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0352A - 온도 센서가 장착된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팩 - Google Patents

온도 센서가 장착된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0352A
KR20110030352A KR1020100089891A KR20100089891A KR20110030352A KR 20110030352 A KR20110030352 A KR 20110030352A KR 1020100089891 A KR1020100089891 A KR 1020100089891A KR 20100089891 A KR20100089891 A KR 20100089891A KR 20110030352 A KR20110030352 A KR 201100303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battery cell
heat dissipation
battery module
temperatur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9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4969B1 (ko
Inventor
김민정
이진규
강달모
윤희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ublication of KR20110030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03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4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49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6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measuring temperat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4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ells
    • H01M10/647Prismatic or flat cells, e.g.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1Surfaces specially adapted for heat dissipation or radiation, e.g. fins or 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4Rods or plates
    • H01M10/6555Rods or plates arranged between th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6Solid parts with flow channel passages or pipes for heat exchan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Measuring Temperature Or Quantity Of Hea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둘 또는 그 이상의 전지셀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된 전지모듈로서, 상기 전지셀들 중의 적어도 하나의 전지셀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온도 센서")가 전지셀과 상기 전지셀에 접하는 대응 부재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대응 부재는 전지셀과 접하는 부위에 온도 센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온도 센서는 상기 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전지셀의 외면에 접하는 구조로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온도 센서가 장착된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팩 {Battery Module Having Temperature Sensor and Battery Pack Employed with the Same}
본 발명은 온도 센서가 장착된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둘 또는 그 이상의 전지셀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된 전지모듈로서, 상기 전지셀들 중의 적어도 하나의 전지셀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온도 센서")가 전지셀과 상기 전지셀에 접하는 대응 부재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대응 부재는 전지셀과 접하는 부위에 온도 센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온도 센서는 상기 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전지셀의 외면에 접하는 구조로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팩에 관한 것이다.
최근,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는 와이어리스 모바일 기기의 에너지원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차전지는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기존의 가솔린 차량, 디젤 차량 등의 대기오염 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전기자동차(EV),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Plug-In HEV) 등의 동력원으로서도 주목받고 있다.
소형 모바일 기기들에는 디바이스 1 대당 하나 또는 두서너 개의 전지셀들이 사용됨에 반하여, 자동차 등과 같은 중대형 디바이스에는 고출력 대용량의 필요성으로 인해, 다수의 전지셀을 전기적으로 연결한 중대형 전지모듈이 사용된다.
중대형 전지모듈은 가능하면 작은 크기와 중량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높은 집적도로 충적될 수 있고 용량 대비 중량이 작은 각형 전지, 파우치형 전지 등이 중대형 전지모듈의 전지셀(단위전지)로서 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 등을 외장부재로 사용하는 파우치형 전지는 중량이 작고 제조비용이 낮으며 형태 변형이 용이하다는 등의 이점으로 인해 최근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러한 중대형 전지모듈을 구성하는 전지셀들은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와 같은 고출력 대용량 이차전지는 충방전 과정에서 다량의 열을 발생시킨다. 특히, 상기 전지모듈에 널리 사용되는 파우치형 전지의 라미네이트 시트는 열전도성이 낮은 고분자 물질로 표면이 코팅되어 있으므로, 전지셀 전체의 온도를 효과적으로 냉각시키기 어려운 실정이다.
즉, 충방전 과정에서 발생한 전지모듈의 열이 효과적으로 제거되지 못하면, 열축적이 일어나고 결과적으로 전지모듈의 열화를 촉진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발화 또는 폭발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고출력 대용량의 전지인 차량용 전지팩에는 그것에 내장되어 있는 전지셀들을 냉각시키는 냉각 시스템이 필요하다.
또한, 이러한 냉각 시스템은 냉각 효율을 제어하기 위해 전지의 온도를 측정하여야 하므로, 온도 센서가 필요하다.
중대형 전지팩에 장착되는 전지모듈은 일반적으로 다수의 전지셀들을 높은 밀집도로 적층하는 방법으로 제조하며, 충방전시에 발생한 열을 제거할 수 있도록 인접한 전지셀들을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시켜 적층한다. 예를 들어, 전지셀 자체를 별도의 부재 없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시키면서 순차적으로 적층하거나, 또는 기계적 강성이 낮은 전지셀의 경우,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카트리지 등에 내장하고 이러한 카트리지들을 다수 개 적층하여 전지모듈을 구성할 수 있다. 적층된 전지셀들 또는 전지모듈들 사이에는 온도 센서가 무리없이 장착될 수 있고, 축적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냉매의 유로가 전지셀들 또는 전지모듈들 사이에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다수의 전지셀들에 대응하여 다수의 냉매 유로를 확보하여야 하므로, 전지모듈의 전체 크기가 커지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전지모듈의 크기를 고려하여, 많은 전지셀들을 적층할수록 상대적으로 좁은 간격의 냉매 유로들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냉각 구조의 설계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즉, 냉매의 유입구 대비 상대적으로 좁은 간격의 냉매 유로는 높은 압력 손실을 유발하게 되어, 냉매의 유입구 및 배출구의 형태와 위치 등을 설계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또한, 이러한 압력 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팬이 추가적으로 설치되기도 하므로, 전력 소모와 팬 소음, 공간 등과 같이 설계상의 제약이 따를 수 있다.
따라서, 고출력 대용량의 전력을 제공하면서도 간단하고 콤팩트한 구조로 제조하기 위해, 다수의 방열부재들을 둘 이상의 전지셀 계면들에 개재한 전지모듈의 구조를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온도 센서를 전지셀과 방열부재 사이에 위치시키면서 전지셀의 측면에 직접 부착하는 경우, 전지셀과 방열부재의 직접 접촉을 어렵게 만들어 냉각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온도 센서의 장착구조는, 외부로부터 외력이 전지모듈에 인가되는 경우, 온도 센서의 부착위치에 부하가 편중되어 온도 센서변형 및 손상이 발생하므로, 정확한 전지셀의 온도를 측정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고출력 대용량의 전력을 제공하면서도 간단하고 콤팩트한 구조로 제조될 수 있고, 냉각 성능이 우수하고 온도 센서의 변형 및 손상이 없으며, 수명 특성과 안전성이 우수한 전지모듈에 대한 필요성이 매우 높은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온도 센서를 전지셀에 대응하는 대응 부재의 홈에 장착함으로써 전지셀과 대응 부재의 접촉면적을 유지하면서도 온도 센서의 삽입위치에 부하가 편중되어 발생하는 온도 센서의 변형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전지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은, 둘 또는 그 이상의 전지셀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된 전지모듈로서, 상기 전지셀들 중의 적어도 하나의 전지셀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온도 센서")가 전지셀과 상기 전지셀에 접하는 대응 부재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대응 부재는 전지셀과 접하는 부위에 온도 센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온도 센서는 상기 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전지셀의 외면에 접하는 구조로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은 온도 센서가 전지셀과 접하는 부위에 온도 센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대응 부재의 홈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온도 센서의 안정적인 장착이 가능하고 온도 센서의 삽입 위치에 부하가 편중되어 온도 센서가 외력에 의해 변형 및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온도 센서가 전지셀의 외면에 접하면서 상기와 같이 대응 부재의 홈에 삽입된 구조는, 종래와 같이 온도 센서를 전지셀과 대응 부재 사이의 빈 공간에 장착한 구조와 비교하여, 전지셀의 온도를 정확히 측정하면서 전지셀과 대응 부재의 직접적인 접촉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대응 부재에 형성되어 홈의 구조는 온도 센서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 구조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전지셀에 접하는 부위에서만 온도 센서가 노출되는 만입형 구조, 전지셀에 접하는 부위뿐만 아니라 그에 대향하는 부위에서 온도 센서가 노출되는 관통형 구조 등이 모두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온도 센서가 홈에 삽입되는 형상 역시 다양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온도 센서가 홈에 완전히 삽입되어 전지셀로부터 전혀 가압되는 않는 형상, 온도 센서의 상당부분이 홈에 삽입되어 있고 일부가 홈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지만 전지셀의 가압에 의해 변형이 일어나지 않은 상태 등을 고려할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대응 부재는 전지셀들 사이의 계면에 장착되는 방열부재로 이루어져 있어서, 종래와 같이 온도 센서를 전지셀과 방열부재 사이의 빈 공간에 장착한 구조와 비교하여, 전지셀의 온도를 정확히 측정하면서 전지셀과 방열부재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전지모듈의 냉각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열부재는 방열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구조이면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냉각핀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열부재는 열전도성인 소재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높은 열전도성의 금속 판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방열부재들은 각각의 전지셀 계면에 개재될 수도 있고, 일부의 전지셀 계면들에만 개재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방열부재들이 각각의 전지셀 계면에 개재되는 경우, 각각의 전지셀들은 양면에서 서로 다른 방열부재들과 접촉 상태를 이루게 된다. 반면에, 방열부재가 일부의 전지셀 계면들에만 개재되는 경우, 양면 중 일면에서만 방열부재와 접촉 상태를 이루는 전지셀들이 일부 존재할 수 있다.
온도 센서는 전지셀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부위라면 전지셀의 어느 부위에라도 위치할 수 있다. 전지셀에서의 전반적인 온도 상태를 고려할 때 전지셀의 중앙부위 온도를 평균치로서 설정하는 것이 용이할 수 있으므로, 상기 홈은 온도 센서가 전지셀의 중앙 부위에 위치하도록 대응 부재 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온도 센서는 그로부터 얻은 온도 정보를 바탕으로 전지모듈의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장치(예를 들어, BMS(Battery Management System))에 연결되어 있으며, 온도 센서가 장착되는 홈은 상기와 같은 전기적 연결을 위한 와이어 등의 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홈의 연장부는 바람직하게는 열전도 방향의 반대쪽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즉, 상기 홈의 연장부가 열전도 방향을 가로지르는 경우, 열전도율의 저하에 의해 방열 효과를 저하시킬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와 같이 열전도 방향의 반대쪽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방열부재는 그것의 적어도 일부가 적층된 전지셀들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전지셀들 사이의 계면에 개재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로 노출된 부위는 전지셀의 측면쪽으로 절곡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구조에서, 외부로 노출된 부위는 바람직하게는 전지셀의 양측면으로 절곡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즉, 전지셀들 사이의 계면에 개재된 방열부재가 전지셀에서 발생한 열을 전도하여, 넓은 접촉면적의 절곡된 구조를 통해 열교환 부재 등으로 용이하게 전달하므로, 전지셀의 방열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방열부재의 절곡된 부위의 상부에 열교환 부재가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장착 방법은 용접이나, 기계적 체결 등에 의해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전지셀에서 발생한 열이 전지셀들 사이에 개재된 방열부재로 전달되고, 전지셀 적층체의 일측에 장착된 열교환 부재를 통해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 부재 또한, 열전도성이 우수한 소재라면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열전도성과 기계적 강도가 다른 소재들에 비해 높은 금속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방열부재와 열교환 부재는 상호 연결됨으로써 효율적으로 열전달을 이룰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지모듈은 냉매 유로의 형성을 위해 전지셀들을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적층하여 구성하고, 이러한 이격된 공간으로 온도 센서를 설치하여 온도를 측정하면서, 공기를 유동('공냉식')시켜 전지셀들의 과열을 방지하고 있으나, 충분한 방열 효과는 얻고 있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에 반해, 둘 이상의 전지셀 계면들에 다수의 방열부재를 개재하고, 이를 일체로 연결하는 열교환 부재를 전지셀 적층체의 일측에 부가한 전지모듈은 전지셀들 사이에 이격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거나 매우 작은 이격 공간만으로도, 종래의 냉각 시스템보다 높은 효율성으로 전지셀 적층체의 냉각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전지모듈의 방열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고, 높은 집적도로 전지셀들을 적층할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전지셀은 열융착을 위한 내부 수지층, 차단성 금속층, 및 우수한 내구성을 발휘하는 외부 수지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시트의 전지케이스에 전극조립체가 내장되어 있는 가벼운 중량의 파우치형 전지일 수 있다.
이러한 전지셀은 바람직하게는 프레임 구조의 전지 카트리지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외주면 단부 부위에 열융착에 의한 실링부가 형성되어 있는 전지에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서, 카트리지는 전지셀의 양 측면 중 적어도 일 측면이 개방된 상태로 전지셀의 외주면을 고정하는 적어도 한 쌍의 판상형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프레임의 외면에는 상기 방열부재가 상기 전지셀의 개방 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기 위한 탄성 가압부재가 장착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전지셀이 내장된 다수 개의 카트리지들을 적층하고 상기 카트리지 사이에 방열부재를 개재하였을 때, 프레임 외면에 장착된 상기 탄성 가압부재는 카트리지 적층체의 구조적 안정성을 높이고, 방열부재가 카트리지 적층체에 효과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해 준다.
상기 카트리지는 적어도 한 쌍의 판상형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1 개의 전지셀이 장착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2 개 이상의 전지셀이 장착되는 구조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카트리지의 내부에 2 개의 전지셀들이 장착되는 구조에서는, 전지셀들 사이에 중간 프레임을 추가로 장착함으로써, 하나의 전지셀이 상부 프레임과 중간 프레임 사이에 장착되고, 나머지 전지셀이 중간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 사이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도, 방열부재가 각 전지셀의 외면에 접하게 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므로, 열전도에 의한 방열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기 탄성 가압부재는 프레임 상에 장착되어 전지모듈의 구성시 방열부재를 고정할 수 있는 구조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상기 프레임의 외면 중 상측과 하측, 및/또는 좌측과 우측 상에 장착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따라서, 방열부재가 프레임 외면에 장착된 탄성 가압부재에 의해 효과적으로 밀착 가압되어, 프레임에 대한 방열부재의 고정력을 높여주는 역할을 하므로, 방열부재의 고정을 위한 추가적인 부재의 사용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는, 탄성 가압부재가 전지셀의 실링부에 접하는 프레임의 내면에 추가로 장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전지셀은 개방 측면이 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프레임에 장착되고, 탄성 가압부재는 전지셀 개방 측면의 돌출 높이보다 큰 높이로 프레임의 외면에 장착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즉, 전지셀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된 프레임은 전지셀의 외주부만을 고정하므로, 돌출된 개방 측면을 통해 효과적인 방열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전지셀의 돌출된 개방 측면의 높이보다 높게 장착된 탄성 가압부재는, 방열부재 개재시 전지셀의 개방 측면까지 효과적으로 가압하면서 밀착시킬 수 있으므로, 이를 사용하는 전지모듈의 크기 증가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전체적인 기계적 강성을 높일 수 있다.
프레임의 외면에 장착되는 탄성 가압부재는 압박시 탄성 가압력을 발휘하는 소재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바람직하게는 탄성적 물성의 고분자 수지일 수 있다. 이러한 고분자 수지는 소재 자체의 특성상 탄성력을 발휘하거나 또는 구조 내지 형태 상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는 소재일 수 있다. 전자의 대표적인 예로는 고무를 들 수 있으며, 후자의 예로는 고분자 수지를 발포한 구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상에 탄성 가압부재를 장착하는 방식은 다양할 수 있으며, 더욱 효율적인 장착을 위해, 바람직하게는 프레임의 외면에 그루브가 형성되어 있고, 탄성 가압부재는 그러한 그루브 상에 장착되는 구조일 수 있다.
탄성 가압부재의 폭은 프레임의 폭을 기준으로 10% 이상의 폭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프레임의 폭을 기준으로 탄성 가압부재의 폭이 너무 작은 경우에는 그것의 장착에 따른 효과를 발휘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이와는 반대로, 탄성 가압부재의 폭이 너무 큰 경우에는, 압박시 탄성 변형된 가압부재가 방열부재의 많은 면을 커버하여 방열 효과를 저하시킬 수 있으며, 또는 프레임 외부로 돌출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유발하지 않는다면 탄성 가압부재의 폭이 상기 범위를 넘어설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교환 부재에는 냉매의 유동을 위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교환 부재에 물 등과 같은 액상 냉매의 유동을 위한 냉매 유로를 형성함으로써, 종래의 공냉식 구조에 비해 높은 신뢰성으로 우수한 냉각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기 구조의 하나의 예로서, 열교환 부재는 방열부재들이 하단면에 밀착되어 있는 기저부, 상기 기저부에 연결되어 있고 냉매 유로가 길이방향으로 관통해 있는 양 측면부들, 및 상기 양 측면부들 사이에서 기저부로부터 상향 연장되어 있는 다수의 방열핀들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전지셀로부터 방열부재로 전달된 열이 기저부의 하단면에 밀착되어 전도되고, 양 측면부들을 관통한 냉매 유로를 통한 수냉 및 상기 방열핀들로부터 소정의 공냉을 이룸으로써, 전지셀의 방열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 부재는 전지셀 적층체의 일측에 장착되어 전지셀로부터 발생한 열을 용이하게 제거하는 구조라면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모듈 케이스의 상단면 상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전지셀에서 발생한 열이 모듈 케이스 외부에서 높은 효율성으로 방열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모듈 케이스의 상단부에는 열교환 부재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의 만입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만입부 상에 장착된 열교환 부재의 높이는 모듈 케이스의 상단면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그 보다 낮은 구조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다수의 전지모듈들을 열교환 부재가 장착된 방향으로 적층하는 경우에도, 열교환 부재로 인한 적층의 어려움이 없으므로, 고출력 대용량의 중대형 전지팩을 제조함에 있어서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중대형 전지팩의 경우 고출력 대용량의 성능 확보를 위해 다수의 전지셀들이 사용되는 바, 이러한 전지팩을 구성하는 전지모듈들은 안전성의 확보를 위해 더욱 높은 방열 효율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전지모듈을 소망하는 출력 및 용량에 따라 둘 이상을 조합하여 제조되는 중대형 전지팩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지팩은 고출력 대용량의 달성을 위해 다수의 전지셀들을 포함함으로써, 충방전시 발생하는 고열이 안전성 측면에서 심각하게 대두되는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의 등의 전원에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은 전지셀의 방열을 촉진하기 위한 전지셀에 접하는 대응 부재에 홈을 형성하여 온도 센서를 장착시킴으로써 전지셀과 대응 부재의 밀착도를 높이고, 온도 센서 의 삽입 위치에 부하가 편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온도 센서의 변형 및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열교환 부재의 수냉식 냉각방법을 추가함으로써 전지셀의 방열을 높은 신뢰성으로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높은 방열 효율성은 전지셀 내부의 온도를 균일하게 제어하여, 궁극적으로 전지셀의 수명 및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방열부재를 포함하는 전지모듈의 모식적인 부분 수직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방열부재를 포함하는 전지모듈의 모식적인 부분 수직단면도이다;
도 3은 판상형 전지셀의 모식도이다;
도 4는 전지 카트리지의 평면 모식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전지 카트리지를 A 방향에서 바라본 수직 단면도이다;
도 6은 2 개의 전지셀들을 포함하는 전지 카트리지의 분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전지 카트리지의 평면 모식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열부재의 모식도들이다;
도 10은 도 9의 방열부재가 카트리지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구조의 모식도이다;
도 11은 도 10을 A 방향에서 바라본 수직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4의 전지 카트리지들 사이에 방열부재가 개재되는 전지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 부재를 장착한 전지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열교환 부재를 확대한 구조의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술하지만,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는 종래의 방열부재를 포함하는 전지모듈의 부분 수직단면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지모듈은 전지셀(10), 그것에 대면하는 방열부재(50), 및 온도 센서(70)를 포함하고 있다.
온도 센서(70)는 전지셀(10)과 방열부재(50)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전지셀(10)의 일면에 직접 부착되어 있어서, 전지셀(10)과 방열부재(50)의 사이에는 사공간(S)이 발생한다. 이러한 사공간(S)은 방열부재(50)에 대한 전지셀(10)의 직접 접촉을 어렵게 만들어 냉각 효율이 크게 저하시킨다. 또한, 전지모듈(80)에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 온도 센서(70)에 부하가 편중되어 부분적 변형 및 손상이 발생하게 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방열부재를 포함하는 전지모듈의 부분 수직단면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2의 전지모듈을 참조하면, 도 1에서와 마찬가지로, 전지셀(10)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센서(70)가 전지셀(10)과 전지셀(10)에 접하는 방열부재(50a)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그러나, 방열부재(50a)에는 전지셀(10)과 접하는 부위에 온도 센서(7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홈(72)이 형성되어 있고, 온도 센서(70)는 홈(72)에 삽입된 상태에서 전지셀(70)의 외면에 접하는 구조로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도 2의 전지모듈은 도 1의 전지모듈과 비교하여 사공간(S)이 발생하지 않고, 전지셀(70)과 방열부재(50a)가 직접 접하는 접촉면적이 도 1의 접촉면적보다 증가하므로, 전지셀(70)의 냉각효율을 증가시키고 전지모듈에 외력이 인가되더라도 온도 센서(70)가 변형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에는 판상형 전지셀의 모식도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지셀(100)은 판상형 전지셀로서, 수지층과 금속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시트의 전지케이스(110)에 내장된 양극/분리막/음극 구조의 전극조립체(도시하지 않음)로 구성되어 있고, 전지케이스(110)의 상부와 하부에 전극조립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양극단자(120)와 음극단자(130)가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표현의 간략화를 위하여, 열융착에 의해 전지케이스(11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실링부위는 별도로 나타내지 않았다.
전지케이스(110)에 수지층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금속 케이스의 경우보다 전지셀 내부의 방열이 용이하지 않으며, 특히, 이러한 전지셀들(100)이 다수 적층된 구조의 전지모듈에서는 낮은 방열에 의한 성능 저하, 낮은 안전성 등이 문제가 될 수 있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 카트리지의 평면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도 4의 전지 카트리지를 A 방향에서 바라본 수직 단면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전지 카트리지(200)는 판상형 전지셀(100)을 내부에 장착하고 있고, 전지셀(100)의 전극단자(120, 130)들이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전지 카트리지(200)는 전지셀(100)의 측면이 개방된 상태에서 전지셀(100)의 외주부 양면을 고정하는 한 쌍의 판상형 프레임들(300, 300')로 구성되어 있다.
프레임들(300, 300')의 외면 중 좌측과 우측 상에는 탄성 가압부재들(310, 320, 310', 320')이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전지셀(100)은 개방 측면이 프레임들(300, 300')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프레임들(300, 300')에 장착되고, 탄성 가압부재들(310, 320, 310', 320')은 전지셀(100) 개방 측면의 돌출 높이(l)보다 큰 높이(L)로 프레임들(300, 300')의 외면에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방열부재(도시하지 않음) 개재시 탄성 가압부재들(310, 320, 310', 320')은 방열부재(도시하지 않음)에 대해 탄성 가압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개재된 방열부재(도시하지 않음)는 탄성 가압부재들(310, 320, 310', 320')에 의해 전지셀(100)의 개방 측면까지 효과적으로 가압하면서 밀착시킬 수 있으므로, 이를 사용하는 전지모듈의 크기 증가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효과적인 방열을 달성할 수 있다.
도 6에는 2 개의 전지셀들을 포함하는 전지 카트리지의 분해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도 6의 전지 카트리지의 평면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전지 카트리지(200')는 2개의 판상형 전지셀들(100, 100')을 적층하여 내부에 장착하고 있고, 전지셀들(100, 100')의 사이에 중간 프레임(301)이 추가로 장착되어 있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4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구조에서, 방열부재(도시하지 않음)가 전지셀(100, 100')의 외면 각각에 접하도록 설치되어도 열전도에 의해 우수한 방열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므로, 도 4의 구조와 비교하여, 한 쌍의 프레임(300, 300') 및 중간 프레임(301)에 장착된 탄성 가압부재(310, 320)에 의해 밀착 가압되어, 결과적으로 전지모듈의 크기 증가를 최소화하면서 효과적인 방열을 달성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방열부재의 모식도들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방열부재(500)는 온도 센서를 설치하기 위한 홈(510)이 온도 센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일측면에 형성되어 있고, 외부로 노출된 부위(520)가 일측면으로 절곡되어 있다.
홈(510)은 전지셀(도시하지 않음)의 중앙 부위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홈(510)에 장착되는 온도 센서(도시하지 않음)를 제어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와이어 등이 설치되는 홈 연장부(512)가 형성되어 있다.
방열부재(500)에서 열전도 방향이 부위(520)쪽을 향하는 방향(화살표)일 때, 홈 연장부(512)는 그것의 반대쪽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는, 열전도 방향을 가로지르는 형상의 홈 연장부(512')와 비교하여, 열전도율의 저하를 초래하지 않는다.
도 9의 방열부재(500a)는 외부로 노출된 부위(520a)가 양측면으로 절곡되어 있다는 점에서 도 8의 방열부재(500)와 차이가 있지만, 온도 센서를 설치하기 위한 홈(510a)이 온도 센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일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는 동일하다.
도 10에는 도 9의 방열부재가 카트리지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구조의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1에는 도 10을 A 방향에서 바라본 수직 단면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방열부재(500a)의 양측면으로 카트리지(200)가 위치하고, 전지셀(100) 부분이 방열부재(500a)에 밀착되어 열전도를 통해 냉각을 하게 된다. 이러한 방열부재(500a)의 하면에 열전도 방향의 반대쪽 길이방향으로 홈(720)이 형성되어 있고, 그 홈에 온도 센서(700)가 위치하고 있으므로, 방열부재(500a)와 전지셀(100)의 밀착도 및 접촉면적을 높인다.
만약, 도 1과 같이 방열부재(500a)에 온도 센서(700)의 장착을 위한 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면, 온도 센서(700)의 두께에 해당하는 공간만큼 전지셀(100)과 방열부재(500a) 사이에 사공간이 발생하여, 전지셀(100)의 냉각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도 12에는 도 4의 전지 카트리지들 사이에 방열부재가 개재되는 전지모듈의 사시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8개의 카트리지들(200)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는 전지모듈(400)에서, 4개의 방열부재들(500a)은 카트리지들(200)의 일부 계면에 개재되어, 카트리지(200)에서 발생한 열(정확하게는 카트리지에 내장된 전지셀로부터 발생한 열)이 방열부재(500a)로 전도되면서 높은 방열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8개의 카트리지들(200) 중 프레임(300)의 외면에 장착된 탄성 가압부재들(310, 320)은 방열부재(500a)가 안정적으로 프레임(300)에 장착 및 고정되는 것을 돕는다.
한편, 각각의 방열부재들(500a)은 열전도성이 높은 금속 판재로서, 외부로 노출된 각각의 부위들은 카트리지(200)의 양측면쪽으로 절곡되어 있다.
따라서, 충방전 과정에서 전지셀(100)로부터 발생한 열은 카트리지들(200) 사이에 개재된 방열부재(500a)로 전달된 후 카트리지(200)의 절곡된 부위의 상부에 위치한 열교환 부재(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외부로 방출되므로, 전체적으로 콤팩트한 전지모듈 구조를 이루면서 높은 방열 효율을 달성할 수 있다.
도 13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 부재를 장착한 전지모듈의 사시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도 14에는 도 13의 열교환 부재를 확대한 구조의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도 12와 함께 참조하면, 모듈 케이스(410)에 내장되어 있는 전지모듈(400)은 다수의 카트리지들(200)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적층체의 상부에 열교환 부재(600)가 부가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열교환 부재(600)는 모듈 케이스(410)의 상단면 상에 장착되어 있고, 방열부재들(500a)이 하단면에 밀착되어 있는 기저부(610), 기저부(610)에 연결되어 있으며 냉매 유로(621, 622)가 길이방향으로 관통해 있는 양 측면부들(620, 620'), 및 양 측면부들(620, 620') 사이에서 기저부(610)로부터 상향 연장되어 있는 다수의 방열핀들(630)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즉, 물과 같은 냉매의 유동을 위한 냉매 유로(621, 622)가 형성되어 있고, 다수의 방열핀들(630)은 공기의 유동을 위해 소정의 이격 간격(D)을 가지고 있으므로, 방열부재(500)로부터 전달된 열을 높은 신뢰성과 우수한 냉각 효율성으로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5)

  1. 둘 또는 그 이상의 전지셀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된 전지모듈로서,
    상기 전지셀들 중의 적어도 하나의 전지셀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온도 센서")가 전지셀과 상기 전지셀에 접하는 대응 부재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대응 부재는 전지셀과 접하는 부위에 온도 센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온도 센서는 상기 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전지셀의 외면에 접하는 구조로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 부재는 전지셀들 사이의 계면에 장착되는 방열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재는 냉각핀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재는 높은 열전도성의 금속 판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온도 센서가 전지셀의 중앙 부위에 위치하도록 대응 부재 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열전도 방향의 반대쪽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재는 그것의 적어도 일부가 적층된 전지셀들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전지셀들 사이의 계면에 개재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로 노출된 부위는 전지셀의 측면쪽으로 절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로 노출된 부위는 전지셀의 양측면으로 절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재의 절곡된 부위의 상부에 열교환 부재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 부재에는 냉매의 유동을 위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 부재는 방열부재들이 하단면에 밀착되어 있는 기저부, 상기 기저부에 연결되어 있고 냉매 유로가 길이방향으로 관통해 있는 양 측면부들, 및 상기 양 측면부들 사이에서 기저부로부터 상향 연장되어 있는 다수의 방열핀들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 부재는 모듈 케이스의 상단면 상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케이스의 상단부에는 열교환 부재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의 만입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만입부 상에 장착된 열교환 부재의 높이는 모듈 케이스의 상단면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그 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14. 출력 및 용량에 대응하여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전지모듈 둘 이상을 포함하고 있는 고출력 대용량의 중대형 전지팩.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팩은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또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의 전원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형 전지팩.
KR1020100089891A 2009-09-15 2010-09-14 온도 센서가 장착된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팩 KR1010849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6832 2009-09-15
KR20090086832 2009-09-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0352A true KR20110030352A (ko) 2011-03-23
KR101084969B1 KR101084969B1 (ko) 2011-11-23

Family

ID=43759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9891A KR101084969B1 (ko) 2009-09-15 2010-09-14 온도 센서가 장착된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팩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735451B2 (ko)
EP (1) EP2479835B1 (ko)
JP (1) JP5663579B2 (ko)
KR (1) KR101084969B1 (ko)
CN (1) CN102484300B (ko)
WO (1) WO2011034324A2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253B1 (ko) * 2011-03-31 2013-01-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101288126B1 (ko) * 2013-04-26 2013-07-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팩 및 이를 포함한 전지 모듈
KR20140102785A (ko) * 2013-02-14 2014-08-25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KR20140144789A (ko) * 2013-06-11 2014-12-22 주식회사 엘지화학 온도 측정부재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KR20150089483A (ko) * 2014-01-28 2015-08-0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모듈
WO2015152639A1 (ko) * 2014-04-03 2015-10-08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어레이
US9190643B2 (en) 2013-02-05 2015-11-17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KR20170127273A (ko) * 2016-05-11 2017-11-21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서브모듈 및 서브모듈을 포함하는 전지모듈
US10290909B2 (en) 2013-09-25 2019-05-14 Lg Chem, Ltd. Battery module having temperature sensor
WO2023146242A1 (ko) * 2022-01-28 2023-08-0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온도 측정이 가능한 전지팩용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26227B2 (ja) * 2009-05-11 2014-06-18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弾性押圧部材を有するセルカートリッジ、およびセルカートリッジを備えるセルモジュール
KR101071537B1 (ko) * 2009-09-17 2011-10-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구조의 방열부재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및 중대형 전지팩
KR20130019697A (ko) 2011-08-17 2013-02-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팩 및 이를 포함한 전지 모듈
US20130171491A1 (en) * 2011-12-30 2013-07-04 PEV Power Systems Inc. Apparatus for transferring thermal energy to or from a battery cell
US9040186B2 (en) * 2012-02-15 2015-05-2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 and device to measure temperature of a prismatic cell of automotive battery
JP6051753B2 (ja) * 2012-10-10 2016-12-27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蓄電モジュール
KR102016754B1 (ko) * 2013-02-05 2019-10-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JP6149925B2 (ja) * 2013-03-21 2017-06-21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池モジュール
US20160111759A1 (en) * 2013-05-14 2016-04-21 Nec Energy Devices, Ltd. Battery module
DE102013222293A1 (de) * 2013-11-04 2015-05-07 Robert Bosch Gmbh Batteriemodul
KR102152364B1 (ko) * 2013-12-05 2020-09-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20150105045A (ko) * 2014-03-07 2015-09-1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가열 및 냉각기능을 갖는 히트파이프 어셈블리, 상기 히트파이프 어셈블리를 이용한 친환경 자동차용 배터리 모듈, 상기 히트파이프 어셈블리의 제조방법, 상기 배터리 모듈의 제조방법, 상기 배터리 모듈의 운용방법
DE102014008428A1 (de) 2014-06-06 2015-12-17 Man Truck & Bus Ag Kraftfahrzeugbatterie
DE102014212279A1 (de) 2014-06-26 2015-12-31 Robert Bosch Gmbh Messanordnung zur Aufnahme eines Sensors
US10199695B2 (en) * 2014-08-18 2019-02-05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Battery module with restrained battery cells utilizing a heat exchanger
KR102011113B1 (ko) * 2015-11-05 2019-08-14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및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DE102018217319A1 (de) * 2018-10-10 2020-04-16 Mahle International Gmbh Akkumulator
DE102019112552A1 (de) * 2019-05-14 2020-11-19 HELLA GmbH & Co. KGaA Batterie für ein Kraftfahrzeug, Kraftfahrzeug und Verfahren zum Laden einer Batterie
CN110571373A (zh) * 2019-08-07 2019-12-13 孚能科技(赣州)股份有限公司 感温防火装置、电芯模块、电池模组、电池***和车辆
AT522137B1 (de) * 2020-04-09 2024-04-15 Avl List Gmbh Temperiervorrichtung
FR3121785B1 (fr) * 2021-04-08 2023-04-21 Psa Automobiles Sa Module de batterie equipe d’un capteur de temperature
KR102586730B1 (ko) * 2021-05-27 2023-10-10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차량용 고전압 배터리 모듈 승온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0411A (ja) * 2000-08-03 2002-02-15 Shin Kobe Electric Mach Co Ltd 鉛蓄電池
JP4020650B2 (ja) * 2002-01-30 2007-12-12 三洋電機株式会社 車両用のバッテリー装置
JP4609623B2 (ja) 2003-05-26 2011-01-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結束具
JP4748952B2 (ja) * 2004-06-04 2011-08-17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バッテリ温度測定装置
JP2006035942A (ja) * 2004-07-23 2006-02-09 Sanyo Electric Co Ltd 車両用の電源装置
KR100801635B1 (ko) * 2004-11-02 2008-02-05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 팩의 전지 전압 및 온도 측정용 부재
JP4944618B2 (ja) * 2004-12-20 2012-06-06 日本電気株式会社 デバイスケース、電池セル及び組電池
US8679674B2 (en) * 2005-03-25 2014-03-25 Front Edge Technology, Inc. Battery with protective packaging
JP4213687B2 (ja) * 2005-07-07 2009-01-21 株式会社東芝 非水電解質電池及び電池パック
JP5010250B2 (ja) 2005-11-28 2012-08-29 Necエナジーデバイス株式会社 電池積層体および電池パック
CN101395744B (zh) * 2006-03-02 2012-10-31 国立大学法人岩手大学 二次电池和其制造方法以及***
KR100870457B1 (ko) 2006-05-22 2008-11-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모듈
KR101067627B1 (ko) * 2006-11-13 2011-09-26 주식회사 엘지화학 콤팩트한 구조와 우수한 방열 특성의 전지모듈
JP5092360B2 (ja) 2006-11-17 2012-12-05 富士電機株式会社 燃料電池発電装置
JP2008270122A (ja) * 2007-04-25 2008-11-06 Sanyo Electric Co Ltd 車両用の電源装置
JP2009081301A (ja) * 2007-09-26 2009-04-16 Toyo Tanso Kk 太陽電池ユニット
JP5196936B2 (ja) * 2007-09-27 2013-05-15 三洋電機株式会社 車両用の電源装置
KR101054833B1 (ko) * 2007-10-29 2011-08-05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리튬 2차 전지 단위 셋 및 리튬 2차 전지 셋
JP4337955B2 (ja) * 2007-11-30 2009-09-3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池モジュール及び充電モジュール
JP5305780B2 (ja) * 2008-08-19 2013-10-02 三洋電機株式会社 車両用の組電池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253B1 (ko) * 2011-03-31 2013-01-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US9293793B2 (en) 2011-03-31 2016-03-22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US9190643B2 (en) 2013-02-05 2015-11-17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KR20140102785A (ko) * 2013-02-14 2014-08-25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KR101288126B1 (ko) * 2013-04-26 2013-07-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팩 및 이를 포함한 전지 모듈
KR20140144789A (ko) * 2013-06-11 2014-12-22 주식회사 엘지화학 온도 측정부재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US10290909B2 (en) 2013-09-25 2019-05-14 Lg Chem, Ltd. Battery module having temperature sensor
KR20150089483A (ko) * 2014-01-28 2015-08-0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모듈
WO2015152639A1 (ko) * 2014-04-03 2015-10-08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어레이
US10381679B2 (en) 2014-04-03 2019-08-13 Lg Chem, Ltd. Battery module array
KR20170127273A (ko) * 2016-05-11 2017-11-21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서브모듈 및 서브모듈을 포함하는 전지모듈
WO2023146242A1 (ko) * 2022-01-28 2023-08-0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온도 측정이 가능한 전지팩용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735451B2 (en) 2017-08-15
EP2479835B1 (en) 2017-01-11
KR101084969B1 (ko) 2011-11-23
US20120088135A1 (en) 2012-04-12
JP2013504853A (ja) 2013-02-07
WO2011034324A3 (ko) 2011-09-01
CN102484300B (zh) 2014-12-10
JP5663579B2 (ja) 2015-02-04
EP2479835A4 (en) 2013-11-20
EP2479835A2 (en) 2012-07-25
CN102484300A (zh) 2012-05-30
WO2011034324A2 (ko) 2011-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4969B1 (ko) 온도 센서가 장착된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팩
KR101095346B1 (ko) 우수한 방열 특성의 전지모듈 및 중대형 전지팩
KR101145719B1 (ko) 우수한 방열 특성의 전지모듈 및 중대형 전지팩
KR101071537B1 (ko) 신규한 구조의 방열부재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및 중대형 전지팩
KR101205181B1 (ko) 신규한 구조의 냉각부재와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KR101259757B1 (ko) 우수한 냉각 효율성과 콤팩트한 구조의 전지모듈 및 중대형 전지팩
KR101205180B1 (ko) 콤팩트하고 안정성이 우수한 냉각부재와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KR101447057B1 (ko) 전지셀의 장착 및 방열을 위한 방열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KR101218751B1 (ko) 냉각 효율성이 향상된 중대형 전지팩
KR101307992B1 (ko) 높은 효율성의 냉각 구조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KR101501026B1 (ko) 우수한 냉각 효율성과 콤팩트한 구조의 전지모듈
KR101326086B1 (ko) 콤팩트한 구조와 우수한 방열 특성의 전지모듈 및 그것을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팩
KR20140011439A (ko) 간접 공냉 구조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KR20140039350A (ko) 냉각 효율이 향상된 전지모듈
KR101545166B1 (ko) 전지셀 냉각 부재
KR101658517B1 (ko) 냉각 부재를 활용한 전지모듈
KR20150131759A (ko) 열전 소자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KR20140144784A (ko) 간접 냉각 구조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KR101533992B1 (ko) 전지모듈
KR101262033B1 (ko) 냉각 설계 신뢰성이 향상된 냉각부재와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