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7624A -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7624A
KR20100007624A KR1020080068333A KR20080068333A KR20100007624A KR 20100007624 A KR20100007624 A KR 20100007624A KR 1020080068333 A KR1020080068333 A KR 1020080068333A KR 20080068333 A KR20080068333 A KR 20080068333A KR 20100007624 A KR20100007624 A KR 201000076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ody
terminal
display
tilting
ex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8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5169B1 (ko
Inventor
이상혁
김지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80068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5169B1/ko
Publication of KR20100007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76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5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51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27Rotatable in one plane,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제1단말기바디가 제2단말기바디에 대해 완전히 겹쳐져 있는 닫힌 상태에서 제1단말기바디가 일정 각도로 기울여짐으로써 제2단말기바디의 코너 부분에 있는 제2디스플레이를 노출시키므로 제1단말기바디의 기울임 동작과 제2디스플레이에 의한 다양하고도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휴대 단말기는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고 있으며, 이들은 종합적으로 탑재되어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를 구현하기도 한다.
이러한 멀티 미디어 기기에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
보다 쉽고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을 위하여 휴대 단말기는 다양한 기구 형태가 제안되기도 한다. 전통적인 기구적인 형태인 슬라이드 또는 폴더 형태 의 경우 충분히 작은 크기임에도 개폐가 가능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사용면적을 증가시켰다.
그러나, 이러한 전통적인 슬라이드 또는 폴더 형태의 휴대 단말기는 다양한 형태 또는 디자인이나 감성효과를 기대하는 트렌드나 성향을 충족시키는 데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개폐시키는 동작을 단순하게 하면서도 노출면에 의한 시각적인 효과를 높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는, 전면에 제1디스플레이가 구비된 제1단말기바디와, 제1단말기바디에 후면에 배치되는 제2단말기바디와, 제1단말기바디가 제1단말기바디의 전면에 수직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로 기울여짐으로써 제2단말기바디의 코너 부분을 노출시킬 수 있게 제1단말기바디와 제2단말기바디 사이를 연결하는 힌지부 및, 제1단말기바디의 기울임에 의하여 노출되는 제2단말기바디의 코너 영역에 배치되며, 제1단말기바디의 기울임에 의하여 연동되어 정보를 표시하는 제2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회전축은 제1단말기바디의 중심으로부터 하단의 코너들 중 어느 한 코너 쪽으로 편심되게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회전축은 제1단말기바디가 포개어진 상태에서 양 방향으로 기울여질 수 있게 제1단말기바디의 중심으로부터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제1단말기바디가 기울여지면 제2디스플레이에 적어도 하나의 시각정보를 출력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시각정보는 해당 기능을 직접 수행시킬 수 있도록 아이콘화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시각정보는 제1디스플레이에서 보여주고 있는 항목의 서브항목일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제1단말기바디의 기울임에 의하여 노출되는 제2단말기바디의 전면 영역에 제1카메라가 더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제1단말기바디의 기울임에 의하여 제2단말기바디로부터 노출되는 제1단말기바디의 후면 영역에 제2카메라가 더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제1단말기바디의 기울임에 의하여 노출되는 제2단말기바디의 전면 영역에 거울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제1단말기바디와 제2단말기바디 사이에 설치되고, 제1단말기바디를 기울였던 힘이 제거될 때 제1단말기바디를 복귀시키는 스프링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제1단말기바디와 제2단말기바디 사이에 설치되고, 제1단말기바디를 기울이기 위한 힘을 가변시키는 가변로드(load)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가변로드부는 적어도 하나의 영구자석과 영구자석에 자기력을 작용시키는 코일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힌지부는 제1단말기바디에 고정되는 샤프트와, 제2단말기바디에 고정되며 샤프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보스(boss)를 포함하 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제1단말기바디와 제2단말기바디 중 어느 하나에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제1단말기바디와 제2단말기바디 중 다른 하나에는 가이드 돌기를 안내하며 가이드 돌기의 이동폭을 제한하는 가이드 레일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제1단말기바디와 제2단말기바디 사이에는 제1단말기바디를 직선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하는 슬라이드 모듈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제2디스플레이는 터치 입력이 가능하도록 터치감지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는, 제1단말기바디가 일정 각도로 기울여짐으로써 제2단말기바디의 코너 부분에 있는 제2디스플레이가 노출되므로 제1단말기바디의 기울임 동작과 제2디스플레이에 의한 다양하고도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의하면, 이러한 제1단말기바디의 기울임 동작에 의하여 카메라를 노출시키기도 하고, 노출되는 면은 사용자만이 사용하는 거울로도 활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정면도이다. 휴대 단말기(1)는 전면에 제1디스플레이(12)가 구비된 제1단말기바디(10)와 제2단말기바디(20)의 후면에 배치되는 제2단말기바디(20)를 구비하고 있다. 제2단말기바디(20)는 제1단말기바디(10)에 포개어진 상태를 이루고 있으므로 휴대 제2단말기바디(20)는 제1단말기바디(10)에 대해 적어도 일부분은 노출되지 않는다.
제1단말기바디(10)의 상단에는 통화음 또는 각종 알림음이나 멀티미디어 음을 출력하는 리시버 또는 스피커(11)가 구비된다. 리시버 또는 스피커는 제1단말기바디(10) 뿐만 아니라 제2단말기바디(20)에도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1단말기바디(10)의 하단에는 키입력을 가능하게 하도록 조작부(13)가 설치될 수 있다. 조작부(13)는 푸시동작에 의하여 동작하거나 터치에 의하여 동작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1디스플레이(12)는 휴대 단말기(1)에 의하여 표시할 수 있는 각종 시각정보를 제공한다.
도 1과 같이 제2단말기바디(20)가 제1단말기바디(10)에 대하여 완전히 포개어져 있는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부를 수 있으며, 이 상태에서도 제1단말기바디(10)의 제1디스플레이(12) 및 조작부(13)에 의한 통화, 멀티미디어 감상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제1디스플레이(12)는 휴대 단말기(1)가 갖는 각종 모드에 대응하는 시각정보 또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출력한다. 제1디스플레이(12)는 터치감지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한 터치입력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작동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단말기바디(10)는 제2단말기바디(20)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기울여짐으로써 제2단말기바디(20)의 코너 부분을 노출시키고 있다. 구체적으로, 제1단말기바디(10)의 상단이 제2단말기바디(20)에 대하여 기울여질 수 있도록 제1단말기바디(10)의 회전축은 제1단말기바디(10) 또는 제2단말기바디(20)의 전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되어 있다.
제1단말기바디(10)가 기울여짐으로써 노출되는 제2단말기바디(20)의 코너 전면 영역에는 제2디스플레이(21)가 구비된다. 제2디스플레이(21)는 제1단말기바디(10)의 기울임에 연동됨으로써 기설정되었거나 임의 선택된 시각정보를 출력한다. 휴대 단말기(1)는 제1단말기바디(10)가 기울여지면 제2디스플레이(21)에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시각정보를 출력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제1단말기바디(10)가 기울여졌는지 여부를 토대로 제2디스플레이(21)에 해당 시각정보를 출력한다.
도 2에서는 휴대 단말기(1)의 배터리 잔량 또는 무선감도 등과 같은 상태 정보나 휴대 단말기(1)가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이를 그래픽 또는 아이콘(25)으로 하여 출력한 예를 보인 것이다.
이와 같이, 제2단말기바디(20)의 기울임에 의하여 노출되는 제2단말기바디(20)의 영역은 제2단말기바디(20)의 전체 면에 비하여 작고 사용자만이 보기 쉽게 되어 있으므로 정보의 사적인 관리의 면에서 흥미의 면에서 유리한 장점이 있 다. 그러한 측면에서는 제1단말기바디(10)의 기울임각은 30도 이내 또는 20도 이내 등과 같이 작은 각도 범위 내로 제한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단말기바디(10)가 기울여진 횟수나 시간을 통하여 제1디스플레이(11)에서 출력되는 리스트 등의 탐색을 용이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제1단말기바디(10)를 일 회 기울이면 하나의 항목 또는 설정되어 있는 단위의 항목들만큼 건너뛰도록 하고, 제1단말기바디(10)를 정하여진 시간 이상 동안 기울여지게 되면 항목을 지시하는 포인터 또는 커서를 빠르게 이동되도록 하여 스크롤(scroll) 또는 브라우징(browsing)이 용이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제1단말기바디(10)와 제2단말기바디(20)는 힌지부(30)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힌지부(30)는 제1단말기바디(10)가 제2단말기바디(20)에 대해 일정 각도로 기울여짐으로써 제2단말기바디(20)의 코너가 제1단말기바디(10)로부터 노출되게 하는 요소로 사용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힌지부(30)는 제1단말기바디(10)의 후면에 고정되는 샤프트(31)와 제2단말기바디(20)에 고정되며 샤프트(3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보스(boss)로 구성된 예를 보이고 있다. 샤프트(31)와 보스(32)는 반복적인 회전으로부터 마모 또는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금속이나 세라믹 또는 강화 플라스틱 등과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힌지부(30)는 제1단말기바디(10)와 제2단말기바디(20)의 회전축(rotational axis)을 제공한다. 도 3에 의하면, 힌지부(30) 및 회전축은 제1단말기바디(10)의 중심으로부터 하단의 우측 코너 쪽으로 편심되게 배치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그 결과, 제1단말기바디(10)가 기울여지면 도 2와 같이 제2단말기바디(10)의 우측 상단 코너 부분 및 제2디스플레이(21)가 노출된다.
제1단말기바디(10)의 후면 일측에는 가이드 돌기(34)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2단말디바디(20)의 전면에는 가이드 돌기(34)를 안내하며 가이드 돌기(34)의 이동폭을 제한하는 가이드 레일(35)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레일(35)은 힌지부(30)와는 독립적으로 제1단말기바디(10)의 회전운동을 안내하거나, 힌지부(30)만에 의한 제1단말기바디(10)의 회전 메카니즘을 보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35)은 원호상으로 일정 길이로 형성됨으로써, 그 범위 내에서만 가이드 돌기(34)가 이동하면서 제1단말기바디(10)의 닫힘상태 및 열림상태를 구현한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예로서, 휴대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힌지부(130)는 샤프트(131) 및 보스(133) 외에 복귀 스프링(133)이 장착되어 있다. 복귀 스프링(133)은 제1단말기바디(10)를 기울였던 힘이 제거될 때 제1단말기바디(10)를 복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제1단말기바디(10)을 기울여서 관련 정보를 제2단말기바디(20)를 통하여 본 후 힘을 제거하면 제1단말기바디(10)는 자동적으로 닫힘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스프링(133)은 도 4에 개시된 바와 같이 힌지부(130) 내에 뿐만이 아니라, 제1단말기바디(10)와 제2단말기바디(20) 사이에도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스프링의 형태에 관하여도 도 4에 개시된 토션 스프링 외에 인장형/압축형 코일 스프링 또는 판스프링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나아가, 캠(cam)에 의한 구현도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예로서, 휴대 단말기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제1단말기바디(10)의 회전축은 힌지부(230) 및 가이드레일(235)에 의하여 정하여진다. 도 5에서는 회전축이 제1단말기바디(10)가 포개어진 상태에서 양 방향으로 기울여질 수 있게 제1단말기바디(10)의 중심으로부터 하부에 위치되고 있다.
가이드 레일(235)도 제1단말기바디(10)가 양 방향으로 기울여질 수 있도록 제1단말기바디(10)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 형태로 형성되고 있다.
한편, 제1단말기바디(10)가 좌우 양쪽으로 기울임이 가능함에 따라, 제1단말기바디(10)의 기울임 방향에 따라 각각 노출될 수 있도록 제2단말기바디(20)에는 두 개의 디스플레이(21,22)가 구비되어 있다. 즉 이들은, 제2단말기바디(20)의 좌측 상단의 디스플레이(21) 및 우측 상단의 디스플레이(22)로 구성된다.
도 6a 내지 도 6c는 도 5에 개시된 휴대 단말기의 작동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제1단말기바디(10)가 닫힌 상태(도 6a)에서 제1단말기바디(10)를 좌측으로 기울이면 제2단말기바디(20)의 좌측 상단 전면이 노출된다(도 6b). 그에 따라, 좌측 상단의 제2디스플레이(21)가 노출되며, 제2디스플레이(21)는 그 기울임에 대응되는 시각정보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출력한다.
반대로, 제1단말기바디(10)가 닫힌 상태에서(도 6a)에서 제1단말기바디(10)를 우측으로 기울이면 제2단말기바디(20)의 우측 상단이 노출된다(도 6c). 그에 따라, 우측 상단의 제2디스플레이(22)가 노출되며, 제2디스플레이(22)는 그 기울임에 대응되는 시각정보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단말기바디(10)의 기울임을 다양화함으로써 보다 많은 사용장면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휴대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 7에서는 제1단말기바디(10)의 기울임에 따라 노출되는 제2단말기바디(20)의 영역 또는 제1단말기바디(10)의 영역에 카메라(41,42)를 설치함으로써 카메라(41,42)를 보호하면서도 사용성을 높인 것을 예시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들 제1카메라(41) 및 제2카메라(42)를 모두 갖춘 것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제1카메라(41) 또는 제2카메라(42) 중 어느 하나만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a 및 도 8b는 도 7의 휴대 단말기의 작동 상태를 보인 것으로, 휴대 단말기의 개략적인 상면도이다.
도 8a와 같이 휴대 단말기가 닫혀 있는 상태 즉, 제1단말기바디(10)가 제2단말기바디(20)에 모두 겹쳐져 있는 상태에서는 제1카메라(41)는 자동적으로 제1단말기바디(10)에 의하여 가려지고 있으며, 제2카메라(42)는 제2단말기바디(20)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가려진다.
도 8b와 같이 휴대 단말기가 닫혀 있는 상태 즉, 제1단말기바디(10)가 제2단말기바디(20)에 대하여 기울여지면, 제1카메라(41)는 제1단말기바디(10)로부터 및 제2카메라(42)는 제2단말기바디(20)로부터 열려진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의 전방의 피사체 예를 들어 사용자 등을 제1카메라(41)를 이용하여 촬영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의 후방에 있는 피사체를 제2카메라(42)를 이용하여 찰영할 수 있게 된다.
도 9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휴대 단말기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본 개시에서는 제1단말기바디(10)와 제2단말기바디(20) 사이에 가변로드부(50)가 설치된 것을 보이고 있다. 가변로드부(50)는 제1단말기바디(10)를 기울이기 위한 힘을 가변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제1단말기바디(10)를 기울였을 때 다양한 저항감을 느끼도록 한다.
일 예를 설명하면, 도 9b는 휴대 단말기가 메시지를 한 개를 수신하였을 때 사용자가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제1단말기바디(10)를 기울이는 경우를 상정하면, 가변로드부(50)는 약한 정도의 저항감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제2디스플레이(21)를 통하여 제공하는 아이콘 등의 시각정보도 직접적으로 메시지의 수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도 9c와 같이, 만약 휴대 단말기가 메시지를 세 개를 수신하였을 때 가변로드부(50)는 메지지의 수에 비례하여 보다 강한 정도의 저항감을 제공한다.
가변로드부(50)에 의하여 전달하는 촉각적인 느낌은 보다 다양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짧고 가벼운 충격을 메시지의 수에 따라 비례하여 반복적으로 줌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가변로드부의 구성도이다. 개시된 가변로드부(50)는 제1단말기바디(10) 또는 제2단말기바디(20) 중 어느 하나에 지지되는 지지부재(54)를 구비하고 있으며, 지지부재(54)에는 영구자석(51)이 고정된다.
영구자석(51)은 지지부재(54)와 함께 직선적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되어 있으 며, 영구자석(51)의 주위에는 코일(52)이 감겨져 있다. 코일(52)에 전류를 가하면 코일(52)에 형성되는 자기장에 의하여 영구자석(51)이 힘을 받게 된다. 코일(52)에 공급하는 전류는 제어부에 의하여 제어되어 제1단말기바디(10)를 기울이는 사용자의 힘에 대한 저항을 제공한다. 코일에 흘리는 전류(52)에 의하여 발생되는 자기력이 영구자석(51)에 대해 척력으로 작용하면, 전류(51)를 세게 할수록 제1단말기바디(10)를 기울이는 저항력도 증가하게 된다. 전류(51)를 단속(斷續)적으로 제공하면 제1단말기바디(10)를 기울이는 저항력은 물리적으로 충격을 받은 것과 같은 감촉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통하여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보인 정면도이다. 휴대 단말기는 도 1과 같이 세워져 있을 뿐만 아니라 도 12와 같이 가로로 회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디스플레이(11) 및 제2디스플레이(21)를 통하여 출력되는 정보도 지면에 대하여 세워져 있도록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제2디스플레이(21)를 통하여 출력되는 시각정보는 제1디스플레이(11)에서 보여주고 있는 항목의 서브항목일 수 있다.
나아가, 제2디스플레이(21)는 사용자가 선택하는 빠른 메뉴만을 액세스하도록 선택된 메뉴만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1과 같이, 각 시각정보는 해당 기능을 직접 수행시킬 수 있도록 아이콘화될 수 있다. 제2디스플레이(21)는 터치 입력이 가능하도록 터치감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휴대 단말기가 열린 상태의 정면도이 다. 도 12에서는 휴대 단말기를 통하여 화상통신을 하는 예를 보이고 있다. 제1단말기바디(10)의 기울임에 의하여 노출되는 제2단말기바디(20)의 전면 영역에 거울()이 구비된다. 거울()은 인쇄, 증착 등의 방법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제2디스플레이(21)가 켜지면 사용자의 모습 대신 제2디스플레이(21)의 출력정보가 보이게 된다.
나아가, 제1단말기바디(10)의 기울임에 의하여 노출되는 제2단말기바디(20)의 면적이 상대적으로 크지 않으므로, 거울()은 사용자만이 볼 수 있는 편의수단으로 기능할 수 있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휴대 단말기의 정면도이다. 개시된 휴대 단말기는 제1단말기바디(10)가 제2단말기바디(20)에 대해 일정 각도로 기울여지는 것과 함께 일정 스트로크로 직선적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한 것을 예시하고 있다.
즉, 도 13a와 같이, 제1단말기바디(10)가 닫힌 상태에서 제1단말기바디(10)는 제2단말기바디에 대하여 어느 방향으로도 기울여지거나 슬라이드 이동되지 않고 있다. 제1단말기바디(10)에는 리시버 또는 스피커(11), 제1디스플레이(12), 제1조작부(13)가 구비된다. 닫혀 있는 상태에서 제1조작부(13)는 특정 메뉴를 바로 실행하도록 하거나, 대기상태를 해제하는 등의 기능을 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14B와 같이 제1단말기바디(10)를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제1단말기바디(10)는 직선적으로 슬라이드 업 또는 슬라이드 다운된다. 제1단말기바디(10)가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열려 있는 도 13b와 같은 상태를 제1열 림상태라 할 수 있다.
제1단말기바디(10)가 슬라이드 업이 됨에 따라 노출되는 제2단말기바디(20)에는 제2조작부(26)가 구비될 수 있다. 제2조작부(26)는 문자 또는 숫자의 용이한 입력을 위하여 키패드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푸시방식 또는 터치방식으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3c와 같이, 닫혀 있는 상태에서 제1단말기바디(10)를 제2단말기바디(20)에 대해 일정 각도로 기울이면 제2단말기바디(20)의 상단 코너 영역 및 제2디스플레이(21)가 노출된다. 이러한 제1단말기바디(10)의 기울임에 의하여 열려지는 도 13c와 같은 상태를 제2열림상태라 할 수 있다. 제2열림상태는 닫혀 있는 상태 또는 제1열림상태에서도 구현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휴대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개시에서는 도 13a 내지 도 13c와 같은 사용상태를 제공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를 보이고 있다. 즉, 제1단말기바디(10)와 제2단말기바디(20) 사이에는 제1단말기바디(10)를 직선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하는 슬라이드 모듈(70)이 구비되어 있다.
슬라이드 모듈(70)은 제1단말기바디(10)에 고정되는 제1슬라이드부재(71)와 제2단말기바디(20)에 고정되는 제2슬라이드부재(72) 및 제1슬라이드부재(71)와 제2슬라이드부재(72)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73)를 포함하고 있다. 제1슬라이드부재(71)는 패널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1슬라이드부재(71)의 양변을 제2슬라이드부재(72)가 둘러싸며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탄성부재(73)는 제1슬라이드부재(71)가 일정거리만큼 이동되는 동안 탄성에너지를 저장하였다가 사점을 지나면서 그 탄성에너지에 의하여 제1슬라이드부재(71)를 남은거리만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단말기바디(20)에는 제1단말기바디(10)가 제2단말기바디(20)에 대해 일정각도로 기울여지도록 가이드레일(75)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레일(75)에 대응하여 제2슬라이드부재(72)에는 가이드레일(75)에 구속되어 일정 길이 만큼 슬라이드 이동되는 슬라이드 돌기(74)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레일(75) 및 슬라이드 돌기(74)는 구조적 안정성을 위하여 복수 개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가이드레일(75) 및 슬라이드 돌기(74)는 충분한 강성과 내마모성을 구비할 수 있도록 강화 플라스틱 및 금속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제1단말기바디(10)는 제2단말기바디(20)에 대하여 일정 스트로크 만큼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면서도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기울임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기울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는 도 14에서 개시하고 있는 슬라이드 타입 외에도 폴더 타입 또는 스위블 타입이나 스윙 타입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도 15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예는 무선통신 모듈(81), 조작부(13,26), 영상 입력부(41,42), 음향입력부(84), 디스플레이(12,21,22), 음향 출력부(11), 외부 인터페이스(88), 방송 수신모듈(87), 메모리(85), 센싱유닛(86), 전원공급부(89), 및 제 어부(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어부(80)는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무선통신 모듈(81)은 안테나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80)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며 이를 위해 송신할 신호를 변조하여 송신하는 송신부(82)와,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는 수신부(83)를 포함한다.
조작부(13,26)는 도 1 또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데이터를 제어부(80)에 제공한다.
영상 입력부(41,42)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12,21,22)에 표시 가능한 영상 데이터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12,21,22)로 출력된다.
영상 입력부(41,42)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제어부(8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85)에 저장되거나 무선통신 모듈(81)을 통하여 외부로 전송된다.
음향 입력부(84)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무선통신 모듈(81)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무선 통신 모듈로 출력된다. 녹음 모드인 경우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메모리(85)에 저장되도록 출력된다.
음향 입력부(84)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21,22)는 휴대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제어부(80)의 제어에 의해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 출력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제어부(80)의 제어에 의해 촬영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12,21,22)은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된다.
음향 출력부(11)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제어부(80)의 제어에 의해 무선통신 모듈(81)로부터 수신된 음향 데이터 또는 메모리(85)에 저장된 음향 데이터를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부(11)는 휴대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1)는 스피커(speaker), 리시버(Receiver), 버저(Buzzer) 등으로 포함한다.
외부 인터페이스(88)는 휴대 단말기 이외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카드 소켓(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등을 휴대 단말기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외부 인터페이스(88)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 단말기 내부의 데이터 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메모리(85)는 제어부(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85)에는 제어부(80)의 제어에 의해 각종 멀티미디어 컨텐츠, 시스템 정보 또는 프로그램이 저장이 저장된다. 이러한 메모리(85)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하드 디스크,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플래시 메모리, 램, 롬 등의 개념을 포함한다.
방송 수신모듈(87)은 위성 또는 지상파 등을 통하여 전송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음향 출력부(11), 디스플레이(12,21,22)에 출력 가능한 방송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제어부(80)에 출력한다. 또한 방송 수신모듈(87)은 방송과 관련된 부가 데이터(예를 들면, EPG(Electric Program Guide), 채널 리스트 등)를 수신한다. 방송 수신모듈(87)에서 변환된 방송 데이터 및 부가 데이터는 메모리(85)에 저장될 수도 있다.
센싱 유닛(86)은 휴대 단말기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제1단말기바디(10)의 개폐 여부를 센싱하여 제어부(80)로 센싱 결과를 출력하여 단말기의 동작이 제어되도록 한다. 또한 전원 공급부(89)의 전원 공급 여부, 외부 인터 페이스(88)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전원 공급부(89)는 제어부(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휴대 단말기는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작동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예로서, 휴대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예로서, 휴대 단말기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6a 내지 도 6c는 도 5에 개시된 휴대 단말기의 작동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휴대 단말기의 사시도
도 8a 및 도 8b는 도 7의 휴대 단말기의 작동 상태를 보인 것으로, 휴대 단말기의 개략적인 상면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휴대 단말기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9b 및 도 9c는 도 9a의 휴대 단말기의 작동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가변로드부의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통하여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보인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휴대 단말기가 열린 상태의 정면도
도 13a 내지 도 13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휴대 단말기의 정면도
도 1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휴대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

Claims (16)

  1. 전면에 제1디스플레이가 구비된 제1단말기바디;
    상기 제1단말기바디에 후면에 배치되는 제2단말기바디;
    상기 제1단말기바디가 상기 제1단말기바디의 전면에 수직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로 기울여짐으로써 상기 제2단말기바디의 코너 부분을 노출시킬 수 있게 상기 제1단말기바디와 제2단말기바디 사이를 연결하는 힌지부; 및
    상기 제1단말기바디의 기울임에 의하여 노출되는 상기 제2단말기바디의 코너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1단말기바디의 기울임에 의하여 연동되어 정보를 표시하는 제2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제1단말기바디의 중심으로부터 하단의 코너들 중 어느 한 코너 쪽으로 편심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제1단말기바디가 포개어진 상태에서 양 방향으로 기울여질 수 있게 상기 제1단말기바디의 중심으로부터 하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말기바디가 기울여지면 상기 제2디스플레이에 적어도 하나의 시각정보를 출력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정보는 해당 기능을 직접 수행시킬 수 있도록 아이콘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정보는 상기 제1디스플레이에서 보여주고 있는 항목의 서브항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말기바디의 기울임에 의하여 노출되는 상기 제2단말기바디의 전면 영역에 제1카메라가 더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말기바디의 기울임에 의하여 상기 제2단말기바디로부터 노출되는 상기 제1단말기바디의 후면 영역에 제2카메라가 더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 대 단말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말기바디의 기울임에 의하여 노출되는 상기 제2단말기바디의 전면 영역에 거울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말기바디와 제2단말기바디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1단말기바디를 기울였던 힘이 제거될 때 상기 제1단말기바디를 복귀시키는 스프링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말기바디와 제2단말기바디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1단말기바디를 기울이기 위한 힘을 가변시키는 가변로드(load)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로드부는 적어도 하나의 영구자석과 상기 영구자석에 자기력을 작용시키는 코일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제1단말기바디에 고정되는 샤프트;
    상기 제2단말기바디에 고정되며 상기 샤프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보스(boss)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말기바디와 제2단말기바디 중 어느 하나에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단말기바디와 제2단말기바디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를 안내하며 상기 가이드 돌기의 이동폭을 제한하는 가이드 레일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말기바디와 제2단말기바디 사이에는 상기 제1단말기바디를 직선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하는 슬라이드 모듈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디스플레이는 터치 입력이 가능하도록 터치감지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20080068333A 2008-07-14 2008-07-14 휴대 단말기 KR1014951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68333A KR101495169B1 (ko) 2008-07-14 2008-07-14 휴대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68333A KR101495169B1 (ko) 2008-07-14 2008-07-14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624A true KR20100007624A (ko) 2010-01-22
KR101495169B1 KR101495169B1 (ko) 2015-02-24

Family

ID=41816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68333A KR101495169B1 (ko) 2008-07-14 2008-07-14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516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29227A1 (en) * 2013-07-29 2015-01-29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Hanyang University Wrist-wearabl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489620B1 (ko) * 2013-07-29 2015-02-06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손목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WO2016036117A1 (ko) * 2014-09-01 2016-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755B1 (ko) * 2004-11-05 2007-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디스플레이장치
KR20060119589A (ko) * 2005-05-20 2006-11-2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엠비 시청이 편리한 휴대 장치
KR101275173B1 (ko) * 2006-05-08 2013-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JP2008153901A (ja) * 2006-12-15 2008-07-03 Fujitsu Ltd 電子機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29227A1 (en) * 2013-07-29 2015-01-29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Hanyang University Wrist-wearabl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489620B1 (ko) * 2013-07-29 2015-02-06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손목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US9971381B2 (en) 2013-07-29 2018-05-15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Hanyang University Wrist-wearabl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6036117A1 (ko) * 2014-09-01 2016-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5169B1 (ko) 2015-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67833B2 (en) Mobile terminal
US8046033B2 (en) Mobile terminal
KR101641229B1 (ko) 확장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전자기기
US8046037B2 (en) Slide modul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483029B1 (ko) 프로젝터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US8306585B2 (en) Slide type mobile terminal with tiltable slide module
KR101474447B1 (ko) 휴대 단말기
US7202906B2 (en) Key and button arrangement for a portable, foldable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t least two use positions
EP2120425A1 (en) Portable terminal
KR101728387B1 (ko) 휴대 단말기
EP2106101A2 (en) Slide modul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JP2004297417A (ja) 携帯型無線端末機
KR101495169B1 (ko) 휴대 단말기
KR101454238B1 (ko) 확장 모듈 및 그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JP2010124253A (ja) 携帯端末装置
KR101404739B1 (ko) 폴더타입 휴대 단말기
KR20100088983A (ko) 휴대 단말기
JP4389114B2 (ja) 折畳式携帯用電子機器
JP2003169120A (ja) 携帯端末装置
KR20100025413A (ko) 휴대 단말기
KR101474435B1 (ko) 휴대 단말기
KR101413472B1 (ko) 신호발생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101545572B1 (ko)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101415767B1 (ko) 신호발생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20080109286A (ko) 휴대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