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4910A - 플라스틱 렌즈 성형 다이를 구성하는 유리 다이의 청정화 방법 - Google Patents

플라스틱 렌즈 성형 다이를 구성하는 유리 다이의 청정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4910A
KR20100024910A KR1020090079223A KR20090079223A KR20100024910A KR 20100024910 A KR20100024910 A KR 20100024910A KR 1020090079223 A KR1020090079223 A KR 1020090079223A KR 20090079223 A KR20090079223 A KR 20090079223A KR 20100024910 A KR20100024910 A KR 201000249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plastic lens
die
glass
rin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9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5634B1 (ko
Inventor
준지 콘도
히로카즈 카와시모
Original Assignee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24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49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5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56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7/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non-surface-active compounds
    • C11D7/22Organic compounds
    • C11D7/26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Eyeglasse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플라스틱 렌즈 성형 다이를 구성하는 유리 다이의 청정화 방법으로서, 상기 유리 다이를 하기 일반식(1)로 표현되는 페닐에테르 및 일반식(2)로 표현되는 페닐에테르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페닐에테르를 함유하고, 상기 페닐에테르의 함유량이 2중량%이상 20중량%이하인 플라스틱 렌즈 성형 다이용 세정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세정하는 세정공정을 포함하는 유리 다이의 청정화 방법.
Figure 112009052342391-PAT00001
플라스틱 렌즈, 성형 다이, 유리 다이, 청정화 방법, 수지 오물

Description

플라스틱 렌즈 성형 다이를 구성하는 유리 다이의 청정화 방법{METHOD FOR CLEANING GLASS DIES CONSTITUTING PLASTIC LENS MOLDING DIE}
본 발명은, 플라스틱 렌즈용 성형 다이를 구성하는 유리 다이의 청정화 방법, 및 상기 청정화 방법을 사용한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플라스틱 렌즈는, 무기 렌즈에 비해 가볍고 잘 깨지지 않으며 염색하기 쉽다. 그와 더불어, 하드코팅층에 관한 기술의 향상과, 보다 높은 굴절율을 가지는 수지재료의 개발에 의해, 보다 얇고 가벼운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가 가능해지고 있다. 이들의 기술 진보에 의해, 안경 렌즈의 분야를 비롯한 많은 분야에서 플라스틱 렌즈는 무기 렌즈를 대신하여 보급되어 왔다.
종래, 플라스틱 렌즈를 구성하는 수지로서 가장 많이 사용되어 온 것은, 디에틸렌글리콜비스알릴카보네이트를 라디칼 중합시킴으로써 얻어지는 수지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이 수지보다도 굴절율이 높은 수지재료가 개발되고 있다. 그 대표적인 것은, 황 함유 우레탄수지, 황 함유 에폭시수지, 폴리티오(메타)아크릴레이트수지, 황 함유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수지, 에피술피드수지 등의 유황 함유 수지이다. 유황 함유 수지를 사용하여 성형된 플라스틱 렌즈 기재의 굴절율은 1.55 이상 으로 높다.
플라스틱 렌즈 기재의 성형 다이로서는 일반적으로 한 쌍의 유리 다이가 사용된다. 이 한 쌍의 성형 다이가, 고정용 테이프 또는 개스킷(gasket) 등의 실링(sealing)재에 의해 실링됨으로써, 실링재와 한 쌍의 유리 다이로 둘러싸인 캐비티(cavity)가 형성된다. 이 캐비티에 중합성 모노머 등을 주입하여, 중합성 모노머를 중합 경화시킴으로써 플라스틱 렌즈 기재가 얻어진다. 얻어진 플라스틱 렌즈 기재는 소정의 세정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세정된다(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01-129500호 참조). 한편, 유리 다이에 대해서는, 탈 다이 후 세정되어, 복수의 플라스틱 렌즈를 성형하기 위해 몇 번이나 반복 사용된다. 유리 다이의 재사용 전에는, 성형 다이로서의 사용에 의해 부착된 오물이 제거된다. 유리 다이에 부착된 오물로서는, 예를 들면, 플라스틱 렌즈 기재를 구성하는 수지 및 그 미중합물, 개스킷으로부터 블리드 아웃(bleed out)한 가소제, 고정용 테이프의 점착제, 작업자의 지문, 및 분위기 중의 먼지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상기 수지는 고도로 가교하고 있어 매우 강고하게 유리 다이에 고착되어 있기 때문에 매우 제거하기 어렵다.
유리 다이를 세정하기 위한 세정제로서는, 종래부터 KOH 등의 알칼리제를 포함하는 알칼리 세정제가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굴절율이 1.55 이상인 유황 함유 플라스틱 렌즈 기재를 형성했을 때에 유리 다이에 부착되는 수지는, 종래의 보다 굴절율이 낮은 플라스틱 렌즈 기재를 형성했을 때에 유리 다이에 부착되는 수지보다도, 보다 강고하게 유리 다이에 부착되어 있다. 그 때문에, 유리 다이에 부착된 수지의 박리는 보다 어렵고, 게다가 유리 다이에의 부착량도 많다. 이러한 배경하, 상기 수지 오물에 대하여 비교적 높은 세정성을 나타내는 세정제 조성물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06-124696호 및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03-81660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06-124696호 또는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03-81660호에 개시된 세정제 조성물을 사용한 세정으로는, 상기 수지 오물을 완전히 제거할 수 없는 것이 판명되었다.
본 발명은, 플라스틱 렌즈 성형 다이에 부착된 수지 오물을 양호하게 제거 가능하게 하는 플라스틱 렌즈 성형 다이를 구성하는 유리 다이의 청정화 방법, 및 상기 청정화 방법을 사용한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플라스틱 렌즈용 성형 다이를 구성하는 유리 다이의 청정화 방법, 및 상기 청정화 방법을 사용한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플라스틱 렌즈 성형 다이를 구성하는 유리 다이의 청정화 방법은,
상기 유리 다이를, 하기 일반식(1)로 표현되는 페닐에테르 및 일반식(2)로 표현되는 페닐에테르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페닐에테르를 함유하고, 상기 페닐에테르의 함유량이 2중량%이상 20중량%이하인 플라스틱 렌즈 성형 다이용 세정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세정하는 세정공정을 포함한다.
Figure 112009052342391-PAT00002
Figure 112009052342391-PAT00003
단, 상기 일반식(1), (2) 중 k는 1 또는 2이고, EO는 옥시에틸렌기, AO는 탄 소수가 3 및/또는 4인 옥시알킬렌기이며,
n1 및 n2는 평균 부가 몰 수이고, n1과 n2는 서로 달라도 되며,
m1 및 m2는, AO가 탄소수가 3인 옥시알킬렌기(PO)로 이루어지는 경우는 PO의 평균 부가 몰 수이고, AO가 탄소수가 4인 옥시알킬렌기(BO)로 이루어지는 경우는 BO의 평균 부가 몰 수이며, AO가 PO와 BO를 포함하는 경우는 PO의 평균 부가 몰 수와 BO의 평균 부가 몰 수를 합계한 수이고, m1 및 m2는 서로 달라도 되며,
n1은 3~100의 수, n2는 3~100의 수, m1은 0~0.2×n1의 수, m2는 0~0.2×n2의 수이고,
(EO)n1(AO)m1 및 (EO)n2(AO)m2의 각각에서의 EO와 AO의 배열은 블록이어도 랜덤이어도 되며,
AO가 PO와 BO를 포함하는 경우, PO와 BO의 배열은 블록이어도 랜덤이어도 되고,
EO는 PO 및/또는 BO로 이루어지는 배열 중에 블록으로, 또는 랜덤하게 들어가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은, 소정의 간격으로 대향하여 배치된 한 쌍의 유리 다이를 포함하는 성형 다이를 사용하여 플라스틱 렌즈 기재를 성형하는 성형공정과, 상기 유리 다이를 상기 플라스틱 렌즈 기재로부터 탈 다이하는 탈 다이 공정과, 상기 탈 다이 공정 후, 본 발명의 플라스틱 렌즈 성형 다이를 구성하는 유리 다이의 청정화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유리 다이를 청정화하는 청정화 공정 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유리 다이는 복수의 플라스틱 렌즈 기재를 성형하기 위해 상기 청정화 공정을 거쳐 반복 사용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플라스틱 렌즈 성형 다이에 부착된 수지 오물을 양호하게 제거 가능하게 하는 플라스틱 렌즈 성형 다이를 구성하는 유리 다이의 청정화 방법, 및 상기 청정화 방법을 사용한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실시 형태 1)
본 발명의 플라스틱 렌즈 성형 다이를 구성하는 유리 다이의 청정화 방법에 사용되는 플라스틱 렌즈 성형 다이용 세정제 조성물(이하, "세정제 조성물"이라 약칭하는 경우도 있음)은, 특정 페닐에테르를 소정량 함유함으로써 플라스틱 렌즈 성형 다이를 구성하는 유리 다이에 강고하게 부착된 수지 오물(플라스틱 렌즈 재료의 경화물)을 양호하게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특정 페닐에테르)
상기 세정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특정 페닐에테르는 하기 일반식(1) 또는 하기 일반식(2)에 의해 표현된다.
Figure 112009052342391-PAT00004
단, k는 1 또는 2이고, EO는 옥시에틸렌기, AO는 탄소수가 3 및/또는 4인 옥시알킬렌기이며, n1 및 n2는 평균 부가 몰 수이고, n1과 n2는 서로 달라도 되며, m1 및 m2는, AO가 탄소수가 3인 옥시알킬렌기(PO)로 이루어지는 경우는 PO의 평균 부가 몰 수이고, AO가 탄소수가 4인 옥시알킬렌기(BO)로 이루어지는 경우는 BO의 평균 부가 몰 수이며, AO가 PO와 BO를 포함하는 경우는 PO의 평균 부가 몰 수와 BO의 평균 부가 몰 수를 합계한 수이고, m1 및 m2는 서로 달라도 되며, n1은 3~100의 수, n2는 3~100의 수, m1은 0~0.2×n1의 수, m2는 0~0.2×n2의 수이고, (EO)n1(AO)m1 및 (EO)n2(AO)m2의 각각에서의 EO와 AO의 배열은 블록이어도 랜덤이어도 되며, AO가 PO와 BO를 포함하는 경우, PO와 BO의 배열은 블록이어도 랜덤이어도 되고, EO는 PO 및/또는 BO로 이루어지는 배열 중에 블록으로, 또는 랜덤하게 들어가 있어도 된다. 평균 부가 몰 수는 1H-NMR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EO와 AO의 배열이 블록인 경우, EO의 블록의 수, AO의 블록의 수는 각 평균 부가 몰 수가 상기 범위 내에 있는 한, 각각 1개여도 되지만 2개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EO로 이루어지는 블록의 수가 2개 이상인 경우, 각 블록에서의 EO의 반복 수는 서로 같아도 되지만, 달라도 된다. AO의 블록의 수가 2개 이상인 경우도, 각 블록에서의 AO의 반복 수는 서로 같아도 되지만, 달라도 된다. EO가 PO 및/또는 BO로 이루어지는 배열 중에 블록으로 들어가 있는 경우도 마찬가지로, EO의 블록의 수는 1개여도 되지만 2개 이상이어도 되고, EO로 이루어지는 블록의 수가 2개 이상인 경우, 각 블록에서의 EO의 반복 수는 서로 같아도 되지만, 달라도 된다.
AO가 PO와 BO를 포함하는 경우, PO와 BO의 배열이 블록인 경우, PO의 블록의 수, BO의 블록의 수는 평균 부가 몰 수가 상기 범위 내에 있는 한, 각각 1개여도 되지만 2개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PO로 이루어지는 블록의 수가 2개 이상인 경우, 각 블록에서의 PO의 반복 수는 서로 같아도 되지만, 달라도 된다. BO의 블록의 수가 2개 이상인 경우도, 각 블록에서의 BO의 반복 수는 서로 같아도 되지만, 달라도 된다.
또한 에테르 결합을 구성하는 산소원자(0)에는, 적당한 수용성을 확보하는 관점에서 EO가 결합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유리 다이 표면에 부착된 수지 오물의 박리성 및 세정제 조성물 중의 수계(水系) 매체에의 특정 페닐에테르의 용해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n1이 3~70의 수, m1이 0~0.1×n1의 수, n2가 3~70의 수, m2가 0~0.1×n2의 수, 보다 바람직하게는 n1이 3~50의 수, m1이 0, n2가 3~50의 수, m2가 0이다.
그 중에서도, n1=5~50, m1=0인 폴리옥시에틸렌-3,5-비스(1-페닐에틸)페닐에테르 등의 폴리옥시에틸렌디스티렌화 페닐에테르, n2=5~50, m2=0인 폴리옥시에틸렌-2,4,6-트리스(1-페닐메틸)페닐에테르 등의 폴리옥시에틸렌트리벤질화 페닐에테르가 바람직하고, n1=5~50, m1=0인 폴리옥시에틸렌-3,5-비스(1-페닐에틸)페닐에테르 등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세정제 조성물은, 플라스틱 렌즈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상기 특정 페닐에테르를 주성분으로 하는 용액의 형태로 유리 다이의 세정에 사용된다. 이 경우, 세정제 조성물 중에서의 상기 특정 페닐에테르의 함유량은, 유리 다이 표면에 부착된 수지 오물의 박리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2중량%이상이 바람직하고, 4중량%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린스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20중량%이하가 바람직하고, 15중량%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따라서, 세정제 조성물 중에서의 특정 페닐에테르의 함유량은 2~20중량%가 바람직하고, 2~15중량%가 보다 바람직하며, 4~15중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용매)
상기 세정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용매는, 용매로서의 역할을 다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면, 초순수, 순수, 이온 교환수, 또는 증류수 등을 들 수 있는데, 초순수, 순수, 또는 이온 교환수가 바람직하며, 순수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순수 및 초순수는, 예를 들면, 수돗물을 활성탄에 통과시켜, 이온 교환 처리하고, 또한 증류한 것을 필요에 따라 소정의 자외선 살균등을 조사, 또는 필터에 통과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25℃에서의 전기 전도율은, 대부 분의 경우, 순수에서 1μS/㎝이하이고, 초순수에서 0.1μS/㎝이하를 나타낸다.
세정제 조성물 중에서의 용매의 함유량은, 세정제 조성물의 안정성 및 취급성을 향상시키면서, 폐액(廢液) 처리성 등을 향상시켜 환경에 배려를 행하는 관점에서 80~98중량%가 바람직하고, 85~98중량%가 보다 바람직하며, 85~96중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임의 성분)
또한 상기 세정제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필요에 따라 통상의 세정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것 외의 성분, 예를 들면, 세정공정에 있어서 거품의 발생을 억제하는 소포제, 상기 세정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용매 이외의 수용성 유기 용제, EDTA 등의 킬레이트제, PH 조정제, 방부제, 녹 방지제 등이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소포제로서는, 예를 들면, 실리콘, 고급 알코올, 고급 지방산이나 그 염, 플루로닉(Pluronic)형 코폴리머, 테트라닉형 코폴리머,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고, 상기 세정제 조성물에 이들을 배합할 수 있다. 소포제의 함유량은 거품의 발생을 억제하고, 린스성을 저해하지 않는 관점에서 세정제 조성물 총량 중 0.01~3.0중량%가 바람직하고, 0.05~2.0중량%가 보다 바람직하며, 0.1~1.0중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세정제 조성물에 수용성 유기 용제가 포함되어 있으면 수지 오물에의 특정 페닐에테르의 친화성이 높아진다. 그 때문에, 수지 오물에의 세정제 조성물의 습윤성이 높아져 세정제 조성물에 의한 수지 오물의 제거 성능이 더욱 향상한다.
수용성 유기 용제로서는, 다가 알코올류 또는 수용성 글리콜에테르류 등을 들 수 있다. 다가 알코올류로서는, 예를 들면, γ부틸로락톤,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술폭시드, 에틸렌글리콜, 또는 프로필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글리콜에테르류 등으로서는,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또는 트리에틸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이 중에서도, 수지 오물에의 특정 페닐에테르의 친화성, 수지 오물에의 세정제 조성물의 습윤성을 더욱 높이는 관점에서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또는 트리에틸렌글리콜이 바람직하고,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또는 트리에틸렌글리콜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원에 있어서 수용성 유기 용제는 20℃에서의 물에 대하여 적어도 1.5중량%이상 용해하는 것을 말한다.
수용성 유기 용제의 함유량은, 세정제 조성물의 안정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수지 오물에 대한 충분한 친화성과 습윤성을 세정제 조성물에 부여하는 관점에서 상기 특정 페닐에테르 100중량부에 대하여, 5~150중량부가 바람직하고, 10~120중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며, 50~120중량부가 더욱 바람직하다.
pH 조정제로서는, 염기성 화합물, 또는 산성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염기성 화합물로서는 암모니아, 수산화칼륨, 수용성 유기 아민, 또는 4급 암모늄하이드로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산성 화합물로서는 황산, 염산, 질산, 또는 인산 등의 무기산, 아세트산, 옥살산, 숙신산, 글리콜산, 사과산, 구연산, 또는 안식향산 등의 유기산 등을 들 수 있다.
방부제로서는, 벤잘코늄클로라이드, 벤제토늄클로라이드, 1,2-벤즈이소티아졸린-3-원,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원, 과산화수소, 또는 차아염소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특정 페닐에테르에 의한 유리 다이 표면에 부착된 수지 오물의 박리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pH는 적절한 값으로 조정되어 있으면 바람직한데, 세정제 조성물의 25℃에서의 pH는 5~11이 바람직하고, 6~10이 보다 바람직하며, 7~9가 더욱 바람직하다. pH는 pH 미터(토아 덴파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HM-30G)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 있어서 설명한 각 성분의 함유량은 사용시에서의 함유량인데, 상기 세정제 조성물은 그 안정성이 손상되지 않는 범위에서 농축된 상태로 보존 및 공급되어도 된다. 이 경우, 제조·수송 비용을 낮게 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농축액은 필요에 따라 상술의 용매로 적당히 희석하여 사용하면 된다.
상기 세정제 조성물이 상기 농축액인 경우, 상기 농축액 중의 특정 페닐에테르의 함유량은, 세정제 조성물의 제조·수송 비용을 낮게하는 관점에서 20중량%이상이 바람직하고, 100중량%여도 된다. 또한 상기 농축액을 용매로 희석할 때, 겔화시키지 않고 균일한 용액을 얻는 관점에서, 상기 농축액은 상술한 적합한 수용성 유기 용제를 함유하고 있으면 바람직하고, 그 함유량은, 농축액 중의 페닐에테르 100중량부에 대하여 5~150중량부가 바람직하고, 10~120중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며, 50~120중량부가 더욱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세정제 조성물의 조제방법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세정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하등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특정 페닐에테르와, 용매와, 필요에 따라 임의 성분을 혼합함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다음으로, 상기 세정제 조성물을 사용한 유리 다이의 청정화 방법의 일례, 및 이 방법을 사용한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본 발명의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의 일례의 흐름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나타낸 흐름도는, 본 발명의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의 일례인 안경용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는 것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의 일례는, 플라스틱 렌즈 기재를 성형하는 성형공정(S1)과, 탈 다이 공정(S2)과, 유리 다이의 청정화 공정(S3)과, 플라스틱 렌즈 기재의 외주(外周) 연삭(硏削)공정(S4)과, 아닐(anneal)공정(S6)과, 플라스틱 렌즈 기재의 내면 연마공정(S7)과, 염색공정(S9)과, 하드코팅층 형성공정(S13)과, 반사 방지층 형성공정(S15)과, 오염 방지층 형성공정(S16)을 포함한다.
또한 내면 연마공정(S7)과, 염색공정(S9)과, 반사 방지층 형성공정(S15)과, 오염 방지층 형성공정(S16)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며, 없어도 된다. 플라스틱 렌즈 기재 또는 플라스틱 렌즈의 청정화 공정(S5,S8,S1O,S12,S14)에서는 린스액으로서 통상 순수 등이 사용된다.
우선, 성형공정(S1)에서는, 한 쌍의 유리 다이를 소정의 간격으로 대향하도록 배치하고, 한 쌍의 유리 다이 사이에 예를 들면 환상(環狀)의 개스킷을 배치한 다. 그리고, 이 상태를 클립 등의 지지구를 사용하여 지지한다. 이것에 의해, 한 쌍의 유리 다이와 개스킷에 의해 캐비티를 가지는 플라스틱 렌즈용 성형 다이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캐비티에 플라스틱 렌즈 기재 원료로서 중합성 조성물을 주입한다. 이어서, 중합성 조성물을 예를 들면 열 중합에 의해 중합시킨다.
중합성 조성물이 중합함으로써 얻어지는 플라스틱 렌즈 기재는, 황 함유 우레탄수지, 황 함유 에폭시수지, 폴리티오(메타)아크릴레이트수지 및 에피술피드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중합성 수지를 포함하면 바람직하다. 플라스틱 렌즈 기재가 이들 수지를 포함하면, 굴절율이 예를 들면 1.55 이상인 플라스틱 렌즈를 제조할 수 있어 얇은 플라스틱 렌즈를 제조할 수 있다.
유리 다이로서는, 종래부터 플라스틱 렌즈 기재의 성형에 사용되는 유리 다이로서 공지의 것을 사용하면 된다. 예를 들면, 유리 다이는 이온 교환에 의해 유리 중의 Na+의 일부가 K+로 치환되어, 표면 부근에 압축 응력을 발생시킨 화학 강화 유리로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개스킷에는, 종래부터 플라스틱 렌즈의 성형 다이를 구성하는 개스킷으로서 공지의 것을 사용하면 된다. 또한 이 개스킷을 대신하여 고정용 테이프를 사용해도 된다. 고정용 테이프에 대해서도, 종래부터 플라스틱 렌즈의 성형 다이를 구성하는 테이프로서 공지의 것을 사용하면 된다.
다음으로, 지지구에 의한 성형 다이의 지지를 해제하고, 성형 다이를 플라스 틱 렌즈로부터 떼어내는 탈 다이를 행한다(S2).
다음으로 유리 다이의 청정화를 행한다(S3). 이 유리 다이의 청정화 공정(S3)에서는, 상기 세정제 조성물을 사용한 유리 다이의 세정이 1회 이상, 바람직하게는 2회 이상 행해지고, 린스액을 사용한 린스가 1회 이상, 바람직하게는 2회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13회 행해진다. 또한 실제의 유리 다이의 청정화 공정에서는, 린스 배스(bath)는, 예를 들면 5~24배스의 경우가 있고, 대부분의 경우 13~18배스 사용되며, 유리 다이는 이들 배스에서 침지와 탈액(脫液)을 바람직하게는 3~13회 반복하여 린스된다.
하기 표 1에 상기 청정화 공정의 일례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표 1에 나타낸 예에서는, 우선 유리 다이에 대하여, 상기 세정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유리 다이를 세정하는 제1세정공정이 행해진다. 이어서, 잔류한 오물, 또는 재부착된 오물의 정도에 따라 상기 세정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유리 다이를 세정하는 제2세정공정이 행해지거나, 또는 린스액을 사용한 린스공정이 행해진다. 제2세정공정이 행해진 경우, 그 후 유리 다이에 대하여 린스공정이 1회 이상, 바람직하게는 복수회 행해진다.
린스공정에서 사용되는 린스액으로서는, 상기와 같은 수계의 세정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유리 다이를 세정한 경우는, 원칙적으로 물로서, 수돗물, 이온 교환수, 순수 등이 헹굼의 용이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단, 세정공정으로부터 유리 다이와 함께 들어오게 되는 세정제 조성물이 수조에 축적되는 경우가 있는데, 그 양은 린스액의 바람직하게는 10중량%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중량%이하, 더욱 바 람직하게는 3중량%이하이다.
세정제 조성물의 적합 온도의 범위는, 플라스틱 렌즈 기재의 오염의 정도 등에 따라 적당히 조정하면 되는데, 예를 들면, 세정성의 향상이나 수분 증발량의 저감의 관점에서 20℃~90℃가 바람직하고, 35~80℃가 보다 바람직하며, 50~70℃가 더욱 바람직하다. 세정 시간은, 유리 다이 표면에 부착된 수지의 박리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30초~60분이 바람직하고, 1~30분이 보다 바람직하며, 2~15분이 더욱 바람직하고, 2~5분이 더욱 바람직하다.
세정방법에 대하여, 특별히 제한은 없고, 통상 사용되는 공지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침지법, 침지 요동법, 침지 교반법, 침지 버블링법, 액중 분류(噴流)법, 침지 초음파 세정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플라스틱 렌즈 성형 다이용 세정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유리 다이를 세정하는 경우, 본 발명의 유리 다이의 청정화 방법은, 예를 들면, 제1세정공정의 직후에 제2세정공정 또는 린스공정을 행한다. 제1세정공정에서 사용하는 플라스틱 렌즈 성형 다이용 세정제 조성물의 온도는 55℃이상이면 바람직하다. 제2세정공정에서는, 제1세정공정에서 사용한 플라스틱 렌즈 성형 다이용 세정제 조성물보다도 온도가 20℃이상 낮은 플라스틱 렌즈 성형 다이용 세정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유리 다이가 세정되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2세정공정에서, 제1세정공정에서 사용한 플라스틱 렌즈 성형 다이용 세정제 조성물보다도 온도가 20℃이상 낮은 플라스틱 렌즈 성형 다이용 세정제 조성물을 사용하면, 유리 다이 및 그것에 부착된 수지 오물에 히트 쇼크(Heat shock)가 부여된다. 린스공정에서는, 제1세정공정에서 사용한 플라스틱 렌즈 성형 다이용 세정제 조성물보다도 온도가 20℃이상 낮은 수계 린스액을 사용하여 유리 다이가 헹궈지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린스공정에서, 제1세정공정에서 사용한 플라스틱 렌즈 성형 다이용 세정제 조성물보다도 온도가 20℃이상 낮은 수계 린스액을 사용하면, 유리 다이 및 수지 오물에 히트 쇼크가 부여된다.
상기와 같이 유리 다이 및 수지 오물에 히트 쇼크가 부여되면, 유리 다이와 수지 오물의 열 팽창율의 차를 이용해 유리 다이와 수지 오물의 계면에 효율적으로 세정제 조성물을 침투시킬 수 있다고 생각된다. 상기 계면에 세정제 조성물이 효율적으로 침투하면, 수지 오물의 박리가 촉진되고, 그 결과로서 세정성이 향상한다고 추정된다.
유리 다이 및 그것에 부착된 수지 오물에 상기 히트 쇼크를 부여하는 경우, 제1세정공정에서 사용되는 세정제 조성물의 온도는, 상기 세정제 조성물의 유리 다이와 수지 오물의 계면에의 침투성을 높인다는 이유에서 55~90℃가 바람직하고, 60~80℃가 보다 바람직하며, 65~70℃가 더욱 바람직하다.
제1세정공정의 직후에 제2세정공정을 행하는 경우, 제2세정공정에서는, 상기 세정제 조성물의 적합 온도의 범위에서, 제1세정공정에서 사용한 세정제 조성물의 온도보다도 20℃이상, 바람직하게는 25℃이상 낮은 온도의 세정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유리 다이를 세정하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플라스틱 렌즈 성형 다이용 세정제 조성물을 사용한 세정공정이 복수회 행해지는 경우, x+1회째의 세정공정에서 사용되는 플라스틱 렌즈 성형 다이용 세정제 조성물의 온도는, x회째의 세정공정에서 사용되는 플라스틱 렌즈 성형 다이용 세정제 조성물의 온도보다도 20℃이상, 바람직하게는 25℃이상 낮으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세정공정의 직후에 린스공정을 행하는 경우, 상기 린스공정에서는, 하기의 적합 온도의 범위에서, 제1세정공정에서 사용한 세정제 조성물의 온도보다도 20℃이상, 바람직하게는 25℃이상 낮은 온도의 린스액을 사용하여 유리 다이를 헹구면 바람직하다. 즉, 세정공정 후에 행해지는 복수회의 린스공정 중의 1회째의 린스공정에서 사용되는 린스액의 온도는, 상기 1회째의 린스공정의 직전의 세정공정에서 사용되는 세정제 조성물의 온도보다도 20℃이상 낮게, 바람직하게는 25℃이상 낮으면 바람직하다. 이 경우도, 유리 다이와 수지 오물의 열 팽창율의 차를 이용하여 유리 다이와 수지 오물의 계면에 효율적으로 린스액을 침투시킬 수 있다. 상기 계면에 린스액이 효율적으로 침투하면 수지 오물의 박리가 촉진되고, 그 결과로서 청정성이 향상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유리 다이 및 그것에 부착된 수지 오물에 온도 차가 20℃이상, 바람직하게는 온도 차가 25℃이상인 히트 쇼크를 부여하면, 수지 오물이 수축되어, 수지 오물의 적어도 일부가 유리 표면으로부터 박리되는 것으로 생각되며, 상기 박리에 의해 새로이 생긴 유리 표면과 수지 오물의 틈에 세정제 조성물이 침투하여 수지 오물의 박리가 촉진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히트 쇼크는, 보다 뛰어난 세정 효과가 발현되는 점에서, 상기 세정제 조성물 중에서 행하면 바람직하고, 따라서 제2세정공정에서는, 상기 세정제 조성물의 적합 온도의 범위이면, 제1세정공정에서 사용한 세정제 조성물의 온도보다 도 20℃이상, 바람직하게는 25℃이상 낮은 온도의 세정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유리 다이를 세정하면 바람직하다. 또한 린스액 중에서도, 상기 세정제 조성물에 의한 세정 직후이면, 히트 쇼크를 부여하는 것에 의한 효과가 얻어지기 때문에 제1세정공정의 직후에 행해지는 린스공정에 있어서, 린스액의 적합 온도의 범위이면, 제1세정공정에서 사용한 세정제 조성물의 온도보다도 20℃이상, 바람직하게는 25℃이상 낮은 온도의 린스액(순수 등)을 사용하여 유리 다이를 린스해도 된다. 세정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제2세정공정에서 사용되는 세정제 조성물 또는 제1세정공정의 직후에 행해지는 린스공정에서 사용되는 린스액의 온도는, 세정제 조성물 또는 린스액의 적합 온도의 범위이면, 제1세정공정에서 사용되는 세정제 조성물의 그것보다도 25℃이상 낮으면 바람직하고, 30℃이상 낮으면 더욱 바람직하며, 40℃이상 낮으면 보다 한층 바람직하다.
제1세정공정의 직후에 제2세정공정이 행해짐으로써 유리 다이 및 수지 오물에 히트 쇼크가 부여되는 경우, 제2세정공정 후에 행해지는 복수회의 린스공정에 있어서, 유리 다이 및 수지 오물에 히트 쇼크가 더 부여되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제2세정공정 후에 행해지는 복수회의 린스공정에서는, 상기 린스액의 상기 적합 온도의 범위에서 린스가 행해지고, Y+1회째의 린스공정에서 사용되는 린스액의 온도가, Y회째의 세정공정에서 사용되는 린스액의 온도보다도 20℃이상, 바람직하게는 25℃이상 낮으면 바람직하다.
또한 제2세정공정의 직후에 행해지는 린스공정(제1린스공정)에 있어서, 그 온도가 55℃이상인 수계 린스액을 사용하여 유리 다이를 헹군 후, 제1린스공정의 직후에 행해지는 린스공정(제2린스공정)에 있어서, 제1린스공정에서 사용한 수계 린스액보다도 온도가 20℃이상 낮은 수계 린스액을 사용하여 유리 다이를 헹구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유리 다이 및 수지 오물에 대하여, 연속으로 히트 쇼크를 복수회 부여하면 세정성이 보다 한층 향상한다.
수지 오물이 부착된 유리 다이는, 일반적으로는 많은 배스를 직렬로 나열한 다단(多段) 배스 시스템으로 청정화된다. 20~30매 정도의 유리 다이는, 하나의 치구(治具)에 넣어져, 컨베이어로 자동적으로 순차 각 배스 내에 침지된다. 배스로부터 배스에의 유리 다이의 이동 시간은 일반적으로는 10~60초 정도인데, 상기 히트 쇼크 부여에 의한 효과를 효과적으로 얻는 관점에서, 상기 이동 시간은 짧으면 짧을수록 바람직한데, 30초 이내가 바람직하고, 20초 이내가 보다 바람직하며, 10초 이내가 보다 바람직하다. 다단 배스 시스템 전체는 실온, 구체적으로는 20~30℃의 분위기하에 배치된다.
또한 배스로부터 배스에의 유리 다이의 이동 사이에 유리 다이나 수지 오물의 온도가 떨어지는 경우가 있는데, 다음 배스(히트 쇼크 배스) 중의 액 온도는, 이 배스에 들어가기 직전의 유리 다이나 수지 오물의 온도보다 20℃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5℃이상 낮은 온도이면 바람직하다.
린스액의 온도 및 린스 시간 등의 린스 조건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리 다이에의 세정제 조성물의 잔류 또는 재부착의 정도 등에 따라 적당히 조정 가능하다. 예를 들면, 린스액의 적합 온도 범위는 5~75℃가 바람직하고, 린스성이나 수분 증발량의 저감의 관점에서 20~60℃가 보다 바람직하며, 30~50℃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1회의 린스 시간은 일반적으로는 30초~20분간 정도이다.
린스방법에 대해서는, 통상 사용되는 공지의 린스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침지법, 초음파 세정법, 침지 초음파 세정법, 침지 요동법 등의 각종의 린스방법을 단독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유리 다이의 청정화를 행하는 한편, 플라스틱 렌즈 기재에 대해서는 그 외주의 연삭을 행한다(S4)(도 1 참조). 연삭방법은 습식 또는 건식의 어느 것이어도 된다. 이어서, 세정에 의해 연삭 찌꺼기 등을 플라스틱 렌즈 기재로부터 제거한 후(S5), 플라스틱 렌즈 기재를 가열 처리(아닐)하여 플라스틱 렌즈를 얻는다(S6).
이어서, 필요에 따라 플라스틱 렌즈의 편면을 연마한다(S7). 이 공정을 거침으로써 플라스틱 렌즈를 소망하는 도수(度數)로 할 수 있다. 이어서, 순수 등을 사용하여 연마제 등을 제거해 플라스틱 렌즈를 청정화한다(S8).
다음으로, 필요에 따라 플라스틱 렌즈를 염색하고(S9), 이어서, 염색 후의 플라스틱 렌즈를 순수 등을 사용하여 청정화한다(S1O). 염색은 종래부터 공지의 염색액 및 염색방법을 사용하여 행하면 된다.
다음으로, 플라스틱 렌즈의 양 주(主)표면을 에칭함으로써 조화(粗化)한다(S11). 조화는 하드코팅층 등과 플라스틱 렌즈의 밀착성을 높이기 위해 행한다. 에칭액에는, 예를 들면 알칼리 수용액 등이 사용된다. 다음으로, 플라스틱 렌즈를 순수 등을 사용하여 헹궈 청정화한 후(S12), 양 주표면상에 하드코팅층을 형성한다(S13). 하드코팅층의 형성은 종래부터 공지의 재료, 형성방법을 사용하여 행하면 된다.
다음으로, 플라스틱 렌즈를 순수 등을 사용하여 청정화한 후(S14), 반사 방지층 및 오염 방지층을 이 순서로 형성한다(S15,S16). 하드코팅층의 형성 및 오염 방지층의 형성은 각각 종래부터 공지의 재료, 형성방법을 사용하여 행하면 된다.
이상, 안경용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의 일례, 및 이것에 사용되는 유리 다이의 청정화 방법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했는데, 플라스틱 렌즈의 용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조명용, 카메라용, 또는 광학 소자용의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 및 이들에 사용하는 유리 다이의 청정화 방법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 렌즈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구면(球面) 렌즈, 비구면 렌즈, 누진 렌즈 등 어느 것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유리 다이의 청정화 방법, 및 이 방법을 사용한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은, 특히 굴절율 1.55 이상의 유황 함유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 또한 굴절율 1.60 이상의 유황 함유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 또한 굴절율 1.70 이상의 유황 함유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에 있어서 적합하게 사용된다.
<실시예>
[테스트 피스]
황 함유 우레탄수지 오물이 부착된 유리 다이로서, 질산칼륨으로 화학 강화 처리된 직경 약 8㎝의 유리 다이의 플라스틱 렌즈의 성형에 기여하는 면에, 직경 약 5㎜의 플라스틱 렌즈 수지(MR-8 수지, 미츠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황 함유 우레탄수지계, 굴절율 1.60)의 덩어리(수지 오물)를 10개 성형한(0.05g/직경 1㎝/1개당) 것을 준비하였다. 또한 플라스틱 렌즈 수지는, 30℃의 분위기하에서 6 시간, 40℃의 분위기하에서 7시간, 50℃의 분위기하에서 3시간, 60℃의 분위기하에서 2시간, 100℃의 분위기하에서 3시간, 120℃의 분위기하에서 3시간의 합계 24시간 가열함으로써 중합, 고형화되어 있다.
[세정제 조성물의 조정]
표 2에 나타내는 조성(조성비 단위는 중량%)으로 pH가 7~9의 사이에 있는 각종 세정제 조성물(실시예 1~15, 비교예 1~8)을 조제하고, 이들 세정제 조성물을 사용해 유리 다이(테스트 피스)를 세정하여, 세정제 조성물의 세정성을 평가하였다.
[세정 시험]
황 함유 우레탄수지 오물이 부착된 유리 다이(테스트 피스)를 소정 온도로 유지된 실시예 1~15, 비교예 1~8의 세정제 조성물에 침지하고, 초음파 세정장치(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상품명: SILENTSONIC UT-204, 39㎑, 200W)로 2분간 세정하였다(제1배스).
이어서, 유리 다이를 소정 온도로 유지된 실시예 1~15, 비교예 1~8의 세정제 조성물에 침지하고, 제1배스에서의 세정시에 사용한 초음파 세정장치와 같은 초음파 세정장치(39㎑, 200W)를 사용해 2분간 세정하였다(제2배스). 또한 배스로부터 배스에의 유리 다이의 이동 시간은 10초로 하였다.
이어서, 유리 다이를 소정 온도의 이온 교환수에 침지하고, 제1배스에서의 세정시에 사용한 초음파 세정장치와 같은 초음파 세정장치(39㎑, 200W)를 사용하여 2개의 배스(제3배스, 제4배스) 중에서 각각 2분간 린스하였다.
이어서, 유리 다이를 실온의 이온 교환수에 침지하고, 제1배스에서의 세정시 에 사용한 초음파 세정장치와 같은 초음파 세정장치(39㎑, 200W)를 사용하여 4개의 배스(제5배스~제8배스) 중에서 각각 2분간 린스하였다.
다음으로, 1분간 에어 블로우한 후, 송풍 정온 건조기(가부시키가이샤 토요 세이사쿠쇼, 상품명: FV-630)로부터 공급되는 80℃의 온풍으로 10분간 건조하였다.
Figure 112009052342391-PAT00005
각 플라스틱 렌즈 수지의 덩어리의 제거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세정성의 평가 기준으로서, 각 플라스틱 렌즈 수지의 덩어리가 완전히 제거된 경우를 10점, 일부 제거된 경우를 5점, 전혀 제거되지 않은 경우를 0점으로 하였다. 10개의 각 플라스틱 렌즈 수지의 덩어리에 대하여 상기 관찰을 행하고, 10개의 플라스틱 렌즈 수지의 덩어리에 대한 상기 점수의 합계를 세정성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표 2에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점수의 합계치가 클수록 세정 성능이 양호하고, 플라스틱 렌즈 수지가 보다 양호하게 제거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표 2에 기재된 결과로부터, 상기 일반식(1)로 표현되는 페닐에테르 및 일반식(2)로 표현되는 페닐에테르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페닐에테르를 포함하는 세정제 조성물을 사용하면, 수지 오물 및 유리 다이에 히트 쇼크를 부여하지 않는 경우에도, 플라스틱 렌즈 성형 다이에 부착된 수지 오물을 양호하게 제거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일반식(1)로 표현되는 페닐에테르 및 일반식(2)로 표현되는 페닐에테르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페닐에테르를 포함하는 세정제 조성물을 사용하면서, 수지 오물 및 유리 다이에 히트 쇼크를 부여하면, 플라스틱 렌즈 성형 다이에 부착된 수지 오물을 보다 한층 양호하게 제거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Figure 112009052342391-PAT00006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플라스틱 렌즈 성형 다이에 부착된 수지 오물을 양호하게 제거 가능하게 하는, 플라스틱 렌즈 성형 다이를 구성하는 유리 다이의 청정화 방법, 및 상기 청정화 방법을 사용한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안경 렌즈 등의 플라스틱 렌즈를 제조할 때의 세정공정에 적합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은, 그 정신 또는 본질적 특징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그 외의 형태에 있어서도 실시될 수 있다. 본원에서 개시된 실시 형태는 모든 점에 있어서 설명에 도움이 되기 위한 것으로서,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도 오히려 첨부한 클레임에 의해 나타난다. 그리고 클레임과 균등한 수단 및 범위 내의 변경은 클레임에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의 일례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Claims (6)

  1. 플라스틱 렌즈 성형 다이를 구성하는 유리 다이의 청정화 방법으로서,
    상기 유리 다이를, 하기 일반식(1)로 표현되는 페닐에테르 및 일반식(2)로 표현되는 페닐에테르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페닐에테르를 함유하고, 상기 페닐에테르의 함유량이 2중량%이상 20중량%이하인 플라스틱 렌즈 성형 다이용 세정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세정하는 세정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렌즈 성형 다이를 구성하는 유리 다이의 청정화 방법.
    [화학식 1]
    Figure 112009052342391-PAT00007
    단, k는 1 또는 2이고, EO는 옥시에틸렌기, AO는 탄소수가 3 및/또는 4인 옥시알킬렌기이며,
    n1 및 n2는 평균 부가 몰 수이고, n1과 n2는 서로 달라도 되며,
    m1 및 m2는, AO가 탄소수가 3인 옥시알킬렌기(PO)로 이루어지는 경우는 PO의 평균 부가 몰 수이고, AO가 탄소수가 4인 옥시알킬렌기(BO)로 이루어지는 경우는 BO의 평균 부가 몰 수이며, AO가 PO와 BO를 포함하는 경우는 PO의 평균 부가 몰 수와 BO의 평균 부가 몰 수를 합계한 수이고, m1 및 m2는 서로 달라도 되며,
    n1은 3~100의 수, n2는 3~100의 수, m1은 0~0.2×n1의 수, m2는 0~0.2×n2의 수이고,
    (EO)n1(AO)m1 및 (EO)n2(AO)m2의 각각에서의 EO와 AO의 배열은 블록이어도 랜덤이어도 되며,
    AO가 PO와 BO를 포함하는 경우, PO와 BO의 배열은 블록이어도 랜덤이어도 되고,
    EO는 PO 및/또는 BO로 이루어지는 배열 중에 블록으로, 또는 랜덤하게 들어가 있어도 된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다이를 상기 플라스틱 렌즈 성형 다이용 세정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세정하는 상기 세정공정(제1세정공정)의 직후에 행해지는 제2세정공정, 또는 린스공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세정공정에서 사용하는 상기 플라스틱 렌즈 성형 다이용 세정제 조성물의 온도는 55℃이상이며,
    상기 제2세정공정에서는, 상기 제1세정공정에서 사용한 상기 플라스틱 렌즈 성형 다이용 세정제 조성물보다도 온도가 20℃이상 낮은 상기 플라스틱 렌즈 성형 다이용 세정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상기 유리 다이를 세정하고,
    상기 린스공정에서는, 상기 제1세정공정에서 사용한 상기 플라스틱 렌즈 성형 다이용 세정제 조성물보다도 온도가 20℃이상 낮은 수계 린스액을 사용하여 상기 유리 다이를 헹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렌즈 성형 다이를 구성하는 유리 다이의 청정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세정공정의 직후에 제2세정공정을 행하는 경우, 상기 제2세정공정의 직후에 행해지는 복수회의 린스공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세정공정의 직후에 행해지는 린스공정(제1린스공정)에 있어서, 그 온도가 55℃이상인 수계 린스액을 사용하여 상기 유리 다이를 헹군 후, 상기 제1린스공정의 직후에 행해지는 린스공정(제2린스공정)에 있어서, 상기 제1린스공정에서 사용한 상기 수계 린스액보다도 온도가 20℃이상 낮은 수계 린스액을 사용하여 상기 유리 다이를 헹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렌즈 성형 다이를 구성하는 유리 다이의 청정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렌즈 성형 다이용 세정제 조성물이 수용성 글리콜에테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렌즈 성형 다이를 구성하는 유리 다이의 청 정화 방법.
  5. 소정의 간격으로 대향하여 배치된 한 쌍의 유리 다이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렌즈용 성형 다이를 사용하여 플라스틱 렌즈 기재를 성형하는 성형공정과,
    상기 유리 다이를 상기 플라스틱 렌즈 기재로부터 탈 다이하는 탈 다이 공정과,
    상기 탈 다이 공정 후, 제1항에 기재된 플라스틱 렌즈 성형 다이를 구성하는 유리 다이의 청정화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유리 다이를 청정화하는 청정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유리 다이는, 플라스틱 렌즈 기재를 복수회 성형하기 위해, 상기 청정화 공정을 거쳐 반복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렌즈 기재 원료로서, 황 함유 우레탄수지, 황 함유 에폭시수지, 폴리티오(메타)아크릴레이트수지, 및 에피술피드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중합성 수지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
KR1020090079223A 2008-08-26 2009-08-26 플라스틱 렌즈 성형 다이를 구성하는 유리 다이의 청정화 방법 KR1015856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216436A JP5216483B2 (ja) 2008-08-26 2008-08-26 プラスチックレンズ成形型用洗浄剤組成物
JPJP-P-2008-216436 2008-08-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4910A true KR20100024910A (ko) 2010-03-08
KR101585634B1 KR101585634B1 (ko) 2016-01-14

Family

ID=42069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9223A KR101585634B1 (ko) 2008-08-26 2009-08-26 플라스틱 렌즈 성형 다이를 구성하는 유리 다이의 청정화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216483B2 (ko)
KR (1) KR101585634B1 (ko)
CN (1) CN10209170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62706B (zh) * 2015-08-14 2018-01-09 上海奈拓化工科技有限公司 树脂光学镜片合模用玻璃模具高精度超声清洗剂
JP7220867B2 (ja) * 2018-11-19 2023-02-13 株式会社修護 資料洗浄装置
CN109570162A (zh) * 2018-11-26 2019-04-05 蓝思科技股份有限公司 吸塑盒的清洗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4865B2 (ja) * 1984-05-23 1995-08-09 千寿製薬株式会社 コンタクトレンズ・クリーナー
JPH09151393A (ja) * 1995-11-29 1997-06-10 Toho Chem Ind Co Ltd 洗浄剤組成物
JP2949574B2 (ja) * 1997-01-09 1999-09-13 花王株式会社 樹脂汚れ用洗浄剤組成物
JPH10270846A (ja) * 1997-03-21 1998-10-09 Ebara Yuujiraito Kk デスミアー用脱脂剤
JP3420922B2 (ja) * 1997-10-29 2003-06-30 花王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レンズ成形ガラス型用洗浄剤組成物
JP3370262B2 (ja) * 1997-11-25 2003-01-27 花王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レンズ成形ガラス型の洗浄方法
JP3365942B2 (ja) * 1997-11-25 2003-01-14 花王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レンズ成形ガラス型の洗浄方法
JP3233279B2 (ja) * 1998-10-06 2001-11-26 日本アイ・ビー・エム株式会社 洗浄剤組成物および洗浄方法
JP4189988B2 (ja) * 2001-09-06 2008-12-03 花王株式会社 洗浄方法
JP2005162780A (ja) * 2003-11-28 2005-06-23 Ibm Japan Ltd 洗浄剤組成物及び液晶セル用洗浄剤
JP2006124696A (ja) * 2004-10-01 2006-05-18 Kao Corp 洗浄剤組成物
JP4853089B2 (ja) * 2006-04-07 2012-01-11 コニカミノルタオプト株式会社 セルロースエステル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5048277B2 (ja) * 2006-06-07 2012-10-17 ディバーシー株式会社 Cip用脱臭剤組成物およびその使用方法
KR101502552B1 (ko) * 2006-09-11 2015-03-12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플라스틱 렌즈용 세정제 조성물
MX338946B (es) 2011-06-20 2016-05-05 Procter & Gamble Composicion liquida de limpieza y/o lavad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091705A (zh) 2011-06-15
KR101585634B1 (ko) 2016-01-14
CN102091705B (zh) 2013-08-14
JP5216483B2 (ja) 2013-06-19
JP2010053166A (ja) 2010-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17862A (en) Cleaning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cleaning resin and polymeric materials used in manufacture
JP2949574B2 (ja) 樹脂汚れ用洗浄剤組成物
JP4350364B2 (ja) 洗浄剤組成物、半導体ウェーハの洗浄方法および製造方法
KR20100093098A (ko) 웨이퍼의 표면 처리용 텍스쳐링 및 세정제 및 그것의 사용
KR101502552B1 (ko) 플라스틱 렌즈용 세정제 조성물
KR20100024910A (ko) 플라스틱 렌즈 성형 다이를 구성하는 유리 다이의 청정화 방법
JP4845834B2 (ja) ガラス加工時のガラス表面への切り屑付着防止方法
KR101880305B1 (ko) 전자재료용 세정액 조성물
KR101880306B1 (ko) 전자재료용 세정액 조성물
JP5137389B2 (ja) ガラス型の洗浄方法
JP3420922B2 (ja) プラスチックレンズ成形ガラス型用洗浄剤組成物
KR20130139317A (ko) 금속 표면으로부터 폴리우레탄을 제거하기 위한 혼합물의 용도
JP3370262B2 (ja) プラスチックレンズ成形ガラス型の洗浄方法
KR102028006B1 (ko) 전자재료용 세정액 조성물
CN110003996B (zh) 一种浸泡液及其制备方法和使用方法
JP4104715B2 (ja) 付着水除去用溶剤組成物
KR20190092585A (ko) 플라스틱 렌즈 성형 유리형 (型) 용의 세정제 조성물
JPH11199895A (ja) プラスチックレンズ成形型枠用洗浄剤
JP2002241794A (ja) 光学部品用洗浄液組成物
JP3355160B2 (ja) プラスチックレンズ用洗浄剤組成物
JP4758725B2 (ja) 洗浄剤
JP2015074777A (ja) 洗浄液組成物
KR20130019728A (ko) 플랫패널 디스플레이 제조용 세정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세정방법
JP2022042739A (ja) 洗浄剤組成物及び洗浄方法
KR20230057437A (ko) 화학적 기계적 평탄화(cmp) 후 세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