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2021A - 에어 클리너 - Google Patents

에어 클리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2021A
KR20110002021A KR1020107022173A KR20107022173A KR20110002021A KR 20110002021 A KR20110002021 A KR 20110002021A KR 1020107022173 A KR1020107022173 A KR 1020107022173A KR 20107022173 A KR20107022173 A KR 20107022173A KR 20110002021 A KR20110002021 A KR 201100020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refill
air cleaner
liquid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2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세린 랑포드
엘렌 피어시
스티브 월시
Original Assignee
레킷트 앤드 콜만 오버시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킷트 앤드 콜만 오버시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레킷트 앤드 콜만 오버시스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10002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20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1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 F24F8/133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by direct contact with liquid, e.g. with sprayed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01D47/066Spray cleaning with nozzles using mechanical vib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0Combinations of methods or devices for separating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50/10Combinations of devices covered by groups B01D45/00, B01D46/00 and B01D47/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0Combinations of methods or devices for separating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50/40Combinations of devices covered by groups B01D45/00 and B01D47/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1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47/00Details relating to the separation of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2247/10Means for removing the washing fluid dispersed in the gas or vapours
    • B01D2247/101Means for removing the washing fluid dispersed in the gas or vapours using a cycl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47/00Details relating to the separation of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2247/10Means for removing the washing fluid dispersed in the gas or vapours
    • B01D2247/107Means for removing the washing fluid dispersed in the gas or vapours using an unstructured demister, e.g. a wire mesh demis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47/00Details relating to the separation of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2247/14Fan arrangements for providing induced draf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Abstract

내부를 통해 연장되는 공기 입구 및 공기 배기구를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가능한 액체의 저장조를 포함하기 위한 리필, 사용시, 액체의 소스와 유체 접촉하여 액체 액적들의 미스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상기 하우징 내부의 분무기, 사용시 상기 분무기는 상기 미스트를 상방으로 배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미스트를 보유하는 상기 하우징 내부의 체임버, 사용시 상기 공기 입구를 통해 상기 체임버로 기류를 발생시켜 상기 기류 내부에 존재하는 상기 오염물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미스트에 의해 상기 기류를 벗어나 상기 리필 쪽으로 몰아내도록 구성되는 상기 하우징 내부의 팬을 포함하는 에어 클리너가 제공된다. 상기 에어 클리너의 사용뿐 아니라 상기 에어 클리너용 리필도 제공된다.

Description

에어 클리너{An air cleaner}
본 발명은 에어 클리너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이 에어 클리너는 가정 및/또는 개인 용도에 알맞으며 공기에서 오염물 입자들을 확실히 제거할 수 있는 저 비용의 유닛으로 설계되어 있다.
에어 필터체는 고체 여과 매체를 통한 기류(flow of air)를 발생시키기 위해 팬을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한 필터체는 결과가 좋지만, 필터를 지나면서 압력이 떨어지는 것을 극복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큰 팬이 요구되어, 상대적으로 시끄러우며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에너지를 소모하는 장치가 된다.
물의 미스트(mist)를 발생시켜 공기중의 흡착된 입자들(entrained particles)을 포획하는 다수의 에어 크리너가 알려져 있다. 다수의 에어 클리너 중에서 US 7,115,155에 포함된 에어 클리너는 회전 관을 가지며 그의 기저 단부는 저장조에 위치하게 된다. 이 관은 다수의 개구들을 가지며, 관이 회전할 때 이 개구들을 통해 물이 원심력하에서 분무된다. 이는 미스트를 발생시키고, 공기 스트림(air stream)이 이 미스트를 통과하여 정화된다.
US 6,656,253은 초음파 분무기(ultrasonic atomiser)를 사용하여 미스트를 발생시킨다. 입자들의 미스트는 대전되어 흐르는 공기 중에서 흡착된 입자들을 끌어당긴다. 그 다음 대전된 입자들과 흡착된 오염물들의 스트림이 오염물들을 포획하는 수집 표면을 통과한다.
WO 02/077537는 공중 오염물들(airborne contaminants)을 포획하는 액적들의 분무(spray of droplets)를 발생시키는 분배기(distributor)를 개시한다. 그 다음 오염된 스트림이 UV 체임버와 필터를 통과하여 오염물들을 제거한 후 물이 재순환된다.
본 발명은 목적은 가정 용도에 알맞게 에너지 소모가 적고 사용자에 의해 용이하게 유지될 수 있는 간단하고 저 비용의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1측면에 따라, 공기 정청기로서:
내부를 통해 연장되는 공기 입구(air inlet) 및 공기 배기구(air exhaust)를 갖는 하우징(housing);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가능한 액체의 저장조(reservoir of liquid)를 포함하기 위한 리필(refill);
사용시, 액체의 소스(source of liquid)와 유체 접촉하여 액체 액적들의 미스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상기 하우징 내부의 분무기(nebuliser), 여기서 상기 분무기는 사용시 상기 미스트를 상방으로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미스트를 실질적으로 보유하는 상기 하우징 내부의 체임버;
사용시, 상기 공기 입구를 통해 상기 체임버로 기류를 발생시켜 상기 기류 내부에 존재하는 상기 오염물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미스트에 의해 상기 기류를 벗어나 상기 리필 및/또는 오염물 출구 쪽으로 몰아내도록 구성되는 상기 하우징 내부의 팬(fan)을 포함하는 에어 클리너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2측면에 따라, 본 발명의 제1측면에 따른 에어 클리너용 리필로서:
하우징;
액체를 내부에 보유하는데 알맞은 상기 하우징 내부의 저장조;
하우징을 통한 적어도 두개의 개구(apertures)를 포함하고 하나의 개구는 액체 출구이고 다른 하나의 개구는 액체 입구인 리필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필의 저장조는 내부에 액체가 공급된다.
대안으로, 상기 리필의 저장조는 그 안에 사용자에 의해 리필의 저장조에 넣어진 물과 혼화될 수 있는 비-액체성 화학 성분(non-liquid chemical component)이 공급된다. 비-액체성 성분은 건조 분말형 또는 과립형 화학 성분(dry powdered or granulated chemical component)일 수 있다. 비-액체성 성분은 겔, 겔화 또는 겔형 화학 성분(gel, gelled or gel-like chemical component)일 수 있다. 비-액체성 성분은 가스상 화학 성분일 수 있며, 바람직하게는 사용자가 저장조에 물을 넣고자 할 때 저장조를 빠져나가지 않하도록 공기보다 큰 밀도를 갖는 가스상 성분일 수 있다.
대안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리필은 액체 방향제(liquid fragrance)를 담는데 알맞은 방향제 저장조가 내부에 구비된다. 이중의 저장조(저장조 및 방향제 저장조) 배열체에서, 저장조들 사이에 유체 연결(fluid connection)이 존재하여, 사용시에 방향제 저장조에 보유된 액체가 상기 저장조로 흐르게 할 수 있다. 대안으로, 저장조들 사이에 유체 연결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방향제 저장조는 사용시에 액체 출구로 작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방향제 저장조가 리필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는 각각의 방향제 저장조가 그안에 서로 다른 액체 방향제를 보유할 수 있으므로 유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에어 클리너의 사용시, 바람직하게는 분무기에 의해 발생된 미스트는 기류중의 오염물들과 접촉 및/또는 포획하여 이들을 기류를 벗어나 공기 배기구에서 멀리 몰아내어, 공기 배기구를 통해 크리너로부터 배기된 공기는 감소된 양의 오염물을 포함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발생된 모든 미스트들은 공기 배기구를 통한 접근을 차단하여 에어 클리너의 효능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에어 클리너는 바람직하게는 가정 용도 및/또는 개인 용도에 알맞다.
바람직하게는 하우징은 하부와 상부을 갖는다. 에어 클리너는 바람직하게는 정상 사용시, 하우징의 하부가 에어 클리너가 작동하게 될 표면과 접촉하도록 배열된다. 바람직하게는 공기 입구는 하우징의 하부에 위치되고 공기 배기구는 하우징의 상부에 위치된다. 분무기는 하우징의 상부으로부터 떨어진 곳에 위치 및/또는 체임버의 하부 섹션 쪽에 위치될 수 있다. 에어 클리너의 정상적인 사용을 위한 배열에서, 분무기는 하우징과 접촉하는 표면을 기준으로 상방으로 그리고 체임버 속으로 미스트를 방출하도록 배열 및/또는 방출된 미스트 입자들에 작용하는 중력과 정 반대로 미스트를 방출하도록 배열된다.
분무기와 액체 소스 사이의 유체 접촉은 본 발명의 맥락에서, 분무기를 향한 액체 펌핑, 분무기에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모세관 작용의 사용, 분무기에 액체를 떨어뜨리는 것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 분무기에 액체를 공급하는 임의의 알맞은 수단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분무기에 모세관 작용을 통해 액체가 공급되고 이는 이하에서 더 논의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분무기는 압전 분무기(piezo-electirc nebuliser)이다. 분무기가 압전 분무기인 경우에 이는 적은 에너지 소모로 액체 액적들의 미스트를 생성하기 위한 간단하고 저렴한 수단을 제공한다. 대안으로는, 분무기는 알맞게 조정된 노즐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이 노즐을 통해 분량의 액체가 미스트를 생성하도록 강제되고, 여기서 액체는 압력하에서 에어로졸 또는 이와 유사한 형태로 유지될 수 있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분무기는 액체를 체임버로 방출하여 미스트를 생성하는 벤투리(venturi)가 제공될 수 있다. 벤투리 방식(venturi arrangement)에서, 기류가 벤투리 표면을 가로질러 불어 미스트를 발생하도록 이끌려질 수 있다. 벤투리는 벤투리 관 또는 오리피스 플레이트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분무기는 기류에 의해 운반되는 미스트를 생성하기 위하여 체임버 속으로 액체를 증발시키기 위하여 가열되게 구성될 수 있다.
다른 대안의 또는 추가적인 방식로서, 분무기는 액체를 작거나 더 작은 입자들로 기계적으로 부수는 임펠러(impellor) 또는 스피닝 디스크(spinning disk)가 결합된 액체 플랫폼(liquid platform)일 수 있으며, 여기서 기류가 플랫폼을 가로질러 불어서 미스트를 발생하도록 이끌려질 수 있다.
대안으로, 분무기는 압전 효과 없이 초음파 수단 형태로 제공되어 액체를 작거나 보다 작은 입자들로 부수고, 여기서 기류는 플랫폼을 가로질러 불어서 미스트를 발생하도록 이끌려질 수 있다.
분무기는 전기분무 시스템(electrospray system) 등의 잉크 젯-타입 분무 메카니즘(ink jet-type spraying mechanism)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플래토-레일리 불안정성 유체 불안정성(plateau-rayleigh instability fluid instability)이 액적들의 정상 스트림(steady stream)의 생산을 촉진하는 특정 타입 디자인으로 이용된다.
분무기는 액체를 기류속으로 끌어들여 미스트를 발생시키도록 액체의 본체 위의 사이클론성 기류(cyclonic airflow) 또는 기류의 와류 시스템(vortex system)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분무기는 액체 메트릭스의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가스, 바람직하게는 공기가 미스트를 생성하도록 강제된다.
바람직하게는 배기된 공기는 에어 클리너가 흡입한 공기보다 적어도 20% 적은 오염물을 함유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 적은 오염물을 함유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60% 적은 오염물을 함유하고, 이상적으로는 적어도 80% 적은 오염물을 함유한다. 바람직하게는 기류 중의 실질적으로 모든 오염물들은 미스트에 의해 기류를 벗어나 리필의 저장조로 몰아내어진다.
추가적으로, 오염물들(즉, 에어 클리너의 체임버의 벽 또는 다른 부분들 상에 포획되지 않는 오염물들)중 적어도 일부를 리필로 몰아냄으로써,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필터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필터 요소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그러한 필터 요소를 통해 기류를 강제할 필요성이 없기 때문에 장치는 보다 적은 전력 소모로 작동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서, 장치를 청소하는데 요구될 수 있는 모든 것은 사용자가 또한 필터 요소를 교체하거나 청소할 필요 없이 리필을 주기적으로 교체하기만 하면 된다.
본 발명의 에어 클리너는 필터 요소를 포함하지 않는 등의 몇가지 장점을 갖지만, 그러한 필터 요소는 실제 본 발명의 에어 클리너에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필터 요소가 제공되는 경우에, 필터 요소는 2차적인 정화 수단으로 작용하여 사용중 미스트에 의해 리필쪽으로 몰아내어지지 않은 오염물들이 그에 의해 포획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가능한 필터 요소들의 예는: 기계식 필터 요소(멜트-블로운(melt-blown), 나노 섬유 필터(nano fiber filter), 유리 섬유 필터(glass fiber filter), 망상 폼(reticulated foam), 입상(granular)); 정전기 대전식; PTFE 또는 유사한 멤브레인-타입 표면 부하 필터(membrane-type surface loading filter); 악취의 추가적인 제거를 위한 활성 탄소 또는 이와 유사한 것;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미스트를 상방으로 방출하는 분무기의 하나의 장점은 미스트 액적들이 에너지를 잃음에 따라, 이들이 중력하에서 분무기로 다시 떨어지고 재사용을 위해 수집될 수 있다는 것이다. 대체로 상방을 향하는 분무기에 의해, 기류는 흐름에 반대 방향인 하방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하지만, 바람직하게는, 기류는 또한 상방을 향하게 하는데 이는 상대적으로 넓은 영역에 분산된 미스트들을 유지하는 것을 도와 기류를 세정하는 능력을 향상시키기 때문이다.
바람직하게는 심지(wick)가 액체를 분무기로 수송하여 미스트의 방출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심지는 복수의 분리된 성분들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분무기 심지와 리필 심지를 포함하는 이중 심지 시스템이 일반적으로 바람직하다. 이것이 유리한 이유는 분무기로 하여금 미스트를 방출하게 하기 위하여 분무기 심지의 위치가 주의 깊게 유지될 필요가 있고, 그러므로 저장조 내에 리필 심지를 위치시키는 것이 분무기 심지의 위치를 보다 잘 유지할 수 있게 하기 때문이다. 그러한 이중 심지 시스템에서, 리필 심지는 바람직하게는 리필의 액체 출구 개구를 통해 돌출되어 리필이 에어 클리너에 체결될 때 분무기 심지와 접촉한다.
이중 심지 또는 복수 심지 시스템이 추가적으로 유리한 이유는 하나의 리필을 갖는 에어 클리너를 사용하는 동안 저장조에 수집되는 오염물들이 리필 심지가 교체될 때 새로운 리필의 저장조에 들어가게 되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분무기 및/또는 분무기 심지와 접촉하게 되는 오염물의 양이 최소화되므로 이중 심지 시스템이 분무기의 작동 수명을 연장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사용중, 오염물들이 저장조 내부에 배치되는 심지와 접촉하는 것을 줄이고 바람직하게는 방지하는 메카니즘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저장조 내부에 저장조 필터가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심지 또는 심지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친수성 및 오염물-혐오성(contaminant-phobic) 물질로 제조된다. 즉, 심지(들)은 분무기쪽으로 오염물이 흡수되는 것을 막기 쉽게 된다.
체임버 내부에 미스트를 유지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분무기로부터의 미스트와 기류의 에너지에 의해 상당한 비율의 액체 액적들이 체임버를 벗어나지 못하게 할 정도의 내부 용적을 갖는 체임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체임버의 적어도 일부는 미스트 입자들이 체임버의 단부에 도달하기 훨씬 전에 기류에 의해 지지되지 않을 정도로 기류를 느리게 하기 위하여 기류의 방향으로 방사상이 되게 배열될 수 있다. 실제로, 이로 인해 일정 레벨의 미스트의 층이 형성되고, 미스트는 이 레벨을 넘어서 유지될 수 없으며, 이는 시각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만든다. 하우징의 일부만이 방사상이 될 수 있다. 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체임버는 실질적으로 그의 전체 길이 방향을 따라 방사상이 될 수 있다. 유효하게, 이는 결과적으로 대체로 중공의 원뿔대 형상을 갖는 체임버가 된다.
미스트가 체임버 내부에 유지될 수 있는 또 다른 방식은 분무기로부터 멀리 떨어진 체임버의 단부에 다공성 소수성 멤브레인(porous hydrophobic membrane)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한 멤브레인은 공기에서 불순물들을 제거하는 1차적인 필터 매체로 작동하도록 설계된 종래의 필터들과는 매우 다르다. 본 방식에서, 공기로부터 입자들의 분리는 미스트에 의해 행해지고 소수성 멤브레인은 분무기로부터 예정된 거리보다 더 이동하는 액체 입자들을 포획하기 위해서만 제공된다. 따라서, 멤브레인은 종래의 필터들보다 훨씬 더 다공성(전형적인 기공 크기 50-100㎛)이어서, 종래 기술과 관련된 본질적인 압력 강하를 피할 수 있다. 멤브레인이 소수성이므로, 액체 액적들은 멤브레인 상에서 응집하기 쉽다. 일단 액적들이 일정 크기에 도달하면, 체임버 아래로 다시 떨어질 정도의 질량을 가져, 분무기내에서 재사용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체임버는 체임버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 체임버(inner chamber)를 갖는다. 내부 체임버는 체임버의 기류가 내부 체임버의 내부에 들어가게 하기 위해서 내부 체임버의 상부에 공기 입구 포트를 가질 수 있다. 슬리브가 내부 체임버 내부의 내부 공간속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고 내부 체임버의 상부의 공기 입구 포트와 정합(in registration with)을 이룰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슬리브는 중공이고 환상의 형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내부 체임버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뿔형일 수 있으며, 여기서 원뿔은 그의 하부을 향해 좁아진다. 원뿔의 하부는 개방되어 오염물 출구를 정의하고, 바람직하게는 저장조의 유체 입구와 정합을 이룰 수 있다. 중공의 슬리브는 그를 통해 내부 체임버의 상부에 공기 출구를 정의하고, 바람직하게는 이 출구는 공기 배기구와 정합을 이루어 정화된 공기를 크리너 주변으로 배출한다.
바람직하게는 슬리브는 내부 체임버에 위치되어 기류가 바로 공기 배기구쪽으로 가까운 경로를 따라 흐르는 것을 막는다. 바람직하게는 내부 체임버의 공기 입구 포트는 내부 체임버의 내부 벽에 의해 정의되는 경계(boundary)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따라 사이클론성의 기류가 개시되게 하는데 알맞은 접선(tangent)으로 기류를 이끈다. 결과적인 사이클론성의 기류는 관성 질량 분리기(IMS)로 작동할 수 있다. 사용중에, IMS는 미스트 및 오염물들을 회전형/나선형 기류(spinning/spiralling airflow)를 벗어나 내부 체임버의 벽 쪽으로 밀어낼 정도의 공기 속력으로 내부 체임버를 통해 회전 및/또는 나선형으로 움직이는 기류에 의해 작동한다. 내부 체임버는 좁아져서 기류에 있는 미스트 입자들에 포획되거나 결합되지 않은 오염물들을 포함하는 보다 작은 입자들이 점점 더 상기 내부 체임버의 벽쪽으로 움직이게 한다. 청정 공기 또는 적어도 정화된 공기는 회전하면서 슬리브의 중심을 통해 공기 배기구쪽으로 내부 체임버를 빠져나간다. 바람직하게는 사이클론성의 기류를 벗어나게 내몰아진 미스트와 오염물들은 리필 쪽 내부 체임버의 벽들 아래로 그리고 리필의 액체 입구속으로 흘러 내린다.
기류가 사이클론성이 되기 위하여, 기류는 시스템에 의존하는 임계 속력(threshold speed)보다 더 커야 한다. 시스템은 다른 인자들 중에서도 체임버의 내부 구성, 내부 체임버, 슬리브, 내부 체임버의 공기 입구를 포함한다. 또한 최대 기류는 시스템에 의존하지만 시스템이 고장을 일으키지 않고 기류를 지지할 수 있을 정도까지만 시스템에 의존한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그 특정 시스템이 사이클론성 기류를 발생시키는 임계 속력보다는 더 크지만 그 특정 시스템이 전력 소모를 아끼고 에어 클리너의 기계적인 수명을 연장시키는 최대치 보다는 작게 기류가 조정되야 한다.
사이클론성 기류는 에어 클리너가 작동중에 높은 피치의 소음, 휘슬 소리(whistling sound)를 방출하게 하는 경향이 있다. 부분적으로 이 소리는 사이클론성 기류를 사용하는 것의 내재적인 특징이지만, 한 조각으로 구성된 내부 체임버는 에어 클리너로 하여금 대체적으로 방출된 높은 피치의 소음을 증폭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내부 체임버는 에어 클리너의 다른 부품들로부터 음향학적으로 알맞게 격리될 수 있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내부 체임버는 방출된 소음을 줄이기 위해 적어도 두개의 부분들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개인용 및/또는 가정용 에어 클리너로 사용하는 것이 의도된 에어 클리너에 바람직하다. 내부 체임버가 적어도 두개의 부분들로 이루어지는 경우, 리필은 내부 체임버의 하부에 제공될 수 있다.
내부 체임버의 분리된 부분들이 서로 연결되는 경우에, 알맞은 축임 재료(dampening material)가 그 사이에 존재할 수 있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그러한 축임 재료들은 내부 체임버가 에어 클리너의 다른 성분들에 연결되는 경우에 존재할 수 있다. 알맞은 축임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소리 축임 특성을 갖는 재료, 또한 실질적으로 비-다공성 재료이다. 하나의 그러한 알맞은 축임 재료는 고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필터 요소는 사이클론성 기류 밖으로 내몰려지지 않은 미스트 입자들 및/또는 오염물들을 잡아내기 위해 공기 출구와 공기 배기구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대안으로는, 필터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공기 출구 및 공기 배기구는 통합되거나 심지어 동일한 성분일 수 있다.
공기 입구를 통한 물의 손실을 막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공기 입구는 구불구불한 경로이고 액체 액적들을 포획하고 이들을 분무기로 돌려보내도록 배열된다.
크리너 및/또는 리필은 분무기에 공급되는 액체에 대한 시각적인 접근을 가능하게 하는 투명 창이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액체의 청결도를 소비자에 시각적으로 나타내고 저장조 내부에 보유된 액체의 양에 대한 수명 지표의 유용한 부분으로 기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리필은 에어 클리너의 하우징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체결 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 내 고정된 위치에 리필을 고정한다. 바람직하게는 체결 수단은 리필의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제공되어 에어 클리너 하우징의 대응하는 돌출부와 체결된다. 체결 수단은 하우징과의 착탈식 연결(snap-fit connection), 자물쇠와 열쇠 방식, 또는 다른 적절한 방식에 의해 고정된 위치에 리필을 고정할 수 있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에어 클리너는 리필의 일부, 바람직하게는 그의 하부과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리필이 크리너에 장입된 후 리필을 고정된 위치에 분리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에어 클리너는 그 안에 리필을 수용하는 공간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리필은 실질적으로 공간의 전부를 채우는 크기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공간은 비대칭형이거나 불규칙적인 형상을 갖고 리필은 대응하는 형상을 가져 리필은 공간에 한 방향으로만 장입될 수 있다. 리필이 공간에 장입되는 방향을 제어하는 것은, 사용자가 리필을 잘못 장입하려는 어떠한 시도에도 불구하고 리필의 액체 입구(들) 및 출구(들)을 분무기 및/또는 분무기 심지 및 오염물 출구에 관하여 정확히 위치시키는 것을 보장할 수 있으므로 유리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에어 클리너는 사용자-선택가능형 콘트롤(user-selectable controls)이 구비될 수 있다. 그러한 사용자 선택가능형 콘트롤은 공기가 정화되는 속도를 제어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사용자-선택가능형 콘트롤은 사용자로 하여금 공기가 정화되는 속도를 "저"에서 "고" 설정으로 변화시킬 수 있게 하며, 선택적으로는 그 사이에 하나 이상의 설정을 가질 수 있다. 사용자-선택가능형 콘트롤은 "저" 설정일 때, 팬은 에어 클리너를 통해 공기를 밀어내고/또는 사이클론성 기류를 발생시킬 수 있는 속력이지만 콘트롤이 "고"설정일 때 보다 더 느린 속력으로 작동할 수 있다. 다소 비슷하게, 사용자-선택형 콘트롤이 "저"설정일 때, 분무기는 콘트롤이 "고" 설정일 때 보다 더 적은 양의 액체를 미스트로 분출할 수 있다.
에어 클리너는 사용자-선택가능형 부스트 기능(boost function)이 구비될 수 있고, 그에 의해 사용자가 부스트 기능을 개시할 경우, 에어 클리너는 공기 정화 속도를 예정된 기간 동안 증가시킨 후 에어 클리너의 이전의 공기 정화 속도로 복귀한다. 바람직하게는 일단 사용자에 의해 개시되면, 부스트 기능은 30분의 기간 동안, 그리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분의 기간 동안,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15분의 기간 동안 작동한 후 이전의 속도로 복귀한다.
팬은 본 발명의 에어 클리너 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초기에 공기를 에어 클리너로 끌어 당기고 그 다음 기류를 크리너의 대부분을 통해 배기구 밖으로 밀어내는 것에 의해 그를 통해 기류를 흡인할 수 있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 초기의 흡인과 그 다음의 밀어냄은 팬 모터에 의해 만들어진 오염물이 기류에 밀어넣어져 정화되므로 바람직하다. 대안으로는 에어 클리너는 장치의 대부분을 통해 공기를 끌어당긴 후 이를 공기 배기구를 통해 주위로 밀어내는 것에 의해 그를 통해 공기를 흡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에어 클리너는 적어도 두개의 팬이 제공될 수 있다. 두개의 팬이 존재하는 경우에 하나는 공기 입구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다른 하나의 팬은 공기 배기구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이 이중 팬 방식에서, 에어 클리너 전체에 걸쳐 기류는 보다 균일해지며 조절이 더 용이해질 수 있다.
리필에 존재해는 액체는 이온성 액체, 바람직하게는 물일 수 있다. 리필에 있는 액체는 방향제(fragrances), 농약(pesticides), 살충제(insecticides), 살균제(bactericides), 세정제(detergents), 소독제 냄새 중화제(disinfectants odour neutralisers)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 추가의 성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기류는 체임버에서 소용돌이치게 조정될 수 있다. 이것은 미스트를 소용돌이치게 하고 공기와 물 사이의 접촉을 증대시킨다. 이것은 기류를 향하게 하는 회전 날개(rotating vanes) 또는 일련의 각진 날개들(angled vanes)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하지만, 바람직하게는 공기 입구는 공기가 체임버에서 소용돌이치게 할 정도의 접선으로 체임버속에 기류를 향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크리너는 플러그-연결 방식이거나 또는 배터리 전원 방식일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 배터리는 교체될 리필의 일부로 설계될 수 있다. 배터리 수명은 리필에 있는 액체의 작동 수명에 대응하여 조정될 수 있으므로 배터리가 리필의 부분이 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 방식은 장치에 유용한 수명의 종료 표지를 제공하고 그에 의해 리필의 수명 종료시, 리필에 있는 배터리 전원이 더이상 에어 클리너에 동력을 공급할 정도가 아니어서 일단 사용자가 크리너가 더이상 작동되지 않는다는 것을 인지하게 되면 사용자는 리필을 교체해야 하는 것을 알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개인용 및/또는 가정용 공간에서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에어 클리너의 용도가 제공되고, 여기서 이 용도는 공기속에 함유된 오염물들 중 적어도 일부가 제거될 때까지 위에서 설명한 에어 클리너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내부를 통해 연장되는 공기 입구와 공기 배기구를 갖는 하우징;
하우징으로부터 분리가능한 액체 저장조를 포함하는 리필; 사용중에, 액체 소스와 유체 접촉하여 액체 액적들의 미스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하우징 내부의 분무기; 미스트가 실질적으로 보유되는 하우징 내부의 체임버와 상기 체임버 내부에 제공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뿔형인 내부 체임버; 사용중에, 공기 입구를 통해 체임버속으로 기류를 발생시켜 기류내에 존재하는 오염물들 중 적어도 일부를 미스트에 의해 기류를 벗어나게 그리고 리필 및/또는 오염물 출구 쪽으로 몰아내도록 구성되는 하우징 내부의 팬; 및 공기 입구 포트와 슬리브가, 사용중에, 내부 체임버의 내부 벽에 의해 정의되는 경계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따라 사이클론성 기류가 개시되게 할 정도의 접선으로 기류를 향하게 하여 관성 질량 분리기(inertial mass separator)를 만드는 것을 포함하는 에어 클리너가 제공된다.
본 발명이 보다 쉽게 이해되게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다음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오직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서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측단면도를 나타낸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측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에 예시된 에어 클리너는 대체로 실린더형 하부(2) 및 하방으로뾰족한 부분(3)을 갖는 하우징(1)을 포함한다. 이 대신에, 하우징이 대체로 하방으로 뾰족한 원뿔형 부분을 갖는 것이 흐름상 바람직하다.
이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분무기(4)가 하우징의 바닥 단부쪽에 위치한다. 분무기(4)는 리필(13) 내부의 액체 저장조(5)와 유체에 의해 연통되어 있다.
하우징(1)은 공간(미도시)이 제공되고 리필(13)은 상기 공간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리필(13)은 체결 수단(미도시)을 가져 리필(13)을 하우징(1) 내부의 바른 위치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공기 입구(6)는 하우징 둘레 주변에 배열되는 다수의 통로들을 포함하며 저장조(5) 바로 위에 제공된다. 이들은 구불구불한 외형(tortuous configuration)을 가져 액체 액적들이 이들 입구들을 통해 체임버를 나가는 것을 막는다.
소수성 물질의 다공성 멤브레인(7)은 하우징의 발산부(3)의 상단부에 제공된다. 팬(8)은 하우징의 맨위 공기 출구(9)에 제공된다.
사용중에, 분무기(4)는 체임버(1)에서 미스트를 발생시킨다. 팬은 입구(6)를 통해 공기를 흡인한다. 공기는 미스트에 의해 정화되고 정화된 공기는 소수성 멤브레인(7)을 통과하고 팬(8) 주변의 출구(9)를 통해 하우징 밖으로 나간다. 분무기(4)와 팬(8)은 미스트의 물 액적들이 멤브레인(7)에 도달하기에는 부족한 에너지를 갖도록 구성된다. 이 효과는 발산부(3)(또는 대체로 원뿔형 성질의 전체 하우징)에 의해 증대되어 팬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공기의 속력을 느리게 한다. 따라서, 미스트 입자들이 일반적으로 특정 거리를 넘어 이동할 수 없고, 대신 주변 입자들과 합체되어, 저장조(5)로 다시 떨어지고, 여기서 분무기에 의해 다시 활성화된다.
물론, 일부 입자들이 다른 입자들보다 더 멀리 이동하게 되고 이러한 더 많은 에너지를 갖는 입자들은 소수성 멤브레인(7)에 부딪친다. 여기서, 그것들은 이렇게 멀리 이동한 다른 액체 입자들과 합체되고 무거워서 필터상에 유지되지 못할 정도까지 합체되면 저장조(5)에 다시 떨어진다.
시간 경과에 따라, 저장조(5)에 있는 물이 공기 정화로 인한 모든 불순물로 더러워지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창(미도시)이 하우징에 제공되어 소비자로 하여금 물의 상태를 확인하고 언제 저장조 액체를 교체할 필요가 있는지에 대해 판단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시간 경과에 따라, 멤브레인(7)의 존재와 공기 입구(6)의 구불구불한 외형에도 불구하고, 일부 액체가 불가피하게 시스템에서 손실된다. 또한 저장조에 대한 창은 소비자로 하여금 액체의 수준이 수용할 수 있는 수준 아래로 떨어졌는지, 그리고 다시 보충이나 교환이 필요한지를 결정할 수 있게 한다.
이 실시예에 대해 많은 변형예가 상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어 클리너를 거꾸로 하여 분무기가 미스트를 아래로 향하게 하고 기류는 위로 향하게 할 수 있다. 대안으로는, 필터는 동일한 반대 방향의 장치와 수평을 이루게 배열될 수 있다.
공기 입구는 접선을 따라(tangentially) 배열되어 들어오는 공기가 소용돌이치게 할 수 있다. 이들은 사이클론성 효과를 만들도록 배열될 수 있고 사이클론성 효과는 공기의 정화를 증대시키고 또한 시각적으로 만족스러운 효과를 제공한다.
도시된 바처럼 하우징의 맨위에 팬(8)을 위치시켜 크리너를 통해 공기를 끌어당기는 대신에, 체임버(1)를 둘러싸는 대체로 환상의 외형을 갖는 출구 도관(outlet duct)을 둘 수 있고 이 환상의 체임버의 바닥에 팬을 위치시켜 하우징을 통해 기류를 밀어올릴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다른 구성의 에어 클리너는 공기 입구(10)를 갖는 하우징(11)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를 통해 공기가 정화를 위해 크리너 속으로 흡인될 수 있다. 팬(12)은 공기를 입구(10)를 통해 흡인하고, 구불구불한 경로를 거쳐, 공기를 크리너의 주 체임버(18) 속에 강제로 넣도록 작동될 수 있다.
주 체임버(18)의 기저에 분무기(20)가 위치된다. 분무기(20)는 액체 미스트를 대체로 위쪽 방향으로 에너지 부여 및 방출하도록 배열된다. 이는 분무기(20)를 리필(23)의 저장조(22)와 유체 접촉하게 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저장조(22)는 위쪽으로 연장되는 심지(24)가 제공되고 이는 액체를 분무기 심지(26) 쪽으로 끌어올릴 수 있게 된다. 분무기 심지(26)은 액체를 분무기(20)로 수송하여 미스트의 방출이 이루어지게 한다. 분무기(20)로 미스트를 방출하기 위해서 분무기 심지(26)의 위치가 조심스럽게 유지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이중 심지 시스템이 일반적으로 바람직하고, 따라서 분리 심지(24)가 리필(23)의 일부를 형성하게 하고 저장조(22) 내에 위치되게 하는 것이 분무기 심지(26)의 위치를 더 잘 보존할 수 있게 된다. 리필(23)은 두개의 유체 입구를 가져 방출된 미스트 입자들이 궁극적으로 저장조에 돌아오도록 하고 이들에 대해서는 나중에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주 체임버(18) 내부에 내부 체임버(30)가 위치된다. 내부 체임버(30)는 그의 상부에 공기 입구 포트(31)를 가져 주 체임버(18)로부터의 기류가 내부 체임버(30)의 내부에 들어갈 수 있게 한다. 슬리브(32)가 내부 체임버(30)의 내부로 부분적으로 연장된다. 슬리브(32)는 공기 입구 포트(31)와 정합을 이루게 위치된다. 슬리브(32)는 중공이고 환상 외형을 갖는다.
내부 체임버(3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뿔 모양이고 여기서 원뿔은 그의 하부부분 쪽으로 좁아진다. 원뿔의 하부는 개방되어 오염물 출구를 정의할 수 있다. 오염물 출구는, 사용중에, 미스트 입자들이 저장조(22)를 향해 화살표(34)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고, 저장조(22)는 그와 정합을 이루는 유체 입구(fluid entrance)를 갖는다.
주 체임버(18)와 오염물 출구 사이에 에어 클리너의 알맞은 작동을 확보하도록 알맞은 압력 차가 확실히 유지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저장조(22)에 있는 액체의 표면 아래로 연장되는 관 배열체(tubing arrangement)에 심지 또는 심지들(24, 26)을 수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관 장치는 오염물 출구와 저장조(22) 사이로 연장될 수 있다. 대안으로는, 오염물 출구는 별도의 저장조(미도시)로 배출하고 별도의 저장조는 이어서 분무기(20)에 의한 액체의 재사용을 위해 저장조(22)에 공급할 수 있다.
슬리브(32)의 중공의 코어는 화살표 방향(36)의 공기 출구(37)를 정의한다. 이 출구(37)는 공기 배기구(38)와 정합을 이루고 공기 배기구(38)를 통해 정화된 공기가 크리너 주변으로 방출된다. 공기 출구(37)와 공기 배기구(38) 사이에 필터 요소(40)가 존재할 수 있다.
전력이 전력선(16)을 통해 에어 클리너로 제공되고, 전력선(16)은 에어 클리너로부터 멀리 떨어진 단부에, 주 전기 소켓에 체결되는 전기 플러그 구조를 갖는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전력은 에어 클리너 내에 위치되거나 리필(23)의 일부로서 하나 이상의 배터리에 의해 공급될 수 있다.
도 2에 예시된 에어 클리너의 작동 방식을 설명한다.
팬(12)은 입구(10)를 통해 크리너속으로 공기를 흡인하고 이 공기를 구불구불한 경로를 통해 주 체임버(18)로 밀어 넣도록 작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구불구불한 경로는 기류가 주 체임버(18)로 들어올 때 기류가 위쪽으로 소용돌이치게 구성될 수 있다. 분무기(20)는 액체의 미스트를 주 체임버(18) 속으로 위쪽으로 방출하도록 가동될 수 있다. 위쪽으로 소용돌이 치는 기류는 위쪽으로 방출된 미스트와 결합되고 기류의 정화가 개시된다.
기류내 오염물들은 미스트의 액체 입자들과 접촉하고 함께 결합된 상태로 남을 수 있다. 결합된 액체 입자(들)과 오염(물)들이 일정한 질량에 도달 및/또는 주 체임버(18)의 벽에 접촉 및/또는 체임버(18) 내부 느린 기류의 영역으로 수송되면, 이것들은 기류를 벗어나 체임버(18)의 기저를 향해 떨어질 수 있다. 체임버의 기저는 그 위에 수집되는 액체를 저장조(22) 속으로 보내기 위해 유체 입구(28)로 안내하는데 알맞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 다음 유체 입구를 거쳐 저장조(22)에 들어오는 액체는 다시 분무기(22)로 수송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기류를 벗어나 떨어지지 않은 미스트 입자들 및 결합된 미스트와 오염물 입자들은 공기 입구 포트(31)를 통해 내부 체임버(30)로 흡인될 수 있다. 공기 입구 포트(31)는 내부 체임버(18)의 내부 벽에 의해 정의되는 경계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따라 사이클론성의 기류가 개시되게 할 정도의 접선으로 기류를 향하게 하고 슬리브는 기류가 바로 공기 배기구(38) 쪽으로 가까운 경로를 따라 흐르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 결과적인 사이클론성 기류는 기류의 속도를 높여 기류 중 오염물이 액체 미스트 입자와 접촉하게 되는 가능성을 높인다. 게다가, 이 결과적인 사이클론성 기류는 관성 질량 분리기(IMS)로 작동할 수 있게 된다.
기류가 사이클론성이 되어 IMS를 생성하게 하기 위하여, 기류는 시스템에 의존하는 임계 속력에 비해 더 커야하고, 시스템은 다른 요소들 중에서도 체임버(18)의 내부 구성, 내부 체임버(30), 슬리브(32), 공기 입구 포트(31)를 포함하여야 한다. 또한 최대 기류는 시스템에 종속된다. 다만 시스템이 고장을 일으키지 않고 기류를 지지할 수 있을 정도까지만 시스템에 종속된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사이클론성 기류를 발생시키는 그 특정 시스템의 임계 속력보다는 더 크지만 전력 소모를 아끼고 에어 클리너의 기계적인 수명을 연장시키는 그 특정 시스템의 최대치 보다는 작도록 기류가 조정되야 한다.
IMS는 내부체임버(18)를 회전(spinning) 및/또는 나선형(spiralling)으로 운동하는 기류에 의해 작동하며, 여기서 회전 및/또는 나선 운동하는 기류는 미스트 및 결합된 미스트와 오염물 입자들을 회전형/나선형 기류를 벗어나 내부 체임버의 벽을 향하게 될 정도의 공기 속력을 갖는다. 원뿔이 좁아짐에 따라 기류 내의 점점 작은 미스트 입자들이 기류를 벗어나 내부 체임버(30)의 벽을 향해 내던져진다. 이들 입자들이 내부 체임버와 접촉하게 될 때, 원뿔 형상은 입자들을 오염물 출구(34)를 향해 하류로 안내한다. 오염물 출구(34)는 저장조(22) 속으로 들어가는 추가적인 유체의 입구로서 역할을 한다. 그 다음 이 유체 입구를 거쳐 저장조(22)로 들어가는 액체는 다시 분무기(20)로 수송될 수 있다.
원뿔이 그의 하부로 가면서 좁아짐에 따라, 청정 공기, 또는 적어도 보다 청정한 공기는 슬리브(32)의 가운데를 통해 원뿔을 회전하면서 빠져나가 공기 배기구(38)를 향한다.
사이클론성 기류를 벗어나지 않은 미스트 입자 및/또는 결합된 미스트와 오염물 입자들을 잡아내기 위해 공기 출구(37)과 공기 배기구(38) 사이에 필터(40)가 제공될 수 있다.
분무기(20)에 공급되는 물을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심지(24)에 인접하게 투명 창(미도시)이 위치될 수 있다. 이는 물의 청결도를 사용자에 시각적으로 보여준다. 또한 그러한 창은 또한 리필(23) 내부에 보유된 액체의 양에 대한 수명 지표의 유용한 수단으로 기능할 수 있다. 크리너의 사용으로 인해 액체가 수용할 수 없을 정도로 더러워진 경우에, 리필은 하우징(11)으로부터 분리되어 새로운 리필로 교체될 수 있다.
투명 창(미도시)은 주 체임버(18)에 위치되어 사용자에게 에어 클리너가 작동하는지 여부를 시각적으로 보여준다. 추가적으로, 대다수의 에어 클리너 사용자들은 미스트의 미스트 작동을 심미적으로 만족스럽게 여기는 것으로 생각되고 창의 존재는 이 심미적 효과의 감상하는 것을 돕는다. 실제로, 전체 주 체임버(18)는 실질적으로 투명하여 작동을 시각적으로 나타내고 사용자가 심미적 효과를 감상하게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첨부된 특허청구범위, 요약서 및 도면 포함)에 개시된 모든 특징들 및/또는 그렇게 개시된 방법 또는 공정의 모든 단계들은, 그러한 특징들 및/또는 단계들의 적어도 일부가 상호간에 배타적인 경우의 조합을 제외하고, 어떠한 조합으로도 조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첨부된 특허청구범위, 요약서 및 도면 포함)에 개시된 각기 특징은, 명시적으로 달리 언급하지 않으면, 동일, 등가 또는 비슷한 목적을 낳는 대체적인 특징들로 교체될 수 있다. 따라서, 명시적으로 달리 언급되지 않으면, 개시된 각기 특징은 포괄적으로 연속되는 등가물 또는 비슷한 특징들 중 하나의 예일 뿐이다. 게다가, 본 발명은 이전의 실시예(들)의 세부사항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본 명세서(첨부된 특허청구범위, 요약서 및 도면 포함)에 개시된 특징들중 어느 신규한 하나, 또는 어느 신규한 조합으로 확장되거나, 또는 그렇게 개시된 방법 또는 공정의 단계들중 어느 신규한 하나, 또는 어느 신규한 조합으로 확장된다.

Claims (31)

  1. 내부를 통해 연장되는 공기 입구 및 공기 배기구를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가능한 액체의 저장조를 포함하기 위한 리필;
    사용시, 액체의 소스와 유체 접촉하여 액체 액적들의 미스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상기 하우징 내부의 분무기;
    사용시 상기 분무기는 상기 미스트를 상방으로 배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미스트를 실질적으로 보유하는 상기 하우징 내부의 체임버;
    사용시 상기 공기 입구를 통해 상기 체임버로 기류를 발생시켜 상기 기류 내부에 존재하는 상기 오염물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미스트에 의해 상기 기류를 벗어나 상기 리필 및/또는 오염물 출구 쪽으로 몰아내도록 구성되는 상기 하우징 내부의 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클리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클리너는 가정용 및/또는 개인용 용도를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클리너.
  3. 어느 선행하는 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기는 압전 분무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클리너.
  4. 어느 선행하는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된 공기는 상기 에어 클리너에 의해 흡수된 상기 공기보다 적어도 60% 적은 오염물들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클리너.
  5. 어느 선행하는 항에 있어서, 내부 체임버가 상기 체임버 내부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클리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체임버는 상기 내부 체임버의 상부에 공기 입구 포트를 가지고 상기 내부 체임버 내부의 내부 공간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고 상기 공기 입구 포트와 정합을 이루는 환상으로 구성된 슬리브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클리너.
  7. 어느 선행하는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체임버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뿔 모양을 갖고 상기 원뿔은 그의 하부쪽으로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클리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원뿔의 상기 하부는 개방되어 오염물 출구를 정의하고, 상기 오염물 출구는 상기 리필의 상기 저장조에 대한 유체 입구와 정합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클리너.
  9.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그를 통해 상기 내부 체임버의 상기 상부에 공기 출구를 정의하고, 상기 출구는 상기 공기 배기구와 정합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클리너.
  10. 제5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입구 포트와 상기 슬리브는 상기 내부 체임버의 상기 내부 벽에 의해 정의되는 경계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따라 사이클론성의 기류가 개시되게 할 정도의 접선으로 상기 기류를 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클리너.
  11. 제5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는 상기 에어 클리너가 사이클론성 기류를 발생시키게 하는 임계 속력보다 더 크지만 상기 에어 클리너에 대한 최대치보다 작게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클리너.
  12. 제5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체임버는 적어도 두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클리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체임버의 상기 분리된 부분들은 서로 연결되며 그들 사이에 알맞은 축임 재료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클리너.
  14. 어느 선행하는 항에 있어서, 필터 요소가 상기 공기 출구와 상기 공기 배기구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클리너.
  15. 어느 선행하는 항에 있어서, 상기 크리너는 상기 분무기에 공급되는 물에 대한 시각적인 접근을 가능하게 하는 투명 창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클리너.
  16. 어느 선행하는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클리너는 사용자-선택가능형 콘트롤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클리너.
  17. 어느 선행하는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클리너는 사용자-선택가능형 부스트 기능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클리너.
  18. 어느 선행하는 항에 있어서, 적어도 두개의 팬들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클리너.
  19. 어느 선행하는 항에 따른 에어 클리너용 리필로서,
    하우징;
    액체를 내부에 보유하는데 알맞은 상기 하우징 내부의 저장조;
    상기 하우징을 통한 적어도 두개의 개구를 포함하고, 여기서 하나의 개구는 액체 출구이고 다른 하나의 개구는 액체 입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클리너용 리필.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리필은 리필 심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클리너용 리필.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리필은 상기 내부 체임버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클리너용 리필.
  22. 제19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필은 체결 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체결 수단은 상기 에어 클리너의 상기 하우징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하우징 내 고정된 위치에 상기 리필을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클리너용 리필.
  23. 제19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필은 상기 리필을 수용하는 상기 에어 클리너 내부의 모든 공간을 실질적으로 채우는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클리너용 리필.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리필은 비대칭 또는 불규칙적인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클리너용 리필.
  25. 제19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필의 상기 저장조는 내부에 액체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클리너용 리필.
  26. 제19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필의 상기 저장조는 내부에 물과 섞일 수 있는 비-액체성 화학-성분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클리너용 리필.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비-액체성 성분은: 건조 분말상 또는 과립상 화학 성분; 겔, 겔화, 겔상 화학 성분;및/또는 바람직하게는 공기보다 큰 밀도를 갖는 가스상 화학 성분들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클리너용 리필.
  28. 제19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액체 방향제를 보유하는데 알맞은 방향제 저장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클리너용 리필.
  29. 제19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방향제 저장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클리너용 리필.
  30. 개인용 및/또는 가정용 공간의 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한 에어 클리너의 용도로서, 상기 공기 내부에 포함된 오염물들 중 적어도 일부가 정화될 때까지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에어 클리너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에어 클리너의 용도.
  31. 본 명세서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를 실질적으로 따르는 에어 클리너.
KR1020107022173A 2008-03-07 2009-03-06 에어 클리너 KR2011000202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0804311.9 2008-03-07
GB0804311A GB2458162A (en) 2008-03-07 2008-03-07 Air clea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021A true KR20110002021A (ko) 2011-01-06

Family

ID=39327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2173A KR20110002021A (ko) 2008-03-07 2009-03-06 에어 클리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728208B2 (ko)
EP (1) EP2268381A1 (ko)
JP (1) JP2011514253A (ko)
KR (1) KR20110002021A (ko)
CN (1) CN102015064A (ko)
GB (1) GB2458162A (ko)
WO (1) WO200910976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2463A (ko) * 2014-10-01 2017-06-07 콘데어 그룹 아게 공기 가습을 위한 수적 생성 장치 및 이런 장치를 갖는 가습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14375A (zh) * 2009-12-09 2011-07-06 有利创新科技有限公司 集尘器和去除空气中的尘粒的方法
US8317901B2 (en) * 2010-02-26 2012-11-27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Nanoparticle filtration
CN103140246B (zh) 2010-10-01 2015-04-22 英派尔科技开发有限公司 气旋催化管道
JP5768373B2 (ja) * 2011-01-07 2015-08-26 凸版印刷株式会社 揮散装置
WO2011144091A2 (zh) * 2011-05-26 2011-11-24 华为技术有限公司 直通风散热装置及通信设备
CN104663633B (zh) * 2013-11-26 2018-07-27 北京中献智农科技有限公司 一种施药装置及施药方法
EP3083007B1 (en) * 2013-12-20 2018-03-21 Outotec (Finland) Oy Method and wet scrubber for removing particles from gases
US9211356B2 (en) * 2014-03-18 2015-12-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Ink jet delivery system comprising an improved fluid mixture
CN104014211B (zh) * 2014-06-24 2015-09-23 李军 水浴式雾化空气净化装置
US9316405B2 (en) * 2014-07-10 2016-04-19 Dana Electronics Co., Ltd. Cyclone type humidifier and wet air purifier combination device using centrifugal force
CN104069711B (zh) * 2014-07-12 2016-02-24 苏州克利亚环保科技有限公司 一体式可调节文丘里旋流废气洗涤塔
CN104226060B (zh) * 2014-08-27 2016-06-08 陈启东 一种污染气体过滤器
KR20160054730A (ko) * 2014-11-06 2016-05-17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Uv led와 광촉매 필터를 사용한 소형 공기 정화기
JP6730272B2 (ja) 2014-11-06 2020-07-29 ソウル バイオシ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Seoul Viosys Co.,Ltd. Uv led及び光触媒フィルターを使用した小型空気清浄器
KR20160054732A (ko) * 2014-11-06 2016-05-17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Uv led와 광촉매 필터를 사용한 소형 공기 정화기
KR20160054733A (ko) * 2014-11-06 2016-05-17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Uv led와 광촉매 필터를 사용한 소형 공기 정화기
US11311831B1 (en) 2015-01-28 2022-04-26 Pui King Chan Air purification method based on cloud physics
EP3388753A4 (en) * 2015-12-17 2019-09-11 Mizrahi Aksiyote, Aldo Adolfo SYSTEM AND APPARATUS FOR HIGH EFFICIENCY IN MASS TRANSFER
CN106994280A (zh) * 2017-05-09 2017-08-01 梁绍勇 一种人造板干燥***消烟除尘装置
KR102081593B1 (ko) * 2019-07-25 2020-02-26 주식회사 이루미 중공 흡입식 관형 필터를 이용한 환기 겸용 공기청정기
US11458500B2 (en) * 2020-08-24 2022-10-04 Bloomy Lotus Limited Focused ultrasonic atomizer
CN111998463B (zh) * 2020-09-02 2021-07-27 浙江美臣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技术的新风净化一体机
KR102410336B1 (ko) * 2021-11-10 2022-06-22 한국과학기술원 싸이클론형 개인보호장치
US11788747B2 (en) * 2021-11-10 2023-10-17 Aeolus Air Devices LLC Airfield systems, devices, and methods
CN114451584A (zh) * 2021-12-14 2022-05-10 深圳市吉迩科技有限公司 一种双芯雾化器及气溶胶发生装置
CN114264019B (zh) * 2021-12-30 2023-07-25 杭州洋云科技有限公司 等离子空气消毒机及其应用
CN114308505B (zh) * 2022-01-10 2022-11-04 深圳市优悠实业集团有限公司 一种超声波雾化结构
CN114768440B (zh) * 2022-04-20 2023-07-18 温州理工学院 一种建筑工地环境防护用降尘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56204B (en) * 1984-03-22 1988-02-24 Masahiko Izumi Cleaning objects
CN1076137A (zh) * 1992-01-24 1993-09-15 新安库斯贸易株式会社 空气净化方法、净化装置和湿气发生器
JPH06154329A (ja) * 1992-11-17 1994-06-03 Marushin:Kk 空気清浄器
JPH06269491A (ja) * 1993-03-20 1994-09-27 Nirai Kk 空気清浄装置
JP3695665B2 (ja) 1995-06-30 2005-09-14 株式会社ニコテック 湿式集塵装置
JP3173763B2 (ja) * 1995-08-03 2001-06-04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真気発生器
JPH0970516A (ja) * 1995-09-05 1997-03-18 Omron Corp 空気清浄器
JPH09225245A (ja) * 1996-02-27 1997-09-02 Toru Igarashi 排風内の塵埃除去方法、およびそのための塵埃除去装置
JPH105519A (ja) * 1996-06-26 1998-01-13 Daikin Ind Ltd 空気の状態表示機能付空気清浄機
JPH10216448A (ja) * 1997-02-04 1998-08-18 Denso Corp 空気清浄機
US6092794A (en) * 1998-12-23 2000-07-25 Cool Fog Systems, Inc. Secondary air humidification handler
US6843835B2 (en) * 2001-03-27 2005-01-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ir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air
US6503302B2 (en) * 2001-03-27 2003-01-07 Yellow Tiger Works Limited Air purifier
KR200237931Y1 (ko) * 2001-04-24 2001-10-12 주식회사 대현하이테크 자동분무탈취기
WO2003053544A2 (en) * 2001-12-07 2003-07-03 O.P.M. Holdings, Inc. Airborne particle removal system
JP2004154535A (ja) * 2002-09-12 2004-06-03 Takutoron Kk メンテナンスの容易なマイナスイオン発生装置
US7115155B2 (en) 2002-12-06 2006-10-03 Ronald Donald Stead Air filtration apparatus and aromatizer
DE20312576U1 (de) * 2003-08-13 2003-11-06 Kowalewski Klaus Luft-Reinigungsvorrichtung
JP4347012B2 (ja) * 2003-10-02 2009-10-21 株式会社サンシ−ル 空気清浄化装置
US7025809B2 (en) * 2003-12-11 2006-04-11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Dual-type air purification system
KR100640727B1 (ko) * 2004-11-08 2006-11-0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습식 음이온 발생장치가 구비된 공기청정기
KR100589791B1 (ko) * 2004-11-17 2006-06-1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습식 공기정청기용 정화장치
US20060102000A1 (en) * 2004-11-17 2006-05-18 Daewoo Electronics Corporation Wet type air cleaner
JP2006280698A (ja) * 2005-04-01 2006-10-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浄化装置
KR100605735B1 (ko) * 2005-05-04 2006-08-0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음이온 발생장치가 구비된 습식 공기 청정기
WO2007010173A1 (en) * 2005-07-18 2007-01-25 Colin Lawrence Amess Electrostatic air filter
JP2007236576A (ja) * 2006-03-08 2007-09-20 Sanyo Electric Co Ltd 空気除菌装置
KR200424506Y1 (ko) 2006-05-22 2006-08-28 주식회사 노비타 온수세정기의 변좌커버를 이용한 절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2463A (ko) * 2014-10-01 2017-06-07 콘데어 그룹 아게 공기 가습을 위한 수적 생성 장치 및 이런 장치를 갖는 가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109763A1 (en) 2009-09-11
JP2011514253A (ja) 2011-05-06
EP2268381A1 (en) 2011-01-05
US20110048232A1 (en) 2011-03-03
GB0804311D0 (en) 2008-04-16
GB2458162A (en) 2009-09-09
US8728208B2 (en) 2014-05-20
CN102015064A (zh) 2011-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02021A (ko) 에어 클리너
KR100540920B1 (ko) 공기청정기
US639110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a gas
JP4913073B2 (ja) ラビリンス効果に基づいて回転気化器及びらせん状構造物を利用した遠心湿式空気清浄機
KR100761279B1 (ko) 공기청정기
JP2008520333A (ja) 湿式空気清浄機
JP2008518776A (ja) 湿式空気清浄機
US7591885B2 (en) Wet type air cleaner
KR102162454B1 (ko) 음이온방출, 살균 및 방향휘산 다기능 차량용 공기청정기
KR101881667B1 (ko) 가습청정장치
JP2008518777A (ja) 湿式空気清浄機
JPH09253011A (ja) サイクロン式湿式電気掃除機
JP2008520423A (ja) 湿式空気清浄機
CN215427341U (zh) 液体扩散器,用于液体扩散器的过滤器和熔岩流体扩散器
KR20130119336A (ko) 공기정화장치
US20210180801A1 (en) Air purification-aromatherapy device
KR101565094B1 (ko) 공기정화기
CN114353225B (zh) 液体微细化装置及换气装置、空气净化器、空气调节器
CN211476169U (zh) 空气净化香薰机
JP2574603Y2 (ja) 空気清浄機
KR101926093B1 (ko) 개선된 초미세 피톤치드 휘산장치
EP3934500B1 (en) Multifunction machine for cleaning and sanitizing surfaces and environments
JP2000033215A (ja) ミスト発生装置
WO2008110763A1 (en) Wet type air cleaner
JPH08182908A (ja) 気体浄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