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7452A - 무스칼린 수용체 길항제로서 활성인 신규한 화합물 - Google Patents

무스칼린 수용체 길항제로서 활성인 신규한 화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7452A
KR20110017452A KR1020117000913A KR20117000913A KR20110017452A KR 20110017452 A KR20110017452 A KR 20110017452A KR 1020117000913 A KR1020117000913 A KR 1020117000913A KR 20117000913 A KR20117000913 A KR 20117000913A KR 20110017452 A KR20110017452 A KR 201100174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yl
piperidin
biphenyl
ester
hydrox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0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폴 알랜 글로섭
샤롯 앨리스 루이즈 레인
Original Assignee
화이자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화이자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화이자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10017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7452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11/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1/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1/3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1/40Oxygen atoms
    • C07D211/44Oxygen atoms attached in position 4
    • C07D211/46Oxygen atoms attached in position 4 having a hydrogen atom as the second substituent in position 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5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5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 A61K31/4453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only substituted in position 1, e.g. propipocaine, diperod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5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 A61K31/4468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having a nitrogen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4, e.g. clebopride, fentany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ulcers, gastritis or reflux esophagitis, e.g. antacids, inhibitors of acid secretion, mucosal protec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6Antiasthm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8Bronchodi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prost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blad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4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normal movements, e.g. chorea, dyskinesia
    • A61P25/16Anti-Parkinson dr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그의 제조방법, 그의 제조를 위한 중간체, 무스칼린 길항제로서의 그의 용도, 및 그를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

Description

무스칼린 수용체 길항제로서 활성인 신규한 화합물{NOVEL COMPOUNDS ACTIVE AS MUSCARINIC RECEPTOR ANTAGONISTS}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그의 제조방법, 그의 제조를 위한 중간체, 그를 함유하는 조성물 및 이러한 화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
Figure pct00001
상기 식에서,
R1 내지 R5 및 X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의미를 갖는다.
콜린성 무스카린 수용체는 G-단백질 커플링된 수용체 거대족의 구성원으로서, M1 내지 M5의 5가지 아형으로 세분된다. 무스카린 수용체 아형은 신체에서 폭넓게 차별적으로 발현된다. 상기 5가지 아형 모두에 대하여 유전자가 클로닝되어 있고, 이들 중 M1, M2 및 M3 수용체는 동물 및 인간 조직에서 광범위하게 약리적으로 특징화되어 있다. M1 수용체는 뇌(피질 및 해마), 내분비선에서, 교감 및 부교감 신경절에서 발현된다. M2 수용체는 심장, 후뇌, 평활근 및 자율 신경계의 시냅스에서 발현된다. M3 수용체는 뇌, 내분비선 및 평활근에서 발현된다. 기도에서는 M3 수용체의 자극이 기도 평활근의 수축을 유발하여 기관지수축을 야기하고, 타액선에서는 M3 수용체의 자극이 유체 및 점막 분비를 증가시켜 타액분비 증가를 야기한다. 평활근에서 발현된 M2 수용체는 프로-수축성(pro-contractile)으로 이해되고, 시냅스전 M2 수용체는 부교감 신경으로부터의 아세틸콜린 방출을 조정한다 심장에서 발현된 M2 수용체의 자극은 서맥을 일으킨다.
속효성 및 지속성 무스카린 길항제는 천식 및 COPD의 처방에 사용되고, 이들로는 속효성 약제인 아트로벤트(Atrovent, 등록상표)(이프라트로퓸 브로마이드) 및 옥시벤트(Oxivent, 등록상표)(옥시트로퓸 브로마이드) 및 지속성 약제인 스피리바(Spiriva, 등록상표)(티오트로퓸 브로마이드) 등이 있다. 이들 화합물은 흡입 투여 후에 기관지확장을 일으킨다. 폐활량의 개선 뿐만이 아니라 만성 폐쇄성 폐 질환(COPD)에 있어서의 항-무스카린성 용도는 건강 상태 및 삶의 질 점수 개선과 관련이 있다.
무스카린 수용체는 신체내에서 넓게 분포되어 있기 때문에, 무스카린 길항제에 대한 유의한 전신 노출은 구강 건조, 변비, 산동(散瞳), 요폐(모두가 주로 M3 수용체의 차단으로 매개됨) 및 빈박(M2 수용체의 차단으로 매개됨) 등과 같은 효과와 관련이 있다. 현재 임상적으로 사용되는 비-선택적 무스카린 길항제의 치료 투여량을 흡입 투여한 후에 공통적으로 보고되는 부작용은 구강 건조이며 단지 경미한 강도로만 보고되고 있지만, 이는 제공된 흡입 작용제의 투여량을 제한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효력, 약력학 또는 작용 기간, 특히 흡입 경로에 의한 투여를 위한 측면에서 적합한 약리상 프로파일을 갖는 M3 수용체 길항제가 여전히 요구된다. 추가로, 무스칼린 수용체 길항제는 만성 질환, 예를 들어 천식 또는 COPD의 치료에 적합하기 때문에, 이는 적어도 가끔 다른 화합물과 공동-투여되기 용이하다. 따라서, 이러한 화합물은 공동-투여 화합물과의 상호작용에 대한 낮은 가능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문맥에서, 본 발명은 신규한 M3 수용체 길항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상기 화합물 또는 염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용매화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
Figure pct00002
상기 식에서,
X는 -CH2-, -C(=O)CH2-, 및 -C(=O)- 중에서 선택되고;
R1은 H 또는 메틸이거나, 다르게는, X가 -CH2-이면, R1은 하기 화학식 II의 기를 나타낼 수도 있고:
[화학식 II]
Figure pct00003
[여기서, R6, R7, R8 및 R9 중 하나는 OH이고, R6, R7, R8 및 R9 중 하나는 할로이고, R6, R7, R8 및 R9 중 하나는 H이고, R6, R7, R8 및 R9 중 하나는 H 또는 할로 중에서 선택된다];
R2, R3, R4 및 R5 중 하나는 OH이고, R2, R3, R4 및 R5 중 하나는 H이고, R2, R3, R4 및 R5 중 하나는 할로이고, R2, R3, R4 및 R5 중 하나는 H 또는 할로이거나, 또는 다르게는, X가 -C(=O)CH2-이고 R1이 메틸이면, R2, R3 및 R5는 H이면서 R4는 OH일 수 있다.
전술한 화학식 I에서, "할로"라는 용어는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및 요오도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된다. 바람직한 할로 기는 플루오로 또는 클로로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화합물은 하기와 같다:
바이페닐-2-일-카밤산 1-[9-(3-클로로-4-하이드록시-벤조일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2-플루오로-3-하이드록시-벤질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3-클로로-5-플루오로-2-하이드록시-벤질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2-(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아세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2-클로로-3-하이드록시-벤질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3-플루오로-4-하이드록시-벤조일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4-플루오로-3-하이드록시-벤조일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3-플루오로-2-하이드록시-벤조일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5-플루오로-2-하이드록시-벤조일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3,5-다이클로로-2-하이드록시-벤조일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4-클로로-2-하이드록시-벤조일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2-(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아세틸]-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4-플루오로-3-하이드록시-벤조일)-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3-클로로-4-하이드록시-벤조일)-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2-(3-플루오로-4-하이드록시-페닐)-아세틸]-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4-클로로-3-하이드록시-벤조일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2-플루오로-4-하이드록시-벤조일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3,5-다이클로로-4-하이드록시-벤질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3,5-다이클로로-4-하이드록시-벤질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나프탈렌-1,5-다이설포네이트 염;
바이페닐-2-일-카밤산 1-[9-(2,3-다이플루오로-4-하이드록시-벤조일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2-하이드록시-5-클로로-벤조일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4-하이드록시-3,5-다이클로로-벤조일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2-하이드록시-4-플루오로-벤조일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3,5-다이플루오로-4-하이드록시-벤질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2-하이드록시-4,5-다이클로로-벤질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2-하이드록시-3,5-다이플루오로-벤질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2-하이드록시-3-플루오로-벤질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2-하이드록시-3,5-다이클로로-벤질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5-클로로-2-하이드록시-벤질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2-하이드록시-4-클로로-5-플루오로-벤질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3-클로로-4-하이드록시-벤질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2-하이드록시-5-플루오로-벤질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3-하이드록시-4-플루오로-벤질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2,4-다이클로로-3-하이드록시-벤질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4-하이드록시-3-플루오로-벤질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비스-(2-클로로-3-하이드록시-벤질)-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3-플루오로-2-하이드록시-벤질)-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4,5-다이클로로-2-하이드록시-벤질)-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4-플루오로-3-하이드록시-벤질)-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4-클로로-5-플루오로-2-하이드록시-벤질)-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3-클로로-4-하이드록시-벤질)-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3-플루오로-4-하이드록시-벤질)-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5-클로로-2-하이드록시-벤질)-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2-클로로-3-하이드록시-벤질)-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3,5-다이클로로-4-하이드록시-벤질)-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2-플루오로-3-하이드록시-벤질)-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3,5-다이플루오로-4-하이드록시-벤질)-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2,4-다이클로로-3-하이드록시-벤질)-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3,5-다이플루오로-2-하이드록시-벤질)-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3,5-다이클로로-2-하이드록시-벤조일)-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3-클로로-2-하이드록시-벤조일)-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3,4-다이플루오로-2-하이드록시-벤조일)-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3-플루오로-2-하이드록시-벤조일)-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4-클로로-2-하이드록시-벤조일)-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4-플루오로-2-하이드록시-벤조일)-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4-클로로-3-하이드록시-벤조일)-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2,3-다이플루오로-4-하이드록시-벤조일)-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2-(3-하이드록시-페닐)-아세틸]-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5-플루오로-2-하이드록시-벤조일)-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5-클로로-2-하이드록시-벤조일)-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및
바이페닐-2-일-카밤산 1-{9-[(3-플루오로-4-하이드록시-벤조일)-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상기 화합물 또는 염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용매화물.
본 발명에 따른 보다 바람직한 화합물은 하기와 같다:
바이페닐-2-일-카밤산 1-[9-(3-클로로-4-하이드록시-벤조일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2-플루오로-3-하이드록시-벤질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3-클로로-5-플루오로-2-하이드록시-벤질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2-(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아세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2-클로로-3-하이드록시-벤질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3-플루오로-4-하이드록시-벤조일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4-플루오로-3-하이드록시-벤조일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2-(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아세틸]-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4-플루오로-3-하이드록시-벤조일)-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3-클로로-4-하이드록시-벤조일)-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2-(3-플루오로-4-하이드록시-페닐)-아세틸]-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4-클로로-3-하이드록시-벤조일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2-플루오로-4-하이드록시-벤조일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3,5-다이클로로-4-하이드록시-벤질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2,3-다이플루오로-4-하이드록시-벤조일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3,5-다이플루오로-4-하이드록시-벤질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2-하이드록시-3,5-다이플루오로-벤질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2-하이드록시-3,5-다이클로로-벤질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3-클로로-4-하이드록시-벤질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3-하이드록시-4-플루오로-벤질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2,4-다이클로로-3-하이드록시-벤질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비스-(2-클로로-3-하이드록시-벤질)-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4,5-다이클로로-2-하이드록시-벤질)-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4-플루오로-3-하이드록시-벤질)-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2-클로로-3-하이드록시-벤질)-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3,5-다이클로로-4-하이드록시-벤질)-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3,5-다이플루오로-4-하이드록시-벤질)-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4-클로로-3-하이드록시-벤조일)-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2,3-다이플루오로-4-하이드록시-벤조일)-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2-(3-하이드록시-페닐)-아세틸]-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및
바이페닐-2-일-카밤산 1-{9-[(3-플루오로-4-하이드록시-벤조일)-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상기 화합물 또는 염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용매화물.
본 발명에 따른 더욱 더 바람직한 화합물은 하기와 같다:
바이페닐-2-일-카밤산 1-(9-{[2-(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아세틸]-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3-클로로-4-하이드록시-벤조일)-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2,4-다이클로로-3-하이드록시-벤질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2-클로로-3-하이드록시-벤질)-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2,3-다이플루오로-4-하이드록시-벤조일)-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2-(3-하이드록시-페닐)-아세틸]-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및
바이페닐-2-일-카밤산 1-{9-[(3-플루오로-4-하이드록시-벤조일)-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상기 화합물 또는 염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용매화물.
가장 바람직한 화합물은, 바이페닐-2-일-카밤산 1-(9-{[2-(3-하이드록시-페닐)-아세틸]-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및 바이페닐-2-일-카밤산 1-{9-[(3-플루오로-4-하이드록시-벤조일)-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상기 화합물 또는 염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용매화물이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하기 경로는 이러한 화합물들의 제조를 위한 하나의 방법을 예시하지만, 당분야의 숙련자라면 다른 경로도 동등하게 실행가능함을 인식할 것이다:
[반응식 1]
Figure pct00004
상기 식에서,
R10은 메틸 또는 적합한 보호기, 예를 들어 3급-부톡시카보닐이고,
R11은 적합한 보호기, 예를 들어 3급-부톡시카보닐이고;
R10 및 R11은 함께 적합한 보호기, 예를 들어 프탈이미드를 형성할 수 있고,
R12는 H 또는 메틸이고;
n은 0 또는 1이고;
LG는 적합한 이탈기, 예를 들어 브로마이드 또는 메실레이트를 나타내고;
R1 내지 R9 및 X는 다른 언급이 없는 한, 화학식 I의 화합물에 대해 정의한 바와 같다.
화학식 II의 화합물은 미국 특허원 제 2006/205779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다.
LG가 브로마이드이고 R10 및 R11 둘다가 3급-부톡시카보닐인 화학식 III의 화합물은 국제특허 공개공보 제 WO 2007/107828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된다.
LG가 메실레이트이고 R10이 메틸이고 R11이 3급-부톡시카보닐인 화학식 III의 화합물은 하기 반응식 2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2]
Figure pct00005
상기 식에서,
R10은 메틸이고,
R11은 3급-부톡시카보닐이고,
LG는 메실레이트이다.
화학식 VIII의 화합물은 시판중이다.
화학식 IX의 화합물은 시판중이다.
화학식 X의 화합물은 브로마이드 재배치(displacement)에 의해 화학식 VIII의 화합물 및 화학식 IX의 화합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vi) 공정 단계 참조). 전형적인 조건은, 상온에서 18시간 동안 과량의 화학식 IX의 화합물(메틸아민, 에탄올 내 33% 용액)과 화학식 VIII의 화합물의 반응을 포함한다.
화학식 XI의 화합물은 Boc 보호에 의해 화학식 X의 화합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vii) 공정 단계 참조). 전형적인 조건들은, 0℃ 내지 상온에서, 4시간 동안 적합한 용매(예를 들어, 다이클로로메탄) 내에서의 Boc 무수물과 화학식 X의 화합물의 반응을 포함한다.
화학식 III의 화합물은 메실화에 의해 화학식 XI의 화합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viii) 공정 단계 참조). 전형적인 조건은, 1시간 동안 5℃ 내지 상온에서 적합한 용매(예를 들어, 다이클로로메탄) 내에서의 메탄 설포닐 클로라이드 및 적합한 염기와 화학식 XI의 화합물의 반응을 포함한다.
LG가 브롬이고 R10이 메틸이거나, LG가 메실레이트이고 R10이 3급-부톡시카보닐이거나, LG가 메실레이트 또는 브롬이고 R10 및 R11이 함께 프탈이미드를 형성하는 화학식 III의 화합물은, 반응식 2에서 도시한 것과 유사한 과정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화학식 IV의 화합물은 알킬화에 의해 화학식 II의 화합물 및 화학식 III의 화합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i) 공정 단계 참조). 전형적인 조건은, 18 내지 48시간 동안 60 내지 70℃의 온도에서 적합한 용매(예를 들어, 다이메틸폼아마이드) 내 화학식 III의 화합물 및 적합한 염기(예를 들어, 트라이에틸아민, 탄산나트륨 또는 탄산칼륨)와 화학식 II의 화합물의 반응을 포함한다.
화학식 V의 화합물은, 문헌["Protecting Groups in organic Synthesis" by T.W. Greene and P. Wutz]에서 개시한 바와 같은 표준 방법을 사용하는 탈보호에 의해 화학식 IV의 화합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ii) 공정 단계 참조). R10 및 R11, 또는 R11이 3급-부톡시카보닐인 경우, 전형적인 조건은 18시간 동안 상온에서 적합한 용매(예를 들어, 다이옥산) 내에서의 염화수소와 화학식 IV의 화합물의 반응을 포함한다. R10 및 R11이 프탈이미드를 나타내는 경우, 전형적인 조건은 3시간 동안 90℃에서 적합한 용매(예를 들어, 에탄올) 내에서의 하이드라진 수화물과 화학식 IV의 화합물의 반응을 포함한다.
화학식 IV의 화합물은 시판중이거나, 문헌에 공지되어 있거나, 표준 과정에 따라 당업계의 숙련자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화학식 VII 및 VIIa의 화합물은 시판중이거나, 문헌에 공지되어 있거나, 표준 과정에 따라 당업계의 숙련자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X가 -C(=O)CH2- 또는 -C(=O)-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아실화에 의해 화학식 V의 화합물 및 화학식 VI의 화합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iii) 공정 단계 참조). 전형적인 조성물은, 18 내지 24 시간 동안, 상온 내지 60℃에서, 적합한 용매(예를 들어, 다이클로로메탄, 다이메틸폼아마이드, 테트라하이드로푸란, 1-메틸-2-피롤리디논 또는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내에서, 적합한 염기(예를 들어, 트라이에틸아민 또는 N,N-다이아시소프로필에틸아민)와 함께, 선택적으로, 적합한 첨가제(예를 들어, 1-하이드록시 벤조트라이아졸 일수화물 또는 N,N-다이메틸아미노피리딘)의 존재하에서, 적합한 커플링제(예를 들어,(3-(다이메틸아미노)프로필)에틸 카보다이이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또는 O-(1H-벤조트라이아졸-1-일)-N,N,N',N'-테트라메틸유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와 화학식 V 및 화학식 VI의 화합물의 반응을 포함한다.
X가 CH2이고 R1이 H 또는 메틸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환원성 아민화에 의해 화학식 V의 화합물 및 화학식 VII의 화합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iv) 공정 단계 참조). 18 내지 24시간 동안, 상온에서, 선택적으로는 적합한 염기(예를 들어, 트라이에틸아민) 및 건조제(예를 들어, 황산나트륨) 및 적합한 촉매(예를 들어, 아세트산 또는 티타늄 테트라아이소프로폭사이드)의 존재하에, 적합한 용매(예를 들어, 에탄올, 다이클로로메탄 또는 다이클로로에탄) 중 화학식 VII의 화합물과 화학식 V의 화합물을 반응시킨 후, 18 내지 24시간 동안 0℃ 내지 상온에서 적합한 환원제(예를 들어, 나트륨 보로하이드라이드, 나트륨 트라이아세톡시보로하이드라이드 또는 나트륨 시아노보로하이드라이드)를 첨가함을 포함한다.
X가 CH2이고 R1
Figure pct00006
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환원성 아민화에 의해, X가 CH2이고 R1가 H인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화학식 VIIa의 화합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v) 공정 단계 참조). 전형적인 조건은, (iv) 공정 단계에 대해 전술한 바와 유사한 방식에서의 화학식 I의 화합물과 화학식 VIIa의 화합물의 반응을 포함한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조는 이미 기재한 방법 이외에 잠재적인 반응성 작용기의 보호를 요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용성 보호기 및 보호와 탈보호의 구체적인 방법은 문헌["Protecting Groups in Organic Synthesis" by T.W. Greene and P. Wutz(Wiley-Interscience Publication, 1981)] 또는 문헌["Protecting groups" by P. J. Kocienski(Georg Thieme Verlag, 1994)]에 기재되어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 뿐만 아니라 그의 제조를 위한 중간체는 다양한 공지된 방법, 예를 들어 결정화 또는 크로마토그래피에 따라 정제되어 단리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그의 산 부가염 및 염기 부가염을 포함한다.
적합한 산 부가 염은 무독성 염을 형성하는 산으로부터 형성된다. 예로는 아세테이트, 아디페이트, 아스파르테이트, 벤조에이트, 베실레이트, 바이카보네이트/카보네이트, 바이설페이트/설페이트, 보레이트, 캄실레이트, 시트레이트, 사이클라메이트, 에디실레이트, 에실레이트, 포메이트, 푸마레이트, 글루셉테이트, 글루코네이트, 글루쿠로네이트,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히벤즈에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클로라이드, 하이드로브로마이드/브로마이드, 하이드로요오다이드/요오다이드, 이세티오네이트, 락테이트, 말레이트, 말리에이트, 말로네이트, 메실레이트, 메틸설페이트, 나프틸레이트, 1,5-나프탈렌다이설포네이트, 2-나프실레이트, 니코티네이트, 니트레이트, 오로테이트, 옥살레이트, 팔미테이트, 파모에이트, 포스페이트/하이드로젠 포스페이트/다이하이드로젠포스페이트, 피로글루타메이트, 사카레이트, 스테아레이트, 숙시네이트, 탄네이트, 타르트레이트, 토실레이트,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및 크시노포에이트 염 등이 있다.
적합한 염기 염은 무독성 염을 형성하는 염기로부터 형성된다. 예로는 알루미늄, 아르기닌, 벤자틴, 칼슘, 콜린, 디에틸아민, 다이올아민, 글리신, 리신, 마그네슘, 메글루민, 올라민, 칼륨, 나트륨, 트로메타민 및 아연 염 등이 있다.
산 및 염기의 헤미염(hemisalt), 예를 들어 헤미설페이트 및 헤미칼슘 염이 형성될 수도 있다.
적합한 염에 관한 검토를 위해 문헌[Handbook of Pharmaceutical Salts: Properties, Selection, and Use by Stahl and Wermuth(Wiley-VCH, 2002)]을 참조한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하기 3가지 방법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i) 화학식 I의 화합물을 목적하는 산 또는 염기와 반응시키는 방법,
(ii)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적합한 전구체로부터 산- 또는 염기-반응성 보호기를 제거하거나, 또는 목적하는 산 또는 염기를 사용하여 적합한 사이클릭 전구체, 예를 들어 락톤 또는 락탐을 개환시키는 방법, 또는
(iii) 적합한 산 또는 염기와의 반응에 의해 또는 적합한 이온 교환 컬럼을 사용하여 화학식 I의 화합물의 하나의 염을 또다른 염으로 전환시키는 방법.
이들 3가지 반응 모두가 전형적으로 용액 중에서 수행된다. 생성된 염은 침전시켜 여과하여 수집할 수도 있거나, 용매를 증발시켜 회수할 수도 있다. 생성된 염의 이온화 정도는 완전히 이온화된 것에서 거의 이온화되지 않은 것에 이르기까지 다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완전히 무정질인 것에서 완전히 결정질인 것에 이르는 연속적인 고체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용어 "무정질"은 물질이 분자 수준에서의 장거리 질서가 부족하여, 온도에 따라 고체 또는 액체의 물성을 나타낼 수 있는 상태를 지칭한다. 전형적으로, 이러한 물질은 특유의 X선 회절 패턴을 나타내지 않으며, 고체의 성질을 나타내지만 보다 공식적으로는 액체로 기재된다. 가열시에는 고체 성질에서 액체 성질로의 변화가 일어나는데, 이는 상태의 변화, 전형적으로는 2차 변화("유리 전이")를 특징으로 한다. 용어 "결정질"은 물질이 분자 수준에서 규칙적인 질서의 내부 구조를 갖고 뚜렷한 피크를 갖는 특유의 X선 회절 패턴을 제공하는 고체상을 지칭한다. 이러한 물질은, 충분하게 가열된 경우에, 액체 성질도 나타내지만, 고체에서 액체로의 변화는 상변화, 전형적으로는 1차 변화('융점')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비용매화 형태 및 용매화 형태로 존재할 수도 있다. 본원에서, 용어 "용매화물"은 본 발명의 화합물 및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용매 분자, 예를 들어 에탄올을 포함하는 분자 착체를 기재하는데 사용된다. 용어 "수화물"은 상기 용매가 물인 경우에 사용된다.
유기 수화물에 대하여 현재 공인되는 분류 시스템은 고립 부위 수화물(isolated site hydrate), 채널 수화물, 또는 금속 이온 배위된 수화물을 정의하는 것이다 - 문헌[Polymorphism in Pharmaceuticals Solids by K. R. Morris(Ed. H. G. Brittain, Marcel Dekker, 1995)]을 참조한다. 고립 부위 수화물은 유기 분자를 개입시켜서 물 분자들이 서로 직접 접촉하지 못하도록 고립시킨 것이다. 채널 수화물에서는 물 분자가 격자 채널에 위치하는데, 여기서 물 분자는 다른 물 분자에 인접한다. 금속 이온 배위된 수화물에서, 물 분자는 금속 이온에 결합되어 있다.
용매 또는 물이 강하게 결합되는 경우, 착체는 습도와는 무관하게 규정된 화학량론적 양을 가질 것이다. 그러나, 용매 또는 물이 약하게 결합되어 있는 경우에는, 채널 용매화물 및 흡습성 화합물에서와 같이, 물/용매 함량이 습도 조건 및 건조 조건에 따라 좌우될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비-화학량론이 일반적일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범주에는 약물 및 하나 이상의 다른 성분이 화학량론적 양 또는 비-화학량론적 양으로 존재하는 다성분 착체(염 및 용매화물 이외의 것)도 포함된다. 이러한 유형의 착체로는 포접화합물(약물-호스트 내포 착체(drug-host inclusion complex)) 및 공결정(co-crystal) 등이 있다. 공결정은 전형적으로 비공유 상호작용을 통해 함께 결합된 중성 분자 성분들의 결정질 착체로 정의되지만, 중성 분자와 염의 착체일 수도 있다. 공결정은 용융 결정화 또는 용매로부터의 재결정화에 의해서 또는 성분들을 함께 물리적으로 연마하여 제조할 수 있다 - 문헌[Chem Commun, 17, 1889-1896, by O. Almarsson and M. J. Zaworotko(2004)]을 참조한다. 다성분 착체에 관하여 일반적으로 검토하기 위해서는 문헌 [J Pharm Sci, 64(8), 1269-1288, by Haleblian(August 1975)]을 참조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적합한 조건에 처했을 때 준결정 상태(mesomorphic state)(준결정상(mesophase) 또는 액정)로 존재할 수도 있다. 준결정 상태란, 진정한 결정질 상태와 진정한 액체 상태(용융물 또는 용액) 사이의 중간체이다. 온도 변화로 인한 준결정화(mesomorphism)는 "열향성(thermotropic)"으로 기재하며, 제 2 성분, 예를 들어 물 또는 또다른 용매의 첨가로 인해 유발되거나 준결정성은 "액방성(lyotropic)"이라고 기재한다. 액방성 준결정상을 형성하는 가능성을 갖는 화합물은 "양친매성"이라고 기재하며, 이는 이온성(예를 들어 -COO-Na+, -COO-K+, 또는 -SO3 -Na+) 또는 비이온성(예를 들어 -N-N+(CH3)3) 극성 헤드기(head group)를 갖는 분자로 이루어진다. 보다 많은 정보를 위해서는, 문헌[Crystals and the Polarizing Microscope by N. H. Hartshorne and A. Stuart, 4th Edition(Edward Arnold, 1970)]을 참조한다.
이후, 화학식 I의 화합물에 관한 모든 언급은 그의 염, 용매화물, 다성분 착체 및 그의 액정, 및 그의 염의 용매화물, 다성분 착체 및 액정에 대한 언급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앞서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예를 들어 화학식 I의 모든 다형체 및 그의 정벽(crystal habit), 전구약물 및 동위원소-표지된 화합물을 포함한다.
기재한 바와 같이,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소위 "전구약물" 역시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따라서, 그 자체로는 약리 활성이 거의 없거나 전혀 없을 수 있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의 특정 유도체는, 신체내로 또는 신체상에 투여되었을 때, 예를 들어 가수분해 절단에 의해서 목적하는 활성을 갖는 화학식 I의 화합물로 전환될 수 있다. 이러한 유도체를 "전구약물"이라 지칭한다. 전구약물의 사용에 관한 추가의 정보는 문헌[Pro - drugs as Novel Dilivery Systems , Vol. 14, ACS Symposium Series(T. Higuchi and W. Stella)] 및 문헌[Bioreversible Carriers in Drug Design, Pergamon Press, 1987(Ed. E. B. Roche, American Pharmaceutical Association)]에서 찾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구약물은 예를 들어 화학식 I의 화합물에 존재하는 적합한 작용기를, 예를 들어 문헌[Design of Prodrugs by H. Bundgaard(Elsevier, 1985)]에 기재된 바와 같이 당업자에게 "전구-잔기(pro-moiety)"로서 공지된 특정 잔기로 대체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구약물의 몇가지 예는 다음을 포함한다:
(i) 화학식 I의 화합물이 알콜 작용기(-OH)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그의 에스터, 예를 들어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알콜 작용기의 수소가 (C1-C6)알칸오일옥시메틸로 치환된 화합물, 및
(iii) 화학식 I의 화합물이 1급 또는 2급 아미노 작용기(-NH2 또는 -NHR, 여기서 R은 H가 아님)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그의 아미드, 예를 들어, 경우에 따라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아미노 작용기의 수소 중 1개 또는 2개가 (C1-C10)알칸오일로 치환된 화합물.
상기 예 및 다른 전구약물 유형의 예에 따른 치환기의 추가 예는 전술한 참고문헌에서 찾을 수 있다.
추가로, 화학식 I의 특정 화합물은 그 자체가 화학식 I의 다른 화합물의 전구약물로서 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주에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의 대사물질, 즉 해당 약물 투여시 생체내에서 형성되는 화합물도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대사물질의 몇가지 예는 다음을 포함한다:
(i) 화학식 I의 화합물이 메틸기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그의 하이드록시메틸 유도체(-CH3 → -CH2OH), 및
(ii) 화학식 I의 화합물이 페닐 잔기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그의 페놀 유도체(-Ph → -PhOH).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원자가 원자 번호는 동일하지만 원자량 또는 질량수는 자연계에서 주로 존재하는 원자량 또는 질량수와 상이한 원자로 치환된, 모든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동위원소-표지된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에 포함시키기에 적합한 동위원소의 예로는 수소의 동위원소, 예를 들어 2H 및 3H, 탄소의 동위원소, 예를 들어 11C, 13C 및 14C, 염소의 동위원소, 예를 들어 36Cl, 불소의 동위원소, 예를 들어 18F, 요오드의 동위원소, 예를 들어 123I 및 125I, 질소의 동위원소, 예를 들어 13N 및 15N, 산소의 동위원소, 예를 들어 15O, 17O 및 18O 등이 있다.
특정 동위원소-표지된 화학식 I의 화합물, 예를 들어 방사성 동위원소를 혼입한 것은 약물 및/또는 기질 조직 분포 연구에 유용하다. 방사성 동위원소 삼중수소, 즉 3H, 및 탄소-14, 즉 14C는 혼입의 용이성 및 신속한 검출 수단 면에서 상기 목적에 특히 유용하다.
보다 무거운 동위원소, 예를 들어 중수소, 즉 2H로의 치환은 보다 높은 대사 안정성, 예를 들어 생체내 반감기 증가 또는 투여 요구량 감소로 인한 특정 치료 이점을 제공할 수 있고, 따라서 일부 상황에서는 이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양전하-방출 동위원소, 예를 들어 11C, 18F, 15O 및 13N로의 치환은 기질 수용체 점유를 조사하는 양전자 단층촬영(Positron Emission Topography, PET) 연구에서 유용할 수 있다.
동위원소-표지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당업자에게 공지된 통상의 기술 또는 이전에 사용된 비-표지 시약 대신에 적합한 동위원소-표지된 시약을 사용하는 하기 실시예 및 제조예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용매화물로는 결정화 용매가 동위원소로 치환될 수 있는 것, 예를 들어 D2O, d6-아세톤, d6-DMSO 등이 있다.
제안된 징후의 치료용으로 가장 적합한 투여 형태 및 투여 경로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이들의 생물약제 성질, 예를 들어 용해도 및 용액 안정성(pH에 대한 안정성), 투과성 등에 대하여 평가해야 한다.
제약용으로 의도된 본 발명의 화합물은 결정질 또는 무정질 생성물로서 투여될 수 있다. 이것들은 침전, 결정화, 동결 건조, 분무 건조 또는 증발 건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예를 들어 고체 플러그(solid plug), 분말 또는 필름으로서 수득된다. 이 목적을 위해서 극초단파(microwave) 또는 라디오파 건조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결정질 생성물로서 투여될 수 있다.
이것들은, 단독으로 투여될 수도 있거나,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화합물과 함께 투여될 수도 있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약물과 함께 투여될 수도 있다(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물로서 투여될 수도 있음). 일반적으로, 이것들은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와의 제제로서 투여된다. 본원에서, 용어 "부형제"는 본 발명의 화합물(들) 이외의 임의의 성분을 기재하는데 사용된다. 부형제의 선택은, 구체적인 투여 방식, 용해도 및 안정성에 대한 부형제의 효과, 및 투여 형태 등과 같은 인자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본 발명의 화합물 전달에 적합한 약학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은 당업자에게 매우 명백할 것이다. 이러한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은 예를 들어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 19th Edition(Mack Publishing Company, 1995)]에서 찾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경구 투여할 수 있다. 경구 투여는, 화합물이 위장관으로 들어가도록 삼키는 것 및/또는 화합물이 입으로부터 혈류로 직접 들어가는 협측(頰側), 설측(舌側) 또는 설하(舌下) 투여를 포함할 수 있다.
경구 투여에 적합한 제제로는 고체, 반-고체 및 액체 시스템, 예를 들어 정제; 다중-입자(multi-particulate) 또는 나노-입자, 액체 또는 분말을 함유하는 경질 또는 연질 캡슐제; 로젠지제(액체가 충전된 로젠지를 포함함); 츄잉제; 겔제; 신속 붕해 투여 형태; 필름제; 소포제; 분무제 및 협측/점막부착성 패치제 등이 있다.
액체 제제로는 현탁액, 용액, 시럽 및 엘릭시르 등이 있다. 이러한 제제는 연질 또는 경질 캡슐(예를 들어 젤라틴 또는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로 제조됨) 중의 충전재로서 사용될 수 있고, 전형적으로 담체, 예를 들어 물, 에탄올, 폴리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셀룰로스 또는 적합한 오일 및 하나 이상의 유화제 및/또는 현탁화제를 포함한다. 또한, 액체 제제는, 예를 들어 사셋(sachet)으로부터 고체를 재구성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신속-용해, 신속-붕해 투여 형태, 예를 들어 문헌 [Expert Opinion in Therapeutic Patents, 11(6), 981-986, by Liang and Chen(2001)]에 기재된 것에 사용될 수도 있다.
정제 투여 형태의 경우, 상기 약물은 투여량에 따라 투여 형태의 1중량% 내지 80중량%, 보다 전형적으로는 투여 형태의 5중량% 내지 60중량%를 구성할 수 있다. 정제는, 상기 약물 이외에도 붕해제를 함유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붕해제의 예로는 나트륨 전분 글리콜레이트, 나트륨 카복시메틸 셀룰로스, 칼슘 카복시메틸 셀룰로스, 크로스카르멜로스 나트륨, 크로스포비돈, 폴리비닐피롤리돈, 메틸 셀룰로스, 미정질 셀룰로스, 저급 알킬-치환된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스, 전분, 호화 전분 및 알긴산나트륨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붕해제는 투여 형태의 1중량% 내지 25중량%, 바람직하게는 5중량% 내지 20중량%를 구성할 것이다.
결합제는 일반적으로 정제 제제에 응집성을 부여하는데 사용된다. 적합한 결합제로는 미정질 셀룰로스, 젤라틴, 당, 폴리에틸렌 글리콜, 천연 고무, 합성 고무, 폴리비닐피롤리돈, 호화 전분,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스 및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스 등이 있다. 정제는 또한 희석제, 예를 들어 락토스(일수화물, 분무 건조된 일수화물, 무수물 등), 만니톨, 크실리톨,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소르비톨, 미정질 셀룰로스, 전분 및 이염기성 인산칼슘 이수화물 등을 함유할 수도 있다.
또한, 정제는 선택적으로 나트륨 라우릴 설페이트 및 폴리소르베이트 80과 같은 표면 활성제, 및 이산화규소 및 활석 등과 같은 활택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존재하는 경우, 표면 활성제는 정제의 0.2중량% 내지 5중량%를 구성할 수 있으며, 활택제는 정제의 0.2중량% 내지 1중량%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정제는 일반적으로 스테아르산마그네슘, 스테아르산칼슘, 스테아르산아연, 나트륨 스테아릴 푸마레이트, 및 스테아르산마그네슘과 나트륨 라우릴 설페이트의 혼합물 등과 같은 윤활제도 함유한다. 윤활제는 일반적으로 정제의 0.25중량% 내지 10중량%, 바람직하게는 0.5중량% 내지 3중량%를 구성한다.
기타 가능한 성분으로는 항산화제, 착색제, 향미제, 방부제, 미각-차폐제 등이 있다.
예시적인 정제는 약 80% 이하의 약물, 약 10중량% 내지 약 90중량%의 결합제, 약 0중량% 내지 약 85중량%의 희석제, 약 2중량% 내지 약 10중량%의 붕해제, 및 약 0.25중량% 내지 약 10중량%의 윤활제를 함유한다.
정제 블렌드를 직접 타정하거나 롤러로 타정하여 정제를 형성할 수 있다. 다르게는, 정제 블렌드 또는 블렌드의 일부를 정제화 이전에 습식-, 건식- 또는 용융-과립화, 용융 응결, 또는 압출시킬 수 있다. 최종 제제는 1개 이상의 층을 포함할 수 있고, 코팅되거나 코팅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심지어는 캡슐화될 수도 있다.
정제의 제형화는 문헌[Pharmaceutical Dosage Forms : Tablets , Vol. 1 by H. Lieberman and L. Lachman(Marcel Dekker, New York, 1980)]에 논의되어 있다.
전형적으로, 인체 또는 수의학적 용도를 위한 소모성 경구용 필름은 신속하게 용해되거나 점막접착성일 수 있으며 전형적으로는 화학식 I의 화합물, 필름-형성 중합체, 결합제, 용매, 습윤제, 가소제, 안정화제 또는 유화제, 점도-개질제 및 용매를 포함하는 유연한 수용성 또는 수팽윤성 박막 투여 형태이다. 제제의 일부 성분들은 하나 초과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수용성 또는 수불용성일 수 있다. 전형적으로, 수용성 화합물은 용질의 1중량% 내지 80중량%, 더욱 전형적으로는 20중량% 내지 50중량%를 구성한다. 덜 가용성인 화합물은 조성물의 더 큰 비율, 전형적으로는 용질의 최대 88중량%를 구성할 수 있다. 다르게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다중-입자 비드의 형태일 수 있다.
필름-형성 중합체는 천연 다당류, 단백질 또는 합성 하이드로콜로이드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전형적으로는 0.01 내지 99중량% 범위, 더욱 전형적으로는 30 내지 80중량% 범위로 존재한다.
기타 가능한 성분으로는 항산화제, 착색제, 향미제 및 향미 증진제, 방부제, 타액 자극제, 냉각제, 보조용매(오일을 포함함), 연화제, 증량제, 소포제, 계면활성제 및 미각-차폐제 등이 있다.
전형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은 박리가능한 배킹 지지체 또는 종이 상에 코팅된 얇은 수성 필름을 증발 건조시켜 제조된다. 이것은 건조 오븐 또는 터널, 전형적으로는 코팅-건조 복합기에서 수행될 수도 있거나, 동결-건조 또는 진공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경구 투여용 고체 제제는 속방성 및/또는 변형 방출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변형 방출 제제는 지방성, 지속-방출성, 맥동성-방출성, 제어-방출성, 표적화-방출성 및 프로그램 방출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에 적합한 변형 방출 제제는 미국 특허 제6,106,864호에 기재되어 있다. 고에너지 분산액 및 삼투성 및 코팅된 입자와 같은 다른 적합한 방출 기술에 대한 상세 사항은 문헌[Pharmaceutical Technology On - line, 25(2), 1-14, by Verma et al(2001)]에 기재되어 있다. 제어 방출을 달성하기 위한 츄잉검의 사용은 국제특허 공개공보 제 WO 00/35298 호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혈류에, 근육에 또는 내부 장기 내에 직접 투여될 수도 있다. 비경구 투여에 적합한 방법으로는 정맥내, 동맥내, 복강내, 경막내, 심실내, 요도내, 흉골내, 두개내, 근육내, 활액낭내, 및 피하 전달 등이 있다. 비경구 투여에 적합한 장치로는 침(needle)(미세침(microneedle) 포함) 주사기, 무침(無針) 주사기 및 주입 기술 등이 있다.
전형적으로, 비경구 제제는 염, 탄수화물 및 완충제(바람직하게는 pH 3 내지 9) 등과 같은 부형제를 함유할 수 있는 수용액이지만, 일부 적용례에서 이것들은 더욱 적합하게는 멸균 비-수성 용액으로 제형화되거나 발열원-부재(pyrogen-free) 멸균수와 같은 적합한 비히클과 함께 사용될 건조된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멸균 조건 하에서, 예를 들어 동결건조에 의한 비경구 제제의 제조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표준 제약 기법을 사용하여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비경구 용액의 제조에 사용되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용해도는 용해도-증진제의 혼입 등과 같은 적합한 제형화 기술을 사용하여 증가시킬 수 있다.
비경구 투여용 제제는 속방성 및/또는 변형 방출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변형 방출 제제는 지방성, 지속-방출성, 맥동성-방출성, 제어-방출성, 표적화-방출성 및 프로그램 방출성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활성 화합물의 변형 방출을 제공하는 이식 저류조(depot)로 투여하기 위한 고체, 반-고체 또는 요변성 액체 또는 현탁액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이러한 제제의 예로는 약물-코팅된 스텐트(stent), 및 약물-담지된 폴리(dl-락트-코글리콜)산(PGLA) 미소구를 포함하는 현탁액 및 반-고체 등이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피부 또는 점막에 국소적으로, 피부(내)로 또는 경피로 투여될 수도 있다. 이러한 목적에 전형적인 제제는 겔, 하이드로겔, 로션, 용액, 크림, 연고, 살포, 드레싱, 발포체, 필름, 피부 패치, 웨이퍼, 이식물, 스폰지, 섬유, 붕대 및 마이크로에멀젼 등을 포함한다. 리포좀이 사용될 수도 있다. 전형적인 담체로는 알콜, 물, 광유, 액체 페트로라튬, 백색 바셀린, 글리세린,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프로필렌 글리콜 등이 있다. 침투 증진제가 혼입될 수도 있다 - 예를 들어 문헌[J Pharm Sci, 88(10), 955-958, by Finnin and Morgan(October 1999)]을 참조한다.
국소 투여의 다른 수단으로는 전기천공, 이온영동, 음성영동, 초음파영동 및 현미침 또는 무침(예를 들어, 파우더젝트(Powderject, 상표명), 바이오젝트(Bioject, 상표명) 등) 주사에 의한 전달 등이 있다.
국소 투여용 제제는 속방성 및/또는 변형 방출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변형 방출 제제는 지방성, 지속-방출성, 맥동성-방출성, 제어-방출성, 표적화-방출성 및 프로그램 방출성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비강 투여될 수도 있고, 또는 전형적으로는 건조 분말 흡입기로부터의 건조 분말의 형태로(단독으로 또는 혼합물로, 예를 들어 락토스와의 건식 블렌드로, 또는 예를 들어 포스파티딜콜린과 같은 인지질과 혼합된 혼합 성분 입자로서) 흡입에 의해 투여될 수도 있거나, 1,1,1,2-테트라플루오로에탄 또는 1,1,1,2,3,3,3-헵타플루오로프로판과 같은 적합한 추진제를 사용하거나, 점비제로 투여될 수도 있다. 비강 사용의 경우, 상기 분말은 생체접착제, 예를 들어 키토산 또는 사이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할 수 있다.
가압 용기, 펌프, 분무기, 미립화기 또는 연무기는 예를 들어 에탄올, 수성 에탄올, 또는 활성 성분을 분산시키거나 용해하거나 방출을 연장시키는데 적합한 대체 약제, 용매로서의 추진제(들), 및 예를 들어 소르비탄 트리올레에이트, 올레산 또는 올리고락트산 등과 같은 임의의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화합물(들)의 용액 또는 현탁액을 함유한다.
건조 분말 또는 현탁액 제제로 사용하기 전에, 약물 생성물은 흡입에 의해서 전달하기에 적합한 크기(일반적으로 5㎛ 미만)로 미분화된다. 이것은 나선형 제트 밀링(jet milling), 유동층 제트 밀링, 나노입자를 형성시키는 초임계 유체 가공, 고압 균질화,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분쇄 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흡입기 또는 취입기에서 사용하기 위한 캡슐(예를 들어, 젤라틴 또는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로 제조됨), 블리스터(blister) 및 카트리지는 본 발명의 화합물, 락토스 또는 전분 등과 같은 적합한 분말 기재, 및 l-류신, 만니톨 또는 스테아르산마그네슘 등과 같은 성능 개질제의 분말 혼합물을 함유하도록 제형화될 수 있다. 락토스는 무수물 또는 일수화물의 형태일 수도 있으며, 일수화물의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적합한 부형제로는 덱스트란, 글루코스, 말토스, 소르비톨, 크실리톨, 프럭토스, 수크로스 및 트레할로스 등이 있다.
전기유체역학을 사용하여 미세한 미스트를 생성시키는 미립화기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용액 제제는 1회 작동(actuation) 당 본 발명의 화합물을 1㎍ 내지 20 mg 함유할 수 있으며, 작동 체적은 1㎕에서 100㎕까지 달라질 수 있다. 전형적인 제제는 화학식 I의 화합물, 프로필렌 글리콜, 멸균수, 에탄올 및 염화나트륨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필렌 글리콜 대신에 사용될 수 있는 대체 용매로는 글리세롤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이 있다.
흡입/비강 투여용 본 발명의 제제에는 멘톨 및 레보멘톨 등과 같은 적합한 향미제, 또는 사카린 또는 사카린 나트륨 등과 같은 감미제가 첨가될 수 있다.
흡입/비강 투여용 제제는 예를 들어 PGLA를 사용하여 속방성 및/또는 변형 방출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변형 방출 제제는 지방성, 지속-방출성, 맥동성-방출성, 제어-방출성, 표적화-방출성 및 프로그램 방출성일 수 있다.
건조 분말 흡입기 및 에어로졸의 경우에, 투여량 단위는 미리-충전된 캡슐, 블리스터, 또는 포켓에 의해 또는 중력으로 공급되는 투여 챔버를 사용하는 시스템에 의해 결정된다. 전형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단위는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1 내지 5000㎍ 함유하는 계량된 용량 또는 "퍼프(puff)"를 투여하도록 전형적으로 배열된다. 전형적으로, 1일 총 투여량은 1㎍ 내지 20mg의 범위일 것이고, 이것은 단일 용량으로 또는 더욱 통상적으로는 하루 동안의 분할 용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흡입에 의한 투여에 특히 적합하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건조 분말 흡입기를 통해 투여된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편의상 락토스와 배합되어 건조 분말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예를 들어 좌제, 질좌제 또는 관장제의 형태로 직장 또는 질내로 투여될 수 있다. 코코아 버터는 전통적인 좌제 기재이지만, 적절하다면 각종 대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직장/질내 투여용 제제는 속방성 및/또는 변형 방출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변형 방출 제제는 지방성, 지속-방출성, 맥동성-방출성, 제어-방출성, 표적화-방출성 및 프로그램 방출성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전형적으로는 pH-조정된 등장 멸균 염수 중의 미분화된 현탁액 또는 용액의 점적제 형태로, 눈 또는 귀에 직접 투여될 수도 있다. 안구 및 귀에 투여하기에 적합한 다른 제제로는 연고, 겔, 생분해성(예를 들어 흡수성 겔 스폰지, 콜라겐) 및 비생분해성(예를 들어 실리콘) 이식물, 웨이퍼, 렌즈 및 미립상 또는 소포상 시스템, 예를 들어 니오좀(niosome) 또는 리포좀 등이 있다. 가교된 폴리아크릴산, 폴리비닐알콜, 히알루론산, 셀룰로스계 중합체, 예를 들어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 또는 메틸 셀룰로스, 또는 헤테로다당류 중합체, 예를 들어 겔란 검(gelan gum)과 같은 중합체가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와 같은 방부제와 함께 혼입될 수 있다. 이러한 제제는 이온영동에 의해서 전달될 수도 있다. 안구/귀 투여용 제제는 속방성 및/또는 변형 방출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변형 방출 제제는 지방성, 지속-방출성, 맥동성-방출성, 제어-방출성, 표적화-방출성 및 프로그램 방출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전술한 임의의 투여 방식에서 사용하는데 있어서 그의 용해도, 용해 속도, 미각-차폐성, 생체사용률 및/또는 안정성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사이클로덱스트린 및 그의 적합한 유도체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함유 중합체와 같은 가용성 거대분자체와 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물-사이클로덱스트린 착체는 대부분의 투여 형태 및 투여 경로에 일반적으로 유용한 것으로 밝혀졌다. 내포 및 비-내포 착체 모두가 사용될 수 있다. 약물과의 직접적인 착체화에 대한 대안으로서, 사이클로덱스트린이 보조 첨가제로서, 즉 담체, 희석제 또는 가용화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에 가장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알파-, 베타- 및 감마-사이클로덱스트린이며, 이것의 예는 국제특허 공개공보 제 WO 91/11172 호, 국제특허 공개공보 제 WO 94/02518 호 및 국제특허 공개공보 제 WO 98/55148 호에서 찾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질환 또는 증상 치료를 목적으로 활성 화합물들의 조합물을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기 때문에, 2종 이상의 약학 조성물(이 중 적어도 하나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함유함)을 편리하게는 조성물의 공동-투여에 적합한 키트의 형태로 배합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키트는 2종 이상의 별개의 약학 조성물(이 중 적어도 하나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함유함), 및 용기, 분할 병 또는 분할 포일 패킷(foil packet) 등과 같이 상기 조성물을 별도로 보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키트의 예는 정제, 캡슐제 등의 포장에 사용되는 통상적인 블리스터 팩(blister pack)이다.
본 발명의 키트는 상이한 투여 형태, 예를 들어 경구 및 비경구 투여 형태를 투여하거나, 별개의 조성물을 상이한 투약 간격으로 투여하거나, 또는 별개의 조성물을 서로에 대해서 적정하는데 특히 적합하다. 순응성을 보조하기 위해서, 상기 키트는 전형적으로 투여를 위한 지침서를 포함하며, 소위 기억 보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인간 환자에게 투여하는 경우, 본 발명의 화합물의 1일 총 투여량은 전형적으로 0.001 mg 내지 5000 mg의 범위이며, 이 범위는 물론 투여 방식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경구 투여시에는 1일 총 투여량으로 0.1mg 내지 1000mg이 필요할 수 있지만, 정맥내 투여시에는 단지 0.001mg 내지 100mg만이 필요할 수도 있다. 1일 총 투여량은 단일 용량 또는 분할 용량으로 투여될 수 있고, 의사의 판단에 따라 본원에서 제시된 전형적인 범위를 벗어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체중이 약 60 kg 내지 70 kg인 평균 인간 대상을 기준으로 한다. 의사는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체중을 가진 대상, 예를 들어 유아 및 노인에 대한 투여량을 쉽게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확실히 해 두기 위하여, 본원에서 "치료"에 대한 언급은 치유, 완화 및 예방적 치료에 대한 언급을 포함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무스카린 수용체와 상호작용하는 능력을 보유하며, 따라서 무스카린 수용체가 모든 포유동물의 생리에 있어서 필수적인 기능을 하기 때문에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광범위한 범위의 치료 용도를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추가의 양태는, 무스칼린 수용체가 관련되어 있는 질환, 질병 또는 증상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상기 화합물 또는 염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용매화물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무스칼린 수용체가 관련된 질환, 질병 또는 증상의 치료 또는 예방에 유용한 의약품을 제조하기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상기 화합물 또는 염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용매화물에 관한 것이다.
추가로, 본 발명은, 인간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을, 효과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상기 화합물 또는 염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용매화물로 치료하는 것을 포함하는, 무스칼린 수용체 길항제에 의한 상기 포유동물의 치료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또한 하기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된 질환, 질병 및 증상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상기 화합물 또는 염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용매화물에 관한 것이다:
-만성 또는 급성 기관지수축, 만성 기관지염, 소기도 폐쇄(small airways obstruction), 및 기종,
-임의의 유형, 병인 또는 발병기전의 폐쇄성 또는 염증성 기도 질환, 특히 만성 호산구성 폐렴, 만성 폐쇄성 폐 질환(COPD), 만성 기관지염, 폐 기종 또는 COPD와 관련되거나 관련없는 호흡곤란을 포함하는 COPD, 비가역적인 진행성 기도 폐쇄를 특징으로 하는 COPD, 성인성 호흡 곤란 증후군(ARDS), 다른 약물 요법으로 인한 기도 과잉-반응성의 악화, 및 폐 고혈압과 관련된 기도 질환으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된 구성원인 폐쇄성 또는 염증성 기도 질환,
-임의의 유형, 병인 또는 발병기전의 기관지염, 특히 급성 기관지염, 급성 후두기관성 기관지염, 아라킨산성(arachidic) 기관지염, 카타르성 기관지염, 크루프성 기관지염, 건성 기관지염, 전염성 천식성 기관지염, 증식성 기관지염, 포도상구균성 또는 연쇄상구균성 기관지염 및 폐포성 기관지염으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된 구성원인 기관지염,
-임의의 유형, 병인 또는 발병기전의 천식, 특히 아토피성 천식, 비-아토피성 천식, 알러지성 천식, 아토피성 기관지 IgE-매개 천식, 기관지 천식, 본태성 천식, 진성 천식, 병태생리적 질병으로 인한 내인성 천식, 환경적 요인으로 인한 외인성 천식, 미지 또는 불분명한 원인의 본태성 천식, 비-아토피성 천식, 기관지염성 천식, 기종성 천식, 운동-유발성 천식, 알러젠-유발성 천식, 찬공기(cold air)-유발성 천식, 직업병성 천식, 세균류, 진균류, 원충류 또는 바이러스류 감염에 의해 유발되는 감염성 천식, 비-알러지성 천식, 초기 천식(incipient asthma), 천명(喘鳴) 유아 증후군 및 세기관지염으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된 구성원인 천식,
-급성 폐 손상,
-임의의 유형, 병인 또는 발병기전의 기관지확장증, 특히 원주상 기관지확장증, 소낭 기관지확장증, 방추상 기관지확장증, 모세 기관지확장증, 구상 기관지확장증, 건성 기관지확장증 및 여포성 기관지확장증으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된 구성원인 기관지확장증.
화학식 I의 화합물,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상기 화합물 또는 염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용매화물은, COPD 또는 천식의 치료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에 의해 치료가능한 질환, 질병 및 증상의 다른 예로는, 염증성 장 질환, 과민성 장 질환, 게실병, 동요병(motion sickness), 위 궤양, 장의 방사선 검사, BPH(양성 전립선 과형성)의 대증 요법, NSAID 유도된 위 궤양화, 요실금(요의빈삭(urgency), 빈뇨(frequency), 절박 요실금, 과민성 방광, 야뇨증 및 하부 요로 증후군 포함), 조절마비, 산동 및 파킨슨병이다.
COPD 및 천식이 만성 질환이기 때문에, 상기 치료를 위해 사용되는 화합물은 종종 다른 약물과 공동-투여될 것이다. 따라서, 약물-약물 상호작용 가능성은 분자의 전체 안전능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다중 경로, 즉 상 I 및 상 II(예를 들어, 글루쿠로니화)의 대사를 나타내는 화합물은 상당한 약물-약물 상호작용의 유발에 대한 낮은 가능성을 갖는다. 화합물의 약물-약물 상호작용에 대한 가능성은, 생체외 대사 데이터를 사용하여, 시판중인 소프트웨어, 예를 들어 심사이프(Simcyp; 등록상표)로 모의하였다.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종래에 비해 약물-약물 상호작용에 대한 낮은 가능성을 유발하는 상 I 및 상 II 대사 둘다의 장점을 나타낸다.
화학식 I의 화합물(들)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상기 화합물 또는 염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용매화물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치료제의 적합한 예로는, 이로서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하기와 같다:
(a) 5-리폭시게나제(5-LO) 억제제 또는 5-리폭시게나제 활성화 단백질(FLAP) 길항제,
(b) LTB4, LTC4, LTD4 및 LTE4의 길항제를 비롯한 류코트리엔 길항제(LTRA),
(c) H1 및 H3 길항제를 비롯한 히스타민 수용체 길항제,
(d) 충혈제거용 α1- 및 α2-아드레날린수용체 작용제 혈관수축 교감신경흥분제,
(e) PDE3, PDE4 및 PDE5 억제제를 비롯한 PDE 억제제,
(f) 베타 2 수용체 작용제,
(g) 테오필린,
(h) 나트륨 크로모글리케이트,
(i) 비-선택적 및 선택적 COX-1 또는 COX-2 억제제(NSAID) 둘다를 포함하는 COX 억제제,
(j) 프로스타글란딘 수용체 길항제 및 프로스타클란딘 합성효소 억제제,
(k) 경구용 및 흡입용 글루코코르티코스테로이드,
(l) 코르티코이드 수용체의 해리된 작용제(DAGR),
(m) 내인성 염증 물질에 활성인 모노클로날 항체,
(n) 항-종양 괴사 인자(항-TNF-α) 약제,
(o) VLA-4 길항제를 비롯한 부착 분자 억제제,
(p) 키닌(Kinin)-B1- 및 B2-수용체 길항제,
(q) 사이클로스포린 및 IgE 경로 억제제를 비롯한 면역억제제,
(r)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아제(MMP) 억제제,
(s) 타키키닌 NK1, NK2 및 NK3 수용체 길항제,
(t) 엘라스타제 억제제와 같은 프로테아제 억제제,
(u) 아데노신 A2a 수용체 작용제 및 A2b 길항제,
(v) 유로키나제 억제제,
(w) 도파민 수용체에 작용하는 화합물, 예를 들어 D2 작용제,
(x) NFκβ 경로 조절제, 예를 들어 IKK 억제제,
(y) p38 MAP 키나제, PI3 키나제, JAK 키나제, syk 키나제, EGFR 또는 MK-2와 같은 사이토킨 신호전달 경로 조절제,
(z) 점액용해제 또는 진해제로 분류될 수 있는 약제,
(aa) 흡입용 코르티코스테로이드에 대한 응답을 강화시키는 약제,
(bb) 호흡관에 서식할 수 있는 미생물에 대해 효과적인 항생제 및 항바이러스제,
(cc) HDAC 억제제,
(dd) CXCR2 길항제,
(ee) 인테그린 길항제,
(ff) 케모킨,
(gg) 상피 나트륨 채널(ENaC) 차단제 또는 상피 나트륨 채널(ENaC) 억제제,
(hh) P2Y2 작용제 및 다른 뉴클레오타이드 수용체 작용제,
(ii) 트롬복산 억제제,
(jj) PGD2 합성 및 PGD2 수용체(DP1 및 DP2/CRTH2) 억제제,
(kk) 니아신, 및
(ll) VLAM, ICAM 및 ELAM을 비롯한 부착 인자.
본 발명에 따라, 화학식 I의 화합물과, H3 길항제, β2 작용제, PDE4 억제제, 스테로이드, 특히 글루코코르티코스테로이드, 아데노신 A2a 수용체 작용제, p38 MAP 키나제 또는 syk 키나제와 같은 사이토킨 신호전달 경로 조절제, 또는LTB4, LTC4, LTD4 및 LTE4의 길항제를 비롯한 류코트리엔 길항제(LTRA)의 조합물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화학식 I의 화합물과,
- 글루코코르티코스테로이드, 특히 전신 부작용이 감소된 흡입용 글루코코르티코스테로이드, 예를 들어 프레드니손, 프레드니솔론, 플루니솔리드, 트리암시놀론 아세토니드, 베클로메타손 디프로피오네이트, 부데소니드,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시클레소니드, 및 모메타손 푸로에이트, 또는
- β2 작용제, 특히 예를 들어 살부타몰, 테르부탈린, 밤부테롤, 페노테롤, 살메테롤, 포르모테롤, 툴로부테롤 및 이들의 염
의 조합물이 추가로 바람직하다.
제법
제법 1
바이페닐-2-일-카밤산 1-(9-(비스(3급-부톡시카보닐))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Figure pct00007
다이메틸폼아마이드(120ml) 및 트라이에틸아민(60ml) 내 4-피페리딘일 N-(2-바이페닐일)카바메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미국 특허원 제 2006205779 호, 46.6g) 및 N,N-(비스(3급-부톡시카보닐)-9-브로모노닐아민(국제특허 공개공보 제 2007107828 호, 36.1g)의 용액을, 질소하에서 18시간 동안 60℃에서 가열하였다. 가압하에서 용매를 제거하고 잔사를 에틸 아세테이트와 물(각각 250ml)에 분배시켰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물로 세척한 후(100ml), 염수로 세척하고(50ml)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켰다. 증발될 때까지 유기층을 건조시켜, 갈색 오일(71.77g)을 수득하고, 이것을, 용리액으로서 헵탄:에틸 아세테이트:880 암모니아를, 60:40:0.5 내지 30:70:0.5(체적 기준)으로 사용하는 정상상(normal phase)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발포체(38.9g)로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δ=1.20-1.25(m, 10H), 1.30-1.70(m, 6H), 1.50(s, 18H), 1.80-1.95(m, 2H), 2.08-2.23(m, 2H), 2.50-2.78(m, 3H), 2.80-2.95(m, 1H), 3.48-3.54(m, 2H), 4.78-4.90(m, 1H), 6.82(s, 1H), 7.10-7.58(m, 8H), 8.03-8.16(d, 1H)ppm.
제법 2
바이페닐-2-일-카밤산 1-(9-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다이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
Figure pct00008
바이페닐-2-일-카밤산 1-(9-(비스(3급-부톡시카보닐))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제법 1, 38.9g)를 다이클로로메탄(120ml)에 용해시킨 후, 염산(다이옥산 중 4M, 177ml)을 나눠서 첨가한 후, 상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 및 과량의 산은 진공하에서 제거하고 잔사는 수회 메탄올로 공비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분말(31.98g)로서 수득하였다:
1H NMR(CDCl3, 400MHz)δ=1.25-1.43(m, 10H), 1.75-1.89(m, 4H), 1.99-2.08(m, 1H), 2.13-2.17(m, 2H), 2.24-2.33(m, 1H), 2.48-2.52(m, 2H), 2.82-2.91(m, 2H), 2.93-3.06(m, 2H), 3.48-3.52(m, 1H), 3.63-3.67(m, 1H), 4.77-4.85(m, 1H), 5.06(s, 1H), 6.77(d, 1H), 7.11-7.24(m, 3H), 7.31-7.51(m, 5H), 8.00(d, 1H), 8.31(br s, 1H)ppm.
제법 2a
바이페닐-2-일-카밤산 1-(9-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Figure pct00009
바이페닐-2-일-카밤산 1-(9-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다이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제법 2, 5g, 9.8mmol)을 다이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 1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서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3.11g)을 수득하였다:
1H NMR(CDCl3, 400MHz)δ=1.26-1.30(m, 10H), 1.38-1.48(m, 4H), 1.64-1.73(m, 2H), 1.91-1.97(m, 2H), 2.15-2.20(m, 2H), 2.27-2.31(m, 2H), 2.65-2.69(t, 2H), 2.70-2.74(m, 2H), 4.70-4.75(m, 1H), 6.59(s, 1H), 7.11-7.14(m, 1H), 7.21(d, 1H), 7.33-7.51(m, 7H), 8.10(d, 1H)ppm.
제법 3
9-메틸아미노-노난-1-올
Figure pct00010
9-브로모노난올(25g)에 메틸아민(에탄올 내 33% 용액, 200ml)을 첨가하고, 상기 용액을 상온 및 질소하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하에서 제거하고, 생성되는 무색 고체를 다이클로로메탄(200mL)에 용해시키고, 수산화나트륨 수용액(2M, 100ml)으로 세척한 후, 물(100 ml)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황산나트륨), 진공하에서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을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고, 이를 정치시켜 고화시켰다(14.95g). 상기 화합물은 예를 들어 제법 4에서 사용하였다.
제법 4
(9-하이드록시-노닐)-메틸-카밤산 3급-부틸 에스터
Figure pct00011
9-메틸아미노-노난-1-올(제법 3, 14.95g)을 다이클로로메탄(250ml) 및 트라이에틸아민(17.6g)의 혼합물에 현탁시키고, 교반하면서 빙욕에서 냉각시켰다. Boc 무수물(18.8g)을 5분 동안 나눠서 첨가하고, 상기 반응물을 1시간 동안 빙욕하에서 교반한 후, 그다음 상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물을 물로 세척하고(150ml), 10% 시트르산 수용액(50ml) 및 포화 염수(50ml)로 세척한 다음, 건조시키고(황산나트륨), 진공하에서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을 황색 액체(22.95 g, 97%)로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δ=1.20-1.38(m, 10H), 1.47(s, 9H), 1.47-1.60(m, 4H), 2.80(s, 3H), 3.10-3.22(t, 2H), 3.78-3.83(t, 2H)ppm.
제법 5
메탄설폰산 9-(3급-부톡시카보닐-메틸-아미노)-노닐 에스터
Figure pct00012
5℃의 다이클로로메탄(230 mL) 및 트라이에틸아민(18 mL) 중 (9-하이드록시-노닐)-메틸-카밤산 3급-부틸 에스터(제법 4, 22.95g)의 용액에 메탄 설포닐 클로라이드(7.2 mL)를 적가하고 점성의 흐린 용액을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물, 중탄산나트륨 포화 수용액으로 세척하고, 유기층을 건조시키고(황산마그네슘), 진공하에서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오일(29.30g)로서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δ=1.20-1.45(m, 10H), 1.44(s, 9H), 1.44-1.52(m, 2H), 1.70-1.79(m, 2H), 2.82(s, 3H), 2.98(s, 3H), 3.14-3.24(m, 2H), 4.20-4.4.24(t, 2H)ppm.
제법 6
바이페닐-2-일-카밤산 1-[9-(3급-부톡시카보닐-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Figure pct00013
4-피페리딘일-N-(2-바이페닐일)카바메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미국 특허원 제 2006205779 호, 29.3g)를, 0.5시간 동안 다이메틸폼아마이드(250ml) 중 탄산칼륨(46g)과 함께 교반하였다. 그다음, 메탄설폰산 9-(3급-부톡시카보닐-메틸-아미노)-노닐 에스터(제법 5, 27.7g) 및 요오드화칼륨(277mg)을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24시간 동안 65℃에서 교반한 후, 부가적인 다이메틸폼아마이드(100 mL)를 첨가하여 추가로 24시간 동안 65℃에서의 교반을 지원하였다. 용매를 진공하에서 제거하고, 잔사를 물과 에틸 아세테이트(각각 500ml) 사이에 분배시켰다. 수성층을 분리하고, 추가의 에틸 아세테이트(200ml)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모아 포화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황산나트륨), 진공하에서 농축시켰다. 조질의 잔사(46.46g)를, 용리액으로서 에틸 아세테이트:헵탄:880 암모니아(80:20:0.5, 체적 기준)를 사용하는 정상상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고, 이를 정치시켜 결정화시켰다(30g, 65%):
1H NMR(400MHz, CDCl3)δ=1.22-1.38(m, 12H), 1.44(s, 9H), 1.44-1.56(m, 2H), 1.61-1.73(m, 2H), 1.88-1.97(m, 2H), 2.12-2.24(t, 2H), 2.23-2.30(t, 2H), 2.64-2.72(m, 2H), 2.82(s, 3H), 3.16-3.24(m, 2H), 4.63- 4.78(m, 1H), 6.60(s, 1H), 7.08-7.56(m, 8H), 8.03-8.15(d, 1H)ppm.
제법 7
바이페닐-2-일-카밤산 1-(9-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다이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
Figure pct00014
바이페닐-2-일-카밤산 1-[9-(3급-부톡시카보닐-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제법 6, 18.5g)를, 18시간 동안 상온에서 다이옥산(85ml, 4M) 내 염산 용액에서 교반하였다. 용매 및 과량의 산을 진공하에서 제거하고 잔사를 다이클로로메탄(100ml)으로 2회 공비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18.0g)로서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δ=1.22-1.38(m, 10H), 1.54-2.10(m, 8H), 2.78-2.97(m, 4H), 3.29-3.42(m, 2H), 3.53-3.65(m, 2H), 3.57(s, 3H), 4.57- 4.67(m, 1H), 4.74(bs, 1H), 7.30-7.45(m, 8H), 8.80-8.90(m, 3H) 10.71-10.87(m, 1H)ppm.
제법 7a
바이페닐-2-일-카밤산 1-(9-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Figure pct00015
바이페닐-2-일-카밤산 1-(9-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다이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제법 7, 1.355g, 2.583mmol)을 물(20ml)에 용해시키고 1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6ml, 6mmol)으로 처리하였다. 생성된 백색 현탁액을 다이클로로메탄(40ml)으로 추출하고, 그다음 다이클로로메탄:메탄올(40ml, 95:5 체적 기준)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모아 건조시키고(황산마그네슘), 진공하에서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을 무색 유리질로서 수득하고, 이를 정치시켜 결정화하였다(수율: 96%, 1.116g):
1H NMR(CDCl3, 400MHz):δ=1.25-1.34(m, 10H), 1.45-1.51(m, 2H), 1.67-1.80(m, 4H), 1.95-1.99(m, 2H), 2.23-2.28(m, 2H), 2.32-2.36(t, 2H), 2.61(s, 3H), 2.71-2.76(m, 2H), 2.81-2.85(t, 2H), 4.70-4.75(m, 1H), 6.58(s, 1H), 7.10-7.14(t, 1H), 7.21(d, 1H), 7.33-7.50(m, 6H), 8.08(d, 1H)ppm.
제법 8
4-클로로-5-플루오로-2-하이드록시-벤즈알데하이드
Figure pct00016
헥사메틸렌테트라민(210g, 1.5 mol)을, 소량씩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3.6 L)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78℃로 가열하여 환류시켰다. 그다음,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1.4L)내 3-클로로-4-플루오로페놀(210g, 1.43 mol)의 용액을 적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추가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진공하에서 농축시켰다. 잔사를 빙욕(2L)에 붓고, 밤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고, 필터 케이크를 에틸 아세테이트(500 mL)에 용해시키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켜, 진공하에서 농축시켰다. 이러한 조질의 잔사를 에틸 아세테이트/석유 에터(10:1, 체적 기준)로 세척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56.5g, 23%)로 수득하였다:
1H NMR(400 MHz, CDCl3)δ=7.00-7.01(m, 1H), 7.19-7.26(m, 1H), 9.75(s, 1H), 10.82(s, 1H)ppm.
LCMS: m/z 172.9 M-
제법 9
(2,6-다이클로로-페녹시)-트라이에틸-실란
Figure pct00017
2,6-다이클로로페놀(16.3g, 100mmol)을 테트라하이드로푸란(300ml)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에 무수 피리딘(16.2ml, 200mmol) 및 클로로트라이에틸실란(22.7ml, 135mmol)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18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한 후, 5시간 동안 80℃에서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탄산수소나트륨 포화 수용액(150ml)에 붓고, 다이클로로메탄(3×80ml)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모아 건조시키고(황산나트륨), 진공하에서 농축시켜, 조질의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잔사를, 헵탄으로 용리시키는 실리카 겔 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오일로서 공급하였다(수율: 54%, 15g).
1H NMR(400 MHz, CDCl3)δ=0.83-0.89(q, 6H), 0.99-1.03(t, 9H), 6.80-6.84(m, 1H), 7.23-7.26(m, 2H)ppm.
제법 10
2,4-다이클로로-3-하이드록시-벤즈알데하이드
Figure pct00018
사이클로헥산 내 s-부틸리튬(1.4M, 34.5ml, 48.3mmol)을, -72℃에서 테트라하이드로푸란(100ml) 중 (2,6-다이클로로-페녹시)-트라이에틸-실란(제법 7, 12.17g, 43.89mmol)의 용액에 서서히 첨가하였다. 첨가를 완료한 후, 반응물을 1시간 동안 -72℃에서 교반하였다. 그다음, 반응물의 온도를 -65℃ 미만으로 유지하면서, 무수 다이메틸폼아마이드(4.42ml, 57.1mmol)를 첨가하였다. 10분 동안 -65℃에서 계속 교반한 후, 0.5시간 동안 -65℃에서 상온이 될 때까지 교반하였다. 반응물은, 나트륨 클로라이드(100ml)로 포화된 2N 염산 용액을 첨가하여 켄칭시키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100ml)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염수(100ml)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황산나트륨), 진공하에서 농축시켜 조질의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헵탄:다이클로로메탄(10:1, 체적 기준; 220ml) 중 분쇄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 수득하였다(수율: 65%, 5.5g):
LCMS: m/z 188 M-
1H NMR(400 MHz, DMSO-d6) δ=7.32(d, 1H), 7.49(d, 1H), 10.23(s, 1H)ppm.
실시예
실시예 1
바이페닐-2-일-카밤산 1-[9-(3-클로로-4-하이드록시-벤조일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Figure pct00019
다이클로로메탄(5ml) 중 바이페닐-2-일-카밤산 1-(9-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다이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제법 2, 200mg, 457μmol)의 용액에 트라이에틸아민(191㎕, 1.37mmol), 3-클로로-4-하이드록시벤조산(91.3mg, 503μmol), 1-하이드록시 벤조트라이아졸 일수화물(84mg, 548μmol) 및 (3-(다이메틸아미노)프로필)에틸 카보다이이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105mg, 548μmol)를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72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생성된 투명한 용액을 탄산수소나트륨 포화 수용액(5ml), 물(5ml), 염수(5ml)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황산나트륨), 용매를 진공하에서 제거하여, 무색 검(gum)을 수득하였다. 잔사를, 다이클로로메탄:메탄올:0.88 암모니아(99:1:0.1 내지 90:10:1, 체적 기준)로 용리시키는 레디셉(RediSep, 등록상표) 실리카 겔 카트리지를 사용하여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발포체로 수득하였다(수율: 73%, 198mg).
1H NMR(400 MHz, 메탄올-d4)δ=1.27-1.40(m, 10H), 1.46-1.55(m, 2H), 1.56 - 1.68(m, 4H), 1.82-1.90(m, 2H), 2.32-2.42(m, 4H), 2.66-2.76(m, 2H), 3.31-3.35(t, 2H), 4.58-4.66(m, 1H), 6.92(d, J=8.19 Hz, 1H), 7.23-7.45(m, 8H), 7.52-7.56(m, 1H), 7.60(dd, J=8.39, 2.15 Hz, 1H), 7.80(d, 1H)ppm.
LCMS: m/z 592 [M+H]+, 590 M-
실시예 2
바이페닐-2-일-카밤산 1-[9-(2-플루오로-3-하이드록시-벤질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Figure pct00020
에탄올(5ml) 내 바이페닐-2-일-카밤산 1-(9-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제법 2, 150mg, 343μmol)의 용액에, 2-플루오로-3-하이드록시벤즈알데하이드(문헌[Synthesis, (9), 710-12, 1988]; 48.1mg, 343μmol), 아세트산(0.02ml인 과량, 343μmol) 및 황산나트륨(건조제)을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1시간 동안 상온에서 질소하에서 건조시켰다. 그다음, 나트륨 트라이아세톡시보로하이드라이드를 첨가하고(145mg, 686μmol), 상기 혼합물을 24시간 동안 상온에서 질소하에서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물(2ml)로 희석하고, 용매를 진공하에서 제거하고, 잔사를 탄산수소나트륨 포화 용액(10ml)과 다이클로로메탄(10ml) 사이에 분배시켰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염수로 세척하고(5ml), 건조시키고(황산나트륨), 진공하에서 용매를 제거하여, 무색 검을 수득하였다. 잔사를, 다이클로로메탄:메탄올:0.88 암모니아(99:1:0.1 내지 95:5:0.5, 체적 기준)로 용리시키는 레디셉(등록상표) 실리카 겔 카트리지를 사용하여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검으로 수득하였다(수율: 47%, 90mg).
1H NMR(400 MHz, 메탄올-d4)δ=1.27-1.36(m, 10H), 1.45-1.56(m, 4H), 1.56-1.66(m, 2H), 1.81-1.89(m, 2H), 2.23-2.35(m, 4H), 2.58-2.71(m, 4H), 3.80(s, 2H) 4.56-4.63(m, 1H), 6.75-6.78(td, 1H), 6.80-6.85(td, 1H), 6.91-6.95(td, 1H), 7.23-7.44(m, 8H), 7.52-7.56(m, 1H)ppm.
LRMS: m/z 562 [M+H]+, 560 M-
실시예 3
바이페닐-2-일-카밤산 1-[9-(3-클로로-5-플루오로-2-하이드록시-벤질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Figure pct00021
표제 화합물은, 실시예 2에서 기재한 것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바이페닐-2-일-카밤산 1-(9-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제법 2, 130mg, 297μmol) 및 3-클로로-5-플루오로-2-하이드록시벤즈알데하이드(51.8mg, 297μmol)로부터 제조하였다. 메탄올 중에서 생성물을 추가로 결정화하여 표제 화합물을 결정질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수율: 43%, 77mg):
1H NMR(400 MHz, 메탄올-d4)δ=1.26-1.41(m, 10H), 1.45-1.53(m, 2H), 1.57-1.67(m, 4H), 1.80-1.89(m, 2H), 2.23-2.35(m, 4H), 2.62-2.70(m, 2H), 2.74-2.78(t, 2H), 4.00(s, 2H), 4.56-4.63(m, 1H), 6.76-6.79(dd, 1H), 6.99-7.02(dd, 1H), 7.23-7.44(m, 8H), 7.52-7.56(m, 1H)ppm.
LRMS: m/z 596 [M+H]+, 594 M-
실시예 4
바이페닐-2-일-카밤산 1-{9-[2-(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아세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Figure pct00022
표제 화합물은, 실시예 1에서 기재한 것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바이페닐-2-일-카밤산 1-(9-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다이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제법 2, 100mg, 229μmol) 및 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아세트산(46.9mg, 251μmol)으로부터 제조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발포체로 수득하였다(수율: 72%, 100mg):
1H NMR(400 MHz, 메탄올-d4)δ=1.27-1.35(m, 10H), 1.46-1.55(m, 4H), 1.58-1.68(m, 2H), 1.82-1.90(m, 2H), 2.28-2.37(m, 4H), 2.66-2.74(m, 2H), 3.15-3.19(t, 2H), 3.35(s, 2H), 4.58-4.66(m, 1H), 6.82-6.84(d, 1H), 7.01-7.04(1H, dd), 7.23-7.45(m, 9H), 7.52-7.56(m, 1H)ppm.
LCMS: m/z 606 [M+H]+
실시예 5
바이페닐-2-일-카밤산 1-[9-(2-클로로-3-하이드록시-벤질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Figure pct00023
표제 화합물은, 실시예 2에서 기재한 것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바이페닐-2-일-카밤산 1-(9-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제법 2, 130mg, 297μmol) 및 2-클로로-3-하이드록시벤즈알데하이드(46.5mg, 297μmol)로부터 제조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유리로서 수득하였다(수율: 39%, 67mg).
1H NMR(400 MHz, 메탄올-d4)δ=1.26-1.381(m, 10H), 1.45-1.68(m, 6H), 1.80-1.89(m, 2H), 2.23-2.35(m, 4H), 2.60-2.72(m, 4H), 3.88(s, 2H), 4.56-4.63(m, 1H), 6.85-6.89(2xd, 2H), 7.08-7.12(dd, 1H), 7.23-7.44(m, 8H), 7.52-7.56(m, 1H)ppm.
LRMS: m/z 578-80 [M+H]+, 576-578 M-
실시예 6
바이페닐-2-일-카밤산 1-[9-(3-플루오로-4-하이드록시-벤조일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표제 화합물은, 실시예 1에 기재한 것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바이페닐-2-일-카밤산 1-(9-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다이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제법 2, 2.20g, 4.31mmol) 및 3-플루오로-4-하이드록시벤조산(740mg, 4.74mmol)으로부터 제조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발포체로 수득하였다(수율: 51%, 1.26g).
1H NMR(400 MHz, 메탄올-d4)δ=1.27-1.41(m, 10H), 1.46-1.54(m, 2H), 1.55-1.68(m, 4H), 1.81-1.89(m, 2H), 2.30-2.42(m, 4H), 2.65-2.75(m, 2H), 3.31-3.35(t, 2H), 4.58-4.65(m, 1H), 6.90-6.95(dd, 1H), 7.23-7.56(m, 11H)ppm.
LCMS: m/z 576 [M+H]+, 574 M-
실시예 7
바이페닐-2-일-카밤산 1-[9-(4-플루오로-3-하이드록시-벤조일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Figure pct00025
표제 화합물은, 5일 동안 교반하면서 실시예 1에서 기재한 바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바이페닐-2-일-카밤산 1-(9-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다이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제법 2, 30.0mg, 68.6μmol) 및 4-플루오로-3-하이드록시벤조산(11.8mg, 75.4μmol)으로부터 제조하였다.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5ml)을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2시간 동안 교반하고, 상 분리 카트리지를 통해 여과하였다. 유기층을 진공하에서 줄이고 조질의 물질을 HPLC 방법 D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방법 D RT 2.53분(100%면적)
ES m/z 576.316 [M+H]+
실시예 8
바이페닐 -2-일- 카밤산 1-[9-(3- 플루오로 -2- 하이드록시 - 벤조일아미노 )-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Figure pct00026
표제 화합물은, 실시예 7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바이페닐-2-일-카밤산 1-(9-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다이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제법 2, 30.0mg, 68.6μmol) 및 3-플루오로-2-하이드록시벤조산(11.8mg, 75.4μmol)으로부터 제조하였다.
LCMS 방법 D: RT 2.69분(100% 면적)
ES m/z 576.316 [M+H]+
실시예 9
바이페닐-2-일-카밤산 1-[9-(5-플루오로-2-하이드록시-벤조일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Figure pct00027
표제 화합물은, 실시예 7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바이페닐-2-일-카밤산 1-(9-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다이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제법 2, 30.0mg, 68.6μmol) 및 5-플루오로-2-하이드록시벤조산(11.8mg, 75.4μmol)으로부터 제조하였다.
LCMS 방법 D: RT 2.69분(100% 면적)
ES m/z 576.316 [M+H]+
실시예 10
바이페닐-2-일-카밤산 1-{9-[2-(3-플루오로-4-하이드록시-페닐)-아세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Figure pct00028
표제 화합물은, 실시예 7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바이페닐-2-일-카밤산 1-(9-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다이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제법 2, 30.0mg, 68.6μmol) 및 3-플루오로-4-하이드록시페닐아세트산(12.8mg, 75.4μmol)으로부터 제조하였다.
LCMS 방법 D: RT 2.32분(100% 면적)
ES m/z 590.332 [M+H]+
실시예 11
바이페닐-2-일-카밤산 1-[9-(3-클로로-2-하이드록시-벤조일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Figure pct00029
표제 화합물은, 실시예 7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바이페닐-2-일-카밤산 1-(9-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다이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제법 2, 30.0mg, 68.6μmol) 및 3-클로로-2-하이드록시벤조산(13.0mg, 75.4μmol)으로부터 제조하였다.
LCMS 방법 D: RT 2.68분(100% 면적)
ES m/z 592.28 [M+H]+
실시예 12
바이페닐-2-일-카밤산 1-[9-(3,4-다이플루오로-2-하이드록시-벤조일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Figure pct00030
표제 화합물은, 실시예 7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바이페닐-2-일-카밤산 1-(9-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다이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제법 2, 30.0mg, 68.6μmol) 및 3,4-다이플루오로-2-하이드록시벤조산(13.1mg, 75.4μmol)을 제조하였다.
LCMS 방법 D: RT 2.61분(100% 면적)
ES m/z 594.307 [M+H]+
실시예 13
바이페닐-2-일-카밤산 1-[9-(3,5-다이클로로-2-하이드록시-벤조일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Figure pct00031
표제 화합물은, 실시예 7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바이페닐-2-일-카밤산 1-(9-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다이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제법 2, 30.0mg, 68.6μmol) 및 3,5-다이클로로-2-하이드록시벤조산(15.6mg, 75.4μmol)으로부터 제조하였다.
LCMS 방법 D: RT 2.91분(100% 면적)
ES m/z 626.247 [M+H]+
실시예 14
바이페닐-2-일-카밤산 1-[9-(4-클로로-2-하이드록시-벤조일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Figure pct00032
표제 화합물은, 실시예 7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바이페닐-2-일-카밤산 1-(9-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다이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제법 2, 45.0mg, 88μmol) 및 4-클로로-2-하이드록시벤조산(15.2mg, 88μmol)으로부터 제조하였다.
LCMS 방법 D: RT 2.62분(100% 면적) ES m/z 592.28 [M+H]+
실시예 15
바이페닐-2-일-카밤산 1-(9-{[2-(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아세틸]-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Figure pct00033
다이클로로메탄(2ml) 중 바이페닐-2-일-카밤산 1-(9-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다이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제법 7, 20.0mg, 44μmol)의 용액에 트라이에틸아민(9.26㎕, 66μmol), 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아세트산(8.26mg, 44μmol) 및 O-(1H-벤조트라이아졸-1-일)-N,N,N',N'-테트라메틸유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21.8mg, 58μmol)를 첨가하고, 5일 동안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하에서 제거하고, 메탄올로 용리시키고, 그다음 메탄올 중 2M 암모니아로 용리시키는 아이소루트(Isolute; 등록상표) SCX-1 카트리지를 사용하여 조질의 잔사를 정제하였다. 염기성 분획을 감압하에서 증발시키고, 잔사를 HPLC 방법 F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방법 F: RT 2.7분(100% 면적)
ES m/z 620.318 [M+H]+
대안으로, 표제 화합물은 하기 과정에 의해서도 제조하였다:
다이메틸폼아마이드(30ml) 중 바이페닐-2-일-카밤산 1-(9-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다이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제법 7, 3.0g, 5.72mmol)의 용액에, 트라이에틸아민(1.63ml, 11.7mmol), 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아세트산(1.28g, 6.86mmol), N,N-다이메틸아미노피리딘(210mg, 1.72mmol) 및 (3-(다이메틸아미노)프로필)에틸 카보다이이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1.32g, 6.86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상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하에서 제거하고, 잔사를 에틸 아세테이트(50ml)와 물(50ml) 사이에 분배시켰다. 유기층을 중탄산나트륨 포화 수용액(2×50ml)으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서 농축시켰다. 잔사는, 다이클로로메탄:메탄올:880 암모니아(96:4:0.4 내지 92:8:0.8, 체적 기준)로 용리시키는 실리카 겔 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발포체로 제공하였다(수율: 50%, 1.77g).
아이소프로필 알콜, 아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 또는 에틸 아세테이트(1ml, 고온)에 표제 화합물 50mg을 용해시킨 후, 상온에서 72시간 동안 정치하고, 여과하여, 표제 화합물을 결정질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APCI ESI m/z 621 [M+H]+
1H NMR(400 MHz, 메탄올-d4) δ=1.17-1.34(m, 10H), 1.37-1.55(m, 2H), 1.59-1.67(m, 4H), 1.80-1.89(m, 2H), 2.24-2.35(m, 4H), 2.62-2.72(m, 2H), 2.90-3.00(d, 3H), 3.34-3.39(m, 2H), 3.62-3.65(d, 2H), 4.57-4.63(m, 1H), 6.84(d, 1H), 6.99(d, 1H), 7.18-7.44(m, 9H), 7.56(d, 1H)ppm.
실시예 16
바이페닐-2-일-카밤산 1-{9-[(4-플루오로-3-하이드록시-벤조일)-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Figure pct00034
표제 화합물은 실시예 15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바이페닐-2-일-카밤산 1-(9-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다이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제법 7, 20.0mg, 44μmol) 및 4-플루오로-3-하이드록시벤조산(6.91mg, 44μmol)으로부터 제조하였다.
LCMS 방법 F: RT 2.59분(100% 면적)
ES m/z 590.332 [M+H]+
실시예 17
바이페닐-2-일-카밤산 1-{9-[(3-클로로-4-하이드록시-벤조일)-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Figure pct00035
표제 화합물은, 실시예 15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바이페닐-2-일-카밤산 1-(9-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다이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제법 7, 20.0mg, 44μmol) 및 3-클로로-4-하이드록시벤조산(7.64mg, 44μmol)으로부터 제조하였다.
LCMS 방법 F: RT 2.67분(100% 면적)
ES m/z 606.302 [M+H]+
대안으로, 표제 화합물은 하기 과정에 의해서도 제조되었다:
테트라하이드로푸란(100ml) 내 바이페닐-2-일-카밤산 1-(9-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다이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제법 7, 4.0g, 8.856mmol)의 용액에, 3-클로로-4-하이드록시벤조산 (1.69g, 9.30mmol), N,N-다이메틸아미노피리딘(433mg, 3.54mmol) 및 (3-(다이메틸아미노)프로필)에틸 카보다이이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2.04g, 10.6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은 18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75ml)와 물(75ml) 사이에 분배시켰다. 추가로, 수성층을 에틸 아세테이트(75ml)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모아 염수(75ml)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서 농축시켰다. 잔사를 메탄올/물(100ml/20ml)에 용해시키고, 탄산칼륨(9.8g, 70.9mmol)으로 처리하고, 3시간 동안 50℃로 가열하였다. 용매를 진공하에서 제거하고, 잔사를 에틸 아세테이트(75ml)와 물(75ml) 사이에 분배시켰다. 염산 수용액을 첨가하여 수성층을 pH 8로 조정하고 추가로 에틸 아세테이트(75ml)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모아 염수(50ml)로 추출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서 농축시켰다. 잔사를, 에틸 아세테이트:메탄올:880 암모니아(100:0:0 내지 90:10:1, 체적 기준)로 용리시키는 실리카 겔 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발포체로 수득하였다(수율: 25%, 1.1g).
150mg의 표제 화합물을 아세토나이트릴(4ml)에 현탁시키고, 환류될 때까지 가열시키고, 그다음 상온으로 냉각시켰다. 생성된 오일/용매 혼합물은, 결정화가 발생될 때까지 80℃로 가열하고, 그다음 상온으로 냉각시켰다. 고체를 여과하여 수집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결정질 고체(102mg)로서 수득하였다.
LCMS: APCI ESI m/z 606 [M+H]+
1H NMR(400 MHz, DMSO-d6) δ=1.11-1.23(m, 10H), 1.30-1.44(m, 4H), 1.46-1.54(m, 2H), 1.65-1.73(m, 2H), 1.99-2.07(m, 2H), 2.15-2.21(m, 2H), 2.51-2.58(m, 2H), 2.88(s, 3H), 3.15-3.19(m, 2H), 4.37-4.45(m, 1H), 6.95(d, 1H), 7.15(d, 1H), 7.24-7.42(m, 9H), 8.54(d, 1H)ppm.
실시예 18
바이페닐-2-일-카밤산 1-(9-{[2-(3-플루오로-4-하이드록시-페닐)-아세틸]-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Figure pct00036
표제 화합물은, 실시예 15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바이페닐-2-일-카밤산 1-(9-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다이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제법 7, 20.0mg, 44μmol) 및 3-플루오로-4-하이드록시페닐아세트산(8.29mg, 49μmol)으로부터 제조하였다.
LCMS 방법 F: RT 2.6분(100% 면적)
ES m/z 604.347 [M+H]+
실시예 19
바이페닐-2-일-카밤산 1-[9-(4-클로로-3-하이드록시-벤조일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Figure pct00037
(3-(다이메틸아미노)프로필)에틸카보다이이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69.6mg, 0.363mmol)를, 다이클로로메탄(2 ml) 및 다이메틸폼아마이드(1ml)의 혼합물 내 바이페닐-2-일-카밤산 1-(9-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제법 2, 159 mg, 0.363mmol), 4-클로로-3-하이드록시벤조산(56.4mg, 0.327mmol) 및 1-하이드록시벤조트라이아졸 일수화물(55.6mg, 0.363mmol)의 용액에 첨가하고, 질소하 및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하에서 제거하고, 잔사를 다이클로로메탄(40 ml)과 탄산수소나트륨 포화 용액(30ml) 사이에 분배시켰다. 층을 분리하고, 수성층을 추가의 다이클로로메탄(40ml)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모아 건조시키고(황산마그네슘), 용매를 진공하에서 건조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메탄올:880 암모니아를 98:2:0.2 내지 90:10:1(체적 기준)로 용리시키는 실리카 겔 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조질의 잔사를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발포체로 수득하였다(수율: 63%, 135 mg).
1H NMR(400 MHz, 메탄올-d4) δ=1.26-1.41(m, 10H), 1.47-1.54(m, 2H), 1.56-1.66(m, 4H), 1.80-1.89(m, 2H), 2.26-2.37(m, 4H), 2.63-2.72(m, 2H), 3.28-3.35(m, 2H), 4.58-4.64(m, 1H), 7.18-7.44(m, 11H), 7.56(d, J=7.80 Hz, 1H)ppm.
LCMS: APCI ESI m/z 592 [M+H]+
실시예 20
바이페닐-2-일-카밤산 1-[9-(2-플루오로-4-하이드록시-벤조일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Figure pct00038
표제 화합물은, 실시예 19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바이페닐-2-일-카밤산 1-(9-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제법 2, 159 mg, 0.363mmol) 및 2-플루오로-4-하이드록시벤조산(51.0mg, 0.327mmol)으로부터 제조하여 무색 유리를 수득하였다(수율: 70%, 147 mg).
1H NMR(400 MHz, 메탄올-d4) δ=1.26-1.41(m, 10 H), 1.47-1.54(m, 2 H), 1.56 - 1.69(m, 4 H), 1.79-1.89(m, 2 H), 2.26-2.37(m, 4 H), 2.63-2.72(m, 2 H), 3.30-3.32(m, 2 H), 4.58-4.64(m, 1 H), 6.52-6.55(m, 1 H), 6.63-6.66(m, 1 H), 7.24 - 7.44(m, 8 H), 7.56(d, J=7.80 Hz, 1 H) 7.59-7.63(m, 1H)ppm.
LCMS: APCI ESI m/z 576 [M+H]+
실시예 21
바이페닐-2-일-카밤산 1-[9-(2-클로로-4-하이드록시-벤조일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Figure pct00039
표제 화합물은, 실시예 19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바이페닐-2-일-카밤산 1-(9-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제법 2, 159 mg, 0.363mmol) 및 2-클로로-4-하이드록시벤조산 수화물(62.3mg, 0.327mmol)로부터 제조하여 무색 유리를 수득하였다(수율: 75%, 162 mg).
1H NMR(400 MHz, 메탄올-d4) δ=1.27-1.44(m, 10 H), 1.47-1.54(m, 2 H), 1.56-1.68(m, 4 H), 1.80-1.90(m, 2 H), 2.27-2.37(m, 4 H), 2.65-2.72(m, 2 H), 3.30 - 3.31(m, 2 H), 4.56-4.65(m, 1 H), 6.72-6.75(m, 1 H), 6.82-6.83(m, 1 H), 7.23-7.44(m, 9 H), 7.54-7.56(m, 1H)ppm.
LCMS: ESI m/z 592 [M+H]+
실시예 22
바이페닐-2-일-카밤산 1-[9-(3,5-다이클로로-4-하이드록시-벤질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Figure pct00040
바이페닐-2-일-카밤산 1-(9-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제법 2, 0.5g) 및 3,5-다이클로로-4-하이드록시벤즈알데하이드(0.187g)를 상온에서 다이클로로메탄(9ml)에 용해시켰다. 아세트산(한방울)을 첨가하고, 그다음 각각 100mg씩 약 20분 간격으로 3회에 걸쳐 나트륨 트라이아세톡시보로하이드라이드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21시간 동안 질소하에서 상온에서 교반하고, 그다음 다이클로로메탄(20mL)과 중탄산나트륨 포화 수용액(20mL) 사이에 분배시켰다. 유기상을 분리하고, 염수(2x10ml)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하에서 증발시켜, 백색 고체를 수득하고, 다이클로로메탄:메탄올:880 암모니아를 96:4:0.5 내지 90:10:0.5(체적 기준)로 사용하는 실리카 겔 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이것을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312mg)로서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3OD) δ=1.24-1.70(m, 14H), 1.83-1.94(m, 2H), 2.24-2.38(m, 4H), 2.61-2.63(m, 2H), 2.63-2.75(m, 2H), 2.81-2.86(m, 2H), 3.82(s, 2H), 4.60-4.64(m, 1H), 7.19(s, 2H), 7.23-7.44(m, 8H), 7.52-7.60(d, 1H)ppm.
대안으로, 표제 화합물은, 하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서도 단리되었다:
메탄올(5ml) 중 표제 화합물(306mg)의 용액을 가열하여 투명한 용액을 제조하고, 그다음 상온으로 냉각시켰다.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고 진공하에서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을 결정질 백색 고체(190mg)로서 수득하였다.
1H NMR(400 MHz, DMSO-d)δ=1.15-1.28(m, 10H), 1.32-1.47(m, 6H), 1.67-1.75(m, 2H), 2.01-2.10(m, 2H), 2.17-2.23(m, 2H), 2.54-2.60(m, 2H), 3.16(s, 2H), 3.60(s, 2H), 4.39-4.47(m, 1H), 7.19(s, 2H), 7.25-7.43(m, 9H), 8.60(s, 1H)ppm.
실시예 22a
바이페닐-2-일-카밤산 1-[9-(3,5-다이클로로-4-하이드록시-벤질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나프탈렌-1,5- 다이설포네이트
Figure pct00041
바이페닐-2-일-카밤산 1-[9-(3,5-다이클로로-4-하이드록시-벤질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실시예 22, 306mg)를 메탄올(3ml)에서 가열시켜 투명한 용액을 수득하고, 메탄올(1ml) 내 나프탈렌-1,5-다이설폰산(180mg) 용액을 첨가하였다. 상온에서의 2시간 후,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고 진공하에서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을 결정질 고체(412mg)로 수득하였다.
1H NMR(400 MHz, DMSO-d) δ=1.13-1.25(m, 10H), 1.48-1.58(m, 4H), 1.73-2.03(m, 2H), 2.79-3.03(m, 6H), 3.27-3.50(m, 4H), 4.03-4.08(t, 2H), 4.72-4.77(m, 1H), 7.30-7.45(m, 11H), 7.54(m, 2H), 7.93-7.95(d, 2H), 8.54-8.61(bs, 2H), 8.86-8.88(d, 2H)ppm.
실시예 23
바이페닐-2-일-카밤산 1-[9-(2,3-다이플루오로-4-하이드록시-벤조일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Figure pct00042
다이클로로메탄(5ml) 내 바이페닐-2-일-카밤산 1-(9-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다이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제법 2, 35mg, 68.5μmol)의 용액에 트라이에틸아민(28.7㎕, 206μmol), 2,3-다이플루오로-4-하이드록시벤조산(12.5mg, 72μmol), 1-하이드록시 벤조트라이아졸 일수화물(12.6mg, 82.3μmol) 및 (3-(다이메틸아미노)프로필)에틸 카보다이이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15.8mg, 82.3μmol)를 첨가하고, 상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된 투명한 용액을 다이클로로메탄(5ml) 및 탄산수소나트륨 포화 수용액(5ml)으로 희석하고 10분 동안 격렬하게 교반하였다. 생성된 2상 용액을, 상 분리 카트리지를 사용하여 분리하고, 유기층을 농축시켜 백색 발포체를 수득하였다. 잔사를 HPLC 방법 D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방법 D: RT 2.61분(100% 면적) ES m/z 594.307 [M+H]+
실시예 24
바이페닐-2-일-카밤산 1-[9-(2-하이드록시-5-클로로-벤조일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Figure pct00043
표제 화합물은, 실시예 23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바이페닐-2-일-카밤산 1-(9-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다이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제법 2, 35mg, 68.5μmol) 및 5-클로로살리실산(12.4mg, 72μmol)으로부터 제조되어 조질의 생성물을 주황색 검으로 수득하였다. 잔사를 HPLC 방법 D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방법 D: RT 2.87분(100% 면적)
ES m/z 590.286 [M+H]+
실시예 25
바이페닐-2-일-카밤산 1-[9-(4-하이드록시-3,5-다이클로로-벤조일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Figure pct00044
표제 화합물은, 실시예 23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바이페닐-2-일-카밤산 1-(9-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다이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제법 2, 35mg, 68.5μmol) 및 4-하이드록시-3,5-다이클로로-벤조산(14.9mg, 72μmol)으로부터 제조하여 조질의 생성물을 백색 발포체로 수득하였다. 상기 잔사를 HPLC 방법 D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방법 D: RT 2.68분(100% 면적)
ES m/z 626.247 [M+H]+
실시예 26
바이페닐-2-일-카밤산 1-[9-(2-하이드록시-4-플루오로-벤조일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Figure pct00045
표제 화합물은, 실시예 23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바이페닐-2-일-카밤산 1-(9-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다이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제법 2, 35mg, 68.5μmol) 및 2-하이드록시-4-플루오로-벤조산(10.7mg, 72μmol)으로부터 제조하여 조질의 생성물을 무색 검으로 수득하였다. 잔사를 HPLC 방법 D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방법 D: RT 2.82분(100% 면적)
ES m/z 576.316 [M+H]+
실시예 27
바이페닐-2-일-카밤산 1-[9-(3,5-다이플루오로-4-하이드록시-벤질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Figure pct00046
에탄올(1ml) 내 바이페닐-2-일-카밤산 1-(9-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다이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제법 2, 35mg, 68.5μmol) 및 트라이에틸아민(9.5㎕, 68.5μmol)의 용액에 3,5-다이플루오로-4-하이드록시벤즈알데하이드(10.8mg, 68.5μmol), 아세트산(과량인 4㎕, 68.5μmol) 및 황산나트륨을 첨가하고, 1시간 동안 상온에서 질소하에서 교반하였다. 그다음, 나트륨 시아노보로하이드라이드를 첨가하고(8.6mg, 137μmol), 상기 혼합물을 18시간 동안 질소하 및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하에서 제거하고, 잔사를 다이클로로메탄(3ml) 및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3ml)으로 용해시켰다. 생성된 2상 용액을 10분 동안 격렬하게 교반하고, 그다음 상 분리 카트리지를 사용하여 분리시키고 유기층을 진공하에서 농축시켜 황색 검을 수득하였다. 잔사를 HPLC 방법 A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방법 A: RT 2.42분(100% 면적)
ES m/z 580.327[M+H]+
실시예 28
바이페닐-2-일-카밤산 1-[9-(2-하이드록시-4,5-다이클로로-벤질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Figure pct00047
표제 화합물은, 실시예 27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바이페닐-2-일-카밤산 1-(9-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다이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제법 2, 35mg, 68.5μmol) 및 2-하이드록시-4,5-다이클로로-벤즈알데하이드(13.1mg, 68.5μmol)로부터 제조하여 조질의 생성물을 황색 검으로 수득하였다. 잔사를 HPLC 방법 A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방법 A: RT 2.34분(100% 면적)
ES m/z 612.268 [M+H]+
실시예 29
바이페닐 -2-일- 카밤산 1-[9-(2- 하이드록시 -3,5- 다이플루오로 - 벤질아미노 )-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Figure pct00048
표제 화합물은, 실시예 27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바이페닐-2-일-카밤산 1-(9-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다이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제법 2, 35mg, 68.5μmol) 및 3,5-다이플루오로-살릴실알데하이드(10.8mg, 68.5μmol)로부터 제조하여 조질의 생성물을 황색 검으로 수득하였다. 잔사를 HPLC 방법 A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방법 A: RT 2.28분(100% 면적)
ES m/z 580.327 [M+H]+
실시예 30
바이페닐-2-일-카밤산 1-[9-(2-하이드록시-3-플루오로-벤질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Figure pct00049
표제 화합물은, 실시예 27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바이페닐-2-일-카밤산 1-(9-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다이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제법 2, 35mg, 68.5μmol) 및 2-하이드록시-3-플루오로-벤즈알데하이드(9.6mg, 68.5μmol)로부터 제조하여 조질의 생성물인 황색 검을 수득하였다. 잔사를 HPLC 방법 A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방법 A: RT 2.19분(100% 면적)
ES m/z 562.337 [M+H]+
실시예 31
바이페닐-2-일-카밤산 1-[9-(2-하이드록시-3,5-다이클로로-벤질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Figure pct00050
표제 화합물은, 실시예 27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바이페닐-2-일-카밤산 1-(9-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다이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제법 2, 35mg, 68.5μmol) 및 3,5-다이클로로-살릴실알데하이드(13.1mg, 68.5μmol)로부터 제조하여 조질의 생성물을 황색 검으로서 수득하였다. 잔사를 HPLC 방법 A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방법 A: RT 2.28분(100% 면적)
ES m/z 612.268 [M+H]+
실시예 32
바이페닐-2-일-카밤산 1-[9-(5-클로로-2-하이드록시-벤질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Figure pct00051
표제 화합물은, 실시예 27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바이페닐-2-일-카밤산 1-(9-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다이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제법 2, 35mg, 68.5μmol) 및 2-하이드록시-5-클로로-벤즈알데하이드(10.7mg, 68.5μmol)로부터 제조하여, 조질의 생성물을 황색 검으로 수득하였다. 잔사를 HPLC 방법 A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방법 A: RT 2.51분(100% 면적)
ES m/z 578.307 [M+H]+
실시예 33
바이페닐-2-일-카밤산 1-[9-(2-하이드록시-4-클로로-5-플루오로-벤질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Figure pct00052
표제 화합물은, 실시예 27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바이페닐-2-일-카밤산 1-(9-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다이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제법 2, 35mg, 68.5μmol) 및 2-하이드록시-4-클로로-5-플루오로-벤즈알데하이드(제법 8, 12.0mg, 68.5μmol)로부터 제조하여, 조질의 생성물을 황색 검으로 수득하였다. 잔사를 HPLC 방법 A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방법 A: RT 2.34분(100% 면적) ES m/z 596.298 [M+H]+
실시예 34
바이페닐-2-일-카밤산 1-[9-(3-클로로-4-하이드록시-벤질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Figure pct00053
표제 화합물은, 실시예 27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바이페닐-2-일-카밤산 1-(9-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다이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제법 2, 35mg, 68.5μmol) 및 3-클로로-4-하이드록시-벤즈알데하이드(10.7mg, 68.5μmol)로부터 제조하여 조질의 생성물을 황색 검으로 수득하였다. 잔사를 HPLC 방법 A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방법 A: RT 2.20분(100% 면적)
ES m/z 578.307 [M+H]+
실시예 35
바이페닐-2-일-카밤산 1-[9-(2-하이드록시-5-플루오로-벤질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Figure pct00054
표제 화합물은, 실시예 27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바이페닐-2-일-카밤산 1-(9-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다이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제법 2, 35mg, 68.5μmol) 및 2-하이드록시-5-플루오로-벤즈알데하이드(9.6mg, 68.5μmol)로부터 제조하여, 조질의 생성물을 황색 검으로 수득하였다. 잔사를 HPLC 방법 A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방법 A: RT 2.27분(100% 면적)
ES m/z 562.337 [M+H]+
실시예 36
바이페닐-2-일-카밤산 1-[9-(3-하이드록시-4-플루오로-벤질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Figure pct00055
표제 화합물은, 실시예 27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바이페닐-2-일-카밤산 1-(9-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다이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제법 2, 100mg, 196μmol) 및 3-하이드록시-4-플루오로-벤즈알데하이드(27.4mg, 196μmol)로부터 제조하여 조질의 생성물을 황색 검으로 수득하였다(110mg). 에틸 아세테이트:메탄올:0.88 암모니아(95:5:0.5 내지 90:10:1.0, 체적 기준)로 용리시키는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잔사를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검으로 수득하였다(수율: 68%, 75mg).
1H NMR(400 MHz, 메탄올-d4) δ=1.27-1.34(m, 10H), 1.46-1.55(m, 4H), 1.58-1.65(m, 2H), 1.81-1.88(m, 2H), 2.23-2.34(m, 4H), 2.58-2.62(t, 2H), 2.64-2.69(m, 2H), 3.68(s, 2H), 4.56-4.62(m, 1H), 6.67-6.71(m, 1H), 6.85-6.88(dd, 1H), 6.93-6.98(m, 1H), 7.23-7.44(m, 8H), 7.53-7.57(m, 1H)ppm.
LCMS: APCI ESI m/z 562 [M+H]+
실시예 37
바이페닐-2-일-카밤산 1-[9-(2,4-다이클로로-3-하이드록시-벤질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Figure pct00056
표제 화합물은, 실시예 27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바이페닐-2-일-카밤산 1-(9-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다이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제법 2, 100mg, 196μmol) 및 3-하이드록시-2,4-다이클로로벤즈알데하이드(37.4mg, 196μmol)로부터 제조하여 조질의 생성물을 회백색 발포체(127mg)로서 수득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메탄올:0.88 암모니아(95:5:0.5 내지 85:15:1.5, 체적 기준)로 용리시키는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잔사를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주황색 검으로 수득하였다(수율: 76%, 91mg).
1H NMR(400 MHz, 메탄올-d4) δppm 1.26-1.40(m, 10H), 1.47-1.54(m, 2H), 1.58-1.66(m, 4H), 1.83-1.91(m, 2H), 2.38-2.42(m, 4H), 2.74-2.78(m, 2H), 2.82-2.84(m, 2H), 4.02(s, 2H), 4.60-4.64(m, 1H), 6.58-.6.51(m, 1H), 7.17-7.19(d, 1H), 7.22-7.48(m, 8H), 7.56-7.60(m, 1H).
LCMS: APCI ESI m/z 612 [M+H]+, 610 [M-]
대안으로, 표제 화합물을 하기와 같은 과정으로 제조하였다:
바이페닐-2-일-카밤산 1-(9-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제법 2a, 3.11g, 7.116mmol)를 에탄올(60ml)에 용해시키고, 여기에 3-하이드록시-2,4-다이클로로벤즈알데하이드(2.04g, 10.7mmol)를 첨가하고, 그다음 티탄 테트라아이소프로폭사이드(4.17ml, 14.2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상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고, 그다음 0℃로 냉각시키고, 나트륨 보로하이드라이드(808mg, 21.3mmol)를 30분 동안 나눠서 첨가하였다. 상온으로 승온될 때까지 반응을 계속하고,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은 물(10ml)을 적가하여 켄칭시키고, 상온에서 18시간 동안 정치시켰다. 혼합물을 다이클로로메탄(200ml) 및 1N 염산 수용액 사이에 분배시켰다. 유기층을 포화 중탄산나트륨 수용액(150ml)으로, 그다음 염수(150ml)로 세척한 후,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서 농축시켰다. 잔사를, 다이클로로메탄:메탄올:0.88 암모니아(95:5:0.5 내지 90:10:1, 체적 기준)로 용리시키는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발포체로 수득하였다(수율: 46%, 1.99g).
70mg의 표제 화합물을 고온 메탄올(5ml)에 용해시키고, 상온까지 천천히 냉각시킨 후, 18시간 동안 정치시켰다.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여 수집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결정질 고체(50mg)로서 수득하였다.
LCMS: APCI ESI m/z 612 [M+H]+, 610 [M-]
1H NMR(400 MHz, 메탄올-d4) δ=1.26-1.40(m, 10H), 1.47-1.54(m, 2H), 1.58-1.66(m, 4H), 1.83-1.91(m, 2H), 2.38-2.42(m, 4H), 2.74-2.78(m, 2H), 2.82-2.84(m, 2H), 4.02(s, 2H), 4.60-4.64(m, 1H), 6.58-.6.51(m, 1H), 7.17-7.19(d, 1H), 7.22-7.48(m, 8H), 7.56-7.60(m, 1H)ppm.
실시예 38
바이페닐-2-일-카밤산 1-[9-(4-하이드록시-3-플루오로-벤질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Figure pct00057
표제 화합물은, 실시예 37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바이페닐-2-일-카밤산 1-(9-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다이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제법 2, 100mg, 196μmol) 및 4-하이드록시-3-플루오로-벤즈알데하이드(27.4mg, 196μmol)로부터 제조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검으로 수득하였다(수율: 68%, 75mg).
1H NMR(400 MHz, 메탄올-d4) δ=1.21-1.36(m, 10H), 1.44-1.55(m, 4H), 1.56-1.65(m, 2H), 1.78-1.87(m, 2H), 2.21-2.35(m, 4H), 2.57-2.68(m, 4H), 3.67(s, 2H), 4.56-4.63(m, 1H), 6.79-6.84(m, 1H), 6.89-6.93(m, 1H), 7.00-7.03(m, 1H), 7.23-7.42(m, 8H), 7.53-7.58(m, 1H)ppm.
LCMS: APCI ESI m/z 562 [M+H]+, 584 [M+Na]+
실시예 39
바이페닐-2-일-카밤산 1-{9-[비스-(2-클로로-3-하이드록시-벤질)-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Figure pct00058
표제 화합물은, 실시예 2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바이페닐-2-일-카밤산 1-(9-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제법 2, 130mg, 297μmol) 및 2-클로로-3-하이드록시벤즈알데하이드(46.5mg, 297μmol)로부터 제조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발포체로 수득하였다(수율: 15%, 32mg).
1H NMR(400 MHz, 메탄올-d4)δ=1.16-1.32(m, 10H), 1.45-1.55(m, 4H), 1.58-1.69(m, 2H), 1.79-1.92(m, 2H), 2.24-2.37(m, 4H), 2.45-2.48(t, 2H), 2.63-2.74(m, 2H), 3.67(s, 4H), 4.57-4.64(m, 1H), 6.77-6.79(m, 2H), 7.02-7.07(m, 4H), 7.23-7.44(m, 8H), 7.53-7.57(m, 1H)ppm.
LCMS: m/z 718-20 [M+H]+, 716-717 M-
실시예 40
바이페닐-2-일-카밤산 1-{9-[(3-플루오로-2-하이드록시-벤질)-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Figure pct00059
바이페닐-2-일-카밤산 1-(9-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다이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제법 7, 40.0mg, 89μmol)을 에탄올(0.5ml)에 용해시키고, 3-플루오로-2-하이드록시벤즈알데하이드(12.5mg, 89μmol)를 함유하는 반응 용기에 첨가하였다. 그다음, 반응 혼합물에 아세트산(5.1㎕, 90μmol) 및 황산나트륨(건조제)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상온에서 30분 동안 교반시켰다. 그다음, 에탄올(0.5ml) 내 나트륨 트라이(아세톡시)보로하이드라이드(38mg, 178μmol)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18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시켰다. 추가로, 나트륨 트라이(아세톡시)보로하이드라이드(19mg, 89μmol)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추가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하에서 제거하고, 잔사를 다이클로로메탄(2ml) 및 탄산수소나트륨 포화 수용액(2ml) 사이에 분배시켰다. 수성상을 분리시키고, 추가의 다이클로로메탄(1ml)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모아 진공하에서 농축시키고 잔사를 HPLC 방법 A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방법 A: RT 2.28분(100% 면적)
ES m/z 576 [M+H]+.
실시예 41
바이페닐-2-일-카밤산 1-{9-[(4,5-다이클로로-2-하이드록시-벤질)-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Figure pct00060
표제 화합물은, 실시예 40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바이페닐-2-일-카밤산 1-(9-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다이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제법 7, 40.0mg, 89μmol) 및 4,5-다이클로로-2-하이드록시 벤즈알데하이드(17.0mg, 89μmol)로부터 제조하였다.
LCMS 방법 A: RT 2.27분(100% 면적)
ES m/z 626 [M+H]+.
실시예 42
바이페닐-2-일-카밤산 1-{9-[(4-플루오로-3-하이드록시-벤질)-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Figure pct00061
바이페닐-2-일-카밤산 1-(9-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다이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제법 7, 150mg, 0.332mmol)을 다이클로로메탄(3ml)에 용해시켰다. 여기에, 4-플루오로-3-하이드록시벤즈알데하이드(문헌[Bioorg. Med. Chem, 2001, 9, 677]; 51.1mg, 0.365mmol), 아세트산(19.0㎕, 0.332mmol) 및 나트륨 트라이(아세톡시)보로하이드라이드(141mg, 0.664mmo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18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물은 2M 탄산나트륨 수용액(5ml)으로 켄칭시키고 그다음 에틸 아세테이트(20ml) 및 물(20ml) 사이에 분배시켰다. 유기층을 염수(20ml)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황산나트륨), 진공하에서 농축시켰다. 조질의 잔사를, 다이클로로메탄:메탄올:880 암모니아(100:0:0 내지 90:10:1, 체적 기준)로 용리시키는 실리카 겔 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수율: 28%, 53mg).
LCMS: ESI m/z 576 [M+H]+
1H NMR(400 MHz, 메탄올-d4) δ=1.27-1.34(m, 10H), 1.46-1.55(m, 4H), 1.59-1.67(m, 2H), 1.81-1.89(m, 2H), 2.20(s, 3H), 2.25-2.39(m, 6H), 2.63-2.71(m, 2H), 3.43(s, 2H), 4.57-4.63(m, 1H), 6.69-6.74(m, 1H), 6.88(d, 1H), 6.94-6.99(m, 1H), 7.23-7.44(m, 8H), 7.55(d, 1H)ppm.
실시예 43
바이페닐-2-일-카밤산 1-{9-[(4-클로로-5-플루오로-2-하이드록시-벤질)-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Figure pct00062
바이페닐-2-일-카밤산 1-(9-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다이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제법 7, 200mg, 0.443mmol)을 다이클로로에탄(5ml)에 용해시켰다. 여기에 4-클로로-5-플루오로-2-하이드록시벤즈알데하이드(제법 8, 73.7mg, 0.422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나트륨 트라이(아세톡시)보로하이드라이드(125mg, 0.591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추가로 18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은 물(1ml)을 적가하여 켄칭시키고 용매를 진공하에서 제거하였다. 잔사를 다이클로로메탄(20ml) 및 탄산수소나트륨 포화 수용액(20ml) 사이에 분배시키고, 유기층을 건조시키고(황산마그네슘), 그다음 진공하에서 농축시켰다. 조질의 잔사를, 다이클로로메탄:메탄올:880 암모니아(100:0:0 내지 95:5:0.5, 체적 기준)로 용리시키는 실리카 겔 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수율: 45%, 121mg).
LCMS: ESI m/z 610 [M+H]+
1H NMR(400 MHz, 메탄올-d4) δ=1.28-1.35(m, 10H), 1.48-1.68(m, 6H), 1.82-1.89(m, 2H), 2.29(s, 3H), 2.32-2.40(m, 4H), 2.48-2.52(m, 2H), 2.67-2.74(m, 2H), 3.68(s, 2H), 4.59-4.65(m, 1H), 6.77(d, 1H), 6.93(d, 1H), 7.23-7.44(m, 8H), 7.56(d, 1H)ppm.
실시예 44
바이페닐-2-일-카밤산 1-{9-[(3-클로로-4-하이드록시-벤질)-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Figure pct00063
표제 화합물은 실시예 42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바이페닐-2-일-카밤산 1-(9-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다이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제법 7, 150mg, 0.332mmol) 및 3-클로로-4-하이드록시벤즈알데하이드(57.2mg, 0.365mmol)로부터 제조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발포체로 수득하였다(수율: 72%, 142mg).
LCMS: ESI m/z 592 [M+H]+
1H NMR(400 MHz, 메탄올-d4) δ=1.26-1.33(m, 10H), 1.46-1.55(m, 4H), 1.57-1.67(m, 2H), 1.80-1.89(m, 2H), 2.19(s, 3H), 2.24-2.39(m, 6H), 2.62-2.71(m, 2H), 3.42(s, 2H), 4.56-4.63(m, 1H), 6.85(d, 1H), 7.05(d, 1H), 7.23-7.44(m, 9H), 7.55(d, 1H)ppm.
실시예 45
바이페닐-2-일-카밤산 1-{9-[(3-플루오로-4-하이드록시-벤질)-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Figure pct00064
표제 화합물은, 실시예 42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바이페닐-2-일-카밤산 1-(9-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다이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제법 7, 150mg, 0.332mmol) 및 3-플루오로-4-하이드록시벤즈알데하이드(51.1mg, 0.365mmol)로부터 제조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발포체로 수득하였다(수율: 19%, 37mg).
LCMS: ESI m/z 576 [M+H]+
1H NMR(400 MHz, 메탄올-d4) δ=1.26-1.34(m, 10H), 1.47-1.56(m, 4H), 1.58-1.67(m, 2H), 1.81-1.89(m, 2H), 2.20(s, 3H), 2.25-2.40(m, 6H), 2.63-2.72(m, 2H), 3.44(s, 2H), 4.57-4.65(m, 1H), 6.82-6.92(m, 2H), 7.02(d, 1H), 7.23-7.44(m, 8H), 7.55(d, 1H)ppm.
실시예 46
바이페닐-2-일-카밤산 1-{9-[(5-클로로-2-하이드록시-벤질)-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Figure pct00065
표제 화합물은, 실시예 40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바이페닐-2-일-카밤산 1-(9-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다이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제법 7, 40.0mg, 89μmol) 및 5-클로로-2-하이드록시 벤즈알데하이드(13.9mg, 89μmol)로부터 제조하였다.
LCMS 방법 A: RT 2.43분(100% 면적)
ES m/z 592 [M+H]+
실시예 47
바이페닐 -2-일- 카밤산 1-{9-[(5- 플루오로 -2- 하이드록시 -벤질)- 메틸 -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Figure pct00066
표제 화합물은, 실시예 40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바이페닐-2-일-카밤산 1-(9-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다이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제법 7, 40.0mg, 89μmol) 및 5-플루오로-2-하이드록시 벤즈알데하이드(12.5mg, 89μmol)로부터 제조하였다.
LCMS 방법 A: RT 2.27분(100% 면적)
ES m/z 576 [M+H]+
실시예 48
바이페닐-2-일-카밤산 1-{9-[(2-클로로-3-하이드록시-벤질)-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Figure pct00067
바이페닐-2-일-카밤산 1-(9-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제법 7a, 1.116g, 2.583mmol)를 다이클로로에탄(25ml)에 용해시키고, 여기에 2-클로로-3-하이드록시벤즈알데하이드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은, 나트륨 트라이(아세톡시)보로하이드라이드(733mg, 3.46mmol)를 첨가하기 전에 15분 동안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그다음, 반응물을 상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은, 물(2ml)을 첨가하여 켄칭시키고, 용매를 진공하에서 제거하였다. 잔사를 다이클로로메탄:메탄올(50ml, 95:5 체적 기준) 및 물(20ml) 사이에 분배시켰다. 유기층을 건조시키고(황산마그네슘) 진공하에서 농축시켰다. 잔사는, 다이클로로메탄:메탄올:0.88 암모니아(97:3:0.3 내지 94:6:0.6, 체적 기준)로 용리시키는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유리로 수득하였다(수율: 77%, 1.12g).
LCMS: ESI m/z 592 [M+H]+
1H NMR(400 MHz, 메탄올-d4) δ=1.26-1.35(m, 10H), 1.45-1.66(m, 6H), 1.81-1.87(m, 2H), 2.23(s, 3H), 2.24-2.34(m, 4H), 2.42-2.45(m, 2H), 2.62-2.70(m, 2H), 3.61(s, 2H), 4.57-4.63(m, 1H), 6.83(d, 1H), 6.92(d, 1H), 7.06-7.10(m, 1H), 7.22-7.44(m, 8H), 7.55(d, 1H)ppm.
실시예 48a
바이페닐-2-일-카밤산 1-{9-[(2-클로로-3-하이드록시-벤질)-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나프탈렌-1,5- 다이설포네이트
Figure pct00068
바이페닐-2-일-카밤산 1-{9-[(2-클로로-3-하이드록시-벤질)-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실시예 48, 87mg, 0.15mmol)를 메탄올(5ml)에 용해시키고, 여기에 나프탈렌-1,5-다이설폰산(42.4mg, 0.15mmo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5시간 교반하고 용매를 진공하에서 감소시켜 백색 침전물을 수득하고, 이것을 여과하여 수집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수율: 78%, 101mg).
실시예 49
바이페닐-2-일-카밤산 1-{9-[(3-클로로-5-플루오로-2-하이드록시-벤질)-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Figure pct00069
표제 화합물은, 실시예 40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바이페닐-2-일-카밤산 1-(9-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다이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제법 7, 40.0mg, 89μmol) 및 3-클로로-5-플루오로-2-하이드록시벤즈알데하이드(15.5mg, 89μmol)로부터 제조하였다.
LCMS 방법 A: RT 2.37분(100% 면적)
ES m/z 610 [M+H]+
실시예 50
바이페닐-2-일-카밤산 1-{9-[(3,5-다이클로로-4-하이드록시-벤질)-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Figure pct00070
표제 화합물은, 실시예 42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바이페닐-2-일-카밤산 1-(9-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다이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제법 7, 150mg, 0.332mmol) 및 3,5-다이클로로-4-하이드록시벤즈알데하이드(69.7mg, 0.365mmol)로부터 제조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발포체로 수득하였다(수율: 44%, 91mg).
1H NMR(400 MHz, 메탄올-d4) δ=1.23-1.34(m, 10H), 1.45-1.56(m, 4H), 1.64-1.75(m, 2H), 1.89-1.97(m, 2H), 2.34(s, 3H), 2.42-2.52(m, 6H), 2.72-2.81(m, 2H), 3.53(s, 2H), 4.62-4.69(m, 1H), 7.19(s, 2H), 7.23-7.44(m, 8H), 7.55(d, 1H)ppm.
LCMS: ESI m/z 624 [M-H]-
실시예 51
바이페닐-2-일-카밤산 1-{9-[(2-플루오로-3-하이드록시-벤질)-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Figure pct00071
표제 화합물은, 실시예 43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바이페닐-2-일-카밤산 1-(9-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다이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제법 7, 200mg, 0.443mmol) 및 2-플루오로-3-하이드록시벤즈알데하이드(문헌[Journal of Medicinal Chemistry, 1986, 29(10), 1982-8; 59.1mg, 0.422mmol])로부터 제조하였다. 조질의 생성물은, 에틸 아세테이트:메탄올:0.88 암모니아(100:0:0 내지 95:5:0.5, 체적 기준)로 용리시키는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정제하여 무색 오일로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수율: 61%, 156mg).
LCMS: ESI m/z 576 [M+H]+
1H NMR(400 MHz, 메탄올-d4) δ=1.27-1.33(m, 10H), 1.46-1.66(m, 6H), 1.81-1.87(m, 2H), 2.21(s, 3H), 2.24-2.34(m, 4H), 2.37-2.41(m, 2H), 2.61-2.69(m, 2H), 3.56(s, 2H), 4.56-4.63(m, 1H), 6.76-6.79(m, 1H), 6.81-6.86(m, 1H), 6.90-6.94(m, 1H), 7.22-7.44(m, 8H), 7.56(d, 1H)ppm.
실시예 52
바이페닐-2-일-카밤산 1-{9-[(3,5-다이클로로-2-하이드록시-벤질)-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Figure pct00072
표제 화합물은, 실시예 40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바이페닐-2-일-카밤산 1-(9-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다이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제법 7, 40.0mg, 89μmol) 및 3,5-다이클로로-2-하이드록시벤즈알데하이드(17.0mg, 89μmol)로부터 제조하였다.
LCMS 방법 A: RT 2.34분(100% 면적)
ES m/z 626 [M+H]+.
실시예 53
바이페닐-2-일-카밤산 1-{9-[(3,5-다이플루오로-4-하이드록시-벤질)-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Figure pct00073
표제 화합물은, 실시예 42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바이페닐-2-일-카밤산 1-(9-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다이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제법 7, 150mg, 0.332mmol) 및 3,5-다이플루오로-4-하이드록시벤즈알데하이드(57.7mg, 0.365mmol)로부터 제조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발포체로 수득하였다(수율: 41%, 80mg).
LCMS: ESI m/z 592 [M-H]-
1H NMR(400 MHz, 메탄올-d4) δ=1.25-1.34(m, 10H), 1.46-1.56(m, 4H), 1.61-1.71(m, 2H), 1.83-1.92(m, 2H), 2.26(s, 3H), 2.35-2.46(m, 6H), 2.68-2.77(m, 2H), 3.48(s, 2H), 4.60-4.66(m, 1H), 6.85(d, 2H), 7.22-7.44(m, 8H), 7.55(d, 1H)ppm.
실시예 54
바이페닐-2-일-카밤산 1-{9-[(2,4-다이클로로-3-하이드록시-벤질)-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Figure pct00074
표제 화합물을은, 실시예 43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바이페닐-2-일-카밤산 1-(9-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다이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제법 7, 200mg, 0.443mmol) 및 2,4-다이클로로-3-하이드록시벤즈알데하이드(제법 10, 80.6mg, 0.422mmol)로부터 제조하였다. 조질의 생성물은, 에틸 아세테이트:메탄올:0.88 암모니아(100:0:0 내지 95:5:0.5, 체적 기준)로부터 용리시키는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수율: 63%, 176mg).
LCMS: ESI m/z 626 [M+H]+
1H NMR(400 MHz, 메탄올-d4) δ=1.26-1.34(m, 10H), 1.46-1.59(m, 4H), 1.63-1.71(m, 2H), 1.85-1.93(m, 2H), 2.33(s, 3H), 2.39-2.43(m, 4H), 2.53-2.57(m, 2H), 2.69-2.77(m, 2H), 3.70(s, 2H), 4.60-4.66(m, 1H), 6.77(d, 1H), 7.18(d, 1H), 7.23-7.44(m, 8H), 7.55(d, 1H)ppm.
실시예 55
바이페닐-2-일-카밤산 1-{9-[(3,5-다이플루오로-2-하이드록시-벤질)-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Figure pct00075
표제 화합물은, 실시예 40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바이페닐-2-일-카밤산 1-(9-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다이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제법 7, 40.0mg, 89μmol) 및 3,5-다이플루오로-2-하이드록시벤즈알데하이드(14.1mg, 89μmol)로부터 제조하였다.
LCMS 방법 A: RT 2.19분(100% 면적)
ES m/z 594 [M+H]+.
실시예 56
바이페닐 -2-일- 카밤산 1-{9-[(3,5- 다이클로로 -2- 하이드록시 - 벤조일 )- 메틸 -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Figure pct00076
바이페닐-2-일-카밤산 1-(9-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다이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제법 7, 40.2mg, 89μmol)을 다이메틸폼아마이드(0.5ml)에 용해시키고, 3,5-다이클로로-2-하이드록시벤조산(18.4mg, 89μmol) 함유 반응 용기에 첨가하였다. 그다음, 반응 혼합물에 다이메틸폼아마이드(0.2ml) 내 1-하이드록시벤조트라이아졸 일수화물(16.4mg, 107μmol)의 용액, 다이메틸폼아마이드(0.4ml) 내 (3-(다이메틸아미노)프로필) 에틸카보다이이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20.5mg, 107μmol)의 용액 및 다이아이소프로필에틸아민(38.7㎕, 222μmo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하에서 제거하고, 잔사를 다이클로로메탄(2ml) 및 물(2ml) 사이에 분배시켰다. 수성상을 추가의 다이클로로메탄(1ml)으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모아 진공하에서 농축시켰다. 조질의 잔사를 HPLC 방법 G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방법 G: RT 2.98분(100% 면적)
ES m/z 640 [M+H]+.
실시예 57
바이페닐-2-일-카밤산 1-{9-[(3-클로로-2-하이드록시-벤조일)-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Figure pct00077
표제 화합물은, 실시예 56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바이페닐-2-일-카밤산 1-(9-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다이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제법 7, 40.2mg, 89μmol) 및 3-클로로-2-하이드록시 벤조산(15.4mg, 89μmol)을 수득하였다. 조질의 생성물은 HPLC 방법 F로 정제하고 HPLC 방법 G로 분석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방법 G: RT 3.06분(100% 면적)
ES m/z 606 [M+H]+.
실시예 58
바이페닐-2-일-카밤산 1-{9-[(3,4-다이플루오로-2-하이드록시-벤조일)-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Figure pct00078
표제 화합물은, 실시예 56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바이페닐-2-일-카밤산 1-(9-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다이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제법 7, 40.2mg, 89μmol) 및 3,4-다이플루오로-2-하이드록시 벤조산(15.5mg, 89μmol)으로부터 제조하였다. 조질의 생성물은 HPLC 방법 F로 정제하고 HPLC 방법 G로 분석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방법 G: RT 2.87분(100% 면적)
ES m/z 608 [M+H]+.
실시예 59
바이페닐-2-일-카밤산 1-{9-[(3-플루오로-2-하이드록시-벤조일)-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Figure pct00079
표제 화합물은, 실시예 56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바이페닐-2-일-카밤산 1-(9-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다이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제법 7, 40.2mg, 89μmol) 및 3-플루오로-2-하이드록시 벤조산(13.9mg, 89μmol)으로부터 제조하였다. 조질의 생성물을 HPLC 방법 F로 정제하고 HPLC 방법 G로 분석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방법 G: RT 3.13분(100% 면적)
ES m/z 590 [M+H]+.
실시예 60
바이페닐-2-일-카밤산 1-{9-[(4-클로로-2-하이드록시-벤조일)-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Figure pct00080
표제 화합물은, 실시예 56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바이페닐-2-일-카밤산 1-(9-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다이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제법 7, 40.2mg, 89μmol) 및 4-클로로-2-하이드록시 벤조산(15.4mg, 89μmol)으로부터 제조하였다. 조질의 생성물은 HPLC 방법 F로 정제하고 HPLC 방법 G로 분석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방법 G: RT 3.45분(100% 면적)
ES m/z 606 [M+H]+.
실시예 61
바이페닐-2-일-카밤산 1-{9-[(4-플루오로-2-하이드록시-벤조일)-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Figure pct00081
표제 화합물은, 실시예 56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바이페닐-2-일-카밤산 1-(9-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다이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제법 7, 40.2mg, 89μmol) 및 4-플루오로-2-하이드록시 벤조산(13.9mg, 89μmol)로부터 제조하였다. 조질의 생성물은 HPLC 방법 F로 정제하고 HPLC 방법 G로 분석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방법 G: RT 3.47분(100% 면적)
ES m/z 590 [M+H]+.
실시예 62
바이페닐-2-일-카밤산 1-{9-[(4-클로로-3-하이드록시-벤조일)-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Figure pct00082
표제 화합물은, 실시예 56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바이페닐-2-일-카밤산 1-(9-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다이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제법 7, 40.2mg, 89μmol) 및 4-클로로-3-하이드록시 벤조산(15.4mg, 89μmol)으로부터 제조하였다. 조질의 생성물은 HPLC 방법 F로 정제하고 HPLC 방법 G로 분석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방법 G: RT 3.15분(95%면적)
ES m/z 606 [M+H]+.
실시예 63
바이페닐-2-일-카밤산 1-{9-[(2-플루오로-4-하이드록시-벤조일)-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Figure pct00083
표제 화합물은, 실시예 56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바이페닐-2-일-카밤산 1-(9-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다이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제법 7, 40.2mg, 89μmol) 및 2-플루오로-4-하이드록시 벤조산(13.9mg, 89μmol)으로부터 제조하였다. 조질의 생성물을 HPLC 방법 F로 정제하고 HPLC 방법 G로 분석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CMS 방법 G: RT 3.32분(94%면적)
ES m/z 590 [M+H]+.
실시예 64
바이페닐-2-일-카밤산 1-{9-[(2,3-다이플루오로-4-하이드록시-벤조일)-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Figure pct00084
바이페닐-2-일-카밤산 1-(9-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다이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제법 7, 2.5g, 5.5mmol)을 테트라하이드로푸란(85ml)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에 2,3-다이플루오로-4-하이드록시 벤조산(1.16g, 6.64mmol), 트라이에틸아민(1.0ml, 7.21mmol), 4-다이메틸아미노피리딘(235mg, 1.92mmol) 및 (3-(다이메틸아미노)프로필) 에틸카보다이이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1.49g, 7.75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은 15분 동안 상온에서 교반하고, 그다음 18시간 동안 60℃에서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하에서 제거하고, 잔사를 에틸 아세테이트(100ml) 및 물(75ml) 사이에 분배시켰다. 수성층을 추가로 에틸 아세테이트(100ml)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모아 건조시키고(황산마그네슘) 진공하에서 농축시켰다. 잔사는, 다이클로로메탄:메탄올:0.88 암모니아(100:0:0 내지 95:5:0.5, 체적 기준)로 용리시키는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수율: 40%, 1.36g).
LCMS: ESI m/z 608 [M+H]+
1H NMR(400 MHz, 메탄올-d4) δ=1.29-1.41(m, 10H), 1.47-1.54(m, 4H), 1.61-1.73(m, 2H), 1.81-1.95(m, 2H), 2.35-2.54(m, 4H), 2.68-2.83(m, 2H), 2.94-3.07(m, 3H), 3.25-3.28(m, 1H), 3.50-3.54(m, 1H), 4.58-4.69(m, 1H), 6.69-6.76(m, 1H), 6.85-6.93(m, 1H), 7.23-7.44(m, 7H), 7.55(d, 1H), 8.06(d, 1H)ppm.
실시예 65
바이페닐-2-일-카밤산 1-{9-[(2-클로로-4-하이드록시-벤조일)-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Figure pct00085
표제 화합물은, 실시예 56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바이페닐-2-일-카밤산 1-(9-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다이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제법 7, 40.2mg, 89μmol) 및 2-클로로-4-하이드록시 벤조산 수화물(17.0mg, 89μmol)로부터 제조하였다. 조질의 생성물은, HPLC 방법 F로 정제하고 HPLC 방법 G로 분석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방법 G: RT 3.54분(95%면적)
ES m/z 606 [M+H]+.
실시예 66
바이페닐-2-일-카밤산 1-(9-{[2-(3-하이드록시-페닐)-아세틸]-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Figure pct00086
표제 화합물은, 실시예 64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바이페닐-2-일-카밤산 1-(9-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다이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제법 7, 2.50g, 5.54mmol) 및 3-하이드록시 페닐 아세트산(1.01g, 6.64mmol)으로부터 제조하였다. 잔사를, 다이클로로메탄:메탄올:0.88 암모니아(100:0:0 내지 90:10:1, 체적 기준)로 용리시키는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수율: 31%, 1.01g).
100mg의 표제 화합물을 헵탄에 현탁시키고 18시간 동안 50℃에서 슬러리화하고, 그다음 2일 동안 상온에서 슬러리화하였다. 고체를 여과하여 수집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결정질 고체(57mg)로 수득하였다.
LCMS: ESI m/z 586 [M+H]+
1H NMR(400 MHz, 메탄올-d4) δ=1.22-1.33(m, 10H), 1.36-1.54(m, 4H), 1.58-1.67(m, 2H), 1.80-1.88(m, 2H), 2.24-2.35(m, 4H), 2.63-2.70(m, 2H), 2.90-2.99(m, 3H), 3.33-3.39(m, 2H), 3.66-3.68(d, 2H), 4.57-4.62(m, 1H), 6.64-6.71(m, 3H), 7.09-7.13(m, 1H), 7.23-7.44(m, 8H), 7.55(d, 1H)ppm.
실시예 67
바이페닐-2-일-카밤산 1-{9-[(5-플루오로-2-하이드록시-벤조일)-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Figure pct00087
표제 화합물은, 실시예 56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바이페닐-2-일-카밤산 1-(9-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다이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제법 7, 40.2mg, 89μmol) 및 5-플루오로-2-하이드록시 벤조산(13.9mg, 89μmol)으로부터 제조하였다. 조질의 생성물은 HPLC 방법 F로 정제하고 HPLC 방법 G로 분석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방법 G: RT 3.95분(100% 면적)
ES m/z 590 [M+H]+.
실시예 68
바이페닐-2-일-카밤산 1-{9-[(5-클로로-2-하이드록시-벤조일)-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Figure pct00088
표제 화합물은, 실시예 56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바이페닐-2-일-카밤산 1-(9-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다이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제법 7, 40.2mg, 89μmol) 및 5-클로로-2-하이드록시 벤조산(15.4mg, 89μmol)으로부터 제조하였다. 조질의 생성물은 HPLC 방법 F로 정제하고 HPLC 방법 G로 분석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방법 G: RT 3.78분(100% 면적)
ES m/z 606 [M+H]+.
실시예 69
바이페닐 -2-일- 카밤산 1-{9-[(3- 플루오로 -4- 하이드록시 - 벤조일 )- 메틸 -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Figure pct00089
테트라하이드로푸란(150ml) 내 바이페닐-2-일-카밤산 1-(9-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다이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제법 7, 4.47g, 9.90mmol)의 용액에 3-플루오로-4-하이드록시벤조산(1.85g, 11.9mmol), 트라이에틸아민(2.07ml, 14.8mmol), N,N-다이메틸아미노피리딘(484mg, 3.96mmol) 및 (3-(다이메틸아미노)프로필)에틸 카보다이이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2.66g, 13.9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5분 동안 상온에서 교반하고, 그다음 18시간 동안 60℃에서 교반하였다. 추가로, 3-플루오로-4-하이드록시벤조산(308mg, 2.0mmol)을 첨가하고, 반응물을 18시간 동안 60℃에서 가열하였다. 용매를 진공하에서 제거하고, 잔사를 에틸 아세테이트(200ml) 및 물(150ml) 사이에 분배시켰다. 수성층을 추가로 에틸 아세테이트(200ml)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모아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서 농축시켰다. 잔사는 메탄올/물(115ml/23ml)에 용해시키고, 탄산칼륨(12.9g, 93.2mmol)로 처리하고, 18시간 동안 50℃에서 가열하였다. 용매를 진공하에서 제거하고, 잔사를 다이클로로메탄(200ml) 및 물(200ml) 사이에 분배시켰다. 유기층을 염수(100ml)로 세척하고 진공하에서 농축시켰다. 잔사를, 다이클로로메탄:메탄올:880 암모니아(100:0:0 내지 95:5:0.5, 체적 기준)로 용리시키는 실리카 겔 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오일성 발포체로서 수득하였다(수율: 52%, 3.01g).
LCMS: APCI ESI m/z 590 [M+H]+
1H NMR(400 MHz, 메탄올-d4) δ=1.12-1.40(m, 10H), 1.45-1.54(m, 2H), 1.56-1.68(m, 4H), 1.81-1.91(m, 2H), 2.29-2.40(m, 4H), 2.64-2.75(m, 2H), 3.01(s, 3H), 3.34-3.53(m, 2H), 4.58-4.65(m, 1H), 6.92-6.96(m, 1H), 7.05(d, 1H), 7.12(d, 1H), 7.23-7.44(m, 8H), 7.55(d, 1H)ppm.
Figure pct00090
Figure pct00091
Figure pct00092
Figure pct00093
인간 재조합 M 3 무스칼린 수용체에서의 세포-기반 효능 검정
M3 효능을 NFAT-베타락타마제 유전자로 형질감염된 CHO-K1 세포에서 측정하였다. 인간 무스카린성 M3 수용체를 재조합 발현하는 CHO(Chinese Hamster Ovary, 차이니스 햄스터 난소) 세포를 NFAT_β-Lac_Zeo 플라스미드로 형질감염시켰다. 세포를 10% FCS(소 태아 혈청, 시그마(Sigma) F-7524), 1nM 피루브산나트륨(시그마 S-8636), NEAA(불필수 아미노산, 인비트로젠(Invitrogen) 11140-035) 및 200㎍/mL 제오신(인비트로젠 R250-01)을 함유하고, 25mM HEPES(라이프 테크놀로지스(Life Technologies) 32430-027)가 보충되고, 글루타맥스(Glutamax)-1가 첨가된 DMEM 중에서 성장시켰다.
hM 3 β-락타마제 검정 프로토콜
효소-무함유 세포 분리 용액(dissociation Solution)(라이프 테크놀로지스 13151-014)을 5% CO2를 함유하는 37℃ 분위기 중에서 세포와 함께 5분 동안 인큐베이션시켜, 세포가 80% 내지 90% 컨플루언시(confluency)에 이르렀을 때, 검정용 세포를 수거하였다. 떼어낸 세포를 승온된 성장 배지 중에 수집하고, 2000 rpm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PBS(인산염 완충 염수, 라이프 테크놀로지스 14190-094) 중에 세척하고,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이 다시 원심분리하였다. 세포를 성장 배지(전술한 바와 같은 조성) 중에 2×105개 세포/mL로 재현탁시켰다. 상기 세포 현탁액 20㎕를 흑색 투명한 바닥의 384-웰 플레이트(그라이너 바이오 원(Greiner Bio One) 781091-PFI) 각 웰에 첨가하였다. 사용된 검정 완충액은 0.05% 플루로닉(Pluronic) F-127(시그마 9003-11-6) 및 2.5% DMSO가 보충된 PBS였다. 80 nM 카르바밀 콜린(알드리치(Aldrich) N240-9)을 4시간 동안 37℃/5% CO2에서 상기 세포와 함께 인큐베이션시켜, 무스카린성 M3 수용체 신호전달을 자극하고, 인큐베이션 기간의 종료시에는 테칸 스펙트라플루오르+(Tecan SpectraFluor+) 플레이트 판독기(λ-여기 405 nm, 방출 450 nm 및 503 nm)를 사용하여 모니터링하였다. 시험한 M3 수용체 길항제는 상기 4시간 인큐베이션 기간의 시작시에 상기 검정에 첨가하였고, 화합물 활성은 카르바밀 콜린 유도된 신호의 농도-의존적 억제로서 측정하였다. 억제 곡선을 작도하고 4-파라미터 S자형 피트(sigmoid fit)를 사용하여 IC50 값을 측정하였고, 쳉-프루소프(Cheng-Prusoff) 보정을 사용하여 Ki 값으로 환산하고 상기 검정에서 카르바밀 콜린에 대한 KD 값으로 환산하였다.
인간 재조합 M 3 무스칼린 수용체에서의 결합 친화도 검정
멤브레인 제법
인간 무스칼린성 M3 수용체를 재조합 발현하는 CHO(중국 햄스터 난소세포) 세포로부터의 세포 펠렛을 20mM HEPES(pH7.4)에서 균질화시키고 4℃에서 20분 동안 48000×g에서 원심분리시켰다. 상기 펠렛을 완충액에 재현탁시키고 균질화 및 원심분리 단계를 반복하였다. 생성된 펠렛을, 1ml의 원래의 팩킹 세포 체적 당 1ml 완충액에 재현탁시키고 균질화 단계를 반복하였다. 상기 현탁액에 대해 단백질을 정량화하고 약 1mg/ml의 1ml 액적을 -80℃에서 냉동시켰다.
hM 3 경쟁 결합 검정 프로토콜
상기 멤브레인(5g/well)을, 1ml의 폴리스티렌 96-웰 딥 웰 블록(96-well deep well block)에서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3H-NMS(5×KD의 농도로) +/- 시험 화합물과 함께 인큐베이션시켰다. 최종 검정 체적은, 20ℓ의 +/- 시험 화합물; 20ℓ의 3H-NMS(퍼킨 엘머(Perkin Elmer) NEN 636) 및 160ℓ의 멤브레인 용액을 포함하는 200ℓ였다. 전체 결합은 0.1%의 DMSO에 의해 정의되고, 비-특이적 결합은 1M 아트로핀에 의해 정의되었다. 검정 완충액은 20mM Hepes(pH 7.4)였다.
일단 모든 검정 성분들을 첨가한 후, 플레이트를 덮고 진탕하면서 24시간 동안 상온에서 인큐베이션시켰다. 상기 검정은, 팩커드(Packard) 필터메이트 수확기를 사용하여 0.5% 폴리에틸렌이민에 미리-침지된 GF/B 유니필터 플레이트(Unifilter plates)를 통해 빠르게 여과함으로써 종결되며, 그다음 상기 필터 플레이트는 3×1ml의 4℃ 분석 완충액으로 세척하였다. 상기 필터 플레이트를 1시간 동안 45℃에서 건조시켰다. 상기 필터 플레이트의 저부를 밀봉하고 50l/웰의 마이크로신트(Microscint) '0'를 첨가하고,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는 탑실(topseal)로 밀봉하였다. 90분 후, 상기 플레이트를 NXT 탑카운트(Topcount)(웰 당 1분의 판독 시간) 상에서 판독하였다.
생성된 데이터는 특이적 결합율(%)로서 표현하였다(특이적 결합율 = 전체 결합율 - 비-특이적 결합율). 특이적 결합율(%) 대 시험 화합물 농도를 작도하여, 내부(in-house) 데이터 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S자 곡선으로부터 IC50를 결정하였다. 쳉-프루소프식을 적용함으로써 IC50 값을 Ki 값으로 보정하였다:
[수학식 1]
Figure pct00094
상기 식에서, IC50는 특이적 방사선리간드 결합을 50%까지 억제하는 비-표지된 약물의 농도이다. [L]는 유리 방사선리간드 농도이고, KD 및 Ki는 방사선리간드 약물과 비-표지된 약물의 각각의 분해 평형상수이다.
상기 검정법에서 시험되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하기 표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hM3 수용체 길항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졌다:
[표 1]
Figure pct00095
Figure pct00096
Figure pct00097
기니아 피그 기관 검정
350g 내지 450g 중량의 수컷 던킨-하틀리(Dunkin-Hartley) 기니아 피그를 CO2 농도를 상승시켜 가며 죽인 후에 대정맥을 채혈하였다. 기관을 후두로부터 흉강(chest cavity)으로 들어가는 지점까지 절개한 후에, 새로 제조하여 산화시킨 개질 크렙스(Krebs) 완충 용액(10μM 프로프라놀롤, 10μM 구아네티딘 및 3μM 인도메타신을 함유하는 크렙스)에 실온에서 넣었다. 기관근 반대쪽의 연골을 통해 절단하여 기관을 개방하였다. 대략 3개 내지 5개 연골 고리 폭의 스트립을 절단하였다. 면사를 스트립의 한쪽 끝에서 상기 연골에 연결시켜 하중 변환기(force transducer)에 부착되도록 하고, 다른쪽 끝에는 면사 고리를 만들어서 상기 조직이 기관조(organ bath)에 고정되도록 하였다. 승온(37℃) 통기된 개질 크렙스로 충전된 5 mL 기관조에 상기 스트립을 넣었다. 펌프 유속을 1.0 mL/분으로 설정하고, 상기 조직을 계속 세척하였다. 상기 조직에 1000 mg의 초기 장력을 가하였다. 15분 및 30분 후에, 상기 조직에 다시 장력을 인가한 후에 추가의 30분 내지 45분 동안 평형에 이르도록 하였다.
조직에, 하기 파라미터의 전기장 자극(EFS)을 인가하였다: 매 2분 마다의 10초 트레인(train), 0.1 ms 펄스 폭, 10 Hz 및 10 V 내지 30 V. 각 조직마다 최대 수축 반응이 관찰될 때까지, 언급된 범위 내에서 전압을 매 10분 마다 5 V 상승시켰다. 이후, 각 조직에 대한 이러한 최대 직전(just maximum) 전압을 실험의 나머지 기간 전반에 걸쳐서 사용하였다. 20분 동안 EFS로 평형화된 후, 펌프를 중지시키고 15분 후에는 8분 내지 10분의 기간(4회 내지 5회 반응)에 걸쳐 대조군 판독을 실시하였다. 이어서, 화합물을 각 조직에 30xKi의 볼루스(bolus) 투여로 첨가하고(여과 결합 검정에서 CHO 세포에서 발현된 인간 M3 수용체에서 측정함), 2시간 동안 인큐베이션시켰다. 개질 크렙스를 사용한 신속 세척을 사용하여 1분 동안 화합물을 조직으로부터 세척하고, 실험의 나머지 기간 동안에는 유속을 1 mL/분으로 복귀시켰다. 실험 종료시에는 조직에 히스타민(1μM)을 첨가하여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실험 동안에 얻은 판독치는 노토코드(Notocord)(등록상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자동 수집하였다. EFS 응답 억제의 측정치를 감안하여, 초기 데이타를 반응률(%)로 환산시켰다. 세정(washout) 개시 후, 유도된 억제로부터 조직이 25%만큼 회복하는데 소요된 시간을 기록하고 화합물 작용 기간의 척도로 사용하였다. 조직 생존율은 화합물 세정후 실험 기간을 16시간으로 제한하였다. 화합물은 전형적으로 n = 2 내지 5로 시험하여 작용 기간을 추정하였다.
다르게는, 하기의 기니아 피그 기관 검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수컷 던킨-하틀리 기니아 피그(350 g 내지 450 g 중량)에서 기관을 꺼내고, 부착된 결합 조직을 제거한 후에 기관근 반대쪽의 연골을 통해 절단부를 만들고, 기관 스트립 3개 내지 5개 연골 고리 폭을 준비하였다. 기관 스트립을, 등거리 압력 전달계와 고정된 조직 후크 사이에 1g의 초기 장력하에 5 mL 조직조(tissue bath)에서 수평면으로 근육을 사용하여 매달아 두었고, 3μM 인도메타신 및 10μM 구아네티딘을 함유하는 승온(37℃) 통기(95% O2/5% CO2)된 크렙스 용액 중에 담궜다. 조직을, 평행한 백금 전선의 전극 사이(약 1 cm 간격)에 두었다. 신선한 크렙스 용액(전술한 조성)의 유속을 연동형 펌프를 사용하여 조직조에서 1 mL/분으로 일정하게 유지시켰다. 평형화 기간 출발 후 제15분과 제30분에서 1g의 재장력을 인가하고 상기 조직이 1시간 동안 평형에 이르도록 하였다. 평형화 종료시에, 조직에 하기 파라미터의 전기장 자극(EFS)을 인가하였다: 10V, 10Hz, 0.1ms 펄스 폭, 매 2분 마다의 10초 트레인. 각 조직에서, 전압 반응 곡선을 10V 내지 30V 범위에서 구축하여(모든 다른 자극 파라미터는 일정하게 유지함) 최대 직전 자극을 측정하였다. 이들 자극 파라미터를 사용했을 때, EFS 반응은 100% 신경 매개되고 100% 콜린성이라는 것이 1μM 테트로도톡신 또는 1μM 아트로핀에 의한 차단으로 확인되었다. 이어서, 반응이 재현가능해질 때까지 조직에 2분 간격으로 반복적인 자극을 주었다. 연동형 펌프를 연구 화합물을 첨가하기 20분 전에 중지시키고, 마지막 10분에 걸친 평균 연축(twitch contraction)을 대조군 반응으로서 기록하였다. 연구 화합물을 조직조에 첨가하였고, 이때 각 조직에는 단일 농도의 화합물을 가하여 2시간 동안 평형에 이르도록 하였다. 첨가하고 2시간이 지난 후에는 EFS 반응의 억제를 기록하고, 동일 동물로부터의 기관 스트립에 대한 소정 범위의 화합물 농도를 사용하여 IC50 곡선을 생성하였다. 이어서, 상기 조직을 신속하게 세척하고, 크렙스 용액으로 1 mL/분 관류를 재수립하였다. 조직을 16시간 더 자극하고, EFS 반응의 회복율을 기록하였다. 상기한 16시간의 종료시에는 상기 조에 10μM 히스타민을 첨가하여 조직 생존을 확인하였다. 길항제의 최대 직전 농도(70% 억제를 초과하지만 100%에는 이르지 못하는 반응을 제공하는 시험 농도)를, IC50 곡선 및 상기 농도를 가한 조직에서 산출된 유도된 억제의 25% 회복시까지의 시간(T25)으로부터 확인하였다. 화합물은 전형적으로 n = 2 내지 5로 시험하여 작용 기간을 추정하였다.
약물-약물 상호작용 가능성 검정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화합물의 약물-약물 상호작용에 대한 가능성은, 당업계의 숙련자들에게 잘 알려진 표준 프로토콜 및 심사이프(Simcyp; 등록상표) 소프트웨어의 사용자 지침서에 따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시판중인 소프트웨어, 예를 들어 생체외 대사 데이터를 사용하는 심사이프로 모의하였다. 예로서, 글루쿠로니화 데이터는, 문헌[Kilford et al., Drug metabolism and Disposition, Vol. 37, No. 1, pp. 82-89]에서 기술한 참고 방법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Claims (10)

  1.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상기 화합물 또는 염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용매화물:
    [화학식 I]
    Figure pct00098

    상기 식에서,
    X는 -CH2-, -C(=O)CH2-, 및 -C(=O)- 중에서 선택되고;
    R1은 H 또는 메틸이거나, 다르게는, X가 -CH2-이면, R1은 하기 화학식 II의 기를 나타낼 수도 있고:
    [화학식 II]
    Figure pct00099

    [여기서, R6, R7, R8 및 R9 중 하나는 하이드록시이고, R6, R7, R8 및 R9 중 하나는 할로이고, R6, R7, R8 및 R9 중 하나는 H이고, R6, R7, R8 및 R9 중 하나는 H 또는 할로 중에서 선택된다];
    R2, R3, R4 및 R5 중 하나는 하이드록시이고, R2, R3, R4 및 R5 중 하나는 H이고, R2, R3, R4 및 R5 중 하나는 할로이고, R2, R3, R4 및 R5 중 하나는 H 또는 할로이거나, 또는 다르게는, X가 -C(=O)CH2-이고 R1이 메틸이면, R2, R3 및 R5는 H이면서 R4는 OH일 수 있다.
  2. 제 1 항에 있어서,
    바이페닐-2-일-카밤산 1-[9-(3-클로로-4-하이드록시-벤조일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2-플루오로-3-하이드록시-벤질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3-클로로-5-플루오로-2-하이드록시-벤질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2-(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아세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2-클로로-3-하이드록시-벤질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3-플루오로-4-하이드록시-벤조일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4-플루오로-3-하이드록시-벤조일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3-플루오로-2-하이드록시-벤조일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5-플루오로-2-하이드록시-벤조일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3,5-다이클로로-2-하이드록시-벤조일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4-클로로-2-하이드록시-벤조일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2-(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아세틸]-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4-플루오로-3-하이드록시-벤조일)-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3-클로로-4-하이드록시-벤조일)-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2-(3-플루오로-4-하이드록시-페닐)-아세틸]-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4-클로로-3-하이드록시-벤조일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2-플루오로-4-하이드록시-벤조일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3,5-다이클로로-4-하이드록시-벤질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3,5-다이클로로-4-하이드록시-벤질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나프탈렌-1,5-다이설포네이트 염;
    바이페닐-2-일-카밤산 1-[9-(2,3-다이플루오로-4-하이드록시-벤조일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2-하이드록시-5-클로로-벤조일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4-하이드록시-3,5-다이클로로-벤조일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2-하이드록시-4-플루오로-벤조일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3,5-다이플루오로-4-하이드록시-벤질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2-하이드록시-4,5-다이클로로-벤질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2-하이드록시-3,5-다이플루오로-벤질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2-하이드록시-3-플루오로-벤질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2-하이드록시-3,5-다이클로로-벤질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5-클로로-2-하이드록시-벤질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2-하이드록시-4-클로로-5-플루오로-벤질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3-클로로-4-하이드록시-벤질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2-하이드록시-5-플루오로-벤질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3-하이드록시-4-플루오로-벤질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2,4-다이클로로-3-하이드록시-벤질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4-하이드록시-3-플루오로-벤질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비스-(2-클로로-3-하이드록시-벤질)-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3-플루오로-2-하이드록시-벤질)-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4,5-다이클로로-2-하이드록시-벤질)-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4-플루오로-3-하이드록시-벤질)-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4-클로로-5-플루오로-2-하이드록시-벤질)-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3-클로로-4-하이드록시-벤질)-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3-플루오로-4-하이드록시-벤질)-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5-클로로-2-하이드록시-벤질)-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2-클로로-3-하이드록시-벤질)-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3,5-다이클로로-4-하이드록시-벤질)-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2-플루오로-3-하이드록시-벤질)-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3,5-다이플루오로-4-하이드록시-벤질)-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2,4-다이클로로-3-하이드록시-벤질)-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3,5-다이플루오로-2-하이드록시-벤질)-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3,5-다이클로로-2-하이드록시-벤조일)-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3-클로로-2-하이드록시-벤조일)-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3,4-다이플루오로-2-하이드록시-벤조일)-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3-플루오로-2-하이드록시-벤조일)-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4-클로로-2-하이드록시-벤조일)-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4-플루오로-2-하이드록시-벤조일)-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4-클로로-3-하이드록시-벤조일)-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2,3-다이플루오로-4-하이드록시-벤조일)-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2-(3-하이드록시-페닐)-아세틸]-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5-플루오로-2-하이드록시-벤조일)-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5-클로로-2-하이드록시-벤조일)-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및
    바이페닐-2-일-카밤산 1-{9-[(3-플루오로-4-하이드록시-벤조일)-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중에서 선택된 화합물,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상기 화합물 또는 염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용매화물.
  3. 제 1 항에 있어서,
    바이페닐-2-일-카밤산 1-(9-{[2-(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아세틸]-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3-클로로-4-하이드록시-벤조일)-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2,4-다이클로로-3-하이드록시-벤질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2-클로로-3-하이드록시-벤질)-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2,3-다이플루오로-4-하이드록시-벤조일)-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바이페닐-2-일-카밤산 1-(9-{[2-(3-하이드록시-페닐)-아세틸]-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및
    바이페닐-2-일-카밤산 1-{9-[(3-플루오로-4-하이드록시-벤조일)-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중에서 선택된 화합물,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상기 화합물 또는 염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용매화물.
  4. 제 1 항에 있어서,
    바이페닐-2-일-카밤산 1-(9-{[2-(3-하이드록시-페닐)-아세틸]-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상기 화합물 또는 염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5. 제 1 항에 있어서,
    바이페닐-2-일-카밤산 1-{9-[(3-플루오로-4-하이드록시-벤조일)-메틸-아미노]-노닐}-피페리딘-4-일 에스터,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상기 화합물 또는 염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학식 I의 화합물,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상기 화합물 또는 염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용매화물을 적어도 효과량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의약품로서 사용하기 위한, 화합물,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상기 화합물 또는 염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용매화물.
  8.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만성 또는 급성 기관지수축, 만성 기관지염, 소기도 폐쇄(small airways obstruction), 및 기종,
    -임의의 유형, 병인 또는 발병기전의 폐쇄성 또는 염증성 기도 질환, 특히 만성 호산구성 폐렴, 만성 폐쇄성 폐 질환(COPD), 만성 기관지염, 폐 기종 또는 COPD와 관련되거나 관련없는 호흡곤란을 포함하는 COPD, 비가역적인 진행성 기도 폐쇄를 특징으로 하는 COPD, 성인성 호흡 곤란 증후군(ARDS), 다른 약물 요법으로 인한 기도 과잉-반응성의 악화, 및 폐 고혈압과 관련된 기도 질환으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된 구성원인 폐쇄성 또는 염증성 기도 질환,
    -임의의 유형, 병인 또는 발병기전의 기관지염, 특히 급성 기관지염, 급성 후두기관성 기관지염, 아라킨산성(arachidic) 기관지염, 카타르성 기관지염, 크루프성 기관지염, 건성 기관지염, 전염성 천식성 기관지염, 증식성 기관지염, 포도상구균성 또는 연쇄상구균성 기관지염 및 폐포성 기관지염으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된 구성원인 기관지염,
    -임의의 유형, 병인 또는 발병기전의 천식, 특히 아토피성 천식, 비-아토피성 천식, 알러지성 천식, 아토피성 기관지 IgE-매개 천식, 기관지 천식, 본태성 천식, 진성 천식, 병태생리적 질병으로 인한 내인성 천식, 환경적 요인으로 인한 외인성 천식, 미지 또는 불분명한 원인의 본태성 천식, 비-아토피성 천식, 기관지염성 천식, 기종성 천식, 운동-유발성 천식, 알러젠-유발성 천식, 찬공기(cold air)-유발성 천식, 직업병성 천식, 세균류, 진균류, 원충류 또는 바이러스류 감염에 의해 유발되는 감염성 천식, 비-알러지성 천식, 초기 천식(incipient asthma), 천명(喘鳴) 유아 증후군 및 세기관지염으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된 구성원인 천식,
    -급성 폐 손상,
    -임의의 유형, 병인 또는 발병기전의 기관지확장증, 특히 원주상 기관지확장증, 소낭 기관지확장증, 방추상 기관지확장증, 모세 기관지확장증, 구상 기관지확장증, 건성 기관지확장증 및 여포성 기관지확장증으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된 구성원인 기관지확장증
    으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된 질환, 질병 및 증상의 치료에서 사용하기 위한, 화합물,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상기 화합물 또는 염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용매화물.
  9.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염증성 장 질환, 과민성 장 질환, 게실병, 동요병(motion sickness), 위 궤양, 장의 방사선 검사, BPH(양성 전립선 과형성)의 대증 요법, NSAID 유도된 위 궤양화, 요실금(요의빈삭(urgency), 빈뇨(frequency), 절박 요실금, 과민성 방광, 야뇨증 및 하부 요로 증후군 포함), 조절마비, 산동 및 파킨슨병으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된 질환, 질병 및 증상의 치료에서 사용하기 위한, 화합물,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상기 화합물 또는 염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용매화물.
  10.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상기 화합물 또는 염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용매화물과,
    (a) 5-리폭시게나제(5-LO) 억제제 또는 5-리폭시게나제 활성화 단백질(FLAP) 길항제,
    (b) LTB4, LTC4, LTD4 및 LTE4의 길항제를 비롯한 류코트리엔 길항제(LTRA),
    (c) H1 및 H3 길항제를 비롯한 히스타민 수용체 길항제,
    (d) 충혈제거용 α1- 및 α2-아드레날린수용체 작용제 혈관수축 교감신경흥분제,
    (e) PDE3, PDE4 및 PDE5 억제제를 비롯한 PDE 억제제,
    (f) 베타 2 수용체 작용제,
    (g) 테오필린,
    (h) 나트륨 크로모글리케이트,
    (i) 비-선택적 및 선택적 COX-1 또는 COX-2 억제제(NSAID) 둘다를 포함하는 COX 억제제,
    (j) 프로스타글란딘 수용체 길항제 및 프로스타클란딘 합성효소 억제제,
    (k) 경구용 및 흡입용 글루코코르티코스테로이드,
    (l) 코르티코이드 수용체의 해리된 작용제(DAGR),
    (m) 내인성 염증 물질에 활성인 모노클로날 항체,
    (n) 항-종양 괴사 인자(항-TNF-α) 약제,
    (o) VLA-4 길항제를 비롯한 부착 분자 억제제,
    (p) 키닌(Kinin)-B1- 및 B2-수용체 길항제,
    (q) 사이클로스포린 및 IgE 경로 억제제를 비롯한 면역억제제,
    (r)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아제(MMP) 억제제,
    (s) 타키키닌 NK1, NK2 및 NK3 수용체 길항제,
    (t) 엘라스타제 억제제와 같은 프로테아제 억제제,
    (u) 아데노신 A2a 수용체 작용제 및 A2b 길항제,
    (v) 유로키나제 억제제,
    (w) 도파민 수용체에 작용하는 화합물, 예를 들어 D2 작용제,
    (x) NFκβ 경로 조절제, 예를 들어 IKK 억제제,
    (y) p38 MAP 키나제, PI3 키나제, JAK 키나제, syk 키나제, EGFR 또는 MK-2와 같은 사이토킨 신호전달 경로 조절제,
    (z) 점액용해제 또는 진해제로 분류될 수 있는 약제,
    (aa) 흡입용 코르티코스테로이드에 대한 응답을 강화시키는 약제,
    (bb) 호흡관에 서식할 수 있는 미생물에 대해 효과적인 항생제 및 항바이러스제,
    (cc) HDAC 억제제,
    (dd) CXCR2 길항제.
    (ee) 인테그린 길항제,
    (ff) 케모킨,
    (gg) 상피 나트륨 채널(ENaC) 차단제 또는 상피 나트륨 채널(ENaC) 억제제,
    (hh) P2Y2 작용제 및 다른 뉴클레오타이드 수용체 작용제,
    (ii) 트롬복산 억제제,
    (jj) PGD2 합성 및 PGD2 수용체(DP1 및 DP2/CRTH2) 억제제,
    (kk) 니아신, 및
    (ll) VLAM, ICAM 및 ELAM을 비롯한 부착 인자
    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된 다른 치료제와의 조합물.
KR1020117000913A 2008-07-15 2009-07-01 무스칼린 수용체 길항제로서 활성인 신규한 화합물 KR2011001745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072608P 2008-07-15 2008-07-15
US61/080,726 2008-07-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7452A true KR20110017452A (ko) 2011-02-21

Family

ID=41139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0913A KR20110017452A (ko) 2008-07-15 2009-07-01 무스칼린 수용체 길항제로서 활성인 신규한 화합물

Country Status (28)

Country Link
US (1) US20100016366A1 (ko)
EP (1) EP2328868A1 (ko)
JP (1) JP2011528346A (ko)
KR (1) KR20110017452A (ko)
CN (1) CN102099334A (ko)
AP (1) AP2010005512A0 (ko)
AR (1) AR072802A1 (ko)
AU (1) AU2009272303B2 (ko)
BR (1) BRPI0915753A2 (ko)
CA (1) CA2727769A1 (ko)
CL (1) CL2011000093A1 (ko)
CO (1) CO6321246A2 (ko)
CR (1) CR11828A (ko)
DO (1) DOP2011000017A (ko)
EA (1) EA201001842A1 (ko)
EC (1) ECSP11010753A (ko)
HN (1) HN2009001330A (ko)
IL (1) IL210293A0 (ko)
MA (1) MA32479B1 (ko)
MX (1) MX2011000588A (ko)
NI (1) NI201100015A (ko)
NZ (1) NZ589934A (ko)
PE (1) PE20110312A1 (ko)
SV (1) SV2011003808A (ko)
TW (1) TW201006799A (ko)
UY (1) UY31980A (ko)
WO (1) WO2010007552A1 (ko)
ZA (1) ZA20110084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83387A1 (en) * 2010-01-07 2011-07-14 Pfizer Limited Hydrochloride salt of biphenyl-2-yl-carbamic acid 1-{9-[(3-fluoro-4-hydroxy-benzoyl)-methyl-amino]-nonyl}-piperidin-4-yl ester
BR112012025017A2 (pt) * 2010-04-01 2016-08-16 Theravida Inc métodos para melhorar a qualidade do sono.
CN107074816B (zh) * 2015-03-27 2020-07-17 四川海思科制药有限公司 一种杂环衍生物及其制备方法和在医药上的用途
CN107108562B (zh) * 2015-05-14 2020-07-10 四川海思科制药有限公司 具有β2受体激动及M受体拮抗活性的含氮杂螺环衍生物及其在医药上的用途
CN106336406B (zh) * 2015-07-10 2020-01-03 四川海思科制药有限公司 具有β2受体激动及M受体拮抗活性的八氢并环戊二烯衍生物及其在医药上的用途
CA3128468A1 (en) 2017-10-05 2019-04-11 Fulcrum Therapeutics, Inc. P38 kinase inhibitors reduce dux4 and downstream gene expression for the treatment of fshd
US10342786B2 (en) 2017-10-05 2019-07-09 Fulcrum Therapeutics, Inc. P38 kinase inhibitors reduce DUX4 and downstream gene expression for the treatment of FSHD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E20040950A1 (es) * 2003-02-14 2005-01-01 Theravance Inc DERIVADOS DE BIFENILO COMO AGONISTAS DE LOS RECEPTORES ADRENERGICOS ß2 Y COMO ANTAGONISTAS DE LOS RECEPTORES MUSCARINICOS
EP2013172A4 (en) * 2006-04-24 2010-08-04 Astrazeneca Ab NEW ALKYLESTERS FROM CYCLIC AMINO ALCOHOLS WITH MUSCARIN M3 RECEPTORANTAGONOSTIC ACTIVITY FOR THE TREATMENT OF CHRONIC BRONCHIA SUPPRESSION, ASTHMA OR OVERACTIVE HARNBA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Y31980A (es) 2010-02-26
CN102099334A (zh) 2011-06-15
DOP2011000017A (es) 2011-02-15
CO6321246A2 (es) 2011-09-20
MX2011000588A (es) 2011-03-01
ECSP11010753A (es) 2011-02-28
CR11828A (es) 2011-01-10
PE20110312A1 (es) 2011-06-25
CL2011000093A1 (es) 2011-05-06
WO2010007552A1 (en) 2010-01-21
TW201006799A (en) 2010-02-16
JP2011528346A (ja) 2011-11-17
EP2328868A1 (en) 2011-06-08
NI201100015A (es) 2011-08-05
ZA201100841B (en) 2011-10-26
EA201001842A1 (ru) 2011-08-30
AR072802A1 (es) 2010-09-22
AU2009272303B2 (en) 2011-12-22
AU2009272303A1 (en) 2010-01-21
MA32479B1 (fr) 2011-07-03
CA2727769A1 (en) 2010-01-21
US20100016366A1 (en) 2010-01-21
BRPI0915753A2 (pt) 2015-11-03
NZ589934A (en) 2012-06-29
IL210293A0 (en) 2011-03-31
HN2009001330A (es) 2012-04-02
AP2010005512A0 (en) 2010-12-31
SV2011003808A (es) 2011-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21447B1 (ja) ムスカリン様受容体アンタゴニストとしてのカルボキサミド誘導体
TW200806615A (en) Amine derivatives
KR20110017452A (ko) 무스칼린 수용체 길항제로서 활성인 신규한 화합물
KR20090050104A (ko) 아드레날린성 효능제 및 무스카린성 길항제로서 술폰아미드 유도체
RU2422439C2 (ru) Гидрохлоридная соль 5-[3-(3-гидроксифенокси)азетидин-1-ил]-5-метил-2,2-дифенилгексанамида
TWI465443B (zh) Piper with PGDS inhibitory effect Compounds
TW201213329A (en) Pyrazine derivatives as ENaC blockers
CA3129111A1 (en) Charged ion channel blockers and methods for use
JPH09512528A (ja) バソプレッシン拮抗物質としてのベンズアミド誘導体
AU2014342593A1 (en) N-(1-hydroxy-3-(pyrrolidinyl)propan-2-yl)pyrrolidine-3-carboxamide derivatives as glucosylceramide synthase inhibitors
JPS6135175B2 (ko)
EP2066626B1 (en) Azetidine derivatives as muscarinic receptor antagonists
JP2010539154A (ja) ムスカリン様受容体アンタゴニストとして活性な新規化合物
WO2011083387A1 (en) Hydrochloride salt of biphenyl-2-yl-carbamic acid 1-{9-[(3-fluoro-4-hydroxy-benzoyl)-methyl-amino]-nonyl}-piperidin-4-yl ester
CA2603030C (en) Benzyloxypropylamine derivative
WO2010007561A1 (en) Novel compounds active as muscarinic receptor antagonists
WO2021233133A1 (zh) 用作ret激酶抑制剂的化合物及其应用
EA015600B1 (ru) Агенты, усиливающие действие амра-рецепторов
EA010133B1 (ru) Производные формамида, пригодные в качестве адренорецептора
JP2011012024A (ja) インダン化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