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4765A - 차량 정비용 리프트 - Google Patents

차량 정비용 리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4765A
KR20110004765A KR1020090113703A KR20090113703A KR20110004765A KR 20110004765 A KR20110004765 A KR 20110004765A KR 1020090113703 A KR1020090113703 A KR 1020090113703A KR 20090113703 A KR20090113703 A KR 20090113703A KR 20110004765 A KR20110004765 A KR 201100047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form
arm
lift
locking
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3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케시 쿠로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스기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스기야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스기야스
Publication of KR20110004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47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65Scissor linkages, i.e. X-configuration
    • B66F7/0666Multiple scissor linkages vertically arrang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과제
비교적 간이한 작업으로 메인티넌스가 가능한 강하 멈춤 장치를 구비하고, 대형 차량의 리프트압에 대해서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차량 정비용 리프트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차량을 재치하는 좌우 한 쌍의 승강대(2)를, 암을 X자형상으로 조합시켜서 신축 가능하게 구성한 X형 신축기구에 의해 승강이동시키고, X형 신축기구와 승강대(2)의 연결을, X자를 이루는 암의 조(組)중 한쪽의 암의 상단을 승강대(2) 하부에 축착하고, 다른쪽의 암의 상단을 승강대(2) 하면에 활주 가능하게 맞대여서 구성하고, 승강대(2)와 암의 사이에 승강대(2)의 자연 강하를 방지하는 강하 멈춤 장치(4)를 마련하였다. 강하 멈춤 장치(4)를, 승강대(2) 하면에 배치되어 다른쪽의 암의 활주 방향으로 톱형상으로 복수의 계지홈을 구비한 래크(21)와, 다른쪽의 암에 마련되어 래크의 계지홈에 계지하는 계지 폴(22)로 구성하였다.
Figure P1020090113703
차량 정비용 리프트

Description

차량 정비용 리프트{Vehicle repair lift}
본 발명은, X자형상으로 암을 조합시켜서 신축 가능하게 구성한 X형 신축기구에 의해 승강대를 승강이동시키는 차량 정비용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차량 정비용 리프트는, 암을 X자형상으로 조합시킨 X형 신축기구를 신축시켜서 승강대를 승강이동시키는 구성의 것이, 바닥에 마련한 피트가 얕아도 되기 때문에 보급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이와 같은 X형 신축기구에 의해 승강이동하는 차량 정비용 리프트는, 예를 들면 특허 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강하 멈춤 장치가 부착되고, 리프트업한 상태에서 승강대의 한쪽이 강하하고 차량이 미끄러져 떨어지는 사태를 방지하고 있다.
한편으로, 비교적 대형의 차량을 승강할 수 있는 리프트로서는, 특허 문헌 3에 기재된 리프트가 있다. 이것은, 좌우에 배치한 승강대에 대해 각각 전후에 리프트를 배치하여, 합계 4기(機)의 리프트로 승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선행 기술 문헌:
특허 문헌 1 : 특개2008-162715호 공보
특허 문헌 2 : 특허 제3755699호 공보
특허 문헌 3 : 특개2000-198690호 공보(도 8, 도 11)
그러나, 대형 차량에도 적용 가능한 상기 특허 문헌 3의 리프트는, 구조는 비교적 단순하지만, 리프트업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차량의 아래로 들어가는 것이 가능한 높이까지 상승시키고자 하면, 유압 실린더 등 각 부재가 대형화하고, 고비용이 되고 중량이 늘어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대형의 리프트인 경우, 상기 특허 문헌 2에 나타나는 강하 멈춤 장치는, 유압 실린더과 일체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장치를 교환하는 경우는 유압 실린더을 떼어내는 작업을 수반하여, 교환 작업이 대규모적이였다.
특히, 상기 특허 문헌 3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대형의 차량에 대응 가능한 리프트인 경우, 강하 멈춤 장치는 대형의 것으로 이루어지고, 교환은 대규모적이고 성가신 작업으로 되어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비교적 간이한 작업으로 메인티넌스가 가능한 강하 멈춤 장치를 구비하여, 대형 차량의 리프트업에 대해서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차량 정비용 리프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제 1항의 발명은, 차량을 재치하는 좌우 한 쌍의 승강대를, 암을 X자형상으로 조합시켜서 신축 가능하게 구성한 X형 신축기구에 의해 승강이동시키는 차량 정비용 리프트로서, X형 신축기구와 승강대의 연결부가, X자를 이루는 암의 조(組)중 한쪽의 암의 상단을 승강대 하부에 축착(軸着) 하고, 다른쪽의 암의 상단을 승강대 하면에 활주 가능하게 맞대여서 구성되고, 승강대와 암 사이에 승강대의 자연 강하를 방지하는 강하 멈춤 장치를 마련하고, 강하 멈춤 장치는, 승강대 하면에 배치되어 다른쪽의 암의 활주 방향에 톱형상(鋸狀)으로 복수의 계지홈을 구비한 래크와, 다른쪽의 암에 마련되고 래크의 계지홈에 계지하는 계지 폴을 가지며, 래크에 계지 폴이 계지하여, 다른쪽의 암의 활주를 금지하여 승강대의 강하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강하 멈춤 장치는 암 상부와 승강대 하면 사이에 배치되기 때문에, X형 신축기구를 신축시키는 구동 수단과 일체로 마련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강하 멈춤 장치를 메인티넌스 또는 교환하는 경우에, 구동 수단을 떼어내는 등의 대규모적인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X형 신축기구를 신장시켜서 리프트업한 상태에서 메인티넌스하는 것도 가능해지고, 대형 차량용의 리프트라도 메인티넌스 작업이 하기 쉽다. 또한 강하 멈춤 장치는, 구동 수단과는 독립하여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이미 설치된 리프트에 대해서도 큰 설계 변경하는 일 없이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항 제 2항의 발명은, 청구항 제 1항에 기재된 구성에 있어서, 강하 멈춤 장치에 의한 승강대의 강하 방지를 해제하는 해제 장치를 구비하고, 해제 장치는 계지 폴에 연결되고, 승강대의 하면을 가압하도록 돌출 동작하여 계지 폴을 래크로부터 떼어놓아 계지를 해제시키는 돌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계지 폴에 연결된 해제 장치가 승강대를 가압하여 계지 폴을 래크로부터 떼어놓기 때문에, 해제 장치를 예를 들면 에어 실린더로 구성할 수 있고, 해제 장치를 콤팩트하며 간이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청구항 제 3항의 발명은, 청구항 제 1항 또는 제 2항에 기재된 구성에 있어서, X형 신축기구는, X자형상으로 조합시킨 암의 조를 좌우에 경면배치(鏡面配置)하여 형성한 X형상 리프트 암을 상하 2단 구비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X형 신축기구는, X자형상으로 조합시킨 암의 조를 상하 2단 구비하기 때문에, 개개의 부재를 대형화하는 일 없이, 작업자가 일어선 상태에서 작업하는 것이 가능한 높이까지 리프트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개개의 암의 조는 경면배치되어 쌍(對)을 이루기 때문에, X형 신축기구가 2단으로 이루어지는 X형상 리프트 암으로 구성되어도 안정하게 신축 동작한다.
청구항 제 4항의 발명은, 청구항 제 3항에 기재된 구성에 있어서, 한 쌍의 승강대는 각각 전후에 X형 신축 기구를 배치하여 승강이동하고, 개개의 X형 신축기구에 대해 강하 멈춤 장치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승강대는 전후 2기의 X형 신축기구에 의해 승강이동하기 때문에, 대형 차량이라도 리프트업이 가능해지고, 강하 멈춤 장치를 개개의 X형 신축기구에 마련하기 때문에, 어느 하나의 X형 신축기구가 자연 수축하여 승강대가 기울어지는 것도 없다.
청구항 제 5의 발명은, 청구항 제 3항 또는 제 4항에 기재된 구성에 있어서, 계지 폴은, 경면배치한 좌우 2개의 암의 사이에 건너지른 브리지편(片)에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좌우의 암에 대해 강하 멈춤 장치를 중간에 마련하여 작용시키기 때문에, 강하 멈춤 장치에 가해지는 응력은 좌우에서 밸랜스되어 가해지고,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강하 멈춤 장치는 암 상부와 승강대 하면 사이에 배치되기 때문에, X형 신축기구를 신축시키는 구동 수단과 일체로 마련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강하 멈춤 장치를 메인티넌스 또는 교환하는 경우에, 구동 수단을 떼어내는 등의 대규모적인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X형 신축기구를 신장시켜서 리프트업한 상태에서 메인티넌스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고, 대형 차량용의 리프트라도 메인티넌스 작업이 하기 쉽다. 더욱 강하 멈춤 장치는, 구동 수단과는 독립하여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이미 설치된 리프트에 대해서도 큰 설계 변경한 일 없이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실시의 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차량 정비용 리프트의 한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고, 도 1은 사시도, 도 2는 한쪽의 승강대 및 기구부를 단면으로 도시한 측면 설명도이다. 1은 리프트 전체를 수납하기 위해 바닥에 오목하게 마련된 피트, 2는 차량을 재치하는 승강대, 3은 승강대(2)를 승강하는 승강 장치, 5는 작업상(作業床), 5a는 승강대(2)를 리프트업한 때에 피트(1)에 형성되는 구멍을 폐색하고, 작업상으로서 사용되는 폐색판, 6은 폐색판(5a)를 승강시키기 위한 베이스 리프트 기구, 7은 차량의 본체를 리프트업하여 타이어(도시 생략)를 띄우기 위한 프리 휠 리프트 장치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승강대(2)는 좌우에 한 쌍 배치되어 전후 2기의 승강 장치(3)에 의해 각각 승강이동한다. 또한, 승강 장치(3)는 폐색판(5a)상에 조 립되어 있고, 베이스 리프트 기구(6)가 폐색판(5a)을 승강할 때에 승강 장치(3) 및 승강대(2)도 함께 승강한다.
또한, 도 1은 전체를 리프트업하고, 승강대(2)의 일부 천판을 벋겨서 강하 멈춤 장치(4)를 노출시킨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피트(1)는 바닥에 오목하게 마련되고, 평탄한 내저부(內底部)를 구비하고, 폐색판(5a), 승강 장치(3), 승강대(2)를 수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내저부에는 베이스(8)가 마련되고, 이 베이스(8)상에 폐색판(5a)를 승강이동 시키는 베이스 리프트 기구(6)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대(2)는 직사각형의 판형상체이고, 좌우의 승강대(2)는 재치하는 차량의 좌우의 타이어의 위치에 맞추어서 평행하게 배치되고, 차량의 이동을 스무스하게 행할 수 있도록 윗면은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후 단부(端部)에는 재치된 차량이 이동하여 탈륜(脫輪)하는 것을 방지하는 차량 멈춤(10)이 마련되고, 프리 휠 리프트 장치(7)는 승강대(2)의 거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승강 장치(3)는, 복수의 암을 X자형상으로 조합시켜서 신축 가능하게 구성한 X형 신축기구(11)와, 이 기구를 신축시키는 구동 수단으로서의 유압 실린더(12)로 구성되어 있다. X형 신축기구(11)는, X형상 리프트 암(15)을 2단 연결하여 구성되고, 이 X형상 리프트 암(15)은, 봉형상의 암(14)끼리를 중앙에서 축착(軸着)하여 X자형상으로 조합시킨 암의 조(組)(15a)를 좌우에 경면배치하고, 전부 4개의 암(14)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하의 X형상 리프트 암(15)끼리는, 경면배치한 내측의 암(14, 14)끼리, 및 외측의 암(14, 14)끼리를 회동 가능하게 각각 연결하고, 연동하여 신축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X형 신축기구(11)는 승강대(5a)에 대해, 하단의 X형상 리프트 암(15)의 내측의 암(14)의 하단부가 피트(1) 단부와 이루어지는 폐색판(5a) 단부에 축착되어 연결되고, 외측의 암(14) 하단부가 폐색판(5a)상에 마련된 안내 레일(18a)에 따라 활주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실제로는, 외측의 암(14)의 하단부에는 롤러(19a)가 부착되고, 안내 레일(18a)상을 전동(轉動)함으로써, 외측의 암(14)의 스무스한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X형 신축기구(11)는 승강대(2)에 대해, 상단의 X형상 리프트 암(15)의 내측의 암(14) 상단부가 승강대(2)의 길이 방향 단부에 축착되어 연결되고, 외측의 암(14) 상단부가 승강대(2) 하면에 마련된 안내 레일(18b)에 따라 활주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실제로는, 외측의 암(14)의 상단부에는 롤러(19b)가 부착되고. 안내 레일(18b)상을 전동함으로서, 외측의 암(14)의 스무스한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전후에 배치된 X형 신축기구(11, 11)는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유압 실린더(12)는, 하단의 X형상 리프트 암(15)의 한 쌍의 내측의 암(14, 14) 사이에 건너지른 하(下) 브리지편(17a)과, 상단 X형상 리프트 암(15)의 한 쌍의 내측 암(14, 14) 사이에 건너지른 상(上) 브리지편(17b) 사이에 배치되고, 유압 실린더(12)의 피스톤 로드(12a)를 신장시키면, 상하 브리지편(17a, 17b)끼리가 벌려저서 상하의 X형상 리프트 암(15, 15)이 신장되고, X형 신축기구(11)가 신장 동작한다. 그 결과, 승강대(2)가 리프트업한다.
도 3은 도 1의 A부의 확대도이고, X형 신축기구(11)와 승강대(2) 사이에 마련한 강하 멈춤 장치(4)를 확대한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4는 승강대(2)를 비스듬히 아래에서 본 도면, 도 5는 도 4의 B부의 확대도로서, 강하 멈춤 장 치(4)를 확대하고 있다. 이들의 도면을 기초로 강하 멈춤 장치(4)를 설명한다.
강하 멈춤 장치(4)는, X형 신축기구(11) 상단부와 승강대(2) 하면에 마련되고, 톱니형상(鋸齒狀)으로 복수의 계지홈(21b)을 직선형상으로 구비한 래크(21)와, 승강대(2) 하면을 활주하는 외측의 암(14)에 마련된 계지 폴(22)로 구성되고, 계지 폴(22)이 래크(21)에 계지함으로써 외측의 암(14)의 활주를 저지하여 승강대(2)의 강하가 저지된다. 그리고, 계지 폴(22)에 인접하여 계지를 해제시키는 해제 장치로서의 에어 실린더(23)가 마련되어 있다.
래크(21)는 외측의 암(14)의 활주 방향인 승강대(2)의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2개 설치되고, 계지 폴(22)도 마찬가지로 2개 설치되어 있다. 계지 폴(22)은, 활주하는 한 쌍의 외측의 암(14, 14)의 상부 사이에 건너지른 브리지편(24)상에 설치되어 있다.
도 6은, 이 브리지편(24)에 조립된 계지 폴(22)과 에어 실린더(23)의 어셈블리를 뽑아낸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계지 폴(22, 22)는, 기부(基部)가 브리지편(24)에 고정된 축봉(軸捧)(27)에 고착되어, 연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계지 폴(22)은, 브리지편(24)에 고정된 부재와의 사이에서 코일 스프링(30)가 바부착되어, 계지 편(22)이 항상 래크(21)와 계합하는 방향으로 가세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계지 폴(22)의 계지하는 폴부(22a)가 형성된 두부(頭部) 사이는, 연결판(28)에 의해 연결되고, 이 연결판(28)의 중앙에 에어 실린더(23)가 부착되어 있다. 에어 실린더(23)는, 피스톤 로드(23a)가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되고, 돌출 동작으로 승강대(2)를 가압하여 자신은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동작한다.
또한, 브리지편(24)에는 래크(21)에 일체 형성되어 있는 레일 홈(21a)에 계합하여 계지 폴(22)의 안정된 계지 동작을 유지시키는 가이드 부재(32)가 조립되어 있다.
도 7, 도 8은 도 2의 C부를 확대한 설명도이고, 래크(21)와 계지 폴(22)의 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계지 폴(22)이 래크(21)에 계지한 상태, 도 8은 에어 실린더(23)의 작용에 의해 계지 폴(22)의 계지가 해제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어느 것이나, (a)는 래크(21)와 계지 폴(22)의 관계를 도시하고, (b)는 승강대(2)와 에어 실린더(23)의 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이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에어 실린더(23)의 피스톤 로드(23a)가 돌출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에어 실린더(23)가 승강대(2)에 계합하지 않기 때문에, 코일 스프링(30)의 작용으로 계지 폴(22)이 래크(21)의 어느 하나의 계지홈(21b)에 계지한다. 이 계지한 상태에서는, 소정의 일방향으로 이동이 규제되고, 외측의 암(14)의 활주는 저지된다.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하는 계지 상태에서, 도시에서 왼쪽 방향으로 계지 폴(22)이 이동하려고 하여도, 계지 폴(22)은 래크(21)에 계지하고 있기 때문에, 계지 해제 조작하지 않는 한 이동하지 않는다. 그러나, 화살표(P)에 도시하는 방향(승강대(2)가 상승하는 경우)에 외측의 암(14)이 이동하는 경우, 계지 폴(22)의 지점(支點)이 되는 축봉(27)과, 작용점이 되는 계지 폴(22) 선단의 폴부(22a)의 관계로부터, 래크(21)에 계지 폴(22)이 계합한 상태에 있어서도, 계지 폴(22)은 회동하여 순차적으로 래크(21)의 레일 홈(21b)을 이동한다.
이렇게 하여, 리프트 강하시는 강하 멈춤 장치(4)의 외측의 암(14)의 활주를 저지하는 기능이 발휘되지만, 리프트 상승시는 활주를 저지한 기능을 발휘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리프트업중에 고장 등으로 정지하여도 승강대(2)가 자연적으로 강하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에어 실린더(23)의 피스톤 로드(23a)가 돌출하면, 그 선단이 승강대(2) 이면에 맞닿아서 가압하고, 에어 실린더(23)가 하방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계지 폴(22)이 코일 스프링(30)의 가세에 대항하고 하방으로 회동하고, 래크(21)와의 계합이 벋겨지고, 외측의 암(14)은 자유로운 활주(롤러(19b)의 전동에 의한 전후 이동)가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차량 정비용 리프트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우선, 승강대(2)를 최하 위치까지 내리고, 프리 휠 리프트 장치(7)도 내린다. 이 때, 승강 장치(3) 및 승강대(2)의 하부는 피트(1) 내에 수용되고, 승강대(2) 전체가 작업상(5)과 거의 동일한 높이가 된다. 이 상태에서, 승강대(2)의 위에 차량(도시 생략)를 이동하여 타이어를 실으면, 리프트업 동작으로 들어간다.
리프트업은, 도시하지 않은 조작부를 조작하여 행하여지고, 최초에 차량 멈춤(10)이 차량 멈춤 동작하고, 다음에 베이스 리프트 기구(6)가 폐색판(5a)을 상승시켜서, 그 상부에 설치된 승강대(2) 및 승강 장치(3)를 상승시킨다. 그 후 유압 실린더(12)를 작용시켜서 X형 신축기구(11)를 신장시키다. 또한, 이 베이스 리프트 기구(6)의 상승은 좌우 동시에 실시되고, 유압 실린더(12)의 구동은 4개 동시에 실시된다.
이렇게 하여, 폐색판(5a)이 작업상(5)의 높이까지 밀어올려지고, 그 후 차량을 실은 승강대(2)가 상승한다. 또한, 이 X형 신축기구(11)의 신장시는, 에어 실린 더(23)는 작용하지 않고, 래크(21)에 계지 폴(22)이 맞대여진 상태롤 실시된다.
리프트업 동작이 종료되면, 그 후, 필요에 응하여 프리 휠 리프트 장치(7)를 동작시킨다.
리프트다운시키는 경우는, 조작부의 소정의 조작으로, 우선 에어 실린더(23)를 동작시켜서 계지 폴(22)이 끌어내려지고, 래크(21)의 계지가 해제된다. 그리고, 유압 실린더(12)의 신장시켜진 피스톤 로드(12a)를 수축시킨다. 이렇게 하여 X형 신축기구(11)는 수축하여 승강대(2)는 리프트다운한다.
승강대(2)의 리프트다운이 종료되면, 폐색판(5a)이 강하하여 승강대(2)의 하부가 피트(1) 내네 수용되고, 승강대(2)가 작업상(5)과 거의 동일한 높이가 된다. 최후로 차량 멈춤(10)이 쓰러져서 차량의 이동이 가능해지고, 리프트업 전의 최초의 상태로 되돌아와 종료한다.
이와 같이, 강하 멈춤 장치(4)는 암(14) 상부와 승강대(2) 하면 사이에 배치되기 때문에, X형 신축기구(11)를 신축시키는 유압 실린더(12)와 일체로 마련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강하 멈춤 장치(4)를 메인티넌스 또는 교환하는 경우에, 유압 실린더(12)를 떼어내는 등의 대규모적인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X형 신축기구(11)를 신장시켜서 리프트업한 상태에서 메인티넌스하는 것도 가능해지고, 대형 차량용의 리프트라도 메인티넌스 작업이 하기 쉽다. 또한, 강하 멈춤 장치(4)는, 유압 실린더(12)와는 독립하여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이미 설치된 리프트에 대해서도 큰 설계 변경하는 일 없이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계지 폴(22)에 연결된 에어 실린더(23)가, 래크(21)와 계지 폴(22)의 계지 해제 조작을 하기 때문에, 해제 장치를 컴팩트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X형 신축기구(11)는, X자형상으로 조합시킨 암의 조(15a)를 상하 2단 구비하기 때문에, 개개의 부재를 대형화하는 일 없이, 작업자가 일어선 상태에서 작업하는 것이 가능한 높이까지 리프트업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개개의 암의 조(15a)는 경면배치되어 쌍를 이루기 때문에, X형 신축기구(11)가 2단으로 이루어지는 X형상 리프트 암(15)으로 구성되어도 안정하게 신축 동작한다.
또한, 개개의 승강대(2)는 전후 2기의 X형 신축기구(11)에 의해 승강이동하기 때문에, 대형 차량이라도 리프트업이 가능해지고, 강하 멈춤 장치(4)를 개개의 X형 신축기구(11)에 마련하기 때문에, 어느 하나의 X형 신축기구(11)가 자연 수축하여 승강대(2)가 기울어지는 일도 없다.
또한, 좌우의 암(14)에 대해 강하 멈춤 장치(4)를 중간에 마련하여 작용시키기 때문에, 강하 멈춤 장치(4)에 가해지는 응력은 좌우에서 밸런스되어 가하여져서,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X형 신축기구(11)를 X형상 리프트 암(15)를 2단 연결하여 형성하였지만, 물론 1단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역으로, 3단 또는 그 이상의 단수를 연결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래크(21)와 계지 폴(22)의 조를 2조 마련하고 하나의 강하 멈춤 장치(4)를 형성하였지만, 1조로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X형상 리프트 암(15)의 내측의 암(14)을 승강대(2) 또는 폐색판(5a)에 연결하고, 외측의 암(14)을 활주시키고 있지만, 반대라도 좋다. 또한, 계지 폴(22)의 계지를 해제하는 해제 장치는, 에어 실린더(23)가 아니라도 좋고, 당연히 유압 실린더라도 좋고, 돌출부를 모터 구동하여도 좋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차량 정비용 리프트의 한 예를 도시하는 사시 설명도.
도 2는 도 1의 측면 설명도로서, 한쪽의 승강대 및 기구부를 단면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A부의 확대도.
도 4는 승강대를 비스듬히 아래에서 본 도면.
도 5는 B부의 확대도.
도 6은 계지 폴와 에어 실린더의 어셈블리를 뽑아낸 사시도.
도 7은 C부의 확대 설명도로서, 계지 폴이 래크에 계지한 상태를 도시하고, (a)는 계지 폴의 설명도, (b)는 해제 장치의 설명도.
도 8은 C부의 확대 설명도로서, 계지 폴의 계지가 해제된 상태를 도시하고, (a)는 계지 폴의 설명도, (b)는 해제 장치의 설명도.
(부호의 설명)
2 : 승강대
3 : 승강 장치
4 : 강하 멈춤 장치
5a : 폐색판
11 : X형 신축기구
12 : 유압 실린더
12a : 피스톤 로드(돌출부)
14 : 암
15 : X형상 리프트 암
15a : 암의 조
21 : 래크
22 : 계지 폴
23 : 에어 실린더(해제 장치)

Claims (5)

  1. 차량을 재치하는 좌우 한 쌍의 승강대를, 암을 X자형상으로 조합시켜서 신축 가능하게 구성한 X형 신축기구에 의해 승강이동시키는 차량 정비용 리프트로서,
    상기 X형 신축기구와 상기 승강대의 연결부가, X자를 이루는 암의 조(組)중 한쪽의 암의 상단을 상기 승강대 하부에 축착하고, 다른쪽의 암의 상단을 상기 승강대 하면에 활주 가능하게 맞대여서 구성되고,
    상기 승강대와 상기 암 사이에 상기 승강대의 자연 강하를 방지하는 강하 멈춤 장치를 마련하고,
    상기 강하 멈춤 장치는, 상기 승강대 하면에 배치되어 상기 다른쪽의 암의 활주 방향으로 톱형상으로 복수의 계지홈을 구비한 래크와, 상기 다른쪽의 암에 마련되어 상기 래크의 계지홈에 계지하는 계지 폴을 가지며,
    상기 래크에 상기 계지 폴이 계지하여, 상기 다른쪽의 암의 활주를 금지하여 상기 승강대의 강하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정비용 리프트.
  2. 제 1항에 있어서,
    강하 멈춤 장치에 의한 상기 승강대의 강하 방지를 해제하는 해제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해제 장치는 상기 계지 폴에 연결되고, 상기 승강대의 하면을 가압하도록 돌출 동작하여 상기 계지 폴을 상기 래크로부터 떼어놓아 계지를 해제시키는 돌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정비용 리프트.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X형 신축기구는, X자형상으로 조합시킨 암의 조를 좌우에 경면배치하여 형성한 X형상 리프트 암을 상하 2단 구비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정비용 리프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승강대는 각각 전후에 상기 X형 신축기구를 배치하여 승강이동하고, 개개의 X형 신축기구에 대해 상기 강하 멈춤 장치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정비용 리프트.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계지 폴은, 상기 경면배치한 좌우 2개의 암의 사이에 건너지른 브리지편에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정비용 리프트.
KR1020090113703A 2009-07-08 2009-11-24 차량 정비용 리프트 KR2011000476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61976 2009-07-08
JP2009161976A JP2011016618A (ja) 2009-07-08 2009-07-08 車両整備用リフ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765A true KR20110004765A (ko) 2011-01-14

Family

ID=43451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3703A KR20110004765A (ko) 2009-07-08 2009-11-24 차량 정비용 리프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1016618A (ko)
KR (1) KR20110004765A (ko)
CN (1) CN101948086A (ko)
TW (1) TW20110229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3014B1 (ko) * 2022-08-08 2023-03-21 김선호 자동차 점검 전후의 상태 모니터링 기능과 정비 장비가 탑재된 차량 정비용 피트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92068A (zh) * 2012-08-22 2013-03-27 苏州久三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伸缩平台
US9222277B2 (en) 2013-03-12 2015-12-29 Konecranes Plc Scissors lift assembly for jacking tower
JP5806368B1 (ja) * 2014-07-15 2015-11-10 株式会社ヤスヰ 車両整備用リフトのリフトポイント合せ装置
CN106185713A (zh) * 2016-07-18 2016-12-07 合肥航航空设备有限公司 一种可调节立柱相对距离的双柱举升机
US11192763B2 (en) 2016-10-27 2021-12-07 BendPak, Inc. Tilting scissor-lift for vehicles
US10745259B2 (en) * 2016-10-27 2020-08-18 BendPak, Inc. Scissor-lift for vehicles
CN106986282A (zh) * 2017-04-11 2017-07-28 桐乡市民安纺织有限责任公司 一种升降式承料机构
CN107150979A (zh) * 2017-06-29 2017-09-12 赛埃孚汽车保修设备(太仓)有限公司 一种带有旋转功能的举升机及其工作方法
CN107175546B (zh) * 2017-07-06 2019-08-02 武汉船用机械有限责任公司 一种平面打磨装置
DE102018132905A1 (de) * 2018-12-19 2020-06-25 Blitzrotary Gmbh Vorrichtung zum Verschließen oder Überbrücken einer Bodenaussparung
CN109502507A (zh) * 2018-12-27 2019-03-22 宁波市奉化区南方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汽车举升机
JP6579599B1 (ja) * 2019-04-25 2019-09-25 株式会社ヤスヰ 車両用リフト装置
JP2023502024A (ja) * 2019-11-11 2023-01-20 ベンドパック,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車両用傾斜シザーリフト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76900U (ja) * 1983-05-11 1984-11-26 株式会社 犬塚製作所 リフトトラツクの不当下降防止安全装置
JPS63208500A (ja) * 1987-02-20 1988-08-29 松下電工株式会社 昇降装置の落下防止装置
JPH0547140Y2 (ko) * 1987-10-01 1993-12-10
JPH063040Y2 (ja) * 1988-01-22 1994-01-26 株式会社コトブキ プラットフオームリフタの錠装置
JP2528762Y2 (ja) * 1993-04-05 1997-03-12 杉安工業株式会社 リフトの安全装置
JP3755699B2 (ja) * 1997-12-03 2006-03-15 株式会社スギヤス リフトの下降止め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3014B1 (ko) * 2022-08-08 2023-03-21 김선호 자동차 점검 전후의 상태 모니터링 기능과 정비 장비가 탑재된 차량 정비용 피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102295A (en) 2011-01-16
CN101948086A (zh) 2011-01-19
JP2011016618A (ja) 2011-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04765A (ko) 차량 정비용 리프트
JP6602953B2 (ja) 昇降作業台
US8469651B2 (en) Conveyance device using carriage
JP2021178634A (ja) ロック解除装置、ロック装置、バッテリ交換移動プラットフォーム及び高速バッテリ交換システム
JP5631337B2 (ja) 成形装置
US9296596B2 (en) Hybrid wedge jack/scissor lift lifting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10023446B2 (en) Transformable table
JP2009279972A (ja) スライドレール付車両用シートの組立方法及びその組立装置
JP6516575B2 (ja) 車両用リフト装置
JP5596503B2 (ja) 車両整備用リフト
KR20160039348A (ko) 시저스형 차량 리프트의 하강 록킹장치
KR102045022B1 (ko) 선체 블록 서포트 기구 및 그 사용방법
JP2006020866A (ja) 載置台の昇降装置
TW200422216A (en) Service lift
JP2003054705A (ja) 自動倉庫システム
CA2792653C (en) Hybrid wedge jack/scissor lift lifting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EA036524B1 (ru) Раздвижная несущая конструкция и способ развертывания раздвижной несущей конструкции
KR101015941B1 (ko) 잠금수단이 구비된 세미시져형 차량정비용 리프트
JP5263527B2 (ja) ラック設備
JP2005314077A (ja) スタッカークレーン
JP2008162715A (ja) Xリンク式昇降装置
JPH0730632Y2 (ja) 車輌整備用リフト
JP2013187237A (ja) ステージ装置およびステージ装置の制御方法
JP5833917B2 (ja) 車両整備用リフト
KR102524313B1 (ko) 2단 작동구조를 가지는 사출 금형용 밀판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