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0110A - 공기조화기의 데이터 디버깅 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데이터 디버깅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0110A
KR20100030110A KR1020080088898A KR20080088898A KR20100030110A KR 20100030110 A KR20100030110 A KR 20100030110A KR 1020080088898 A KR1020080088898 A KR 1020080088898A KR 20080088898 A KR20080088898 A KR 20080088898A KR 20100030110 A KR20100030110 A KR 201000301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ebugging
data
terminal
debugging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8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근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8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30110A/ko
Publication of KR20100030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01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14Exchanging control software or macros for 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데이터 디버깅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실내기 또는 실외기 등의 유닛의 동작을 분석하거나 오류를 해결하기 위해 디버깅하는 경우, 유닛이 동작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단말이 접속하여 유닛으로부터 변수를 수신하여 디버깅함으로써, 유닛이 동작을 유지한 상태에서 변수를 분석하므로 동작 중 발생되는 원인을 용이하게 분석하고 오류를 해결하는 효과가 있다.
공기조화기, 디버그, 소프트웨어, 디버깅모드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데이터 디버깅 방법{Method of debuging softwere for air-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데이터 디버깅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동작중인 유닛의 변수를 분석하여 원인분석 및 디버깅이 용이하도록 하는 공기조화기의 데이터 디버깅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실내로 냉온의 공기를 토출하여, 실내 온도를 조절하고, 실내 공기를 정화하도록 함으로서 인간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로 구성되어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와, 압축기 및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되어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하는 실외기를 포함한다.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로 구성된 실내기와, 압축기 및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된 실외기로 분리되어 제어되며, 압축기 또는 열교환기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함으로서 동작된다. 또한, 공기조화기는 실외기에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가 연결될 수 있으며, 요청되는 운전 상태에 따라,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하여, 냉방 또는 난방모드로 운전된다.
공기조화기는 구비되는 구성을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및 제어데이터가 각각 탑재된다. 예를 들어, 실외기의 경우, 압축기를 구동 및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에 압축기 제어 소프트웨어 및 제어데이터가 구비되고, 열교환기 및 실내팬을 제어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및 제어데이터 또한 각각 구비된다.
이러한 공기조화기에 설치된 소프트웨어나 제어데이터에 오류가 발생되어, 이를 수정하고자 하는 경우, 디버깅모드를 설정하여 수정하게 된다. 또는 갱신 후 오류 발생시에도 디버깅을 통해 오류를 해결하게된다.
그러나, 유닛이 동작 정지된 상태에서 디버깅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으므로 실제 동작중 발생되는 오류의 원인을 찾아내는데 어려움이 있고, 이를 수정하였다 하더라도 유닛을 재 구동하여 확인해야하고, 디버깅에 문제가 있을 경우, 유닛이 오동작 될 뿐 아니라 소손될 위험이 있다. 그에 따라 보다 효과적인 디버깅 방법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조화기에 포함되는 유닛의 소프트웨어 또는 제어데이터에 오류가 발생되는 경우 이를 디버깅(debuging)하는데 있어서 유닛이 동작되는 중 디버깅모드를 설정하여 유닛의 변수를 수신하여 오류를 탐색하고 수정하여 용이하게 오류를 탐색하고 수정하는 공기조화기의 데이터 디버깅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데이터 디버깅 방법은 디버깅을 위한 단말이 유닛에 접속되면, 디버깅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유닛으로 디버깅모드 설정에 대하여 통보하는 단계, 동작중인 상기 유닛으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디버깅하는 단계, 및 수정된 데이터를 상기 유닛으로 전송하고 디버깅 완료시 접속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데이터 디버깅 방법은 유닛에 접속된, 단말로부터 디버깅모드 설정에 대한 통보를 수신하여, 디버깅모드를 설정하는 단계, 동작중 발생되는 데이터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단말로부터 수정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의 접속을 해제하고 디버깅모드를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데이터 디버깅 방법은 구동 중인 상태의 유닛에 단말이 접속하여 변수를 수신함으로써, 동작중 발생되는 데이터에 대한 분석이 가능하여 오류 탐색 및 오류의 원인을 찾아 수정하기 용이하고, 디버깅 결과를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효과적인 디버깅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디버깅 중, 유닛이 동작되기는 하나 다른 유닛과의 통신은 단절되므로 디버깅모드 설정에 따른 통신량의 과부하를 방지하고 디버깅모드 자체에 대한 이상여부판단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디버깅 진행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이 도시된 도이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본체(2)가 스텐드형 공기조화기나 벽걸이형 공기조화기나 천장형 공기조화기 등의 어느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나, 이하 편의를 위해 복수의 실외기 및 실외기를 포함하는 유닛이 원격제어기에 연결되는 시스템 공기조화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내로 냉온의 공기를 토출하는 실내기, 실내기와 연결되는 실외기 등의 유닛을 복수로 포함한다. 또한,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에 연결되어 실내기로 동작명령을 입력하는 로컬제어기(R1), 복수의 유닛에 연결되어 그 동작을 제어하고 모니터링 하는 원격제어기(R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여기서, 공기조화기에 포함되는 유닛은 실내기(I) 및 실외기(O)를 포함하고, 공기청정유닛, 환기유닛, 가습유닛, 제습유닛, 히터와 같은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유닛은 원격제어기(RC)와 연결되어 통합제어 될 수 있다. 이하 실내기(I) 및 실외기(O)가 구비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나 상기와 같은 유닛이 연결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실외기 및 실내기의 수는 도면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외기(O)는 냉매를 공급받아 압축하는 압축기와, 냉매와 실외공기를 열교환하는 실외 열교환기와, 공급되는 냉매로부터 기체 냉매를 추출하여 압축기로 공급하는 어큐뮬레이터와, 난방운전에 따른 냉매의 유로를 선택하는 사방밸브를 포함한다. 또한, 압축기로부터 토출되는 냉매의 압력을 측정하는 고압 압력센서와 압축기 로 공급되는 냉매의 압력을 측정하는 저압 압력센서를 포함한다. 그 외 다수의 센서, 밸브 및 오일회수기 등을 더 포함하나, 그 외 구성에 대한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하기로 한다.
실내기(I)는 실내 열교환기와, 실내기팬, 실외기(O)로부터 공급되는 냉매가 팽창되는 팽창밸브, 다수의 센서를 포함한다.
실내기(I)는 하나의 실내에 적어도 하나 구비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실외기(O)는 다수의 실내기(I)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요구에 의해 구동되고, 구동되는 실내기(I)에 대응하여 냉/난방 용량이 가변됨에 따라 실외기(O)의 작동 개수 및 실외기(O)에 설치된 압축기의 작동 개수가 가변된다. 여기서, 실외기의 수는 실내기 수에 따른 냉난방 용량 및 구비되는 압축기의 용량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이러한, 실외기(O)와 실내기(I)는 냉매배관을 통해 연결되어, 실외기(O)와 실내기(I) 간의 냉매의 흐름에 따라 냉매의 흐름에 따라 냉방 또는 난방 운전을 수행하고, 소정의 통신방식에 따라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기(RC)는 실내기(I) 및 실외기(O)와 연결되어, 소정의 통신방식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실내기(I) 및 실외기(O)의 동작을 모니터링 하고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여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실내기 및 실외기로 전송함으로서 실내기 및 실외기가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원격제어기(RC)는 상이한 프로토콜의 데이터를 변환하는 변환기 또는 게이트웨이를 내장한다. 이때, 원격제어기(RC)는 실내기(I) 및 실외기(O)에 복수 개 연결될 수 있으며, 복수의 원격제어기(RC)는 소정의 통신 방식에 따라 상호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 신하고 실내기 및 실외기 제어에 따른 데이터를 공유한다.
로컬제어기는 실내기(I)에 연결되어, 연결된 실내기(I)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고, 입력되는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실내기(I)로 전송한다. 이때, 로컬제어기는 실내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통신방식에 따라 일방향 또는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실외기 및 실내기를 포함한 복수의 유닛과, 원격제어기(RC)는 각각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가 각 제어부 별로 탑재되고, 구동을 위한 제어데이터가 저장된다. 이러한 구동용 소프트웨어는 새로운 기능이 추가되거나, 오류 발생시 오류를 해결하기 위해 업그레이드되는데, 오류발생으로 인한 원인 분석이 필요한 경우 단말(100)을 연결하여 동작데이터를 분석하게 된다.
디버깅을 위한 단말(100)은 실내기 또는 실외기 등의 유닛에 직접 또는 간접으로 연결하여 유닛으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오류발생 원인을 찾고, 이를 수정하여 디버깅한다.
단말(100)은 유닛 연결 시, 디버깅 모드의 설정을 요청하고, 유닛이 디버깅모드로 설정되면, 유닛으로부터 변수를 수신하여 분석하여 디버깅한다. 이때, 유닛은 동작정지하지 않고 동작을 유지한 상태로 단말(100)의 요청에 따라 디버깅모드를 설정하고, 디버깅모드 설정 시, 지정된 변수를 단말(100)로 전송한다. 유닛은 디버깅모드 시 다른 유닛, 원격제어기, 로컬제어기와의 통신을 중지하고, 디버깅모드 해제 시 통신을 재개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유닛과의 연결을 위한 케이블이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부(130), 유닛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부(140), 유닛 연결 시 유닛에 답재된 소프트웨어를 디버깅하는 디버깅제어부(120), 유닛으로부터 수신된 정보가 출력되는 출력부(150), 데이터가 입력되는 입력부(160)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부(130)는 단말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인터페이스부(130)는 실외기, 실내기 등의 유닛에 연결되며, 가습유닛, 제습유닛, 히터, 환기유닛 등의 유닛에도 연결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0)는 연결된 유닛으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단말(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할 수 있고, 단말(100) 내부의 데이터가 연결된 유닛으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부(130)는 단말에 저장된 데이터를 다른 컴퓨터 등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데이터부(140)는 인터페이스부(170)를 통해 연결되는 유닛을 디버깅하기 위한 디버깅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부(170)를 통해 수신되는 유닛의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한 분석데이터를 포함하는 제어데이터저장부(142), 연결되는 유닛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공조기 데이터 저장부(141)를 포함한다.
공조기 데이터 저장부(141)는 연결된 유닛의 모델명, 유닛의 종류, 기본 프세스 등과 같은 공조기 데이터가 저장되고, 제어 데이터 저장부(142)는 공조기 데이터 저장부(141)에 저장된 유닛의 정보에 기초하여 실행될 유닛에 적합한 디버깅 프로그램, 디버깅을 위한 데이터가 저장된다.
출력부(150)는 문자, 숫자, 특수문자, 이미지 등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 점등 또는 점멸되어 상태정보를 출력하는 램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입력부(160)는 복수의 입력키를 포함하여, 입력키 조작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10)로 인가한다. 경우에 따라 터치입력수단 또한 입력부(160)에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단말의 구동에 따른 동작 전반을 제어한다. 제어부(110)는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한 유닛의 연결을 제어하고, 입력부(160) 및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제어하고 출력부(150)의 구동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데이터부(140)로 소정의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하고, 데이터부(140)에 저장된 데이터를 호출한다.
특히, 제어부(110)는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유닛에 접속되는 경우, 접속 상태에 따라, 접속이 완료되면 디버깅 제어부(120)를 호출하여 유닛에 대한 디버깅이 수행되도록 한다. 제어부(110)는 디버깅 제어부(120)에 의한 디버깅이 완료되면, 접속을 해제에 따른 신호를 유닛으로 전송하고,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한 접속이 해제되도록 한다.
제어부(110)는 디버깅제어부(120)에 의해 유닛의 디버깅이 수행되는 중, 발생되는 데이터의 입출력을 제어하고,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한 연결상태를 지속적으로 감지하여 연결에 이상 발생 시 이를 디버깅 제어부(120)로 전달하고, 그에 따른 안내메시지가 출력부(15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디버깅제어부(120)는 유닛에 대한 접속이 완료되면, 디버깅모드를 설정하고, 디버깅모드 설정에 따른 데이터가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유닛으로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디버깅모드 설정에 대한 통보가 전송되도록 한다.
여기서, 디버깅제어부(120)는 디버깅모드에 대한 통보를 전송 한 후, 유닛으로부터 응답이 수신되기까지 대기하게 되는데, 소정시간 대기 후 응답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통보에 대한 횟수를 카운트 하고 통보를 재 전송한다.
유닛으로 전송한, 디버깅설정에 따른 통보에 대응하여, 유닛으로부터 디버깅설정에 따른 응답이 수신되면, 디버깅제어부(120)는 디버깅 설정이 완료됨을 확인하고, 이후 유닛으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유닛에 탑재된 소프트웨어 또는 제어데이터의 오류를 분석하고 수정한다.
이때, 디버깅제어부(120)는 동작중인 유닛에서 지정된 변수의 데이터값이 수신됨에 따라, 유닛이 동작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데이터를 확인하여 그 이상 유무를 판단하고, 정상범위를 벗어난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이를 오류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여 표시한다. 여기서, 제어부(110)는 입력부(160) 및 출력부(150)를 제어하여 유닛으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가 출력부(150)를 통해 표시되도록 하고, 입력부(160)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가 디버깅제어부(120)로 인가되도록 한다.
사용자에 의해 디버깅 작업이 수행되면, 입력부(160)가 조작됨에 따라 사용자 명령이 단말로 입력되므로, 디버깅제어부(120)는 입력되는 데이터에 따라 유닛의 소프트웨어 또는 제어데이터를 수정한다. 디버깅제어부(120)는 수정된 데이터를 유닛으로 전송하고, 디버깅을 종료한다. 제어부(110)는 디버깅제어부(120)에 의해 디버깅이 완료되면 디버깅모드를 해제하고 인터페이스부를 통한 유닛과의 연결을 해제한다.
한편, 디버깅제어부(120)는 유닛으로부터 응답이 수신되지 않아 통보를 3회 이상 전송한 경우에는 케이블 또는 유닛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디버깅을 종료하고 에러발생에 따른 안내메시지가 출력되도록 제어부(110)로 신호를 인가한다. 그에 따라 제어부(110)는 접속을 종료하고 에러메시지가 출력부(150)를 통해 표시되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 및 디버깅제어부는 내부에 데이터 저장이 가능한 저장수단을 포함하는데, 소정의 프로세스 수행시 필요한 소프트웨어가 저장되어, 소프트웨어 실행 중 필요한 데이터가 호출되어 저장되거나, 프로세스 중 발생되는 데이터가 저장되며, 버퍼 또는 플래쉬 메모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유닛은 단말(100)과 연결되는 연결수단, 다른 유닛과의 통신을 위한 통신모듈, 제어모듈, 데이터모듈, 소정 동작을 위한 구동모듈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유닛이 실내기인 경우, 열교환기, 실내팬, 팽창밸브 및 이러한 구성을 제어하는 제어모듈 및 구동모듈을 포함하고, 실외기의 경우, 압축기, 열교환기, 실외팬, 오일회수기, 어큐뮬레이터, 과냉각장치 등의 구동수단이 더 포함되고, 실내기의 경우 팽창팰브, 열교환기, 실내팬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각각의 구동수단은 제어모듈 및 구동모듈에 의해 제어된다.
유닛은 단말(100)이 접속되어, 단말(100)로부터 디버깅모드 설정에 따른 통보가 수신되면, 유닛을 디버깅모드로 설정하고 단말(100)로부터의 데이터 입력 및, 단말로의 데이터 출력을 준비한다. 유닛은 디버깅모드를 설정한 후, 미리 지정된 변수에 대하여 변수데이터를 단말(100)로 전송한다.
이때, 유닛은 디버깅모드가 설정되면, 수행중이던 동작은 그대로 유지하되, 다른 유닛과의 통신은 중지한다. 유닛은 동작중에 발생되는 데이터, 또는 동작중 변경되는 데이터를 단말(100)로 전송하고, 단말(100)로부터 수정데이터가 수신되는 이를 저장하여, 탑재된 소프트웨어가 변경되도록 한다. 단, 구동중 변경 가능한 데이터의 경우에는 즉시 변경하여 디버깅이 반영되도록 하나, 사용중인 데이터나 소프트웨어의 경우에는 다음 구동시 적용될 수 있도록 한다.
유닛은 단말(100)에 의한 디버깅모드가 종료되면, 디버깅 모드를 해제하고, 중지된 다른 유닛과의 통신을 재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유닛과 단말의 동작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유닛을 디버깅하기위한 프로그램이 탑재된 디버깅용 단말(100)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유닛에 접속된다(S300). 단말(100)은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유닛과 연결되어 데이터를 수신한다. 단말은 유닛에 대한 디버깅모드를 설정하고(S310), 유닛으로 디버깅모드를 통보한다(S320).
소정의 동작명령에 따라 동작 중인 유닛은 단말(100)이 연결되어, 디버깅모드에 대한 통보를 수신하면, 유닛에 디버깅모드를 설정한다(S360). 이때, 유닛은 다른 기기, 에를 들어 다른 실외기, 다른 실내기, 원격제어기 등의다른 기기와의 통신을 중지한다(S380). 단, 수행중이던 동작은 정지하지 않고 계속 유지한다. 디버깅모드 설정이 완료되면 디버깅모드 설정에 따른 응답을 단말로 전송한다.
유닛은 동작 중 기 설정된 변수의 데이터를 단말(100)로 전송한다.
단말(100)은 유닛으로부터 수신되는 변수데이터를 분석하여 유닛의 동작상태를 판단하고, 오류여부를 분석한다. 이때, 단말(100)은 데이터의 변화에 따라 오류의 원인을 분석하고,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에 대응하여 유닛의 오류를 수정한다(S330).
수정된 데이터는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유닛으로 전송되고, 유닛은 수정데이터를 저장한다(S390). 단말(100)은 디버깅이 완료되기까지 유닛으로부터 수신된 변수를 이용한 디버깅을 수행한다(S340).
디버깅이 완료되면, 단말(100)은 디버깅모드를 해제하고, 디버깅모드 해제에 다른 메시지를 유닛으로 전송한다. 그에 따라 유닛은 디버깅모드를 종료하고 중지했던 다른 유닛과의통신을 재개한다(S420). 단말(100)이 유닛으로부터 접속해제되면, 디버깅은 완료된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버깅 설정 실패에 따른 동작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전술한 도 3과 같이, 단말이 유닛에 접속하여 디버깅을 수행하는 중 유닛과의 데이터 전송에 오류가 발생되는 경우, 도 4와 같이 동작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단말(100)은 유닛에 접속하면(S450), 디버깅모드를 설정하고(S460), 유닛으로 디버깅 모드 설정에 대하여 통보한다(S470).
단말(100)은 유닛으로 디버깅 모드 설정에 대하여 통보한 후, 응답이 수신되 길 기다리는데, 응답이 수신되기까지 시간을 카운트 한다. 단말(100)은 소정시간 내에 응답이 수신되면(S480), 유닛에 디버깅 모드가 설정된 것으로 판단하고, 유닛으로부터 변수데이터를 수신하여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유닛에 탑재된 소프트웨어 또는 제어데이터에 대한 디버깅을 시도한다. 이때, 단말의 출력부에는 수신된 변수에 대한 정보가 표시된다(S520).
단말(100)은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에 대응하여 소프트웨어 또는 제어데이터에 포함된 오류를 수정한다(S530). 이렇게 수정된 데이터는 단말(100)로부터 유닛으로 전송되고, 유닛은 수정된 데이터를 저장하여 오류를 복구한다.
한편, 단말(100)은 유닛으로부터 소정시간 내에 응답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S480), 무응답 카운트를 1 증가 시키고 디버깅모드 설정에 대한 통보를 재 전송한다. 단말(100)은 통보를 재전송할 때, 재전송횟수, 즉 무응답 카운트가 3회 이상인 경우(S490), 디버깅모드에 대한 통보를 재 전송한다.
3회이상 통보를 재 전송한 경우(S490), 단말(100)은 유닛과 정상적으로 연결되어 있는지 재 확인하고, 통신선 또는 케이블의 이상 유무 또는 자체 이상여부를 확인한다(S500). 이때, 접속여부에 대한 자가점검 이외에도 출력부를 통해 안내메시지를 출력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점검하도록 한다.
단말(100)은 디버깅모드에 에러가 발생된 것을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부에 표시한다(S510).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데이터 디버깅 방법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고,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응용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이 도시된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유닛과 단말의 동작방법이 도시된 순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버깅 설정 실패에 따른 동작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0: 단말
110: 제어부 120: 디버깅제어부
130: 인터페이스부 140: 데이터부
150: 출력부 160: 입력부
I: 실내기 O: 실외기
R1: 로컬제어기 RC: 원격제어기

Claims (7)

  1. 디버깅을 위한 단말이 유닛에 접속되면, 디버깅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유닛으로 디버깅모드 설정에 대하여 통보하는 단계;
    동작중인 상기 유닛으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디버깅하는 단계; 및
    수정된 데이터를 상기 유닛으로 전송하고 디버깅 완료시 접속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데이터 디버깅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으로 디버깅모드 설정에 대한 통보를 전송하고, 소정시간 내에 상기 유닛으로부터 응답이 수신되지 않으면 디버깅모드 설정에 대한 통보를 재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데이터 디버깅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버깅 모드 설정에 대한 통보를 기준횟수 이상 전송한 후, 응답이 수신되지 않으면, 에러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데이터 디버깅 방법.
  4. 유닛에 접속된, 단말로부터 디버깅모드 설정에 대한 통보를 수신하여, 디버 깅모드를 설정하는 단계;
    동작중, 발생되는 데이터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단말로부터 수정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의 접속을 해제하고 디버깅모드를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데이터 디버깅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디버깅모드 설정 시, 상기 단말 이외의 다른 유닛과의 통신을 중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데이터 디버깅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디버깅모드 종료 시, 다른 유닛과의 통신을 재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데이터 디버깅 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은 디버깅 모드 설정 시, 정상 동작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데이터 디버깅방법.
KR1020080088898A 2008-09-09 2008-09-09 공기조화기의 데이터 디버깅 방법 KR201000301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8898A KR20100030110A (ko) 2008-09-09 2008-09-09 공기조화기의 데이터 디버깅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8898A KR20100030110A (ko) 2008-09-09 2008-09-09 공기조화기의 데이터 디버깅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0110A true KR20100030110A (ko) 2010-03-18

Family

ID=42180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8898A KR20100030110A (ko) 2008-09-09 2008-09-09 공기조화기의 데이터 디버깅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30110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40421A (zh) * 2019-08-07 2019-11-1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基于随机码的多联机调试方法、分户计费***及空调
CN111306697A (zh) * 2020-02-27 2020-06-19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变频空调器的调试方法
CN111735176A (zh) * 2020-05-26 2020-10-0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形象识别的调试终端及电器设备的调试方法
CN112036857A (zh) * 2019-06-04 2020-12-0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多联机分户计费的调试方法、分户计费***及多联机空调
CN113048625A (zh) * 2021-03-26 2021-06-2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调试方法、装置及空调设备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36857A (zh) * 2019-06-04 2020-12-0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多联机分户计费的调试方法、分户计费***及多联机空调
CN112036857B (zh) * 2019-06-04 2024-04-1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多联机分户计费的调试方法、分户计费***及多联机空调
CN110440421A (zh) * 2019-08-07 2019-11-1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基于随机码的多联机调试方法、分户计费***及空调
CN110440421B (zh) * 2019-08-07 2020-06-3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基于随机码的多联机调试方法、分户计费***及空调
CN111306697A (zh) * 2020-02-27 2020-06-19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变频空调器的调试方法
CN111735176A (zh) * 2020-05-26 2020-10-0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形象识别的调试终端及电器设备的调试方法
CN111735176B (zh) * 2020-05-26 2021-07-2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形象识别的调试终端及电器设备的调试方法
CN113048625A (zh) * 2021-03-26 2021-06-2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调试方法、装置及空调设备
CN113048625B (zh) * 2021-03-26 2022-03-0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调试方法、装置及空调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25239B2 (ja) 空気調和機および空気調和システム
EP2581676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JP2009014233A (ja) 空気調和機、及び空気調和機の管理システム
EP2253896B1 (en) Method of monitoring air conditioner
US8301763B2 (en) Air conditioning system
JP2011089751A (ja) 空気調和装置の故障診断システム
KR20100030110A (ko) 공기조화기의 데이터 디버깅 방법
JP2008249233A (ja) 空気調和システム
JP2017190942A (ja) 空気調和装置の移設判断方法及び移設判断装置
JP6277832B2 (ja) コントローラ
WO2016038903A1 (ja) 制御装置及びシステム並びにその制御方法
KR101400399B1 (ko) 설비기기 제어시스템 및 그 비상제어방법
US10619875B2 (en) Air-conditioning system
EP2853824A2 (en) Air-conditioning system
JP7018520B2 (ja) 気体圧縮機
KR20110020555A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JP6072906B2 (ja) 空気調和システム
KR101972345B1 (ko) 공기 조화기, 이의 유선 제어기, 및 유선 제어기를 이용한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
KR101968945B1 (ko) 휴대용 공조기기 도킹 스테이션 및 그를 포함하는 공조기기 유지관리 시스템
KR20100026347A (ko) 공기조화기 및 그 데이터 갱신방법
KR20100032201A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JP2012013329A (ja) 空気調和装置
WO2014027391A1 (ja) 空気調和装置の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WO2017179450A1 (ja) 情報通知方法及び移設判断装置
KR101028096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비상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