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1048A - 터치스크린 입력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터치스크린 입력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1048A
KR20110051048A KR1020090107696A KR20090107696A KR20110051048A KR 20110051048 A KR20110051048 A KR 20110051048A KR 1020090107696 A KR1020090107696 A KR 1020090107696A KR 20090107696 A KR20090107696 A KR 20090107696A KR 20110051048 A KR20110051048 A KR 201100510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screen
input device
adhesive layer
screen input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7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영
오용수
박호준
김상화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07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51048A/ko
Priority to JP2009285972A priority patent/JP2011100433A/ja
Priority to US12/642,234 priority patent/US20110109564A1/en
Publication of KR20110051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10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4Printing or colouring
    • B32B38/145Pri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2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32B2307/202Conduc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8Touch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 입력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 입력장치는 신호를 입력받는 윈도우판,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하여 상기 윈도우판의 일면에 코팅된 도전막, 상기 도전막의 일면에 도포된 제1 접착층 및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접착층의 일면에 코팅되어 접지된 노이즈방지막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도전막을 윈도우판에 직접 코팅함으로써 도전막을 코팅한 별도의 필름과 윈도우판을 접합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기포 생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제조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터치스크린 입력장치, 도전막, 도전성 고분자, PEDOT/PSS, 노이지방지막

Description

터치스크린 입력장치 및 그 제조방법{Input device of touch screen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 입력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기술을 이용하는 컴퓨터가 발달함에 따라 컴퓨터의 보조 장치들도 함께 개발되고 있으며, 개인용 컴퓨터, 휴대용 전송장치, 그 밖의 개인 전용 정보처리장치 등은 키보드, 마우스, 디지타이저(Digitizer) 등의 다양한 입력장치(Input devie)를 이용하여 텍스트 및 그래픽 처리를 수행한다.
하지만, 정보화 사회의 급속한 진행에 따라 컴퓨터의 용도가 점점 확대되는 추세에 있는 바, 인터페이스로서의 입력장치 역할을 담당하는 키보드 및 마우스만으로는 효율적인 제품의 구동이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간단하고 오조작이 적을 뿐 아니라, 누구라도 쉽게 입력할 수 있고, 특히 사용자가 휴대한 상태에서 손으로 정보입력이 가능한 기기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현재 입력장치에 관한 기술은 일반적 기능과 관련된 필요성을 충족시 키는 수준을 넘어서 고 신뢰성, 내구성, 혁신성, 설계 및 가공 관련기술 등으로 관심이 바뀌고 있으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텍스트, 그래픽 등의 정보 입력이 가능한 입력장치로서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 개발되었다.
터치스크린은 전자수첩,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Electroluminescense) 등의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및 CRT(Cathod Ray Tube) 등과 같은 화상표시장치의 표시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화상표시장치를 보면서 원하는 정보를 선택하도록 하는데 이용되는 도구이다. 또한, 터치스크린은 저항막 방식(Resistive Type),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Type), 전기자기장 방식(Elctro-Magnetic Type), 소오 방식(Saw Type) 및 인프라레드 방식(Infrared Type)으로 구분된다.
이와 같은 다양한 터치스크린은 신호 증폭의 문제, 해상도의 차이, 설계 및 가공 기술의 난이도뿐 아니라 각각의 터치스크린의 광학적 특성, 전기적 특성, 기계적 특성, 내환경 특성, 입력 특성, 내구성 및 경제성을 고려하여 개개의 전자제품에 선택되며, 특히 전자수첩, PDA, 휴대용 PC 및 핸드폰 등에 있어서는 저항막 방식과 정전용량 방식이 널리 이용된다.
이 중, 정전용량 방식은 사용자의 신체 또는 특정물체가 접촉했을 때 발생하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여 동작한다. 더욱 상세히 살펴보면, 전압을 인가하여 고주파를 도전막 전면에 퍼지게 한 후 신체 또는 특정물체가 접촉하면 제어부에서 변형된 파형을 감지하여 위치를 인식하는 것이다. 저항막 방식과 달리 정전용량 방 식은 터치스크린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화상의 왜곡이 발생하지 않고, 내구성과 민감성이 뛰어난 장점이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에 따른 정전용량 방식 터치스크린은 해결해야 할 몇 가지 문제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정전용량 방식 터치스크린의 제조방법을 공정순서대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터치스크린(20)의 제조방법은 ITO 필름(10)을 제작하는 과정과 윈도우판(6)을 제작하는 과정이 따로 수행되고, 최종적으로 제작된 ITO 필름(10)과 윈도우판(6)을 서로 접합하여 터치스크린(20)을 완성한다.
ITO 필름(10)을 제조하는 공정은 필름(1)에 ITO(2; Indium Tin Oxide)를 증착하는 단계, 포토리소그래피(Photolithography)로 ITO 패턴(3)을 형성하는 단계, ITO 패턴(3)에 전극(4)을 형성하는 단계, ITO 패턴(3)과 전극(4)에 PSA(5; Pressure Sensitive Adhesive)를 적층하는 단계 및 연성인쇄케이블(7; FPC.)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전술한 단계에 의해 제작된 ITO 필름(10)의 상부면에 윈도우판(6)을 접합함으로써 터치스크린(20)을 완성한다.
이러한 공정으로 제조된 정전용량 방식 터치스크린(20)은 ITO(2)를 필름(1)에 증착하여 제작한 ITO 필름(10)을 다시 터치스크린(20)의 최외각에 위치할 윈도우판(6)에 접합해야 한다. 이때, ITO 필름(10)과 윈도우판(6) 사이에 기포가 생성 되어 터치스크린(20)의 불량을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ITO 필름(10)과 윈도우판(6)의 접합을 위해서 이를 수행할 장치가 별도로 필요할 뿐 아니라 별도의 공정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제조공정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ITO(2)를 필름(1)에 증착한 후 포토리소그래피를 통해서 ITO 패턴(3)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포토리소그래피는 증착, 마스킹, 노광, 현상, 에칭 및 스트립 등을 거쳐야 하므로 원료인 ITO(2)의 소모가 많고, 제조공정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도성 고분자를 윈도우판에 직접 코팅하여 도전막을 형성함으로써 별도의 필름에 도전막을 코팅하여 윈도우판에 접합해야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터치스크린의 불량을 방지하고, 제조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 입력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입력장치는 신호를 입력받는 윈도우판,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하여 상기 윈도우판의 일면에 코팅된 도전막, 상기 도전막의 일면에 도포된 제1 접착층 및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접착층의 일면에 코팅되어 접지된 노이즈방지막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노이즈방지막의 일면에 도포된 제2 접착층 및 상기 제2 접착층의 일면에 부착된 화상표시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전막의 일면 테두리에 인쇄된 전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윈도우판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에테르술폰(PES), 고리형 올레핀 고분자(COC), 유리 또는 강화유리인 것을 특징으로 한 다.
또한, 상기 전도성 고분자는 폴리-3, 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포네이트(PEDOT/PSS) 또는 폴리 아닐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전막 또는 상기 노이즈방지막은 잉크젯 프린팅, 그라비아 프린팅, 오프셋 프린팅 또는 실크스크린 프린팅으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도성 고분자의 면저항은 200Ω/sq 내지 700Ω/sq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접착층은 광학 투명 접착제(OCA) 또는 양면 접착 테이프(DAT)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접착층은 광학 투명 접착제(OCA) 또는 양면 접착 테이프(DAT)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입력장치의 제조방법은 (A) 신호를 입력받는 윈도우판의 일면에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하여 도전막을 코팅하는 단계, (B) 상기 도전막의 일면에 제1 접착층을 도포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1 접착층의 일면에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하여 노이즈방지막을 코팅하여 접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C) 단계 이후에, 상기 노이즈방지막의 일면에 제2 접착층을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접착층의 일면에 화상표시장치를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도전막의 일면 테두리에 전극을 인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윈도우판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에테르술폰(PES), 고리형 올레핀 고분자(COC), 유리 또는 강화유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A) 단계 또는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전도성 고분자는 폴리-3, 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포네이트(PEDOT/PSS) 또는 폴리 아닐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A) 단계 또는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도전막 또는 상기 노이즈방지막은 잉크젯 프린팅, 그라비아 프린팅, 오프셋 프린팅 또는 실크스크린 프린팅으로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A) 단계 또는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전도성 고분자의 면저항은 200Ω/sq 내지 700Ω/sq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제1 접착층은 광학 투명 접착제(OCA) 또는 양면 접착 테이프(DAT)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접착층은 광학 투명 접착제(OCA) 또는 양면 접착 테이프(DAT)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 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전막을 윈도우판에 직접 코팅함으로써 도전막을 코팅한 별도의 필름과 윈도우판을 접합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기포 생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제조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기술에 따른 ITO 대신 도전성 고분자를 이용하여 도전막을 코팅함으로써 원료를 절약할 수 있고, 복잡한 제조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접지된 노이즈방지막을 채용하여 정전용량 방식 터치스크린에서 발생할 수 있는 노이즈(Noise)를 방지함으로써 신체 또는 특정물체의 접촉을 미세하게 식별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의 민감성을 더욱 강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일면", "타면"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입력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입력장치(100)는 신호를 입력받는 윈도우판(110),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하여 윈도우판(110)의 일면에 코팅된 도전막(120), 도전막(120)의 일면에 도포된 제1 접착층(140) 및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하여 제1 접착층(140)의 일면에 코팅된 노이즈방지막(150)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 따른 터치스크린 입력장 치(200)는 노이즈방지막(150)의 일면에 도포된 제2 접착층(160) 및 제2 접착층(160)의 일면에 부착된 화상표시장치(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2a 및 도 3a는 제1 접착층(140)과 제2 접착층(160)으로 광학 투명 접착제(Optical Clear Adhesive; OCA)를 이용한 것이고, 도 2b 및 도 3b는 양면 접착 테이프(Double side Adhesive Tape; DAT)를 이용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윈도우판(110)은 사용자의 신체 또는 특정물체로부터 신호를 입력받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터치스크린 입력장치(100, 200)의 최외각에 배치된다. 윈도우판(110)은 최외각에 배치되므로 외부의 기계적인 충격으로부터 터치스크린 입력장치(100, 200)를 보호할 수 있도록 내구성을 갖추어야 한다. 또한, 윈도우판(110)의 일면에는 도전막(120)을 코팅할 수 있어야 하고, 화상표시장치(170)에서 제공하는 화상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투명성을 갖추어야 한다. 전술한 점들을 고려할 때 윈도우판(110)으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에테르술폰(PES) 또는 고리형 올레핀 고분자(COC)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밖에도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유리(Glass) 또는 강화유리로 윈도우판(110)을 제작할 수도 있다.
상기 도전막(120)은 윈도우판(110)에서 입력받은 신호를 인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윈도우판(110)의 일면에 코팅된다. 더욱 상세히 살펴보면, 도전막(120)은 정전용량의 값의 변화를 인지하여 제어부(미도시됨)에 전달하고, 제어부는 아날 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함과 동시에 눌림 위치의 좌표를 인식하여 원하는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도전막(120)은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하여 코팅하는데, 전도성 고분자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폴리-3, 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포네이트(PEDOT/PSS) 또는 폴리 아닐린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윈도우판(110)의 일면에 도전막(120)을 코팅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잉크젯 프린팅, 그라비아 프린팅, 오프셋 프린팅 또는 실크스크린 프린팅으로 코팅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전막(120)은 일반적으로 정전용량 방식 터치스크린에서 채용되는 막대형, 삼각형, 다이아몬드형 또는 X, Y열 교차형과 같은 패턴으로 코팅될 수 있다. 증착, 현상, 에칭 등을 통해서 ITO 등을 별도의 필름에 코팅하는 종래기술과 달리 본 실시예에서의 도전막(120)은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하여 잉크젯 프린팅, 그라비아 프린팅, 오프셋 프린팅 또는 실크스크린 프린팅으로 직접 윈도우판(110)에 코팅하므로 원료를 절약할 수 있고, 복잡한 제조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별도의 필름과 윈도우판의 접합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하여 도전막(120)을 코팅함으로써 정전용량 방식 터치스크린에 적합한 면저항인 200Ω/sq 내지 700Ω/sq 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1 접착층(140)은 도전막(120)과 노이즈방지막(150)을 접합시키는 동시에 도전막(120)과 노이즈방지막(150)을 절연시키는 스페이서(Spacer) 역할을 하고, 도전막(120)의 일면에 도포된다. 더욱 상세히 살펴보면, 본 실시예에 따른 터 치스크린 입력장치(100, 200)에서는 도전막(120)과 노이즈방지막(150)이 서로 통전되어서는 안되므로 도전막(120)과 노이즈방지막(150) 사이에는 절연성 재료가 개재되어야하고, 화상표시장치(170)에서 제공하는 화상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료가 개재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절연성과 투명성을 고려할 때 제1 접착층(140)으로는 광학 투명 접착제(OCA; 도 2a 및 도 3a 참조) 또는 양면 접착 테이프(DAT; 도 2b 및 도 3b 참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노이즈방지막(150)은 노이즈(Noise) 발생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1 접착층(140)의 일면에 코팅된다. 여기서, 노이즈방지막(150)은 접지되어 있으므로 도전막(120)에서 신호를 인지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노이즈를 차단한다. 한편, 노이즈방지막(150)은 도전막(120)과 같이, 폴리-3, 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포네이트(PEDOT/PSS) 또는 폴리 아닐린 등을 포함하는 도전성 고분자를 이용하여 코팅할 수 있다. 또한, 노이즈방지막(150)은 잉크젯 프린팅, 그라비아 프린팅, 오프셋 프린팅 또는 실크스크린 프린팅 등으로 코팅할 수 있다.
상기 제2 접착층(160)은 화상표시장치(170)를 노이즈방지막(150)에 부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제2 접착층(160)은 노이즈방지막(150)과 화상표시장치(170)를 접합시켜야하고, 화상표시장치(170)에서 제공하는 화상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료를 채용하여야 하므로 제1 접착층(140)과 마찬가지로 광학 투명 접착제(OCA; 도 3a 참조) 또는 양면 접착 테이프(DAT; 도 3b 참조)를 이용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접착층(160)을 이용하여 화상표시장치(170)를 노이즈방지막(150)에 접합시킴으로써 화상표시장치 일체형 터치스크린을 제작할 수 있고, 전체적인 제조공정을 더욱 간소화할 수 있다.
상기 화상표시장치(170)는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화상을 제공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터치스크린 입력장치에 이용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Electroluminescense), CRT(Cathod Ray Tube) 등을 모두 포함한다.
한편, 도전막(120)의 일면 테두리에는 전극(130)이 인쇄되는데, 전극(130)은 도전막(120)에 전압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기 전도도가 뛰어난 은(Siver)을 이용하여 실크스크린법 등으로 인쇄할 수 있다. 또한, 전극(130)과 외부회로를 연결하는 연성인쇄케이블(180)을 구비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입력장치의 제조방법을 공정순서대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입력장치(100)의 제조방법은 (A) 신호를 입력받는 윈도우판(110)의 일면에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하여 도전막(120)을 코팅하는 단계, (B) 도전막(120)의 일면에 제1 접착층(140)을 도포하는 단계 및 (C) 제1 접착층(140)의 일면에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 하여 노이즈방지막(150)을 코팅하여 접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또한,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 따른 터치스크린 입력장치(200)는 (C) 단계 이후에, 노이즈방지막(150)의 일면에 제2 접착층(160)을 도포하는 단계 및 제2 접착층(160)의 일면에 화상표시장치(170)를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6a, 도 7a, 도 8a 및 도 9a는 제1 접착층(140)과 제2 접착층(160)으로 광학 투명 접착제(Optical Clear Adhesive; OCA)를 이용한 것이고, 도 6b, 도 7b, 도 8b 및 도 9b는 양면 접착 테이프(Double side Adhesive Tape; DAT)를 이용한 것으로 양자는 제1 접착층(140)과 제2 접착층(160)의 재료를 제외하고는 동일한 공정이다.
우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도우판(110)의 일면에 도전막(120)을 코팅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윈도우판(110)은 신호를 입력받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내구성과 투명성 등을 갖추어야 한다. 따라서, 윈도우판(110)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에테르술폰(PES) 또는 고리형 올레핀 고분자(COC)를 이용할 수 있고, 이외에도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유리(Glass) 또는 강화유리를 활용할 수도 있다. 한편, 도전막(120)은 윈도우판(110)에서 입력받은 신호를 인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폴리-3, 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포네이트(PEDOT/PSS) 또는 폴리 아닐린 등을 포함하는 도전성 고분자를 이용하여 소정의 패턴으로 코팅할 수 있다. 여기서, 도전성 고분자는 잉크젯 프린팅, 그라비아 프린 팅, 오프셋 프린팅 또는 실크스크린 프린팅 등을 통해서 윈도우판(110)에 직접 코팅함으로써 제조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고, 원료를 절약할 수 있다. 한편, 도전성 고분자의 면저항은 정전용량 방식 터치스크린에 적합한 200Ω/sq 내지 700Ω/sq 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막(120)의 일면 테두리에 전극(130)을 인쇄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전극(130)은 도전막(120)에 전압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실크스크린 등을 통해서 전기 전도도가 뛰어난 은(Silver)를 인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극(130)에는 외부회로와 연결하기 위한 연성인쇄케이블(180)을 구비할 수 있다.
다음, 도 6a 내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막(120)의 일면에 제1 접착층(140)을 도포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제1 접착층(140)은 도전막(120)과 후술할 단계에서 코팅할 노이즈방지막(150)을 접합시키는 동시에 제1 접착층(140)과 노이즈방지막(150)을 절연시켜며, 사용자가 화상을 인식할 수 있도록 투명성을 갖추어야 하므로 광학 투명 접착제(OCA; 도 6a 참조) 또는 양면 접착 테이프(DAT; 도 6b 참조)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도 7a 내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접착층(140)에 노이즈방지막(150)을 팅하여 접지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노이즈방지막(150)은 도전막(120)에서 신호를 인지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노이즈를 차단하는 역할을 하며, 도전막(120)과 동일한 재료인 폴리-3, 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포네이트(PEDOT/PSS) 또는 폴리 아닐린 등을 포함하는 도전성 고분자를 이용하여 잉크젯 프린팅, 그라비아 프린팅, 오프셋 프린팅 또는 실크스크린 프린팅 등으로 코팅할 수 있다. 본 단계까지 수행하면 터치스크린 입력장치(100)의 제작이 완료된다. 다만, 화상표시장치 일체형 터치스크린을 제작하려면 후술할 두 단계를 더 거쳐야 한다.
다음, 도 8a 내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이즈방지막(150)의 일면에 제2 접착층(160)을 도포하는 단계이다. 제2 접착층(160)은 후술할 단계에서 화상표시장치(170)를 부착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2 접착층(160)으로는 접착력과 투명성을 갖춘 광학 투명 접착제(OCA; 도 8a 참조) 또는 양면 접착 테이프(DAT; 도 8b 참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도 9a 내지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접착층(160)의 일면에 화상표시장치(170)를 부착하는 단계이다. 화상표시장치(170)는 사용자에게 화상을 제공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터치스크린 입력장치에 채용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Electroluminescense), CRT(Cathod Ray Tube) 등을 포함한다. 본 단계까지 수행하면 화상표시장치 일체형 터치스크린의 제작이 완료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 입력장치 및 그 제조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정전용량 방식 터치스크린의 제조방법을 공정순서대로 도시한 도면;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입력장치의 단면도; 및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입력장치의 제조방법을 공정순서대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터치스크린 입력장치 110: 윈도우판
120: 도전막 130: 전극
140: 제1 접착층 150: 노이즈방지막
160: 제2 접착층 170: 화상표시장치
180: 연성인쇄케이블

Claims (18)

  1. 신호를 입력받는 윈도우판;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하여 상기 윈도우판의 일면에 코팅된 도전막;
    상기 도전막의 일면에 도포된 제1 접착층; 및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접착층의 일면에 코팅되어 접지된 노이즈방지막;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입력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방지막의 일면에 도포된 제2 접착층; 및
    상기 제2 접착층의 일면에 부착된 화상표시장치;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입력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전막의 일면 테두리에 인쇄된 전극;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입력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판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에테르술폰(PES), 고리형 올레핀 고분자(COC), 유리 또는 강화유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입력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고분자는 폴리-3, 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포네이트(PEDOT/PSS) 또는 폴리 아닐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입력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전막 또는 상기 노이즈방지막은 잉크젯 프린팅, 그라비아 프린팅, 오프셋 프린팅 또는 실크스크린 프린팅으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입력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고분자의 면저항은 200Ω/sq 내지 700Ω/sq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입력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층은 광학 투명 접착제(OCA) 또는 양면 접착 테이프(DA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입력장치.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착층은 광학 투명 접착제(OCA) 또는 양면 접착 테이프(DA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입력장치.
  10. (A) 신호를 입력받는 윈도우판의 일면에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하여 도전막을 코팅하는 단계;
    (B) 상기 도전막의 일면에 제1 접착층을 도포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1 접착층의 일면에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하여 노이즈방지막을 코팅하여 접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입력장치의 제조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이후에,
    상기 노이즈방지막의 일면에 제2 접착층을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접착층의 일면에 화상표시장치를 부착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입력장치의 제조방법.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도전막의 일면 테두리에 전극을 인쇄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입력장치의 제조방법.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윈도우판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에테르술폰(PES), 고리형 올레핀 고분자(COC), 유리 또는 강화유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입력장치의 제조방법.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또는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전도성 고분자는 폴리-3, 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포네이트(PEDOT/PSS) 또는 폴리 아닐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입력장치의 제조방법.
  15.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또는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도전막 또는 상기 노이즈방지막은 잉크젯 프린팅, 그라비아 프린팅, 오프셋 프린팅 또는 실크스크린 프린팅으로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입력장치의 제조방법.
  16.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또는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전도성 고분자의 면저항은 200Ω/sq 내지 700Ω/sq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입력장치의 제조방법.
  17.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제1 접착층은 광학 투명 접착제(OCA) 또는 양면 접착 테이프(DA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입력장치의 제조방법.
  18.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착층은 광학 투명 접착제(OCA) 또는 양면 접착 테이프(DA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입력장치의 제조방법.
KR1020090107696A 2009-11-09 2009-11-09 터치스크린 입력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5104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7696A KR20110051048A (ko) 2009-11-09 2009-11-09 터치스크린 입력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2009285972A JP2011100433A (ja) 2009-11-09 2009-12-17 タッチスクリーン入力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12/642,234 US20110109564A1 (en) 2009-11-09 2009-12-18 Touch screen input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7696A KR20110051048A (ko) 2009-11-09 2009-11-09 터치스크린 입력장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1048A true KR20110051048A (ko) 2011-05-17

Family

ID=43973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7696A KR20110051048A (ko) 2009-11-09 2009-11-09 터치스크린 입력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10109564A1 (ko)
JP (1) JP2011100433A (ko)
KR (1) KR2011005104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68877A1 (ko) * 2012-05-10 2013-11-14 (주)누리비스타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한 노이즈방지막을 갖는 터치스크린 입력장치
KR20160047041A (ko) * 2014-10-21 2016-05-02 주식회사 시노펙스 터치감도 및 시인성이 향상된 터치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381303B (zh) 2010-02-09 2013-01-01 Oji Paper Co 導電性積層體及使用其之觸控面板
TWI441067B (zh) * 2011-02-21 2014-06-11 Sentelic Corp 透光觸控板結構及其製造方法
KR101328867B1 (ko) * 2011-06-02 2013-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투명 접착 유닛 및 이를 구비한 터치스크린
CN102896869B (zh) * 2011-07-25 2016-03-02 汉高股份有限公司 利用紫外辐照固化-氧化还原固化粘合剂体系粘结基底的方法
KR20130022570A (ko) * 2011-08-25 2013-03-07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패널이 포함된 디스플레이장치
KR20130051803A (ko) * 2011-11-10 2013-05-21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패널
KR101391186B1 (ko) 2012-04-02 2014-05-02 대안화학주식회사 전도성 고분자를 코팅한 폴리올레핀계 필름 및 그 제조방법
CN102968234A (zh) * 2012-11-27 2013-03-13 南昌欧菲光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架桥结构的Film电容式触摸屏
CN104020592A (zh) * 2013-02-28 2014-09-03 瀚宇彩晶股份有限公司 触控液晶显示面板
US9769938B2 (en) 2013-03-12 2017-09-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ndow memb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050409B1 (ko) * 2013-03-12 2019-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윈도우 부재 및 그 제작 방법
US9448672B2 (en) 2013-12-20 2016-09-20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Touch panel structure and fabrication method for the same
US9956749B2 (en) * 2014-01-13 2018-05-0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apacitive touch screen formed by injection compression molding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6989B1 (ko) * 1999-04-13 2002-10-18 주식회사 엘지씨아이 투명 도전성필름 일체형 편광판, 편광판 일체형 터치패널 및 터치패널 일체형 평판 디스플레이
US20040017362A1 (en) * 2002-07-23 2004-01-29 Mulligan Roger C. Thin face capacitive touch screen
WO2004106404A1 (ja) * 2003-05-27 2004-12-09 Fujitsu Limited 有機導電性ポリマー組成物、それを用いた透明導電膜及び透明導電体、並びに、該透明導電体を用いた入力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50073507A1 (en) * 2003-10-06 2005-04-07 Richter Paul J. Touch input sensing device
DE202007005237U1 (de) * 2006-04-25 2007-07-05 Philipp, Harald, Southampton Hybrides kapazitives Berührungsbildschirmelement
JP2008090623A (ja) * 2006-10-02 2008-04-17 Sharp Corp 表示装置、表示装置の駆動装置及び駆動方法
TWI398798B (zh) * 2006-11-02 2013-06-11 Nissha Printing Electronic machine display window with touch input function of the protection panel
JP2009086184A (ja) * 2007-09-28 2009-04-23 Casio Comput Co Ltd タッチパネル付き液晶表示装置
JP2009086240A (ja) * 2007-09-28 2009-04-23 Citizen Holdings Co Ltd 液晶モジュール
JP5244361B2 (ja) * 2007-10-05 2013-07-24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抵抗膜式タッチパネル
JP2009104876A (ja) * 2007-10-23 2009-05-14 Teijin Dupont Films Japan Ltd 抵抗膜式タッチパネル
JP2009169720A (ja) * 2008-01-17 2009-07-30 Smk Corp タッチセンサ
JP5004855B2 (ja) * 2008-04-17 2012-08-22 グンゼ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9259063A (ja) * 2008-04-18 2009-11-05 Gunze Ltd タッチ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894710B1 (ko) * 2008-06-27 2009-04-24 (주) 월드비젼 윈도우 일체형 터치스크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09265B1 (ko) * 2009-02-23 2009-07-27 (주)이엔에이치테크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 패널의 제조방법
JP3153971U (ja) * 2009-07-15 2009-09-24 洋華光電股▲ふん▼有限公司 タッチパッド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68877A1 (ko) * 2012-05-10 2013-11-14 (주)누리비스타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한 노이즈방지막을 갖는 터치스크린 입력장치
KR101436365B1 (ko) * 2012-05-10 2014-09-02 주식회사 누리비스타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한 노이즈방지막을 갖는 터치스크린 입력장치
KR20160047041A (ko) * 2014-10-21 2016-05-02 주식회사 시노펙스 터치감도 및 시인성이 향상된 터치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100433A (ja) 2011-05-19
US20110109564A1 (en) 2011-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51048A (ko) 터치스크린 입력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6177857B2 (ja) 圧力検出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含むスマートフォン
KR100994608B1 (ko) 전극 일체형 윈도우를 포함하는 접촉 감지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US20110273396A1 (en) Touch screen device
US20100188360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arranging touch panel thereof
US20120162099A1 (en) Touch screen
US20110234529A1 (en) Touch screen
KR101119355B1 (ko) 터치패널
KR20140047936A (ko) 터치패널 및 그 제조방법
US20110279387A1 (en) Transperent Conductive Substr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Touch Screen Using the Same
US20110279402A1 (en) Touch screen
JP5756031B2 (ja) 検出装置、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20120066272A (ko) 터치스크린
US9696576B2 (en) Pen writing on one-dimensional capacitive touch sensor
US8421768B2 (en) Touch screen device
CN102236446A (zh) 薄型化触控装置
JP2012064211A (ja) 静電容量方式タッチスクリーンの製造方法
KR101119386B1 (ko) 터치스크린
KR101292361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CN107239173B (zh) 触控装置、触控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KR101148531B1 (ko) 터치스크린
US20150103261A1 (en) Touch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8355011B2 (en) Resistive touch screen
KR101055524B1 (ko) 터치스크린
KR20130020334A (ko) 터치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