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8828A - 판 형상물의 보강 방법 및 판 형상물의 보강 구조 - Google Patents

판 형상물의 보강 방법 및 판 형상물의 보강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8828A
KR20110018828A KR1020100076381A KR20100076381A KR20110018828A KR 20110018828 A KR20110018828 A KR 20110018828A KR 1020100076381 A KR1020100076381 A KR 1020100076381A KR 20100076381 A KR20100076381 A KR 20100076381A KR 20110018828 A KR20110018828 A KR 201100188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uble
hole
adhesive tape
plate
sided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6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부로 미야모또
유끼또시 하세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18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88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5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05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for motor ca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14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 E04B2/16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 E04B2/20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by filling material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s in small channels in, or in grooves between, th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0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of asbestos cement; of cement and other mineral fibres
    • E04C2/0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of asbestos cement; of cement and other mineral fibres reinforc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2001/2466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69Profile with an array of connection ho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002/7461Details of connection of sheet panels to frame or posts
    • E04B2002/7472Details of connection of sheet panels to frame or posts using adhesi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52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cutting, punching, tearing or severing
    • Y10T156/1062Prior to assembly
    • Y10T156/1075Prior to assembly of plural laminae from single stock and assembling to each other or to additional lamina
    • Y10T156/1077Applying plural cut laminae to single face of additional lamin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17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sheet or component perpendicular to plane of web or she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Panels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테이프 길이 방향을 따라 직사각형 형상의 관통 구멍이 규칙적으로 형성된 양면 점착 테이프의 표면에 부착된 세퍼레이터 상으로부터 부착 롤러를 가압하여 구름 이동시키면서, 이 양면 점착 테이프를 건축용 패널에 부착한다. 그 후, 세퍼레이터를 박리하고, 양면 점착 테이프와 평행하게 대향시킨 자세를 유지시키면서 보강 부재를 양면 점착 테이프의 점착제층에 가압하여 부착한다.

Description

판 형상물의 보강 방법 및 판 형상물의 보강 구조 {METHOD AND CONFIGURATION FOR REINFORCING PLATE MATERIAL}
본 발명은 건축용 패널, 자동차의 도어나 본네트 등을 포함하는 패널 등의 판 형상물을 보강하는 판 형상물의 보강 방법 및 판 형상물의 보강 구조에 관한 것이다.
건축용 패널 등은 대형화 및 경량화가 도모되고 있다. 즉, 경량화를 위해 두께를 얇게 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건축용 패널 등의 판 형상물의 대형화에 수반하는 경량 또한 박형화의 대책에 의해, 판 형상물의 강성이 저하한다. 이 강성의 저하를 보충하기 위해, 접착제 또는 양면 점착 테이프를 개재하여 판 형상물에 금속성의 보강 부재를 부착하여 덧댐 보강을 행하고 있다(일본 특허 공개 제2008-285993호 공보를 참조).
그러나, 종래의 보강 방법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즉, 접착제를 사용한 경우, 보강 부재에의 접착제의 도포 불균일에 의한 접착 강도의 저하를 초래한다. 또한, 접착제의 도포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보강 부재가 접합면으로부터 비어져나온다. 비어져나온 점착제가 판 형상물이나 주변 부재를 오염시킨다. 또한, 접착제의 건조 처리 시간이 길어지는 등의 문제가 있다.
양면 점착 테이프를 이용한 경우, 접착제에서 발생하는 상기 문제를 해소하는 데에 유효하지만,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즉, 점착 테이프의 점착제층과 피착체 사이에 기포가 혼입되어, 밀착도가 저하한다. 따라서, 고착 강도의 저하에 의해, 외력이 가해졌을 때에 판 형상물이 비틀어지거나 파손된다.
본 발명은 양면 점착 테이프를 개재하여 보강 부재를 판 형상물에 고정밀하게 밀착시킬 수 있는 판 형상물의 보강 방법 및 판 형상물의 보강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구성을 취한다.
리브를 갖는 보강 부재에 의해 판 형상물을 덧댐 보강하는 판 형상물의 보강 방법이며, 상기 방법은 이하의 과정을 포함한다.
부착 부재로서의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상기 보강 부재 중 어느 하나에 관통 구멍을 형성해 두고,
상기 관통 구멍을 갖는 부재와 관통 구멍을 갖지 않는 부재를 먼저 부착한 후에, 양면 점착 테이프의 다른쪽 면에 피착체인 보강 부재 또는 판 형상물을 접합한다.
이 방법에 있어서, 예를 들어 양면 점착 테이프에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 구멍은 테이프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판 형상물의 보강 방법에 따르면, 관통 구멍이 형성된 양면 점착 테이프가, 우선 판 형상물 또는 보강 부재 중 어느 한쪽의 피착체에 부착된 후에, 이 양면 점착 테이프의 반대측의 점착제층에 다른쪽의 피착체가 부착된다. 여기서, 선행하여 양면 점착 테이프가 부착되는 피착체는, 양면 점착 테이프를 피착체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를 향하여 롤러 등을 가압하여 구름 이동시키면서 부착할 수 있다. 따라서, 피착체와 점착제층의 계면에 혼입되는 경향이 있는 기포가 부착 방향으로 배제되어 간다.
양면 점착 테이프가 부착된 피착체를 다른쪽의 피착체에 접합하는 경우, 어느 쪽의 피착체도 강성을 가지므로 휘게 하면서 부착할 수 없다. 따라서, 후에 부착하는 피착체의 접합면을 양면 점착 테이프에 대하여 평행한 상태에서 가압하면서 부착되게 된다. 이 때, 양면 점착 테이프에 형성된 관통 구멍에 의해 후에 부착하는 피착체와 양면 점착 테이프의 단위 면적당의 접촉 면적이 관통 구멍이 없는 양면 점착 테이프에 비하여 작다. 즉, 이 계면에 혼입된 기포가 피착체의 가압에 의해 계면 밖으로 배출되는 이동 거리가 짧게 되어 있으므로, 기포는 관통 구멍을 포함하는 양면 점착 테이프의 외측으로 즉시 배출된다.
따라서, 판 형상물과 양면 점착 테이프 및 보강 부재와 양면 점착 테이프의 어느 접착 계면에 있어서도 기포의 혼입이 억제되고, 양쪽 피착체의 고착 강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 방법에 있어서, 양면 점착 테이프는, 관통 구멍이 테이프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관통 구멍은, 테이프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긴 구멍이어도 된다.
또한, 양면 점착 테이프의 관통 구멍의 부분에 위치하는 보강 부재의 면에 작은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방법에 있어서, 복수개의 리브가 인접하고, 또한 리브끼리의 사이의 테이프 부착면에 관통 구멍이 형성된 보강 부재를 사용하여도 된다.
이 방법에 따르면, 양면 점착 테이프가, 우선, 판 형상물 또는 관통 구멍이 형성된 보강 부재 중 어느 한쪽의 피착체에 부착된 후에, 이 양면 점착 테이프의 반대측의 점착제층에 다른쪽의 피착체가 부착된다. 여기에서 선행하여 양면 점착 테이프가 부착되는 피착체는, 양면 점착 테이프를 피착체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를 향하여 롤러 등을 가압하여 구름 이동시키면서 부착할 수 있다. 따라서, 피착체와 점착제층의 계면에 혼입되는 경향이 있는 기포가 부착 방향으로 배제되어 간다.
이 롤러에 의한 양면 점착 테이프의 부착을 판 형상물에 먼저 행하는 쪽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롤러에 의해, 판 형상물과 점착제층의 접착 계면에의 기포의 혼입을 억제하는 효과에 추가하여, 다음의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즉, 보강 부재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양면 점착 테이프와의 단위 면적당의 접촉 면적이 관통 구멍이 없는 보강 부재에 비하여 작다. 즉, 이 계면에 혼입된 기포가 보강 부재의 가압에 의해 계면 밖으로 배출되는 이동 거리가 짧게 되어 있으므로, 기포는 관통 구멍을 포함하는 양면 점착 테이프의 외측으로 즉시 배출된다.
따라서, 판 형상물과 양면 점착 테이프 및 보강 부재와 양면 점착 테이프의 어느 접착 계면에 있어서도 기포의 혼입이 억제되어, 양쪽 피착체의 고착 강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관통 구멍이 형성된 보강 부재에 먼저 양면 점착 테이프를 부착한 후에, 보강 부재를 판 형상물에 부착하여도 된다.
또한, 이 방법에 있어서, 보강 부재의 관통 구멍은,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보강 부재의 관통 구멍은,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긴 구멍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구성을 취한다.
리브를 갖는 보강 부재에 의해 판 형상물을 덧댐 보강한 판 형상물의 보강 구조이며, 상기 구조는 이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관통 구멍이 형성된 양면 점착 테이프를 개재하여 상기 판 형상 부재와 보강 부재를 접합하여 구성한다.
또한, 양면 점착 테이프는, 관통 구멍이 테이프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양면 점착 테이프는, 테이프 길이 방향을 따라 긴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보강 부재에는, 상기 양면 점착 테이프의 관통 구멍의 부분에 작은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구성을 취한다.
리브를 갖는 보강 부재에 의해 판 형상물을 덧댐 보강한 판 형상물의 보강 구조이며, 상기 구조는 이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상기 보강 부재는, 복수개의 리브가 인접하고, 또한 리브끼리의 사이의 테이프 부착면에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강 부재와 상기 판 형상물을 양면 점착 테이프로 접합하여 구성한다.
또한, 보강 부재는, 관통 구멍이 상기 보강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보강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긴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현재의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몇가지 형태가 도시되어 있지만, 발명이 도시된 대로의 구성 및 방책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이해하기 바란다.
도 1은, 실시예 1의 건축용 패널의 보강 구조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실시예 1의 건축용 패널의 보강 구조를 도시하는 부분 종단면도.
도 3은, 실시예 1의 양면 점착 테이프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실시예 1의 건축용 패널의 보강 방법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5는, 실시예 1의 건축용 패널의 보강 방법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6은, 실시예 1의 건축용 패널의 보강 방법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7은, 실시예 1의 건축용 패널의 보강 방법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8은, 실시예 2의 건축용 패널의 보강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9는, 실시예 2의 건축용 패널의 보강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0은, 변형예의 보강 구조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변형예의 보강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2는, 변형예의 보강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3은, 변형예의 보강 구조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14는, 변형예의 보강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5는, 변형예의 보강 구조를 도시하는 부분 종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판 형상물로서 건축용 패널을 보강 부재로 보강하는 방법 및 그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 이 방법 및 구조는, 이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건축용 패널 외에, 자동차의 도어나 본네트, 태양 전지 패널 등의 경량 박형화가 요구되는 판 형상 부재에도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 1]
도 1은, 건축용 패널을 보강 부재로 덧댐 보강한 구조를 도시하는 이면측의 사시도이다.
이 보강 구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축용 패널(1)의 이면측에 양면 점착 테이프(2)를 개재하여 보강 부재(3)가 부착 고정되어 있다.
건축용 패널(1)로서는, 예를 들어 세라믹 보드나 다공질의 보드 등 경량화 또한 대형화의 것을 들 수 있다.
양면 점착 테이프(2)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재(4)의 양면에 점착제층(5, 6)이 형성되어 있고, 점착제층(6)의 표면에 세퍼레이터 S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이 양면 점착 테이프(2)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직사각형 형상의 관통 구멍(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점착제층(5, 6)을 구성하는 점착제(감압성 접착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점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아크릴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비닐알킬에테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폴리에스테르계 점착제, 폴리아미드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불소계 점착제, 에폭시계 점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중에서도 강접착성의 관점에서 아크릴계 점착제 및/또는 고무계 점착제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크릴계 점착제이다.
상기 고무계 점착제로서는, 천연 고무,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IS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BS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에틸렌ㆍ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EBS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폴리부타디엔, 폴리이소프렌, 폴리이소부틸렌, 부틸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실리콘 고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에틸렌-프로필렌 3원 공중합체 등의 고무 성분을 베이스 중합체로 하는 고무계 점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로서는, 아크릴계 중합체[특히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를 단량체 성분으로 하는 아크릴계 중합체]를 베이스 중합체(주성분)로서 함유하는 점착제를 들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를 구성하는 주요 단량체 성분으로서는,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 메틸, (메트)아크릴산 에틸, (메트)아크릴산 프로필, (메트)아크릴산 이소프로필, (메트)아크릴산 부틸, (메트)아크릴산 이소부틸, (메트)아크릴산 s-부틸, (메트)아크릴산 t-부틸, (메트)아크릴산 펜틸, (메트)아크릴산 이소펜틸, (메트)아크릴산 헥실, (메트)아크릴산 헵틸, (메트)아크릴산 옥틸, (메트)아크릴산 2-에틸헥실, (메트)아크릴산 이소옥틸, (메트)아크릴산 노닐, (메트)아크릴산 이소노닐, (메트)아크릴산 데실, (메트)아크릴산 이소데실, (메트)아크릴산 운데실, (메트)아크릴산 도데실, (메트)아크릴산 트리데실, (메트)아크릴산 테트라데실, (메트)아크릴산 펜타데실, (메트)아크릴산 헥사데실, (메트)아크릴산 헵타데실, (메트)아크릴산 옥타데실, (메트)아크릴산 노나데실, (메트)아크릴산 에이코실 등의 (메트)아크릴산 C1-20 알킬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메트)아크릴산 C2-14 알킬에스테르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메트)아크릴산 C2-10 알킬에스테르이다. 또한, 상기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란, 「아크릴산 에스테르」 및/또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를 나타내며, 다른 것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기의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 이외의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어 시클로펜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지환식 탄화수소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페닐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는 아크릴계 중합체의 단량체 주성분으로서 사용되고 있으므로,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특히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의 비율은, 예를 들어 아크릴계 중합체를 제조하기 위한 단량체 성분 전량에 대하여 60중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0중량% 이상이다.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에서는, 단량체 성분으로서, 극성기 함유 단량체나 다관능성 단량체 등의 각종 공중합성 단량체가 사용되어도 된다. 단량체 성분으로서 공중합성 단량체를 사용함으로써, 예를 들어 피착체에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거나, 점착제의 응집력을 높이거나 할 수 있다. 공중합성 단량체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극성기 함유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산, 푸마르산, 크로톤산, 이소크로톤산 등의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 또는 그의 무수물(무수 말레산 등); (메트)아크릴산 히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산 히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산 히드록시부틸 등의 (메트)아크릴산 히드록시알킬 등의 수산기 함유 단량체;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N,N-디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틸올(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톡시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N-부톡시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등의 아미드기 함유 단량체; (메트)아크릴산 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산 디메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산 t-부틸아미노에틸 등의 아미노기 함유 단량체; (메트)아크릴산 글리시딜, (메트)아크릴산 메틸글리시딜 등의 글리시딜기 함유 단량체; 아크릴로니트릴이나 메타크릴로니트릴 등의 시아노기 함유 단량체; N-비닐-2-피롤리돈, (메트)아크릴로일모르폴린 외에 N-비닐피리딘, N-비닐피페리돈, N-비닐피리미딘, N-비닐피페라진, N-비닐피롤, N-비닐이미다졸, N-비닐옥사졸 등의 복소환 함유 비닐계 단량체; (메트)아크릴산 메톡시에틸, (메트)아크릴산 에톡시에틸 등의 (메트)아크릴산 알콕시알킬계 단량체; 비닐술폰산나트륨 등의 술폰산기 함유 단량체;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로일포스페이트 등의 인산기 함유 단량체; 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 이소프로필말레이미드 등의 이미드기 함유 단량체;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이소시아네이트기 함유 단량체 등을 들 수 있다. 극성기 함유 단량체로서는 아크릴산 등의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 또는 그의 무수물이 적합하다.
극성기 함유 단량체의 사용량으로서는, 아크릴계 중합체를 형성하기 위한 단량체 성분 전량에 대하여 30중량% 이하(예를 들어 1 내지 30중량%)이고, 바람직하게는 3 내지 20중량%이다. 극성기 함유 단량체의 사용량이 30중량%를 초과하면, 예를 들어 아크릴계 점착제의 응집력이 지나치게 높아져, 점착제층의 점착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극성기 함유 단량체의 사용량이 지나치게 적으면(예를 들어 1중량% 미만이면), 이들 단량체의 공중합의 효과가 얻어지지 않게 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다관능성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헥산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부탄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메틸올메탄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알릴 (메트)아크릴레이트, 비닐 (메트)아크릴레이트, 디비닐벤젠,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다관능성 단량체의 사용량으로서는, 아크릴계 중합체를 형성하기 위한 단량체 성분 전량에 대하여 2중량% 이하(예를 들어, 0.01 내지 2중량%)이고,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1중량%이다. 다관능성 단량체의 사용량이 아크릴계 중합체를 형성하기 위한 단량체 성분 전량에 대하여 2중량%를 초과하면, 예를 들어 점착제의 응집력이 지나치게 높아져, 점착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다관능성 단량체의 사용량이 지나치게 적으면(예를 들어 0.01중량% 미만이면), 이들 단량체의 공중합의 효과가 얻어지지 않게 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극성기 함유 단량체나 다관능성 단량체 이외의 공중합성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아세트산 비닐, 프로피온산 비닐 등의 비닐 에스테르류, 스티렌, 비닐 톨루엔 등의 방향족 비닐 화합물, 에틸렌, 부타디엔, 이소프렌, 이소부틸렌 등의 올레핀 또는 디엔류; 비닐 알킬에테르 등의 비닐 에테르류; 염화비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중합체(아크릴계 점착제이면 아크릴계 중합체)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점착제층의 총 중량에 대하여 80중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5 내지 95중량%이다.
상기 점착제에는, 필요에 따라 적절한 첨가제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베이스 중합체의 종류에 따라, 가교제(예를 들어, 폴리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실리콘계 가교제, 에폭시계 가교제, 알킬에테르화 멜라민계 가교제 등), 점착 부여제(예를 들어, 로진 유도체 수지, 폴리테르펜 수지, 석유 수지, 유용성 페놀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상온에서 고체, 반고체 혹은 액상의 것), 중합 조정제(라우릴머캅탄이나 티오글리콜산 등), 가소제, 충전제, 노화 방지제(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제 등), 착색제(안료나 염료 등) 등의 적당한 첨가제를 포함하여도 된다. 또한, 점착제가 후술하는 기포 및/또는 중공 미소구 형상체를 함유하는 점착제인 경우에는, 첨가제로서 불소계 계면 활성제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첨가제의 첨가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베이스 중합체를 형성하기 위한 전체 단량체[예를 들어, 아크릴계 중합체를 형성하기 위한 전체 단량체 성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50중량부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중량부 이하이다.
상기 점착제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중합체로서의 아크릴계 중합체의 제조시에는, 열중합 개시제나 광중합 개시제(광개시제) 등의 중합 개시제를 사용한 열이나 활성 에너지 광선에 의한 경화 반응을 이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중합의 단시간화, 기포를 함유시키는 경우의 기포 안정성 등의 관점에서, 광중합 개시제를 사용한 활성 에너지 광선에 의한 경화 반응(광중합)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중합 개시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열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아조계 중합 개시제[예를 들어,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온산)디메틸, 4,4'-아조비스-4-시아노발레리안산, 아조비스이소발레로니트릴, 2,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판)디히드로클로라이드, 2,2'-아조비스[2-(5-메틸-2-이미다졸린-2-일)프로판]디히드로클로라이드, 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온아미딘) 이황산염, 2,2'-아조비스(N,N'-디메틸렌이소부틸아미딘)디히드로클로라이드 등], 과산화물계 중합 개시제(예를 들어, 디벤조일퍼옥시드, tert-부틸퍼말레에이트 등), 산화 환원계 중합 개시제 등을 들 수 있다. 열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종래, 열중합 개시제로서 이용 가능한 범위이면 된다.
상기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벤조인 에테르계 광중합 개시제, 아세토페논계 광중합 개시제, α-케톨계 광중합 개시제, 방향족 술포닐 클로라이드계 광중합 개시제, 광활성 옥심계 광중합 개시제, 벤조인계 광중합 개시제, 벤질계 광중합 개시제, 벤조페논계 광중합 개시제, 케탈계 광중합 개시제, 티오크산톤계 광중합 개시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벤조인 에테르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벤조인 메틸에테르, 벤조인 에틸에테르, 벤조인 프로필에테르, 벤조인 이소프로필에테르, 벤조인 이소부틸에테르, 2,2-디메톡시-1,2-디페닐에탄-1-온, 아니솔 메틸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아세토페논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2,2-디에톡시아세토페논,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4-페녹시디클로로아세토페논, 4-(t-부틸)디클로로아세토페논 등을 들 수 있다. α-케톨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2-메틸-2-히드록시프로피오페논, 1-[4-(2-히드록시에틸)페닐]-2-메틸프로판-1-온 등을 들 수 있다. 방향족 술포닐 클로라이드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2-나프탈렌술포닐 클로라이드 등을 들 수 있다. 광활성 옥심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1-페닐-1,1-프로판디온-2-(o-에톡시카르보닐)-옥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벤조인계 광중합 개시제에는, 예를 들어 벤조인 등이 포함된다. 벤질계 광중합 개시제에는, 예를 들어 벤질 등이 포함된다. 벤조페논계 광중합 개시제는, 예를 들어 벤조페논, 벤조일 벤조산, 3,3'-디메틸-4-메톡시벤조페논, 폴리비닐벤조페논, α-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등이 포함된다. 케탈계 광중합 개시제에는, 예를 들어 벤질디메틸케탈 등이 포함된다. 티오크산톤계 광중합 개시제에는, 예를 들어 티오크산톤, 2-클로로티오크산톤, 2-메틸티오크산톤, 2,4-디메틸티오크산톤, 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 2,4-디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 도데실티오크산톤 등이 포함된다.
광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점착제 중의 베이스 중합체를 형성하기 위한 전체 단량체 성분[예를 들어, 아크릴계 중합체를 형성하기 위한 전체 단량체 성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5중량부(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3중량부)의 범위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광중합 개시제의 활성화시에는 활성 에너지 광선을 조사한다. 이러한 활성 에너지 광선으로서는, 예를 들어 α선, β선, γ선, 중성자선, 전자선 등의 전리성 방사선이나 자외선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자외선이 적합하다. 또한, 활성 에너지 광선의 조사 에너지나, 그 조사 시간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광중합 개시제를 활성시켜, 단량체 성분의 반응을 발생시킬 수 있으면 된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에서의 점착제층은, 기포 및/또는 중공 미소구 형상체를 함유하는 점착제로 형성되는 점착제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포 또는 중공 미소구 형상체 중 적어도 하나를 함유함으로써, 곡면이나 단차, 요철면에 대한 추종성이 향상되고, 접착 성능이 향상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이하, 기포 및/또는 중공 미소구 형상체를 함유하는 점착제(점착제층)를 「기포 함유 점착제(점착제층)」라고 총칭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기포 함유 점착제층에 혼합 가능한 기포량으로서는 접착 특성 등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지만, 기포 함유 점착제층의 전체 체적에 대하여 통상 5 내지 50체적%(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체적%, 더욱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30체적%)이다. 기포량이 5체적% 미만이면 응력 완화성이 얻어지기 어렵고, 단차 흡수성, 접착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50체적%를 초과하면 점착제층을 관통하는 기포가 형성되어, 접착성이 떨어지거나, 기포 함유 점착제층이 지나치게 부드러워지는 경우가 있다.
기포 함유 점착제층 중에 혼합되는 기포는, 기본적으로는 독립 기포 타입의 기포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독립 기포 타입의 기포와 연속 기포 타입의 기포가 혼재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이러한 기포로서는, 통상, 구 형상의 형상을 갖고 있지만, 찌그러진 형상의 구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상기 기포에 있어서, 그 평균 기포 지름(직경)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1 내지 1000㎛(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0㎛,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300㎛)의 범위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또한, 기포에 포함되는 기체 성분(기포를 형성하는 가스 성분; 「기포 형성 가스」라고 칭하기도 함)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질소, 이산화탄소, 아르곤 등의 불활성 가스 외에 공기 등의 각종 기체 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기포 형성 가스로서는, 기포 형성 가스를 혼합한 후에, 중합 반응 등의 반응을 행하는 경우에는, 그 반응을 저해하지 않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기포 형성 가스로서는, 반응을 저해하지 않는 것이나, 비용적 관점 등으로부터 질소가 적합하다.
상기 기포 함유 점착제층의 구성 성분 중 하나로서 중공 미소구 형상체를 사용함으로써, 예를 들어 단차 흡수성이나 전단 접착력을 높일 수 있고, 또한 가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중공 미소구 형상체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중공 미소구 형상체로서는, 중공의 무기계 미소구 형상체이어도 되고, 중공의 유기계 미소구 형상체이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중공 미소구 형상체에 있어서 중공의 무기계 미소구 형상체로서는, 예를 들어 중공 유리 벌룬 등의 유리제의 중공 벌룬; 중공 알루미나 벌룬 등의 금속 화합물제의 중공 벌룬; 중공 세라믹 벌룬 등의 자기(磁器)제의 중공 벌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중공의 유기계 미소구 형상체로서는, 예를 들어 중공 아크릴 벌룬, 중공의 염화비닐리덴 벌룬 등의 수지제의 중공 벌룬 등을 들 수 있다.
중공 미소구 형상체의 입경(평균 입자 직경)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1 내지 500㎛(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의 범위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중공 미소구 형상체의 비중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0.1 내지 0.8g/cm3(바람직하게는 0.12 내지 0.5g/cm3)의 범위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중공 미소구 형상체의 비중이 0.1g/cm3보다 작으면, 중공 미소구 형상체를 기포 함유 점착제 조성물 중에 배합하여 혼합할 때에, 들뜸이 커지고,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것이 어려워지며, 한편 0.8g/cm3보다 크면, 고가가 되어 비용이 높아진다.
중공 미소구 형상체의 사용량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기포 함유 점착제층의 전체 체적에 대하여 5 내지 50용적%(체적%),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용적%,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0용적%가 되도록 하는 범위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중공 미소구 형상체의 사용량이 5용적% 미만이 되는 사용량이면 중공 미소구 형상체를 첨가한 효과가 작아지는 경우가 있고, 한편 50용적%를 초과하는 사용량이면 접착력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점착제층(기포 함유 점착제층을 포함함)을 형성하기 위한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점착제의 베이스 중합체를 형성하는 단량체 성분(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등), 중합 개시제, 각종 첨가제 등을 공지의 방법을 이용하여 혼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점도 조정 등의 필요에 따라, 단량체 성분을 일부 중합시켜도 된다. 제조 방법의 구체예(광중합의 경우)로서는, 예를 들어 하기의 수순을 들 수 있다. (i) 베이스 중합체를 형성하기 위한 단량체 성분(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나 그 밖의 공중합성 단량체) 및 광중합 개시제를 혼합하여 단량체 혼합물을 제조하고, (ii) 상기 단량체 혼합물에 대하여 광중합(예를 들어, 자외선 중합)을 행하여, 일부의 단량체 성분만이 중합된 조성물(시럽)을 제조한다. 계속해서, (iii) 얻어진 시럽에, 필요에 따라 중공 미소구 형상체, 불소계 계면 활성제나 그 밖의 첨가제를 배합한다. 또한, 점착제에 기포를 함유시키는 경우에는, (iv) (iii)에서 얻어진 배합물에, 기포를 도입하여 혼합시킴으로써, 기포 함유 점착제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기포 함유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어 상기 시럽의 제조시에 불소계 계면 활성제나 중공 미소구 형상체를, 단량체 혼합물 중에 미리 배합하는 등의 제조 방법이어도 된다.
기포를 함유시키는 경우에는, 점착제층 중에 기포를 안정적으로 혼합하여 존재시키는 관점에서, 예를 들어 상기의 제조 방법과 같이, 기포는 점착제 조성물 중에 마지막 성분으로서 배합하여 혼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포를 안정하게 혼합시키는 관점에서는, 기포를 혼합하기 전의 배합물(예를 들어, 상기 (iii)에서 얻어진 배합물)의 점도를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포를 혼합하기 전의 배합물의 점도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5 내지 50Paㆍs(BH 점도계, 로터: No.5 로터, 회전수: 10rpm, 측정 온도: 30℃)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Paㆍs이다. 점도가 5Paㆍs 미만에서는 점도가 지나치게 낮아 혼합한 기포가 바로 합일하여 계 밖으로 빠져나가는 경우가 있고, 50Paㆍs를 초과하면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 점착제층의 도포 시공에 의한 형성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상기 점도는, 예를 들어 아크릴 고무, 증점성 첨가제 등의 각종 중합체 성분을 배합하는 방법, 베이스 중합체를 형성하기 위한 단량체 성분을 일부 중합시키는 방법 등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기포 함유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기포를 혼합하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기포 혼합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의 예로서는, 중앙부에 관통 구멍을 갖는 원반 상에 미세한 날이 다수 부착된 스테이터와, 상기 날이 부착되어 있는 스테이터와 대향하고 있고, 원반 상에 스테이터와 마찬가지로 미세한 날이 부착되어 있는 로터를 구비한 장치 등을 들 수 있다. 이 장치에서의 스테이터 상의 날과 로터 상의 날 사이에 기포를 혼합시키는 배합물을 도입하고, 로터를 고속 회전시키면서, 관통 구멍을 통하여 기포를 형성시키기 위한 가스 성분(기포 형성 가스)을 도입시킴으로써, 기포 형성 가스가 미세하게 분산되어 혼합된 기포 함유 점착제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기포의 합일을 억제 또는 방지하기 위해서는, 기포의 혼합부터 점착제층의 형성까지를 일련의 공정으로서 연속적으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하여 기포를 혼합시켜, 기포 함유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한 후, 계속해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기포 함유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50 내지 5000㎛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2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 내지 1200㎛이다. 두께가 50㎛보다 작으면 쿠션성이 저하하여, 단차에 대한 점착 시트의 접착성이 저하하는 경우가 있고, 5000㎛보다도 크면 균일한 두께의 점착제층 또는 점착 시트가 얻어지기 어려워진다. 또한, 점착제층은 단층, 복층 중 어느 형태를 갖고 있어도 된다.
상기 세퍼레이터 S로서는, 관용의 박리지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박리 처리제에 의한 박리 처리층을 세퍼레이터 기재의 적어도 한쪽의 표면에 갖는 것 외에, 불소계 중합체(예를 들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폴리불화비닐, 폴리불화비닐리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클로로플루오로에틸렌-불화비닐리덴 공중합체 등)로 이루어지는 저접착성 기재나, 무극성 중합체(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수지 등)로 이루어지는 저접착성 기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세퍼레이터 S로서는, 예를 들어 세퍼레이터용 기재의 적어도 한쪽의 면에 박리 처리층이 형성되어 있는 세퍼레이터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세퍼레이터용 기재로서는, 폴리에스테르 필름(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등), 올레핀계 수지 필름(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등), 폴리염화비닐 필름, 폴리이미드 필름, 폴리아미드 필름(나일론 필름), 레이온 필름 등의 플라스틱계 기재 필름(합성 수지 필름)이나 종이류(상질지, 일본 종이, 크라프트지, 글라신지, 합성지, 탑 코팅지 등) 외에, 이들을 라미네이트나 공압출 등에 의해 복층화한 것(2 내지 3층의 복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박리 처리층을 구성하는 박리 처리제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실리콘계 박리 처리제, 불소계 박리 처리제, 장쇄 알킬계 박리 처리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박리 처리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보강 부재(3)는, 부착면(8)을 사이에 끼워 폭 방향 양단부에 세워 설치된 2개의 리브(9)를 갖는다.
다음에, 상기 구조를 갖는 건축용 패널(1)의 보강 방법에 대하여,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은 권회된 원재료 롤로부터 풀어내 공급되는 양면 점착 테이프(2)의 표면측의 세퍼레이터 S 상에 부착 롤러(10)를 가압하면서 구름 이동시킨다. 즉, 적재 테이블(15) 상에 유지되어 있는 건축용 패널(1)의 이면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를 향하여 양면 점착 테이프(2)를 부착해 간다.
양면 점착 테이프(2)의 부착이 완료되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퍼레이터 S를 박리한다. 세퍼레이터 S가 박리되어 노출된 점착제층(6)에,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강 부재(3)의 부착면(8)이 평행해지도록 프레스 기구(16)에 의해 유지하여 대향 배치한다. 그 후, 점착제층(6)과 보강 부재(3)의 평행 상태를 유지하면서, 건축용 패널(1)과 보강 부재(3)가 상대적으로 근접하도록 적어도 어느 한쪽을 승강시킨다. 그 결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면 점착 테이프(2)에 의해 보강 부재(3)가 건축용 패널(1)에 부착된다.
이상에 의해 판 형상물인 건축용 패널(1)에의 보강 부재(3)에 의한 덧댐 보강이 완료된다.
상기 보강 방법에 따르면, 우선 판 형상물인 건축용 패널(1)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에 걸쳐 부착 롤러(10)을 양면 점착 테이프(2)에 가압하면서 구름 이동시키므로, 계면에 혼입되는 경향이 있는 기포가 부착 롤러(10)의 진행 방향으로 압출되어 간다.
또한, 건축용 패널(1)에 부착된 양면 점착 테이프(2)는, 길이 방향을 따라 직사각형 형상의 관통 구멍(7)이 소정 간격을 두고 규칙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점착제층(6)과 보강 부재(3)의 단위 면적당의 접촉 면적이 관통 구멍(7)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양면 점착 테이프에 비하여 작게 되어 있다. 즉, 보강 부재(3)와 점착제층(6)의 접착 계면에 혼입된 기포를 외부로 배출하는 거리가 짧게 되어 있다. 그로 인해, 이 접착 계면에 혼입된 기포는, 보강 부재(3)의 가압에 의해 보강 부재(3)의 폭 방향의 외측 및 관통 구멍(7)으로 즉시 배출된다.
즉, 양면 점착 테이프(2)의 양측의 접착 계면에 기포의 혼입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건축용 패널(1)과 보강 부재(3)의 밀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접착 강도의 저하에 의한 보강 부재(3)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양면 점착 테이프(2)에 형성된 관통 구멍(7)에 배출되는 기포는 미량이므로, 건축용 패널(1)과 보강 부재(3)에 의해 폐색되는 관통 구멍(7)의 형상이 팽창 변형되는 일이 없다.
[실시예 2]
이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의 구조에 있어서, 양면 점착 테이프와 보강 부재의 구성이 상이하다. 즉,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양면 점착 테이프를 이용하여, 관통 구멍이 형성된 보강 부재에 의해 건축용 패널(1)을 덧댐 보강하는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따라서,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는 것에 그치고, 다른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보강 구조는,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축용 패널(1)의 이면측에 양면 점착 테이프(2a)를 개재하여 보강 부재(3a)가 부착 고정되어 있다.
양면 점착 테이프(2a)는, 기재(4)의 양면에 점착제층(5, 6)이 형성되어 있고, 점착제층 b의 표면에 세퍼레이터가 부착된 띠 형상의 것이다.
보강 부재(3a)는, 부착면(8a)을 사이에 끼워 폭 방향 양단부에 세워 설치된 2개의 리브(9)를 가짐과 함께, 양쪽 리브(9) 사이의 부착면(8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사각형 형상의 관통 구멍(11)이 형성되어 있다.
이 보강 구조는, 실시예 1의 보강 방법과 동일한 수순으로 실현된다.
즉, 우선 도 4에 도시하는 부착 롤러(10)에 의해 건축용 패널(1)의 이면에 양면 점착 테이프(2a)를 부착한 후, 세퍼레이터 S를 박리한다. 그 후, 노출된 점착제층(6)에 보강 부재(3a)의 부착면(8a)을 평행하게 대향 배치하고, 그 자세를 유지한 채 보강 부재(3a)를 점착제층(6)에 가압하여 부착한다.
이상에 의해 실시예 2의 보강 구조가 완성된다.
이 보강 방법에 따르면, 우선 판 형상물인 건축용 패널(1)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에 걸쳐 부착 롤러(10)를 양면 점착 테이프(2a)에 가압하면서 구름 이동시키므로, 계면에 혼입되는 경향이 있는 기포가 부착 롤러(10)의 진행 방향으로 압출되어 간다.
또한, 건축용 패널(1)에 부착되는 보강 부재(3a)는, 길이 방향을 따라 직사각형 형상의 관통 구멍(11)이 소정 간격을 두고 규칙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로 인해, 점착제층과 보강 부재(3a)의 단위 면적당의 접촉 면적이 관통 구멍(11)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보강 부재(3)에 비하여 작게 되어 있다. 즉, 보강 부재(3a)와 점착제층의 접착 계면에 혼입된 기포를 외부로 배출하는 거리가 짧게 되어 있다. 이 접착 계면에 혼입된 기포는, 보강 부재(3a)의 가압에 의해 보강 부재(3a)의 폭 방향의 외측 및 관통 구멍(11)으로 즉시 배출된다.
즉, 양면 점착 테이프(2a)의 양측의 접착 계면에 기포의 혼입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건축용 패널(1)과 보강 부재(3a)의 밀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보강 부재(3a)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의 것에 한하지 않고, 다음과 같이 변형 실시할 수도 있다.
(1) 상기 실시예 1에서의 양면 점착 테이프(2)에 형성된 관통 구멍(7)은, 직사각형 형상에 한하지 않고,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이프 길이 방향을 따른 긴 구멍(7b)이어도 된다. 이 긴 구멍(7b)의 길이는, 건축용 패널(1)에 부여하는 강도 등에 의해 적절하게 설정 변경된다. 따라서, 길이 방향의 복수개의 긴 구멍(7b)이 형성되는 경우도 있다.
(2) 상기 실시예 2에서의 보강 부재(3a)에 형성된 관통 구멍(11)은, 직사각형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강 부재(3b)의 길이 방향을 따른 긴 구멍(11b)이어도 된다. 이 긴 구멍(11b)의 길이는, 건축용 패널(1)에 부여하는 강도 등에 의해 적절하게 설정 변경된다. 따라서, 길이 방향의 복수개의 긴 구멍(11b)이 형성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 2는, 보강 부재(3a)에 먼저 양면 점착 테이프(2a)를 부착한 후에, 건축용 패널(1)에 이 보강 부재(3a)를 접합하여도 된다.
(3)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매의 건축용 패널(1)에 걸쳐 보강 부재(3)에 의해 덧댐 보강한 구조이어도 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양면 점착 테이프(2)에 복수개의 직사각형 형상의 관통 구멍(7)이 테이프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복수매의 건축용 패널(1)에 걸쳐 보강 부재(3)를 덧댐 보강할 수 있다.
(4) 실시예 1, 2에 기재된 양면 점착 테이프(2)에 관통 구멍(7, 7a)을 형성한 보강 구조에 있어서,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관통 구멍(7, 7a)과 대향하는 접합면에 수 밀리미터 정도의 미소한 관통 구멍(12)을 형성한 보강 부재(3)를 부착하여도 된다. 이 경우, 건축용 패널(1)이 내화 보드이고, 양면 점착 테이프(2)가 내열용이면, 관통 구멍(7, 7a) 내의 공기가 가열되어도, 이 관통 구멍(12)에 의해 관통 구멍(7, 7a) 내의 공기의 팽창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접착 계면에의 불필요한 박리력이 작용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5) 상기 각 실시예의 보강 방법에 있어서, 챔버에 건축용 패널(1)을 수용하고, 그 내부를 통기시키면서 양면 점착 테이프(2)를 부착하여도 된다. 마찬가지로 양면 점착 테이프(2)가 부착된 건축용 패널(1)을 챔버에 수용하여 보강 부재(3)를 부착하여도 된다.
이 방법의 경우, 건축용 패널(1)에 양면 점착 테이프(2)를 부착하는 경우, 건축용 패널(1)이 수용되는 챔버를 이용하게 된다. 양면 점착 테이프(2)를 부착한 건축용 패널(1)에 보강 부재(3)를 부착하는 경우, 보강 부재(3)가 수용되는 길이와 폭을 가짐과 함께, 건축용 패널(1)과 밀착 가능한 챔버용의 커버체를 이용하게 된다.
이 방법에 따르면, 건축용 패널(1)과 양면 점착 테이프(2) 및 보강 부재(3)와 양면 점착 테이프(2)의 양쪽 접착 계면으로부터 기포를 고정밀하게 제거할 수 있다.
(6) 관통 구멍(7, 7b)이 형성된 양면 점착 테이프(2)를 피착체(1, 3)에 부착하는 상기 각 실시예에 있어서, 양면 점착 테이프(2)를 건축용 패널(1)에 부착한 후에 보강 부재(3)를 접합하였지만, 다음 방법으로 건축용 패널(1)의 보강을 행하여도 된다.
즉, 부착 롤러(10)에 의해 양면 점착 테이프(2)를 보강 부재(3)에 부착한 후에, 이 보강 부재(3)를 건축용 패널(1)에 접합한다. 이 방법에 의해 구성된 보강 구조도, 상기 각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한다.
(7) 상기 실시예 2에서는, 1매의 양면 점착 테이프(2)를 피착체(1, 3) 중 어느 한쪽에 부착한 후에 다른쪽의 피착체(1, 3)에 접합하였지만, 2매의 양면 점착 테이프(2)를 이용하여도 된다.
예를 들어, 건축용 패널(1) 및 관통 구멍(11)이 형성된 보강 부재(3)의 각각에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양면 점착 테이프(2a)를 부착 롤러(10)에 의해 부착하고, 각각의 양면 점착 테이프(2a)로부터 세퍼레이터 S를 박리한다. 그 후, 양쪽 피착체(1, 3)에 부착 완료된 양면 점착 테이프(2a)의 노출된 양쪽 점착제층(5, 6)을 평행하게 대향 배치하고,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쪽 점착제층(5, 6)을 접합한다.
이 보강 방법에 의해 보강 부재(3)가 접합된 보강 구조에 따르면, 피착체(1 및 3)에의 양면 점착 테이프(2a)가 부착되는 과정에서 부착 롤러(10)의 가압 구름 이동에 의해, 접착 계면에의 기포의 혼입이 억제되므로, 고착 밀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양면 점착제층끼리의 부착 과정에서는 기포를 배제하기 어렵지만, 점착제끼리의 접착에 의해, 고착 강도를 증강시킬 수 있다.
(8)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보강 부재(3)와 동일한 폭의 1매의 양면 점착 테이프(2)에 의해, 건축용 패널(1)과 보강 부재(3)를 접합하였지만, 다음과 같이 구성하여도 된다.
즉, 보강 부재(3)의 폭보다도 좁으면서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복수개의 양면 점착 테이프(2a)를 이용하여 건축용 패널(1)과 보강 부재(3)를 접합하여도 된다. 예를 들어,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2매의 양면 점착 테이프(2a)의 각각의 측연부를 보강 부재(3)의 측연부에 맞추어 부착함과 함께, 양쪽 점착 테이프(2a)의 내측의 측연부끼리 접촉하지 않도록 간격(13)을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간격(13)이 관통 구멍(7, 7b)과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
(9) 상기 각 실시예의 양면 점착 테이프(2) 및 보강 부재(3)에 있어서, 직사각형 형상 또는 긴 구멍으로 함으로써 피착체인 건축용 패널(1) 또는 보강 부재(3)와 양면 점착 테이프(2)와의 접촉 폭이 대략 균일해진다. 따라서, 기포의 배출 거리도 균일해지므로 바람직하다. 단, 관통 구멍은 직사각형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원형이나 타원형 등 보강 부재(3)의 형상 등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된다.
(10) 상기 각 실시예의 보강 방법에 있어서, 적재 테이블(15) 및 프레스 기구(16) 중 적어도 한쪽에 히터를 매설하고, 양면 점착 테이프(2)를 가열하면서 부착하여도 된다.
이 보강 방법에 따르면, 점착제층(5, 6)을 연화시키면서 피착체(1, 3)에 부착할 수 있으므로, 기포의 배출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그 사상 또는 본질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며, 따라서 발명의 범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상의 설명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참조해야 한다.
1: 건축용 패널
2: 양면 점착 테이프
3: 보강 부재
4: 기재
5, 6: 점착제층
7: 관통 구멍
8: 부착면
9: 리브
10: 부착 롤러
15: 적재 테이블

Claims (15)

  1. 리브를 갖는 보강 부재에 의해 판 형상물을 덧댐 보강하는 판 형상물의 보강 방법이며,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상기 보강 부재 중 어느 하나에 관통 구멍을 형성해 두고,
    상기 관통 구멍을 갖는 부재와 관통 구멍을 갖지 않는 부재를 먼저 부착한 후에, 양면 점착 테이프의 다른쪽 면에 피착체인 보강 부재 또는 판 형상물을 접합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판 형상물의 보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면 점착 테이프에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 구멍은 테이프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판 형상물의 보강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면 점착 테이프에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 구멍은 테이프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긴 구멍인, 판 형상물의 보강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면 점착 테이프의 관통 구멍의 부분에 위치하는 보강 부재의 면에 작은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판 형상물의 보강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복수개의 리브가 인접하고, 또한 리브끼리의 사이의 테이프 부착면에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판 형상물의 보강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의 관통 구멍은,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판 형상물의 보강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의 관통 구멍은,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긴 구멍인, 판 형상물의 보강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 및 판 형상물에의 양면 점착 테이프의 부착은, 챔버 내에 수용하여 감압 상태에서 행하는, 판 형상물의 보강 방법.
  9. 리브를 갖는 보강 부재에 의해 판 형상물을 덧댐 보강한 판 형상물의 보강 구조이며,
    관통 구멍이 형성된 양면 점착 테이프를 개재하여 상기 판 형상 부재와 보강 부재가 접합되어 구성되는, 판 형상물의 보강 구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양면 점착 테이프의 관통 구멍은, 테이프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판 형상물의 보강 구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양면 점착 테이프에는, 테이프 길이 방향을 따른 긴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판 형상물의 보강 구조.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에는, 상기 양면 점착 테이프의 관통 구멍의 부분에 작은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판 형상물의 보강 구조.
  13. 리브를 갖는 보강 부재에 의해 판 형상물을 덧댐 보강한 판 형상물의 보강 구조이며,
    상기 보강 부재는, 복수개의 리브가 인접하고, 또한 리브끼리의 사이의 테이프 부착면에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강 부재와 상기 판 형상물이 양면 점착 테이프로 접합되어 구성되는, 판 형상물의 보강 구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에는, 관통 구멍이 상기 보강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판 형상물의 보강 구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그 보강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긴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판 형상물의 보강 구조.
KR1020100076381A 2009-08-18 2010-08-09 판 형상물의 보강 방법 및 판 형상물의 보강 구조 KR2011001882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89075A JP2011038369A (ja) 2009-08-18 2009-08-18 板状物の補強方法および板状物の補強構造
JPJP-P-2009-189075 2009-08-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8828A true KR20110018828A (ko) 2011-02-24

Family

ID=43605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6381A KR20110018828A (ko) 2009-08-18 2010-08-09 판 형상물의 보강 방법 및 판 형상물의 보강 구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10045234A1 (ko)
JP (1) JP2011038369A (ko)
KR (1) KR20110018828A (ko)
CN (1) CN102022404A (ko)
TW (1) TW20111159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58991B2 (ja) * 2011-03-09 2017-07-05 日東電工株式会社 両面接着テープ
JP5969217B2 (ja) 2011-03-09 2016-08-17 日東電工株式会社 両面接着テープ
JP2017025426A (ja) * 2015-07-17 2017-02-02 常進電気株式会社 ヘルメッ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643666B2 (ja) * 2015-12-15 2020-02-1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補強部材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DE102018209118A1 (de) * 2018-06-08 2019-12-12 Audi Ag Klappe für ein Kraftfahrzeug und Kraftfahrzeug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13945A (ja) * 1984-11-08 1986-05-31 サンスタ−技研株式会社 金属パネルの補強方法
JPH0531021Y2 (ko) * 1987-03-06 1993-08-09
JPH0378040U (ko) * 1989-12-04 1991-08-07
JPH093409A (ja) * 1995-06-20 1997-01-07 Sekisui Chem Co Ltd 両面粘着テープの製造方法
JPH10338990A (ja) * 1997-06-06 1998-12-22 Sekisui Chem Co Ltd 無機質硬化体およびこの無機質硬化体の製造方法
EP1524694A1 (en) * 1997-07-18 2005-04-20 Hitachi Chemical Co., Ltd. Punched adhesive tape for semiconductor, method of manufacturing lead frame with the adhesive tape, lead frame with the adhesive tape, and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the lead frame
US6432497B2 (en) * 1997-07-28 2002-08-13 Parker-Hannifin Corporation Double-side thermally conductive adhesive tape for plastic-packaged electronic components
EP1557449A1 (en) * 2004-01-22 2005-07-2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dhesive tape for structural bo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045234A1 (en) 2011-02-24
CN102022404A (zh) 2011-04-20
TW201111599A (en) 2011-04-01
JP2011038369A (ja) 2011-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64900B1 (en) Release liner a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using the same
JP5155738B2 (ja) アクリル系感圧接着テープ又はシート
US8501306B2 (en) Viscoelastic articles with polymer layer containing elastomer unevenly distributed
EP2194106A1 (en)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US20100224312A1 (en)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and method for attaching the same, and release liner
WO2010122943A1 (ja) 加熱膨張型再剥離性アクリル系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
EP1995282A1 (en) Microparticle-containing viscoelastic layer, a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or sheet
EP2345708A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EP2284909A1 (en) Adhesive sheet for solar cell panel, solar cell panel using the adhesive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solar cell panel using the adhesive sheet
JP2006022189A (ja) 気泡含有粘弾性組成物、及び感圧性接着テープ又はシート
KR102046656B1 (ko) 점착 시트 및 점착제 조성물
EP2287263A1 (en)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or sheet
EP2108684B1 (en) Method for joining strips, structure of joint, and continous strip obtained by the method
KR20110018828A (ko) 판 형상물의 보강 방법 및 판 형상물의 보강 구조
EP2743319A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US20120216948A1 (en) Process for produc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JP2010155973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両面粘着テープ
JP6317938B2 (ja) 粘着シート
JP5324199B2 (ja) 両面粘着テープ
EP2703463A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