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4229A - 신규 2-알콕시메틸-2-메틸-6-유레이도 벤조피란 유도체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다약제내성 조절 또는 치료용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신규 2-알콕시메틸-2-메틸-6-유레이도 벤조피란 유도체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다약제내성 조절 또는 치료용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4229A
KR20090124229A KR1020080050305A KR20080050305A KR20090124229A KR 20090124229 A KR20090124229 A KR 20090124229A KR 1020080050305 A KR1020080050305 A KR 1020080050305A KR 20080050305 A KR20080050305 A KR 20080050305A KR 20090124229 A KR20090124229 A KR 200901242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yl
benzopyran
ureido
methoxymethyl
methoxybenzylox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0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1762B1 (ko
Inventor
공영대
민경훈
이태호
전문국
황순희
Original Assignee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화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050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1762B1/ko
Publication of KR20090124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42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1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17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1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hetero atom,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1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hetero atom, condensed with other rings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311/74Benzo[b]pyrans, hydrogenated in the carbocyclic 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2-알콕시메틸-2-메틸-6-유레이도 벤조피란 유도체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에 대한 다약제내성 조절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유도체는 P-당단백질의 과다발현을 억제하여 항암제에 대한 다약제내성을 극복, 치료 또는 조절할 수 있게 하고, 항암제와의 병용투여시 항암활성의 증가시켜 암환자의 생존률을 높일 수 있으며, 병용 투여하는 항암제의 용량을 줄여 정상세포에 대한 부작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08038617793-PAT00001
(R1 및 R2는 명세서 내에 정의된 바와 같다)
다약제내성, 벤조피란, P-당단백질, 악성종양, 항암제

Description

신규 2-알콕시메틸-2-메틸-6-유레이도 벤조피란 유도체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다약제내성 조절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Novel 2-alkoxymethyl-2-methyl-6-ureido benzopyran derivatives o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modulation and treatment of multidrug resistance containing the same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신규 2-알콕시메틸-2-메틸-6-유레이도 벤조피란 유도체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다약제내성 조절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재까지 암을 치료하기 위한 외과적 요법, 방사선 요법 및 화학적 요법 등과 같은 다양한 치료방법이 연구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암의 완전 치료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악성 종양 치료에 있어 주된 실패 원인은 암세포의 다약제내 성(multidrug resistance, MDR) 발현에 기인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약제내성은 구조적으로 혹은 작용 기전 상의 공통점이 없는 약물에 대해서 폭넓게 교차내성을 보이는 것을 말한다(Szakacs G 등, Nat . Rev . Drug Discov ., 5, 219-234, 2006). 지금까지 다약제내성의 발현과 관련된 여러 기작들이 밝혀지고 있는데, 주로 암세포의 세포막에 다약제내성 유전자(MDR1)에 의한 P-당단백질(P-glycoprotein, Pgp)이 과다발현되거나, 다약제내성 관련 단백질(multidrug resistance associated protein, MRP)이 과다발현에 의한 다약제내성이 알려져 있다. 즉, 과도하게 생성된 P-당단백질이 약물과 직접 결합하여 항암 치료약물을 세포 밖으로 배출시킬 뿐만 아니라 세포내 약물축적을 감소시켜 결과적으로 암세포 내부의 약제농도를 감소시키게 되는 것이다(Persidis A. Nat. biotechnol., 17, 94-95, 1999).
한편, P-당단백질은 MDR1 유전자의 발현에 의해 조절되는 세포막의 당단백질로 ATP를 이용하는 ATP-결합카세트 수송체(ATP-binding cassette transporter; ABC transporter)군에 속하며, 에너지 의존성 배출 펌프(energy-dependent efflux pump)로서 다약제내성 기전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P-당단백질에 의해 영향을 받는 항암제로는 콜히친(colchicine), 칼세인-AM(calcein-AM), 에피루비신(epirubicin), 토포테칸(topotecan), 빈블라스틴(vinblastine), 독소루비신(doxorubicin), 빈카 알칼로이드(vinca alkaloids), 이마티닙(imatinib), 에토포시드(etoposide), 파클리탁셀(paclitaxel; Taxol) 등이 알려져 있다.
ABC 수송체가 다약제내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내성을 초래하는 각 단백질을 억제하여 항암제 내성을 극복하려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내성 억제물질은 항암제에 대한 내성을 역전하여 결과적으로 항암제에 대해 감수성을 보이도록 감작한다고 하여 화학감작제(chemosensitizer)라고 불린다. 대장암, 간암, 신장암, 췌장암, 부신피질암 등과 같이 정상적으로도 P-당단백질이 많이 발현되는 암이 있으며 이들은 항암 약물 반응성이 매우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고, 정상적으로는 발현이 높지 않은 급성 골수성 백혈병(AML), 악성 림프종, 유방암 등에서도 항암제치료에 실패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P-당단백질이 항암제치료에 의해 유도되거나 발현이 높은 암세포만 선택적으로 살아남기 때문으로 알려져 있다.
다약제내성을 극복하기 위하여, 현재까지 P-당단백질 등의 ABC 수송체들의 작용을 억제하는 약물을 이용한 치료제 및 조절제(modulator)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제1세대 MDR 조절제로 칼슘 채널 차단제(calcium channel blocker)인 베라파밀(verapamil), 아미오다론(amiodarone) 및 면역억제제인 시클로스프로인(cyclosproine) 등 이미 사용되고 있는 약물로 임상시험을 수행하였으나, 효능이 나타나는 투여량에서는 이들이 가진 본래의 작용이 부작용으로 나타나 실패하였다(Wattel, E. 등, Adv . Exp . Med . Biol . 457, 35-46, 1999).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한 제2세대 조절제로 R-베라파밀(R-verapamil), PSC-833(Valspdar) 등이 개발되었으나, 이들은 병용 투여한 항암제의 대사와 배설에 영향을 미쳐 혈중 농도를 지나치게 높이므로 용량 조절이 필요했고 용량 조절의 개체차가 심하여 이 또한 실패 하였다. 제3세대 조절제들로 ABC 수송체에 대한 친화도(affinity)는 높이고 약동학적 상호작용(pharmacokinetic(PK) interaction)은 최소화한 비리코다(biricodar), 엘라크리다(elacridar), 타리퀴다(tariquidar) 등 많은 약물들이 임상 3상까지 진행되었으나 아직 임상에서 만족할 만한 효과를 나타내거나 시판단계까지 이른 약물은 없는 현실이다.
종래, 이와 관련되어 특허등록된 기술을 살펴보면, 다약제 내성 억제 효과를 갖는 퀴놀린 유도체 및 이의 약제학적 조성물(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639163호), 세포장애성 약물에 대항하는 암세포의 다약제내성의 역전을 위한 화합물 및 그를 포함하는 제약학적 조성물(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171893호), 신규한 p-당단백질 저해제(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516075호) 등이 있었다. 하지만, 이들 역시 아직 만족할 만한 수준의 효과를 나타내지는 못하였고, 따라서 보다 다양한 종류의 다약제내성 조절제 또는 치료제의 개발이 요구된다 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다약제내성의 주요 원인인 P-당단백질의 과발현을 억제하여 기존 항암제의 치료 효율을 증가 시킬 수 있는 화합물을 탐색하기 위하여 각고의 노력을 거듭한 결과, 다양한 벤조피란 유도체를 이용하여 신규한 2-알콕시메틸-2-메틸-6-유레이도 벤조피란 유도체를 합성하게 되었고, 이들 화합물이 P-당단백질 발현 억제활성을 나타내어 다약제내성 유발을 치료하고 조절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신규 2-알콕시메틸-2-메틸-6-유레이도 벤조피란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신규 2-알콕시메틸-2-메틸-6-유레이도 벤조피란 유도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신규 2-알콕시메틸-2-메틸-6-유레이도 벤조피란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다약제내성 조절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신규한 2-알콕시메틸-2-메틸-6-유레이도 벤조피란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소시아네이트 유도체를 이용하여 상기 2-알콕시메틸-2-메틸-6-유레이도 벤조피란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다약제내성 조절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신규 2-알콕시메틸-2-메틸-6-유레이도 벤조피란 유도체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다약제내성 조절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화합물은 다약제내성의 주요 원인인 P-당단백질의 과발현에 대한 억제활성 및 항암제와의 병용투여시 항암활성의 증가를 나타내어 항암제에 대한 다약제내성 극복제제, 치료제 또는 조절제로 이용될 수 있으며, 항암제의 효과를 증진시켜 암환자의 생존률을 높일 수 있고, 병용 투여하는 항암제의 용량을 줄여 정상세포에 대한 부작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경제적으로도 이득을 제공하는 바, 의약 및 제약 분야에서 매우 뛰어난 발명이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2-알콕시메틸-2-메틸-6-유레이도 벤조피란 유도체를 제공한다.
Figure 112008038617793-PAT00002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C1~C5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 비치환 또는 C1~C5의 직쇄 또는 측쇄 알 킬, C1~C5의 알콕시, 할로겐 및 니트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된 벤질이고,
R2는 C1~C5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 C4~C10의 사이클로 알킬; C1~C5의 알킬 카보닐; C1~C5의 알콕시카보닐 C1~C5의 알킬; 비치환 또는 C1~C5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 C1~C5의 알콕시, 할로겐, 니트로, C1~C5의 알킬 카보닐 및 C1~C5의 알콕시 카보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된 페닐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R1은 C1~C5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 비치환 또는 C1~C5의 알콕시로 치환된 벤질이고,
상기 R2는 C1~C5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 C5~C6의 사이클로 알킬; C1~C5의 알킬 카보닐; C1~C5의 알콕시 카보닐 C1~C5의 알킬; 비치환 또는 C1~C3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 C1~C5의 알콕시, 할로겐 및 니트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된 페닐일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R1은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벤질, 2-메톡시벤질, 4-메톡시벤질, 2-에톡시벤질 또는 4-에톡시벤질이고; R2는 에틸, n-프로필, n- 부틸, 사이클로헥실, 2-에톡시-2-옥소에틸, 2-부톡시-2-옥소에틸, 페닐, 4-메틸페닐, 2,6-디메틸페닐, 2-에틸페닐, 2-메톡시페닐, 4-메톡시페닐, 2-에톡시페닐, 4-에톡시페닐, 2-플루오로페닐, 4-플루오로페닐, 2-클로로페닐, 4-클로로페닐 또는 4-니트로페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2-알콕시메틸-2-메틸-6-유레이도 벤조피란 유도체 중 바람직한 화합물은 구체적으로 하기와 같다.
(1) 2-메톡시메틸-2-메틸-6-페닐유레이도 벤조피란
(2) 2-메톡시메틸-2-메틸-6-(4-메톡시페닐)유레이도 벤조피란
(3) 2-메톡시메틸-2-메틸-6-(2-에톡시페닐)유레이도 벤조피란
(4) 2-메톡시메틸-2-메틸-6-(2,6-디메틸페닐)유레이도 벤조피란
(5) 2-메톡시메틸-2-메틸-6-(2-에틸페닐)유레이도 벤조피란
(6) 2-메톡시메틸-2-메틸-6-(4-플루오로페닐)유레이도 벤조피란
(7) 2-메톡시메틸-2-메틸-6-(2-클로로페닐)유레이도 벤조피란
(8) 2-메톡시메틸-2-메틸-6-(4-니트로페닐)유레이도 벤조피란
(9) 2-메톡시메틸-2-메틸-6-벤질유레이도 벤조피란
(10) 2-메톡시메틸-2-메틸-6-부틸유레이도 벤조피란
(11) 2-메톡시메틸-2-메틸-6-시클로헥실유레이도 벤조피란
(12)2-메톡시메틸-2-메틸-6-(2-에톡시-2-옥소에틸)유레이도 벤조피란
(13)2-메톡시메틸-2-메틸-6-(2-부톡시-2-옥소에틸)유레이도 벤조피란
(14) 2-에톡시메틸-2-메틸-6-페닐유레이도 벤조피란
(15) 2-에톡시메틸-2-메틸-6-(4-메톡시페닐)유레이도 벤조피란
(16) 2-에톡시메틸-2-메틸-6-(2-메톡시페닐)유레이도 벤조피란
(17) 2-에톡시메틸-2-메틸-6-(2-에톡시페닐)유레이도 벤조피란
(18) 2-에톡시메틸-2-메틸-6-(4-메틸페닐)유레이도 벤조피란
(19) 2-에톡시메틸-2-메틸-6-(2,6-디메틸페닐)유레이도 벤조피란
(20) 2-에톡시메틸-2-메틸-6-(2-에틸페닐)유레이도 벤조피란
(21) 2-에톡시메틸-2-메틸-6-(4-플루오로페닐)유레이도 벤조피란
(22) 2-에톡시메틸-2-메틸-6-(2-클로로페닐)유레이도 벤조피란
(23) 2-에톡시메틸-2-메틸-6-(4-니트로페닐)유레이도 벤조피란
(24) 2-에톡시메틸-2-메틸-6-부틸유레이도 벤조피란
(25) 2-에톡시메틸-2-메틸-6-시클로헥실유레이도 벤조피란
(26) 2-에톡시메틸-2-메틸-6-(2-에톡시-2-옥소에틸)유레이도 벤조피란
(27) 2-에톡시메틸-2-메틸-6-(2-부톡시-2-옥소에틸)유레이도 벤조피란
(28) 2-벤질옥시메틸-2-메틸-6-페닐유레이도 벤조피란
(29) 2-벤질옥시메틸-2-메틸-6-(4-메톡시페닐)유레이도 벤조피란
(30) 2-벤질옥시메틸-2-메틸-6-(2-에톡시페닐)유레이도 벤조피란
(31) 2-벤질옥시메틸-2-메틸-6-(2,6-디메틸페닐)유레이도 벤조피란
(32) 2-벤질옥시메틸-2-메틸-6-(2-에틸페닐)유레이도 벤조피란
(33) 2-벤질옥시메틸-2-메틸-6-(4-플루오로페닐)유레이도 벤조피란
(34) 2-벤질옥시메틸-2-메틸-6-(2-플루오로페닐)유레이도 벤조피란
(35) 2-벤질옥시메틸-2-메틸-6-(2-클로로페닐)유레이도 벤조피란
(36) 2-벤질옥시메틸-2-메틸-6-(4-니트로페닐)유레이도 벤조피란
(37) 2-벤질옥시메틸-2-메틸-6-부틸유레이도 벤조피란
(38) 2-벤질옥시메틸-2-메틸-6-에틸유레이도 벤조피란
(39) 2-벤질옥시메틸-2-메틸-6-시클로헥실유레이도 벤조피란
(40) 2-벤질옥시메틸-2-메틸-6-(2-에톡시-2-옥소에틸)유레이도 벤조피란
(41) 2-벤질옥시메틸-2-메틸-6-(2-부톡시-2-옥소에틸)유레이도 벤조피란
(42) 2-(4-메톡시벤질옥시)메틸-2-메틸-6-페닐유레이도 벤조피란
(43) 2-(4-메톡시벤질옥시)메틸-2-메틸-6-(4-메톡시페닐)유레이도 벤조피란
(44) 2-(4-메톡시벤질옥시)메틸-2-메틸-6-(2-메톡시페닐)유레이도 벤조피란
(45) 2-(4-메톡시벤질옥시)메틸-2-메틸-6-(2-에톡시페닐)유레이도 벤조피란
(46) 2-(4-메톡시벤질옥시)메틸-2-메틸-6-(2,6-디메틸페닐)유레이도 벤조피란
(47) 2-(4-메톡시벤질옥시)메틸-2-메틸-6-(2-에틸페닐)유레이도 벤조피란
(48) 2-(4-메톡시벤질옥시)메틸-2-메틸-6-(4-플루오로페닐)유레이도 벤조피란
(49) 2-(4-메톡시벤질옥시)메틸-2-메틸-6-(2-클로로페닐)유레이도 벤조피란
(50) 2-(4-메톡시벤질옥시)메틸-2-메틸-6-(4-니트로페닐)유레이도 벤조피란
(51) 2-(4-메톡시벤질옥시)메틸-2-메틸-6-부틸유레이도 벤조피란
(52) 2-(4-메톡시벤질옥시)메틸-2-메틸-6-프로필유레이도 벤조피란
(53) 2-(4-메톡시벤질옥시)메틸-2-메틸-6-시클로헥실유레이도 벤조피란
(54) 2-(4-메톡시벤질옥시)메틸-2-메틸-6-(2-에톡시-2-옥소에틸)유레이도 벤조피란; 및
(55) 2-(4-메톡시벤질옥시)메틸-2-메틸-6-(2-부톡시-2-옥소에틸)유레이도 벤조피란.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2-알콕시메틸-2-메틸-6-유레이도 벤조피란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뿐만 아니라, 이로부터 제조될 수 있는 가능한 용매화물, 수화물 또는 라세미체를 포함하며,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벤조피란의 2번 위치에 서로 다른 치환체가 치환되어 있는 키랄 탄소를 포함하고 있어 광학활성을 나타내는 바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입체이성질체를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유도체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 부가염이 유용하다. 산 부가염은 염산, 질산, 인산, 황산, 브롬화수소산, 요드화수소산, 아질산 또는 아인산과 같은 무기산류와 지방족 모노 및 디카르복실레이트, 페닐-치환된 알카노에이트, 하이드록시 알카노에이트 및 알칸디오에이트, 방향족 산류, 지방족 및 방향족 설폰산류와 같은 무독성 유기산으로부터 얻는다. 이러한 약학적으로 무독한 염류로는 설페이트, 피로설페이트, 바이설페이트, 설파이트, 바이설파이트, 니트레이트, 포스페이트, 모노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디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메타포스페이트, 피로포스페이트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아이오다이드, 플루오라이드,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데카노에이트, 카프릴레이트, 아크릴레이트, 포메이트, 이소부티레이트, 카프레이트, 헵타노에이트, 프로피올레이트, 옥살레이트, 말로네이트, 석시네이트, 수베레이트, 세바케이트, 푸마레이트, 말리에이트, 부틴-1,4-디오에이트, 헥산-1,6-디오에이트, 벤조에이트, 클로로벤조에이트, 메틸벤조에이트, 디니트로 벤조에이트, 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메톡시벤조에이트, 프탈레이트, 테레프탈레이트, 벤젠설포네이트, 톨루엔설포네이트, 클로로벤젠설포네이트, 크실렌설포네이트, 페닐아세테이트, 페닐프로피오네이트, 페닐부티레이트, 시트레이트, 락테이트, β-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글리콜레이트, 말레이트, 타트레이트, 메탄설포네이트, 프로판설포네이트, 나프탈렌-1-설포네이트, 나프탈렌-2-설포네이트 또는 만델레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산 부가염은 통상의 방법, 예를 들면, 화학식 1의 유도체를 과량의 산 수용액 중에 용해시키고, 이 염을 수혼화성 유기 용매,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또는 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하여 침전시켜서 제조할 수 있다.
동량의 화학식 1의 유도체 및 물 중의 산 또는 알코올을 가열하고, 이어서 이 혼합물을 증발시켜서 건조시키거나 또는 석출된 염을 흡입 여과시켜 제조할 수도 있다.
또한, 염기를 사용하여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금속염을 만들 수 있다. 알 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은 예를 들면 화합물을 과량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또는 알칼리 토금속 수산화물 용액 중에 용해하고, 비용해 화합물 염을 여과하고, 여액을 증발, 건조시켜 얻는다. 이때, 금속 염으로는 나트륨, 칼륨 또는 칼슘염을 제조하는 것이 제약상 적합하다. 또한, 이에 대응하는 은 염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을 적당한 음염(예, 질산은)과 반응시켜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화학식 1의 신규 2-알콕시메틸-2-메틸-6-유레이도 벤조피란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하기 반응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출발물질인 화학식 2의 벤조피란 유도체와 화학식 3의 R2로 치환된 이소시아네이트 유도체를 반응시켜 치환기 R2로 치환된 유레이도기를 도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Figure 112008038617793-PAT00003
(상기 반응식에서 R1 및 R2는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조방법의 단계는 각 단계의 반응 종료 후 하기 화학 식 4의 스캐빈저 레진을 첨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4>
Figure 112008038617793-PAT00004
(상기 식에서, ⓟ는 폴리스티렌-디비닐벤젠, 메타아크릴산-디메틸아크릴아미드 및 히드록실 메타아크릴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고분자 중합체 형태의 고체 지지체이다.)
상기 화학식 4의 스캐빈저 레진을 투입하여 여과함으로써 미반응된 화학식 3의 이소시아네이트 유도체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동시에 많은 벤조피란 유도체를 단기간에 합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출발물질인 화학식 2의 벤조피란 유도체와 화학식 3의 R2로 치환된 이소시아네이트 유도체를 반응시켜 치환기 R2로 치환된 우레이도기를 도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벤조피란 유도체를 적절한 용매를 사용하여 정량 또는 과량의 R2로 치환된 이소시아네이트 유도체와 반응시켜 치환기 R2로 치환된 우레이도기를 도입할 수 있다.
이때, 반응용매는 최종단계에 고체상 스캐빈저 레진을 사용할 것을 고려하여 고체상 레진의 팽윤효과(swelling effect)가 뛰어난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 디클로로메탄(CH2Cl2), 클로로포름(CHCl3),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디클로로메탄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에서 사용하는 화학식 3의 이소시아네이트 유도체는 출발물질인 화학식 2의 벤조피란 유도체 1당량에 대하여 1.2 내지 2.0 당량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경제성을 고려하여 1.2 당량으로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2의 벤조피란 유도체를 디클로로메탄으로 상온에서 5~20분간 교반시켜 용해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용해된 벤조피란 유도체에 화학식 3의 이소시아네이트 유도체를 가하고 상온에서 6 내지 24시간동안 교반시켜 반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응물은 여과하고, 여과물을 클로로포름(CHCl3)으로 반복세척하고 여과액을 합하여 감압농축시켜 R2이 도입된 2-알콕시메틸-2-메틸-6-유레이도 벤조피란 유도체를 얻을 수 있다. 이 때, 미반응된 화학식 3의 이소시아네이트 유도체를 제거하기 위해 화학식 4의 고체상 스캐빈저 레진을 첨가하여 여과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신규 2-알콕시메틸-2-메틸-6-유레이도 벤조피란 유도체들은 제조 후, 고속 액체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 정제한 후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 및 질량 분광법에 의해 분자구조를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화학식 1의 2-알콕시메틸-2-메틸-6-유레이도 벤조피란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다약제내성 조절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들은 항암제에 대한 다약제내성을 유발하는 단백질의 과발현을 억제함으로써 다약제 내성을 조절 또는 치료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백질은 암세포에서 발현되는 P-당단백질을 그 대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2-알콕시메틸-2-메틸-6-유레이도 벤조피란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항암제와 병용투여함으로써 다약제 내성의 유발을 억제하여 항암제의 항암효과를 증진시키고, 또한 병용투여되는 항암제의 용량을 감소시켜 항암제 단독 투여시 유발되는 정상세포에 대한 부작용을 감소시킨다(Persidis A. Nat . biotechnol., 17, 94-95, 1999).
다약제내성은 주로 암세포의 세포막에 다약제내성 유전자(MDR1)에 의한 P-당단백질(P-glycoprotein, Pgp)이 과다발현되어 항암 치료약물과 직접 결합하여 상기 약물을 세포 밖으로 배출시킬 뿐만 아니라 세포내 약물축적을 감소시켜 결과적으로 암세포 내부의 약제농도를 감소된다.
따라서, P-당단백질의 과다발현을 억제하는 화합물은 다약제내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갖게 된다.
본 발명의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자궁암 세포인 MES-SA 세포를 독소루비신(doxorubicin)으로 처리해 P-당단백질을 과발현시킨 MES-SA/DX5 세포에서의 P-당단백질의 발현을 억제하며(실험예 1 및 도 2 참조), 기존 항암제인 파클리탁셀(paclitaxel) 또는 독소루비신(doxorubicin)과 병용 투여시 항암제 단독처리시 측정된 IC50 값과 비교하여볼 때, 1.2 내지 5.3배의 항암활성의 증가를 나타낸다(실험예 2 및 표 1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다약제내성을 유발하는 P-당단백질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므로, 다약제내성을 치료 또는 조절하는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대장암, 간암, 신장암, 췌장암, 부신 피질암 등과 같이 정상적으로도 P-당단백질이 많이 발현되는 암 뿐만 아니라 정상적으로도 P-당단백질의 발현이 높지 않은 급성골수성 백혈병(AML), 악성 림프종, 유방암 등에서의 항암제에 의한 다약제내성을 치료 또는 조절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콜히친(colchicine), 칼세인-AM(calcein-AM), 에피루비신(epirubicin), 토포테칸(topotecan), 빈블라스틴(vinblastine), 독소루비신(doxorubicin), 빈카 알칼로이드(vinca alkaloids), 이마티닙(imatinib), 에토포시드(etoposide), 파클리탁셀(paclitaxel; Taxol) 등의 항암제에 대한 다약제내성을 치료 또는 조절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의약품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피페리딘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임상투여 시에 다양한 하기의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 형태로 제제화되어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경구 투여용 제형으로는 예를 들면 정제, 환제, 경/연질 캅셀제, 액제, 현탁제, 유화제, 시럽제, 과립제, 엘릭시르제 등이 있는데, 이들 제형은 유효성분 이외에 희석제(예: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만니톨, 솔비톨, 셀룰로즈 및/ 또는 글리신), 활택제(예: 실리카, 탈크, 스테아르산 및 그의 마그네슘 또는 칼슘염 및/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를 함유하고 있다. 정제는 또한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전분 페이스트, 젤라틴, 메틸셀룰로즈, 나트륨 카복시메틸셀룰로즈 및/또는 폴리비닐피롤리딘과 같은 결합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전분, 한천, 알긴산 또는 그의 나트륨 염과 같은 붕해제 또는 비등 혼합물 및/또는 흡수제, 착색제, 향미제, 및 감미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도체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은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는 피하주사, 정맥주사, 근육 내 주사 또는 흉부 내 주사를 주입하는 방법에 의한다.
이때, 비경구 투여용 제형으로 제제화하기 위하여 상기 화학식 1의 피페리딘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안정제 또는 완충제와 함께 물에 혼합하여 용액 또는 현탁액으로 제조하고, 이를 앰플 또는 바이알 단위 투여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멸균되고/되거나 방부제, 안정화제, 수화제 또는 유 화 촉진제,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 및/또는 완충제 등의 보조제, 및 기타 치료적으로 유용한 물질을 함유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인 혼합, 과립화 또는 코팅 방법에 따라 제제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의 인체에 대한 투여량은 환자의 나이, 몸무게, 성별, 투여형태, 건강상태 및 질환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몸무게가 70 ㎏인 성인 환자를 기준으로 할 때, 일반적으로 0.1 ~ 1,000 ㎎/일이며, 바람직하게는 1 ~ 500 ㎎/일이며, 의사 또는 약사의 판단에 따라 일정시간 간격으로 1일 1회 내지 수회로 분할 투여할 수도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2-메톡시메틸-2-메틸-6-페닐유레이도 벤조피란의 제조
Figure 112008038617793-PAT00005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치환기 R1이 메틸인 2-메콕시메틸-2-메틸-6-아미노 벤 조피란 화합물(100 mg, 0.487 mmol)을 디클로로메탄(CH2Cl2, 4 mL)에 녹인 후 상온에서 10분간 교반시켰다. 상기 교반된 화합물을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페닐이소시아네이트(C6H5NCO; 79 mg, 0.584 mmol, 1.2 eq)를 가하고, 상온에서 12시간 교반하여 반응시켰다. 상기 반응 종결 후 스캐빈저 레진 화합물인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폴리스타이렌 디아민(3.0 mmol/g, 0.34 g, 1 mmol)을 반응물에 가한 후 30분간 교반하여 반응시켰다. 상기 반응혼합물을 여과하고, 여과물을 클로로포름 (CHCl3)으로 반복세척한 후 여과액을 합하여 반응결과물을 감압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헥산/에틸아세테이트(3/1, v/v)의 혼합 용매 하에서 실리카겔상의 컬럼 크로마토그래피(Quad3+; 미국 Biotage사 제품)로 분리 정제하여 목적화합물(137 mg, 87%)을 얻었다.
1H NMR (200 MHz, CDCl3) δ 7.36 (s, 1H), 7.26-7.15 (m, 5H), 7.02-6.95 (m, 2H), 6.80 (dd, J = 8.5, 2.4 Hz, 1H), 6.65 (d, J = 8.5 Hz, 1H), 6.25 (d, J = 9.8 Hz, 1H), 5.56 (d, J = 9.8 Hz, 1H), 3.49-3.43 (m, 2H), 3.38 (s, 3H), 1.35 (s, 3H);
m/z ([M+1]+) 325
실시예 2: 2- 메톡시메틸 -2- 메틸 -6-(4- 메톡시페닐 ) 유레이도 벤조피란의 제조
Figure 112008038617793-PAT00006
실시예 1에서 페닐이소시아네이트 대신에 4-메톡시-페닐이소시아네이트(87 mg, 0.584 mmol, 1.2 eq)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목적화합물(157 mg, 91%)을 얻었다.
1H NMR (200 MHz, CDCl3) δ 7.25-6.95 (m, 5H), 6.85-6.64 (m, 4H), 6.27 (d, J = 9.8 Hz, 1H), 5.57 (d, J = 9.8 Hz, 1H), 3.71 (s, 3H), 3.49-3.40 (m, 2H), 3.38 (s, 3H), 1.36(s, 3H);
m/z ([M+1]+) 355
실시예 3: 2- 메톡시메틸 -2- 메틸 -6-(2- 에톡시페닐 ) 유레이도 벤조피란의 제조
Figure 112008038617793-PAT00007
실시예 1에서 페닐이소시아네이트 대신에 2-에톡시-페닐이소시아네이트(95 mg, 0.584 mmol, 1.2 eq)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목적화합물(149 mg, 83%)을 얻었다.
m/z ([M+1]+) 369
실시예 4: 2- 메톡시메틸 -2- 메틸 -6-(2,6- 디메틸페닐 ) 유레이도 벤조피란의 제조
Figure 112008038617793-PAT00008
실시예 1에서 페닐이소시아네이트 대신에 2,6-디메틸-페닐이소시아네이트(86 mg, 0.584 mmol, 1.2 eq)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목적화합물(148 mg, 87%)을 얻었다.
1H NMR (200 MHz, CDCl3) δ 7.26-6.98 (m, 4H), 6.84-6.80 (m, 1H), 6.66-6.62 (m, 2H), 6.36-6.26 (m, 2H), 5.57 (d, J = 10.0 Hz, 1H), 3.48-3.36 (m, 5H), 2.24-2.15 (m, 6H), 1.37(s, 3H);
m/z ([M+1]+) 353
실시예 5: 2- 메톡시메틸 -2- 메틸 -6-(2- 에틸페닐 ) 유레이도 벤조피란의 제조
Figure 112008038617793-PAT00009
실시예 1에서 페닐이소시아네이트 대신에 2-에틸-페닐이소시아네이트(87 mg, 0.584 mmol, 1.2 eq)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목적화합물(141 mg, 82%)을 얻었다.
1H NMR (200 MHz, CDCl3) δ 7.50 (d, J = 7.5 Hz, 1H), 7.18-7.01 (m, 5H), 6.88-6.69 (m, 3H), 6.28 (d, J = 10.0 Hz, 1H), 5.58 (d, J = 10.0 Hz, 1H), 3.49-3.43 (m, 2H), 3.38 (s, 3H), 2.54 (d, J = 7.5 Hz, 1H), 2.47 (d, J = 7.5 Hz, 1H), 1.36 (s, 3H), 1.09 (t, J = 6.9 Hz, 3H);
m/z ([M+1]+) 353
실시예 6: 2- 메톡시메틸 -2- 메틸 -6-(4- 플루오로페닐 ) 유레이도 벤조피란의 제조
Figure 112008038617793-PAT00010
실시예 1에서 페닐이소시아네이트 대신에 4-플루오로-페닐이소시아네이트(80 mg, 0.584 mmol, 1.2 eq)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목 적화합물(128 mg, 77%)을 얻었다.
1H NMR (200 MHz, CDCl3) δ 7.43 (br s, 1H), 7.34-7.25 (m, 3H), 7.12 (d, J = 2.5 Hz, 1H), 6.98-6.90 (m, 3H), 6.72 (d, J = 8.5 Hz, 1H), 6.35 (d, J = 9.8 Hz, 1H), 5.59 (d, J = 9.8 Hz, 1H), 3.50-3.40 (m, 2H), 3.39 (s, 3H), 1.38(s, 3H);
m/z ([M+1]+) 343
실시예 7: 2- 메톡시메틸 -2- 메틸 -6-(2- 클로로페닐 ) 유레이도 벤조피란의 제조
Figure 112008038617793-PAT00011
실시예 1에서 페닐이소시아네이트 대신에 2-클로로-페닐이소시아네이트(90 mg, 0.584 mmol, 1.2 eq)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목적화합물(147 mg, 84%)을 얻었다.
1H NMR (200 MHz, CDCl3) δ 8.20-8.15 (m, 1H), 7.31-7.16 (m, 3H), 7.04-6.90 (m, 4H), 6.76 (d, J = 8.2 Hz, 1H), 6.35 (d, J = 10.2 Hz, 1H), 5.63 (d, J = 10.2 Hz, 1H), 3.47 (s, 2H), 3.41 (s, 3H), 1.39 (s, 3H);
m/z ([M+1]+) 359
실시예 8: 2- 메톡시메틸 -2- 메틸 -6-(4- 니트로페닐 ) 유레이도 벤조피란의 제조
Figure 112008038617793-PAT00012
실시예 1에서 페닐이소시아네이트 대신에 4-니트로-페닐이소시아네이트(96 mg, 0.584 mmol, 1.2 eq)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목적화합물(135 mg, 75%)을 얻었다.
1H NMR (200 MHz, CDCl3) δ 8.33 (br s, 1H), 8.10 (d, J = 9.3 Hz, 2H), 7.68 (br s, 1H), 7.49 (d, J = 9.3 Hz, 2H), 7.30 (d, J = 8.5 Hz, 1H), 6.95 (dd, J = 8.5, 2.4 Hz, 1H), 6.88 (d, J = 2.4 Hz, 1H), 6.32 (d, J = 9.8 Hz, 1H), 5.62 (d, J = 9.8 Hz, 1H), 3.48 (s, 2H), 3.40 (s, 3H), 1.39 (s, 3H);
m/z ([M+1]+) 370
실시예 9: 2- 메톡시메틸 -2- 메틸 -6- 벤질유레이도 벤조피란의 제조
Figure 112008038617793-PAT00013
실시예 1에서 페닐이소시아네이트 대신에 벤질이소시아네이트(78 mg, 0.584 mmol, 1.2 eq)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목적화합물(148 mg, 90%)을 얻었다.
m/z ([M+1]+) 339
실시예 10: 2- 메톡시메틸 -2- 메틸 -6- 부틸유레이도 벤조피란의 제조
Figure 112008038617793-PAT00014
실시예 1에서 페닐이소시아네이트 대신에 n-부틸이소시아네이트(58 mg, 0.584 mmol, 1.2 eq)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목적화합물(136 mg, 92%)을 얻었다.
1H NMR (200 MHz, CDCl3) δ 6.97 (d, J = 2.4 Hz, 1H), 6.80 (dd, J = 8.5, 2.4 Hz, 1H), 6.72 (d, J = 8.5 Hz, 1H), 6.49-6.44 (m, 1H), 6.37-6.30 (m, 1H), 5.60(d, J = 9.8 Hz, 1H), 4.90 (br s, 1H), 3.50-3.42 (m, 2H), 3.39 (s, 3H), 3.38-3.13 (m, 2H), 1.51-1.21 (m, 7H), 0.89 (t, J = 7.2 Hz, 3H);
m/z ([M+1]+) 305
실시예 11: 2- 메톡시메틸 -2- 메틸 -6- 시클로헥실유레이도 벤조피란의 제조
Figure 112008038617793-PAT00015
실시예 1에서 페닐이소시아네이트 대신에 시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73 mg, 0.584 mmol, 1.2 eq)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목적화합물(145 mg, 90%)을 얻었다.
1H NMR (200 MHz, CDCl3) δ 6.98 (d, J = 2.4 Hz, 1H), 6.89 (dd, J = 8.5, 2.4 Hz, 1H), 6.71 (d, J = 8.5 Hz, 1H), 6.55 (s, 1H), 6.35 (d, J = 9.8 Hz, 1H), 5.60 (d, J = 9.8 Hz, 1H), 4.86-4.82 (br s, 1H), 3.45-3.44 (m, 2H), 3.39 (s, 3H), 1.92-1.87 (m, 2H), 1.67-1.53 (m, 3H), 1.40-1.24 (m, 5H), 1.13-0.96 (m, 4H);
m/z ([M+1]+) 331
실시예 12: 2- 메톡시메틸 -2- 메틸 -6-(2- 에톡시 -2- 옥소에틸 ) 유레이도 벤조피란 의 제조
Figure 112008038617793-PAT00016
실시예 1에서 페닐이소시아네이트 대신에 2-에톡시-2-옥소에틸이소시아네이트(75 mg, 0.584 mmol, 1.2 eq)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목적화합물(127 mg, 78%)을 얻었다.
1H NMR (200 MHz, CDCl3) δ 7.01-6.94 (m, 2H), 6.75 (d, J = 7.9 Hz, 1H), 6.57 (s, 1H), 6.37 (d, J =10.0 Hz, 1H), 5.62 (d, J = 10.0 Hz, 1H), 5.37-5.31 (br s, 1H), 4.22 (d, J = 7.2 Hz, 1H), 4.15 (d, J = 7.2 Hz, 1H), 4.01 (d, J = 4.5 Hz, 1H), 3.46 (s, 2H), 3.40 (s, 3H), 1.39 (s, 3H), 1.08 (t, J = 6.9 Hz, 3H);
m/z ([M+1]+) 335
실시예 13: 2- 메톡시메틸 -2- 메틸 -6-(2- 부톡시 -2- 옥소에틸 ) 유레이도 벤조피란 의 제조
Figure 112008038617793-PAT00017
실시예 1에서 페닐이소시아네이트 대신에 2-부톡시-2-옥소에틸이소시아네이 트(92 mg, 0.584 mmol, 1.2 eq)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목적화합물(143 mg, 81%)을 얻었다.
m/z ([M+1]+) 363
실시예 14: 2- 에톡시메틸 -2- 메틸 -6- 페닐유레이도 벤조피란의 제조
Figure 112008038617793-PAT00018
실시예 1에서 치환기 R1이 메틸인 2-메콕시메틸-2-메틸-6-아미노 벤조피란 화합물 대신에 치환기 R1이 에틸인 2-에콕시메틸-2-메틸-6-아미노 벤조피란 화합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목적화합물(137 mg, 89%)을 얻었다.
1H NMR (200 MHz, CDCl3) δ 7.30-7.15 (m, 5H), 7.04-6.94 (m, 3H), 6.83 (dd, J = 8.5, 2.4 Hz, 1H), 6.66 (d, J = 8.5 Hz, 1H), 6.26 (d, J = 9.8 Hz, 1H), 5.61 (d, J = 9.8 Hz, 1H), 3.68-6.44 (m, 4 H), 1.37 (s, 3H), 1.15 (t, J = 7.2 Hz, 3H);
m/z ([M+1]+) 339
실시예 15: 2- 에톡시메틸 -2- 메틸 -6-(4- 메톡시페닐 ) 유레이도 벤조피란의 제조
Figure 112008038617793-PAT00019
실시예 1에서 치환기 R1이 메틸인 2-메콕시메틸-2-메틸-6-아미노 벤조피란 화합물 대신에 치환기 R1이 에틸인 2-에콕시메틸-2-메틸-6-아미노 벤조피란 화합물을, 페닐이소시아네이트 대신에 4-메톡시-페닐이소시아네이트(82 mg, 0.547 mmol, 1.2 eq)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목적화합물(156 mg, 93%)을 얻었다.
1H NMR (200 MHz, CDCl3) δ 7.24-7.11 (m, 2H), 7.09-7.02 (m, 3H), 6.96-6.72(m, 3H), 6.65 (d, J = 8.5 Hz, 1H), 6.26 (d, J = 9.8 Hz, 1H), 5.59 (d, J = 9.8 Hz, 1H), 3.72 (s, 3H), 3.61-3.42 (m, 4H), 1.37 (s, 3H), 1.16 (t, J = 6.9 Hz, 3H);
m/z ([M+1]+) 369
실시예 16: 2- 에톡시메틸 -2- 메틸 -6-(2- 메톡시페닐 ) 유레이도 벤조피란의 제조
Figure 112008038617793-PAT00020
실시예 1에서 치환기 R1이 메틸인 2-메콕시메틸-2-메틸-6-아미노 벤조피란 화합물 대신에 치환기 R1이 에틸인 2-에콕시메틸-2-메틸-6-아미노 벤조피란 화합물을, 페닐이소시아네이트 대신에 2-메톡시-페닐이소시아네이트(82 mg, 0.547 mmol, 1.2 eq)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목적화합물(141 mg, 84%)을 얻었다.
m/z ([M+1]+) 369
실시예 17: 2- 에톡시메틸 -2- 메틸 -6-(2- 에톡시페닐 ) 유레이도 벤조피란의 제조
Figure 112008038617793-PAT00021
실시예 1에서 치환기 R1이 메틸인 2-메콕시메틸-2-메틸-6-아미노 벤조피란 화합물 대신에 치환기 R1이 에틸인 2-에콕시메틸-2-메틸-6-아미노 벤조피란 화합물을, 페닐이소시아네이트 대신에 2-에톡시-페닐이소시아네이트(89 mg, 0.547 mmol, 1.2 eq)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목적화합물(141 mg, 81%)을 얻었다.
1H NMR (200 MHz, CDCl3) δ 8.18-8.13 (m, 1H), 7.33 (s, 1H), 7.05-6.89 (m, 4H), 6.84-6.75 (m, 2H), 6.56 (s, 1H), 6.37 (d, J = 10.2 Hz, 1H), 5.67 (d, J = 10.2 Hz, 1H), 4.01 (d, J = 6.9 Hz, 1H), 3.95 (d, J = 6.9 Hz, 1H), 3.63-3.45 (m, 4H), 1.41 (s, 3H), 1.33-1.26 (m, 3H), 1.21-1.17 (m, 3H);
m/z ([M+1]+) 383
실시예 18: 2- 에톡시메틸 -2- 메틸 -6-(4- 메틸페닐 ) 유레이도 벤조피란의 제조
Figure 112008038617793-PAT00022
실시예 1에서 치환기 R1이 메틸인 2-메콕시메틸-2-메틸-6-아미노 벤조피란 화합물 대신에 치환기 R1이 에틸인 2-에콕시메틸-2-메틸-6-아미노 벤조피란 화합물을, 페닐이소시아네이트 대신에 4-메틸-페닐이소시아네이트(73 mg, 0.547 mmol, 1.2 eq)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목적화합물(141 mg, 88%)을 얻었다.
m/z ([M+1]+) 353
실시예 19: 2- 에톡시메틸 -2- 메틸 -6-(2,6- 디메틸페닐 ) 유레이도 벤조피란의 제조
Figure 112008038617793-PAT00023
실시예 1에서 치환기 R1이 메틸인 2-메콕시메틸-2-메틸-6-아미노 벤조피란 화합물 대신에 치환기 R1이 에틸인 2-에콕시메틸-2-메틸-6-아미노 벤조피란 화합물을, 페닐이소시아네이트 대신에 2,6-디메틸-페닐이소시아네이트(80 mg, 0.547 mmol, 1.2 eq)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목적화합물(125 mg, 75%)을 얻었다.
1H NMR (200 MHz, CDCl3) δ 7.03-6.96 (m, 1H), 6.82 (dd, J = 8.6, 2.8 Hz, 1H), 6.63 (d, J = 8.6 Hz, 1H), 6.32-6.24 (m, 2H), 5.58 (d, J = 9.8 Hz, 1H), 3.61-3.40 (m, 4H), 2.24 (s, 6H), 1.38 (s, 3H), 1.25-1.13 (m, 3H);
m/z ([M+1]+) 367
실시예 20: 2- 에톡시메틸 -2- 메틸 -6-(2- 에틸페닐 ) 유레이도 벤조피란의 제조
Figure 112008038617793-PAT00024
실시예 1에서 치환기 R1이 메틸인 2-메콕시메틸-2-메틸-6-아미노 벤조피란 화합물 대신에 치환기 R1이 에틸인 2-에콕시메틸-2-메틸-6-아미노 벤조피란 화합물을, 페닐이소시아네이트 대신에 2-에틸-페닐이소시아네이트(80 mg, 0.547 mmol, 1.2 eq)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목적화합물(130 mg, 78%)을 얻었다.
1H NMR (200 MHz, CDCl3) δ 7.58-7.53 (m, 1H), 7.26-7.17 (m, 3H), 7.14-7.03 (m, 1H), 6.95 (dd, J = 8.6, 2.8 Hz, 1H), 6.72 (d, J = 8.6 Hz, 1H), 6.50-6.43 (m, 2H), 6.43 (d, J = 9.8 Hz, 1H), 5.64 (d, J = 9.8 Hz, 1H), 3.62-3.42 (m, 4H), 2.59 (d, J = 7.7 Hz, 1H), 2.51 (d, J = 7.7 Hz, 1H), 1.37 (s, 3H), 1.24-1.12 (m, 6H);
m/z ([M+1]+) 367
실시예 21: 2- 에톡시메틸 -2- 메틸 -6-(4- 플루오로페닐 ) 유레이도 벤조피란의 제조
Figure 112008038617793-PAT00025
실시예 1에서 치환기 R1이 메틸인 2-메콕시메틸-2-메틸-6-아미노 벤조피란 화합물 대신에 치환기 R1이 에틸인 2-에콕시메틸-2-메틸-6-아미노 벤조피란 화합물을, 페닐이소시아네이트 대신에 4-플루오로-페닐이소시아네이트(75 mg, 0.547 mmol, 1.2 eq)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목적화합물(120 mg, 74%)을 얻었다.
1H NMR (200 MHz, CDCl3) δ 7.26-7.16 (m, 3H), 7.69-6.85 (m, 4H), 6.72-6.65 (m, 2H), 6.30 (d, J = 10.2 Hz, 1H), 5.64 (d, J = 10.2 Hz, 1H), 3.63-3.45 (m, 4H), 1.39 (s, 3H), 1.18 (t, J = 7.2 Hz, 3H);
m/z ([M+1]+) 357
실시예 22: 2- 에톡시메틸 -2- 메틸 -6-(2- 클로로페닐 ) 유레이도 벤조피란의 제조
Figure 112008038617793-PAT00026
실시예 1에서 치환기 R1이 메틸인 2-메콕시메틸-2-메틸-6-아미노 벤조피란 화합물 대신에 치환기 R1이 에틸인 2-에콕시메틸-2-메틸-6-아미노 벤조피란 화합물을, 페닐이소시아네이트 대신에 2-클로로-페닐이소시아네이트(84 mg, 0.547 mmol, 1.2 eq)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목적화합물(129 mg, 76%)을 얻었다.
1H NMR (200 MHz, CDCl3) δ 8.81 (d, J = 8.1 Hz, 1H), 7.30-7.17 (m, 3H), 7.01-6.89 (m, 4H), 6.74 (d, J = 8.6 Hz, 1H), 6.43 (d, J = 10.2 Hz, 1H), 5.65 (d, J = 10.2 Hz, 1H), 3.64-3.45 (m, 4H), 1.40 (s, 3H), 1.19-1.14 (m, 3H);
m/z ([M+1]+) 373
실시예 23: 2- 에톡시메틸 -2- 메틸 -6-(4- 니트로페닐 ) 유레이도 벤조피란의 제조
Figure 112008038617793-PAT00027
실시예 1에서 치환기 R1이 메틸인 2-메콕시메틸-2-메틸-6-아미노 벤조피란 화합물 대신에 치환기 R1이 에틸인 2-에콕시메틸-2-메틸-6-아미노 벤조피란 화합물을, 페닐이소시아네이트 대신에 4-니트로-페닐이소시아네이트(90 mg, 0.547 mmol, 1.2 eq)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목적화합물(129 mg, 74%)을 얻었다.
1H NMR (200 MHz, CDCl3) δ 8.13-8.07 (m, 2H), 7.80 (s, 1H), 7.48-7.40 (m, 2H), 7.14 (s, 1H), 6.90-6.89 (m, 1H), 6.77 (dd, J = 8.5, 2.4 Hz, 1H), 6.60 (d, J = 8.5 Hz, 1H), 6.26 (d, J = 9.8 Hz, 1H), 5.63 (d, J = 9.8 Hz, 1H), 3.67-3.50 (m, 4H), 1.34 (s, 3H), 1.17 (t, J = 7.2 Hz, 3H);
m/z ([M+1]+) 384
실시예 24: 2- 에톡시메틸 -2- 메틸 -6- 부틸유레이도 벤조피란의 제조
Figure 112008038617793-PAT00028
실시예 1에서 치환기 R1이 메틸인 2-메콕시메틸-2-메틸-6-아미노 벤조피란 화합물 대신에 치환기 R1이 에틸인 2-에콕시메틸-2-메틸-6-아미노 벤조피란 화합물을, 페닐이소시아네이트 대신에 n-부틸이소시아네이트(54 mg, 0.547 mmol, 1.2 eq)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목적화합물(129 mg, 89%)을 얻었다.
1H NMR (200 MHz, CDCl3) δ 6.95-6.88 (m, 2H), 6.72 (d, J = 8.6 Hz, 1H), 6.35 (d, J = 10.2 Hz, 1H), 5.64 (d, J = 10.2 Hz, 1H), 3.62-3.43 (m, 4H), 3.19 (s, 2H), 1.52-1.24 (m, 7H), 1.21-1.12 (m, 3H), 0.90 (t, J = 7.2 Hz, 3H);
m/z ([M+1]+) 319
실시예 25: 2- 에톡시메틸 -2- 메틸 -6- 시클로헥실유레이도 벤조피란의 제조
Figure 112008038617793-PAT00029
실시예 1에서 치환기 R1이 메틸인 2-메콕시메틸-2-메틸-6-아미노 벤조피란 화합물 대신에 치환기 R1이 에틸인 2-에콕시메틸-2-메틸-6-아미노 벤조피란 화합물을, 페닐이소시아네이트 대신에 시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68 mg, 0.547 mmol, 1.2 eq)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목적화합물(141 mg, 90%)을 얻었다.
m/z ([M+1]+) 345
실시예 26: 2- 에톡시메틸 -2- 메틸 -6-(2- 에톡시 -2- 옥소에틸 ) 유레이도 벤조피란의 제조
Figure 112008038617793-PAT00030
실시예 1에서 치환기 R1이 메틸인 2-메콕시메틸-2-메틸-6-아미노 벤조피란 화합물 대신에 치환기 R1이 에틸인 2-에콕시메틸-2-메틸-6-아미노 벤조피란 화합물을, 페닐이소시아네이트 대신에 2-에톡시-2-옥소에틸이소시아네이트(71 mg, 0.547 mmol, 1.2 eq)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목적화합물(122 mg, 77%)을 얻었다.
1H NMR (200 MHz, CDCl3) δ 7.26-7.23 (m, 1H), 7.08-7.03 (m, 2H), 6.72 (d, J = 8.6 Hz, 1H), 6.37 (d, J = 9.8 Hz, 1H), 5.63 (d, J = 9.8 Hz, 1H), 4.23 (d, J = 7.2 Hz, 1H), 4.16 (d, J = 7.2 Hz, 1H), 3.99 (d, J = 5.5 Hz, 1H), 3.62-3.42 (m, 4H), 2.16-2.08 (m, 3H), 1.40 (s, 3H), 1.27-1.11 (m, 6H);
m/z ([M+1]+) 349
실시예 27: 2- 에톡시메틸 -2- 메틸 -6-(2- 부톡시 -2- 옥소에틸 ) 유레이도 벤조피란의 제조
Figure 112008038617793-PAT00031
실시예 1에서 치환기 R1이 메틸인 2-메콕시메틸-2-메틸-6-아미노 벤조피란 화합물 대신에 치환기 R1이 에틸인 2-에콕시메틸-2-메틸-6-아미노 벤조피란 화합물을, 페닐이소시아네이트 대신에 2-부톡시-2-옥소에틸이소시아네이트(86 mg, 0.547 mmol, 1.2 eq)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목적화합물(127 mg, 74%)을 얻었다.
1H NMR (200 MHz, CDCl3) δ 6.98-6.93 (m, 2H), 6.73 (d, J = 8.6 Hz, 1H), 6.64 (s, 1H), 6.35 (d, J = 10.2 Hz, 1H), 5.66-5.35 (br s, 1H), 4.12 (t, J = 6.9 Hz, 2H), 4.03-3.97 (m, 2H), 3.62-3.43 (m, 4H), 1.68-1.57 (m, 2H), 1.45-1.25 (m, 5H), 1.17 (t, J = 7.2 Hz, 3H), 0.95-0.88 (m, 3H);
m/z ([M+1]+) 377
실시예 28: 2- 벤질옥시메틸 -2- 메틸 -6- 페닐유레이도 벤조피란의 제조
Figure 112008038617793-PAT00032
실시예 1에서 치환기 R1이 메틸인 2-메콕시메틸-2-메틸-6-아미노 벤조피란 화합물 대신에 치환기 R1이 벤질인 2-벤질옥시메틸-2-메틸-6-아미노 벤조피란 화합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목적화합물(125 mg, 88%)을 얻었다.
1H NMR (200 MHz, CDCl3) δ 7.36-7.21 (m, 9H), 7.08-6.88 (m, 4H), 6.74-5.59 (m, 2H), 6.31 (d, J = 9.8 Hz, 1H), 5.63 (d, J = 9.8 Hz, 1H), 4.61 (d, J = 12.2 Hz, 1H), 4.55 (d, J = 12.2 Hz, 1H), 3.52 (s, 2H), 1.41 (s, 3H);
m/z ([M+1]+) 401
실시예 29: 2- 벤질옥시메틸 -2- 메틸 -6-(4- 메톡시페닐 ) 유레이도 벤조피란의 제조
Figure 112008038617793-PAT00033
실시예 1에서 치환기 R1이 메틸인 2-메콕시메틸-2-메틸-6-아미노 벤조피란 화합물 대신에 치환기 R1이 벤질인 2-벤질옥시메틸-2-메틸-6-아미노 벤조피란 화합물을, 페닐이소시아네이트 대신에 4-메톡시-페닐이소시아네이트(64 mg, 0.426 mmol, 1.2 eq)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목적화합물(139 mg, 91%)을 얻었다.
1H NMR (200 MHz, CDCl3) δ 7.33-7.13 (m, 7H), 6.99-6.68 (m, 7H) ,6.31 (d, J = 9.8 Hz, 1H), 5.61 (d, J = 9.8 Hz, 1H), 4.58-4.50 (m, 2H), 3.74 (s, 3H), 3.51 (s, 2H), 1.40 (s, 3H);
m/z ([M+1]+) 431
실시예 30: 2- 벤질옥시메틸 -2- 메틸 -6-(2- 에톡시페닐 ) 유레이도 벤조피란의 제조
Figure 112008038617793-PAT00034
실시예 1에서 치환기 R1이 메틸인 2-메콕시메틸-2-메틸-6-아미노 벤조피란 화합물 대신에 치환기 R1이 벤질인 2-벤질옥시메틸-2-메틸-6-아미노 벤조피란 화합물을, 페닐이소시아네이트 대신에 2-에톡시-페닐이소시아네이트(70 mg, 0.426 mmol, 1.2 eq)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목적화합물(131 mg, 83%)을 얻었다.
1H NMR (200 MHz, CDCl3) δ 8.19-8.14 (m, 1H), 7.35-7.22 (m, 6H), 7.05-6.99 (m, 2H), 6.99-6.89 (m, 2H), 6.84-6.76 (m, 2H), 6.59 (br s, 1H), 6.36 (d, J = 10.2 Hz, 1H), 5.66 (d, J = 10.2 Hz, 1H), 4.63 (d, J = 12.6 Hz, 1H), 4.55 (d, J = 12.6 Hz, 1H), 3.96 (q, J = 6.9 Hz, 2H), 3.57(s, 3H), 1.39 (s, 3H), 1.29-1.21 (m, 3H);
m/z ([M+1]+) 445
실시예 31: 2- 벤질옥시메틸 -2- 메틸 -6-(2,6- 디메틸페닐 ) 유레이도 벤조피란의 제조
Figure 112008038617793-PAT00035
실시예 1에서 치환기 R1이 메틸인 2-메콕시메틸-2-메틸-6-아미노 벤조피란 화합물 대신에 치환기 R1이 벤질인 2-벤질옥시메틸-2-메틸-6-아미노 벤조피란 화합물을, 페닐이소시아네이트 대신에 2,6-디메틸-페닐이소시아네이트(63 mg, 0.426 mmol, 1.2 eq)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목적화합물(120 mg, 79%)을 얻었다.
1H NMR (200 MHz, CDCl3) δ 7.39-7.24 (m, 5H), 7.11 (s, 3H), 7.03 (d, J = 2.4 Hz, 1H), 6.92 (dd, J = 8.5, 2.4 Hz, 1H), 6.69 (d, J = 8.5 Hz, 1H), 6.36-6.23 (m, 2H), 6.08 (br s, 1H), 5.62 (d, J = 9.8 Hz, 1H), 4.61(d, J = 12.6 Hz, 1H), 4.53(d, J = 12.6 Hz, 1H), 3.53 (s, 2H), 2.22 (s, 6H), 1.39 (s, 3H);
m/z ([M+1]+) 429
실시예 32: 2- 벤질옥시메틸 -2- 메틸 -6-(2- 에틸페닐 ) 유레이도 벤조피란의 제조
Figure 112008038617793-PAT00036
실시예 1에서 치환기 R1이 메틸인 2-메콕시메틸-2-메틸-6-아미노 벤조피란 화합물 대신에 치환기 R1이 벤질인 2-벤질옥시메틸-2-메틸-6-아미노 벤조피란 화합물을, 페닐이소시아네이트 대신에 2-에틸-페닐이소시아네이트(63 mg, 0.426 mmol, 1.2 eq)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목적화합물(123 mg, 81%)을 얻었다.
1H NMR (200 MHz, CDCl3) δ 7.56-7.51 (m, 1H), 7.33-7.24 (m, 5H), 7.20-7.05 (m, 3H), 7.02-7.00 (m, 1H), 6.91-6.86 (m, 2H), 6.72-6.67 (m, 2H), 6.29 (d, J = 10.2 Hz, 1H), 5.61 (d, J = 10.2 Hz, 1H), 4.61 (d, J = 12.2 Hz, 1H), 4.53 (d, J = 12.2 Hz, 1H), 3.53 (d, J = 10.2 Hz, 1H), 3.47 (d, J = 10.2 Hz, 1H), 2.51 (q, J = 7.2 Hz, 2H), 1.40 (s, 3H), 1.12 (t, J = 7.2 Hz, 3H);
m/z ([M+1]+) 429
실시예 33: 2- 벤질옥시메틸 -2- 메틸 -6-(4- 플루오로페닐 ) 유레이도 벤조피란의 제조
Figure 112008038617793-PAT00037
실시예 1에서 치환기 R1이 메틸인 2-메콕시메틸-2-메틸-6-아미노 벤조피란 화합물 대신에 치환기 R1이 벤질인 2-벤질옥시메틸-2-메틸-6-아미노 벤조피란 화합물을, 페닐이소시아네이트 대신에 4-플루오로-페닐이소시아네이트(58 mg, 0.426 mmol, 1.2 eq)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목적화합물(116 mg, 78%)을 얻었다.
1H NMR (200 MHz, CDCl3) δ 7.32-7.11 (m, 6H), 6.96-6.84 (m, 5H), 6.72-6.68 (m, 2H), 6.29 (d, J = 9.8 Hz, 1H), 5.61 (d, J = 9.8 Hz, 1H), 4.61 (d, J = 12.2 Hz, 1H), 4.55 (d, J = 12.2 Hz, 1H), 3.52 (s, 2H), 1.40 (s, 3H);
m/z ([M+1]+) 419
실시예 34: 2- 벤질옥시메틸 -2- 메틸 -6-(2- 플루오로페닐 ) 유레이도 벤조피란의 제조
Figure 112008038617793-PAT00038
실시예 1에서 치환기 R1이 메틸인 2-메콕시메틸-2-메틸-6-아미노 벤조피란 화합물 대신에 치환기 R1이 벤질인 2-벤질옥시메틸-2-메틸-6-아미노 벤조피란 화합물을, 페닐이소시아네이트 대신에 2-플루오로-페닐이소시아네이트(58 mg, 0.426 mmol, 1.2 eq)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목적화합물(107 mg, 72%)을 얻었다.
m/z ([M+1]+) 419
실시예 35: 2- 벤질옥시메틸 -2- 메틸 -6-(2- 클로로페닐 ) 유레이도 벤조피란의 제조
Figure 112008038617793-PAT00039
실시예 1에서 치환기 R1이 메틸인 2-메콕시메틸-2-메틸-6-아미노 벤조피란 화합물 대신에 치환기 R1이 벤질인 2-벤질옥시메틸-2-메틸-6-아미노 벤조피란 화합물을, 페닐이소시아네이트 대신에 2-클로로-페닐이소시아네이트(65 mg, 0.426 mmol, 1.2 eq)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목적화합물(116 mg, 75%)을 얻었다.
1H NMR (200 MHz, CDCl3) δ 8.21-8.16 (m, 1H), 7.37-7.17 (m, 8H), 7.03-6.87 (m, 4H), 6.77 (d, J = 8.5 Hz, 1H), 6.36 (d, J = 9.8 Hz, 1H), 5.65 (d, J = 9.8 Hz, 1H), 4.62 (d, J = 12.2 Hz, 1H), 4.55 (d, J = 12.2 Hz, 1H), 3.53 (s, 3H), 1.42 (s, 3H);
m/z ([M+1]+) 435
실시예 36: 2- 벤질옥시메틸 -2- 메틸 -6-(4- 니트로페닐 ) 유레이도 벤조피란의 제조
Figure 112008038617793-PAT00040
실시예 1에서 치환기 R1이 메틸인 2-메콕시메틸-2-메틸-6-아미노 벤조피란 화합물 대신에 치환기 R1이 벤질인 2-벤질옥시메틸-2-메틸-6-아미노 벤조피란 화합물을, 페닐이소시아네이트 대신에 4-니트로-페닐이소시아네이트(70 mg, 0.426 mmol, 1.2 eq)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목적화합물(117 mg, 74%)을 얻었다.
1H NMR (200 MHz, CDCl3) δ 8.12-8.05 (m, 2H), 7.51-7.40 (m, 3H), 7.31-7.21 (m, 5H), 6.67 (d, J = 8.5 Hz, 1H), 6.27 (d, J = 10.2 Hz, 1H), 5.63 (d, J = 10.2 Hz, 1H), 4.60 (s, 2H), 3.60 (d, J = 10.2 Hz, 1H), 3.55 (d, J = 10.2 Hz, 1H), 1.38 (s, 3H);
m/z ([M+1]+) 446
실시예 37: 2- 벤질옥시메틸 -2- 메틸 -6- 부틸유레이도 벤조피란의 제조
Figure 112008038617793-PAT00041
실시예 1에서 치환기 R1이 메틸인 2-메콕시메틸-2-메틸-6-아미노 벤조피란 화합물 대신에 치환기 R1이 벤질인 2-벤질옥시메틸-2-메틸-6-아미노 벤조피란 화합물을, 페닐이소시아네이트 대신에 n-부틸이소시아네이트(42 mg, 0.426 mmol, 1.2 eq)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목적화합물(120 mg, 89%)을 얻었다.
1H NMR (200 MHz, CDCl3) δ 7.36-7.22 (m, 4H), 6.94-6.89 (m, 2H), 6.76 (d, J = 2.1 Hz, 1H), 6.36 (d, J = 9.8 Hz, 1H), 6.15 (br s, 1H), 5.65 (d, J = 10.2 Hz, 1H), 4.69-4.52 (m, 3H), 3.58-3.45 (m, 3H), 3.25-3.15 (m, 2H), 1.16-1.22 (m, 6H), 0.90 (t, J = 6.9 Hz, 3H);
m/z ([M+1]+) 381
실시예 38: 2- 벤질옥시메틸 -2- 메틸 -6- 에틸유레이도 벤조피란의 제조
Figure 112008038617793-PAT00042
실시예 1에서 치환기 R1이 메틸인 2-메콕시메틸-2-메틸-6-아미노 벤조피란 화합물 대신에 치환기 R1이 벤질인 2-벤질옥시메틸-2-메틸-6-아미노 벤조피란 화합물을, 페닐이소시아네이트 대신에 에틸이소시아네이트(30 mg, 0.426 mmol, 1.2 eq)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목적화합물(110 mg, 88%)을 얻었다.
m/z ([M+1]+) 353
실시예 39: 2- 벤질옥시메틸 -2- 메틸 -6- 시클로헥실유레이도 벤조피란의 제조
Figure 112008038617793-PAT00043
실시예 1에서 치환기 R1이 메틸인 2-메콕시메틸-2-메틸-6-아미노 벤조피란 화합물 대신에 치환기 R1이 벤질인 2-벤질옥시메틸-2-메틸-6-아미노 벤조피란 화합물을, 페닐이소시아네이트 대신에 시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53 mg, 0.426 mmol, 1.2 eq)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목적화합물(131 mg, 91%)을 얻었다.
1H NMR (200 MHz, CDCl3) δ 7.36-7.24 (m, 6H), 6.95-6.89 (m, 2H), 6.74 (d, J = 7.7 Hz, 1H), 6.35 (d, J = 9.8 Hz, 1H), 6.13 (br s, 1H), 5.67-5.57 (m, 1H), 4.59-4.52 (m, 2H), 3.66-3.47 (m, 2H), 1.94-1.88 (m, 2H), 1.70-1.41 (m, 3H), 1.38-0.97 (m, 8H);
m/z ([M+1]+) 407
실시예 40: 2- 벤질옥시메틸 -2- 메틸 -6-(2- 에톡시 -2- 옥소에틸 ) 유레이도 벤조피란의 제조
Figure 112008038617793-PAT00044
실시예 1에서 치환기 R1이 메틸인 2-메콕시메틸-2-메틸-6-아미노 벤조피란 화합물 대신에 치환기 R1이 벤질인 2-벤질옥시메틸-2-메틸-6-아미노 벤조피란 화합물을, 페닐이소시아네이트 대신에 2-에톡시-2-옥소에틸이소시아네이트(55 mg, 0.426 mmol, 1.2 eq)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목적화합물(124 mg, 85%)을 얻었다.
1H NMR (200 MHz, CDCl3) δ 7.37-7.21 (m, 5H), 6.99-6.95 (m, 2H), 6.75 (d, J = 9.3 Hz, 1H), 6.60 (br s, 1H), 6.35 (d, J = 10.2 Hz, 1H), 5.64 (d, J = 10.2 Hz, 1H), 5.38-5.33 (m, 1H), 4.62 (d, J = 12.2 Hz, 1H), 4.55 (d, J = 12.2 Hz, 1H), 4.24-4.10 (m, 2H), 4.02-3.99 (m, 2H), 3.57-3.47 (m, 2H), 1.42 (s, 2H), 1.30-1.23 (m, 3H);
m/z ([M+1]+) 411
실시예 41: 2- 벤질옥시메틸 -2- 메틸 -6-(2- 부톡시 -2- 옥소에틸 ) 유레이도 벤조피란의 제조
Figure 112008038617793-PAT00045
실시예 1에서 치환기 R1이 메틸인 2-메콕시메틸-2-메틸-6-아미노 벤조피란 화합물 대신에 치환기 R1이 벤질인 2-벤질옥시메틸-2-메틸-6-아미노 벤조피란 화합물을, 페닐이소시아네이트 대신에 2-부톡시-2-옥소에틸이소시아네이트(67 mg, 0.426 mmol, 1.2 eq)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목적화합물(135 mg, 86%)을 얻었다.
1H NMR (200 MHz, CDCl3) δ 7.36-7.22 (m, 5H), 7.01-6.94 (m, 2H), 6.84 (br s, 1H), 6.73 (d, J = 8.5 Hz, 1H), 6.35 (d, J = 9.8 Hz, 1H), 5.63 (d, J = 9.8 Hz, 1H), 5.53-5.48 (m, 1H), 4.64-4.51 (m, 2H), 4.15-3.99 (m, 4H), 3.57-3.52 (m, 2H), 1.67-1.41 (m, 2H), 1.37-1.25 (m, 5H), 0.91 (t, J = 7.2 Hz, 3H);
m/z ([M+1]+) 439
실시예 42: 2-(4- 메톡시벤질옥시 ) 메틸 -2- 메틸 -6- 페닐유레이도 벤조피란의 제조
Figure 112008038617793-PAT00046
실시예 1에서 치환기 R1이 메틸인 2-메콕시메틸-2-메틸-6-아미노 벤조피란 화합물 대신에 치환기 R1이 4-메톡시-벤질인 2-(4-메톡시벤질옥시)메틸-2-메틸-6-아미노 벤조피란 화합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목적화합물(120 mg, 87%)을 얻었다.
1H NMR (200 MHz, CDCl3) δ 7.28-7.02 (m, 7H), 6.99-6.85 (m, 6H), 6.66 (d, J = 8.5 Hz, 1H), 6.26 (d, J = 9.8 Hz, 1H), 5.75 (d, J = 9.8 Hz, 1H), 4.56-4.50 (m, 2H), 3.76 (s, 3H), 3.52-3.43 (m, 2H), 1.36 (s, 3H);
m/z ([M+1]+) 431
실시예 43: 2-(4- 메톡시벤질옥시 ) 메틸 -2- 메틸 -6-(4- 메톡시페닐 ) 유레이도 벤조피란의 제조
Figure 112008038617793-PAT00047
실시예 1에서 치환기 R1이 메틸인 2-메콕시메틸-2-메틸-6-아미노 벤조피란 화합물 대신에 치환기 R1이 4-메톡시-벤질인 2-(4-메톡시벤질옥시)메틸-2-메틸-6-아미노 벤조피란 화합물을, 페닐이소시아네이트 대신에 4-메톡시페닐이소시아네이트(57 mg, 0.385 mmol, 1.2 eq)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목적화합물(133 mg, 90%)을 얻었다.
1H NMR (200 MHz, CDCl3) δ 7.25-7.12 (m, 4H), 6.96-6.65 (m, 10H), 6.27 (d, J = 9.8 Hz, 1H), 5.57 (d, J = 9.8 Hz, 1H), 4.53 (d, J = 11.8 Hz, 1H), 4.47 (d, J = 11.8 Hz, 1H), 3.77-3.63 (m, 6H), 3.58-3.40 (m, 2H), 1.37 (s, 3H);
m/z ([M+1]+) 461
실시예 44: 2-(4- 메톡시벤질옥시 ) 메틸 -2- 메틸 -6-(2- 메톡시페닐 ) 유레이도 벤조피란의 제조
Figure 112008038617793-PAT00048
실시예 1에서 치환기 R1이 메틸인 2-메콕시메틸-2-메틸-6-아미노 벤조피란 화합물 대신에 치환기 R1이 4-메톡시-벤질인 2-(4-메톡시벤질옥시)메틸-2-메틸-6-아미노 벤조피란 화합물을, 페닐이소시아네이트 대신에 2-메톡시페닐이소시아네이트(57 mg, 0.385 mmol, 1.2 eq)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목적화합물(124 mg, 84%)을 얻었다.
m/z ([M+1]+) 461
실시예 45: 2-(4- 메톡시벤질옥시 ) 메틸 -2- 메틸 -6-(2- 에톡시페닐 ) 유레이도 조피란의 제조
Figure 112008038617793-PAT00049
실시예 1에서 치환기 R1이 메틸인 2-메콕시메틸-2-메틸-6-아미노 벤조피란 화합물 대신에 치환기 R1이 4-메톡시-벤질인 2-(4-메톡시벤질옥시)메틸-2-메틸-6-아미노 벤조피란 화합물을, 페닐이소시아네이트 대신에 2-에톡시페닐이소시아네이트(63 mg, 0.385 mmol, 1.2 eq)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 로 목적화합물(125 mg, 82%)을 얻었다.
1H NMR (200 MHz, CDCl3) δ 8.17-8.11 (m, 1H), 7.29-7.19 (m, 3H), 7.05-6.78 (m, 8H), 6.37 (d, J = 9.8 Hz, 1H), 5.63 (d, J = 9.8 Hz, 1H), 4.58-4.45 (m, 2H), 3.99 (d, J = 6.9 Hz, 1H), 3.92 (d, J = 6.9 Hz, 1H), 3.77 (s, 3H), 3.55-3.50 (m, 2H), 1.41 (s, 3H), 1.30-1.20 (m, 3H);
m/z ([M+1]+) 475
실시예 46: 2-(4- 메톡시벤질옥시 ) 메틸 -2- 메틸 -6-(2,6- 디메틸페닐 ) 유레이도 벤조피란의 제조
Figure 112008038617793-PAT00050
실시예 1에서 치환기 R1이 메틸인 2-메콕시메틸-2-메틸-6-아미노 벤조피란 화합물 대신에 치환기 R1이 4-메톡시-벤질인 2-(4-메톡시벤질옥시)메틸-2-메틸-6-아미노 벤조피란 화합물을, 페닐이소시아네이트 대신에 2,6-디메틸페닐이소시아네이트(56 mg, 0.385 mmol, 1.2 eq)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목적화합물(125 mg, 85%)을 얻었다.
1H NMR (200 MHz, CDCl3) δ 7.25-7.22 (m, 2H), 7.18-7.02 (m, 4H), 6.92- 6.80 (m, 3H), 6.68 (d, J = 8.5 Hz, 1H), 6.34-6.07 (m, 3H), 5.59 (d, J = 9.8 Hz, 1H), 4.53 (d, J = 11.8 Hz, 1H), 4.46 (d, J = 11.8 Hz, 1H), 3.78 (s, 3H), 3.49 (d, J = 10.2 Hz, 1H), 3.43 (d, J = 10.2 Hz, 1H), 2.29 (s, 6H), 1.38 (s, 3H);
m/z ([M+1]+) 459
실시예 47: 2-(4- 메톡시벤질옥시 ) 메틸 -2- 메틸 -6-(2- 에틸페닐 ) 유레이도 벤조피란의 제조
Figure 112008038617793-PAT00051
실시예 1에서 치환기 R1이 메틸인 2-메콕시메틸-2-메틸-6-아미노 벤조피란 화합물 대신에 치환기 R1이 4-메톡시-벤질인 2-(4-메톡시벤질옥시)메틸-2-메틸-6-아미노 벤조피란 화합물을, 페닐이소시아네이트 대신에 2-에틸페닐이소시아네이트(56 mg, 0.385 mmol, 1.2 eq)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목적화합물(119 mg, 81%)을 얻었다.
1H NMR (200 MHz, CDCl3) δ 7.57-7.53 (m, 1H), 7.25-7.08 (m, 5H), 7.03-7.02 (m, 1H), 6.95-6.80 (m, 3H), 6.72 (d, J = 7.5 Hz, 1H), 6.61 (br s, 1H), 6.48 (br s, 1H), 6.32 (d, J = 10.2 Hz, 1H), 5.61 (d, J = 10.2 Hz, 1H), 4.53 (d, J = 11.8 Hz, 1H), 4.47 (d, J = 11.8 Hz, 1H), 3.77(s, 3H), 3.53-3.42 (m, 2H), 2.59-2.47 (m, 2H), 1.38(s, 3H), 1.12(t, J = 7.3 Hz, 3H);
m/z ([M+1]+) 459
실시예 48: 2-(4- 메톡시벤질옥시 ) 메틸 -2- 메틸 -6-(4- 플루오로페닐 ) 유레이도 벤조피란의 제조
Figure 112008038617793-PAT00052
실시예 1에서 치환기 R1이 메틸인 2-메콕시메틸-2-메틸-6-아미노 벤조피란 화합물 대신에 치환기 R1이 4-메톡시-벤질인 2-(4-메톡시벤질옥시)메틸-2-메틸-6-아미노 벤조피란 화합물을, 페닐이소시아네이트 대신에 4-플루오로-페닐이소시아네이트(53 mg, 0.385 mmol, 1.2 eq)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목적화합물(115 mg, 87%)을 얻었다.
1H NMR (200 MHz, CDCl3) δ 7.43-7.03 (m, 5H), 6.98 (s, 1H), 6.91-9.73 (m, 6H), 6.63 (d, J = 8.5 Hz, 1H), 6.23 (d, J = 10.2 Hz, 1H), 5.53 (d, J = 10.2 Hz, 1H), 4.56-4.43 (m, 2H), 3.76 (s, 3H), 3.48 (s, 2H), 1.35 (s, 3H);
m/z ([M+1]+) 449
실시예 49: 2-(4- 메톡시벤질옥시 ) 메틸 -2- 메틸 -6-(2- 클로로페닐 ) 유레이도 벤조피란
Figure 112008038617793-PAT00053
실시예 1에서 치환기 R1이 메틸인 2-메콕시메틸-2-메틸-6-아미노 벤조피란 화합물 대신에 치환기 R1이 4-메톡시-벤질인 2-(4-메톡시벤질옥시)메틸-2-메틸-6-아미노 벤조피란 화합물을, 페닐이소시아네이트 대신에 2-클로로-페닐이소시아네이트(59 mg, 0.385 mmol, 1.2 eq)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목적화합물(115 mg, 79%)을 얻었다.
1H NMR (200 MHz, CDCl3) δ 8.20-8.16 (m, 1H), 7.31-7.17 (m, 5H), 7.01-6.74 (m, 7H), 6.34 (d, J = 10.2 Hz, 1H), 5.63 (d, J = 10.2 Hz, 1H), 4.55 (d, J = 11.8 Hz, 1H), 4.48 (d, J = 11.8 Hz, 1H), 3.77 (s, 3H), 3.49 (s, 2H), 1.40 (s, 3H);
m/z ([M+1]+) 465
실시예 50: 2-(4- 메톡시벤질옥시 ) 메틸 -2- 메틸 -6-(4- 니트로페닐 ) 유레이도 조피란의 제조
Figure 112008038617793-PAT00054
실시예 1에서 치환기 R1이 메틸인 2-메콕시메틸-2-메틸-6-아미노 벤조피란 화합물 대신에 치환기 R1이 4-메톡시-벤질인 2-(4-메톡시벤질옥시)메틸-2-메틸-6-아미노 벤조피란 화합물을, 페닐이소시아네이트 대신에 4-니트로-페닐이소시아네이트(63 mg, 0.385 mmol, 1.2 eq)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목적화합물(113 mg, 74%)을 얻었다.
1H NMR (200 MHz, CDCl3) δ 8.07 (d, J = 9.0 Hz, 1H), 7.69 (br s, 1H), 7.40 (d, J = 9.0 Hz, 1H), 7.25-7.16 (m, 2H), 7.06-7.01 (br s, 1H), 6.89-6.74 (m, 4H), 6.68-6.57 (m, 1H), 6.24 (d, J = 9.8 Hz, 1H), 5.60 (d, J = 9.8 Hz, 1H), 4.52-4.40 (m, 2H), 3.74 (s, 3H), 3.66-3.49 (m, 2H), 1.34 (s, 3H);
m/z ([M+1]+) 476
실시예 51: 2-(4- 메톡시벤질옥시 ) 메틸 -2- 메틸 -6- 부틸유레이도 벤조피란의 제조
Figure 112008038617793-PAT00055
실시예 1에서 치환기 R1이 메틸인 2-메콕시메틸-2-메틸-6-아미노 벤조피란 화합물 대신에 치환기 R1이 4-메톡시-벤질인 2-(4-메톡시벤질옥시)메틸-2-메틸-6-아미노 벤조피란 화합물을, 페닐이소시아네이트 대신에 n-부틸이소시아네이트(38 mg, 0.385 mmol, 1.2 eq)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목적화합물(117 mg, 89%)을 얻었다.
1H NMR (200 MHz, CDCl3) δ 7.25-7.18 (m, 2H), 6.93-6.81 (m, 4H), 6.73 (d, J = 7.3 Hz, 1H), 6.49-6.19 (m, 2H), 5.64-5.57 (m, 1H), 4.57-4.44 (m, 2H), 3.78 (s, 3H), 3.48 (s, 2H), 3.33-3.14 (m, 2H), 1.52-1.21 (m, 7H), 0.89 (t, J = 6.9 Hz, 3H);
m/z ([M+1]+) 411
실시예 52: 2-(4- 메톡시벤질옥시 ) 메틸 -2- 메틸 -6- 프로필유레이도 벤조피란의 제조
Figure 112008038617793-PAT00056
실시예 1에서 치환기 R1이 메틸인 2-메콕시메틸-2-메틸-6-아미노 벤조피란 화합물 대신에 치환기 R1이 4-메톡시-벤질인 2-(4-메톡시벤질옥시)메틸-2-메틸-6-아미노 벤조피란 화합물을, 페닐이소시아네이트 대신에 n-프로필이소시아네이트(33 mg, 0.385 mmol, 1.2 eq)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목적화합물(116 mg, 91%)을 얻었다.
m/z ([M+1]+) 397
실시예 53: 2-(4- 메톡시벤질옥시 ) 메틸 -2- 메틸 -6- 시클로헥실유레이도 벤조피란의 제조
Figure 112008038617793-PAT00057
실시예 1에서 치환기 R1이 메틸인 2-메콕시메틸-2-메틸-6-아미노 벤조피란 화합물 대신에 치환기 R1이 4-메톡시-벤질인 2-(4-메톡시벤질옥시)메틸-2-메틸-6-아미노 벤조피란 화합물을, 페닐이소시아네이트 대신에 시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48 mg, 0.385 mmol, 1.2 eq)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목적화합물(130 mg, 93%)을 얻었다.
1H NMR (200 MHz, CDCl3) δ 7.26-7.19 (m, 2H), 6.95-6.81 (m, 4H), 6.72 (d, J = 8.5 Hz, 1H), 6.36-6.24 (m, 2H), 5.61 (d, J = 11.0 Hz, 1H), 4.65-4.62 (br s, 1H), 4.57-4.44 (m, 2H), 3.79 (s, 3H), 3.76-3.42 (m, 2H), 1.94-1.87 (m, 2H), 1.68-1.54 (m, 3H), 1.39-1.25 (m, 5H), 1.13-0.96 (m, 2H);
m/z ([M+1]+) 437
실시예 54: 2-(4- 메톡시벤질옥시 ) 메틸 -2- 메틸 -6-(2- 에톡시 -2- 옥소에틸 ) 유레 이도 벤조피란의 제조
Figure 112008038617793-PAT00058
실시예 1에서 치환기 R1이 메틸인 2-메콕시메틸-2-메틸-6-아미노 벤조피란 화합물 대신에 치환기 R1이 4-메톡시-벤질인 2-(4-메톡시벤질옥시)메틸-2-메틸-6-아미노 벤조피란 화합물을, 페닐이소시아네이트 대신에 2-에톡시-2-옥소에틸이소시아네이트(50 mg, 0.385 mmol, 1.2 eq)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목적화합물(110 mg, 78%)을 얻었다.
1H NMR (200 MHz, CDCl3) δ 7.25-7.18 (m, 2H), 6.98-6.93 (m, 2H), 6.86-6.82 (d, J = 8.5 Hz, 1H), 6.75-6.61 (m, 2H), 6.35 (d, J = 10.2 Hz, 1H), 5.60 (d, J = 10.2 Hz, 1H), 5.42 (br s, 1H), 4.57-4.44 (m, 2H), 4.18 (q, J = 7.3 Hz, 2H), 4.01 (m, 2H), 3.78 (s, 3H), 3.53-3.42 (m, 2H), 1.39 (s, 3H), 1.38-1.20 (m, 3H);
m/z ([M+1]+) 441
실시예 55: 2-(4- 메톡시벤질옥시 ) 메틸 -2- 메틸 -6-(2- 부톡시 -2- 옥소에틸 ) 유레이도 벤조피란의 제조
Figure 112008038617793-PAT00059
실시예 1에서 치환기 R1이 메틸인 2-메콕시메틸-2-메틸-6-아미노 벤조피란 화합물 대신에 치환기 R1이 4-메톡시-벤질인 2-(4-메톡시벤질옥시)메틸-2-메틸-6-아미노 벤조피란 화합물을, 페닐이소시아네이트 대신에 2-부톡시-2-옥소에틸이소시아네이트(60 mg, 0.385 mmol, 1.2 eq)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목적화합물(120 mg, 8O%)을 얻었다.
1H NMR (200 MHz, CDCl3) δ 7.25-7.17 (m, 2H), 6.98-6.93 (m, 2H), 6.88-6.81 (m, 2H), 6.75-6.61 (m, 2H), 6.33 (d, J = 9.8 Hz, 1H), 5.60 (d, J = 9.8 Hz, 1H), 5.41-5.37 (m, 1H), 4.54 (d, J = 12.2 Hz, 1H), 4.46 (d, J = 12.2 Hz, 1H), 4.15-4.08 (m, 2H), 4.02-3.96 (m, 2H), 3.78 (s, 3H), 3.53-3.40 (m, 2H), 1.67-1.53 (m, 2H), 1.48-1.26 (m, 5H), 0.94-0.87 (t, J = 7.4 Hz, 3H);
m/z ([M+1]+) 469
실험예 1: 본 발명 화합물의 과발현된 P-당단백질 억제 활성 측정
다양한 종류의 항암제들에 대해 내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는 MES-SA/DX5 세포(Harker G. 등, Cancer Res., 45, 4091-4096, 1985)는 P-당단백질이 과다 발현되어 항암제를 세포 밖으로 능동적으로 배출하여 세포 내의 항암제 축적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P-당단백질의 발현을 억제하는 물질을 다약제내성 치료제 및 조절제로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 화합물의 P-당단백질 억제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즉, 자궁암 세포인 MES-SA 세포를 독소루비신(doxorubicin)으로 처리하여 P-당단백질을 과발현시킨 MES-SA/DX5 세포에 Pgp substrate이면서 형광(fluorescence)을 띄는 로다민 123(Rhodamine 123)이나 DiOC2 등의 염료로 처리하면 세포 내로 확산되어 들어간 염료들이 P-당단백질에 의하여 배출되어 세포 안에 거의 존재하지 않게 된다. 하지만, 여기에 베라파밀(verapamil) 등과 같이 종래 알려진 P-당단백질 억제제를 처리하면 배출이 억제되어 세포 안에 다량의 염료가 남아있게 된다. 본 특허에서는 DiOC2와 1세대 조절제(modulator)로 쉽게 구할 수 있는 베라파밀(verapamil)을 양성 대조구(positive control)로 한 이미지 기초 분 석(image based assay)을 수행하여 본 발명 화합물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MES-SA/DX5 세포를 384 웰 플레이트에 분주한 후 하루 동안 배양하고 여기에 베라파밀을 각각 다양한 농도로 처리하였다. 30분 정도 상온에서 배양한 후 DiOC2 또는 로다민 123(Rhodamine 123)을 여러 농도로 처리하고 30분간 배양하였다. 웰 안에 남아있는 배지와 염료를 마이크로플레이트 왓셔(microplate washer)를 이용하여 세척한 후 형광현미경을 이용하여 세포에 남아있는 DiOC2를 측정하였다. 상기 측정 결과는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베라파밀을 처리하지 않았을 때는 세포에 형광이 전혀 거의 보이지 않았으나 베라파밀을 처리했을 때는 선명하게 세포들을 확인할 수 있었고 8 μM을 처리했을 때 가장 선명한 차이를 얻어 이를 양성 대조구(positive control)로 하였다.
한편, 베라파밀 대신 본 발명의 화합물(1-1부터 1-55)들을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한 후 공초점 마이크로플레이트 이미지 리더(Confocal microplate image reader)를 이용하여 빠른 속도와 정확한 분석능으로 고효율 약리검색 (High-Throughput/content Screening, HTS/HCS)을 수행할 수 있는 OPERA라는 장비를 이용하여 384 웰 플레이트를 고속 촬영한 결과 유레아계 벤조피란 유도체를 처리한 웰과 처리하지 않은 웰 사이의 차이가 재현성 있게 나타났고, 이로부터 OPERA를 이용하여 빠르고 손쉽게 1차 검색을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상기 1차 검색 결과를 바탕으로 형광현미경을 이용하여 2차 검색을 하였으며, 그 결과 중 일부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벤조피란 유도체 중 실시예 9, 17, 29, 33 및 48 화합물이 베라파밀에 비하여 동일한 농도에서 P-당단백질 억제 활성이 훨씬 뛰어난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로부터, 본 발명의 화합물은 P-당단백질의 과발현을 억제하여 다약제내성 유발을 치료 또는 조절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본 발명 화합물과 항암제의 병용시의 유효성 시험
실험예 1의 과발현된 P-당단백질 억제활성 시험에서 도출된 P-당단백질의 발현을 억제하는 화합물을 기존의 알려진 항암제인 파클리탁셀(paclitaxel; taxol) 또는 독소루비신(doxorubicin)을 병용 투여하여 상기 화합물의 P-당단백질 발현 억제 활성의 유효성을 분석하였다.
MES-SA/DX5 세포를 384 웰 플레이트 또는 96 웰 플레이트에 옮겨 24동안 배양하였다. 배양된 세포에 P-당단백질 억제 화합물을 넣고 항암제 (택솔 또는 독소루비신)를 다양한 농도로 투여하였다. 3일간 배양한 후 도진도(Dojindo) 사의 세포 증식 분석 및 독성 분석 키트(cell proliferation assay and cytotoxicity assay kit)인 세포 카운팅 키트-8(Cell Counting Kit-8)을 이용하여 항암제의 세포독성에 대한 IC50 값을 측정하였다. P-당단백질 억제 화합물과 병용 투여된 항암제 의 IC50 값이 항암제 단독처리시 측정된 IC50 값과 비교하여 얼마나 증가하였는지를 관찰하여 P-당단백질 억제제의 다약제내성을 갖는 암세포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하였고 그 결과 중 일부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다약제내성 세포주에 대한 항암제 병용시의 P-당단백질 억제제의 효능
실시예 (1 μM) 파클리탁셀 독소루비신
IC50 (nM) 증가(배) IC50 (nM) 증가(배)
항암제 단독 투여 1500 1.0 2400 1.0
1-2 1818 0.8 2139 1.1
1-9 784 1.9 2512 1.0
1-17 1308 1.2 2346 1.0
1-24 >1500 <1.0 >2400 <1.0
1-29 387 3.9 1072 2.2
1-33 1156 1.3 2236 1.1
1-44 851 1.8 2471 1.0
1-48 285 5.3 972 2.5
표 1에서 알수 있는바와 같이, 파클리탁셀 및 독소루비신을 각각 단독 처리한 경우 IC50 값이 1500 nM과 2400 nM로 나타났다. 이에 비하여 상기 항암제와 본 발명의 화합물을 혼합하여 투여한 경우, 실시예 2의 화합물은 각각 0.8배 및 1.1배의 활성증가를 나타내었으며, 실시예 9의 화합물은 각각 1.9배 및 1.0배의 활성증가를, 실시예 17의 화합물은 각각 1.2배 및 1.0배의 활성증가를, 실시예 29의 화합물은 각각 3.9배 및 2.2배의 활성증가를, 실시예 33의 화합물은 각각 1.3배 및 1.1배의 활성증가를, 실시예 44의 화합물은 1.8배 및 1.0배의 활성증가를, 실시예 48의 화합물은 5.3배 및 2.5배의 활성증가를 나타내었다.
이로부터, 본 발명의 2-알콕시메틸-2-메틸-6-유레이도 벤조피란 유도체는 기존 항암제와 혼합 투여시 기존 항암제의 단독 투여에 비하여 기존 항암제의 효과를 증진 시키는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을 항암제와 병용 투여하는 경우, 병용 투여하는 항암제의 용량을 줄여 정상세포에 대한 부작용을 감소시킬 수 있고 경제적으로도 이득을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의 2-알콕시메틸-2-메틸-6-유레이도 벤조피란 유도체는 목적에 따라 여러 형태로 제제화가 가능하다. 하기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활성성분으로 함유시킨 몇몇 제제화 방법을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제예 1 : 정제(직접 가압)
화학식 1의 2-알콕시메틸-2-메틸-6-유레이도 벤조피란 유도체 5.0mg을 체로 친 후, 락토스 14.1mg, 크로스포비돈 USNF 0.8mg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1mg을 혼합하고 가압하여 정제로 제조하였다.
제제예 2 : 정제(습식 조립)
화학식 1의 2-알콕시메틸-2-메틸-6-유레이도 벤조피란 유도체 5.0mg을 체로 친 후, 락토스 16.0mg과 녹말 4.0mg을 섞었다. 폴리솔베이트 80 0.3mg을 순수한 물에 녹인 후 이 용액의 적당량을 첨가한 다음 미립화하였다. 건조 후에 미립을 체질한 후 콜로이달 실리콘 디옥사이드 2.7mg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2.0mg과 섞었다. 미립을 가압하여 정제로 제조하였다.
제제예 3: 분말과 캡슐제
활성성분 5.0 mg을 체로 친 후에, 락토스 14.8㎎, 폴리비닐 피롤리돈 10.0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mg과 함께 섞었다. 혼합물을 적당한 장치를 사용하여 No. 5 젤라틴 캡슐에 채웠다.
제제예 4: 주사제
활성성분으로서 100 mg을 함유시키고, 그 밖에도 만니톨 180 mg, Na2HPO412H2O 26 mg 및 증류수 2974 mg를 함유시켜 주사제를 제조하였다.
도 1은 베라파밀(verapamil)의 P-당단백질 억제 활성을 나타낸 형광 현미경 사진이다.
도 2는 베라파밀 및 본 발명 화합물의 P-당단백질 억제활성을 나타낸 형광 현미경 사진이다.

Claims (10)

  1. 하기 화학식 1의 2-알콕시메틸-2-메틸-6-유레이도 벤조피란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화학식 1]
    Figure 112008038617793-PAT00060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C1~C5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 비치환 또는 C1~C5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 C1~C5의 알콕시, 할로겐 및 니트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된 벤질이고,
    R2는 C1~C5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 C4~C10의 사이클로 알킬; C1~C5의 알킬 카보닐; C1~C5의 알콕시카보닐 C1~C5의 알킬; 비치환 또는 C1~C5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 C1~C5의 알콕시, 할로겐, 니트로, C1~C5의 알킬 카보닐 및 C1~C5의 알콕시 카보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된 페닐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1은 C1~C5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 비치환 또는 C1~C5의 알콕시로 치환된 벤질이고,
    상기 R2는 C1~C5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 C5~C6의 사이클로 알킬; C1~C5의 알킬 카보닐; C1~C5의 알콕시 카보닐 C1~C5의 알킬; 비치환 또는 C1~C3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 C1~C5의 알콕시, 할로겐 및 니트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된 페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알콕시메틸-2-메틸-6-유레이도 벤조피란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1은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벤질, 2-메톡시벤질, 4-메톡시벤질, 2-에톡시벤질 또는 4-에톡시벤질이고; R2는 에틸, n-프로필, n-부틸, 사이클로헥실, 2-에톡시-2-옥소에틸, 2-부톡시-2-옥소에틸, 페닐, 4-메틸페닐, 2,6-디메틸페닐, 2-에틸페닐, 2-메톡시페닐, 4-메톡시페닐, 2-에톡시페닐, 4-에톡시페닐, 2-플루오로페닐, 4-플루오로페닐, 2-클로로페닐, 4-클로로페닐 또는 4-니트로페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알콕시메틸-2-메틸-6-유레이도 벤조피란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알콕시메틸-2-메틸-6-유레이도 벤조피란 유도체는
    (1) 2-메톡시메틸-2-메틸-6-페닐유레이도 벤조피란;
    (2) 2-메톡시메틸-2-메틸-6-(4-메톡시페닐)유레이도 벤조피란;
    (3) 2-메톡시메틸-2-메틸-6-(2-에톡시페닐)유레이도 벤조피란;
    (4) 2-메톡시메틸-2-메틸-6-(2,6-디메틸페닐)유레이도 벤조피란;
    (5) 2-메톡시메틸-2-메틸-6-(2-에틸페닐)유레이도 벤조피란;
    (6) 2-메톡시메틸-2-메틸-6-(4-플루오로페닐)유레이도 벤조피란;
    (7) 2-메톡시메틸-2-메틸-6-(2-클로로페닐)유레이도 벤조피란;
    (8) 2-메톡시메틸-2-메틸-6-(4-니트로페닐)유레이도 벤조피란;
    (9) 2-메톡시메틸-2-메틸-6-벤질유레이도 벤조피란;
    (10) 2-메톡시메틸-2-메틸-6-부틸유레이도 벤조피란;
    (11) 2-메톡시메틸-2-메틸-6-시클로헥실유레이도 벤조피란;
    (12) 2-메톡시메틸-2-메틸-6-(2-에톡시-2-옥소에틸)유레이도 벤조피란;
    (13) 2-메톡시메틸-2-메틸-6-(2-부톡시-2-옥소에틸)유레이도 벤조피란;
    (14) 2-에톡시메틸-2-메틸-6-페닐유레이도 벤조피란;
    (15) 2-에톡시메틸-2-메틸-6-(4-메톡시페닐)유레이도 벤조피란;
    (16) 2-에톡시메틸-2-메틸-6-(2-메톡시페닐)유레이도 벤조피란;
    (17) 2-에톡시메틸-2-메틸-6-(2-에톡시페닐)유레이도 벤조피란;
    (18) 2-에톡시메틸-2-메틸-6-(4-메틸페닐)유레이도 벤조피란;
    (19) 2-에톡시메틸-2-메틸-6-(2,6-디메틸페닐)유레이도 벤조피란;
    (20) 2-에톡시메틸-2-메틸-6-(2-에틸페닐)유레이도 벤조피란;
    (21) 2-에톡시메틸-2-메틸-6-(4-플루오로페닐)유레이도 벤조피란;
    (22) 2-에톡시메틸-2-메틸-6-(2-클로로페닐)유레이도 벤조피란;
    (23) 2-에톡시메틸-2-메틸-6-(4-니트로페닐)유레이도 벤조피란;
    (24) 2-에톡시메틸-2-메틸-6-부틸유레이도 벤조피란;
    (25) 2-에톡시메틸-2-메틸-6-시클로헥실유레이도 벤조피란;
    (26) 2-에톡시메틸-2-메틸-6-(2-에톡시-2-옥소에틸)유레이도 벤조피란;
    (27) 2-에톡시메틸-2-메틸-6-(2-부톡시-2-옥소에틸)유레이도 벤조피란;
    (28) 2-벤질옥시메틸-2-메틸-6-페닐유레이도 벤조피란;
    (29) 2-벤질옥시메틸-2-메틸-6-(4-메톡시페닐)유레이도 벤조피란;
    (30) 2-벤질옥시메틸-2-메틸-6-(2-에톡시페닐)유레이도 벤조피란;
    (31) 2-벤질옥시메틸-2-메틸-6-(2,6-디메틸페닐)유레이도 벤조피란;
    (32) 2-벤질옥시메틸-2-메틸-6-(2-에틸페닐)유레이도 벤조피란;
    (33) 2-벤질옥시메틸-2-메틸-6-(4-플루오로페닐)유레이도 벤조피란;
    (34) 2-벤질옥시메틸-2-메틸-6-(2-플루오로페닐)유레이도 벤조피란;
    (35) 2-벤질옥시메틸-2-메틸-6-(2-클로로페닐)유레이도 벤조피란;
    (36) 2-벤질옥시메틸-2-메틸-6-(4-니트로페닐)유레이도 벤조피란;
    (37) 2-벤질옥시메틸-2-메틸-6-부틸유레이도 벤조피란;
    (38) 2-벤질옥시메틸-2-메틸-6-에틸유레이도 벤조피란;
    (39) 2-벤질옥시메틸-2-메틸-6-시클로헥실유레이도 벤조피란;
    (40) 2-벤질옥시메틸-2-메틸-6-(2-에톡시-2-옥소에틸)유레이도 벤조피란;
    (41) 2-벤질옥시메틸-2-메틸-6-(2-부톡시-2-옥소에틸)유레이도 벤조피란;
    (42) 2-(4-메톡시벤질옥시)메틸-2-메틸-6-페닐유레이도 벤조피란;
    (43) 2-(4-메톡시벤질옥시)메틸-2-메틸-6-(4-메톡시페닐)유레이도 벤조피란;
    (44) 2-(4-메톡시벤질옥시)메틸-2-메틸-6-(2-메톡시페닐)유레이도 벤조피란;
    (45) 2-(4-메톡시벤질옥시)메틸-2-메틸-6-(2-에톡시페닐)유레이도 벤조피란;
    (46) 2-(4-메톡시벤질옥시)메틸-2-메틸-6-(2,6-디메틸페닐)유레이도 벤조피란;
    (47) 2-(4-메톡시벤질옥시)메틸-2-메틸-6-(2-에틸페닐)유레이도 벤조피란;
    (48) 2-(4-메톡시벤질옥시)메틸-2-메틸-6-(4-플루오로페닐)유레이도 벤조피란;
    (49) 2-(4-메톡시벤질옥시)메틸-2-메틸-6-(2-클로로페닐)유레이도 벤조피란;
    (50) 2-(4-메톡시벤질옥시)메틸-2-메틸-6-(4-니트로페닐)유레이도 벤조피란;
    (51) 2-(4-메톡시벤질옥시)메틸-2-메틸-6-부틸유레이도 벤조피란;
    (52) 2-(4-메톡시벤질옥시)메틸-2-메틸-6-프로필유레이도 벤조피란;
    (53) 2-(4-메톡시벤질옥시)메틸-2-메틸-6-시클로헥실유레이도 벤조피란;
    (54) 2-(4-메톡시벤질옥시)메틸-2-메틸-6-(2-에톡시-2-옥소에틸)유레이도 벤조피란; 및
    (55) 2-(4-메톡시벤질옥시)메틸-2-메틸-6-(2-부톡시-2-옥소에틸)유레이도 벤조피란
    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알콕시메틸-2-메틸-6-유레이도 벤조피란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5. 하기 반응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출발물질인 화학식 2의 벤조피란 유도체를 화학식 3의 R2로 치환된 이소시아네이트 유도체와 반응시켜 치환기 R2로 치환된 유레이도기를 도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1항의 화학식 1의 R2가 도입된 2-알콕시메틸-2-메틸-6-유레이도 벤조피란 유도체의 제조방법.
    <반응식 1>
    Figure 112008038617793-PAT00061
    (상기 반응식에서 R1 및 R2는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는 하기 화학식 4의 스캐빈저 레진을 첨가하여 미반응된 화학식 3의 이소시아네이트 유도체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의 화학식 1의 R2가 도입된 2-알콕시메틸-2-메틸-6-유레이도 벤조피란 유도체의 제조방법.
    <화학식 4>
    Figure 112008038617793-PAT00062
    (상기 식에서, ⓟ는 폴리스티렌-디비닐벤젠, 메타아크릴산-디메틸아크릴아미드 및 히드록실 메타아크릴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고분자 중합체 형태의 고체 지지체이다.)
  7. 제1항의 화학식 1의 2-알콕시메틸-2-메틸-6-유레이도 벤조피란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다약제내성 조절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2-알콕시메틸-2-메틸-6-유레이도 벤조피란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항암제에 대한 다약제내성을 유발하는 P-당단백질의 과발현을 억제함으로써 다약제내성을 조절 또는 치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약제내성 조절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항암제와 병용투여함으로써 다약제내성의 유발을 억제하여 항암제의 항암 효과를 증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약제내성 조절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항암제와 병용투여함으로써 병용투여되는 항암제의 용량을 감소시켜 항암제 단독 투여시 유발되는 정상세포에 대한 부작용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약제내성 조절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080050305A 2008-05-29 2008-05-29 신규 2-알콕시메틸-2-메틸-6-유레이도 벤조피란 유도체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다약제내성 조절 또는 치료용약학적 조성물 KR1009917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0305A KR100991762B1 (ko) 2008-05-29 2008-05-29 신규 2-알콕시메틸-2-메틸-6-유레이도 벤조피란 유도체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다약제내성 조절 또는 치료용약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0305A KR100991762B1 (ko) 2008-05-29 2008-05-29 신규 2-알콕시메틸-2-메틸-6-유레이도 벤조피란 유도체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다약제내성 조절 또는 치료용약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4229A true KR20090124229A (ko) 2009-12-03
KR100991762B1 KR100991762B1 (ko) 2010-11-03

Family

ID=41686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0305A KR100991762B1 (ko) 2008-05-29 2008-05-29 신규 2-알콕시메틸-2-메틸-6-유레이도 벤조피란 유도체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다약제내성 조절 또는 치료용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17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9893A (ko) * 2020-01-09 2021-07-1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새로운 벤조피란 유도체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항암제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9893A (ko) * 2020-01-09 2021-07-1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새로운 벤조피란 유도체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항암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1762B1 (ko) 2010-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963844B (zh) 一类抑制并降解酪氨酸蛋白激酶alk的化合物
US11414394B2 (en) Process for producing a hydrate of a hydrochloride salt of 2,2′-((((((2-acetylnaphtho[2,3-b]furan-4,9-diyl)bis(oxy))bis(carbonyl))bis(azanediyl))bis(ethane-2,1-diyl))bis(azanediyl))diacetic acid
US20180289683A1 (en) K-ras modulators
US20220119429A1 (en) Fluorine-containing compound and anti-cancer medical use thereof
KR20130029380A (ko) 메킬리아 락톤 유도체, 그 약제학적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과 용도
RU2424230C2 (ru) Соединения и способы ингибирования взаимодействия белков bcl с компонентами связывания
JP5649652B2 (ja) 置換ヒドラジド類化合物及びその応用
CN102010421A (zh) 青蒿素类衍生物及其应用
EP4310083A1 (en) Furan fused ring-substituted glutarimide compound
CN103113386A (zh) 氮杂环取代二氢青蒿素衍生物及其应用
EP3424913A1 (en) 2,3-epoxy succinyl derivative,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uses thereof
CN101314584A (zh) HGF/c-Met信号通道抑制剂及其制备方法和用途
KR100991762B1 (ko) 신규 2-알콕시메틸-2-메틸-6-유레이도 벤조피란 유도체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다약제내성 조절 또는 치료용약학적 조성물
CN102010422B (zh) 含有胍基的青蒿素类衍生物及其应用
CN103172577B (zh) 4-氨基喹唑啉及4-氨基喹啉类化合物及其用途
CN109963853B (zh) 一类具有降解酪氨酸蛋白激酶jak3活性的化合物
AU2022253373B2 (en) 1,3,4-oxadiazole thiocarbonyl compounds as histone deacetylase 6 inhibitor,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CN103214422B (zh) 一类新型取代胺基咪唑酮衍生物的制备方法及抗癌作用
KR20190003765A (ko) 신규 2,4,6-트리치환된-s-트리아진 화합물, 그 제조방법 및 용도
EP3950677A1 (en) Quinolyl-containing compound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use thereof
CN114478561B (zh) 一种依帕司他石蒜碱偶联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13024422B (zh) 丁苯酞开环化合物、药物化合物以及它们的制备方法、组合物和应用
CN114504574A (zh) 一种2-((2-甲氧基苯基)磺酰基)异吲哚啉类化合物药物制剂及其制备方法
KR100976380B1 (ko) 신규 스파이로[크로멘-2,4&#39;-피페리딘] 티오유레아 유도체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다약제내성 조절 또는 치료용약학적 조성물
CN109400604B (zh) 2,3,4,9-四氢-1H-吡啶并[3,4-b]吲哚类化合物及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