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3825A - 용접부의 가공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 Google Patents

용접부의 가공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3825A
KR20100073825A KR1020080132600A KR20080132600A KR20100073825A KR 20100073825 A KR20100073825 A KR 20100073825A KR 1020080132600 A KR1020080132600 A KR 1020080132600A KR 20080132600 A KR20080132600 A KR 20080132600A KR 20100073825 A KR20100073825 A KR 201000738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ss
stainless steel
ferritic stainless
steel
w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2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배
유도열
우인수
엄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80132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73825A/ko
Publication of KR20100073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38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4Very low carbon steels, i.e. having a carbon content of less than 0,01%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titanium or zirconi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rc Welding In General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량%로, C: 0.01% 이하 (0%는 제외), Si: 0.1% 이하(0%는 제외), Mn:0.4% 이하(0%는 제외), P: 0.05%이하, S: 0.02% 이하, Cr: 16~18%, Ni: 0.1~0.3% , Al: 0.04% 이하(0%는 제외), Ti: 0.35% 이하(0%는 제외), N: 0.02% 이하(0%는 제외),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제공한다. 이 경우, C+N값을 0.015% 이하로 제어할 수 있으며, 나아가 Ti/(C+N)값을 20.4 이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합금원소를 제어함으로써 기존의 TIG 용접 방식을 사용해도 우수한 용접부 가공성 및 내식성을 얻을 수 있어 저렴하고 간단한 TIG 용접으로 높은 품질의 제품을 기대할 수 있다.
DBTT, TIG 용접,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실리콘, 용접부 가공성, 내식성

Description

용접부의 가공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Ferritic Stainless Steel for with Excellent Formability of Welded Zone}
본 발명은 용접부 가공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합금 원소량을 제어하여 TIG 용접 후에도 용접부의 가공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 배기계에 사용되는 소재는 유럽, 미주, 일본 등 각국의 높은 환경 규제에 대응하기 위해 자동차 소재의 경량화, 배기 가스의 온도 상승을 통한 연비의 향상 등을 위하여 기존에 사용되던 저합금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보다 강도, 내열성, 내식성 등이 우수한 고합금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17~18Cr을 기본으로 하며 안정화 원소로 Ti가 첨가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은 가격이 저렴하며 내식성이 우수하여 배기계의 전 부분에 적용이 가능 하며 그만큼 높은 상품성을 보유하고 있다.
자동차 배기계는 상당히 복잡한 형상으로 성형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강판 또는 강관에 가해지는 가공의 정도는 매우 심하다. 특히, 고주파 용접, TIG 용접, 레이저 용접 등의 방법으로 용접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용접 강관은, 용접부에 벤딩 또는 확관과 같은 2차 가공이 적용되면 용접 금속이나 용접열영향부(Heat Affected Zone, HAZ)에 용접 균열이 발생할 수 있어 2차 가공시 나타날 수 있는 중요한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가공 온도가 낮은 동절기나 가공 속도가 빠른 경우에 더욱 현저하게 발생하며, 강종에 따라 발생하는 빈도나 정도가 다를 수 있다.
다양한 페라이트 스테인리스강 중 최근 많이 사용되는 18Cr-Ti계 페라이트 스테인리스강도 여러 용접 방식에 따라 다른 특성을 보이는데, 18Cr-Ti계 페라이트 스테인리스강은 고주파 용접이나 레이저 용접으로 용접하면 용접 강관의 상온 및 저온 가공성은 충분히 만족할만한 특성을 나타냈다. 하지만, TIG 용접 강관으로 제조시에는 상온은 물론 저온에서의 가공성이 현저히 저하되었다. 이는 TIG 용접법의 용접 입열량이 고주파 용접법이나 레이저 용접법에 비해 매우 높아 용접 금속의 결정립 성장이 빨라지고 용접열의 영향을 받는 비드 부분의 폭이 타 용접법에 비해 약 5배 이상 넓게 형성되기 때문에 그런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이러한 18Cr-Ti 페라이트 스테인리스강을 TIG 용접방법으로 강관을 제조하고 다시 2차 가공하게 되면, 모재에 비해 가공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용접금속부에 응력이 집중되어 균열이 발생할 수 있고 이는 심각한 부품의 결함으로 이어질 수 있어 대단히 위험하다.
하지만, TIG 용접 방법은 용접 설비가 저가이며 소비 전력이 적어서 아직도 중국이나 동남아 등지에서는 주요 조관 용접 방법으로 이용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므로, 용접 방법을 개선하기 보다는 소재 자체를 개량할 필요성이 있다. 특히, Cr이 17중량% 이상 포함되는 고합금 페라이트 스테인리스강은 이러한 용접금속부의 가공성 저하가 더욱 현저하고 2차 가공성 확보가 저 합금 페라이트 스테인리스강에 비해 어려우므로 현재에는 고주파 용접이나 레이저 용접으로 적용되는 경우가 많고 제조 비용의 상승을 피할 수 없는 실정이다.
종래에도 고합금 페라이트 스테인리스강관의 가공성을 확보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와 노력이 나타난 바 있다. 일례로, 용접금속 응고결정립을 미세화시키는 방법으로 TIG 용접부 가공성을 확보하는 종래 기술에서는 안정화 원소인 Ti, Nb 등을 첨가하고 응고결정립 핵 생성 site를 확보하기 위한 산화물 생성 원소 Mg, Ca, Zr 등을 첨가하거나, 용접 중 전자기 교반 등의 작용을 통하여 용접부 가공성을 확보하는 기술을 제공하였다. 또한, 다른 예로는 개재물을 이용한 응고조직 미세화 기술로 TiN이나 산화물을 이용하는 방법 등이 나타난 바 있다.
하지만, TiN을 용탕 중에 정출하여 강재 주편의 응고조직을 미세화하는 것은 용접과 같이 용탕의 온도 제어가 곤란한 경우에는 적용이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다량의 Ti 및 TiN은 강의 인성을 손상시키기 때문에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취성 균열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Mg, Y, Ca 등의 산화물 생성 원소를 첨가하는 경우, 산화 반응성이 우수한 Mg, Y, Ca 등의 특성상 회수율 예측이 곤란하여 제품의 품질 편차가 자주 발생할 수 있고, 조대한 산화개재물이 형성될 수 있어 표면품질이나 내식성 면에서 좋지 않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들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고합금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용접부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강재 내에서 가공경화를 일으키는 주요원소의 성분 범위들만을 집중 관리하여 강재의 가공성과 내식성을 기본적으로 확보함은 물론 TIG 용접부의 저온 가공성도 개선하여 TIG 용접시 용접부의 가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우수한 페라이트 스테인리스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중량%로, C: 0.01% 이하 (0%는 제외), Si: 0.1% 이하(0%는 제외), Mn:0.4% 이하(0%는 제외), P: 0.05%이하, S: 0.02% 이하, Cr: 16~18%, Ni: 0.1~0.3% , Al: 0.04% 이하(0%는 제외), Ti: 0.35% 이하(0%는 제외), N: 0.02% 이하(0%는 제외),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제공한다. 이 경우, C+N값을 0.015% 이하로 제어할 수 있으며, 나아가 Ti/(C+N)값을 20.4 이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DBTT가 -60℃ 이하이며, -20℃의 충격 에너지 값이 17J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합금원소를 제어함으로써 기존의 TIG 용접 방식을 사용해도 우수한 용접부 가공성 및 내식성을 얻을 수 있어 저 렴하고 간단한 TIG 용접으로 높은 품질의 제품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고합금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TIG 용접 방법으로 용접한 경우, 용접부의 저온 가공성에 미치는 각종 합금 원소의 첨가효과를 통계적 방법 (Correlation/Regression)으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C, N, C+N, Ti/(C+N) 이외에도 Si이 주요 인자로 작용한다는 결과를 얻었다.
특히, Si의 첨가 범위를 정밀하게 제어하면 용접부 경화도가 감소하며 다량의 산화물 생성원소를 첨가하지 않아도 강재의 가공성 개선은 물론 용접부의 저온가공성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구성하는 성분계에 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단, 이하 성분계의 %는 중량%를 의미한다.
C: 0.01% 이하 (0%는 제외)
C는 강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원소이지만, 강도 증가에 따라 연성 및 가공성이 감소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용접부 가공성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하여 C는 0.01% 이하, 바람직하게는 0.005% 이하로 첨가한다.
Si: 0.1% 이하(0%는 제외)
Si는 용강 상태에서 탈산제로서 작용하는 원소로서 제강 과정에서 필요한 원소이며 용접 시 아크 안정성을 높이는 역할을 하고, 유동성을 향상시켜 스패터(spatter) 발생량을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다. Si의 첨가량이 높아도 열간 가공성에 문제는 없지만, 고용강화 현상에 의해 경도가 상승할 수 있어 냉간 가공성 측면에서는 좋지 않으므로 Si의 상한은 0.1%로 한정한다. 또한, 용접부의 가공성을 충분히 보증하고 용접부 유동성 저하에 의한 용입 특성의 저하를 막기 위해서 그 하한은 0.05%로 제한할 수 있다.
Mn:0.4% 이하(0%는 제외)
Mn은 강도의 향상에 필요하나, 본 발명에서는 MnS를 형성하여 내공식성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원소로서 0.4% 이하로 한정하여 첨가한다
P: 0.05%이하
P는 강도를 증가시키는 기능을 나타내지만, 일반적으로 가공성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불순물로 처리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가능한 저감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공정 단계에서 P를 극도로 저감하는 것은 정련비용이나 생산성 측면에서 좋지 않기 때문에 0.05% 이하, 바람직하게는 0.025% 이하로 제한한다.
S: 0.02% 이하
S는 강 중에 개재물로서 존재하고, 내식성을 저하시키는 불순물 원소로서 내식성 관점에서는 최대한 낮추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S를 극도로 낮추는 것은 비용이나 시간 면에서 좋지 않으므로 0.02% 이하, 바람직하게는 0.003% 이하로 제어한다.
Cr: 16~18%
Cr은 스테인리스강에서 내식성 향상을 위해 반드시 첨가되어야 하는 합금원소로서, Cr의 함량이 낮으면 충분한 내식성을 얻기 곤란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16% 이상을 첨가한다. 하지만, 18%를 초과하여 지나치게 과다한 Cr이 첨가되면 내식성은 향상이 되나 강도가 너무 높아지고 이에 따라 연신율이나 충격 특성이 급격하게 저하될 수 있으므로 Cr은 16~18% 수준에서 제어한다.
Ni: 0.1~0.3%
Ni은 오스테나이트 안정화 원소로 작용한다. 즉, 조직 내의 오스테나이트 분율을 일정 범위로 조절하기 때문에 적정량의 Ni을 첨가하는 것이 필요하며, 인성의 향상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0.1% 이상을 첨가한다. 하지만, 0.3%를 초과하여 과다하게 포함되면 강을 경화시키고 이로 인하여 가공성이 저하되어 배기계에 사용되는 복잡한 장치의 성형이 곤란해질 수 있다. 따라서, Ni는 0.1~0.3%로 첨가한다.
Al: 0.04% 이하(0%는 제외)
Al은 Si와 마찬가지로 용강에서 탈산제로 기능하는 원소로 제강 과정에서 유용하게 작용한다. 하지만, Al이 지나치게 과량 첨가되면 스테인리스강의 표면 결함을 초래하여 상품성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Al은 0.04% 이하로 첨가한다.
Ti: 0.35% 이하(0%는 제외)
Ti는 강도와 내식성을 위하여 첨가되는 합금 원소로서 본 발명에서는 0.35% 이하를 첨가한다. Ti의 첨가량이 0.35%를 초과하여 너무 높게 첨가되면 제강성 개재물이 증가하여 스켑(scab)과 같은 표면결함이 많이 발생할 수 있고, 연주시 노즐 막힘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고용 Ti의 증가로 연신율 및 저온 충격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반면, C+N의 함량 대비 Ti 첨가량이 너무 낮아 Ti/(C+N)비가 낮아지면 입계 부식이 발생하여 내식성에 좋지 않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Ti 첨가량을 0.35% 이하로 한정하며, Ti/(C+N)비를 일정수준 이상으로 관리한다.
N: 0.02% 이하(0%는 제외)
N은 C와 마찬가지로 강의 강도를 높이는 역할을 하지만, 연성 및 가공성을 저하시킬 수 있어, 본 발명에서는 가능한 저감시킨다. 특히, 충분한 용접부 가공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N은 0.02% 이하, 바람직하게는 0.007% 이하로 포함된다.
C+N: 0.015% 이하
본 발명은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TIG 용접시 용접부의 가공성을 보증하기 위한 것으로, C+N의 합계가 0.015%를 초과하면 강도가 증가하므로 충분한 가공성이 나타나기 어렵다. 따라서, C+N의 합은 0.015% 이하, 바람직하게는 0.01% 이하로 한정할 수 있다.
Ti/(C+N)≥20.4
Ti는 용접부 입계 부식 저항성 및 용접부 저온 가공성과 관련된 합금 원소인 바, 본 발명에서는 Ti와 C+N 사이에 존재하는 관계를 실험적으로 측정하여, 충분한 용접부 입계 부식 저항성 및 용접부 저온 가공성을 얻기 위해 Ti/(C+N)≥20.4로 조절한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하기 표 1과 같이 Fe-18Cr를 기본 조성으로 하고, Si, C+N 및 Ti/C+N비를 각각 조절한 6종의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각각 용제하고 열연, 소둔, 냉연 및 소둔 공정을 거쳐 두께 1.5mm의 코일 A~F로 제조하였다.
구분 C Si Mn Cr N Al Ti
A 0.01 0.19 0.41 17.4 0.01 0.04 0.36
B 0.0059 0.15 0.18 17.4 0.008 0.04 0.31
C 0.0082 0.18 0.23 17.5 0.0094 0.05 0.34
D 0.0049 0.06 0.24 17.4 0.0086 0.04 0.28
E 0.0051 0.12 0.12 17.6 0.011 0.05 0.22
F 0.006 0.09 0.24 17.5 0.0067 0.04 0.29
이어서, 각 강재에 대하여 연성취성 천이온도(DBTT), -20℃에서의 충격 에너지, 모재의 연신율 및 용접부 가공성을 각각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그 결과를 나타내었다. 참고로, 용접부 가공성을 실험하기 위한 TIG 용접은 DC type 용접기(최대용접전류 350A)를 사용하였으며, 비드 온 플레이트(bead on plate)로 실시하였다. 용접조건은 용접전류 90~110A, 용접속도 0.3m/min, 텅스텐 전극경: 2.4mm, 전극선단각 : 60°, Arc length 1.5mm 및 보호가스로 Ar (15l/min)을 사용하였다.
구분 DBTT(℃) -20℃충격에너지(J) 모재 연신율(%) 용접부 가공성 비고
A -20 9 32.4 낮음 비교강1
B -44 15.7 32.1 보통 비교강2
C -30 16.1 32.8 보통 비교강3
D -60 17.7 33.6 우수 발명강1
E -47 13.9 34 보통 비교강4
F -65 19.1 35.6 우수 발명강2
상기 표 2에서 용접부 저온가공성을 나타내는 주요 지표인 DBTT특성은 -70~40℃의 온도 범위에서 1/4Sub-size (1.5㎜t×10㎜w×55㎜l) 시험편에 대하여 조사하였으며, 방법은 Charpy 충격 시험을 적용하였다.
상기 표 2의 결과를 바탕으로, 용접부 DBTT와 주요 합금 성분 원소 사이의 상관관계를 통계적으로 조사하였다. 상관성 분석의 결과, DBTT는 아래와 같이 Si, C+N, Si 및 Ti/C+N의 변화에 따라 통계적으로 의미를 가지며 차이를 나타내며, 특히 Si의 함량과 밀접한 상관 관계를 나타냈다. 단, 하기 식에서 P값은 각 독립변수들(합금원소)이 종속변수(DBTT)의 변화에 영향을 주는 인자 (유의인자)인가를 나타내는 수치로서, 0.05이하이면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으며, 수정상관계수는 유의한 독립변수로 조합한 회귀식이 실제 값을 설명하여 참일 확률을 나타내는 값으로서 클수록 회귀식이 참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Figure 112008088519676-PAT00001
(단, 수정상관계수 (R2 adj.) 95.3 및 P=0.005)
Figure 112008088519676-PAT00002
(단, 수정상관계수(R2 adj.) 85.2 및 P=0.027)
Figure 112008088519676-PAT00003
(단, 수정상관계수(R2 adj.) 84 및 P=0.03)
DBTT 및 -20℃의 저온 충격 에너지는 모재의 합금 성분 특히, Si 및 C+N의 값이 낮을수록 우수하게 나타났으며(도 1 및 도 2 참고), 모재의 연신율 역시 향상되었다(도 3 및 도4 참고). 특히 본 발명의 조건을 만족하는 D 및 F를 사용한 발명강 1 및 2는 Si의 첨가량은 물론 C+N 및 Ti/(C+N)을 각각 0.09%이하, 0.0135%이하 및 20.7 이상으로 제어하였는 바, -60℃ 이하의 DBTT를 나타냈으며, -20℃ 충격에너지가 17.7J 이상이었고 모재의 연신율이 33% 이상으로 우수하였다.
(실시예 2)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시예 1의 각 발명강 및 비교강에 대하여 용접부의 결정립 크기, 용접부 경도 및 연신율을 각각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비고 용접부 결정립 크기(㎛) 용접부 경도(Hv) 용접부 연신율(%)
비교강1 149 158 9.3
비교강2 169 160 10.6
비교강3 175 167 11.5
발명강1 178 154 11
비교강4 193 154 8.7
발명강2 201 152 11.6
용접부 결정립의 크기는 용접부 단면을 샌드 페이퍼 및 연마제를 사용하여 연마하고, Nital용액으로 전해 에칭한 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용접부의 경도 분포는 마이크로비커스 경도기를 이용하였고, 하중 200g 및 유지시간 10sec으로 하여 0.2mm 간격으로 측정하였다. 나아가, 용접부의 연신율을 측정은 기존 JIS 15호 시험편을 이용하여, 용접부의 연신율을 측정하기 위하여 용접부 양쪽에 2mm깊이의 notch 가공을 하여 10mm/min 속도로 측정하였다.
일반적으로 용접부는 용접열의 입열에 의하여 결정립의 크기가 조대화되고 그로 인하여 용접부 경화도의 증가 및 가공성의 열화가 나타나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과 같이 Si 및 C+N함량을 낮게 제어한 경우, 상기 표 3에서 볼 수 있듯이 용접부의 결정립 크기가 다소 커도 용접부의 경화도가 감소하며, 용접부 연신율도 증가하여 용접부 결정립 크기에 큰 영향없이 용접부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은 Si의 함량과 용접부의 DBTT 사이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2는 C+N 함량과 용접부의 DBTT 사이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3은 Si의 함량과 모재 연신율 사이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4는 C+N 함량과 모재 연신율 사이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Claims (4)

  1. 중량%로, C: 0.01% 이하 (0%는 제외), Si: 0.1% 이하(0%는 제외), Mn:0.4% 이하(0%는 제외), P: 0.05%이하, S: 0.02% 이하, Cr: 16~18%, Ni: 0.1~0.3% , Al: 0.04% 이하(0%는 제외), Ti: 0.35% 이하(0%는 제외), N: 0.02% 이하(0%는 제외),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및 상기 N은 C+N값이 0.015% 이하임을 특징으로 하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Ti, 상기 C 및 상기 N은 Ti/(C+N)값이 20.4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DBTT가 -60℃ 이하이며, -20℃의 충격 에너지 값이 17J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KR1020080132600A 2008-12-23 2008-12-23 용접부의 가공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KR201000738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2600A KR20100073825A (ko) 2008-12-23 2008-12-23 용접부의 가공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2600A KR20100073825A (ko) 2008-12-23 2008-12-23 용접부의 가공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3825A true KR20100073825A (ko) 2010-07-01

Family

ID=42636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2600A KR20100073825A (ko) 2008-12-23 2008-12-23 용접부의 가공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7382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98301A1 (ko) * 2012-12-21 2014-06-26 (주)포스코 경도와 저온 충격특성이 우수한 스테인리스 열연강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98301A1 (ko) * 2012-12-21 2014-06-26 (주)포스코 경도와 저온 충격특성이 우수한 스테인리스 열연강판
US9790565B2 (en) 2012-12-21 2017-10-17 Posco Hot-rolled stainless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hardness and low-temperature impact properti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73098B1 (ja) フェライト−マルテンサイト2相ステンレス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2272994B1 (en) High-tensile strength ste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846759B1 (ko)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JP4791992B2 (ja) スポット溶接用合金化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KR20100113642A (ko) 용접 열 영향부의 내식성과 인성이 양호한 저합금 2상 스테인리스강
EP3722448A1 (en) High-mn ste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EP3666911B1 (en) High-strength steel produc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5692305B2 (ja) 大入熱溶接特性と材質均質性に優れた厚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202037734A (zh) 高Mn鋼及其製造方法
JP6036645B2 (ja) 低温靭性に優れたフェライト−マルテンサイト2相ステンレス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856083B2 (ja) 高Mn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998708B2 (ja) 材質異方性が小さく、耐疲労亀裂伝播特性に優れた鋼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5064077A1 (ja) フェライト-マルテンサイト2相ステンレス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770415B2 (ja) 溶接性に優れた高張力厚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042744B2 (ja) エレクトロスラグ溶接方法
KR100856306B1 (ko) 용접부의 저온 가공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KR100825632B1 (ko) 용접부의 가공성 및 강재의 내식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JP4273457B2 (ja) 穴拡げ加工性に優れた構造用ステンレス鋼板
KR20100073825A (ko) 용접부의 가공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KR100825630B1 (ko) 용접부의 가공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제조방법
JP4192576B2 (ja) マルテンサ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
JP2007277713A (ja) プレス加工用溶融めっき高強度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9168172A1 (ja) 高Mn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80098827A (ko) 가공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JP2004181530A (ja) 疲労強度特性に優れた溶接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