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4319A - 창문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창문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4319A
KR20100054319A KR1020080113195A KR20080113195A KR20100054319A KR 20100054319 A KR20100054319 A KR 20100054319A KR 1020080113195 A KR1020080113195 A KR 1020080113195A KR 20080113195 A KR20080113195 A KR 20080113195A KR 20100054319 A KR20100054319 A KR 201000543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opening
lead screw
conductor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3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0484B1 (ko
Inventor
이두현
Original Assignee
이두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두현 filed Critical 이두현
Priority to KR1020080113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0484B1/ko
Publication of KR20100054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43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0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04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temperature changes, rain, wind or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문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벽체에 고정설치되는 창틀 전면에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리드스크류와, 상기 리드스크류와 축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리드스크류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리드스크류가 관통결합되고 상기 창틀 내에 구비된 창문에 고정되어 상기 창문을 따라 좌우이동하는 이동브라켓과, 상기 이동브라켓의 내부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리드스크류와 맞물림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리드스크류가 회전할 시 좌우로 이동하여 창문을 개폐하는 너트부재로 이루어지는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의 너트부재와 상기 리드스크류의 맞물림결합여부에 따라 창문이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상기 너트부재를 상하이동시키는 상하이동부재와; 상기 상하이동부재와 상기 개폐부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개방된 상태의 창문을 통해 실내로 빗물 등이 들어올 우려가 없음은 물론 상하이동하는 너트부재와 리드스크류와의 맞물림결합여부에 따라 창문이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창문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개폐부재, 상하이동부재, 제어부

Description

창문개폐장치{A WINDOW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체에 고정설치되는 창틀 전면에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리드스크류와, 상기 리드스크류와 축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리드스크류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리드스크류가 관통결합되고 상기 창틀 내에 구비된 창문에 고정되어 상기 창문을 따라 좌우이동하는 이동브라켓과, 상기 이동브라켓의 내부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리드스크류와 맞물림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리드스크류가 회전할 시 좌우로 이동하여 창문을 개폐하는 너트부재로 이루어지는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의 너트부재와 상기 리드스크류의 맞물림결합여부에 따라 창문이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상기 너트부재를 상하이동시키는 상하이동부재와; 상기 상하이동부재와 상기 개폐부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문은 건축물의 벽체에 고정설치되어 외부의 풍경이 보이도록 함과 동시에 채광 및 환기를 목적으로 설치된다.
창문은 구조에 따라 슬라이딩 개폐되는 미닫이형과, 힌지에 의해 회전개폐되 는 여닫이형 및 암(Arm)에 의해 회전개폐되는 암형으로 대별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창문은 사람이 직접 여닫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나 관리자가 건물의 실내 환기를 위해 문을 열어 놓거나 창문을 사용 후 문을 닫지 않고 퇴근 또는 외부로 나간 상태에서 비 등이 내리게 될 경우 열어진 상태의 창문을 통해 빗물 등이 고스란히 실내로 들어와 실내를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특히 비가 올경우 열어진 상태의 창문을 자동으로 폐쇄하여 빗물 등이 실내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창문개폐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개방된 상태의 창문을 통해 실내로 빗물 등이 들어올 우려가 없음은 물론 상하이동하는 너트부재와 리드스크류와의 맞물림결합여부에 따라 창문이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창문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게 되는 창문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체에 고정설치되는 창틀 전면에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리드스크류와, 상기 리드스크류와 축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리드스크류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리드스크류가 관통결합되고 상기 창틀 내에 구비된 창문에 고정되어 상기 창문을 따라 좌우이동하는 이동브라켓과, 상기 이동브라켓의 내부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리드스크류와 맞물림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리드스크류가 회전할 시 좌우로 이동하여 창문을 개폐하는 너트부재로 이루어지는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의 너트부재와 상기 리드스크류의 맞물림결합여부에 따라 창문이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상기 너트부재를 상하이동시키는 상하이동부재와; 상기 상하이동부재와 상기 개폐부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개폐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외부의 비를 감지하는 비감지센서와; 외부의 바람을 감지하는 바람감지센서와; 외부의 눈을 감지하는 눈감지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상하이동부재와 상기 개폐부재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비감지센서는 창틀 후면에 설치되고, 타측면에 수평바가 일정간격으로 연장형성되는 일측 전도체와, 상기 일측 전도체의 수평바 사이에 위치하는 수평바가 일측면에 일정간격으로 연장형성되는 타측 전도체로 이루어지는 전도체와; 상기 일측 전도체와 타측 전도체 사이에 구비되는 비전도체와; 상기 일측 전도체의 수평바와 상기 타측 전도체의 수평바로 전기가 공급된 상태에서 상기 일측 전도체의 수평바와 상기 타측 전도체의 수평바 사이로 비가 유입될 시 누전되는 전기의 감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누전감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는 전기의 누전감도수치를 미리 입력할 수 있는 누전감도입력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누전감지부가 출력하는 전기의 누전감도수치와 미리 입력된 누전감도수치를 비교하여 상기 상하이동부재와 상기 개폐부재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는 리모콘이 송신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에서 출력 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상하이동부재와 개폐부재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제어부가 상하이동부재와 개폐부재를 제어하여 특히, 개방된 상태의 창문이 자동으로 폐쇄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개방된 상태의 상기 창문을 통해 실내로 빗물, 강한 바람, 눈 등이 들어올 우려가 없음은 물론 상하이동하는 너트부재와 리드스크류의 맞물림결합여부에 따라 창문이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창문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가 비감지센서, 바람감지센서 및 눈감지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상하이동부재와 상기 개폐부재를 제어하여 개방된 상태의 창문이 자동으로 폐쇄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개방된 상태의 상기 창문을 통해 실내로 빗물, 바람, 눈 등이 들어올 우려를 보다 더욱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상기 비감지센서가 전도체, 비전도체 및 누전감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비감지센서가 외부의 비를 보다 더욱 용이하게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상기 제어부가 상기 누전감지부가 출력하는 전기의 누전감도수치와 미리 입력된 누전감도수치를 비교하여 상기 상하이동부재와 상기 개폐부재를 제어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전기의 누전감도에 따라 개방된 상태의 창문이 자동 으로 폐쇄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리코콘이 송신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가 출력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상기 상하이동부재와 개폐부재를 제어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예를 들어 먼거리에서도 상기 리모콘을 사용하여 상기 제어부를 통해 창문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보다 간편하고 편리하게 개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창문개폐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개폐부재(10)의 단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창문개폐장치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개폐부재(10), 상하이동부재(30) 및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창문개폐장치는 예를 들어 특히, 베란다용 창문에 설치될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상기 개폐부재(10)는 창틀(5)내에 구비된 창문(7)을 좌우방향으로 이 동시켜 창문(7)을 개방 및 폐쇄하는 것으로써,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건축물의 벽체에 고정설치되는 창틀(5) 전면에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리드스크류(110)와; 상기 리드스크류(110)와 축결합된 상태에서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리드스크류(110)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30)와; 상기 리드스크류(110)가 관통결합되고, 상기 창틀(5) 내에 구비된 창문(7)에 고정되어 상기 창문(7)을 따라 좌우이동하는 이동브라켓(150)과; 상기 이동브라켓(150)의 내부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리드스크류(110)와 맞물림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리드스크류(110)가 회전할 시 좌우로 이동하여 창문(7)을 개폐하는 금속재질 등의 너트부재(17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리드스크류(110)의 양단부는 예를 들어,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창틀(5)의 전면에 베어링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브라켓(150)의 양측에 형성된 관통구(도 2의 151)로는 상기 리드스크류(110)가 관통결합되는데, 이때 상기 이동브라켓(150)이 상기 창문(7)을 따라 보다 용이하게 좌우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브라켓(150)의 관통구(151)의 내경크기가 상기 리드스크류(110)의 외경크기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는 창문(7)이 우측으로 이동하여 개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6은 창문(7)이 좌측으로 이동하여 폐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너트부재(170)는 예를 들어, 단면이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중심부에 원형 형상의 관통구(171)가 형성될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상기 너트부재(170)의 관통구(171)의 내경은 상기 리드스크류(11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너트부재(170)의 관통구(171)의 상부 내주연과 하부 내주연 중 하부 내주연에는 상기 리드스크류(110)의 외주연에 형성된 수나사부(도 2의 111)와 맞물림결합되는 암나사부(도 2의 173)가 형성된다.
상기 너트부재(170)가 상기 상하이동부재(30)에 의해 상승하게 될 시 상기 너트부재(170)의 관통구(171) 하부 내주연에 형성된 암나사부(173)는 상기 리드스크류(110)의 외주연에 형성된 수나사부(111)와 맞물림 결합되고, 이상태에서 상기 리드스크류(110)가 정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될 시 상기 너트부재(170)는 좌우로 이동하여 창문(7)을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자동으로 개폐하게 된다.
상기 너트부재(170)가 상기 상하이동부재(30)에 의해 하강하게 될 시 상기 너트부재(170)의 하부 내주연에 형성된 암나사부(173)와 상기 리드스크류(110)의 외주연에 형성된 수나사부(111)의 맞물림 결합상태는 해제되는데, 이상태에서 사용자는 창문(7)을 좌우로 직접 이동시켜 창문(7)을 수동으로 개폐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개폐부재(10)의 너트부재(170)와 상기 리드스크류(110)와의 맞물림결합여부에 따라 창문(7)이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나아가, 상기 너트부재(170)는 예를 들어,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단면이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부가 절개되어 중심부에 상부가 개방된 반원 형상의 상기 관통구(171)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반원형상의 상기 관통구(171)의 내주연에는 상기 너트부재(170)가 상기 상하이동부재(30)에 의해 상하이동될 시 상기 리드스크류(110)의 외주연에 형성된 수나사부(111)와 맞물림결합되는 암나사부(173)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상하이동부재(30)는 상기 개폐부재(10)의 너트부재(170)와 상기 리드스크류(110)의 맞물림결합여부에 따라 창문(7)이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상기 너트부재(170)를 상하이동시키는 것으로써,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이동브라켓(15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너트부재(170)를 상하이동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상하이동부재(30)의 내부에는 상하이동가능한 자성을 지닌 로드(301)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로드(301)의 상단은 상기 상하이동부재(30)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너트부재(170)의 하단에 예를 들어, 용접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상하이동부재(30)의 로드(301)는 예를 들어, 상기 상하이동부재(30)의 내부에 구비되는 공지된 전자석의 극성변화에 의해 상하이동될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다 다양한 방법에 의해 상하이동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상하이동부재(30)의 내부에 구비된 상기 전자석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로드(301)와 같은 자성을 발생시킬 경우 척력(斥力)에 의해 상기 로드(301)는 상승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전자석이 상기 로드(301)와 다른 자성을 발생시키게 될 경우 인력(引力)에 의해 상승되었던 상기 로드(301)가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상하이동부재(30)의 로드(301)가 상승될 시 상기 너트부재(170)는 상기 로드(301)를 따라 상승하여 상기 리드스크류(110)와 맞물림결합되고, 상기 상하이동부재(30)의 로드(301)이 하강할 시 상기 너트부재(170)는 상기 로드를 따라 하강하기 때문에 상기 너트부재(170)와 상기 리드스크류(110)의 맞물림결합상태는 해제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비감지센서(5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8은 제어부(70)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70)는 전원공급부(70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상하이동부재(30)의 전자석과 상기 개폐부재의 구동모터(130)를 제어하는 것으로써, 외부의 비를 감지하는 비감지센서(50)와; 외부의 바람을 감지하는 바람감지센서(53)와; 외부의 눈을 감지하는 눈감지센서(55)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상하이동부재(30)의 전자석과 상기 개폐부재(10)의 구동모터(130)를 제어하여 개방된 상태의 창문(7)을 좌측으로 이동시켜 폐쇄시키거나 폐쇄된 상태의 창문(7)을 우측으로 이동시켜 개방시키는 것이 좋다.
상기 비감지센서(50), 바람감지센서(53) 및 눈감지센서(55)는 예를 들어 상기 개폐부재(10)의 리드스크류(110)가 설치되는 창틀(5) 후면에 일정간격으로 설치 되어 외부의 비, 바람, 눈을 각각 감지하여 그 신호를 상기 제어부(70)로 출력하게 되는데, 이중 상기 바람감지센서(53)와 눈감지센서(55)는 공지된 기술임과 동시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이해하여 실시할 수 있는 사항임으로 자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70)가 비감지센서(50), 바람감지센서(53) 및 눈감지센서(55)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상하이동부재(30)와 상기 개폐부재(10)를 제어하여 개방된 상태의 창문(7)이 폐쇄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개방된 상태의 상기 창문(7)을 통해 실내로 빗물, 강한 바람, 눈 등이 들어올 우려를 보다 더욱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비감지센서(50)는 예를 들어 도 7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창틀(5) 후면에 설치되고, 타측면에 수평바(513)가 일정간격으로 연장형성되는 일측 전도체(511)와, 상기 일측 전도체(511)의 수평바(513) 사이에 위치하는 수평바(517)가 일측면에 일정간격으로 연장형성되는 타측 전도체(515)로 이루어지는 전도체(510)와; 상기 일측 전도체(511)와 타측 전도체(515) 사이에 구비되는 비전도체(530)와; 상기 일측 전도체(511)의 수평바(513)와 상기 타측 전도체(515)의 수평바(517)로 전기가 공급된 상태에서 상기 일측 전도체(511)의 수평바(513)와 상기 타측 전도체(515)의 수평바(517) 사이로 비가 유입될 시 누전되는 전기의 감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그 신호를 출력하는 누전감지부(5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예를 들어 상기 전도체(510)는 알루미늄 재질 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비전도체(530)는 고무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상기 비감지센서(50)가 전도체(510), 비전도체(530) 및 누전감지부(550)를 포함하여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비감지센서(50)가 외부의 비를 보다 더욱 용이하게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70)로 출력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70)에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기의 누전감도수치를 미리 입력할 수 있는 누전감도입력부(71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비감지센서(50)의 누전감지부(550)가 출력하는 전기의 누전감도수치와 상기 누전감도입력부(710)를 통해 미리 입력된 누전감도수치를 비교하여 상기 상하이동부재(30)와 상기 개폐부재(10)를 제어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누전감도입력부(710)는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70)상에 누름식 버튼 또는 다이얼 버튼 등으로 구비될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창문(7)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비감지센서(50)의 누전감지부(550)가 출력하는 전기의 누전감도수치가 상기 제어부(70)에 미리 입력된 누전감도 수치보다 낮을 경우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상하이동부재(30)의 로드(301)가 하강될 수 있도록 상기 상하이동부재(30)의 전자석을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개폐부재(10)의 구동모터(130)의 구동을 중지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비감지센서(50)의 누전감지부(550)가 출력하는 전기의 누전감도수치가 상기 제어부(70)에 미리 입력된 누전감도 수치보다 높을 경우 상기 제어 부(70)는 상기 상하이동부재(30)의 로드가 상승될 수 있도록 상기 상하이동부재(30)의 전자석을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개폐부재(10)의 구동모터(130)를 구동시켜 개방된 상태의 창문(7)이 좌측으로 이동되어 폐쇄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70)가 상기 누전감지부(550)가 출력하는 전기의 누전감도수치와 미리 입력된 누전감도수치를 비교하여 상기 상하이동부재(30)와 상기 개폐부재(10)를 제어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전기의 누전감도에 따라 개방된 상태의 창문(7)이 자동으로 폐쇄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창틀(5)내에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된 창문(7)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90)가 더 구비되는 것이 좋다.
상기 위치감지센서(90)는 예를 들어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창문(7)을 따라 좌우이동하는 상기 이동브라켓(150)의 양측에 각각 고정부착된 일측 자석(910) 및 타측 자석(930)과; 창틀(5)의 전면에 일정간격으로 구비되고, 상기 창문(7)을 따라 좌우이동하는 상기 이동브라켓(150)의 양측에 각각 고정부착된 일측 자석(910) 및 타측 자석(930)의 자력을 감지하는 일측 홀센서(950) 및 타측 홀센서(97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위치감지센서(9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상하이동부재(30)와 상기 개폐부재(10)를 제어하는 것이 좋다.
상기 제어부(70)의 제어에 의해 작동되는 상기 상하이동부재(30)와 상기 개폐부재(10)에 의해 개방된 상태의 창문(7)이 좌측방향으로 이동할 시 상기 이동브라켓(7)은 상기 창문(7)을 따라 좌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상기 이동브라 켓(7)의 일측에 고정부착된 상기 일측 자석(910)과 상기 일측 홀센서(950)의 거리는 좁혀지게 됨과 동시에 상기 일측 홀센서(950)가 상기 일측 자석(910)의 자력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70)로 그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일측 홀센서(95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창문(7)이 완전히 폐쇄된 것으로 인식하여 상기 상하이동부재(30)의 로드(301)가 하강될 수 있도록 상기 상하이동부재(30)의 전자석을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개폐부재(10)의 구동모터(130)의 구동을 중지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70)의 제어에 의해 작동되는 상기 상하이동부재(30)와 상기 개폐부재(10)에 의해 폐쇄된 상태의 창문(7)이 우측방향으로 이동할 시 상기 이동브라켓(7)은 상기 창문(7)을 따라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상기 이동브라켓(7)의 타측에 고정부착된 상기 타측 자석(930)과 상기 타측 홀센서(970)의 거리는 좁혀지게 됨과 동시에 상기 타측 홀센서(970)가 상기 타측 자석(910)의 자력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70)로 그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타측 홀센서(97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창문(7)이 완전히 개방된 것으로 인식하여 상기 상하이동부재(30)의 로드(301)가 하강될 수 있도록 상기 상하이동부재(30)의 전자석을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개폐부재(10)의 구동모터(130)의 구동을 중지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70)는 리모콘(100)이 송신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101)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상하이동부재(30)와 상기 개폐부재(10)를 제어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리모콘(100)은 상기 수신부(101)로 예를 들어, RF신호등을 송신할 수 있겠으나, 상기 상하이동부재(30)와 상기 개폐부재(10)의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특히 적외선 신호를 상기 수신부(101)로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수신부(101)는 예를 들어, 상기 창틀(5)의 전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리모콘(100)의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는 적외선 수신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상기 리모콘(100)에는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창문(7)이 수동으로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도록 상기 상하이동부재(30)와 상기 개폐부재(10)의 작동을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개방 및 폐쇄버튼과; 상기 상하이동부재(30)와 상기 개폐부재(10)의 작동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전환할 수 있는 수동/자동전환버튼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리모콘(100)의 수동/자동전환버튼을 조작하여 상기 상하이동부재(30)와 상기 개폐부재(10)의 작동을 수동상태로 전환시킨 경우 사용자는 먼거리에서 상기 개방 및 폐쇄버튼을 사용하여 상기 상하이동부재(30)와 상기 개폐부재(10)의 작동을 수동으로 직접 제어하여 창문을 수동으로 개폐시키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리모콘(100)의 수동/자동전환버튼을 조작하여 상기 상하이동부재(30)와 상기 개폐부재(10)의 작동을 자동상태로 전환시킨 경우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비감지센서(50), 바람감지센서(53) 및 눈감지센서(55)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상하이동부재(30)와 개폐부재(10)의 작동을 자동으로 제어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리모콘(100)이 송신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상기 수신부(101)가 출력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70)가 상기 상하이동부재(30)와 상기 개폐부재(10)를 제어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예를 들어, 먼거리에서도 상기 리모콘(100)을 사용하여 상기 제어부(70)를 통해 창문(7)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보다 간편하고 편리하게 개폐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비감지센서(50), 바람감지센서(53) 및 눈감지센서(55)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70)가 상기 상하이동부재(30)와 개폐부재(10)를 제어하여 개방된 상태의 창문(7)이 폐쇄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개방된 상태의 상기 창문(7)을 통해 실내로 빗물 등이 들어올 우려가 없음은 물론 특히, 상기 너트부재(170)와 상기 리드스크류(110)의 맞물림결합여부에 따라 상기 창문(7)이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창문(7)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창문개폐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개폐부재의 단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2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는 창문이 우측으로 이동하여 개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6은 창문이 좌측으로 이동하여 폐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7은 비감지센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8은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창틀, 7; 창문,
10; 개폐부재, 110; 리드스크류,
111; 수나사부, 130; 구동모터,
150; 이동브라켓, 151, 171; 관통구,
170; 너트부재, 173; 암나사부,
30; 상하이동부재, 301; 로드,
50; 비감지센서, 510; 전도체,
511; 일측 전도체, 513, 517; 수평바,
515; 타측 전도체, 530; 비전도체,
550; 누전감지부, 70; 제어부,
701; 전원공급부, 710; 누전감도입력부,
90; 위치감지센서, 910, 930; 일측 및 타측 자석,
950, 970; 일측 및 타측 홀센서, 100; 리모콘,
101; 수신부.

Claims (5)

  1. 건축물의 벽체에 고정설치되는 창틀 전면에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리드스크류와, 상기 리드스크류와 축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리드스크류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리드스크류가 관통결합되고 상기 창틀 내에 구비된 창문에 고정되어 상기 창문을 따라 좌우이동하는 이동브라켓과, 상기 이동브라켓의 내부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리드스크류와 맞물림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리드스크류가 회전할 시 좌우로 이동하여 창문을 개폐하는 너트부재로 이루어지는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의 너트부재와 상기 리드스크류의 맞물림결합여부에 따라 창문이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상기 너트부재를 상하이동시키는 상하이동부재와;
    상기 상하이동부재와 상기 개폐부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개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외부의 비를 감지하는 비감지센서와;
    외부의 바람을 감지하는 바람감지센서와;
    외부의 눈을 감지하는 눈감지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에서 따라 상기 상하이 동부재와 상기 개폐부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개폐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비감지센서는 창틀 후면에 설치되고, 타측면에 수평바가 일정간격으로 연장형성되는 일측 전도체와, 상기 일측 전도체의 수평바 사이에 위치하는 수평바가 일측면에 일정간격으로 연장형성되는 타측 전도체로 이루어지는 전도체와;
    상기 일측 전도체와 타측 전도체 사이에 구비되는 비전도체와;
    상기 일측 전도체의 수평바와 상기 타측 전도체의 수평바로 전기가 공급된 상태에서 상기 일측 전도체의 수평바와 상기 타측 전도체의 수평바 사이로 비가 유입될 시 누전되는 전기의 감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누전감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개폐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전기의 누전감도수치를 미리 입력할 수 있는 누전감도입력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누전감지부가 출력하는 전기의 누전감도수치와 미리 입력된 누전감도수치를 비교하여 상기 상하이동부재와 상기 개폐부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개폐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리모콘이 송신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상하이동부재와 개폐부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개폐장치.
KR1020080113195A 2008-11-14 2008-11-14 창문개폐장치 KR1010604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3195A KR101060484B1 (ko) 2008-11-14 2008-11-14 창문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3195A KR101060484B1 (ko) 2008-11-14 2008-11-14 창문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4319A true KR20100054319A (ko) 2010-05-25
KR101060484B1 KR101060484B1 (ko) 2011-08-30

Family

ID=42279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3195A KR101060484B1 (ko) 2008-11-14 2008-11-14 창문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0484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15835A (zh) * 2012-12-31 2013-04-03 嘉兴市华特机电有限公司 适用于高层平移窗的开窗装置
KR101712431B1 (ko) * 2015-12-11 2017-03-06 주식회사 창일이엘티 슬라이딩 방식의 도어 개폐장치
KR101964112B1 (ko) * 2017-12-19 2019-07-31 설오열 수동전환이 가능한 자동 창문개폐장치
CN110761658A (zh) * 2019-11-28 2020-02-07 徐州大亚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智能窗
KR20220120894A (ko) * 2021-02-24 2022-08-31 주식회사 씨앤티 자동 전환기능을 갖는 배연창 구조체 개폐장치
KR20220120896A (ko) * 2021-02-24 2022-08-31 주식회사 씨앤티 배연창 구조체 개폐장치
KR102600327B1 (ko) * 2023-04-26 2023-11-09 주식회사 대진단열 창문개폐장치가 내장된 배연 및 환기용 슬라이딩 이중 창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53540A (zh) * 2014-11-28 2015-03-25 彭佳葳 智能窗户控制报警***
KR101824216B1 (ko) 2017-11-29 2018-01-31 주식회사 한일윈 창문 자동개폐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9221U (ko) * 1998-03-13 1998-10-26 김본진 멀티 창호
KR200241072Y1 (ko) * 2001-04-18 2001-10-11 조형래 창문용 자동개폐장치
KR200382597Y1 (ko) * 2005-01-31 2005-04-22 권오원 전동창문용 구동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15835A (zh) * 2012-12-31 2013-04-03 嘉兴市华特机电有限公司 适用于高层平移窗的开窗装置
KR101712431B1 (ko) * 2015-12-11 2017-03-06 주식회사 창일이엘티 슬라이딩 방식의 도어 개폐장치
WO2017099504A1 (ko) * 2015-12-11 2017-06-15 주식회사 창일이엘티 슬라이딩 방식의 도어 개폐장치
CN108699881A (zh) * 2015-12-11 2018-10-23 昌日Elt株式会社 滑动式门的开闭装置
CN108699881B (zh) * 2015-12-11 2020-02-14 昌日Elt株式会社 滑动式门的开闭装置
KR101964112B1 (ko) * 2017-12-19 2019-07-31 설오열 수동전환이 가능한 자동 창문개폐장치
CN110761658A (zh) * 2019-11-28 2020-02-07 徐州大亚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智能窗
KR20220120894A (ko) * 2021-02-24 2022-08-31 주식회사 씨앤티 자동 전환기능을 갖는 배연창 구조체 개폐장치
KR20220120896A (ko) * 2021-02-24 2022-08-31 주식회사 씨앤티 배연창 구조체 개폐장치
KR102600327B1 (ko) * 2023-04-26 2023-11-09 주식회사 대진단열 창문개폐장치가 내장된 배연 및 환기용 슬라이딩 이중 창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0484B1 (ko) 2011-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0484B1 (ko) 창문개폐장치
KR101060499B1 (ko) 창문개폐장치
KR100996248B1 (ko) 선쉐이드 선루프 제어 장치
KR101997724B1 (ko) 자동 잠금 기능을 구비하는 창호
KR101717483B1 (ko) 미닫이창 자동 닫힘 장치
KR20080100917A (ko) 지능형 창호 시스템
KR101552405B1 (ko) 창문 자동 폐쇄장치
KR20090107888A (ko) 빛 센서를 이용한 전동커튼 제어장치
KR101060498B1 (ko) 창문개폐장치
KR101060500B1 (ko) 창문개폐장치
US20130091769A1 (en) Automated glazing assembly
KR101397187B1 (ko) 창문 자동 닫힘장치
KR20090098240A (ko) 창문 개폐장치
KR101060483B1 (ko) 창문개폐장치
US20110209408A1 (en) Apparatus for simultaneous louver operation on arched shutters
EP2886783A1 (en) A screening arrangement for a window
KR101028141B1 (ko) 공동주택용 복도 창문의 자동개폐장치
CN104314410A (zh) 可自动开关窗的平推窗
JP2010112036A (ja) 開閉装置
CN104453539A (zh) 可自动开关窗的平开窗
CN202745587U (zh) 智能型门窗
CN204252743U (zh) 一种平开窗
KR200403008Y1 (ko) 커튼 개폐 장치
KR101589158B1 (ko) 쌍 미닫이 창문용 개폐장치
KR20100022561A (ko) 자동 창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