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0988A - 와이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와이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0988A
KR20100040988A KR1020080099936A KR20080099936A KR20100040988A KR 20100040988 A KR20100040988 A KR 20100040988A KR 1020080099936 A KR1020080099936 A KR 1020080099936A KR 20080099936 A KR20080099936 A KR 20080099936A KR 20100040988 A KR20100040988 A KR 201000409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unit
lower case
folder
main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9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욱
정용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99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40988A/ko
Publication of KR20100040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09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04M1/022The hinge comprising two parallel pivoting ax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8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keyboard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하부 케이스와, 상부면에 메인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며, 하부 케이스 위에서 슬라이딩하여 이동하는 상부 케이스 및 상부면에 서브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고, 하부 케이스의 일 측에 설치된 힌지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하부 케이스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결합하는 폴더부를 포함하며, 폴더부는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하부 케이스의 상부면에 결합할 때에, 메인 디스플레이부의 상부면과 서브 디스플레이부의 상부면이 일 평면을 이루도록 상부 케이스의 하단부와 연결되어 와이드 디스플레이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에 따르면, 와이드 디스플레이부를 제공하면서도 휴대 단말기의 휴대 편이성을 만족시킬 수 있다.
휴대 단말기, 슬라이드, 와이드 디스플레이부, 서브 디스플레이부

Description

와이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Mobile device having wide display}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와이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란 사용자가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무선 통신, 네트워크 접속, 디지털 방송 수신 등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전자기기이다. 최근의 휴대 단말기는 통신 기능의 수행은 물론, 인터넷 접속, 디지털 방송 수신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개발되고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에 문서 작성, 게임 등의 기능도 추가되고 있다.
최근 휴대 단말기는 통화 기능 이외에도 디지털 카메라 기능, 디지털 방송 수신 기능, 동영상 재생 기능, 인터넷 웹 브라우징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편리하게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휴대 단말기의 상태를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부는 점점 커지고 있는 추세이다.
일반적인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는 디스플레이 영역이 고정되어 있고 그 크기가 충분하지 않아 인터넷 웹 브라우징 기능 등을 이용하기에는 시각적으로 많은 제한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한을 극복하고자 넓은 영역의 디스플레이부를 사용하는 경우, 그에 따라 휴대 단말기 자체의 크기도 커지게 되어, 휴대 단말기의 휴대 편이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넓은 디스플레이 영역을 통한 인터넷 웹 브라우징 기능 등이 가능하면서도, 휴대 단말기의 휴대 편이성을 만족하는 휴대 단말기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폴더부를 회전하여 서브 디스플레이부를 메인 디스플레이부와 결합함으로써 와이드 디스플레이부를 제공하면서도 휴대 단말기의 휴대 편이성을 만족시킬 수 있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하부 케이스와, 상부면에 메인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며, 상기 하부 케이스 위에서 슬라이딩하여 이동하는 상부 케이스 및 상부면에 서브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케이스의 일 측에 설치된 힌지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결합하는 폴더부를 포함하며, 상기 폴더부는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부면에 결합할 때에,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의 상부면과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부의 상부면이 일 평면을 이루도록 상기 상부 케이스의 하단부와 연결되어 와이드 디스플레이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 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에 따르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폴더부를 회전하여 서브 디스플레이부를 메인 디스플레이부와 결합할 수 있으므로, 와이드 디스플레이부를 제공하면서도 휴대 단말기의 휴대 편이성을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에 따르면, 폴더부를 회전하여 서브 디스플레이부를 메인 디스플레이부와 결합시켜 와이드 디스플레이부를 제공함으로써, 사용 용도에 따라 디스플레이 영역의 크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에 따르면, 폴더부를 회전하여 서브 디스플레이부를 메인 디스플레이부와 결합할 수 있으므로, 휴대 단말기 내부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전체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휴대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는, 상부 케이스(100), 메인 디스플레이부(110), 하부 케이스(200), 서브 디스플레이부(210), 폴더부(220) 및 힌지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슬라이드 형(Sliding Type)의 휴대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휴대 단말기(1)는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navigation), 디지털 방송 수신기 등과 같은 각종 휴대용 전자 기기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100)는 그 상부면에 메인 디스플레이부(110)를 구비할 수 있다. 메인 디스플레이부(110)는 사용자에게 원하는 화면을 출력하거나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 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메인 디스플레이부(110)는 평상시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1)를 이용할 때에 볼 수 있는 화면이다.
이러한 메인 디스플레이부(110)로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를 이용할 수 있다. LCD는 인가 전압에 따른 액정의 투과도의 변화를 이용하여 각종 장치에서 발생되는 여러 가지 전기적인 정보를 시각 정보로 변화시켜 전달하는 전기소자이다. 또한, OLED는 형광성 유기 화합물에 전류가 흐르면 빛을 내는 전계 발광 현상을 이용하여 스스로 빛을 내는 자체 발광형 유기 물질을 말한다. 한편, 메인 디스플레이부(110)로 TFT(Thin Film Transistor), 전기 영동(Electrophoretic), LITI(Laser Induced Thermal Image) 기술 등이 이용될 수도 있다. 후술하겠지만, 메인 디스플레이부(110)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기능을 가지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케이스(100)는 휴대 단말기(1) 본체의 상부를, 하부 케이스(200)는 휴대 단말기(1) 본체의 하부를 의미하며, 상부 케이스(100)는 하부 케이스(200) 위에서 슬라이딩하여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상부 케이스(100) 또는 하부 케이스(200)는 상부 케이스(100)가 슬라이딩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슬라이딩부(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라이딩부는 상부 케이스(100)의 하부면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홈과 상부 케이스(100)의 하부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도록 하부 케이스(200)의 상부면에 형성된 돌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상부 케이스(100)의 하부면과 하부 케이스(200)의 상부면 사이에 엘엠 가이드(LM Guide)와 같은 부품을 삽입할 수도 있다. 슬라이딩부는 상부 케이스(100)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떠한 형태도 가능하며, 그 설치 위치도 당업자에 의해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200)의 상부면에는 사용자로부터 조작 명령을 입력 받는 키 입력부(24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 케이스(100)가 슬라이딩하여 이동하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하부 케이스(200)의 하단부에는 상부 케이스(100)이 아래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멈춤단(202)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부(220)는 상부면에 서브 디스플레이부(210)를 구비하고, 하부 케이스(200)의 일 측에 설치된 힌지부(230)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폴더부(220)는 대략 키 입력부(240)와 같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폴더부(220)는 서브 디스플레이부(210)를 고정 지지하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회전하여 서브 디스플레이부(210)를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와 결합시킴으로써 와이드 디스플레이부를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 때, 서브 디스플레이부(210)로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와 같이, LCD 또는 OLED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터치 스크린 기능을 가질 수 있다.
폴더부(220)는 힌지부(230)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하부 케이스(200)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결합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평상시 폴더부(220)가 하부 케이스(200)의 하부면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만약, 사용자가 넓은 화면을 원할 때에는, 폴더부(220)는 힌지부(230)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하부 케이스(200)의 상부면에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폴더 부(220)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의 상부면과 서브 디스플레이부(210)의 상부면이 일 평면을 이루도록 상부 케이스(100)의 하단부와 연결되어 와이드 디스플레이부(도 5a의 300 참조)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와 서브 디스플레이부(210) 표면 사이의 단차를 없앨 수 있으므로, 서브 디스플레이부(210)를 통해 화면의 끊어짐이 없이 메인 디스플레이부(110)를 자연스럽게 확장할 수 있다. 즉,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와 서브 디스플레이부(210)를 일체화함으로써 와이드 디스플레이부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힌지부(230)는 하부 케이스(200)의 측면 또는 하단부에 형성될 수 있는데, 도 2에서는 힌지부(230)가 하부 케이스(200)의 오른쪽 측면에 형성된 예를 나타내고 있으나, 하부 케이스(200)의 멈춤단(201) 주위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부(230)는, 하부 케이스(200)의 일 측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회전축(231a, 231b)과, 적어도 하나의 제1 회전축(231a, 231b)에 대응하도록 폴더부(220)의 일 측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 회전축(233a, 233b) 및 일단(232a??1)은 적어도 하나의 제1 회전축(231a, 231b)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232a??2)은 적어도 하나의 제2 회전축(233a, 233b)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 아암(232a, 232b)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힌지부(230)의 구조는 예시적인 것이며, 폴더부(220)를 회전하여 하부 케이스(200)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결합될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떠한 구조라도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부(220)가 힌지부(230)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하부 케이스(200)의 하부면에 결합할 때에 폴더부(220)의 하부면과 하부 케 이스(200)의 하부면과 일치하도록, 하부 케이스(200)의 하부면에는 폴더부(220)가 삽입되는 제1 고정단(20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고정단(201)의 폭 및 깊이는 폴더부(220)의 폭 및 두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고정단(201)의 폭은 폴더부(220)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1 고정단(201)의 깊이는 폴더부(220)의 하부면과 하부 케이스(200)의 하부면과 일치할 수 있도록 폴더부(220)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부(220)가 힌지부(230)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하부 케이스(200)의 상부면에 결합할 때에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의 상부면과 서브 디스플레이부(210)의 상부면이 일 평면을 이루도록, 폴더부(220)의 두께는 상부 케이스(100)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하부 케이스(200)의 상부면에는 폴더부(220)가 힌지부(230)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하부 케이스(200)의 상부면에 결합할 때에,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의 상부면과 서브 디스플레이부(210)의 상부면이 일 평면을 이루도록 폴더부(220)가 삽입되는 제2 고정단이 형성될 수도 있다. 폴더부(220)의 두께가 상부 케이스(100)의 두께보다 클 경우를 그 예로 들 수 있다. 이 경우, 키 입력부(240)는 제2 고정단의 상부면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고정단의 폭 및 깊이는 폴더부(220), 키 입력부(240) 등의 형상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고정단의 폭은 폴더부(220)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2 고정단의 깊이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의 상부면과 서브 디스플레이부(210)의 상부면이 일치할 수 있도록 폴더부(220)의 두께와 키 입력부(240)의 돌출 높이를 고려하여 결 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는 키 입력부(240)와 별도로 설치되고, 사용자로부터 조작 명령을 입력 받는 보조 키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보조 키 입력부의 형태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보조 키 입력부(121, 122)는 키패드(Keypad) 형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보조 키 입력부(121, 122)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기 위한 최소한의 기능 키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키패드 형식의 보조 키 입력부(121, 122)는 상부 케이스(100)의 상단부 또는 측부에 형성되거나, 하부 케이스(200)의 하단부 또는 측부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의 (a)에서는 보조 키 입력부(121)가 상부 케이스(100)의 상단부에 형성된 예를 나타내고, 도 3의 (b)에서는 보조 키 입력부(122, 123)가 상부 케이스(100)의 일 측부 및 하부 케이스(200)의 일 측부에 각각 형성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의 (a) 및 (b)는 예시적인 것이며, 키패드 형식의 보조 키 입력부는 필요에 따라 여러 위치에 복수 개 제공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보조 키 입력부(123, 124)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10) 상에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 형태의 보조 키 입력부(123, 124)는 사용 상태에 따라 메인 디스플레이부(110) 또는 서브 디스플레이부(210) 상의 적절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의 (c)에서는 보조 키 입력부(123)가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의 하단부에 형성된 예를 나타내고, 도 3의 (d)에서는 보조 키 입력부(124)가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의 일 측부에 형성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폴더부(220)를 회전시켜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와 결합시켜 와이드 디스플레이부를 제공할 때에는, 서브 디스플레이부(210) 상에 형성될 수도 있고,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와 서브 디스플레이부(210)가 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의 (a) 내지 (d)는 보조 키 입력부(121, 122, 123, 124)의 형성 방법이나 위치에 관한 몇 가지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업자에 의해 변경 가능하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부 케이스(100) 또는 하부 케이스(200)의 내부에는 회로 기판이 설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회로 기판은 휴대 단말기(1)의 동작 및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소프트웨어 모듈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휴대 단말기(1)의 동작 및 기능을 제어하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모듈을 휴대 단말기 제어 장치라고 칭하기로 한다.
휴대 단말기 제어 장치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와 서브 디스플레이부(210)의 화면 출력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케이스(100) 또는 하부 케이스(200)에는 폴더부(220)의 회전에 따른 서브 디스플레이부(210)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는데,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센서부의 출력 신호를 전달 받아 서브 디스플레이부(210)의 위치에 따라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와 서브 디스플레이부(210)의 화면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즉, 폴더부(220)가 하부 케이스(200)의 하부면에 결합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10)만을 통해 화면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폴더부(220)가 하부 케이스(200)의 상부면에 결합하여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와 서브 디스플레이부(210)를 결합하여 와이드 디스플레이부(300)를 형성할 때에,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의 출력 화면을 와이드 디스플레이부(300)의 전체 화면으로 확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 및 도 4b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메인 디스플레이부만을 사용할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부(220)는 평상시 하부 케이스(200)의 하부면에 형성된 제1 고정단(201)에 삽입된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상부 케이스(100)가 슬라이딩하여 이동할 경우, 하부 케이스(200)의 상부면에 형성된 키 입력부(240)만이 사용자에게 노출될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부(220)의 일 측에 형성된 제2 회전축(233a)은 하부 케이스(200)의 일 측에 형성된 제1 회전축(231a)을 중심으로 아래에 위치하게 되어 폴더부(220)가 하부 케이스(200)의 하부면에 형성된 제1 고정단(201)에 삽입될 수 있다. 이 때, 서브 디스플레이부(210)는 하부 케이스(200)의 제1 고정단(201)의 하부면에 밀착되므로,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평상시에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10)만이 외부로 노출되므로, 전체 휴대 단말기(1)의 크기를 소형화시킬 수 있어 휴대 단말기의 휴대를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메인 디스플레이부와 서브 디스플레이부를 결합하여 와이드 디스플레이부를 사용할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만약, 사용자가 인터넷 웹 브라우징 등 넓은 화면을 필요로 할 때에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100)를 슬라이딩하여 이동시킨 상태에서, 하부 케이스(200)의 제1 고정단(201)에 결합되어 있는 폴더부(220)를 회전시켜 하부 케이스(200)의 상부면에 결합시킴으로써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의 하단부와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하부 케이스(200)의 상부면에 형성된 키 입력부(240)는 폴더부(220) 아래에 위치하게 되어 외부로 노출될 수 없다. 이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조작 명령을 받기 위해 보조 키 입력부(121, 122, 123, 124)를 이용할 수 있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부(220)의 일 측에 형성된 제2 회전축(233a)은 하부 케이스(200)의 일 측에 형성된 제1 회전축(231a)을 중심으로 위쪽에 위치하게 되어 폴더부(220)가 하부 케이스(200)의 상부면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의 상부면과 서브 디스플레이부(210)의 상부면이 일치하며, 와이드 디스플레이부(300)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폴더부(220)를 회전시켜 서브 디스플레이부(210)를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와 일체화하여 와이드 디스플레이부(300)를 제공 함으로써, 사용 용도에 따라 디스플레이 영역의 크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서브 디스플레이부를 회전시켜 와이드 디스플레이부를 제공할 때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만약, 사용자가 와이드 디스플레이부(300)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1)의 상부 케이스(100)를 하부 케이스(200)의 위에서 슬라이딩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부(220)를 하부 케이스(200)의 일 측에 설치된 힌지부(230)를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부(220)를 하부 케이스(200)의 상부면에 결합하여 와이드 디스플레이부(300)를 사용할 수 있다.
반대로, 와이드 디스플레이부(300)를 더 이상 사용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상술한 순서와 반대로, 폴더부(220)를 회전시켜 하부 케이스(200)의 하부면에 형성된 제1 고정단(201)에 삽입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에 따르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폴더부를 회전하여 서브 디스플레이부를 메인 디스플레이부와 결합할 수 있으므로, 인터넷 웹 브라우징 기능 등을 지원하는 와이드 디스플레이부를 제공하면서도 휴대 단말기의 휴대 편이성을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폴더부를 회전하여 서브 디스플레이부를 메인 디스플레이부와 결합시켜 와이드 디스플레이부를 제공함으로써, 사용 용도에 따라 디스플레이 영역의 크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폴더부를 회전하여 서브 디스플레이부를 메인 디스플레이부와 결합할 수 있으므로, 휴대 단말기 내부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전체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보조 키 입력부의 형태에 따른 다양한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메인 디스플레이부만을 사용할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메인 디스플레이부와 서브 디스플레이부를 결합하여 와이드 디스플레이부를 사용할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서브 디스플레이부를 회전시켜 와이드 디스플레이부를 제공할 때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휴대 단말기
100: 상부 케이스 110: 메인 디스플레이부
121, 122, 123, 124: 키입력부
200: 하부 케이스 201: 제1 고정단
202: 멈춤단 210: 서브 디스플레이부
220: 폴더부 230: 힌지부
221a, 221b: 제1 회전축 222a, 222b: 회전 아암
223a, 223b: 제2 회전축 230: 키패드

Claims (14)

  1. 하부 케이스;
    상부면에 메인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며, 상기 하부 케이스 위에서 슬라이딩하여 이동하는 상부 케이스; 및
    상부면에 서브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케이스의 일 측에 설치된 힌지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결합하는 폴더부를 포함하며,
    상기 폴더부는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부면에 결합할 때에,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의 상부면과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부의 상부면이 일 평면을 이루도록 상기 상부 케이스의 하단부와 연결되어 와이드 디스플레이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하부 케이스의 측면 또는 하단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하부 케이스의 일 측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회전축;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회전축에 대응하도록 상기 폴더부의 일 측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 회전축; 및
    일단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회전축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회전축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 아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더부가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하부 케이스의 하부면에 결합할 때에 상기 폴더부의 하부면과 상기 하부 케이스의 하부면과 일치하도록, 상기 하부 케이스의 하부면에는 상기 폴더부가 삽입되는 제1 고정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더부가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부면에 결합할 때에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의 상부면과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부의 상부면이 일 평면을 이루도록, 상기 폴더부의 두께는 상기 상부 케이스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더부가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부면 에 결합할 때에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의 상부면과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부의 상부면이 일 평면을 이루도록,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부면에는 상기 폴더부가 삽입되는 제2 고정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부면에 설치되고, 사용자로부터 조작 명령을 입력 받는 키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키 입력부와 별도로 설치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조작 명령을 입력받는 보조 키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키 입력부는 키패드(Keypad) 형식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키 입력부는 상기 상부 케이스의 상단부 또는 측부에 형성되거나, 상기 하부 케이스의 하단부 또는 측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키 입력부는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 또는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부 상에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의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 또는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부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더부의 회전에 따른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부의 위치에 따라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출력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부가 연결되어 상기 와이드 디스플레이부를 형성할 때에,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화면을 상기 와이드 디스플레이부의 전체 화면으로 확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4. 몸체부에 설치되는 메인 디스플레이부;
    상기 몸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서브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출력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의 상부면과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부의 상부면이 일 평면을 이루어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부가 연결된 와이드 디스플레이부를 형성할 때에,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화면을 상기 와이드 디스플레이부의 전체 화면으로 확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080099936A 2008-10-13 2008-10-13 와이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201000409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9936A KR20100040988A (ko) 2008-10-13 2008-10-13 와이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9936A KR20100040988A (ko) 2008-10-13 2008-10-13 와이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0988A true KR20100040988A (ko) 2010-04-22

Family

ID=42216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9936A KR20100040988A (ko) 2008-10-13 2008-10-13 와이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4098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9866B1 (ko) * 2010-12-10 2012-05-02 (주) 프렉코 폴딩 방식 휴대 단말기의 힌지 장치
WO2013069858A1 (ko) * 2011-11-09 2013-05-16 주식회사 예일전자 시각 및 음향신호 출력이 가능한 모바일장치의 음향출력 메커니즘 및 음향처리수단의 고정구조
KR101421052B1 (ko) * 2011-11-09 2014-07-22 주식회사 예일전자 시각 및 음향신호 출력이 가능한 모바일장치의 음향출력 메커니즘
KR20200034946A (ko) * 2018-09-21 2020-04-01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단말기 스크린, 그 제어 방법 및 단말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9866B1 (ko) * 2010-12-10 2012-05-02 (주) 프렉코 폴딩 방식 휴대 단말기의 힌지 장치
WO2013069858A1 (ko) * 2011-11-09 2013-05-16 주식회사 예일전자 시각 및 음향신호 출력이 가능한 모바일장치의 음향출력 메커니즘 및 음향처리수단의 고정구조
GB2508763A (en) * 2011-11-09 2014-06-11 Yeil Electronics Co Ltd Securing structure of sound output mechanism and sound processing means of mobile device capable of outputting visual and sound signals
KR101421052B1 (ko) * 2011-11-09 2014-07-22 주식회사 예일전자 시각 및 음향신호 출력이 가능한 모바일장치의 음향출력 메커니즘
CN103999370A (zh) * 2011-11-09 2014-08-20 礼一电子有限公司 移动设备的声响输出构造及声响处理单元的固定结构
US9380366B2 (en) 2011-11-09 2016-06-28 Yeil Electronics Co., Ltd. Securing structure of sound output mechanism and sound processing means of mobile device capable of outputting visual and sound signals
KR20200034946A (ko) * 2018-09-21 2020-04-01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단말기 스크린, 그 제어 방법 및 단말기
US11295695B2 (en) 2018-09-21 2022-04-05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Terminal screen, control method thereof and termin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31059B1 (en) Terminal with flexible screen
KR101510717B1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101752750B1 (ko) 확장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KR101606707B1 (ko) 와이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US8675109B2 (en)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8649824B2 (en)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608748B1 (ko) 탈부착 가능한 서브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US8836611B2 (en) Multi-panel device with configurable interface
US20120192113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8108016B2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dual sliding flip hinge assembly
KR20070045868A (ko) 복수의 멀티입력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US20180059721A1 (en) Data processing device, display method, input/output method, server system, and computer program
JP2010128140A (ja) 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WO2010008612A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n open channel hinge assembly
KR20100040988A (ko) 와이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20090006606A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US8275121B2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combined slider and flip hinge assembly
JP2009171085A (ja) 電子機器
JP2011049806A (ja) 携帯端末
JP2006163294A (ja) 携帯端末機
KR20100061941A (ko)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JP5324256B2 (ja) 携帯電子機器
JP4695661B2 (ja) 電子機器
JP4347117B2 (ja) 操作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9260515A (ja) 情報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