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2050A - 층간 차음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층간 차음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2050A
KR20100062050A KR1020080120466A KR20080120466A KR20100062050A KR 20100062050 A KR20100062050 A KR 20100062050A KR 1020080120466 A KR1020080120466 A KR 1020080120466A KR 20080120466 A KR20080120466 A KR 20080120466A KR 20100062050 A KR20100062050 A KR 201000620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
insulating material
sound insulation
interlayer sound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0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무
이재왕
김정곤
Original Assignee
애경유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경유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애경유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0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62050A/ko
Publication of KR20100062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20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3Separately-laid layer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질 우레탄폼과 수지 발포폼이 적층되어 구성된 층간 차음재 및 상기 층간 차음재를 이용한 바닥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층간 차음재의 동탄성 계수, 손실계수, 밀도와 같은 물성을 최적화 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폼의 일면 또는 양면에 다양한 기능성층을 형성시킴으로써, 층간 차음성, 완충성, 기계적 강도, 시공성 및 단열성 등의 제반 물성이 탁월한 층간 차음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층간 차음재, 경질 우레탄폼, 수지 발포폼, 폴리에틸렌 발포폼, 단열성

Description

층간 차음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 방법{Sound-Insulating Material & Slab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공동 주택의 층간 소음을 저감 하기 위해 경질 우레탄폼을 응용하여 개발된 차음재에 관한 것으로서, 완충성, 내구성, 시공성, 단열성 등의 제반 물성이 우수하고, 타 소재와 가격 대비 차음성이 우수하며, 특히 바닥 충격에 의해 발생한 소음 및 진동 등을 효과적으로 흡수, 분산 및 차단시킬 수 있는 층간 차음재 및 상기 층간 차음재를 이용한 바닥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택의 여건 변화와 더불어 국내·외적으로 사용자(거주자) 보호를 위한 주택성능 확보가 주요한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특히 일본에서는 2000년‘품질확보촉진법’을 제정하고 주택의 공급과정에서 품질을 공시함으로써, 소비자의 선택에 따라 합리적인 주택의 공급과 소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공동주택의 전반적인 품질 향상과 성능 향상을 유도하여 국민의 주택품질 향상에 대한 요구에 부응함과 동시에 개인의 자산적 가치를 향상시키면서 국가적인 차원에 서 건전한 주택산업발전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주택 건설기술 및 주택산업의 발전을 촉진하고 국민이 주택의 품질과 성능을 미리 알고 선택할 수 있도록 객관적인 주택품질 표시 제도를 도입하기에 이르렀다.
그 가운데 공동주택에서 바닥 충격음 차단 성능과 관련한 성능 기준은「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제14조 제3항과 제4항에 다음과 같이 규정되어 있다.
제14조(세대 간의 경계벽 등)
③ 공동주택의 바닥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의 구조로 하여야 한다.
1. 각 층간 바닥 충격음이 경량충격음(비교적 가볍고 딱딱한 충격에 의한 바닥 충격음을 말한다)은 58데시벨 이하, 중량충격음(무겁고 부드러운 충격에 의한 바닥 충격음을 말한다)은 50데시벨 이하의 구조가 되도록 할 것. 이 경우 바닥 충격음의 측정은 건설교통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방법에 의하며, 그 구조에 관하여 건설교통부장관이 지정하는 기관으로부터 성능확인을 받아야 한다.
2. 건설교통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표준 바닥구조가 되도록 할 것
④ 건설교통부장관은 공동주택의 바닥 충격음 차단성능등급을 정하여 고시할 수 있다.
현 산업계에서는 위 규정에 부합되는 공동주택 건설을 위해 공동주택 주거환경을 저해하는 주요 요인으로 부각되고 있는 바닥충격음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다 양한 연구개발을 실시하고 있다. 특히 바닥슬래브 위에 단열기능과 함께 충격음 저감기능을 함께 구비한 다양한 차음재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차음재에 관한 몇 가지 예를 들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66993호는 슬래브 상에 접착물질이 혼합된 고무 소재를 깔고, 그 상부에 폴리에틸렌 발포 스폰지를 적층하여 차단층을 형성한 후, 상기 발포 스폰지 상에 바닥재를 형성하는 바닥 시공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6-38862호는 건축물의 층간 소음 방지재로 사용될 수 있는, 5 내지 200배의 발포 배율 및 특정 직경의 발포 셀을 갖는 열가소성 발포체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들은 모두 충간 소음을 저감하기 위한 부재로서 수지 발포폼을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수지 발포폼은 기존부터 단열 또는 완충 등의 목적으로 설치되고 있던 것으로, 그 예로는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또는 폴리염화비닐 등의 발포폼이 포함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발포폼의 경우 단열 또는 충격 완충성은 어느 정도 달성되나, 충간 소음발생의 주요 원인이 되는 바닥 충격음을 흡수, 분산, 소진시키는 효과는 만족스럽지 못하였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 2008-0027177호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오픈화셀화율이 20% 이상(60%이상, 80%이상인 것 포함)이고, 동탄성계수가 0.5 내지 10MN/m3인 오픈셀 함유 수지 발포폼을 포함하는 층간 차음재에 관한 것으로서, 충격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을 흡수하여 소진시키는데 효과적이라 한다. 그러나 이는 동탄성계수가 지나치게 낮아 손실계수가 커진다는 문제가 있다.
차음재는 상부에서 가하여진 충격진동을 전달경로 상에서 차단하는 기능을 가진 것으로 특히 경량충격음 저감에 유효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차음재를 사용한 바닥구조를 소위 뜬바닥(floating floor)구조라 일컫는데, 일반적으로 차음재의 동탄성계수 및 손실계수가 소음 저감효과를 결정하는 주요한 요소로 파악되고 있다. 그러나 동탄성 계수가 낮으면 차음 성능은 좋으나 보행감이 나빠지고 바닥 구조물에 쉽게 크랙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고 동탄성 계수가 크면 바닥 충격음 차음이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동탄성 계수와 구조적 안정성 간의 상관관계를 고려한 완충재 개발이 필요하였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을 고려하여 이루어지 것으로, 경질 우레탄 발포폼 또는 경질 우레탄 발포폼과 수지 발포폼의 합성폼을 이용하여, 바닥 충격음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층간 차음재 및 상기를 이용한 바닥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은 유기이소시아네이트, 발포제, 촉매, 폼안정제 및 폴리올브렌드를 소재로 제조된 것으로서, 상기 폴리올브렌드로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에 폴리에테르 폴리올을 전체 폴리올브렌드에 대해 10~40wt%로 혼합한 것을 사용하여 발포하는 방식으로 제작한 경질 우레탄폼으로 구성된 층간 차음재를 제공한다.
다만, 상기 층간 차음재의 차음성 향상을 위해서는 상기 경질 우레탄폼 상면 또는 하면에 수지 발포폼을 적층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수지 발포폼은 폴리우레탄 발포폼, 폴리우레아 발포폼, 폴리염화비닐 발포폼, 폴리프로필렌 발포폼, 폴리에틸렌 발포폼, 폴리스티렌 발포폼, 폴리비닐아세테이트 발포폼, 멜라민 수지 발포폼, 페놀 수지 발포폼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층간 차음재의 차음성과 내구성을 최적화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수지 발포폼으로써 폴리에틸렌 발포폼을 적용하고, 상기 경질 우레탄폼과 폴리에틸렌 발포폼의 두께비는 1:0.2~1로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취함으로써 동탄성계수가 5 내지 40 MN/㎥, 손실계수가 0.1 내지 0.3, 밀도가 20 내지 50이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층간 차음성, 물리적 강도, 시공성 및 단열성이 최적화된 층간 차음재를 구성해 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슬래브 상에 상기 층간 차음재를 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바닥 시공 방법을 함께 제공하며, 시공된 층간 차음재 상부에는 콘크리트층, 몰탈층 및 바닥 마감재를 순차 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차음재에 포함되는 경질 우레탄폼의 동탄성계수, 두께, 밀도와 같은 물성을 최적화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경질 우레탄폼의 일면 또는 양면에 수지 발포폼을 적층시킴으로써, 층간 차음성, 물리적 강도, 시공성 및 단열성 등의 제반 물성이 탁월하고 단열성도 좋은 층간 차음재 및 상기 층간 차음재를 사용한 바닥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경질 우레탄폼은 그 값이 저렴하여 여러 용도로 활용할 수 있으나, 기존에는 경질 우레탄폼만으로 차음재를 구성한 예가 없었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이 점에 착안하여 경질 우레탄폼을 차음재로 적용하기 위한 연구, 개발을 시행하였으며, 차음재는 차음성능 뿐만 아니라 물리적 강도, 시공성, 단열성 등의 제반 물성을 함께 고려해야 함에 주목하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유기이소시아네이트, 발포제, 촉매, 폼안정제 및 폴리올브렌드를 소재로 제조된 것으로서, 상기 폴리올브렌드로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에 폴리에테르 폴리올을 전체 폴리올브렌드에 대해 10~40wt%로 혼합한 것을 사용하여 발포하는 방식으로 제작하여, 클로즈드셀화율이 80%이상인 경질 우레탄폼으로 구성된 층간 차음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층간 차음재는 클로즈드셀화율이 80% 이상인 경질구조로서 내구성이 우수하다. 또한, 발포폼의 클로즈드셀화율이 높으면 셀 내부에 갇혀 있는 이산화탄소, 펜탄 및 CFC11 등의 낮은 열전도성으로 인해 단열성이 우수한 특성을 나타낸다. 첨부된 도 1은 이러한 클로즈드셀 구조를 촬영한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클로즈드셀과 상반되는 구조인 오픈셀은 셀의 일부분이라도 개방되어 있는 셀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며, 오픈셀화율이 높은 발포폼은 탄성과 차음성면에서 우수한 효과를 보이는데, 일반적으로는 오픈셀화율이 지나치게 낮으면(반대로 클로즈드셀화율이 지나치게 높으면) 차음성은 떨어지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차음재는 클로즈드셀화율이 높아 내구성과 단열성이 우수하면서도 법정 차음성 기준 이상 의 차음성능도 함께 구비한 것이다. 이에 대한 실험 데이터 등은 뒤에 기재하기 로 한다.
상기 발포제로는 HCFC-141b(CCl2FCH3)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폴리올브렌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여러 종류 중 1종 이상을 첨가한 것)에 폴리에테르 폴리올(여러 종류 중 1종 이상을 첨가한 것)을 전체 폴리올브랜드에 대해 10~40wt% 혼합한 것을 사용한다. 이는 폴리에테르 폴리올 함량이 10wt% 이하이면 폼의 수축 및 부서짐성이 증가되며, 40wt%를 초과하면 차음성능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기존에는 상기 경질 우레탄폼이 건축물 층간 차음재로 적용된 예가 없었으나 본 발명을 통해 그 용도를 새로이 확장할 수 있었다.
한편, 차음재의 차음성능은 동탄성계수로 나타낼 수 있으며, 차음재의 구조적 안정성은 손실계수로 나타낼 수 있다.
동탄성계수(s')는 동적 하중에 대한 동적 변위의 비로 정의하며 다음 식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8082730518-PAT00001
S는 시험편의 면적(㎡)
F는 시험편에 수직으로 가한 동적 하중(N)
Δd는 시험편 두께의 동적 변화값(m)
동탄성계수의 측정방법은 정현파가진법과 펄스가진법으로 구분되며, 펄스가진법은 단위면적당 동탄성계수의 산출을 감쇠진동파형에서 자유진동 부분의 파형으로부터 스펙트럼해석법과 시계열해석법 두 가지 방법 중 하나의 방법으로 가능하다. 본 발명은 스펙트럼 해석법을 이용하였다.
Figure 112008082730518-PAT00002
S't : 단위면적당의 겉보기 동탄성계수 [MN/㎥]
f0 : 진동계의 기본 고유주파수 [Hz]
m : 하중판의 단위면적당 질량 [kg/㎡]
Figure 112008082730518-PAT00003
이러한 동탄성계수는 그 값이 작을수록 차음성능이 좋은 것이며, 아래와 같은 특성을 보인다.
○ 동탄성 계수는 시편에 가해지는 단위면적당 하중에 비례함 (고정값)
○ 시편 두께의 동적 변화 값에 반비례함 (재질의 소프트함에 상관)
○ 식(3)의 값을 좌우하는 값은 재질의 고유 진동수이다.
○ 재질의 고유 진동수는 소프트함의 정도에 따라 정해진다.
상기 손실계수는 하중이 주어 졌을때 물체가 얼만큼 에너지를 흡수하는가 하는 정도를 말하는 것으로서, 그 값이 작을수록 구조적 안정성이 좋아지며, 아래의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8082730518-PAT00004
Figure 112008082730518-PAT00005
차음재의 동탄성계수가 작아지면 손실계수가 커지고, 손실계수가 작아지면 동탄성계수가 커지므로 위의 양 계수 중 어느 한쪽에 편중된 물성을 보유한 차음재는 곧 차음성과 기계적 강도 중 어느 하나에 약점을 보인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경질 우레탄폼의 동탄성계수와 손실계수를 적정 수준으로 조절하기 위한 방법으로 경질 우레탄폼의 상면 또는 하면에 수지 발포폼을 적층시킨 구조로 이루어진 층간 차음재를 제공한다.
상기 수지 발포폼으로서는 폴리우레탄 발포폼, 폴리우레아 발포폼, 폴리염화비닐 발포폼, 폴리프로필렌 발포폼, 폴리에틸렌 발포폼, 폴리스티렌 발포폼, 폴리비닐아세테이트 발포폼, 멜라민 수지 발포폼, 페놀 수지 발포폼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수지 발포폼으로서 폴리에틸렌 발포폼을 적용하고, 상기 경질 우레탄폼과 폴리에틸렌 발포폼의 두께비는 1:0.2~1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기술적 사상에 의해 동탄성계수가 5 내지 40 MN/㎥, 손실계수가 0.1 내지 0.3, 밀도가 20 내지 50인 층간 차음재를 얻을 수 있으며, 상기한 동탄성계수, 손실계수 및 밀도의 범위 내에서 적정 수준의 차음성과 내구성 갖춘 층간 차음재를 구성해 낼 수 있다. 이러한 층간 차음재는 그 두께가 20~40㎝인 것이 적절하며, 이하에서는 30㎝ 두께 기준으로 차음재 구성 내용(경질 우레탄폼과 폴리에틸렌 발포폼의 두께비)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의 물성 데이터를 설명하기로 한다.
[표 1] PU와 PE의 두께 비율에 따른 물성 데이터
Figure 112008082730518-PAT00006
※ PU : 경질 우레탄폼, PE : 폴리에틸렌 발포폼
위 [표 1]에 나타난 물성 데이터 값은 2번 실시예(PE:PU 두께비 = 1 : 2, 도 2의 (a) 참조)와 3번 실시예(PE:PU 두께비 = 1:1, 도 2의 (b) 참조)가 동탄성계수와 손실계수 측면에서 적절한 수준을 보인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저가 소재인 경질 우레탄폼만으로 이루어진 차음재에 대한 착상을 하여 물성시험을 한 결과 아래의 표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15.97의 동탄성 계수를 갖는 차음 성능에 도달함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경질 우레탄폼은 재질의 특성상 외부 충격에 의해 함몰 시 복원력이 없어 시공 시 파손의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동탄성계수를 더 개선하고 경질 우레탄폼을 보호하는 층으로 또 다른 수지 폼의 적층을 시도한 것이다. PE폼(폴리에틸렌 발포폼)은 9.66의 낮은 동탄성 계수를 가지고 있으나 열에 의한 변성으로 인해 단독 사용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PU 폼과 PE 폼을 적층함으로서 구조적 안정성과 차음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었다. 열에 대한 안정성을 얻기 위한 이유는 바닥 구조에 고온의 난방 배관 있어 열에 약한 차음재의 경우 초기 시공 이후 변질에 의해 그 성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기 때문이다.
[표 2] 열처리 후 물성 데이터 변화 값
Figure 112008082730518-PAT00007
※ 열처리라 함은 KS M ISO 4898(경질 발포 플라스틱-건축물단열재 시방)에 의거 KS M ISO 1796(경질 발포 플라스틱 시험법)으로 70℃에서 48시간 열을 가하는 것이다. 이러한 열처리 후에는 부피변화가 5% 이내여야 한다.
[표 2]는 70℃로 48시간 동안 진행한 열처리 후의 층간 차음재 물성 데이터의 변화 값을 나타낸 것이다. 2번 실시예(PE:PU 두께비 = 1 : 2, 도 2의 (a) 참조)와 3번 실시예(PE:PU 두께비 = 1:1, 도 2의 (b) 참조) 모두 열처리에 따른 물성 변화 값이 크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으나 3번 실시예는 외형상 약간의 휘어짐이 발생하였다. 폴리에틸렌폼은 원래 열에 약하기 때문에 폴리에틸렌폼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큰 3번 실시예에 휘어짐이 발생한 것이며, 경질 우레탄폼은 내구성이 커 위와 같은 약점을 보완하는 역할을 한다.
[표 1]에 따르면 5번 실시예가 차음성면에서는 가장 좋으나 열에 의한 휘어짐이 심해 본 형체를 유지하지 못하였고 3번, 4번 실시예 역시 다소 휘어짐이 있어, 2번 실시예와 같은 완벽함을 유지하진 못하였다.
따라서 2번 실시예를 최적 실시예로 설정하여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에 [도 3]의 구조로 시공한 바닥에 대한 바닥 충격음 시험을 의뢰한 결과 경량충격음은 45dB, 중량충격음은 47dB이 측정되었다.(이 시험에서 슬래브, 차음재, (경량기포) 콘크리트층, 몰탈층의 두께는 각각 180, 30, 40, 40㎜로 시공하였다.) 건교부(국토해양부) 고시에서 정한 기준은 경량충격음은 58dB 이하, 중량충격음은 50dB 이하이므로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차음재는 법정 기준보다 우수한 차음성능을 갖춘 것으로 판정되었다.
한편, 본 발명은 열전도율이 0.019 내지 0.030㎉/m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차음재를 제공한다.
열전도율(λ)은 열을 재료의 앞쪽 표면에서 뒤쪽 표면으로 전달하는 것을 말하며, 두께 1m, 면적 1㎡인 재료의 앞쪽표면에서 뒤쪽 표면으로 1℃ 온도차로 1시간 동안 전달된 열량(㎉/mh℃)을 말한다. 이러한 열전도율은 그 수치가 낮을수록 단열성이 좋은 것인데, 일반적으로 단열재로 많이 쓰이는 EPS(스티로폼)의 열전도율은 밀도 30㎏/㎥ 이상인 스티로폴(스티로폴 1호)에서 0.031㎉/mh℃, 밀도 25~30㎏/㎥인 스티로폴(스티로폴 2호)에서 0.032㎉/mh℃, 밀도 20~30㎏/㎥인 스티로폴(스티로폴 3호)에서 0.034㎉/mh℃, 밀도 15~20㎏/㎥인 스티로폴(스티로폴 4호)에서 0.037㎉/mh℃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차음재의 몇 가지 실시예에 대한 열전도율을 테스트 해 본 결과 아래 [표 3]의 결과를 확인하였으며, 이는 기존의 단열재보다 우수한 단열성을 보인 것이다.
[표 3] PU와 PE의 두께 비율에 따른 열전도율
Figure 112008082730518-PAT00008
※ PU : 경질 우레탄폼, PE : 폴리에틸렌 발포폼
본 발명은 또한, 슬래브 상에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차음재를 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바닥 시공 방법을 제공하며, 이에는 시공된 층간 차음재 상부에는 콘크리트층, 몰탈층 및 바닥 마감재를 순차 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첨부된 도 3은 상기와 같은 시공 방법에 의해 형성된 바닥 시공 구조의 일 태양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도 3은 슬래브 상에 층간차음재, 콘크리트층, 몰탈층이 순차 시공된 상태를 나타내며, 부호 W는 건축물의 벽체를 나타낸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차음재는 슬래브 위에 설치되고, 이를 통해 충격음 또는 진동이 차단된다. 통상적으로 상기 콘크리트층은 경량 기포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몰탈층에는 난방 또는 가스 배관을 위한 파이프를 매설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 각 단계의 구체적인 시공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이 분야의 일반적인 시공방법을 사용하여 용이 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한 경질 우레탄폼의 전자현미경 사진(SEM)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따른 층간 차음재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층간 차음재를 적용한 건축물 바닥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층간 차음재
11 : 경질 우레탄폼 12 : 폴리에틸렌 발포폼
20 : 콘크리트층 30 : 몰탈층
S : 슬래브 W : 벽체
P : 파이프

Claims (8)

  1. 유기이소시아네이트, 발포제, 촉매, 폼안정제 및 폴리올브렌드를 소재로 제조된 것으로서, 상기 폴리올브렌드로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에 폴리에테르 폴리올을 전체 폴리올브렌드에 대해 10 내지 40wt%로 혼합한 것을 사용하여 발포하는 방식으로 제작하여, 클로즈드셀화율이 80%이상인 경질 우레탄폼으로 구성된 층간 차음재.
  2. 제1항에 있어서,
    열전도율이 0.019 내지 0.030㎉/m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차음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 우레탄폼 상면 또는 하면에 수지 발포폼을 적층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차음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발포폼은 폴리우레탄 발포폼, 폴리우레아 발포폼, 폴리염화비닐 발포폼, 폴리프로필렌 발포폼, 폴리에틸렌 발포폼, 폴리스티렌 발포폼, 폴리비닐아세테이트 발포폼, 멜라민 수지 발포폼, 페놀 수지 발포폼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차음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발포폼은 폴리에틸렌 발포폼인 것으로서,
    상기 경질 우레탄폼과 폴리에틸렌 발포폼의 두께비는 1:0.2~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차음재.
  6. 제5항에 있어서,
    동탄성계수가 5 내지 40MN/㎥, 손실계수가 0.1 내지 0.3, 밀도가 20 내지 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차음재.
  7. 슬래브 상에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층간 차음재를 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바닥 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시공된 층간 차음재 상부에 콘크리트층, 몰탈층을 순차 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시공 방법.
KR1020080120466A 2008-12-01 2008-12-01 층간 차음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 방법 KR201000620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0466A KR20100062050A (ko) 2008-12-01 2008-12-01 층간 차음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0466A KR20100062050A (ko) 2008-12-01 2008-12-01 층간 차음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2050A true KR20100062050A (ko) 2010-06-10

Family

ID=42362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0466A KR20100062050A (ko) 2008-12-01 2008-12-01 층간 차음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6205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1252B1 (ko) * 2012-04-26 2014-03-07 한일이화주식회사 폴리우레탄 폼을 갖는 자동차 내장재용 적층체 및 제조방법
ES2580839A1 (es) * 2016-04-05 2016-08-29 Flexicel Industrial, S.L.U. Bloque aislante autoportante y método para su fabricación
KR20180085136A (ko) * 2017-01-18 2018-07-26 코스파 주식회사 차음용 적층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1252B1 (ko) * 2012-04-26 2014-03-07 한일이화주식회사 폴리우레탄 폼을 갖는 자동차 내장재용 적층체 및 제조방법
ES2580839A1 (es) * 2016-04-05 2016-08-29 Flexicel Industrial, S.L.U. Bloque aislante autoportante y método para su fabricación
KR20180085136A (ko) * 2017-01-18 2018-07-26 코스파 주식회사 차음용 적층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0641B1 (ko) 층간 차음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 방법
KR100763434B1 (ko) 층간 소음방지 바닥재
KR100783117B1 (ko) 바닥 충격음 저감을 위한 층간 차음재
KR20100062050A (ko) 층간 차음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 방법
KR101283869B1 (ko) 층간 차음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 방법
EP1447495B1 (en) Method for producing a floor
KR101331665B1 (ko) 차음재의 제조방법
KR100643036B1 (ko) 공동주택의 바닥충격음 차음구조
KR200429297Y1 (ko) 공동주택의 바닥충격음 차음구조
KR200470795Y1 (ko) 차음재
KR100743246B1 (ko) 공동주택의 바닥충격음 차음구조
KR200419652Y1 (ko) 바닥충격음 차단구조
KR100806728B1 (ko) 소음 및 충격음 저감용 완충재
KR20070065989A (ko) 방수시트, 마그네슘 보드, pet 흡음재 및 방진고무를사용한 바닥충격음 차단구조
KR101302295B1 (ko) 층간 차음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 방법
KR100407780B1 (ko) 충격음 저감용 고분자 복합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993981B1 (ko) 바닥 충격음 흡수 패널용 발포 폴리스틸렌층 및 이를구비한 바닥 충격음 흡수 패널
KR200378944Y1 (ko) 댐핑시트를 구비한 건축물 층간소음저감재
KR20090010378U (ko) 차음재
KR100716665B1 (ko) 공동주택의 바닥충격음 차음구조
KR101302270B1 (ko) 층간 차음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 방법
KR100357024B1 (ko) 공동주택의 바닥충격음 차음구조 및 그 차음구조에이용되는 폴리우레탄
KR100468394B1 (ko) 충격음 저감용 고분자 발포체
KR20050067789A (ko) 건축물의 층간 소음 및 진동 흡수구조
KR20190014838A (ko) 복합 판넬, 그 제조방법 및 건축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