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8650A - 장신구의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장신구의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8650A
KR20100008650A KR1020080069225A KR20080069225A KR20100008650A KR 20100008650 A KR20100008650 A KR 20100008650A KR 1020080069225 A KR1020080069225 A KR 1020080069225A KR 20080069225 A KR20080069225 A KR 20080069225A KR 20100008650 A KR20100008650 A KR 201000086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housing
pin
fixing piec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9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위영철
Original Assignee
위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영철 filed Critical 위영철
Priority to KR1020080069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8650A/ko
Publication of KR20100008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86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2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 A44C17/0208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removabl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7/00Ear-rings; Devices for piercing the ear-lobes
    • A44C7/003Ear-studs or their catch device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신구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장신구의 장식부(10)에 연결되는 바형상의 핀부(20)와, 상기 핀부(20)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장식부(10)의 분리를 방지하는 걸림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걸림부(30)에는 상기 걸림부(30)의 내외부로 입출가능하도록 고정편(40,50)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편(40,50)에는 상기 고정편(40,50)이 상기 걸림부(30)의 내외부로 입출됨에 따라 그 내주면이 상기 핀부(20)의 외주면에 선택적으로 접하여 걸어지는 관통홀(H)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장신구의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걸림부(30)에는 고정편(40,50)이 구비되어 장신구의 핀부(20)의 외주면을 선택적으로 걸어주게 되고 사용자가 고정편(40,50)을 눌러주는 경우에만 걸림부(30)와 핀부(20) 사이가 분리될 수 있어 핀부(20)와 걸림부(30) 사이의 결합이 견고해지는 이점이 있다.
장신구, 귀걸이, 고정장치

Description

장신구의 고정장치{Holding device for accessories}
본 발명은 장신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신구가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신구로 사용되는 귀걸이는 사용자의 귀에 걸어져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장식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귀걸이가 사용자의 귀에 걸어지는 타입으로는 귓불을 집어 고정하는 클립형 귀걸이와 귓불을 통과하여 걸어지는 핀형귀걸이로 나누어진다.
이때, 핀형귀걸이의 핀형상은 단순한 일자형핀 뿐 아니라, 후크형상핀, 링형상핀 등 다양한 형상의 핀 종류가 존재하나, 모두 귓불을 통과하여 걸어진다는 점에서는 동일하다.
도 1에는 종래기술에 의한 핀형귀걸이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귀걸이는 크게 장식부재(1)와 핀부재(3), 그리고 걸이부재(5)로 구성된다. 상기 장식부재(1)는 보석이나 팬던트 등과 같은 각종 장식을 위한 재질로 만들어져, 귓불에 안착되어 실질적으로 장식기능을 하게 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장식부재(1)에는 핀부재(3)가 연결된다. 상기 핀부재(3)는 상 기 장식부재(1)에 일체로 구성되는 것으로, 대략 바 형상으로 되어 사용자의 귓불을 통과하게 된다.
상기 핀부재(3)에는 걸이부재(5)가 결합된다. 상기 걸이부재(5)는 일반적으로 클러치라 불리는 것으로, 그 중심에 형성된 관통공(6)을 통해 상기 핀부재(3)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귓불의 후면에 지지됨으로써 장식부재(1) 및 핀부재(3)가 귓불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사용자의 귓불의 양면은 각각 장식부재(1) 및 걸이부재(5)에 접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걸이부재(5)에는 손잡이부(7)가 구비된다. 상기 손잡이부(7)는 사용자가 상기 걸이부재(5)를 용이하게 파지한 상태로 다룰 수 있도록 상기 걸이부재(5)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손잡이부(7)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되게 형성되어 탄성력을 지닌 상태로 만들어져, 상기 핀부재(3)의 외면을 가압하여 핀부재(3)로부터 걸이부재(5)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손잡이부(7) 역시 장식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사용자가 귀걸이를 사용함에 따라 상기 걸이부재(5)는 상기 핀부재(3)로부터 분리되거나 핀부재(3)와 결합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걸이부재(5)의 관통공(6) 주변이 마모되고, 상기 손잡이부(7)의 탄성력이 약해져 상기 걸이부재(5)가 상기 핀부재(3)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걸이부재(5)가 핀부재(3)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핀부재(3) 및 이에 연결된 장식부재(1)는 더 이상 귓불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없게 되어 귓불로부터 빠져 분실되거나 분리되는 과정에서 지면 등에 부딪혀 손상될 우려가 있다. 특히, 상기 장식부재(1)가 고가인 경우에는 이와 같은 핀부재(3)와 걸이부재(5) 사이의 분리가 더욱 확실하게 방지될 필요성이 있다.
물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관통공(6)의 직경을 작게 하거나, 상기 손잡이부(7)를 더욱 절곡하여 상기 핀부재(3)와의 분리를 어느 정도는 방지할 수는 있으나, 이와 같이 되면 상기 핀부재(3)와 걸이부재(5)의 결합에 필요한 힘이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장신구의 장식부 및 이에 연결된 핀부가 걸이부에 의해 사용자의 신체에 걸어진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면서, 동시에 걸이부가 핀부에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장신구의 장식부에 연결되는 바형상의 핀부와, 상기 핀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장식부의 분리를 방지하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에는 상기 걸림부의 내외부로 입출가능하도록 고정편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편에는 상기 고정편이 상기 걸림부의 내외부로 입출됨에 따라 그 내주면이 상기 핀부의 외주면에 선택적으로 접하여 걸어지는 관통홀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는 상기 걸림부의 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핀부가 통과하는 삽입공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상기 하우징과 핀부의 결합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입출되도록 설치되고 그 중심에는 상기 핀부가 통과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입출됨에 따라 상기 핀부의 외주면을 선택적으로 걸어주는 고정편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편은 서로 상대이동하는 제1 및 제2고정편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고정편에는 서로 형합되어 상기 관통홀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걸림홈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1고정편은 상기 하우징의 일측으로부터 입출되는 제1누름부와, 상기 제1누름부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되는 제1연결부와, 상기 제1연결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관통홀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제1걸림홈이 형성되는 제1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고정편은 상기 제1고정편과 대칭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타측으로부터 입출되는 제2누름부와, 상기 제2누름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연결부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관통홀의 나머지 일부를 형성하는 제2걸림홈이 형성되는 제2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고정부는 서로 걸어지도록 각각 상기 제1 및 제2연결부로부터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제1 및 제2걸림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고정편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관통홀의 직경이 커진다.
상기 제1 및 제2고정부는 상기 제1 및 제2고정편의 상대이동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나란히 연장되고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각각 반원형상의 상기 제1 및 제2걸림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고정편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관통홀이 원형을 이룬다.
상기 제1 및 제2고정편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관통홀의 직경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제1 및 제2고정편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탄성부재는 판스프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고정편의 서로 마 주보는 면에는 설치홈이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양단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하우징은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에는 상기 고정편의 적어도 일부가 입출될 수 있도록 입출공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누름부에는 상기 제1 및 제2고정편의 상대이동방향으로 제1 및 제2가이드홈이 각각 요입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고정부의 선단에는 제1 및 제2가이드돌기가 각각 돌출되어 상기 제2가이드홈 및 제1가이드홈에 각각 삽입되어 안내된다.
상기 제1 또는 제2고정편의 제1 또는 제2누름부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그 일부가 상기 제1 및 제2고정편의 이동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장식부의 타측을 향하는 상기 걸림부의 일면에는 손잡이부가 형성된다.
상기 핀부의 외주면에는 걸이홈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편의 관통홀의 내면에 걸어진다.
상기 걸이홈은 상기 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다수개가 형성된다.
상기 누름부의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스토퍼가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의 입출공 가장자리에 걸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장신구의 고정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장신구의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걸림부에는 고정편이 구비되어 장신구의 핀부의 외주면을 선택적으로 걸어주게 되고 사용자가 고정편을 눌러주는 경우에만 걸림부와 핀부 사이가 분리될 수 있어 핀부와 걸림부 사이의 결합이 견고해지므로, 핀부 및 이에 연결된 장식부가 걸림부와 안정적으로 결합되고, 결과적으로 장신구를 분실할 염려가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장신구의 고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장신구의 고정장치가 채용된 귀걸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걸림부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a 및 도 4b에는 본 발명에 의한 걸림부 및 그 내부에 구비되는 고정편의 모습이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장신구 중에서 귀걸이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귀걸이에는 장식부(10)가 구비된다. 상기 장식부(10)는 사용자의 귓불에 안착되어 장식기능을 하게 되는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것은 일례에 불과한 것으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장식부(10)에는 핀부(20)가 연결된다. 상기 핀부(20)는 사용자의 귓불을 통과하게 되는 부분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바 형상으로 된다. 상기 핀부(20)는 상기 장식부(10)에 일체로 되거나 또는 별개물로 되어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핀부는 원형의 횡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나, 사격형 또는 삼각형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핀부(20)의 외주면에는 걸이홈(25)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홈(25)은 상기 핀부(20)의 외주면을 둘러 요입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걸림부(30)의 고정편(40,50)이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걸이홈(25)은 상기 핀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핀부(20)에는 걸림부(30)가 결합된다. 상기 걸림부(30)는 상기 핀부(20)와는 별개물로서, 상기 핀부(20)가 귓불을 통과한 상태에서 핀부(20)의 일단에 결합되어 핀부(20) 및 이에 연결된 장식부(10)가 사용자의 귓불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걸림부(30)의 골격은 하우징(31,32)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31,3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하우징(31)과 제2하우징(32)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31,32)을 관통하도록 삽입공(31',32')이 형성되어 상기 핀부(20)가 상기 삽입공(31',32')을 통과하게 된다. 상기 두 하우징(31,32) 사이에는 설치공간(S)이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고정편(40,50)이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31,32)은 그 상면 및 저면이 각각 원형으로 형성되나, 상기 하우징(31,32)의 형상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즉, 도 2a에서 보듯이, 상기 제2하우징(32)은 그 외면이 곡면으로 되는 일종의 돔형상으로 될 수도 있고, 또는 도 2b에서 보듯이 외면이 평면으로 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하우징(32)의 외면은 내측으로 요입되어 오목한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물론, 상기 하우징(31,32)은 제1 및 제2하우징(31,32)으로 구성되지 않고, 하나의 하우징(31,32)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31,32)에는 서로 대응되는 입출공(33,33')이 형성된다. 상기 입출공(33,33')은 걸림부(30)의 고정편(40,50)이 입출되는 부분으로, 상기 하우징(31,32)의 양측에 쌍을 이루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31,32)의 설치공간(S)에는 고정편(40,50)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편(40,50)은 상기 설치공간(S)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31,32)의 입출공(33,33')을 통해 내외부로 입출가능하게 된다. 상기 고정편(40,50)은 상기 하우징(31,32)의 내외부로 입출되면서 그 중심에 형성된 관통홀(H)의 내주면이 상기 핀부(20)의 외주면에 접하여 걸어지게 된다. 즉, 상기 고정편(40,50)이 상기 걸림부(30) 중에서 상기 핀부(20)와 실질적으로 결합되는 부분이다.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편(40,50)은 서로 대칭되는 제1 및 제2고정편(40,5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고정편(40,50)은 각각 상기 하우징(31,32)의 양측에 형성된 입출공(33,33')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설치공간(S) 내외부로 어느 정도 입출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 및 제2고정편(40,50)은 서로 상대이동 하면서 서로 협력하여 상기 관통홀(H)을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제1 및 제2고정편(40,50)에는 서로 대응되는 제1 및 제2걸림홈(46,56)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걸림홈(46,56)이 형합되어 상기 관통홀(H)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및 제2걸림홈(46,56)은 평면상으로 보았을 때 각각 곡선형상으로 요입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고정편(40,50)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1 및 제2걸림홈(46,56)이 서로 형합되어 보다 원형에 가까운 형상이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걸림홈(46,56)은 상기 제1 및 제2고정편(40,50)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일 때에만, 각각 상기 핀부(20)의 외주면의 양측에 선택적으로 접하게 되어 상기 핀부(20)와 걸림부(30)가 견고하게 걸어지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고정편(40,50)을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고정편(40,50)은 서로 대칭되므로 제1고정편(40)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고정편(40)에는 제1누름부(41)가 구비된다. 상기 제1누름부(41)는 그 일부가 상기 입출공(33,33')의 외부로 어느 정도 돌출된 상태로 되어, 사용자에 의해 실질적으로 눌리게 된다.
이때, 상기 제1누름부(41)에는 제1가이드홈(41')이 형성된다. 상기 제1가이드홈(41')은 상기 제1 및 제2고정편(40,50)의 상대이동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제2고정편(50)의 제2가이드돌기(57)가 삽입되어 제1 및 제2고정편(40,50)의 상대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1가이드홈(41')은 상기 제1 및 제2고정편(40,50)이 서로 뒤틀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역할도 하게 된다. 물론, 제2가이드홈(51')도 상기 제1가이드홈(41')과 동일한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제1누름부(41)의 양측단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스토퍼(42)가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42)는 상기 하우징(31,32)의 입출공(33,33')의 가장자리에 걸어져 상기 제1고정편(40)이 상기 하우징(31,32)의 외측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 할을 한다.
상기 제1누름부(41)의 스토퍼(42)에 인접한 위치에는 설치홈(42')이 요입되어 형성된다. 상기 설치홈(42')은 아래에서 설명될 탄성부재(60)의 일단이 삽입되는 부분으로, 탄성부재(60)가 상기 제1 및 제2고정편(40,50) 사이에 걸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누름부(41)의 외면에는 누름돌기(43)가 형성된다. 상기 누름돌기(43)는 사용자가 미끌어짐 없이 상기 제1누름부(41)를 용이하게 누를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장식적인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누름부(41)의 일부는 상기 제1 및 제2고정편(40,50)의 상대이동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사용자가 상기 제1누름부(41)를 가압하는 면적이 넓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1누름부(41)에는 제1연결부(44)가 연결된다. 상기 제1연결부(44)는 상기 제1누름부(41)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31,32)에 형성된 삽입공(31',32')이 개구된 방향을 회피하도록 설치공간(S)의 중심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구비된다.
상기 제1연결부(44)의 일단에는 제1고정부(45)가 형성된다. 상기 제1고정부(45)는 상기 핀부(20)의 외주면을 선택적으로 감싸게 되는 부분으로, 상기 핀부(20)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제1걸림홈(46)이 형성된다. 상기 제1걸림홈(46)은 제2고정편(50)의 제2걸림홈(56)과 형합되어 상기 핀부(20)의 횡단면에 대응되는 대략 원형을 이루게 된다. 즉, 상기 제1걸림홈(46)은 그 내주면이 상기 핀부(20)의 외주 면, 보다 정확하게는 핀부(20)의 걸이홈(25)에 삽입되어 상기 핀부(20)와 걸림부(30) 사이가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고정편(40)과 상기 제2고정편(50)에 각각 구비되는 제1고정부(45)와 제2고정부(55)는 서로 걸어지도록 위치된다. 즉 도 4a에서 보듯이, 상기 제1고정부(45)는 상기 제2고정부(55) 보다 상기 제2누름부(51)에 가깝도록 위치되고, 상기 제2고정부(55)는 상기 제1고정부(45) 보다 상기 제1누름부(41)에 가깝도록 위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고정편(40,50)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눌리게 되면, 상기 제1 및 제2걸림홈(46,56)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관통홀(H)의 직경이 커지게 되고, 상기 핀부(20)의 외주면에 접하던 제1 및 제2걸림홈(46,56)의 내면이 상기 핀부(20)의 걸이홈(25)으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핀부(20)가 상기 걸림부(30)와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45)에는 제1가이드돌기(47)가 구비된다. 상기 제1가이드돌기(47)는 상기 제2고정편(50)의 제2가이드홈(51')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및 제2고정편(40,50)이 서로 안정적으로 상대이동될 수 있도록 된다.
상기 제1 및 제2고정편(40,50) 사이에는 탄성부재(60)가 구비된다. 상기 탄성부재(60)는 상기 제1 및 제2고정편(40,50)의 설치홈(42')에 그 양단이 각각 삽입되어 걸어진다. 상기 탄성부재(60)는 상기 제1 및 제2고정편(40,50)에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관통홀(H)의 직경이 작아지도록 한다. 즉, 상기 탄성부재(60)에 의해,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걸 림홈(46,56)의 내주면이 상기 핀부(20)의 걸이홈(25)에 각각 삽입되어 핀부(20)와 걸림부(30) 사이가 걸어진 상태로 유지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60)는 판스프링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부재(60)는 쌍을 이루어 상기 제1 및 제2고정편(40,50) 사이에 두 개가 구비되나,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탄성부재(60)가 구비되지 않고, 상기 제1 및 제2고정편(40,50)과 상기 하우징(31,32) 사이에 서로 대응되는 체결홈과 체결돌기가 형성되어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6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원통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면부호 49 및 59는 고정돌기로서, 상기 탄성부재(60)의 양단을 각각 고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걸림부(30)에는 손잡이부(70)가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부(70)는 상기 장식부(10)의 타측을 향하는 상기 걸림부(30)의 일면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상기 걸림부(30)를 용이하게 파짓할 수 있도록 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손잡이부(70)는 쌍을 이루어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손잡이부(70)는 상기 하우징(31,32)의 입출공(33,33')의 연장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2하우징(32)과 상기 제1 및 제2고정편(40,50) 사이에는 제1와셔(W1)가 구비된다. 상기 제1와셔(W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하우징(32)의 외면이 곡면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상기 제1 및 제2고정편(40,50)이 제2하우징(32)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일종의 안착판이다.
즉, 상기 제2하우징(32)의 곡면형상으로 인해, 상기 제1 및 제2고정 편(40,50)이 평면상에 안착될 수 없으므로, 별도의 제1와셔(W1)를 구비하여 상기 제1 및 제2고정편(40,50)이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하우징(32)이 평면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와셔(W)는 생략될 수도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제1와셔(W1)에는 돌기부(W1')가 구비되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2하우징(32)의 삽입공(32')에는 상기 돌기부(W1')를 향해 대응되는 형상의 돌기부가 돌출되어, 상기 제1와셔(W1)와 제2하우징(32)의 삽입공(32') 사이의 거리를 좁힐 수도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제1와셔(W1)와 제2하우징(32)의 삽입공(32') 사이의 거리가 좁아져, 상기 핀부(20)가 삽입되는 과정에서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하우징(31)의 삽입공(31') 가장자리에는 요입홈(도면부호 부여 않음)이 형성되고 상기 요입홈에는 제2와셔(W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요입홈은 상기 제2하우징(32)의 삽입공(32')과 상기 제1하우징(31)의 삽입공(31') 사이의 거리를 되도록 멀리하여, 두 삽입공(31',32') 사이에서 상기 핀부(20)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물론, 상기 요입홈은 제2하우징(32)의 삽입공(32')의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6a 및 도 6b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상이한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하우징(131,132)에는 제1 및 제2고정편(140,150)이 삽입된다. 상기 제1고정 편(140)에는 제1누름부(141)와 이에 연결되는 제1연결부(144), 그리고 상기 제1연결부(144)로부터 연장되는 제1고정부(145)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고정부(145)는 상기 제1 및 제2고정편(140,150)의 상대이동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동시에 제2고정편(150)의 제2고정부(155)와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고정부(145)의 제1걸림홈(146)과 제2고정부(155)의 제2걸림홈(156)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각각 반원형상의 제1 및 제2걸림홈(146,156)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걸림홈(146,156)은 서로 형합되어 핀부(120)의 횡단면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원형의 관통홀(H)을 형성하여, 상기 제1 및 제2걸림홈(146,156)의 내주면에 핀부(120)의 외주면이 걸어지지 않도록 된다.
하지만, 상기 제1 및 제2고정편(140,150)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1 및 제2걸림홈(146,156)은 서로 어긋나 상기 관통홀(H)이 완전한 원형을 이루지 못하게 되고, 상기 제1 및 제2걸림홈(146,156)의 내주면이 상기 핀부(120)의 외주면, 보다 정확하게는 핀부(120)의 걸이홈(125)에 삽입되어 걸어진다. 도면부호 A 및 B는 상기 핀부(120)가 제1 및 제2걸림홈(146,156)에 걸어지는 부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장신구의 고정장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상기 도 4에 도시된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귀걸이를 착용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사용자는 상기 장식부(10)와 이에 연결된 핀부(20)를 귓불에 가까운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핀부(20)가 상기 귓불을 통과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귓불을 통과한 핀부(20)의 선단에 걸림부(30)를 결합시킨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핀부(20)의 선단이 상기 걸림부(30)의 하우징(31,32)에 형성된 삽입공(31',32')을 통과하도록 하면서 상기 걸림부(30)를 밀어넣으면, 상기 걸림부(30)는 상기 핀부(20)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걸림부(30) 내부의 제1 및 제2고정편(40,50)은 탄성부재(60)에 의해 탄성력을 제공받는 상태이고, 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고정편(40,50)의 제1 및 제2걸림홈(46,56)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핀부(20)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걸림부(30)가 이동된다.
이에 따라, 상기 걸림부(30)가 상기 핀부(20)의 외면에 형성된 걸이홈(25)을 지나가는 순간 상기 제1 및 제2고정편(40,50)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제1 및 제2걸림홈(46,56) 사이가 좁아지면서 상기 핀부(20)의 걸이홈(25)이 상기 제1 및 제2걸림홈(46,56)의 내주면에 걸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걸림부(30)는 상기 핀부(20)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가 되어, 장식부(10) 및 이에 연결된 핀부(20)가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걸림부(30)를 핀부(20)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사용자는 먼저 상기 걸림부(30)의 고정편(40,50)을 눌러주어야 한다. 즉, 상기 탄성부재(60)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고정편(40,50)의 누름부를 눌러주게 되면, 상기 제1 및 제2고정편(40,50)이 상기 하우징(31,32)의 설치공간(S) 내부로 어느 정도 더 삽입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고정편(40,50)에 형성된 제1 및 제2걸림 홈(46,56) 사이의 간격은 더 벌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제1 및 제2걸림홈(46,56)이 상기 핀부(20)의 걸이홈(25)을 걸어 고정하고 있던 상태가 해제되고,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걸림부(30)를 상기 핀부(2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걸림부(30)가 상기 핀부(20)로부터 분리되면, 사용자는 상기 장식부(10)와 핀부(20)를 귓불로부터 분리할 수 있고, 마지막으로 걸림부(30)를 상기 핀부(20)에 다시 결합시킨 상태로 보관하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들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편(40,50)이 제1 및 제2고정편(40,50)으로 구성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하나의 고정편으로만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편(40,50) 사이에는 탄성부재(60)가 반드시 설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고정편(40,50)과 하우징(31,32)에 대응되는 체결돌기와 체결홈 등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편(40,50)이 상기 하우징(31,32)에 일정한 위치에서 고정됨으로써 상기 핀부(20)와 걸어질 수도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핀형귀걸이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의한 장신구의 고정장치는 후크형상핀, 링형상핀 등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신체의 일부 를 통과하여 착용하는 귀걸이가 아닌 브로치와 같이 의복이나 가방 등을 관통하여 사용하는 장신구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목걸이나 팔찌 그리고, 반지와 같이 그 일부가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고정되는 다양한 장신구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핀형귀걸이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에 의한 장신구의 고정장치가 채용된 귀걸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걸림부의 제1 및 제2고정편이 조립된 상태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의한 걸림부 및 그 내부에 구비되는 고정편의 모습을 보인 평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장신구의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걸림부 및 그 내부에 구비되는 고정편의 모습을 보인 평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장신구의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걸림부 및 그 내부에 구비되는 고정편의 모습을 보인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장식부 20: 핀부
25: 걸이홈 30: 걸림부
31,32: 하우징 31',32': 삽입공
33,33': 입출공 40, 50: 제1 및 제2고정편
41,51: 제1 및 제2누름부 42, 52: 스토퍼
43, 53: 누름돌기 44, 55: 제1 및 제2연결부
46, 56: 제1 및 제2걸림홈 47,57: 가이드돌기
60: 탄성부재 70: 손잡이부

Claims (18)

  1. 장신구의 장식부에 연결되는 바형상의 핀부와,
    상기 핀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장식부의 분리를 방지하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에는 상기 걸림부의 내외부로 입출가능하도록 고정편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편에는 상기 고정편이 상기 걸림부의 내외부로 입출됨에 따라 그 내주면이 상기 핀부의 외주면에 선택적으로 접하여 걸어지는 관통홀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의 고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걸림부의 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핀부가 통과하는 삽입공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상기 하우징과 핀부의 결합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입출되도록 설치되고 그 중심에는 상기 핀부가 통과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입출됨에 따라 상기 핀부의 외주면을 선택적으로 걸어주는 고정편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의 고정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은 서로 상대이동하는 제1 및 제2고정편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고정편에는 서로 형합되어 상기 관통홀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걸림홈이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의 고정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편은
    상기 하우징의 일측으로부터 입출되는 제1누름부와,
    상기 제1누름부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되는 제1연결부와,
    상기 제1연결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관통홀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제1걸림홈이 형성되는 제1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고정편은 상기 제1고정편과 대칭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타측으로부터 입출되는 제2누름부와,
    상기 제2누름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연결부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관통홀의 나머지 일부를 형성하는 제2걸림홈이 형성되는 제2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의 고정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고정부는 서로 걸어지도록 각각 상기 제1 및 제2연결부로부터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제1 및 제2걸림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고정편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관통홀의 직경이 커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의 고정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고정부는 상기 제1 및 제2고정편의 상대이동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나란히 연장되고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각각 반원형상의 상기 제1 및 제2걸림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고정편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관통홀이 원형을 이룸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의 고정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고정편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관통홀의 직경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제1 및 제2고정편에 탄성력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의 고정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판스프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고정편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설치홈이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양단이 삽입되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의 고정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에는 상기 고정편의 적어도 일부가 입출될 수 있도록 입출공이 관통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의 고정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누름부에는 상기 제1 및 제2고정편의 상대이동방향으로 제1 및 제2가이드홈이 각각 요입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고정부의 선단에는 제1 및 제2가이드돌기가 각각 돌출되어 상기 제2가이드홈 및 제1가이드홈에 각각 삽입되어 안내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의 고정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고정편의 제1 또는 제2누름부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그 일부가 상기 제1 및 제2고정편의 이동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의 고정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부의 타측을 향하는 상기 걸림부의 일면에는 손잡이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의 고정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핀부의 외주면에는 걸이홈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편의 관통홀의 내면에 걸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의 고정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홈은 상기 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다수개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의 고정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의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스토퍼가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의 입출공 가장자리에 걸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의 고정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제1하우징 또는 제2하우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그 외면이 돌출되어 곡면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의 고정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 또는 제2하우징과 상기 제1 및 제2고정편 사이에는 와셔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의 고정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 또는 제2하우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삽입공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2하우징 또는 제1하우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요입되어 요입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의 고정장치.
KR1020080069225A 2008-07-16 2008-07-16 장신구의 고정장치 KR201000086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9225A KR20100008650A (ko) 2008-07-16 2008-07-16 장신구의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9225A KR20100008650A (ko) 2008-07-16 2008-07-16 장신구의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650A true KR20100008650A (ko) 2010-01-26

Family

ID=41817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9225A KR20100008650A (ko) 2008-07-16 2008-07-16 장신구의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865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77284A1 (en) * 2013-11-19 2015-05-28 Earring Support, Llc Left and right earring support backings
KR20160003361U (ko) * 2015-03-23 2016-10-04 이한동 손쉬운 탈착이 가능한 귀걸이용 고정구
CN108497633A (zh) * 2018-05-25 2018-09-07 蔡汉荣 插孔钉式锁定结构
FR3083058A1 (fr) * 2018-06-27 2020-01-03 Bd Product Fermoir a boucle d’oreill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77284A1 (en) * 2013-11-19 2015-05-28 Earring Support, Llc Left and right earring support backings
KR20160003361U (ko) * 2015-03-23 2016-10-04 이한동 손쉬운 탈착이 가능한 귀걸이용 고정구
KR200481771Y1 (ko) 2015-03-23 2016-11-08 이한동 손쉬운 탈착이 가능한 귀걸이용 고정구
CN108497633A (zh) * 2018-05-25 2018-09-07 蔡汉荣 插孔钉式锁定结构
FR3083058A1 (fr) * 2018-06-27 2020-01-03 Bd Product Fermoir a boucle d’oreil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41612B2 (ja) 磁石を使用した改良型連結デバイス
JP5990339B2 (ja) 略環状装身具
US7856805B2 (en) Non-extending hinged bracelet
KR20100008650A (ko) 장신구의 고정장치
US6898950B2 (en) Set of jewelry
KR102368301B1 (ko) 장신구용 잠금쇠, 장신구용 잠금쇠의 조립 세트 및 장신구
JP5433296B2 (ja) アクセサリ用のクラスプ
KR200497427Y1 (ko) 귀걸이 고정구 및 이를 포함하는 귀걸이
KR20190134292A (ko) 초기 걸림기능이 내재된 장신구의 연결구조
KR101680244B1 (ko) 장신구용 결합장치
US20050199001A1 (en) Earring
JP3134958U (ja) 装身具用連結金具
KR101806030B1 (ko) 잠금장치를 가지는 장식부재
KR101924512B1 (ko) 장신구용 연결구
JP3236038U (ja) ピアス
KR200331806Y1 (ko) 귀금속 장신구의 체결구조
KR20180132244A (ko) 장신구의 체결장치
KR20180002219U (ko) 장신구의 연결구
JP2009095637A (ja) 装身具用連結金具
KR200357322Y1 (ko) 귀걸이
KR101828755B1 (ko) 귀걸이 고정구
KR200210901Y1 (ko) 장신구용 체결장치
KR100670811B1 (ko) 귀걸이의 보석집 결합구조
JP3146754U (ja) 装身具の止め具
KR200186198Y1 (ko) 귀금속 장신구용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