14)가 부착되며, 핸들 지지부(14)는 절첩 기구(13)에 의해 수평 축심의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도 3). 절첩 기구(13)는 핸들 축(15)을 기립시킨 사용 상태와 핸들 축(15)을 보드 본체(12) 상에 누인 절첩 상태로 록킹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절첩 상태로 하면 스케이터(11)가 콤팩트한 형상으로 되어 보관 장소를 차지하지 않고, 또한 운반을 행하기 용이해진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드 본체(12)의 전방부(35) 및 후방부(37)의 저부에는 보강 리브(32)가 형성되어 있다. 보드 본체(12)의 전방부(35) 및 후방부(37)의 저부에 보강 리브(32)를 형성함으로써 보드 본체(12)의 강성을 확보하면서 보드 본체(12)를 경량화하고 재료 비용을 낮게 제어할 수 있다.
보드 본체(12)의 중앙부(36)는 전방부(35)나 후방부(37)보다 평면으로 볼 때 폭이 좁게 형성되어 중앙부(36)에서 비틀림 변위되기 용이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보드 본체(12)의 전방부(35)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후방부(37)를 전후 방향의 축심(30) 주위에서 비틀림 변형시키기 용이하다.
보드 본체(12)의 중앙부(36)에는 관통 구멍(33)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보드 본체(12)의 중앙부(36)의 비틀림 변위를 보다 행하기 용이하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드 본체(12)의 후방부(37)의 저부에는 보드 본체(12)에 대하여 스케이터(11)의 후방으로 소정 각도만큼 하향하도록 경사진 경사면(26)을 갖는 쐐기 형상부(25)가 형성되어 있다. 이 쐐기 형상부(25)의 경사면(26)은 보드 본체(12)의 후방부(37)의 저면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이 쐐기 형상부(25)의 경사면(26)에 대하여 수진식 캐스터(21)의 브래킷(27)이 부착되어 있고, 수진식 캐스터(21)는 수진을 위한 중심축(28)이 지면(29)과의 수직 방향으로부터 스케이터(11)의 진행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하여 부착되어 있다.
수진식 캐스터(21)는 브래킷(27)에 대하여 수진을 위한 중심축 주위로 상대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부착된 리어(rear) 포크(22), 리어 포크(22)에 부착된 리어 샤프트(23), 및 리어 샤프트(23)의 축심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부착된 후방부 휠(24)로 구성된다.
보드 본체(12)를 비틀어 후방부(37)의 우측부가 하향하도록 전후 방향의 축심(30)의 주위로 경사지게 하면 수진식 캐스터(21)는 보드 본체(12)로부터 경사진 좌측 아래 방향으로 눌려져 후방부 휠(24)이 보드 본체(12)의 중심보다 좌측에 위치하도록 수진을 위한 중심축(28) 주위로 선회된다.
또한, 보드 본체(12)를 비틀어 후방부(37)의 좌측 부분이 하향하도록 전후 방향의 축심(30)의 주위로 경사지게 하면 수진식 캐스터(21)는 보드 본체(12)로부터 경사진 우측 아래 방향으로 눌려져 후방부 휠(24)이 보드 본체(12)의 중심보다 우측에 위치하도록 수진을 위한 중심축(28) 주위로 선회된다.
이와 같이, 보드 본체(12)를 후방부(37)의 우측 부분 또는 좌측 부분이 하향하도록 경사지게 하면 수진식 캐스터(21)가 보드 본체(12)로부터 경사진 아래 방향으로 눌려져서 보드 본체(12)를 하향한 측과 반대측으로 수진식 캐스터(21)를 크게 흔들 수 있다.
상기 구성의 스케이터(11)의 사용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보드 본체(12)를 비틀지 않을 경우의 스케이터(11)의 사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용자는 핸들(16)을 잡은 상태로 한쪽의 발, 예를 들면 좌측 발(41)을 보드 본체(12)에 올려놓고 다른쪽의 발, 예를 들면 우측 발(42)로 지면(29)을 차서 스케이터(11)에 추진력을 부여한다.
스케이터(11)가 부여된 추진력에 의해 주행을 시작하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는 손으로 핸들(16)을 잡고 좌측 발(41)을 보드 본체(12)의 전방부(35)에 올려놓음과 아울러 우측 발(42)을 보드 본체(12)의 후방부(37)에 올려놓아 스케이터(11)에 탑승한다. 또한, 우측 발(42)을 보드 본체(12)의 전방부(35)에 올려놓음과 아울러 좌측 발(41)을 보드 본체(12)의 후방부에 올려놓아 스케이터(11)에 탑승하여도 좋다.
스케이터(11)의 주행중에 보드 본체(12)를 지면(29)과 평행하게 유지하고, 또한 고정식 캐스터(17)의 전방부 휠(20)의 구름 방향이 보드 본체(12)의 전후 방향을 향하도록 핸들(16)을 유지하면 스케이터(11)는 직진 주행한다.
스케이터(11)의 주행중에 보드 본체(12)를 지면(29)과 평행 유지하면서 핸들(16)을 우측으로 꺽으면 고정식 캐스터(17)의 전방부 휠(20)의 구름 방향이 우측 방향으로 향해져서 스케이터(11)는 우측 방향으로 커브 주행한다.
스케이터(11)의 주행중에 보드 본체(12)를 지면(29)과 평행하게 유지하면서 핸들(16)을 좌측으로 꺽으면 고정식 캐스터(17)의 전방부 휠(20)의 구름 방향이 좌측 방향으로 향해져서 스케이터(11)는 좌측 방향으로 커브 주행한다.
상기 주행 방법은 수진식 캐스터(21)를 갖고 있지 않은 종래의 핸들이 부착된 2륜의 스케이터와 동일하다. 스케이터(11)는 추가로 이하와 같은 주행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스케이터(11)의 주행중에 고정식 캐스터(17)의 전방부 휠(20)의 구름 방향이 보드 본체(12)의 전후 방향을 향하도록 핸들(16)을 유지하면서 보드 본체(12) 전체를 우측으로 하향하도록 전후 방향의 중심축(30)의 주위로 경사지게 하면 수진식 캐스터(21)는 후방부 휠(24)이 보드 본체(12)의 중심보다 좌측에 위치되도록 수진을 위한 중심축(28) 주위로 선회된다. 이것에 의해, 평면으로 볼 때 후방부 휠(24)이 지면(29)을 굴러서 스케이터(11)를, 고정식 캐스터(17)를 중심으로 하여 후방부(37)가 원호를 그리도록 시계 방향으로 선회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핸들을 꺽지 않고 스케이터(11)를 우측 방향으로 커브 주행시킬 수 있다. 이때, 스케이터(11)의 선회 반경은 대략 스케이터(11)의 길이와 동일하게 되므로 스케이터(11)의 선회 반경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스케이터(11)의 주행중에 고정식 캐스터(17)의 전방부 휠(20)의 구름 방향이 보드 본체(12)의 전후 방향을 향하도록 핸들(16)을 유지하면서 보드 본체(12) 전체를 좌측으로 하향하도록 전후 방향의 중심축(30)의 주위로 경사지게 하면 수진식 캐스터(21)는 후방부 휠(24)이 보드 본체(12)의 중심보다 우측에 위치되도록 수진을 위한 중심축(28) 주위로 선회된다. 이것에 의해, 평면으로 볼 때 후방부 휠(24)이 지면(29)을 굴러서 스케이터(11)를, 고정식 캐스터(17)를 중심으로 하여 후방부(37)가 원호를 그리도록 반시계 방향으로 선회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핸들을 꺽지 않고 스케이터(11)를 우측 방향으로 커브 주행시킬 수 있다. 이때, 스케이터(11)의 선회 반경은 대략 스케이터(11)의 길이와 동일하게 되므로 스케이터(11)의 선회 반경을 작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케이터(11)의 주행중에 보드 본체(12)를 지면(29)과 평행하게 유지하면서 핸들(16)을 급격하게 좌측으로 꺽으면 보드 본체(12)는 전후 방향의 중심축(30)을 중심으로 하여 우측 부분이 하향하도록 경사지며 수진식 캐스터(21)가 보드 본체(12)로부터 경사진 좌측 아래 방향으로 눌려져서 후방부 휠(24)이 보드 본체(12)의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좌측의 위치로 이동된다. 그러면, 스케이터(11)는 전방부 휠(20) 및 후방부 휠(24)을 미끄러지게 하면서 경사진 우측 전방으로 주행된다. 사용자는 핸들(16)을 잡음으로써 보드 본체(12) 상에서 밸런스를 맞출 수 있으므로 핸들(16)을 꺽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이러한 주행을 할 수 있다.
보드 본체(12)를 지면(29)과 평행하게 유지하면서 핸들(16)을 급격하게 좌측으로 꺽은 경우도, 마찬가지로 하여, 스케이터(11)는 전방부 휠(20) 및 후방부 휠(24)을 미끄러지게 하면서 경사진 좌측 방향으로 주행된다.
이와 같이, 스케이터(11)의 보드 본체(12)에 비틀림을 가하지 않는 경우 스케이터(11)는 수진식 캐스터(21)를 갖고 있지 않은 종래의 핸들이 부착된 2륜의 스케이터와 동일한 주행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보드 본체(12)의 후방부(37)의 쐐기 형상부(25)의 경사면(26)에 부착된 수진식 캐스터(21)에 의해 고정식 캐스터(17)의 전방부 휠(20)을 중심으로 하여 수진식 캐스터(21)의 후방부 휠(24)을 지면(29)에 원호를 그리도록 굴릴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전방부(35)를 중심으로 하여 후방부(37)를 급각도로 흔들어 보드 본체(12)를 선회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수진식 캐스터(21)를 갖고 있지 않은 종래의 핸들이 부착된 2륜의 스케이터보다 선회 반경을 작게 할 수 있어 작은 회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어서, 보드 본체(12)를 비틀 경우의 스케이터(11)의 사용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보드 본체(12)를 비틀지 않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스케이터(11)는 최초의 시동 단계만은 보드 본체(12)에 한쪽의 발을 올려놓은 상태로 다른쪽의 발로 지면(29)을 차는 것에 의해 전방으로 진행시키기 위한 추진력을 스케이터(11)에 부여할 필요가 있다.
사용자가 발로 지면(29)을 차서 스케이터(11)의 주행을 시작할 때에 보드 본체(12)는 지면(29)과 평행하게 되어 있고, 수진식 캐스터(21)는 선회하고 있지 않고, 수진식 캐스터(21)의 후방부 휠(24)은 보드 본체(12)의 전후 방향을 향하고 있다. 이 때문에, 고정식 캐스터(17)의 전방부 휠(20)과 수진식 캐스터(21)의 후방부 휠(24) 모두가 보드 본체(12)의 전후 방향의 축심(30)과 평행 방향으로 된 상태에서 스케이터(11)는 주행한다.
스케이터(11)의 주행시에 있어서의 스케이터(11)로의 새로운 추진력의 부여는 이하와 같이 행해진다.
사용자는 좌측 발(41)을 전방부(35)에 올려놓고, 또한 우측 발(42)을 후방부(37)에 올려놓아 보드 본체(12)를 탑승한 상태로 체중 이동을 행한다. 우선, 예를 들면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드 본체(12)의 전방부(35)에 대하여 좌측 발(41)의 발가락끝 및 발뒤꿈치로부터 균등하게 하향하는 힘을 작용시킨 상태에서 보드 본체(12)의 후방부(37)의 우측 부분에 대하여 우측 발(42)의 발가락끝으로부터 하향하는 힘(FR)를 작용시킨다. 그러면, 보드 본체(12)에 대하여 전후 방향의 축심(30) 주위의 비틀리는 힘이 작용된다. 이것에 의해, 보드 본체(12)는 전방부(35)가 지면(29)과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후방부(37)가 전방부(35)에 대하여 스케이터(11)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시계 방향으로 비틀어짐 변위되고 보드 본체(12)의 후방부(37)의 우측 부분이 하향으로 경사진다(도 7). 보드 본체(12)의 후방부(37)의 우측 부분이 하향으로 경사지면 수진식 캐스터(21)는 수진을 위한 중심축(28)(도 4) 주위로 선회하고 수진식 캐스터(21)의 후방부 휠(24)이 보드 본체(12)의 중심보다 좌측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수진식 캐스터(21)의 후방부 휠(24)의 구름 방향이 보드 본체(12)의 전후 방향과 소정 각도(α)를 이루어 수진식 캐스터(21)가 전후 방향과 소정 각도(α)를 이룬 방향으로 지면을 구른다(도 8). 그러면, 평면으로 볼 때 보드 본체(12)의 후방부(37)가 고정식 캐스터(17)의 전방부 휠(20)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선회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보드 본체(12)를 탑승한 상태로 체중 이동을 행하는 것만으로 핸들(16)을 꺽지 않고 보드 본체(12)를 우측 방향으로 선회시킬 수 있다.
이어서, 보드 본체(12)를 비틀림 변위시킨 상태로부터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경우와 반대측으로 체중 이동을 행하여 보드 본체(12)의 후방부(37)에 있어서의 우측 부분에 대한 하향하는 힘(FR)을 해제한다. 그러면, 보드 본체(12)에 작용하는 비틀리는 힘이 해소되고, 그때, 보드 본체(12)의 비틀림 변위에 대응하여 보드 본체(12)가 초기 상태로 복원되는 힘이 수진식 캐스터(21)에 작용된다. 상세하게는, 이 복원력에 기인하여 수진식 캐스터(21)가 경사진 후방 하향으로 지면(29)을 누르는 힘이 작용되고, 이 누르는 힘의 반작용으로서 수진식 캐스터(21)를 통하여 경사진 전방으로 상향하는 힘이 지면(29)으로부터 보드 본체(12)에 작용된다. 이 경사진 전방으로 상향하는 힘 중 보드 본체(12)와 수평한 힘의 성분이 분력(FRI)이 되고, 또한 분력(FRI)의 보드 본체(12)의 전후 방향을 향하는 성분이 FRIcosα가 된다. 전후 방향을 향하는 성분 FRIcosα가 스케이터(11)를 전방으로 진행시키기 위한 추진력이 된다(도 8).
따라서, 사용자는 보드 본체(12)에 탑승한 상태로 체중 이동을 행하여 소망의 추진력을 얻을 수 있다.
분력(FRI)의 보드 본체(12)의 전후 방향과 직각인 방향을 향하는 성분은 FRIsinα가 된다. 전후 방향과 직각인 방향을 향하는 성분 FRIsinα에 의해 평면으로 볼 때 보드 본체(12)가 반시계 방향으로 선회되므로 스케이터(11)는 전체적으로 좌측 전방으로 커브 주행하게 된다(도 8).
그리고,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드 본체(12)의 전방부(35)에 대하여 좌측 발(41)의 발가락끝 및 발뒤꿈치로부터 균등하게 힘을 작용시킨 상태에서 보드 본체(12)의 후방부(37)의 좌측 부분에 대하여 우측 발(42)의 발뒤꿈치로부터 하향하는 힘(FL)을 작용시킨다. 그러면, 보드 본체(12)에 대하여 전후 방향의 축심(30) 주위의 비틀리는 힘이 작용된다. 이것에 의해, 보드 본체(12)는 전방부(35)가 지면(29)과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후방부(37)가 전방부(35)에 대하여 스케이터(11)의 진행 방향에 대해서 반시계 방향으로 비틀림 변위되고 보드 본체(12)의 후방부(37)의 좌측 부분이 하향으로 경사진다(도 9). 보드 본체(12)의 후방부(37)의 좌측 부분이 하향으로 경사지면 수진식 캐스터(21)는 수진을 위한 중심축(28)(도 4) 주위로 선회되고, 수진식 캐스터(21)의 후방부 휠(24)이 보드 본체(12)의 중심보다 우측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수진식 캐스터(21)의 후방부 휠(24)의 구름 방향이 보드 본체(12)의 전후 방향과 소정 각도(β)를 이루어 수진식 캐스터(21)가 전후 방향과 소정 각도(β)을 이룬 방향으로 지면을 구른다(도 10). 그러면, 평면으로 볼 때 보드 본체(12)의 후방부(37)가 고정식 캐스터(17)의 전방부 휠(20)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선회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보드 본체(12)를 탄 상태로 체중 이동을 행하는 것만으로 핸들(16)을 꺽지 않고 보드 본체(12)를 좌측 방향으로 선회시킬 수 있다.
이어서, 보드 본체(12)를 비틀림 변위시킨 상태로부터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경우와 반대측으로 사용자가 체중 이동을 행하여 보드 본체(12)의 후방부(37)에 있어서의 좌측 부분에 대하여 하향하는 힘(FL)을 해제한다. 그러면, 보드 본체(12)에 작용하는 비틀리는 힘이 해소되고, 그때 보드 본체(12)의 비틀림 변위에 대응하여 보드 본체(12)가 초기 상태로 복원되는 힘이 수진식 캐스터(21)에 작용된다. 상세하게는, 이 복원력에 기인하여 수진식 캐스터(21)가 경사진 후방 하향으로 지면(29)을 누르는 힘이 작용되고, 이 누르는 힘의 반작용으로서 수진식 캐스터(21)를 통하여 경사진 전방으로 상향하는 힘이 지면(29)으로부터 보드 본체(12)에 작용된다. 이 경사진 전방으로 상향하는 힘 중 보드 본체(12)와 수평한 힘의 성분이 분력(FLI)이 되고, 또한 분력(FLI)의 보드 본체(12)의 전후 방향을 향하는 성분이 FLIcosβ가 된다. 전후 방향을 향하는 성분 FLIcosβ가 스케이터(11)를 전방으로 진행시키기 위한 추진력이 된다(도 10).
따라서, 사용자는 보드 본체(12)에 탑승한 상태로 체중 이동을 행하여 소망의 추진력을 얻을 수 있다.
분력(FLI)의 보드 본체(12)의 전후 방향과 직각인 방향을 향하는 성분은 FLIsinβ가 된다. 직각인 방향을 향하는 성분 FLIsinβ에 의해 보드 본체(12)를 시계 방향으로 선회시키므로 스케이터(11)는 전체적으로 우측 전방으로 커브 주행하게 된다(도 10).
상기 체중 이동을 반복함으로써 보드 본체(12)가 교대로 비틀어진다. 보드 본체(12)의 비틀림에 대한 복원력에 의해 스케이터(11)는 우측 전방으로의 커브 주행과 좌측 전방으로의 커브 주행을 교대로 반복하여 사행 주행된다.
사용자가 보드 본체(12)를 교대로 비틀어서 추진력을 발생시키면서 스케이터(11)를 직진시키고 싶을 때에는 보드 본체(12)가 선회되려고 하는 방향과 반대측으로 핸들(16)을 꺽는다. 그러면, 보드 본체(12)를 좌우로 흔들면서 고정식 캐스터(17)의 전방부 휠(20)을 직진시킬 수 있다. 결과로서, 스케이터(11) 전체를 직진 주행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보드 본체(12) 상에서의 체중 이동을 멈추면 스케이터(11)는 지금까지의 주행의 기세에 의해서 타행한다.
사용자는 보드 본체(12) 상에서 체중 이동을 행할 때 핸들(16)을 잡음으로써 보드 본체(12) 상에서 밸런스를 확실하게 유지하면서 체중 이동에 의해 보드 본체(12)의 후방부(37)에 작용시키는 힘을 자유자재로 스위칭할 수 있고, 따라서 보드 본체(12)를 비트는 동작을 안정적으로 안전하게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보드 본체(12) 상에서 체중 이동을 행하여 스케이터(11)의 진행 방향의 축심(30)의 주위의 시계 방향과 반시계 방향으로 보드 본체(12)를 교대로 비틀림 변위시키는 것만으로 스케이터(11)를 전진시키기 위한 추진력을 얻을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보드 본체(12)를 교대로 비틀어 스케이터(11)를 주행시킬 때의 스케이터(11)의 주행 궤적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우측 발(42)에 의해 보드 본체(12)의 후방부(37)를 누르는 부분을 변경하는 주기를 비교적 긴 주기로 한 경우의 스케이터(11)의 주행 궤적을 나타낸다. 도 12는 우측 발(42)에 의해 보드 본체(12)의 후방부(37)를 누르는 부분을 변경하는 주기를 비교적 짧은 주기로 한 경우의 스케이터(11)의 주행 궤적을 나타낸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적 긴 주기로 보드 본체(12)의 후방부(37)를 누르는 부분을 변경하는 경우에 스케이터(11)는 파장이 긴 파형의 궤적을 그린다. 이 경우, 체중 이동에 의해 스케이터(11)에 부여되는 추진력은 작으므로 스케이터(11)의 주행 속도는 비교적 작아진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적 짧은 주기로 보드 본체(12)의 후방부(37)를 누르는 부분을 변경하는 경우에 스케이터(11)는 파장이 짧은 파형의 궤적을 그린다. 이 경우, 체중 이동에 의해 스케이터(11)에 주어지는 추진력은 크므로 비교적 긴 주기로 보드 본체(12)를 누르는 부분을 변경하는 경우에 비해 스케이터(11)의 주행 속도는 커진다.
도 13 및 도 14는 보드 본체(12)의 선회 궤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측 발(42)의 발가락끝으로부터 보드 본체(12)의 후방부(37)의 우측 부분을 하향으로 누르는 힘(FR)을 계속 작용시키면 보드 본체(12)는, 평면으로 볼 때, 고정식 캐스터(17)의 전방부 휠(20)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선회된다.
또한,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측 발(42)의 발뒤꿈치로부터 보드 본체(12)의 후방부(37)의 좌측 부분을 하향으로 누르는 힘(FL)을 계속 작용시키면 보드 본체(12)는, 평면으로 볼 때, 고정식 캐스터(17)의 전방부 휠(20)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선회된다.
이때, 핸들(16)의 방향은 보드 본체(12)의 전후 방향을 향하여 맞춰지려고 한다. 스케이터(11)는 보드 본체(12)가 비틀어지고 수진식 캐스터(21)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용이하게 이러한 주행을 할 수 있고, 그 선회 반경을 작게 할 수 있다.
실시형태 1에서는 보드 본체(12)의 후방부(37)의 저면에 수진식 캐스터(21)를 1개만 부착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보드 본체(12)의 후방부(37)의 저면에 복수개의 수진식 캐스터를 진행 방향에서 직렬로 배열되도록 배치하여도 좋고, 보드 본체(12)의 후방부(37)의 저면에 복수개의 수진식 캐스터를 진행 방향에서 병렬로 배열되도록 배치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보드 본체(12)의 후방부(37)의 저면에 복수개의 수진식 캐스터를 설치함으로써 스케이터의 주행 안정성이 향상된다.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 2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스케이터(51)를 경사진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형태 1에서는 보드 본체(12)의 비틀림 변형을 양호하게 행하도록 하기 위해서 보드 본체(12)의 중앙부(36)에 관통 구멍(33)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대하여, 실시형태 2에서는 보드 본체(52)에 관통 구멍을 형성하지 않고 그것을 대신하여 보드 본체(52)의 중앙부(56)의 좌우 방향의 폭을 실시형태 1의 보드 본체(12)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36)의 좌우 방향의 폭보다 좁게 형성하고, 또한 보드 본체(52)의 윤곽을 따라 형성되는 리브(58)의 높이를 중앙부에서 높게 하고 있다.
이 경우에도 보드 본체(52)는 전방부(55)에 대한 후방부(57)의 비틀림 변형을 양호하게 행하게 할 수 있고, 또한 탄성적인 복원력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보드 본체의 중앙부에 관통 구멍을 형성하는 경우보다 보드 본체(52)를 평면으로 볼 때 가늘게 형성할 수 있다. 보드 본체(52)의 중앙부(56)의 형상은 각기둥 형상이나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이러한 실시형태 2의 스케이터(51)의 구성에 의하면 실시형태 1의 스케이터(11)와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거둔다.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을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있어서의 스케이터(61)를 경사진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실시형태 1과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형태 3에서는 보드 본체(62)의 중앙부(66)의 관통 구멍(33)의 하부에 보드 본체(62)의 전방부(65)과 후방부(67)를 연결하는 보드 본체(12)의 전후 방향을 향하는 보강 바(63)가 설치되어 있다. 보강 바(63)는 금속으로 제작된 파이프이다. 도시되지 않지만, 보강 바(63)의 전단부에는 보강 바(63)를 보드 본체(62)의 전방부(65)의 하면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 플레이트가 용접된다. 이 부착 플레이트가 보드 본체(62)의 전방부(65)의 하면에 나사 고정되어 보강 바(63)는 고정된다. 보강 바(63)의 후단부는 보드 본체(62)의 후방부(67)에 형성된 둥근 구멍에 감입되어 이 둥근 구멍에 대하여 빼고 꽂는 것이 가능하게 지지된다.
실시형태 3의 스케이터(61)의 구성에 의하면 실시형태 1의 스케이터(11)와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거둔다.
또한, 실시형태 3의 스케이터(61)에서는 보드 본체(62)의 전후 방향으로 보강 바(63)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이 보강 바(63)에 의해 보드 본체(62)의 관통 구멍(33) 주변의 굴곡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 3의 스케이터(61)에서는 보드 본체(62)의 하부에 보강 바(63)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예를 들면, 계단 난간 등의 레일 상에 보강 바(63)을 접촉시킨 상태로 스케이터(61)를 미끄러지게 하여 주행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 4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있어서의 스케이터(71)을 경사진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실시형태 1과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형태 4에 있어서의 스케이터(71)에서는 보드 본체(72)가 나무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나무 재료가 일반적인 스케이트보드의 판으로서 사용되고 있는 나무로 제작된 판재이므로 보드 본체(72)는 전후단에서 전후 방향의 축심(30) 주위에서 상대적으로 탄성적인 비틀림 변형이 가능하다. 이러한 실시형태 4에 있어서의 스케이터(71)의 구성에 의하면,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스케이터(11)와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거둔다.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 5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있어서의 스케이터(81)를 경사진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실시형태 1과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형태 5에 있어서의 스케이터(81)에서는 보드 본체(82)가 금속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보드 본체(82)는 전후 방향의 축심(30) 주위에서 비틀림 변형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 5에 있어서의 스케이터(81)의 구성에 의하면,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스케이터(11)와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거둔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 1 ~ 실시형태 5에 있어서 보드 본체(82)의 강성이 높아서 보드 본체(82)에 비틀림 변형이 발생되기 어려운 경우에 사용자는 보드 본체(82)를 비틀지 않고 보드 본체(82)를 평면 상태로 유지하면서 발로 보드 본체(82)의 후방부를 좌우 방향으로 누르거나 보드 본체(82)를 좌우 방향으로 경사지게 함으로써 수진식 캐스터(21)를 선회시킬 수 있고 스케이터의 선회 반경을 작게 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 6을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6에 있어서의 스케이터(91)를 경사진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며, 도 20은 동 스케이터(91)의 측면도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실시형태 1과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스케이터(11)에서는 보드 본체(12)를 1장의 발판으로 구성하고 있었지만, 실시형태 6에 있어서의 스케이터(91)에서는 보드 본체(92)로서 전방의 발판(93) 및 후방의 발판(94) 2장의 판이 사용되고 있다.
이 스케이터(91)는 전방의 발판(93), 전방의 발판(93) 전단에 고정된 절첩 기구(13), 절첩 기구(13)에 고정된 핸들 지지부(14), 후방의 발판(94), 전방의 발판(93)과 후방의 발판(94)을 이격하여 연결하는 연결 요소로서의 비틀림 파이프(95), 수진을 위한 중심축이 스케이터의 진행 방향을 향해서 경사져서 후방의 발판(94)의 저면에 부착된 수진식 캐스터(21), 핸들 지지부(14)에 핸들 축(15)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핸들(16), 및 핸들(16)에 고정된 고정식 캐스터(17)를 구비한다.
전방의 발판(93) 및 후방의 발판(94)은 각각 예를 들면 합성 수지 재료에 의해 판 형상으로 성형된다. 전방의 발판(93)과 후방의 발판(94)은 금속으로 제작된 둥근 파이프로 구성되는 비틀림 파이프(95)를 통하여 전후 방향의 축심(30) 주위로 염전(捻轉)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비틀림 파이프(95)에 연결되는 전방의 발판(93)의 파이프 지지부(96)는 전방의 발판(93)의 후단부에 설치되고 후방의 발판(94)의 파이프 지지부(97)는 후방의 발판(94)의 전단부에 설치된다. 파이프 지지부(96) 및 파이프 지지부(97)는 전방의 발판(93) 및 후방의 발판(94)에 있어서 사용자의 발이 올려진 개소보다 폭이 좁게 형성된다. 비틀림 파이프(95)의 형상은 둥근 파이프에 한정되지 않고 각진 봉이나 그 밖의 형상이여도 좋다.
전방의 발판(93) 및 후방의 발판(94)은 사용자가 탑승하여도 지장이 없는 강성을 갖는 재료이면 어떤 재료를 사용하여도 좋고, 상술한 합성 수지 재료 이외에 예를 들면 나무 재료, 금속 재료를 사용하여도 좋다.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틀림 파이프(95)는 전방의 발판(93)의 파이프 지지부(96)에 고정된 내측의 파이프(99), 후방의 발판(94)의 파이프 지지부(97)에 고정된 홀더(100), 내측의 파이프(99)와 홀더(100)에 양단을 결합한 판 스프링(98), 및 홀더(100)에 고정된 판 스프링(98)을 덮는 외측의 파이프(101)를 구비하고 있다.
판 스프링(98)은 복원력을 작용시키는 부재이며 일단이 내측의 파이프(99)에 결합되고 타단이 홀더(100)에 결합되어 있다. 이 때문에, 판 스프링(98)은 내측의 파이프(99)와 홀더(100) 사이에 상대적인 비틀어지는 힘이 가해짐으로써 탄성 변형되고, 비틀어지는 힘이 해소되면 비틀림 파이프(95)를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회복시킨다.
실시형태 6의 스케이터(91)의 구성에 의하면, 실시형태 1의 스케이터(11)와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거둔다.
또한, 실시형태 6의 스케이터(91)에서는 스케이터(91)의 주행시에 스케이터(91)를 선회시키거나 스케이터(91)의 추진력을 발생시키기 위해서 전방의 발판(93) 및 후방의 발판(94)을 동일한 방향으로 하향하도록 좌우 방향으로 경사지게 한 경우 비틀림 파이프(95)의 판 스프링(98)의 복원력에 의해 전방의 발판(93)과 후방의 발판(94) 사이에 큰 비틀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사용자는 스케이터(91) 상에서의 밸런스를 맞추기 용이해져서 주행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 6의 스케이터(91)에서 전방의 발판(94), 비틀림 파이프(95), 및 후방의 발판(96)은 서로 분리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전방의 발판(94), 비틀림 파이프(95), 및 후방의 발판(96)을 분리함으로써 스케이터(91)가 콤팩트한 형상으로 되어 스케이터(91)의 보관 및 형태가 편리하게 된다.
또한, 실시형태 6의 스케이터(91)는 전방의 발판(94)과 후방의 발판(96)을 연결하는 비틀림 파이프(95)의 내부에 판 스프링(98)을 구비하지 않고, 비틀림 파이프(95)의 양측에 비틀림 파이프(95)와 평행하게 탄성 고무 등의 탄성체를 배치하여 전방의 발판(94)과 후방의 발판(96)의 양단을 탄성체에 설치한 구성이여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이여도 비틀림 파이프(95)를 통하여 전방의 발판(94)에 대하여 후방의 발판(96)을 상대적으로 비틀림 변형할 때 전방의 발판(94)과 후방의 발판(96)이 원래의 위치 관계로 돌아가는 복원력을 얻을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 7을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7에 있어서의 스케이터(111)를 경사진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며, 도 23은 동 스케이터(111)의 측면도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실시형태 6과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형태 7에 있어서의 스케이터(111)에는 실시형태 6의 비틀림 파이프(95)와 동일한 구성으로서 연결 부재 및 복원력을 작용시키는 부재인 비틀림 파이프(115)가 전방의 발판(113)과 후방의 발판(114)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전방의 발판(113)의 하부 및 후방의 발판(114)의 하부에 각각 비틀림 파이프(115)를 고정하기 위한 지지부(116,117)가 설치되어 있다.
실시형태 7의 스케이터(111)의 구성에 의하면, 실시형태 1의 스케이터(11)와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거둔다.
또한, 실시형태 7의 스케이터(111)에는 보드 본체(112)의 저부에 비틀림 파이프(115)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예를 들면, 계단 난간 등의 레일 상에 비틀림 파이프(115)를 접촉시킨 상태로 스케이터(111)를 미끄러지게 하여 주행시킬 수 있다.

Claims (10)

  1. 핸들이 부착된 2륜의 스케이터로서:
    전후 방향의 축심 주위에서 탄성적으로 비틀어질 수 있는 탑승부, 수진을 위한 중심축이 스케이터의 진행 방향을 향해서 경사져서 상기 탑승부의 후방부의 저면에 부착된 수진식 캐스터로 이루어지는 후륜, 핸들, 및 상기 핸들에 의해 조타되는 전륜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부는 전후 방향의 축심 주위에서 탄성적으로 비틀어질 수 있는 1장의 발판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의 중앙부에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의 중앙부는 상기 발판의 전방부 및 후방부보다 폭이 좁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의 하부에 상기 발판의 전방부와 후방부를 연결하는 보강 바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은 합성 수지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터.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은 나무로 제작된 판재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터.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은 금속의 판재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부는 전방의 발판 및 후방의 발판을 갖고, 상기 스케이터는 상기 전방의 발판 및 상기 후방의 발판을 서로 전후 방향의 축심 주위에서 상대적으로 비틀림 변위될 수 있도록 연결하는 연결 부재, 및 상기 비틀림 변위에 대한 복원력을 작용시키는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 및 상기 복원력을 작용시키는 부재는 상기 전방의 발판과 상기 후방의 발판의 저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터.
KR1020100109282A 2009-11-30 2010-11-04 스케이터 KR2011006079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71300 2009-11-30
JP2009271300 2009-11-30
JPJP-P-2010-046007 2010-03-03
JP2010046007 2010-03-03
JPJP-P-2010-127377 2010-06-03
JP2010127378 2010-06-03
JP2010127377 2010-06-03
JPJP-P-2010-127378 2010-06-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0798A true KR20110060798A (ko) 2011-06-08

Family

ID=43640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9282A KR20110060798A (ko) 2009-11-30 2010-11-04 스케이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10127740A1 (ko)
EP (1) EP2329866A1 (ko)
JP (1) JP2012011168A (ko)
KR (1) KR2011006079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121388D0 (en) * 2011-12-13 2012-01-25 Morrison Melvyn C Safe-pron
US8870200B2 (en) * 2012-03-27 2014-10-28 Razor Usa, Llc Scooter with rear swivel wheel
KR101748021B1 (ko) 2015-04-09 2017-06-15 연암공과대학교산학협력단 압전소자를 적용한 전동킥보드
KR101818125B1 (ko) 2015-04-09 2018-01-12 연암공과대학교산학협력단 압전소자를 적용한 전동킥보드
JP6253628B2 (ja) * 2015-07-16 2017-12-27 ジェイディジャパン株式会社 スクーターボード
USD839132S1 (en) 2016-08-03 2019-01-29 Radical Transport, Llc Wheeled vehicle
CN107685815A (zh) * 2016-08-03 2018-02-13 瑞迪克运输有限责任公司 个人车辆
JP1593302S (ko) 2016-09-02 2017-12-18
JP6151840B1 (ja) * 2016-11-25 2017-06-21 昊基 井手 キックスケーター
CN109603082B (zh) * 2018-11-28 2023-08-29 徐州蓝湖信息科技有限公司 可调节摇摆踏板组件
US11951382B2 (en) 2019-03-06 2024-04-09 Razor Usa Llc Powered wheeled board
CN114828968A (zh) 2019-09-18 2022-07-29 美国锐哲有限公司 具有可拆卸嵌件的脚轮板
CN111703531B (zh) * 2020-07-29 2021-08-24 永康市升飞休闲用品有限公司 一种变形切换式儿童滑板车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40455A (en) * 1994-02-23 1996-07-30 Chambers; Lile R. Articulating skateboard with springable connector
GB0004351D0 (en) * 2000-02-25 2000-04-12 Secr Defence Illumination and imaging devices and methods
JP2003047683A (ja) 2001-08-06 2003-02-18 Atlas Auto:Kk スケートボードおよびスケートボード用足掛け金具
FR2845612A1 (fr) * 2002-10-14 2004-04-16 S 3 S Planche de skateboard ou de glisse formee de deux plateaux separes
AU2003228124A1 (en) * 2003-05-30 2005-01-21 Se-Heung Yoon Twist skateboard
CN2714112Y (zh) * 2004-09-13 2005-08-03 江显灿 滑行板
US7766351B2 (en) * 2006-04-28 2010-08-03 Razor Usa, Llc One piece flexible skateboard
WO2009036074A2 (en) * 2007-09-10 2009-03-19 Wing On Trading, Llc Cam action caster assembly for ride-on devices
EP2143472B1 (en) * 2008-07-10 2015-09-02 J.D Components Co., Ltd. Two-piece skateboard with flexible rear support mem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127740A1 (en) 2011-06-02
JP2012011168A (ja) 2012-01-19
EP2329866A1 (en) 2011-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60798A (ko) 스케이터
JP7111684B2 (ja) 回転接続部を備えたスクーター
EP2285593B1 (en) Bi-directional propulsion caster
US6715779B2 (en) Exercise scooter with stunt features
KR102107263B1 (ko) 발로 추진하는 휠식 취미 및/또는 스포츠 기구
US6619678B2 (en) Scooter
US8128109B2 (en) Side movement propelled recreational device having extended rear support
US20090066150A1 (en) Cam Action Caster Assembly for Ride-On Devices
JP2007532278A (ja) 足推進式車輪付きホビー用具及び/又はスポーツ用具
US9321507B2 (en) Pole propelled velocipede
EP2285654B1 (en) Skating device
US8540265B2 (en) Manually propelled scooter
KR102310165B1 (ko) 구형 바퀴를 구비한 차량
JP2001178863A (ja) スケートボード
KR101074479B1 (ko) 렌칭 킥스쿠터
KR200465548Y1 (ko) 스케이트 보드
KR100987927B1 (ko) 보드
US20010026056A1 (en) Ride-on toy
KR20120000593A (ko) 이륜 보드
CN213057346U (zh) 滑板车
KR101002715B1 (ko) 테트라 보드
KR101123472B1 (ko) 수동식 스쿠터 안전발판장치
US1992698A (en) Toy vehicle for children
KR20100003972A (ko) 킥보드
KR20100003969A (ko) 킥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