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7932A - 이중나사 커플링 유닛 - Google Patents

이중나사 커플링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7932A
KR20100097932A KR1020090016827A KR20090016827A KR20100097932A KR 20100097932 A KR20100097932 A KR 20100097932A KR 1020090016827 A KR1020090016827 A KR 1020090016827A KR 20090016827 A KR20090016827 A KR 20090016827A KR 20100097932 A KR20100097932 A KR 201000979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ad
reverse
rod
fastening rod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6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용권
Original Assignee
범아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범아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범아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16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97932A/ko
Publication of KR20100097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79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6Turnbuck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3/00Features common to bolt and nut
    • F16B33/02Shape of thread; Special thread-forms
    • F16B2033/025Shape of thread; Special thread-forms with left-hand 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 부재를 연결하여 결합력 또는 인장력을 방생시키기 위한 커플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일 측에 나사산(순방향)이 형성된 순방향 나사부가 형성된 원형봉 형태의 순방향 체결봉과; 일 측에 상기 순방향 나사부의 나사산과 반대방향의 나사산(역방향)이 형성된 역방향 나사부가 형성된 원형봉 형태의 역방향 체결봉; 그리고 내부에 원형공이 형성되고, 일 측 내주면에는 상기 순방향 나사부와 결합되도록 상기 순방향 나사부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순방향 나사산이 형성되며, 타 측 내주면에는 상기 역방향 나사부와 결합하도록 상기 역방향나사부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역방향 나사산이 형성되고, 외주면이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결합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결합하고자 하는 양 부재(순방향 체결봉 및 역방향 체결봉)를 결합너트의 단부에 위치시킨 후에, 결합너트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의해 양 부재를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결합 및 분리 공정이 간소해지는 장점이 있다.
이중나사, 결합, 커플링, 인장

Description

이중나사 커플링 유닛 { Coupling unit using double screw }
본 발명은 두 부재를 연결하여 결합력 또는 인장력을 방생시키기 위한 커플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커플링 유닛의 구조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커플링 유닛은 양 측 또는 일측에 나사부가 형성된 체결봉과 상기 나사부를 삽입하여 나사체결할 수 있는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체결구의 외주면은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체결구를 렌치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회전시켜 체결봉을 결합시킨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의한 커플링 유닛의 결합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하나의 체결봉과 체결구를 결합한다. 그 이후에 상기 체결구의 반대 측에 다른 체결봉을 결합시켜 결합을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체결봉을 하나씩 별개로 결합해야하고, 두 번째 봉을 결합시에는 체결구가 결합된 체결봉 또는 체결구가 결합되지 않은 체결봉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켜 결합해야 하므로, 결합 과정이 복잡해지고, 시공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 기술에 의한 커플링 유닛에서는 결합되는 체결봉의 단부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고정된 경우에는 양 부재를 체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결합기키고자 하는 양 부재에 대하여, 결합너트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의해 양 부재를 각각 결합너트에 결합되도록하는 커플링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이중나사 유닛은 일 측에 나사산(순방향)이 형성된 순방향 나사부가 형성된 원형봉 형태의 순방향 체결봉과; 일 측에 상기 순방향 나사부의 나사산과 반대방향의 나사산(역방향)이 형성된 역방향 나사부가 형성된 원형봉 형태의 역방향 체결봉; 그리고 내부에 원형공이 형성되고, 일 측 내주면에는 상기 순방향 나사부와 결합되도록 상기 순방향 나사부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순방향 나사산이 형성되며, 타 측 내주면에는 상기 역방향 나사부와 결합하도록 상기 역방향나사부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역방향 나사산이 형성되고, 외주면이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결합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측에 나사산(순방향)이 형성된 순방향 나사부가 형성된 원형봉 형태의 순방향 체결봉과; 일 측에 상기 순방향 나사부의 나사산과 반대방향의 나사산(역방향)이 형성된 역방향 나사부가 형성된 원형봉 형태의 역방향 체결봉과; 일 측에 나사산(순방향)이 형성된 순방향 나사부가 형성되고, 타 측에 상기 순 방향 나사부의 나사산과 반대방향의 나사산(역방향)이 형성된 원형봉 형태의 양방향 체결봉; 그리고 내부에 원형공이 형성되고, 일 측 내주면에는 상기 순방향 나사부와 결합되도록 상기 순방향 나사부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순방향 나사산이 형성되며, 타 측 내주면에는 상기 역방향 나사부와 결합하도록 상기 역방향 나사부에 대응하는 망향으로 역방향 나사산이 형성되고, 외주면이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결합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중나사 커플링 유닛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결합너트는, 중앙을 기준으로 일 측에는 상기 순방향 나사산이 형성되고; 타 측에는 역방향 나사산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너트의 중앙 내주연에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에는, 상기 순방향 체결봉 및 상기 역방향 체결봉의 결합시, 상기 순방향 체결봉 및 상기 역방향 체결봉의 단부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순방향 나사부는 상기 순방향 체결봉 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역방향 나사부는 상기 역방향 체결봉 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순방향 체결봉과 상기 역방향 체결봉의 직경은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너트의 최대 직경은 상기 순방향(역방향) 체결봉의 직경보다 작게 작거나 같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결합너트는, 외주면이 원형인 원통부가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양 측의 원통부 사이에는 외주면이 다각형인 다각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원통부, 상기 순방향 체결봉 및 상기 역방향 체결봉의 직경은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결합너트가 상기 순방향 체결봉 및 상기 역방향 체결봉과 결합시 외주면이 연속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다각부의 최대직경은, 상기 원통부의 직경 보다 작거나 같게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내측에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 내측에 나사산(순방향)이 형성된 순방향 나사부가 형성된 원형봉 형태의 순방향 체결봉과; 내측에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 내측에 상기 순방향 나사부의 나사산과 반대방향의 나사산(역방향)이 형성된 역방향 나사부가 형성된 원형봉 형태의 역방향 체결봉; 그리고 일 측에는 상기 순방향 나사부와 결합되도록, 상기 순방향 나사부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순방향 나사산이 형성된 순방향 나사봉이 형성되고; 타 측에는 상기 역방향 나사부와 결합하도록, 상기 역방향 나사부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역방향 나사산이 형성된 역방향 나사봉이 형성되며; 상기 순방향 나사봉과 상기 역방향 나사봉 사이에는 다각형의 외주면을 갖는 너트부가 형성되는 결합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중나사 커플링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순방향 나사봉과 상기 역방향 나사봉은 서로 다른 직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순방향 체결봉의 결합공은 상기 순방향 나사봉의 직경에, 그리고 상기 역방향 체결봉의 결합공은 상기 역방향 나사봉의 직경에 각각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너트부 외주면의 최대직경은 상기 순방향 체결봉 또는 상기 역방향 체결봉의 직경보다 작거나 같게 형성될 수도 있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이중나사 커플링 유닛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결합하고자 하는 양 부재(순방향 체결봉 및 역방향 체결봉)를 결합너트의 단부에 위치시킨 후에, 결합너트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의해 양 부재를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결합 및 분리 공정이 간소해지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양 부재를 결합 및 분리하는 경우, 부재 자체의 회전이 필요 없고, 결합너트만 회전시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해지므로, 결합 및 분리 대상 부재가 고정된 경우(콘크리트 등에 매설된 경우)에도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양 부재를 반대방향으로 끌어 결합시키므로, 양 부재에 인장력을 발생시키고자 하는 시설물에도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이중나사 커플링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중나사 커플링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중나사 커플링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단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이중나사 커플링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이중나사 커플링의 제2 실시예를 구성하는 양방향체결봉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이중나사 커플링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이중나사 커플링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이중나사 커플링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절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이중나사 커플링의 제6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절개도이다.
먼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살피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일 측에 순방향 나사부(112)가 형성된 순방향 체결봉(1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순방향 나사부(112)는 상기 순방향 체결봉(110) 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부분을 말한다.
그리고, 상기 순방향 체결봉(1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봉의 형태로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상기 순방향 체결봉(110)에 대응하는 역방향 체결봉(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역방향 체결봉(120)은 상기 순방향 체결봉(110)과 유사한 형태로, 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역방향 나사부(122)가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역방향 나사부(122)의 나사산은 상기 순방향 나사부(112)의 나사산과 반대 방향을 갖는다.
즉, 상기 순방향 나사부(112)와 역방향 나사부(122)는 그 나사산의 방향을 구분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당 업계에서 순방향 나사라 하면 반 시계방향의 나사를 의미하나, 순방향 나사부(112)의 나사산이 반시계 방향의 나사산을 의미하고, 역방향 나사부(122)의 나사산이 시계방향의 나사산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즉, 서로 다른 방향이면 족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상기 순방향 체결봉(110)의 순방향 나사부(112)와 상기 역방향 체결봉(120)의 역방향 나사부(122)를 결합시키는 결합너트(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결합너트(130)의 구는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는 상기 결합너트(130)의 내부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너트(130)의 내부 일 측에는 상기 순방향 나사부(112)의 나사산과 대응하는 방향의 순방향 나사산(132)이 형성되고, 타 측에는 상기 역방향 나사부(122)의 나사산에 대응하는 역방향 나사산(134)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너트(130)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순방향 체결봉(110) 및 역방향 체결봉(120)은 함께 상기 결합너트(130) 내로 삽입되거나 인출된다.
한편, 상기 결합너트(130)의 내측 중앙부에는, 상기 순방향 체결봉(110) 및 상기 역방향 체결봉(120)이 완전히 삽입되어 결합 된 경우에, 상기 순방향 체결봉(110) 및 상기 역방향 체결봉(120)의 단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136)가 구비된다.
상기 탄성부재(136)는 상기 순방향 체결봉(110)의 단부 및 상기 역방향 체결봉(120)의 단부가 직접 접촉하여 마모되거나 과도한 반력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라기 위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원형 링 또는 원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너트(130)의 내측 중앙부에는 상기 탄성부재(136)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138)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순방향 체결봉(110) 및 역방향 체결봉(120)의 타 측 단부(즉, 상기 순방향 나사부(112) 또는 역방향 나사부(122)가 형성되지 않은 측)는 본 발명의 적용분야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장력을 발생시키고자 하는 부재에 고정할 수 있도록 고리가 형성될 수도 있고, 특정 부재에 고정된 형태일 수도 있으며, 와이어가 연결되어 와이어에 의한 인장력을 발생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결합너트를 이용하여 다수개의 체결봉을 결합하기 위한 실시예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방향 체결봉(210), 역방향 체결봉(220), 결합너트(230) 그리고 양방향 체결봉(2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순방향 체결봉(210), 역방향 체결봉(220) 및 결합너트(23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전술한 순방향 체결봉(110), 역방향 체결봉(120) 및 결합너트(130)와 동일하다.
즉,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양 단에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한 순방향 체결봉(210) 및 역방향 체결봉(22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순방향 체결봉(210)과 역방향 체결봉(220) 사이에 하나 이상의 양방향 체결봉(240)이 구비된 다.
또한, 상기 순방향 체결봉(210), 역방향 체결봉(220) 및 양방향 체결봉(240)은 각각 결합너트(230)에 의해 결합된다.
한편, 도 5에는 상기 양방향 체결봉(240)의 구조가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양방향 체결봉(240)은 일 측에는 상기 결합너트(230)의 순방향 나사산(132)에 대응하는 순방향 나사부(242)가 형성되고, 타 측에는 상기 결합너트(230)의 역방향 나사산(134)에 대응하는 역방향 나사부(244)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구성하는 상기 양방향 체결봉(240)과 상기 결합너트(230)의 개수는 정해진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이 설치되는 구조물의 형태나 길이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방향 체결봉(310)의 순방향 나사부(312)의 직경이 상기 순방향 체결봉(310)의 직경과 다르게 형성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순방향 나사부(312)는 상기 순방향 체결봉(310) 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역방향 나사부(322)도 상기 역방향 체결봉(320)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순방향 체결봉(310)의 직경은 상기 역방향 체결봉(320)의 직경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순방향 나사부(312)와 역방향 나사부(322)는 결합너트(330)에 체 결되는데, 상기 결합너트(330)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시시예 및 제2 실시예의 결합너트(130)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다만, 상기 결합너트(330)의 직경은 상기 순방향 체결봉(310) 및 역방향 체결봉(320)의 직경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순방향 체결봉(310) 및 역방향 체결봉(320)을 상기 결합너트(330)에 체결시에 상기 결합너트(330)의 모서리부분이 상기 순방향 체결봉(310) 및 역방향 체결봉(320) 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순방향 체결봉(310), 역방향 체결봉(320) 및 상기 결합너트(330)의 결합체가 하나의 봉 형태로 형성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순방향 체결봉(310) 및 역방향 체결봉(320)과 동일한 구조의 순방향 체결봉(410)과 역방향 체결봉(420)이 구비된다.
다만, 본 발명의 제 4실시예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와 다른 구조의 결합너트(430)를 갖는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결합너트(430)는 전체 외주면이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고, 양 측 단부는 원통형의 원통부(432)가 형성되고, 상기 양 측의 원통부(432) 사이에 외주면이 다각형인 다각부(434)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원통부(432)의 직경은 상기 순방향 체결봉(410) 및 역방향 체결봉(420)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다각부(434)의 직경은 상기 원통부(432)의 직경보다 작거나 같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순방향 체결봉(410), 역방향 체결봉(420) 및 상기 결합너트(430)의 결합체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그것보다 더욱 일체형의 봉 형태를 갖으면서도, 상기 순방향 나사부(412) 및 역방향 나사부(422)의 충분한 결합길이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는 일 측단부에 결합공이 형성된 봉 형태의 순방향 체결봉(5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순방향 체결봉(510) 내부의 결합공(512) 내주면에는 절개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순방향 나사부(514))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순방향 체결봉(510)의 외주면은 원형임은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또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는 상기 순방향 체결봉(510)에 대응하는 형태의 역방향 체결봉(5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역방향 체결봉(520) 역시 일 측 단부에 결합공(522)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522)의 내측에는 상기 순방향 나사부(512)의 나사산과 반대방향의 나사산이 형성된 역방향 나사부(52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시 순방향 체결봉(510)과 역방향 체결봉(520)은 결합너트(530)를 매개로 하여 서로 체결된다. 이를 위해 상기 결합너트(530)는 상기 순방향 체결봉(510)의 결합공(512)에 삽입되어, 상기 순방향 나사부(512)와 결합하는 순방향 나사봉(532)과, 상기 역방향 체결봉(520)의 결합공(522)에 삽입되어, 상기 역방향 나사부(522)와 결합하는 역방향 나사봉(534) 그리고 상기 순방향 나사봉(532)과 역 방향 나사봉(534)을 연결하고 조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외주면이 다각형으로 형성된 너트부(53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순방향 나사봉(532)의 외주면에는 상기 순방향 나사부(514)의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역방향 나사봉(534)의 외주면에는 상기 역방향 나사부(524)의 나사산에 대응하는 방향의 나사산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너트부(536)의 직경은, 결합된 봉이 일체의 봉으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순방향 체결봉(510) 및 역방향 체결봉(520)의 직경보다 작거나 같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6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6 실시예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다만, 순방향 나사봉(532')과 역방향 나사봉(534')의 직경이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따라서, 이에 대응하는 순방향 체결봉(510)의 결합공(512')과 역방향 체결봉(120)의 결합공(522')의 크기도 다르게 형성된다.
이는 순방향 체결봉(510)과 역방향 체결봉(520)을 구분이 용이하도록 하여, 작업자의 작업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적용범위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이중나사 커플링 유닛은 인장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부재에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순방향 체결봉 및 역방향 체결봉의 단부는 각각 인장력을 발생시키고자 하는 부재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을 위하여 상기 순방향 체결봉 및 역방향 체결봉의 단부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중나사 커플링 유닛은 부재를 결합하는 결합력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즉, 봉을 결합하여 긴 길이의 봉을 제작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상기 순방향 체결봉 및 역방향 체결봉의 단부에 결합하고자 하는 부재를 연결시켜 본 발명에 의한 이중나사 커플링유닛을 이용하여 결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은 두 부재를 연결하여 결합력 또는 인장력을 방생시키기 위한 커플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결합하고자 하는 양 부재(순방향 체결봉 및 역방향 체결봉)를 결합너트의 단부에 위치시킨 후에, 결합너트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의해 양 부재를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결합 및 분리 공정이 간소해지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커플링 유닛의 구조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중나사 커플링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중나사 커플링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이중나사 커플링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이중나사 커플링의 제2 실시예를 구성하는 양방향체결봉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이중나사 커플링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이중나사 커플링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이중나사 커플링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절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이중나사 커플링의 제6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절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210, 310, 410, 510 : 순방향 체결봉
112, 212, 312, 412, 514 : 순방향 나사부
120, 220, 320, 420, 520 : 역방향 체결봉
122, 222, 322, 422, 524 : 역방향 나사부
130, 230, 330, 430, 530 : 결합너트

Claims (11)

  1. 일 측에 나사산(순방향)이 형성된 순방향 나사부가 형성된 원형봉 형태의 순방향 체결봉과;
    일 측에 상기 순방향 나사부의 나사산과 반대방향의 나사산(역방향)이 형성된 역방향 나사부가 형성된 원형봉 형태의 역방향 체결봉; 그리고
    내부에 원형공이 형성되고,
    일 측 내주면에는 상기 순방향 나사부와 결합되도록 상기 순방향 나사부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순방향 나사산이 형성되며,
    타 측 내주면에는 상기 역방향 나사부와 결합하도록 상기 역방향나사부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역방향 나사산이 형성되고,
    외주면이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결합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나사 커플링 유닛.
  2. 일 측에 나사산(순방향)이 형성된 순방향 나사부가 형성된 원형봉 형태의 순방향 체결봉과;
    일 측에 상기 순방향 나사부의 나사산과 반대방향의 나사산(역방향)이 형성된 역방향 나사부가 형성된 원형봉 형태의 역방향 체결봉과;
    일 측에 나사산(순방향)이 형성된 순방향 나사부가 형성되고, 타 측에 상기 순방향 나사부의 나사산과 반대방향의 나사산(역방향)이 형성된 원형봉 형태의 양방향 체결봉; 그리고
    내부에 원형공이 형성되고,
    일 측 내주면에는 상기 순방향 나사부와 결합되도록 상기 순방향 나사부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순방향 나사산이 형성되며,
    타 측 내주면에는 상기 역방향 나사부와 결합하도록 상기 역방향 나사부에 대응하는 망향으로 역방향 나사산이 형성되고,
    외주면이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결합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나사 커플링 유닛.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너트는,
    중앙을 기준으로 일 측에는 상기 순방향 나사산이 형성되고;
    타 측에는 역방향 나사산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나사 커플링 유닛.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너트의 중앙 내주연에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에는,
    상기 순방향 체결봉 및 상기 역방향 체결봉의 결합시, 상기 순방향 체결봉 및 상기 역방향 체결봉의 단부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나사 커플링 유닛.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순방향 나사부는 상기 순방향 체결봉 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역방향 나사부는 상기 역방향 체결봉 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순방향 체결봉과 상기 역방향 체결봉의 직경은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너트의 최대 직경은 상기 순방향(역방향) 체결봉의 직경보다 작게 작거나 같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나사 커플링 유닛.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너트는,
    외주면이 원형인 원통부가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양 측의 원통부 사이에는 외주면이 다각형인 다각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나사 커플링 유닛.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부, 상기 순방향 체결봉 및 상기 역방향 체결봉의 직경은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결합너트가 상기 순방향 체결봉 및 상기 역방향 체결봉과 결합시 외주면이 연속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나사 커플링 유닛.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다각부의 최대직경은, 상기 원통부의 직경 보다 작거나 같게 형성됨을 특징로 하는 이중나사 커플링 유닛.
  9. 내측에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 내측에 나사산(순방향)이 형성된 순방향 나사부가 형성된 원형봉 형태의 순방향 체결봉과;
    내측에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 내측에 상기 순방향 나사부의 나사산과 반대방향의 나사산(역방향)이 형성된 역방향 나사부가 형성된 원형봉 형태의 역방향 체결봉; 그리고
    일 측에는 상기 순방향 나사부와 결합되도록, 상기 순방향 나사부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순방향 나사산이 형성된 순방향 나사봉이 형성되고;
    타 측에는 상기 역방향 나사부와 결합하도록, 상기 역방향 나사부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역방향 나사산이 형성된 역방향 나사봉이 형성되며;
    상기 순방향 나사봉과 상기 역방향 나사봉 사이에는 다각형의 외주면을 갖는 너트부가 형성되는 결합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나사 커플링 유닛.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순방향 나사봉과 상기 역방향 나사봉은 서로 다른 직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순방향 체결봉의 결합공은 상기 순방향 나사봉의 직경에, 그리고 상기 역방향 체결봉의 결합공은 상기 역방향 나사봉의 직경에 각각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나사 커플링 유닛.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부 외주면의 최대직경은 상기 순방향 체결봉 또는 상기 역방향 체결봉의 직경보다 작거나 같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나사 커플링 유닛.
KR1020090016827A 2009-02-27 2009-02-27 이중나사 커플링 유닛 KR201000979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6827A KR20100097932A (ko) 2009-02-27 2009-02-27 이중나사 커플링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6827A KR20100097932A (ko) 2009-02-27 2009-02-27 이중나사 커플링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7932A true KR20100097932A (ko) 2010-09-06

Family

ID=43004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6827A KR20100097932A (ko) 2009-02-27 2009-02-27 이중나사 커플링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9793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198B1 (ko) * 2014-07-18 2014-10-06 김미희 신설작업이 용이한 지중 배전선로의 기초대
KR101448140B1 (ko) * 2014-06-11 2014-10-08 동재감리 주식회사 효과적인 지중배전라인 설치를 위한 지중배전선 연결장치
KR101448171B1 (ko) * 2014-06-12 2014-10-10 주식회사 정림이엔씨건축사사무소 지중 배전선로 지상 설치용 보호함체
KR101968531B1 (ko) * 2018-11-23 2019-04-29 (주)양지 교량의 처짐 계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8140B1 (ko) * 2014-06-11 2014-10-08 동재감리 주식회사 효과적인 지중배전라인 설치를 위한 지중배전선 연결장치
KR101448171B1 (ko) * 2014-06-12 2014-10-10 주식회사 정림이엔씨건축사사무소 지중 배전선로 지상 설치용 보호함체
KR101447198B1 (ko) * 2014-07-18 2014-10-06 김미희 신설작업이 용이한 지중 배전선로의 기초대
KR101968531B1 (ko) * 2018-11-23 2019-04-29 (주)양지 교량의 처짐 계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8962B1 (ko) 강봉체결구조
JP2008309202A (ja) ゆるみ止めナット
JP2002227343A (ja) Pc鋼棒の係着装置、連結装置および定着装置
JP6723539B2 (ja) 脱落防止具
JP5184849B2 (ja) 拡開ねじ
KR20100097932A (ko) 이중나사 커플링 유닛
KR101513433B1 (ko) 와셔부에 홈을 형성하고 자석을 매설한 고장력 마그네틱 볼트 조립체
JP5481602B2 (ja) ねじ締結装置
JP2010190269A (ja) 硬質木材用タッピンねじ
JP4950911B2 (ja) 締結用部材
KR20080063909A (ko) 캐슬너트와 볼트의 고정부재
KR100745653B1 (ko) 전방 삽입형 유니언
JP3223511U (ja) 抜け防止コネクタ
JP5908797B2 (ja) 連結具及びそれ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部材の連結装置
KR102117071B1 (ko) 전선 접속장치
JP5908798B2 (ja) 連結具及びそれ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部材の連結装置
JP2010101136A (ja) 定着用鉄筋
JP4550844B2 (ja) 電力ケーブルの導体接続構造
KR200415212Y1 (ko) 풀림 방지 너트
JP2007187278A (ja) スリーブナット
KR20200032814A (ko) 철근 이음용 커플러
US20030235461A1 (en) Mopstick inserting rod
JP3240420U (ja) ワンウェイクラッチ
JP2011167832A (ja) ソケット脱落防止具
KR20040066657A (ko) 와이어 연결구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