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5203A -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모드에 기초한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지털 기기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모드에 기초한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지털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5203A
KR20110055203A KR1020090112133A KR20090112133A KR20110055203A KR 20110055203 A KR20110055203 A KR 20110055203A KR 1020090112133 A KR1020090112133 A KR 1020090112133A KR 20090112133 A KR20090112133 A KR 20090112133A KR 20110055203 A KR20110055203 A KR 201100552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item
mode
display device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2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진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2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55203A/ko
Priority to US12/842,326 priority patent/US20110115688A1/en
Priority to EP10188177A priority patent/EP2362305A1/en
Publication of KR20110055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52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4Display of multiple view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모드에 기초한 디스플레이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본 디스플레이 제어방법은, 제1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아이템을 제2 디스플레이 장치로 이동시켜 표시해야 할 상황이 발생되면,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모드가 아이템을 표시할 수 있는 모드인 경우 아이템을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로 이동시켜 표시한다.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가 아이템이 나타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모드로 동작 중인 경우에만, 아이템을 디스플레이 장치로 이동시켜 표시하게 되므로, 이동된 아이템을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볼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PC, 모니터, DTV, 윈도우, 이동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모드에 기초한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지털 기기{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ccording to operation mode of display apparatus and digital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PC에 여러 대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디스플레이 방식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나의 PC에 여러 대의 모니터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빈번해졌으며, DTV가 PC로부터 입력되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게 된 이후로 DTV를 모니터로 사용하는 경우 역시 빈번해지고 있다.
모니터의 입력 소스는 대부분이 PC이다. 즉, 모니터는 PC에서 수신되는 화면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됨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DTV는 PC로부터 수신되는 화면 보다는 TV 시청을 위해 사용됨이 일반적이다.
DTV를 통해 PC로부터 수신되는 화면이 나타나도록 하려면, DTV의 동작 모드를 PC 모드로 설정하여 주어야 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 DTV는 PC에서 수신되는 화면을 표시할 수 없으며, 이는 DTV가 다른 모니터와 함께 한 대의 컴퓨터에 듀얼 로 연결된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아이템을 이동시켜 표시해야 할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모드를 기초로, 아이템을 이동시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방법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들 중 제1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아이템을,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들 중 제2 디스플레이 장치로 이동시켜 표시해야 할 상황이 발생되면,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모드를 파악하는 단계; 및 상기 파악 단계에서 파악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모드가 상기 아이템을 표시할 수 있는 모드로 판단되면, 상기 아이템을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로 이동시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디스플레이 제어방법은, 상기 파악 단계에서 파악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모드가 상기 아이템을 표시할 수 없는 모드로 판단되면, 상기 아이템이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로 이동되어 표시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아이템이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에 마련된 디스플레이 내에서만 이동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아이템을 표시할 수 있는 모드는, 상기 아이템을 생성하는 장치에서 수신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모드이고, 상기 아이템을 표시할 수 없는 모드는, 상기 아 이템을 생성하는 장치에서 수신되는 영상 이외의 다른 영상을 표시하는 모드일 수 있다.
본 디스플레이 제어방법은, 상기 파악 단계에서 파악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모드가 상기 아이템을 표시할 수 없는 모드로 판단되면,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모드가 상기 아이템을 표시할 수 있는 모드로 전환된 후에 상기 아이템을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로 이동시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디스플레이 제어방법은, 상기 파악 단계에서 파악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모드가 상기 아이템을 표시할 수 없는 모드로 판단되면, 상기 아이템을 표시할 수 있는 모드로 전환하도록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에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디스플레이 제어방법은,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모드 전환 완료 응답을 수신하면, 상기 아이템을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이템을 표시할 수 있는 모드는, 상기 아이템을 생성하는 장치에서 수신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모드이고, 상기 아이템을 표시할 수 없는 모드는, 상기 아이템을 생성하는 장치에서 수신되는 영상 이외의 다른 영상을 표시하는 모드일 수 있다.
상기 아이템을 생성하는 장치는, 컴퓨터일 수 있다.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는, 모니터 및 방송수신장치 중 어느 하나이고, 상 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는, 방송수신장치일 수 있다.
상기 아이템은, 윈도우, 위젯, 아이콘 및 그래픽 컨트롤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기기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될 화면을 생성하는 비디오 생성부; 및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들 중 제1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화면에 나타난 아이템을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들 중 제2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화면으로 이동시켜 표시해야 할 상황이 발생되면,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모드를 파악하고, 파악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모드가 상기 아이템을 표시할 수 있는 모드로 판단되면, 상기 아이템이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화면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파악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모드가 상기 아이템을 표시할 수 없는 모드로 판단되면, 상기 아이템이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화면으로 이동되어 표시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아이템을 표시할 수 있는 모드는, 상기 아이템을 생성하는 장치에서 수신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모드이고, 상기 아이템을 표시할 수 없는 모드는, 상기 아이템을 생성하는 장치에서 수신되는 영상 이외의 다른 영상을 표시하는 모드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파악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모드가 상기 아이템을 표시할 수 없는 모드로 판단되면,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모드가 상기 아이템을 표시할 수 있는 모드로 전환된 후에 상기 아이템이 상기 제2 디스플 레이 장치에 표시된 화면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는, 모니터 및 방송수신장치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는, 방송수신장치일 수 있다.
상기 아이템은, 윈도우, 위젯, 아이콘 및 그래픽 컨트롤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외부 장치에서 전송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 장치에서 전송되는 영상을 입력받는 입력부; 디스플레이;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모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동작 모드 변경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되는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장치에서 전송되는 영상은,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영상에 나타난 아이템이 이동되어 나타난 영상이다.
상기 외부 장치는, 상기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영상에 나타난 아이템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마련된 디스플레이로 이동시키기 위한 사용자의 조작이 입력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에 동작 모드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아이템은, 윈도우, 위젯, 아이콘 및 그래픽 컨트롤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아이템을 이동시켜 표시해야 할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모드를 기초로, 아이템을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가 아이템이 나타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모드로 동작 중인 경우에만, 아이템을 디스플레이 장치로 이동시켜 표시하게 되므로, 이동된 아이템을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볼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1.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컴퓨팅 시스템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컴퓨팅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컴퓨팅 시스템은 PC(100)에 모니터(200)와 DTV(300)가 듀얼로 연결되어 구축된다.
'모니터(200)와 PC(100)' 및 'DTV(300)와 PC(100)'는 DVI, D-Sub 또는 HDMI 연결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하지만, 열거한 연결 방식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열거하지 않은 다른 연결 방식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모니터(200)와 DTV(300)가 PC(100)에 듀얼로 연결되어 있는 관계로, PC(100)에서 실행 중인 태스크들 중 일부는 모니터(200)에 표시되고, 다른 일부는 DTV(300)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PC(100)의 태스크 실행결과가 나타난 윈도우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모니터(200)에서 DTV(300)로, 또는 그 반대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2. PC
이하에서는, 도 1에 도시된 컴퓨팅 시스템을 구성하는 PC(100)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C(100)의 상세 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100)는 저장부(110), 비디오 생성부(120), CPU(130), 조작부(14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50)를 구비한다.
저장부(110)는 태스크 수행을 위해 실행하여야 하는 프로그램들과 이 프로그램을 구동하는데 필요한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저장부(110)에는 후술할 '도 4와 도 6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제어방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작성된 프로그램도 저장되어 있다.
비디오 생성부(120)는 1) 모니터(200)에 표시될 화면을 생성하여 모니터(200)로 전달하고, 2) DTV(300)에 표시될 화면을 생성하여 DTV(300)로 전달한다. 비디오 생성부(120)에 의한 비디오 생성은, 후술할 CPU(130)에 의해 제어된다.
조작부(140)는 사용자 명령을 CPU(130)로 전달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키보드, 마우스 등으로 구현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50)는 외부 기기 또는 외부 네트워크와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여기서, 외부 기기에는 DTV(300)가 포함되고, 외부 네트워크에는 인터넷, LAN 등이 포함된다.
CPU(130)는 조작부(140)를 통해 사용자가 명령한 태스크들을 수행하기 위해 저장부(11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하고, 실행 결과를 비디오 생성부(120)로 전달한다.
또한, CPU(130)는 DTV(300)의 동작 모드에 따라, 1) 비디오 생성부(120)의 비디오 생성 동작을 제어하는 방식이나, 2) 자동으로 DTV(300)의 모드를 변경하는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제어를 수행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4 및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3. DTV
이하에서는, 도 1에 도시된 컴퓨팅 시스템을 구성하는 DTV(300)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300)의 상세 블럭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DTV(300)는 방송 수신부(310), 영상 처리부(320), 디스플레이(330), 외부 입력부(340), 제어부(35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60)를 구비한다.
방송 수신부(310)는 공중(Air) 또는 케이블을 통해 무선 또는 유선으로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복조한다.
외부 입력부(340)는 연결된 외부 기기로부터 영상을 입력받는다. 컴퓨팅 시스템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현된 경우, 외부 입력부(340)는 PC(100)의 비디오 생성부(120)로부터 전달되는 영상을 수신하게 된다.
영상 처리부(320)는 방송 수신부(310)를 통해 전달되는 방송 신호와 외부 입력부(340)를 통해 전달되는 영상 신호에 필요한 영상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필요한 영상 신호처리에는 영상 디코딩, 영상 스케일링, FRC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330)는 영상 처리부(320)에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가 나타내는 화면이 표시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60)는 외부 기기 또는 외부 네트워크와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여기서, 외부 기기에는 PC(100)가 포함되고, 외부 네트워크에는 인터넷, LAN 등이 포함된다.
제어부(350)는 DTV(300)의 동작 모드에 대한 정보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60)를 통해 PC(100)로 전달한다. 그리고, 제어부(350)는 PC(100)의 요청이 있는 경우, DTV(300)의 동작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4. 디스플레이 제어
이하에서는, PC(100)의 CPU(130)와 DTV(300)의 제어부(350)가 상호 통신하여, 디스플레이 제어를 수행하는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특히, CPU(130)가 DTV(300)의 동작 모드를 파악하고, 파악된 동작 모드에 따라, 1) 비디오 생성부(120)의 비디오 생성 동작을 제어하는 방식과, 2) 자동으로 DTV(300)의 모드를 변경하는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제어를 수행하는 과정에 대해, 이하에서 하나씩 설명한다.
4.1. 윈도우 이동 제한 방식
도 4는 윈도우 이동 제한 방식에 의한 디스플레이 제어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스크 수행결과가 나타난 윈도우를 모니터(200)에서 DTV(300)로 이동시켜야 하는 상황이 발생되면(S410-Y), CPU(13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50)를 통해 DTV(300)에 현재 동작 모드를 문의하고, 문의 결과로 DTV(300)의 현재 동작 모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S420).
S410단계에서 윈도우를 모니터(200)에서 DTV(300)로 이동시켜야 하는 상황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발생 됨이 일반적이지만, 사용자의 조작이 없어도 자동으로 이동시켜야 할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위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란, 사용자가 모니터(200)에 표시된 윈도우를 DTV(300)로 드래그하는 경우가 대표적이다.
S420단계에서 수신된 DTV(300)의 현재 동작 모드가 'PC 모드'인 경우(S430-Y), CPU(130)는 윈도우를 DTV(300)로 이동시킨다(S440).
여기서, 'PC 모드'는 PC(100)에서 전달되는 화면이 디스플레이(330)에 표시되는 모드를 말한다.
S440단계 수행 결과, 비디오 생성부(120)에서 생성되는, 1) 모니터(200)로 전달되는 화면에서는 윈도우가 점점 사라지고, 2) DTV(300)로 전달되는 화면에서는 윈도우가 점점 나타나게 된다.
도 5에는 모니터(200)에 나타난 윈도우가 DTV(300)로 이동되고 있는 상황을 도시하였다.
반면, S420단계에서 수신된 DTV(300)의 현재 동작 모드가 PC 모드가 아닌 경우(S430-N), CPU(130)는 윈도우를 DTV(300)로 이동시키지 않고 모니터(200) 내에서 만 이동시킨다(S450).
S450단계에서, CPU(130)는 윈도우의 이동 범위를 모니터(200) 내로 제한하게 된다. 도 6에는, DTV(300)가 PC 모드가 아닌 'TV 모드'로 동작하고 있는 상황과, 윈도우가 DTV(300)로 이동되지 않고 모니터(200) 내에 머무르고 있는 상황을 도시하였다.
4.2. 자동 모드 변경 방식
도 7은 자동 모드 변경 방식에 의한 디스플레이 제어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스크 수행결과가 나타난 윈도우를 모니터(200)에서 DTV(300)로 이동시켜야 하는 상황이 발생되면(S710-Y), CPU(13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50)를 통해 DTV(300)에 현재 동작 모드를 문의하고, 문의 결과로 DTV(300)의 현재 동작 모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S720).
S720단계에서 수신된 DTV(300)의 현재 동작 모드가 'PC 모드'인 경우(S730-Y), CPU(130)는 윈도우를 DTV(300)로 이동시킨다(S740).
반면, S720단계에서 수신된 DTV(300)의 현재 동작 모드가 PC 모드가 아닌 경우(S730-N), CPU(13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50)를 통해 DTV(300)에 '동작 모드 변경 요청 메세지'를 전송한다(S740).
'동작 모드 변경 요청 메세지'는, DTV(300)의 동작 모드를 PC 모드로 변경할 것을 요청하기 위한 메세지이다. 동작 모드 변경 요청 메세지를 수신한 DTV(300) 의 제어부(350)는 동작 모드를 PC 모드로 변경한다.
동작 모드 변경 요청 메세지에 대한 응답으로, DTV(300)의 제어부(350)는 '동작 모드 변경 완료 메세지'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60)를 통해 PC(100)로 전송한다.
DTV(300)로부터 동작 모드 변경 완료 메세지를 수신하면(S760-Y), CPU(130)는 CPU(130)는 윈도우를 DTV(300)로 이동시킨다(S740).
5. 변형예
5.1. 컴퓨팅 시스템
도 1에 도시된 컴퓨팅 시스템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도 1에 도시된 컴퓨팅 시스템과 다른 형태의 컴퓨팅 시스템의 경우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모니터(200)는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 대체가능하고, 도 1에 도시된 DTV(300)도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 대체가능하며, 도 1에 도시된 PC(100) 역시 다른 디지털 기기로 대체가능하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컴퓨팅 시스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2개인 것으로 상정하고 있는데,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수를 이보다 많게 구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5.2. DTV 의 동작 모드
위 실시예에서 언급한 TV 모드는, PC(100)가 생성하는 화면을 디스플레 이(330)에 표시할 수 없는 모드의 일 예에 해당한다. 따라서, TV 모드 이외에도 PC(100)가 생성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330)에 표시할 수 없는 모드(예를 들면, PC(10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이 아닌 다른 영상을 표시하는 모드)로 판단된 경우, 도 4의 S450단계와 도 7의 S750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5.3. 윈도우
윈도우는 모니터(200)에 표시된 화면에서 DTV(300)에 표시된 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는 아이템의 일 예에 해당한다. 본 발명은 윈도우 이외의 다른 아이템을 모니터(200)에 표시된 화면에서 DTV(300)에 표시된 화면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적용가능하다. 윈도우 이외에 상정 가능한 아이템의 다른 예로는, 위젯, 아이콘 및 그래픽 컨트롤러 등이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컴퓨팅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C의 상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의 상세 블럭도,
도 4는 윈도우 이동 제한 방식에 의한 디스플레이 제어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도 5는 모니터에 나타난 윈도우가 DTV로 이동되고 있는 상황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DTV가 PC 모드가 아닌 TV 모드로 동작하고 있는 상황에서, 윈도우가 DTV로 이동되지 않고 모니터 내에 머무르고 있는 상황을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7은 자동 모드 변경 방식에 의한 디스플레이 제어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Claims (20)

  1.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들 중 제1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아이템을,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들 중 제2 디스플레이 장치로 이동시켜 표시해야 할 상황이 발생되면,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모드를 파악하는 단계; 및
    상기 파악 단계에서 파악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모드가 상기 아이템을 표시할 수 있는 모드로 판단되면, 상기 아이템을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로 이동시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악 단계에서 파악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모드가 상기 아이템을 표시할 수 없는 모드로 판단되면, 상기 아이템이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로 이동되어 표시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아이템이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에 마련된 디스플레이 내에서만 이동가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을 표시할 수 있는 모드는,
    상기 아이템을 생성하는 장치에서 수신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모드이고,
    상기 아이템을 표시할 수 없는 모드는,
    상기 아이템을 생성하는 장치에서 수신되는 영상 이외의 다른 영상을 표시하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악 단계에서 파악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모드가 상기 아이템을 표시할 수 없는 모드로 판단되면,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모드가 상기 아이템을 표시할 수 있는 모드로 전환된 후에 상기 아이템을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로 이동시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악 단계에서 파악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모드가 상기 아이템을 표시할 수 없는 모드로 판단되면, 상기 아이템을 표시할 수 있는 모드로 전환하도록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에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모드 전환 완료 응답을 수신하면, 상기 아이템을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을 표시할 수 있는 모드는,
    상기 아이템을 생성하는 장치에서 수신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모드이고,
    상기 아이템을 표시할 수 없는 모드는,
    상기 아이템을 생성하는 장치에서 수신되는 영상 이외의 다른 영상을 표시하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을 생성하는 장치는,
    컴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는,
    모니터 및 방송수신장치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는,
    방송수신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은,
    윈도우, 위젯, 아이콘 및 그래픽 컨트롤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12.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될 화면을 생성하는 비디오 생성부; 및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들 중 제1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화면에 나타난 아이템을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들 중 제2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화면으로 이동시켜 표시해야 할 상황이 발생되면,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모드를 파악하고, 파악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모드가 상기 아이템을 표시할 수 있는 모드로 판단되면, 상기 아이템이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화면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기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파악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모드가 상기 아이템을 표시할 수 없는 모드로 판단되면, 상기 아이템이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화면으로 이동되어 표시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기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을 표시할 수 있는 모드는,
    상기 아이템을 생성하는 장치에서 수신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모드이고,
    상기 아이템을 표시할 수 없는 모드는,
    상기 아이템을 생성하는 장치에서 수신되는 영상 이외의 다른 영상을 표시하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기기.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파악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모드가 상기 아이템을 표시할 수 없는 모드로 판단되면,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모드가 상기 아이템을 표시할 수 있는 모드로 전환된 후에 상기 아이템이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화면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기기.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는,
    모니터 및 방송수신장치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는,
    방송수신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기기.
  17.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은,
    윈도우, 위젯, 아이콘 및 그래픽 컨트롤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기기.
  18. 외부 장치에서 전송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외부 장치에서 전송되는 영상을 입력받는 입력부;
    디스플레이;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모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동작 모드 변경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되는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장치에서 전송되는 영상은,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영상에 나타난 아이템이 이동되어 나타난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는,
    상기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영상에 나타난 아이템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마련된 디스플레이로 이동시키기 위한 사용자의 조작이 입력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에 동작 모드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은,
    윈도우, 위젯, 아이콘 및 그래픽 컨트롤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90112133A 2009-11-19 2009-11-19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모드에 기초한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지털 기기 KR2011005520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2133A KR20110055203A (ko) 2009-11-19 2009-11-19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모드에 기초한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지털 기기
US12/842,326 US20110115688A1 (en) 2009-11-19 2010-07-23 Display control method according to operation mode of display apparatus and digital device using the same
EP10188177A EP2362305A1 (en) 2009-11-19 2010-10-20 Display control method according to operation mode of display apparatus and digital device with multiple displays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2133A KR20110055203A (ko) 2009-11-19 2009-11-19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모드에 기초한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지털 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5203A true KR20110055203A (ko) 2011-05-25

Family

ID=43617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2133A KR20110055203A (ko) 2009-11-19 2009-11-19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모드에 기초한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지털 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10115688A1 (ko)
EP (1) EP2362305A1 (ko)
KR (1) KR2011005520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8421A (ko) * 2014-12-22 2017-08-01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이동 수단,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2개의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중첩 표시하기 위한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84737A1 (en) * 2010-10-01 2012-04-05 Flextronics Id, Llc Gesture controls for multi-screen hierarchical applications
KR101207537B1 (ko) * 2012-03-30 2012-12-05 주식회사 빅솔론 휴대용 컴퓨터를 이용한 포스시스템
US9311041B2 (en) * 2013-02-22 2016-04-12 Blackberry Limited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data
US9210526B2 (en) 2013-03-14 2015-12-08 Intel Corporation Audio localization techniques for visual effects
US9870115B2 (en) 2013-06-07 2018-01-16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multiple displays
US10664162B2 (en) 2013-11-18 2020-05-26 Red Hat, Inc. Multiple display management
US20220391158A1 (en) * 2021-06-04 2022-12-08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acting with Multiple Display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75623A1 (en) * 2002-10-17 2004-04-22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images on multiple monitors
JP2009010629A (ja) * 2007-06-27 2009-01-15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によるtv受信装置制御方法
CN101354639A (zh) * 2007-07-25 2009-01-28 联想(北京)有限公司 在终端之间操作对象的方法及终端
JP4920522B2 (ja) * 2007-08-06 2012-04-18 株式会社東芝 情報処理装置および出力連動制御方法
JP2009200536A (ja) * 2007-12-13 2009-09-03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
US20090184888A1 (en) * 2008-01-18 2009-07-23 Jyi-Yuan Chen Display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8421A (ko) * 2014-12-22 2017-08-01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이동 수단,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2개의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중첩 표시하기 위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115688A1 (en) 2011-05-19
EP2362305A1 (en) 2011-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55203A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모드에 기초한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지털 기기
EP2656193B1 (en) Application-launching interface for multiple modes
KR101613086B1 (ko) 전자 기기에서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JP2009098529A (ja) Kvmスイッチ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マルチモニタ対応切替システム及びマルチモニタ対応切替方法
US9626144B2 (en) Computer system
US20120314133A1 (en) Display apparatus, control method of the same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thereof
KR20090036779A (ko) 디스플레이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20110138925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09064535A1 (en) Efficient mode switching in a video processor system
JP2007240813A (ja) 画像表示システム、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および画像表示プログラム
JP2008040190A (ja) 映像切り替えシステム
KR100828624B1 (ko) 입출력수단의 공유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
CN111880759A (zh) 多分屏显示画面的操控方法、装置、显示器及存储介质
US10725721B2 (en) Display device, storage medium storing control program, and control method
KR100668087B1 (ko) 영상처리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영상저장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JP2010182134A (ja) リモコンシステム、制御端末装置及び、選択状態表示変更方法
US20100315328A1 (en) Integrated control system with multiple media sources and corresponding displays
JP4810209B2 (ja) 画像表示システム、画像表示システム用副表示制御装置、画像表示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357128B2 (ja) 画面制御装置、プログラム及び方法
KR20090059303A (ko)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40098552A (ko) 포인터 표시 제어 방법 및 포인터 표시 방법과 그 방법이 적용되는 장치
US20080291327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Picture in Picture Function
WO2014181420A1 (ja) 表示装置、表示装置の表示方法
JP2016038619A (ja) 携帯端末装置及びその操作方法
JP2015197893A (ja) 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用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