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5932A - 오로라 키나아제의 저해를 통하여 암을 치료하는데 유용한 피롤로트리아진 유도체 - Google Patents

오로라 키나아제의 저해를 통하여 암을 치료하는데 유용한 피롤로트리아진 유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5932A
KR20100075932A KR1020107008473A KR20107008473A KR20100075932A KR 20100075932 A KR20100075932 A KR 20100075932A KR 1020107008473 A KR1020107008473 A KR 1020107008473A KR 20107008473 A KR20107008473 A KR 20107008473A KR 20100075932 A KR20100075932 A KR 201000759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ino
triazine
carbamoyl
carboxamide
phen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8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티븐 마그누손
필립 윅켄스
종후아 장
닝 퀴
진 마
Original Assignee
바이엘 헬스케어,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0511812&utm_sourc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00075932(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엘 헬스케어, 엘엘씨 filed Critical 바이엘 헬스케어,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00075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5932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8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 C07D48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87/04Ortho-condense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한 화합물과 이들의 제조 고정, 이들 화합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질환, 특히 암을 치료하는 방법, 그리고 질환, 특히 암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제약학적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계한다.

Description

오로라 키나아제의 저해를 통하여 암을 치료하는데 유용한 피롤로트리아진 유도체{Pyrrolotriazine Derivatives Useful for Treating Cancer through inhibition of Aurora Kinase}
관련된 출원에 교차 참조
본 출원은 2007년 9월 25일 제출된 U.S. 가출원 No. 60/995,147에 우선권을 주장하는데, 이의 전체 내용은 본 발명에 참조로서 편입된다.
본 발명의 기술분야
본 발명은 신규한 화합물과 이들의 제조 고정, 이들 화합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질환, 특히 암을 치료하는 방법, 그리고 질환, 특히 암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제약학적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계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
조절되지 않은 세포 증식(dysregulated cellular proliferation), 게놈 불안정성(genomic instability)과 생존(survival)은 모든 암의 특징이다. 정상적인 세포 조절은 세포 증식 및 예정된 세포 사멸(아폽토시스(apoptosis))을 제어하는 신호들의 균형을 잡는 것이다. 이들 복합 과정 간의 상호작용은 조직 안정성과 기능성을 유지한다. 세포 주기(cell cycle) 진행을 제어하는 이들 세포 경로 조절의 실패는 제어되지 않은 세포 성장 및 조직 항상성(tissue homeostasis)을 야기한다.
세포 주기 조절은 단백질 인산화 현상(protein phosphorylation event)의 순차적인 캐스케이드를 통하여 제어된다. 세포 주기 진행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몇몇 단백질 키나아제 집단이 동정되었다. 흥미롭게도, 이들 키나아제 중에서 다수의 활성이 정상적인 조직과 비교하여 인간 종양에서 증가된다. 이것이 증가된 발현 또는 단백질 수준, 또는 보조-활성인자의 발현에서 변화에 기인하는 지 여부에 관계없이, 궁극적인 결과는 세포 주기 조절의 실패이다.
오로라 집단(오로라-A, B, C 또는 2, 1, 3)은 유사분열(mitosis) 및 세포질분열(cytokinesis)의 조절과 기능에 본질적인 세린/트레오닌 키나아제이다(Adams et al., 2001, Trends in Cell Biology 11 (2): 49-54에 요약됨). 오로라 키나아제의 발현과 활성은 최고 활성이 유사분열 동안 일어나고, 휴지 세포(resting cell)에서는 발현이 거의 검출되지 않도록 세포 주기 조절된다. 오로라의 촉매 도메인(catalytic domain)은 고도로 보존되고, 90% 보다 높은 상동성을 갖지만, 유사분열 및 세포질분열 동안 독특한 세포하 국지화(subcellular localization) 및 기능을 가진다. 오로라 키나아제 A는 유사분열 중에 중심체(centrosome) 및 방추극(spindle pole)으로 국지화되고, 중심체 분리와 성숙에 요구된다. 대조적으로, 오로라-B는 3개의 다른 단백질, 내부 중심립 단백질(inner centromere protein, INCENP), 보레알린(borealin)과 설비빈(survivin)과의 복합체를 형성하고, "유사분열 패신저 단백질(mitotic passenger protein)"로서 거동한다(Meraldip P, et al 2004). 이러한 염색체 패신저 단백질은 유사분열 및 세포질분열을 동반하고 조절하는 복합적인 기능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한다. 후기(anaphase) 동안 중심립으로부터 중앙 방추(central spindle)로, 중심체(midbody)로 상기 복합체의 이동은 아마도, 다른 기질에 작용하는 오로라-B의 필요를 반영한다. 염색질 응축(chromatin condensation) 및 유사분열 진입(mitotic entry)에 관여하고 가장 특징화된 단백질인 히스톤(histone) 3으로, 오로라 키나아제 A 및 B에 대한 일련의 기질이 동정되었다. 마지막으로, 오로라 C는 유사분열의 최후 단계 동안 방추극에 국지화되는 것으로 밝혀졌지만, 이의 전체적인 기능에 대하여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Kimuram M, et al 1999).
오로라 키나아제의 소분자 저해물질은 유사 분열 조절에서 오로라의 역할을 전체적으로 이해하는데 통찰력을 제공한다(Ditchfield C, et al 2003, Hanning EA, et al 2004, 그리고 Carpinelli P, et al 2005). 구조적으로 서로 다른 저해물질이 동일한 세포 표현형 및 세린 10 상에서 히스톤 3 인산화의 저해를 촉진한다. 또한, 오로라 키나아제의 소분자 저해물질 및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종양 세포에 대해 항증식 효과(antiproliferative effect)를 갖는 것으로 증명되었다. 이는 오로라 키나아제의 저해가 암 치료에 유용할 것임을 암시한다.
본 발명의 요약
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에서는 화학식 (I) 화합물 또는 이의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용매화합물(solvate), 함수화합물(hydrate) 또는 입체이성질체(steroisomer)를 제시한다:
[화학식 I]
Figure pct00001
R1은 -(C1-C4)알킬, -(C1-C4)알킬-CF3, -(C3-C6)시클로알킬, 또는 -(C2-C4)알킬-NR5R6이고;
R2는 수소 또는 -(C1-C4)알킬이고;
R3은 할로겐이고;
R4는 하나 이상의 히드록시, 아미노, 알콕시, 또는 시클로알킬 기로 선택적으로 치환된 -(C1-C4)알킬이고;
R5와 R6은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독립적으로, 수소, 메틸, 에틸이거나, 또는 R5와 R6은 그들이 결합된 질소와 함께 피롤리딘 고리를 형성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에서는 R1이 메틸, 에틸, n-프로필, sec-부틸, 이소-부틸, tert-부틸, 시클로프로필, 2,2,2-트리플루오르에틸, 또는 2-(디메틸아미노)-에틸인 화학식 (I) 화합물을 제시한다.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에서는 R2가 수소인 화학식 (I) 화합물을 제시한다.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에서는 R3이 플루오르 또는 클로르인 화학식 (I) 화합물을 제시한다.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에서는 R4가 메틸 또는 에틸인 화학식 (I) 화합물을 제시한다.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에서는 R3이 플루오르 또는 클로르이고, R4가 메틸 또는 에틸인 화학식 (I) 화합물을 제시한다.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에서는 화학식 (I)의 염, 더욱 바람직하게는, 아세트산염(acetate), 아디프산염(adipate), 알긴산염(alginate), 아스코르브산염(ascorbate), 아스파르트산염(aspartate), 벤조산염(benzoate), 벤젠술폰산염(benzenesulfonate), 비스(벤젠술폰산염)(bis(benzenesulfonate)), 중황산염(bisulfate), 부티르산염(butyrate), 비스(말레산염)(bis(maleate)), 푸마르산염(fumarate), 헤미-푸마르산염(hemi-fumarate), 구연산염(citrate), 캄포레이트(camphorate), 캄포르술폰산염(camphorsulfonate), 계피산염(cinnamate), 시클로펜탄프로피온산염(cyclopentanepropionate), 디글루콘산염(digluconate), 도데실황산염(dodecylsulfate), 에탄술폰산염(ethanesulfonate), 푸마르산염(fumarate), 글루코헵타노에이트(glucoheptanoate), 글리세로인산염(glycerophosphate), 헤미황산염(hemisulfate), 헵타노에이트(heptanoate), 헥사노에이트(hexanoate), 염산염(hydrochloride), 브롬화수소산염(hydrobromide), 히드로요오드화물(hydroiodide), 2-히드록시에탄술폰산염(2-hydroxyethanesulfonate), 이타콘산염(itaconate), 젖산염(lactate), 말레산염(maleate), 만델산염(mandelate), 메탄술폰산염(methanesulfonate), 2-나프탈렌술폰산염(2-naphthalenesulfonate), 니코틴산염(nicotinate), 질산염(nitrate), 옥살산염(oxalate), 파모에이트(pamoate), 펙티네이트(pectinate), 과황산염(persulfate), 3-페닐프로피온산염(3-phenylpropionate), 피크르산염(picrate), 피발레이트(pivalate), 프로피온산염(propionate), 숙신산염(succinate), 술폰산염(sulfonate), 비스(메탄술폰산염)(bis(methanesulfonate)), 타르타르산염(tartrate), 티오시안산염(thiocyanate), 토실산염(tosylate), 또는 운데카노산염(undecanoate), 가장 바람직하게는, 비스(메탄술폰산염), 염산염, 비스(말레산염), 헤미-푸마르산염, 브롬화수소산염, 옥살산염, 또는 비스(벤젠술폰산염)인 화학식 (I) 화합물을 제시한다.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에서는 아래의 IUPAC 명칭을 갖는 화합물을 제시한다:
4-아미노-5-(3-플루오르-4-{[(6-메틸피리딘-2-일)카바모일]아미노}페닐)-N-메틸피롤로[2,1-f][1,2,4]트리아진-6-카르복사미드;
4-아미노-N-에틸-5-(3-플루오르-4-{[(6-메틸피리딘-2-일)카바모일]아미노}페닐)피롤로[2,1-f][1,2,4]트리아진-6-카르복사미드;
4-아미노-5-(3-플루오르-4-{[(6-메틸피리딘-2-일)카바모일]아미노}페닐)-N-프로필피롤로[2,1-f][1,2,4]트리아진-6-카르복사미드;
4-아미노-5-(3-플루오르-4-{[(6-메틸피리딘-2-일)카바모일]아미노}페닐)-N-(2,2,2-트리플루오르에틸)피롤로[2,1-f][1,2,4]트리아진-6-카르복사미드;
4-아미노-5-(3-플루오르-4-{[(6-메틸피리딘-2-일)카바모일]아미노}페닐)-N-이소부틸피롤로[2,1-f][1,2,4]트리아진-6-카르복사미드;
4-아미노-N-시클로프로필-5-(3-플루오르-4-{[(6-메틸피리딘-2-일)카바모일]아미노}페닐)피롤로[2,1-f][1,2,4]트리아진-6-카르복사미드;
4-아미노-N-에틸-5-(3-플루오르-4-{[(6-메틸피리딘-2-일)카바모일]아미노}페닐)-N-메틸피롤로[2,1-f][1,2,4]트리아진-6-카르복사미드;
4-아미노-N-[2-(디메틸아미노)에틸]-5-(3-플루오르-4-{[(6-메틸피리딘-2-일)카바모일]아미노}페닐)피롤로[2,1-f][1,2,4]트리아진-6-카르복사미드;
4-아미노-N-tert-부틸-5-(3-플루오르-4-{[(6-메틸피리딘-2-일)카바모일]아미노}페닐)피롤로[2,1-f][1,2,4]트리아진-6-카르복사미드;
4-아미노-N-tert-부틸-5-(4-{[(6-에틸피리딘-2-일)카바모일]아미노}-3-플루오르페닐)피롤로[2,1-f][1,2,4]트리아진-6-카르복사미드;
4-아미노-5-(4-{[(6-에틸피리딘-2-일)카바모일]아미노}-3-플루오르페닐)-N-(2,2,2-트리플루오르에틸)피롤로[2,1-f][1,2,4]트리아진-6-카르복사미드;
4-아미노-5-(3-클로로-4-{[(6-메틸피리딘-2-일)카바모일]아미노}페닐)-N-에틸피롤로[2,1-f][1,2,4]트리아진-6-카르복사미드;
4-아미노-5-(3-클로로-4-{[(6-메틸피리딘-2-일)카바모일]아미노}페닐)-N-프로필피롤로[2,1-f][1,2,4]트리아진-6-카르복사미드;
4-아미노-5-(3-클로로-4-{[(6-메틸피리딘-2-일)카바모일]아미노}페닐)-N-시클로프로필피롤로[2,1-f][1,2,4]트리아진-6-카르복사미드;
4-아미노-5-(3-클로로-4-{[(6-메틸피리딘-2-일)카바모일]아미노}페닐)-N-[2-(디메틸아미노)에틸]피롤로[2,1-f][1,2,4]트리아진-6-카르복사미드;
4-아미노-5-(3-클로로-4-{[(6-메틸피리딘-2-일)카바모일]아미노}페닐)-N-(2,2,2-트리플루오르에틸)피롤로[2,1-f][1,2,4]트리아진-6-카르복사미드;
4-아미노-5-(3-클로로-4-{[(6-에틸피리딘-2-일)카바모일]아미노}페닐}-N-(2,2,2-트리플루오르에틸)피롤로[2,1-f][1,2,4]트리아진-6-카르복사미드;
또는 이의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용매화합물, 함수화합물 또는 입체이성질체.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에서는 아래의 IUPAC 명칭을 갖는 염을 제시한다:
4-아미노-5-(3-플루오르-4-{[(6-메틸피리딘-2-일)카바모일]아미노}페닐)-N-(2,2,2-트리플루오르에틸)피롤로[2,1-f][1,2,4]트리아진-6-카르복사미드 디메탄술폰산염;
4-아미노-5-(3-플루오르-4-{[(6-메틸피리딘-2-일)카바모일]아미노}페닐)-N-(2,2,2-트리플루오르에틸)피롤로[2,1-f][1,2,4]트리아진-6-카르복사미드 염산염;
4-아미노-5-(3-플루오르-4-{[(6-메틸피리딘-2-일)카바모일]아미노}페닐)-N-(2,2,2-트리플루오르에틸)피롤로[2,1-f][1,2,4]트리아진-6-카르복사미드 디[(2Z)-부트-2-엔디오에이트];
4-아미노-5-(3-플루오르-4-{[(6-메틸피리딘-2-일)카바모일]아미노}페닐)-N-(2,2,2-트리플루오르에틸)피롤로[2,1-f][1,2,4]트리아진-6-카르복사미드 (2E)-부트-2-엔디오에이트(2:1);
4-아미노-5-(3-플루오르-4-{[(6-메틸피리딘-2-일)카바모일]아미노}페닐)-N-(2,2,2-트리플루오르에틸)피롤로[2,1-f][1,2,4]트리아진-6-카르복사미드 브롬화수소산염;
4-아미노-5-(4-{[(6-메틸피리딘-2-일)카바모일]아미노}페닐)-N-(2,2,2-트리플루오르에틸)피롤로[2,1-f][1,2,4]트리아진-6-카르복사미드 옥살산염; 또는
4-아미노-5-(4-{[(6-메틸피리딘-2-일)카바모일]아미노}페닐)-N-(2,2,2-트리플루오르에틸)피롤로[2,1-f][1,2,4]트리아진-6-카르복사미드 비스벤젠술폰산염.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그들의 구조에 따라서, 입체이성질체 형태(거울상이성질체 또는 부분입체이성질체)로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들 거울상이성질체 또는 부분입체이성질체, 그리고 이들 개별 혼합물에 관계한다. 거울상이성질체 또는 부분입체이성질체의 이러한 혼합물은 공지된 방식으로 입체이성질적으로 단일한 성분으로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각 화합물의 구조에 따라서, 이들 기술된 화합물의 호변이성질체에 관계한다.
정의
달리 명시되지 않으면, 아래의 정의가 본 명세서 및 청구항에 전반에 이용된 기술적 표현에 적용된다.
본 발명에서 "염"은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예로써, S. M. Berge, et al. "Pharmaceutical Salts," J. Pharm. Sci. 1977, 66, 1-19를 참조한다.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에는 무기 산, 카르복실산과 술폰산의 산 부가염, 예를 들면, 염산, 브롬화수소산, 황산, 인산, 메탄술폰산, 에탄술폰산, 톨루엔술폰산, 벤젠술폰산, 나프탈렌디술폰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락트산, 타르타르산, 말산, 구연산, 푸마르산, 말레산 및 벤조산의 염이 포함된다.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에는 또한 통상적인 염기의 염, 예를 들면,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알칼리 금속염(가령, 나트륨과 칼륨 염), 알칼리 토류 금속염(가령, 칼슘과 마그네슘 염), 그리고 암모니아 또는 1 내지 1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유기 아민(가령, 예시적으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에틸아민, 디에틸아민, 트리에틸아민, 에틸디이소프로필아민,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디시클로헥실아민, 디메틸아미노에탄올, 프로카인, 디벤질아민, N-메틸모르폴린, 디히드로아비에틸아민, 아르기닌, 라이신, 에틸렌디아민과 메틸피페리딘)으로부터 유래된 암모늄 염이 포함된다.
용어 "알킬"은 탄소와 수소 원자만으로 구성되고, 탄소와 수소 원자만을 보유하고, 불포화되지 않고, 1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보유하는 선형 또는 분지형 탄화수소 사슬 라디칼을 지칭하는데, 이들은 단일 결합에 의해 분자의 나머지 부분에 부착되며, 메틸, 에틸, n-프로필 1-메틸에틸(이소프로필), n-부틸, n-펜틸, 그리고 1,1-디메틸에틸(t-부틸)로 예시된다.
용어 "알콕시"는 산소 결합을 통하여 분자의 나머지 부분에 부착된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알킬기를 지칭한다. 이러한 기의 대표적인 실례는 -OCH3, -OC2H5이다.
용어 "시클로알킬"은 대략 3개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의 비-방향족 모노 또는 다중환형 고리 체계, 예를 들면,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을 지칭하고, 다중환형 시클로알킬 기의 실례에는 퍼히드로나프틸, 아다만틸 및 노르보르닐 기 가교결합된 환형 기 또는 스피로이중환형 기, 예를 들면, 스피로 (4,4)논-2-일이 포함된다.
용어 "할로겐"은 플루오르, 클로르, 브롬과 요오드의 라디칼을 지칭한다.
결합 인근에 기호 *는 분자내 부착 지점을 표시한다.
본 명세서 전반에서, 편의를 위하여, 복수 표현 보다 단수 표현의 이용이 선호되지만, 일반적으로 달리 언급되지 않으면 복수 표현을 포함한다. 가령, "화학식 (I) 화합물의 효과량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환자에서 질환의 치료 방법"이라는 표현은, 하나 이상의 질환을 동시에 치료하는 것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화학식 (I) 화합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일반적인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이러한 구체예에 이용되는 화합물의 제조에 이용되는 특정 공정은 원하는 특정 화합물에 좌우된다. 특정 치환기(substituent)의 선택과 같은 인자는 본 발명의 특정 화합물의 제조에서 추종되는 경로에서 일정한 역할을 한다. 이들 인자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인지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공지된 화학 반응과 절차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기의 일반적인 제조 방법은 작업 실시예를 기술하는 하기 실험 섹션에서 제공되는 더욱 상세한 특정 실시예와 함께, 본 발명의 화합물을 합성하는데 있어서 독자들에게 도움을 주기 위하여 제공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상업적으로 가용하거나, 또는 통상적인 화학적 방법에 따라 생산될 수 있는 출발 물질로부터, 통상적인 화학적 방법에 따라서 및/또는 하기에 개시된 바와 같이 만들어질 수 있다. 이들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한 일반적인 방법이 하기에 제시되고, 대표적인 화합물의 제조가 실시예에서 명확하게 예시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합성에서, 그리고 본 발명의 화합물의 합성에 관련된 중간물질의 합성에서 이용되는 합성 변환(synthetic transformation)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합성 변환에 관한 상세는 아래와 같은 간행물에서 발견된다:
J. March. Advanced Organic Chemistry, 4th ed.; John Wiley: New York (1992)
R. C. Larock. Comprehensive Organic Transformations, 2nd ed.; Wiley-VCH: New York (1999)
F.A. Carey; R.J. Sundberg. Advanced Organic Chemistry, 2nd ed.; Plenum Press: New York (1984)
T.W. Greene; P. G. M. Wuts.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3rd ed.; John Wiley: New York (1999)
L. S. Hegedus. Transition Metals in the Synthesis of Complex Organic Molecules, 2nd ed.; University Science Books: Mill Valley, CA (1994)
L. A. Paquette, Ed. The Encyclopedia of Reagents for Organic Synthesis; John Wiley: New York (1994)
A. R. Katritzky; O. Meth-Cohn; C.W. Rees, Eds. Comprehensive Organic Functional Group Transformations; Pergamon Press: Oxford, UK (1995)
G. Wilkinson; F. G A. Stone; E.W. Abel, Eds. Comprehensive Organometallic Chemistry; Pergamon Press: Oxford, UK (1982)
B. M. Trost; I. Fleming. Comprehensive Organic Synthesis; Pergamon Press: Oxford, UK (1991)
A. R. Katritzky; C.W. Rees Eds. Comprehensive Heterocylic Chemistry, Pergamon Press: Oxford, UK (1984)
A. R. Katritzky; CW. Rees; E. F. V. Scriven, Eds. Comprehensive Heterocylic Chemistry II; Pergamon Press: Oxford, UK (1996)
C Hansch; P. G. Sammes; J. B. Taylor, Eds. Comprehensive Medicinal Chemistry. Pergamon Press: Oxford, UK (1990).
이에 더하여, 합성 방법 및 관련된 토픽에 관한 연속적인 개관에는 Organic Reactions; John Wiley: New York; Organic Syntheses; John Wiley: New York; Reagents for Organic Synthesis: John Wiley: New York; The Total Synthesis of Natural Products; John Wiley: New York; The Organic Chemistry of Drug Synthesis; John Wiley: New York; Annual Reports in Organic Synthesis; Academic Press: San Diego CA; 그리고 Methoden der Organischen Chemie (Houben-Weyl); Thieme: Stuttgart, Germany가 포함된다. 게다가, 합성 변환에 관한 데이터베이스에는 CAS OnLine 또는 SciFinder를 이용하여 검색될 수 있는 Chemical Abstracts, SpotFire를 이용하여 검색될 수 있는 Handbuch der Organischen Chemie (Beilstein), 그리고 REACCS가 포함된다.
화학식 (I) 화합물을 만드는 일반적인 방법은 반응식 1-4에 예시된다. 상기경로는 반응식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학식 (II)의 적절하게 치환된 4-니트로벤조산으로 시작된다. 상기 산은 전형적으로, 염화티오닐(thionyl chloride) 또는 염화옥살릴(oxalyl chloride)에 의해 산 염화물(acid chloride)로 전환되고, 이후, 이는 에틸칼륨 말론산염 (III)의 마그네슘 염과 결합되어 화학식 (IV)의 β-케토에스테르(ketoester)를 제공한다. 상기 화합물은 N,N-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 아세탈과 함께 응축되어 화학식 (V)의 α,β-불포화된 케톤을 제공하고, 이는 이후 산(가령, 아세트산과 트리플루오르아세트산)의 존재에서 2-아미노말로나미드 (VI)와 반응되고 가열되어 결정화(cyclization) 이후에, 화학식 (VII)의 피롤을 형성한다. 화학식 (VII)의 피롤에서 발견되는 일차 아미드 기는 탈수(가령, 옥시염화인(phosphorous oxychloride)의 존재에서)되어 화학식 (VIII)의 5-시아노피롤을 제공할 수 있다.
[반응식 1]
Figure pct00002

화학식 (VIII)의 5-시아노피롤은 반응식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진전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R3이 플루오르인 한 가지 변형에서, 화합물 (VIII)의 니트로 기는 환원(가령, 염화암모늄(ammonium chloride)의 존재에서 철(iron)과 조심스럽게 통제된 가열로)되어 화학식 (IX)의 아닐린을 제공할 수 있다. 화합물 (IX)는 이후, 수소화나트륨(sodium hydride)과 같은 염기의 존재에서 아민화 시약(aminating reagent) (X)와 반응되어 화학식 (XI)의 히드라진을 제공할 수 있다. 히드라진 (XI)는 이후, 화학식 XII의 피롤로트리아진으로의 고리화(cyclization)를 유도하기 위하여 포름아미딘 아세트산염과 반응되고 가열될 수 있다.
[반응식 2]
Figure pct00003

두 번째 변형에서, 전형적으로 R3이 클로로일 때, 화학식 (VIII)의 피롤은 먼저, 수소화나트륨과 같은 염기의 존재에서 아민화 시약 (X)와 반응되어 화학식 (XIII)의 히드라진을 생산할 수 있다. 히드라진 (XIII)는 고리화 조건(cyclizing condition) 하에 포름아미딘 아세트산염과 반응되어 화학식 (XIV)의 피롤로트리아진을 제공하고, 이는 차례로, 레이니 니켈(Raney nickel) 촉매작용으로 수소화 조건(hydrogenation condition)에 종속되고 화학식 (XII)의 아닐린을 제공할 수 있다.
화학식 (XII)의 피롤로트리아진은 반응식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화학식 (I)의 원하는 산물로 진전될 수 있다. 한 가지 변형에서, 화합물 (XII)에서 아닐린은 약염기(가령, 트리에틸아민)의 존재에서 화학식 (XV)의 카르밤산염(carbamate) 시약과 반응되어 화학식 (XVI)의 요소(urea)를 제공할 수 있다. 화학식 (XV)의 카르밤산염 시약은 페닐 클로로포름산(phenyl chloroformate)을 적절하게 치환된 2-아미노피리딘과 반응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화합물 (XVI)에서 에스테르 기는 염기성 조건(가령, 메탄올과 THF에서 1 N 수성 수산화나트륨) 하에 가수분해되어 화학식 (XVII)의 카르복실산(carboxylic acid)을 생산할 수 있다. 상기 산은 이후, 표준 펩티드 결합 조건(standard peptide coupling condition) 하에 화학식 (XVIII)의 아민과 반응되어 화학식 (I)의 원하는 아미드를 생산할 수 있다.
두 번째 변형에서, 화합물 (XII)의 에스테르 기는 염기성 조건 하에 초기에 가수분해되어 화학식 (XIX)의 카르복실산을 생산할 수 있고, 이는 아민 (XVIII)과의 펩티드 결합(peptide coupling)에 종속되어 화학식 (XX)의 아미드를 생산할 수 있다. 화합물 (XX)의 아닐린 기는 이후, 화학식 (XV)의 카르밤산염으로 처리되어 원하는 화합물 (I)에 다시 도달할 수 있다.
[반응식 3]
Figure pct00004

상이한 순서의 반응을 수반하는 앞서 기술된 경로에 대한 추가적인 변형은 반응식 4에 기술된다. 이러한 순서에서, 전형적으로 R3이 클로로인 화학식 (XIV)의 에스테르는 표준 염기성 조건 하에 가수분해되어 화학식 (XXI)의 카르복실산을 제공한다. 상기 산 (XXI)은 아민 (XVIII)과의 펩티드 결합 조건에 종속되어 화학식 (XXII)의 아미드를 제공한다. 화합물 (XXII)에서 니트로 기는 환원(가령, 레이니 니켈 촉매작용으로 수소화에 의해)되어 화학식 (XX)의 아닐린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화합물은 이후, 반응식 3에 기술된 바와 같은 요소 형성이 진행되어 원하는 화학식 (I) 화합물을 제공할 수 있다.
[반응식 4]
Figure pct00005

화학식 (I)의 유리 염기(free base)는 반응식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학식 (Ia)의 상응하는 접합체(conjugate) 염으로 전환될 수도 있다. 화학식 (I) 화합물은 THF, 아세토니트릴, 또는 이들과 물의 조합과 같은 용매 내에서 화학식 (XXIII)의 산과 반응되어 화학식 (Ia)의 접합체 염을 제공한다. 산 (XXIII)은 무기 산, 예를 들면, 염산, 또는 유기 산, 예를 들면, 메탄 술폰산 또는 옥살산일 수 있다. 산 (XXIII)의 당량수(number of equivalent)는 변할 수 있고, 생성된 접합체 염 (Ia)의 화학량론(stoichiometry)은 이용된 특정 산(XXIII)에 좌우된다. 이들 접합체 염 (Ia)은 화학식 (I)의 유리 염기와 비교하여, 향상된 용해 반응속도(dissolution kinetics)와 구강 노출(oral exposure)을 제공할 수 있다.
[반응식 5]
Figure pct00006

본 발명의 화합물의 제약학적 조성물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약학적 조성물에 관계한다. 이들 조성물은 병든 환자에게 투여함으로써 원하는 약리학적 효과를 달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환자는 특정 장애 또는 질환에 대한 치료가 요구되는 인간을 비롯한 포유동물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는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약학적 효과량의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이의 염으로 구성된 제약학적 조성물이 포함된다.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담체로부터 기인하는 임의의 부작용이 활성 성분의 유익한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활성 성분의 유효 활성과 일치하는 농도에서 환자에게 비교적 무독성이고 무해한 담체이다. 화합물의 제약학적 효과량은 바람직하게는, 치료되는 특정 장애에 대해 영향을 결과하거나 발휘하는 양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당분야에 널리 공지된 제약학적으로-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즉시, 지연 및 시한 방출형 제제를 비롯한 임의의 효과적인 통상의 단위 투약 형태(dosage unit form)를 이용하여, 경구, 비경구, 국소, 비강, 점안, 눈, 설하, 직장, 또는 질로 투여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하여, 화합물은 고형 또는 액상 제제, 예를 들면, 캡슐, 환제, 정제, 트로키, 로젠지, 용융물, 분말, 용액, 현탁액, 또는 에멀젼으로 제제화될 수 있고, 제약학적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당분야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고형 단위 투약 형태는, 예로써 계면활성제, 윤활제, 그리고 비활성 충전재, 예를 들면, 락토오스, 수크로오스, 인산칼슘과 옥수수 전분을 포함하는 통상적인 경질- 또는 연질-쉘 젤라틴 유형일 수 있는 캡슐일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결합제, 예를 들면, 아카시아, 옥수수 전분 또는 젤라틴; 투여후 정제의 붕괴 및 용해를 보조하기 위한 붕해제, 예를 들면, 감자 전분, 알긴산, 옥수수 전분, 구아 검, 또는 트래거캔스 또는 아카시아 검; 정제 과립화의 유동을 개선하고 정제 다이 및 펀치의 표면으로 정제 물질의 점착을 방지하기 위한 윤활제, 예를 들면, 활석, 스테아르산, 또는 마그네슘, 칼슘 또는 아연 스테아르산염; 염료; 착색제; 그리고 정제의 미적 질감을 향상시키고, 환자에게 더욱 잘 받아들여질 수 있도록 하는 풍미제, 예를 들면, 페퍼민트, 노루발풀 오일, 또는 체리 향과의 조합으로, 통상의 정제 기부(base), 예를 들면, 락토오스, 수크로오스 및 옥수수 전분으로 정제화될 수 있다. 경구 액체 투여 형태에 이용하기 적합한 부형제에는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계면활성제, 현탁제 또는 유화제가 첨가되거나 또는 첨가되지 않은, 인산 2칼슘 및 희석제, 예를 들면, 물과 알코올, 예를 들면, 에탄올, 벤질 알코올과 폴리에틸렌 알코올이 포함된다. 다양한 다른 물질들은 코팅으로서, 또는 투약 단위의 물리적 형태를 개조하기 위하여 존재할 수 있다. 가령, 정제, 환제 또는 캡슐은 쉘락, 당 또는 둘 모두로 코팅될 수 있다.
분산 가능한 분말과 과립은 수성 현탁액의 제조에 적합하다. 이들은 분산제 또는 습윤제, 현탁제 및 하나 이상의 보존제와 혼합된 활성 성분을 제공한다. 적합한 분산제 또는 습윤제 및 현탁제는 상기에서 이미 언급된 것들에 의해 예시된다. 추가의 부형제, 예를 들면,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은 감미제, 풍미제 및 착색제 역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약학적 조성물은 수중유 에멀젼의 형태일 수도 있다. 오일 상은 식물성 오일, 예를 들면, 액체 파라핀 또는 식물성 오일의 혼합물일 수 있다. 적합한 유화제는 (1) 자연 발생 검, 예를 들면, 아카시아 검 및 트래거캔스 검, (2) 자연 발생 인지질, 예를 들면, 대두 및 레시틴, (3) 지방산 및 헥시톨 무수물로부터 유래된 에스테르 또는 부분적인 에스테르, 예를 들면,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 (4) 상기 부분적인 에스테르와 에틸렌 산화물의 축합 생성물, 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일 수 있다. 상기 에멀젼은 또한 감미제 및 풍미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오일 현탁액은 활성 성분을 식물성 오일, 예를 들면, 아라키스 오일, 올리브 오일, 참깨 오일 또는 코코넛 오일에서, 또는 광물성 오일, 예를 들면, 액체 파라핀에서 현탁시킴으로써 제제화할 수 있다. 이들 오일 현탁액은 증점제, 예를 들면, 밀랍, 경성 파라핀, 또는 세틸 알코올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들 현탁액은 하나 이상의 보존제, 예를 들면, 에틸 또는 n-프로필 p-히드록시벤조에이트; 하나 이상의 착색제; 하나 이상의 풍미제; 그리고 하나 이상의 감미제, 예를 들면, 수크로오스 또는 사카린을 포함할 수도 있다.
시럽 및 엘릭시르는 감미제, 예를 들면,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소르비톨 또는 수크로오스로 제제화될 수 있다. 이런 제형은 또한 완화제 및 보존제, 예를 들면, 메틸과 프로필 파라벤, 그리고 풍미제 및 착색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제약학적 담체와 함께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희석제에서 화합물의 주사가능 용량으로서 비경구, 즉, 피하, 정맥내, 눈 안, 활액내, 근육내, 또는 복막내로 투여될 수 있고, 여기서 상기 제약학적 담체는 무균 액체, 또는 액체들, 예를 들면, 물, 염수, 수성 덱스트로스 및 관련 당 용액, 알코올, 예를 들면,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또는 헥사데실 알코올, 글리콜, 예를 들면, 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글리세롤 케탈, 예를 들면, 2,2-디메틸-1,1-디옥솔란-4-메탄올, 에테르,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글리콜) 400, 오일,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지방산 글리세리드, 또는 아세틸화된 지방산 글리세리드의 혼합물일 수 있고,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계면활성제, 예를 들면, 비누 또는 세제, 현탁제, 예를 들면, 펙틴, 카보머,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또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또는 유화제 및 다른 제약학적 보조제가 추가되거나 또는 추가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비경구 제형에 이용할 수 있는 오일의 실례는 석유, 동물, 식물 또는 합성 유래의 오일, 예를 들면, 땅콩 오일, 대두 오일, 참깨 오일, 면실 오일, 옥수수 오일, 올리브 오일, 바셀린 및 광물성 오일이다. 적합한 지방산에는 올레산, 스테아르산, 이소스테아르산 및 미리스트산이 포함된다. 적합한 지방산 에스테르는 예로써, 에틸 올레에이트 및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이다. 적합한 비누에는 지방산 알칼리 금속, 암모늄 및 트리에탄올아민 염이 포함되고, 적합한 세제에는 양이온성 세제, 예를 들면, 디메틸 디알킬 암모늄 할로겐화물, 알킬 피리디늄 할로겐화물 및 알킬아민 아세테이트; 음이온성 세제, 예를 들면, 알킬, 아릴과 올레핀 술포네이트, 알킬, 올레핀, 에테르와 모노글리세리드 술페이트, 그리고 술포숙시네이트; 비-이온성 세제, 예를 들면, 지방 아민 산화물, 지방산 알칸올아미드, 그리고 폴리(옥시에틸렌-옥시프로필렌) 또는 에틸렌 산화물 또는 프로필렌 산화물 공중합체; 그리고 양쪽성 세제, 예를 들면, 알킬-베타-아미노프로피오네이트 및 2-알킬이미다졸린 4급 암모늄 염 뿐만 아니라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비경구 조성물은 전형적으로, 용액 상태에서 약 0.5 중량% 내지 약 25 중량%의 활성 성분을 포함할 것이다. 보존제 및 완충액 역시 유익하게 이용될 수 있다. 주사 부위의 자극을 최소화하거나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약 12 내지 약 17의 친수성-친유성 균형(hydrophile-lipophile balance, HLB)을 갖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런 제제 내에서 계면활성제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약 5 중량% 내지 약 15 중량% 범위이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상기 HLB를 갖는 단일 성분이거나, 또는 원하는 HLB를 갖는 2개 이상의 성분의 혼합물일 수 있다.
비경구 제제에 이용되는 계면활성제의 실례는 폴리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계열, 예를 들면,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 그리고 프로필렌 산화물과 프로필렌 글리콜의 축합에 의해 형성되는, 소수성 염기와 에틸렌 산화물의 고분자량 부가물이다.
제약학적 조성물은 무균 주사가능 수성 현탁액의 형태일 수 있다. 이런 현탁액은 적합한 분산제 또는 습윤제 및 현탁제, 예를 들면,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 알기네이트, 폴리비닐피롤리돈, 트래거캔스 검 및 아카시아 검; 자연 발생 인지질, 예를 들면, 레시틴, 알킬렌 산화물과 지방산의 축합 생성물, 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르산염, 에틸렌 산화물과 장쇄 지방족 알코올의 축합 생성물, 예를 들면, 헵타데카-에틸렌옥시세타놀, 에틸렌 산화물과 지방산 및 헥시톨로부터 유래된 부분적인 에스테르의 축합 생성물, 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모노올레에이트, 또는 에틸렌 산화물과 지방산 및 헥시톨 무수물로부터 유래된 부분적인 에스테르의 축합 생성물, 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인 분산제 또는 습윤제를 이용하여 공지된 방법에 따라 제제화될 수 있다.
또한, 무균 주사가능 제제는 비-독성의 비경구적으로 허용되는 희석제 또는 용매에 담긴 무균 주사가능 용액 또는 현탁액일 수 있다. 이용될 수 있는 희석제 및 용매는 예로써, 물, 링거(Ringer) 용액, 등장성 염화나트륨 용액 및 등장성 글루코오스 용액이다. 또한, 무균 고정 오일이 용매 또는 현탁 매체로서 통상적으로 이용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합성 모노- 또는 디글리세리드를 비롯한 임의의 부드러운 고정 오일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지방산, 예를 들면, 올레산이 주사제의 제조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물의 직장 투여를 위하여 좌약의 형태로 투여될 수도 있다. 이들 조성물은 일상 온도에서는 고체이지만 직장 온도에서는 액체이고, 따라서 직장 내에서 용융되어 약물을 방출하는 적합한 비-자극성 부형제와 약물을 혼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이런 물질은 예로써, 코코아 버터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이용되는 또 다른 제제는 경피 전달 장치("패치(patch)")를 이용한다. 이런 경피 패치는 본 발명의 화합물을 제어된 양으로 연속 또는 불연속적으로 주입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약제의 전달을 위한 경피 패치의 구성 및 이용은 당분야에 잘 알려져 있다(가령, 1991년 6월 11일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023,252호, 이는 본 발명에 참조로서 편입됨). 이들 패치는 약제의 연속적, 박동적 또는 요구시 전달을 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서방 제제에는 당분야에 공지된 리포좀성 중합체 마이크로스피어 및 중합체 겔 제형이 포함된다.
기계적인 전달 장치를 통하여 환자에게 제약학적 조성물을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거나 필요할 수 있다. 약제의 전달을 위한 기계적 전달 장치의 구성 및 용도는 당분야에 잘 알려져 있다. 가령, 뇌에 직접적으로 약물을 투여하기 위한 직접적인 기술은 통상적으로, 혈액-뇌 장벽을 우회하도록 약물 전달 카테터를 환자의 심실계(ventricular system)에 위치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신체의 특정 해부학적 영역에 약제를 운반하는데 이용되는 이와 같은 이식가능 전달계 중의 하나는 1991년 4월 30일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011,472호에 기술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필요하거나 또는 원하는 경우에, 담체 또는 희석제로 통칭되는 다른 통상의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혼합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조성물을 적절한 투약 형태로 제조하는데 통상의 절차가 이용될 수 있다. 이런 성분 및 절차에는 아래의 참고문헌에 기술된 것이 포함되는데, 이들 각각은 본 발명에서 참조로서 편입된다: Powell, M.F. et al, "Compendium of Excipients for Parenteral Formulations" PDA Journal of Pharmaceutical Science & Technology 1998, 52(5), 238-311; Strickley, R.G "Parenteral Formulations of Small Molecule Therapeutics Marketed in the United States (1999)-Part-1" PDA Journal of Pharmaceutical Science & Technology 1999, 53(6), 324-349; Nema, S. et al, "Excipients and Their Use in Injectable Products" PDA Journal of Pharmaceutical Science & Technology 1997, 51(4), 166-171].
의도된 투여 경로에 적합한 조성물을 제제화하는데 적절하게 이용할 수 있는,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제약 성분에는 아래의 성분이 포함된다:
산성화제(가령, 아세트산, 구연산, 푸마르산, 염산, 질산이 포함되지만 이들에 국한되지 않음);
알칼리화제(가령, 암모니아 용액, 탄산암모늄, 디에탄올아민, 모노에탄올아민, 수산화칼륨, 붕산나트륨, 탄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트리에탄올아민, 트롤아민이 포함되지만 이들에 국한되지 않음);
흡착제(가령, 분말 셀룰로오스 및 활성탄이 포함되지만 이들에 국한되지 않음);
에어로졸 추진제(가령, 이산화탄소, CCl2F2, F2ClC-CClF2 및 CClF3이 포함되지만 이들에 국한되지 않음);
공기 대체제(가령, 질소 및 아르곤이 포함되지만 이들에 국한되지 않음);
항진균 보존제(가령, 벤조산, 부틸파라벤, 에틸파라벤, 메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나트륨 벤조에이트가 포함되지만 이들에 국한되지 않음);
항균 보존제(가령, 벤잘코늄 염화물, 벤제토늄 염화물, 벤질 알코올, 세틸피리디늄 염화물, 클로로부탄올, 페놀, 페닐에틸 알코올, 질산 페닐 수은 및 티메로살이 포함되지만 이들에 국한되지 않음);
항산화제(가령, 아스코르브산, 아스코르빌 팔미테이트, 부틸화 히드록시아니솔, 부틸화 히드록시톨루엔, 차아인산, 모노티오글리세롤, 프로필 갈레이트, 나트륨 아스코르베이트, 나트륨 중황산염, 나트륨 포름알데히드 술폭실레이트, 나트륨 메타중황산염이 포함되지만 이들에 국한되지 않음);
결합 물질(가령, 블록 중합체, 천연 및 합성 고무,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우레탄, 실리콘, 폴리실록산 및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가 포함되지만 이들에 국한되지 않음);
완충제(가령, 메타인산 칼륨, 인산 이칼륨, 나트륨 아세테이트, 나트륨 구연산염 무수물 및 나트륨 구연산염 이수화물이 포함되지만 이들에 국한되지 않음);
운반제(가령, 아카시아 시럽, 방향족 시럽, 방향족 엘릭시르, 체리 시럽, 코코아 시럽, 오렌지 시럽, 시럽, 옥수수 오일, 광물성 오일, 땅콩 오일, 참깨 오일, 정균성 염화나트륨 주사제 및 정균성 주사용수가 포함되지만 이들에 국한되지 않음);
킬레이트화제(가령, 에데테이트 2나트륨 및 에테트산이 포함되지만 이들에 국한되지 않음);
착색제(가령, FD&C Red 3호, FD&C Red 20호, FD&C Yellow 6호, FD&C Blue 2호, D&C Green 5호, D&C Orange 5호, D&C Red 8호, 카라멜 및 적색 산화 제2철이 포함되지만 이들에 국한되지 않음);
정화제(가령, 벤토나이트가 포함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음);
유화제(가령, 아카시아, 세토마크로골, 세틸 알코올,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르산염, 레시틴,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 50 모노스테아르산염이 포함되지만 이들에 국한되지 않음);
캡슐화제(가령, 젤라틴 및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가 포함되지만 이들에 국한되지 않음);
풍미제(가령, 아니스 오일, 시나몬 오일, 코코아, 멘톨, 오렌지 오일, 페퍼민트 오일 및 바닐린이 포함되지만 이들에 국한되지 않음);
습윤제(가령,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및 소르비톨이 포함되지만, 이들에 국한되지 않음);
가루화제(가령, 광물성 오일 및 글리세린이 포함되지만 이들에 국한되지 않음);
오일(가령, 아라키스 오일, 광물성 오일, 올리브 오일, 땅콩 오일, 참깨 오일 및 식물성 오일이 포함되지만 이들에 국한되지 않음);
연고 기부(가령, 라놀린, 친수성 연고, 폴리에틸렌 글리콜 연고, 바셀린, 친수성 바셀린, 백색 연고, 황색 연고 및 로즈 워터 연고가 포함되지만 이들에 국한되지 않음);
투과 강화제(경피 전달)(가령, 모노히드록시 또는 폴리히드록시 알코올, 모노- 또는 다가 알코올,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 알코올,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 에스테르, 포화 또는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필수 오일, 포스파티딜 유도체, 세팔린, 테르펜, 아미드, 에테르, 케톤 및 우레아가 포함되지만 이들에 국한되지 않음);
가소제(가령, 디에틸 프탈레이트 및 글리세롤이 포함되지만 이들에 국한되지 않음);
용매(가령, 에탄올, 옥수수 오일, 면실 오일, 글리세롤, 이소프로판올, 광물성 오일, 올레산, 땅콩유, 정제수, 주사용수, 무균 주사용수 및 무균 관주용수가 포함되지만 이들에 국한되지 않음);
강화제(가령, 세틸 알코올, 세틸 에스테르 왁스, 미세결정성 왁스, 파라핀, 스테아릴 알코올, 백색 왁스 및 황색 왁스가 포함되지만 이들에 국한되지 않음);
좌약 기부(가령, 코코아 버터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혼합물)이 포함되지만 이들에 국한되지 않음);
계면활성제(가령, 벤잘코늄 염화물, 노녹시놀 10, 옥스톡시놀 9, 폴리소르베이트 80, 나트륨 라우릴 술페이트 및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가 포함되지만 이들에 국한되지 않음);
현탁제(가령, 한천, 벤토나이트, 카보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 카올린, 메틸셀룰로오스, 트래거캔스 및 비검(veegum)이 포함되지만 이들에 국한되지 않음);
감미제(가령, 아스파르탐, 덱스트로스, 글리세롤, 만니톨, 프로필렌 글리콜, 사카린 나트륨, 소르비톨 및 수크로오스가 포함되지만 이들에 국한되지 않음);
정제 항-점착제(가령, 마그네슘 스테아르산염 및 활석이 포함되지만 이들에 국한되지 않음);
정제 결합제(가령, 아카시아, 알긴산,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 압축당, 에틸셀룰로오스, 젤라틴, 액체글루코오스, 메틸셀룰로오스, 비-가교 폴리비닐 피롤리돈 및 전호화 전분이 포함되지만 이들에 국한되지 않음);
정제 및 캡슐 희석제(가령, 2염기성 인산칼슘, 카올린, 락토오스, 만니톨,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 분말 셀룰로오스, 침전된 탄산칼슘, 탄산나트륨, 인산나트륨, 소르비톨 및 전분이 포함되지만 이들에 국한되지 않음);
정제 코팅제(가령, 액체 글루코오스,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 및 쉘락이 포함되지만 이들에 국한되지 않음);
정제 직접 압축 부형제(가령, 2염기성 인산칼슘이 포함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음);
정제 붕해제(가령, 알긴산,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 폴라크릴린 칼륨, 가교 폴리비닐피롤리돈, 나트륨 알기네이트, 나트륨 전분 글리콜레이트 및 전분이 포함되지만 이들에 국한되지 않음);
정제 활택제(가령, 콜로이드성 실리카, 옥수수 전분 및 활석이 포함되지만 이들에 국한되지 않음);
정제 윤활제(가령, 칼슘 스테아르산염, 마그네슘 스테아르산염, 광물성 오일, 스테아르산 및 아연 스테아르산염이 포함되지만 이들에 국한되지 않음);
정제/캡슐 무광택제(가령, 티타늄 이산화물이 포함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음);
정제 광택제(가령, 카르누바 왁스 및 백색 왁스가 포함되지만 이들에 국한되지 않음);
증점제(가령, 밀랍, 세틸 알코올 및 파라핀이 포함되지만, 이들에 국한되지 않음);
강직제(가령, 덱스트로스 및 염화나트륨이 포함되지만 이들에 국한되지 않음);
점도 증진제(가령, 알긴산, 벤토나이트, 카보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 메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나트륨 알기네이트 및 트래거캔스가 포함되지만 이들에 국한되지 않음); 그리고
습윤제(가령, 헵타데카에틸렌 옥시세타놀, 레시틴, 소르비톨 모노올레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모노올레에이트 및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르산염이 포함되지만 이들에 국한되지 않음).
본 발명에 따른 제약학적 조성물은 아래와 같이 예시될 수 있다:
무균 IV 용액: 본 발명의 원하는 화합물의 5 ㎎/㎖ 용액은 무균 주사가능 물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pH가 조정된다. 상기 용액은 1 내지 2 ㎎/㎖까지 투여를 위하여 무균 5% 덱스트로스로 희석되고 약 60분 동안 IV 주입으로 투여된다.
IV 투여를 위한 동결건조 분말: 무균 제조물은 (i) 동결건조 분말로서 본 발명의 원하는 화합물 100 내지 1000 ㎎, (ii) 나트륨 구연산염 32 내지 327 ㎎/㎖ 및 (iii) 덱스트란 40 300 내지 3000 ㎎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제제는 무균 주사가능 염수 또는 덱스트로스 5%로 10 내지 20 ㎎/㎖의 농도로 재구성되고, 이는 염수 또는 덱스트로스 5%로 0.2 내지 0.4 ㎎/㎖로 더욱 희석되고, 15 내지 60분 동안 IV 볼루스로 또는 IV 주입에 의해 투여된다.
근육내 현탁액: 근육내 주사를 위하여 하기의 용액 또는 현탁액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원하는 물-불용성 화합물 50 ㎎/㎖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5 ㎎/㎖
TWEEN 80 4 ㎎/㎖
염화나트륨 9 ㎎/㎖
벤질 알코올 9 ㎎/㎖
경성 쉘 캡슐: 다수의 단위 캡슐은 표준 2-조각 경성 젤라틴 캡슐을 각각 분말 활성 성분 100 ㎎, 락토오스 150 ㎎, 셀룰로오스 50 ㎎ 및 마그네슘 스테아르산염 6 ㎎으로 충진함으로써 제조된다.
연성 젤라틴 캡슐: 소화가능 오일, 예를 들면, 대두 오일, 면실 오일 또는 올리브 오일에서 활성 성분의 혼합물이 제조되고, 정변위 펌프(positive displacement pump)에 의해 용융된 젤라틴에 주입되어 활성 성분 100 ㎎을 포함하는 연성 젤라틴 캡슐을 형성한다. 이들 캡슐은 세척되고 건조된다. 활성 성분은 폴리에틸렌 글리콜, 글리세린 및 소르비톨의 혼합물에 용해되어 물 혼화성 약물 혼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정제: 다수의 정제는 투약 단위가 활성 성분 100 ㎎, 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 0.2 ㎎, 마그네슘 스테아르산염 5 ㎎,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 275 ㎎, 전분 11 ㎎ 및 락토오스 98.8 ㎎가 되도록 통상의 절차에 따라 제조된다. 감칠맛을 증진시키거나, 정밀도 및 안정성을 개선하거나, 또는 흡수를 지연시키기 위하여 적절한 수성 및 비-수성 코팅이 도포될 수 있다.
즉시 방출형 정제/캡슐: 이들은 통상의 방법 및 신규한 방법으로 제조되는 고형 경구 투약 형태이다. 이들 단위는 약물의 즉시 용해 및 전달을 위하여 물 없이 경구 섭취된다. 활성 성분은 당, 젤라틴, 펙틴 및 감미제와 같은 성분을 포함하는 액체에 혼합된다. 이들 액체는 동결 건조 및 고상 추출 기술에 의해 고형 정제 또는 캐플릿으로 고형화된다. 약물 화합물은 물의 필요 없이, 즉시 방출을 위한 다공성 매트릭스를 생성하기 위하여 점탄성 및 열탄성 당과 중합체, 또는 발포성 성분으로 압축될 수 있다.
장애의 치료 방법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화합물 및 이들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포유동물의 장애, 특히 과다-증식성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방법에 관계한다. 화합물은 세포 증식 및/또는 세포 분열을 저해, 차단, 완화, 감소시키고 및/또는 아폽토시스(apoptosis)를 유발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인간을 비롯한 병든 포유동물에게, 이러한 장애를 치료하는데 효과적인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이의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이성질체, 다형체, 대사물질, 함수화합물, 용매화물 또는 에스테르 등을 일정한 양으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과다-증식성 장애에는 예로써, 건선, 켈로이드 및 피부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과형성증, 양성 전립선 비대증(BPH), 고형 종양, 예를 들면, 유방, 호흡기, 뇌, 생식기, 소화관, 요로, 눈, 간, 피부, 두경부, 갑상선, 부갑상선 및 이들의 원위 전이가 포함되지만 이들에 국한되지 않는다. 이들 장애에는 또한 림프종, 육종 및 백혈병이 포함된다.
유방암의 실례에는 침윤성 유관암(invasive ductal carcinoma), 침윤성 소엽암(invasive lobular carcinoma), 유관 상피내암(ductal carcinoma in situ) 및 소엽상피내암(lobular carcinoma in situ)이 포함되지만 이들에 국한되지 않는다.
호흡기 암의 실례에는, 소세포 폐암 및 비-소세포 폐암, 그리고 기관지 선종 및 흉막폐 아세포종이 포함되지만 이들에 국한되지 않는다.
뇌암의 실례에는 뇌간 및 시상하부 신경교종, 소뇌 및 대뇌의 성세포종, 수모세포종, 상의세포종, 그리고 외배엽성 및 송과체성 종양이 포함되지만 이들에 국한되지 않는다.
남성 생식기의 종양에는 전립선암 및 고환암이 포함되지만 이들에 국한되지 않는다. 여성 생식기관의 종양은 자궁내막암, 자궁경부암, 난소암, 질암, 외음부암 및 자궁육종이 포함되지만 이들에 국한되지 않는다.
소화관의 종양에는 항문암, 결장암, 결장직장암, 식도암, 담낭암, 위암, 위장암, 췌장암, 직장암, 소장암 및 침샘암이 포함되지만 이들에 국한되지 않는다.
요로관의 종양에는 방광암, 음경암, 신장암, 신우암, 요관암, 요도암 및 인간 유두상 신암이 포함되지만 이들에 국한되지 않는다.
안암에는 안구내 흑색종 및 망막모세포종이 포함되지만 이들에 국한되지 않는다.
간암의 실례에는 간세포암종(섬유층판 변이를 동반하거나 동반하지 않는 간세포 암종), 담관상피암종(간내 담도암종) 및 혼합 간세포 담관상피암종이 포함되지만 이들에 국한되지 않는다.
피부암에는 편평세포암, 카포시 육종, 악성 흑색종, 메르켈(Merkel) 세포 피부암 및 비-흑색종 피부암이 포함되지만 이들에 국한되지 않는다.
두경부암에는 후두암, 하인두암, 비인후암, 구인두암, 입술암, 구강암 및 편평세포암이 포함되지만 이들에 국한되지 않는다. 림프종에는 AIDS-관련 림프종, 비-호지킨 림프종, 피부 T-세포 림프종, 버킷 림프종, 호지킨 질환 및 중추신경계의 림프종이 포함되지만 이들에 국한되지 않는다.
육종에는 연성 조직 육종, 골육종, 악성 섬유성 조직구종, 림프육종 및 횡문근육종이 포함되지만 이들에 국한되지 않는다.
백혈병에는 급성 골수성 백혈병, 급성 림프성 백혈병,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만성 골수성 백혈병 및 모발상세포 백혈병이 포함되지만 이들에 국한되지 않는다.
이들 장애는 인간에서 잘 특성화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포유동물에서도 비슷한 병인으로 존재하고, 본 발명의 제약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치료될 수 있다.
본 명세서 전반에서 언급되는 용어 "치료하는" 또는 "치료"는 예로써, 질환 또는 장애, 예를 들면, 암종을 억제하고, 완화하고, 축소하고, 경감시키고, 이의 증상을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체를 관리 또는 간호하는 의미로 통상적으로 이용된다.
화학요법내성(chemoresistance)의 치료에서 오로라 키나아제의 추가적인 용도
오로라 키나아제가 세포 주기 조절(cell cycle regulation)에서 수행하는 근본적인 역할 이외에, 화학요법내성에서 이들의 용도를 시험하는데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가령, 난소암에서, 화학요법내성 재발은 임상적으로 중요한 문제점이고, 차세대 치료제의 효능을 제한한다; 이런 이유로, 약물 내성(drug resistance)을 반전시키는데 있어서 오로라 키나아제 조작에 대한 잠재적인 임상적 역할이 임상적으로 유용할 수 있다.
일련의 증거는 오로라 키나아제 발현/활성 및 화학요법에 대한 내성 간에 상관관계를 증명한다. 가령, Aurora-A 키나아제를 안정적으로 과다-발현하는 세포계(cell line)는 탁산-유도된 아폽토시스(taxane-induced apoptosis)에 더욱 강하게 저항하는 것으로 밝혀졌다(Anand S, et al. Cancer Cell 2003; 3:51-62). 높은 Aurora-A mRNA 수준을 갖는 유방 종양을 앓는 환자는 낮은 Aurora-A mRNA 유방 종양을 앓는 환자보다 도세탁셀(Docetaxel) 치료에 더욱 낮은 반응률(response rate)을 보였다 - 41% vs. 71%(Noguchi S. et al. Cancer Sci 2006; 97:813-20). 그리고 작은 간섭 RNA-기초된 표적화(small interfering RNA-based targeting)를 이용한, 췌장암 세포주에서 Aurora-A 키나아제의 하향-조절(down-regulation)은 파클리탁셀(paclitaxel)에 대한 증가된 감수성(sensitivity)을 결과하였다(Hata T. et al. Cancer Res 2005; 65:2899-905).
앞서 언급된 이유로 인하여, 표준 화학치료제(standard chemotherapeutic agent), 예를 들면, 탁산(파클리탁셀, 도세탁셀)과 함께 투여되는 오로라 키나아제 저해물질의 치료적 조합(therapeutic combination)은 이들 화학치료제(chemotherapeutic agent)에 대한 약물 내성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일 것이다.
용량 및 투여
과다-증식성 장애 및 맥관형성 장애의 치료에 유용한 화합물을 평가하기 위한 공지된 표준 실험 기술에 기초하여, 포유동물에서 상기에서 확인된 장애의 치료를 판단하기 위한 표준 독성 시험 및 표준 약리학 검정에 의해, 그리고 이들 결과와 이들 장애의 치료에 이용된 공지된 약물의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각각의 원하는 징후를 치료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화합물의 효과량을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이들 장애 중에서 하나를 치료하기 위하여 투여되는 활성 성분의 양은 이용된 특정 화합물 및 투약 단위, 투여 방식, 치료 기간, 치료되는 환자의 연령 및 성별, 그리고 치료되는 장애의 속성 및 정도와 같은 고려 사항에 따라 폭넓게 변할 수 있다.
투여되는 활성 성분의 총량은 일반적으로, 일일 체중 ㎏당 약 0.001 ㎎ 내지 약 200 ㎎, 바람직하게는, 일일 체중 ㎏당 약 0.01 ㎎ 내지 약 20 ㎎의 범위일 것이다. 임상적으로 유용한 투약 일정(dosing schedule)은 일일 1회 내지 3회 투약 내지 4주 1회 투약 범위일 것이다. 또한, 환자에게 일정 기간 동안 약물을 투여하지 않는 "약물 중단기(drug holiday)"는 약리 효과와 내성 간의 전체적인 균형에 유익할 수 있다. 단위 용량(unit dosage)은 약 0.5 ㎎ 내지 약 1500 ㎎의 활성 성분을 포함할 수 있고, 일일 1회 이상, 또는 일일 1회 미만으로 투여될 수 있다. 정맥내, 근육내, 피하 및 비경구 주사를 비롯한 주사 투여 및 주입 기법의 이용에 의한 투여를 위한 평균 일일 용량(average daily dosage)은 총 체중 ㎏당 0.01 내지 200 ㎎이 바람직할 것이다. 평균 일일 직장 투약 섭생은 총 체중 ㎏당 0.01 내지 200 ㎎이 바람직할 것이다. 평균 일일 질내 투약 섭생은 총 체중 ㎏당 0.01 내지 200 ㎎이 바람직할 것이다. 평균 일일 국소 투약 섭생은 일일 1회 내지 4회로 0.1 내지 200 ㎎을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경피 농도는 0.01 내지 200 ㎎/㎏의 일일 용량을 유지하는데 요구되는 농도가 바람직할 것이다. 평균 일일 흡입 투약 섭생은 총 체중 ㎏당 0.01 내지 100 ㎎이 바람직할 것이다.
물론 각 환자에 대한 특이적인 시작과 연속 투약 섭생은 담당 진단의에 의해 판단되는 장애의 속성 및 중증도, 이용된 특정 화합물의 활성, 환자의 연령 및 전반적인 상태, 투여 시간, 투여 경로, 약물 배출 속도, 약물 조합에 따라 변할 것이다. 원하는 치료 방식 및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이의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에스테르 또는 조성물의 투약 횟수는 통상의 치료 검사를 이용하여 당업자에 의해 확정될 수 있다.
복합 요법
본 발명의 화합물과 조성물은 단독 약제(pharmaceutical agent)로서,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활성 약제와의 조합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여기서 이러한 조합은 허용되지 않은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는다. 가령, 본 발명의 화합물과 조성물은 공지된 항-과다증식제(anti-hyperproliferative agent) 또는 다른 처방제(indication agent), 그리고 이들의 혼합물(admixture) 및 화합물(combination)과 조합될 수 있다.
추가 활성제는 알데스류킨(aldesleukin), 알렌드론산(alendronic acid), 알파페론(alfaferone), 알리트레티노인(alitretinoin), 알로푸리놀(allopurinol), 알로프림(aloprim), 알록시(aloxi), 알트레타민(altretamine), 아미노글루테티미드(aminoglutethimide), 아미포스틴(amifostine), 암루비신(amrubicin), 암사크린(amsacrine), 아나스트로졸(anastrozole), 안즈멧(anzmet), 아라네습(aranesp), 아르글라빈(arglabin), 삼산화 비소(arsenic trioxide), 아로마신(aromasin), 5-아자시티딘(azacytidine), 아자티오프린(azathioprine), BCG 또는 타이스(tice) BCG, 베스타틴(bestatin), 베타메타손 아세트산염(betamethasone acetate), 베타메타손 인산나트륨(betamethasone sodium phosphate), 벡사로텐(bexarotene), 블레오마이신 황산염(bleomycin sulfate), 브록수리딘(broxuridine), 보르테조밉(bortezomib), 부설판(busulfan), 칼시토닌(calcitonin), 캄패스(campath), 카페시타빈(capecitabine), 카보플라틴(carboplatin), 카소덱스(casodex), 세페손(cefesone), 셀모류킨(celmoleukin), 세루비딘(cerubidine), 클로람부실(chlorambucil), 시스플라틴(cisplatin), 클라드리빈(cladribine), 클라드리빈(cladribine), 클로드론산(clodronic acid), 시클로포스파미드(cyclophosphamide), 시타라빈(cytarabine), 다카르바진(dacarbazine), 닥티노마이신(dactinomycin), 다우노좀(DaunoXome), 데카드론(decadron), 데카드론 인산염(decadron phosphate), 델레스트로겐(delestrogen), 데닐류킨 디프티톡스(denileukin diftitox), 데포메드롤(depomedrol), 데스로렐린(deslorelin), 덱스라족산(dexrazoxane), 디에틸스틸베스트롤(diethylstilbestrol), 디플루칸(diflucan), 도세탁셀(docetaxel), 독시플루리딘(doxifluridine), 독소루비신(doxorubicin), 드로나비놀(dronabinol), DW-166HC, 엘리가드(eligard), 엘리텍(elitek), 엘렌스(ellence), 에멘드(emend), 에피루비신(epirubicin), 에포에틴 알파(epoetin alfa), 에포겐(epogen), 엡타플라틴(eptaplatin), 에르가미솔(ergamisol), 에스트레이스(estrace), 에스트라디올(estradiol), 에스트라무스틴 인산염 나트륨(estramustine phosphate sodium), 에티닐 에스트라디올(ethinyl estradiol), 에티올(ethyol), 에티드론산(etidronic acid), 에토포포스(etopophos), 에토포시드(etoposide), 파드로졸(fadrozole), 파르스톤(farston), 필그라스팀(filgrastim), 피나스테리드(finasteride), 필그라스팀(filgrastim), 플록수리딘(floxuridine), 플루코나졸(fluconazole), 플루다라빈(fludarabine), 5-플루오르데옥수우리딘 모노인산염(fluorodeoxyuridine monophosphate), 5-플루오르우라실(fluorouracil)(5-FU), 플루옥시메스테론(fluoxymesterone), 플루타미드(flutamide), 포르메스탄(formestane), 포스티아빈(fosteabine), 포테무스틴(fotemustine), 풀베스트란트(fulvestrant), 감마가드(gammagard), 젬시타빈(gemcitabine), 젬투주맙(gemtuzumab), 글리벡(gleevec), 글리아델(gliadel), 고세렐린(goserelin), 그라니세트론(granisetron) HCl, 히스트렐린(histrelin), 하이캄틴(hycamtin), 히드로코르톤(hydrocortone), 에리스로-히드록시노닐아데닌(erythro-hydroxynonyladenine), 히드록시요소(hydroxyurea), 이브리투모맙 티우제탄(ibritumomab tiuxetan), 이다루비신(idarubicin), 이포스파미드(ifosfamide), 인터페론 알파(interferon alpha), 인터페론-알파 2, 인터페론 알파-2α, 인터페론 알파-2B, 인터페론 알파-n1, 인터페론 알파-n3, 인터페론 베타, 인터페론 감마-1α, 인터류킨(interleukin)-2, 인트론(intron) A, 이레싸(iressa), 이리노테칸(irinotecan), 키트릴(kytril), 렌티난 술페이트(lentinan sulphate), 레트로졸(letrozole), 레우코보린(leucovorin), 레우프롤리드(leuprolide), 레우프롤리드 아세트산염(leuprolide acetate), 레바미솔(levamisole), 레보폴린산 칼슘염(levofolinic acid calcium salt), 레보쓰로이드(levothroid), 레복실(levoxyl), 로무스틴(lomustine), 로니다민(lonidamine), 마리놀(marinol), 메클로레타민(mechlorethamine), 메코발라민(mecobalamin), 메드록시프로게스테론 아세트산염(medroxyprogesterone acetate), 메게스트롤 아세트산염(megestrol acetate), 멜팔란(melphalan), 메네스트(menest), 6-메르캅토퓨린(mercaptopurine), 메스나(Mesna), 메토트렉세이트(methotrexate), 메트빅스(metvix), 밀테포신(miltefosine), 미노시클린(minocycline), 미토마이신(mitomycin) C, 미토탄(mitotane), 미톡산트론(mitoxantrone), 모드레날(Modrenal), 미오세트(Myocet), 네다플라틴(nedaplatin), 뉴라스타(neulasta), 뉴메가(neumega), 뉴포겐(neupogen), 닐루타미드(nilutamide), 놀바덱스(nolvadex), NSC-631570, OCT-43, 옥트레오티드(octreotide), 온단세트론(ondansetron) HCl, 오라프레드(orapred), 옥살리플라틴(oxaliplatin), 파클리탁셀(paclitaxel), 페디아프레드(pediapred), 페가스파르가제(pegaspargase), 페가시스(Pegasys), 펜토스타틴(pentostatin), 피시바닐(picibanil), 필로카르핀(pilocarpine) HCl, 피라루비신(pirarubicin), 플리카마이신(plicamycin), 포르피머 나트륨(porfimer sodium), 프레드니무스틴(prednimustine), 프레드니솔론(prednisolone), 프레드니손(prednisone), 프레마린(premarin), 프로카르바진(procarbazine), 프로크릿(procrit), 랄티트렉세드(raltitrexed), 레비프(rebif), 레늄(rhenium)-186 에티드로네이트(etidronate), 리툭시맙(rituximab), 로페론(roferon)-A, 로무르티드(romurtide), 살라젠(salagen), 산도스타틴(sandostatin), 사그라모스팀(sargramostim), 세무스틴(semustine), 시조피란(sizofiran), 소부족산(sobuzoxane), 솔루메드롤(solumedrol), 스파르포스산(sparfosic acid), 줄기-세포 요법(stem-cell therapy), 스트렙토조신(streptozocin), 스트론튬(strontium)-89 염화물, 신트로이드(synthroid), 타목시펜(tamoxifen), 탐술로신(tamsulosin), 타소네르민(tasonermin), 타스톨락톤(tastolactone), 탁소트리(taxotere), 테셀류킨(teceleukin), 테모졸로미드(temozolomide), 테니포시드(teniposide), 테스토스테론 프로피온산염(testosterone propionate), 테스트레드(testred), 티오구아닌(thioguanine), 티오테파(thiotepa), 티로트로핀(thyrotropin), 틸루드론산(tiludronic acid), 토포테칸(topotecan), 토레미펜(toremifene), 토시투모맙(tositumomab), 트라스투주맙(trastuzumab), 트레오술판(treosulfan), 트레티노인(tretinoin), 트렉살(trexall), 트리메틸멜라민(trimethylmelamine), 트리메트렉세이트(trimetrexate), 트립토렐린 아세트산염(triptorelin acetate), 트립토렐린 파모에이트(triptorelin pamoate), UFT, 우리딘(uridine), 발루비신(valrubicin), 베스나리논(vesnarinone), 빈블라스틴(vinblastine), 빈크리스틴(vincristine), 빈데신(vindesine), 비노렐빈(vinorelbine), 비룰리진(virulizin), 진카드(zinecard), 지노스타틴 슬리말라머(zinostatin slimalamer), 조프란(zofran), ABI-007, 아콜비펜(acolbifene), 악티뮨(actimmune), 아피니타크(affinitak), 아미노프테린(aminopterin), 알족시펜(arzoxifene), 아소프리스닐(asoprisnil), 아타메스탄(atamestane), 아트라센탄(atrasentan), BAY 43-9006(소라페닙(sorafenib)), 아바스틴(avastin), CCI-779, CDC-501 , 셀레브렉스(Celebrex), 세툭시맙(cetuximab), 크리스나톨(crisnatol), 시프로테론 아세트산염(cyproterone acetate), 데시타빈(decitabine), DN-101, 독소루비신(doxorubicin)-MTC, dSLIM, 두타스테리드(dutasteride), 에도테카린(edotecarin), 에플로미틴(eflomithine), 엑사테칸(exatecan), 펜레티니드(fenretinide), 히스타민 디히드로클로라이드(histamine dihydrochloride), 히스트렐린 하이드로겔 이식물(histrelin hydrogel implant), 홀뮴(holmium)-166 DOTMP, 이반드론산(ibandronic acid), 인터페론 감마, 인트론-PEG, 익사베필론(ixabepilone), 키홀 림펫 헤모시아닌(keyhole limpet hemocyanin), L-651582, 란레오티드(lanreotide), 타소폭시펜(tasofoxifene), 리브라(libra), 로나파밉(lonafamib), 미프록시펜(miproxifene), 미노드로네이트(minodronate), MS-209, 리포좀(liposomal) MTP-PE, MX-6, 나파렐린(nafarelin), 네모루비신(nemorubicin), 네오바스타트(neovastat), 놀라트렉세드(nolatrexed), 오블리머센(oblimersen), 온코(onco)-TCS, 오시뎀(osidem), 파클리탁셀 폴리글루타민산염(paclitaxel polyglutamate), 파미드로네이트 이나트륨(pamidronate disodium), PN-401, QS-21, 쿠아제팜(quazepam), R-1549, 랄록시펜(raloxifene), 란피르나제(ranpirnase), 13-cis-레티노익산(retinoic acid), 사트라플라틴(satraplatin), 세오칼시톨(seocalcitol), T-138067, 타르세바(tarceva), 탁소프렉신(taxoprexin), 티모신 알파(thymosin alpha) 1, 티아조푸린(tiazofurine), 티피파르닙(tipifarnib), 티라파자민(tirapazamine), TLK-286, 토레미펜(toremifene), TransMID-107R, 발스포다르(valspodar), 바프레오티드(vapreotide), 바탈라닙(vatalanib), 베르테포르핀(verteporfin), 빈플루닌(vinflunine), Z-100, 졸레드론산(zoledronic acid)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추가 활성제로서 이용될 수 있는 선택적 항-과다증식제에는 본 발명에서 참조로서 편입되는 11th Edition of the Merck Index, (1996)에서 암 화학요법 약물 섭생에 열거된 화합물, 예를 들면, 아스파라기나아제(asparaginase), 블레오마이신(bleomycin), 카보플라틴(carboplatin), 카르무스틴(carmustine), 클로람부실(chlorambucil), 시스플라틴(cisplatin), 콜라스파제(colaspase), 시클로포스파미드(cyclophosphamide), 시타라빈(cytarabine), 다카르바진(dacarbazine), 닥티노마이신(dactinomycin), 다우노루비신(daunorubicin), 독소루비신(doxorubicin)(아드리아마이신(adriamycine)), 에피루비신(epirubicin), 에토포시드(etoposide), 5-플루오르우라실(fluorouracil), 헥사메틸멜라민(hexamethylmelamine), 히드록시요소(hydroxyurea), 이포스파미드(ifosfamide), 이리노테칸(irinotecan), 레우코보린(leucovorin), 로무스틴(lomustine), 메클로레타민(mechlorethamine), 6-메르캅토퓨린(mercaptopurine), 메스나(mesna), 메토트렉세이트(methotrexate), 미토마이신(mitomycin) C, 미톡산트론(mitoxantrone), 프레드니솔론(prednisolone), 프레드니손(prednisone), 프로카르바진(procarbazine), 랄록시펜(raloxifen), 스트렙토조신(streptozocin), 타목시펜(tamoxifen), 티오구아닌(thioguanine), 토포테칸(topotecan), 빈블라스틴(vinblastine), 빈크리스틴(vincristine) 및 빈데신(vindesine)이 포함되지만 이들에 국한되지 않는다.
추가 활성제로서 이용하기 적합한 다른 항-과다증식제에는 본 발명에서 참조로서 편입되는 Goodman and Gilman's The Pharmacological Basis of Therapeutics (Ninth Edition), editor Molinoff et al., publ., by McGraw-Hill, pages 1225-1287, (1996)에서 신생물 질환(neoplastic disease)의 치료에 유용한 것으로 인정된 화합물, 예를 들면, 아미노글루테티미드(aminoglutethimide), L-아스파라기나아제(asparaginase), 아자티오프린(azathioprine), 5-아자시티딘 클라드리빈(azacytidine cladribine), 부설판(busulfan), 디에틸스틸베스트롤(diethylstilbestrol), 2',2'-디플루오르데옥시시티딘(difluorodeoxycytidine), 도세탁셀(docetaxel), 에리스로히드록시노닐 아데닌(erythrohydroxynonyl adenine), 에티닐 에스트라디올(ethinyl estradiol), 5-플루오르데옥시우리딘(flourodeoxyuridine), 5-플루오르데옥시우리딘 모노인산염(flourodeoxyuridine monophosphate), 플루다라빈 인산염(fludarabine phosphate), 플루옥시메스테론(fluoxymesterone), 플루타미드(flutamide), 히드록시프로게스테론 카프로에이트(hydroxyprogesterone caproate), 이다루비신(idarubicin), 인터페론(interferon), 메드록시프로게스테론 아세트산염(medroxyprogesterone acetate), 메게스트롤 아세트산염(megestrol acetate), 멜팔란(melphalan), 미토탄(mitotane), 파클리탁셀(paclitaxel), 펜토스타틴(pentostatin), N-포스포노아세틸(phosphonoacetyl)-L-아스파르트산염(PALA), 플리카마이신(plicamycin), 세무스틴(semustine), 테니포시드(teniposide), 테스토스테론 프로피온산염(testosterone propionate), 티오테파(thiotepa), 트리메틸멜라민(trimethylmelamine), 우리딘(uridine) 및 비노렐빈(vinorelbine)이 포함되지만 이들에 국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조성물과 함께 추가 활성제로서 이용하기 적합한 다른 항-과다증식제에는 다른 항암제, 예를 들면, 에포틸론(epothilone)과 이의 유도체, 이리노테칸(irinotecan), 랄록시펜(raloxifen) 및 토포테칸(topotecan)이 포함되지만 이들에 국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피롤로트리아진 유도체는 오로라 키나아제의 저해를 통하여 암을 치료하는데 유용하다.
실시예
약어 및 두문자어
당분야에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유기 화학자에 의해 이용되는 약어의 포괄적인 목록은 The ACS Style Guide (third edition) 또는 the Guidelines for Authors for the Journal of Organic Chemistry에 나타나 있다. 상기 목록에 포함되는 약어, 그리고 당분야에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유기 화학자에 의해 이용되는 모든 약어는 본 발명에 참조로서 편입된다. 본 발명에서, 화학 원소는 Periodic Table of the Elements, CAS version, Handbook of Chemistry and Physics, 67th Ed., 1986-87에 따라서 확인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하기 약어가 본 명세서 전반에서 이용될 때, 이들은 아래와 같은 의미를 갖는다:
atm 대기압
br s 넓은 단일항
C 섭씨온도
Celite 규조토 필터 제제®Celite Corp.
d 2중항
dd 2중항의 2중항
DMF N,N-디메틸포름아미드
DMF-DMA N,N-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 아세탈
DMSO 디메틸술폭시드
ES-MS 전자분무 질량 분광법
g 그램
h 시간
1H NMR 양성자 핵 자기 공명 분광법
HPLC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J 커플링 상수(NMR 분광법)
ℓ 리터
M mol/ℓ(몰 농도)
m 다중항
MHz 메가헤르쯔
min 분
㎖ 밀리리터
μM 마이크로몰
mol 몰
MS 질량 스펙트럼, 질량 분광법
m/z 질량-대-전하 비
N 당량/ℓ(노르말 농도)
NMR 핵 자기 공명 분광법
pH 수소 이온 농도의 네거티브 로그(negative log)
q 4중항
RT 체류 시간(HPLC)
rt 실온
s 단일항
t 3중항
THF 테트라히드로푸란
하기의 실시예에 보고된 백분율은 최저 몰량으로 이용된 출발 성분을 기준으로 한다. 공기 및 습도 민감성 액체 및 용액은 시린지 또는 캐뉼러를 통해 전달하고, 고무 중격을 통하여 반응 용기 내로 도입하였다. 상업적 등급 시약 및 용매는 추가 정제 없이 이용하였다. 용어 "감압하에 농축된"은 대략 15 mmHg에서 Buchi 회전 증발기의 이용을 지칭한다. 모든 온도는 섭씨(℃)로 비-교정된 수치로 보고된다.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LC)는 전-코팅된 유리-지지된 실리카 겔 60 A F-254 250 ㎛ 플레이트 상에서 수행하였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구조는 하기 절차 중에서 한 가지 이상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NMR
NMR 스펙트럼은 각 화합물에 대하여 획득하고, 나타낸 구조와 일치하였다.
통상적인 1차원 NMR 분광법을 300 MHz 또는 400 MHz Varian® Mercury-plus 분광계 상에서 수행하였다. 샘플을 중수소화 용매에 용해시켰다. 화학적 이동(chemical shift)을 ppm 스케일로 기록하고, 1H 스펙트럼에 대한 적절한 용매 신호, 예를 들면, DMSO-d6의 경우에 2.49 ppm, CD3CN의 경우에 1.93 ppm, CD3OD의 경우에 3.30 ppm, CD2Cl2의 경우에 5.32 ppm, 그리고 CDCl3의 경우에 7.26 ppm을 기준으로 하였다.
GC/MS
전자 충돌 질량 스펙트럼(EI-MS)은 J & W HP-5 칼럼(0.25 μM 코팅; 30 m ㅧ 0.32 mm)을 갖는 휴렛 팩커드(Hewlett Packard) 6890 기체 크로마토그래프가 장착된 휴렛 팩커드 5973 질량 분광계로 수득하였다. 이온 공급원은 250℃에 유지시켰고, 스펙트럼은 0.34초/스캔(scan)에서 50 내지 550 amu로 스캐닝(scanning)하였다.
LC/MS
달리 명시되지 않으면, 모든 체류 시간은 LC/MS로부터 수득하고, 분자 이온에 상응한다. 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전자분무 질량 스펙트럼(LC/MS)은 아래 중에서 하나를 이용하여 수득하였다:
방법 A(LCQ)
4요소 펌프(quaternary pump), 254 nm에 설정된 가변 파장 검출기, Waters Sunfire C18 칼럼(2.1 ㅧ 30 ㎜, 3.5 ㎛), Gilson 오토샘플러 및 전자분무 이온화를 이용하는 Finnigan LCQ 이온 트랩 질량 분광계가 장착된 Hewlett-Packard 1100 HPLC. 공급원 내에서 이온 수에 따른 가변적 이온 시간(ion time)을 이용하여 스펙트럼을 120 내지 1200 amu로 스캐닝하였다. 용리액은 A: 0.02% TFA를 포함하는 물에서 2% 아세토니트릴, 그리고 B: 0.018% TFA를 포함하는 아세토니트릴에서 2% 물이었다. 3.5분 동안 1.0 ㎖/분의 유속(flow rate)에서 10% B에서 95% B로의 구배 용리(gradient elution)를 0.5분의 초기 유지(initial hold) 및 0.5분의 95% B에서의 최종 유지(final hold)로 수행하였다. 총 작업 시간은 6.5분이었다.
방법 B(LCQ5)
Agilent 1100 HPLC 시스템. 상기 Agilent 1100 HPLC 시스템은 Agilent 1100 오토샘플러, 4요소 펌프 및 254 nm에 설정된 가변 파장 검출기가 장착되었다. 이용된 HPLC 칼럼은 Waters Sunfire C-18 칼럼(2.1 ㅧ 30 ㎜, 3.5 ㎛)이었다. HPLC 용리액은 전자분무 이온화를 이용하는 Finnigan LCQ DECA 이온 트랩 질량 분광계에, 스플리팅(splitting) 없이 직접적으로 커플링시켰다. 양성 이온 모드(positive ion mode)를 이용하여 공급원 내에서 이온 수에 따른 가변적 이온 시간을 이용하여 스펙트럼을 140 내지 1200 amu로 스캐닝하였다. 용리액은 A: 0.02% TFA를 포함하는 물에서 2% 아세토니트릴, 그리고 B: 0.02% TFA를 포함하는 아세토니트릴에서 2% 물이었다. 3.0분 동안 1.0 ㎖/분의 유속(flow rate)에서 10% B에서 90% B로의 구배 용리(gradient elution)를 1.0분의 초기 유지(initial hold) 및 1.0분의 95% B에서의 최종 유지(final hold)로 수행하였다. 총 작업 시간은 7.0분이었다.
방법 C(LTQ)
Agilent 1100 HPLC 시스템. Agilent 1100 HPLC 시스템은 Agilent 1100 오토샘플러, 4요소 펌프 및 다이오드 어레이가 장착되었다. 이용된 HPLC 칼럼은 Waters Sunfire C18 칼럼(2.1 ㅧ 30 ㎜, 3.5 ㎛)이었다. HPLC 용리액은 전자분무 이온화를 이용하는 Finnigan LTQ 이온 트랩 질량 분광계에, 1:4 스플릿(split)으로 직접적으로 커플링시켰다. 양성 또는 음성 이온 모드를 이용하여 공급원 내에서 이온 수에 따른 가변적 이온 시간을 이용하여 스펙트럼을 50 내지 800 amu로 스캐닝하였다. 용리액은 A: 0.1% 포름산을 포함하는 물, 그리고 B: 0.1% 포름산을 포함하는 아세토니트릴이었다. 3.0분 동안 1.0 ㎖/분의 유속(flow rate)에서 10% B에서 90% B로의 구배 용리(gradient elution)를 2.0분의 초기 유지(initial hold) 및 1.0분의 95% B에서의 최종 유지(final hold)로 수행하였다. 총 작업 시간은 8.0분이었다.
예비 HPLC:
예비 HPLC는 전형적으로 2개의 Gilson 322 펌프, Gilson 215 오토샘플러, Gilson 다이오드 어레이 검출기 및 C-18 칼럼(가령, YMC Pro 2O ㅧ 150 ㎜, 120 A)이 장착된 Gilson HPLC 시스템을 이용하여 역상 모드(reversed phase mode)로 수행하였다. 구배 용리는 용매 A로서 0.1% TFA를 포함하는 물, 그리고 용매 B로서 0.1% TFA를 포함하는 아세토니트릴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화합물은 칼럼 상에 용액으로서 주입한 이후에, 전형적으로 혼합 용매 구배, 예를 들면, 15분 동안 25 ㎖/분의 유속으로 용매 A에서 10-90% 용매 B로 용리하였다. 원하는 생성물을 포함하는 분획물을 254 또는 220 nm에서 UV 모니터링함으로써 수집하였다.
예비 MPLC:
예비 중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medium 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 MPLC)는 표준 실리카겔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flash chromatography)" 기술(예로써, Still, W. C. et al. J. Org. Chem. 1978, 43, 2923-5 참조)에 의해, 또는 실리카겔 카트리지 및 Biotage Flash 시스템과 같은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수행하였다. 실험 프로토콜에 기술된 바와 같이, 다양한 용출 용매를 이용하였다.
본 발명을 더욱 충실하게 이해하기 위하여, 아래의 실시예가 열거된다. 이들 실시예는 예시를 목적으로 하며, 본 발명의 범위를 결코 한정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언급된 모든 간행물은 순전히 참조로서 편입된다.
중간물질
중간물질 A
에틸 3-(3-플루오르-4-니트로페닐)-3-옥소프로파노에이트의 제조
Figure pct00007
1,2-디클로로에탄(500 ㎖)과 DMF(1 ㎖)에 녹인 3-플루오르-4-니트로벤조산(100 g, 540 mmol) 용액에 티오닐 염화물(96.4 g, 810 mmol)을 방울방울 첨가하였다(30분). 반응물은 4시간 동안 가온하고(70℃)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휘발성물질을 감압하에 증발시켜 중간물질 산 염화물을 얻었다. 상기 물질은 THF(500 ㎖)에 용해시키고, 이후 잔류 고체를 제거하기 위하여 여과하였다.
THF(1500 ㎖)에 녹인 에틸칼륨 말론산염(276 g, 1620 mmol)과 트리에틸아민(164 g, 1620 mmol)의 냉각된(10℃) 현탁액에 마그네슘 염화물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은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활발하게 교반하고(교반기(overhead stirrer)에서), 이후 냉각하였다(0℃). THF에 담긴 여과된 산 염화물 용액을 방울방울 첨가하였다(30분). 반응물은 실온으로 가온하고, 12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후 냉각하였다(10℃). 반응 온도를 20℃ 미만으로 유지시키면서 4 N 염화수소산(1 ℓ)을 조심스럽게 첨가하였다. 진정된 반응물은 물(1 ℓ)로 희석하고, 이후 에틸 아세트산염(3 X 1 ℓ)로 추출하였다. 모아진 유기 추출물은 포화된 수성 중탄산나트륨 용액(2 X 1 ℓ), 물(1 ℓ)과 염수(1 ℓ)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 증발시켜 원하는 산물(134 g, 97%)을 호변체의 혼합물로서 수득하였다. 1H-NMR(300 MHz, DMSO-d 6 ) 호변체 1: δ 12.24(s, 1 H), 7.85-8.32(m, 3 H), 6.22(s, 3 H), 4.25(q, J = 7.0 Hz, 2 H), 1.26(t, J = 7.0 Hz, 3 H); 호변체 2: δ 7.90-8.38(m, 3 H), 4.30(s, 2 H), 4.11(q, J = 7.1 Hz, 2 H), 1.17(t, J = 7.1 Hz, 3 H); ES-MS m/z 254.1(M-H)-; HPLC RT(방법 C) 3.14분.
중간물질 B
에틸 2-(3-플루오르-4-니트로벤조일)-3-(디메틸아미노)아크릴산염의 제조
Figure pct00008
톨루엔(540 ㎖)에 녹인 중간물질 A(138 g, 540 mmol)의 냉각된(0℃) 용액에 N,N-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 아세탈(100 g, 810 mmol)을 방울방울 첨가하였다(10분). 반응물은 2.5시간 동안 가온하고(50℃), 이후 휘발성물질을 감압하에 증발시켜 원하는 산물(167 g, 100%)을 수득하였는데, 이는 추가 정제 없이 진행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순수하였다(NMR에 의해 >95%). 1H NMR(300 MHz, DMSO-d 6 ) δ 8.24-8.29(m, 1 H), 7.92(s, 1 H), 7.60-7.74(m, 1 H), 7.58-7.62(m, 1 H), 3.97(q, J = 7.0 Hz, 2 H), 3.44(s, 3 H), 2.81(s, 3 H), 0.99(t, J = 7.0 Hz, 3 H); ES-MS m/z 310.9(MH)+; HPLC RT(방법 B) 2.87분.
중간물질 C
에틸 5-카바모일-4-(3-클로로-4-니트로페닐)-1H-피롤-3-카르복실산염의 제조
Figure pct00009
아세트산(300 ㎖)에 녹인 중간물질 B(74.4 g, 240 mmol)의 교반된 용액에 2-아미노말로나미드(36.5 g, 312 mmo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현탁액은 2시간 동안 가온하고(80℃), 이후 아세트산을 감압하에 증발시켰다. 잔류물은 트리플루오르아세트산(300 ㎖)에 용해시키고, 생성된 용액은 4시간 동안 가온하였다(60℃). 트리플루오르아세트산을 감압하에 증발시키고, 생성된 고체는 차가운 에탄올(2 X 50 ㎖)과 디에틸 에테르(3 X 50 ㎖)로 세척하여 원하는 산물(58.8 g, 76%)을 수득하였다. 1H NMR(300 MHz, DMSO-d 6 ) δ 12.35(s, 1 H), 8.12(dd, J = 8.3, 8.3 Hz, 1 H), 7.63(s, 1 H), 7.52(d, J = 12.3 Hz, 1 H), 7.25-7.50(m, 2 H), 6.74(s, 1 H), 4.06(q, J = 7.1 Hz, 2 H), 1.11(t, J = 7.1 Hz, 3 H); ES-MS m/z 322.0(MH)+; HPLC RT(방법 B) 2.79분.
중간물질 D
에틸 5-시아노-4-(3-플루오르-4-니트로페닐)-1H-피롤-3-카르복실산염의 제조
Figure pct00010
교반기(overhead stirrer)가 구비된 혼합 용기 내에서, 톨루엔(750 ㎖)에 녹인 중간물질 C(121 g, 377 mmol)의 현탁액에 인 옥시염화물(87.0 g, 565 mmol)을 첨가하였다. 현탁액은 가열하고(80℃), 플라스크의 측면으로부터 고체를 씻어내기 위하여 톨루엔(총 200 ㎖)을 주기적으로 첨가하면서 6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후 휘발성물질을 감압하에 증발시켰다. 잔류물은 톨루엔(500 ㎖)에 현탁시키고, 이후 남아있는 옥시염화인을 제거하기 위하여 증발시켰다(이러한 작업을 2회 수행하였다). 차가운 물(750 ㎖)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은 5 N 수성 수산화나트륨을 이용하여 pH 8로 조정하였다. 고체는 여과로 수집하고 건조시켜 원하는 산물(110 g, 96%)을 수득하였다; 1H NMR(300 MHz, DMSO-d 6 ) δ 12.90(s, 1 H), 7.75(s, 1 H), 7.07(dd, J = 8.2, 8.2 Hz, 1 H), 7.77(dd, J = 12.4, 1.8 Hz, 1 H), 7.51-7.62(m, 1 H), 4.16(q, J = 7.1 Hz, 2 H), 1.19(t, J = 7.1 Hz, 3 H); ES-MS m/z 304.1(MH)+; HPLC RT(방법 A) 3.19분.
중간물질 E:
에틸 4-(4-아미노-3-플루오르페닐)-5-시아노-1H-피롤-3-카르복실산염의 제조
Figure pct00011
교반기(overhead stirrer)가 구비된 혼합 용기 내에서, 에탄올(540 ㎖)과 물(180 ㎖)에 녹인 중간물질 D(45.0 g, 148 mmol)의 현탁액에 철(Alrich cat#20930-9, 24.9 g, 445 mmol)과 염화암모늄(4.80 g, 89.7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은 2시간 동안 가온하고(70℃), 이후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은 메탄올(500 ㎖)로 희석하고, 이후 Celite의 충밀 패드(well-packed pad)를 통하여 여과하였다. 필터 덩어리(filter cake)는 메탄올(1 ℓ)과 아세토니트릴(2 ℓ)로 충분히 씻어내고, 모아진 여과액은 증발시켰다. 잔류물은 에틸 아세트산염(1.5 ℓ)에 용해시키고, 이후 물(500 ㎖)과 염수(500 ㎖)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은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 증발시켜, 미량의 불순물(< 5%)을 포함하는 원하는 산물(38.0 g, 94%)을 수득하였다. 상기 물질은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 이용되었다. 1H NMR(300 MHz, DMSO-d 6 ) δ 13.36(s, 1 H), 8.25(dd, J = 12.8, 2.0 Hz, 1 H), 6.92-6.97(m, 1 H), 6.72-6.79(m, 1 H), 5.35(s, 2 H), 4.10(q, J = 7.0 Hz, 2 H), 1.16(t, J = 7.0 Hz, 3 H); ES-MS m/z 274.3(MH)+; HPLC RT(방법 A) 2.62분.
중간물질 F
에틸 1-아미노-4-(4-아미노-3-플루오르페닐)-5-시아노-1H-피롤-3-카르복실산염의 제조
Figure pct00012
DMF(290 ㎖)에 녹인 중간물질 E(9.0 g, 33 mmol) 용액에 수소화나트륨(오일에서 60% 분산, 1.7 g, 43 mmol)을 분할 첨가하였다. 현탁액은 30분 동안 교반하고, 이후 (아미노옥시)(디페닐)포스핀 산화물(9.9 g, 43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은 4시간 동안 가온하고(60℃), 이후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반응물은 물(10 ㎖)의 느린 첨가로 진정시키고, 이들 용매를 감압하에 증발시켰다. 잔류물은 에틸 아세트산염(500 ㎖)에 용해시키고, 생성된 용액은 포화된 수성 중탄산나트륨 용액(2 x 250 ㎖)과 염수(250 ㎖)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은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은 디에틸 에테르로 분쇄하여 원하는 산물(7.8 g, 82%)을 수득하였다; 1H NMR(300 MHz, DMSO-d 6 ) δ 7.57(s, 1 H), 7.05(dd, J = 12.7, 2.0 Hz, 1 H), 6.91-6.95(m, 1 H), 6.75(dd, J = 9.5, 8.4 Hz, 1 H), 6.57(s, 2 H), 5.36(s, 2 H), 4.09(q, J = 7.0 Hz, 2 H), 1.16(t, J = 7.0 Hz, 3 H); ES-MS m/z 289.0(MH)+; HPLC RT(방법 B) 2.61분.
중간물질 G
에틸 4-아미노-5-(4-아미노-3-플루오르페닐)피롤로[2,1-f][1,2,4]트리아진-6-카르복실산염의 제조
Figure pct00013
n-부탄올(100 ㎖)에 녹인 중간물질 F(6.2 g, 21.5 mmol)의 현탁액에 포름아미딘 아세트산염(22.4 g, 215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은 16시간 동안 가열하고(100℃), 이후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상기 용매를 감압하에 제거하고, 이후 에탄올(50 ㎖)과 물(200 ㎖)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은 30분 동안 교반하고, 생성된 침전물은 여과로 수집하였다. 생성된 고체는 물(2 x 50 ㎖)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원하는 산물(5.80 g, 85%)을 수득하였다; 1H NMR(300 MHz, DMSO-d 6 ) δ 8.08(s, 1 H), 8.00-8.10(br s, 1 H), 7.90(s, 1 H), 7.03(dd, J = 12.3, 1.9 Hz, 1 H), 6.77-6.88(m, 2 H), 5.36(s, 2 H), 5.21-5.31(br s, 1 H), 4.06(q, J = 7.1 Hz, 2 H), 1.11(t, J = 7.1 Hz, 3 H); ES-MS m/z 316.4(MH)+; HPLC RT(방법 B) 2.39분.
중간물질 H
에틸 4-아미노-5-(3-플루오르-4-{[(6-메틸피리딘-2-일)카바모일]아미노}페닐)피롤로[2,1-f][1,2,4]트리아진-6-카르복실산염의 제조
Figure pct00014
DMF(50 ㎖)에 녹인 페닐(6-메틸피리딘-2-일)카르밤산염(10.1 g, 44.4 mmol)과 트리에틸아민(9.3 ㎖, 66.6 mmol)의 용액에 중간물질 G(7.00 g, 22.2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은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후 물(300 ㎖)로 희석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은 에틸 아세트산염(3 x 100 ㎖)으로 추출하고, 모아진 유기 추출물은 물(2 x 200 ㎖)과 염수(200 ㎖)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은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증발시켰다. 생성된 고체는 디에틸 에테르로 분쇄하여 원하는 산물(8.8 g, 88%)을 수득하였다; 1H NMR(300 MHz, DMSO-d 6 ) δ 9.94(s, 1 H), 8.36(dd, J = 8.5, 8.5 Hz, 1 H), 8.14(s, 1 H), 7.95-8.09(br s, 1 H), 7.94(s, 1 H), 7.66(dd, J = 7.8, 7.8 Hz, 1 H), 7.35(dd, J = 11.9, 2.0 Hz, 1 H), 7.16(dd, J = 8.5, 1.8 Hz, 1 H), 6.95-7.03(m, 1 H), 6.90(dJ = 7.4 Hz, 1 H), 5.26-3.34(br s, 1 H), 4.08(q, J = 7.2 Hz, 2 H), 2.46(s, 3 H), 1.10(t, J = 7.2 Hz, 3 H); ES-MS m/z 450.2(MH)+; HPLC RT(방법 A) 2.86분.
중간물질 I
4-아미노-5-(3-플루오르-4-{[(6-메틸피리딘-2-일)카바모일]아미노}페닐)피롤로[2,1-f][1,2,4]트리아진-6-카르복실산의 제조
Figure pct00015
THF(35 ㎖)와 에탄올(35 ㎖)에 녹인 중간물질 H(4.50 g, 10.0 mmol)의 현탁액에 1 N 수성 수산화나트륨(20 ㎖, 20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은 16시간 동안 가열하고(65℃), 이후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수소 염화물(1,4-디옥산에서 4 N, 7.5 ㎖, 30 mmol)을 첨가하고, 휘발성물질을 감압하에 제거하였다. 잔류물은 물로 세척하고, 이후 아세톤과 디에틸 에테르로 분쇄하여 원하는 산물(3.0 g, 71%)을 수득하였다; 1H NMR(300 MHz, DMSO-d 6 ) δ 12.32-12.49(br s, 1 H), 9.93(s, 1 H), 8.34(dd, J = 8.5, 8.5 Hz, 1 H), 8.06(s, 1 H), 7.95-8.03(br s, 1 H), 7.91(s, 1 H), 7.66(dd, J = 7.8, 7.8 Hz, 1 H), 7.34(dd, J = 12.0, 1.9 Hz, 1 H), 7.15(dd, J = 8.5, 1.8 Hz, 1 H), 6.96-7.03(m, 1 H), 6.90(d J = 7.4 Hz, 1 H), 5.25-3.34(br s, 1 H), 2.46(s, 3 H); ES-MS m/z 422.3(MH)+; HPLC RT(방법 B) 2.13분.
중간물질 J
4-아미노-5-(4-아미노-3-플루오르페닐)피롤로[2,1-f][1,2,4]트리아진-6-카르복실산의 제조
Figure pct00016
중간물질 I의 제조에 이용된 절차를 이용하고, 중간물질 H를 중간물질 G로 대체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 NMR(300 MHz, DMSO-d 6 ) δ 12.20-12.30(br s, 1 H), 8.03(s, 1 H), 7.94-8.05(br s, 1 H), 7.89(s, 1 H), 7.02(dd, J = 12.4, 2.0 Hz, 1 H), 6.73-6.92(m, 2 H), 5.22-5.47(br s, 1 H), 5.12-5.25(br s, 1 H); ES-MS m/z 288.0(MH)+; HPLC RT(방법 A) 1.13분.
중간물질 K
4-아미노-5-(4-아미노-3-플루오르페닐)-N-(2,2,2-트리플루오르에틸) 피롤로[2,1-f][1,2,4]트리아진-6-카르복사미드의 제조
Figure pct00017
DMF(500 ㎖)에서 2,2,2-트리플루오르-1-아미노에탄(42.4 g, 428 mmol), 벤조트리아졸릴옥시트리스(디메틸아미노)포스포늄 PF6(56.8 g, 128 mmol)과 4-메틸모르폴린(43.3 g, 428 mmol)의 혼합물에 중간물질 J(24.6 g, 85.6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은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된 침전물은 여과로 분리하고, 이후 아세톤과 디에틸 에테르로 세척하여 원하는 산물(22 g, 70%)을 수득하였다; 1H NMR(300 MHz, DMSO-d 6 ) δ 8.37(dd, J = 8.5, 8.5 Hz, 1 H), 8.12(s, 1 H), 7.94(s, 1 H), 7.92-8.03(br s, 1 H), 7.89(s, 1 H), 6.99(dd, J = 12.2, 1.8 Hz, 1 H), 6.85(dd, J = 12.2, 1.8 Hz, 1 H), 6.74-6.82(m, 1 H), 5.35(s, 2 H), 5.13-3.22(br s, 1 H), 3.87-4.01(m, 2 H); ES-MS m/z 369.2(MH)+; HPLC RT(방법 B) 2.05분.
중간물질 L
4-아미노-5-(4-아미노-3-플루오르페닐)-N-tert-부틸피롤로[2,1-f][1,2,4]트리아진-6-카르복사미드의 제조
Figure pct00018
중간물질 K의 제조에 이용된 절차를 이용하고, 2,2,2-트리플루오르-1-아미노에탄을 t-부틸아민으로 대체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 NMR(300 MHz, DMSO-d 6 ) δ 7.96(s, 1 H), 7.87(s, 1 H), 7.07(dd, J = 12.3, 1.9 Hz, 1 H), 6.92(dd, J = 8.1, 1.9 Hz, 1 H), 6.81-6.89(m, 1 H), 5.44(s, 2 H), 1.16(s, 9 H); ES-MS m/z 343.1(MH)+; HPLC RT(방법 A) 2.11분.
중간물질 M
에틸 3-(3-클로로-4-니트로페닐)-3-옥소프로파노에이트의 제조
Figure pct00019
중간물질 A의 제조에 이용된 절차를 이용하고, 3-플루오르-4-니트로벤조산을 3-클로로-4-니트로벤조산으로 대체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NMR(300 MHz, DMSO-d 6 ) 호변체 1: δ 12.47(s, 1 H), 8.21(d, J = 1.8 Hz, 1 H), 8.16(d, J = 8.6 Hz, 1 H), 8.04(dd, J = 8.5, 1.9 Hz, 1 H), 6.24(s, 1 H), 4.25(q, J = 7.1 Hz, 2 H), 1.26(t, J = 7.1 Hz); 호변체 2: δ 8.27(d, J = 1.8 Hz, 1 H), 8.22(d, J = 6.6 Hz, 1 H), 8.09(dd, J = 8.4, 1.9 Hz, 1 H), 4.32(s, 2 H), 4.11(q, J = 7.1 Hz, 2 H), 1.17(t, J = 7.1 Hz, 3 H); ES-MS m/z 270.0(M-H)-; HPLC RT(방법 C) 4.80분.
중간물질 N
에틸 2-(3-클로로-4-니트로벤조일)-3-(디메틸아미노)아크릴산염의 제조
Figure pct00020
중간물질 B의 제조에 이용된 절차를 이용하고, 중간물질 A를 중간물질 M으로 대체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NMR(300 MHz, DMSO-d 6 ) δ 8.09(d, J = 8.5 Hz, 1 H), 7.83(s, 1 H), 7.77(s, 1 H), 7.65(dd, J = 8.2, 1.7 Hz, 1 H), 3.87(q, J = 7.1 Hz, 2 H), 3.32(s, 3 H), 2.71(s, 3 H), 0.89(t, J = 7.1 Hz, 3 H); ES-MS m/z 326.8(MH)+; HPLC RT(방법 A) 3.00분.
중간물질 O
에틸 5-카바모일-4-(3-클로로-4-니트로페닐)-1H-피롤-3-카르복실산염의 제조
Figure pct00021
중간물질 C의 제조에 이용된 절차를 이용하고, 중간물질 B를 중간물질 N으로 대체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NMR(300 MHz, DMSO-d 6 ) δ 12.25(s, 1 H), 8.00(d, J = 8.5 Hz, 1 H), 7.59-7.63(m, 2 H), 7.42(dd, J = 8.5, 1.8 Hz, 1 H), 7.25-7.38(br s, 1 H), 6.68-7.79(br s, 1 H), 4.02(q, J = 7.1 Hz, 2 H), 1.07(t, J = 7.1 Hz, 3 H); ES-MS m/z 337.9(MH)+; HPLC RT(방법 A) 2.89분.
중간물질 P
에틸 4-(3-클로로-4-니트로페닐)-5-시아노-1H-피롤-3-카르복실산염의 제조
Figure pct00022
중간물질 D의 제조에 이용된 절차를 이용하고, 중간물질 C를 중간물질 O로 대체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NMR(300 MHz, DMSO-d 6 ) δ 13.30(s, 1 H), 8.14(d, J = 8.4 Hz, 1 H), 7.91(s, 1 H), 7.87(d, J = 2.0 Hz, 1 H), 7.65(dd, J = 8.4, 1.8 Hz, 1 H), 4.12(q, J = 7.1 Hz, 2 H), 1.14(t, J = 7.1 Hz, 3 H); ES-MS m/z 318.1(M-H)-; HPLC RT(방법 A) 4.88분.
중간물질 Q
에틸 1-아미노-4-(3-클로로-4-니트로페닐)-5-시아노-1H-피롤-3-카르복실산염의 제조
Figure pct00023
DMF(230 ㎖)에 녹인 중간물질 P(8.34 g, 26.1 mmol)의 용액에 15분 동안, 수소화나트륨(광물성 오일에서 60% 분산, 1.36 g, 33.9 mmol)을 3회 분할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은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아미노옥시)(디페닐)포스핀 산화물(8.51 g, 37.3 mmol)을 1회 분할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은 하룻밤동안 가열하였다(60℃). 생성된 혼합물은 실온으로 냉각하고, 에틸 아세트산염(500 ㎖), 포화된 수성 중탄산나트륨 용액(250 ㎖)과 물(500 ㎖)로 희석하였다. 층은 분리하고, 수성 층은 에틸 아세트산염(2x 500 ㎖)으로 추출하였다. 모아진 유기 추출물은 물과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 농축하여 정제되지 않은 산물을 정량적인 수율(quantitative yield)로 수득하고, 이는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 이용되었다. 1H-NMR(300 MHz, DMSO-d 6 ) δ 8.14(d, J = 8.3 Hz, 1 H), 7.85(d, J = 1.7 Hz, 1 H), 7.72(s, 1 H), 7.62(dd, J = 8.5, 1.9 Hz, 1 H), 6.72(s, 2 H), 4.11(q, J = 7.1 Hz, 2 H), 1.14(t, J = 7.1 Hz, 3 H); ES-MS m/z 335.1(MH)+; HPLC RT(방법 A) 3.40분.
중간물질 R
에틸 4-아미노-5-(3-클로로-4-니트로페닐)피롤로[2,1-f][1,2,4]트리아진-6-카르복실산염의 제조
Figure pct00024
n-부탄올(120 ㎖)에 녹인 중간물질 Q(8.70 g, 26.0 mmol) 용액에 포름아미딘 아세트산염(27.1 g, 260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은 16시간 동안 가열하고(100℃), 이후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상기 용매를 감압하에 증발시켰다. 잔류물은 용리제(eluent)로서 헥산에서 에틸 아세트산염의 10-50% 구배(gradient)를 이용한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chromatography)로 정제하여 원하는 산물(4.10 g, 44%)을 수득하였다. 1H-NMR(300 MHz, DMSO-d 6 ) δ 8.20(s, 1 H), 8.08(d, J = 8.2 Hz, 1 H), 7.97(s, 1 H), 7.79(d, J = 1.8 Hz, 1 H), 7.54(dd, J = 1.7, 8.4 Hz, 1 H), 4.08(q, J = 7.1 Hz, 2 H), 1.09(t, J = 7.1 Hz, 3 H); ES-MS m/z 362.1(MH)+; HPLC RT(방법 A) 3.06분.
중간물질 S
에틸 4-아미노-5-(4-아미노-3-클로로페닐)피롤로[2,1-f][1,2,4]트리아진-6-카르복실산염의 제조
Figure pct00025
중간물질 R(0.74 g, 2.05 mmol), 레이니 니켈(약 300-500 ㎎)과 에탄올(20 ㎖)의 혼합물은 수소(1 atm) 하에 하룻밤동안 교반하였다. 현탁액은 에탄올(500 ㎖)로 희석하고 Celite 패드를 통하여 여과하고 에탄올을 이용하여 씻어냈다. 여과액은 감압하에 건조 농축시켰다. 잔류물은 물에서 아세토니트릴의 35 내지 60% 구배를 이용한 HPLC로 정제하여 원하는 산물(0.36 g, 53%)을 수득하였다. 1H-NMR(300 MHz, DMSO-d 6 ) δ 8.11(s, 1 H), 8.00-8.09(br s, 1 H), 7.93(s, 1 H), 7.24(d, J = 2.0 Hz, 1 H), 7.04(dd, J = 8.2, 2.0 Hz, 1 H), 6.85(d, J = 8.3 Hz, 1 H), 5.59(s, 2 H), 5.20-5.30(br s, 1 H), 4.10(q, J = 7.1 Hz, 2 H), 1.13(t, J = 7.1 Hz, 3 H); ES-MS m/z 332.2(MH)+; HPLC RT(방법 B) 2.64분.
중간물질 T
에틸 4-아미노-5-(3-클로로-4-{[(6-메틸피리딘-2-일)카바모일]아미노}페닐)피롤로[2,1-f][1,2,4]트리아진-6-카르복실산염의 제조
Figure pct00026
중간물질 H의 제조에 이용된 절차를 이용하고, 중간물질 G를 중간물질 S로 대체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NMR(300 MHz, DMSO-d 6 ) δ 10.03(s, 1 H), 8.43(d, J = 8.5 Hz, 1 H), 8.15(s, 1 H), 7.99-8.11(br s, 1 H), 7.94(s, 1 H), 7.62-7.70(m, 1 H), 7.54(d, J = 1.9 Hz, 1 H), 7.32(dd, J = 8.6, 1.9 Hz, 1 H), 6.91-7.02(br s, 1 H), 6.90(d, J = 7.4 Hz, 1 H), 5.37-5.48(br s, 1 H), 4.08(q, J = 7.1 Hz, 2 H), 2.47(s, 3 H), 1.11(t, J = 7.1 Hz, 3 H); ES-MS m/z 466.2(MH)+; HPLC RT(방법 B) 3.13분.
중간물질 U
4-아미노-5-(3-클로로-4-{[(6-메틸피리딘-2-일)카바모일]아미노}페닐)피롤로[2,1-f][1,2.4]트리아진-6-카르복실산의 제조
Figure pct00027
중간물질 I의 제조에 이용된 절차를 이용하고, 중간물질 H를 중간물질 T로 대체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NMR(300 MHz, DMSO-d 6 ) δ 10.03(s, 1 H), 8.41(d, J = 8.6 Hz, 1 H), 8.12(s, 1 H), 8.00-8.16(br s 1 H), 7.95(s, 1 H), 7.62-7.70(m, 1 H), 7.53(d, J = 2.1 Hz, 1 H), 7.32(dd, J = 8.5, 2.0 Hz, 1 H), 6.92-7.04(br s, 1 H), 6.90(d, J = 7.3 Hz, 1 H), 5.42-5.54(br s, 1 H), 2.47(s, 3 H); ES-MS m/z 438.2(MH)+; HPLC RT(방법 A) 2.57분.
중간물질 V
4-아미노-5-(3-클로로-4-니트로페닐)피롤로[2,1-f][1,2,4]트리아진-6-카르복실산의 제조
Figure pct00028
중간물질 I의 제조에 이용된 절차를 이용하고, 중간물질 H를 중간물질 R로 대체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NMR(300 MHz, DMSO-d6) δ 12.47-12.56(br s, 1 H), 8.15(s, 1 H), 8.07(d, J = 8.2 Hz, 1 H), 7.96(s, 1 H), 7.77(d, J = 1.8 Hz, 1 H), 7.55(dd, J = 8.3, 1.8 Hz, 1 H); ES-MS m/z 334.1(MH)+; HPLC RT(방법 B) 2.45분.
중간물질 W
4-아미노-5-(3-클로로-4-니트로페닐)-N-(2,2,2-트리플루오르에틸)피롤로[2,1 -f][1,2,4]트리아진-6-카르복사미드의 제조
Figure pct00029
중간물질 K의 제조에 이용된 절차를 이용하고, 중간물질 J를 중간물질 V로 대체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NMR(300 MHz, DMSO-d 6 ) δ 8.79(t, J = 6.3 Hz, 1 H), 8.28(s, 1 H), 8.06(d, J = 8.3 Hz, 1 H), 7.97(s, 1 H), 7.68(d, J = 1.8 Hz, 1 H), 7.48(dd, J = 8.2, 1.9 Hz, 1 H), 3.91-4.01(m, 2 H); ES-MS m/z 415.1(MH)+; HPLC RT(방법 A) 2.83분.
중간물질 X
4-아미노-5-(4-아미노-3-클로로페닐)-N-(2,2,2-트리플루오르에틸)피롤로[2,1-f][1,2,4]트리아진-6-카르복사미드의 제조
Figure pct00030
중간물질 S의 제조에 이용된 절차를 이용하고, 중간물질 R을 중간물질 W로 대체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NMR(300 MHz, DMSO-d 6 ) δ 8.44(t, J = 6.3 Hz, 1 H), 8.13(s, 1 H), 7.91-8.02(br s, 1 H), 7.89(s, 1 H), 7.17(d, J = 2.0 Hz, 1 H), 6.99(dd, J = 8.2, 2.0 Hz, 1 H) 6.80(d, J = 8.5 Hz, 1 H), 5.54(s, 2 H), 5.08-5.24(br s, 1 H), 3.88-4.00(m, 2 H); ES-MS m/z 385.1(MH)+; HPLC RT(방법 A) 2.27분.
중간물질 Y
페닐(6-메틸피리딘-2-일)카르밤산염의 제조
Figure pct00031
THF(1.6 ℓ)에 녹인 2-아미노-6-피콜린(200 g, 1.84 mol)과 피리딘(448 ㎖, 5.55 mol)의 냉각된(0℃) 용액에 페닐 클로로포름산염(232 ㎖, 1.84 mol)을 방울방울 첨가하였다(1.5 h). 반응물은 15시간 동안 지속으로 냉각하면서 교반하였다. 물(500 ㎖)을 천천히 첨가하고(30분), 이후 생성된 혼합물은 에틸 아세트산염(2 ℓ)으로 희석하였다. 층은 분리하고, 유기층은 1 N 염화수소산(3 x 1 ℓ), 1 N 수성 수산화나트륨 용액(500 ㎖)과 염수(500 ㎖)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은 이후,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 농축하였다. 잔류물은 헥산(500 ㎖)에서 30분 동안 현탁시키고, 이후 여과하여 소량의 불순물을 포함하는 원하는 산물(220 g, 52%)을 수득하였다. 1H-NMR(300 MHz, DMSO-d 6 ) δ 10.68(s, 1 H), 6.93-7.74(m, 8 H), 2.42(s, 3 H); ES-MS m/z 229.4(MH)+; HPLC RT(방법 A) 2.94분.
중간물질 Z
페닐(6-에틸피리딘-2-일)카르밤산염의 제조
Figure pct00032
중간물질 Y의 형성에 이용된 절차를 이용하고, 2-아미노-6-피콜린을 2-아미노-6-에틸피리딘으로 대체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NMR(300 MHz, DMSO-d 6 ) δ 10.60(s, 1 H), 6.67-7.73(m, 8 H), 2.64(q, J = 7.5 Hz, 2 H), 1.24(t, J = 7.5 Hz, 3 H); ES-MS m/z 243.1(MH)+; HPLC RT(방법 A) 2.46분.
실시예
실시예 1
4-아미노-5-(3-플루오르-4-{[(6-메틸피리딘-2-일)카바모일]아미노}페닐)-N-메틸피롤로[2,1-f][1,2,4]트리아진-6-카르복사미드의 제조
Figure pct00033
DMF(2 ㎖)에 녹인 메틸아민 염산염(60 ㎎, 0.89 mmol), 벤조트리아졸릴옥시트리스(디메틸아미노)포스포늄 PF6(118 ㎎, 0.27 mmol)과 4-메틸모르폴린(90 ㎎, 0.89 mmol)의 혼합물에 중간물질 I(75 ㎎, 0.18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은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후 여과하였다. 여과액은 물에서 아세토니트릴의 25% 내지 85% 구배 용리(gradient elution)를 이용한 HPLC 정제를 수행하여 원하는 산물(25 ㎎, 32%)을 수득하였다. 1H NMR(300 MHz, DMSO-d 6 ) δ 9.93(s, 1 H), 8.32(dd, J = 8.4, 8.4 Hz, 1 H), 8.07(s, 1 H), 7.90(s, 1 H), 7.88-7.97(br s, 1 H), 7.66(dd, J = 7.8, 7.8 Hz, 1 H), 7.30(dd, J = 11.9, 1.9 Hz, 1 H), 7.12(dd, J = 8.4, 1.8 Hz, 1 H), 6.93-7.03(br d, 1 H), 6.90(d J = 7.4 Hz, 1 H), 2.63(d, J = 4.6 Hz, 3 H), 2.46(s, 3 H); ES-MS m/z 435.1(MH)+; HPLC RT(방법 A) 1.80분.
실시예 2
4-아미노-N-에틸-5-(3-플루오르-4-{[(6-메틸피리딘-2-일)카바모일]아미노}페닐)피롤로[2,1-f][1,2,4]트리아진-6-카르복사미드의 제조
Figure pct00034
실시예 1의 제조에 이용된 절차를 이용하고, 메틸아민 염산염을 에틸아민 염산염으로 대체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 NMR(300 MHz, DMSO-d 6 ) δ 9.93(s, 1 H), 8.32(dd, J = 8.4, 8.4 Hz, 1 H), 8.09(s, 1 H), 7.90(s, 1 H), 7.84-7.95(br s, 1 H), 7.66(dd, J = 7.7, 7.7 Hz, 1 H), 7.30(dd, J = 12.0, 1.8 Hz, 1 H), 7.12(dd, J = 8.4, 1.7 Hz, 1 H), 6.96-7.05(br d, 1 H), 6.90(d J = 7.4 Hz, 1 H), 3.06-3.19(m, 2 H), 2.46(s, 3 H), 1.08(t, J = 7.2 Hz, 3 H); ES-MS m/z 449.1(MH)+; HPLC RT(방법 B) 2.44분.
실시예 3
4-아미노-5-(3-플루오르-4-{[(6-메틸피리딘-2-일)카바모일]아미노}페닐)-N-프로필피롤로[2,1-f][1,2,4]트리아진-6-카르복사미드의 제조
Figure pct00035
실시예 1의 제조에 이용된 절차를 이용하고, 메틸아민 염산염을 프로필아민으로 대체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 NMR(300 MHz, DMSO-d 6 ) δ 9.93(s, 1 H), 8.32(dd, J = 8.5, 8.5 Hz, 1 H), 8.09(s, 1 H), 7.90(s, 1 H), 7.86(dd, J = 5.7, 5.7 Hz, 1 H), 7.66(dd, J = 7.8, 7.8 Hz, 1 H), 7.30(dd, J = 12.2, 2.0 Hz, 1 H), 7.12(dd, J = 8.3, 1.7 Hz, 1 H), 6.95-7.04(br d, 1 H), 6.90(d J = 7.4 Hz, 1 H), 3.05(q, J = 6.5 Hz, 2 H), 2.45(s, 3 H), 1.33-1.44(m, 2 H), 0.79(t, J = 7.4 Hz, 3 H); ES-MS m/z 463.1(MH)+; HPLC RT(방법 B) 2.59분.
실시예 4
4-아미노-5-(3-플루오르-4-{[(6-메틸피리딘-2-일)카바모일]아미노}페닐)-N-(2.2,2-트리플루오르에틸)피롤로[2,1-f][1,2,4]트리아진-6-카르복사미드의 제조
Figure pct00036
실시예 1의 제조에 이용된 절차를 이용하고, 메틸아민 염산염을 2,2,2-트리플루오르-1-아미노에탄으로 대체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 NMR(300 MHz, DMSO-d 6 ) δ 9.94(s, 1 H), 8.58(dd, J = 6.4, 6.4 Hz, 1 H), 8.33(dd, J = 8.4, 8.4 Hz, 1 H), 8.20(s, 1 H), 7.93(s, 1 H), 7.66(dd, J = 7.9, 7.9 Hz, 1 H), 7.30(dd, J = 12.2, 1.9 Hz, 1 H), 7.12(dd, J = 8.4, 1.8 Hz, 1 H), 6.96-7.04(br d, 1 H), 6.91(d J = 7.5 Hz, 1 H), 3.90-4.01(m, 2 H), 2.46(s, 3 H); ES-MS m/z 503.2(MH)+; HPLC RT(방법 A) 3.00분.
실시예 5
4-아미노-5-(3-플루오르-4-{[(6-메틸피리딘-2-일)카바모일]아미노}페닐)-N-이소부틸피롤로[2,1-f][1,2,4]트리아진-6-카르복사미드의 제조
Figure pct00037
실시예 1의 제조에 이용된 절차를 이용하고, 메틸아민 염산염을 이소-부틸아민으로 대체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 NMR(300 MHz, DMSO-d 6 ) δ 9.93(s, 1 H), 8.33(dd, J = 8.5, 8.5 Hz, 1 H), 8.09(s, 1 H), 7.91(s, 1 H), 7.81(dd, J = 5.7, 5.7 Hz, 1 H), 7.66(dd, J = 7.8, 7.8 Hz, 1 H), 7.30(dd, J = 12.1, 1.9 Hz, 1 H), 7.13(dd, J = 8.2, 1.6 Hz, 1 H), 6.96-7.04(br d, 1 H), 6.90(d J = 7.4 Hz, 1 H), 2.92(t, J = 6.4 Hz, 2 H), 2.45(s, 3 H), 1.61-1.72(m, 2 H), 0.78(d, J = 7.6 Hz, 3 H); ES-MS m/z 477.1(MH)+; HPLC RT(방법 A) 3.02분.
실시예 6
4-아미노-N-시클로프로필-5-(3-플루오르-4-{[(6-메틸피리딘-2-일)카바모일]아미노}페닐)피롤로[2,1-f][1,2,4]트리아진-6-카르복사미드의 제조
Figure pct00038
실시예 1의 제조에 이용된 절차를 이용하고, 메틸아민 염산염을 시클로프로필아민으로 대체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 NMR(300 MHz, DMSO-d 6 ) δ 9.95(s, 1 H), 8.34(dd, J = 8.3, 8.3 Hz, 1 H), 8.09(s, 1 H), 7.98(d, J = 4.1 Hz, 1 H), 7.92(s, 1 H), 7.68(dd, J = 7.9, 7.9 Hz, 1 H), 7.31(dd, J = 12.2, 1.8 Hz, 1 H), 7.13(dd, J = 8.4, 1.7 Hz, 1 H), 6.98-7.08(br d, 1 H), 6.92(d J = 7.4 Hz, 1 H), 2.62-2.71(m, 2 H), 2.48(s, 3 H), 0.58-0.65(m, 2 H), 0.40-0.47(m, 2 H); ES-MS m/z 461.2(MH)+; HPLC RT(방법 A) 2.56분.
실시예 7
4-아미노-N-에틸-5-(3-플루오르-4-{[(6-메틸피리딘-2-일)카바모일]아미노}페닐)-N-메틸피롤로[2,1-f][1,2,4]트리아진-6-카르복사미드의 제조
Figure pct00039
실시예 1의 제조에 이용된 절차를 이용하고, 메틸아민 염산염을 N-에틸-N-메틸아민으로 대체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 NMR(300 MHz, DMSO-d 6 ) δ 9.93(s, 1 H), 8.36(dd, J = 8.5, 8.5 Hz, 1 H), 7.91(s, 1 H), 7.87(s, 1 H), 7.66(dd, J = 7.4, 7.4 Hz, 1 H), 7.28-7.37(m, 1 H), 7.10-7.15(m, 1 H), 6.95-7.03(br d, 1 H), 6.90(d J = 7.4 Hz, 1 H), 3.05-3.37(m, 2 H), 2.81과 2.60(2 s, 3 H), 2.44(s, 3 H), 0.78-0.96(m, 3 H); ES-MS m/z 463.1(MH)+; HPLC RT(방법 A) 2.90분.
실시예 8
4-아미노-N-[2-(디메틸아미노)에틸]-5-(3-플루오르-4-{[(6-메틸피리딘-2-일)카바모일]아미노}페닐)피롤로[2,1-f][1,2,4]트리아진-6-카르복사미드의 제조
Figure pct00040
실시예 1의 제조에 이용된 절차를 이용하고, 메틸아민 염산염을 N,N-디메틸에틸렌디아민으로 대체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 NMR(300 MHz, DMSO-d 6 ) δ 9.94(s, 1 H), 8.37(dd, J = 8.4, 8.4 Hz, 1 H), 8.06(s, 1 H), 7.90(s, 1 H), 7.66(dd, J = 7.7, 7.7 Hz, 1 H), 7.30-7.40(m, 1 H), 7.13-7.19(m, 1 H), 6.96-7.03(br d, 1 H), 6.90(d J = 7.4 Hz, 1 H), 3.17(q, J = 6.6 Hz, 2 H), 2.45(s, 3 H), 2.21(t, J = 6.6 Hz, 2 H), 2.03(s, 6 H); MS [M+H]+ = 492.1; LCMS RT = 1.97분(방법 B). ES-MS m/z 492.1(MH)+; HPLC RT(방법 B) 1.97분.
실시예 9
4-아미노-N-tert-부틸-5-(3-플루오르-4-{[(6-메틸피리딘-2-일)카바모일]아미노}페닐)피롤로[2,1-f][1,2,4]트리아진-6-카르복사미드의 제조
Figure pct00041
실시예 1의 제조에 이용된 절차를 이용하고, 메틸아민 염산염을 tert-부틸아민으로 대체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 NMR(300 MHz, DMSO-d 6 ) δ 9.94(s, 1 H), 8.37(dd, J = 8.4, 8.4 Hz, 1 H), 8.05(s, 1 H), 7.89(s, 1 H), 7.66(dd, J = 8.0, 8.0 Hz, 1 H), 7.33(dd, J = 12.0, 1.9 Hz, 1 H), 7.13(dd, J = 8.5, 1.7 Hz, 1 H), 6.97-7.04(br d, 1 H), 6.93(s, 1 H), 6.90(d J = 7.4 Hz, 1 H), 2.45(s, 3 H), 1.20(s, 9 H); ES-MS m/z 477.2(MH)+; HPLC RT(방법 A) 2.67분.
실시예 10
4-아미노-N-tert-부틸-5-(4-{[(6-에틸피리딘-2-일)카바모일]아미노}-3-플루오르페닐)피롤로[2,1-f][1,2,4]트리아진-6-카르복사미드의 제조
Figure pct00042
중간물질 H의 제조에 이용된 절차를 이용하고, 중간물질 G를 중간물질 L로 대체하고 페닐(6-메틸피리딘-2-일)카르밤산염을 페닐(6-에틸피리딘-2-일)카르밤산염으로 대체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 NMR(300 MHz, DMSO-d 6 ) δ 9.93(s, 1 H), 8.35(dd, J = 8.4, 8.4 Hz, 1 H), 8.05(s, 1 H), 7.89(s, 1 H), 7.68(dd, J = 8.2, 7.5 Hz, 1 H), 7.32(dd, J = 11.8, 2.0 Hz, 1 H), 7.15(dd, J = 8.5, 1.8 Hz, 1 H), 6.98-7.06(br d, 1 H), 6.89-6.95(m, 2 H), 2.73(q, J = 7.4 Hz, 2 H), 1.26(t, J = 7.4 Hz, 3 H), 1.21(s, 9 H); ES-MS m/z 491.3(MH)+; HPLC RT(방법 A) 3.10분.
실시예 11
4-아미노-5-(4-{[(6-에틸피리딘-2-일)카바모일]아미노}-3-플루오르페닐)-N-(2,2,2-트리플루오르에틸)피롤로[2,1-f][1,2,4]트리아진-6-카르복사미드의 제조
Figure pct00043
중간물질 H의 제조에 이용된 절차를 이용하고, 중간물질 G를 중간물질 K로 대체하고 페닐(6-메틸피리딘-2-일)카르밤산염을 페닐(6-에틸피리딘-2-일)카르밤산염으로 대체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 NMR(300 MHz, DMSO-d 6 ) δ 9.93(s, 1 H), 8.58(dd, J = 6.4, 6.4 Hz, 1 H), 8.32(dd, J = 8.4, 8.4 Hz, 1 H), 8.20(s, 1 H), 7.93(s, 1 H), 7.68(dd, J = 7.8, 7.8 Hz, 1 H), 7.29(dd, J = 12.0, 1.9 Hz, 1 H), 7.12(dd, J = 8.5, 2.0 Hz, 1 H), 6.98-7.05(br d, 1 H), 6.91(d J = 7.5 Hz, 1 H), 3.89-4.00(m, 2 H), 2.72(q, J = 7.6 Hz, 2 H), 1.25(t, J = 7.6 Hz, 3 H); ES-MS m/z 517.2(MH)+; HPLC RT(방법 B) 2.89분.
실시예 12
4-아미노-5-(3-클로로-4-{[(6-메틸피리딘-2-일)카바모일]아미노}페닐)-N-에틸피롤로[2,1-f][1,2,4]트리아진-6-카르복사미드의 제조
Figure pct00044
실시예 1의 제조에 이용된 절차를 이용하고, 중간물질 I를 중간물질 U로 대체하고 메틸아민 염산염을 에틸아민 염산염으로 대체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NMR(300 MHz, DMSO-d 6 ) δ 10.01(s, 1 H), 8.38(d, J = 8.6 Hz, 1 H), 8.10(s, 1 H), 7.95(dd, J = 5.5, 5.5 Hz, 1 H), 7.91(s, 1 H), 7.62-7.70(m, 1 H), 7.49(d, J = 2.1 Hz, 1 H), 7.28(dd, J = 8.6, 2.0 Hz, 1 H), 6.91-7.00(br s, 1 H), 6.90(d, J = 7.4 Hz, 1 H), 5.27-5.38(br s, 1 H), 3.07-3.17(m, 2 H), 2.47(s, 3 H), 1.11(t, J = 7.2 Hz, 3 H); ES-MS m/z 465.2(MH)+; HPLC RT(방법 A) 2.90분.
실시예 13
4-아미노-5-(3-클로로-4-{[(6-메틸피리딘-2-일)카바모일]아미노}페닐)-N-프로필피롤로[2,1-f][1,2,4]트리아진-6-카르복사미드의 제조
Figure pct00045
실시예 1의 제조에 이용된 절차를 이용하고, 중간물질 I를 중간물질 U로 대체하고 메틸아민 염산염을 n-프로필아민으로 대체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NMR(300 MHz, DMSO-d 6 ) δ 10.01(s, 1 H), 8.38(d, J = 8.5 Hz, 1 H), 8.10(s, 1 H), 7.89-7.96(m, 2 H), 7.62-7.70(m, 1 H), 7.49(d, J = 1.8 Hz, 1 H), 7.28(dd, J = 8.5, 2.0 Hz, 1 H), 6.91-6.99(br s, 1 H), 6.90(d, J = 7.4 Hz, 1 H), 5.24-5.37(br s, 1 H), 3.06(q, J = 6.5 Hz, 2 H), 2.47(s, 3 H), 1.35-1.46(m, 2 H), 0.80(t, J = 7.4 Hz, 3 H); ES-MS m/z 479.2(MH)+; HPLC RT(방법 B) 2.79분.
실시예 14
4-아미노-5-(3-클로로-4-{[(6-메틸피리딘-2-일)카바모일]아미노}페닐)-N-시클로프로필피롤로[2,1-f][1,2,4]트리아진-6-카르복사미드의 제조
Figure pct00046
실시예 1의 제조에 이용된 절차를 이용하고, 중간물질 I를 중간물질 U로 대체하고 메틸아민 염산염을 시클로프로필아민으로 대체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NMR(300 MHz, DMSO-d 6 ) δ 10.02(s, 1 H), 8.38(d, J = 8.5 Hz, 1 H), 8.08(s, 1 H), 8.01(d, J = 3.8 Hz, 1 H), 7.90(s, 1 H), 7.62-7.70(m, 1 H), 7.49(d, J = 2.1 Hz, 1 H), 7.29(dd, J = 8.5, 2.1 Hz, 1 H), 6.91-7.01(br s, 1 H), 6.90(d, J = 7.5 Hz, 1 H), 5.21-5.39(br s, 1 H), 2.62-2.69(m, 1 H), 2.47(s, 3 H), 0.56-0.63(m, 2 H), 0.38-0.45(m, 2 H); ES-MS m/z 477.2(MH)+; HPLC RT(방법 B) 2.89분.
실시예 15
4-아미노-5-(3-클로로-4-{[(6-메틸피리딘-2-일)카바모일]아미노}페닐)-N-[2-(디메틸아미노)에틸]피롤로[2,1-f][1,2,4]트리아진-6-카르복사미드의 제조
Figure pct00047
실시예 1의 제조에 이용된 절차를 이용하고, 중간물질 I를 중간물질 U로 대체하고 메틸아민 염산염을 N,N-디메틸에틸렌디아민으로 대체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NMR(300 MHz, DMSO-d6) δ 10.03(s, 1 H), 8.42(d, J = 8.5 Hz, 1 H), 8.07(s, 1 H), 7.91(s, 1 H), 7.62-7.70(m, 1 H), 7.51(d, J = 2.0 Hz, 1 H), 7.45-7.51(br s, 1 H), 7.31(dd, J = 8.5, 1.9 Hz, 1 H), 6.91-7.00(br s, 1 H), 6.90(d, J = 7.4 Hz, 1 H), 5.21-5.34(br s, 1 H), 3.18(q, J = 6.1 Hz, 2 H), 2.47(s, 3 H), 2.20-2.27(m, 2 H), 2.06(s, 6 H); ES-MS m/z 508.1(MH)+; HPLC RT(방법 B) 2.17분.
실시예 16
4-아미노-5-(3-클로로-4-{[(6-메틸피리딘-2-일)카바모일]아미노}페닐)-N-(2,2,2-트리플루오르에틸)피롤로[2,1-f][1,2,4]트리아진-6-카르복사미드의 제조
Figure pct00048
중간물질 H의 제조에 이용된 절차를 이용하고, 중간물질 G를 중간물질 X로 대체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NMR(300 MHz, DMSO-d6) δ 10.01(s, 1 H), 8.63(t, J = 6.4 Hz, 1 H), 8.39(d, J = 8.4 Hz, 1 H), 8.21(s, 1 H), 7.93(s, 1 H), 7.62-7.70(m, 1 H), 7.48(d, J = 1.8 Hz, 1 H), 7.28(dd, J = 8.6, 2.0 Hz, 1 H), 6.91-6.99(br s, 1 H), 6.90(d, J = 7.3 Hz, 1 H), 5.31-5.42(br s, 1 H), 3.91-4.01(m, 2 H), 2.47(s, 3 H); ES-MS m/z 519.2(MH)+; HPLC RT(방법 B) 2.87분.
실시예 17
4-아미노-5-(3-클로로-4-{[(6-에틸피리딘-2-일)카바모일]아미노)페닐)-N-(2,2,2-트리플루오르에틸)피롤로[2,1-f][1,2,4]트리아진-6-카르복사미드의 제조
Figure pct00049
중간물질 H의 제조에 이용된 절차를 이용하고, 중간물질 G를 중간물질 X로 대체하고 페닐(6-메틸피리딘~2-일)카르밤산염을 페닐(6-에틸피리딘-2-일)카르밤산염으로 대체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NMR(300 MHz, DMSO-d 6 ) δ 10.02(s, 1 H), 8.63(t, J = 6.3 Hz, 1 H), 8.36(d, J = 8.7 Hz, 1 H), 8.21(s, 1 H), 7.93(s, 1 H), 7.65-7.72(m, 1 H), 7.48(d, J = 2.0 Hz, 1 H), 7.28(dd, J = 8.5, 2.0 Hz, 1 H), 6.97-7.06(br s, 1 H), 6.91(d, J = 7.4 Hz, 1 H), 5.29-5.39(br s, 1 H), 3.90-4.01(m, 2 H), 2.75(q, J = 7.6 Hz, 2 H), 1.23(t, J = 7.6 Hz, 3 H); MS [M+H]+ = 533.2; LCMS RT = 3.02분(방법 B). ES-MS m/z 533.2(MH)+; HPLC RT(방법 B) 3.02분.
실시예 18
4-아미노-5-(3-플루오르-4-{[(6-메틸피리딘-2-일)카바모일]아미노}페닐)-N-(2,2,2-트리플루오르에틸)피롤로[2,1-f][1,2,4]트리아진-6-카르복사미드 디메탄술폰산염의 제조
Figure pct00050
4-아미노-5-(3-플루오르-4-{[(6-메틸피리딘-2-일)카바모일]아미노}페닐)-N-(2,2,2-트리플루오르에틸)피롤로[2,1-f][1,2,4]트리아진-6-카르복사미드(5.9 g)에 THF(650 ㎖)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은 용해가 발생할 때까지 가열하였다(80℃까지). 별개의 플라스크에서, 메탄 술폰산(2.5 ㎖)을 THF(25 ㎖)로 희석하였다. THF에 녹인 4-아미노-5-(4-{[(6-메틸피리딘-2-일)카바모일]아미노}페닐)-N-(2,2,2-트리플루오르에틸)피롤로[2,1-f][1,2,4]트리아진-6-카르복사미드 용액에, THF에 녹인 17 ㎖의 메탄 술폰산 용액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은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된 고체는 0.2 μM 막 필터(membrane filter)를 이용하여 여과하였다. 상기 고체는 건조시켜 7.91 g(97%)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 NMR(300 MHz, DMSO-d 6 ) δ 9.95(s, 1 H), 8.68(t, 1 H), 8.60(br s, 1 H), 8.38(t, 1 H), 8.30(s, 1 H), 8.03(s, 1 H), 7.70(t, 1 H), 7.30(d, 1 H), 7.18(d, 1 H), 7.02(bd, 1 H), 6.85(d, 1 H), 3.98(m, 2 H), 2.54(s, 3 H), 2.32(s, 6 H); ES-MS m/z 503.30(MH)+, HPLC RT(방법 A) 2.64분. DSC mp.= 249.97℃(1주 동안 MeOH에서 교반 및 건조 이후에, mp.= 258.99℃) Anal. C22H18F4N8O2ㆍ2(CH4O3S)에 대하여 계산됨: C, 41.50%; H, 3.77%; F, 10.94%; N, 16.13%; O, 18.43%; S, 9.23%. 관찰됨: C, 41.21%; H, 3.51%; N, 15.69%. 칼 피셔 적정(Karl Fischer Titration): 0.96% 물.
실시예 19
4-아미노-5-(3-플루오르-4-{[(6-메틸피리딘-2-일)카바모일]아미노}페닐)-N-(2,2,2-트리플루오르에틸)피롤로[2,1-f][1,2,4]트리아진-6-카르복사미드 염산염의 제조
Figure pct00051
실시예 18의 제조에 이용된 절차를 이용하고, 메탄 술폰산을 염화수소산으로 대체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 NMR(300 MHz, DMSO-d 6 ) δ 10.03(s, 1 H), 9.08(br s, 1 H), 8.75(t, 1 H), 8.47(m, 2 H), 8.17(s, 1 H), 7.68(t, 1 H), 7.34(d, 1 H), 7.15(d, 1 H), 7.05(bd, 1 H), 6.93(d, 1 H), 3.98(m, 2 H), 2.54(s, 3 H); ES-MS m/z 503.10(MH)+, HPLC RT(방법 A) 2.80분. DSC mp.= 248.84℃(1주 동안 메탄올에서 교반 및 건조 이후에, mp = 251.43℃) Anal. C22H18F4N8O2ㆍHCl에 대하여 계산됨: C, 49.03%; H, 3.55%; N, 20.79%. 관찰됨: C, 48.89%; H, 3.55%; N, 20.46%.
실시예 20
4-아미노-5-(3-플루오르-4-{[(6-메틸피리딘-2-일)카바모일]아미노}페닐)-N-(2,2,2-트리플루오르에틸)피롤로[2,1-f][1,2,4]트리아진-6-카르복사미드 디[(2Z)-부트-2-엔디오에이트]의 제조
Figure pct00052
THF(480 ㎖)에 녹인 4-아미노-5-(3-플루오르-4-{[(6-메틸피리딘-2-일)카바모일]아미노}페닐)-N-(2,2,2-트리플루오르에틸)피롤로[2,1-f][1,2,4]트리아진-6-카르복사미드(3.7 g, 7.36 mmol) 용액에 말레산 용액(22 ㎖, 22 mol, 1 M 용액을 만들기 위하여 2.9 g이 25 ㎖의 THF에 용해됨)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은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된 고체는 0.2 μM 막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고, 높은 진공 오븐(vacuum oven)에서 건조시켜 (4.87 g, 90%)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 NMR(300 MHz, DMSO-d 6 ) δ 9.95(s, 1 H), 8.60(t, 1 H), 8.36(t, 1 H), 8.21(s, 1 H), 7.94(s, 1 H), 7.66(t, 1 H), 7.30(d, 1 H), 7.11(d, 1 H), 6.96(bd, 1 H), 6.89(d, 1 H), 6.25(s, 4H), 3.98(m, 2 H), 2.50(s, 3 H); ES-MS m/z 503.30(MH)+, HPLC RT(방법 A) 2.64분. DSC mp.= 201.29℃ Anal. C22H18F4N8O2ㆍ2(C4H4O4)에 대하여 계산됨: C, 49.05%; H, 3.57%; N, 15.25%. 관찰됨: C, 49.19%; H, 3.63%; N, 15.06%.
실시예 21
4-아미노-5-(3-플루오르-4-{[(6-메틸피리딘-2-일)카바모일]아미노}페닐)-N-(2,2,2-트리플루오르에틸)피롤로[2,1-f][1,2,4]트리아진-6-카르복사미드(2E)-부트-2-엔디오에이트(2:1)의 제조
Figure pct00053
THF(800 ㎖)에 녹인 4-아미노-5-(3-플루오르-4-{[(6-메틸피리딘-2-일)카바모일]아미노}페닐)-N-(2,2,2-트리플루오르에틸)피롤로[2,1-f][1,2,4]트리아진-6-카르복사미드(8.0 g) 용액은 용해가 발생할 때까지 가열하였다(80℃까지). 반응 혼합물은 실온으로 냉각하고 푸마르산(1.38 g, 11.9 mmol)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은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된 고체는 0.2 μM 막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였다. 상기 고체는 건조시켜 6.35 g(71%)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 NMR(300 MHz, DMSO-d6) δ 9.95(s, 1 H), 8.68(t, 1 H), 8.35(t, 1 H), 8.23(s, 1 H), 7.95(s, 1 H), 7.65(t, 1 H), 7.32(d, 1 H), 7.17(d, 1 H), 7.05(bd, 1 H), 6.95(d, 1 H), 6.61(s, 1 H), 3.98(m, 2 H), 2.54(s, 3 H); ES-MS m/z 503.30(MH)+, HPLC RT(방법 A) 2.63분. DSC mp.= 229.54℃ Anal. C22H18F4N8O2ㆍ0.5(C4H4O4)에 대하여 계산됨: C, 51.43%; H, 3.60%; F, 13.56%; N, 19.99%; 0, 11.42%; 관찰됨: C, 50.90%; H, 3.78%; N, 19.67%.
실시예 22
4-아미노-5-(3-플루오르-4-{[(6-메틸피리딘-2-일)카바모일]아미노}페닐)-N-(2,2,2-트리플루오르에틸)피롤로[2,1-f][1,2,4]트리아진-6-카르복사미드 브롬화수소산염의 제조
Figure pct00054
실시예 18의 제조에 이용된 절차를 이용하고, 메탄 술폰산을 브롬화수소산(아세트산에서 30%)으로 대체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 NMR(300 MHz, DMSO-d 6 ) δ 9.95(s, 1 H), 8.68(t, 1 H), 8.60(br s, 1 H), 8.38(t, 1 H), 8.30(s, 1 H), 8.03(s, 1 H), 7.70(t, 1 H), 7.30(d, 1 H), 7.18(d, 1 H), 7.02(bd, 1 H), 6.85(d, 1 H), 3.98(m, 2 H), 2.54(s, 3 H); ES-MS m/z 503.26(MH)+, HPLC RT(방법 A) 2.74분. DSC mp.= 249.18℃. Anal. C22H18F4N8O2ㆍHBr에 대하여 계산됨: C, 45.30%; H, 3.28%; Br, 13.70%; F, 13.03%; N, 19.21%; O, 5.49%. 관찰됨: C, 45.30%; H, 3.28%; N, 19.21%.
실시예 23
4-아미노-5-(4-{[(6-메틸피리딘-2-일)카바모일]아미노}페닐)-N-(2,2,2-트리플루오르에틸)피롤로[2,1-f][1,2,4]트리아진-6-카르복사미드 옥살산염의 제조
Figure pct00055
THF(5 ㎖)에 녹인 4-아미노-5-(3-플루오르-4-{[(6-메틸피리딘-2-일)카바모일]아미노}페닐)-N-(2,2,2-트리플루오르에틸)피롤로[2,1-f][1,2,4]트리아진-6-카르복사미드(100 ㎎, 0.2 mmol) 용액에 옥살산 1 M 용액(0.2 ㎖, 0.2 mmol, 1 M 용액을 만들기 위하여 225 ㎎이 2.5 ㎖의 THF에 용해됨)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은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된 고체는 0.2 μM 막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고, 높은 진공 오븐에서 건조시켜 (60 ㎎, 51%)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 NMR(300 MHz, DMSO-d 6 ) δ 9.95(s, 1 H), 8.60(t, 1 H), 8.36(t, 1 H), 8.21(s, 1 H), 7.94(s, 1 H), 7.66(t, 1 H), 7.30(d, 1 H), 7.11(d, 1 H), 6.96(bd, 1 H), 6.89(d, 1 H), 3.98(m, 2 H), 2.50(s, 3 H); ES-MS m/z 503.30(MH)+, HPLC RT(방법 A) 2.64분. DSC mp.= 210.36℃. Anal. C22H18F4N8O2ㆍC2H2O4에 대하여 계산됨: C, 48.66%; H, 3.40%; N, 18.91%. 관찰됨: C, 48.62%; H, 3,24%; N, 18.69%.
부가적인 실험에서, 모노-옥살산염 염이 분리되는 모든 사례에서, 옥살산염의 양은 1 내지 10 당량 범위에서 변하였다.
실시예 24
4-아미노-5-(4-{[(6-메틸피리딘-2-일)카바모일]아미노}페닐)-N-(2,2,2-트리플루오르에틸)피롤로[2,1-f][1,2,4]트리아진-6-카르복사미드 비스벤젠술폰산염의 제조
Figure pct00056
실시예 18의 제조에 이용된 절차를 이용하고, 메탄 술폰산을 벤젠 술폰산(1 당량)으로 대체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단지 1 당량을 이용했음에도 불구하고, 비스(벤젠 술폰산염) 염이 분리되었다(45% 수율). 1H NMR(300 MHz, DMSO-d 6 ) δ 9.95(s, 1 H), 8.68(t, 1 H), 8.60(br s, 1 H), 8.38(t, 1 H), 8.30(s, 1 H), 8.03(s, 1 H), 7.70(t, 1 H), 7.60(m, 4 H), 7.30(m, 7 H), 7.18(d, 1 H), 7.02(bd, 1 H), 6.92(d, 1 H), 3.98(m, 2 H), 2.54(s, 3 H); ES-MS m/z 503.32(MH)+, HPLC RT(방법 A) 2.67분. DSC mp.= 232.60℃. 단일 펄스 600 MHz NMR은 벤젠 술폰산염에 대한 유리 염기의 이러한 비율을 확증하였다.
생리학적 활성
본 발명의 화합물의 유용성은 예로써, 앞서 기술된 오로라 1 및 2 생화학적 분석, 그리고 오로라 1 자가인산화 분석에서 그들의 시험관내 활성에 의해 예증될 수 있다. 생쥐에서 인간 종양 이종이식 모형에서 오로라 키나아제 저해와 활성 간에 연관성이 확립되었다(Harrington et al. Nature Medicine 2004, 10(3), 262). 또한, 인간 종양 이종이식 모형에서 활성이 임상 환경에서 항-종양 활성과 연관된다는 것은 당분야에 널리 확립되었다. 가령, 탁솔(Silvestrini et al. Stem Cell 1993, 11(6), 528-35]), 탁소트리(Bissery et al. Anti Cancer Drugs 1995, 6(3), 339]), 그리고 토포이소머라제 저해물질(Edelman et al. Cancer Chemother. Pharmacol. 1996, 37(5), 385-93)의 치료학적 유용성은 생체내 종양 이종이식 모형의 이용으로 입증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시험관내 효과는 하기 분석에서 입증될 수 있다:
섬광 근접 분석(Scintillation Proximity Assay, SPA) 형식을 이용하여, 뮤린 오로라 키나아제 1(mAur1) 및 뮤린 오로라 키나아제 2(mAur2) 생화학적 분석에서는 기질인 비오틴화된 펩티드 830(DRT, Protein Sciences)을 인산화시키는 mAur2의 능력을 측정한다. 일단 상기 효소에 의해 방사선표지되면, 비오틴화된 기질은 스트렙타비딘-코팅된 SPA 비드(bead) 상에 포획되고, 이들 SPA 비드 인근에서 방사선활성이 측정된다. IC50 곡선의 산출을 위하여, 하기 조건하에 96-웰 이소플레이트(Wallac 1450-514)에서 반응을 수행하였다: 화합물의 10 mM 원액(stock solution)(100% 디메틸술폭시드(DMSO)에서)을 100% DMSO에서 10배 희석하였다. 이후, 화합물을 100% DMSO에서 8 포인트 용량 곡선(eight point dose curve)을 위하여 1:5로 연속 희석하였다. 1 ㎕ 부피의 희석된 화합물을 25 mM HEPES pH 7.5, 1 mM MnCl2, 1 mM MgCl2, 1 mM DTT, 0.01% Tween 20으로 구성되는 반응 완충액에 첨가하였다. 그 다음, 차가운 1 μM ATP, 0.1 μCi 33P-ATP(Amersham AH9968) 및 1 μM 비오틴화된 펩티드 830의 웰당 최종 농도를 갖는 혼합물을 첨가하였다.
인간 INCENP(아미노산 704 내지 919)와 공동-발현되는 재조합 GST-태그부착된 mAur 1(아미노산 67 내지 345)(DRT, Protein Sciences)을 12 nM의 최종 농도로, 또는 N-말단 His-태그부착된 mAur2(아미노산 98 내지 395; DRT, Protein Sciences)를 20 nM의 최종 농도로 첨가하여 반응을 개시하였다. 각 웰에서 최종 반응 부피는 100 ㎕이었고, 최종 화합물 농도는 1% DMSO에서 10 μM 내지 128 pM의 범위이었다. 반응 혼합물을 25℃에서 부드럽게 교반하면서 1 내지 2시간 동안 항온처리(incubation)하였다. 이후, 반응을 종결하기 위하여, 스트렙타비딘-코팅된 SPA 비드(Amersham RPNQ0007; 165 mM EDTA에 용해된 50 ㎕의 0.5 ㎎ 비드)를 각 웰에 추가하고, 25℃에서 추가로 15분 동안 항온처리를 진행하였다. 그 다음, 플레이트를 2000 rpm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시켰다. Wallac 1450 Microbeta Plus 액체 섬광 계수기를 이용하여 펩티드 기질의 인산화를 측정하였다. 이들 절차를 이용하고, 모든 화합물 실시예는 오로라 1 및 오로라 2 뮤린 생화학적 분석 둘 모두에서 0.1 μM 미만의 IC50을 보였다.
세포에서 오로라 키나아제 1 활성을 저해하는 화합물의 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오로라 키나아제 1 자가인산화를 측정하는 포획 ELISA를 HT29 결장 암종 세포에 전개시켰다(Yasui Y, et al 2004). 간단히 말하면, 웰당 15,000개의 세포를 96-웰 콜라겐 코팅된 플레이트에서 RPMI + 10% FBS에 접종(seeding)하고, 37℃에서 하룻밤동안 5% CO2에서 배양하였다. 다음날, 이들 세포를 37℃에서 24시간 동안 166 nM 나카다졸 화합물로 처리하였다. 일치된 세포는 2시간 동안 화합물로 더욱 처리하였다. 각 희석액 1.1 ㎕를 첨가하여 1/3 로그 단계에서 10 μM 내지 13 nM 범위의 최종 농도를 얻기 위하여, 0.1 mM DMSO 원액으로부터 화합물 희석액을 제조하였다. 화합물 처리 이후에, 플레이트를 1000 rpm에서 2분 동안 원심분리하고, 차가운 무균 TBS 100 ㎕로 2회 세척하였다. 이후, 세포를 4℃에서 1시간 동안 진탕함으로써 용해(100 ㎕의 150 mM NaCl, 20 mM Tris, pH 7.5, 1 mM EDTA, 1 mM EGTA, 1% Triton-x-100 플러스 프로테아제 및 포스파타아제 저해물질)시켰다. 세포 용해물(cell lysate)을 항-포스포 mAur1(Rockland, 600-401-677)로 사전-코팅된 플레이트에 옮기고, TBS에서 5% 차단제 A(Meso Scale Discovery)로 차단하였다.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한 후에, 플레이트를 TBST 300 ㎕로 총 3회 세척하였다. 상층액을 제거하고, TBS에서 2% 차단제 A에서 1:1000으로 희석된 일차 항체(항-오로라 키나아제 1, Pharmingen, 611083) 50 ㎕로 대체하고,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항체 완충액을 각 웰로부터 제거하고, 차가운 TBS-T(50 μM Tris pH 8.0, 138 mM NaCl, 2.7 mM KCl, 0.05% Tween 20) 300 ㎕로 3회 세척하였다. 세척 완충액을 2% 차단제 A에서 1:1000으로 희석된 이차 항체(Sulfa TAG 항-생쥐, Meso Scale Discovery) 50 ㎕로 대체하고,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Sector 6000을 이용한 최종 판독(final readout)을 위하여, 판독용 완충액 T 150 ㎕를 첨가하고, 플레이트를 즉시 판독하였다. 이러한 절차를 이용하고, 모든 화합물 실시예는 0.1 μM 미만의 IC50을 보였다.
A. 제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작업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하기와 같이 제약학적 조성물로 전환될 수 있다:
정제:
조성:
실시예 1의 화합물 100 ㎎, 락토오스(일수화물) 50 ㎎, 옥수수 전분(천연) 50 ㎎, 폴리비닐피롤리돈(PVP 25) 10 ㎎(BASF, Ludwigshafen, Germany) 및 마그네슘 스테아르산염 2 ㎎.
정제 중량 212 ㎎, 직경 8 ㎜, 만곡부 반경 12 mm.
제조:
활성 성분, 락토오스 및 전분의 혼합물은 물에 녹인 PVP의 5% 용액(m/m)으로 과립화시킨다. 건조시킨 이후에, 이들 과립은 5분 동안 마그네슘 스테아르산염과 혼합한다. 생성된 혼합물은 통상의 정제 압축기(정제 형식, 상기 참조)를 이용하여 성형한다. 적용되는 성형력(molding force)은 통상적으로 15 kN이다.
경구 투여용 현탁액:
조성:
실시예 1의 화합물 1000 ㎎, 에탄올(96%) 1000 ㎎, 뢰디겔(Rhodigel)[FMC(Pennsylvania, USA)로부터 산탄 검(xanthan gum)] 400 ㎎ 및 물 99 g.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100 ㎎의 단일 용량은 10 ㎖의 경구 현탁액에 의해 제공된다.
제조:
뢰디겔을 에탄올에 현탁시키고, 활성 성분을 상기 현탁액에 첨가한다. 교반하면서 물을 첨가한다. 뢰디겔의 팽창이 완결될 때까지 약 6시간 동안 교반을 지속한다.

Claims (16)

  1. 화학식 (I)을 보유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입체이성질체:
    [화학식 I]
    Figure pct00057

    R1은 -(C1-C4)알킬, -(C1-C4)알킬-CF3, -(C3-C6)시클로알킬, 또는 -(C2-C4)알킬-NR5R6이고;
    R2는 수소 또는 -(C1-C4)알킬이고;
    R3은 할로겐이고;
    R4는 하나 이상의 히드록시, 아미노, 알콕시, 또는 시클로알킬 기로 선택적으로 치환된 -(C1-C4)알킬이고;
    R5와 R6은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독립적으로, 수소, 메틸, 에틸이거나, 또는 R5와 R6은 그들이 결합된 질소와 함께 피롤리딘 고리를 형성한다.
  2. 청구항 1에 있어서, R1은 메틸, 에틸, n-프로필, sec-부틸, 이소-부틸, tert-부틸, 시클로프로필, 2,2,2-트리플루오르에틸, 또는 2-(디메틸아미노)-에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R2는 수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R3은 플루오르 또는 클로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R4는 메틸 또는 에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R3은 플루오르 또는 클로르이고, R4는 메틸 또는 에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화학식 (I)의 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8. 청구항 7에 있어서, 염은 아세트산염(acetate), 아디프산염(adipate), 알긴산염(alginate), 아스코르브산염(ascorbate), 아스파르트산염(aspartate), 벤조산염(benzoate), 벤젠술폰산염(benzenesulfonate), 비스(벤젠술폰산염)(bis(benzenesulfonate)), 중황산염(bisulfate), 부티르산염(butyrate), 비스(말레산염)(bis(maleate)), 푸마르산염(fumarate), 헤미-푸마르산염(hemi-fumarate), 구연산염(citrate), 캄포레이트(camphorate), 캄포르술폰산염(camphorsulfonate), 계피산염(cinnamate), 시클로펜탄프로피온산염(cyclopentanepropionate), 디글루콘산염(digluconate), 도데실황산염(dodecylsulfate), 에탄술폰산염(ethanesulfonate), 푸마르산염(fumarate), 글루코헵타노에이트(glucoheptanoate), 글리세로인산염(glycerophosphate), 헤미황산염(hemisulfate), 헵타노에이트(heptanoate), 헥사노에이트(hexanoate), 염산염(hydrochloride), 브롬화수소산염(hydrobromide), 히드로요오드화물(hydroiodide), 2-히드록시에탄술폰산염(2-hydroxyethanesulfonate), 이타콘산염(itaconate), 젖산염(lactate), 말레산염(maleate), 만델산염(mandelate), 메탄술폰산염(methanesulfonate), 2-나프탈렌술폰산염(2-naphthalenesulfonate), 니코틴산염(nicotinate), 질산염(nitrate), 옥살산염(oxalate), 파모에이트(pamoate), 펙티네이트(pectinate), 과황산염(persulfate), 3-페닐프로피온산염(3-phenylpropionate), 피크르산염(picrate), 피발레이트(pivalate), 프로피온산염(propionate), 숙신산염(succinate), 술폰산염(sulfonate), 비스(메탄술폰산염)(bis(methanesulfonate)), 타르타르산염(tartrate), 티오시안산염(thiocyanate), 토실산염(tosylate), 또는 운데카노산염(undecanoat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9. 청구항 8에 있어서, 염은 비스(메탄술폰산염), 염산염, 비스(말레산염), 헤미-푸마르산염, 브롬화수소산염, 옥살산염, 또는 비스(벤젠술폰산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10. 아래의 IUPAC 명칭을 갖는 화합물:
    4-아미노-5-(3-플루오르-4-{[(6-메틸피리딘-2-일)카바모일]아미노}페닐)-N-메틸피롤로[2,1-f][1,2,4]트리아진-6-카르복사미드;
    4-아미노-N-에틸-5-(3-플루오르-4-{[(6-메틸피리딘-2-일)카바모일]아미노}페닐)피롤로[2,1-f][1,2,4]트리아진-6-카르복사미드;
    4-아미노-5-(3-플루오르-4-{[(6-메틸피리딘-2-일)카바모일]아미노}페닐)-N-프로필피롤로[2,1-f][1,2,4]트리아진-6-카르복사미드;
    4-아미노-5-(3-플루오르-4-{[(6-메틸피리딘-2-일)카바모일]아미노}페닐)-N-(2,2,2-트리플루오르에틸)피롤로[2,1-f][1,2,4]트리아진-6-카르복사미드;
    4-아미노-5-(3-플루오르-4-{[(6-메틸피리딘-2-일)카바모일]아미노}페닐)-N-이소부틸피롤로[2,1-f][1,2,4]트리아진-6-카르복사미드;
    4-아미노-N-시클로프로필-5-(3-플루오르-4-{[(6-메틸피리딘-2-일)카바모일]아미노}페닐)피롤로[2,1-f][1,2,4]트리아진-6-카르복사미드;
    4-아미노-N-에틸-5-(3-플루오르-4-{[(6-메틸피리딘-2-일)카바모일]아미노}페닐)-N-메틸피롤로[2,1-f][1,2,4]트리아진-6-카르복사미드;
    4-아미노-N-[2-(디메틸아미노)에틸]-5-(3-플루오르-4-{[(6-메틸피리딘-2-일)카바모일]아미노}페닐)피롤로[2,1-f][1,2,4]트리아진-6-카르복사미드;
    4-아미노-N-tert-부틸-5-(3-플루오르-4-{[(6-메틸피리딘-2-일)카바모일]아미노}페닐)피롤로[2,1-f][1,2,4]트리아진-6-카르복사미드;
    4-아미노-N-tert-부틸-5-(4-{[(6-에틸피리딘-2-일)카바모일]아미노}-3-플루오르페닐)피롤로[2,1-f][1,2,4]트리아진-6-카르복사미드;
    4-아미노-5-(4-{[(6-에틸피리딘-2-일)카바모일]아미노}-3-플루오르페닐)-N-(2,2,2-트리플루오르에틸)피롤로[2,1-f][1,2,4]트리아진-6-카르복사미드;
    4-아미노-5-(3-클로로-4-{[(6-메틸피리딘-2-일)카바모일]아미노}페닐)-N-에틸피롤로[2,1-f][1,2,4]트리아진-6-카르복사미드;
    4-아미노-5-(3-클로로-4-{[(6-메틸피리딘-2-일)카바모일]아미노}페닐)-N-프로필피롤로[2,1-f][1,2,4]트리아진-6-카르복사미드;
    4-아미노-5-(3-클로로-4-{[(6-메틸피리딘-2-일)카바모일]아미노}페닐)-N-시클로프로필피롤로[2,1-f][1,2,4]트리아진-6-카르복사미드;
    4-아미노-5-(3-클로로-4-{[(6-메틸피리딘-2-일)카바모일]아미노}페닐)-N-[2-(디메틸아미노)에틸]피롤로[2,1-f][1,2,4]트리아진-6-카르복사미드;
    4-아미노-5-(3-클로로-4-{[(6-메틸피리딘-2-일)카바모일]아미노}페닐)-N-(2,2,2-트리플루오르에틸)피롤로[2,1-f][1,2,4]트리아진-6-카르복사미드;
    4-아미노-5-(3-클로로-4-{[(6-에틸피리딘-2-일)카바모일]아미노}페닐}-N-(2,2,2-트리플루오르에틸)피롤로[2,1-f][1,2,4]트리아진-6-카르복사미드;
    또는 이의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용매화합물, 함수화합물 또는 입체이성질체.
  11. 아래의 IUPAC 명칭을 갖는 염:
    4-아미노-5-(3-플루오르-4-{[(6-메틸피리딘-2-일)카바모일]아미노}페닐)-N-(2,2,2-트리플루오르에틸)피롤로[2,1-f][1,2,4]트리아진-6-카르복사미드 디메탄술폰산염;
    4-아미노-5-(3-플루오르-4-{[(6-메틸피리딘-2-일)카바모일]아미노}페닐)-N-(2,2,2-트리플루오르에틸)피롤로[2,1-f][1,2,4]트리아진-6-카르복사미드 염산염;
    4-아미노-5-(3-플루오르-4-{[(6-메틸피리딘-2-일)카바모일]아미노}페닐)-N-(2,2,2-트리플루오르에틸)피롤로[2,1-f][1,2,4]트리아진-6-카르복사미드 디[(2Z)-부트-2-엔디오에이트];
    4-아미노-5-(3-플루오르-4-{[(6-메틸피리딘-2-일)카바모일]아미노}페닐)-N-(2,2,2-트리플루오르에틸)피롤로[2,1-f][1,2,4]트리아진-6-카르복사미드 (2E)-부트-2-엔디오에이트(2:1);
    4-아미노-5-(3-플루오르-4-{[(6-메틸피리딘-2-일)카바모일]아미노}페닐)-N-(2,2,2-트리플루오르에틸)피롤로[2,1-f][1,2,4]트리아진-6-카르복사미드 브롬화수소산염;
    4-아미노-5-(4-{[(6-메틸피리딘-2-일)카바모일]아미노}페닐)-N-(2,2,2-트리플루오르에틸)피롤로[2,1-f][1,2,4]트리아진-6-카르복사미드 옥살산염; 또는
    4-아미노-5-(4-{[(6-메틸피리딘-2-일)카바모일]아미노}페닐)-N-(2,2,2-트리플루오르에틸)피롤로[2,1-f][1,2,4]트리아진-6-카르복사미드 비스벤젠술폰산염.
  12. 청구항 1에 따른 화합물 또는 이의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입체이성질체와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희석제 또는 담체를 포함하고, 위암, 결장직장암, 폐암, 유방암, 그리고 백혈병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질환의 치료를 위한 제약학적 조성물.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화합물은 치료 효과량으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약학적 조성물.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최소한 하나의 다른 활성 화합물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약학적 조성물.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다른 활성 화합물은 항-과다증식제(anti-hyperproliferative agen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약학적 조성물.
  16. 용기, 청구항 12의 제약학적 조성물, 그리고 포유동물에서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하기 위하여 상기 제약학적 조성물을 이용하기 위한 이용설명서를 포함하는 포장된 제약학적 조성물.
KR1020107008473A 2007-09-25 2008-09-22 오로라 키나아제의 저해를 통하여 암을 치료하는데 유용한 피롤로트리아진 유도체 KR2010007593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9514707P 2007-09-25 2007-09-25
US60/995,147 2007-09-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5932A true KR20100075932A (ko) 2010-07-05

Family

ID=40511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8473A KR20100075932A (ko) 2007-09-25 2008-09-22 오로라 키나아제의 저해를 통하여 암을 치료하는데 유용한 피롤로트리아진 유도체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8138336B2 (ko)
EP (1) EP2203060A4 (ko)
JP (2) JP5678661B2 (ko)
KR (1) KR20100075932A (ko)
CN (1) CN101820762B (ko)
AU (1) AU2008304620A1 (ko)
CA (1) CA2700489A1 (ko)
HK (1) HK1144392A1 (ko)
IL (1) IL204692A0 (ko)
MX (1) MX2010003269A (ko)
TW (1) TW200930719A (ko)
WO (1) WO2009042543A1 (ko)
ZA (1) ZA20100243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Y28931A1 (es) * 2004-06-03 2005-12-30 Bayer Pharmaceuticals Corp Derivados de pirrolotriazina utiles para tratar trastornos hiper-proliferativos y enfermedades asociadas con angiogenesis
PE20070855A1 (es) 2005-12-02 2007-10-14 Bayer Pharmaceuticals Corp Derivados de 4-amino-pirrolotriazina sustituida como inhibidores de quinasas
KR20130141706A (ko) * 2005-12-02 2013-12-26 바이엘 헬스케어 엘엘씨 과다-증식성 장애 및 맥관형성과 관련된 질환의 치료에 유용한 치환된 4-아미노-피롤로트리아진 유도체
CN101820762B (zh) * 2007-09-25 2014-07-30 拜耳保健公司 透过抑制极光激酶而用于治疗癌症的吡咯并三嗪衍生物
CN102245610B (zh) * 2008-10-08 2014-04-30 百时美施贵宝公司 吡咯并三嗪激酶抑制剂
ES2660146T3 (es) * 2009-04-29 2018-03-21 Nerviano Medical Sciences S.R.L. Sales del inhibidor de cdk
EP2739144A4 (en) * 2011-06-20 2015-04-01 Alzheimer S Inst Of America Inc COMPOUNDS AND ITS THERAPEUTIC USE
CN104159900B (zh) * 2011-12-15 2016-08-24 拜耳知识产权有限责任公司 取代的苯并噻吩基-吡咯并三嗪及其在癌症治疗中的用途
CA2865021C (en) * 2012-02-23 2020-06-30 Bayer Intellectual Property Gmbh Substituted benzothienyl-pyrrolotriazines and uses thereof
PT3436461T (pt) 2016-03-28 2024-01-23 Incyte Corp Compostos de pirrolotriazina como inibidores de tam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23252A (en) 1985-12-04 1991-06-11 Conrex Pharmaceutical Corporation Transdermal and trans-membrane delivery of drugs
US5011472A (en) 1988-09-06 1991-04-30 Brown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Implantable delivery system for biological factors
WO2000071129A1 (en) 1999-05-21 2000-11-30 Bristol-Myers Squibb Company Pyrrolotriazine inhibitors of kinases
WO2005061519A1 (en) 2003-12-19 2005-07-07 Takeda San Diego, Inc. Kinase inhibitors
UY28931A1 (es) 2004-06-03 2005-12-30 Bayer Pharmaceuticals Corp Derivados de pirrolotriazina utiles para tratar trastornos hiper-proliferativos y enfermedades asociadas con angiogenesis
US7405213B2 (en) * 2005-07-01 2008-07-29 Bristol-Myers Squibb Company Pyrrolotriazine compounds useful as kinase inhibitors and methods of treating kinase-associated conditions therewith
US7514435B2 (en) 2005-11-18 2009-04-07 Bristol-Myers Squibb Company Pyrrolotriazine kinase inhibitors
JP5193876B2 (ja) * 2005-12-02 2013-05-08 バイエル・ヘルスケア・エルエルシー オーロラキナーゼの阻害により癌を処置するために有用なピロロトリアジン誘導体
PE20070855A1 (es) * 2005-12-02 2007-10-14 Bayer Pharmaceuticals Corp Derivados de 4-amino-pirrolotriazina sustituida como inhibidores de quinasas
KR20130141706A (ko) * 2005-12-02 2013-12-26 바이엘 헬스케어 엘엘씨 과다-증식성 장애 및 맥관형성과 관련된 질환의 치료에 유용한 치환된 4-아미노-피롤로트리아진 유도체
CN101820762B (zh) * 2007-09-25 2014-07-30 拜耳保健公司 透过抑制极光激酶而用于治疗癌症的吡咯并三嗪衍生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L204692A0 (ko) 2010-11-30
WO2009042543A1 (en) 2009-04-02
US20100273800A1 (en) 2010-10-28
TW200930719A (en) 2009-07-16
JP5797799B2 (ja) 2015-10-21
CN101820762A (zh) 2010-09-01
EP2203060A1 (en) 2010-07-07
JP2010540455A (ja) 2010-12-24
JP5678661B2 (ja) 2015-03-04
CN101820762B (zh) 2014-07-30
MX2010003269A (es) 2010-08-02
US8138336B2 (en) 2012-03-20
CA2700489A1 (en) 2009-04-02
AU2008304620A1 (en) 2009-04-02
JP2014129418A (ja) 2014-07-10
ZA201002438B (en) 2010-12-29
HK1144392A1 (en) 2011-02-18
EP2203060A4 (en) 2010-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36344B2 (en) Substituted 2,3-dihydroimidazo[1,2-C]quinazoline salts
US8129379B2 (en) Substituted 4-amino-pyrrolotriazine derivatives useful for treating hyper-proliferative disorders and diseases associated with angiogenesis
US8133995B2 (en) Substituted 4-amino-pyrrolotriazine derivatives useful for treating hyper-proliferative disorders and diseases associated with angiogenesis
US8138336B2 (en) Pyrrolotriazine derivatives useful for treating cancer through inhibition of aurora kinase
KR20090096440A (ko) 과증식성 장애 및 혈관형성과 관련된 질환 치료에 유용한 치환된 2,3-디히드로이미다조[1,2-c]퀴나졸린 유도체
NZ616198B2 (en) Substituted 2,3-dihydroimidazo[1,2-c]quinazoline salts
MX2008007100A (en) Substituted 4-amino-pyrrolotriazine derivatives useful for treating hyper-proliferative disorders and diseases associated with angiogene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