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4413A - 나노 다공성 구조를 가진 선택적 패턴이 형성된 태양전지용 실리콘 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나노 다공성 구조를 가진 선택적 패턴이 형성된 태양전지용 실리콘 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4413A
KR20110044413A KR1020090101064A KR20090101064A KR20110044413A KR 20110044413 A KR20110044413 A KR 20110044413A KR 1020090101064 A KR1020090101064 A KR 1020090101064A KR 20090101064 A KR20090101064 A KR 20090101064A KR 20110044413 A KR20110044413 A KR 201100444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icon substrate
mixed solution
solar cell
pattern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1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0397B1 (ko
Inventor
이준신
김성철
양두환
김선용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101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0397B1/ko
Publication of KR20110044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44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0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03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48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 H01L31/0256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L31/0264Inorganic materials
    • H01L31/028Inorganic materials including, apart from doping material or other impurities, only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 H01L31/0284Inorganic materials including, apart from doping material or other impurities, only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comprising porous silicon as part of the active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48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 H01L31/036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crystalline structure or particular orientation of the crystalline planes
    • H01L31/0368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crystalline structure or particular orientation of the crystalline planes including polycrystalline semiconductors
    • H01L31/03682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crystalline structure or particular orientation of the crystalline planes including polycrystalline semiconductors including only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48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 H01L31/0352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H01L31/035209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comprising a quantum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18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es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31/1804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es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comprising only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6Polycrystalline silicon PV cells

Landscapes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노 다공성 구조를 가진 선택적 패턴이 형성된 실리콘 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실리콘 태양전지에 사용될 수 있는 실리콘 기판으로, 포토리소그래피 방법을 사용하여 선택적 패턴이 형성된 실리콘 기판 표면에 나노 다공성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반사도를 감소시키며, 캐리어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고 개방 전압을 향상시켜 광전변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나노 다공성 구조를 가진 선택적 패턴이 형성된 실리콘 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태양전지, 실리콘 기판, 나노 다공성 구조, 선택적 패턴

Description

나노 다공성 구조를 가진 선택적 패턴이 형성된 태양전지용 실리콘 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SELECTIVELY PATTERNED NANO-POROUS STRUCTURE ON SILICON SUBSTRATE FOR SOLAR CELL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나노 다공성 구조를 가진 선택적 패턴이 형성된 태양전지용 실리콘 기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 포토리소그래피 방법을 사용하여 선택적 패턴이 형성된 실리콘 기판 표면에 나노 다공성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반사도를 감소시키며, 캐리어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고 개방 전압을 향상시켜 광전변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나노 다공성 구조를 가진 선택적 패턴이 형성된 태양전지용 실리콘 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심각한 환경오염 문제와 화석 에너지 고갈로 차세대 청정에너지 개발에 대한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태양전지는 태양 에너지를 직접 전기 에너지로 전환시키는 장치로서, 공해가 적고, 자원이 무한적이며 반영구적인 수명을 가지고 있어 미래 에너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에너지원으로 기대되고 있다.
태양전지는 광흡수 층으로 사용되는 물질에 따라서 다양한 종류로 구분되며,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실리콘을 이용한 실리콘 태양전지이다.
일반적으로 실리콘 태양전지는, 외부에서 들어온 빛에 의해 태양전지의 반도체 내부인 PN 접합에서 전자와 정공의 쌍이 생성되고, 이러한 전자와 정공의 쌍이PN 접합의 공핍층에 형성된 내부 전기장에 의해 전자는 N형 반도체로 이동하고 정공은 P형 반도체로 이동함으로써 전기가 발생된다.
최근 실리콘 태양전지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웨이퍼 표면을 조직화(texturing)하여 빛의 흡수를 극대화시키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웨이퍼 표면 조직화 방법으로는 플라스마 식각을 이용한 방법, 기계적으로 홈(grooving)을 내는 방법, 포토리소그래피를 이용한 방법, 화학적인 식각 방법 등이 이용되고 있다.
플라스마를 이용하여 표면 조직화할 경우 포토레지스트를 도포하여 패턴을 형성한 후 플라스마를 이용하여 식각한 후 마스크 층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며 고가의 진공 장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상업적 이용 가능성이 적다.
또한, 기계적 스크라이빙(scribing) 방법은 웨이퍼 표면에 홈(groove)을 형성하여 화학적인 식각을 이용하여 표면 조직화하는 방법으로 이는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상업적인 생산이 어렵고 박막에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포토리소그래피를 이용한 방법의 경우 산화막이 있는 웨이퍼에 포토레지스트를 도포하여 패턴을 형성하고 이를 이방성/등방성 식각 방법을 통해 표면 조 직화하는 방법으로 가격이 비싼 공정이기 때문에 다결정 태양전지 제작에 상업적으로 적용하기 힘들다.
그리고 화학적인 식각 방법 중 이방성 식각 방법은 용액 내 프로텍터(protector)를 형성하여 이방성 식각한 후 프로텍터와 식각 용액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짧은 공정 시간에 저렴한 가격으로 다량의 웨이퍼를 표면 조직화할 수 있는 방법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다결정 웨이퍼의 경우에는 원하는 반사율을 얻을 수 없어 적용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 이는 다결정 웨이퍼의 경우 다양한 결정 방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반사율을 줄이기에 적합한 식각이 이루어지지 못하며, 식각 용액에 대한 관리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실리콘 태양전지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태양전지용 실리콘 기판의 식각방법에 대해 연구를 거듭하였다. 그 결과, 포토리소그래피 방법 등으로 실리콘 기판에 목적하는 패턴을 형성한 후 상기 실리콘 기판을 희석된 산성 혼합 용액에 실리콘 기판을 침지시키는 경우, 실리콘 기판 상에 패턴이 형성된 부분을 식각하여 패턴이 형성된 부분에 나노 다공성 구조를 형성시킬 수 있었다. 또 이와 같이 제조된 실리콘 기판은 반사도를 감소시키며, 캐리어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고 개방 전압을 향상시켜 광전변환 효율을 향상시킴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반사도를 감소시키며 캐리어의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는, 나노 다공성 구조가 형성된 태양전지용 실리콘 기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선택적으로 패턴이 형성된 실리콘 기판 표면에 나노 다공성 구조를 형성시킬 수 있는 태양전지용 실리콘 기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결정질, 다결정질 혹은 삼결정질 실리콘 기판 표면에 한 번의 반응 과정을 통하여 나노 다공성 구조를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정성도 잘 보전되며, 실리콘 기판의 식각량도 적으며, 대량 생산에 적합한 태양전지용 실리콘 기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리콘 기판 표면에 목적하는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단계 1);
질산과 불산을 혼합하여 산성 혼합 용액을 제조한 후, 상기 산성 혼합 용액을 산성 혼합 용액의 1~5배 부피 비의 물과 혼합하여 희석된 산성 혼합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단계 2에서 제조한 희석된 산성 혼합 용액에 단계 1에서 패턴이 형성된 실리콘 기판을 침지시켜, 실리콘 기판에 형성된 패턴에 나노 다공성 구조를 형성하 는 단계(단계 3)를 포함하는, 나노 다공성 구조를 가진 선택적 패턴이 형성된 태양전지용 실리콘 기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나노 다공성 구조를 가진 선택적 패턴이 형성된 태양전지용 실리콘 기판의 제조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실리콘 기판 표면에 포토리소그래피 방법 등을 이용하여 목적하는 패턴을 형성한다(단계 1).
상기 단계 1에서는, 후면 전극형 실리콘 태양전지에서 실리콘 기판의 전면에 선택적으로 패턴을 형성하는 경우나, PN 접합 영역을 확대할 경우, 태양전지용 실리콘 기판의 후면 전계를 국부적인 패턴으로 형성할 경우 등과 같이 실리콘 기판 상에 선택적으로 패턴을 형성시켜야 할 필요에 따라 실리콘 기판 상에 포토리소그래피 방법 등을 이용하여 목적하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태양전지용 실리콘 기판 상에 포토리소그래피 방법을 사용하여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후, 질산(HNO3)과 불산(HF)을 혼합하여 산성 혼합 용액을 제조한 후, 상기 산성 혼합 용액을 산성 혼합 용액의 1~5배 부피 비의 물과 혼합하여 희석된 산성 혼합 용액을 제조한다(단계 2).
상기 단계 2에서 산성 혼합 용액은 질산과 불산을 1:5 내지 5:1의 부피 비로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질산과 불산을 혼합하여 산성 혼합 용액을 제조한 후, 상기 산성 혼합 용액과 산성 혼합 용액의 1~5배 부피 비의 물을 혼합하여 희석된 산성 혼합 용액을 준비한다.
본 발명에서는 나노 다공성 구조를 가진 실리콘 기판을 제조할 때, 질산과 불산을 1:5 내지 5:1의 부피 비로 혼합한 산성 혼합 용액 및 상기 산성 혼합 용액의 1~5배 부피 비의 물을 혼합한 산성 혼합 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산성 혼합 용액의 1배 부피 비 미만의 물과 상기 산성 혼합 용액을 혼합하여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희석된 산성 혼합 용액을 제조한 후 상기 희석된 산성 혼합 용액에 실리콘 기판을 침지시키는 경우, 실리콘 기판 표면에 나노 다공성 구조가 원하는 만큼 형성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또한 산성 혼합 용액을 5배 부피 비를 초과하는 물과 혼합하여 용액을 제조하여 사용하는 경우, 희석 정도에 따른 온도 상승 정도의 보상을 감안하더라도 실리콘 기판의 식각 반응 속도가 현저히 느려져 공정 효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희석된 산성 혼합 용액으로는 질산과 불산을 3:7 부피 비로 혼합하여 산성 혼합 용액을 제조한 후, 상기 산성 혼합 용액과 산성 혼합 용액의 2배 부피 비의 물을 혼합하여 제조된, 희석된 산성 혼합 용액을 사용하여 실리콘 기판에 형성된 패턴에 나노 다공성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조된 희석된 산성 혼합 용액은 산성 혼합 용액이 서로 섞일 때 발열 반응에 의해 열을 발생한다. 이때 온도가 25 ℃ 내지 60 ℃ 범위, 바람직하게는 30 ℃로 유지된다면, 상기 온도로 유지되는 희석된 산성 혼합 용액에 실리콘 기판을 침지시켜 나노 다공성 구조를 형성하는 경우, 시간도 상온 기준으로 단결정 실리콘 표준 표면 조직화 단계에서 걸리는 총 소요 시간인 약 3시간보다 훨씬 짧아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단계 2에서 제조한 희석된 산성 혼합 용액에 상기 단계 1에서 패턴이 형성된 실리콘 기판을 침지시켜 상기 실리콘 기판에 형성된 패턴에 나노 다공성 구조가 형성된 태양전지용 실리콘 기판을 제조한다(단계 3).
상기 단계 3에서는 실리콘 기판 표면에 형성된 선택적 패턴에 나노 다공성 구조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술한 희석된 산성 혼합 용액에 목적하는 패턴이 형성된 실리콘 기판을 침지시킨다. 이때, 상기 단계 3에서는 목적하는 패턴이 형성된 실리콘 기판을 희석된 산성 혼합 용액에 온도와 희석 비율을 고려하여 최소 1분 내지 최대 50분을 넘지 않는 동안 침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실리콘 기판으로는 비 가공 상태의 결정질 실리콘 기판, 단결정질 실리콘 기판, 삼결정질 실리콘 기판, 다결정질 실리콘 기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나노 다공성 구조를 가진 선택적 패턴이 형성된 태양전지용 실리 콘 기판의 제조 방법은 최초 실리콘 기판 준비단계, 표면 기초 세정 단계, 실톱 손상 표면 제거 단계, 표면 조직화 단계 등 어느 단계에 관계없이 상술한 희석된 산성 용액을 사용하여 실리콘 기판 표면에 나노 다공성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질산과 불산을 혼합한 산성 혼합 용액 및 상기 산성 혼합 용액의 1~5배 부피 비의 물을 혼합하여 제조한 희석된 산성 혼합 용액에 목적하는 패턴이 형성된 실리콘 기판을 침지시킴으로써 상기 목적하는 패턴의 표면에 나노 다공성 구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용 실리콘 기판을 제공한다.
상기 희석된 산성 혼합 용액은 본 발명의 나노 다공성 구조를 가진 선택적 패턴이 형성된 태양전지용 실리콘 기판의 제조 방법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게 수행하여 제조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태양전지용 실리콘 기판은 포토리소그래피 방법을 사용하여 실리콘 기판 표면에 목적하는 패턴이 형성된 후, 상기 패턴에 나노 다공성 구조가 형성되며, 상기 나노 다공성 구조는 빛 가둠 효과에 의해 반사도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캐리어의 수명도 증가시킬 수 있어 태양전지의 광전변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의 나노 다공성 구조를 가진 선택적 패턴이 형성된 태양전지용 실리콘 기판을 제조한 후, 후면 전계 효과를 위한 실리콘 기판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도 9에 나타난 공정에 따라, 상기 나노 다공성 구조를 가진 선택적 패턴이 형성된 태양전지용 실리콘 기판에 알루미늄 페이스트를 스크린 인쇄하여 열처리함으로써 공용 유리질층 후면 전계가 형성된 태양전지용 실리콘 기판을 제조할 수 있다. 도 10의 (a)는 도 9에 나타난 공정에 따라 결정실 실리콘 기판의 뒷면에 후면 전계를 형성하기 위해 형성된 나노 다공성 구조를 가진 선택적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의 (b)는 도 10(a)에 나타난 나노 다공성 구조를 가진 선택적 패턴이 형성된 태양전지용 실리콘 기판 뒷면에 알루미늄 페이스트를 스크린 인쇄하여 열처리함으로써 후면 전계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실리콘과 알루미늄의 공융 상태 물질이 나노 다공성 구조에 충전됨으로써 접촉 면적을 훨씬 넓힐 수 있어 개방 전압을 높이는 효과를 더욱 크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후면 전계가 형성된 태양전지용 실리콘 기판은 나노 다공성 구조의 홈에 알루미늄이 충전되어 알루미늄과 접촉하는 면적이 넓어져 태양전지의 개방 전압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실리콘 기판의 기본 모양을 유지할 수 있으면서도 실리콘 기판에 형성된 패턴에 나노 다공성 구조를 형성시킬 수 있는 태양전지용 실리콘 기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나노 다공성 구조를 가진 선택적 패턴이 형성된 태양전지용 실리콘 기판의 제조 방법은 단결정질, 삼결정질 혹은 다결정질 실리콘 기판 표면에 한 번의 반응과정을 통하여 나노 다공성 구조를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정성도 잘 보전되며, 실리콘 기판의 식각량도 적으며, 반응 속도 조절이 가능한 희석된 산성 혼합 용액을 재사용함으로써 대량 생산에도 적합하며 환경오염 을 줄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하지만 하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 예 1
결정질 실리콘 웨이퍼 후면에 포토리소그래피 방법을 사용하여 패턴을 형성하여 후면 전계를 형성하였다. 이후, 질산과 불산을 3:7 비율로 혼합하여 100 ml 산성 혼합 용액을 제조한 후, 상기 산성 혼합 용액의 2배 부피 비에 해당하는 200 ml의 물을 상기 산성 혼합 용액에 혼합하여 희석된 산성 혼합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희석된 산성 혼합 용액에 상기 후면 전계가 형성된 결정질 실리콘 기판을 약 30 ℃에서 20분 동안 침지시킨 후, 상기 실리콘 기판을 세척하고 건조하여 본 발명의 태양전지용 결정질 실리콘 기판을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실리콘 기판에서 패턴이 형성된 표면에 나노 다공성 구조가 형성된 부분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하여 도 1, 도 2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실리콘 기판 상에 패턴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하여 도 4에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태양전지용 결정질 실리콘 기판의 표면을 알루미늄 페이스트를 스크린 인쇄 방식으로 도포한 후 평균 670 ℃로 소성한 후, 제조된 실리콘 기판의 나노 다공성 구조의 홈에 알루미늄이 충전된 상태를 촬영하여 도 5 및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나노 다공성 구조를 가진 선택적 패턴이 형성된 태양전지용 실리콘 기판은 실리콘 기판 상에 형성된 패턴 부분에만 나노 다공성 구조가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실리콘 기판 상에 형성된 패턴 부분에만 나노 다공성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본 발명의 태양전지용 실리콘 기판의 제조 방법은 후면 전계를 위한 태양전지용 실리콘 기판의 제조 시 활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태양전지용 실리콘 기판은 개방 전압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험 예 1
본 실험 예 1에서는 아무 처리를 하지 않은 결정질 실리콘 기판, NaOH 강알칼리성 용액으로 표면 조직화 한 결정질 실리콘 기판 및 상기 결정질 실리콘 기판을 본 발명의 실시 예 1에 따라 희석된 산성 용액에 침지시켜 나노 다공성 구조를 형성시킨 결정질 실리콘 기판에 대해 반사도를 비교하기 위해, 빛을 조사하여 반사도를 비교한 사진을 촬영하여 도 7에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아무 처리를 하지 않은 결정질 실리콘 기판, NaOH 강알칼리성 용액으로 표면 조직화한 결정질 실리콘 기판 및 본 발명의 실시 예 1에 따라 희석된 산성 용액에 침지시켜 나노 다공성 구 조를 형성시킨 결정질 실리콘 기판을 반사도 및 투과도 등을 분석할 수 있는 장비인 UV-Vis spectrophotometer ((주)신코)를 이용하여 반사도를 측정한 결과를 도 8에 나타내었다.
도 7에서 도 7의 (a), (b) 및 (c)는 각각 아무 처리를 하지 않는 결정질 실리콘 기판, NaOH 강알칼리성 용액으로 표면 조직화한 결정질 실리콘 기판 및 실시 예 1에서 제조한 나노 다공성 구조의 결정질 실리콘 기판으로서, 실시 예 1에서 제조한 나노 다공성 구조의 결정질 실리콘 기판이 가장 어둡게 나타났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 제조한 실시 예 1의 나노 다공성 구조의 결정질 실리콘 기판의 반사도가 가장 낮은 것을 알 수 있고 이는 실리콘 기판 상의 나노 다공성 구조의 빛 가둠 효과에 기인한 것이다. 본 실험 예 1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나노 다공성 구조의 실리콘 기판은 반사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 1에서 제조한 결정질 실리콘 기판에서 나노 다공성 구조가 형성된 표면을 촬영한 3,000배 배율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 1에서 제조한 결정질 실리콘 기판에서 나노 다공성 구조가 형성된 표면을 촬영한 20,000배 배율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 1에서 제조한 결정질 실리콘 기판에서 나노 다공성 구조가 형성된 표면을 촬영한 150,000배 배율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 1에서 제조한 결정질 실리콘 기판에서 나노 다공성 구조가 형성되지 않은 표면을 촬영한 500배 배율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 1에서 제조한 결정질 실리콘 기판에서 나노 다공성 구조의 홈에 알루미늄이 채워진 상태를 촬영한 1,000배 배율의 광학현미경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 1에서 제조한 결정질 실리콘 기판에서 나노 다공성 구조의 홈에 알루미늄이 채워진 상태를 촬영한 500배 배율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7은 아무 처리를 하지 않은 결정질 실리콘 기판, NaOH 강알칼리성 용액으로 표면 조직화한 결정질 실리콘 기판 및 상기 결정질 실리콘 기판을 본 발명의 실시 예 1에 따라 희석된 산성 용액에 침지시켜 나노 다공성 구조를 형성시킨 결정질 실리콘 기판에 대해 빛을 조사하여 반사도를 비교한 사진이다.
도 8은 아무 처리를 하지 않은 결정질 실리콘 기판, NaOH 강알칼리성 용액으 로 표면 조직화 한 결정질 실리콘 기판 및 상기 단결정질 실리콘 기판을 본 발명의 실시 예 1에 따라 희석된 산성 용액에 침지시켜 나노 다공성 구조를 형성시킨 결정 실리콘 기판을 UV-Vis 분광기를 이용하여 반사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 1에 따라 결정질 실리콘 웨이퍼에 사진 식각 공정과 희석된 혼합 산성 용액에 의한 식각 처리 과정을 거친 후, 알루미늄 페이스트를 스크린 인쇄하여 열처리하여 제조된, 공용 유리질층 후면 전계가 형성된 실리콘 기판의 제조 과정을 나타낸 공정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라 나노 다공성 구조를 가진 선택적 패턴이 형성된 결정실 실리콘 기판의 뒷면 및 상기 태양전지용 실리콘 기판 뒷면에 알루미늄 페이스트를 스크린 인쇄하여 열처리함으로써 후면 전계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Claims (12)

  1. 실리콘 기판 표면에 목적하는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단계 1);
    질산과 불산을 혼합하여 산성 혼합 용액을 제조한 후, 상기 산성 혼합 용액을 산성 혼합 용액의 1~5배 부피 비의 물과 혼합하여 희석된 산성 혼합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단계 2에서 제조한 희석된 산성 혼합 용액에 단계 1에서 표면에 패턴이 형성된 실리콘 기판을 침지시켜 상기 패턴에 나노 다공성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단계 3)를 포함하는, 나노 다공성 구조를 가진 선택적 패턴이 형성된 태양전지용 실리콘 기판의 제조 방법.
  2. 청구 항 1에서,
    상기 단계 1에서 실리콘 기판에 목적하는 패턴을 포토리소그래피 방법을 사용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다공성 구조를 가진 선택적 패턴이 형성된 태양전지용 실리콘 기판의 제조 방법.
  3. 청구 항 1에서,
    상기 단계 2에서 산성 혼합 용액은 질산과 불산을 1:5 내지 5:1의 부피 비로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다공성 구조를 가진 선택적 패턴이 형성된 태양전지용 실리콘 기판의 제조 방법.
  4. 청구 항 1에서,
    상기 실리콘 기판이 단결정질 실리콘 기판, 삼결정질 실리콘 기판 또는 다결정질 실리콘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다공성 구조를 가진 선택적 패턴이 형성된 태양전지용 실리콘 기판의 제조 방법.
  5. 청구 항 1에서,
    상기 실리콘 기판이 비가공된 결정질 실리콘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다공성 구조를 가진 선택적 패턴이 형성된 태양전지용 실리콘 기판의 제조 방법.
  6. 청구 항 1에서,
    상기 단계 3이 25 ℃ 내지 60 ℃의 온도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다공성 구조를 가진 선택적 패턴이 형성된 태양전지용 실리콘 기판의 제조 방법.
  7. 청구 항 1에서,
    상기 단계 3에서는 실리콘 기판을 희석된 산성 혼합 용액에 1분 내지 50분 동안 침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다공성 구조를 가진 선택적 패턴이 형성된 태양전지용 실리콘 기판의 제조 방법.
  8. 질산과 불산을 혼합한 산성 혼합 용액과 상기 산성 혼합 용액의 1~5배 부피 비의 물을 혼합한 희석된 산성 혼합 용액에 목적하는 패턴이 형성된 실리콘 기판을 침지시킴으로써 상기 목적하는 패턴의 표면에 나노 다공성 구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용 실리콘 기판.
  9. 청구 항 8에서,
    상기 패턴이 형성된 실리콘 기판은 포토리소그래피 방법을 사용하여 선택적으로 패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용 실리콘 기판.
  10. 청구 항 8에서,
    상기 산성 혼합 용액은 질산과 불산을 1:5 내지 5:1의 부피 비로 혼합하여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용 실리콘 기판.
  11. 질산과 불산을 혼합한 산성 혼합 용액과 상기 산성 혼합 용액의 1~5배 부피 비의 물을 혼합한 희석된 산성 혼합 용액에 후면 전계 패턴이 형성된 실리콘 기판을 침지시켜 나노 다공성 구조를 형성한 후, 실리콘 기판 후면에 알루미늄 페이스트를 인쇄하고 열처리함으로써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면 전계가 형성된 태양전지용 실리콘 기판.
  12. 청구 항 11에서,
    상기 산성 혼합 용액은 질산과 불산을 1:5 내지 5:1의 부피 비로 혼합하여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후면 전계가 형성된 태양전지용 실리콘 기판.
KR1020090101064A 2009-10-23 2009-10-23 나노 다공성 구조를 가진 선택적 패턴이 형성된 태양전지용 실리콘 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0903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1064A KR101090397B1 (ko) 2009-10-23 2009-10-23 나노 다공성 구조를 가진 선택적 패턴이 형성된 태양전지용 실리콘 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1064A KR101090397B1 (ko) 2009-10-23 2009-10-23 나노 다공성 구조를 가진 선택적 패턴이 형성된 태양전지용 실리콘 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4413A true KR20110044413A (ko) 2011-04-29
KR101090397B1 KR101090397B1 (ko) 2011-12-06

Family

ID=44049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1064A KR101090397B1 (ko) 2009-10-23 2009-10-23 나노 다공성 구조를 가진 선택적 패턴이 형성된 태양전지용 실리콘 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03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98939A (zh) * 2013-08-12 2013-11-20 韩华新能源(启东)有限公司 一种快速、简便识别多晶硅片质量的方法
KR20190123855A (ko) 2018-04-25 2019-11-04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스케일 실리콘 패턴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디바이스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99921A (ja) 2007-10-17 2009-05-07 Nippon Sec Kk 太陽電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0397B1 (ko) 2011-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8016B1 (ko) 태양 전지용 반도체 기판의 텍스처링 방법
JP4767110B2 (ja) 太陽電池、および太陽電池の製造方法
KR102100065B1 (ko) 터널 유전체층을 갖는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
TWI475712B (zh) 太陽電池用晶圓的製造方法、太陽電池單元的製造方法以及太陽電池模組的製造方法
US9324899B2 (en) Emitter diffusion conditions for black silicon
Es et al. An alternative metal-assisted etching route for texturing silicon wafers for solar cell applications
JP5945066B2 (ja) 光起電力素子の製造方法
WO2015081876A1 (zh) 太阳能电池的表面制绒处理方法
KR101212896B1 (ko) 태양전지용 다결정실리콘 웨이퍼의 표면 처리용 텍스쳐링제 및 처리방법
US9236509B2 (en) Solar cells with patterned antireflective surfaces
WO2004023567A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solar cell
JP2006156646A (ja) 太陽電池の製造方法
KR101090397B1 (ko) 나노 다공성 구조를 가진 선택적 패턴이 형성된 태양전지용 실리콘 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6133922B (zh) 太阳能电池的制造方法以及太阳能电池
JP2005136081A (ja) 太陽電池の製造方法
JP6114171B2 (ja) 太陽電池の製造方法
JP2012094739A (ja) 製膜方法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20190082152A (ko) 태양 전지 표면의 화학적 폴리싱 및 생성된 구조체
WO2017187623A1 (ja) 太陽電池の製造方法および太陽電池
JP2013225552A (ja) 太陽電池用ウェーハの製造方法、太陽電池セルの製造方法、およ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KR101073487B1 (ko) 광섬유 레이저를 이용한 태양전지용 실리콘 기판 제조 방법
KR101029331B1 (ko) 태양전지용 실리콘 웨이퍼의 텍스쳐링 방법, 이에 의하여 텍스쳐링된 태양전지용 실리콘 웨이퍼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Kong et al. Fabrication of silicon pyramid-nanocolumn structures with lowest reflectance by reactive ion etching method
KR101359407B1 (ko) 실리콘 웨이퍼의 텍스처링 방법
KR101429198B1 (ko) 실리콘 기판의 텍스처링용 식각액 및 이를 이용한 고효율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