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9354A - 자동차 - Google Patents

자동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9354A
KR20110059354A KR1020090116062A KR20090116062A KR20110059354A KR 20110059354 A KR20110059354 A KR 20110059354A KR 1020090116062 A KR1020090116062 A KR 1020090116062A KR 20090116062 A KR20090116062 A KR 20090116062A KR 20110059354 A KR20110059354 A KR 201100593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floor
coupled
battery
battery modu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6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재철
Original Assignee
(주)브이이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브이이엔에스 filed Critical (주)브이이엔에스
Priority to KR1020090116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59354A/ko
Publication of KR20110059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93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4Arrangement of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11Electric energy storages
    • B60Y2400/112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공간 활용을 극대화하여서 다수개의 배터리 모듈을 장착할 수 있는 자동차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는, 바닥을 형성하는 프론트 플로어 및 리어 플로어와, 상기 프론프 플로어 및 리어 플로어에 결합되고 전류를 생성하는 복수개의 배터리 모듈이 수용되는 배터리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케이스는 상기 프론트 플로어에 전후방향으로 결합되는 프론트 케이스와, 상기 리어 플로어에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배터리 모듈이 다수개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프론트 케이스보다 좌우 폭이 더 크게 형성되어서 상기 프론트 케이스에 결합되는 리어 케이스를 포함한다.
프론트 플로어, 리어 플로어, 배터리 모듈, 배터리 케이스, 배터리 캐리어

Description

자동차{An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배터리 모듈이 장착된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는 자체 엔진에서 동력을 생산해 바퀴에 전달하여 도로 상에서 승객이나 화물을 운반하는 교통 수단이다. 자동차는 크게 외관을 형성하는 차체(body)와 각종 장치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된 섀시(chassis)로 나눌 수 있다. 섀시는 주행의 원동력이 되는 자동차 엔진을 비롯하여 동력전달 장치, 조향 장치, 현가 장치, 제동 장치 등 주요 장치를 포함한다.
엔진은 자동차를 달리게 하는 원동력이다. 대부분의 자동차 엔진은 4행정 내연기관이다. 4행정 내연기관은 흡입, 압축, 폭발, 배기의 4행정에 의해 한 주기를 끝내는 내연기관으로 왕복운동 엔진의 가장 일반적인 예이다. 주로 휘발성 연료를 사용하는 내연기관은 연료를 공기 중의 산소와 완전연소가 이루어지도록 잘 혼합된 상태에서 압축을 한 다음 연소를 시킬 때 발생하는 열에너지를 직접 이용해 운동에 너지를 얻는다.
이러한 휘발성 연료를 사용하는 내연기관은 배기 가스로 인한 환경 오염과 석유 자원의 고갈을 일으켜 그 대안으로 전기를 동력으로 움직이는 전기자동차가 대두되었다. 전기자동차는 배기 가스나 소음이 없는 무공해 자동차이다. 그러나 높은 생산비용, 낮은 운행속도 그리고 짧은 운행거리로 인해 그 동안 실용화되지 못해왔다.
최근 들어 엄격해진 고유가와 배기가스 규제 강화가 전기 자동차 개발의 속도를 빠르게 하고 있으며, 시장 규모도 급성장 중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공간 활용을 극대화하여서 다수개의 배터리 모듈을 장착할 수 있는 자동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는, 바닥을 형성하는 프론트 플로어 및 리어 플로어와, 상기 프론프 플로어 및 리어 플로어에 결합되고 전류를 생성하는 복수개의 배터리 모듈이 수용되는 배터리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케이스는 상기 프론트 플로어에 전후방향으로 결합되는 프론트 케이스와, 상기 리어 플로어에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배터리 모듈이 다수개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프론트 케이스보다 좌우 폭이 더 크게 형성되어서 상기 프론트 케이스에 결합되는 리어 케이스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자동차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복수개의 배터리 모듈이 수용되는 배터리 케이스 중 리어 케이스가 프론트 케이스보다 좌우 폭이 더 크게 형성되어서, 상기 리어 케이스의 내부에 상기 배터리 모듈을 많이 수용할 수 있으므로, 자동차의 운행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 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자동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차체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를 나타내는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는, 모터 및 동력전달 계통의 부품을 탑재하는 전방 차체(100)와, 탑승자가 승차하여 착석할 수 있는 중앙 차체(200), 스페어 타이어 및 기타 물건 등을 보관할 수 있는 후방 차체(300)를 포함한다.
차체는 닫힌 공간을 만들어 그 내부에 각종 장치를 배치하고 탑승자나 화물을 수용한다. 일부를 개폐시켜 탑승자나 화물의 출입, 각종 장치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필요도 있다. 외부의 비나 바람, 먼지 등에서 탑승자나 화물, 각종 장치를 보호하는 것도 중요한 작용이다. 또한, 차체는 외관으로서 차체의 형상은 그대로 자동차의 형상으로 된다.
전방 차체(100)는 우물 정(井)자를 형성하며 모터 및 변속기가 구비된다. 전 방 차체(100)에는, 자동차의 진행 방향을 바꾸기 위하여 앞바퀴의 회전축 방향을 조절하는 조향 장치(110)와, 노면의 진동이 직접 차체에 닿지 않도록 하는 전륜 현가 장치(120)가 구비된다.
전방 차체(100)는 모터나 변속기, 각종 보조 기구류 등의 중량물이 집중되어 탑재되는 것을 비롯하여 전륜 현가 장치(120)의 앞바퀴를 지지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전륜 구동 자동차에서는 구동력도 전방 차체(100)가 담당한다.
전방 차체(100)는 사고 등으로 말미암아 강아 충격을 받을 경우 파손되어 충격을 흡수하여 차실에 강한 힘이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전방 차체(100)의 각 부품은 전방 차체에 볼트 또는 너트로 고정되거나 용접되어 있으며, 프론트 펜더, 후드 등 외판 부품만 분리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조향 장치(110)는 자동차를 운전자가 의도하는 방향으로 주행시키기 위하여 앞바퀴의 회전축 방향을 조절하는 장치이다.
전륜 현가 장치(120)는 차체에 대하여 앞바퀴를 상하 이외의 방향에는 적당한 강성에 의하여 지지하고, 상하 방향은 스프링, 감쇠 기구에 의하여 지지하는 것이다.
중앙 차체(200)는, 전방측 바닥을 형성하는 프론트 플로어(210)와, 프론트 플로어(210) 가운데 구비되며 배터리(600)가 장착되는 터널(230)과, 프론트 플로어의 양측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하부 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실 패널(229)을 포함한다.
중앙 차체(200)는 대부분 차실, 즉 탑승자 등이 탑승하는 장소로 되어 있기 때문에 내부 공간은 될수록 크게 한다.
프론트 플로어(210)는 차실 내의 바닥으로서 강도가 높고 면적이 넓은 패널이다. 프론트 플로어(210)의 좌우에는 각 필러의 베이스가 되는 사이드 실 패널(229)이 앞에서 뒤까지 연결되어 있다. 프론트 플로어(210)의 가운데에는 터널(230)이 구비된다.
터널(230)은 배터리(600)가 장착되도록 프론트 플로어(210)의 전후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인입되어 형성된다. 터널(230)의 양측은 프론트 플로어(210)와 결합된다. 터널(230)과 프론트 플로어(210)는 용접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터널(230)의 양측 가장자리 하측에는 배터리(600)을 지지하는 배터리 캐리어(700)가 결합된다. 배터리 캐리어(700)는 볼트 또는 너트로 터널(230)에 결합된다.
사이드 실 패널(229)은 사각 단면 구조로서 프론트 필러(미도시), 센터 필러(미도시) 또는 리어 휠 하우스(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 사이드 실 패널(229)은 프론트 플로어(210)의 양측 가장자리에 결합된다.
후방 차체(300)는 후방측 바닥을 형성하는 리어 플로어(310)를 포함한다. 후방 차체(300)에는 노면의 진동이 직접 차체에 닿지 않도록 하는 후륜 현가 장치(330)가 구비된다.
후방 차체(300)는 후륜 현가 장치(330)의 뒷바퀴를 지지할 필요가 있다. 또한, 후륜 구동 자동차에서는 구동력도 후방 차체(300)가 담당한다.
후륜 현가 장치(330)는 차체에 대하여 뒷바퀴를 상하 이외의 방향에는 적당한 강성에 의하여 지지하고, 상하 방향은 스프링, 감쇠 기구에 의하여 지지하는 것 이다.
배터리(600)는 상기 모터에 전류를 공급한다. 배터리(600)는 전류를 생성하는 복수개의 배터리 모듈(400)과,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모듈(400)을 외부에서 감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모듈(400)을 수용하는 배터리 케이스(500)를 포함한다.
복수개의 배터리 모듈(400)은 배터리 케이스(500) 내에 서로 연결되어서, 자동차를 운행시킬 수 있는 크기의 전류를 생성하여 상기 모터로 공급한다.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배터리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는 배터리 모듈의 상세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배터리 모듈(400)은 외관을 형성하는 카트리지(440)와, 카트리지(440)에 적층되어 구비되고 전류를 생성하는 복수개의 셀모듈(410)과, 카트리지(440)에 구비되고 복수개의 셀모듈(410)의 측면에 구비되어 복수개의 셀모듈(410)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흡수하는 냉각판(4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카트리지(440)는 각각의 셀모듈(410)이 수용되는 셀모듈 케이스(441)와, 셀모듈 케이스(441)가 적층되도록 셀모듈 케이스(441)를 지지하는 카트리지 패널(443)을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적층된 셀모듈 케이스(441)의 상부에 추가적인 카트리지 패널(443)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셀모듈(410)은 전류를 생성한다. 셀모듈(410)에서 생성된 전류가 자동차를 구동하는 전류로서 작동한다. 셀모듈(410)은 복수개 셀이 적층되어 이루어져서 각 각의 셀모듈 케이스(441)에 수용되어 셀모듈 케이스(441)와 함께 카트리지 패널(443)에 적층된다.
복수개의 셀모듈 케이스(441)와 카트리지 패널(443)은, 볼트(450)와 같은 체결부재가 차례로 관통하여 서로 결합된다.
냉각판(420)에는 냉각수가 유동되어서, 적층된 복수개의 셀모듈(410)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흡수하여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배터리 케이스 및 배터리 캐리어가 차체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배터리 케이스 및 배터리 캐리어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배터리 케이스(500)는 T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앙 차체(200)에 구비된 프론트 플로어(210) 및 후방 차체(300)의 리어 플로어(310)에 장착된다.
배터리 케이스(500)는 프론트 플로어(210)에 결합되는 프론트 케이스(520)와, 리어 플로어(310)에 결합되는 리어 케이스(540)를 포함한다. 여기서, 리어 케이스(540)는 배터리 모듈(400)이 다수개 수용될 수 있도록 프론트 케이스(520)보다 좌우 폭이 더 크게 형성되어서 프론트 케이스(520)와 결합된다. 따라서, 리어 케이스(540)의 내부에 배터리 모듈(400)을 많이 수용할 수 있으므로, 자동차의 운행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520)는 프론트 플로어(210)의 하측에서 터널(230)로 삽입되고, 리어 케이스(540)는 리어 플로어(310)의 양측에 전후방향을 따라 각각 결합된 리어 사이드 멤버(320) 및 리어 플로어(310)의 좌우방향을 따라 결합된 리어 크로스 멤버(340) 사이로 삽입된다.
터널(230)은 가장자리에 배터리 캐리어(700)의 전방부가 결합되도록 돌출된 캐리어 결합부(233)가 형성되고, 리어 사이드 멤버(320) 및 리어 크로스 멤버(340)는 배터리 캐리어(700)의 후방부가 결합되도록 리어 플로어(310)의 하측에 돌출되어 결합된다.
한편, 리어 케이스(540)에는 프론트 케이스(520)와 결합되기 위한 프론트 케이스 결합부(549)가 프론트 케이스(520)를 향하는 측에 형성된다. 프론트 케이스 결합부(549)는 리어 케이스(540)에 일체로 형성되어 볼트를 통해 프론트 케이스(520)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론트 케이스 결합부(549)는 리어 케이스(540)에 형성되지 아니하고, 프론트 케이스(520)와 일체로 형성되어 리어 케이스(540)에 볼트를 통해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프론트 케이스 결합부(549)는 리어 케이스(540)에 형성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프론트 케이스 결합부(549)는 프론트 케이스(520)와 결합되어서, 프론트 케이스(520)와 함께 이루는 내부에 복수개의 배터리 모듈(400) 중 하나가 배열된다.
프론트 케이스(520)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배터리 모듈(400) 중 일부가 전후방향을 따라 1열로 배열되고, 리어 케이스(540)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배터리 모듈(400) 중 나머지가 전후방향을 따라 2열로 배열된다. 이 때, 리어 케이스(540)에는 프론트 케이스(520)보다 더 많은 개수의 배터리 모듈(400)이 배열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프론트 케이스(520) 및 프론트 케이스(520)와 결합되는 프론트 케이스 결 합부(549)의 내부에 배터리 모듈(400) 4개가 전후방향 따라 1열로 배열되고, 리어 케이스(540)의 내부에는 배터리 모듈(400) 8개가 전후방향을 따라 2열로 배열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예시하였다.
이와 같이, 프론트 케이스(520)의 내부에 복수개의 배터리 모듈(400) 중 일부가 전후방향을 따라 1열로 배열되면, 프론트 케이스(520)를 프론트 플로어(210)의 가운데에 구비된 터널(230)에 삽입하여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자동차의 측면 충돌시에 배터리 모듈(400)이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자동차뿐만 아니라 기존의 자동차에도 프론트 플로어(210)에 터널(230)이 구비되어 있고, 리어 플로어(310)에는 연료탱크가 구비되어 있는 바, 프론트 케이스(520)의 내부에 복수개의 배터리 모듈(400) 중 일부를 전후방향을 따라 1열로 배열하여서 상기 기존의 자동차의 터널(230)에 장착하고, 리어 케이스(540)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배터리 모듈(400) 중 나머지를 전후방향을 따라 2열로 배열하여서 상기 기존의 자동차의 연료탱크가 장착되던 부분에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기존의 자동차에도 구조적 변경을 최소화하여 복수개의 배터리 모듈(400)이 수용된 배터리 케이스(500)를 장착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520) 및 리어 케이스(540)는, 복수개의 배터리 모듈(400)이 수용될 수 있도록 상하부로 구분된 상부 케이스(522,542) 및 하부 케이스(524,544)를 각각 포함한다. 또한, 프론트 케이스 결합부(549)도 상부 케이스(546) 및 하부 케이스(548)를 포함한다.
상부 케이스(522,542)는 서로 볼트를 통해 결합되고, 하부 케이스(524,544) 는 서로 결합된 상부 케이스(522,542)에 볼트를 통해 결합됨으로서 상부 케이스(522,542)에 의해 지지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리어 케이스(540)에 프론트 케이스 결합부(549)가 형성되기 때문에, 상부 케이스(522) 및 프론트 케이스 결합부(549)의 상부 케이스(546)가 서로 볼트를 통해 결합되어서 상부 케이스(522,546,542)가 서로 결합되고, 하부 케이스(524,548,544)는 서로 결합된 상부 케이스(522,546,542)에 볼트를 통해 결합됨으로서 상부 케이스(522,546,542)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하부 케이스(524,544)에는 복수개의 배터리 모듈(400)이 안착되는 배터리 모듈 안착부(525,545)가 각각 형성된다. 하부 케이스(524,544) 중 프론트 케이스(520)의 하부 케이스(524)에는 복수개의 배터리 모듈(400)이 전후방향을 따라 1열로 배열될 수 있도록 배터리 모듈 안착부(525)가 1열로 형성되고, 리어 케이스(540)의 하부 케이스(544)에는 복수개의 배터리 모듈(400)이 전후방향을 따라 2열로 배열될 수 있도록 배터리 모듈 안착부(545)가 2열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프론트 케이스(520)의 하부 케이스(524) 및 프론트 케이스 결합부(549)의 하부 케이스(548)에 배터리 모듈(400) 4개가 전후방향을 따라 1열로 배열될 수 있도록 배터리 모듈 안착부(525)가 1열로 4개 형성되고, 리어 케이스(540)의 하부 케이스(544)에는 배터리 모듈(400) 8개가 전후방향을 따라 2열로 배열될 수 있도록 배터리 모듈 안착부(545)가 2열로 8개 형성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예시하였다.
한편, 배터리 캐리어(700)는 프론트 케이스(520) 및 리어 케이스(540)를 지지한다. 배터리 캐리어(700)는 볼트 또는 너트로 중앙 차체(200) 및 후방 차 체(300)와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배터리 캐리어(700)는 프론트 케이스(520) 및 리어 케이스(540)의 하측에 배치되어, 프론트 플로어(210) 및 리어 플로어(310)에 결합됨으로서, 프론트 케이스(520) 및 리어 케이스(540)를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배터리 캐리어(700)는 전방부가 프론트 플로어(210)에 결합된 터널(230)의 캐리어 결합부(233)와 결합되고, 후방부는 리어 플로어(310)에 결합된 리어 사이드 멤버(320) 및 리어 크로스 멤버(340)에 결합됨으로서, 프론트 케이스(520) 및 리어 케이스(540)를 지지한다.
배터리 캐리어(700)는 프론트 플로어(210) 및 리어 플로어(310)에 좌우방향으로 결합되는 복수개의 제1 지지부재(720)와, 상기 복수개의 제1 지지부재(720)를 연결하도록 상기 복수개의 제1 지지부재(720)에 수직한방향으로 결합되는 복수개의 제2 지지부재(7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지지부재(720)는 자동차 충돌시에 좌우방향의 충격을 보강하게 되고, 제2 지지부재(740)는 제1 지지부재(720)에 수직한방향으로 결합되어서 전후방향의 충격을 보강하게 되어서, 배터리(600)에 충격이 가해져서 배터리(60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1 지지부재(720) 중 리어 케이스(540)를 지지하는 것은, 가장자리가 리어 플로어(310)를 향해 돌출되어서 리어 사이드 멤버(320) 및 리어 크로스 멤버(340)와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배터리(600)를 프론트 플로어(210) 및 리어 플로어(310)에 조립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프론트 케이스(520)의 하부 케이스(524)와 리어 케이스(540)의 하부 케이스(544)를 준비하여서 T형상으로 배치시킨다.
이후, 하부 케이스(524,544)에 형성된 각각의 배터리 모듈 안착부(525,545)에 배터리 모듈(400)을 하나씩 안착시키고 서로 연결한다.
이후, 프론트 케이스(520)의 상부 케이스(522)와, 리어 케이스(540) 상부 케이스(542) 중 프론트 케이스 결합부(549)의 상부 케이스(546)를 볼트를 통해 결합하여서, 상부 케이스(522,542)를 서로 결합한다.
이후, 서로 결합된 상부 케이스(522,542)를 복수개의 배터리 모듈(400)이 안착된 하부 케이스(524,544)에 씌운 후 하부 케이스(524,544)와 볼트를 통해 결합하여서, 배터리(600)를 완성한다.
이후, 완성된 배터리(600)를 배터리 캐리어(700)에 안착시킨다.
이후, 배터리 캐리어(700)의 전방부를 프론트 플로어(210)에 결합된 터널(23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캐리어 결합부(233)에 결합함으로서 프론트 케이스(520)는 터널(230)로 삽입된 채로 배터리 캐리어(700)에 의해 지지되고, 배터리 캐리어(700)의 후방부는 리어 플로어(310)에 결합된 리어 사이드 멤버(320) 및 리어 크로스 멤버(340)에 결합함으로서 리어 케이스(540)가 리어 사이드 멤버(320) 및 리어 크로스 멤버(340) 사이로 삽입된 채로 배터리 캐리어(700)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는 복수개의 배터리 모듈(400)이 수용되는 배터리 케이스(500) 중 리어 케이스(540)가 프론트 케이스(520)보다 좌우 폭이 더 크게 형성되어서, 리어 케이스(540)의 내부에 배터리 모듈(400)을 많이 수용할 수 있으므로, 자동차의 운행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차체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를 나타내는 일부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배터리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는 배터리 모듈의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배터리 케이스 및 배터리 캐리어가 차체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배터리 케이스 및 배터리 캐리어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0: 전방 차체 110: 조향 장치
120: 전륜 현가 장치 200: 중앙 차체
210: 프론트 플로어 229: 사이드 실 패널
230: 터널 233: 캐리어 결합부
300: 후방 차체 310: 리어 플로어
320: 리어 사이드 멤버 330: 후륜 현가 장치
340: 리어 크로스 멤버 400: 배터리 모듈
500: 배터리 케이스 520: 프론트 케이스
540: 리어 케이스 549: 프론트 케이스 결합부
600: 배터리 700: 배터리 캐리어
720: 제1 지지부재 740: 제2 지지부재

Claims (8)

  1. 바닥을 형성하는 프론트 플로어 및 리어 플로어;
    상기 프론프 플로어 및 리어 플로어에 결합되고, 전류를 생성하는 복수개의 배터리 모듈이 수용되는 배터리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케이스는,
    상기 프론트 플로어에 전후방향으로 결합되는 프론트 케이스와,
    상기 리어 플로어에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배터리 모듈이 다수개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프론트 케이스보다 좌우 폭이 더 크게 형성되어서 상기 프론트 케이스에 결합되는 리어 케이스를 포함하는 자동차.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모듈 중 일부가 1열로 배열되고,
    상기 리어 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프론트 케이스에 배열되는 개수보다 더 많은 개수를 가지는 나머지 배터리 모듈이 2열로 배열되는 자동차.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리어 케이스에는 상기 프론트 케이스와 결합되는 프론트 케이스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 케이스 결합부는 상기 프론트 케이스와 결합되어서, 상기 프론트 케이스와 함께 이루는 내부에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모듈 중 하나가 배열되는 자동차.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플로어 및 리어 플로어에 결합되어, 상기 프론트 케이스 및 리어 케이스를 지지하는 배터리 캐리어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플로어의 전후방향을 따라 결합되며, 상기 프론트 케이스가 장착되는 터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터널은 가장자리에 상기 배터리 캐리어가 결합되도록 돌출된 캐리어 결합부가 형성된 자동차.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리어 플로어에는 전후방향을 따라 돌출된 리어 사이드 멤버가 양측에 각각 결합되고, 좌우방향을 따라 돌출된 리어 크로스 멤버가 결합되며,
    상기 배터리 캐리어는 상기 리어 사이드 멤버 및 리어 크로스 멤버에 결합되는 자동차.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캐리어는, 상기 프론트 플로어 및 리어 플로어에 좌우방향으로 결합되는 복수개의 제1 지지부재와, 상기 복수개의 제1 지지부재를 연결하도록 상기 복수개의 제1 지지부재에 수직한방향으로 결합되는 복수개의 제2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자동차.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케이스 및 리어 케이스는,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모듈이 수용될 수 있도록 상하부로 구분된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하부 케이스에는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모듈이 안착되는 배터리 모듈 안착부가 각각 형성된 자동차.
KR1020090116062A 2009-11-27 2009-11-27 자동차 KR201100593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6062A KR20110059354A (ko) 2009-11-27 2009-11-27 자동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6062A KR20110059354A (ko) 2009-11-27 2009-11-27 자동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9354A true KR20110059354A (ko) 2011-06-02

Family

ID=44394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6062A KR20110059354A (ko) 2009-11-27 2009-11-27 자동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59354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40245A (ko) * 2012-06-14 2013-12-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고전압 배터리팩
KR101429749B1 (ko) * 2013-07-19 2014-08-12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장착장치
KR20170065771A (ko) * 2015-12-04 2017-06-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셀들의 배열 방향이 상이한 전지모듈들을 포함하고 있는 전지팩
KR20170065832A (ko) * 2015-12-04 2017-06-14 주식회사 엘지화학 3층 적층 구조의 전지팩용 베이스 플레이트
KR102029678B1 (ko) * 2018-07-16 2019-10-1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가변형 전기차 플랫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40245A (ko) * 2012-06-14 2013-12-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고전압 배터리팩
KR101429749B1 (ko) * 2013-07-19 2014-08-12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장착장치
KR20170065771A (ko) * 2015-12-04 2017-06-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셀들의 배열 방향이 상이한 전지모듈들을 포함하고 있는 전지팩
KR20170065832A (ko) * 2015-12-04 2017-06-14 주식회사 엘지화학 3층 적층 구조의 전지팩용 베이스 플레이트
KR102029678B1 (ko) * 2018-07-16 2019-10-1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가변형 전기차 플랫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055936A2 (ko) 자동차
KR20120012655A (ko) 전기자동차
KR20110059354A (ko) 자동차
KR20110059353A (ko) 자동차
KR101807203B1 (ko) 차량용 하부 차체 프레임
KR101786263B1 (ko) 배터리 장착 위치를 개선한 하이브리드 자동차
KR20110101458A (ko) 자동차
KR20120057674A (ko) 전기자동차
KR20130025239A (ko) 전기자동차
KR20130040558A (ko) 전기자동차
KR20130068985A (ko) 전기자동차
KR20110059351A (ko) 자동차
KR20120012656A (ko) 전기자동차
KR20130068961A (ko) 전기자동차
KR20110081607A (ko) 자동차
KR20110048852A (ko) 전기 자동차
KR101901299B1 (ko) 전기자동차
KR20120005721A (ko) 전기자동차
KR20110081619A (ko) 자동차
KR20110115420A (ko) 자동차
KR20130072639A (ko) 전기자동차
KR20110048855A (ko) 자동차
KR20110048856A (ko) 자동차
KR20110115422A (ko) 자동차
KR20110115424A (ko) 자동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