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9962A -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9962A
KR20090129962A KR1020090052338A KR20090052338A KR20090129962A KR 20090129962 A KR20090129962 A KR 20090129962A KR 1020090052338 A KR1020090052338 A KR 1020090052338A KR 20090052338 A KR20090052338 A KR 20090052338A KR 20090129962 A KR20090129962 A KR 200901299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accessory
information
accessor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2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게이따 다까하시
미쯔히꼬 사또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129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99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04Power supply control, e.g. power-saving mode, automatic power turn-of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0Means for acting in the event of power-supply failure or interruption, e.g. power-supply fluctu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84Power saving in print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016Special arrangement of entire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부속 장치가 접속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는 화상 형성 유닛이 전력 공급에 응답하여 화상을 형성할 수 있는 준비 동작을 개시하도록 화상 형성 장치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과, 화상 형성 장치와 부속 장치 사이의 접속 상태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저장 유닛을 포함한다. 제어 유닛은 전력 공급의 개시에 응답하여, 저장 유닛에 저장된 정보를 참조하여, 전력 공급이 중지되기 전에 부속 장치가 화상 형성 장치에 접속되어 있었는지를 판정한다. 이어서, 제어 유닛은, 부속 장치가 화상 형성 장치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부속 장치로부터의 부속 장치에 관한 정보의 수신을 기다리지 않고 준비 동작을 개시하도록 화상 형성 장치를 제어한다.
Figure P1020090052338
화상 형성 장치, 부속 장치, 전력 공급 개시, 전력 공급 중지, 접속 상태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다양한 부속 장치가 부착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가 전력 공급의 개시에 응답하여 화상을 형성할 수 있는 준비 동작을 개시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일부 화상 형성 장치들, 예를 들어 복사기 및 프린터는 절전을 위해 소정의 기능들 이외의 기능들을 중지하기 위한 절전 모드(슬립 모드) 기능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들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절전 모드에서 정상 동작 모드로 복귀할 때 화상 형성 장치를 시동시키기 위한 기간을 줄이는 것이, 즉 사용자의 대기 시간을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본 특허 공개 번호 평11-007343에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절전 모드에 들어갈 때 작업 RAM에 유지되어 있는 데이터를 비휘발성 RAM으로 이동시킨 후, 화상 형성 장치가 절전 모드로부터 복귀할 때 비휘발성 RAM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작업 RAM으로 복귀시키는 방법이 설명되어 있다. 따라서, 절전 모드로부터의 화상 형성 장치의 복귀 시간이 감소할 수 있다.
일본 특허 공개 번호 2002-354165에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절전 모드에 들어 갈 때, 절전 모드에 들어가는 화상 형성 장치의 상태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고, 화상 형성 장치에 전력이 공급될 때 비휘발성 메모리를 검사하는 방법이 설명되어 있다. 이어서, 화상 형성 장치가 절전 모드로부터 복귀되는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에 초기화 시퀀스가 생략된다.
전술한 상황들에서, 피니셔(finisher)와 같은 다양한 부속 장치가 옵션 장치로서 화상 형성 장치에 접속된다.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전력이 공급될 때 화상 형성 장치에 접속된 부속 장치들의 타입들 또는 상태들을 검사한다. 화상 형성 장치는 접속된 부속 장치들의 타입들 또는 상태들에 관한 정보가 부속 장치들 각각으로부터 수신되는지를 판정하기 위해 소정 기간 동안 대기한다. 화상 형성 장치가 부속 장치들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 화상 형성 장치는 부속 장치가 그에 접속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한다. 부속 장치들의 타입들 또는 상태들의 검사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절전 모드로부터 복귀할 때에도 수행되는데, 이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절전 모드로부터 복귀하는 데 필요한 복귀 시간의 감소를 최소화하거나 방해할 수 있다.
일본 특허 공개 번호 2006-326861에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절전 모드로부터 복귀할 때 부속 장치들의 타입들의 검사를 생략함으로써, 화상 형성 장치가 절전 모드로부터 복귀하는 데 필요한 복귀 시간이 감소하는 방법이 설명되어 있다. 이 방법에서, 화상 형성 장치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절전 모드에 있는 동안 부속 장치들의 부착 또는 분리를 검출하기 위해 신호 라인을 구비하며, 화상 형성 장치가 절전 모드에 들어가기 전에 부속 장치들의 정보를 저장한다. 화상 형성 장치가 절전 모 드에 있는 동안 부속 장치들의 부착 또는 분리가 검출될 때, 부착 또는 분리 이력이 저장된다. 화상 형성 장치가 절전 모드로부터 복귀할 때, 화상 형성 장치가 절전 모드에 있는 동안의 부착 또는 분리 이력이 발견되지 않는 경우, 화상 형성 장치는 절전 모드에 들어가기 전에 저장된 부속 장치들의 정보를 이용하여 절전 모드로부터 복귀한다. 일본 특허 공개 번호 평11-005349에는, 화상 형성 장치가 슬립 상태에 들어가고, 화상 형성 장치가 쉬운 시동 처리에 따라 슬립 상태로부터 복귀하기 전에, 각각의 옵션 유닛의 상태 정보가 전기적으로 소거 가능한 프로그램 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EEPROM)에 저장되는 경우에, 화상 형성 장치가 각각의 옵션 유닛을 EEPROM에 저장된 정보의 상태에 있는 것으로 간주하여 인쇄 처리를 개시하는 방법이 설명되어 있다.
그러나, 일본 특허 공개 번호 2006-326861에 설명되어 있는 방법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절전 모드에 있는 동안 부착 또는 분리되는 부속 장치들을 검출하기 위해 추가적인 신호 라인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는 비용을 증가시킨다. 또한, 상기 방법은 화상 형성 장치가 절전 모드에 있는 동안에 부속 장치들의 부착 또는 분리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전력을 필요로 하므로, 절전이 방해된다. 더욱이, 일본 특허 공개 번호 2006-326861 및 평11-005349에 설명되어 있는 바와 같은 방법들에서는, 부속 장치들 또는 옵션 유닛들의 상태들이 화상 형성 장치가 절전 모드에 또는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에 변경될 수 있다. 부속 장치들의 상태들은 예를 들어 피니셔의 배지 트레이 상의 시트가 사용자에 의해 수집되거나, 스테이플러의 스테이플들이 화상 형성 장치가 절전 모드에 있는 동안에 공급되는 경우에 절전 모 드 동안 변경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화상 형성 장치가 절전 모드로부터 복귀할 때 부속 장치들의 타입들 또는 상태들을 검사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절전 모드 동안 추가적인 신호 라인을 필요로 하지 않고, 절전 모드 동안 부속 장치들의 상태 변화들을 처리할 수 있으며, 화상 형성 장치가 절전 모드로부터 복귀하는 데 필요한 복귀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부속 장치가 접속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는 시트에 화상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화상 형성 유닛과, 전력 공급의 개시에 따라서 상기 화상 형성 유닛이 화상을 형성할 수 있는 상태로 되도록 하는 준비 동작을 개시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과, 상기 부속 장치로부터 상기 부속 장치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과, 상기 화상 형성 장치와 상기 부속 장치 간의 접속 상태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저장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전력 공급의 개시에 따라서, 상기 저장 유닛에 저장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전력 공급이 정지되기 전에 상기 부속 장치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접속되어 있었는지를 판별하고, 상기 부속 장치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접속되지 않고 있었을 경우, 상기 수신 유닛에 의한 상기 부속 장치로부터의 정보의 수신을 대기하지 않고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상기 준비 동작을 개시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 및 양태들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는 아래의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명세서에 포함되어 그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 도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 특징들 및 양태들을 도시하며, 그에 대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들의 설명을 돕는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특징 및 양태가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900) 및 부속 장치들의 단면도이다. 부속 장치들, 예를 들어 원고 공급 장치(1000), 원고 판독 장치(950) 및 피니셔(980)는 화상 형성 장치(900)에 부착될 수 있다. 원고 공급 장치(1000)는 원고 트레이(1001) 상에 위치하는 원고들을 그의 선두 페이지로부터 하나씩 좌측에서 우측으로 곡선 경로를 통해 플래튼 글래스(902) 위에 반송하여 원고들을 배지 트레이(912)로 배출한다. 플래튼 글래스(902) 위에 반송되는 원고들과 관련하여, 플래튼 글래스(902) 위의 원고들 각각에는 소정의 위치에 정지한 원고 판독 유닛(904)의 램프(903)의 광이 조사된다. 원고로부터 반사된 광은 미러들(905, 906, 907) 및 렌즈(908)를 통해 판독 센서(909)로 인도되어, 판독 센서(909)에 의해 원고 화상이 판독된다. 원고 공급 장치(1000)에 의해 원고가 플래튼 글래스(902) 위로 반송된 후에 원고를 정지시키고, 이어서 좌측에서 우측으로 원고 판독 유닛(904)을 이동시킴으로써 원고가 판독될 수 있다.
판독 센서(909)에 의해 판독된 원고 화상은 화상 처리가 행해지고, 노광 제어 유닛(910)으로 보내진다. 노광 제어 유닛(910)으로부터 방출된 레이저 광은 감 광 드럼(911) 상에 조사되어 감광 드럼(911) 상에 정전 잠상을 형성한다. 감광 드럼(911)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은 현상 장치(913)를 통해 토너로 현상된다. 감광 드럼(911) 상의 토너는 카세트들(914, 915), 수동 급지 유닛(925) 또는 양면 반송 경로(924)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제공된 시트에 전사 대전 장치(916)에 의해 전사된다. 토너가 전사된 시트에는 정착 유닛(917)에 의해 토너 정착 처리가 행해진다. 정착 유닛(917)을 통과한 시트는 일단 플래퍼(flapper; 921)에 의해 경로(922)로 인도되고, 시트의 후단이 플래퍼(921)를 통과한 후에 스위치 백(switch back)되어, 플래퍼(921)에 의해 배지 롤러들(918)로 더 인도된다. 따라서, 시트는 토너가 전사된 시트 표면이 아래를 향하는 상태로 배지 롤러들(918)을 통과해 화상 형성 장치(900)로부터 배출된다.
또한, 화상이 수동 급지 유닛(925)을 통해 제공되는 OHP 시트와 같은 딱딱한 시트 상에 형성될 때, 시트는 경로(922)로 인도되는 것이 아니라, 토너가 전사된 시트 표면이 위를 향하는 상태로 배지 롤러들(918)을 통해 배출된다. 또한, 화상이 시트의 양면에 형성될 때, 시트는 정착 유닛(917)으로부터 배지 롤러들(918)로 똑바로 인도되고, 시트의 후단이 플래퍼(921)를 통과한 직후에 스위치 백되어, 플래퍼(921)에 의해 양면 반송 경로(924)로 더 인도된다. 배지 롤러들(918)을 통해 배출된 시트는 피니셔(980)로 반송된다. 피니셔(980)는 시트들에 대한 시프팅 처리, 바인딩 처리 및 펀칭 처리와 같은 마무리 처리를 수행한다. 피니셔(980) 상에 설치된 인서터(990)가 피니셔(980)에 커버, 슬립 시트 등을 공급한다. 또한, 시트들이 서로 어긋나게 배출되는 시프트-소팅 처리가 행해질 때, 정합판(982)은 시트 들을 시트 반송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트레이(981)의 뒤 또는 앞에 시트들을 배출한다. 또한, 하드 스위치(930)는 화상 형성 장치 전체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도 2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제어기 유닛(100)은 화상 형성 장치(900)의 시트 반송과, 고전압 유닛, 레이저 유닛, 정착 장치 등의 화상 형성 제어를 담당한다. 중앙 처리 유닛(CPU; 101)은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프로그램들이 저장된 판독 전용 메모리(ROM; 103)로부터 제어 프로그램들을 순차적으로 판독하고, 판독된 제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한다. CPU(101) 및 각각의 유닛들은 어드레스 버스 및 데이터 버스를 통해 서로 접속된다. 또한,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104)가 입력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되거나, 작업 공간 등으로 사용된다. 비휘발성 RAM(120)이 화상 형성 동작에 대한 파라미터들의 저장 영역으로서 사용된다.
I/O 인터페이스(106)를 통해, 급지계, 용지 반송계 및 광학계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107), 클러치(108), 솔레노이드(109), 반송될 시트들을 검출하기 위한 시트 검출 센서(110) 등이 유닛들 각각에 접속된다. 현상 장치(913)는 현상 장치 내에 남아 있는 토너의 양을 검출하기 위하여 잔여 토너 검출 센서(111)를 그 안에 포함한다. 현상 장치(913)의 출력 신호가 I/O 인터페이스(106)로 입력된다. 유닛들 각각의 홈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 스위치(112)의 신호도 I/O 인터페이스(106)로 입력된다. CPU(101)의 지시에 응답하여, 고전압 조절 유닛(113)은 고전압을 일차 대전 장치, 현상 장치(913), 전사전(pre-transfer) 대전 장치, 전사 대전 장 치(916) 및 분리 대전기로 출력한다. 교류(AC) 전압이 온/오프 신호에 따라 세라믹 보드 등으로 제조된 히터(116)에 공급된다.
화상 처리 제어기 유닛(150)은 판독 처리 유닛(170) 또는 개인용 컴퓨터(PC)와 같은 접속된 외부 장치들로부터 수신된 화상 신호에 대한 화상 처리를 수행하고, 레이저 유닛(117)에서 기입될 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화상 처리 제어기 유닛(150)은 판독 처리 유닛(170)으로부터 수신된 화상 신호에 대한 화상 처리를 수행하고, PC 또는 조작 유닛(200)에 접속된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USB) 메모리와 같은 저장 매체에 화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판독 처리 유닛(170)은 원고 급지 장치(1000) 및 원고 판독 장치(950)를 제어한다.
화상 처리 제어기 유닛(150)의 CPU(151)는 화상 처리 제어 프로그램들이 저장된 ROM(153)으로부터 프로그램들을 순차적으로 판독하고, 판독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한다. 또한, RAM(154)은 입력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사용되거나, 작업 공간 등으로 사용된다.
기록 처리 IC(157)는 판독 처리 유닛(170), 및 PC 등의 접속된 외부 장치들로부터 수신된 화상 신호에 대한 화상 처리를 수행하여, 노광 제어 유닛(910) 내에 설치된 레이저 유닛(117)에 출력될 펄스폭 변조(PWM) 데이터를 생성한다. 레이저 유닛(117)은 PWM 데이터에 따라 레이저를 턴온한다. 레이저 유닛(117)으로부터의 레이저 빔은 감광 드럼(911) 상에 조사되고, 이 레이저 빔이 감광 드럼(911)을 노광한다. 또한, 레이저 유닛(117)으로부터 조사된 레이저 빔은 노광 제어 유닛(910) 내에 설치된 빔 검출(BD) 센서(114)에 의해 비 화상 영역에서 검출되며, BD 센서(114)의 출력 신호(BD 신호)는 스캐너 제어 IC(121)로 입력된다. 스캐너 제어 IC(121)는 레이저 빔을 스캐닝하기 위한 노광 제어 유닛(910) 내의 폴리곤 미러를 구동하는 폴리곤 모터의 회전 제어를 수행하고, BD 신호에 기초하여 화상 동기화 신호를 화상 처리 제어기 유닛(150)으로 출력한다.
비휘발성 RAM(161)은 화상 처리에 대한 파라미터들의 메모리 영역으로 사용된다. 판독 처리 유닛(170)의 모터(173), 솔레노이드(174), 센서(175) 등은 입출력(I/O) 인터페이스(156)에 접속된다. 판독 처리 IC(160)는 판독 처리 유닛(170) 내에 설치된 판독 센서(909)로부터 수신된 화상 데이터를 처리하고, 판독 제어 유닛(171)을 통해 판독 센서(909)를 구동한다. 화상 처리 RAM(159)은 판독 처리 IC(160)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 및 PC 등의 접속된 외부 장치들로부터의 데이터를, 이러한 데이터들에 대해 화상 처리를 행할 때 임시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영역으로 사용된다. 근거리 네트워크(LAN) 제어기(158)는 화상 형성 장치와, LAN 케이블을 통해 화상 형성 장치에 접속된 PC 등의 외부 장치들 사이의 통신을 제어한다.
CPU(151)는 또한, 사용자가 화상 형성 장치, 및 팩시밀리 통신을 제어하기 위한 네트워크 제어 유닛(NCU; 185)을 조작하게 하는 조작 유닛(200)(사용자 인터페이스)을 제어한다. 또한, 도어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는 도어 센서(191)의 검출 결과가 CPU(151)로 입력된다.
제어기 유닛(100)의 CPU(101) 및 화상 처리 제어기 유닛(150)의 CPU(151)는 비동기 직렬 통신(송신 개시-중지) 또는 클럭 동기 직렬 통신을 통해 서로 접속된다. CPU(101)와 CPU(151) 사이의 통신에 따라, 화상 데이터가 화상 형성 장치의 엔진 유닛으로 출력되는 타이밍, 화상 형성 장치의 시동, 셧다운 및 절전 모드로의 시프팅이 제어된다.
배지 부속 장치 제어기 유닛(130)은 피니셔(980)를 배지 부속 장치(옵션 유닛)로서 제어한다. CPU(131)는 피니셔(980)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이 저장되어 있는 ROM(133)으로부터 프로그램들을 순차적으로 판독하고, 판독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한다. CPU(131) 및 각각의 유닛은 어드레스 버스 및 데이터 버스를 통해 서로 접속된다. 또한, RAM(134)은 입력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사용되거나, 작업 공간 등으로 사용된다. 비휘발성 RAM(132)은 배지 동작에 대한 파라미터들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 영역으로서 사용된다.
I/O 인터페이스(139)는 반송계 및 광학계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135), 클러치(136), 솔레노이드(137), 반송될 시트들을 검출하기 위한 시트 검출 센서(138) 등과 같은 각각의 유닛에 접속된다.
제어기 유닛(100)의 CPU(101) 및 배지 부속 장치 제어기 유닛(130)의 CPU(131)는 비동기 직렬 통신(통신 개시-중지) 또는 클럭 동기 직렬 통신을 통해 서로 접속된다. CPU(101)와 CPU(131) 사이의 통신에 따라, 시트가 화상 형성 장치에서 피니셔(980)로 전달되는 타이밍, 배지 처리 및 화상 형성 장치의 절전 모드로의 시프팅이 제어된다. 또한, 제어기 유닛(100)은 화상 처리 제어기 유닛(150) 및 배지 부속 장치 제어기 유닛(130)과의 통신을 통해 서로 정보를 통지한다.
도 3은 화상 형성 장치의 조작 유닛(200)의 외부도이다. 터치 패널 타입의 LCD 디스플레이 유닛(201)을 통해, 화상 형성 장치의 모드 설정, 상태 표시 등이 수행될 수 있다. 텐 키(ten key)(202)는 0 내지 9의 숫자 키 및 설정된 숫자를 디폴트 값으로 재설정하는 데 사용되는 소거 키를 포함한다. 사용자 모드 키(209)는 화상 형성 장치로 하여금, 화상 형성 장치의 각각의 기능에 대한 디폴트 값이 설정될 수 있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계조 보정이 조정될 수 있는 조정 모드로 들어가게 하는 데 사용된다. 사용자 모드 키(209)를 이용하여, 인터넷 프로토콜(IP) 어드레스의 설정과 같은 다양한 네트워크 설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시작 키(203)는 복사 기능, 스캐닝 기능 등을 실행하는 데 사용된다. 중지 키(204)는 복사 기능, 인쇄 기능 및 스캐닝 기능과 같은 작업들을 종료하는 데 사용된다.
소프트 전원 키(205)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절전 모드로 시프팅하고 절전 모드로부터 복귀하는 데 사용된다. 화상 형성 장치가 절전 모드에 있는 동안에는 LAN 제어기(158)만이 턴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서, 절전 모드는 LAN 케이블을 통해 통신 명령을, 또는 조작 유닛(200)의 스위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해제되며, 그에 의해 절전 모드는 정상 동작 모드로 시프팅될 수 있다. 절전 모드 키(206)는 정착 유닛(917)의 온도를 사용자 모드에서 설정된 레벨로 조정하기 위해 사용자가 누르는 키이다. 재설정 키(207)는 LCD 디스플레이 유닛(201) 또는 텐 키(202)에 의해 설정된 기능을 디폴트 값으로 재설정하는 데 사용된다. 안내 키(208)는 LCD 디스플레이 유닛(201)을 통해 설정된 복사 기능, 인쇄 기능, 스캐닝 기능 등의 각각의 설명을 표시하는 데 사용된다.
도 4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전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하드 스위치(930)가 턴온될 때, 변압기(405) 및 정류기 유닛(406)을 통해 레귤레이터(401)로 상용 전원이 공급된다. 레귤레이터(401)는 3.3V 및 24V의 전압을 생성하여 이를 화상 처리 제어기 유닛(150), 제어기 유닛(100) 및 배지 부속 장치 제어기 유닛(130)에 공급한다.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 스위치(400)는 제어기 유닛(100) 및 배지 부속 장치 제어기 유닛(130)으로의 전력 공급을 전환할 수 있다. 원격 신호(402)는 FET 스위치(400)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하는 데 사용되며, 화상 처리 제어기 유닛(150)에 의해 제어된다.
화상 처리 제어기 유닛(150)은 절전 모드를 개시하기 위한 조작 유닛(200)으로부터의 명령에 따라 직렬 통신을 통해 절전 모드의 개시를 제어기 유닛(100)에 통지한다. 이어서, 화상 처리 제어기 유닛(150)은 원격 신호(402)를 턴오프하여, 제어기 유닛(100) 및 배지 부속 장치 제어기 유닛(130)으로의 전력 공급을 중지한다. 화상 처리 제어기 유닛(150)은 절전 모드로부터 복귀하기 위한 조작 유닛(200)으로부터의 명령에 따라 원격 신호(402)를 턴온하여, 제어기 유닛들 각각에 대한 전력 공급을 개시한다. 이어서, 화상 처리 제어기 유닛(150)은 화상 형성 장치가 절전 모드로부터 복귀되었음을 직렬 통신을 통해 제어기 유닛(100)에 통지한다. 제어기 유닛(100)에 대한 전력 공급과 동시에, 모터(107), 클러치(108), 솔레노이드(109), 고전압 조절 유닛(113), 히터(116), 레이저 유닛(117) 등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유닛에 전력이 공급된다. 또한, 배지 부속 장치 제어기 유닛(130)에 대한 전력 공급과 동시에, 모터(135), 클러치(136), 솔레노이드(137) 등을 포함하는 시트 반송 유닛에 전력이 공급된다.
도 5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절전 모드에 들어갈 때 제어기 유닛(100)이 수행하 는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단계 S500에서, 제어기 유닛(100)은 화상 처리 제어기 유닛(150)으로부터 화상 형성 장치가 절전 모드에 들어감을 통지받는다. 단계 S501에서, 제어기 유닛(100)은 비휘발성 RAM(120) 내의 배지 부속 장치의 접속 상태 정보의 백업을 수행한다. 접속 상태 정보는 화상 형성 장치에 접속되는 배지 부속 장치의 존재 여부 및 타입을 포함한다. 단계 S502에서, 제어기 유닛(100)은 절전 모드로의 시프팅의 허가를 화상 처리 제어기 유닛(150)에 통지한다. 화상 처리 제어기 유닛(150)은 절전 모드로의 시프팅의 허가의 통지를 수신한 후에 원격 신호(402)를 턴오프하고, 화상 형성 장치를 절전 모드로 시프팅한다.
도 6은 제어기 유닛(100)이 실행하는 제어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소프트 전원 키(205)가 눌러질 때, 또는 LAN 제어기(158)가 인쇄 작업을 수신할 때, 화상 처리 제어기 유닛(150)은 원격 신호(402)를 턴온한다. 단계 S600에서, 화상 처리 제어기 유닛(150)이 원격 신호(402)를 턴온할 때, 제어기 유닛(100) 및 배지 부속 장치 제어기 유닛(130)에 전력이 공급된다.
단계 S601에서, 전력의 공급이 개시될 때, 제어기 유닛(100)은 배지 부속 장치의 구성을 인식하기 시작한다. 구체적으로, 제어기 유닛(100)은 배지 부속 장치 제어기 유닛(130)으로부터의 구성 정보(스테이플러의 존재 여부, 배지 부속 장치에 의해 유지되고 있는 트레이들의 수 등) 및 제어 정보(장치들 사이에서 시트가 전달되고 있는 시트 반송 속도 등)의 수신을 기다린다. 단계 S602에서, 제어기 유닛(100)이 배지 부속 장치의 구성 정보 및 제어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배지 부속 장치의 구성을 인식하는 경우, 또는 시간 제한(TL1)이 경과한 경우(단계 S602에서 예), 처리는 단계 S607로 진행한다.
시간 제한(TL1)의 기점은 제어기 유닛(100)이 배지 부속 장치의 구성을 인식하기 시작하는 시간, 즉 제어기 유닛(100)이 배지 부속 장치의 구성 정보 등의 수신을 기다리기 위해 대기 상태를 시작하는 시간이다. 시간 제한(TL1)은 배지 부속 장치가 화상 형성 장치에 접속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기 위한 타임아웃 기간이며, 예를 들어 3초로 설정된다. 배지 부속 장치가 화상 형성 장치에 접속되지 않은 때에는, 배지 부속 장치 제어기 유닛(130)으로부터 구성 정보 등이 통지되지 않는다. 따라서, 임의의 배지 부속 장치가 화상 형성 장치에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따라서, 배지 부속 장치가 화상 형성 장치에 접속되어 있는지를 검출하기 위해 더 이상 센서를 제공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비용 절감이 달성될 수 있다.
단계 S602에서, 시간 제한(TL1)이 아직 경과되지 않았거나, 제어기 유닛(100)이 배지 부속 장치를 인식하지 못한 경우(단계 S602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 S603으로 진행한다. 단계 S603에서, 제어기 유닛(100)은 화상 형성 장치가 절전 모드로부터 복귀하는지를 판단한다. 화상 형성 장치가 절전 모드로부터 복귀하는지의 여부는 전원이 턴온될 때 화상 처리 제어기 유닛(150)으로부터 화상 형성 장치가 절전 모드로부터 복귀한다는 통지가 존재하는지의 여부에 기초하여 판단된다. 단계 S603에서, 제어기 유닛(100)이 화상 형성 장치가 절전 모드로부터 복귀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즉 하드 스위치(930)가 턴온될 때 화상 형성 장치가 정상의 전원 온 상태에 있는 경우(단계 S603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 S602 로 복귀한다. 단계 S603에서, 제어기 유닛(100)이 화상 형성 장치가 절전 모드로부터 복귀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단계 S603에서 예), 처리는 단계 S604로 진행한다. 단계 S604에서, 제어기 유닛(100)은 비휘발성 RAM(120)으로부터 배지 부속 장치의 접속 상태 정보를 판독한다. 비휘발성 RAM(120)에 저장된 접속 상태 정보는 전술한 단계 S501에서 기입되었다. 단계 S605에서, 제어기 유닛(100)은 비휘발성 RAM(120)으로부터 판독된 접속 상태 정보를 참조하여, 화상 형성 장치가 절전 모드로 시프트되기 전에 배지 부속 장치가 화상 형성 장치에 접속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단계 S605에서, 제어기 유닛(100)이 화상 형성 장치가 절전 모드로 시프트되기 전에 배지 부속 장치가 화상 형성 장치에 접속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단계 S605에서 예), 처리는 단계 S606으로 진행한다. 이어서, 단계 S606에서, 제어기 유닛(100)은 시간 제한(TL1)이 경과하였는지, 또는 배지 부속 장치의 구성이 인식되는지를 판단한다. 단계 S605에서, 제어기 유닛(100)이 화상 형성 장치가 절전 모드로 시프트되기 전에 배지 부속 장치가 화상 형성 장치에 접속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단계 S605에서 아니오), 처리는 바로 단계 S607로 진행하는데, 즉 후술하는 다음 단계 S606은 생략된다. 이 경우, 제어기 유닛(100)은 배지 부속 장치가 화상 형성 장치에 접속되지 않은 것과 관련된 처리를 계속한다. 따라서, 배지 부속 장치가 화상 형성 장치에 접속되지 않은 경우에 화상 형성 장치가 절전 모드로부터 복귀할 때 배지 부속 장치로부터의 통지를 기다리는 불필요한 시간이 제거될 수 있다.
단계 S606에서, 제어기 유닛(100)이 배지 부속 장치의 구성을 인식할 때, 또는 시간 제한(TL1)이 경과한 때(단계 S606에서 예), 처리는 단계 S607로 진행한다. 시간 제한(TL1)이 경과하지 않았거나, 제어기 유닛(100)이 배지 부속 장치의 구성을 인식하지 못한 경우(단계 S606에서 아니오), 제어기 유닛(100)은 단계 S606에서의 처리를 계속 수행한다. 결과적으로, 단계 S606에서 대기 상태가 시작되는 시간으로부터 시간 제한이 경과한 후에도 제어기 유닛(100)이 배지 부속 장치의 구성 정보 등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 처리는 단계 S607로 진행한다. 제어기 유닛(100)은 배지 부속 장치의 상태가 절전 모드 동안 변경될 수 있다는 가정하에, 제어기 유닛(100)이 배지 부속 장치의 최종 상태를 얻게 하기 위해 배지 부속 장치의 구성의 판단을 기다린다. 절전 모드 동안의 배지 부속 장치의 가정되는 변경의 예들은 배지 부속 장치의 트레이 상의 시트가 절전 모드 동안 사용자에 의해 제거되는 경우, 및 배지 부속 장치의 도어가 절전 모드 동안 사용자에 의해 개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
단계 S607에서, 제어기 유닛(100)이 단계 S602 또는 단계 S606에서의 배지 부속 장치의 구성을 인식할 수 있는 경우, 제어기 유닛(100)은 배지 부속 장치가 전에 인식된 구성을 가진 것으로 판단하고, 따라서 이러한 정보를 화상 처리 제어기 유닛(150)에 통지한다. 단계 S608에서, 제어기 유닛(100)은 이어서 절전 모드로부터의 복귀 처리를 개시한다. 절전 모드로부터의 복귀 처리는 화상 형성 장치가 화상을 형성할 수 있는 상태에 들어가게 하기 위한, 예를 들어 정착 유닛(917)을 화상이 정착될 수 있는 온도로 가열하는 것(온도 조정) 등을 위한 준비 동작을 지칭한다. 절전 모드로부터의 복귀 처리는 노광 제어 유닛(910)의 폴리곤 모터를 소정 속도록 가속화하는 처리, 및 감광 드럼(911)의 표면 전위를 고정시키기 위해 고전압을 인가하면서 감광 드럼(911)을 회전시키는 처리를 포함한다. 화상 처리 제어기 유닛(150)은 배지 부속 장치의 구성 정보를 통지받은 후에 조작 유닛(200) 상의 LCD 디스플레이 유닛(201) 상에 배지 부속 장치에 관한 스크린을 표시한다. 이어서, 제어기 유닛(100)은 절전 모드로부터의 복귀 처리의 종료를 기다리며, 복귀 처리의 종료 후에 시작 키(203)의 조작의 접수를 허가하는데, 즉 화상 형성 처리의 개시를 위한 명령의 접수를 허가한다(대기 상태).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기 유닛(100)은 절전 모드의 해제에 따라 비휘발성 RAM(120)을 참조한다. 이어서, 제어기 유닛(100)은 비휘발성 RAM(120)이 배지 부속 장치가 접속되어 있다는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때 배지 부속 장치로부터 구성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기 유닛(100)은 비휘발성 RAM(120)이 배지 부속 장치가 접속되어 있지 않다는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때에는 수신 처리를 수행하지 않는다. 즉, 제어기 유닛(100)은 비휘발성 RAM(120)이 배지 부속 장치가 접속되어 있다는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때 화상 형성 장치가 배지 부속 장치로부터 구성 정보의 수신을 기다린 후에 화상 형성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제어기 유닛(100)은 비휘발성 RAM(120)이 배지 부속 장치가 접속되어 있지 않다는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때 화상 형성 장치가 배지 부속 장치로부터 구성 정보의 수신을 기다리지 않고 화상 형성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7은 본 실시예와 종래의 예 사이의 절전 모드로부터의 복귀에 필요한 시 간의 비교를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T1은 절전 모드로부터의 복귀 트리거가 생성되는 타이밍, 즉 절전 모드 상태에서 소프트 전원 키(205)가 눌러지는 타이밍을 나타낸다. 타이밍 T1에서, 화상 처리 제어기 유닛(150)의 초기화 처리(P1)가 개시된다. 타이밍 T2에서, 원격 신호(402)가 턴온되며, 따라서 제어기 유닛(100)에서의 처리 및 배지 부속 장치 제어기 유닛(130)에서의 처리가 개시된다. 제어기 유닛(100)은 구성 판단 처리(P2)를 개시한다.
배지 부속 장치가 화상 형성 장치에 접속되지 않은 경우, 제어기 유닛(100)은 시간 제한(TL1)이 경과할 때까지 기다리므로, 종래 타입의 구성 판단 처리는 타이밍 T4까지의 시간이 걸린다. 따라서, 절전 모드로부터 복귀하기 위한 처리(P3)는 종래에 타이밍 T4에서 개시되었다. 절전 모드로부터 복귀하기 위한 처리(P3)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단계 S608에서 수행되는 처리이다. 절전 모드로부터 복귀하기 위한 처리(P3)가 타이밍 T6에서 종료할 때, 화상 처리 제어기 유닛(150)은 화상 형성을 개시하기 위한 지시의 접수를 허가한다. 화상 형성 장치가 화상 형성을 개시하기 위한 지시를 수신할 때, 화상 형성 장치는 화상 형성 처리(P4)를 수행하며, 이는 타이밍 T8에서 종료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기 유닛(100)은 타이밍 T3에서, 전술한 단계 S603에서 초기화 처리(P1)를 종료한 화상 처리 제어기 유닛(150)으로부터 화상 형성 장치가 절전 모드로부터 복귀한다는 것을 통지받는다. 이어서, 배지 부속 장치가 화상 형성 장치에 접속되지 않은 경우, 제어기 유닛(100)은 시간 제한(TL1)이 경과할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절전 모드로부터의 복귀를 위한 처리(P3)를 개시한다. 이어 서, 절전 모드로부터 복귀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처리(P3)가 타이밍 T5에서 종료될 때, 화상 처리 제어기 유닛(150)은 화상 형성의 개시를 위한 지시의 접수를 허가한다. 제어기 유닛(100)이 화상 형성의 개시를 위한 지시를 접수할 때, 제어기 유닛(100)은 화상 형성 처리(P4)를 수행하며, 이는 타이밍 T7에서 종료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화상이 형성될 수 있는 타이밍(타이밍 T5)은 종래의 예의 타이밍(타이밍 T6)보다 빠를 수 있다.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가 절전 모드로부터 복귀하기 위한 기간이 감소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대기 시간이 감소될 수 있다.
도 8은 제2 실시예에 따라 제어기 유닛(100)에 의해 실행되는 제어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단계들 S700 내지 S705 및 단계들 S708 내지 S709는 도 6의 단계들 S600 내지 S605 및 단계들 S607 내지 S608에 각각 대응하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단계 S705에서, 제어기 유닛(100)이 화상 형성 장치가 절전 모드로 시프트되기 전에 배지 부속 장치가 화상 형성 장치에 접속된 것으로 판단할 때(단계 S705에서 예), 처리는 단계 S706으로 진행한다. 단계 S706에서, 시간 제한(TL2)이 접속된 배지 부속 장치의 타입에 따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테이블에 기초하여 설정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가 절전 모드로 시프트하기 전에 화상 형성 장치에 접속된 배지 부속 장치가 스테이플러, 소터 또는 펀처인 경우, 시간 제한(TL2)은 1초로 설정된다. 화상 형성 장치가 절전 모드로 시프트하기 전에 화상 형성 장치에 접속된 배지 부속 장치가 인서터 또는 스태커인 경우, 시간 제한(TL2)은 2초로 설정된다. 설정되는 시간 제한들은 배지 부속 장치로부터의 구성 정보가 제어기 유닛(100)으로 전송되는 타이밍과 배지 부속 장치로부터의 제어 정보가 제어기 유닛(100)으로 전송되는 타이밍에서의 차이를 고려하여 달라진다. 타이밍들 간의 차이는 전원이 턴온될 때 배지 부속 장치의 시동 처리, 내부 검사 등에 필요한 기간들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발생한다. 인서터 또는 스태커는 제어될 많은 대상을 포함하므로, 이들 대상 모두를 검사하는 데에는 더 긴 시간이 필요하다.
단계 S707에서, 제어기 유닛(100)이 시간 제한(TL2)을 설정한 때, 제어기 유닛(100)은 시간 제한(TL2)이 경과하였는지, 또는 배지 부속 장치의 구성이 인식되는지를 판단한다. 단계 S707에서, 제어기 유닛(100)이 배지 부속 장치의 구성을 인식하거나, 시간 제한(TL2)이 경과한 경우(단계 S707에서 예), 처리는 단계 S708로 진행한다. 그러나, 시간 제한(TL2)이 아직 경과하지 않았거나, 배지 부속 장치의 구성이 아직 인식되지 않은 경우(단계 S707에서 아니오), 제어기 유닛(100)은 단계 S707의 처리를 계속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시간 제한(TL2)의 설정을 이용함으로써, 배지 부속 장치가 절전 모드 동안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제거된 경우, 제어기 유닛(100)은 시간 제한(TL1)(예를 들어, 3초)의 타임아웃보다 이르게 절전 모드로부터의 복귀를 위한 처리를 개시할 수 있다. 또한, 절전 모드 동안 추가적인 배지 부속 장치가 화상 형성 장치에 접속되는 경우, 그리고 단계가 절전 모드로부터 복귀하기 위한 처리로 진행한 후에 제어기 유닛(100)이 배지 부속 장치로부터 접속된 배지 부속 장치의 구성 정보 등을 수신할 때, 제어기 유닛(100)은 접속된 배지 부속 장치의 구성을 다시 판단하는 것이 필요하다. 제어기 유닛(100)이 배지 부속 장치의 구성을 다시 판단할 때, 제어기 유닛(100)은 절전 모드로부터 복귀하기 위한 처리를 처음부터 다시 수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가 절전 모드로 시프트되기 전에 배지 부속 장치의 접속 상태 정보를 저장하고, 화상 형성 장치가 절전 모드로부터 복귀할 때 접속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타임 아웃 기간을 줄임으로써 절전 모드로부터 복귀하는 데 필요한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배지 부속 장치가 일례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원고들을 원고 판독 장치에 공급하는 데 사용되는 원고 공급기 및 시트들을 화상 형성 장치에 공급하는 데 사용되는 급지기와 같은 부속 장치들에도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비휘발성 RAM(120)이 배지 부속 장치가 절전 모드로의 전환 전에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저장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비휘발성 RAM(120)이 전원이 스위치 오프되기 전에 배지 부속 장치가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저장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기 유닛(100)은 전원의 스위치 온에 따라 비휘발성 RAM(120)을 참조한다. 이어서, 제어기 유닛(100)은 비휘발성 RAM(120)이 배지 부속 장치가 접속되어 있다는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때 화상 형성 장치가 배지 부속 장치로부터 구성 정보를 수신한 후에 화상 형성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허가한다. 제어기 유닛(100)은 비휘발성 RAM(120)이 배지 부속 장치가 접속되어 있지 않다는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때 화상 형성 장치가 배지 부속 장 치로부터 구성 정보의 수신을 기다리지 않고 화상 형성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허가한다.
본 발명은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다음의 청구항들의 범위는 모든 변형, 균등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최광의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은 본 명세서에 그 전체가 참고로 반영된, 2008년 6월 13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2008-155358의 우선권을 주장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 단면도.
도 2는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조작 유닛의 외부도.
도 4는 전원 유닛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5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절전 모드로 이동할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6은 화상 형성 장치가 절전 모드로부터 복귀할 때의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7은 화상 형성 장치가 절전 모드로부터 복귀되고 있을 때의 처리를 나타내는 타이밍도.
도 8은 화상 형성 장치가 절전 모드로부터 복귀할 때의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9는 시간 제한(TL2)을 설정하기 위한 테이블.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제어기 유닛
130: 배지 부속 장치 제어기 유닛
150: 화상 처리 제어기 유닛
170: 판독 처리 유닛
200: 조작 유닛
900: 화상 형성 장치
902: 플래튼 글래스
904: 원고 판독 유닛
909: 판독센서
950: 원고 판독 장치
980: 피니셔
1000: 원고 공급 장치

Claims (10)

  1. 부속 장치(accessory device)가 접속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로서,
    시트에 화상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화상 형성 유닛;
    상기 부속 장치로부터 상기 부속 장치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
    절전 모드로 전환하기 전에 상기 부속 장치가 접속되어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저장 유닛; 및
    상기 절전 모드의 해제에 따라 상기 저장 유닛을 참조하고, 상기 저장 유닛이 상기 부속 장치가 접속되어 있다는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때에는 상기 부속 장치로부터 상기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저장 유닛이 상기 부속 장치가 접속되어 있지 않다는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때에는 상기 수신 처리를 수행하지 않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
    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에 대한 전력 공급이 개시된 후에,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절전 모드가 해제되었는지를 판별하고, 상기 절전 모드가 해제되지 않은 경우 상기 수신 처리를 수행하며, 상기 수신 유닛이 상기 부속 장치로부터 상기 정보를 수신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부속 장치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접속되어 있는지 를 판별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수신 유닛이 상기 수신 처리의 개시 후 미리 정해진 기간 내에 상기 부속 장치로부터 상기 정보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상기 부속 장치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접속되지 않은 것으로 판별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공급을 개시 또는 중지하기 위한 지시를 입력하도록 구성된 조작 유닛; 및
    상기 조작 유닛에 의해 입력된 지시에 따라 상기 제어 유닛 및 상기 화상 형성 유닛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전원 유닛
    을 더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절전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지시에 따라, 상기 부속 장치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접속되어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저장 유닛에 저장한 후에 상기 절전 모드로의 전환을 허가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절전 모드의 해제에 따라, 상기 저장 유닛이 상기 부속 장치가 접속되어 있다는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때에는 상기 수신 처리를 수행한 후에 상기 절전 모드로부터의 복귀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저장 유닛이 상기 부속 장치가 접속되어 있지 않다는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때에는 상기 수신 처리의 수행 없이 상기 복귀 처리를 수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속 장치는 배지 부속 장치, 급지 부속 장치 및 원고 공급 부속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속 장치는 스테이플러(stapler), 소터(sorter), 펀처(puncher), 인서터(inserter) 및 스태커(stack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9. 부속 장치가 접속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로서,
    시트에 화상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화상 형성 유닛;
    상기 부속 장치로부터 상기 부속 장치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
    절전 모드로 전환하기 전에 상기 부속 장치가 접속되어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저장 유닛; 및
    상기 절전 모드의 해제에 따라 상기 저장 유닛을 참조하고, 상기 저장 유닛이 상기 부속 장치가 접속되어 있다는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때에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상기 부속 장치로부터의 상기 정보의 수신을 기다린 후에 화상 형성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허가하고, 상기 저장 유닛이 상기 부속 장치가 접속되어 있지 않다는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때에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상기 부속 장치로부터의 상기 정보의 수신을 기다리지 않고 상기 화상 형성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허가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
    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10. 부속 장치가 접속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로서,
    시트에 화상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화상 형성 유닛;
    상기 부속 장치로부터 상기 부속 장치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
    전력 공급이 정지되기 전에 상기 부속 장치가 접속되어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저장 유닛; 및
    상기 전력 공급의 개시에 따라 상기 저장 유닛을 참조하고, 상기 저장 유닛이 상기 부속 장치가 접속되어 있다는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때에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상기 부속 장치로부터 상기 정보를 수신한 후에 화상 형성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허가하고, 상기 저장 유닛이 상기 부속 장치가 접속되어 있지 않다는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때에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상기 부속 장치로부터의 상기 정보의 수신을 기다리지 않고 상기 화상 형성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허가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
    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090052338A 2008-06-13 2009-06-12 화상 형성 장치 KR200901299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55358 2008-06-13
JP2008155358A JP5268439B2 (ja) 2008-06-13 2008-06-13 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9962A true KR20090129962A (ko) 2009-12-17

Family

ID=41136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2338A KR20090129962A (ko) 2008-06-13 2009-06-12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823973B2 (ko)
EP (1) EP2133753A3 (ko)
JP (1) JP5268439B2 (ko)
KR (1) KR20090129962A (ko)
CN (1) CN10160413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57817B2 (ja) * 2010-02-04 2012-06-20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
JP2012189903A (ja) * 2011-03-11 2012-10-04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起動制御方法及び起動制御プログラム
CN102689541A (zh) * 2011-03-25 2012-09-26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装置
JP5340363B2 (ja) * 2011-10-19 2013-11-1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5089673A (ja) * 2013-11-07 2015-05-1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984790B2 (ja) * 2013-12-18 2016-09-06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記憶媒体およびプログラム
US9509361B1 (en) * 2015-11-05 2016-11-29 Blackberry Limited Camera-based accessory classification
JP2018180448A (ja) * 2017-04-20 2018-11-15 キヤノン株式会社 集積回路、画像形成装置、集積回路の制御方法、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7538A (ja) * 1996-01-29 1997-10-14 Canon Inc 記録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記録システム
JPH115349A (ja) 1997-06-16 1999-01-12 Canon Inc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メモリ媒体
JPH117343A (ja) 1997-06-16 1999-01-12 Fuji Xerox Co Ltd 複合機及びその節電制御方法
JPH11129579A (ja) 1997-10-28 1999-05-18 Canon Inc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
DE69926422T2 (de) * 1998-02-16 2006-06-01 Canon K.K. Bilderzeugungsverfahren und -gerät
US6671060B1 (en) * 1998-10-26 2003-12-3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mage forming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an image forming system
JP2000309146A (ja) * 1999-04-28 2000-11-07 Ricoh Co Ltd プリンタ用省電力装置
JP2001094693A (ja) * 1999-09-21 2001-04-06 Ricoh Co Ltd ファクシミリ機能付き画像形成装置
JP2001273220A (ja) * 2000-01-18 2001-10-05 Canon Inc 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及び記憶媒体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2244834A (ja) * 2001-02-15 2002-08-30 Fuji Xerox Co Ltd 印刷装置
JP2002354165A (ja) 2001-05-23 2002-12-06 Canon Inc 画像複写装置及びシステム制御装置・方法並びに記憶媒体
JP2003015478A (ja) * 2001-06-28 2003-01-17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3241582A (ja) * 2002-02-20 2003-08-29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US20030162556A1 (en) * 2002-02-28 2003-08-28 Libes Michael A.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wireless-enabled devices
JP4366958B2 (ja) * 2003-02-21 2009-11-18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455034B2 (ja) * 2003-12-08 2010-04-21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および印刷方法
JP4669674B2 (ja) * 2004-07-09 2011-04-13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4591091B2 (ja) * 2005-01-17 2010-12-0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6326861A (ja) 2005-05-23 2006-12-07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4773779B2 (ja) * 2005-09-06 2011-09-1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画像形成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7090527A (ja) * 2005-09-26 2007-04-12 Fuji Xerox Co Ltd 後処理装置の節電制御方法、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US20070165262A1 (en) * 2006-01-16 2007-07-19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operation mode switching control method for the same
JP4906086B2 (ja) * 2006-10-02 2012-03-28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268439B2 (ja) 2013-08-21
CN101604133B (zh) 2012-04-04
JP2009300746A (ja) 2009-12-24
US20090310177A1 (en) 2009-12-17
EP2133753A2 (en) 2009-12-16
EP2133753A3 (en) 2014-12-24
US8823973B2 (en) 2014-09-02
CN101604133A (zh) 2009-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2397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for starting a preparation operation without receiving information about an accessory device
JP5262498B2 (ja) 画像形成装置
US9933737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for controlling a power supply provided to a staple unit
US8355640B2 (en) Document feeding device that performs an initial operatio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controlling a document feeding device that performs an initial operation
JP4574441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6362342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6260185A (ja) 画像記録装置
JP4863257B2 (ja) 画像処理モード操作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5156624A (ja) 複合機、複合機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US888519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for performing power-saving control
JP2008209825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US924521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control method of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JP2009128705A (ja) 画像形成装置
JP4373747B2 (ja) 画像形成システム
JP5054641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5152846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電源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30401018A1 (en) Print control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print control apparatus, and print control system
JP2019018404A (ja) 画像形成装置及び制御方法
JP2021099381A (ja) 電子機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3111755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5004926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716994A (zh) 能执行成像准备操作的成像装置及其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10926

Effective date: 20130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