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9651U - 휴대용 드립퍼 및 이를 구비한 음료 용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드립퍼 및 이를 구비한 음료 용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9651U
KR20110009651U KR2020100003518U KR20100003518U KR20110009651U KR 20110009651 U KR20110009651 U KR 20110009651U KR 2020100003518 U KR2020100003518 U KR 2020100003518U KR 20100003518 U KR20100003518 U KR 20100003518U KR 20110009651 U KR20110009651 U KR 2011000965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ember
container
dripper
inle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35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모서현
Original Assignee
모서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서현 filed Critical 모서현
Priority to KR20201000035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9651U/ko
Publication of KR201100096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965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12Vessels or pots for table use
    • A47G19/14Coffee or tea pots
    • A47G19/145Drip catchers for coffee or tea po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66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 A47G19/2272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from drinking glasses or cups comprising lids 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42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specially adapted to cooperate with a cartridge, e.g. having grooves or protrusions to separate cartridge from the bottom of the brewing cha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간단한 구조로 되어 휴대가 용이하고 다양한 용기에 장착하여 잎차나 원두 커피 추출에 사용할 수 있도록 된 휴대용 드립퍼 및 이를 구비한 용기를 제공한다.
본 용기는 내부에 저장공간을 갖고 상부는 개방되어 입구를 형성하는 본체와, 본체의 입구를 개폐하는 뚜껑, 본체 외측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필요시 입구에 걸쳐져 대상물을 추출하는 드립퍼를 포함하고, 본 드립퍼는 외표면을 이루는 커버부재와, 커버부재 양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용기의 외측면을 탄력적으로 파지하기 위한 고정바, 커버부재 내측에 구비되며 커버부재 하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커버부재에 대해 회동되어 펼쳐지는 회동부재, 회동부재와 커버부재 사이에 설치되고 회동부재와 커버부재 사이에 접혀져 있다 펼쳐져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여과망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드립퍼 및 이를 구비한 음료 용기{PORTABLE DRIPPER AND BEVERAGE VESSEL WITH THE SAME}
본 고안은 잎차나 커피 등을 추출하기 위한 드립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본 고안은 휴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드립퍼 및 이를 구비한 음료 용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점점 건강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잎차를 애용하는 사람이 늘어나고 있으며, 커피도 일회용 인스탄트 커피에서 벗어나 원두 커피의 소비 비율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잎차나 원두커피를 추출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추출기나 적합한 기구를 이용해야 하므로 번거로워 불편하다. 잎차나 원두 커피 등을 간단하게 이용하기 위해서 티-백(tea-bag)에 담겨진 일회용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일회용 티-백은 잎차 또는 커피의 고유한 맛이 제대로 나오지 않아 만족스럽지 못하다.
또한 실내가 아닌 운동 또는 등산이나 그 이외 이동시 잎차나 원두 커피를 음용하고 싶어도 휴대가 용이한 적당한 추출기구가 없어 음용을 못하며, 비싼 비용을 들여 판매되는 제품을 사먹는 실정이다.
따라서 휴대가 용이하며 어느 곳에서도 잎차나 원두 커피를 추출하여 음용할 수 있는 기구의 개발이 절실하다.
이에 간단한 구조로 되어 휴대가 용이하고 다양한 용기에 장착하여 잎차나 원두 커피 추출에 사용할 수 있도록 된 휴대용 드립퍼 및 이를 구비한 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원두 커피나 잎차의 보관의 보관이 용이한 휴대용 드립퍼를 구비한 용기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용기는 내부에 저장공간을 갖고 상부는 개방되어 입구를 형성하는 본체와, 본체의 입구를 개폐하는 뚜껑, 본체 외측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필요시 입구에 걸쳐져 대상물을 추출하는 드립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용기는 본체 하단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저장공간이 구비된 보관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뚜껑은 상단 일측에 티백의 실을 끼워 고정시킬 수 있는 슬릿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드립퍼는 외표면을 이루는 커버부재와, 커버부재 양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용기의 외측면을 탄력적으로 파지하기 위한 고정바, 커버부재 내측에 구비되며 커버부재 하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커버부재에 대해 회동되어 펼쳐지는 회동부재, 회동부재와 커버부재 사이에 설치되고 회동부재와 커버부재 사이에 접혀져 있다 펼쳐져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여과망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필요시 드립퍼를 용기 입구에 걸치고 커버부재로부터 회동부재를 펼치게 되면 여과망이 벌어짐으로써, 잎차나 원두커피를 담아 추출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휴대와 보관이 용이하여 어느 곳에서나 잎차나 원두 커피를 추출하여 음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간단한 구조로 되어 기존의 용기에 간편하게 장착하여 잎차나 원두 커피를 추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잎차나 원두 커피를 별도로 보관할 수 있게 되어 사용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티백 사용시 티백의 실을 고정시킬 수 있게 되어 티백을 보다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따른 휴대용 드립퍼가 구비된 음료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드립퍼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드립퍼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드립퍼의 평단면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드립퍼의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드립퍼가 음료 용기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다른 실시예에서 대응하거나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라 드립퍼가 설치된 용기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2는 용기의 각 구성부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용기(10)는 원통형태의 본체(12)를 포함한다. 본체(12)는 내부에 추출물이 담겨질 수 있도록 하단이 막혀 저장공간을 이루고 상단은 개방되어 입구(14)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입구(14)는 사각 단면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는 드립퍼(30)가 보다 용이하게 입구(14)에 놓여질 수 있도록 드립퍼(30)와 대응되는 형태를 이루기 위함이다.
사각 단면 구조의 입구(14) 크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대략 드립퍼(30)가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형성된다.
본 용기(10)는 본체(12)의 입구(14)를 개폐하기 위한 뚜껑(16)을 구비한다. 상기 뚜껑(16)은 사각 단면 구조의 입구(14)와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입구(14)에 끼워져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은 입구(14)와 대응되는 사각단면형태로 이루어지고 상단은 원형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뚜껑(16)의 구조는 특별히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뚜껑(16)의 상단에는 티백을 이용하는 경우 티백에 달려있는 실을 걸어 고정시킬 수 있도록 슬릿(18)이 더 형성된다. 티백은 잎차나 원두 커피가 내장된 일회용 포장체로, 일측에 소정 길이의 실이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사용자는 티백만을 물 속에 담그고 실을 이용하여 추후 티백을 물 밖으로 용이하게 건져내게 된다. 종래에는 티백 사용시 실이 용기(10) 내의 물 속에 들어가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어 티백을 건져내기 불편하였다. 그러나, 본 용기(10)는 언급한 바와 같이 뚜껑(16)의 상단에 티백의 실을 걸어 고정하기 위한 슬릿(18)이 형성되어 실을 슬릿(18)에 끼워줌으로써 실이 용기(10)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슬릿(18)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릿(18)은 끼워진 실이 외측으로 다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실이 진입되는 입측의 폭이 실의 두께보다 작은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슬릿(18)에 끼워진 실은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슬릿(18)에 계속 걸려져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용기(10)는 본체(12) 하단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저장공간이 구비된 보관통(20)을 더 포함한다. 보관통(20)은 본체(12)와 대응되는 원통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크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보관통(20)은 본체(12) 하단과 억지끼움식으로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를 위해 본체(12)의 하단에는 보관통(20) 내부로 끼워지는 끼움부(21)가 형성되고, 끼움부(21)에는 외주면을 따라 보관통(20) 내측면과 결합되는 돌기(22)가 돌출형성된다. 보관통(20)의 상단 내측면에는 상기 돌기(22)와 대응되는 형태의 안착홈(23)이 형성되된다. 이에 보관통(20)을 본체(12) 하단에 결합시키게 되면 끼움부(21)가 본체(12) 상단 내측으로 진입되면서 끼움부(21)의 돌기(22)가 본체(12) 상단의 안착홈(23)에 맞물려, 보관통(20)이 본체(12)에 결합된다. 상기 구조 외에 본체와 보관통의 결합은 예를 들어, 나사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보관통(20)은 상단이 개방된 구조로 상단을 통해 내용을이 담겨질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랍형태의 인출부(24)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인출부(24)는 보관통(20)의 측면에 형성된 홀(26)을 통해 내외로 인출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인출부(24)의 외측면은 보관통(20)의 외표면을 이룬다. 상기 인출부(24)를 통해 보다 용이하게 보관통(20) 내부 저장물을 인출하거나 보관통(20) 내부로 저장물을 담아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보관통(20)으로부터 인출부(24)를 밖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인출부 양 측단쪽에는 손잡이(27)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보관통(20)에는 손잡이(27)가 노출될 수 있도록 홈(28)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게 홈(28)쪽에 놓여진 손잡이(27)를 이용하여 인출부(24)를 보관통(20)에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드립퍼(30)는 원통형태의 용기(10) 본체(12) 외주면에 끼워져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드립퍼(3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드립퍼(30)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드립퍼(30)는 외표면을 이루는 커버부재(32)와, 커버부재(32) 양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용기(10)의 외측면을 탄력적으로 파지하기 위한 고정바(34), 커버부재(32) 내측에 구비되며 커버부재(32) 하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커버부재(32)에 대해 회동되어 펼쳐지는 회동부재(36), 회동부재(36)와 커버부재(32) 사이에 설치되고 회동부재(36)와 커버부재(32) 사이에 접혀져 있다 펼쳐져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여과망(38)을 포함한다.
본 커버부재(32)는 내부의 여과망(38)을 감싸 보호하게 된다. 상기 커버부재(32)는 원통형태의 용기(10) 측면에 대응되는 곡률 반경으로 휘어져 형성되며, 최대한 얇은 두께로 이루어진다. 또한, 커버부재(32)의 폭은 대략 용기(10)의 입구(14)와 대응되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이에 내부 여과망(38)이 용기(10) 내부로 장입될 수 있게 된다. 커버부재(32)의 상하방향 길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커버부재(32)은 내부가 홈 형태로 파여져 있어 여과망(38)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이룬다.
상기 커버부재(32)의 상단 양 측면에는 고정바(34)가 일체로 연장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바(34)는 원통형태의 용기(10)에 대응되도록 원호형태로 만곡된다. 상기 고정바(34)의 길이는 최소 용기(10)의 절반 이상을 휘감을 수 있는 정도로 형성된다. 상기 고장바는 자체적으로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용기(10)에 탄력적으로 고정된다.
상기 회동부재(36)는 커버부재(32)의 내측에 구비된다. 회동부재(36)는 전면이 절결되어 개방된 구조이며 이 개방면에 여과망(38)이 설치된다. 즉, 회동부재(36)는 여과망(38)의 양 측단과 상단을 고정하는 테두리 역할을 하게 된다.
회동부재(36) 역시 커버부재(32)와 동일한 곡률반경으로 휘어져 형성되어 내면이 커버부재(32)와 밀착된다. 회동부재(36)의 외면은 용기(10) 외표면에 접하게 된다. 이에 커버부재(32)와 회동부재(36) 사이에 설치되는 여과망(38)은 커버부재(32)와 용기(10) 사이에서 외부로부터 보호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부재(36)는 회동부재의 상부 모서리가 커버부재(32) 상부와 고정바(34) 연결부분의 단턱진 부분에 끼워져 고정된다.
상기 회동부재(36)는 커버부재(32) 하단을 축으로 하여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회동부재(36)는 커버부재(32)와 하단만이 연결되어 회동되는 구조일 수 있으며, 커버부재(32)와 별도로 구비되어 하단이 커버부재(32)와 힌지결합된 구조일 수 있다.
도 4는 상기 커버부재(32)와 회동부재(36) 사이에 설치되는 여과망(38)의 설치 구조를 예시하고 있다. 여과망(38)은 잎차나 원두커피를 거르기 위한 망 구조물로 본 실시예에서는 천재질로 이루어진다.
여과망(38)은 중앙부가 회동부재(36) 전면에 설치되고 양 선단은 회동부재(36) 양 측단에 부착된 상태로 연장되어 커버부재(32) 양 측단에 고정된다. 그리고 하단은 커부부재에 부착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회동부재(36)에 전면에 위치하는 부분을 여과망의 전면(38a)이라 하고, 회동부재(36)와 커버부재(32) 사이에 배치되는 부분을 여과망의 측면(38b)이라 한다. 그리고 회동부재(36) 하단과 커버부재(32) 하단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을 여과망의 밑면(38c)라 한다.
여과망의 전면(38a)은 커버부재(32)의 테두리를 따라 부착된다. 여과망의 측면(38b)은 삼각형태로 이루어져 회동부재(36) 측면과 커버부재(32) 측면 사이에 부착된다. 이에 여과망의 측면(38b)은 커버부재(32)와 회동부재(36) 사이에서 접혀져 있는 상태에서 회동부재(36)가 회동되면 펼쳐지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망(38)은 커버부재(32)와 회동부재(36) 사이의 공간 내에 적재된다. 회동부재(36)의 전면은 개방되어 여과망의 전면(38a)을 이룬다. 여과망의 양 측면(38b)는 접혀진 상태로 공간 내에 놓여진다. 커버부재의 내부 공간 바닥은 커버부재와 회동부재 사이의 틈새로 여과망의 밑면(38c)을 이룬다.
도 6은 회동부재(36)가 커버부재(32)로부터 회동된 경우 측면부재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회동부재(36)가 커버부재(32)에서 회동되어 펼쳐지면 여과망의 전면(38a)과 측면(38b), 밑면(38c) 그리고 커버부재(32)에 의해 공간이 형성된다. 이에 잎차나 원두 커피를 상기 공간에 장입하여 내용물을 추출할 수 있게 된다. 여과망의 밑면(38c)은 회동부재(36)가 커버부재(32) 사이의 틈새 사이에 배치되어 여과망의 바닥을 이룬다. 이에 여과망에 담긴 잎차나 원두 커피의 추출액이 최종적으로 상기 여과망의 밑면(38c)을 통해 배출되어 보다 진한 추출액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드립퍼(30)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0)로부터 본 드립퍼(30)를 분리한 후 드립퍼(30)를 용기(10)의 입구(14)에 걸쳐놓는다. 이에 드립퍼(30)의 커버부재(32)가 입구(14)를 통해 용기(10) 내부로 들어가고 고정바(34)가 입구(14) 상단에 걸쳐진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커버부재(32) 상단에서 회동부재(36) 상단을 분리하여 회동시키게 되면 커버부재(32)는 커버부재(32)로부터 벌어지게 된다. 그리고 커버부재(32)와 회동부재(36) 사이에 부착되어 접혀져 있던 여과망의 측면(38b)이 점차적으로 펼쳐지게 된다.
여과망의 측면(38b)이 완전히 펼쳐지게 되면 커버부재(32)와 여과망의 측면(38b) 그리고 회동부재(36)가 대략 사각형태를 이룬다. 본 실시예에서 용기(10)의 입구(14) 역시 사각형태로 이루어져, 본 여과망(38)은 대략 입구(14)에 맞춰져 벌려진 상태가 된다.
이에 사용자는 상기 벌려진 여과망(38)의 내측으로 잎차나 원두 커피를 장입하고 물을 부어 원하는 내용물을 추출할 수 있게 된다.
내용물 추출이 완료되면 여과망(38) 내부의 잎차나 원두 커피 찌꺼기를 배출하고 다시 회동부재(36)를 커버부재(32) 내측으로 회동시킨다. 회동부재(36)가 커버부재(32)쪽으로 회동됨에 따라 펼쳐져 있던 여과망의 측면(38b)은 다시 접혀진다. 회동부재(36)가 커버부재(32)에 완전히 밀착되면 본 드립퍼(30)를 용기(10) 측면에 장착하여 보관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고안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
10 : 용기 12 : 본체
14 : 입구 16 : 뚜껑
18 : 슬릿 20 : 보관통
24 : 인출부 30 : 드립퍼
32 : 커버부재 34 : 고장바
36 : 회동부재 38 : 여과망

Claims (4)

  1. 내부에 저장공간을 갖고 상부는 개방되어 입구를 형성하는 본체와, 본체의 입구를 개폐하는 뚜껑, 본체 외측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필요시 입구에 걸쳐져 대상물을 추출하는 드립퍼를 포함하고,
    상기 드립퍼는 외표면을 이루는 커버부재와, 커버부재 양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용기의 외측면을 탄력적으로 파지하기 위한 고정바, 커버부재 내측에 구비되며 커버부재 하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커버부재에 대해 회동되어 펼쳐지는 회동부재, 회동부재와 커버부재 사이에 설치되고 회동부재와 커버부재 사이에 접혀져 있다 펼쳐져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여과망을 포함하는 음료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하단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저장공간이 구비된 보관통을 더 포함하는 음료 용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상단 일측에 티백의 실을 끼워 고정시킬 수 있는 슬릿이 더 형성된 음료 용기.
  4. 외표면을 이루는 커버부재와, 커버부재 양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용기의 외측면을 탄력적으로 파지하기 위한 고정바, 커버부재 내측에 구비되며 커버부재 하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커버부재에 대해 회동되어 펼쳐지는 회동부재, 회동부재와 커버부재 사이에 설치되고 회동부재와 커버부재 사이에 접혀져 있다 펼쳐져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여과망을 포함하는 휴대용 드립퍼.
KR2020100003518U 2010-04-05 2010-04-05 휴대용 드립퍼 및 이를 구비한 음료 용기 KR2011000965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518U KR20110009651U (ko) 2010-04-05 2010-04-05 휴대용 드립퍼 및 이를 구비한 음료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518U KR20110009651U (ko) 2010-04-05 2010-04-05 휴대용 드립퍼 및 이를 구비한 음료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651U true KR20110009651U (ko) 2011-10-12

Family

ID=45596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3518U KR20110009651U (ko) 2010-04-05 2010-04-05 휴대용 드립퍼 및 이를 구비한 음료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9651U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9237B1 (ko) * 2011-05-15 2013-02-07 조현경 물때의 끼임을 방지하는 컵
KR101428669B1 (ko) * 2012-12-17 2014-08-11 한국과학기술원 휴대용 드립커피 메이커
CN106510383A (zh) * 2017-01-25 2017-03-22 赵琦 一种分体折叠式速溶饮料杯
CN106579969A (zh) * 2016-12-23 2017-04-26 王昆玉 功夫茶冲泡工艺与便携式茶杯
KR20180050477A (ko) * 2016-11-04 2018-05-15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조립식 텀블러 및 이의 세척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9237B1 (ko) * 2011-05-15 2013-02-07 조현경 물때의 끼임을 방지하는 컵
KR101428669B1 (ko) * 2012-12-17 2014-08-11 한국과학기술원 휴대용 드립커피 메이커
KR20180050477A (ko) * 2016-11-04 2018-05-15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조립식 텀블러 및 이의 세척방법
CN106579969A (zh) * 2016-12-23 2017-04-26 王昆玉 功夫茶冲泡工艺与便携式茶杯
CN106510383A (zh) * 2017-01-25 2017-03-22 赵琦 一种分体折叠式速溶饮料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2781174T3 (en) A method, device and capsule system for preparing a beverage
JP6109933B2 (ja) 飲料を抽出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デバイスならびにカプセル
KR200470316Y1 (ko) 더치커피기구
JP2017500084A (ja) 飲料を浸出するための器具および方法
KR20110009651U (ko) 휴대용 드립퍼 및 이를 구비한 음료 용기
KR200459398Y1 (ko) 드리퍼가 구비된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
JP2012515043A (ja) 使い捨てコーヒー豆抽出機
RU2225154C2 (ru) Фильт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фе или аналогичных напитков
KR200451321Y1 (ko) 휴대용 컵
KR200455438Y1 (ko)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
US9826849B2 (en) Universal lid system and methods
KR200458422Y1 (ko) 차 음용을 위한 물병 마개형 휴대용 인퓨저
JP3200732U (ja) ドリップパック
JP3220482U (ja) 飲料用ドリッパー
KR20120082064A (ko) 휴대하기 편리한 컵
KR200475781Y1 (ko) 커피 필터 내장형 용기
JP3095901U (ja) 茶の抽出器具
KR200454639Y1 (ko)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기구
CN206566320U (zh) 呼吸机冷凝水收集消毒装置
KR20240082079A (ko) 커피 드리퍼 및 커피 드리퍼용 드립필터
KR20130092009A (ko) 휴대용 차 추출 용기
KR101718246B1 (ko) 자성부가 구비된 테이크아웃 컵
JP2002253426A (ja) ドリッパ兼用収容容器
KR20210051660A (ko) 티백 거치용 텀블러
KR200454675Y1 (ko) 살포유도용 단부를 가지는 주입부를 포함한 필터 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