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5473A - 전극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전극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5473A
KR20100025473A KR1020090073249A KR20090073249A KR20100025473A KR 20100025473 A KR20100025473 A KR 20100025473A KR 1020090073249 A KR1020090073249 A KR 1020090073249A KR 20090073249 A KR20090073249 A KR 20090073249A KR 20100025473 A KR20100025473 A KR 201000254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ion
group
selective
slur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3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7335B1 (ko
Inventor
강경석
최재환
Original Assignee
(주) 시온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시온텍 filed Critical (주) 시온텍
Priority to KR1020090073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7335B1/ko
Publication of KR20100025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54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7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73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9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chemical separation, e.g. by electro-osmosis, electrodialysis, electrophoresis
    • C02F1/4691Capacitive deion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02F2001/46133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C02F2001/46138Electrodes comprising a substrate and a coa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ic Double-Layer Capacitors Or The Lik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이온교환기 또는 음이온교환기를 포함하고 있는 고분자용액을 사용한 전극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높은 비표면적을 갖는 전극활물질을 이온교환기를 가지고 있는 고분자 용액과 혼합하여 슬러리를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슬러리를 집전체에 도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극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전극은 이온의 흡착효율과 속도를 증가시킬 뿐 아니라 양이온교환고분자용액을 사용한 전극은 양이온만 통과시키고 음이온교환고분자를 사용한 전극은 음이온만 통과시키는 전극을 간단하고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온교환, 전극

Description

전극의 제조 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Electrode}
본 발명은 전극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온선택성을 가지며, 양이온 및 음이온을 효율적으로 분리 및 제거할 수 있는 전극에 관한 것이다.
생활용수나 산업용수의 제조에서 탈염기술은 사람의 건강이나 공정의 효율, 제품의 성능을 결정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중금속이나 질산성 질소, 불소 이온들이 포함된 물을 사람이 장기간 음용했을 때 건강에 치명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또한 경도물질이 포함된 보일러 수는 보일러나 열교환기에 스케일을 유발하여 공정의 효율을 크게 떨어뜨릴 수 있고 전자산업이나 의약산업에서도 이온물질을 완전히 제거한 초순수는 제품의 성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현재 수용액 중의 이온성 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한 이온교환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 방법은 대부분의 이온성 물질들을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지만 이온교환이 완료된 수지를 재생하는 과정에서 다량의 산, 염기, 또는 염의 폐액이 발생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외에도 역삼투막법, 전기투석법 등의 분리막 기술이 적용되고 있지만 막의 파울링으로 인한 처리 효율의 감소, 오염된 막의 세정, 주기적인 막의 교체 등과 같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러한 기존 탈염 기술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최근 들어 전기이중층의 원리를 이용한 축전식 탈염기술이 연구되어 탈염공정에 적용되고 있다.
축전식 탈염은 전극에 전위를 인가했을 때 전극 표면에 형성되는 전기이중층에서 전기적 인력에 의한 이온들의 흡착 반응을 이용하기 때문에 낮은 전극전위 (약 1~2V)에서 작동하고 그 결과 에너지 소비량이 다른 탈염기술에 비해 월등이 낮아 저 에너지 소모형 차세대 탈염기술로 평가되고 있다.
축전식 탈염기술의 핵심은 전극의 축전용량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전극을 개발하는 것이다. 1990년대부터 비표면적이 높으면서 전기전도도가 우수한 활성탄소 분말, 활성탄소 섬유, 탄소나노튜브, 탄소 에어로겔 등 탄소계 물질을 전극활물질로 사용하여 전극을 제조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제조한 전극의 경우 탄소체의 종류와 특징, 그리고 함량비에 따라 축전용량이 결정되어 전극의 성능을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축전식 탈염기술의 또 다른 문제점은 전기이중층에 흡착된 이온들이 완전히 탈착되지 않아 탈염과정에서 이온들의 흡착효율이 감소한다는 점이다. CDI 공정은 1 ~ 2 볼트(V)의 전극전위를 인가했을 때 전극표면에 형성되는 전기이중층에서의 흡착반응으로 유입수 중의 이온물질들을 제거한다. 흡착된 이온이 전극의 축전용량에 도달하게 되면 전극전위를 0 볼트(V), 또는 반대 전위로 전환하여 흡착된 이온들을 탈착시켜 전극을 재생하게 된다. 이때 급격한 전극전위의 변화로 인해 전극에 흡착된 이온과 반대 전하의 이온들이 전기이중층으로 이동하면서 흡착된 이온들이 모두 탈착되지 못하고 전극표면에 잔류하게 되어 전극의 흡착효율을 감소시키는 문 제점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은 전극의 축전용량을 높이면서 공정의 운전과정에서 이온들의 흡착효율이 높은 전극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는 흡착된 이온들을 탈착하는 과정에서 반대 전하의 이온들이 전극으로 이동하여 흡착효율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온교환작용기를 가지고 있는 고분자를 바인더 물질로 사용하여 이온선택성을 나타낼 수 있는 새로운 전극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극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온교환 가능한 고분자수지를 사용하여 전극을 제조함으로써 이온의 흡착 및 탈착효율을 향상시키는데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이온의 흡착효율과 속도를 증가시킬 뿐 아니라 양이온교환고분자용액을 사용한 전극은 양이온만 통과시키고 음이온교환고분자를 사용한 전극은 음이온만 통과시키는 전극을 간단하고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a) 양이온교환기 또는 음이온교환기를 가지는 고분자수지를 유기용매에 용해하여 이온선택성 고분자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고분자용액에 전극활물질을 첨가하여 슬러리를 제조하는 단계 ;
(c) 상기 슬러리를 집전체에 도포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c) 단계 후, (d) 상기 집전체에 도포된 슬러리에서 유기용매를 제거하여 시트형태의 탄소전극을 제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b) 단계에서 전도성물질을 더 첨가하는 경우, 전극의 전기전도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단계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상기 (a) 단계에서 양이온교환기를 가지는 고분자수지는 술폰산기(-SO3H), 카르복실기(-COOH), 포스포닉기(-PO3H2), 포스피닉기(-HPO2H), 아소닉기(-AsO3H2), 셀리노닉기(-SeO3H) 등의 양이온교환기를 가지는 것을 사용하고, 음이온교환기를 가지는 고분자수지는 4급 암모늄염(-NH3), 1~3급 아민(-NH2, -NHR, -NR2), 4급 포스포니움기(-PR4), 3급 술폰니움기(-SR3) 등의 음이온 교환기를 가지는 것을 사용한다. 이러한 고분자수지는 유기용매에 녹아서 용액형태로 존재할 수 있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폴리스티렌, 폴리술폰, 폴리이서술폰,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 폴리에틸렌,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에 제한되지 않고 양이온교환기 또는 음이온교환기를 가질 수 있는 수지라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분자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은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200,000 ~ 400,000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범위의 고분자수지를 사용했을 때 전극슬러리의 점도 및 전극활물질을 결합해 주는 특성이 우수하다.
상기 유기용매는 상기 고분자 수지의 종류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하며, 상술한 고분자 수지가 용해되는 유기용매로는 디메틸포름아마이드,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 N-메틸-2-피롤리돈 아세톤,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트리클로로에틸렌, 에탄올, 메탄올, 노르말헥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 가능하며,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a)단계에서 고분자용액 제조 시 고형분 함량이 10 ~ 3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형분 함량이 10중량% 미만이거나 3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는 고분자 용액의 점도가 너무 낮거나 너무 높아 (b)단계에서 전극슬러리의 제조가 용이하지 않은 특성을 나타낸다.
다음으로 상기 (b)단계에 대하여 설명하면, 고분자용액에 전극활물질, 전도성물질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첨가하여 슬러리를 제조하는 단계로, 전극활물질을 첨가함으로써, 전극의 비표면적과 축전용량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도성물질을 첨가함으로써, 전극의 전기전도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전극활물질은 비표면적이 높은 활성탄소계열의 물질로서, 활성탄소 분말, 활성탄소 섬유, 카본 나노 튜브, 탄소 에어로겔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분말로 제조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금속산화물 계열의 물질로서 RuO2, Ni(OH)2, MnO2, PbO2, TiO2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전극활물질은 필요한 물성에 따라 그 함량 범위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한되지 않으나, 평균입경이 10 이하인 것, 보다 구체적으로는 10nm ~ 10을 사용하는 것이 전극의 비표면적과 축전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며, 상기 이온교환작용기를 갖는 고분자물질 100 중량부에 대하여, 600 ~ 900 중량부 범위로 사용하는 것이 이온선택성을 나타내면서 축전용량이 높은 전극을 제조하는데 좋다.
또한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상기 전극활물질과 함께 전도성물질을 더 추가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전기저항이 낮은 전도성물질이라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아세틸렌블랙, 케첸블랙, XCF 카본, SRF 카본 등의 전도성 카본블랙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전도성물질은 필요한 물성에 따라 그 함량 범위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한되지 않으나, 평균입경이 1 이하인 것, 보다 바람직하게는 10nm ~ 1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전극의 전기전도도를 높이는데 바람직하며, 상기 전극활물질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 10 중량부 범위로 사용하는 것이 전극의 전기전도도와 축전용량을 높이는데 좋다.
다음으로, 상기 (c) 단계는 상기 슬러리를 집전체에 도포하는 단계로, 상기 집전체는 전원공급 장치를 통해 제조한 전극에 전류를 공급했을 때 전기장이 전극표면에 균일하게 분포할 수 있도록 전도성이 우수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 다. 이러한 예로는 알루미늄, 니켈, 구리, 티타늄, 철, 스테인레스 스틸, 흑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시트, 박막 또는 평직금망 형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포방법은 스프레이, 딥 코팅, 나이프 캐스팅, 닥터블레이드, 스핀코팅 등에 의해 제한되지 않고 가능하며, 도포두께는 50 ~ 300 범위로 하는 것이 전극의 전기저항을 줄이면서 탈염 효율을 높이는데 바람직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c) 단계를 한번 이상 반복하여 제조하고자 하는 특정한 두께의 전극을 제조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d) 단계에서 집전체에 도포된 슬러리의 유기용매를 제거하여 시트형태의 다공성 탄소전극을 제조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한다. 상기 유기용매의 제거 방법은 섭씨 수십 또는 수백도의 온도분위기에서 상압, 진공 건조 또는 비용매를 이용하여 유기용매를 분리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온 ~ 200의 온도분위기에서 상압, 진공 건조하여 제거하거나, 또는 증류수, 알코올,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마니드, N-메틸-2-피롤리돈, 아세톤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비용매에 상기 슬러리가 도포된 집접체를 1 ~ 24시간동안 담가 고분자수지를 상변이(solidification)시키면서 유기용매가 용출되어 제거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이온선택성 전극을 양극 또는 음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전극에만 사용하거나, 또는 양극과 음극에 모두 사용하는 전기 화학 셀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상기 전기 화학 셀은 전기를 인가하여 전극을 형성하는 것으로, 양극과 음극 및 스페이서로 구성된 형태를 의미한다. 이 러한 전기 화학 셀은 축전식 탈염셀, 캐패시터 등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전극을 채용하여 전기 화학 셀을 제조하는 경우, 양극 또는 음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전극에만 상기 이온선택성 전극을 사용하고, 나머지 전극은 이온교환기를 갖지 않는 고분자바인더로 제조된 전극을 사용하며, 이러한 경우에도 우수한 이온의 흡착과 탈착을 달성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온선택성 전극을 음극과 양극 모두 채용함으로써, 축전용량이 높으며, 공정의 운전과정에서 이온의 흡착과 탈착을 원활히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이온선택성 전극을 사용한 전기 화학 셀에서, 양이온교환기를 갖는 고분자수지를 이용한 전극은 음극으로 사용하고, 음이온교환기를 갖는 고분자수지를 이용한 전극은 양극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온교환성 전극의 제조방법은 이온교환기를 가지는 고분자용액을 바인더로 사용함으로써 이온의 흡착과 탈착을 원활히 할 수 있으며 흡탈착 속도를 증가시키고 흡착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극간의 간격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이온성 물질의 흡착을 더욱 빠르고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온교환기를 가지고 있는 고분자 바인더를 이용하여 전극을 제조하므로 별도의 바인더를 사용할 필요가 없고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어 축전식 탈염용 전극으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기술의 적용범위를 대규모의 산업용 수의 처리에서부터 소규모의 가정용 정수처리에 이르기 까지 확대 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축전용량이 높은 전극의 제공이 가능하다.
이하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을 위하여 일예를 들어 설명하는 바,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양이온교환기를 갖는 슬러리의 제조
술폰화(sulfonation) 반응을 통해 제조된 양이온교환기를 가지고 있는 폴리스티렌(양이온교환용량 = 3 meq/g) 1.0g,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DMAc) 20g을 혼합하여 고분자 용액을 제조하고, 상기 고분자 용액에 활성탄소 분말(비표면적 = 1600/g) 6.0g을 혼합하여 양이온교환 전극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음이온교환기를 갖는 슬러리의 제조
아민화 반응을 통해 제조된 음이온교환기를 가지고 있는 폴리스티렌(음이온교환용량 = 3 meq/g) 1.0g,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 20g을 혼합하여 고분자 용액을 제조하고, 상기 고분자 용액에 활성탄소 분말(비표면적 = 1600/g) 6.0g을 혼합하여 음이온교환 전극슬러리를 제조 하였다.
[제조예 3]
폴리비닐리덴디플로라이드 슬러리의 제조
폴리비닐리덴디플로라이드(PVdF, Mw = 275,000)1.0g,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 20g을 혼합하여 고분자 용액을 제조하고, 상기 고분자 용액에 활성탄소 분말(비표면적 = 1600/g) 8.0g 을 혼합하여 전극슬러리를 제조 하였다.
[제조예 4]
전도성물질을 첨가한 양이온교환기를 갖는 슬러리의 제조
술폰화(sulfonation) 반응을 통해 제조된 양이온교환기를 가지고 있는 폴리스티렌(양이온교환용량 = 3 meq/g) 1.0g,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DMAc) 20g을 혼합하여 고분자 용액을 제조하고, 상기 고분자 용액에 활성탄소 분말(비표면적 = 1600/g) 6.0g, 카본블랙(평균직경 = 19 nm) 0.5 g을 혼합하여 양이온교환 전극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5]
전도성물질을 첨가한 음이온교환기를 갖는 슬러리의 제조
아민화 반응을 통해 제조된 음이온교환기를 가지고 있는 폴리스티렌(음이온교환용량 = 3 meq/g) 1.0g,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 20g을 혼합하여 고분자 용액을 제조하고, 상기 고분자 용액에 활성탄소 분말(비표면적 = 1600/g) 6.0g, 카본블랙(평균직경 = 19 nm) 0.5 g을 혼합하여 음이온교환 전극슬러리를 제조 하였다.
[실시예 1]
양극 모두 이온교환기를 가지는 바인더로 제조된 전극의 이온 흡착성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양극 및 음극에 이온교환기를 갖는 전극을 제조하였다.
전극 제조
상기 제조예 1 및 제조예 2에서 제조된 슬러리를 각각 전도성 흑연 시트(두께: 250) 위에 닥터블레이드(Doctor blade)로 한면의 코팅층 두께가 150 가 되도록 코팅한 후 상온에서 건조하여 양이온교환기를 가지는 음극과 음이온교환기를 가지는 양극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한쪽만 이온교환기를 가지는 바인더로 제조된 전극의 이온 흡착성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음극만 이온교환기를 갖는 전극을 제조하였다.
전극 제조
상기 제조예 1 및 제조예 3에서 제조된 슬러리를 각각 전도성 흑연 시트(두께: 250) 위에 닥터블레이드(Doctor blade)로 한면의 코팅층 두께가 150 가 되도록 코팅한 후 상온에서 건조하여 양이온교환기를 가지는 음극과 이온교환기를 가지지 않는 PVdF로 된 양극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전도성물질을 첨가하였을 때의 이온 흡착성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전도성물질 을 첨가한 전극을 제조하였다.
전극 제조
상기 제조예 4 및 제조예 5에서 제조된 슬러리를 각각 전도성 흑연 시트(두께: 250) 위에 닥터블레이드(Doctor blade)로 한 면의 코팅층 두께가 150 가 되도록 코팅한 후 상온에서 건조하여 양이온교환기를 가지는 음극과 음이온교환기를 가지는 양극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이온교환기를 갖고 있지 않은 바인더로 제조된 전극의 흡착성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전극 제조
상기 제조예 3에서 제조된 슬러리를 전도성 흑연 시트(두께: 250) 위에 닥터블레이드(Doctor blade)로 한면의 코팅층 두께가 150 가 되도록 코팅한 후 상온에서 건조하여 음극과 양극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1, 2, 3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전극을 사용하여 탈염 셀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전극을 10 x 10 로 절단한 후 양극과 음극 사이에 두 전극이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유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100 두께의 스페이서(200mesh, 폴리 아미드)를 장착하였다. 전극의 중앙에 1cm의 구멍을 뚫어 용액이 전극의 사면에서 스페이서를 통과해 중앙으로 빠져 나갈 수 있도록 하였다. 양극과 음극의 외부에 15 x 15 cm2 크기의 아크릴 판을 대고 볼트로 고정하여 축전식 탈염용 단일 셀을 구성하였다.
전극전위를 1.4 V로 일정하게 인가하면서 250 mg/L의 NaCl 용액을 20 mL/min의 속도로 공급하였다. 유출수의 전기전도도를 측정하여 탈염효율을 분석하였다. 3분 동안 흡착시킨 후 전극전위를 0.0 V로 변화시켜 2분 동안 탈착시키는 방식으로 운전하였다. 세 종류의 셀로 탈염실험을 진행 한 결과를 도면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양극 및 음극에 이온교환기를 갖는 고분자 수지를 모두 사용한 실시예 1의 경우 가장 우수한 흡착능력을 보였다. 또한 음극에만 이온교환기를 갖는 고분자 수지를 사용한 실시예 2의 경우에도 비교예에 비하여 높은 흡착능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양극 또는 음극에 선택적으로 채택할 수도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양극 및 음극에 모두 채택하여 사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전도성물질의 유무에 따른 이온의 흡착능력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시예 1과 실시예 3에서 제조된 전극을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 및 동일한 조건에서 흡착실험을 실시하였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도성물질을 첨가하였을 때, 흡착능력이 보다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2와 비교예 1에 따른 탈염 효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과, 실시예 3의 탈염 효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Claims (10)

  1. (a) 술폰산기(-SO3H), 카르복실기(-COOH), 포스포닉기(-PO3H2), 포스피닉기(-HPO2H), 아소닉기(-AsO3H2), 셀리노닉기(-SeO3H)에서 선택되는 양이온교환기를 가지는 고분자수지 또는 4급 암모늄염(-NH3), 1~3급 아민(-NH2, -NHR, -NR2), 4급 포스포니움기(-PR4), 3급 술폰니움기(-SR3)에서 선택되는 음이온교환기를 가지는 고분자수지를 유기용매에 용해하여 이온선택성 고분자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이온선택성 고분자용액에 전극활물질을 첨가하여 슬러리를 제조하는 단계 ;
    (c) 상기 슬러리를 집전체에 도포하는 단계;
    (d) 상기 집전체에 도포된 슬러리에서 유기용매를 제거하여 시트형태의 탄소전극을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온선택성 전극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수지는 폴리스티렌, 폴리술폰, 폴리이서술폰,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 폴리에틸렌,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이온선택성 전극의 제조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유기용매는 디메틸포름아마이드,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 N-메틸-2-피롤리돈 아세톤,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트리클로로에틸렌, 에탄올, 메탄올, 노르말헥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이온선택성 전극의 제조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전극활물질은 활성탄소 분말, 활성탄소 섬유, 카본 나노 튜브, 탄소 에어로겔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활성탄소계열의 물질 또는 RuO2, Ni(OH)2, MnO2, PbO2, TiO2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금속산화물 계열의 물질을 사용하는 이온선택성 전극의 제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집전체는 알루미늄, 니켈, 구리, 티타늄, 철, 스테인레스 스틸, 흑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시트, 박막 또는 평직금망 형태인 이온선택성 전극의 제조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유기용매의 제거 방법은 상온 ~ 200의 온도분위기에서 상압, 진공 건조 또는 비용매를 이용하여 유기용매를 분리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이온선택성 전극의 제조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전도성물질을 더 첨가하는 이온선택성 전극의 제조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물질은 전도성 카본블랙을 사용하는 이온선택성 전극의 제조방법.
  9. 양극과 음극 및 스페이서를 구비하는 전기 화학 셀에 있어서,
    제 1항 내지 제 8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이온선택성 전극을 양극 또는 음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전극에만 사용하거나, 또는 양극과 음극에 모두 사용하는 전기 화학 셀.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선택성 전극은 양이온교환기를 갖는 고분자수지를 이용한 전극을 음극으로 사용하고, 음이온교환기를 갖는 고분자수지를 이용한 전극을 양극으로 사용하는 전기 화학 셀.
KR1020090073249A 2009-08-10 2009-08-10 전극의 제조 방법 KR1010473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3249A KR101047335B1 (ko) 2009-08-10 2009-08-10 전극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3249A KR101047335B1 (ko) 2009-08-10 2009-08-10 전극의 제조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3999 Division 2008-08-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5473A true KR20100025473A (ko) 2010-03-09
KR101047335B1 KR101047335B1 (ko) 2011-07-11

Family

ID=42177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3249A KR101047335B1 (ko) 2009-08-10 2009-08-10 전극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7335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9090B1 (ko) * 2009-08-11 2011-04-13 (주) 시온텍 이온교환관능기를 가진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이용한 축전식 탈염 전극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237258B1 (ko) * 2012-06-08 2013-02-27 (주) 시온텍 이온선택성 축전식 탈염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cdi 전극 모듈
KR101284009B1 (ko) * 2010-11-26 2013-07-15 한국화학연구원 전기 흡착식 이온제거용 전극의 제조방법
US20130260283A1 (en) * 2010-04-06 2013-10-03 Centre National De La Recherche Scientifique Organic-inorganic hybrid nanofibres having a mesoporous inorganic phase, preparation thereof by electrospinning, membrane, electrode, and fuel cell
KR20150052887A (ko) 2013-11-05 2015-05-15 죽암건설 주식회사 일체형 축전탈이온 전극 및 그 제조방법
CN108892214A (zh) * 2018-07-12 2018-11-27 福州大学 一种可用于电容脱磷的炭基电极的制备方法
CN112794414A (zh) * 2021-01-27 2021-05-14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电脱盐极膜及制备该极膜的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8570B1 (ko) * 2012-11-14 2014-09-12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코어쉘 구조의 전극활물질 합성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52005B2 (ja) * 2001-12-20 2008-02-27 住友化学株式会社 高分子電解質膜の製造法
KR100798429B1 (ko) 2007-08-09 2008-01-28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고비표면적의 다공성 전극의 제조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9090B1 (ko) * 2009-08-11 2011-04-13 (주) 시온텍 이온교환관능기를 가진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이용한 축전식 탈염 전극 및 그의 제조 방법
US20130260283A1 (en) * 2010-04-06 2013-10-03 Centre National De La Recherche Scientifique Organic-inorganic hybrid nanofibres having a mesoporous inorganic phase, preparation thereof by electrospinning, membrane, electrode, and fuel cell
KR101284009B1 (ko) * 2010-11-26 2013-07-15 한국화학연구원 전기 흡착식 이온제거용 전극의 제조방법
KR101237258B1 (ko) * 2012-06-08 2013-02-27 (주) 시온텍 이온선택성 축전식 탈염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cdi 전극 모듈
KR20150052887A (ko) 2013-11-05 2015-05-15 죽암건설 주식회사 일체형 축전탈이온 전극 및 그 제조방법
CN108892214A (zh) * 2018-07-12 2018-11-27 福州大学 一种可用于电容脱磷的炭基电极的制备方法
CN112794414A (zh) * 2021-01-27 2021-05-14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电脱盐极膜及制备该极膜的设备
CN112794414B (zh) * 2021-01-27 2024-01-16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电脱盐极膜及制备该极膜的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7335B1 (ko) 2011-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4707B1 (ko) 이온제거용 축전식 전극 및 그를 이용한 전해셀
KR101022257B1 (ko) 이온선택성 축전식 탈염 복합전극 및 모듈의 제조 방법
Zhang et al. Improving ion rejection of conductive nanofiltration membrane through electrically enhanced surface charge density
Lee et al. Rocking chair desalination battery based on prussian blue electrodes
Tang et al. Various cell architectures of capacitive deionization: Recent advances and future trends
KR101047335B1 (ko) 전극의 제조 방법
KR101029090B1 (ko) 이온교환관능기를 가진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이용한 축전식 탈염 전극 및 그의 제조 방법
Sufiani et al. Modification strategies to enhance electrosorption performance of activated carbon electrodes for capacitive deionization applications
McNair et al. Ion-exchange materials for membrane capacitive deionization
EP2857442B1 (en) Ion exchange membrane for flow-electrode capacitive deionization device and flow-electrode capacitive deionization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063913B1 (ko) 축전식 탈염 전극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621270B1 (ko) 특정 이온 선택성 축전식 탈염 복합탄소전극의 제조방법
KR102093443B1 (ko) 전기 흡착 탈이온 장치 및 이를 사용한 유체 처리 방법
KR101237258B1 (ko) 이온선택성 축전식 탈염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cdi 전극 모듈
KR101207463B1 (ko) 이온선택성 축전식 탈염 전극의 제조방법
US20200331778A1 (en) Integrated cdi electrode
KR101528777B1 (ko) 유가자원회수용 바이폴라 이온교환시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유가자원회수장치
KR102426307B1 (ko) 비대칭 구조의 바이폴라 이온교환막 및 그 제조방법
CN104495991A (zh) 一种基于流动式电极的高效膜电容去离子阵列
Ma et al. Enhanced charge efficiency and electrode separation utilizing magnetic carbon in flow electrode capacitive deionization
KR101526246B1 (ko) 수처리용 복합전극 및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수 처리장치
KR20160120132A (ko) 흐름 축전식 탈염 전극 및 모듈의 제조방법
Wang et al. Enhancing the total salt adsorption capacity and monovalent ion selectivity in capacitive deionization using a dual-layer membrane coating electrode
KR101944954B1 (ko) 은 전극을 포함하는 탈염 및 살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염수의 탈염 및 살균 방법
KR20150007070A (ko) 축전식 전기탈염용 단위셀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