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9651A - 유수분리기 - Google Patents

유수분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9651A
KR20100039651A KR1020080098702A KR20080098702A KR20100039651A KR 20100039651 A KR20100039651 A KR 20100039651A KR 1020080098702 A KR1020080098702 A KR 1020080098702A KR 20080098702 A KR20080098702 A KR 20080098702A KR 20100039651 A KR20100039651 A KR 201000396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separation chamber
water
outlet
oil sepa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8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3995B1 (ko
Inventor
심영일
조창현
김한규
Original Assignee
(주) 디아이엔바이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디아이엔바이로 filed Critical (주) 디아이엔바이로
Priority to KR1020080098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3995B1/ko
Publication of KR20100039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96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3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39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2Separation devices for treating rain or storm wa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수분리기에 관한 것으로, 유수가 유입되는 유수유입구(121)와, 유수 상부에 부유된 오일이 배출되는 오일배출구(122)와, 상기 오일 하측의 물이 배출되는 물배출구(123)가 형성되는 오일분리챔버(120); 오일보다 크고 물보다 작은 비중을 가지고 상기 오일분리챔버(12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오일분리챔버(120) 내부로 유입되는 유수의 수위에 따라 부력에 의해 상기 오일분리챔버의 오일배출구(122)와 물배출구(123) 사이를 왕복이동하며 오일을 상기 오일배출구(122)측으로 가압이송시키게 되는 오일이송부력구(110); 및 상기 오일이송부력구(110)의 상향이동에 의해 상기 오일분리챔버의 오일배출구(122)로 도입, 배출된 오일을 상기 유수나 물과 분리하여 수용하는 오일저장탱크(14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도로, 주차장, 주유소와 같이 고농도의 오일이 다량 발생되는 곳에 오일 전처리 시설로써 설치하여 강우 시나 차량 세차 시 발생되는 다량의 유수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유수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유수, 오일, 비중, 부력, 맨홀

Description

유수분리기{oil water separator}
본 발명은 유수분리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오일과 물이 혼합된 상태의 유수(油水)를 오일과 물로 분리하여 오일은 회수하고 물은 하수관거와 같은 유로를 따라 유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유수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주차장, 주유소같은 곳에서 발생되는 고농도의 오일 폐수는 전처리를 거치지 않고 하수관을 통하여 폐수처리장으로 배출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하수관거와 펌프에 오일이 축적되어 도관의 폐쇄나 기계적 고장이 발생되고, 활성 오니조의 처리효율이 크게 저하되어, 하수관거측으로 유수의 유출이 이루어지기 전에 오일의 전처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종래에 물과 오일이 혼합된 유수에서 오일을 분리함에 있어서는, 비중분리법, 수력분리법, 필터분리법 등이 주로 이용되고 있으며, 상기 비중분리법은 물 상측에 오일을 부유시킨 후 스키머로 걷어 제거하는 방법이고, 상기 수력분리법은 와류와 같은 특정한 유동패턴을 한정된 공간상에 형성하면서 원심력 및 중력에 의해 오일과 물을 분리시키는 방법이며, 상기 필터분리법은 부직포와 같은 여과포를 이용해 오일을 거르고 물만을 통과시키는 방법이다.
상기 비중분리법은 유수를 분리조속에 정체시키거나 여러개의 유도판을 따라 서서히 흐르게 하고, 수면에 떠오른 기름을 오일 스키머(oil skimmer)로 포집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나, 오일 스키머를 가동시키기 위한 동력과 대규모의 설치공간을 필요로 함에 따라 설치장소가 한정될 수 밖에 없으며, 이에 따라 오일의 정체나 서행유동이 가능한 하수처리장과 같은 대규모 시설에 적용가능하고, 유지·관리가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상기 수력분리법에 의하면 물 상측에 부유된 오일을 흡입에 의해 제거하고 있는데 이러한 방법으로는 완전한 오일제거가 이루어지기 어려우며, 상기 필터분리법에 의하면 유수에 오일축적량이 많을 때에는 오일이 유출될 우려가 있고, 필터 교체나 청소가 정기적으로 요구되어 오일 폐수의 연속적인 처리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도로, 주차장, 주유소와 같이 고농도의 폐오일이 다량 발생되는 곳에 오일 전처리 시설로써 설치하여 강우 시나 차량 세차 시 발생되는 다량의 유수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유수분리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별도의 동력원 없이 소형으로 기존의 맨홀, 분류식 하수관거 등에 용이하게 적용가능하며, 물과 오일의 완전한 분리 및 제거가 이루어질 수 있고, 다량의 폐오일이 함유된 폐수를 연속적으로 처리가능한 유수분리기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유수가 유입되는 유수유입구(121)와, 유수 상부에 부유된 오일이 배출되는 오일배출구(122)와, 상기 오일 하측의 물이 배출되는 물배출구(123)가 형성되는 오일분리챔버(120); 오일보다 크고 물보다 작은 비중을 가지고 상기 오일분리챔버(12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오일분리챔버(120) 내부로 유입되는 유수의 수위에 따라 부력에 의해 상기 오일분리챔버의 오일배출구(122)와 물배출구(123) 사이를 왕복이동하며 오일을 상기 오일배출구(122)측으로 가압이송시키게 되는 오일이송부력구(110); 및 상기 오일이송부력구(110)의 상향이동에 의해 상기 오일분리챔버의 오일배출구(122)로 도입, 배출된 오일을 상기 유수나 물과 분리하여 수용하는 오일저장탱크(140);를 포함하여 구성 되는 유수분리기(100)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서, 상기 오일분리챔버의 유수유입구(121)는, 상기 오일분리챔버(120)의 측면부에 형성되며, 상기 오일분리챔버의 오일배출구(122)는, 상기 유수유입구(121)의 상측에 해당되는 상기 오일분리챔버(120)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오일분리챔버의 물배출구(123)는, 상기 유수유입구(121)의 하측에 해당되는 상기 오일분리챔버(120)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오일분리챔버의 오일배출구(122)는, 상기 오일분리챔버(120)의 상단부에 상향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오일분리챔버의 물배출구(123)는, 상기 오일분리챔버(120)의 하단부에 하향관통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오일분리챔버의 오일배출구(122)와 오일저장탱크(140)는 오일이송관(132)으로 연결되며, 상기 오일이송관(132)은, 상기 오일배출구(122)와의 연결부가 상기 오일배출구(122)의 하단으로부터 지정높이까지 상향연장되어 지정높이 이상으로 부유된 오일만을 상기 오일저장탱크(140)측으로 안내하는 상부오일이송부(132a);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오일이송부력구(110)는, 상기 오일분리챔버의 오일배출구(122) 및 물배출구(123)보다 확장되고 상기 오일분리챔버(120)의 내경보다 축소된 너비를 가지는 본체부(111); 상기 본체부(111) 상부에 상기 오일분리챔버의 오일배출구(122)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상부돌출부(112); 및 상기 본체부(111) 하부에 상기 오일분리챔버의 물배출구(123)측으로 돌출형성되는 하부돌출부(11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오일분리챔버(120)는, 상기 오일이송부력구(110)의 상, 하 이동을 지정경로로 가이드하도록 상기 오일분리챔버의 오일배출구(122)와 물배출구(123)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바(12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오일분리챔버(120)가 맨홀본체(200) 내부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오일분리챔버의 물배출구(123)는, 상기 맨홀본체(200) 내부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일측 개방부(150a)가 상기 맨홀본체의 유출단(220)에 형성되며, 타측 개방부(150b)가 상기 맨홀본체의 유출단(220)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유출단(220) 하측으로 연장형성되는 하부연장판(151)과, 상기 하부연장판(151)의 하부측으로 갈수록 상기 하부연장판(151)과의 너비가 좁아지도록 경사형성되는 메인경사판(152) 사이에 형성되는 경사유출관(1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경사유출관(150)은, 상기 메인경사판(152)과 맨홀본체의 유출단(220) 사이에 상기 하부연장판(151)과 이격간격을 두고 경사형성되며 상기 타측 개방부(150b)를 보다 확장형성하는 서브경사판(15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오일분리챔버(120)의 하부 내부에 상기 물배출구(123)측으로 경사형성되는 헌치(127);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오일분리챔버 내부에서 유수의 상태에 따라 상하로 왕복이동되는 오일이송부력구에 의해 오일분리챔버 상부에 부유된 오일만을 오일저장탱크측으로 이송시키게 되므로, 별도의 동력원 없이 물과 오일의 완전한 분리 및 제거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오일저장탱크에 수집된 오일을 제거하면서 오일 폐수의 연속적인 처리가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오일분리챔버, 오일이송부력구, 오일저장탱크로 이루어진 간단한 구조로 구현가능하여 시공비의 부담이 적으며, 오일분리챔버와 오일저장탱크의 체적에 해당되는 소형으로 제작가능하고, 다양한 형태로 변형하여 적용가능하므로 기설치된 맨홀, 분류식 하수관거를 포함하여 유수분리가 필요한 시설에 광범위하게 적용가능하다는 다른 효과가 있다.
그리고, 오일저장탱크에 연결형성된 오일배출관을 맨홀의 상부까지 연장하여, 지면에서 오일배출관 및 오일저장탱크에 쉽게 접근하여 오일저장탱크에 수집된 오일의 흡입제거 및 유수분리성능 및 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 유지관리 및 점검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다른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강우 시나 차량 세차 시 초기에 다량 발생되는 오일성분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어, 도로, 주차장, 주유소와 같이 고농도의 오일이 다량 발생되는 곳에 오일 전처리 시설로써 설치하기 적합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맨홀에 적용함에 있어서, 오일분리챔버 외부로 배출된 물은 맨홀 바닥에의 중력침전에 의해 입자성물질의 1차제거가 이루어지게 되며, 하부가 축소된 너비를 가지도록 경사형성된 메인경사판을 구비한 경사유출관을 통해 맨홀 외부로의 최종 유출이 이루어지면서 입자성물질의 2차제거가 이루어지게 되어 입자성 물질의 처리 또한 효과적으로 이루이질 수 있음에 따라, 오일처리는 물론 초기우수 처리까지 가능하다는 다른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유수분리기를 다음의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수분리기를 맨홀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일예를 보이고자 도시한 요부종단면도이고, 도 2, 도 3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유수분리기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요부종단면도이며, 도 4는 오일이송부력구의 상향이동에 따른 유수분리를 보이고자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5는 오일이송부력구의 하향이동에 따른 유수분리를 보이고자 도시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수분리기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오일분리챔버(120), 오일이송부력구(110), 오일저장탱크(140)로 이루어지며, 상기 오일분리챔버(120) 내부에 설치된 상기 오일이송부력구(110)가 상기 오일분리챔버(120) 내부로의 유수의 유입상태 및 수위에 따라 피스톤식으로 상, 하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오일분리챔버(120) 상부에 부유된 오일을 상기 오일저장탱크(140)측으로 이송시키는 작동원리를 구현하게 된다.
상기 오일분리챔버(120)는, 상기 오일분리챔버(120) 내부로 유입된 유수가 중력 등에 의해 오일층과, 고밀도 입자 및 물을 포함한 유출수층으로 분리되어 수 용가능하고, 상기 오일이송부력구(110)의 수용 및 상, 하이동이 가능하면서도, 상기 오일이송부력구(110) 상, 하측으로의 유체의 흐름이 가능한 유로를 제공하는 실리더형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오일분리챔버(120)에는, 유수가 유입되는 경로가 되는 유수유입구(121)와, 유수 상부에 부유된 오일을 상기 오일저장탱크(140)측으로 배출 및 이송시키는 경로가 되는 오일배출구(122)와, 상기 오일 하측의 물이 배출되는 경로가 되는 물배출구(123)가 형성되며, 상기 오일이송부력구(110)의 피스톤식 상, 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공기층에 항상 일단부가 연통된 상태로 공기배출관이 연결설치된다.
상기 오일분리챔버의 유수유입구(121)는 상기 오일분리챔버(120)의 측면부에 형성되며, 상기 오일분리챔버의 오일배출구(122)는 상기 유수유입구(121)의 상측에 해당되는 상기 오일분리챔버(120)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오일분리챔버의 물배출구(123)는 상기 유수유입구(121)의 하측에 해당되는 상기 오일분리챔버(120)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유수유입구(121) 상측에 분리형성된 오일층의 상층부가 상기 오일배출구(122)를 통해 상기 오일분리챔버(120)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유수유입구(121) 하측의 유출수층의 하층부는 상기 물배출구(123)를 통해 상기 오일분리챔버(120) 외부로의 배출이 이루어지게된다.
상기 오일분리챔버(120) 내부에 유수가 수용된 상태에서 유수의 최상부측으로 갈수록 고농도의 오일층이 형성되고, 하부측으로 갈수록 고밀도 입자가 많은 유출수층이 형성되므로, 상기 오일배출구(122)와 물배출구(123)의 위치에 따라 상기 오일배출구(122)를 통해 배출되는 오일의 농도, 상기 물배출구(123)를 통해 배출되는 물의 농도 등이 결정된다.
본 발명의 제1, 2실시예에서 상기 오일분리챔버의 오일배출구(122)는 상기 오일분리챔버(120)의 상단부에 상향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오일분리챔버의 물배출구(123)는 상기 오일분리챔버(120)의 하단부에 하향관통되게 형성되어, 유수의 최상부측에 형성된 고농도의 오일과, 고밀도 입자를 함유한 유출수층의 배출이 최선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오일이송부력구(110)는, 상기 오일분리챔버(120) 내부로 유입된 유수의 상부에 형성된 오일층과 하부에 형성된 유출수층 사이에서 상기 유수유입구(121)를 통해 유입되는 유수량 및 오일함유량 등에 따라 상, 하로 왕복이동되며 상기 오일배출구(122)와 물배출구(123)측으로 가압력을 전달하여 유체의 배출이 양방향으로 가속되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도 상기 오일배출구(122)와 물배출구(123)의 개폐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오일이송부력구(110)는 오일보다 크고 물보다 작은 비중을 가지고 상기 오일분리챔버(120)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오일분리챔버(120) 내부로 유입되는 유수의 수위에 따라 부력에 의해 상기 오일분리챔버의 오일배출구(122)와 물배출구(123) 사이를 왕복이동하며 오일을 상기 오일배출구(122)측으로 가압이송시키게 된다.
상기 오일이송부력구(110)는, 상하로 이동되면서 상기 오일배출구(122)으로의 오일유동과 상기 물배출구(123)측으로의 물유동을 유도하고, 상기 오일분리챔 버(120) 내에서 상기 오일이송부력구(110) 상, 하측으로의 유체의 이동을 차단하지 않는다면 특정한 형상과 구조로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제1, 2실시예에서 상기 오일이송부력구(110)는 본체부(111), 상부돌출부(112), 하부돌출부(113)로 이루어진 구조를 가진다.
상기 본체부(111)는 상기 오일분리챔버의 오일배출구(122) 및 물배출구(123)보다 확장되고 상기 오일분리챔버(120)의 내경보다 축소된 너비를 가지며, 상기 상부돌출부(112)는 상기 본체부(111) 상부에 상기 오일분리챔버의 오일배출구(122)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하부돌출부(113)는 상기 본체부(111) 하부에 상기 오일분리챔버의 물배출구(123)측으로 돌출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서 상기 오일이송부력구(110)의 상, 하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일배출구(122)가 형성된 상기 오일분리챔버(120)의 상부와, 상기 물배출구(123)가 형성된 상기 오일분리챔버(120)의 하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돌출형성되어 유체에 대한 상향가압 및 하향가압이 상기 오일이송부력구(110)의 상, 하단 전반에 걸쳐 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오일이송부력구의 상부돌출부(112)는 상기 오일이송부력구(110)가 상기 오일분리챔버(120) 상단부와의 접속 시 상기 오일이송부력구(110) 전체에 가해지는 상향가압력을 상기 상부돌출부(112)에 집중시켜 상기 오일배출구(122)를 명확하게 폐쇠시킬 수 있도록 상기 오일배출구(122)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오일배출구(122)보다 확장된 너비로 돌출형성된다.
상기 오일이송부력구의 하부돌출부(113)는 상기 오일이송부력구(110)가 상기 오일분리챔버(120) 하단부와의 접속 시 상기 오일이송부력구(110) 전체에 가해지는 하향가압력을 상기 하부돌출부(113) 둘레에서 상기 본체부(111)에 집중시켜 상기 물배출구(123)를 명확하게 폐쇄시킬 수 있도록 상기 물배출구(123)에 대응되는 위치에 보다 축소된 너비로 돌출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실시예는 상기 오일이송부력구(110)의 상, 하 이동을 지정경로로 가이드하도록 상기 오일분리챔버의 오일배출구(122)와 물배출구(123) 사이에 수직방향으로의 연장길이를 가지는 가이드바(125)를 추가로 구비하여, 상기 오일이송부력구(110)가 상기 오일분리챔버(120) 내부의 여유공간에 의해 유류에 따라 임의로 기울어지며 명확한 상, 하이동 및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실시예는 상기 오일분리챔버(120)의 하부 내부에 상기 물배출구(123)측으로 경사형성되는 헌치(127)를 추가로 구비하여, 상기 물배출구(123)측으로의 물의 유동을 보다 원활히 가이드함과 동시에, 상기 오일분리챔버(120) 내부의 이물질이 상기 물배출구(123)를 통해 상기 오일분리챔버(120) 외부로 이동되지 못하고 상기 오일분리챔버(120)의 둘레에 정체, 적층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상기 오일이송부력구(110)의 상, 하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 하부의 가장자리가 매끄러운 곡면형상을 가지도록 돌출형성되어 상기 오일이송부력구(110)의 측면부로부터 상기 오일배출구(122)측으로의 유동과, 상기 오일이송부력구(110)의 측면부로부터 상기 물배출구(122)측으로의 유동이 곡선면을 따라 매끄럽게 이루어지며 상기 오일분리챔버(120) 내에서의 유동에 의해 와류, 기포 발생 등이 최소화될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2실시예에서 상기 오일이송부력구의 상부돌출부(112)와 하부돌출부(113)는, 상기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오일분리챔버(120) 상, 하단부와의 접속 시 상기 오일이송부력구(110)에 의한 상향가압력과 하향가압력을 상기 상부돌출부(112)와 하부돌출부(133)에 집중시켜 상기 오일배출구(122)와 물배출구(123)를 명확하게 폐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오일배출구(122)와 물배출구(123)에 대응되는 위치에 함몰부를 구비하여, 상기 오일배출구(122)와 물배출구(123) 둘레에서 보다 협소한 면적으로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4, 도 5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일분리챔버(120) 내부에 유수가 최대로 충진된 상태에서의 상기 오일이송부력구(110)의 상, 하이동을 일예로 들어 설명하면, 상대적으로 오일의 양이 적은 유수가 추가로 도입되는 경우, 상기 오일이송부력구(110)는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상부에서 오일과 함께 상향이동되면서 상기 오일이송부력구(110) 상측의 오일을 상기 오일배출구(122)측으로 밀어내게 된다.
이러한 유수유입상태가 지속되는 경우,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일이송부력구(110) 상측의 오일은 상기 오일배출구(122)를 통해 모두 배출되고, 상기 오일이송부력구(110)가 상기 오일배출구(122)를 폐쇄시킨 상태가 되며, 상기 물배출구(123)를 통한 물의 배출이 주요하게 이루어지면서도, 지속적으로 유입중인 유수에 혼합된 오일은 상기 오일이송부력구(110)의 측면부와 상기 오일분리챔버(120)의 내벽 상부 사이로 부유하게 된다.
도 4, 도 5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일분리챔버(120) 내부에 유수가 최대로 충진된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오일의 양이 많은 유수가 추가로 도입되는 경우, 상기 오일이송부력구(110)는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일 하부에서 물과 함께 하향이동되면서 상기 오일이송부력구(110) 하측의 물을 상기 물배출구(123)측으로 밀어내게 된다.
이러한 유수유입상태가 지속되는경우,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일이송부력구(110) 하측의 물은 상기 물배출구(123)를 통해 모두 배출되고, 상기 오일이송부력구(110)가 상기 물배출구(123)를 폐쇄시킨 상태가 되며, 상기 오일배출구(122)를 통한 오일의 배출이 주요하게 이루어지면서도, 지속적으로 유입중인 유수의 물은 상기 오일이송부력구(110)의 측면부와 상기 오일분리챔버(120)의 내벽 하부 사이로 유동된다.
상기 오일저장탱크(140)는, 상기 오일이송부력구(110)의 상향이동에 의해 상기 오일분리챔버의 오일배출구(122)로 도입, 배출된 오일을 상기 유수나 물과 분리하여 수용하게 되며, 본 발명의 설치가 이루어지는 환경에 맞추어 그에 적합한 다양한 형태와 위치로 설치가능하다.
상기 오일분리챔버의 오일배출구(122)와 오일저장탱크(140)는 오일이송관(132)으로 연결되며, 상기 오일이송관(132)은 상기 오일배출구(122)와의 연결부에 상기 오일이송관(132) 내부에 오일이 유입된 상태에서도 지정높이 이상으로 부유된 오일만을 상기 오일저장탱크(140)측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오일배출구(122)의 하단으로부터 지정높이까지 상향연장되어 상부오일이송부(132a)를 구비하여, 상기 오일이송관(132) 내에서도 보다 고농도의 오일을 최선적으로 상기 오일저장탱크(140)로 이송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을 초기우수의 유입경로가 되는 유입단(210)과, 오일과 입자들이 처리된 상태의 유출수가 배출되는 유출단(220)이 형성된 맨홀본체(200) 내부에 설치하여 적용함에 있어서는, 상기 맨홀본체(200) 내부로 유입된 지정수위 이상의 유수 또는 상기 유입단(210)으로 도입되는 유수를 상기 유수유입구(121)를 통해 상기 오일분리챔버(120) 내부로 유입시키는 경로를 제공하는 유수유입로를 구비한 구성을 가진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유수유입로는 상기 맨홀본체(200) 내부로 유입된 지정수위 이상의 유수를 상기 유수유입구(121)를 통해 상기 오일분리챔버(120) 내부로 유입시키도록 형성되며, 상기 오일분리챔버의 물배출구(123)는 상기 맨홀본체(200) 내부와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오일분리챔버(120) 내에서 오일이 제거된 상태의 유출수는 상기 물배출구(123)와 상기 물배출구(123)에 연통형성된 물배출관(133)을 통해 상기 맨홀본체(200) 내부로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맨홀본체의 유입단(210)은 상기 맨홀본체(200) 내부로 유입된 유수에 와류를 형성시키며 혼합된 입자성물질의 침전과 오일의 분리를 유도가능하도록 하는 한국실용신안등록 제300516호에 기재된 내용을 포함한 공지기술을 따르며, 상기 맨홀본체의 유출단(220)에는 일측 개방부(150a)와 타측 개방부(150b)가 각각 상, 하부에 구비되고 하부측으로 갈수록 유로가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는 경사유출관(150)이 설치된다.
상기 경사유출관의 일측 개방부(150a)는 상기 맨홀본체의 유출단(220)측에 형성되며, 상기 경사유출관의 타측 개방부(150b)는 상기 맨홀본체의 유출단(220)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유출단(220) 하측으로 연장형성되는 하부연장판(151)과, 상기 하부연장판(151)의 하부측으로 갈수록 상기 하부연장판(151)과의 너비가 좁아지도록 경사형성되는 메인경사판(152)간의 이격공간에 의해 하향개방되게 형성된다.
상기 메인경사판(152)과 맨홀본체의 유출단(220) 사이에 상기 하부연장판(151)과 동일한 경사각을 가지는 서브경사판(153)을 추가로 이격설치하면, 상기 메인경사판(152)과 유출단(220) 사이에 일정한 길이로 형성된 상기 경사유출관의 수평방향연장부를 폐쇄부를 최소한으로 하여 상기 타측 개방부(150b)를 보다 확장형성할 수 있다.
상기 맨홀본체(200) 내부에 유입된 유수는 와류에 의해 입자의 침전 및 오일의 분리가 1차적으로 이루어지며, 유수의 상부는 고농도의 오일을 포함한 상태로 본 발명에 따른 유수분리기(100)로 유입되어 오일의 분리 수용 및 제거가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맨홀본체(200) 내부로 배출된 유출수는 상기 맨홀본체(200) 내부의 유수와 혼합되고, 상기와 같이 하부에 입자가 침전 처리되고 오일처리가 지속적으로 이루진 상태로 상기 유출단(220)측에 도달된 유수는 상기 경사유출관(150)의 협소한 하부형상 및 경사형상에 의해 입자성물질이 제거되는 2차처리를 거친 상태로 상기 경사유출관(150)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맨홀본체(200) 외부로의 최종 유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수분리기(100)에 의하면, 상기 오일분리챔버(120) 내부로 유입되는 유수의 상태에 따라 상하로 왕복이동되는 상기 오일이송부력구(110)에 의해 상기 오일분리챔버(120) 상부에 부유된 오일만을 상기 오일저장탱크(140)측으로 이송시키게 되므로, 별도의 동력원 없이 물과 오일의 완전한 분리 및 제거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오일저장탱크(140)에 수집된 오일을 제거하면서 오일 폐수의 연속적인 처리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오일분리챔버(120), 오일이송부력구(110), 오일저장탱크(140)로 이루어진 간단한 구조로 구현가능하여 시공비의 부담이 적으며, 상기 오일분리챔버(120)와 오일저장탱크(140)의 체적에 해당되는 소형으로 제작가능하고, 다양한 형태로 변형하여 적용가능하므로 기설치된 맨홀, 분류식 하수관거를 포함하여 유수분리가 필요한 시설에 광범위하게 적용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오일저장탱크(140)에 연결형성된 오일배출관을 맨홀의 상부까지 연장하여, 지면에서 상기 오일배출관 및 오일저장탱크(140)에 쉽게 접근하여 상기 오일저장탱크(140)에 수집된 오일의 흡입제거 및 유수분리성능 및 작동상태의 확인이 이루어질 수 있어, 유지관리 및 점검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강우 시나 차량 세차 시 초기에 다량 발생되는 오일성분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어, 도로, 주차장, 주유소와 같이 고농도의 오일이 다량 발생되는 곳에 오일 전처리 시설로써 설치하기 적합하다.
또한, 맨홀에 적용함에 있어서, 상기 오일분리챔버(120) 외부로 배출된 물은 상기 맨홀본체(200) 하부의 침전에 의해 입자성물질의 1차제거가 이루어지게 되며, 하부가 축소된 너비를 가지도록 경사형성된 상기 메인경사판(152)을 구비한 상기 경사유출관(150)을 통해 상기 맨홀본체(200) 외부로의 최종 유출이 이루어지면서 입자성물질의 2차제거가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입자성 물질의 처리 또한 효과적으로 이루이질 수 있음에 따라, 오일처리는 물론 초기우수 처리까지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실시예들을 기존의 공지기술과 단순히 조합적용한 실시예와 함께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변형하여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은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 - 본 발명에 따른 유수분리기를 맨홀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일예를 보이고자 도시한 요부종단면도
도 2 - 본 발명에 따른 유수분리기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요부종단면도
도 3 - 본 발명에 따른 유수분리기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요부종단면도
도 4 - 오일이송부력구의 상향이동에 따른 유수분리를 보이고자 도시한 개략도
도 5 - 오일이송부력구의 하향이동에 따른 유수분리를 보이고자 도시한 개략도
<도면에 사용된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 : 유수분리기 110 : 오일이송부력구
111 : 본체부 112 : 상부돌출부
113 : 하부돌출부 120 : 오일분리챔버
121 : 유수유입구 122 : 오일배출구
123 : 물배출구 125 : 가이드바
127 : 헌치 132 : 오일이송관
132a : 상부오일이송부 133 : 물배출관
140 : 오일저장탱크 150 : 경사유출관
150a : 경사유출관의 일측 개방부 150b : 경사유출관의 타측 개방부
151 : 하부연장판 152 : 메인경사판
153 : 서브경사판 200 : 맨홀본체
210 : 유입단 220 : 유출단

Claims (10)

  1. 유수가 유입되는 유수유입구(121)와, 유수 상부에 부유된 오일이 배출되는 오일배출구(122)와, 상기 오일 하측의 물이 배출되는 물배출구(123)가 형성되는 오일분리챔버(120);
    오일보다 크고 물보다 작은 비중을 가지고 상기 오일분리챔버(12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오일분리챔버(120) 내부로 유입되는 유수의 수위에 따라 부력에 의해 상기 오일분리챔버의 오일배출구(122)와 물배출구(123) 사이를 왕복이동하며 오일을 상기 오일배출구(122)측으로 가압이송시키게 되는 오일이송부력구(110); 및
    상기 오일이송부력구(110)의 상향이동에 의해 상기 오일분리챔버의 오일배출구(122)로 도입, 배출된 오일을 물과 분리하여 수용하는 오일저장탱크(14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분리기(100).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분리챔버의 유수유입구(121)는,
    상기 오일분리챔버(120)의 측면부에 형성되며,
    상기 오일분리챔버의 오일배출구(122)는,
    상기 유수유입구(121)의 상측에 해당되는 상기 오일분리챔버(120)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오일분리챔버의 물배출구(123)는,
    상기 유수유입구(121)의 하측에 해당되는 상기 오일분리챔버(120)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분리기(100).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분리챔버의 오일배출구(122)는,
    상기 오일분리챔버(120)의 상단부에 상향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오일분리챔버의 물배출구(123)는,
    상기 오일분리챔버(120)의 하단부에 하향관통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분리기(100).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분리챔버의 오일배출구(122)와 오일저장탱크(140)는 오일이송관(132)으로 연결되며,
    상기 오일이송관(132)은,
    상기 오일배출구(122)와의 연결부가 상기 오일배출구(122)의 하단으로부터 지정높이까지 상향연장되어 지정높이 이상으로 부유된 오일만을 상기 오일저장탱크(140)측으로 안내하는 상부오일이송부(132a);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분리기(100).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이송부력구(110)는,
    상기 오일분리챔버의 오일배출구(122) 및 물배출구(123)보다 확장되고 상기 오일분리챔버(120)의 내경보다 축소된 너비를 가지는 본체부(111);
    상기 본체부(111) 상부에 상기 오일분리챔버의 오일배출구(122)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상부돌출부(112); 및
    상기 본체부(111) 하부에 상기 오일분리챔버의 물배출구(123)측으로 돌출형성되는 하부돌출부(113);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분리기(100).
  6.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분리챔버(120)는,
    상기 오일이송부력구(110)의 상, 하 이동을 지정경로로 가이드하도록 상기 오일분리챔버의 오일배출구(122)와 물배출구(123)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바(125);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분리기(100).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분리챔버(120)는,
    맨홀본체(200)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오일분리챔버의 물배출구(123)는,
    상기 맨홀본체(200) 내부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분리기(100).
  8. 제 7항에 있어서,
    일측 개방부(150a)가 상기 맨홀본체의 유출단(220)에 형성되며, 타측 개방부(150b)가 상기 맨홀본체의 유출단(220)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유출단(220) 하측으로 연장형성되는 하부연장판(151)과, 상기 하부연장판(151)의 하부측으로 갈수록 상기 하부연장판(151)과의 너비가 좁아지도록 경사형성되는 메인경사판(152) 사이에 형성되는 경사유출관(150);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분리기(100).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유출관(150)은,
    상기 메인경사판(152)과 맨홀본체의 유출단(220) 사이에 상기 하부연장판(151)과 이격간격을 두고 경사형성되며 상기 타측 개방부(150b)를 보다 확장형성하는 서브경사판(153);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분리기(100).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분리챔버(120)의 하부 내부에 상기 물배출구(123)측으로 경사형성되는 헌치(127);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분리기(100).
KR1020080098702A 2008-10-08 2008-10-08 유수분리기 KR1010539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8702A KR101053995B1 (ko) 2008-10-08 2008-10-08 유수분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8702A KR101053995B1 (ko) 2008-10-08 2008-10-08 유수분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9651A true KR20100039651A (ko) 2010-04-16
KR101053995B1 KR101053995B1 (ko) 2011-08-03

Family

ID=42216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8702A KR101053995B1 (ko) 2008-10-08 2008-10-08 유수분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399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25860A (zh) * 2018-08-23 2018-11-16 苏州沧海真空机械有限公司 一种真空泵油箱用积水自动释放装置
KR20190136189A (ko) * 2018-05-30 2019-12-10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우리두 식물성 정유의 회수방법, 동 방법에 의한 정유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조성물
KR20210141047A (ko) * 2020-05-15 2021-11-2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오일회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924Y1 (ko) 2013-10-07 2014-01-27 주식회사서북환경산업 유수 분리장치
KR102115302B1 (ko) 2018-11-26 2020-05-27 주식회사 하이드텍 고속원심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수분리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09047C2 (sv) * 1996-03-15 1998-11-30 Sjoebo Bruk Ab Oljeavstängningsanordning för golvbrunnar
JP4037670B2 (ja) 2002-03-28 2008-01-23 セパレ−タ−システム工業株式会社 浮遊油の回収装置
JP3991313B2 (ja) 2002-06-07 2007-10-17 ダイキ産業有限会社 負圧の吸引力を利用した浮上油吸上げノズルユニット
JP2004216274A (ja) 2003-01-15 2004-08-05 Tlv Co Ltd 油水分離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6189A (ko) * 2018-05-30 2019-12-10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우리두 식물성 정유의 회수방법, 동 방법에 의한 정유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조성물
CN108825860A (zh) * 2018-08-23 2018-11-16 苏州沧海真空机械有限公司 一种真空泵油箱用积水自动释放装置
KR20210141047A (ko) * 2020-05-15 2021-11-2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오일회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3995B1 (ko) 2011-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17959C (en) Settling oil removal tank, system and method for produced water treatment
CN104817209B (zh) 地埋式高效初期雨水处理装置
KR100877700B1 (ko) 초기우수 처리장치
CN205095472U (zh) 沉降除油罐及采出水处理***
CN101417184B (zh) 一种气浮分离装置
KR100605267B1 (ko) 우수처리장치
US20150182881A1 (en) Floatables amd scum removal apparatus for a waste water treatment system
KR101053995B1 (ko) 유수분리기
KR20090112501A (ko)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1484030B1 (ko) 우수토실 정화장치
KR100751534B1 (ko) 연속 침전여과형 초기우수 처리장치
AU2018288385B2 (en) &#34;device for improving water quality&#34;
CN205258059U (zh) 一种带刮渣机的微正/负压密闭箱体式气浮装置
KR20070067943A (ko) 원심 분리식 오수처리장치
KR100906453B1 (ko) 여재의 자동 세척이 가능한 복합방식 강우유출수 처리장치
CN204607764U (zh) 地埋式高效初期雨水处理装置
KR100955098B1 (ko) 초기우수의 인 제거용 처리장치
KR101067699B1 (ko) 와류와 여과기능을 이용한 비점오염저감시설
CN106958287A (zh) 一种处理初期雨水的生物滞留池***
KR100956138B1 (ko) 와류형처리부와 경사진 섬유상필터를 갖는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1262194B1 (ko) 합류식 하수 관거 월류수 처리 장치
KR101181324B1 (ko) 수처리 시스템
KR100693281B1 (ko) 담수호의 침전 슬러지 및 퇴적오니 제거 시스템
CN208995244U (zh) 一种便于刮油的隔油器曝气集油罐
KR101598684B1 (ko) 수처리 여과 및 세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