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7381A -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7381A
KR20100067381A KR1020080125921A KR20080125921A KR20100067381A KR 20100067381 A KR20100067381 A KR 20100067381A KR 1020080125921 A KR1020080125921 A KR 1020080125921A KR 20080125921 A KR20080125921 A KR 20080125921A KR 20100067381 A KR20100067381 A KR 201000673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landscape mode
landscape
display unit
portra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5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5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67381A/ko
Priority to US12/635,835 priority patent/US8761691B2/en
Publication of KR20100067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73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4Image rotation following screen orientation, e.g. switching from landscape to portrait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 특성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가로모드 또는 세로모드에 따라 다른 화면크기에서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세로모드, 왼손 가로모드, 또는 오른손 가로모드에 따라 다른 키배열을 제공하는 입력부와, 상기 가로모드 및 상기 세로모드간의 전환을 감지하고, 상기 가로모드 중에서 상기 왼손 가로모드 및 상기 오른손 가로모드간의 전환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된 모드에 따라 해당하는 화면크기에 맞춰 데이터를 표시하고, 해당하는 키배열을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휴대 단말기, 가로모드, 세로모드, 왼손잡이, 오른손잡이, 방향감지, 키배열 전환

Description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휴대 단말기{Method for providing a physical user interface and a portable terminal therefor}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 특성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기술이 발전하면서 휴대 단말기의 보급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휴대 단말기의 보급이 일반화되면서 통신 사업자들 및 휴대 단말기의 제조업자들은 사용자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제공되는 다양한 서비스를 최적으로 구현하고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다. 예를 들어, 공간 및 시간에 구애됨이 없는 통화는 물론, 무선 인터넷 서비스와,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SMS)와,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ultimedia Messaging Service: MMS)와, 이미지, 화상,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서비스와, 디지털 미디어 방송(Digital Media Broadcasting: DMB) 서비스 등의 다양한 서비스들이 휴대 단말기에 의해 제공된다. 또한, 제공되는 서비스에 따라 2개의 표시부들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나 가로 및 세로의 길이 비율이 다르게 전환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및 DMB 수신기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등 다양한 형태의 휴대 단말기가 제공되고 있다.
사용자의 편의 및 만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에 의해 실행 요청된 기능의 종류에 따라 사용자 편의를 고려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상기 가로 및 세로의 길이 비율이 다르게 전환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는 음성 통화의 경우 세로의 길이 비율이 가로의 길이 비율보다 큰 세로 모드 표시부에서 음성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고, DMB 시청의 경우 가로의 길이 비율이 세로의 길이 비율보다 큰 가로 모드 표시부에서 DMB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러나 상술한 특정 기능 등에 따라 획일적으로 사용자에게 요청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개인 특성에 따라 사용자 맞춤형 인터페이스에 의해 요청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따라서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 특성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휴대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 견지에 따르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표시부 화면크기 및 입력키 배열에 의해 구분되는 가로모드 또는 세로모드로 전환 가능한 휴대 단말기에서 상기 가로모드 및 상기 세로모드간의 전환을 감지하는 과정과, 세로모드에서 가로모드로의 전환인 경우 상기 입력키 배열에 의해 구분되는 왼손 가로모드로의 전환인지 오른손 가로모드로의 전환인지 확인하는 과정과, 확인된 결과에 따라 상기 왼손 가로모드 또는 상기 오른손 가로모드에 해당하는 입력키 배열을 제공하고 상기 가로모드의 표시부 화면크기에 맞춰 데이터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다른 견지에 따르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가로모드 또는 세로모드에 따라 다른 화면크기에서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세로모드, 왼손 가로모드, 또는 오른손 가로모드에 따라 다른 키배열을 제공하는 입력부와, 상기 가로모드 및 상기 세로모드간의 전환을 감지하고, 상기 가로모드 중에서 상기 왼손 가로모드 및 상기 오른손 가로모드간의 전환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된 모드에 따라 해당하는 화면크기에 맞춰 데이터를 표시하고, 해당하는 키배열을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가로모드인 경우 화면의 가로길이의 비율이 세로길이의 비율보다 큰 상태이고, 상기 세로모드인 경우 상기 화면의 세로길이의 비율이 상기 가로길이의 비율보다 큰 상태이며, 상기 가로모드의 화면에서 상기 왼손 가로모드 또는 상기 오른손 가로모드에 따라 해당하는 방향으로 데이터를 표시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로모드에서 상기 가로모드로의 전환인 경우 상기 왼손 가로모드로의 전환인지 상기 오른손 가로모드로의 전환인지 확인하며, 상기 입력부는 상기 왼손 가로모드인 경우 상기 가로모드에서 왼손을 사용하는 사용자를 위한 입력키 배열을 제공하고, 상기 오른손 가로모드인 경우 상기 가로모드에서 오른손을 사용하는 사용자를 위한 입력키 배열을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내용들은 당해 분야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후술되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들 및 기술적인 장점들을 다소 넓게 약술한 것이다. 이러한 특징들 및 장점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청구범위의 주제를 형성하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들 및 장점들이 후술되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잘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 특성에 따라 맞춤형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물리적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 및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왼손잡이와 오른손잡이의 구분없이 하나의 휴대 단말 기에 의해 편리하게 입력장치 및 출력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 물리적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왼손잡이 및 오른손잡이를 위한 입력장치가 구분되는 점을 이용하여 게임 등의 어플리케이션 실행시 필요에 따라 손을 바꾸어 가면서 휴대 단말기를 활용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사용자의 개인 특성에 따라 사용자 맞춤형 인터페이스에 의해 요청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 개인의 특성 중 사용자의 주사용 손에 따라, 즉, 왼손잡이인지 오른손잡이인지에 따라 다른 물리적 사용자 인터페이스(Physical User Interface, 이하 'PUI'라 칭함)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이하 'UI'라 칭함)를 제공한다. 이하, PUI 및 UI를 통칭하여 UI라 칭한다. 여기에서 오른손잡이는 사용자가 오른손을 주로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100)등을 조작하는 경우의 사용자 특성을 의미하고, 왼손잡이는 사용자가 왼손을 주로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100)등을 조작하는 경우의 사용자 특성을 의미한다. 사용자의 특성에 따라 제공되는 UI의 예로써 본 발명은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 화면 크기 및 입력부의 입력키의 배열을 들어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을 하기에 앞서서, 가로 길이의 비율과 세로 길이의 비율이 다른 표시부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에서 표시부 화면의 가로 길이의 비율이 세로 길이의 비율보다 크게 놓인 상태를 이하, '가로모드'라 칭하고, 표시부 화면의 세로 길이의 비율이 가로 길이의 비율보다 크게 놓인 상태를 이하, '세로모드'라 칭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오른손잡이의 사용자 특성에 따라 전환되는 UI의 예들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가로모드 또는 세로모드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의 표시부의 화면크기 및 입력키 배열이 다른데, 도 1a는 세로모드의 표시부(101)에 데이터가 표시되고 세로모드의 입력키가 배열된 상태에서 방향 전환에 따라 가로모드의 표시부(105)에 데이터가 표시되고 가로모드의 입력키가 배열된 상태를 예를 들어 도시한다.
도 1a를 참조하면, 세로모드의 휴대 단말기(100)는 요청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구동되면서 발생되는 데이터를 세로모드 화면 크기에 맞춰 표시부(101)에 표시하고, 입력키들도 세로모드 입력키 배열에 맞춰 제공한다. 이때 입력키들은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입력키들을 구비하는 터치패드(Touchpad) 영역(103)뿐만 아니라 표시부(101)의 일부분에도 입력키(102)와 같이 배열될 수 있다. 터치패드 영역(103)은 입력키(102)이외에도 다양한 키들이 구비될 수 있다. 도 1a는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예로써 뮤직 비디오(Music Video)를 재생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세로모드의 표시부(101)를 통해 재생되는 뮤직 비디오의 데이터가 표시되고 세로모드의 입력키들이 배열된 상태에서 오른손잡이의 사용자(110)에 의해 세로모드에서 휴대 단말기(100)가 동작되던 중 이동방향(120)과 같이 방향이 전환되면 전환되는 방향을 감지하여 가로모드로 휴대 단말기(100)의 상태를 전환한다. 즉, 휴대 단말기(100)는 세로모드의 표시부(101)를 통해 재생되는 뮤직 비디오의 데이터를 가로모드의 표시부(105)를 통해 재생하고, 세로모드의 입력키들을 가로모드의 입력키들의 배열로 전환한다. 이때, 오른손잡이의 사용자(110)의 특성에 맞춰 데이터를 표시하고 입력키들을 배열하기 위하여 이동방향(120)을 감지한다. 여기에서 감지된 휴대 단말기의 이동방향이 반시계방향인 경우 오른손잡이의 사용자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사용으로 인식되고, 감지된 휴대 단말기의 이동방향이 시계방향인 경우 왼손잡이의 사용자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사용으로 인식된다고 가정한다.
가로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휴대 단말기(100)는 세로모드의 표시부(101)에 표시되던 뮤직 비디오 데이터를 가로모드의 표시부 화면 크기에 맞도록 전환하여 표시부(105)에 표시하고, 입력키들도 가로모드 입력키 배열에 맞춰 제공한다. 특히, 이동방향(120)이 반시계방향이므로 휴대 단말기(100)는 오른손잡이의 사용자(110)를 위한 가로모드(이하, '오른손 가로모드'라 칭함)로 전환하여 입력키(106)를 배열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모드나 세로모드 모두 구현 가능한 휴대 단말기(100)에서 사용자에 의한 방향전환을 감지하여 최적화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특히, 도 1a와 같은 가로모드의 경우 오른손잡이의 사용자(110)를 위한 오른손 가로모드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므로 오른손잡이 사용자 특성에 맞춘 UI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왼손잡이의 사용자 특성에 따라 전환되 는 UI의 예들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b는 상술한 도 1a와 같이 세로모드의 표시부에 데이터가 표시되고 세로모드의 입력키들이 배열된 상태에서 방향 전환에 따라 가로모드의 표시부에 데이터가 표시되고 가로모드의 입력키들이 배열된 상태를 예를 들어 도시한다.
도 1b를 참조하면, 세로모드의 휴대 단말기(100)는 요청된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면서 발생되는 데이터를 세로모드 화면 크기에 맞춰 표시부(101)에 표시하고, 입력키들도 세로모드 입력키 배열에 맞춰 제공한다. 이때 입력키들은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터치패드 영역(103)뿐만 아니라 표시부(101)의 일부분에도 입력키(102)와 같이 배열될 수 있다. 도 1b도 또한 도 1a와 같이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이 뮤직 비디오의 재생이라 가정하여 도시한다. 세로모드의 표시부(101)를 통해 재생되는 뮤직 비디오의 데이터가 표시되고 세로모드의 입력키(102)가 배열된 상태에서 왼손잡이의 사용자(130)에 의해 세로모드 휴대 단말기(100)가 조작되던 중 이동방향(121)과 같이 방향이 전환되면 전환되는 방향을 감지하여 가로모드로 휴대 단말기(100)의 상태를 전환한다. 즉, 휴대 단말기(100)는 세로모드의 표시부(101)를 통해 재생되는 뮤직 비디오의 데이터를 가로모드의 표시부(105)를 통해 표시하고, 세로모드의 입력키들을 가로모드의 입력키들의 배열로 전환한다. 이때, 왼손잡이의 사용자(130)의 특성에 맞춰 데이터를 표시하고 입력키를 배열하기 위하여 이동방향(121)을 감지한다. 여기에서 감지된 휴대 단말기의 이동방향이 반시계방향인 경우 오른손잡이의 사용자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사용으로 인식되고, 감지된 휴대 단말기의 이동방향이 시계방향인 경우 왼손잡이의 사용자에 의한 휴대 단 말기의 사용으로 인식된다고 가정한다.
가로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휴대 단말기(100)는 세로모드의 표시부(101)에 표시되던 뮤직 비디오 데이터를 가로모드의 표시부 화면 크기에 맞도록 전환하여 표시부(105)에 표시하고, 입력키도 가로모드 입력키 배열에 맞춰 제공한다. 특히, 이동방향(121)이 시계방향이므로 휴대 단말기(100)는 왼손잡이의 사용자(130)를 위한 가로모드(이하, '왼손 가로모드'라 칭함)로 전환하여 표시부(105)에 데이터를 표시하고, 입력키(107)의 배열도 왼손잡이 사용자(130)에 맞춰 배열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모드나 세로모드 모두 구현 가능한 휴대 단말기(100)에서 사용자에 의한 방향전환을 감지하여 최적화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특히, 도 1b와 같은 가로모드의 경우 왼손잡이의 사용자(130)를 위한 왼손 가로모드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므로 왼손잡이 사용자 특성에 맞춘 UI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가로모드에서 세로모드로 전환되는 경우도 상술한 바와 같이 방향전환을 감지함으로써 모드전환이 수행된다. 즉, 왼손 가로모드 또는 오른손 가로모드인 상태에서 세로모드로의 전환이 감지되면 세로모드의 표시부(101)에 데이터를 표시하고, 입력키(102)를 배열한다. 또한, 세로모드의 경우 왼손잡이 및 오른손잡이의 구별을 하지 않고 동일한 UI로 제공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가로모드와 유사하게 세로모드의 경우도 왼손 세로모드 및 오른손 세로모드로 구분하여 입력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오른손잡이의 사용자 특성에 따라 전환되는 UI의 예들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a는 세로모드의 표시부(201)에 데이 터가 표시되고 세로모드의 입력키(202)가 배열된 상태에서 방향 전환에 따라 가로모드의 표시부(205)에 데이터가 표시되고 가로모드의 입력키(206)가 배열된 상태를 예를 들어 도시한다.
도 2a를 참조하면, 세로모드의 휴대 단말기(200)는 요청된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면서 발생되는 데이터를 세로모드 화면 크기에 맞춰 표시부(201)에 표시하고, 입력키(202)도 세로모드 입력키 배열에 맞춰 제공한다. 이때 입력키는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터치패드 영역뿐만 아니라 표시부(201)의 일부분에도 입력키(202)와 같이 배열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패드 영역은 도 2a의 입력키(202)가 제공되는 영역을 의미하며, 입력키(202)는 '상(Up)', '하(Down)', '좌(Left)', '우(Right)'키들뿐만 아니라 다른 기능을 제공하는 다수의 키들을 포함한다. 도 2a는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예로써 게임(Game)을 실행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세로모드의 표시부(201)를 통해 실행되는 게임 데이터가 표시되고 세로모드의 입력키(202)가 배열된 상태에서 오른손잡이의 사용자(210)에 의해 세로모드 휴대 단말기(100)가 조작되던 중 이동방향(220)과 같이 방향이 전환되면 전환되는 방향을 감지하여 가로모드로 휴대 단말기(200)의 상태를 전환한다. 즉, 휴대 단말기(200)는 세로모드의 표시부(201)를 통해 실행되는 게임 데이터를 가로모드의 표시부(205)를 통해 표시하고, 세로모드의 입력키(202)를 가로모드의 입력키(206)의 배열로 전환한다. 이때, 오른손잡이의 사용자(210)의 특성에 맞춰 데이터를 표시하고 입력키를 배열하기 위하여 이동방향(220)을 감지한다. 여기에서 감지된 휴대 단말기의 이동방향이 반시계방향인 경우 오른손잡이의 사용자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사용으로 인 식되고, 감지된 휴대 단말기의 이동방향이 시계방향인 경우 왼손잡이의 사용자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사용으로 인식된다고 가정한다.
가로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휴대 단말기(200)는 세로모드의 표시부(201)에 표시되던 게임 데이터를 가로모드의 표시부 화면 크기에 맞도록 전환하여 표시부(205)에 표시하고, 입력키도 가로모드 입력키 배열에 맞춰 제공한다. 특히, 이동방향(220)이 반시계방향이므로 휴대 단말기(200)는 오른손잡이의 사용자(210)를 위한 오른손 가로모드로 전환하여 표시부(205)에 데이터를 표시하고, 입력키(206)도 배열한다. 여기에서의 입력키(206)도 '상(Up)', '하(Down)', '좌(Left)', '우(Right)'키들뿐만 아니라 다른 기능을 제공하는 다수의 키들을 포함한다.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왼손잡이의 사용자 특성에 따라 전환되는 UI의 예들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b는 상술한 도 2a와 같이 세로모드의 표시부에 데이터가 표시되고 세로모드의 입력키가 배열된 상태에서 방향 전환에 따라 가로모드의 표시부에 데이터가 표시되고 가로모드의 입력키가 배열된 상태를 예를 들어 도시한다.
도 2b를 참조하면, 세로모드의 휴대 단말기(200)는 요청된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면서 발생되는 데이터를 세로모드 화면 크기에 맞춰 표시부(201)에 표시하고, 입력키도 세로모드 입력키 배열에 맞춰 제공한다. 도 2b도 또한 도 2a와 같이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이 게임 실행이라 가정하여 도시한다. 세로모드의 표시부(201)를 통해 실행되는 게임 데이터가 표시되고 세로모드의 입력키(202)가 배열된 상태에서 왼손잡이의 사용자(230)에 의해 세로모드 휴대 단말기(200)가 조작되 던 중 이동방향(221)과 같이 방향이 전환되면 전환되는 방향을 감지하여 가로모드로 휴대 단말기(200)의 상태를 전환한다. 즉, 휴대 단말기(200)는 세로모드의 표시부(201)를 통해 실행되는 게임 데이터를 가로모드의 표시부(205)를 통해 표시하고, 세로모드의 입력키를 가로모드의 입력키의 배열로 전환한다. 이때, 왼손잡이의 사용자(130)의 특성에 맞춰 데이터를 표시하고 입력키를 배열하기 위하여 이동방향(121)을 감지한다. 여기에서 감지된 휴대 단말기의 이동방향이 반시계방향인 경우 오른손잡이의 사용자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사용으로 인식되고, 감지된 휴대 단말기의 이동방향이 시계방향인 경우 왼손잡이의 사용자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사용으로 인식된다고 가정한다.
가로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휴대 단말기(200)는 세로모드의 표시부(201)에 표시되던 게임 데이터를 가로모드의 표시부 화면 크기에 맞도록 전환하여 표시부(205)에 표시하고, 입력키도 가로모드 입력키 배열에 맞춰 제공한다. 특히, 이동방향(221)이 시계방향이므로 휴대 단말기(200)는 왼손잡이의 사용자(230)를 위한 왼손 가로모드로 전환하여 표시부(205)에 데이터를 표시하고, 입력키(207)의 배열도 왼손잡이 사용자(230)에 맞춰 배열한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가로모드에서 세로모드로 전환되는 경우도 상술한 바와 같이 방향전환을 감지함으로써 모드전환이 수행된다. 즉, 왼손 가로모드 또는 오른손 가로모드인 상태에서 세로모드로의 전환이 감지되면 세로모드의 표시부(201)에 데이터를 표시하고, 입력키(202)를 배열한다. 또한, 세로모드의 경우 왼손잡이 및 오른손잡이의 구별을 하지 않고 동일한 UI로 제공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가로모드와 유사하게 세로모드의 경우도 왼손 세로모드 및 오른손 세로모드로 구분하여 입력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특정 어플리케이션이나 기능에 따른 획일적인 UI 제공이 아니라 사용자 특성에 따른 UI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예들을 구현하는 휴대 단말기(100 또는 200)의 내부 구성들을 도 3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예를 들어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였으나 도 3에 도시된 구성 이외의 구성들이 추가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가 이동통신 단말기에만 국한되지 않고 방향전환을 감지하는 센서(Sensor)를 구비하는 모든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무선통신부(310)는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면서 기지국과의 무선통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무선통신부(310)는 디지털 신호를 기저대역 변환, 증폭 및 업컨버팅(Upconverting)하여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다운컨버팅(Downconverting) 및 증폭을 통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데이터 처리부(320)는 무선통신부(310)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 입력부(374)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숫자/문자 데이터, 및 오디오 처리부(340)로부터 전달되는 음성 데이터 등을 처리한다. 데이터 처리부(320)는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부와,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 하는 수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데이터 처리부(320)는 모뎀(MOdulator/DEModulator: MODEM) 및 코덱(COder/DECoder: CODEC)을 포함할 수 있 다. 상기 코덱은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코덱과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이 있을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340)는 데이터 처리부(320)의 오디오 코덱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거나, 마이크(Microphone: MIC)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데이터 처리부(320)로 전달한다.
제어부(330)는 휴대 단말기(100, 2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330)는 데이터 처리부(320)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330)는 방향감지부(360)에 의해 감지된 방향에 따라 세로모드 또는 가로모드로 데이터를 표시하고, 입력키를 배열하며, 세로모드로부터 가로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왼손 가로모드의 전환인지 또는 오른손 가로모드로의 전환인지를 확인하여 그에 따른 입력키를 배열하고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저장부(350)는 휴대 단말기(100, 200)의 각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350)는 이동방향, 키배열 등 세로모드 또는 가로모드, 특히 왼손 가로모드 또는 오른손 가로모드로 데이터를 표시하고 입력키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한다. 방향 감지부(360)는 가로모드 및 세로모드간의 전환을 감지하고, 상기 가로모드 중에서 왼손 가로모드 및 오른손 가로모드간의 전환을 감지한다. 방향 감지부(360)는 휴대 단말기(100, 200)가 동작을 시작하는 기본 모드를 감지하고, 동작 수행 중 기본 모드로부터 이동되는 방향을 감지한다. 본 발명에서는 세로모드, 왼손 가로모드, 오른손 가로모드의 3가지를 예를 들어 설명하므로, 방향감지부(360)는 상기 3가지 모드들 중에서 휴대 단말기(100, 200)의 동작을 시작하는 기본 모드에 해당하는 방향을 감지하고, 기본 모드로부터 전환되는 방향을 감지한다. 이러한 방향 감지를 위해 방향감지부(360)는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및 가속도 센서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자이로스코프 센서나 가속도 센서 이외에 다른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Touchscreen)(370)은 표시부(372)와 입력부(374)를 구비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370)은 표시부와 입력부의 기능을 포함하며 표시부(372)는 휴대 단말기(100, 200)의 운용과정에서 발생되는 데이터를 표시한다. 표시부(372)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표시부(372)는 LCD제어부(LCD controller), 버퍼(Buffer) 및 LCD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372)는 가로모드 또는 세로모드에 따라 다른 화면크기에 맞춰 데이터를 표시하며, 왼손 가로모드 또는 오른손 가로모드에 따라 화면방향에 맞춰 데이터를 표시한다. 입력부(374)는 표시부 화면 또는 터치패드(Touchpad)에 접촉되는 터치(Touch)를 감지함으로써 입력을 수신하는데,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영역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제어부(330)로 출력한다. 터치 감지를 위해 입력부(374)는 터치 센서(Touch sensor)를 구비할 수 있다. 입력부(374)는 제어부(330)의 제어 하에 세로모드 또는 가로모드, 특히 왼손 가로모드 또는 오른손 가로모드에 따라 구별되는 입력키 배열을 제공하며,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영역을 감지하여 해당하는 입력신호를 제어부(33)로 출력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특성에 따른 UI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3의 제어부(330)는 405 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표시 부(372)에 데이터 표시가 요청되는지 확인한다. 여기에서 데이터 표시 요청은 표시부(372)의 LCD가 온(On)되어 표시부 화면을 통해 데이터 표시가 요청된 모든 상태를 의미한다. 410 단계에서 제어부(330)는 방향 감지부(360)에 의해 감지된 방향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 200)의 기본 모드를 확인한다. 여기에서 기본 모드는 크게 가로모드와 세로모드로 분류될 수 있으며, 상기 가로모드는 다시 왼손잡이 사용자를 위한 왼손 가로모드와 오른손잡이 사용자를 위한 오른손 가로모드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에서 기본 모드는 휴대 단말기(100, 200)가 놓여진 방향이 방향감지부(360)의 자이로스코프 센서 등에 의해 감지됨으로써 판단될 수 있다. 또한, 기본 모드가 가로 모드로 판단된 경우 왼손 가로모드 및 오른손 가로모드 중에서 기본 모드로써 미리 설정된 가로모드에서 데이터가 표시되고 입력키들이 배열된다고 가정한다. 상기 미리 설정된 가로모드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사용된 이력을 파악하여 주로 사용되는 가로모드가 미리 설정된 가로모드로써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다. 415 단계에서 제어부(330)는 확인된 휴대 단말기(100, 200)의 단말기 모드가 세로모드인지 확인한다. 세로모드인 경우 420 단계에서 제어부(330)는 도 1a 내지 도 2b의 좌측 휴대 단말기(100, 200)와 같이 세로모드의 표시부(101, 201) 화면에 맞춰 요청된 데이터를 표시하고, 세로모드의 입력키(102, 202)를 배열한다. 세로모드가 아닌 경우 즉, 가로모드인 경우 제어부(330)는 430 단계로 진행한다. 425 단계에서 제어부(330)는 단말기 모드 전환이 감지되는지 즉, 휴대 단말기(100, 200)의 방향 전환이 감지되는지 확인한다. 이때 단말기 모드 전환은 방향 감지부(360)의 가속도 센서 등에 의해 휴대 단말기(100, 200)가 이동되 는 방향을 감지함으로써 이동된 방향에 따라 판단될 수 있다. 단말기 모드 전환이 감지되지 않으면 450 단계에서 제어부(330)는 종료가 요청되는지 즉, 표시부에 데이터 표시 요청이 종료되는지 확인한다. 종료가 요청되면 제어부(330)는 종료하고 그렇지 않으면 420 단계로 되돌아간다.
단말기 모드 전환이 감지되면 제어부(330)는 430 단계에서 왼손잡이를 위한 가로모드인지 확인한다. 이때 왼손잡이 모드인지여부는 방향 감지부(360)에 의해 감지된 이동방향에 따르는데, 감지된 휴대 단말기의 이동방향이 반시계방향인 경우 오른손잡이의 사용자에 의한 오른손잡이 모드로 인식되고, 감지된 휴대 단말기의 이동방향이 시계방향인 경우 왼손잡이의 사용자에 의한 왼손잡이 모드로 인식된다고 가정한다. 왼손잡이 모드인 경우 435 단계에서 제어부(330)는 도 1b 및 도 2b의 우측 휴대 단말기(100, 200)와 같이 왼손 가로모드의 표시부(105, 205) 화면에 맞춰 해당하는 방향으로 요청된 데이터를 표시하고, 왼손 가로모드의 입력키(107, 207)를 배열한다. 만약 기본 모드가 가로 모드로 판단된 경우 왼손 가로모드 및 오른손 가로모드 중에서 기본 모드로써 미리 설정된 가로모드에서 데이터가 표시되고 입력키들이 배열된다. 제어부(330)는 440 단계에서 방향 감지부(360)에 의해 단말기 모드 전환이 감지되는지 확인한다. 단말기 모드 전환이 감지되면 제어부(330)는 420 단계로 되돌아가고 그렇지 않으면 445 단계로 진행하여 종료가 요청되는지 즉, 표시부에 데이터 표시 요청이 종료되는지 확인한다. 종료가 요청되면 제어부(330)는 종료하고 그렇지 않으면 435 단계로 되돌아간다.
왼손잡이 모드가 아닌 경우, 즉, 오른손잡이 모드인 경우 제어부(330)는 455 단계에서 도 1a 및 도 2a의 우측 휴대 단말기(100, 200)와 같이 오른손 가로모드의 표시부(105, 205) 화면에 맞춰 해당하는 방향으로 요청된 데이터를 표시하고, 오른손 가로모드의 입력키(106, 206)를 배열한다. 제어부(330)는 460 단계에서 방향 감지부(360)에 의해 단말기 모드 전환이 감지되는지 확인한다. 단말기 모드 전환이 감지되면 제어부(330)는 420 단계로 되돌아가고 그렇지 않으면 465 단계로 진행하여 종료가 요청되는지 즉, 표시부에 데이터 표시 요청이 종료되는지 확인한다. 종료가 요청되면 제어부(330)는 종료하고 그렇지 않으면 455 단계로 되돌아간다. 상기에서는 세로모드에서 가로모드로의 전환 및 가로모드에서 세로모드로의 전환만을 언급하였으나, 왼손 가로모드에서 오른손 가로모드로의 전환이나 오른손 가로모드에서 왼손 가로모드로의 전환이 수행될 수 있다. 이때에는 왼손 가로모드 또는 오른손 가로모드에서 세로모드로 이동 후 세로모드에서 이동되는 방향을 감지하여 해당하는 가로모드에서 데이터를 표시하거나 입력키들을 배열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본 발명은 가로모드와 세로모드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에 표시부에 표시하는 데이터뿐만 아니라 입력키들도 가로모드 또는 세로모드에 따라 구별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왼손잡이 사용자에 의한 사용인지 또는 오른손잡이 사용자에 의한 사용인지 여부 즉, 사용자 특성에 따라 표시부에 표시하는 데이터뿐만 아니라 입력키들도 구별하여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을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오른손잡이의 사용자 특성에 따라 전환되는 UI의 예들을 도시하는 도면.
도 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왼손잡이의 사용자 특성에 따라 전환되는 UI의 예들을 도시하는 도면.
도 2a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오른손잡이의 사용자 특성에 따라 전환되는 UI의 예들을 도시하는 도면.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왼손잡이의 사용자 특성에 따라 전환되는 UI의 예들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특성에 따른 UI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

Claims (13)

  1.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표시부 화면크기 및 입력키 배열에 의해 구분되는 가로모드 또는 세로모드로 전환 가능한 휴대 단말기에서 상기 가로모드 및 상기 세로모드간의 전환을 감지하는 과정과,
    세로모드에서 가로모드로의 전환인 경우 상기 입력키 배열에 의해 구분되는 왼손 가로모드로의 전환인지 오른손 가로모드로의 전환인지 확인하는 과정과,
    확인된 결과에 따라 상기 왼손 가로모드 또는 상기 오른손 가로모드에 해당하는 입력키 배열을 제공하고 상기 가로모드의 표시부 화면크기에 맞춰 데이터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모드이면 상기 표시부 화면의 가로길이의 비율이 세로길이의 비율보다 큰 상태로 하는 과정과,
    상기 세로모드이면 상기 표시부 화면의 세로길이의 비율이 상기 가로길이의 비율보다 큰 상태로 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왼손 가로모드는 상기 가로모드에서 왼손을 사용하는 사용자를 위한 입력키 배열을 제공하는 모드이고, 상기 오른손 가로모드는 상기 가로모드에서 오른손을 사용하는 사용자를 위한 입력키 배열을 제공하는 모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모드에 상기 세로모드로의 전환인 경우 상기 세로모드의 표시부 화면크기에 맞춰 데이터를 표시하고, 상기 세로모드에 해당하는 입력키 배열을 제공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데이터 표시 요청시 상기 휴대 단말기의 모드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된 휴대 단말기의 모드가 상기 세로모드인 경우 상기 세로모드의 표시부 화면크기에 맞춰 데이터를 표시하고, 상기 세로모드에 해당하는 입력키 배열을 제공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데이터 표시 요청시 상기 휴대 단말기의 모드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된 휴대 단말기의 모드가 상기 가로모드인 경우 상기 왼손 가로모드 및 상기 오른손 가로모드 중에서 미리 설정된 가로모드에 해당하는 입력키 배열을 제공하고 상기 가로모드의 표시부 화면크기에 맞춰 데이터를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7. 가로모드 또는 세로모드에 따라 다른 화면크기에서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세로모드, 왼손 가로모드, 또는 오른손 가로모드에 따라 다른 키배열을 제공하는 입력부와,
    상기 가로모드 및 상기 세로모드간의 전환을 감지하고, 상기 가로모드 중에서 상기 왼손 가로모드 및 상기 오른손 가로모드간의 전환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된 모드에 따라 해당하는 화면크기에 맞춰 데이터를 표시하고, 해당하는 키배열을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가로모드인 경우 화면의 가로길이의 비율이 세로길이의 비율보다 큰 상태이고, 상기 세로모드인 경우 상기 화면의 세로길이의 비율이 상기 가로길이의 비율보다 큰 상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로모드에서 상기 가로모드로의 전환인 경우 상기 왼손 가로모드로의 전환인지 상기 오른손 가로모드로의 전환인지 확인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왼손 가로모드인 경우 상기 가로모드에서 왼손을 사용하는 사용자를 위한 입력키 배열을 제공하고, 상기 오른손 가로모드인 경우 상기 가로모드에서 오른손을 사용하는 사용자를 위한 입력키 배열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가로모드의 화면에서 상기 왼손 가로모드 또는 상기 오른손 가로모드에 따라 해당하는 방향으로 데이터를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가로모드 및 상기 세로모드간의 전환 또는 상기 왼손 가로모드 및 상기 오른손 가로모드간의 전환을 감지하는 자이로스코프 센서 및 가속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3.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데이터 표시가 요청되면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단말기 모드를 확인하고, 상기 표시부를 통해 해당하는 화면크기에 맞춰 데이터를 표시하고, 상기 입력부에 의해 해당하는 키배열을 제공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080125921A 2008-12-11 2008-12-11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휴대 단말기 KR2010006738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5921A KR20100067381A (ko) 2008-12-11 2008-12-11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휴대 단말기
US12/635,835 US8761691B2 (en) 2008-12-11 2009-12-11 Method of providing user interface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5921A KR20100067381A (ko) 2008-12-11 2008-12-11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7381A true KR20100067381A (ko) 2010-06-21

Family

ID=42241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5921A KR20100067381A (ko) 2008-12-11 2008-12-11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761691B2 (ko)
KR (1) KR2010006738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09285A1 (en) * 2008-02-15 2009-08-20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touch-sensitive input device ...
KR20100067381A (ko) * 2008-12-11 2010-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휴대 단말기
JP2011188225A (ja) * 2010-03-09 2011-09-22 Sanyo Electric Co Ltd 電子カメラ
JP5655464B2 (ja) * 2010-09-24 2015-01-21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端末および動作制御方法
US11206182B2 (en) * 2010-10-19 2021-12-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tomatically reconfiguring an input interface
CN104049859A (zh) * 2013-03-15 2014-09-17 青岛海尔电子有限公司 智能终端及其软操控界面的显示控制方法
CN103425430B (zh) * 2013-07-24 2017-06-27 广州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在移动终端中支持单手输入文字的方法和设备
CN103731645B (zh) * 2014-01-21 2017-02-08 中国华录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无线视频传输技术的执法办案***
USD749440S1 (en) * 2014-05-30 2016-02-16 Yepzon Oy Locating and tracking device
WO2015180448A1 (zh) * 2014-05-30 2015-12-03 广州市动景计算机科技有限公司 移动终端播放方式切换方法、装置、存储介质和程序
CN105306997B (zh) * 2014-05-30 2018-12-14 广州市动景计算机科技有限公司 移动终端播放方式切换方法及装置
US20220171530A1 (en) * 2014-06-11 2022-06-02 Lenovo (Singapore) Pte. Ltd. Displaying a user input modality
CN109144354B (zh) * 2017-06-15 2021-04-02 阿里巴巴(中国)有限公司 旋转播放器视图层的方法和设备
JP1621612S (ko) * 2018-05-25 2019-01-07
CN111142674B (zh) * 2019-12-31 2021-09-14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控制方法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17309A (en) * 1993-05-03 1996-05-14 Barker; David D. Tool for analyzing a polarization state of a light beam
JPH0778120A (ja) * 1993-07-29 1995-03-20 Xerox Corp 手持ち演算装置及び手持ち演算装置における入力信号処理方法
US5537380A (en) * 1995-07-14 1996-07-16 Lowrance Electronics, Inc. Sonar system having an interactive sonar view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figuring same
US6073033A (en) * 1996-11-01 2000-06-06 Telxon Corporation Portable telephone with integrated heads-up display and data terminal functions
US6658272B1 (en) * 2000-04-28 2003-12-02 Motorola, Inc. Self configuring multiple element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6850784B2 (en) * 2001-01-31 2005-02-01 Microsoft Corporation Modular two-body design for integration of mobile computing device features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20030058255A1 (en) * 2001-09-21 2003-03-27 Yoichi Yamagishi Image management system
US7257430B2 (en) * 2002-05-11 2007-08-14 Motorola, Inc. Self configuring multiple element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7190351B1 (en) * 2002-05-10 2007-03-13 Michael Goren System and method for data input
US20040036680A1 (en) * 2002-08-26 2004-02-26 Mark Davis User-interface features for computers with contact-sensitive displays
US7006074B2 (en) * 2002-09-05 2006-02-28 Thomas Peter Chesters Multimodal pointer method
US6839576B2 (en) * 2002-12-30 2005-01-04 Motorola, Inc. Multiple axis hinge assembly
US7864159B2 (en) * 2005-01-12 2011-01-04 Thinkoptics, Inc. Handheld vision based absolute pointing system
JP2008131616A (ja) 2006-11-27 2008-06-05 Nec Saitama Ltd 携帯端末装置、表示方向切り替え方法、および、表示方向切り替えプログラム
CN101675410A (zh) * 2007-02-23 2010-03-17 Tp-I股份有限公司 使用数字装置中的指点设备的虚拟键盘输入***
KR101407501B1 (ko) * 2007-12-27 2014-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후면 키패드를 갖는 휴대 단말기
JP2009278411A (ja) * 2008-05-15 2009-11-26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携帯装置
KR20100067381A (ko) * 2008-12-11 2010-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휴대 단말기
US8508449B2 (en) * 2008-12-18 2013-08-13 Sharp Corporation Adaptiv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ed colour shift in LCDs
JP2010278509A (ja) * 2009-05-26 2010-12-09 Elmo Co Ltd 資料提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151913A1 (en) 2010-06-17
US8761691B2 (en) 2014-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67381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휴대 단말기
KR101662726B1 (ko) 전자 기기의 스크롤 방법 및 장치
US2010013174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ng mode of mobile terminal
KR20100082552A (ko)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감지 장치 및 방법
EP3396513A1 (en) Method and device for switching screen interface, and terminal
KR20110101585A (ko)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 전환 장치 및 방법
US9160831B2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operation in wireless terminal with removable case
KR20110028834A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터치 압력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WO2019154182A1 (zh) 应用程序的音量设置方法及移动终端
KR100849336B1 (ko) 복수의 표시부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키입력 방법 및장치
JP5908691B2 (ja) 携帯電子機器
KR100726233B1 (ko) 블루투스 휴대기기의 발신 장치 및 방법
KR20120074648A (ko) 전자기기의 터치 입력 방법 및 장치
KR20080048250A (ko)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CN111314903B (zh) 一种信息共享方法及电子设备
KR10166489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선호기능 자동 등록 및 실행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782075B1 (ko) 휴대 단말에서 화면 전환 장치 및 방법
US20130005406A1 (en) Mobile electronic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display control program
KR100835962B1 (ko) 단말기의 입력신호 제어 방법
KR20090079636A (ko) 움직임을 이용한 통화 수행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이동통신 단말기
KR100849293B1 (ko)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에서 키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0856239B1 (ko) 제1표시부 및 제2표시부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사용방법 및 장치
JP5353659B2 (ja) 携帯端末装置及び着信応答方法
KR20090012950A (ko) 어플리케이션 공유 방법 및 장치
JP2008078989A (ja) 携帯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1004296;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0727

Effective date: 20170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