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6755A - 전지모듈 - Google Patents

전지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6755A
KR20100096755A KR1020090015794A KR20090015794A KR20100096755A KR 20100096755 A KR20100096755 A KR 20100096755A KR 1020090015794 A KR1020090015794 A KR 1020090015794A KR 20090015794 A KR20090015794 A KR 20090015794A KR 20100096755 A KR20100096755 A KR 201000967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terminal
bus bar
battery modul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5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삼
Original Assignee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15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96755A/ko
Priority to US12/659,058 priority patent/US8501340B2/en
Publication of KR20100096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67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7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omprising an arrangement of two or more busbars within a container structure, e.g. busbar modu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이차전지의 전극단자의 연결시에 양극단자와 음극단자를 혼동하여 조립됨을 방지하도록 하는 단자 연결구조를 갖는 전지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개의 이차전지들의 양극단자에 장착되는 제1 지지부재와, 복수개의 이차전지들의 음극단자에 장착되며 제1 지지부재와 다른 높이를 갖는 제2 지지부재와, 제1 지지부재와 제2 지지부재에 각각 지지되어 양극단자와 음극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버스바를 제공한다.
전지모듈, 이차전지, 전극단자, 버스바, 절곡

Description

전지모듈{BATTERY MODULE}
본 발명은 전지모듈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이차전지의 전극단자의 연결시에 양극단자와 음극단자를 혼동하여 조립됨을 방지하도록 하는 전지모듈에 관한 것이다.
이차 전지(rechargeable battery)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 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이다. 저용량의 이차 전지는 휴대폰이나 노트북 컴퓨터 및 캠코더와 같이 휴대가 가능한 소형 전자기기에 사용되고, 대용량 전지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의 모터 구동용 전원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 들어 고에너지 밀도의 비수전해액을 이용한 고출력 이차 전지가 개발되고 있으며, 상기한 고출력 이차 전지는 대전력을 필요로 하는 기기 예컨대, 전기 자동차 등의 모터 구동에 사용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이차 전지를 직렬로 연결하여 대용량의 이차 전지로 구성된다.
또한, 하나의 대용량 전지모듈은 통상 직렬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이차 전지로 이루어지며, 이차 전지는 원통형과 각형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지모듈의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는 버스바를 통해 서로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 한다. 이러한 이차전지들은 수작업 또는 기계장치에 의한 자동화로 조립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버스바는 양극단자에 연결되는 높이와 음극단자에 연결되는 높이가 동일하고, 버스바의 양측 연결위치의 형상도 대칭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전지모듈의 이차전지들의 위치가 바뀔 경우에도 버스바가 조립 오류 상태로 조립이 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전지모듈의 이차전지들의 단자 위치가 바뀌면, 양극단자와 음극단자 간을 연결하는 버스바가 조립되지 않도록 하여, 조립오류를 방지할 수 있는 이차전지 및 전지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지모듈은, 복수개의 이차전지들의 제1 단자에 장착되는 제1 지지부재와, 복수개의 이차전지들의 제2 단자에 장착되며 제1 지지부재와 다른 높이를 갖는 제2 지지부재, 및 버스바를 포함하며, 버스바는 제1 지지부재에 지지되는 제1 연결부, 제2 지지부재에 지지되는 제2 연결부, 및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에 대해 각도를 형성하며 연결하여 제1 단자와 제2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3 연결부를 포함한다.
버스바에서, 제3 연결부는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와 각각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둔각을 이루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는 서로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는, 제1 단자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제1 단자의 하단부에 장착될 수 있다.
제2 지지부재는, 제2 단자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제2 단자의 하단부에 장착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는 너트 형상을 갖고, 제1 단자는 제1 지지부재가 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지지부재는 너트 형상을 갖고, 제2 단자는 제2 지지부재가 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전지모듈의 전극단자 간을 연결하는 버스바를 절곡 형성하고 버스바의 양측에서 전극단자의 연결 높이를 다르게 함으로써, 이차전지의 조립 위치가 변경되면 버스바의 연결이 불가능하도록 하여 이차전지의 조립 오류를 방지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지모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지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 고, 도 2는 도 1의 전지모듈에서 양극단자와 음극단자 간을 버스바(bus bar)로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지모듈(100)은, 복수개의 이차전지(11)들의 제1 단자(13)에 장착되는 제1 지지부재(10)와, 복수개의 이차전지(11)들의 제2 단자(15)에 장착되며 제1 지지부재(10)와 다른 높이를 갖는 제2 지지부재(20)와, 제1 지지부재(10)와 제2 지지부재(20)에 각각 지지되어 제1 단자(13)와 제2 단자(15)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버스바(30)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제1 단자(13)와 제2 단자(15)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며, 일례로 제1 단자(13)는 양극단자로서 기능하고, 제2 단자(15)는 음극단자로서 기능한다. 이하에서는 제1 단자(13)는 양극단자로 설정하고, 제2 단자(15)는 음극단자로 설정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버스바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버스바의 측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부재(10)는 복수개의 이차전지(11)들에 있어서, 양극단자(13)의 하단에 각각 장착된다. 제1 지지부재(10)는 양극단자(13)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버스바(30)의 일측이 용이하게 안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1 및 제2 지지부재(10, 20)는 본 실시예에서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모서리를 갖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제1 지지부재(10)와 제2 지지부재(20)는 서로간에 높이를 달리하여 장착된다. 여기서, 제1 지지부재가 제2 지지부재 보다 높을 수 있고, 반대로 제2 지지부재가 제1 지지부재 보다 높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지지부재(10)가 제2 지지부재(20) 보다 높은 경우를 예시한다. 이러한 제1 지지부재(10)와 제2 지지부재(20) 간의 높이를 다르게 함은, 양극단자(13)와 음극단자(15) 간을 혼동하여 조립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버스바(30)를 설명하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 지지부재(10)와 제2 지지부재(20)는 너트 형태로 형성되어 양극단자(13) 또는 음극단자(15)에 결합될 수 있다. 물론, 양극단자(13) 또는 음극단자(15)에는 제1 지지부재(10)와 제2 지지부재(20)가 결합될 수 있도록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지지부재(10)와 제2 지지부재(20)가 너트 형태로 형성됨을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와셔 등으로도 장착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10)와 제2 지지부재(20) 간에는 버스바(30)가 장착되어, 양극단자(13)와 음극단자(15)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버스바(30)는 양극단자(13)와 음극단자(15)를 연결하여 연료 전지모듈을 구성하여 전력을 구동체(미도시)에 공급하도록 한다.
이러한 버스바(30)는 제1 지지부재(10)에 지지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연결부(31)와, 제2 지지부재(20)에 지지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연결부(33)와, 제1 연결부(31) 및 제2 연결부(33)를 연결하는 제3 연결부(35)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제3 연결부(35)는 제1 연결부(31) 및 제2 연결부(33) 각각과 직각을 이루며 연결되고, 제1 연결부(31)와 제2 연결부(33)는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다. 제3 연 결부가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 각각과 이루는 각도는 180도 보다 작은 각도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예각 또는 둔각을 이루는 것도 가능하다. 둔각을 형성한 예는 제2 실시예에서 설명한다.
제1 연결부(31)는 양극단자(13)에 삽입되어 제1 지지부재(10)의 상측에 안착된다. 이를 위해 제1 연결부(31)에는 관통공(37)이 형성되어 양극단자(13)에 삽입된다.
제2 연결부(33)는 음극단자(15)에 삽입되어 제2 지지부재(20)의 상측에 안착된다. 이를 위해 제2 연결부(33)에는 관통공(37)이 형성되어 음극단자(15)에 삽입된다.
제1 연결부(31)와 제2 연결부(33)에는 너트부재(39)가 장착되어 제1 연결부(31)와 제2 연결부(33)의 결합 상태의 고정이 가능하다.
제3 연결부(35)는 제1 연결부(31)와 제2 연결부(33)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여기서 제3 연결부(35)는 제1 지지부재(10)와 제2 지지부재(20) 간의 높이차에 대응하도록 길이 방향의 일 위치가 절곡된다. 제3 연결부(35)의 절곡 위치는 본 실시예에서 길이 방향의 중앙 위치가 절곡됨을 예시하였지만, 제1 연결부(31)에 근접된 위치가 절곡되거나 제2 연결부(33)에 근접된 위치가 절곡될 수 있다.
제1, 제2, 및 제3 연결부(31, 33, 35)를 포함하는 버스바(30)는 도전체로 이루어져 양극단자(13)와 음극단자(15)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제1, 제2, 및 제3 연결부(31, 33, 35)는 각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 따라, 복수개의 이차전지(11)들이 버스바(30)를 통한 연결 과 정에서, 이차전지(11)의 장착 오류로 인해 양극단자(13)와 음극단자(15)의 순서가 바르지 못할 경우, 버스바(30)가 전극단자에 장착되지 못하게 된다. 즉, 이차전지(11)의 양극단자(13) 및 음극단자(15)의 순서가 바르지 못하면, 버스바(30)는 제1 및 제2 지지부(10, 20)에 어느 일측이 바르게 결합되지 못하게 되어 버스바(30)의 결합이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이차전지(11)의 양극단자(13) 및 음극단자(15)의 순서가 바르지 못함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이차전지(11)의 바른 장착이 신속하게 가능하게 된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지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와 동일 참조번호는 동일 기능의 동일 부재를 말한다. 도 1 내지 도 4와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지모듈(200)은, 제1 지지부재(10)와 제2 지지부재(20)를 연결하는 버스바(130)를 포함한다. 버스바(130)는 제1 연결부(131)와, 제2 연결부(133) 및 제3 연결부(135)를 포함한다.
제3 연결부(135)는 일측은 제1 연결부(131)에 연결되고 타측은 제2 연결부(133)에 연결되며, 제1 연결부(131)와 제2 연결부(133) 간을 경사지게 연결한다.
이러한 제3 연결부(135)는 제1 연결부(131)와 제2 연결부(133) 간의 높이 차이에 대응하는 경사각 및 길이를 갖도록 장착된다. 이에 따라, 이차전지(11)들 간의 조립 순서의 오류가 발생되면, 버스바(30)가 양극단자(13) 및 음극단자(15) 간에 장착되지 못하게 됨으로써, 이차전지(11) 간의 전극 연결의 오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과 균등한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예 또는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이어지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지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지모듈에서 양극단자와 음극단자 간을 버스바로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버스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버스바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지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버스바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버스바의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제1 지지부재 11...이차전지
13...양극단자 15...음극단자
20...제2 지지부재 30...버스바
31...제1 연결부 33...제2 연결부
35...제3 연결부

Claims (8)

  1. 복수개의 이차전지들의 제1 단자에 장착되는 제1 지지부재;
    복수개의 이차전지들의 제2 단자에 장착되며 상기 제1 지지부재와 다른 높이를 갖는 제2 지지부재; 및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버스바
    를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는 상기 제1 지지부재에 지지되는 제1 연결부, 상기 제2 지지부재에 지지되는 제2 연결부, 및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에 대해 각도를 형성하며 연결하여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3 연결부
    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에서,
    상기 제3 연결부는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와 각각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전지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에서,
    상기 제3 연결부는,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와 각각 둔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전지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는 서로 평행한 전지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재는,
    상기 제1 단자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상기 제1 단자의 하단부에 장착되는 전지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부재는,
    상기 제2 단자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상기 제2 단자의 하단부에 장착되는 전지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재는 너트 형상을 갖고,
    상기 제1 단자는 상기 제1 지지부재가 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전지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부재는 너트 형상을 갖고,
    상기 제2 단자는 상기 제2 지지부재가 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전지모듈.
KR1020090015794A 2009-02-25 2009-02-25 전지모듈 KR2010009675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5794A KR20100096755A (ko) 2009-02-25 2009-02-25 전지모듈
US12/659,058 US8501340B2 (en) 2009-02-25 2010-02-24 Battery module having a bus ba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5794A KR20100096755A (ko) 2009-02-25 2009-02-25 전지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6755A true KR20100096755A (ko) 2010-09-02

Family

ID=42631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5794A KR20100096755A (ko) 2009-02-25 2009-02-25 전지모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501340B2 (ko)
KR (1) KR2010009675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2442A (ko) 2012-10-24 2014-05-07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팩
US8932752B2 (en) 2011-01-05 2015-01-13 Samsung Sdi Co., Ltd. Battery having a bent cas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US9029011B2 (en) 2011-03-02 2015-05-12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pack including secondary battery
US11095005B2 (en) 2015-01-14 2021-08-17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and pack of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9697A (ko) * 2011-08-17 2013-02-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팩 및 이를 포함한 전지 모듈
KR101292276B1 (ko) * 2011-12-07 2013-08-01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에너지 저장장치 모듈용 단자 연결 장치
KR101431717B1 (ko) 2012-02-06 2014-08-26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구조의 버스 바
DE102012215080A1 (de) * 2012-08-24 2014-02-27 Robert Bosch Gmbh Zellenverbinder, Batteriezellenmodul, Batter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atteriezellenmoduls und Kraftfahrzeug
KR20140111883A (ko) * 2013-03-12 2014-09-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모듈
US9350127B2 (en) * 2014-03-24 2016-05-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lf-locating busbar assembly and alignment method
US9281673B2 (en) * 2014-04-03 2016-03-0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eformable busbar assembly and bus bar installation method
US9887409B2 (en) * 2014-09-30 2018-02-06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Battery module bus bar connection assembly
KR102397857B1 (ko) * 2015-07-15 2022-05-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및 이를 이용한 전지 모듈
EP3323160B1 (en) * 2015-09-30 2019-12-25 BYD Company Limited Connector for power batteries, power battery moduel, power battery pack and vehicle
TW201731603A (zh) * 2016-03-02 2017-09-16 Dijiya Energy Saving Tech Inc 鋰電池之導電連接片及其成型方法
US10608222B2 (en) * 2016-09-22 2020-03-3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tegrated modules for battery packs
US20180205059A1 (en) * 2017-01-16 2018-07-19 Gs Yuasa International Ltd. Method of manufacturing energy storage apparatus, energy storage device, and energy storage apparatus
US11171391B2 (en) * 2019-09-09 2021-11-0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Battery assembly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116253C1 (ko) * 1991-05-17 1992-06-04 Deutsche Automobilgesellschaft Mbh, 3300 Braunschweig, De
JP2002246003A (ja) 2001-02-21 2002-08-30 Toshiba Battery Co Ltd 電池用接続部材
JP2004031049A (ja) 2002-06-25 2004-01-29 Yazaki Corp バッテリ接続プレート
JP2008091183A (ja) 2006-09-30 2008-04-17 Sanyo Electric Co Ltd 角型電池と組電池
JP5100140B2 (ja) 2007-01-30 2012-12-19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池パ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JP5138959B2 (ja) 2007-03-23 2013-02-0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池および電池パックならびに導電部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32752B2 (en) 2011-01-05 2015-01-13 Samsung Sdi Co., Ltd. Battery having a bent cas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US9029011B2 (en) 2011-03-02 2015-05-12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pack including secondary battery
KR20140052442A (ko) 2012-10-24 2014-05-07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팩
US11095005B2 (en) 2015-01-14 2021-08-17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and pack of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216009A1 (en) 2010-08-26
US8501340B2 (en) 2013-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96755A (ko) 전지모듈
EP2645454B1 (en) Bus bar assembly having a novel structure
KR101326196B1 (ko) 콤팩트한 구조의 전지팩
KR101201748B1 (ko) 전지 모듈
EP2624335B1 (en) Rechargeable battery assembly and pack including the same
US9083030B2 (en) Battery module
CN109891626B (zh) 电池组
US9178206B2 (en) Battery module
JP2006128116A (ja) 電池モジュール
KR101341474B1 (ko)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
US8642206B2 (en) Battery module
CN106935780B (zh) 电池模块和电池组
JP2009231138A (ja) 電池パック
KR102073193B1 (ko) 배터리 팩
EP3249670A1 (en) Energy storage device
KR20160079220A (ko) 밀착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는 전지셀 접속부재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전지팩
US10439180B2 (en) Battery module
KR101822879B1 (ko) 이차전지모듈
EP3432331B1 (en) Connection structure for energy storage module
JP2007066653A (ja) 電源装置の外部接続端子構造
EP4287351A1 (en) Power supply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CN114424395B (zh) 电池组、电子装置和车辆
CN112640190B (zh) 电池模块、电池组及包括该电池组的装置
KR20140005521A (ko) 배터리 셀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모듈
KR20210108129A (ko) 이차 전지 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