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9628A -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9628A
KR20110029628A KR1020090087392A KR20090087392A KR20110029628A KR 20110029628 A KR20110029628 A KR 20110029628A KR 1020090087392 A KR1020090087392 A KR 1020090087392A KR 20090087392 A KR20090087392 A KR 20090087392A KR 20110029628 A KR20110029628 A KR 201100296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ential sensor
sensor unit
cover
link member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7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유흥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7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29628A/ko
Priority to US12/923,221 priority patent/US8346108B2/en
Publication of KR20110029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9628A/ko
Priority to US13/705,828 priority patent/US20130094872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33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by measuring the photoconductor characteristics, e.g. temperature, or the characteristics of an image on the photoconductor
    • G03G15/5037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by measuring the photoconductor characteristics, e.g. temperature, or the characteristics of an image on the photoconductor the characteristics being an electrical parameter, e.g. volta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2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G03G21/163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using doors or cov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7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the photosensitive ele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0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photosensitive element
    • G03G2221/1609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photosensitive element protective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ama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78Frame structures
    • G03G2221/169Structural door desig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현상장치의 착탈시 전위센서와 위치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화상형성장치를 개시한다. 이는 커버의 개폐 동작과 연동시켜 전위센서를 현상장치의 이동 경로에서 벗어나게 함으로써 가능해 진다. 그리고, 링크장치가 커버와 전위센서 사이에 연결되어 커버의 개폐 동작과 연동하여 전위센서를 상하로 움직이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링크장치는 현상장치와 전위센서 간의 위치 간섭을 방지하는 간섭 방지부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위센서가 이동 가능한 화상형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형성장치는 입력된 신호에 따라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로서, 프린터, 복사기, 팩스 및 이들의 기능을 통합하여 구현한 복합기 등이 이에 해당한다.
화상형성장치는 소정 전위로 대전된 감광체에 광을 주사하여 감광체의 표면에 정전잠상(Electrostatic Latent Image)을 형성하고, 이 정전잠상에 현상제인 토너를 공급하여 가시적인 토너화상을 형성한다. 감광체에 형성된 토너화상은 인쇄매체에 바로 전사되거나 중간 전사체를 거쳐 인쇄매체에 전사되고, 인쇄매체로 전사된 화상은 정착과정을 통해 인쇄매체에 고정된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는 감광체의 표면 전위를 측정하는 전위센서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현상장치는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데, 전위센서가 현상장치의 감광체에 인접하여 배치되면, 현상장치의 착탈시 전위센서와 의 위치 간섭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현상장치의 착탈시 전위센서와 위치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화상형성장치는 본체와, 감광체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현상장치와, 상기 감광체의 표면 전위를 측정하도록 형성되는 전위센서유닛과, 상기 현상장치의 착탈이 가능하도록 개폐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전위센서유닛은 상기 커버의 개폐 동작과 연동하여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와 전위센서유닛을 연결시키며, 상기 커버의 개폐 동작에 따라 회전 운동하는 링크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크장치는 상기 커버에 연결되는 제1링크부재와, 일측은 상기 제1링크부재에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전위센서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 내부의 일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는 제2링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크장치는 상기 커버와 제1링크부재의 일측을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시키는 제1힌지부와, 상기 제1링크부재의 타측과 상기 제2링크부재의 일측을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시키는 제2힌지부와, 상기 제2링크부재 상의 일 지점이 상기 본체 내부의 일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시키는 제3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링크부재는 상기 제2링크부재의 회전 운동이 유도되도록 그 중앙부에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링크부재는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힌지부는 상기 제2절곡부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링크부재는 상기 제2힌지부에서 상기 제2절곡부에 걸쳐 형성되며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는 제1파트와, 상기 제2절곡부에서 상기 전위센서유닛에 걸쳐 형성되며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2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파트는 그 단부에 상기 감광체를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되는 액세스(access)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위센서유닛은 상기 액세스부의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상기 본체의 전면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커버를 상기 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시키는 제4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위센서유닛은 상기 감광체의 표면 전위를 측정하는 전위센서와, 상기 전위센서를 감싸서 수용하며 상기 제2링크부재에 결합되는 전위센서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크장치는 상기 감광체에 정전 잠상을 형성시키는 노광장치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화상형성장치는 본체와, 정전 잠상을 형성하여 화상을 현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 내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현상장치와, 상기 감광체의 표면 전위를 측정하도록 형성되는 전위센서유닛과, 상기 현상장치의 착탈 동작시 상기 현상장치의 이동 경로에서 상기 전위센서유닛을 벗어나게 하여 전위센서유닛과의 위치 간섭이 방지되도록 하는 간섭 방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현상장치의 착탈이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의 전면 상부에서 개폐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간섭 방지부는 상기 전위센서유닛이 상기 커버의 개폐 동작과 연동하여 이동하도록 상기 커버와 상기 전위센서유닛을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간섭 방지부는 상기 커버의 개폐 동작에 따라 회전 운동하는 링크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화상형성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면에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커버와, 감광체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를 통해 상기 본체 내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현상장치와, 상기 감광체의 표면 전위 측정을 위한 전위센서유닛과, 상기 커버와 전위센서유닛을 연결시키며, 상기 커버의 개폐 동작과 연동하여 상기 전위 센서유닛을 회전 운동시키는 링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링크장치는 상기 커버에 연결되는 제1링크부재와, 일측은 상기 제1링크부재에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전위센서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 내부의 일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는 제2링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크장치는 상기 커버와 제1링크부재의 일측을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시키는 제1힌지부와, 상기 제1링크부재의 타측과 상기 제2링크부재의 일측을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시키는 제2힌지부와, 상기 제2링크부재 상의 일 지점이 상기 본체 내부의 일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시키는 제3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링크부재는 상기 제2링크부재의 회전 운동이 유도되도록 그 중앙 부에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링크부재는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절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힌지부는 상기 제2절곡부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링크부재는 상기 제2힌지부에서 상기 제2절곡부에 걸쳐 형성되며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는 제1파트와, 상기 제2절곡부에서 상기 전위센서유닛에 걸쳐 형성되며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2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파트는 그 단부에 상기 감광체를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되는 액세스(access)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위센서유닛은 상기 액세스부의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전위센서유닛을 커버와 연동시켜 이동시킴으로써, 현상장치와 전위센서유닛의 위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조작 없이 종래의 현상장치의 착탈을 위한 동작 만으로 현상장치와 전위 센서부의 위치 간섭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1)는 본체(5)와, 용지(P)를 적재하 는 급지장치(10)와, 용지(P)를 이송하는 이송장치(20)와, 용지(P)에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장치(60)와, 용지에 전사된 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장치(40)와, 용지를 배출시키는 배지장치(50)와, 본체(5)의 상부 전면에서 개폐되도록 형성되는 커버(80)를 포함한다.
급지장치(10)는 용지(P)를 공급하며, 본체(5)의 하부에 설치된다. 급지장치(10)는 카세트방식으로 장착되는 급지트레이(11)와, 급지트레이(11) 내부의 용지(P)를 상측의 픽업롤러(15)로 밀어 주는 가압판(12) 및 가압스프링(13)을 포함한다. 가압스프링(13)은 가압판(12) 하부에 설치되고 가압판(12)을 픽업롤러(15) 쪽으로 밀어 준다. 픽업롤러(15)는 회전에 의해 용지를 한 장씩 픽업하여 이송장치(20)로 공급한다.
이송장치(20)는 픽업롤러(15)에 의해 픽업된 용지를 인쇄경로(A)로 이송한다. 이송장치(20)는 이송롤러(21), 이송백업롤러(22) 및 인쇄경로(A)를 형성하는 이송가이드(23)를 포함한다.
현상장치(60)는 본체(5)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며, 인쇄경로(A)에 위치하며 표면에 정전잠상(Electrostatic Latent Image)이 형성되는 감광체(61)와, 감광체(61)를 대전시키는 대전롤러(62)와, 감광체(61)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화상을 구현하는 현상롤러(63)와, 현상롤러(63)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공급롤러(64a, 64b)와, 현상제가 수용되는 현상제 저장부(66)와, 현상제 저장부(66) 내에 설치되어 현상제를 교반시키는 현상제 교반기(67a, 67b)와, 현상장치(60)의 외관을 형성하는 현상장치 하우징(69)을 포함한다.
한편, 인쇄경로(A) 상에는 감광체(61)에 형성된 화상이 용지로 전사되도록 하는 전사장치의 일 예로 전사롤러(65)가 마련된다.
또한, 본체(5) 내부에는 대전된 감광체(61)로 화상정보가 포함된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정전 잠상(Electrostatic Latent Image)을 형성시키는 노광장치(LSU, Laser Scanning Unit)(70)가 마련된다.
감광체(61)는 대전롤러(62)에 의해 대전되고, 그 표면에는 노광장치(70)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 빔에 의해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현상롤러(63)는 현상제를 감광체(61)의 정전잠상에 부착시켜 화상을 형성한다. 전사롤러(65)는 감광체(61)에 부착된 현상제를 용지로 전사한다.
감광체(61)의 상부에는 전위센서유닛(200)이 마련된다. 전위센서유닛(200)과 커버(80)는 링크장치(100)에 의해 연결되며, 전위센서유닛(200)은 커버(80)의 개폐와 연동하여 이동하게 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정착장치(40)는 가열롤러(41)와 가압롤러(42)를 포함한다. 정착장치(40)는 가열롤러(41)와 가압롤러(42) 사이로 용지가 통과하는 과정에서 용지(P)에 전사된 현상제(화상)에 열과 압력을 가함으로써 현상제가 용지(P)에 융착되도록 한다.
배지장치(50)는 정착장치(40)를 거친 용지(P)를 본체(5) 상부의 배지부(3)로 이송한다. 배지장치(50)는 용지(P)를 배지부(3)로 안내하는 배지가이드들(51)과, 배지경로(B)에 배치된 복수의 배지롤러들(52)을 포함한다.
커버(80)는 본체(5)의 전면 상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개폐되도록 마련되는데, 본체(5)와 연결부(85)에 의해 연결된다. 연결부(85)는 본체(5)에 제4힌지 부(88)에 의해 힌지 결합되며, 커버(80)의 개폐 동작시 커버(80)와 일체로 움직인다.
이하에서는 전위센서유닛(200) 및, 전위센서유닛(200)과 커버(80) 사이를 연결하는 링크장치(10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전위센서유닛과 링크장치를 나타내는 상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I - I'에 따른 단면도이다.
전위센서유닛(200)은 감광체(61)의 표면 전위를 측정하는 전위센서(210)와, 전위센서(210)를 수용하는 전위센서 하우징(220)을 포함한다.
전위센서(210)는 감광체(61)의 표면 전위를 정확하게 측정하도록 감광체(61)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감광체(61)와의 거리는 3mm 이내로 배치될 수 있다.
전위센서 하우징(220)은 전위센서(210)를 감싸서 수용하는 역할을 하며, 링크장치(100)에 연결된다.
링크장치(100)는 커버(80)와 전위센서유닛(200) 사이를 연결하며, 커버(80)의 개폐 동작과 연동하여 전위센서유닛(200)이 이동할 수 있도록 회전 운동한다.
링크장치(100)는 본체 내부의 설치 공간(S)에 배치되는데, 설치 공간(S)은 노광장치(70)의 측면 공간이다. 노광장치(70) 측면의 빈 공간을 설치 공간(S)으로 활용하는 것이다. 설치 공간(S)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광장치(70)의 좌측 설치 공간(S)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노광장치(70)의 우측의 빈 공간도 링크장치(100)의 설치 공간(S')이 될 수 있다.
링크장치(100)는 커버(80)에 연결되는 제1링크부재(110)와, 일측은 제1링크 부재(110)에 연결되며 타측은 전위센서유닛(200)에 연결되어 본체(5) 내부의 일 지점(X)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는 제2링크부재(120)를 포함한다.
즉, 제1링크부재(110)가 커버(80)에 의해 당겨지면, 제1링크부재(110)와 연결된 제2링크부재(120)가 회전하면서 전위센서유닛(200)을 들어올리는 구조이다.
커버(80)의 연결부(85)와 제1링크부재(110)의 일측은 서로 회전 가능하도록 제1힌지부(130)에 의해 힌지 결합되고, 제1링크부재(110)의 타측과 제2링크부재(120)의 일측은 서로 회전 가능하도록 제2힌지부(140)에 의해 힌지 결합되며, 제2링크부재(120)는 본체 내부의 일 지점(X)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제3힌지부(150)에 의해 본체(5) 내부의 일 지점(X)에 힌지 결합된다.
따라서, 커버(80)의 개폐 동작은 제1힌지부(130)를 통해 제1링크부재(110)로 전달되고, 제1링크부재(110)가 제2링크부재(120)의 일측을 제2힌지부(140)를 통해 당기게 되면 제2링크부재(120)가 본체(5)에 고정된 제3힌지부(150)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전위센서유닛(200)을 들어 올리게 된다.
제1링크부재(110)는 그 중앙부에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절곡부(113)를 포함하고, 이는 커버(80)의 개폐 동작에 따른 힘을 제2링크부재(120)로 용이하게 전달하여 제2링크부재(120)의 회전 운동이 유도되도록 하기 위한 구조이다.
제2링크부재(120)는 본체(5)와 결합하는 제3힌지부(150) 주변에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절곡부(123)를 포함한다.
제2링크부재(120)는 제2힌지부(140)에서 제2절곡부(123)에 걸쳐 형성되는 제1파트(122)와, 제2절곡부(123)에서 전위센서유닛(200)에 걸쳐 형성되는 제2파 트(124)를 포함한다. 제1파트(122)는 제2파트(124)에 비해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된다.
제2파트(124)는 그 단부에 감광체(61)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액세스(access)부(126)를 포함하고, 액세스부(126)의 단부에는 전위센서유닛(200)이 결합된다. 액세스부(126)는 구조적으로 전위센서유닛(200)의 감광체(61)에 대한 접근을 용이하게 하면서 제2링크부재(120)와 연결시켜 주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커버(80)의 개폐 동작에 따른 전위센서유닛(200)의 이동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6은 커버의 개폐 동작 과정에 따라 전위센서유닛과 링크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세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80)가 닫힌 상태의 경우에 전위센서(210)를 포함하는 전위센서유닛(200)은 감광체(61)에 인접한 거리에 배치되어 감광체(61) 표면 전위를 측정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화상형성장치(1)를 사용하다가 현상장치(60)의 교체가 필요하거나 화상형성장치(1) 내부에서 용지 걸림이 발생한 경우, 사용자는 커버(80)를 개폐하기 위해 상부로 힘을 가한다. 그러면, 커버(8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로 열리면서 연결부(85)에 의해 연결된 제1링크부재(110)를 끌어 당긴다. 커버(80)가 상부로 들어 올려지는 힘은 제1링크부재(110)를 통해 제2링크부재(120)의 제1파트(122)를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힘으로 작용하게 되고, 제1파트(122)가 회전하게 되면 제1파트(122)와 일체로 된 제2파트(124)도 회전하면서 전 위센서유닛(200)을 들어 올리게 된다.
사용자가 계속 상측으로 커버(80)에 힘을 가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80)는 상부로 완전히 개방되고, 전위센서유닛(200)은 노광장치(70)의 측면으로 완전히 들어 올려지게 된다. 그리고 나서, 사용자는 현상장치(60)를 본체(5)에서 "K" 방향으로 분리해 내면 된다. 이 때, 전위센서유닛(200)은 이미 노광장치(70)의 측면 공간으로 완전히 들어 올려진 상태이므로, 현상장치(60)가 움직이더라도 현상장치(60)와의 위치 간섭이나 충돌 문제는 발생하지 않게 된다. 즉, 현상장치(60)의 이동 경로에서 전위센서유닛(200)이 벗어나게 되어 현상장치(60)와의 위치 간섭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링크장치(100)는 현상장치(60)의 착탈 동작시 현상장치(60)와 전위센서유닛(200)과의 위치 간섭을 방지하는 간섭 방지부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 처럼, 전위센서유닛(200)이 커버(80)의 개폐와 연동하여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나타난 용지공급 및 배지방향과 현상장치의 장탈착 방향이 동일한 방식의 화상형성장치에서 현상장치(60)의 장착 및 탈착 동작이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별도의 조작 없이 종래의 현상장치(60)의 착탈을 위한 커버(80)의 개폐 동작 만으로 현상장치(60)와 전위센서유닛(200) 간에 발생할 수 있는 간섭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 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전위센서유닛과 링크장치를 나타내는 상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I - I'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커버의 개폐 동작 과정에 따라 전위센서유닛과 링크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화상형성장치 5 : 본체
10 : 급지장치 20 : 이송장치
40 : 정착장치 50 : 배지장치
60 : 현상장치 70 : 노광장치
80 : 커버 100 : 링크장치
110 : 제1링크부재 120 : 제2링크부재
200 : 전위센서유닛

Claims (20)

  1. 본체와,
    감광체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현상장치와,
    상기 감광체의 표면 전위를 측정하도록 배치되는 전위센서유닛과,
    상기 현상장치의 착탈이 가능하도록 개폐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전위센서유닛은 상기 커버의 개폐 동작과 연동하여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와 전위센서유닛을 연결시키며, 상기 커버의 개폐 동작에 따라 회전 운동하는 링크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장치는 상기 커버에 연결되는 제1링크부재와, 일측은 상기 제1링크부재에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전위센서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 내부의 일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는 제2링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장치는 상기 커버와 제1링크부재의 일측을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시키는 제1힌지부와,
    상기 제1링크부재의 타측과 상기 제2링크부재의 일측을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시키는 제2힌지부와,
    상기 제2링크부재 상의 일 지점이 상기 본체 내부의 일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시키는 제3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부재는 상기 제2링크부재의 회전 운동이 유도되도록 그 중앙부에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링크부재는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힌지부는 상기 제2절곡부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링크부재는 상기 제2힌지부에서 상기 제2절곡부에 걸쳐 형성되며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는 제1파트와, 상기 제2절곡부에서 상기 전위센서유닛에 걸쳐 형성되며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2파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파트는 그 단부에 상기 감광체를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되는 액세스(access)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위센서유닛은 상기 액세스부의 단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본체의 전면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커버를 상기 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시키는 제4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위센서유닛은 상기 감광체의 표면 전위를 측정하는 전위센서와, 상기 전위센서를 감싸서 수용하며 상기 제2링크부재에 결합되는 전위센서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화상형성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장치는 상기 감광체에 정전 잠상을 형성시키는 노광장치의 측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본체와,
    정전 잠상을 형성하여 화상을 현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 내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현상장치와,
    상기 감광체의 표면 전위를 측정하도록 배치되는 전위센서유닛과,
    상기 현상장치의 착탈 동작시 상기 현상장치의 이동 경로에서 상기 전위센서유닛을 벗어나게 하여 전위센서유닛과의 위치 간섭이 방지되도록 하는 간섭 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장치의 착탈이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의 전면 상부에서 개폐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간섭 방지부는 상기 전위센서유닛이 상기 커버의 개폐 동작과 연동하여 이동하도록 상기 커버와 상기 전위센서유닛을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방지부는 상기 커버의 개폐 동작에 따라 회전 운동하는 링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5.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면에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커버와,
    감광체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를 통해 상기 본체 내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현상장치와,
    상기 감광체의 표면 전위 측정을 위한 전위센서유닛과,
    상기 커버와 전위센서유닛을 연결시키며, 상기 커버의 개폐 동작과 연동하여 상기 전위 센서유닛을 회전 운동시키는 링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장치는 상기 커버에 연결되는 제1링크부재와, 일측은 상기 제1링크부재에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전위센서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 내부의 일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는 제2링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장치는 상기 커버와 제1링크부재의 일측을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시키는 제1힌지부와, 상기 제1링크부재의 타측과 상기 제2링크부재의 일측을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시키는 제2힌지부와, 상기 제2링크부재 상의 일 지점이 상기 본체 내부의 일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시키는 제3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부재는 상기 제2링크부재의 회전 운동이 유도되도록 그 중앙부에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링크부재는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절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힌지부는 상기 제2절곡부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링크부재는 상기 제2힌지부에서 상기 제2절곡부에 걸쳐 형성되며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는 제1파트와, 상기 제2절곡부에서 상기 전위센서유닛에 걸쳐 형성되며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2파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파트는 그 단부에 상기 감광체를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되는 액세스(access)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위센서유닛은 상기 액세스부의 단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90087392A 2009-09-16 2009-09-16 화상형성장치 KR2011002962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7392A KR20110029628A (ko) 2009-09-16 2009-09-16 화상형성장치
US12/923,221 US8346108B2 (en) 2009-09-16 2010-09-09 Image forming apparatus
US13/705,828 US20130094872A1 (en) 2009-09-16 2012-12-05 Image form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7392A KR20110029628A (ko) 2009-09-16 2009-09-16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9628A true KR20110029628A (ko) 2011-03-23

Family

ID=43730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7392A KR20110029628A (ko) 2009-09-16 2009-09-16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8346108B2 (ko)
KR (1) KR2011002962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99025B2 (ja) * 2016-03-30 2018-10-03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53893A (ja) * 1997-11-20 1999-06-08 Fujitsu Ltd 画像形成装置
US5983043A (en) * 1997-12-24 1999-11-09 Canon Kabushiki Kaisha Potential measuring apparatus and potential measuring method
JPH11282223A (ja) * 1998-02-02 1999-10-15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および光学検知システム
US7324766B2 (en) * 2005-05-20 2008-01-29 Xerox Corporation Cross-process charge uniformity scanner
JP2007155793A (ja) * 2005-11-30 2007-06-21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064434A1 (en) 2011-03-17
US8346108B2 (en) 2013-01-01
US20130094872A1 (en) 2013-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15752B2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image bearing member contacting and being spaced from transfer member transferring a toner image from the member thereonto
JP3945437B2 (ja) 画像形成装置
US7978997B2 (en) Developer cartridges, process cartridges, and image formation devices
US7660549B2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6590534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8712312B2 (en) Cover opening and clos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1408430B1 (ko)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JP5538764B2 (ja) 画像形成装置
KR100611982B1 (ko) 보조 트레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JP2000231321A (ja) 画像形成装置
JP4423567B2 (ja) 画像形成装置
US20120086166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plural discharge paths
JP2003173124A (ja) 画像形成装置
KR20110029628A (ko) 화상형성장치
US1052087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20140294447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8857811B2 (en) Sheet transport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ed with the same
JP5352724B2 (ja) トナーコンテナ
JP2000231230A (ja) 画像形成装置
US1181583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comprising development unit for receiving replenishment container and retractable support for supporting the development unit
JP7379223B2 (ja) 現像剤供給装置
US20240085824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20240085849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20240094671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7404630B2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