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7295A - 렌즈 어레이 및 그를 포함하는 3차원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렌즈 어레이 및 그를 포함하는 3차원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7295A
KR20110017295A KR1020090074888A KR20090074888A KR20110017295A KR 20110017295 A KR20110017295 A KR 20110017295A KR 1020090074888 A KR1020090074888 A KR 1020090074888A KR 20090074888 A KR20090074888 A KR 20090074888A KR 20110017295 A KR20110017295 A KR 201100172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ting
membrane
lens array
gratings
transpa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4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3186B1 (ko
Inventor
휘 김
정경호
윤해영
루지안강
이승훈
이정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4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3186B1/ko
Priority to US12/820,815 priority patent/US8472117B2/en
Publication of KR20110017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72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3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3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02B30/27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lenticular arrays
    • G02B30/2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lenticular arrays involving active lenticular 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02B30/27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lenticular arr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05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lenticular lenses, e.g. arrangements of cylindrical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어레이는 복수개의 제1 상부 격자를 포함하는 제1 상부 격자판, 복수개의 제1 하부 격자를 포함하는 제1 하부 격자판, 제1 상부 격자판과 제1 하부 격자판 사이에 위치하는 제1 멤브레인, 제1 하부 격자판에 채워져 있는 투명한 액체, 그리고 제1 하부 격자판에 위치하는 유압 조절부를 포함하고, 각각의 제1 상부 격자와 제1 하부 격자는 서로 맞물려 복수개의 제1 영역을 이룬다.
렌즈 어레이, 멤브레인, 유압 실린더, 3차원 표시 장치

Description

렌즈 어레이 및 그를 포함하는 3차원 표시 장치{LENS ARRAY AND 3-DIMENTION DISPLAY APPARTUS INCLUDIND THE SAME}
본 발명은 3차원 표시가 가능한 렌즈 어레이 및 그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3차원을 표현하는 입체 영상은 두 눈을 통한 스테레오 시각의 원리에 의하여 이루어지게 되는데, 두 눈의 시차 즉, 두 눈이 약 65mm정도 떨어져서 존재하기 때문에 나타나게 되는 양안 시차는 입체감의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 할 수 있다. 즉, 좌우의 눈은 각각 서로 다른 2차원 화상을 보게 되고, 이 두 화상이 망막을 통해 뇌로 전달되면 뇌는 이를 정확히 서로 융합하여 본래 3차원 영상의 깊이감과 실제감을 재생하는 것이다. 이러한 능력을 통상 스테레오그라피(stereography)라 한다.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양안시차를 이용하는 것으로 관찰자의 별도의 안경착용 여부에 따라 안경식(stereoscopic)의 편광 방식과 시분할 방식, 비안경식(autostereoscopic)의 패럴랙스-배리어방식, 렌티큘러(lenticular)방식 및 블린킹 라이트(blinking light) 방식이 있다.
안경식 편광 방식의 경우에는 많은 인원이 입체 영상을 즐길 수 있으며, 어느 위치에서든지 편광 안경 또는 액정 셔터 안경을 착용하기만 하면 입체 영상을 즐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별도의 편광 안경 또는 액정 셔터 안경을 착용해야 한다는 단점으로 인하여 일상적으로 입체 영상을 즐기도록 하는 경우에는 사용되지 못하고 있으며, 영화관 같은 곳에서 사용되는데 그치고 있다.
이에 반하여 비안경식의 경우에는 안경을 별도로 착용하지 않아도 입체 영상을 즐길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서, 다양한 방식으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비안경식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이미지 패널에 3차원 이미지 형성 장치를 정렬하여 입체 영상을 표시한다. 하지만, 비안경식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단 렌즈(singlet) 형태로만 구현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2차원 및 3차원 변환이 가능하며, 연속적인 형태의 렌즈 어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어레이는 복수개의 제1 상부 격자를 포함하는 제1 상부 격자판, 복수개의 제1 하부 격자를 포함하는 제1 하부 격자판, 제1 상부 격자판과 제1 하부 격자판 사이에 위치하는 제1 멤브레인, 제1 하부 격자판에 채워져 있는 투명한 액체, 그리고 제1 하부 격자판에 위치하는 유압 조절부를 포함하고, 각각의 제1 상부 격자와 제1 하부 격자는 서로 맞물려 복수개의 제1 영역을 이 룬다.
제1 상부 격자판, 제1 하부 격자판 및 제1 멤브레인은 투명할 수 있다.
제1 하부 격자에는 유로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멤브레인은 각각의 제1 상부 격자와 제1 하부 격자가 서로 맞물려 고정되어 있으며, 유압 조절부가 액체에 압력을 가하면 각각의 제1 영역에서 제1 멤브레인이 볼록해질 수 있다.
제1 상부 격자판 위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제2 상부 격자를 포함하는 제2 상부 격자판, 제1 상부 격자판 위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제2 하부 격자를 포함하는 제2 하부 격자판 및 제2 상부 격자판과 제2 하부 격자판 사이에 위치하는 제2 멤브레인을 더 포함하고, 각각의 제2 상부 격자와 제2 하부 격자는 서로 맞물려 복수개의 제2 영역을 이루며, 제2 상부 격자와 제2 하부 격자는 제1 상부 격자와 제1하부 격자와 수직으로 교차할 수 있다.
제2 상부 격자판, 제2 하부 격자판 및 제2 멤브레인은 투명할 수 있다.
제2 하부 격자판에는 투명한 액체가 채워져 있고, 제2 하부 격자에는 유로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하부 격자판과 제2 하부 격자판을 연결하는 유로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멤브레인은 각각의 제2 상부 격자와 제2 하부 격자가 서로 맞물려 고정되어 있으며, 유압 조절부가 액체에 압력을 가하면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서 제1 멤브레인 및 제2 멤브레인이 볼록해질 수 있다.
유압 조절부는 유압 실린더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어레이는 제1 멤브레인, 제1 멤브레인과 접합되어 있는 제2 멤브레인, 제1 멤브레인과 제2 멤브레인 사이에 채워져 있는 투명한 액체, 그리고 투명한 액체에 압력을 조절하는 유압 조절부를 포함한다.
제1 멤브레인 제2 멤브레인은 투명할 수 있다.
제1 멤브레인과 제2 멤브레인은 부분 접합되어 복수개의 제1 영역을 형성하며, 유압 조절부가 투명한 액체에 압력을 가하면 각각의 제1 영역에서 제1 멤브레인 및 제2 멤브레인이 볼록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그리고 표시 패널의 상부에 위치하는 렌즈 어레이를 포함하고, 렌즈 어레이는 복수개의 제1 상부 격자를 포함하는 제1 상부 격자판, 복수개의 제1 하부 격자를 포함하는 제1 하부 격자판, 제1 상부 격자판과 상기 제1 하부 격자판 사이에 위치하는 제1 멤브레인, 제1 하부 격자판에 채워져 있는 투명한 액체, 그리고 제1 하부 격자판에 위치하는 유압 조절부를 포함하고, 각각의 제1 상부 격자와 제1 하부 격자는 서로 맞물려 복수개의 제1 영역을 이룬다.
제1 영역은 화소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상부 격자판, 제1 하부 격자판 및 제1 멤브레인은 투명할 수 있다.
제1 하부 격자에는 유로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멤브레인은 각각의 제1 상부 격자와 제1 하부 격자가 서로 맞물려 고정되어 있으며, 유압 조절부가 액체에 압력을 가하면 각각의 제1 영역에서 제1 멤브 레인이 볼록해질 수 있다.
제1 상부 격자판 위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제2 상부 격자를 포함하는 제2 상부 격자판, 제1 상부 격자판 위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제2 하부 격자를 포함하는 제2 하부 격자판 및 제2 상부 격자판과 제2 하부 격자판 사이에 위치하는 제2 멤브레인을 더 포함하고, 각각의 제2 상부 격자와 제2 하부 격자는 서로 맞물려 복수개의 제2 영역을 이루며, 제2 상부 격자와 제2 하부 격자는 제1 상부 격자와 제1하부 격자와 수직으로 교차할 수 있다.
제2 상부 격자판, 제2 하부 격자판 및 제2 멤브레인은 투명할 수 있다.
제2 하부 격자판에는 투명한 액체가 채워져 있으며, 제2 하부 격자에는 유로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하부 격자판과 제2 하부 격자판을 연결하는 유로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멤브레인은 각각의 제2 상부 격자와 제2 하부 격자가 서로 맞물려 고정되어 있으며, 유압 조절부가 액체에 압력을 가하면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서 제1 멤브레인 및 제2 멤브레인이 볼록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그리고 표시 패널의 상부에 위치하는 렌즈 어레이를 포함하고, 렌즈 어레이는 제1 멤브레인, 제1 멤브레인과 접합되어 있는 제2 멤브레인, 제1 멤브레인과 제2 멤브레인 사이에 채워져 있는 투명한 액체, 그리고 투명한 액체에 압력을 조절하는 유압 조절부를 포함한다.
제1 멤브레인 제2 멤브레인은 투명할 수 있다.
제1 멤브레인과 제2 멤브레인은 부분 접합되어 복수개의 제1 영역을 형성하며, 유압 조절부가 투명한 액체에 압력을 가하면 각각의 제1 영역에서 제1 멤브레인 및 제2 멤브레인이 볼록해질 수 있다.
제1 영역은 화소에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렌즈 어레이에 위치하는 유압 실린더를 사용하여 액체에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2차원 및 3차원 표시가 가능할 수 있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어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 어레이(1000)는 상판 격자판(500), 하판 격자판(600), 그리고, 멤브레인(400)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판 격자판(500)는 투명한 물질로 이루어지며, 상판 격자부(510), 상판 배면부(520), 상판 측면부(530)로 구성된다. 하판 격자판(600) 역시 투명한 물질로 이루어지며, 하판 격자부(610), 하판 배면부(620), 하판 측면부(630)로 구성된다.
하판 격자판(600)에는 투명한 액체(700)로 채워져 있고, 투명한 액체(700)는 하판 격자부(610)에 형성되어 있는 유로(640)를 통하여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하판 격자판(600)의 한 쪽 가장자리에는 액체의 부피를 조절할 수 있는 유압 실린더(800)가 위치하고 있다.
멤브레인(400)은 PDMS(polydimethylsiloxane)과 같이 투명하고, 탄성을 지니며, 접착력이 있는 물질로 이루어진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어레이의 2차원 및 3차원 변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멤브레인(400)은 상판 격자판(500)와 하판 격자판(600) 사이에 위치하며, 상판 격자부(510)와 하판 격자부(610)에 맞물려 고정된다.
또한, 각각의 상판 격자부(510)와 하판 격자부(610)는 맞물려 행방향의 긴 영역을 형성한다.
그리고, 액체(700)에 아무런 압력도 가하지 않았기 때문에 멤브레인(400)는 평평한 형상이고, 상판 격자판(500), 하판 격자판(600), 멤브레인(400) 및 하판 격 자판(600)에 채워진 액체(700)는 모두 투명하므로, 빛은 직선으로 통과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멤브레인(400)와 하판 격자판(600) 사이에는 액체(400)가 존재하고, 멤브레인(400)와 상판 격자판(500) 사이는 빈 공간임으로, 유압 실린더(800)를 사용하여 하판 격자판(600)에 채워진 액체(700)에 압력을 가하면, 액체(700)는 유로(640)를 따라 이동하게 되고, 그 압력에 의해서 각각의 상판 격자부(510)와 하판 격자부(610)는 서로 맞물려 형성된 행방향의 영역에서 멤브레인(400)는 볼록하게 된다.
즉, 각각의 상판 격자부(510)와 하판 격자부(610)는 서로 맞물려 형성된 행방향 영역의 멤브레인(400)의 볼록한 면이 렌즈 역할을 하게 되어 빛이 통과하게 되면 3차원의 형상을 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어레이는 유압 실린더(800)를 사용하여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2차원 및 3차원 렌즈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어레이를 표시 장치에 적용한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패널(300)의 상부에 렌즈 어레이가 위치하며, 상부 격자부(510)와 하부 격자부(610)가 맞물려 형성하는 각각의 영역이 표시 패널(300)의 화소 영역(R, G, B)에 대응한다.
이러한 구성은 표시 패널(300)에서 형성된 화상을 렌즈 어레이를 통하여 볼 수 있게 된다. 유압 실린더(800)를 사용하여 액체(700)에 가하면, 상부 격자부(510)와 하부 격자부(610)가 맞물려 형성하는 각각의 영역에서 멤브레인(400)가 볼록하게 된다. 이 때, 표시 패널(300)에서 형성된 화상을 3차원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액체(700)에 가한 압력을 제거하면, 상부 격자부(510)와 하부 격자부(610)가 맞물려 형성하는 각각의 영역에서 멤브레인(400)가 평평하게 된다. 이 때는 표시 패널(300)에서 형성된 화상을 2차원으로 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어레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어레이 두 개를 겹친 형상이다. 즉, 상부 렌즈 어레이의 상부 배면부(530b)와 하부 렌즈 어레이의 상부 배면부(530a)가 서로 맞닿게 된다. 이 때, 상부 렌즈 어레이는 뒤집어서 하부 렌즈 어레이의 상부에 위치하여 멤브레인(700a, 700b)의 볼록한 면이 서로 마주본다.
또한, 상부 렌즈 어레이의 격자부(510b, 610b)와 하부 렌즈 어레이의 격자부(510a, 610a)가 서로 수직을 이루며 교차하게 배치한다.
이러한 구성은 일차원 행렬 렌즈 어레이를 이차원 행렬 렌즈 어레이로 변화시키며, 인테그랄 이미징(integral imaging) 3차원 시스템을 가능하게 한다.
상부 렌즈 어레이와 하부 렌즈 어레이는 유로관(810)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하부 렌즈 어레이의 유압 실린더(800)가 액체(700a)에 압력을 가하면, 그 압력이 유로관(810)을 따라 상부 렌즈 어레이의 액체(700b)에 전달되므로, 하부 렌즈 어레이의 멤브레인(700a) 뿐만 아니라, 상부 렌즈 어레이의 멤브레인(700b)도 볼록하게 된다.
도 8은 도 7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어레이를 표시 장치에 적용한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패널(300)의 상부에 렌즈 어레이가 위치하며, 상부 격자부(510a)와 하부 격자부(610a)가 맞물려 형성하는 각각의 영역이 표시 패널(300)의 화소 영역(R, G, B)에 대응한다.
이러한 구성은 도 6에서와 같이, 표시 패널(300)에서 형성된 화상을 렌즈 어레이를 통하여 볼 수 있게 된다. 유압 실린더(800)를 사용하여 하부 렌즈 어레이의 액체(700a)에 압력을 가하면, 하부 렌즈 어레이의 멤브레인(700a) 뿐만 아니라, 상부 렌즈 어레이의 멤브레인(700b)도 볼록하게 된다. 이 때, 표시 패널(300)에서 형성된 화상을 3차원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액체(700a)에 가한 압력을 제거하면, 하부 렌즈 어레이의 멤브레인(700a) 뿐만 아니라, 상부 렌즈 어레이의 멤브레인(700b)도 평평하게 된다. 이 때는 표시 패널(300)에서 형성된 화상을 2차원으로 볼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어레이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의 Ⅹ-Ⅹ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9의 렌즈 어레이 2차원 변환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9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어레이는 도 1의 실시예와 달리, 상판 격자판 및 하판 격자판이 없이 멤브레인으로만 구성되어 있다. 즉, 상부 멤브레인(410)과 하부 멤브레인(420) 사이에 투명한 액체(700)가 채워져 있다.
상부 멤브레인(410)과 하부 멤브레인(420)은 접합부(430)에서 부분 접합함으로써, 액체(700)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확보할 수 있다. 상부 멤브레인(410)과 하부 멤브레인(420)은 은 PDMS(polydimethylsiloxane)과 같이 투명하고, 탄성을 지니며, 접착력이 있는 물질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부 멤브레인(410)과 하부 멤브레인(420)을 부분 접합하였지만, 하나의 멤브레인을 반으로 접어서 부분 접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유압 실린더(800)를 사용하여 상부 멤브레인(410)과 하부 멤브레인(420) 사이에 채워진 투명한 액체(700)에 압력을 가하면, 액체(700)는 이동하게 되고, 그 압력에 의해서 상부 멤브레인(410)과 하부 멤브레인(420)은 접합부(430)를 제외한 부분이 볼록하게 된다.
상부 멤브레인(410)과 하부 멤브레인(420)의 볼록한 면이 렌즈 역할을 하게 되어 빛이 통과하게 되면 3차원의 형상을 볼 수 있게 된다.
또한, 액체(700)에 가한 압력을 제거하면, 상부 멤브레인(410)과 하부 멤브레인(420)의 볼록한 면이 평평하게 되어 2차원의 형상을 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유압 실린더(800)를 사용하여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2차원 및 3차원 렌즈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어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어레이의 2차원 및 3차원 변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어레이를 표시 장치에 적용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어레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어레이를 표시 장치에 적용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어레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Ⅹ-Ⅹ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렌즈 어레이 2차원 변환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0: 멤브레인 500: 상부 격자판
600: 하부 격자판 700: 액체
800: 유압 실린더

Claims (27)

  1. 복수개의 제1 상부 격자를 포함하는 제1 상부 격자판,
    복수개의 제1 하부 격자를 포함하는 제1 하부 격자판,
    상기 제1 상부 격자판과 상기 제1 하부 격자판 사이에 위치하는 제1 멤브레인,
    상기 제1 하부 격자판에 채워져 있는 투명한 액체, 그리고
    상기 제1 하부 격자판에 위치하는 유압 조절부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제1 상부 격자와 상기 제1 하부 격자는 서로 맞물려 복수개의 제1 영역을 이루는 렌즈 어레이.
  2. 제1항에서,
    상기 제1 상부 격자판, 상기 제1 하부 격자판 및 상기 제1 멤브레인은 투명한 렌즈 어레이.
  3. 제2항에서,
    상기 제1 하부 격자에는 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렌즈 어레이.
  4. 제3항에서,
    상기 제1 멤브레인은 각각의 상기 제1 상부 격자와 상기 제1 하부 격자가 서 로 맞물려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유압 조절부가 상기 액체에 압력을 가하면 상기 각각의 제1 영역에서 상기 제1 멤브레인이 볼록해지는 렌즈 어레이.
  5. 제1항에서,
    상기 제1 상부 격자판 위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제2 상부 격자를 포함하는 제2 상부 격자판,
    상기 제1 상부 격자판 위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제2 하부 격자를 포함하는 제2 하부 격자판 및
    상기 제2 상부 격자판과 상기 제2 하부 격자판 사이에 위치하는 제2 멤브레인을 더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제2 상부 격자와 상기 제2 하부 격자는 서로 맞물려 복수개의 제2 영역을 이루며,
    상기 제2 상부 격자와 상기 제2 하부 격자는 상기 제1 상부 격자와 상기 제1하부 격자와 수직으로 교차하는 렌즈 어레이.
  6. 제5항에서,
    상기 제2 상부 격자판, 상기 제2 하부 격자판 및 상기 제2 멤브레인은 투명한 렌즈 어레이.
  7. 제6항에서,
    상기 제2 하부 격자판에는 상기 투명한 액체가 채워져 있으며,
    상기 제2 하부 격자에는 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렌즈 어레이.
  8. 제7항에서,
    상기 제1 하부 격자판과 상기 제2 하부 격자판을 연결하는 유로관을 더 포함하는 렌즈 어레이.
  9. 제8항에서,
    상기 제2 멤브레인은 각각의 상기 제2 상부 격자와 상기 제2 하부 격자가 서로 맞물려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유압 조절부가 상기 액체에 압력을 가하면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제1 멤브레인 및 제2 멤브레인이 볼록해지는 렌즈 어레이.
  10. 제1항에서,
    상기 유압 조절부는 유압 실린더인 렌즈 어레이.
  11. 제1 멤브레인,
    상기 제1 멤브레인과 접합되어 있는 제2 멤브레인,
    상기 제1 멤브레인과 상기 제2 멤브레인 사이에 채워져 있는 투명한 액체, 그리고
    상기 투명한 액체에 압력을 조절하는 유압 조절부를 포함하는
    렌즈 어레이.
  12. 제11항에서,
    상기 제1 멤브레인 및 상기 제2 멤브레인은 투명한 렌즈 어레이.
  13. 제12항에서,
    상기 제1 멤브레인과 상기 제2 멤브레인은 부분 접합되어 복수개의 제1 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유압 조절부가 상기 투명한 액체에 압력을 가하면 상기 각각의 제1 영역에서 상기 제1 멤브레인 및 상기 제2 멤브레인이 볼록해지는 렌즈 어레이.
  14. 화상을 표시하는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그리고
    상기 표시 패널의 상부에 위치하는 렌즈 어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 어레이는
    복수개의 제1 상부 격자를 포함하는 제1 상부 격자판,
    복수개의 제1 하부 격자를 포함하는 제1 하부 격자판,
    상기 제1 상부 격자판과 상기 제1 하부 격자판 사이에 위치하는 제1 멤브레인,
    상기 제1 하부 격자판에 채워져 있는 투명한 액체, 그리고
    상기 제1 하부 격자판에 위치하는 유압 조절부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제1 상부 격자와 상기 제1 하부 격자는 서로 맞물려 복수개의 제1 영역을 이루는 표시 장치.
  15. 제14항에서,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화소에 대응하는 표시 장치.
  16. 제15항에서,
    상기 제1 상부 격자판, 상기 제1 하부 격자판 및 상기 제1 멤브레인은 투명한 표시 장치.
  17. 제16항에서,
    상기 제1 하부 격자에는 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표시 장치.
  18. 제17항에서,
    상기 제1 멤브레인은 각각의 상기 제1 상부 격자와 상기 제1 하부 격자가 서로 맞물려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유압 조절부가 상기 액체에 압력을 가하면 상기 각각의 제1 영역에서 상기 제1 멤브레인이 볼록해지는 표시 장치.
  19. 제14항에서,
    상기 제1 상부 격자판 위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제2 상부 격자를 포함하는 제2 상부 격자판,
    복수개의 제2 하부 격자를 포함하는 제2 하부 격자판 및
    제2 상부 격자판과 제2 하부 격자판 사이에 위치하는 제2 멤브레인을 더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제2 상부 격자와 상기 제2 하부 격자는 서로 맞물려 제2 영역을 이루며,
    상기 제2 상부 격자와 상기 제2 하부 격자는 상기 제1 상부 격자와 상기 제1하부 격자와 수직으로 교차하는 표시 장치.
  20. 제19항에서,
    상기 제2 상부 격자판, 상기 제2 하부 격자판 및 상기 제2 멤브레인은 투명한 표시 장치.
  21. 제20항에서,
    상기 제2 하부 격자판에는 상기 투명한 액체가 채워져 있으며,
    상기 제2 하부 격자에는 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표시 장치.
  22. 제21항에서,
    상기 제1 하부 격자판과 상기 제2 하부 격자판을 연결하는 유로관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23. 제22항에서,
    상기 제2 멤브레인은 각각의 상기 제2 상부 격자와 상기 제2 하부 격자가 서로 맞물려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유압 조절부가 상기 액체에 압력을 가하면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제1 멤브레인 및 제2 멤브레인이 볼록해지는 표시 장치.
  24. 화상을 표시하는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그리고
    상기 표시 패널의 상부에 위치하는 렌즈 어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 어레이는
    제1 멤브레인,
    상기 제1 멤브레인과 접합되어 있는 제2 멤브레인,
    상기 제1 멤브레인과 상기 제2 멤브레인 사이에 채워져 있는 투명한 액체, 그리고
    상기 투명한 액체에 압력을 조절하는 유압 조절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5. 제24항에서,
    상기 제1 멤브레인 및 상기 제2 멤브레인은 투명한 표시 장치.
  26. 제25항에서,
    상기 제1 멤브레인과 상기 제2 멤브레인은 부분 접합되어 복수개의 제1 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유압 조절부가 상기 투명한 액체에 압력을 가하면 상기 각각의 제1 영역에서 상기 제1 멤브레인 및 상기 제2 멤브레인이 볼록해지는 표시 장치.
  27. 제26항에서,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화소에 대응하는 표시 장치.
KR1020090074888A 2009-08-13 2009-08-13 렌즈 어레이 및 그를 포함하는 3차원 표시 장치 KR1015931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4888A KR101593186B1 (ko) 2009-08-13 2009-08-13 렌즈 어레이 및 그를 포함하는 3차원 표시 장치
US12/820,815 US8472117B2 (en) 2009-08-13 2010-06-22 Lens array and 3-dimensional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4888A KR101593186B1 (ko) 2009-08-13 2009-08-13 렌즈 어레이 및 그를 포함하는 3차원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7295A true KR20110017295A (ko) 2011-02-21
KR101593186B1 KR101593186B1 (ko) 2016-02-12

Family

ID=43588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4888A KR101593186B1 (ko) 2009-08-13 2009-08-13 렌즈 어레이 및 그를 포함하는 3차원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472117B2 (ko)
KR (1) KR1015931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93203B (zh) * 2011-05-30 2013-04-03 四川大学 光栅2d/3d可切换显示装置
CN104375336B (zh) * 2013-08-13 2017-06-27 天马微电子股份有限公司 立体显示器
CN103913847B (zh) * 2014-03-19 2015-12-0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三维显示***
CN106019615B (zh) * 2016-08-02 2018-07-13 宁波维真显示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2d/3d相互切换的显示方法
US10222555B2 (en) 2017-01-10 2019-03-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tegrated optoelectronic chip and lens array
CN106918918B (zh) * 2017-03-24 2020-04-14 万维云视(上海)数码科技有限公司 一种柱状透镜3d显示器及其制作方法
CN112868227B (zh) * 2018-08-29 2024-04-09 Pcms控股公司 用于基于镶嵌周期性层的光场显示的光学方法及***
CN109917555A (zh) * 2019-04-02 2019-06-21 仰恩大学 一种可实现集成成像2d/3d转换的微透镜阵列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74273A (en) * 1996-08-23 1998-06-30 Vari-Lite, Inc. Variable-geometry liquid-filled lens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energy distribution of a light beam
KR20070030957A (ko) * 2004-07-20 2007-03-16 에이전시 포 사이언스, 테크놀로지 앤드 리서치 가변 초점 마이크로렌즈
US20070188882A1 (en) * 2006-02-10 2007-08-16 Honeywell International, Inc. Devices and related methods for light distribution
KR20080035877A (ko) * 2006-10-20 2008-04-24 삼성전자주식회사 입체 영상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4398A (ko) * 2003-05-14 2006-02-15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조정 가능형 미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74273A (en) * 1996-08-23 1998-06-30 Vari-Lite, Inc. Variable-geometry liquid-filled lens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energy distribution of a light beam
KR20070030957A (ko) * 2004-07-20 2007-03-16 에이전시 포 사이언스, 테크놀로지 앤드 리서치 가변 초점 마이크로렌즈
US20070188882A1 (en) * 2006-02-10 2007-08-16 Honeywell International, Inc. Devices and related methods for light distribution
KR20080035877A (ko) * 2006-10-20 2008-04-24 삼성전자주식회사 입체 영상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3186B1 (ko) 2016-02-12
US8472117B2 (en) 2013-06-25
US20110038044A1 (en) 2011-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17295A (ko) 렌즈 어레이 및 그를 포함하는 3차원 표시 장치
KR101680771B1 (ko)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EP3273688B1 (en) Directional backlight unit, three-dimensional (3d) image display apparatus, and 3d image displaying method
JP4470355B2 (ja) メガネなし表示システム
US9720246B2 (en) Complex spatial light modulator and 3D image display including the same
JP2013545120A (ja) オートステレオスコピック3次元ディスプレイ
US9360840B2 (en) Complex spatial light modulator and 3D image display including the same
KR101939271B1 (ko) 복합 공간 광 변조기 및 이를 포함한 3차원 영상 표시 장치
EP3004967B1 (en) Multi-view display device
KR101897964B1 (ko) 2차원과 3차원 전환이 가능한 3d디스플레이장치
KR101646591B1 (ko) 패러랙스 배리어 및 이를 포함하는 3차원 영상 표시장치
TWI556037B (zh) 液晶顯示器及其電控式立體光柵結構
KR101360780B1 (ko) 다시점 무안경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TWM497789U (zh) 用於液晶顯示器的電控式立體光柵結構
KR20140141947A (ko) 무안경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TWM502857U (zh) 液晶顯示器及其電控式立體光柵結構
TWI534478B (zh) 場色序法液晶顯示器的製作方法
TWI603118B (zh) 用於液晶顯示器的電控式立體光柵結構
WO2022074409A1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a 3d image
TWI540340B (zh) 液晶顯示器及其製作方法
TWI581009B (zh) 液晶顯示器及其製作方法
Liou et al. A novel time-multiplexed autostereoscopic multiview full resolution 3D display
KR101185787B1 (ko) 무안경식 입체 영상용 표시용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TWI598635B (zh) 自動立體顯示器,包括該自動立體顯示器之電子裝置,製造一自動立體顯示器之方法,將一防條帶層附接或施加至一凸鏡狀構件之方法,光學堆疊及製造一光學堆疊之方法
TW201624060A (zh) 液晶顯示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