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0082A - 발포 수지제품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발포 수지 제조금형 - Google Patents

발포 수지제품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발포 수지 제조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0082A
KR20110040082A KR1020090097216A KR20090097216A KR20110040082A KR 20110040082 A KR20110040082 A KR 20110040082A KR 1020090097216 A KR1020090097216 A KR 1020090097216A KR 20090097216 A KR20090097216 A KR 20090097216A KR 20110040082 A KR20110040082 A KR 201100400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molding surface
foamed resin
cavity
st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7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봉섭
송남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7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40082A/ko
Priority to US12/897,052 priority patent/US20110086216A1/en
Priority to PCT/KR2010/006754 priority patent/WO2011046311A2/en
Priority to CN2010800462759A priority patent/CN102574316A/zh
Priority to JP2012534095A priority patent/JP2013507281A/ja
Priority to EP10823553.2A priority patent/EP2475508A4/en
Publication of KR20110040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00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58Moulds
    • B29C44/585Moulds with adjustable size of the mould ca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02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4/04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consisting of at least two parts of chemically or physically different materials, e.g. having different densities
    • B29C44/0446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consisting of at least two parts of chemically or physically different materials, e.g. having different densities by increasing the density locally by compressing part of the foam while still in the moul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53Composite having voids in a component [e.g., porous, cellular, etc.]

Landscapes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lding Of Porous Articles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이에 캐비티가 형성된 제 1 금형 및 제 2 금형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수지 입자들로 채워진 캐비티 내로 돌출되는 제 3 금형을 포함하는 발포 수지 제조금형에 관한 것으로, 이를 통해 상대적으로 높은 밀도 및 강도의 보강부와 상대적으로 낮은 밀도 및 강도의 완충부가 일체로 형성된 발포 수지제품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발포 수지제품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발포 수지 제조금형{EXPANDED POLYMER PRODUCT AND EXPANDED POLYMER MANUFACTURING MOLD FOR THE SAME}
본 발명은 발포 수지제품 및 이를 제조할 수 있는 발포 수지 제조금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포 수지 제조금형은 스티로폼과 같은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로써, 예비 발포 공정을 통해 일정 직경을 갖는 수지 입자들을 제조한 후, 이들이 제조될 제품과 대응하는 형상의 캐비티가 마련된 발포 수지 제조금형 내에서 서로 융착되도록 함으로써 일정 형태를 갖는 발포 수지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발포 수지 제조금형은 제 1 성형면이 마련된 제 1 금형과 제 1 성형면과 함께 캐비티를 형성하는 제 2 성형면이 마련된 제 2 금형과, 캐비티 내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장치를 포함한 것으로, 캐비티 내에 예비 발포된 수지 입자를 공급하여 캐비티 내부를 수지 입자들로 채우고, 이러한 상태에서 스팀공급장치에서 공급된 스팀이 캐비티를 관통하여 흐르도록 하면 스팀의 열에 의해 수지 입자들이 서로 융착되어 캐비티와 대응하는 형상의 발포 수지제품의 제조가 완료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부위에 따라 다른 밀도를 갖는 발포 수지제품을 제조할 수 있는 발포 수지 제조금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발포 수지 제조금형은 제 1 성형면이 마련된 제 1 금형과, 제 1 성형면과 함께 캐비티를 형성하는 제 2 성형면이 마련된 제 2 금형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수지 입자들이 채워진 캐비티 내로 돌출되는 제 3 금형을 포함한다.
또한 캐비티 내로 스팀을 공급하기 위한 스팀 공급장치를 더 포함하며, 제 1 금형, 제 2 금형 및 제 3 금형 중 적어도 하나에는 스팀공급장치에서 공급된 스팀이 캐비티를 관통하여 흐를 수 있도록 하는 연통공이 마련된다.
또한 제 1 성형면과 제 2 성형면 중 어느 하나에는 오목 형성된 오목부가 마련되어, 오목부 내에 제 3 금형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제 3 금형은 제 3 금형에 마련된 성형면이 제 1 금형과 제 2 금형 중 오목부가 형성된 금형에 형성된 성형면과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이동한다.
또한 제 3 금형을 진퇴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한다.
또한 제 1 금형은 일정 위치에 고정 설치되며, 제 2 금형은 제 1 금형을 향하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동하며 제 1 금형과 결합한다.
또한 제 1 금형과 제 2 금형 중 어느 하나에는 수지 입자들이 공급되는 수지 공급관이 설치된다.
또한 캐비티 내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장치를 더 포함한다.
또한 제 1 금형은 제 1 성형면이 마련된 제 1 코어블록과, 제 1 코어블록이 설치되며 스팀공급장치로부터의 스팀이 전달되는 제 1 챔버가 마련된 제 1 마운트블록을 포함하며, 제 2 금형은 제 2 성형면이 마련된 제 2 코어블록과, 제 2 코어블록이 설치되며 스팀공급장치로부터의 스팀이 전달되는 제 2 챔버가 마련된 제 2 마운트블록을 포함한다.
또한 제 1 코어블록, 제 2 코어블록 및 제 3 금형에는 제 1 챔버 또는 제 2 챔버가 캐비티와 연통되도록 하는 복수의 연통공이 마련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발포 수지제품은 수지 입자들이 서로 융착되어 형성되며, 상대적으로 낮은 밀도를 갖는 완충부와, 상대적으로 높은 밀도를 갖는 보강부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보강부는 원형 단면의 수지 입자들이 타원형 단면이 되도록 가압 변형되어 밀도가 높아진 상태로 서로 융착되어 형성된다.
또한 완충부는 원형 단면의 수지 입자들이 서로 융착되어 형성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발포 수지 제조금형은 캐비티 내에 수지 입자가 채워진 후 제 3 금형이 캐비티 내로 돌출되어 제 3 금형의 이동 방향 전방측 부위에 위치한 수지 입자들을 압축하여 부분적으로 밀도를 높이므로, 일회 성형으로 상대적으로 낮은 밀도 및 강도를 갖는 부위와 상대적으로 높은 밀도 및 강도를 갖는 부위가 일체로 성형된 발포 수지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포 수지 제조금형(100)은 제조될 발포 수지제품(E)의 일측면과 대응하는 형상의 제 1 성형면(11a)이 마련된 제 1 금형(10)과, 제조될 발포 수지제품(E)의 타측면과 대응하는 형상의 제 2 성형면(21a)이 제 1 성형면(11a)과 대향되게 마련되는 제 2 금형(20)과, 제 1 금형(10)과 제 2 금형(20)이 결합한 상태에서 제 1 성형면(11a)과 제 2 성형면(21a)에 의해 형성되는 캐비티(100a)에 고온의 스팀을 공급하기 위한 스팀공급장치(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금형(10)은 일정 위치에 고정 설치되고 제 2 금형(20)은 제 1 금형(10)을 향하여 진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 2 금형(20)이 이동하며 제 2 금형(20)과 결합하여 상술한 캐비티(100a)가 제 1 성형면(11a)과 제 2 성형면(21a) 사이에 형성된다. 제 1 금형(10)에는 예비 발포 공정을 통해 소정 직경을 갖는 구 형상으로 형성된 수지 입자들이 캐비티(100a) 내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수지 공급관(40)이 설치되어, 수지 입자들이 수지 공급관(40)을 통해 공압에 의해 캐비티(100a) 내로 공급되어 캐비티(100a) 내부를 채우게 된다.
제 1 금형(10)은 제 1 성형면(11a)을 형성하는 제 1 코어블록(11)과, 제 1 코어블록(11)을 지지하는 제 1 마운트블록(12)을 포함하며, 제 2 금형(20)은 제 2 성형면(21a)을 형성하는 제 2 코어블록(21)과, 제 2 마운트블록(22)을 포함한다.
제 1 마운트블록(12) 및 제 2 마운트블록(22)에는 스팀공급장치(30)로부터 스팀을 전달받는 제 1 챔버(12a)와 제 2 챔버(22a)가 마련되며, 제 1 코어블록(11) 과 제 2 코어블록(21)에는 제 1 챔버(12a) 및 제 2 챔버(22a)와 캐비티(100a)가 연통되도록 함으로써 스팀이 제 1 챔버(12a) 또는 제 2 챔버(22a)에서 캐비티(100a) 내로 이동하거나 캐비티(100a)에서 제 1 챔버(12a) 또는 제 2 챔버(22a)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제 1 연통공(11b)과 복수의 제 2 연통공(21b)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제 1 마운트블록(12) 및 제 2 마운트블록(22)의 일측에는 스팀공급장치(30)로부터 스팀이 공급되는 스팀 공급관(31)이 각각 연결되며, 제 1 마운트블록(12) 및 제 2 마운트블록(22)의 타측에는 캐비티(100a)를 통과한 스팀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스팀 배출관(32)이 각각 연결된다.
이러한 발포 수지 제조금형(100)에 의해 제조되는 발포 수지제품(E)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종 제품(P)의 포장재로 사용되어 제품의 운송이나 외부 충격으로부터 제품(P)을 보호하도록 되어 있는데, 이와 같이 발포 수지제품(E)이 제품(P)의 포장재나 완충재로 사용될 경우, 제품(P)의 하중이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발포 수지제품(E)의 일정 부위는 다른 부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강도를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발포 수지 제조금형(100)은 상대적으로 낮은 강도를 갖는 부위와 상대적으로 높은 강도를 갖는 부위가 일체로 형성된 발포 수지제품(E)을 제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해 제 1 금형(10)에는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캐비티(100a) 내에 수지 입자들이 채워져 있는 상태에서 캐비티(100a) 내로 돌출되는 제 3 금형(50)이 설치된다. 제 3 금형(50)에는 제조될 발 포 수지제품(E)에 있어서 높은 강도가 필요한 부위의 일측면과 대응하는 형상의 제 3 성형면(50a)이 형성되며, 스팀이 관통하여 흐를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제 3 연통공(50b)이 마련된다.
제 1 금형(10)의 제 1 성형면(11a)에는 오목 형성된 오목부(11c)가 마련되어 오목부(11c) 내에 제 3 금형(50)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 1 금형(10)에는 공압에 의해 동작하는 액추에이터(60)가 설치되어 액추에이터(60)에 의해 제 3 금형(50)이 상하로 이동한다.
따라서, 액추에이터(60)에 의해 제 3 금형(50)이 상측으로 이동하여 오목부(11c)에 의해 형성된 캐비티(100a)의 일부 영역 내로 돌출되며 제 3 금형(50) 상측에 위치한 캐비티(100a) 내부의 수지 입자들을 가압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 3 금형(50)에 형성된 제 3 성형면(50a)은 제 1 성형면(11a)과 대응하는 위치, 즉 제 3 성형면(50a)이 제 1 성형면(11a)과 동일한 평면에 위치하도록 제 3 금형(50)은 이동한다. 따라서, 제조된 발포 수지제품(E)에 있어서, 제 2 성형면(21a)에 의해 형성된 면과 제 3 성형면(50a)에 의해 형성된 면이 서로 대응하도록 성형된다. 즉, 제 2 성형면(21a)에 의해 형성된 면과 제 3 성형면(50a)에 의해 형성된 면은 동일 평면 상에 존재하게 되는데, 이는 발포 수지제품(E)의 제 2 성형면(21a)에 의해 형성된 면과 제 3 성형면(50a)에 의해 형성된 면이 지면이나 제품의 외면에 동시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은 이와 같이 구성된 발포 수지 제조금형(100)의 동작을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금형(10)과 제 2 금형이 결합한 상태에서 수지 입자들이 수지 공급관(40)을 통해 캐비티(100a)로 공급되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비티(100a)내에 수지 입자들이 채워진다. 이와 같이 캐비티(100a) 내에 수지 입자들로 채워질 때, 제 3 금형(50)은 하측으로 이동한 상태를 유지하여 오목부(11c) 내측에도 수지 입자들이 채워진다.
캐비티(100a) 내에 수지 입자들로 완전히 채워진 후에는 수지 공급관(40)은 폐쇄되고 스팀 공급관(31)을 통해 제 1 챔버(12a) 및 제 2 챔버(22a)에는 스팀이 공급된다. 챔버(12a, 22a)에 공급된 스팀은 제 1 코어블록(11) 제 2코어블록(21) 및 제 3 금형(50)에 형성된 연통공(11b, 21b, 50b)들을 통해 캐비티(100a)를 통과하여 스팀 배출관(3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스팀이 캐비티(100a)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스팀의 열에 의해 수지 입자들은 서로 융착되어, 캐비티(100a)와 대응하는 형태의 발포 수지제품(E)이 제조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스팀이 캐비티(100a)에 공급되어 수지 입자들이 서로 융착되는 과정과 동시에 제 3 금형(5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60)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하여 오목부(11c)에 의해 형성되는 캐비티(100a)의 일부 영역 내로 제 3 금형(50)이 돌출된다. 이때, 캐비티(100a) 내부는 수지 입자들에 의해 채워져 있는 상태이므로 제 3 금형(50)의 상측, 즉, 제 3 금형(50)의 이동 방향 전방측에 위치한 수지 입자들은 제 3 금형(50)을 이동 시키기 위해 작용하는 힘에 의해 가압되어 원형 단면에서 타원형 단면을 갖도록 변형되므로, 제 3 금형(50) 전방측의 밀도만이 부분적으로 높아진다.
이에 따라 제 3 금형(50)의 이동 방향 전방측을 제외한 나머지 부위의 수지 입자들은 대략 원형 단면을 가진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제 3 금형(50)의 이동 방향 전방측에 위치한 수지 입자들은 타원형 단면을 갖도록 변형된 상태가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수지 입자들은 스팀의 열에 의해 서로 융착된다.
상기와 같은 공정을 통해 발포 수지 제조금형(100)을 통해 제조된 발포 수지제품(E)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3 금형의 이동 방향 전방측에 형성된 수지 입자들이 타원형 단면을 갖는 부위와, 수지 입자들이 원형 단면을 갖는 그 나머지 부위로 나누어져, 제 3 금형(50)의 이동 방향 전방측에 위치한 부위가 상대적으로 높은 밀도 및 강도를 가져 발포 수지제품(E)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보강부(E1)를 형성하고, 제 3 금형(50)의 이동 방향 전방측을 제외한 나머지 부위는 상대적으로 낮은 밀도 및 강도를 가져 용이하게 탄성변형 할 수 있는 완충부(E2)를 형성한다.
그러므로 서로 다른 강도를 갖는 부위가 일체로 형성된 발포 수지제품(E)을 제조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밀도 또는 강도가 다른 두 종류의 수지 입자들을 사용하거나 두 번 이상의 성형 공정을 거쳐야만 하나, 본 실시예에서와 같은 발포 수지 제조금형(100)은 한 종류의 수지 입자들을 일회 성형하면서도 상대적으로 높은 밀도 및 강도의 보강부(E1)와, 상대적으로 낮은 밀도 및 강도의 완충부(E2)를 갖는 발포 수지제품(E)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오목부(11c)가 형성되어 제 3 금형(50)의 제 3 성형면(50a)이 제 1 성형면(11a)와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으나, 이는 제 1 성형면(11a)에 의해 형성되는 면과 제 3 성형면(50a)에 의해 성형되는 면이 동일한 평 면 상에 위치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제 3 금형(50)의 제 3 성형면(50a)이 제 1 성형면(11a)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제조된 발포 수지제품(E)의 제 3 성형면(50a)에 의해 형성되는 면이 제 1 성형면(11a)에 의해 성형되는 면에 대하여 오목 형성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 설치된 제 1 금형(10)에 제 3 금형(50)이 설치되도록 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 2 금형(20)에 제 3 금형(50)이 설치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포 수지 제조금형의 개략도이다.
도 2 내지 도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포 수지 제조금형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보인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발포 수지 제조금형 100a: 캐비티
10: 제 1 금형 11: 제 1 코어블록
11a: 제 1 성형면 11b: 제 1 연통공
11c: 오목부 12: 제 1 마운트블록
12a: 제 1 챔버 21: 제 2 코어블록
21a: 제 2 성형면 21b: 제 2 연통공
22: 제 2 마운트블록 22a: 제 2 챔버
30: 스팀공급장치 40: 수지 공급관
50: 제 3 금형 50a: 제 3 성형면
50b: 제 3 연통공 60: 액추에이터

Claims (13)

  1. 제 1 성형면이 마련된 제 1 금형과,
    상기 제 1 성형면과 함께 캐비티를 형성하는 제 2 성형면이 마련된 제 2 금형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수지 입자들이 채워진 상기 캐비티 내로 돌출되는 제 3 금형을 포함하는 발포 수지 제조금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 내로 스팀을 공급하기 위한 스팀 공급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금형, 상기 제 2 금형 및 상기 제 3 금형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스팀공급장치에서 공급된 스팀이 상기 캐비티를 관통하여 흐를 수 있도록 하는 연통공이 마련되는 발포 수지 제조금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성형면과 상기 제 2 성형면 중 어느 하나에는 오목 형성된 오목부가 마련되어, 상기 오목부 내에 상기 제 3 금형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발포 수지 제조금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금형은 상기 제 3 금형에 마련된 성형면이 상기 제 1 금형과 상기 제 2 금형 중 상기 오목부가 형성된 금형에 형성된 성형면과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이동하는 발포 수지 제조금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금형을 진퇴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하는 발포 수지 제조금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금형은 일정 위치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제 2 금형은 상기 제 1 금형을 향하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동하며 상기 제 1 금형과 결합하는 발포 수지 제조금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금형과 상기 제 2 금형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수지 입자들이 공급되는 수지 공급관이 설치되는 발포 수지 제조금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 내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장치를 더 포함하는 발포 수지 제조금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금형은 상기 제 1 성형면이 마련된 제 1 코어블록과, 상기 제 1 코어블록이 설치되며 상기 스팀공급장치로부터의 스팀이 전달되는 제 1 챔버가 마련된 제 1 마운트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금형은 상기 제 2 성형면이 마련된 제 2 코어블록과, 상기 제 2 코어블록이 설치되며 상기 스팀공급장치로부터의 스팀이 전달되는 제 2 챔버가 마련된 제 2 마운트블록을 포함하는 발포 수지 제조금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코어블록, 상기 제 2 코어블록 및 상기 제 3 금형에는 상기 제 1 챔버 또는 상기 제 2 챔버가 상기 캐비티와 연통되도록 하는 복수의 연통공이 마련되는 발포 수지 제조금형.
  11. 수지 입자들이 서로 융착되어 형성되며,
    상대적으로 낮은 밀도를 갖는 완충부와, 상대적으로 높은 밀도를 갖는 보강부가 일체로 형성된 발포 수지제품.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원형 단면의 상기 수지 입자들이 타원형 단면이 되도록 가압 변형되어 밀도가 높아진 상태로 서로 융착되어 형성되는 발포 수지제품.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원형 단면의 상기 수지 입자들이 서로 융착되어 형성되는 발포 수지제품.
KR1020090097216A 2009-10-13 2009-10-13 발포 수지제품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발포 수지 제조금형 KR20110040082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7216A KR20110040082A (ko) 2009-10-13 2009-10-13 발포 수지제품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발포 수지 제조금형
US12/897,052 US20110086216A1 (en) 2009-10-13 2010-10-04 Foamed resin product and foamed resin molding machine to manufacture the same
PCT/KR2010/006754 WO2011046311A2 (en) 2009-10-13 2010-10-04 Foamed resin product and foamed resin molding machine to manufacture the same
CN2010800462759A CN102574316A (zh) 2009-10-13 2010-10-04 泡沫树脂产品和制造该泡沫树脂产品的泡沫树脂成型机
JP2012534095A JP2013507281A (ja) 2009-10-13 2010-10-04 発泡樹脂製品及びこれを製造するための発泡樹脂製造金型
EP10823553.2A EP2475508A4 (en) 2009-10-13 2010-10-04 Foamed resin product and foamed resin molding machine to manufacture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7216A KR20110040082A (ko) 2009-10-13 2009-10-13 발포 수지제품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발포 수지 제조금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0082A true KR20110040082A (ko) 2011-04-20

Family

ID=43855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7216A KR20110040082A (ko) 2009-10-13 2009-10-13 발포 수지제품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발포 수지 제조금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10086216A1 (ko)
EP (1) EP2475508A4 (ko)
JP (1) JP2013507281A (ko)
KR (1) KR20110040082A (ko)
CN (1) CN102574316A (ko)
WO (1) WO2011046311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1259A (ko) * 2014-08-12 2017-04-14 아이씨이이 홀딩스 피티와이, 리미티드 팽창형 물질의 일부에 절곡부를 형성하는 절곡부형성시스템과 방법
KR102146257B1 (ko) * 2019-05-03 2020-08-20 (주)코모텍 다단 강압 성형품 제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20125394L (fi) * 2012-04-11 2013-10-12 Finnfoam Oy Menetelmä ja järjestelmä paisutetun polymeerieristekappaleen valmistamiseksi sekä polymeerieristekappale
CN103737780A (zh) * 2014-01-20 2014-04-23 林友向 一种浮球制作模具及浮球生产二次发泡成型工艺
KR101610216B1 (ko) * 2015-03-09 2016-04-08 동신산업(주) 이피피 발포 폼 성형금형
TWI690405B (zh) * 2017-07-19 2020-04-11 歐特捷實業股份有限公司 高分子發泡物品之模壓成型方法
CN109278235A (zh) * 2017-07-20 2019-01-29 欧特捷实业股份有限公司 高分子发泡物品的模压成型方法
KR101943546B1 (ko) * 2017-09-28 2019-01-29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 주식회사 발포 폼을 성형하는 캐비티 금형 확장 방법 및 장치
CN108372619B (zh) * 2018-02-10 2020-06-09 郑州大学 一种注射成型高密度微孔发泡材料的制备工艺
CN108621360B (zh) * 2018-07-04 2024-02-09 中国人民解放军61489部队 一种用于制备聚氨酯泡沫尖劈吸波材料的模具
US11806900B2 (en) * 2020-08-13 2023-11-07 Lear Corporation Sealing device for use in molded foam pad production
CN114851460B (zh) * 2022-04-25 2023-06-20 蜂巢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渐变弹性材料及其生产模具和生产方法以及方型电池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484844A (fr) * 1965-05-19 1967-06-16 Basf Ag Procédé et appareil pour la fabrication d'objets en matière plastique mousse
US3814778A (en) * 1971-08-26 1974-06-04 Furukawa Electric Co Ltd Method for producing a composite foamed article
JPS5330741B2 (ko) * 1973-08-01 1978-08-29
JPS50101585U (ko) * 1974-01-30 1975-08-22
US4304810A (en) * 1980-07-17 1981-12-08 Arco Polymers, Inc. Apparatus for and method of making foam articles having densified reinforcing regions
JPS6166640A (ja) * 1984-09-08 1986-04-05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面材−合成樹脂発泡体積層物及びその製造法
JPS6120727A (ja) * 1984-07-09 1986-01-29 Nissan Motor Co Ltd 発泡成形方法
JPS63290720A (ja) * 1987-05-25 1988-11-28 Nippon Kokan Kk ヒンジを有する発泡合成樹脂板の成形方法
US4820149A (en) * 1987-05-28 1989-04-11 Yoshida Industry Co., Lt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n injection-molded product having a partly thin portion
JPH04147833A (ja) * 1990-10-11 1992-05-21 Mitsubishi Yuka Badische Co Ltd ヒンジ付き発泡合成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JPH04345638A (ja) * 1991-05-23 1992-12-01 Toray Ind Inc ポリスチレン発泡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59408842D1 (de) * 1993-11-29 1999-11-25 Greiner & Soehne C A Formteil aus Kunststoffschaum sowi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 dessen Herstellung
JP3884528B2 (ja) * 1997-06-10 2007-02-21 株式会社プライムポリマー 成形装置および成形方法
JP3859330B2 (ja) * 1997-11-06 2006-12-20 株式会社ジェイエスピー 高密度のスキン層を持つ成形体の製造方法
JPH11156881A (ja) * 1997-11-26 1999-06-15 Idemitsu Petrochem Co Ltd 繊維強化軽量樹脂成形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476697B (en) * 1997-11-26 2002-02-21 Idemitsu Petrochemical Co Fiber-reinforced resin molded artic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H11170290A (ja) * 1997-12-17 1999-06-29 Idemitsu Petrochem Co Ltd 繊維強化軽量樹脂成形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769681B2 (ja) * 1999-03-24 2006-04-26 三菱電機株式会社 発泡成型材の製造方法
US7037865B1 (en) * 2000-08-08 2006-05-02 Moldite, Inc. Composite materials
JP3837348B2 (ja) * 2002-03-25 2006-10-25 有限会社三宝金型製作所 発泡樹脂成形型および発泡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KR20080003335U (ko) * 2007-02-10 2008-08-14 황보국정 이중경도 이중색상 발포체 신발창의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1259A (ko) * 2014-08-12 2017-04-14 아이씨이이 홀딩스 피티와이, 리미티드 팽창형 물질의 일부에 절곡부를 형성하는 절곡부형성시스템과 방법
KR102146257B1 (ko) * 2019-05-03 2020-08-20 (주)코모텍 다단 강압 성형품 제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75508A2 (en) 2012-07-18
US20110086216A1 (en) 2011-04-14
WO2011046311A3 (en) 2011-11-03
JP2013507281A (ja) 2013-03-04
CN102574316A (zh) 2012-07-11
EP2475508A4 (en) 2017-09-13
WO2011046311A2 (en) 2011-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40082A (ko) 발포 수지제품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발포 수지 제조금형
CN107107406A (zh) 模内发泡成型体和其成型方法以及成型用模具
CN102015237B (zh) 模具和树脂发泡成形品的成形方法
JP2860007B2 (ja) 皮付き発泡体の成形方法
KR101637393B1 (ko) 발포수지 성형장치
JP5895922B2 (ja) 燃料タンクの製造方法及び燃料タンク
CN105034242B (zh) 发泡模具及高压油泵隔音罩盖的制造方法
KR101712173B1 (ko) 발포수지 성형장치 및 방법, 이를 통해 제조되는 발포수지 성형체
KR101527187B1 (ko) 발포수지 성형장치 및 방법
KR101593082B1 (ko) 발포수지 성형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발포수지패널
KR20120047125A (ko) 발포 성형 금형용 스팀 유도판
KR102292071B1 (ko) 연신 블로우 성형으로 균일한 두께의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1738617B1 (ko) 부분 미발포 및 발포 사출 성형용 금형
JP6825891B2 (ja) 発泡樹脂成形品、発泡樹脂成形金型、発泡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および自動車部品
KR101486718B1 (ko) 머리 지지대 제조 방법 및 머리 지지대
KR100882458B1 (ko) 충격완충재의 제조방법
CN118003543A (zh) 注射发泡成型模具、注射发泡成型品、发泡性树脂成型品的制造方法以及注射发泡成型装置
CN103286917B (zh) 形成树脂成型制品的方法
CN102273841B (zh) 座椅成型方法
JP2018089799A (ja) 発泡樹脂成形金型、発泡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発泡樹脂成形品、および自動車部品
JP2009066953A (ja) 発泡樹脂成形品の成形方法及び成形装置
JP4818316B2 (ja) 発泡樹脂材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に使用される成形機
JP2009298057A (ja) 合成樹脂発泡成形品の成形金型
JP2000313025A (ja) 成型装置および成型方法
JP2009073043A (ja) 積層樹脂成形体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