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3042A - 가스배관의 방식상태 진단용 전류/전위 감시장치 - Google Patents

가스배관의 방식상태 진단용 전류/전위 감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3042A
KR20100123042A KR1020090042043A KR20090042043A KR20100123042A KR 20100123042 A KR20100123042 A KR 20100123042A KR 1020090042043 A KR1020090042043 A KR 1020090042043A KR 20090042043 A KR20090042043 A KR 20090042043A KR 20100123042 A KR20100123042 A KR 201001230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potential
gas pipe
data
monitor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2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2968B1 (ko
Inventor
정순환
정동화
심정란
김택주
최용석
박영호
김종우
허영길
황종구
민송식
최철웅
김봉중
이선영
이동찬
이국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부산도시가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부산도시가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부산도시가스
Priority to KR1020090042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2968B1/ko
Publication of KR20100123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30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2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29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25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using digital measurement techniques
    • G01R19/257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using digital measurement techniques using analogue/digital converters of the type with comparison of different reference values with the value of voltage or current, e.g. using step-by-step metho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G08C19/02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he signal transmitted is magnitude of current or volta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ipeline System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 Testing Resistance To Weather, Investigating Materials By Mechanical Methods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배관의 방식상태 진단용 전류/전위 감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지중에 매설되고 소정의 코팅층으로 방식처리된 가스배관(100,100a)이 소정의 맨홀에 설치된 밸브(102) 및 절연조인트(104)로 연결되며, 상기 가스배관에 (+)전극이 연결되고 (-)전극을 가지는 기준전극(18)을 지중에 매설하여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방식상태를 감시하도록 된 가스배관의 방식상태 진단용 전류/전위 감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시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며 센서에서 검출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제어부(12)와; 상기 가스배관으로부터 전류값을 검출하는 전류센서(14)와; 상기 가스배관으로부터 전위값을 검출하는 전위센서(15)와; 상기 전류센서 및 전위센서의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제어부로 전송하는 A/D변환부(16)와; 상기 제어부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22)와; 감시장치의 작동을 위해 안정화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23) 및 배터리(24)와; 상기 제어부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원격지의 상황실 컴퓨터(50)로 무선으로 전송하기 위한 무선통신부(2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배관의 방식상태 진단용 전류/전위 감시장치를 제안한다.
가스배관, 방식, 제어부, 전류센서, 전위센서.

Description

가스배관의 방식상태 진단용 전류/전위 감시장치{current/electric potential monitoring device}
본 발명은 가스배관의 방식상태 진단용 전류/전위 감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가스공급배관을 통해 흐르는 전류 및 전위를 검출하여 가스공급배관의 코팅불량구간 및 타 시설물과의 접촉/간섭 지점을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스배관의 유지관리는 물론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가스배관의 방식상태 진단용 전류/전위 감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지중에 매설되어 있는 가스배관에는 배관의 수명을 연장하기 위해 방식(防蝕)이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가스배관의 방식은 부식억제제 내지 절연판 등을 부착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지며, 예컨대 상기 가스배관의 외측면에 부식방지 코팅층을 형성하여 배관의 부식 방지는 물론 수명을 연장하고 있다.
한편 가스배관의 코팅층 불량구간의 추측이 불가능하였고, 타시설물과 접촉시 신속한 위치파악이 어려우며, 간섭 전류의 영향으로 분석이 난해한 단점과, 절 연조인트를 수동으로 점검해야 하는 등, 불량구간의 복구를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되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이로인해 종래에는 상기 가스배관의 방식 즉, 부식 및 손상 등의 유무를 검사하고자, 종래에는 작업자가 현장에서 직접 땅을 파거나 소정의 맨홀을 통해 가스배관을 노출한 다음, 가스배관(+극)에 흐르는 전류량을 측정하거나 가스배관(+극)과 대지(-극)와의 전위를 측정하여 원격지의 상황실로 전용회선 또는 무선통신으로 전송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가스배관의 방식상태 감시장치로는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0630639호의 '지중 배관 상태 원격 감시 및 안전 관리 시스템' 내지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0672202호의 '지중 배관 상태 원격 감시 시스템',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0311631호의 '원격부식감시 및 방식 제어시스템' 이외에도 다수의 건이 공지된 바에 있으며, 개략적으로는 지중에 매설되어 있는 배관의 방식상태를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데이터를 검출하고, 이 데이터를 원격지의 상황실로 전송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들은 현장에서의 작업자 투입은 물론 많은 작업시간이 소요되며, 상대적으로 많은 작업비용이 증가하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검출된 데이터의 정확도가 매우 낮고 편차가 심할 뿐만 아니라, 이는 배관의 방식상태를 감지하기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원의 소비가 과중하여 시스템의 유지관리 비용이 증가하는 등 비경제적인 단점과, 역시 시스템의 구성 및 작동이 매우 복잡하여 전문적인 작업자를 필요로 하는 등 비실용적인 결점을 내포하고 있어 시급한 개선을 필요로 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가스배관의 방식상태 진단용 전류/전위 감시장치는 가스배관에 흐르는 전류값과 전위값을 동시에 검출하여 가스배관의 방식상태의 이상 유무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신속하게 조치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지중에 매설되고 소정의 코팅층으로 방식처리된 가스배관(100,100a)이 소정의 맨홀에 설치된 밸브(102) 및 절연조인트(104)로 연결되며, 상기 가스배관에 (+)전극이 연결되고 (-)전극을 가지는 기준전극(18)을 지중에 매설하여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방식상태를 감시하도록 된 가스배관의 방식상태 진단용 전류/전위 감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시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며 센서에서 검출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제어부(12)와; 상기 가스배관으로부터 전류값을 검출하는 전류센서(14)와; 상기 가스배관으로부터 전위값을 검출하는 전위센서(15)와; 상기 전류센서 및 전위센서의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제어부로 전송하는 A/D변환부(16)와; 상기 제어부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22)와; 감시장치의 작동을 위해 안정화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23) 및 배터리(24)와; 상기 제어부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원격지의 상황실 컴퓨터(50)로 무 선으로 전송하기 위한 무선통신부(2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배관의 방식상태 진단용 전류/전위 감시장치를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밸브(102) 양측의 가스배관(100,100a)이 소정의 전선(20)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선(20)을 통해 전류값 및 전위값을 검출하도록 된 구성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무선통신부(26)는 CDMA(코드분할다중접속)통신방식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어부(12)는 감시장치의 작동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시간설정부(3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어부(12)는 전류센서와 전위센서에 의해 일정횟수 동안 반복적으로 검출한 전류/전위 데이터를 연산하여 각각의 평균값을 산출 및 저장하고, 상기 배터리의 용량값을 일정횟수 동안 반복적으로 검출하고 평균값을 연산하여 산출 및 저장하며, 상기의 전류/전위 데이터와 배터리의 용량값을 상황실 컴퓨터로 전송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는 가스배관망 전역에서 가스배관의 방식 불량 내지는, 타 시설물과의 접촉 및 간섭으로 인한 가스배관의 손상 및 파손을 정확히 감지하여 신속하게 대책을 수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가스배관의 건전성 진단으로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장점 과, 가스배관의 점검 인력 및 시간을 현저히 단축하여 업무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는 본 발명의 전류/전위 감시장치가 정해진 시간 동안만 작동하도록 이루어져 감시장치의 불필요한 작동을 줄이고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류센서 또는 전위센서에서 검출된 데이터의 평균값을 산출함으로 데이터의 오차범위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정밀한 데이터의 수집으로 가스배관의 방식상태를 정밀하게 감시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감시장치가 소정의 외함에 수납되어 있어서, 외부로부터 빗물이나 이물질 등의 유입을 방지하고, 외부의 충격력으로부터 감시장치를 보호하여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장점과, 기존에 매설되어 있는 가스배관에 본 발명의 전류/전위 감시장치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유지관리가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감시장치는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작동이 안정적이며, 제작원가 및 제품의 가격을 현저히 낮추어 저렴한 비용의 경제적인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 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상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스배관의 방식상태 진단용 전류/전위 감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배관의 방식상태 진단용 전류/전위 감시장치의 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류/전위 감시장치의 회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의 도면에 따른 본 발명의 가스배관의 방식상태 진단용 전류/전위 감시장치는, 지중에 매설되고 소정의 코팅층으로 방식처리된 가스배관(100,100a)이 소정의 맨홀에 설치된 밸브(102) 및 절연조인트(104)로 연결되며, 상기 가스배관에 (+)전극이 연결되고 (-)전극을 가지는 기준전극(18)을 지중에 매설하여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방식상태를 감시하도록 된 가스배관의 방식상태 진단용 전류/전위 감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시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며 센서에서 검출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제어부(12)와; 상기 가스배관으로부터 전류값을 검출하는 전류센서(14)와; 상기 가스배관으로부터 전위값을 검출하는 전위센서(15)와; 상기 전류센서 및 전위센서의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제어부로 전송하는 A/D변환부(16)와; 상기 제어부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22)와; 감시장치의 작동을 위해 안정화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23) 및 배터리(24)와; 상기 제어부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원격지의 상황실 컴퓨터(50)로 무선으로 전송하기 위한 무선통신부(2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위를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도 1에서처럼, 지중에 매설되어 있는 가스배관(100,100a)의 각 구간별로 개폐용 밸브(102)가 구비되며, 상기 가스배관의 연결부 및 밸브의 상태 등을 점검할 수 있도록 소정의 맨홀(106)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맨홀의 일측에 본 발명의 전류/전위 감시장치(10)가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전류/전위 감시장치를 수납할 수 있도록 소정의 외함(35)을 구성하여 안전하게 보관되며, 상기 센서(14,15)의 감지선 및 안테나(27)가 외부로 노출된다.
본 발명은 상기 밸브(102) 양측의 가스배관(100,100a)이 소정의 전선(20)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선(20)을 통해 전류값 및 전위값을 검출하도록 된 구성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히는 상기 가스배관(100)은 밸브의 일측 또는 양측에 구비된 절연조인트(104)를 통해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밸브의 양측 가스배관(100,100a)을 소정의 전선(20)으로 연결하여 전류가 도통하도록 접속시키고, 상기 전선을 통해 전류 및 전위의 변화를 감지하게 된다. 즉 상기 전류/전위 감시장치(10)는 (+)전극을 가지는 가스배관의 전선(20)에 전류센서(14) 및 전위센서(15)을 접속시키고, (-)전극을 가지는 기준전극(18)이 상기 가스배관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매설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전류/전위 감시장치(10)의 구성을 상기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제어부(12)와, A/D변환부(16)와, 전류센서(14) 및 전위센서(15)와, 데이터 저장부(22)와, 전원공급부(23) 및 배터리(24)와, 무선통신부(26) 및 안테나(27)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에는 시간설정부(30)와, 디스플레이부(32) 등이 구비된다.
상기 제어부(12)는 전류/전위센서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분석 처리하며, 처 리된 데이터를 데이터 저장부(22)에 저장하며, 상기의 저장된 데이터를 설정된 시간마다 무선통신부를 통해 상황실 컴퓨터(50)로 전송한다.
상기 전류센서(14)는 가스배관을 통해 입력되는 전류값을 A/D변환부를 통해 제어부로 전송하며, 이때 검출되는 전류값은 -50A ~ +50A의 범위 이내로 4mA ~ 20mA의 값으로 변환되어 A/D변환부로 전송하게 된다. 예컨대 상기의 전류센서(14)는 자기장 속을 통과하는 전선(20)의 전류변화에 의해 전기적인 데이터(신호)를 검출하도록 된 자기장을 이용한 전류감지센서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전위센서(15)는 가스배관에서 입력되는 전위(전압) 값을 A/D변환부를 통해 제어부로 전송하게 되며, 이때 검출되는 전위 값은 -5V ~ +5V의 범위이내로 4mA ~ 20mA의 값으로 변환하여 A/D변환부로 전송한다.
상기 A/D변환부(16)는 전류/전위 센서(14,15)에서 입력되는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제어부로 전송하며, 이때 제어부로 입력되는 디지털신호는 12비트로 디지털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데이터 저장부(22)에서는 제어부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전원공급부(23)는 배터리(24)를 전원으로 하고 있고, 상기 감시장치의 작동을 위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승압 또는 다운(Down)시켜 안정적인 전원을 공급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터리(24)의 직류 12V전원을 5V로 다운시켜 A/D변환부 및 5V전원을 사용하는 집적회로(IC)에 공급하며, 또는 5V의 전원을 12V로 승압시켜 전류센서 및 전위센서로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전원공급부(23)에는 전원차단부(23a)가 더 구비되어 있어서, 평상시에는 각종 IC칩 쪽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있다가 데이터 수집 및 전송시에만 전원을 공급하여 장치가 작동하게 된다.
상기의 배터리(24)는 5V~12V의 전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2V전원이 가장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감시장치는 별도의 AC전원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상기 무선통신부(26)는 제어부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소정의 안테나(27)를 통해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상황실 컴퓨터(50)로 전송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상황실 컴퓨터의 통신서버를 통해 무선으로 데이터가 전송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무선통신부(26)에는 RS232C 통신회로(26a)가 구비되어 있어서, 제어부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RS232 전송모드로 변환하여 무선통신부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상기 무선통신부(26)는 CDMA(코드분할다중접속)통신방식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무선통신부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통신방식으로 CDMA(코드분할다중접속) 또는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통신방식이 가장 바람직하며, 이는 일반적으로 널리 공지되어 있는 디지털 이동통신 방식인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예컨대 상기의 CDMA통신방식을 사용하게 되면 휴대형 무선단말장치와도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게 되며, 즉 작업자가 이동중에도 데이터의 수신 및 처리를 가능하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전류/전위 감시장치마다 고유의 고정 아이피(IP)를 부여함으 로써 해당 장치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말해 본 발명의 전류/전위 감시장치는 가스배관이 매설되어 있는 광범위한 지역의 각 구간에 다수 개가 설치됨으로 각 감시장치의 위치를 신속 정확하게 파악할 수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 제어부(12)는 감시장치의 작동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시간설정부(3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의 시간설정부(30)는 전류/전위센서의 작동 시간대 설정 및, 수집된 데이터의 전송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시간설정부의 설정시간을 초 단위 내지는 분 단위, 시간단위로 설정할 수가 있다. 예컨대 상기 전류/전위센서의 작동시간을 10초, 30초, 10분, 30분, 1시간 등과 같이 임의의 시간단위로 설정이 가능하다.
이렇게 설정된 시간마다 검사장치가 작동하여 검출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였다가 주기적으로 상기의 데이터를 상황실로 전송하는 것이다. 이때 데이터의 전송은 하루에 한번 씩 정해진 시간에 상황실로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의 시간설정부는 딥(DIP)스위치 방식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전류/전위 감시장치는 상기 제어부의 시간설정부에 의해 작동시간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배관 상태에 관한 데이터 수집 및 전송시에만 전원을 사용하게 되며, 불필요한 장치의 작동을 최소화하여 장치는 물론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할 수가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2)는 장치의 셋팅 내지 중간점검, 각종 데이터를 실험(테스트)하기 위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엘씨디(LCD)로 디스플레이하여 관리자가 식별하기 용이하도록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가스배관의 방식상태 진단용 전류/전위 감시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배관의 방식상태 진단용 전류/전위 감시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상기의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가스배관의 방식상태 진단용 전류/전위 감시장치는, 최초 전류/전위 감시장치는 제어부(12)를 제외한 전송장치의 전원이 모두 차단되어 있다.(S1)
이어 상기 제어부는 지속적으로 설정된 시간을 현재시간과 비교한다.(S2) 이때 설정된 시간이 현재시간과 일치하게 되면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한다.(S2-1)
다음 상기 전류센서(14)에서 전류값(데이터)을 검출한다.(S3)
구체적으로, 상기 가스배관에서 부식이나 손상이 발생하게 되면, 그 손상 부위로 전류의 흐름이 집중됨으로 전류값 및 전위값이 급변하게 되고 이에 따라 가스배관의 손상 유무를 감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전류/전위 감시장치는, 상기 제어부(12)는 전류센서와 전위센서에 의해 일정횟수 동안 반복적으로 검출한 전류/전위 데이터를 연산하여 각각의 평균값을 산출 및 저장하고, 상기 배터리의 용량값을 일정횟수 동안 반복적으로 검출하고 평균값을 연산하여 산출 및 저장하며, 상기의 전류/전위 데이터와 배터리의 용량값을 상황실 컴퓨터로 전송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류센서의 전류값 검출은 적어도 일회 이상 적정횟수 동안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평균적인 전류값을 산출하게 된다.(S3-1) 이를 위해 전류센서의 검출횟수를 카운트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의 전류값 검출 횟수는 적어도 10회 이상 100회 이하가 바람직하며, 검출 횟수가 많을수록 평균값의 오차범위가 감소함으로 100회 정도가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전류센서로 검출된 전류값의 평균값을 데이터 저장부(22)에 저장한다.(S3-2)
다음으로 상기의 전위센서(15)에 의해 전위값을 검출하여 평균값을 산출하게 되며, 이렇게 산출된 전위값의 평균값은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다.(S4, S4-1) 이는 상기의 전류센서의 전류 평균값 검출과 마찬가지로 10회에서 100회 이내에 걸쳐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그 평균값을 산출하게 된다. 상기의 전류센서 및 전위센서에 의한 전류 및 전위의 측정은 동시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의 센서에서 측정되는 기준값은 850mA 이하를 기준으로 이를 초과하게 되면 가스배관의 방식상태 및 손상 등으로 파악할 수가 있다.
다음 상기 제어부에서는 전원공급부(23)를 통해 배터리의 용량값(잔량값)을 검출하게 되며, 상기 배터리의 용량값도 역시 평균값을 산출하여 상기의 데이터들과 함께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한다.(S5, S5-1, S5-2) 즉 상기 배터리의 용량값을 10회에서 100회 이내로 반복적으로 검출한 후, 평균값을 산출하게 된다.
이후 상기 제어부에서는 시간설정부에서 입력한 데이터 전송 설정시간이 현재시간과 일치하게 되면(S6) 상기 무선통신부(26)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전류/전위 데이터와 배터리의 용량값들을 상기 무선통신부(26)의 안테나를 통해 상황실 컴퓨터(50)로 무선 전송한다.(S7)
이후 데이터 전송이 완료되고 나면 최초 단계로 상기 제어부를 제외한 전원을 차단한 후, 종료한다.(S1-1)
본 발명의 전류/전위검사장치는 상기와 같은 작동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정해진 시간마다 반복적으로 전류값 내지 전위값, 배터리의 용량값을 정밀하게 검출하고 이렇게 수집된 데이터들을 원격지의 상황실 컴퓨터로 무선으로 전송함으로써, 상기의 상황실에서는 가스배관의 방식상태를 신속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스배관의 방식상태 진단용 전류/전위 감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배관의 방식상태 진단용 전류/전위 감시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류/전위 감시장치의 회로도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배관의 방식상태 진단용 전류/전위 감시장치의 내부단면도.

Claims (5)

  1. 지중에 매설되고 소정의 코팅층으로 방식처리된 가스배관(100,100a)이 소정의 맨홀에 설치된 밸브(102) 및 절연조인트(104)로 연결되며, 상기 가스배관에 (+)전극이 연결되고 (-)전극을 가지는 기준전극(18)을 지중에 매설하여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방식상태를 감시하도록 된 가스배관의 방식상태 진단용 전류/전위 감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시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며 센서에서 검출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제어부(12)와;
    상기 가스배관으로부터 전류값을 검출하는 전류센서(14)와;
    상기 가스배관으로부터 전위값을 검출하는 전위센서(15)와;
    상기 전류센서 및 전위센서의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제어부로 전송하는 A/D변환부(16)와;
    상기 제어부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22)와;
    감시장치의 작동을 위해 안정화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23) 및 배터리(24)와;
    상기 제어부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원격지의 상황실 컴퓨터(50)로 무선으로 전송하기 위한 무선통신부(2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배관의 방식상태 진단용 전류/전위 감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102) 양측의 가스배관(100,100a)이 소정의 전선(20)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선(20)을 통해 전류값 및 전위값을 검출하도록 된 구성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배관의 방식상태 진단용 전류/전위 감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부(26)는 CDMA(코드분할다중접속)통신방식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배관의 방식상태 진단용 전류/전위 감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2)는 감시장치의 작동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시간설정부(3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배관의 방식상태 진단용 전류/전위 감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2)는 전류센서와 전위센서에 의해 일정횟수 동안 반복적으로 검출한 전류/전위 데이터를 연산하여 각각의 평균값을 산출 및 저장하고, 상기 배 터리의 용량값을 일정횟수 동안 반복적으로 검출하고 평균값을 연산하여 산출 및 저장하며, 상기의 전류/전위 데이터와 배터리의 용량값을 상황실 컴퓨터로 전송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배관의 방식상태 진단용 전류/전위 감시장치.
KR1020090042043A 2009-05-14 2009-05-14 가스배관의 방식상태 진단용 전류/전위 감시장치 KR1010729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2043A KR101072968B1 (ko) 2009-05-14 2009-05-14 가스배관의 방식상태 진단용 전류/전위 감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2043A KR101072968B1 (ko) 2009-05-14 2009-05-14 가스배관의 방식상태 진단용 전류/전위 감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3042A true KR20100123042A (ko) 2010-11-24
KR101072968B1 KR101072968B1 (ko) 2011-10-12

Family

ID=43407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2043A KR101072968B1 (ko) 2009-05-14 2009-05-14 가스배관의 방식상태 진단용 전류/전위 감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296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3663B1 (ko) * 2013-04-01 2015-01-16 주식회사 부산도시가스 고주파 통신방식을 이용한 전류전위측정 장치
KR101518182B1 (ko) * 2014-12-10 2015-05-11 주식회사 이엔이 전기방식용 전위측정 전극유니트
KR20160060304A (ko) * 2014-11-20 2016-05-30 주식회사 예스코 배관 피복 손상률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관 부식 판단 방법
KR101665259B1 (ko) * 2015-07-15 2016-10-11 공영상 테스트박스 건전성 판단방법
KR102011424B1 (ko) * 2019-02-28 2019-08-16 차강윤 배관 상태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102303297B1 (ko) * 2020-11-23 2021-09-23 송재순 배관 진단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7524B1 (ko) 2021-07-05 2023-11-03 (주)위지트에너지 지중 매설배관의 전기방식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12687B2 (ja) 2007-05-10 2011-11-09 東京瓦斯株式会社 埋設パイプラインのカソード防食状況計測評価方法及び計測評価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3663B1 (ko) * 2013-04-01 2015-01-16 주식회사 부산도시가스 고주파 통신방식을 이용한 전류전위측정 장치
KR20160060304A (ko) * 2014-11-20 2016-05-30 주식회사 예스코 배관 피복 손상률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관 부식 판단 방법
KR101518182B1 (ko) * 2014-12-10 2015-05-11 주식회사 이엔이 전기방식용 전위측정 전극유니트
WO2016093572A1 (ko) * 2014-12-10 2016-06-16 주식회사 이엔이 전기방식용 전위측정 전극유니트
KR101665259B1 (ko) * 2015-07-15 2016-10-11 공영상 테스트박스 건전성 판단방법
KR102011424B1 (ko) * 2019-02-28 2019-08-16 차강윤 배관 상태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102303297B1 (ko) * 2020-11-23 2021-09-23 송재순 배관 진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2968B1 (ko) 2011-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2968B1 (ko) 가스배관의 방식상태 진단용 전류/전위 감시장치
US7027957B2 (en) Current interrupter assembly
KR101183587B1 (ko) 초고압 지중 송전선로 감시 진단 시스템 및 방법
CN101699306B (zh) 电力二次***电流采集回路监测方法
KR100988267B1 (ko) 지중송전계통 절연통보호장치 상시 진단 장치
JP2017524177A (ja) データ通信機器、システム、及び方法
CN104674229A (zh) 地下管线阴极保护的智能化远程监测调控***
KR20050044062A (ko) 지하철과 전력선의 누설전류 측정을 위한 저장형 데이터계측장치
KR101817760B1 (ko) 광역피뢰침 성능검사 시스템 및 그에 사용되는 광역피뢰침 성능검사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광역피뢰침 성능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CN109444675A (zh) 输电线路故障监测***
KR100311631B1 (ko) 원격부식감시및방식제어시스템
CN204702807U (zh) 地下管线阴极保护的智能化远程监测调控***
KR20180031454A (ko) 애자련 상태 감시장치 및 방법
KR101604344B1 (ko) 저전력 기반의 고속 이동식 지하 매설배관 방식전위 측정 시스템
CN105759160B (zh) 一种非侵入线路断路器或变压器在线监测方法
JP5269539B2 (ja) 選択排流器の異常動作検知方法及び異常動作検知システム
CN111270246B (zh) 一种埋地钢质管道阴极保护状态检测与预警处置***
KR20100037375A (ko) 가로등 접지저항 측정 시스템
KR100405590B1 (ko) 유무선통신 시스템을 통한 부식과 방식상태의 원격 점검및 제어 시스템
JP3770856B2 (ja) カソード防食施設遠隔監視システム
CN111575715A (zh) 核电厂埋地管道防腐层缺陷检测***
KR20150019830A (ko) 매설관 장치, 파손/부식 상태 감지시스템 및 운용 방법
JP4698318B2 (ja) 防食状態監視方法及びシステム
CN114959716A (zh) 一种阴极保护管道杂散电流干扰测试探头及智能监测***
KR200488207Y1 (ko) 매설배관 진단장비용 탐측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