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7357U - 플러그인 부스웨이 - Google Patents

플러그인 부스웨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7357U
KR20110007357U KR2020100000513U KR20100000513U KR20110007357U KR 20110007357 U KR20110007357 U KR 20110007357U KR 2020100000513 U KR2020100000513 U KR 2020100000513U KR 20100000513 U KR20100000513 U KR 20100000513U KR 20110007357 U KR20110007357 U KR 2011000735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closure
plate
busbar
sidewalls
side wa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05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7471Y1 (ko
Inventor
황성재
정대영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000005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7471Y1/ko
Publication of KR201100073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735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74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747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4Partially-enclosed installations, e.g. in ducts and adapted for sliding or rolling current coll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05Laminated bus-ba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10Cooling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플러그인 부스웨이는 마주하는 한 쌍의 측벽들, 상기 측벽들을 연결하는 상판 및 강성 보강과 방열을 위해 상기 상판 상에 형성된 리브(rib)를 포함하는 외함 상판; 상기 측벽들 및 상기 상판에 의하여 형성된 수납 공간에 수납되며 일부가 외함 상판으로부터 돌출된 단자를 갖는 도전체 및 상기 도전체를 절연하는 절연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스바; 상기 부스바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상판과 마주하며 상기 측벽들에 고정된 외함 하판; 마주하는 각 측벽들의 외측면에 결합된 블록 형상의 서포트 유닛들; 및 상기 각 서포트 블록들과 결합 되며 상기 단자의 상면 및 상기 상면과 대향하는 하면을 덮어 보호하는 조인트 케이스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플러그인 부스웨이{PLUG-IN BUSWAY}
본 고안은 플러그인 부스웨이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공장, 빌딩, 사무실 등 다양한 작업 공간의 배선 설비의 하나인 부스웨이(busway)가 설치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부스웨이는 알루미늄과 같은 우수한 방열 하우징, 방열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절연체에 의하여 방열 하우징과 절연된 플레이트 형상의 버스바(busbar)를 포함하며, 부스웨이의 개방된 밑부분을 이용하여 플러그인 유니트를 위치 제약 없이 삽입하여 다양한 위치에 자유롭게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종래 부스웨이는 전원설비 공사에 필요한 전원선, 알루미늄 덕트, 배선 기구, 분전함 등을 필요로 하지 않아 실내의 천장이나 벽면 또는 바닥면에 조립식으로 설치됨으로써 설치가 매우 용이한 장점을 갖는다.
종래 부스웨이는 라인 형상으로 그 길이가 매우 길게 제작되기 때문에 자중 또는 외력에 의하여 휘거나 구부러지기 쉽고, 부스웨이 내의 동선 또는 버스바가 통전되었을 때 버스바로부터 다량의 열이 발생되고 버스바로부터 발생된 열에 의하여 부스웨이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고안은 긴 길이로 형성됨에 따라 발생 되는 휨 또는 구부러짐을 방지 및 버스바의 통전에 의하여 발생된 열을 신속하게 외부로 방열하여 성능을 보다 향상시킨 플러그인 부스웨이를 제공한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실시예로서, 플러그인 부스웨이는 마주하는 한 쌍의 측벽들, 상기 측벽들을 연결하는 상판 및 강성 보강과 방열을 위해 상기 상판 상에 형성된 리브(rib)를 포함하는 외함 상판; 상기 측벽들 및 상기 상판에 의하여 형성된 수납 공간에 수납되며 일부가 외함 상판으로부터 돌출된 단자를 갖는 도전체 및 상기 도전체를 절연하는 절연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스바; 상기 부스바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상판과 마주하며 상기 측벽들에 고정된 외함 하판; 마주하는 각 측벽들의 외측면에 결합된 블록 형상의 서포트 유닛들; 및 상기 각 서포트 블록들과 결합 되며 상기 단자의 상면 및 상기 상면과 대향 하는 하면을 덮어 보호하는 조인트 케이스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플러그인 부스웨이에 따르면, 플러그인 부스웨이의 부스바로부터 발생된 열을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하여 플러그인 부스웨이의 성능 저하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플러그인 부스웨이가 외력 또는 자중에 의하여 휘거나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강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인 부스웨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을 조립한 플러그인 부스웨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인 부스웨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을 조립한 플러그인 부스웨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들을 참조하면, 플러그인 부스웨이(또는 버스웨이, plug-in busway;100)는 외함 상판(10), 부스바(bus bar;20), 외함 하판(30), 서포트 유닛(42,44) 및 조인트 케이스(50)를 포함한다.
외함 상판(10)은, 예를 들어, 'H' 빔 형상을 갖는다. H 빔 형상을 갖는 외함 상판(10)은 측벽(3,6)들, 상판(7) 및 리브(rib;9)들을 포함한다.
외함 상판(10)은 알루미늄과 같은 우수한 열전도율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며, 외함 상판(10)의 측벽(3,6)들, 상판(7) 및 리브(9)는 압출 공정 등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측벽(3,6), 상판(7) 및 리브(9)는 조립 공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측벽(3,6)들은, 예를 들어, 직육면체 플레이트 형상을 갖고, 측벽(3,6)들은 도 1에 정의된 Y 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측벽(3,6)들은 각각 제1 측벽(3) 및 제2 측벽(6)으로서 정의하기로 한다.
제1 측벽(3)은 제1 측벽 플랜지부(1,2)들을 포함하며, 제1 측벽 플랜지부(1,2)들은 제1 측벽(3)의 상단 및 상기 상단과 대향 하는 하단을 각각 제1 측벽(3)의 바깥쪽으로 절곡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측벽(3)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형성된 제1 측벽 플랜지부(1,2)들은 상호 마주하게 배치된다.
제2 측벽(6)은 제2 측벽 플랜지부(4,5)들을 포함하며, 제2 측벽 플랜지부(4,5)들은 제2 측벽(6)의 상단 및 상기 상단과 대향 하는 하단을 각각 제2 측벽(6)의 바깥쪽으로 절곡 하여 형성된다. 제2 측벽(6)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형성된 제2 측벽 플랜지부(4,5)들은 상호 마주하게 배치된다.
상판(7)은 제1 측벽(3) 및 제2 측벽(6) 사이에 배치되며, 상판(7)은 제1 및 제2 측벽(3,6)들에 대하여 수직하게 도 1의 X 축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판(7)은 제1 및 제2 측벽(3,6)의 상단 및 하단 사이에 배치된다.
제1 및 제2 측벽(3,6)들 및 상판(7)에 의하여 외함 상판(10)의 하부에는 수납공간(8)이 형성된다.
리브(9)는 상판(7)의 상면 상에 형성된다. 리브(9)는 도 1에 정의된 Z 방향을 따라 라인 형상으로 형성되며, 리브(9)는,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 2 개가 상판(7)에 형성된다.
외함 상판(10)의 상판(7)의 상면에 형성된 리브(9)는 외함 상판(10)이 외력 또는 자중에 의하여 휘어지거나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후술 될 부스바(20)가 통전됨에 따라 부스바(20)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신속하게 외부로 방열하는 역할을 함께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리브(9)는 상판(7)으로부터 돌출되거나 상판(7)에 부착될 수 있고, 리브(9)의 형상은 라인 형상, 격자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외함 상판(10)의 상판(7)에 형성된 리브(9)는 두 개가 상호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고, 리브(9)들의 사이에 대응하는 상판(7)에는 후술 될 부스바(20)를 노출하는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리브(9)들 사이에 대응하는 상판(7)에 형성된 개구는 부스바(20)로부터 발생된 열을 신속하게 외부로 전달하여 부스바(20), 외함 상판(10) 및 후술 될 외함 하판(30)이 가열되는 것을 방지한다.
부스바(20)는 단자(23)를 갖는 도전체(22) 및 절연체(24)를 포함한다. 부스바(20)는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 복수개가 적층 배치될 수 있다.
도전체(22)는, 예를 들어, 직육면체 플레이트 형상을 갖고, 도전체(22)의 단부에는 절연체(24)로부터 노출된 단자(23)가 형성된다.
절연체(24)는, 도전체(22)를 감싸 절연하며, 단자(23)는 절연체(24)로부터 노출된다. 절연체(24)에 의하여 복수개가 적층된 각 부스바(20)들은 상호 절연된다.
부스바(20)는 제1 및 제2 측벽(3,6)들 및 상판(7)에 의하여 외함 상판(10)의 하부에 배치된 수납 공간(8)에 배치되며, 부스바(20)의 단자(23)는 외함 상판(10)으로부터 돌출된다.
외함 하판(30)은 외함 상판(10)의 수납 공간(8)에 배치되며 외함 하판(30)은 외함 상판(10)의 상판(7)과 마주하게 배치된다. 외함 하판(30)은 외함 상판(10)의 제1 및 제2 측벽(3,6)들에 고정된다.
외함 하판(30)을 외함 상판(10)의 제1 및 제2 측벽(3,6)들에 고정하기 위하여, 외함 하판(30)은 외함 하판(30)의 양쪽 에지를 제1 및 제2 측벽(3,6)들과 평행하게 절곡한 하판 플랜지부(32)를 포함하고, 하판 플랜지부(32) 및 외함 상판(10)의 제1 및 제2 측벽(3,6)들은 체결 나사 등에 의하여 결합 된다.
부스바(20)는 외함 상판(10)의 상판(7) 및 외함 하판(30)의 사이에서 지지된다.
외함 하판(30)의 외측면에는 추가 리브(34)가 배치된다. 추가 리브(34)는 외함 하판(30)의 외측면에 도 1에 정의된 Z축 방향으로 형성되며, 추가 리브(34)는,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라인 형상으로 형성된다.
외함 하판(30)의 외측면에 형성된 추가 리브(34)는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 2개가 상호 평행하게 배치된다. 추가 리브(34)는 외함 하판(30)이 외력 또는 자중에 의하여 휘거나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 및 부스바(20)가 통전 되면서 발생한 열을 외부로 신속하게 방열하는 역할을 한다.
부스바(20)로부터 발생된 열을 보다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추가 리브(34)들 사이에는 부스바(20)를 노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서포트 유닛(42,44)은 직육면체 블럭 형상으로 형성되며, 서포트 유닛(42,44)은 외함 상판(10)의 제1 측벽(3)의 제1 측벽 플랜지부(1,2)들 및 외함 상판(10)의 제2 측벽(6)의 제2 측벽 플랜지부(4,5)들에 각각 결합 된다.
서포트 유닛(42,44)은 외함 상판(10)의 제1 및 제2 측벽(3,6)들의 뒤틀림 강성을 보강 및 후술 될 조인트 케이스(5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함께한다.
어느 하나의 서포트 유닛(42)과 제1 측벽(3)의 제1 측벽 플랜지부(1,2)들 및 나머지 하나의 서포트 유닛(44)과 제2 측벽(6)의 제2 측벽 플랜지부(4,5)들은 각각 체결 나사에 의하여 체결될 수 있다.
조인트 케이스(50)는 각 서포트 블록들(42,44)들과 결합 되며, 부스바(20)의 단자(23)의 상면 및 상면과 대향 하는 하면을 덮어 보호한다. 조인트 케이스(50) 및 부스바(20)의 단자(23)들은 상호 소정 간격 이격 된다.
조인트 케이스(50)는 부스바(20)의 단자(23)를 노출하는 개구를 가질 수 있다. 조인트 케이스(50)는 얇은 두께를 갖는 금속판 또는 합성수지판을 절곡 하여 형성할 수 있다.
조인트 케이스(50)는 서포트 블록(42,44)들과 결합 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제1 케이스부(52), 제1 케이스부(52)로부터 부스바(20)의 단자(23)와 평행하게 각각 연장된 제2 및 제3 케이스부(54,56)들을 포함한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에 의하면, 플러그인 부스웨이의 부스바로부터 발생된 열을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하여 플러그인 부스웨이의 성능 저하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플러그인 부스웨이가 외력 또는 자중에 의하여 휘거나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플러그인 부스웨이의 강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플러그인 부스웨이...100 외함 상판...10
부스바...20 외함 하판...30
서포트 유닛...40 조인트 케이스...50

Claims (9)

  1. 마주하는 한 쌍의 측벽들, 상기 측벽들을 연결하는 상판 및 강성 보강과 방열을 위해 상기 상판 상에 형성된 리브(rib)를 포함하는 외함 상판;
    상기 측벽들 및 상기 상판에 의하여 형성된 수납 공간에 수납되며 일부가 외함 상판으로부터 돌출된 단자를 갖는 도전체 및 상기 도전체를 절연하는 절연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스바;
    상기 부스바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상판과 마주하며 상기 측벽들에 고정된 외함 하판;
    마주하는 각 측벽들의 외측면에 결합된 블록 형상의 서포트 유닛들; 및
    상기 각 서포트 블록들과 결합 되며 상기 단자의 상면 및 상기 상면과 대향하는 하면을 덮어 보호하는 조인트 케이스를 포함하는 플러그인 부스웨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측벽들은 상기 각 측벽들의 상단 및 상기 상단과 대향 하는 하단을 상호 마주보게 절곡한 측벽 플랜지부들을 포함하며, 상기 서포트 블록은 상기 측벽 플랜지부들에 각각 결합된 플러그인 부스웨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케이스는 상기 단자가 삽입되는 개구를 갖고 상기 서포트 블록과 결합되는 제1 케이스부, 상기 제1 케이스부로부터 상기 단자와 평행하게 연장된 제2 및 제3 케이스부를 포함하는 플러그인 부스웨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함 하판은 상기 각 측벽들과 결합 되기 위해 상기 각 측벽들과 평행하게 절곡된 하판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플러그인 부스웨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라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리브는 상기 상판으로부터 돌출된 플러그인 부스웨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한 쌍이 상호 평행하게 라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리브는 상판으로부터 돌출된 플러그인 부스웨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들 사이에 대응하는 상기 상판에는 상기 부스바를 노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가 형성된 플러그인 부스웨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함 하판에는 상기 외함 하판의 강성 보강 및 상기 부스바로부터 발생된 열을 방열하기 위해 상기 외함 하판의 하면에 형성된 추가 리브가 형성된 플러그인 부스웨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리브는 상기 외함 하판의 상기 하면에 적어도 2 개가 배치되며, 상기 추가 리브들 사이에는 상기 부스바를 노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가 형성된 플러그인 부스웨이.
KR2020100000513U 2010-01-18 2010-01-18 플러그인 부스웨이 KR2004574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0513U KR200457471Y1 (ko) 2010-01-18 2010-01-18 플러그인 부스웨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0513U KR200457471Y1 (ko) 2010-01-18 2010-01-18 플러그인 부스웨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357U true KR20110007357U (ko) 2011-07-26
KR200457471Y1 KR200457471Y1 (ko) 2011-12-20

Family

ID=45569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0513U KR200457471Y1 (ko) 2010-01-18 2010-01-18 플러그인 부스웨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7471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42898A (ko) * 2016-06-17 2017-12-28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몰딩형 부스덕트
KR20180110487A (ko) * 2017-03-29 2018-10-10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부스덕트의 외함 및 이를 구비하는 부스덕트
KR20190050069A (ko) * 2017-11-02 2019-05-10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부스덕트
KR20220136716A (ko) * 2021-04-01 2022-10-11 엘에스일렉트릭(주) 플러그 인 버스웨이 및 그 결합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25198Y2 (ko) 1976-05-29 1978-06-28
US5466889A (en) 1993-03-25 1995-11-14 Siemens Energy & Automation, Inc. Electrical power busway and insulator assembly
JP5074947B2 (ja) 2008-02-14 2012-11-14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バスダクト用ハウジン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42898A (ko) * 2016-06-17 2017-12-28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몰딩형 부스덕트
KR20180110487A (ko) * 2017-03-29 2018-10-10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부스덕트의 외함 및 이를 구비하는 부스덕트
KR20190050069A (ko) * 2017-11-02 2019-05-10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부스덕트
KR20220136716A (ko) * 2021-04-01 2022-10-11 엘에스일렉트릭(주) 플러그 인 버스웨이 및 그 결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7471Y1 (ko) 2011-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91417B1 (en) Busway fitting having a stacked bus bar with an extruded support
US8547684B2 (en) Panelboard having a parallel feeder bars distribution
JP4594198B2 (ja) 電気接続箱
US3922053A (en) Plug-in bus duct
US7952026B2 (en) Angled stabs for a busway plug in unit
KR200457471Y1 (ko) 플러그인 부스웨이
US20100059276A1 (en) Electrical busway flange end stub
US9024187B2 (en) Ventilation for horizontally mounted busway
WO2012088128A1 (en) Heat sink for a thermally efficient busway joint pack
KR101962953B1 (ko) 공기절연을 활용한 부스덕트
US7517235B2 (en) Press fit connection for mounting electrical plug-in outlet insulator to a busway aluminum housing
JP4887739B2 (ja) 高圧インバータ装置
US4733329A (en) Three-phase load center
CA2864968C (en) Busbar system especially for long vertical paths
US10168754B2 (en) Power conditioner
KR20190141811A (ko) 분전반
JP4851492B2 (ja) プラグインボックス
JP6890078B2 (ja) 高圧受電設備用フレーム
JP3541933B2 (ja) 計器用変流器およびその収納外箱
KR20100104558A (ko) 확장형 분전반
JP6030861B2 (ja) 住宅用分電盤
CN215187983U (zh) 高压电源管理器
KR20120010779A (ko) 부스덕트 소켓 접속구조
KR102580337B1 (ko) 부스바 분기 장치의 부스바 접속용 어댑터, 이를 갖는 부스바 분기 장치, 및 부스바 분기 장치를 포함하는 분배전반
US20160238233A1 (en) Modular light fix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